KR100563188B1 - 배기보조수단을 구비한 열접합성 지퍼백 - Google Patents

배기보조수단을 구비한 열접합성 지퍼백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63188B1
KR100563188B1 KR1020050074623A KR20050074623A KR100563188B1 KR 100563188 B1 KR100563188 B1 KR 100563188B1 KR 1020050074623 A KR1020050074623 A KR 1020050074623A KR 20050074623 A KR20050074623 A KR 20050074623A KR 100563188 B1 KR100563188 B1 KR 10056318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zipper
air discharge
bag
sheets
discharge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746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성이제
Original Assignee
(주)씨에스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씨에스이 filed Critical (주)씨에스이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631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6318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18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providing specific environment for contents, e.g. temperature above or below ambient
    • B65D81/2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providing specific environment for contents, e.g. temperature above or below ambient under vacuum or superatmospheric pressure, or in a special atmosphere, e.g. of inert gas
    • B65D81/2007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providing specific environment for contents, e.g. temperature above or below ambient under vacuum or superatmospheric pressure, or in a special atmosphere, e.g. of inert gas under vacuum
    • B65D81/2038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providing specific environment for contents, e.g. temperature above or below ambient under vacuum or superatmospheric pressure, or in a special atmosphere, e.g. of inert gas under vacuum with means for establishing or improving vacuu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33/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sacks or bags
    • B65D33/16End- or aperture-closing arrangements or devices
    • B65D33/18End- or aperture-closing arrangements or devices using adhesive applied to integral parts, e.g. to flaps
    • B65D33/22End- or aperture-closing arrangements or devices using adhesive applied to integral parts, e.g. to flaps using heat-activatable adhesiv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33/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sacks or bags
    • B65D33/16End- or aperture-closing arrangements or devices
    • B65D33/25Riveting; Dovetailing; Screwing; using press buttons or slide faste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5/00Packages comprising articles or materials partially or wholly enclosed in strips, sheets, blanks, tubes, or webs of flexible sheet material, e.g. in folded wrappers
    • B65D75/04Articles or materials wholly enclosed in single sheets or wrapper blanks
    • B65D75/20Articles or materials wholly enclosed in single sheets or wrapper blanks in sheets or blanks doubled around contents and having their opposed free margins united, e.g. by pressure-sensitive adhesive, crimping, heat-sealing, or wel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18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providing specific environment for contents, e.g. temperature above or below ambient
    • B65D81/2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providing specific environment for contents, e.g. temperature above or below ambient under vacuum or superatmospheric pressure, or in a special atmosphere, e.g. of inert gas
    • B65D81/2007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providing specific environment for contents, e.g. temperature above or below ambient under vacuum or superatmospheric pressure, or in a special atmosphere, e.g. of inert gas under vacuum
    • B65D81/2023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providing specific environment for contents, e.g. temperature above or below ambient under vacuum or superatmospheric pressure, or in a special atmosphere, e.g. of inert gas under vacuum in a flexible contain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ag Fram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열 접합이 가능하고 별도의 배기보조수단을 도입하여 내부 진공화가 가능하고 지퍼로 인하여 지퍼백을 개봉하여 내용물을 사용한 후 남아 있는 식품을 다시 보관하고자 할 때 편리한 지퍼백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배기보조수단을 구비한 열접합성 지퍼백은 각각 내측 열접합성필름과 외측 기체불투과성필름이 합지되어 있고, 양측단의 종방향 접합부에 의하여 상호 연결되어 있는 두 시트; 상기 두 시트의 하단부에 배열된 지퍼; 상기 두 시트의 상단부에 구비된 물품 투입을 위한 개구부; 상기 지퍼와 일정 간격 떨어진 하부에 형성된 횡방향 접합부; 및 상기 두 시트 중 하나 또는 둘 모두의 내면에 부착되며 공기배출공이 형성된 본체, 상기 본체의 공기배출공을 덮는 형태로 설치되는 밀폐부재, 그리고 상기 밀폐부재가 상기 공기배출공을 벗어나지 않도록 하는 고정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진공포장, 지퍼백, 시트, 필름, 기체불투과성, 열접합성, 배기보조수단

Description

배기보조수단을 구비한 열접합성 지퍼백{HEAT-SEALABLE ZIPPER BACK EQUIPPED WITH AUXILIARY EVACUATION MEANS}
도 1a 및 도 1b는 배기보조수단을 구비한 지퍼백의 사시도,
도 2a는 배기보조수단의 분해사시도,
도 2b 및 도 2c는 배기보조수단의 사용상태와 관련된 단면도들,
도 3a, 도 3b 및 도 3c는 도 2a와는 다른 형태의 배기보조수단을 도시한 분해사시도 및 설치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B: 지퍼백 Sa: 개구부
Sc: 측면 종방향 접합부 S1,S2: 시트
Sb: 횡방향 접합부 Z: 지퍼
C: 새김눈 V: 배기보조수단
10: 본체 11: 공기배출공
13: 장애방지부 15: 통기홈
20: 밀폐부재 30: 접착테이프
본 발명은 가열 접합이 가능하고 별도의 배기보조수단을 도입하여 내부 진공화가 가능하고 지퍼로 인하여 지퍼백을 개봉하여 내용물을 사용한 후 남아 있는 식품을 다시 보관하고자 할 때 편리한 지퍼백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내측 열접합성필름과 외측 기체불투과성필름이 합지되어 이루어진 두 시트로 구성되고 별도의 배기보조수단이 구비되어 있어 상기 배기보조수단을 통한 지퍼백 내부의 진공 후 개구부의 열접합이 가능하며, 종래 지퍼를 도입한 포장백과 달리 지퍼 하부에 형성된 횡방향 열접합부로 인하여 진공 배기시 지퍼를 통한 공기의 유입이 원천 차단될 수 있는 지퍼백에 관한 것이다.
종래 포장백에 물품을 담고 포장백을 진공화시켜 물품의 신선도를 오래 유지하거나(물품이 음식물인 경우), 물품의 부피를 줄여 수납공간의 활용도를 높일 수 있는(물품이 옷, 이불 등인 경우) 포장백을 위한 진공장치가 사용되고 있다.
전자는 주로 음식물이 담긴 비닐팩을 별도의 진공포장장치로 진공화시킨 후, 비닐팩의 입구를 가열 접합시키는 방식으로 구성되어 있어, 육류소비의 증가와 맞벌이 부부 증가로 식료품 대량 구매에 이은 냉장/냉동 저장 후 소량씩의 조리 경향에 따라 국내에서도 각광받는 추세에 있다.(예 : 실용신안등록 제0322449호(2003.07.28)).
후자는 밀폐부재가 설치된 비닐팩을 진공청소기 등의 흡입장치를 활용하여 비닐팩을 진공화시키는 방식을 취하고 있다(예 : 실용신안등록 제0302730호(2003.01.17) 및 제0256577호(2001.11.26)).
또 진공포장백에 지퍼를 도입한 종래기술로는,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 제0371129호(2004.12.15) 『진공 포장지』가 있다.
상기 등록실용신안은 일단부에 지퍼를 구비하고 있는 진공포장백에 관한 것이나, 배기유로의 기능이 별도의 판상부재에 의하여 이루어지는 점에서 불편함이 있고, 타단부에 구비된 배기노즐로 인하여 상승되는 단가를 고려할 때 반복된 사용이 필수적이나 진공 포장되는 식료품과 같은 물품의 위생적인 보관을 고려할 때 3번 이상의 반복된 사용 권장은 위생상의 불결함과 위험성 및 사용자의 혐오감으로 인하여 받아들여지기 어렵다.
아울러 상기 등록실용신안은 진공상태의 포장백 내부로 공기가 유입되는 것을 보다 확실하게 방지하는 방안으로 포장백에 구비된 2중 지퍼를 제시하고 있으나, 실제 지퍼가 4, 5개 이상 연속적으로 구비된 경우라도 진공포장장치에 의하여 걸리는 진공압력으로 인하여 지퍼의 미세한 틈으로 공기가 유입되므로 포장백 내부를 진공상태로 만드는 것 자체가 불가능한 것으로 판명되었다.
그러므로 상기 등록실용신안의 진공포장백은 수동 진공펌프를 이용할 경우와 같이 아주 낮은 진공압력에만 견딜 수 있는 제품이다. 이에 따라 식료품 등의 물품 보관이 보다 완벽한 진공상태에서 이루어지도록 하여 장기간 보관이 가능하도록 한다는 진공포장백의 제품 목적에 부합되지 않는다. 나아가 상기 등록실용신안의 포장백은 비록 저급한 진공상태인 경우에도 12시간 정도의 진공상태 유지도 불가능하다는 커다란 취약점을 갖는다.
그러므로 지퍼의 도입한 포장백에 물품, 특히 식품을 진공포장을 하고 이후 필요 기간만큼 보관하다가 포장백을 개봉하여 식품을 소비한 후 남아 있는 식품을 다시 보관하고자 할 때 지퍼로 인하여 편리함이 향상되면서도, 최초 진공포장 과정에서 지퍼로 인하여 기밀성이 보장되지 못하는 문제점을 해결하여 사용자 편리성을 제고하여 새로운 수요를 창출할 필요가 있다.
한편 미국특허공개 US 2005/0022472호(2005.02.03) 『RESEALABLE VACUUM PACKAGING BAGS AND METHODS FOR USING AND MANUFACTURING RESEALABLE VACUUM PACKAGING BAGS』에는 양측단부와 하단부가 열접합되어 있고, 상단부에 개구부와 지퍼가 구비되어 있는 포장백에 대하여 기재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미국공개특허는 개구부쪽에 지퍼가 구비되어 있어 진공포장장치를 사용하여 포장백 내부의 공기를 배출하여 진공화시킬 경우 상기 지퍼에 대하여 수직방향으로 작용하는 배기력을 상기 지퍼가 방해하는 작용을 하여 원활한 진공 배기가 어렵다는 문제점을 안고 있다.
본 발명은 종래의 지퍼를 도입한 진공포장백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이다.
이에 본 발명은 내측 열접합성필름과 외측 기체불투과성필름이 합지되어 이루어진 두 시트로 구성되고 별도의 배기보조수단을 도입하여 지퍼백의 개봉 후 남은 식품의 재보관시 지퍼로 인하여 편리성이 높아진 지퍼백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은 상기 지퍼백의 하부에 구비된 횡방향 열접합부를 통하여 진공 배기시 지퍼로 공기가 유입되어 기밀상태가 깨지는 문제점을 해결하고, 절취부를 통하여 개봉이 보다 편리하도록 한 지퍼백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나아가 본 발명은 배기보조수단을 지퍼백에 조립하는 과정이 편리하면서도, 진공배기시 지퍼백의 시트에 의하여 공기유출공이 막히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공기배출 장애방지부를 도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배기보조수단을 도입한 경우 전동 진공포장장치를 사용하지 않고, 진공 배기만을 위하여 개발된 수동 진공화 장치(handheld vacuum kit)를 이용한 진공 작업이 가능하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배기보조수단을 구비한 열접합성 지퍼백은 각각 내측 열접합성필름과 외측 기체불투과성필름이 합지되어 있고, 양측단의 종방향 접합부에 의하여 상호 연결되어 있는 두 시트; 상기 두 시 트의 하단부에 배열된 지퍼; 상기 두 시트의 상단부에 구비된 물품 투입을 위한 개구부; 상기 지퍼와 일정 간격 떨어진 하부에 형성된 횡방향 접합부; 및 상기 두 시트 중 하나 또는 둘 모두의 내면에 부착되며 공기배출공이 형성된 본체, 상기 본체의 공기배출공을 덮는 형태로 설치되는 밀폐부재, 그리고 상기 밀폐부재가 상기 공기배출공을 벗어나지 않도록 하는 고정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기능을 갖는 부재를 나타내며, 특별한 설명이 없는 한 이러한 기준에 의하여 참조부호와 구성요소의 상관관계를 이해하면 된다.
또 본 발명에 따른 열접합성 지퍼백을 설명함에 있어 방향 기준을 도 1a을 참고하여 특정하면, 지퍼백(B)에서 개구부(Sa)가 형성된 쪽을 상부, 지퍼(Z)가 배열된 쪽을 하부로 정한다.
아울러 배기보조수단(V)이 배열된 시트(S1) 쪽을 전방, 그 반대쪽을 후방으로 정하고, 전면 시트(S1)를 바라본 상태에서 좌우측을 나눈다.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지퍼백(B)은 두 시트(S1)(S2)의 양측단이 접합, 특히 열접합되어 종방향 접합부(Sc)를 형성하고, 하단부에 치우쳐 통상의 합성수지 지퍼백과 같은 지퍼(Z)가 구비되어 있다. 통상의 지퍼백과의 차 이점은 본 발명의 지퍼백(B)이 내측 열접합성필름과 외측 기체불투과성필름이 합지되어 있는 시트로 이루어져 있다는 점이다.
또 상기 지퍼백(B)의 시트(S1)(S2) 양측단 종방향 접합부(Sc)의 양측에는 절취부로써 새김눈(C)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새김눈(C)은 도면과는 달리 종방향 접합부(Sc)의 일측에만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새김눈(C)은 상기 지퍼(Z)의 활용을 위하여 당연히 지퍼 하부에 형성되어 있어야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지퍼백(B)에 지퍼(Z)를 도입하였을 때 전동펌프를 구비한 전동 진공포장장치를 이용하여 지퍼 반대편 상단부의 개구부(Sa)를 통하여 지퍼백(B) 내부의 공기를 배출할 경우 지퍼(Z)의 미세한 틈새로 공기가 유입되어 기밀성을 해쳐 진공 배기가 불가능해지거나, 진공 포장 후 물품 보관 중에 지퍼의 틈새로 공기가 유입되어 진공상태가 해제되어 식품 등의 물품이 부패되는 등의 문제를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지퍼(Z)와 일정 간격 떨어진 하부에는 횡방향 접합부(Sb)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 필수적이다.
또 도 1a에서 상기 새김눈(C)과 절취선(C1)으로 이루어진 상기 절취부의 하부에 일정 간격 떨어져 형성되어 있는 상기 횡방향 접합부(Sb)가 상기 지퍼(Z)의 하부에 일정 간격 떨어져 형성되어 있는 것은 진공포장된 지퍼백 개봉 후 사용되고 남은 물품의 재보관시 지퍼(Z)가 사용되는 것을 고려할 때 필수적이다.
상기 지퍼백(B)의 개구부(Sa)로 음식물과 같은 물품을 투입한 후 진공상태로 개구부(Sa)를 열접합하여 밀봉 보관하다가 지퍼백(B)을 개방하고자 할 경우 가위나 칼과 같은 도구 없이 상기 새김눈(C)을 기점으로 횡방향으로 찢어서 열접합부(Sb)가 형성된 부위를 제거하면 되므로 지퍼백 사용의 편리성이 증가된다.
특히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절취부의 일부로써 상기 지퍼(Z) 상부에 상기 지퍼(Z)와 평행하고 상기 새김눈(C)과 이어져 있는 절취선(C1)을 형성할 경우, 통상의 합성수지 포장지 보다 질긴 진공포장 시트(S1)(S2)를 보다 쉽게 찢어서 제거할 수 있으므로 편리성이 제고된다. 상기 절취선(C1)은 상기 각 시트(S1)(S2)의 두께 보다 얕게 칼로 눌러 형성한 자름선(실선 또는 점선) 형태이다.
도 1a에서 만약 이하에서 구체적으로 설명할 배기보조수단(V)이 아니라 상기 개구부(Sa)를 통하여 배기하고자 할 경우 상기 지퍼백(B)의 사용방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이러한 배기의 겨우 상기 지퍼백(B)의 두 시트 중 적어도 하나(S1)는 진공포장장치에 의한 진공백의 밀봉시 원활한 공기 배출을 위하여 내면에 배기유로가 형성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배기유로 형성시트는 단가를 고려하여 지퍼백을 이루는 시트들 중 어느 하나(S1)에만 도입되고, 다른 것은 민무늬(無紋) 시트(S2)인 것이 일반적이다.
우선 진공 포장시에는 상기 개구부(Sa)로 물품(M)을 투입한 후, 통상의 진공포장장치를 이용하여 지퍼백 내부의 공기를 흡입 제거하고, 개구부의 입구를 열접 합시켜 보관하면 된다.
또 지퍼백(B)의 개봉시에는 상기 지퍼와 상기 횡방향 접합부(Sb) 사이를 잘라내어 상기 횡방향 접합부를 제거하고, 상기 지퍼(Z)를 벌려 물품을 꺼내서 사용한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절취부를 이루는 새김눈(C) 및/또는 절취선(C1)이 형성되어 있을 경우 상기 횡방향 접합부(Sb)가 형성된 부분을 절취 제거하는 것이 편리하다.
상기 지퍼백(B)의 재활용시에는 사용후 남은 물품이나 다른 물품을 투입하고 상기 지퍼(Z)를 맞물려 닫아서 보관한다.
본 발명에 따른 지퍼백(B)에서 상기 횡방향 접합부(Sb)는 생산시 미리 형성되거나 사용자가 식품 포장시 지퍼(Z)가 배열된 지퍼백의 단부를 열접합시켜 밀봉한 다음 사용되는 형태일 수 있다.
또 본 발명에 따른 지퍼백은 지퍼(Z)와 배기보조수단(V)이 구비된 상태에서 일정 길이로 절단되어 포장되거나, 롤 형태로 말려 있거나 지퍼(Z)를 기준으로 차곡차곡 접힌 상태로 포장되어 양산될 수 있다.
또 도 1b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지퍼백(B)은 세워서 보관되기 쉽도록 횡방향 시트(Sd)가 더 구비된 것일 수 있다. 이때 물품(M)의 투입은 도 1a와는 달리 지퍼(Z)가 구비된 쪽으로 투입되고, 횡방향 접합부(Sb)는 물품의 투입 후 별도의 열접합 과정을 통하여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미국특허공개 US 2005/0022472호와는 달리 상기 배기보조수단(V)으로 인하여 지퍼백(B) 내부의 진공화에 문제가 발생되지 않는다.
다음으로 배기보조수단(V)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a 및 도 1b에서, 상기 지퍼백(B)에 구비된 배기보조수단(V)을 통하여 공기배출이 이루어질 경우 원활한 공기 배출을 위한 다양한 패턴의 요철부로 이루어진 배기유로가 시트 내면에 형성될 필요가 없다.
도 1a 및 도 1b에서 전방 시트(S1)에 배열된 배기보조수단(V)은 도 2a, 도 2b 및 도 2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게 지퍼백(B)을 이루는 합성수지 시트(S1)의 내면에 부착되는 본체(10)와, 상기 본체(10)의 공기배출공(11)에 덮는 형태로 배열되고 상기 시트(S1)의 외면과 접촉하는 밀폐부재(20), 그리고 상기 본체(10)와 상기 밀폐부재(20)를 각각 상기 지퍼백 시트(S1)의 내면부와 외면부에 부착되게 하는 접착부재과 고정부재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밀폐부재(20)는 합성수지 등의 연질소재로 이루어지며,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밀폐부재가 상기 본체의 공기배출공 위치에 보다 확고하게 머물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본체(10)의 공기배출공(11)에 끼워지고 상기 유출공(11)의 내경 보다 작은 외경을 갖는 삽입돌기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또 상기 밀폐부재(20)의 저면에는 밀착성 향상을 위하여 환형의 밀착돌기(21a)와 밀착홈(21b)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본체(10)는 중앙에 공기배출공(11)이 형성되어 있고, 또 저면부에는 상 기 본체가 부착되지 않은 지퍼백의 시트(S2)(도 1a 참조)에 의하여 공기배출이 방해되지 않도록 하는 공기배출 장애방지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장애방지부를 통하여 별도의 흡입장치에 의하여 지퍼백을 진공화할 경우 시트가 달라붙어 지퍼백 내부의 공기 유출이 저해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시된 본체(10)의 장애방지부는 상기 본체 저면부에 상기 본체의 공기배출공(11)을 축으로 방사상으로 돌설되어 있는 다수의 돌기(13)로 이루어져 있다. 또 상기 돌기(13)의 보강을 위한 환형의 보강편(13a)에는 다수의 통기홈(15)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본체(10)를 상기 지퍼백 시트(S1)의 내면부에 부착되도록 하는 접착부재는 상기 본체(10) 상면부에 도포된 접착제이거나 양면테이프일 수 있다.
또 상기 밀폐부재(20)를 상기 지퍼백 시트(S1)의 외면부에 부착되도록 하는 고정부재는 상기 밀폐부재의 상면부와 상기 지퍼백의 시트 외면부를 함께 부착 고정하여 진공수단에 의한 진공시 상기 밀폐부재가 들릴 경우 상기 밀폐부재가 상기 시트 외면부로부터 떨어져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고정부재 중 도 2a에 도시된 것은 접착면을 갖는 테이프(30)이다. 이 경우 테이프(30)는 도 2b에서와 같이 밀폐부재(20)가 설치된 상태에서 밀폐부재(20)의 상면과 지퍼백 시트(S1)의 외면을 함께 연결하도록 부착되어 있다. 도면에서 테이프(30)의 폭은 밀폐부재(20)의 상면부 전체를 덮는 형태로 되어 있으나, 필요에 따라 밀폐부재의 상면부 일부를 덮도록 보다 좁은 폭을 가질 수 있다.
다른 형태의 고정부재는 상기 밀폐부재의 저면 일부에 구비된 부착부재일 수 있는데, 특히 상기 부착부재는 양면테이프이거나 밀폐부재 저면에 도포된 접착제일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배기보조수단(V)을 지퍼백(B)에 설치하는 과정 및 지퍼백의 진공화 과정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1a 및 도 1b에서, 먼저 지퍼백(B)의 개구부(Sa)를 통해서나 지퍼(Z)를 개방하고 상기 배기보조수단(V)의 본체(10)를 지퍼백(B)에 투입하여 지퍼백 시트 중 전면시트(S1)의 내면부에 부착한다.
필요에 따라 하나의 지퍼백에 둘 이상의 배기보조수단(V)을 시트들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모두에 규칙적으로 또는 불규칙적으로 배열하고 둘 이상의 진공포장장치를 이용하여 배기속도 향상 등에 기여하도록 할 수 있다.
도 2b에서, 상기 지퍼백 시트에 상기 본체를 부착할 경우 상기 본체(10)의 상면에 구비된 접착부재, 즉 양면테이프의 접착면은 노출되어 있어야 한다.
이어서 상기 본체(10)의 공기배출공(11)에 해당하는 위치의 지퍼백 시트를 송곳이나 젓가락 등을 이용하여 천공한다. 다음으로 지퍼백 시트(S1) 외면부에서 상기 본체(10) 공기배출공(11)에 밀폐부재(20)를 위치시키고, 고정부재인 테이프(30)를 이용하여 밀폐부재(20)와 시트(S1) 외면부를 함께 부착하다.
도 2b에 비하여 90도 회전하여 절개한 단면도인 도 2c을 살펴보면, 도 1a와 같이 지퍼백에 물품(M)을 투입하고 개구부(Sa) 또는 도 4b의 경우 지퍼(Z)를 닫고 그 하단부를 열 봉합한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출원인에 의한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 제0373368호(1005.01.06) 『핸드타입의 용기 진공장치』와 같이 진공 배기만을 위하여 개발된 소형 전동 진공장치, 주사기와 같은 형태의 수동 진공화 장치(handheld vacuum kit), 또는 통상의 진공포장장치에 별도로 부가된 흡판(A)을 상기 밀폐부재(20) 상부에 위치시키고 흡입하면 밀폐부재(20)가 들리면서 지퍼백 내부의 공기가 본체의 공기배출공(11)을 거쳐 외부로 배출된다. 지퍼백의 진공상태를 육안으로 확인한 후, 흡판(A)을 제거하면 밀폐부재(20)는 진공압력과 테이프(30) 자체의 탄성에 의하여 하방으로 복귀하여 상기 본체(10)의 공기배출공(11)을 폐쇄하게 된다. 이때 상기 밀폐부재의 밀착돌기(21a)와 밀착홈(21b)으로 인하여 기밀성이 보다 강화 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배기보조수단(V)은 지속적인 재활용이 가능하다.
다음으로 도 3a, 도 3b, 및 도 3c는 도 2a와는 다른 형태의 보조배기수단(V)이 제시되어 있다.
도 3a 및 도 3b에서 도 2a에서와 기능이 같은 각 부분의 참조부호는 도 2a의 참조부호를 100번대가 되도록 하여, 관련성을 나타내었다. 이하에서 특별한 언급이 없는 한 이러한 기준에 준하여 참조부호가 지칭하는 구성요소를 파악하면 되고, 부분적으로는 중복 설명을 피하기 위하여 생략하기도 하였다.
도 3c에서 상기 배기보조수단(V)의 본체(110)는 지퍼백의 시트(S1)와 다양한 방식으로 접합될 수 있으며, 특히 대량 생산성을 위하여 열접합되는 형태일 수 있다.
상기 본체(110)의 상부 중앙에는 환형의 돌출부(110a)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열접합시 미리 상기 시트(S1)에 구멍을 뚫어 시트 외부로 상기 돌출부(110a)를 노출시킨 다음 상기 시트(S1)와 본체(110)의 상면부를 열접합한다.
상기 돌출부(110a)의 형상은 상기 밀폐부재(120)의 형상, 특히 노출부(121)의 형상에 상응하는 것이며, 도면에서는 상기 노출부(121)의 횡단면이 원형이므로 상기 돌출부(110a)의 횡단면 형상 역시 원형으로 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상호 관련성이 필수적인 것은 아니다.
도 3a 내지 도 3c에 도시된 상기 밀폐부재(120)에서 상기 돌출부(110a) 내부에 위치하며 상기 공기배출공(111)의 출구를 덮는 노출부(121)는 실질적으로 단순히 디스크 형태인 도 2a의 밀폐부재(50)와 같은 역할을 한다.
또 상기 노출부(121)와 연결부(122)를 통하여 이어진 이탈방지부(123)는 상기 공기배출공(111)의 입구에 위치하는데, 상기 이탈방지부(123)는 도 2a에서 테이프(30)가 수행하는 고정부재의 역할을 하게 된다.
상기에서 공기배출공(111)과 관련하여 입구와 출구의 구분은 각종 진공화 장치를 이용하여 지퍼백 내부의 공기를 흡입하여 진공화시킬 경우 지퍼백 내부의 공기가 배출되는 방향을 고려한 것이다. 즉 지퍼백 내부 부분을 입구로 하고 외부 노출 부분을 출구로 정한 것이다.
상기 연결부(122)는 도 3c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상기 공기배출공(111)을 위한 통로에 위치한다.
각종 진공화장치에 의하여 상기 공기배출공(111)에 흡입력이 작용할 경우 상기 밀폐수단(120)의 이탈방지부(123)에 의하여 상기 공기배출공(111)의 입구가 막혀 지퍼백의 내부 공기 배출이 불가능해질 수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도 3b 및 도 3c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상기 보조배기수단(V)의 본체(110)에서 상기 공기배출공(111)의 입구 주변에는 십(十)자 형태의 공기유로(111a)가 형성되어 있어 지퍼백의 공기배출을 보장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공기유로는 다양한 형태로 변형될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배기보조수단을 구비한 열접합성 지퍼백은 내측 열접합성필름과 외측 기체불투과성필름이 합지되어 이루어진 두 시트로 구성되고 별도의 배기보조수단을 도입하여 지퍼백의 개봉 후 남은 식품의 재보관시 지퍼로 인하여 편리성이 높고, 나아가 지퍼백을 한번 사용한 후 단순히 지퍼를 활용한 밀폐백으로만 사용하는 것이 아니라 다시 백 내부의 배기가 가능하여 진공백으로도 반복 사용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은 상기 지퍼백의 하부에 구비된 횡방향 열접합부를 통하여 진공 배기시 지퍼로 공기가 유입되어 기밀상태가 깨지는 문제점을 해결하고, 절취부를 통하여 개봉이 보다 편리하며, 나아가 배기보조수단의 본체에 구비된 공기배출 장애방지부를 통하여 진공 배기시 지퍼백의 시트에 의하여 공기유출공이 막히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은 시트의 양측단 종방향 접합부에 새김눈(notch)을 포함하는 절취부를 통하여 가위나 칼과 같은 도구의 사용 없이 지퍼백에 수납된 물품을 꺼낼 경우 새김눈을 기점으로 지퍼백의 하단부를 횡방향으로 절개할 수 있도록 하여 지퍼백 사용의 편리성을 제고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에서 시트 및 지퍼백의 제조방법과 관련된 통상의 공지된 기술은 생략되어 있으나, 당업자라면 이를 당연히 추측·추론할 수 있을 것이다.
또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특정 형상과 구조를 갖는 시트와 지퍼백을 위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고, 이러한 변형 및 변경은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8)

  1. 삭제
  2. 각각 내측 열접합성필름과 외측 기체불투과성필름이 합지되어 있고, 양측단의 종방향 접합부에 의하여 상호 연결되어 있는 두 시트;
    상기 두 시트의 하단부에 배열된 지퍼;
    상기 두 시트의 상단부에 구비된 물품 투입을 위한 개구부;
    상기 지퍼와 일정 간격 떨어진 하부에 형성된 횡방향 접합부;
    상기 지퍼와 상기 횡방향 접합부 사이에 상기 종방향 접합부에 형성된 새김눈(notch)과, 상기 지퍼와 평행하고 상기 새김눈과 이어져 있는 절취선을 포함하는 절취부; 및
    상기 두 시트 중 하나 또는 둘 모두의 내면에 부착되며 공기배출공이 형성되어 있고, 저면부에 상기 공기배출공을 축으로 방사상으로 돌설되어 있는 다수의 돌기를 갖고 다수의 통기홈이 형성되어 상기 돌기의 보강을 위하여 형성된 환형 보강편을 갖는 공기배출 장애방지부가 형성되어 있는 본체,
    상기 본체의 공기배출공을 덮는 형태로 설치되며 저면에 밀착성 향상을 위하여 환형의 밀착돌기와 밀착홈이 형성되어 있는 디스크 형태의 밀폐부재, 그리고
    상기 밀폐부재가 상기 공기배출공을 벗어나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밀폐부재의 상부를 덮어 상기 시트의 외면을 함께 부착하는 접착 테이프로 이루어진 고정부재를 포함하는 배기보조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열접합성 지퍼백.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KR1020050074623A 2005-05-26 2005-08-16 배기보조수단을 구비한 열접합성 지퍼백 KR10056318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44669 2005-05-26
KR20050044669 2005-05-26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07190A Division KR100615064B1 (ko) 2005-05-26 2006-01-24 배기보조수단을 구비한 열접합성 지퍼백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63188B1 true KR100563188B1 (ko) 2006-03-22

Family

ID=37179804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74623A KR100563188B1 (ko) 2005-05-26 2005-08-16 배기보조수단을 구비한 열접합성 지퍼백
KR1020060007190A KR100615064B1 (ko) 2005-05-26 2006-01-24 배기보조수단을 구비한 열접합성 지퍼백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07190A KR100615064B1 (ko) 2005-05-26 2006-01-24 배기보조수단을 구비한 열접합성 지퍼백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10056318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42792B1 (ko) * 2015-06-15 2016-08-17 주식회사 쓰리스타 휴대형 야외 취사팩
KR102166768B1 (ko) 2018-10-17 2020-10-16 한우 발효식품 포장용 지퍼 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15064B1 (ko) 2006-08-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879805B1 (en) Multicompartment evacuable storage bag
EP1841652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evacuating and sealing containers
US6085906A (en) Vacuum sealing system
US20090097781A1 (en) Airtight storage bag
US7967166B2 (en) Reclosable storage bag attached to container by removable retainer ring
JP2006523165A (ja) 通気可能保管用バッグ
JP2007253977A (ja) チャックテープ付き袋およびその製造方法
WO2006020085A2 (en) Vacuum packaging bags with gussets and methods for using and manufacturing vacuum packaging bags with gussets
US20060213148A1 (en) Portable vacuum packaging appliance
US20050022472A1 (en) Resealable vacuum packaging bags and methods for using and manufacturing resealable vacuum packaging bags
US20050029152A1 (en) Clamps, systems, and methods for evacuating and hermetically sealing bags
KR100563188B1 (ko) 배기보조수단을 구비한 열접합성 지퍼백
WO2009099855A1 (en) Push-down compressible pouch with one-way valves on sides
KR20070025740A (ko) 클램핑수단을 구비한 진공포장백
KR200319700Y1 (ko) 분리되며 열봉합되는 노즐 다발이 설치된 진공포장기
CN218259696U (zh) 一种食品保鲜真空拉链袋
KR100616518B1 (ko) 진공포장용 쟈크백
KR200240530Y1 (ko) 진공 포장백
WO2006095945A1 (en) Vacuum packing back equipped with zipper and usage thereof
KR200378226Y1 (ko) 진공트레이 세트
KR200383291Y1 (ko) 진공트레이
KR200323806Y1 (ko) 진공포장용 스틱
KR200300065Y1 (ko) 진공 포장지
JP2004182343A (ja) 物品の保存装置
JP2002302164A (ja) 包装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227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