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61592B1 - A ball control apparatus for a Pachinko machine - Google Patents

A ball control apparatus for a Pachinko machin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61592B1
KR100561592B1 KR1019990007652A KR19990007652A KR100561592B1 KR 100561592 B1 KR100561592 B1 KR 100561592B1 KR 1019990007652 A KR1019990007652 A KR 1019990007652A KR 19990007652 A KR19990007652 A KR 19990007652A KR 100561592 B1 KR100561592 B1 KR 10056159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ad
pachinko
beads
passage
sens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07652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00059795A (en
Inventor
후쿠시마세이이치로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산요붓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산요붓산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산요붓산
Priority to KR10199900076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61592B1/en
Publication of KR200000597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59795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615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61592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7/00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e.g. balls, discs or blocks
    • A63F7/02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e.g. balls, discs or blocks using falling playing bodies or playing bodies running on an inclined surface, e.g. pinball games
    • A63F7/022Pachinko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Pinball Game Machi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파친코 구슬의 흐름을 임의로 제어하는 파친코기용 구슬제어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파친코기용 구슬제어장치는, 전동식 구슬이동수단에 의해 대기 포인트로부터 릴리스 포인트까지 파친코 구슬을 이동시킴으로써 파친코 구슬의 흐름을 제어하도록 한 파친코기용 구슬제어장치에 있어서, 상기 전동식 구슬이동수단의 제어에 사용하는 센서를 상기 대기 포인트의 바로 뒤에 설치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achinko beads bead controller for arbitrarily controlling the flow of pachinko beads, the pachinko beads bead control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by moving the pachinko beads from the standby point to the release point by the electric bead moving means of the pachinko beads In the bead control device for pachinko corgi to control the flow, 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sensor used for the control of the electric bead moving means is installed immediately behind the standby point.

Description

파친코기용 구슬제어장치{A ball control apparatus for a Pachinko machine}A ball control apparatus for a Pachinko machine

도 1은 파친코기용 구슬제어장치의 종단측면도.1 is a longitudinal side view of the bead control device for pachinkogi.

도 2는 구슬 바퀴가 도 1의 상태로부터 60°회전한 상태를 나타내는 종단측면도.Figure 2 is a longitudinal sid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bead wheel rotated 60 ° from the state of Figure 1;

도 3은 파친코기용 구슬제어장치의 사시도.3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bead control device for pachinkogi.

도 4는 파친코기용 구슬제어장치의 종단정면도.Figure 4 is a longitudinal sectional front view of the bead control device for pachinkogi.

도 5는 파친코기용 구슬제어장치의 분해사시도.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bead control device for pachinko corgi.

도 6은 파친코기의 배면도.6 is a rear view of the pachinkogi.

도 7은 종래의 장치를 나타내는 종단측면도.7 is a longitudinal sectional side view showing a conventional apparatus.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for main parts of the drawings

6 : 파친코기용 구슬제어장치6: bead controller for pachinkogi

10 : 전동식 구슬이동수단10: electric marble moving means

14 : 센서14: sensor

본 발명은 파친코 구슬의 흐름을 임의로 제어하는 파친코기용 구슬제어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ead controller for pachinko nose to arbitrarily control the flow of pachinko beads.

종래의 파친코기용 구슬제어장치(100)로서는, 예를 들어, 일본국 공개특허공고 평5-345069호 공보에 기재된 것이 있다(도 7 참조). 이 파친코기용 구슬제어장치(100)는, 케이스체(101)에 설치한 구슬 통로(102)와, 초승달 모양의 클로(claw)를 동일 간격(120°간격)으로 돌출 설치하는 동시에 그 클로를 상기 구슬 통로(102)내에 위치시키도록 한 구슬 바퀴(103)와, 그 구슬 바퀴(103)를 회전시키는 스테핑(stepping) 모터(도시 생략)와, 상기 구슬 바퀴(103)의 회전을 검지하는 구슬 바퀴 센서(104)와, 파친코 구슬의 통과(방출)를 확인하기 위한 구슬 통과 센서(105)로 이루어진다. 이 파친코기용 구슬제어장치(100)는 스테핑 모터와 구슬 바퀴(103)가 전동식 구슬이동수단을 구성하고 있는 것으로, 구슬 통로(102)내의 대기(待機) 포인트(point)에 구슬 바퀴(103)의 클로에 의해 파친코 구슬의 이동을 정지시키고, 그 대기 포인트에 있는 파친코 구슬을 구슬 바퀴(103)의 회전으로 이동시키며, 구슬 바퀴(103)가 구슬 통로(102)로부터 물러나는 릴리스(release) 포인트에서 파친코 구슬을 방출시킨다. 또한, 상기 전동식 구슬이동수단은 구슬 바퀴 센서(104)의 검지 신호에 의해 제어된다.As a conventional pachinko corrugated ball control device 100, there exist some which were described, for example in Unexamined-Japanese-Patent No. 5-345069 (refer FIG. 7). The bead controller 100 for pachinko corgi protrudes and installs the bead passage 102 and the crescent-shaped claws at the same intervals (120 ° intervals) provided in the case body 101. A bead wheel 103 positioned in the bead passage 102, a stepping motor (not shown) for rotating the bead wheel 103, and a bead wheel for detecting rotation of the bead wheel 103; It consists of a sensor 104 and a bead passing sensor 105 for confirming the passage (release) of pachinko beads. The bead controller 100 for the pachinko corgi is a stepping motor and the bead wheel 103 constitute an electric bead moving means, the bead wheel 103 of the bead passage 102 in the atmosphere point in the bead passage 102 Stops the movement of the pachinko beads by the claw, moves the pachinko beads at the standby point to the rotation of the bead wheel 103, and at the release point the bead wheel 103 withdraws from the bead passageway 102 Release the beads. In addition, the electric bead moving means is controlled by the detection signal of the bead wheel sensor (104).

상기와 같이 파친코기용 구슬제어장치(100)에는, 상기 구슬 바퀴 센서(104) 이외에, 파친코 구슬의 통과를 확인하는 구슬 통과 센서(105)가 구슬 통로(102)의 종단(終端)에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다수의 센서가 있는 만큼, 당연히 부품 및 조립의 비용이 높다.In the bead controller 100 for pachinko nose as described above, in addition to the bead wheel sensor 104, a bead passage sensor 105 for checking the passage of the pachinko beads is provided at the end of the bead passage 102. Therefore, as many sensors exist, the costs of parts and assembly are naturally high.

본 발명은 상기를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전동식 구슬이동수단에 의해 대기 포인트로부터 릴리스 포인트까지 파친코 구슬을 이동시킴으로써 파친코 구슬의 흐름을 제어하도록 한 파친코기용 구슬제어장치에 있어서, 상기 전동식 구슬이동수단의 제어에 사용하는 센서를 상기 대기 포인트의 바로 뒤에 설치하도록 한 파친코기용 구슬제어장치를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view of the above, in the bead control device for pachinkogi to control the flow of the pachinko beads by moving the pachinko beads from the standby point to the release point by the electric bead moving means, A bead controller for pachinkogi is provided so that a sensor to be used for control is installed immediately after the standby point.

본 발명의 파친코기용 구슬제어장치는 대기 포인트로부터 이동하기 시작한 파친코 구슬을 센서에 의해 검출하여 전동식 구슬이동수단을 제어한다. 따라서, 전동식 구슬이동수단의 제어를 정확한 타이밍으로 행할 수 있고, 상기에 의해 검출된 파친코 구슬은 확실하게 릴리스되기 때문에 센서의 검지 신호가 파친코 구슬의 방출 확인 신호로도 된다. 따라서, 종래의 구슬 바퀴 센서(104)와 구슬 통과 센서(105)를 1개의 센서로 대용할 수 있다.The pachinko kogi beads control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detects the pachinko beads started to move from the standby point by the sensor to control the electric marble moving means. Therefore, the electric bead moving means can be controlled at an accurate timing, and the pachinko beads detected by the above are released reliably, so that the detection signal of the sensor may be the release confirmation signal of the pachinko beads. Therefore, the conventional bead wheel sensor 104 and the bead passing sensor 105 can be substituted by one sensor.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또한, 도 1은 파친코기용 구슬제어장치의 종단측면도, 도 2는 구슬 바퀴가 도 1의 상태로부터 60°회전한 상태를 나타내는 종단측면도, 도 3은 파친코기용 구슬제어장치의 사시도, 도 4는 파친코기용 구슬제어장치의 종단정면도, 도 5는 파친코기용 구슬제어장치의 분해 사시도, 도 6은 파친코기의 배면도, 도 7은 종래의 구슬제어장치를 나타내는 종단측면도이다.EMBODIMENT OF THE INVENTION Hereinafter, embodiment of this invention is described, referring drawings. 1 is a longitudinal side view of the bead control device for pachinkogi, FIG. 2 is a longitudinal sid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bead wheel is rotated 60 ° from the state of FIG. 1, FIG. 3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bead control device for the pachinko corgi, FIG. 4 is a pachinko Fig. 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bead controller for a pachinko corgi, Fig. 6 is a rear view of a pachinko corgi, and Fig. 7 is a longitudinal side view showing a conventional bead controller.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파친코기(P)는 앞틀(1)의 뒤쪽에 유기판(2)을 통하여 기구판(3)을 부착시키고 있고, 그 기구판(3)에는, 위쪽으로부터 차례로, 파친코 구슬을 저장하는 구슬 탱크(4), 이 구슬 탱크(4)의 파친코 구슬을 하류로 유도하는 통 형태인 전후 2열(列)의 구슬공급수단(5a, 5b), 이 구슬공급수단(5a, 5b)의 종단에 연결되는 파친코기용 구슬제어장치(6), 이 파친코기용 구슬제어장치(6)로부터 배출되는 파친코 구슬의 유로(流路)가 되는 구슬 배출통(7) 등이 설치되어 있다.As shown in FIG. 6, the pachinkogi P is attached to the back of the front frame 1 via the organic plate 2 through the organic plate 2, and the pachinko 3 is sequentially placed from the top side to the pachinko. A bead tank (4) for storing beads, bead supply means (5a, 5b) in two rows before and after in the form of a tub that leads the pachinko beads of the bead tank (4) downstream; A pachinko cork bead control device 6 connected to the end of 5b), a bead discharge container 7 serving as a channel of the pachinko beads discharged from the pachinko cork beads control device 6, and the like are provided.

이 파친코기용 구슬제어장치(6)는, 도 5의 분해 사시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스테핑 모터 등의 구동수단(8)과 구슬제어용 회전체(9)로 이루어진 전동식 구슬이동수단(10), 배선 기반(11), 코넥터(12), 케이스체(13), 및 후술하는 센서(14) 등으로 구성된다. 케이스체(13)는 구동수단(8) 또는 구슬제어용 회전체(9) 등의 기능 부품을 집중 설치한 중앙 플레이트(13a)가 중핵을 이루고, 그 중앙 플레이트(13a)의 둘레를 뒷부분 커버(13b), 통로측 사이드 커버(13c), 통로측 프론트 커버(13d), 모터측 커버(13e)로 둘러싼 구성이다. 중앙 플레이트(13a)와 각 커버(13b∼13e)는 나사에 의해 고정되고, 각 커버(13b∼13e)끼리도 모터측 커버(13e)와 뒷부분 커버(13b)를 제외하고 나사로 연결되어 있다. 모터측 커버(13e)와 뒷부분 커버(13b)는 모터측 커버(13e)의 클로(claw)편(片)(15, 15)과 뒷부분 커버(13b)의 결합구멍(16, 16)과의 결합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 또한, 모터측 커버(13e)에는, 상하면에 다수의 방열(放熱)구멍(17)과, 코넥터(12)용의 접속구멍(18)이 뚫려 있다.As shown in the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FIG. 5, this pachinko corrugated marble control device 6 includes a motorized marble moving means 10 consisting of a driving means 8, such as a stepping motor, and a rotating body 9 for controlling beads, and a wiring base. (11), the connector 12, the case body 13, the sensor 14 mentioned later, etc. are comprised. As for the case body 13, the center plate 13a which concentrated the functional parts, such as the drive means 8 or the bead control rotating body 9, forms a core, and the circumference | surroundings of the center plate 13a cover the rear part 13b. ), The passage side side cover 13c, the passage side front cover 13d, and the motor side cover 13e. The center plate 13a and the covers 13b to 13e are fixed by screws, and the covers 13b to 13e are also connected by screws except for the motor side cover 13e and the rear cover 13b. The motor side cover 13e and the rear cover 13b are engaged with the claw pieces 15 and 15 of the motor side cover 13e and the engaging holes 16 and 16 of the rear cover 13b. Connected by In addition, a plurality of heat dissipation holes 17 and connection holes 18 for the connector 12 are drilled through the motor side cover 13e.

상기 중앙 플레이트(13a), 뒷부분 커버(13b), 통로측 사이드 커버(13c), 통로측 프론트 커버(13d)의 4가지 부재에 의해, 케이스체(13)에 구슬 통로(19)가 형성된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 구슬 통로(19)는 2열의 구슬공급수단(5a, 5b)에 연통(連通)하는 것으로, 상단(上段)이 2열의 유입통로(19a, 19b), 중단(中段)이 구슬단절통로(19c), 하단(下段)이 공통 배출통로(19d)이다.A bead passage 19 is formed in the case body 13 by the four members of the center plate 13a, the rear cover 13b, the passage side side cover 13c, and the passage side front cover 13d. As shown in Fig. 1, this bead passage 19 communicates with two rows of bead supply means 5a, 5b, the upper end of which has two rows of inflow passages 19a, 19b, which are suspended. ) Is a bead disconnect passage (19c), the lower end is a common discharge passage (19d).

구슬 통로(19)의 중단(中段)의 구슬단절통로(19c)에는 상기 구슬제어용 회전체(9)가 위치하고 있다. 이 구슬제어용 회전체(9)는, 둥근 축 형상의 몸통부(9c) 외주에 120°간격으로 3개의 클로(9d, 9d, 9d)를 돌출 설치하여 이루어진 제1 구슬 바퀴(9a)와, 그 제1 구슬 바퀴와 동일한 형상의 제2 구슬 바퀴(9b)를 병설하여 구성된다. 제1 및 제2 구슬 바퀴(9a, 9b)는 서로의 클로(9d)가 60°어긋나 있어, 제1 구슬 바퀴(9a)의 클로(9d)가 Y자 상태이면, 제2 구슬 바퀴(9b)의 클로(9d)가 역Y자 상태로 된다. 그리고, 구슬제어용 회전체(9)는 구동수단(8)의 구동축(8a)에 직결되어 있어, 그 구동축(8a)이 60°회전할 때마다 상기 Y자 상태와 역Y자 상태가 교대로 교체된다.The bead control rotating body 9 is located in the bead disconnect passage 19c of the middle of the bead passage 19. This bead control rotating body 9 includes a first bead wheel 9a formed by protruding three claws 9d, 9d, and 9d at 120 ° intervals on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round shaft-shaped body portion 9c, and A second bead wheel 9b having the same shape as the first bead wheel is provided in parallel. When the claws 9d of the 1st and 2nd bead wheels 9a and 9b mutually shift | deviate 60 degrees, and the claws 9d of the 1st bead wheel 9a are Y-shaped, the 2nd bead wheels 9b The claw 9d is in the inverted Y shape. And the ball control rotor 9 is directly connected to the drive shaft 8a of the drive means 8, and the Y-shape and the reverse Y-shape alternate with each other when the drive shaft 8a rotates by 60 degrees. do.

상기 클로(9d, 9d, …)의 형상은 초승달 모양으로서, 중간측이 파친코 구슬의 구슬면에 들어맞는 오목한 활 형상이고, 반대인 뒤쪽이 볼록한 활 형상이다. 양 구슬 바퀴(9a, 9b)는 각각 유입통로(19a, 19b)의 바로 아래에 배치되어 있다.The shapes of the claws 9d, 9d, ... are crescent shaped, with a concave bow shape in which the middle side fits into the bead face of the pachinko beads, and a bow shape with a convex back side opposite. Both bead wheels 9a and 9b are disposed just below the inflow passages 19a and 19b, respectively.

이 파친코기용 구슬제어장치(6)는, 먼저, 도 4에서 볼 수 있는 비와 같이, 유입통로(19a)의 선두에 있는 파친코 구슬이 제1 구슬 바퀴(9a)의 2개의 클로(9d, 9d) 사이에 위치하고, 유입통로(19b)의 선두에 있는 파친코 구슬이 제2 구슬 바퀴(9b)의 클로(9d)의 선단(先端) 상면에 얹혀 정지하도록 되어 있다. 이 상태에서 구동수단(8)의 구동축(8a)을 도 1에서 시계반대방향으로 60°회전시키면, 제1 구슬 바퀴(9a)측의 파친코 구슬이 2개의 클로(9d, 9d) 사이에 위치하여 이동되고,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클로(9d)의 뒤쪽에서 저지된 상태로 되어 구슬단절통로(19c)의 도중의 대기 포인트에 멈춘다. 그리고, 제1 구슬 바퀴(9a)를 시계반대방향으로 더 60°회전시키면, 클로(9d)가 구슬단절통로(19c)로부터 물러나기 때문에 그곳이 릴리스 포인트로 되고(도 1의 점선으로 표시된 파친코 구슬(B) 참조), 파친코 구슬이 유도판(20, 20)으로 안내되어 양 구슬 바퀴(9a, 9b)의 중간점으로 향하는 진로를 취하면서 공통 배출통로(19d)의 중앙으로 낙하한다. 이때, 유입통로(19a)에 있는 다음의 파친코 구슬은 2개의 클로(9d, 9d)의 사이에 수용된다.This pachinko nose bead controller 6, first, as shown in Figure 4, the pachinko beads at the head of the inflow passage (19a) is two claws (9d, 9d) of the first bead wheel (9a) ), And the pachinko beads at the head of the inflow passage 19b are placed on the top surface of the tip of the claw 9d of the second bead wheel 9b to stop. In this state, when the drive shaft 8a of the drive means 8 is rotated 60 degrees counterclockwise in FIG. 1, the pachinko beads on the side of the first bead wheel 9a are positioned between the two claws 9d and 9d. As shown in FIG. 2, it stops behind the claw 9d and stops at the waiting point in the middle of the bead disconnection path 19c. Then, if the first bead wheel 9a is rotated further by 60 ° counterclockwise, the claw 9d is withdrawn from the bead disconnect passage 19c, whereby it becomes a release point (Pachinko beads indicated by the dotted line in Fig. 1). (B)), the pachinko beads are guided to the guide plates 20, 20 and fall to the center of the common discharge passage 19d, taking the course toward the midpoint of both bead wheels 9a, 9b. At this time, the next pachinko beads in the inflow passage 19a are accommodated between the two claws 9d and 9d.

이와 같이 하여, 제1 구슬 바퀴(9a)는 120°회전할 때마다 공통 배출통로(19d)에 대하여 파친코 구슬을 1개씩 방출한다. 한편, 옆의 제2 구슬 바퀴(9b)는 제1 구슬 바퀴(9a)보다 60°늦게 회전하기 때문에, 결국, 구슬제어용 회전체(9)가 60°회전될 때마다 양 구슬 바퀴(9a, 9b)가 교대로 파친코 구슬을 1개씩 방출하게 된다. 따라서, 예를 들어, 통상의 7개용 및 13개용의 입상신호, 또는 입상구로서 25개를 방출하는 입상구 신호에 대하여 구동축(8a)(구슬제어용 회전체(9))을 (60×방출구의 수)°로 회전시키는 것이 좋다.In this manner, each time the first bead wheel 9a rotates 120 °, one pachinko ball is discharged with respect to the common discharge passage 19d. On the other hand, since the next second bead wheel 9b rotates 60 ° later than the first bead wheel 9a, both bead wheels 9a and 9b each time the bead control rotor 9 is rotated 60 °. ) Alternately release one Pachinko ball. Thus, for example, the drive shaft 8a (bead control rotating body 9) is set to (60 × outlet) with respect to seven ordinary and thirteen granular signals, or a granular spout signal that emits 25 as a granular ball. It is recommended to rotate it by several degrees.

따라서, 본 발명의 파친코기용 구슬제어장치(6)는 전동식 구슬이동수단(10)을 제어하기 위해 사용하는 1개의 센서(14)를 가진다. 이 센서(14)는 발광(發光)소자(14a)와 수광(受光)소자(14b)를 대향시킨 공지의 것이고, 구슬 통로(19)의 대기 포인트와 릴리스 포인트의 중간 위치로서, 대기 포인트의 바로 뒤에 설치되어 있어, 발광소자(14a)의 광선이 구슬단절통로(19c)를 횡단하여 수광소자(14b)에 입사(入射)하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대기 포인트에 있는 파친코 구슬이 구슬단절통로(19c)를 통과하여 릴리스 포인트로 이동하면, 대기 포인트를 나온 파친코 구슬에 의해 발광소자(14a)의 광선이 차단되기 때문에, 그 변화가 파친코 구슬의 검출 신호로 된다. 이 검출 신호를 사용하여 전동식 구슬이동수단(10)을 제어하면, 즉, 구동수단(8)(스테핑 모터)에 브레이크를 걸면, 구슬제어용 회전체(9)를 소정의 위치에서 정확하게 정지시킬 수 있다.Therefore, the bead controller 6 for pachinko corgi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one sensor 14 used for controlling the electric bead moving means 10. The sensor 14 is a well-known one in which the light emitting element 14a and the light receiving element 14b are opposed to each other. The sensor 14 is an intermediate position between the waiting point and the release point of the bead passage 19. It is provided later, and the light ray of the light emitting element 14a enters the light receiving element 14b across the bead disconnection path 19c. Therefore, when the pachinko beads at the standby point move to the release point through the bead disconnect passage 19c as described above, since the light of the light emitting element 14a is blocked by the pachinko beads exiting the standby point, the change is It is a detection signal of pachinko beads. By using the detection signal to control the electric bead moving means 10, that is, by applying a brake to the driving means 8 (stepping motor), the bead control rotating body 9 can be stopped accurately at a predetermined position. .

즉, 도 7에 나타낸 종래의 구슬 통과 센서(105)에 의해 전동식 구슬이동수단을 제어하도록 하면, 대기 포인트로부터 늦어진 위치에 있는 릴리스 포인트를 파친코 구슬이 통과하고 나서 검출 신호가 보내지기 때문에, 전동식 구슬이동수단의 정지 타이밍이 대폭으로 지연되는 결점이 발생한다. 그러한 결점을 해소하기 위해서는, 예를 들어, 방출 예정 구슬의 수 n개에 대하여 (n-1)개째의 파친코 구슬을 구슬 통과 센서(105)가 검출한 시점에서 전동식 구슬이동수단을 정지시키는 것과 같은 수단을 소프트웨어 면에서 강구하게 되지만, 그러한 경우에는 제어 프로그램이 복잡해진다는 또 다른 문제가 발생한다.That is, when the electric marble moving means is controlled by the conventional marble passing sensor 105 shown in Fig. 7, the detection signal is sent after the pachinko marble passes through the release point at a position delayed from the standby point. The drawback arises in that the stopping timing of the vehicle is significantly delayed. In order to solve such a defect, for example, stopping the electric bead moving means at the time when the bead passing sensor 105 detects the (n-1) th pachinko beads with respect to the number n of the scheduled beads to be released. While the means are sought in software, in that case another problem arises that the control program is complicated.

또한, 본 발명에서 센서(14)를 배치하는 「대기 포인트의 바로 뒤」라는 개념에는, 예를 들어, 구동수단(8)의 브레이크 성능에 따라 어느 정도의 폭이 있다. 즉, 센서(14)가 파친코 구슬을 검지하여 구동수단(8)의 브레이크가 기능을 발휘할 때까지의 시간이 길면, 대기 포인트와 센서(14)의 거리는 한없이 「0」에 가까워져야만 하고, 반대로, 구동수단(8)의 브레이크가 기능을 발휘할 때까지의 시간이 짧으면, 대기 포인트와 센서(14) 사이에 다소의 거리가 있어도 좋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cept of "just after the waiting point" in which the sensor 14 is disposed has a certain width depending on the brake performance of the driving means 8, for example. That is, if the time until the sensor 14 detects the pachinko ball and the brake of the drive means 8 is functioning is long, the distance between the standby point and the sensor 14 should be close to "0" without limit. If the time until the brake of the drive means 8 becomes functional is short, there may be some distance between the standby point and the sensor 14.

이상,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해서 설명했으나, 물론, 본 발명이 상기의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실시형태에서는, 2열로 되어 있는 유입통로(19a, 19b)로부터 파친코 구슬을 교대로 1개씩 릴리스 포인트로 보내도록 했으나, 파친코 구슬의 열수(列數)는 1열 이상의 몇 열(列)이라도 상관없다. 또한, 실시형태에서는 전동식 구슬이동수단(10)을 스테핑 모터와 구슬 바퀴(9)의 조합으로 했으나, 솔레노이드 등의 전기적인 구동수단을 사용하여 파친코 구슬을 릴리스 포인트로 보내는 것이라면 어떠한 구조를 채용해도 상관없다. 물론, 실시형태에서 나타낸 광학식의 센서(14)는 하나의 예시로서, 마이크로스위치, 근접 스위치, 등 그 이외의 형식이어도 좋다. 또한, 실시형태에서는 파친코기용 구슬제어장치(6)를 경품구(景品球) 또는 대출구를 방출하는 용도에 사용했으나, 그러한 용도에 한정될 필요는 없고, 예를 들어, 입상구 처리장치(21)(도 6 참조)로서 사용하도록 할 수도 있다.As mentioned above, although embodiment of this invention was described, of course, this invention is not limited to said embodiment. For example, in the embodiment, the pachinko beads are alternately sent to the release points from the inflow passages 19a and 19b in two rows, but the pachinko beads have several rows of one or more rows. ) Does not matter. Further, in the embodiment, the electric bead moving means 10 is a combination of the stepping motor and the bead wheel 9, but any structure may be employed as long as the pachinko bead is sent to the release point using an electric driving means such as a solenoid. none. Of course, the optical sensor 14 shown in embodiment may be a form other than a micro switch, a proximity switch, etc. as an example. Further, in the embodiment, the pachinko corgi ball control device 6 is used for the use of releasing a prize ball or a loan port, but it is not necessary to be limited to such a use. For example, the granular ball processing device 21 ) (See FIG. 6).

본 발명의 파친코기용 구슬제어장치는, 대기 포인트로부터 이동하기 시작한 파친코 구슬을 센서에 의해 검출하여 전동식 구슬이동수단을 제어하도록 하였기 때문에, 전동식 구슬이동수단의 제어가 정확한 타이밍으로 행해지고, 상기에 의해 검출된 파친코 구슬은 확실하게 릴리스되기 때문에 센서의 검지 신호가 파친코 구슬의 방출 확인 신호로도 된다. 따라서, 전동식 구슬이동수단의 제어와 파친코 구슬의 방출 확인을 1개의 센서에 의해 정확하고 확실하게 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종래, 구슬 통로의 종단에 설치되어 있던 구슬 통과 센서가 불필요하게 되기 때문에, 그만큼을 삭감함으로써 세로 치수를 짧게 축소시키는 것이 가능하다.Since the pachinko bead control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detects pachinko beads that have started to move from the standby point by using a sensor to control the electric bead moving means, the control of the electric bead moving means is performed at an accurate timing, and the detection is performed as described above. Since the pachinko beads are released reliably, the detection signal of the sensor may be a confirmation signal of the release of the pachinko beads. Therefore, there is an effect that the control of the electric bead moving means and the release confirmation of the pachinko beads can be accurately and surely performed by one sensor. In addition, since the bead passing sensor conventionally provided at the end of the bead passage becomes unnecessary, it is possible to shorten the vertical dimension by reducing the amount.

Claims (1)

복수 열의 유입통로로부터 구슬단절통로를 거쳐 1열의 공통 배출통로를 통해 구슬을 1개씩 배출하도록 된 파친코기용 구슬제어장치에서, 전동식 구슬이동수단에 의해 상기 구슬단절통로 도중의 대기 포인트로부터 릴리스 포인트까지 파친코 구슬을 이동시킴으로써 파친코 구슬의 흐름을 제어하도록 한 파친코기용 구슬제어장치에 있어서, In the pachinko corgi ball control device to discharge the beads one by one through a common discharge passage in a row through a bead disconnect passage from a plurality of rows of inflow passage, the pachinko from the standby point to the release point during the bead disconnect passage by an electric bead moving means In the bead controller for pachinkogi to control the flow of pachinko beads by moving the beads, 상기 전동식 구슬이동수단의 제어에 사용하는 센서를, 상기 대기 포인트의 바로 뒤, 상기 대기 포인트와 상기 릴리스 포인트의 중간 위치에 1개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친코기용 구슬제어장치.A bead controller for a pachinko corgi, characterized in that one sensor used for controlling the electric bead moving means is provided immediately after the standby point at an intermediate position between the standby point and the release point.
KR1019990007652A 1999-03-09 1999-03-09 A ball control apparatus for a Pachinko machine KR100561592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07652A KR100561592B1 (en) 1999-03-09 1999-03-09 A ball control apparatus for a Pachinko machin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07652A KR100561592B1 (en) 1999-03-09 1999-03-09 A ball control apparatus for a Pachinko machin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59795A KR20000059795A (en) 2000-10-05
KR100561592B1 true KR100561592B1 (en) 2006-03-20

Family

ID=417435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07652A KR100561592B1 (en) 1999-03-09 1999-03-09 A ball control apparatus for a Pachinko machin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61592B1 (en)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462182A (en) * 1987-12-28 1989-03-08 Akuto Giken Kk Stopper for balls in pinball machine
JPH06105955A (en) * 1992-09-25 1994-04-19 Sophia Co Ltd Pachinko ball discharge device
JPH06142318A (en) * 1992-11-12 1994-05-24 Sophia Co Ltd Game ball discharger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462182A (en) * 1987-12-28 1989-03-08 Akuto Giken Kk Stopper for balls in pinball machine
JPH06105955A (en) * 1992-09-25 1994-04-19 Sophia Co Ltd Pachinko ball discharge device
JPH06142318A (en) * 1992-11-12 1994-05-24 Sophia Co Ltd Game ball discharg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59795A (en) 2000-10-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61592B1 (en) A ball control apparatus for a Pachinko machine
JPH0566157B2 (en)
US6626435B1 (en) Automatic Pai Gow table system
JP3627250B2 (en) Pachinko ball release device
JP4300552B2 (en) Game machine
JP2002346149A (en) Ball putting out device of pachinko game machine
JPH05309172A (en) Pachinko game ball discharge device
JP2003038798A (en) Pachinko game machine
JP2000202121A (en) Ball controller for pachinko machine
JP2001079236A (en) Game machine
JPH10118279A (en) Prize ball discharger for pachinko machine
JP3859980B2 (en) Game equipment ball payout device
JP3760772B2 (en) Pachinko ball release device
JPH0241027Y2 (en)
JP4214545B2 (en) Game machine
JP3438226B2 (en) Pachinko ball release device
JP3891779B2 (en) Game machine
JP2001087510A (en) Game machine
JP3413835B2 (en) Pachinko ball release device
JP3006439U (en) Separation winning device
JP2501593Y2 (en) Award winning device for pachinko machines
JP3869159B2 (en) Game ball dispensing device
JP3386054B2 (en) Pachinko ball release device
JP4509365B2 (en) Ball dispensing device
JP3403158B2 (en) Game machin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