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62753B1 - 이온스팀 발생장치 - Google Patents

이온스팀 발생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62753B1
KR100562753B1 KR1020040041378A KR20040041378A KR100562753B1 KR 100562753 B1 KR100562753 B1 KR 100562753B1 KR 1020040041378 A KR1020040041378 A KR 1020040041378A KR 20040041378 A KR20040041378 A KR 20040041378A KR 100562753 B1 KR100562753 B1 KR 10056275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am
high voltage
humidification
converting means
water ta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413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116240A (ko
Inventor
이창훈
백주현
노진환
Original Assignee
웅진코웨이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웅진코웨이주식회사 filed Critical 웅진코웨이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413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62753B1/ko
Publication of KR200501162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11624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627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6275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30/00Energy efficient heating, ventilation or air conditioning [HVAC]
    • Y02B30/70Efficient control or regulation technologies, e.g. for control of refrigerant flow, motor or heating

Landscapes

  • Devices For Medical Bathing And Wash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온스팀 발생장치에 관한 것으로, 내부에 물이 수용되는 수조; 상기 수조에 설치되어 물을 증기로 변환시키도록 초음파 진동자 또는 히터로 이루어지는 가습변환수단; 상기 수조의 일측에 소통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가습변환수단에 의해 변환된 증기를 외부로 토출시키는 토출부; 상기 토출부 내부에 고전압핀을 구비하여 상기 가습변환수단에 의해 발생된 증기에 고전압 발생시켜 증기를 쪼갬과 동시에 이온화시키는 고전압 발생기; 및 상기 가습변환수단과 상기 고전압 발생기를 전기적으로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가습변환수단은 가습기나 피부 미용 스팀기 중 어느 하나에 적용되며, 상기 고전압 발생기는 증기에 20∼30kv의 교류의 고전압을 발생시키고, 상기 고전압핀의 팁간격은 3∼5mm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가습기, 피부 미용기기, 스팀기, 증기, 가습, 포말, 보습, 진동자, 히터

Description

이온스팀 발생장치{Apparatus for generating ionized steam}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이온스팀 발생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이온스팀 발생장치가 초음파 진동자형 가습기에 적용된 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수조 20: 가습변환수단
30: 토출부 40: 고전압 발생기
41,42: 고전압핀 50: 제어부
100: 가습기
본 발명은 공급된 물을 진동자나 히터에 의해 증기로 변환시킨 후 증기에 고전압을 발생시켜 증기를 잘개 쪼갬과 동시에 음이온화함으로써 증기의 침투력 및 포말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는 이온스팀 발생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기가 건조한 공간에서 장시간 일을 하거나 있게 될 경우에는 습기 부족으로 인한 호흡기 질환 등의 병에 감염될 수 있고, 이러한 호흡기 질환이 걸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방안으로 습기를 자동으로 공급하여 습도를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하는 가습기를 사용하게 된다.
한편, 미용실에서 피부에 보습효과를 주기 위해 피부 미용 스팀기를 사용하게 되는데, 이는 머리카락을 퍼머할 때 모발에 수분을 공급하거나 피부맛사지 등을 할 때 피부에 수분을 공급하여 머리카락과 피부가 탄력을 갖도록 해줄 때 사용된다.
이러한 가습기나 피부 미용 스팀기는 물을 공급받는 수조가 구비되고, 상기 수조의 내부에 충전된 물을 초음파 진동 또는 가열시켜 이를 증기로 무화시키는 초음파 진동자나 히터가 구비된다.
하지만, 종래의 가습기나 피부 미용 스팀기는 초음파 진동자나 히터에 의해 단순히 증기만을 발생시키도록 구성되고, 다수의 물분자로 강하게 결합된 구조이기 때문에 증기의 포말이 상당히 커서 포말성 및 침투력이 상당히 떨어진다.
즉, 가습기의 경우에는 증기가 원거리까지 도달하는 것이 어렵고, 이로 인해 증기의 대류성이 현저히 떨어지게 되고, 피부 미용 스팀기의 경우에는 머리카락이나 피부에 침투가 어려워 보습력이 상대적으로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진동자나 히터에 의해 발생된 증기에 고전압을 가해 물분자간의 결합력을 약화시켜 포말성 및 침투력이 좋게 함으써, 가습기에 적용한 경우에는 증기가 원거리까지 도달하여 대류성이 크게 향상되고, 피부 미용 스팀기에 적용한 경우에는 머리카락이나 피부에 침투력이 크게 향상되어 보습력이 증대되는 이온스팀 발생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하여, 내부에 물이 수용되는 수조; 상기 수조에 설치되어 물을 증기로 변환시키도록 초음파 진동자 또는 히터로 이루어지는 가습변환수단; 상기 수조의 일측에 소통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가습변환수단에 의해 변환된 증기를 외부로 토출시키는 토출부; 상기 토출부 내부에 고전압핀을 구비하여 상기 가습변환수단에 의해 발생된 증기에 고전압 발생시켜 증기를 쪼갬과 동시에 이온화시키는 고전압 발생기; 및 상기 가습변환수단과 상기 고전압 발생기를 전기적으로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가습변환수단은 가습기나 피부 미용 스팀기 중 어느 하나에 적용되며, 상기 고전압 발생기는 증기에 20∼30kv의 교류의 고전압을 발생시키고, 상기 고전압핀의 팁간격은 3∼5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온스팀 발생장치를 제공한다.
삭제
삭제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이온스팀 발생장치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이온스팀 발생장치가 가습기에 적용된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 속한 당업자라면 가습기 뿐만 아니라 피부 맛사지, 좌욕 및 찜질 등에서 사용되는 피부 미용기기나 산업현장, 즉 섬유의 날염공정이나 취사장 혹은 각종 세척작업 등에 사용되는 고압스팀기에도 다양하게 변형하여 적용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이온스팀 발생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이온스팀 발생장치는 수조(10), 가습변환수단(20), 토출부(30), 고전압 발생기(40), 및 제어부(50)를 포함한다.
수조(10)의 내부에는 물이 채워지고, 후술될 가습변환수단(20)인 히터에 의해 가열되어 물을 증기로 변환시킨다. 여기서,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 속한 당업자라면 상기 수조(10)의 형태나 설치위치 등은 다양하게 변형 설계할 수 있을 것이다.
가습변환수단(20)은 상기 수조(10) 일측, 하측면에 구비되어 물을 증기로 변환시키게 되는데, 이러한 가습변환수단(20)으로는 초음파 진동자나 히터 등이 적용될 수 있으며, 본 실시예의 도 1에서는 히터가 적용된 경우를 도시하였다.
즉, 히터의 경우에는 물이 저장된 수조 내부에 전원의 공급에 의해 발열하며 열원을 제공하는 전열판에 의하여 물을 가열함으로써 발생된 증기를 외부로 배출하도록 한 것이며, 초음파 진동자의 경우에는 소량의 물에 고주파 충격을 줌으로써 미세하게 분산된 증기가 외부로 분사되도록 한 것이다.
토출부(30)는 상기 수조(10)의 상측에 원통관 형태로 소통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가습변환수단(20)인 히터에 의해 변환된 증기를 상기 토출부(30)를 통해 외부로 토출시킨다.
고전압 발생기(40)는 후술될 제어부(5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증기가 외 부로 토출되는 상기 토출부(30)의 내부 양측에 설치되는 고전압핀(41,42)을 구비한다. 상기 고전압핀(41,42)에 고전압을 인가하여 상기 가습변환수단(20)에 의해 발생되어 토출부(30)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는 증기에 고전압 발생시켜 증기를 잘개 쪼개게 된다.
다시 말해, 상기 증기에 고전압이 가해지게 되면 다수의 물분자로 결합된 증기는 고전압에 의한 스파크에 의해 결합에너지가 끊어지면서 다수의 물분자로 쪼개지게 되고, 동시에 일부 물분자는 양이온과 음이온으로 분리되면서 신체에 이로운 음이온도 부가적으로 얻게 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고전압 발생기(40)는 증기에 20∼30kv의 교류의 고전압을 인가하고, 고전압핀(41,42)의 팁간격은 3∼5mm 정도이다. 여기서, 본 발명의 당업자라면 상기 전압의 크기와 고전압핀(41,42)의 팁간격은 사용용도에 따라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제어부(50)는 상기 가습변환수단(20)인 히터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가습변환수단(20)인 히터에 전원을 인가하여 수조(10) 내의 물을 가열하여 증기로 변환시킨다. 그리고, 상기 고전압 발생기(40)에도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고전압 발생기(40)에 전원을 인가하여 발생된 증기에 고전압을 가하여 증기를 더욱 포말한 상태로 만들게 된다.
이러한 구성의 본 발명에 따른 이온스팀 발생장치의 작용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이온스팀 발생장치는 수조(10)에 물이 채워져 있는 상태에서 제어부(50)로부터 가습변환수단(20)인 히터로 전원이 인가되어 작동되면서 수조(10) 내부의 물을 가열하여 작은 물방울, 즉 증기가 수면위로 발생하게 된다. 이렇게 발생된 증기는 토출부(30)를 통해 공기중으로 분사된다.
한편, 상기 제어부(50)의 조작에 의해 가습변환수단(20)인 히터에 전원이 인가됨과 동시에 고전압 발생기(40)로도 3∼10mA 전류가 전달되며, 상기 토출부(30) 내부의 고전압핀(41,42)의 팁사이에 20∼30kv 교류의 고전압을 발생시키게 된다.
이때, 증기가 발생되는 토출부(30) 내부에서 상기 고전압핀(41,42) 사이에 스파크(spark)가 튀면서 다수의 물분자로 이루어진 증기의 분자 간의 결합을 여러개로 쪼개게 되고, 이로 인해 물분자는 더욱 더 작은 물분자로 분리되면서 증기는 종전보다 더욱 더 포말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이온스팀 발생장치가 초음파 진동자형 가습기에 적용된 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즉, 본 발명에 따른 가습변환수단으로 초음파 진동자가 적용된 경우를 도시하고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가습기(100)에 상술한 이온스팀 발생장치를 장착하고, 가습변환수단(20)으로 히터 대신 초음파 진동자가 사용된 경우에도 동일하게 수조(10) 내부의 초음파 진동자에 의해 증기가 발생되게 되고, 발생된 증기는 토출부(30)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이때, 상기 토출부(30)에 구비된 고전압핀(41,42)에 전류를 인가해 고전압을 발생시키게 된다. 따라서, 다수의 물분자로 결합된 증기는 고전압에 의해 더욱 더 포말한 물분자로 분리된 상태로 외부로 배출되게 된다.
따라서, 이온스팀 발생장치가 가습기(100)에 적용된 경우, 토출부(30)를 통 해 외부로 배출되는 증기는 포말성 및 침투력이 크게 향상되어 원거리까지 도달되고, 이로 인해 대류성이 크게 향상되고, 종전에 비해 포말이 작으므로 가습량도 증대된다.
그리고, 도시하진 않았지만, 상기 이온스팀 발생장치가 피부 미용 스팀기(미도시)에 적용된 경우에도 발생된 증기에 고전압을 가해 훨씬 포말한 상태의 증기를 발생시킴으로써, 머리카락이나 피부에 침투력이 크게 향상되어 보습력이 증대된다.
한편, 상기 다수의 물분자로 결합된 증기가 쪼개지면서 일부는 양이온과 음이온으로 분리되어 토출되는 증기에 음이온이 다량 포함된 상태로 실내로 공급되어 별도의 음이온 발생기를 장착하지 않더라도 음이온이 방출되는 부가적인 효과도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이온스팀 발생장치는 공급된 물을 진동자나 히터에 의해 증기로 변환시킨 후 증기에 고전압을 발생시켜 증기를 더욱 포말한 상태로 쪼갬과 동시에 일부 물분자를 음이온화함으로써 증기의 침투력 및 포말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을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서 도시하고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얼마든지 다양하게 변경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3)

  1. 내부에 물이 수용되는 수조;
    상기 수조에 설치되어 물을 증기로 변환시키도록 초음파 진동자 또는 히터로 이루어지는 가습변환수단;
    상기 수조의 일측에 소통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가습변환수단에 의해 변환된 증기를 외부로 토출시키는 토출부;
    상기 토출부 내부에 고전압핀을 구비하여 상기 가습변환수단에 의해 발생된 증기에 고전압 발생시켜 증기를 쪼갬과 동시에 이온화시키는 고전압 발생기; 및
    상기 가습변환수단과 상기 고전압 발생기를 전기적으로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가습변환수단은 가습기나 피부 미용 스팀기 중 어느 하나에 적용되며, 상기 고전압 발생기는 증기에 20∼30kv의 교류의 고전압을 발생시키고, 상기 고전압핀의 팁간격은 3∼5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온스팀 발생장치.
  2. 삭제
  3. 삭제
KR1020040041378A 2004-06-07 2004-06-07 이온스팀 발생장치 KR10056275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41378A KR100562753B1 (ko) 2004-06-07 2004-06-07 이온스팀 발생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41378A KR100562753B1 (ko) 2004-06-07 2004-06-07 이온스팀 발생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16240A KR20050116240A (ko) 2005-12-12
KR100562753B1 true KR100562753B1 (ko) 2006-03-20

Family

ID=372899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41378A KR100562753B1 (ko) 2004-06-07 2004-06-07 이온스팀 발생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62753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16240A (ko) 2005-12-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923794B2 (en) Skin and hair care apparatuses and methods for performing skin care and hair care
US8545419B2 (en) Multi-functional cosmetic device using ultrasonic wave
KR102018180B1 (ko) 플라즈마를 이용한 피부 치료장치
CA2861238C (en) Hand-held device for electrically powered skin treatment
KR20080010304A (ko) 피부 관리 기구
KR20160098216A (ko) 상처 치료용 조립체
KR102546342B1 (ko) 갈바닉 피부 마사지 장치
JP2006026022A (ja) 理美容用蒸気発生装置
CN111569245A (zh) 用于脸部的美容保健装置
CN108348114A (zh) 用于干燥和等离子支持地消毒手的方法和设备
US6755398B1 (en) Heated water mist therapy appliance
KR100562753B1 (ko) 이온스팀 발생장치
JP5207904B2 (ja) 還元水ミスト発生装置内蔵型理美容機器
CN108744184A (zh) 超声波药液雾化治疗和理疗器
KR20140093439A (ko) 음이온 발생 기능을 갖는 스팀 분사 피부 미용 기기
KR102293916B1 (ko) 갈바닉 이온 마사지기
CN108159573A (zh) 基于多频谱光的美肤仪
KR20100000861U (ko) 마사지기
KR200467161Y1 (ko) 모발 또는 두피 관리용 갈바닉 기기
CN213252548U (zh) 用于脸部的美容保健装置
KR102408813B1 (ko) 안면부용 미용 보건 장치
KR200411884Y1 (ko) 음이온호스를 갖는 스팀장치
JP7488615B1 (ja) 美容健康機器
KR970010406B1 (ko) 이발소 및 미용실용 가습장치
KR101487621B1 (ko) 산란모듈을 포함하는 의료용 욕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1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1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22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04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7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22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03

Year of fee payment: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