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61677B1 - 콤비카드를 구비하는 imt-2000 이동단말 - Google Patents

콤비카드를 구비하는 imt-2000 이동단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61677B1
KR100561677B1 KR1020030058867A KR20030058867A KR100561677B1 KR 100561677 B1 KR100561677 B1 KR 100561677B1 KR 1020030058867 A KR1020030058867 A KR 1020030058867A KR 20030058867 A KR20030058867 A KR 20030058867A KR 100561677 B1 KR100561677 B1 KR 10056167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d
mobile terminal
combination
combination card
combi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588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21715A (ko
Inventor
전재식
김후종
서광수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300588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61677B1/ko
Publication of KR200500217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2171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616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6167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Financial Or Insurance-Related Operations Such As Payment And Settlement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콤비카드를 이용한 교통카드 이용시의 절차를 간소하게 하고 교통카드 이용 후 원상태로 자동 복귀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의 편리성을 더해주는 콤비카드를 구비하는 IMT-2000 이동단말에 관한 것으로, 콤비카드의 접촉식/비접촉식 인터페이스의 활성화/비활성화 제어입력을 위한 핫 버튼을 포함하는 입력부, 이동단말의 사용자 정보 및 교통카드 정보를 저장하고 접촉식/비접촉식 인터페이스의 활성화/비활성화 상태에 따라 상기 이동단말과 접촉식으로 정보를 교환하거나 또는 외부의 교통카드 단말기와 비접촉식으로 정보를 교환하는 콤비카드, 상기 콤비카드에 접속되어 상기 교통카드 단말기와 비접촉식으로 정보를 교환하기 위한 RF 안테나, 상기 이동단말의 동작을 표시하기 위한 표시부, 상기 핫 버튼의 온/오프 동작에 따라 상기 콤비카드의 활성화/비활성화 제어를 수행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콤비카드를 구비하는 IMT-2000 이동단말{IMT-2000 Mobile Terminal Having Combi-Card}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콤비카드를 구비하는 IMT-2000 이동단말을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콤비카드를 구비하는 IMT-2000 이동단말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콤비카드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콤비카드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
도 5a 및 5b는 본 발명에 따른 콤비카드를 구비하는 이동단말의 제어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6a 및 6b는 본 발명에 따른 콤비카드를 구비하는 이동단말의 요금 지불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간단한 설명 >
100:이동단말 110:입력부
111:핫 버튼 120:제어부
130:무선송수신부 140:RF 안테나
150:콤비카드 151:RF 접속부
152:이동단말 접속부 153:제어부
154:저장부
본 발명은 콤비카드를 구비하는 이동단말에서 콤비카드를 이용한 교통카드 이용시의 절차를 간소하게 하고 교통카드 이용 후 이동단말이 원상태로 자동 복귀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의 편리성을 더해주는 콤비카드를 구비하는 IMT-2000 이동단말에 관한 것이다.
IMT-2000 이동단말은 콤비형 USIM(Universal Subscriber Identity Module, 이하 '콤비카드'라 칭함)를 구비한다. 상기 콤비카드는 이동단말을 운용하는데 있어 필요한 사용자 정보를 저장한다.
상기 콤비카드는 이동단말과 접촉식 인터페이스를 통해 접속되어 상기 이동단말과 사용자 정보를 송수신하며, 비접촉식 인터페이스를 통해 별도의 RF 안테나로 외부의 장치와 통신을 수행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기능을 포함한다.
이에 따라 상기 콤비카드를 구비하는 종래의 이동단말은 콤비카드의 비접촉식 인터페이스를 통해 외부의 장치로부터 선불충전하거나 또는 충전된 금액으로부터 소정의 이용대금을 지불할 수 있는 선불카드 기능을 포함하는데, 그 대표적인 것이 교통카드이다.
상기한 종래의 콤비카드는 접촉식 및 비접촉식 인터페이스를 동시에 액세스 할 수 없기 때문에, 상기 교통카드 기능을 이용하기 위해서는 비접촉식 인터페이스를 통해 이동단말과 접속되어 사용자 정보를 이동단말로 제공하는 콤비카드를 비접촉식 인터페이스를 통해 구동될 수 있도록 하는 절차가 필요하였다.
즉, 교통카드로 이용하기 위해서는 이동단말과 접속되는 접촉식 인터페이스를 비활성화시키며 교통카드 단말기와 접속하기 위한 비접촉식 인터페이스를 활성화 시키는 과정을 거쳐 교통카드 단말기와 통신을 수행하였다.
또한, 교통카드로 이용한 후에는 비접촉식 인터페이스를 비활성화시키며 접촉식 인터페이스를 활성화시키는 과정을 수행하는데, 이때 (접촉식 인터페이스를 통한) 이동단말의 콤비카드 접속시 콤비카드는 별도의 비밀번호를 요구하고, 비밀번호가 입력되면 이동단말이 콤비카드를 정상적으로 액세스 할 수 있었다.
즉, 종래의 콤비카드는 교통카드로 이용시마다, 통신을 수행할 인터페이스를 선택해 주어야 하며, 교통카드 이용 후에는 인터페이스 종류를 복원하고 비밀번호를 입력하는 절차를 수행함으로써 사용이 번거로운 단점이 있었다.
또한, 교통카드 이용 후 인터페이스 종류를 복원하지 않았을 경우 콤비카드로부터 이동단말로 사용자 정보를 제공하지 못하므로 이동단말은 대기상태로 남아있어 일반적인 호 및 단문메시지 등을 수신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고자 본 발명은 콤비카드를 이용한 교통카드 이용시의 절차를 간소하게 하고 교통카드 이용 후 원상태로 자동 복 귀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의 편리성을 더해주는 콤비카드를 구비하는 IMT-2000 이동단말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콤비카드를 구비하는 IMT-2000 이동단말은, 이동단말의 사용자 정보 및 교통카드 정보를 저장하는 콤비카드; 상기 콤비카드 제어부의 접촉식 인터페이스와 비접촉식 인터페이스의 활성화/비활성화 제어입력을 위한 핫 버튼을 포함하는 입력부; 상기 콤비카드에 접속되어 상기 교통카드 단말기와 비접촉식으로 정보를 교환하기 위한 RF 안테나; 상기 이동단말의 동작을 표시하기 위한 표시부; 및 상기 핫 버튼의 온/오프 동작에 따라 상기 콤비카드 제어부의 접촉식 인터페이스와 비접촉식 인터페이스의 활성화/비활성화 제어를 수행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콤비카드는, RF 안테나와 접속하기 위한 RF 접속부; 상기 이동단말과 접속하기 위한 이동단말 접속부; 상기 RF 접속부를 통해 교통카드 단말기로부터 선불식 교통카드 지불/충전을 수행하거나 요금지불을 위해 후불식 교통카드 정보를 전송하기 위한 비접촉식 인터페이스와, 상기 이동단말 접속부를 통해 상기 이동단말로 사용자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접촉식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는 콤비카드 제어부; 및 상기 콤비카드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금액정보를 저장/관리하기 위한 저장부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이동단말은 부팅시 상기 콤비카드를 초기화하고 상기 표시부를 통해 비밀번호 입력을 요청하며 상기 입력부를 통해 비밀번호가 입력되면 상기 콤비카드로 인증을 요청하며, 상기 콤비카드의 제어부는 상기 이동단말 접속부를 통해 이동단말로부터의 인증요청에 따라 상기 입력부로 입력된 비밀번호를 미리 설정된 사용자 인증용 비밀번호와 비교하여 일치할 경우 사용자 인증을 완료한 후 응답을 상기 이동단말로 전송하며, 상기 이동단말은 상기 응답에 따라 정상 동작 대기상태로 진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콤비카드를 구비한 이동단말을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콤비카드를 구비하는 IMT-2000 이동단말(100)은 도 1의 (a) 및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동단말(100)의 측면 또는 전면에는 콤비카드의 활성화를 원터치로 제어하기 위한 별도의 버튼(이하 '핫 버튼'이라 칭함)(111)이 마련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핫 버튼(111)은 이동단말(100)의 측면 또는 전면 일측에 마련되지만, 다수의 장소에 복수 개로 마련될 수도 있으며, 키패드의 특정버튼을 핫 버튼으로 이용할 수도 있다.
상기한 이동단말의 구성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단말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이동단말(100)은 핫 버튼(111)을 포함하는 입력부(110)와, 동작제어를 수행하는 제어부(120)와, 이동통신시스템의 무선망과 무선통신을 수행하는 무선송수신부(130)와, 이동단말의 사용자 정보 및 교통카드 정보를 저장하고 그에 따른 정보교환을 수행하는 콤비카드(150)와, 상기 콤비카드(150)에 접속되어 버스 또는 지하철 게이트 등에 마련되는 교통카드 단말기(미도시)를 통해 지불을 수행하기 위한 RF 안테나(140)와, 이동단말(100)의 동작에 필요한 정보와 선불카드의 지불/충전/잔액조회에 필요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및 소프트웨어 정보를 관리하기 위한 저장부(160)와, 이동단말(100)의 동작을 표시하기 위한 표시부(170)를 포함한다.
상기 RF 안테나(140)는 이동단말(100)의 배터리, 본체 또는 전면부 등 적절한 곳에 설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이용되는 상기 콤비카드(150)는 접촉식 또는 비접촉식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콤비형 카드로써, 이동단말(100)과 접촉식으로 접속되어 사용자 정보를 제공함은 물론 버스 또는 지하철 게이트에 마련되는 교통카드 단말기와 비접촉식으로 요금 지불을 수행하거나 충전/환불/잔액조회 등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한 콤비카드(150)의 교통카드 기능을 이용하기 위해서는 상기 핫 버튼(111)을 누름으로써 교통카드 기능을 활성화시키고 누르고 있던 핫 버튼(11)을 놓음으로써 콤비카드(150)의 교통카드 기능을 비활성화시킬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핫 버튼(111)을 누르고 있는 동안 교통카드 기능을 사용하고 핫 버튼(111)을 놓음으로써 교통카드 기능을 해제 하였으나, 핫 버튼(111)을 푸시 온/오프 형태의 버튼을 채용함으로써, 교통카드 사용시 핫 버튼(111)을 1회 누르며, 사용완료 후 핫 버튼(111)을 1회 더 누름으로써 교통카드 기능을 해제할 수도 있다.
또한 핫 버튼(111)이 푸시 온/오프 형태일 경우 푸시 온 상태로 교통카드 기능이 활성화 된 후 소정시간이 경과하면 자동적으로 오프되게 함으로써 콤비카드(150)의 교통카드 기능을 해제하고 이동단말(100)을 정상동작 상태로 되돌 릴 수도 있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콤비카드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본 발명에 따른 콤비카드(150)는 이동단말(100)에 내장할 수 있도록 플러그-인 타입(ID-000)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콤비카드(150)는 통상 8개(C1 ~ C8) 접점인 (A)을 구비하며, 접촉식 및 비접촉식 인터페이스를 구비한다.
상기 비접촉식 인터페이스는 RF 안테나(140)를 통해 13.56MHz의 주파수로 교통카드 단말기와 데이터를 송수신하며, 접촉식 인터페이스는 상기 접점을 통해 이동단말(100)과 접속되어 데이터를 송수신을 수행한다.
본 실시예에서의 상기 콤비카드(150)는 선불식 또는 후불식 교통카드 기능을 포함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콤비카드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RF 안테나(140)와 접속하기 위한 I/O인 RF 접속부(151)와, 이동단말(100)과 접속하기 위한 이동단말 접속부(152)와, 상기 RF 접속부(151) 또는 이동단말 접속부(152)를 통해 교환되는 정보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153)와, 상기 제어부(153)의 제어에 따라 정보를 저장/관리하기 위한 저장부(154)를 포함한다. 상기 저장부(154)는 구동프로그램이 저장된 롬(ROM)과, 일시적인 데이터의 기록을 위한 램(RAM)과, 선불식 교통카드일 경우 충전/지불/잔액 등의 정보를 저장/소거/수정하며, 후불식 교통카드일 경우 후불교통카드 정보 및 관련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EEPROM을 포함하며, 상기 EEPROM은 플래시 메모리로 대체 가능하다.
상기 제어부(153)는 RF 접속부(151)를 통하는 비접촉식 I/O인 비접촉식 인터페이스(153a)와, 이동단말 접속부(152)를 통하는 접촉식 I/O인 접촉식 인터페이스를 포함한다.
상기 제어부(153)는 이동단말 접속부(152)를 통해 이동단말(100)과 접속하고, 상기 RF 접속부(151)를 통해 버스 또는 지하철의 게이트 등에 마련되는 교통카드 단말기와 통신하여, 선불식 교통카드일 경우 지불/충전을 수행하며, 후불식 교통카드일 경우 후불식 카드정보를 전송하여 지불을 수행한다. 이때 상기 선불식 교통카드일 경우 상기 제어부(153)는 버스 또는 지하철의 게이트에 마련되는 교통카드 단말기로부터 요청되는 요금을 지불하고 지불 완료시 저장부(154)에 저장된 잔액을 차감한다.
또한 상기 콤비카드(150)는 이동단말 접속부(152)를 통해 이동단말(100)과 별도의 소켓을 통해 접속되거나 또는 특정 단자를 통해 직접 접속할 수도 있으며, RF 안테나(140) 역시 RF 접속부(151)를 통해 별도의 소켓 또는 특정 단자로 연결할 수도 있다.
한편, 선불식 교통카드일 경우 사용자는 현재 남아있는 잔액의 확인요청을 이동단말(100)을 통해 할 수 있는데, 상기 제어부(153)는 이동단말(100)로부터의 잔액확인요청에 따라 저장부(154)에 저장된 잔액정보를 이동단말(100)로 전송하고, 이동단말(100)은 상기 잔액정보를 수신하여 표시부(170)에 디스플레이함으로써 사용자는 현재의 잔액을 확인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IMT-2000 이동단말에 마련되는 콤비카드를 교통카드로 이용하는 과정을 설명하도록 한다.
도 5a 및 5b는 콤비카드의 제어 절차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이동단말(100)이 부팅(전원켜짐)(S11)되며 이동단말(100)은 콤비카드를 활성화시킨다(S12). 단계 S12에서 활성화는 콤비카드로 전원을 공급하고 초기화를 수행하는 동작에 해당한다.
단계 S12에서 콤비카드의 활성화 후 이동단말(100)은 사용자 인증을 위하여 표시부(170)에 비밀번호(PIN)를 입력하도록 요청하는 메시지를 표시한다(S13).
이에 따라 사용자는 입력부(110)를 통해 미리 설정된 비밀번호를 입력하면 이동단말(100)은 사용자가 입력부(110)를 통해 입력한 비밀번호를 콤비카드(150)로 전송하고 인증을 요청한다(S15).
이에 따라서 콤비카드(150)는 상기 비밀번호를 이동단말 접속부(152)를 통해 수신하고 수신된 비밀번호를 저장부(154)에 미리 저장된 데이터와 비교하여 비밀번호가 일치하는지를 판단한다(S21). 비밀번호가 일치하면 사용자 인증을 완료(S22)하고 콤비카드(150)는 그에 따른 응답메시지를 이동단말(100)로 전송한다(S23). 이에 따라 이동단말(100)은 정상적인 사용가능 상태가 된다(S24).
상기한 과정에 따라서 이동단말(100)과 콤비카드(150) 사이에 사용자 인증이 완료되면 이동단말(100)은 동작가능상태가 된다. 이에 따라 사용자 인증을 완료하고 이동단말(100)이 동작 가능한 상태가 된 후 콤비카드(150)의 교통카드 기능을 이용하기 위해서는 이동단말(100)과 콤비카드(150) 사이의 사용자 인증을 위한 비밀번호를 해제하여야 하는데 다음과 같다.
교통카드 기능을 사용하기 위해서 사용자는 입력부(110)를 통해 교통카드 메뉴를 선택하고(S31), 입력부(110)를 통해 입력되는 교통카드 메뉴 선택에 따라 제어부(120)는 교통카드 서비스 사용인지를 판단한다(S32). 단계 S32에서 교통카드 서비스 사용요청이라고 판단되면 제어부(120)는 사용자 인증을 위한 비밀번호 해제를 요청하는 메시지를 콤비카드(150)로 전송한다(S33). 이에 따라 콤비카드의 제어부(153)는 비밀번호를 확인하도록 하는 설정을 해제(S34)하고 그 응답메시지를 이동단말로 전송한다(S35).
상기한 콤비카드는 후불식 또는 선불식 교통카드 기능을 지원하며, 후불식 교통카드일 경우 충전과정은 필요하지 않다. 그러나 선불식 교통카드일 경우에는 교통카드로 이용하기 위해서 충전과정이 필요하며 그 과정은 도 5b에 도시한 바와 같으며 이하에서 설명하도록 한다.
상기한 과정에 의해서 비밀번호 해제가 완료된 후 사용자는 교통카드 사용을 위해 핫 버튼(111)을 누름(푸시)으로써 핫 버튼(111)을 온시킨다(S41). 이에 따라 이동단말(100)의 제어부(120)는 콤비카드(150)의 접촉식 인터페이스를 비활성화하고 비접촉식 인터페이스를 활성화하는 메시지를 콤비카드(150)로 전송한다(S42).
콤비카드의 제어부(153)는 이동단말 접속부(152)를 통해 이동단말(100)로부터의 메시지를 수신하고 접촉식 인터페이스를 활성화하고 비접촉식 인터페이스를 비활성화한다(S43).
이에 따라 콤비카드(150)를 구비하는 이동단말(100)이 교통카드 단말기에 근접하면, RF 안테나(140)를 통해 충전을 위한 데이터를 송수신한다(S51). 콤비카드(150)의 제어부(153)는 교통카드 단말기를 통해 송수신한 데이터에 따라 저장부(154)에 저장된 잔액을 충전금액만큼 증가시키고 그 잔액정보를 저장부(154)에 저장한다(S52).
교통카드의 충전이 완료되고, 누르고 있던 핫 버튼(111)을 놓으면(릴리즈) 핫 버튼(111)은 오프가 되며(S61), 이동단말(100)의 제어부(120)는 접촉식 인터페이스의 활성화를 요청하는 메시지를 콤비카드(150)로 전송한다(S62).
콤비카드의 제어부(153)는 이동단말(100)로부터의 활성화 요청 메시지를 이동단말 접속부(152)를 통해 수신하고 접촉식 인터페이스를 활성화(S63)한 후 그 응답메시지를 이동단말(100)로 전송한다(S64). 이때 콤비카드의 제어부(153)는 접촉식 인터페이스의 활성화 시 이동단말 사용자 인증을 위한 비밀번호 요청 단계를 생략한다.
이동단말의 제어부(120)는 콤비카드(150)로부터의 응답메시지를 수신하고 별도의 사용자 인증을 위한 비밀번호 입력 과정을 수행하지 않고 정상상태로 진입한다.
도 6a 및 6b는 콤비카드의 교통카드 이용절차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6a 및 6b에 도시된 단계 S111 내지 단계 S136의 동작은 도 5a 및 5b에 도 시된 단계 S11 내지 단계 S36과 동일하므로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비밀번호 해제가 완료된 후 사용자는 교통카드 사용을 위해 핫 버튼(111)을 누름(푸시)으로써 핫 버튼(111)을 온시킨다(S141). 이에 따라 이동단말(100)의 제어부(120)는 콤비카드(150)의 접촉식 인터페이스를 비활성화하고 비접촉식 인터페이스를 활성화하는 메시지를 콤비카드(150)로 전송한다(S142).
콤비카드의 제어부(153)는 이동단말 접속부(152)를 통해 이동단말(100)로부터의 메시지를 수신하고 접촉식 인터페이스를 활성화하고 비접촉식 인터페이스를 비활성화한다(S143).
이때 콤비카드(150)는 선불식 또는 후불식 교통카드 기능을 가질 수 있다. 먼저, 콤비카드(150)가 도 5b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선불식 교통카드 기능을 가지며 선불 충전이 되어 있을 경우 요금지불과정은 다음과 같다.
상기 단계 S143 후, 콤비카드(150)를 구비하는 이동단말(100)이 교통카드 단말기에 근접하면, RF 안테나(140)를 통해 요금 지불을 위한 데이터를 송수신한다(S151). 콤비카드(150)의 제어부(153)는 교통카드 단말기를 통해 송수신한 데이터에 따라 저장부(154)에 저장된 잔액에서 지불된 요금만큼 차감시키고 그 잔액정보를 저장부(154)에 저장한다(S152).
그러나, 콤비카드(150)가 후불식 교통카드 기능을 포함할 경우, 상기 단계 S143 후, 콤비카드(150)를 구비하는 이동단말(100)이 교통카드 단말기에 근접하면, RF 안테나(140)를 통해 요금 지불을 위한 데이터, 즉 후불카드 정보를 교통단말로 전송하고, 그 응답을 수신한다(S161). 교통단말은 콤비카드로부터 전송된 후불카드 정보에 따라 교통 이용요금을 해당 후불카드의 이용요금에 합산하도록 정산을 수행한다(S162). 이 과정은 후불카드의 소속 시스템, 예를 들어 VAN, 신용카드사, 은행등을 연계하여 처리가 된다.
상기한 과정에 따라 선불식(S150) 또는 후불식 교통카드(S160)의 요금지불이 완료되고, 누르고 있던 핫 버튼(111)을 놓으면(릴리즈) 핫 버튼(111)은 오프가 되며(S171), 이동단말(100)의 제어부(120)는 접촉식 인터페이스의 활성화를 요청하는 메시지를 콤비카드(150)로 전송한다(S172).
콤비카드의 제어부(153)는 이동단말(100)로부터의 활성화 요청 메시지를 이동단말 접속부(152)를 통해 수신하고 접촉식 인터페이스를 활성화(S173)한 후 그 응답메시지를 이동단말(100)로 전송한다(S174). 이때 콤비카드의 제어부(153)는 접촉식 인터페이스의 활성화시 이동단말 사용자 인증을 위한 비밀번호 요청 단계를 생략한다.
이동단말의 제어부(120)는 콤비카드(150)로부터의 응답메시지를 수신하고 별도의 사용자 인증을 위한 비밀번호 입력 과정을 수행하지 않고 정상상태로 진입한다.
이상에서 상세하게 설명한 바와 같이 IMT-2000 이동단말 사용자는 이동단말 본체에 마련되는 핫 버튼(111)을 누름으로써 콤비카드(150)의 교통카드 기능을 이용할 수 있으며, 교통카드 기능 이용 후 누르고 있던 핫 버튼(111)을 놓음으로써 이동단말(100)은 별도의 비밀번호 인증과정 없이 정상동작 상태가 됨으로써 사용의 편리함을 더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콤비카드를 구비하는 IMT-2000 이동단말에 의하면, 발명은 콤비카드를 이용한 교통카드 이용시의 절차를 간소하게 하고 교통카드 이용 후 원상태로 자동 복귀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의 편리성을 더해주는 효과가 있다.

Claims (11)

  1. 콤비카드를 구비하는 IMT-2000 이동단말에 있어서,
    상기 이동단말의 사용자 정보 및 교통카드 정보를 저장하는 콤비카드로서,
    RF 안테나와 접속하기 위한 RF 접속부;
    상기 이동단말과 접속하기 위한 이동단말 접속부;
    상기 RF 접속부를 통해 교통카드 단말기로부터 선불식 교통카드 지불/충전을 수행하거나 요금지불을 위해 후불식 교통카드 정보를 전송하기 위한 비접촉식 인터페이스와, 상기 이동단말 접속부를 통해 상기 이동단말로 사용자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접촉식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는 콤비카드 제어부; 및
    상기 콤비카드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금액정보를 저장/관리하기 위한 저장부를 구비하는 콤비카드;
    상기 콤비카드 제어부의 접촉식 인터페이스와 비접촉식 인터페이스의 활성화/비활성화 제어입력을 위한 핫 버튼을 포함하는 입력부;
    상기 콤비카드에 접속되어 상기 교통카드 단말기와 비접촉식으로 정보를 교환하기 위한 RF 안테나;
    상기 이동단말의 동작을 표시하기 위한 표시부; 및
    상기 핫 버튼의 온/오프 동작에 따라 상기 콤비카드 제어부의 접촉식 인터페이스와 비접촉식 인터페이스의 활성화/비활성화 제어를 수행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이동단말은 부팅시 상기 콤비카드를 초기화하고 상기 표시부를 통해 비밀번호 입력을 요청하며 상기 입력부를 통해 비밀번호가 입력되면 상기 콤비카드로 인증을 요청하며,
    상기 콤비카드의 제어부는, 상기 이동단말 접속부를 통해 이동단말로부터의 인증요청에 따라 상기 입력부로 입력된 비밀번호를 미리 설정된 사용자 인증용 비밀번호와 비교하여 일치할 경우 사용자 인증을 완료한 후 응답을 상기 이동단말로 전송하며,
    상기 이동단말은 상기 응답에 따라 정상 동작 대기상태로 진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콤비카드를 구비하는 IMT-2000 이동단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핫 버튼은 상기 이동단말의 본체 일측에 적어도 하나이상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콤비카드를 구비하는 IMT-2000 이동단말.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핫 버튼은 상기 이동단말의 키패드의 특정 버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콤비카드를 구비하는 IMT-2000 이동단말.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부를 통한 교통카드 서비스 메뉴 선택에 따라 상기 이동단말의 제어부는 교통카드 사용을 위한 비밀번호 해제 요청 메시지를 상기 콤비카드로 전송하고,
    상기 콤비카드는 상기 비밀번호 해제 요청 메시지에 따라 기 설정된 비밀번호 설정을 해제하고 그 응답 메시지를 상기 이동단말 제어부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콤비카드를 구비하는 IMT-2000 이동단말.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단말의 제어부는 상기 핫 버튼의 온 상태에 따라 콤비카드가 비활성화되도록 요청하는 메시지를 상기 콤비카드로 전송하고,
    상기 콤비카드의 제어부는 상기 비활성화 요청 메시지에 따라 상기 접촉식 인터페이스르 비활성화하고 상기 비접촉식 인터페이스를 활성화하여 상기 RF 접속부를 통해 외부의 교통카드 단말기와 통신하여 지불/충전을 수행하며, 교통카드 단말기로부터 요청되는 요금의 지불 또는 충전에 따른 잔액정보를 갱신하여 상기 저장부에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콤비카드를 구비하는 IMT-2000 이동단말.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단말의 제어부는 상기 핫 버튼의 온 상태에 따라 콤비카드가 비활성화되도록 요청하는 메시지를 상기 콤비카드로 전송하고,
    상기 콤비카드의 제어부는 상기 비활성화 요청 메시지에 따라 상기 접촉식 인터페이스르 비활성화하고 상기 비접촉식 인터페이스를 활성화하여 상기 RF 접속부를 통해 외부의 교통카드 단말기와 통신하여 미리 설정된 후불식 교통카드 정보를 전송하여 지불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콤비카드를 구비하는 IMT-2000 이동단말.
  10. 제7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단말의 제어부는 상기 핫 버튼이 온 상태에서 오프 상태로 변화하면 콤비카드가 활성화되도록 요청하는 메시지를 상기 콤비카드로 전송하고, 상기 콤비카드의 제어부는 상기 활성화 요청 메시지에 따라 사용자 인증과정 없이 상기 접촉식 인터페이스를 활성화하고 상기 비접촉식 인터페이스를 비활성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콤비카드를 구비하는 IMT-2000 이동단말.
  11. 제7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단말의 제어부는 상기 핫 버튼이 온 상태에서 미리 설정된 소정시간을 경과하면 콤비카드가 활성화되도록 요청하는 메시지를 상기 콤비카드로 전송하고, 상기 콤비카드의 제어부는 상기 활성화 요청 메시지에 따라 사용자 인증과정 없이 상기 접촉식 인터페이스를 활성화하고 상기 비접촉식 인터페이스를 비활성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콤비카드를 구비하는 IMT-2000 이동단말.
KR1020030058867A 2003-08-25 2003-08-25 콤비카드를 구비하는 imt-2000 이동단말 KR10056167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58867A KR100561677B1 (ko) 2003-08-25 2003-08-25 콤비카드를 구비하는 imt-2000 이동단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58867A KR100561677B1 (ko) 2003-08-25 2003-08-25 콤비카드를 구비하는 imt-2000 이동단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21715A KR20050021715A (ko) 2005-03-07
KR100561677B1 true KR100561677B1 (ko) 2006-03-15

Family

ID=372299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58867A KR100561677B1 (ko) 2003-08-25 2003-08-25 콤비카드를 구비하는 imt-2000 이동단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6167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915141B2 (ja) * 2006-05-29 2012-04-11 富士通株式会社 携帯端末装置
US8320962B2 (en) 2009-06-05 2012-11-27 Visa International Service Association Contactless disablemen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21715A (ko) 2005-03-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858240B1 (en) Mobile telephone used for payment
JP3718236B2 (ja) チップカード、および外部機器・チップカード間の通信の方法
US20090312011A1 (en) Communications devices comprising near field rf communicators
CZ294690B6 (cs) Čipová karta
US10229397B2 (en) Near field communication terminal capable of loading card with money and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JP2006509298A (ja) Icカード決済機能を有する移動通信端末機
US20100218009A1 (en) Power supply for a system including chip card connected to a host device
US20020016186A1 (en) Mobile phone
KR101250091B1 (ko) 근접 통신을 이용한 전자화폐 거래 방법 및 이를 위한 휴대단말과 자동화기기
EP2112634A1 (en) Method for transferring provisioning information to a mobile unit
KR100561677B1 (ko) 콤비카드를 구비하는 imt-2000 이동단말
CN105844817A (zh) 用于nfc pos终端的远程线下金融卡支付方法
KR20120009854A (ko) 통신 상태 판별을 통한 스마트폰 애플리케이션 연동 방법과 이를 위한 스마트폰 및 프로그램
KR20040100217A (ko) 무선단말기를 이용한 선불카드 충전/환불 시스템 및방법과 이를 위한 무선단말기
KR102060821B1 (ko) 휴대용 보조 배터리를 대여할 수 있는 배터리 관리장치 및 그 관리방법
US20060079296A1 (en) Voltage supply device and method for operating such a voltage supply device
KR20050061009A (ko) 휴대폰으로의 전자화폐 자동충전방법 및 그 휴대폰
KR20120009853A (ko) 최단 동선 연결을 이용한 스마트폰 애플리케이션 연동 방법과 이를 위한 스마트폰 및 프로그램
KR20030083866A (ko) 콤비형 스마트카드가 장착된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하는오프라인 전자결제방법
KR200291332Y1 (ko) 다방식 결제수단을 가지는 이동통신단말
KR200294720Y1 (ko) 여러가지 전자화폐 기능을 가지는 이동통신단말
KR200363810Y1 (ko) 스마트칩의 알에프 안테나 선택모듈
KR20040022297A (ko) 멀티교통카드 롬데이타가 탑재된 콤비형 교통카드 및 그설정방법
AU709016B2 (en) A method and a system for effecting payments
CN113766429A (zh) 设备定位方法、装置、设备、钱包和存储介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0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2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16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