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100217A - 무선단말기를 이용한 선불카드 충전/환불 시스템 및방법과 이를 위한 무선단말기 - Google Patents

무선단말기를 이용한 선불카드 충전/환불 시스템 및방법과 이를 위한 무선단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100217A
KR20040100217A KR1020030032483A KR20030032483A KR20040100217A KR 20040100217 A KR20040100217 A KR 20040100217A KR 1020030032483 A KR1020030032483 A KR 1020030032483A KR 20030032483 A KR20030032483 A KR 20030032483A KR 20040100217 A KR20040100217 A KR 2004010021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fund
charging
wireless terminal
charge
car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324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29020B1 (ko
Inventor
정은수
김후종
전재식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3-00324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29020B1/ko
Publication of KR200401002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10021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290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29020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9/00Conveying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application for specified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G49/05Conveying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application for specified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ragile or damageable materials or articles
    • B65G49/06Conveying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application for specified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ragile or damageable materials or articles for fragile sheets, e.g. glas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00Printed circuits
    • H05K1/02Details
    • H05K1/03Use of materials for the substrate
    • H05K1/0393Flexible material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3/00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Financial Or Insurance-Related Operations Such As Payment And Settle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충전소 방문을 통한 충전/환불 방법뿐만 아니라 충전소의 방문 없이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무선단말기 내부에 장착된 선불카드에 직접 충전/환불 및 잔액조회가 가능한 무선단말기를 이용한 선불카드 충전/환불 시스템 및 방법과 이를 위한 무선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무선망과 접속하여 무선단말기와 충전/환불에 따른 정보를 교환하기 위한 정보교환부, 정보교환부를 통한 충전/환불 관련 업무 처리를 중계하는 충전/환불 게이트웨이, 충전/환불 게이트웨이와 접속되어 무선단말기로의 충전/환불을 수행하는 충전/환불 서버, 충전/환불 서버의 제어에 따라 충전/환불 및 정산을 위한 계좌를 관리하는 금융계좌수단을 구비하는 충전/환불 시스템을 포함함으로써, 사용자가 충전소의 방문 없이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무선단말기 내부에 장착된 선불카드에 직접 충전하여 즉시 무선단말기를 이용한 선불 결제가 가능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으며, 선불카드를 지갑 등에 보관함으로써 발생할 수 있는 선불카드의 손상이나 동작오류 등을 방지할 수 있으며, 카드 단말기가 없거나 충전소에 직접 방문하지 않더라도 무선단말기의 자체 잔액조회 기능을 통해 언제 어디서든지 사용자의 잔액을 조회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무선단말기를 이용한 선불카드 충전/환불 시스템 및 방법과 이를 위한 무선단말기{System and Method for Charging/Refundment of Pre-paid Payment Card Using Mobile Terminal, and Mobile Terminal Therefor}
본 발명은 RF 안테나가 내장된 무선단말기에 콤비형 콤비카드를 장착하여 충전소 방문 없이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서 무선단말기 내부에 장착된 콤비카드에 직접 충전하여 즉시 무선단말기를 이용한 선불 결제가 가능하도록 하는 무선단말기를 이용한 선불카드 충전/환불 시스템 및 방법과 이를 위한 무선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현재 대금결제를 위한 방법으로 신용카드, 선불카드 등의 여러가지 형태의 수단이 이용되고 있다. 상기 선불카드는 미리 소정의 금액을 지불하고 충전을 하한 후 이용금액만큼 차감하는 것으로 그 중 대표적인 것이 교통카드이다. 이러한 교통카드는 선불형 뿐만 아니라 신용카드를 이용한 후불형으로도 사용되고 있는데, 신용카드 발급이 어려운 청소년 등은 주로 신용결제 기능이 배제된 선불형 카드를 사용하고 있는 상황이다.
그러나, 종래의 선불형 카드 사용은 잔액 한도 내에서만 이용이 가능하므로 잔액이 부족할 경우에는 항상 충전소를 방문하여 현금을 지불하고 충전을 하고 경우에 따라 환불을 받고자 할 경우에도 직접 충전소를 방문해야 하는 불편함이 상존한다. 또한 충전소에서 충전/환불된 내역 등은 다시 정산소로 보내져서 정산을 해야만 하며, 많은 충전소를 설치하고 유지하는 비용(인건비, 수수료, 관리비, 임대료 등)에 따른 원가상승과 같은 추가적인 문제점이 있을 뿐만 아니라 잔액 조회를 위해서는 카드 단말기에서 지불을 수행하거나 직접 충전소에 방문하여야 하는 문제점을 있었다.
또한 종래의 선불형 카드는 지갑 또는 별도의 케이스 등에 휴대 시 안테나 손상이나 칩과 카드 내 안테나 간의 접점 불량으로 인해 지불과정 중 동작오류가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과 여러 장의 카드를 한 지갑 안에 소지하고 있는 경우에 발생할 수 있는 동작오류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고자 본 발명은 충전소 방문을 통한 충전/환불 방법뿐만 아니라 충전소의 방문 없이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무선단말기 내부에 장착된 선불카드에 직접 충전/환불 및 잔액조회가 가능한 무선단말기를 이용한 선불카드 충전/환불 시스템 및 방법과 이를 위한 무선단말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선불카드의 충전이나 환불을 위해 연동된 은행계좌, 가상계좌 등을 이용하거나 추후 무선통신 요금 처리과정에서 정산하는 선충전후결제 방식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무선단말기를 이용한 선불카드의 충전/환불을 적용하는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전체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무선단말기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콤비카드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충전/환불 시스템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금융계좌수단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
도 6a 및 6b는 본 발명에 따른 충전동작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7a 및 7b는 본 발명에 따른 충전확인 동작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잔액조회 동작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9a 및 9b는 본 발명에 따른 환불동작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10a 및 10b는 본 발명에 따른 환불동작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간단한 설명 >
100:무선단말기 140:콤비카드
200:무선망 400:충전/환불 시스템
410:정보교환부 420:충전/환불 게이트웨이
430:충전/환불서버 431:보안모듈
440:선불정산서버 450:금융계좌수단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무선단말기를 이용한 선불카드 충전/환불 시스템은, 콤비카드가 내장된 무선단말기와 무선통신을 수행하는 무선망으로 접속되어 무선단말기로의 선불카드 금액을 충전/환불을 하기 위한 시스템으로서, 무선망과 접속하여 무선단말기와 충전/환불에 따른 정보를 교환하기 위한 정보교환부, 정보교환부를 통한 충전/환불 관련 업무 처리를 중계하는 충전/환불 게이트웨이, 충전/환불 게이트웨이와 접속되어 무선단말기로의 충전/환불을 수행하는 충전/환불 서버, 충전/환불 서버의 제어에 따라 충전/환불 및 정산을 위한 계좌를 관리하는 금융계좌수단을 구비하는 충전/환불 시스템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무선단말기를 이용한 선불카드 충전/환불 시스템의 충전방법은, 무선단말기로부터의 충전메뉴 선택에 따라 콤비카드가 충전관련 데이터를 생성하고, 생성된 충전관련 데이터를 무선단말기를 통해 충전/환불 서버로 전송하여 충전을 요청하는 단계 충전요청에 따라 충전/환불 서버가 충전요청 데이터를 검증하고 그에 따른 충전정보 데이터를 생성하고 생성된 충전정보 데이터를 무선단말기 사용자의 계좌를 관리하는 금융계좌수단으로 전송하는 단계 충전정보 데이터를 수신한 금융계좌수단이 충전정보 데이터에 포함된 내용에 따른 충전금액을 해당 계좌로부터 차감하고 그 응답을 충전/환불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응답에 따라 충전/환불 서버가 무선단말기로 충전정보 데이터를 전송하는 단계 무선단말기에 마련된 콤비카드가 충전정보 데이터를 검증하고 충전금액을 잔액에 증가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 명에 따른 무선단말기를 이용한 선불카드 충전/환불 시스템의 환불방법은, 무선단말기로부터의 환불메뉴 선택에 따라 콤비카드가 환불관련 데이터를 생성하고, 생성된 환불관련 데이터를 무선단말기를 통해 충전/환불 서버로 전송하여 환불을 요청하는 단계 환불요청에 따라 충전/환불 서버가 환불요청 데이터를 검증하고 그에 따른 환불정보 데이터를 생성하고 생성된 환불정보 데이터를 무선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 무선단말기에 마련된 콤비카드가 환불정보 데이터를 검증하고, 잔액을 감소시키는 단계 잔액감소 후 콤비카드가 환불에 따른 환불 거래내역을 생성하고 무선단말기를 통해 충전/환불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충전/환불 서버가 환불 거래내역을 검증하고 금융계좌수단으로 계좌 잔액 증가 요청을 수행하는 단계 계좌 잔액 증가 요청에 따라 금융계좌수단이 무선단말기 사용자의 계좌의 잔액을 증가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무선단말기를 이용한 선불카드 충전/환불 시스템의 구성도를 나타낸다.
도 1을 참조하면, 충전/환불을 위한 충전/환불시스템(400)은 인터넷(300)을 통해 무선망(100)으로 접속되는 콤비카드가 내장된 무선단말기(100)와 접속되어 충전/환불/잔액조회 관련 정보를 교환한다.
상기 무선망(200)은 무선단말기(100)와 이동통신 접속을 위하여 기지국(이하 'BTS'라 칭함)(210)과, 상기 BTS(210)를 제어하며 호 교환을 수행하는 교환기(이하 'MSC"라 칭함)(230)와 패킷 데이터 접속을 수행하는 패킷 데이터 서비스 노드(이하 'PDSN'이라 칭함)(240)와 접속되는 기지국제어기(이하 'BSC'라 칭함)(220)와, 상기 PDSN(240)에 접속되는 데이터 코어 네트워크(이하 'DCN'이라 칭함)(280)을 포함한다. 상기 MSC(230)에는 가입자 위치정보를 관리하는 홈위치등록기(이하 'HLR'이라 칭함)(250)와 단문메시지를 제어하기 위한 단문메시지 센터(이하 'SMC'라 칭함)(260)가 접속된다.
또한 상기 무선망(200)은 무선랜 접속을 위한 액세스 포인트(이하 'AP'라 칭함)(270)를 포함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무선단말기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무선단말기(100)는 동작제어를 수행하는 제어부(110)와, 무선망(200)과 무선통신을 수행하는 무선송수신부(120)와, 충전/환불정보를 저장하고 그에따른 정보교환을 수행하는 콤비카드(140)와, 상기 콤비카드(140)에 접속되어 버스 혹은 지하철 게이트 등에 마련되는 카드 단말기를 통해 지불을 수행하기 위한 RF안테나(130)와, 무선단말기(100)의 동작에 필요한 정보와 선불카드의 지불/충전/잔액조회에 필요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및 소프트웨어 정보를 관리하기 위한 저장부(150)를 포함한다. 상기 RF안테나(130)는 무선단말기(100)의 배터리, 본체 또는 전면부 등 적절한 곳에 설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이용되는 상기 콤비카드(140)는 콤비형 카드로써, 버스 혹은 지하철 게이트에 마련되는 카드 단말기에서는 비접촉식으로 지불을 수행하고 무선단말기(100)를 통해 충전/환불/잔액조회 등을 수행하는 것으로, 이하에서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콤비카드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콤비카드(140)는 RF안테나(130)와 접속하기 위한 I/O인 RF접속부(141)와, 무선단말기(100)와 접속하기 위한 I/O인 무선단말 접속부(142)와, 상기 RF접속부(141) 혹은 무선단말접속부(142)를 통해 교환되는 정보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143)와, 상기 제어부(143)의 제어에 따라 정보를 저장/관리하기 위한 저장부(144)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제어부(143)는 무선단말접속부(142)를 통해 지불/충전을 수행하는 제1제어모듈(143a)과 상기 RF접속부(141)를 통해 지불/충전을 수행하는 제2제어모듈(143b)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콤비카드(140)는 무선단말접속부(142)를 통해 무선단말기(100)와 별도의 소켓을 통해 접속되거나 혹은 특정 단자를 통해 직접 접속할 수도 있으며, RF 안테나(130) 역시 RF접속부(141)를 통해 별도의 소켓 혹은 특정 단자로 연결할 수도 있다.
상기한 제1제어모듈(143a)은 무선단말기(100)가 무선망(200)을 통해 전송 받은 충전 관련 데이터를 분석하고 저장부(144)에 저장된 잔액을 증가시키거나 혹은 환불시 잔액을 차감한다. 또한 상기 제2제어모듈(143b)은 버스 혹은 지하철의 게이트에 마련되는 카드 단말기로부터 요청되는 요금을 지불하고 지불완료시 저장부(144)에 저장된 잔액을 차감하며, 기존의 선불카드업자를 통해 충전되는 선불금액을 저장부(144)에 저장된 잔액으로 포함시킨다.
한편, 사용자는 현재 남아있는 잔액의 확인요청을 무선단말기(100)를 통해 할 수 있는데, 상기 제1제어모듈(143a)은 무선단말기(100)로부터의 잔액확인요청에 따라 저장부(144)에 저장된 잔액정보를 무선단말기(100)로 전송하고, 무선단말기(100)는 상기 잔액정보를 수신하여 디스플레이함으로써 사용자는 현재의 잔액을 확인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충전/환불 시스템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충전/환불 시스템(400)은 인터넷을 통해 무선망(200)과 접속하여 무선단말기(100)와 정보를 교환하기 위한 정보교환부(410)와, 실제로 충전/잔액조회/정산/환불 관련 업무 처리를 중계하는 충전/환불 게이트웨이(420)와, 상기 충전/환불 게이트웨이와 접속되어 충전/환불을 수행하며, 거래에 따른 사용자별 거래정보를 기록하기 위한 거래원장 데이터를 관리하는 충전/환불 서버(430)와, 상기 충전/환불서버(430)와 접속되고 후술하는 금융계좌수단을 통해 기존의 선불카드 업자로부터 충전한 선불금액의 정산을 수행하는 선불정산서버(440)와, 충전/환불/정산을 위한 계좌를 관리하는 금융계좌수단(450)을 포함한다. 상기 충전/환불서버(430)는 거래에서 발생하는 서명을 검증하기 위한 보안모듈(431)을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보안모듈(431)이 충전/환불서버(430)에 포함되었지만, 이는 별도로 구성되거나 혹은 다른 시스템에 포함되어 구성될 수 도 있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금융계좌수단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금융계좌수단(450)은 사용자의 은행계좌를 관리하는 은행서버(451)와, 사용자의 신용카드 결제를 관리하는 신용카드사 서버(452)와, 사용자의 전자화폐를 위한 가상계좌를 관리하는 가상계좌서버(453)를 포함하고, 상기 가상계좌 서버(453)에는 가상계좌 정보를 저장/관리하기 위한 가상계좌 데이터베이스(454)가 접속된다. 상기한 계좌들은 사용자의 무선단말기 번호를 계좌번호로 하여 연결될 수도 있다.
상기 가상계좌는 사용자의 무선단말기마다 부여되어 전자화폐의 거래를 행하기 위한 계좌로서 금융기관에 있는 실물계좌(혹은 신용카드 등)로부터 상기 가상계좌에 전자화폐를 충전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사용자의 은행계좌를 관리하는 은행서버(451)와 사용자의 신용카드 결제를 관리하는 신용카드사 서버(452)가 직접 금융계좌수단(450)에 마련되었지만, 금융기관인 은행서버와의 정보를 중계하는 구성과 신용카드사 서버와의 정보를 중계하는 별도의 구성으로 대체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선불정산서버(440)는 사용자가 기존의 선불카드 업자를 통해 충전한 금액을 정산하기 위한것 으로, 정산시 환불금액은 선불정산서버(440)로부터 가상계좌 서버(453)에 마련된 사용자의 가상계좌로 이체되거나 실제 은행계좌로 이체될 수도 있다.
전술한 충전/환불 시스템(400)의 각 구성들은 물리적으로 별도의 구성 혹은 하나의 통합구성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도 6a 및 6b는 본 발명에 따른 충전동작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6a 및 6b 를 참조하면, 사용자는 충전을 위해 무선단말기(100)를 통해 무선인터넷을 접속하여 충전/환불서버(430)에 접속한다(S11). 무선인터넷 접속 후 무선단말기(100)는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ID 및 비밀번호를 전송함으로써 충전/환불서버(430)로 로그인을 수행한다(S12). 로그인 수행 후 사용자의 충전메뉴 선택에 따라서 무선단말기(100)는 충전명령을 충전/환불서버(430)로 전송한다(S13).
단계 S13에서의 충전명령에 따라 충전/환불서버(430)는 무선단말기(100)로 충전금액입력을 요청하는 메시지를 전송한다(S21). 이에 따라 무선단말기(100)는 사용자가 입력한 충전금액의 정보를 충전/환불서버(430)로 전송한다(S22).
충전/환불서버(430)는 단계 S22에서 전송된 충전금액 정보를 수신하고 금융계좌수단(450)을 통해 해당 사용자의 계좌잔액을 검사한다(S23). 단계 S23에서 사용자의 계좌잔액이 사용자가 요청한 충전금액이상일 경우 충전/환불서버(430)는 충전초기화요청 메시지를 무선단말기(100)로 전송한다(S31).
단계 S31에서 충전초기화요청 메시지를 수신한 무선단말기(100)는 콤비카드(140)로 활성화신호를 전달한다(S32). 이에 따라 콤비카드(140)는 무선단말기로부터의 활성화 신호에 따라 활성화된다(S41).
콤비카드(140)의 제1제어모듈(143a)은 무선단말기(100)로부터의 제어에 따라충전을 위한 애플릿(applet)을 선택하고(S42), 세션키를 생성한다(S43). 콤비카드(140)의 제1제어모듈(143a)은 충전에 필요한 데이터를 조회하고(S44), 충전 서명 데이터(전자서명)를 생성한다(S45). 그리고 콤비카드(140)의 제1제어모듈(143a)은 상기 생성된 충전 서명 데이터를 포함하는 응답메시지를 무선단말접속부(142)를 통해 무선단말기(100)로 전송한다(S51). 그리고 무선단말기(100)는 상기 응답메시지에 포함된 정보를 충전초기화요청응답 메시지에 포함하여 무선송수신부(120)를 통해 무선망(200)에 접속되는 충전/환불시스템(400)으로 전송한다.
충전/환불 시스템(400)으로 전송된 상기 메시지는 정보교환부(410)를 통해 충전/환불 게이트웨이(420)로 전달되고, 충전/환불 게이트웨이(420)는 상기 메시지를 충전/환불서버(430)로 전송한다(S52).
충전/환불 서버(430)는 단계 S52에서의 메시지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메시지에 포함된 정보가 정상상태인지를 판단한다(S60). 단계 S60에서 정상상태라고 판단되면 충전/환불 서버(430)는 상기 메시지에 포함된 충전서명 데이터의 검증을 보안모듈(431)로 요청한다(S70). 보안모듈(431)은 단계 S70에서의 요청에 따라 충전 서명 데이터를 검증하고(S80), 충전정보 서명 데이터를 생성(S90)하여 충전/환불 서버(430)로 전송한다(S100).
충전/환불 서버(430)는 단계 S100에서 전송되는 충전정보 서명 데이터를 수신하고 금융계좌수단(450)으로 충전금액에 대한 계좌차감요청을 한다(S110).
이에 따라 금융계좌수단(450)은 해당 사용자의 계좌에서 충전금액만큼을 차감(S120)하고 그에 따른 응답을 충전/환불 서버(430)로 전송한다(S130). 이때 충전에 관련된 계좌가 은행 혹은 카드사에 연계된 계좌일 경우 충전금액만큼을 차감하도록 해당 서버로 요청을 수행한다. 그러나 사용자의 계좌가 가상계좌일 경우에는 가상계좌서버(453)가 가상계좌 데이터베이스(454)에서 해당 사용자의 가상계좌 잔액을 충전금액만큼 차감한다.
상기 단계 S130에서 계좌 잔액 차감에 따른 응답을 수신한 충전/환불 서버(430)는 단계 S100에서 수신한 충전정보 서명 데이터를 무선망(200)을 통해 무선단말기(100)로 전송하고, 상기 무선단말기(100)는 상기 충전정보 서명 데이터를 콤비카드(140)로 전송한다(S140).
콤비카드(140)의 제1제어모듈(143a)은 무선단말접속부(142)를 통해 수신한 충전정보 서명 데이터를 검증하고 충전에 다른 금액을 저장부(144)에 저장된 현재 잔액으로 포함시킴으로서 잔액을 증가시킨다(S150). 그리고 콤비카드(140)의 제1제어모듈(143a)은 충전에 따른 거래내역을 생성(S160)하고, 생성된 거래내역을 응답메시지에 포함하여 무선단말기(100) 및 무선망(200)을 통해 충전/환불 서버(430)로 전송한다(S170).
충전/환불 서버(430)는 상기수신한 거래내역을 보안모듈(431)로 전송하여 검증을 요청한다(S180). 보안모듈(431)은 검증요청에 따라 상기 거래내역을 검증하고, 그에 따른 응답을 충전/환불 서버(430)로 전송(S190)함으로써 충전이 완료되고, 거래가 종료된다. 이때 충전/환불서버(430)는 충전거래에 따른 잔액정보를 포함하는 데이터를 거래원장 데이터에 기록/관리하며, 그 과정은 거래 종료 후 혹은거래중 수행할 수도 있다.
이때 충전/환불서버(430)는 충전거래 완료에 따른 단문 메시지를 무선망(200)의 SMC(260)를 통해 무선단말기(100)로 전송할 수 도 있다.
전술한 충전에 이용되는 사용자 원본 계좌의 정보는 무선단말기(100)로부터 충전/환불서버(430)로 제공되거나, 충전/환불서버(430)에 기설정될 수 있으며, 상기 원본계좌는 사용자의 무선단말기(100)의 번호를 계좌번호로 이용할 수 있다.
도 7a 및 7b는 본 발명에 따른 충전확인 동작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7a 및 7b를 참조하면, 사용자는 충전확인을 위해 무선단말기(100)를 통해 무선인터넷을 접속하여 충전/환불서버(430)에 접속한다(S211). 무선인터넷 접속 후 무선단말기(100)는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ID 및 비밀번호를 전송함으로써 충전/환불서버(430)로 로그인을 수행한다(S212). 로그인 수행 후 사용자의 충전확인메뉴 선택에 따라서 무선단말기(100)는 충전확인명령을 충전/환불서버(430)로 전송한다(S213). 충전/환불서버(430)는 단계 S213에서 전송된 충전확인명령을 수신하고 충전확인초기화요청 메시지를 무선단말기(100)로 전송한다(S220).
단계 S220에서 충전확인초기화요청 메시지를 수신한 무선단말기(100)는 콤비카드(140)로 활성화신호를 전달한다(S231). 이에 따라 콤비카드(140)는 무선단말기로부터의 활성화 신호에 따라 활성화된다(S232).
콤비카드(140)의 제1제어모듈(143a)은 무선단말기(100)로부터의 제어에 따라충전확인을 위한 애플릿(applet)을 선택하고(S233), 무선단말기(100)로부터의 충전확인 메시지를 수신한 후(S234), 세션키를 생성한다(S235).
단계 S235에서 세션키를 생성한 후 콤비카드(140)의 제1제어모듈(143a)은 충전확인에 필요한 데이터를 조회하고(S236), 충전확인 서명 데이터(전자서명)를 생성한다(S237). 그리고 콤비카드(140)의 제1제어모듈(143a)은 상기 생성된 충전확인 서명 데이터를 포함하는 응답메시지를 무선단말접속부(142)를 통해 무선단말기(100)로 전송한다(S241). 그리고 무선단말기(100)는 상기 응답메시지에 포함된 정보를 충전확인초기화요청응답 메시지에 포함하여 무선송수신부(120)를 통해 무선망(200)에 접속되는 충전/환불시스템(400)으로 전송한다.
충전/환불 시스템(400)으로 전송된 상기 메시지는 정보교환부(410)를 통해 충전/환불 게이트웨이(420)로 전달되고, 충전/환불 게이트웨이(420)는 상기 메시지를 충전/환불서버(430)로 전송한다(S242).
충전/환불 서버(430)는 단계 S52에서의 메시지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메시지에 포함된 정보가 정상상태인지를 판단한다(S251). 단계 S251에서 정상이 아니라고 판단되면 충전/환불서버(430)는 오류메시지를 무선단말기(100)로 전송하고 충전확인 과정을 종료한다(S252).
그러나, 상기 단계 S251에서 정상상태라고 판단되면 충전/환불 서버(430)는 해당 사용자의 로그정보와 거래원장 데이터에 기록된 해당 사용자의 잔액정보 잔액정보를 조회한 후 상기 메시지에 포함된 정보와 비교하여 해당 사용자의 잔액상태가 정상인지를 판단한다(S271).
단계 S271에서 정상이 아니라고 판단되면, 상기 충전/환불서버(430)는 해당 사용자의 거래원장 데이터를 복구하고(S272), 무선단말기(100)로 충전확인에 대한 응답 메시지를 전송한다(S281). 상기 단계 S271에서 정상이라고 판단되면 상기 단계 S281을 수행한다.
무선단말기(100)는 단계 S281에서의 메시지를 수신하고 콤비카드(140)로 확인완료 메시지를 전송한다(S282). 콤비카드(140)의 제1제어모듈(143a)은 무선단말접속부(142)를 통해 상기 확인완료메시지를 수신하고 현재 정보를 포함하는 응답 메시지를 무선단말기(100)로 전송한다(S283). 무선단말기(100)는 상기 응답메시지를 수신한 후 콤비카드(140)를 비활성화시킨다(S284).
상기 무선단말기(100)는 상기 단계 S283의 메시지에 포함된 정보를 포함하는 충전확인응답메시지를 충전/환불서버(430)로 전송한다(S291). 그리고 충전/환불서버(430)는 상기 메시지에 포함된 정보를 오류여부를 판단하고(S292), 오류가 있다고 판단되면 오류메시지를 무선단말기(100)로 전송한다(S293).
그러나, 단계 S292에서 오류가 없다고 판단되면 충전/확인서버(430)는 완료메시지를 무선단말기(100)로 전송한다(S294).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잔액조회 동작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사용자는 잔액조회를 위해 무선단말기(100)를 통해 무선인터넷을 접속하여 충전/환불서버(430)에 접속한다(S311). 무선인터넷 접속 후 무선단말기(100)는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ID 및 비밀번호를 전송함으로써 충전/환불서버(430)로 로그인을 수행한다(S312). 로그인 수행 후 사용자의 잔액조회메뉴 선택에 따라서 무선단말기(100)는 잔액조회명령을 충전/환불서버(430)로 전송한다(S313). 충전/환불서버(430)는 단계 S313에서 전송된 잔액조회명령을 수신하고 잔액조회요청 메시지를 무선단말기(100)로 전송한다(S320).
단계 S320에서 잔액조회요청 메시지를 수신한 무선단말기(100)는 콤비카드(140)로 활성화신호를 전달한다(S331). 이에 따라 콤비카드(140)는 무선단말기(100)로부터의 활성화 신호에 따라 활성화된다(S332).
콤비카드(140)의 제1제어모듈(143a)은 무선단말기(100)로부터의 제어에 따라 잔액조회를 위한 애플릿(applet)을 선택하고(S333), 잔액조회에 필요한 데이터를 조회하여 무선단말기(100)로 전송한다(S334). 이에 따라 무선단말기(100)는 콤비카드(140)를 비활성화(S335)시킨 후, 상기 단계 S334에서 조회된 데이터를 포함하는 잔액조회요청응답 메시지를 충전/환불서버(430)로 전송한다(S340).
충전/환불 서버(430)는 단계 S340에서의 메시지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메시지에 포함된 정보가 정상상태인지를 판단한다(S351). 단계 S351에서 정상이 아니라고 판단되면 충전/환불서버(430)는 오류정보를 포함하는 오류메시지를 무선단말기(100)로 전송(S361)하고 충전확인 과정을 종료한다(S362).
그러나, 상기 단계 S351에서 정상상태라고 판단되면 충전/환불 서버(430)는 잔액정보 및 관련정보를 무선단말기(100)로 전송하고, 무선단말기(100)는 상기 잔액정보 및 관련정보를 표시(S352)하고, 잔액조회를 완료한다(S353).
도 9a 및 9b는 본 발명에 따른 환불동작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9a 및 9b를 참조하면, 사용자는 환불을 수행하기 위해 무선단말기(100)를 통해 무선인터넷을 접속하여 충전/환불서버(430)에 접속한다(S411). 무선인터넷 접속 후 무선단말기(100)는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ID 및 비밀번호를 전송함으로써 충전/환불서버(430)로 로그인을 수행한다(S412). 로그인 수행 후 사용자의 환불메뉴 선택에 따라서 무선단말기(100)는 환불명령을 충전/환불서버(430)로 전송한다(S413). 충전/환불서버(430)는 단계 S413에서 전송된 환불명령을 수신하고 환불초기화요청 메시지를 무선단말기(100)로 전송한다(S420).
단계 S420에서 환불초기화요청 메시지를 수신한 무선단말기(100)는 콤비카드(140)로 활성화신호를 전달한다(S431). 이에 따라 콤비카드(140)는 무선단말기(100)로부터의 활성화 신호에 따라 활성화된다(S432).
콤비카드(140)의 제1제어모듈(143a)은 무선단말기(100)로부터의 제어에 따라 환불을 위한 애플릿(applet)을 선택하고(S433), 세션키를 생성한다(S434).
단계 S434에서 세션키를 생성한 후 콤비카드(140)의 제1제어모듈(143a)은 환불에 필요한 데이터를 조회하고(S435), 환불서명 데이터(전자서명)를 생성한다(S436). 그리고 콤비카드(140)의 제1제어모듈(143a)은 상기 생성된 환불서명 데이터를 포함하는 응답메시지를 무선단말접속부(142)를 통해 무선단말기(100)로 전송한다(S437). 그리고 무선단말기(100)는 상기 응답메시지에 포함된 정보를환불초기화요청응답 메시지에 포함하여 무선송수신부(120)를 통해 무선망(200)에 접속되는 충전/환불시스템(400)으로 전송한다. 충전/환불 시스템(400)으로 전송된 상기 메시지는 정보교환부(410)를 통해 충전/환불 게이트웨이(420)로 전달되고, 충전/환불 게이트웨이(420)는 상기 메시지를 충전/환불서버(430)로 전송한다(S440).
충전/환불 서버(430)는 단계 S440에서의 메시지를 수신하고 상기 메시지에 포함된 환불서명 데이터의 검증을 보안모듈(431)로 요청한다(S450). 보안모듈(431)은 단계 S250에서의 요청에 따라 환불서명 데이터를 검증하고, 환불정보 서명 데이터를 생성(S460)하여 충전/환불 서버(430)로 전송한다(S470).
충전/환불 서버(430)는 상기 환불정보 서명 데이터를 수신하여 무선망(100) 및 무선단말기(100)를 통해 콤비카드(140)로 전송한다(S480).
이에 따라 콤비카드(140)는 환불정보 서명 데이터를 검증하고(S490), 환불에 따른 잔액을 감소시킨다(S500). 그리고 환불에 따른 거래내역을 생성하여(S510), 무선단말기(100) 및 무선망(200)을 통해 충전/환불서버(430)로 전송한다(S520).
충전/환불 서버(430)는 상기 거래내역을 검증하도록 보안모듈(431)로 요청하고(S530), 보안모듈(431)은 상기 거래내역을 검증하여 그에 따른 응답을 충전/환불 서버(430)로 전송한다(S540).
충전/환불 서버(430)는 보안모듈(431)로부터 응답을 수신한 후 금융계좌수단(450)으로 계좌 잔액의 증가를 요청한다(S550). 금융계좌수단(450)은 상기 요청에 따라 사용자의 해당계좌의 잔액을 환불금액만큼 증가시키고(S560), 그에 따른 응답을 충전/환불 서버(430)로 전송한다(S570).
이에 따라 환불 거래가 종료되며, 충전/환불서버(430)는 환불거래 완료에 따른 단문 메시지를 무선망(200)의 SMC(260)를 통해 무선단말기(100)로 전송할 수 도 있다.
한편, 사용자는 무선단말기(100)의 환불메뉴를 통해 기존 카드 단말기를 통해 충전한 금액을 환불할 수 있으며 그 방법은 다음과 같다.
도 10a 및 10b는 본 발명에 따른 환불동작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0a 및 10b에 도시된 단계 S611 내지 S740의 동작은 도 9a 및 9b 에 도시한 단계 S411 내지 S540의 동작과 동일하므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단계 S540에서 응답을 수신한 충전/환불 서버(430)는 선불정산서버(440)로 정산을 요청한다(S750). 상기 정산요청에 따라 선불정산서버(440)는 환불금액만큼의 정산을 수행하고 금융계좌수단(450)으로 잔액증가요청을 수행한다(S760).
금융계좌수단(450)은 상기 요청에 따라 사용자의 해당계좌의 잔액을 환불금액만큼 증가시키고(S770), 그에 따른 응답을 상기 선불정산서버(440)와 충전/환불 서버(430)로 전송한다(S780).
이에 따라 환불 거래가 종료되며, 충전/환불서버(430)는 환불거래 완료에 따른 단문 메시지를 무선망(200)의 SMC(260)를 통해 무선단말기(100)로 전송할 수 도 있다.
전술한 환불에 이용되는 사용자 원본 계좌의 정보는 무선단말기(100)로부터 충전/환불서버(430)로 제공되거나, 충전/환불서버(430)에 기설정될 수 있으며, 상기 원본계좌는 사용자의 무선단말기(100)의 번호를 계좌번호로 이용할 수 있다.
한편,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환불동작에서 충전/환불서버(430)는 환불에 따른 잔액정보를 포함하는 데이터를 거래원장 데이터에 기록/관리하며, 그 과정은 거래 종료 후 혹은 거래중 수행할 수도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무선단말기를 이용한 선불카드 충전/환불 시스템 및 방법과 이를 위한 무선단말기에 의하면, 사용자가 충전소의 방문 없이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무선단말기 내부에 장착된 선불카드에 직접 충전하여 즉시 무선단말기를 이용한 선불 결제가 가능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으며, 선불카드를 지갑 등에 보관함으로써 발생할 수 있는 선불카드의 손상이나 동작오류 등을 방지할 수 있으며, 카드 단말기가 없거나 충전소에 직접 방문하지 않더라도 무선단말기의 자체 잔액조회 기능을 통해 언제 어디서든지 사용자의 잔액을 조회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30)

  1. 콤비카드가 내장된 무선단말기와 무선통신을 수행하는 무선망으로 접속되어 상기 무선단말기의 선불카드 금액을 충전/환불을 하기 위한 시스템으로서,
    상기 무선망과 접속하여 상기 무선단말기와 충전/환불에 따른 정보를 교환하기 위한 정보교환부,
    상기 정보교환부를 통한 충전/환불 관련 업무 처리를 중계하는 충전/환불 게이트웨이,
    상기 충전/환불 게이트웨이와 접속되어 상기 무선단말기로의 충전/환불을 수행하는 충전/환불 서버,
    상기 충전/환불 서버의 제어에 따라 상기 충전/환불 및 정산을 위한 계좌를 관리하는 금융계좌수단을 구비하는 충전/환불 시스템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단말기를 이용한 선불카드 충전/환불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단말기는,
    선불카드 금액정보를 저장/관리하는 콤비카드와, 상기 콤비카드와 접속되어 카드단말기와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RF안테나를 포함하고,
    상기 콤비카드는, 상기 RF안테나와 접속하기 위한 RF접속부와, 상기 무선단말기와 접속하기 위한 무선단말 접속부와, 상기 RF접속부 혹은 무선단말접속부를통해 교환되는 정보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금액정보를 저장/관리하기 위한 저장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단말기를 이용한 선불카드 충전/환불 시스템.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무선단말접속부를 통해 충전/환불을 수행하고 그 정보를 상기 저장부에 저장/관리하는 제1제어모듈과, 상기 RF접속부를 통해 상기 카드단말기로부터 지불/충전을 수행하며 그 정보를 상기 저장부에 저장/관리하는 제2제어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단말기를 이용한 선불카드 충전/환불 시스템.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제어모듈은, 충전/환불에 따른 서명 데이터를 생성하여 상기 무선단말기를 통해 상기 충전/환불 시스템으로 전송하며,
    상기 충전/환불 시스템으로부터 전송되는 서명 데이터를 검증하고 그 결과에 따라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금액정보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단말기를 이용한 선불카드 충전/환불 시스템.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제어모듈은 상기 제2제어모듈을 통해 상기 카드단말기로부터 충전한금액을 환불할 수 있도록 하는 서명 데이터를 생성하고 상기 무선단말기를 통해 상기 충전/환불 시스템으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단말기를 이용한 선불카드 충전/환불 시스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금융계좌수단은, 사용자의 은행계좌를 관리하는 은행서버와, 사용자의 신용카드 결제를 관리하는 신용카드사 서버와, 사용자의 전자화폐 가상계좌를 관리하는 가상계좌서버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단말기를 이용한 선불카드 충전/환불 시스템.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금융계좌수단은 사용자의 은행계좌, 신용카드 혹은 가상계좌의 계좌번호를 사용자의 무선단말기의 번호에 매칭시켜 관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단말기를 이용한 선불카드 충전/환불 시스템.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환불 시스템은, 상기 충전/환불 서버에 접속되어 상기 이동단말기로부터의 환불요청에 따라 카드 단말기로부터 충전한 금액을 상기 금융계좌 수단에 마련되는 상기 무선단말기 사용자의 해당 계좌로 환불하는 선불 정산 서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단말기를 이용한 선불카드 충전/환불 시스템.
  9. 사용자의 계좌를 관리하는 금융계좌수단으로부터 선불금액을 충전/환불 하는 충전/환불 시스템과 무선망을 통해 접속하여 선불금액의 충전/환불을 수행할 수 있도록,
    상기 무선망과 무선송수신을 수행하기 위한 무선송수신부와,
    상용 카드단말기와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RF안테나와,
    상기 RF안테나를 통해 상기 카드단말기와 통신하거나 혹은 상기 무선송수신부를 통해 상기 충전환불시스템과 접속하여 상기 선불금액을 충전/환불하고 그 정보를 저장/관리하는 콤비카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단말기.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콤비카드는, 상기 RF안테나와 접속하기 위한 RF접속부와, 상기 무선단말기와 접속하기 위한 무선단말 접속부와, 상기 RF접속부 혹은 무선단말접속부를 통해 교환되는 정보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금액정보를 저장/관리하기 위한 저장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단말기.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무선단말접속부를 통해 충전/환불을 수행하고 그 정보를 상기 저장부에 저장/관리하는 제1제어모듈과,
    상기 RF접속부를 통해 상기 카드단말기로부터 지불/충전을 수행하며 그 정보를 상기 저장부에 저장/관리하는 제2제어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단말기.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제어모듈은,
    충전/환불에 따른 서명 데이터를 생성하여 상기 무선단말기를 통해 상기 충전/환불 시스템으로 전송하며, 상기 충전/환불 시스템으로부터 전송되는 서명 데이터를 검증하고 그 결과에 따라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금액정보를 제어하며, 상기 제2제어모듈을 통해 상기 카드단말기로부터 충전한 금액을 환불할 수 있도록 하는 서명 데이터를 생성하고 상기 무선단말기를 통해 상기 충전/환불 시스템으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단말기.
  13. 콤비카드가 내장된 무선단말기와 무선통신을 수행하는 무선망으로 접속되어 상기 무선단말기로의 선불카드 금액을 상기 무선단말기 사용자의 계좌를 관리하는 금융계좌수단으로부터 상기 무선단말기로 충전을 수행하는 충전/환불 서버를 포함하는 충전/환불 시스템의 충전방법에 있어서,
    상기 무선단말기로부터의 충전메뉴 선택에 따라 상기 콤비카드가 충전관련 데이터를 생성하고, 생성된 충전관련 데이터를 상기 무선단말기를 통해 상기 충전/환불 서버로 전송하여 충전을 요청하는 단계;
    상기 충전요청에 따라 상기 충전/환불 서버가 상기 충전관련 데이터를 검증하고 그에 따른 충전정보 데이터를 생성하고 생성된 충전정보 데이터를 상기 무선단말기 사용자의 계좌를 관리하는 금융계좌수단으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충전정보 데이터를 수신한 금융계좌수단이 상기 충전정보 데이터에 포함된 내용에 따른 충전금액을 해당 계좌로부터 차감하고 그 응답을 상기 충전/환불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응답에 따라 상기 충전/환불 서버가 상기 무선단말기로 충전정보 데이터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무선단말기에 마련된 콤비카드가 상기 충전정보 데이터를 검증하고 상기 충전금액을 잔액에 증가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단말기를 이용한 선불카드 충전/환불 시스템의 충전방법.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요청하는 단계는,
    상기 무선단말기를 통해 상기 충전/환불서버에 접속하여 로그인을 수행하는 단계와;
    상기 로그인 수행 후 상기 무선단말기로부터의 충전메뉴 선택에 따라 상기 충전/환불서버가 상기 무선단말기로 충전금액입력을 요청하고 무선단말기로부터 상기 충전금액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단말기를 이용한 선불카드 충전/환불 시스템의 충전방법.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요청하는 단계는,
    상기 충전/환불서버가 상기 무선단말기로부터 전송된 상기 충전금액을 상기 금융계좌수단에 마련된 사용자의 계좌잔액과 비교하여 충전가능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충전가능여부 판단에서 충전이 가능하다고 판단되면 상기 충전/환불서버가 상기 무선단말기로 충전초기화요청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충전초기화요청 메시지에 따라서 상기 무선단말기가 상기 콤비카드를 활성화시키는 단계와;
    상기 활성화된 콤비카드가 상기 충전관련 데이터를 생성하여 상기 무선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무선단말기가 상기 충전관련 데이터를 상기 충전/환불서버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단말기를 이용한 선불카드 충전/환불 시스템의 충전방법.
  16.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잔액을 증가시키는 단계 후,
    상기 콤비카드가 충전 거래내역을 생성하는 단계와;
    상기 콤비카드가 상기 생성된 충전 거래내역을 상기 무선단말기를 통해 상기 충전/환불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충전/환불 서버가 상기 거래내역을 검증하고 충전거래를 종료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단말기를 이용한 선불카드 충전/환불 시스템의 충전방법.
  17.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명령은 충전금액 및 충전계좌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콤비카드는 상기 충전금액 및 충전계좌정보를 포함하여 상기 충전요청 데이터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단말기를 이용한 선불카드 충전/환불 시스템의 충전방법.
  18.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명령에 충전금액 및/혹은 충전계좌정보가 포함되어 있지 않을 경우,
    상기 콤비카드는 미리 설정된 충전금액 및/혹은 충전계좌정보를 포함하여 상기 충전요청 데이터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단말기를 이용한 선불카드 충전/환불 시스템의 충전방법.
  19. 제 17 항 또는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계좌정보는 상기 무선단말기의 번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단말기를 이용한 선불카드 충전/환불 시스템의 충전방법.
  20.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단말기를 이용한 선불카드 충전/환불 시스템의 충전방법은,
    상기 무선단말기를 통해 상기 충전/환불서버에 접속하여 로그인을 수행하는 단계와 상기 로그인 수행 후 상기 무선단말기로부터의 충전확인메뉴 선택에 따라 상기 충전/환불서버가 상기 무선단말기로 충전확인 초기화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충전확인 초기화 요청 메시지에 따라 상기 무선단말기가 상기 콤비카드를 통해 충전확인 관련 데이터를 생성하여 상기 충전/환불서버로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충전/환불서버가 상기 충전확인 관련 데이터를 검증하여 충전상태를 확인하는 단계와 상기 충전/환불서버가 상기 확인에 따른 메시지를 상기 무선단말기를 통해 상기 콤비카드로 전송하고, 상기 콤비카드가 상기 확인에 따른 메시지에 따라 충전완료를 확인하고 현재 정보를 상기 무선단말기를 통해 상기 충전/환불서버로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충전/환불서버가 상기 현재정보를 검증하고 충전확인 메시지를 상기 무선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충전확인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단말기를 이용한 선불카드 충전/환불 시스템의 충전방법.
  21.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상태를 확인하는 단계는,
    상기 충전/환불 서버가 상기 무선단말기 사용자의 로그정보 및 해당 잔액정보와 상기 충전확인 관련데이터를 비교하는 단계와;
    상기 비교결과 상기 잔액정보와 상기 충전확인 관련데이터에 포함된 잔액정보가 일치하지 않을 경우 상기 충전/환불서버가 충전정보를 관리하기 위한 거래원장 데이터의 잔액관련정보를 복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단말기를 이용한 선불카드 충전/환불 시스템의 충전방법.
  22. 콤비카드가 내장된 무선단말기와 무선통신을 수행하는 무선망으로 접속되어 상기 무선단말기로의 선불카드 금액을 상기 무선단말기 사용자의 계좌를 관리하는 금융계좌수단으로부터 상기 무선단말기로 충전을 수행하는 충전/환불 서버를 포함하는 충전/환불 시스템의 잔액조회 방법에 있어서,
    상기 무선단말기를 통해 상기 충전/환불서버에 접속하여 로그인을 수행하는 단계;
    상기 로그인 수행 후 상기 무선단말기로부터의 잔액조회메뉴 선택에 따라 상기 충전/환불서버가 상기 무선단말기로 잔액조회 요청메시지를 상기 무선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잔액조회 요청 메시지에 따라 상기 무선단말기가 상기 콤비카드를 활성화시키는 단계;
    상기 활성화된 콤비카드가 잔액관련 정보를 상기 무선단말기를 통해 상기 충전/환불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충전/환불서버가 상기 잔액관련정보를 검증하고 검증이 완료되면 현재 잔액정보 및 관련정보를 상기 무선단말기로 전송하여 상기 무선단말기가 수신된 정보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단말기를 이용한 선불카드 충전/환불 시스템의 잔액조회방법.
  23. 콤비카드가 내장된 무선단말기와 무선통신을 수행하는 무선망으로 접속되어 상기 무선단말기의 선불카드 잔액을 상기 무선단말기로부터 상기 무선단말기 사용자의 계좌를 관리하는 금융계좌수단으로 환불을 수행하는 충전/환불 서버를 포함하는 충전/환불 시스템의 환불방법에 있어서,
    상기 무선단말기로부터의 환불메뉴 선택에 따라 상기 콤비카드가 환불관련 데이터를 생성하고, 생성된 환불관련 데이터를 상기 무선단말기를 통해 상기 충전/환불 서버로 전송하여 환불을 요청하는 단계;
    상기 환불요청에 따라 상기 충전/환불 서버가 상기 환불관련 데이터를 검증하고 그에 따른 환불정보 데이터를 생성하고 생성된 환불정보 데이터를 상기 무선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무선단말기에 마련된 상기 콤비카드가 상기 환불정보 데이터를 검증하고, 잔액을 감소시키는 단계;
    상기 잔액감소 후 상기 콤비카드가 환불에 따른 환불 거래내역을 생성하고 상기 무선단말기를 통해 상기 충전/환불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충전/환불 서버가 상기 환불 거래내역을 검증하고 상기 금융계좌수단으로 계좌 잔액 증가 요청을 수행하는 단계;
    상기 계좌 잔액 증가 요청에 따라 상기 금융계좌수단이 상기 무선단말기 사용자의 계좌의 잔액을 증가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단말기를 이용한 선불카드 충전/환불 시스템의 환불방법.
  24.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환불명령은 환불금액 및 환불계좌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콤비카드는 상기 환불금액 및 환불계좌정보를 포함하여 상기 환불 요청 데이터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단말기를 이용한 선불카드 충전/환불 시스템의 환불방법.
  25.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환불명령에 환불금액 및/혹은 환불계좌정보가 포함되어 있지 않을 경우,
    상기 콤비카드는 미리 설정된 환불금액 및/혹은 환불계좌정보를 포함하여 상기 환불요청 데이터를 생성하거나 혹은 미리 설정된 환불 계좌로 모든 잔액을 환불하도록 하는 상기 환불요청 데이터를 셍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단말기를 이용한 선불카드 충전/환불 시스템의 환불방법.
  26. 제 24 항 또는 제 25 항에 있어서,
    상기 환불계좌정보는 상기 무선단말기의 번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단말기를 이용한 선불카드 충전/환불 시스템의 환불방법.
  27. 콤비카드가 내장하여 카드 단말기를 통해 충전/지불을 수행하는 무선단말기와 무선통신을 수행하는 무선망으로 접속되어 카드 단말기를 통한 충전/환불을 관리하는 선불정산서버를 이용하여 상기 무선단말기의 선불카드 잔액을 상기 무선단말기로부터 상기 무선단말기 사용자의 계좌를 관리하는 금융계좌수단으로 환불을 수행하는 충전/환불 서버를 포함하는 충전/환불 시스템의 환불방법에 있어서,
    상기 무선단말기로부터의 환불메뉴 선택에 따라 상기 콤비카드가 환불관련 데이터를 생성하고, 생성된 환불관련 데이터를 상기 무선단말기를 통해 상기 충전/환불 서버로 전송하여 환불을 요청하는 단계;
    상기 환불요청에 따라 상기 충전/환불 서버가 상기 환불요청 데이터를 검증하고 그에 따른 환불정보 데이터를 생성하고 생성된 환불정보 데이터를 상기 무선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무선단말기에 마련된 상기 콤비카드가 상기 환불정보 데이터를 검증하고, 잔액을 감소시키는 단계;
    상기 잔액감소 후 상기 콤비카드가 환불에 따른 환불 거래내역을 생성하고 상기 무선단말기를 통해 상기 충전/환불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충전/환불 서버가 상기 환불 거래내역을 검증하고 상기 선불정산서버로 정산을 요청하는 단계;
    상기 정산요청에 따라 상기 선불정산서버가 상기 금융계좌서버로 계좌 잔액 증가 요청을 수행하는 단계;
    상기 계좌 잔액 증가 요청에 따라 상기 금융계좌수단이 상기 무선단말기 사용자의 계좌의 잔액을 증가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단말기를 이용한 선불카드 충전/환불 시스템의 환불방법.
  28. 제 27 항에 있어서,
    상기 환불명령은 환불금액 및 환불계좌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콤비카드는 상기 환불금액 및 환불계좌정보를 포함하여 상기 환불요청 데이터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단말기를 이용한 선불카드 충전/환불 시스템의 환불방법.
  29. 제 27 항에 있어서,
    상기 환불명령에 환불금액 및/혹은 환불계좌정보가 포함되어 있지 않을 경우,
    상기 콤비카드는 미리 설정된 환불금액 및/혹은 환불계좌정보를 포함하여 상기 환불요청 데이터를 생성하거나 혹은 미리 설정된 환불 계좌로 상기 카드 단말기를 통해 충전한 모든 잔액을 환불하도록 하는 상기 환불요청 데이터를 셍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단말기를 이용한 선불카드 충전/환불 시스템의 환불방법.
  30. 제 28 항 또는 제 29 항에 있어서,
    상기 환불계좌정보는 상기 무선단말기의 번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단말기를 이용한 선불카드 충전/환불 시스템의 환불방법.
KR10-2003-0032483A 2003-05-22 2003-05-22 무선단말기를 이용한 선불카드 충전/환불 시스템 및방법과 이를 위한 무선단말기 KR10052902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32483A KR100529020B1 (ko) 2003-05-22 2003-05-22 무선단말기를 이용한 선불카드 충전/환불 시스템 및방법과 이를 위한 무선단말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32483A KR100529020B1 (ko) 2003-05-22 2003-05-22 무선단말기를 이용한 선불카드 충전/환불 시스템 및방법과 이를 위한 무선단말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100217A true KR20040100217A (ko) 2004-12-02
KR100529020B1 KR100529020B1 (ko) 2005-11-16

Family

ID=373776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32483A KR100529020B1 (ko) 2003-05-22 2003-05-22 무선단말기를 이용한 선불카드 충전/환불 시스템 및방법과 이를 위한 무선단말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29020B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03032B1 (ko) * 2009-09-21 2012-01-06 주식회사 티모넷 스마트카드에 내장된 충전잔액 자동충전 시스템 및 그 방법
WO2014017742A1 (ko) * 2012-07-24 2014-01-30 주식회사 한국스마트카드 신용카드 선승인 충전을 이용한 선불 모바일 전자화폐 사용금액의 신용결제 방법
WO2015021336A1 (en) * 2013-08-07 2015-02-12 Lu Dat The Methods and systems for top-up
KR20170005261A (ko) * 2015-07-02 2017-01-12 주식회사 우리은행 스마트 기기를 이용한 선불카드 충전 시스템, 스마트 기기를 이용한 선불카드 충전 및 환불 방법
US9894216B2 (en) 2013-08-07 2018-02-13 Miltech Platform, Inc. Methods and systems for telecommunication messaging and real-time replenishment systems
CN111951001A (zh) * 2020-08-20 2020-11-17 艾体威尔电子技术(北京)有限公司 一种预付卡管理系统
KR20210012973A (ko) * 2019-07-24 2021-02-03 주식회사 핑거 페이 서비스 플랫폼 시스템 및 그를 이용한 페이 서비스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11833B1 (ko) 2006-04-24 2008-03-10 주식회사 한국스마트카드 요금 충전 방법, 요금 충전 시스템, 서비스 이용 단말기 및충전/정산 센터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03032B1 (ko) * 2009-09-21 2012-01-06 주식회사 티모넷 스마트카드에 내장된 충전잔액 자동충전 시스템 및 그 방법
WO2014017742A1 (ko) * 2012-07-24 2014-01-30 주식회사 한국스마트카드 신용카드 선승인 충전을 이용한 선불 모바일 전자화폐 사용금액의 신용결제 방법
WO2015021336A1 (en) * 2013-08-07 2015-02-12 Lu Dat The Methods and systems for top-up
US9432525B2 (en) 2013-08-07 2016-08-30 Dat The Lu Methods and systems for top-up
US9894216B2 (en) 2013-08-07 2018-02-13 Miltech Platform, Inc. Methods and systems for telecommunication messaging and real-time replenishment systems
KR20170005261A (ko) * 2015-07-02 2017-01-12 주식회사 우리은행 스마트 기기를 이용한 선불카드 충전 시스템, 스마트 기기를 이용한 선불카드 충전 및 환불 방법
KR20210012973A (ko) * 2019-07-24 2021-02-03 주식회사 핑거 페이 서비스 플랫폼 시스템 및 그를 이용한 페이 서비스 방법
CN111951001A (zh) * 2020-08-20 2020-11-17 艾体威尔电子技术(北京)有限公司 一种预付卡管理系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29020B1 (ko) 2005-11-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52840B1 (ko) 정보 처리 서버, 정보 처리 방법, 정보 처리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 휴대 단말기, 휴대형 컴퓨터에 의한 정보 처리 방법, 및 휴대 단말기용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
US20100211491A1 (en) Universal mobile electronic commerce
US20020073024A1 (en) System and methods of using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s to conduct financial transactions
WO2008048559A2 (en) Method and system for value transfer betwen mobile-phone users
KR100529020B1 (ko) 무선단말기를 이용한 선불카드 충전/환불 시스템 및방법과 이를 위한 무선단말기
KR101101173B1 (ko) 계좌를 이용한 결제 중계 방법
KR20010046972A (ko) 휴대전화기용 무선주파수 신용카드 시스템 및 신용카드결제방법
KR101052775B1 (ko) 탄소배출권 처리 방법 및 시스템
KR20180088342A (ko) 간편 무선 결제를 위한 정보 등록 방법
KR20000074248A (ko) 전자카드의 충전 금액 과금 방법
KR101140910B1 (ko) 이종 네트워크 환경에서 융합 통신 플랫폼과 모바일 및 전자 상거래 방법
KR20160128952A (ko) 무선 결제를 위한 결제수단 등록 방법
KR100551559B1 (ko) 교통 이용 요금 결제용 교통 상품권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101111298B1 (ko) 무선요금 처리 서버와 무선요금 정산처리 서버
KR20090091893A (ko) 가맹점 결제 방법과 이를 위한 밴사 서버, 결제처리 서버및 기록매체
KR20050024655A (ko) 무선 선불카드 충전방법 및 시스템
KR20100098853A (ko) 탄소 배출량 산출방법과 이를 위한 기록매체
KR20050061009A (ko) 휴대폰으로의 전자화폐 자동충전방법 및 그 휴대폰
KR20040093582A (ko) 모바일 지불결제 장치, 이를 구비한 이동통신 시스템 및모바일 지불결제 방법
KR100981067B1 (ko) 브이오아이피 단말을 통한 온라인 티켓 예약(또는 예매) 방법 및 시스템
KR100975550B1 (ko) 온라인 전자화폐 충전금액 납부 방법 및 시스템
KR100876596B1 (ko) 카드 단말기
KR20200133196A (ko) 무선 간편 결제를 위한 정보 등록 방법
KR20090081931A (ko) 카드단말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제휴 가맹점 관련 카드 운용방법과 그 기록매체
KR100955615B1 (ko) 브이오아이피 단말과 통신 연결된 서버의 온라인 전자화폐 충전 방법 및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1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3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28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30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30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30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15

Year of fee payment: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