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61352B1 - 차량용 윈도우 차폐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용 윈도우 차폐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61352B1
KR100561352B1 KR1020030076279A KR20030076279A KR100561352B1 KR 100561352 B1 KR100561352 B1 KR 100561352B1 KR 1020030076279 A KR1020030076279 A KR 1020030076279A KR 20030076279 A KR20030076279 A KR 20030076279A KR 100561352 B1 KR100561352 B1 KR 10056135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ielding film
shielding
case
vehicle
cover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762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03959A (ko
Inventor
서춘미
Original Assignee
서춘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춘미 filed Critical 서춘미
Publication of KR200500039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0395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613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6135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11/00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or parts of vehicles, e.g. parking covers
    • B60J11/02Covers wound on rollers
    • B60J11/025Covers wound on rollers specially adapted for covering vehicle parts, e.g. for doors, windows or windscree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11/00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or parts of vehicles, e.g. parking covers
    • B60J11/06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or parts of vehicles, e.g. parking covers for covering only specific parts of the vehicle, e.g. for doors
    • B60J11/08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or parts of vehicles, e.g. parking covers for covering only specific parts of the vehicle, e.g. for doors for windows or windscree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3/00Antiglare equipment associated with windows or windscreens; Sun visors for vehicles
    • B60J3/002External sun shield, e.g. awning or vis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양 또는 서리방지를 위해 차량의 루프에 설치된 윈도우 차폐장치로서, 상기 루프의 상측에 케이스 본체 및 이 케이스 본체에 결합수단으로 연결되는 본체 덮개판이 구비된 차폐막 케이스가 탑재되고, 상기 케이스 본체는, 일정 공간을 갖는 차폐막 수납실이 구비되고, 차폐막 수납실의 둘레에 차량을 기준으로 전후좌우로 배치된 수개의 막구동모터에 의해 각기 회전 구동되는 복수개의 구동롤러가 설치되고, 상기 본체 덮개판에는 그 둘레에 하향 경사지게 형성된 경사판을 구비하며 상기 각 구동롤러와 마주하여 대응되는 가압롤러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차폐막 케이스에는 케이스 본체와 본체 덮개판의 사이를 통해 수납되어 상기 구동롤러와 가압롤러의 사이에 물림됨과 동시에 구동롤러의 회전 방향에 따라 인출되어 윈도우 글라스를 덮거나 차폐막 수납실내로 인입이 가능하도록 된 한 장으로 구성되는 차폐막과; 상기 차폐막의 대각선 끝단쪽을 당김하기 위한 수단으로, 상기 케이스 본체의 바닥에 설치된 복수개의 로프구동모터와, 일단이 상기 로프구동모터의 출력단에 설치된 풀리에 연결되고 타단이 차폐막의 내측 대각선 끝단에 각기 연결된 권취로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Description

차량용 윈도우 차폐장치{Automatic window covering device for vehicle}
본 명세서에서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후술하는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윈도우 차폐장치의 탑재 상태도,
도 2a 및 2b는 도 1에서 차폐막이 인출된 사용상태도,
도 3은 도 1의 B-B선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케이스 본체의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차폐막의 수납상태도,
도 6a 및 6b, 도 7a 및 7b 그리고 도 8a, 8b, 8c 및 8d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차폐막 케이스 밀폐구조의 실시예들을 나타낸 구성도,
도 9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차폐막의 구성도,
도 10a, 10b, 10c 및 10d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윈도우 차폐장치의 작동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22 : 케이스 본체 22a : 차폐막 수납실
23a : 케이스 본체 배수구 24 : 본체 덮개판
26 : 가압롤러 32 : 구동롤러
40 : 차폐막 40a : 차폐막 배수공
100 : 로프구동모터 102 : 풀리
104 : 귄취로프 110 : 걸림봉
120 : 벨크로파스너 122 : 압축판
200 : 경사판 201 : 경사판하부공간
202 : 경사판구동모터 210 : 승하강도어
212 : 도어구동모터 220 : 보조 덮개판
222 : 보조덮개판구동모터 260 : 차폐판
본 발명은 본 출원인의 선출원인 대한민국특허출원 제 2003-0045276호를 국내우선권주장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상기 특허출원을 참조함으로써 선출원의 내용을 모두 포함한다.
본 발명은 여름철의 강한 햇볕을 차단하고 겨울철의 성애를 방지하기 위한 차량용 윈도우 차폐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차량의 루프 상측에 수납된 차폐막을 이용하여 자동으로 윈도우를 차폐시킬 수 있도록 한 차량용 윈도우 차폐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은 시야를 확보하기 위해 차량의 전면, 양측면 및 후면에 윈도우 글라스가 차체와 도어에 설치되어 있다.
통상 여름철 차량을 주차시켜 놓을 경우 강한 햇볕이 윈도우 글라스를 통해 그대로 차내로 투과되어 실내 온도가 높게 상승하게 된다.
이럴 경우 높은 실내 온도에 의해 탑승시 후덥지근한 열기로 불쾌감을 느끼게 된다. 이런 차내의 높아진 열기를 제거하기 위해서는 에어컨을 급히 가동시켜야 하나 이는 어느 정도의 가동시간이 필요하다. 더욱이 부주의로 인화물(라이터 등)이 놓여 있게 되면 인화물 폭발로 인해 차량이 소실되거나 인명사고도 피할 수 없는 경우가 발생된다.
한편, 겨울철과 같이 온도가 낮아지거나 낮과 밤의 온도차가 심한 경우 차량의 윈도우 글라스에 서리가 끼게 되며, 경우에 따라 눈이 녹아 윈도우 글라스에 얼음이 달라 붙는 현상도 나타난다.
이러한 서리나 눈 또는 얼음을 제거하기 위해서는 오랫동안 차량 히터나 열선을 작동시켜야 하므로 차량의 출발을 늦추게 되며, 강제적으로 제거하는데에도 많은 시간과 노동을 필요로 한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차량의 외부에 커버를 씌우는 방법이 있으나 번거롭고 불편하여 대부분 커버를 씌우지 않고 상기한 문제점을 그대로 감수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위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차량의 커버를 씌우고 벗김에 있어 보다 간편하고 작동하기 편리한 차폐장치가 요구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차량의 루프쪽에 햇볕을 차단하고 서리낌을 방지하기 위한 목적으로 수납된 차폐막을 자동으로 인출 및 수납가능하게 구동시킬수 있도록 하여 사용의 편의성을 일층 높인 차량용 윈도우 차폐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차폐막이 인출되는 경사판 하부의 공간을 개폐할 수 있는 구조를 구비하여, 주행시 주행풍으로 인해서 발생하는 소음을 감소시킨 구조를 제공함에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윈도우 차폐장치의 탑재 상태도이고, 도 2는 도 1에서 차폐막이 인출된 사용상태도이다.
본 발명은 도 1,2와 같이 차량(10)의 루프(12)에 차폐막 케이스(20)가 탑재되어 있다. 상기 차폐막 케이스(20)는 루프(12)에 설치되는 도 5와 같이 통상의 캐리어를 매개로 탑재될 수 있다.
상기 차폐막 케이스(20)에는 도2의 차폐막(40)이 수납되어 있고, 이 차폐막(40)은 차폐막 케이스(20)에 설치된 후술할 구동장치에 의해 인출과 수납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차폐막(40)은 한 장으로 구성되며 차폐막 케이스(20)로부터 최대로 인출될 경우 차량(10)의 전, 후 및 양측면에 위치된 윈도우 글라스를 덮을 수 있는 충분한 면적을 갖는다.
상기 차폐막 케이스(20)는 케이스 본체(22)와 이 케이스 본체(22)에 결합수단으로 연결되는 본체 덮개판(24)이 구비된다.
도 3은 도 1의 B-B선 단면도로서 차량용 윈도우 차폐장치의 구동장치가 도시되어 있고, 도 4는 상기 케이스 본체(22)의 평면도를 나타내고 있다.
도 3,4와 같이 상기 케이스 본체(22)는 일정 공간을 갖고 상방으로 개방된 차폐막 수납실(22a)이 구비되고, 이 차폐막 수납실(22a)의 둘레에 차량을 기준으로 전후좌우로 수개의 막구동모터(30)가 배치되어 있고, 이들 막구동모터(30)의 출력단에는 각기 구동롤러(32)가 직결되어 회전 구동하게 되어 있다.
상기 막구동모터(30)는 차량(10)의 전원공급장치(시동 배터리 또는 발전기)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거나 차폐막 수납실(22a)의 한 부분에 별도로 설치될 수 있는 배터리의 충전 에너지로 구동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막구동모터(30)는 차량의 내부에서 스위치 조작되거나 리모콘을 이용하여 원격으로 구동 제어될 수 있다. 리모콘으로 막구동모터(30)를 원격으로 정,역회전시키는 기술은 이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주지의 기술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케이스 본체(22)의 바닥 일측에는 케이스 본체 배수구(23a)가 형성되고, 이 케이스 본체 배수구(23a)를 향해 케이스 본체(22) 바닥은 차폐막 수납실(22a)에 유입된 물을 본체 배수구(23a)로 배출시키기 위해 일정한 기울기의 바닥면(21)이 형성된다.
도면부호 "23b"는 본체 배수구(23a)와 연결된 배수통으로서 케이스 본체(22)가 도 5의 캐리어(140)에 장착될 경우 없어도 좋다.
상기 본체 덮개판(24)은 차량의 이동시 공기의 저항을 줄이기 위하여 그 둘레를 하향 경사지게 구성되며 케이스 본체(22)의 바닥에 입설된 복수개의 지지봉(25)에 연결 지지되어 있고, 상기 본체 덮개판(24)에는 상기 각 구동롤러 (32)와 마주하여 대응되는 차폐막 가압롤러(26)를 갖고 있다.
이때 구동롤러(32)와 가압롤러(26)는 그 표면에 차폐막(40)과의 마찰을 높이기 위해 실리콘이나 고무재를 코팅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지지봉(25)은 차폐막(40)의 수납을 방해하지 않도록 차폐막 수납실(22a)의 중앙에 배치됨이 바람직하다.
도 9에 도시한 것처럼 상기 차폐막(40)은 차양이 가능한 유연한 재질로서 방수처리 됨이 바람직하며, 상기 차폐막(40)의 중앙부에는 수납된 차폐막(40)의 표면에 부착된 물방울을 제거키 위한 차폐막 배수공(40a)이 다수 형성되어 있으며, 차폐막 케이스의 모서리에 대응하는 부분에 권취로프(104)를 구비한다.
또한 상기 차폐막(40)의 수납시에 차폐막(40)이 수납실(22a)의 내부로 깊숙히 삽입될 수 있도록 차폐막(40) 뒷면의 소정부위에 다수의 지지부재(150)를 부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지지부재(150)는 직선을 유지하려는 복원력을 가지는 재질로 이루어진 것으로, 박판의 플라스틱판이나 합성수지판 또는 가느다란 강선 등의 재질이 사용될 수 있다. 지지부재(150)는 차폐막(40)이 인출도중 구겨지거나 엉켜지는 것을 막는 일종의 우산살과 같은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차폐막(40)이 구동롤러(32)와 가압롤러(26)를 지나서 완전히 수납실(22a) 내부로 들어가게 되면, 구동롤러(32)가 회전하여도 차폐막을 인출시킬 수 없으므로, 차폐막 테두리가 수납실(22a)로 수납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차폐막(40)의 테두리에 단면이 원형인 걸림봉(110)을 구비한다. 상기 걸림봉(110)은 구동롤러(32)와 가압롤러(26)의 사이를 통과할 수 없으므로 차폐막의 테두리가 수납실(22a)의 내부로 수납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이때 걸림봉(110)은 도 9와 같이 다수개로 분할되어 있고 수지재로 제작되어 유연성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걸림봉(110)은 차폐막(40)의 인출시 차폐막(40)의 자중을 유도하여 원활하게 펼쳐지는 보조기능을 수행함과 동시에 바람에 의한 펄럭거림도 방지한다.
그리고 상기 차폐막(40)의 인출 완료 후 차폐막(40)을 차체에 고정하기 위해 암수 다수쌍의 벨크로파스너(120)가 도 2a와 같이 차폐막(40)과 차체측에 대응하여 설치될 수도 있고, 도 2b와 같이 다수개의 압축판(122)을 차폐막(40)의 내측에 구비하여 차체에 상기 압축판(122)을 부착함으로써 차폐막(40)을 고정할 수도 있다.
다시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은 상기 차폐막(40)의 대각선 끝단쪽을 당김하기 위한 수단으로, 상기 케이스 본체(22)의 내벽에 설치된 복수개의 로프구동모터(100)와, 일단이 상기 로프구동모터(100)의 출력단에 설치된 풀리(102)에 연결되고 타단이 차폐막(40)의 대각선 끝단에 각기 연결된 도 5와 같이 권취로프(104)가 포함되어 있다.
이때 로프구동모터(100)는 막구동모터(30)와 전기 회로적으로 연결되어 있어 동시에 구동하게 되어 있다.
차폐막(40)의 인출을 위해 개방되어 있는 경사판하부공간(201)은 주행시에 공기의 소용돌이를 유발하여 소음발생을 가중시킨다. 따라서, 본 발명은 차폐막(40)이 인출되는 부분인 경사판하부공간(201)을 개폐할 수 있는 밀폐구조를 추가로 제공한다.
이러한 밀폐구조는 도 6a 및 6b에 도시된 바와 같은 승하강도어를 이용한 구조, 도 7a 및 7b에 도시된 바와 같은 보조덮개판을 이용한 구조, 및 도 8a 및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경사판 자체를 회전시키는 구조 등을 채택할 수 있다.
도 6a 및 6b는 승하강도어를 추가로 구비하여 경사판하부공간을 밀폐할 수 있는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스 본체(22)의 주변에서 슬라이딩하며 승하강하는 승하강도어(210)를 구비하여 상기 승하강도어(210)가 경사판하부공간(201)을 밀폐할 수 있는 구조를 제공한다. 이를 위해서는 상기 승하강도어(210)를 구동할 수 있는 도어구동모터(212)를 추가로 구비하고, 상기 도어구동모터(212)에 피니언기어를 연결하고, 상기 승하강도어(210)의 일측에 랙기어를 형성하여 도어구동모터(212)의 정역회전에 따라서 승하강도어(210)가 이동하여 인출 또는 수납되며 경사판하부공간(201)을 개폐할수 있는 구조를 제공한다.
또한, 구동롤러의 후방에 차폐판(260)을 구비하여 내부에 수납된 차폐막의 인출시에 수납되어 있는 차폐막의 일부가 구동롤러와 가압롤러의 사이에 끼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7a 및 7b는 케이스본체 전체를 감싸는 형태를 가진 보조덮개판을 추가로 구비하여 경사판하부공간 및 케이스본체 전체를 밀폐할 수 있는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이러한 구조는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스(20)가 차량의 루프(12)에 직접장착된 경우에 적용되는 것으로, 보조덮개판(220)이 케이스(20)전체를 감싸는 형태를 가지고 있으며, 상기 보조덮개판(220)은 보조덮개판구동모터(222)에 의하여 승하강하게 된다. 보조덮개판구동모터(222)와 보조덮개판(220)의 연결에는 앞선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랙기어와 피니언기어가 사용될 수 있다.
평상시에는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조덮개판(220)이 케이스(20) 전체를 뒤덮어 주행시에 받는 공기 저항을 감소시키는 형태를 가지게 되며, 차폐막(40)을 인출할 때에는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조덮개판(220)을 상승시켜 차폐막(40)이 인출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하게 된다.
상기 보조덮개판(220)의 승하강구조는 승하강도어(210)의 슬라이딩구조와 같은 직선운동이므로 보조덮개판구동모터(222)측에 피니언 기어를 연결하고, 상기 보조덮개판(220)의 수직봉(224)에 랙기어를 구비하여 상기 보조덮개판구동모터(222)의 회전에 따라서 보조덮개판(220)이 승하강 하는 구조를 채용하고 있다.
도 8a 내지 8d는 경사판을 차폐막 케이스에 대하여 회전가능하게 함으로써 경사판 하부공간을 밀폐할 수 있는 구조를 나타낸 것으로, 도 8a 및 8b는 개방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및 평면도이고, 도 8c 및 8d는 폐쇄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및 평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면에 구비된 경사판(200)을 본체 덮개판(24)에 회전가능하게 결합시키고, 상기 경사판(200)의 각도를 조절하기 위한 경사판구동모터(202)를 구비하여, 상기 경사판구동모터(202)를 구동하여 경사판(200)이 회전하는 구조를 제공한다.
주행시에는 경사판(200)이 케이스(20)의 측면에 밀착시켜 공기저항을 감소시키고, 차폐막(40)의 인출시에는 경사판(200)을 회전시켜 경사판하부공간(201)이 생기도록 하여 차폐막(40)이 인출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구조는 케이스(20)가 루프랙을 이용하여 장착되는 방식과 루프에 직접 장착되는 방식 모두에 적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실시예의 작용을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은 케이스 본체(22)를 차량(10)의 루프(12) 또는 캐리어(140)에 탑재시킨 상태에서 차폐막(40)의 구멍(25a)을 지지봉(25)에 삽입시켜 펼쳐 넣고, 가압롤러(26)가 구동롤러((32)와 맞물림할 수 있도록 본체 덮개판(24)을 차폐막 케이스(20)의 지지봉(25)에 결합시킨다.
본 실시예에서는 본체 덮개판(24)에 삽통되는 볼트(27)를 지주봉(25)에 나사 결합시켜서 확고하게 고정 설치된다.
이렇게 되면 차폐막(40)은 넓게 펼쳐진 상태에서 차량의 전후좌우측 윈도우 글라스를 가리게 된다.
본체 덮개판(24)이 케이스 본체(22)에 조립된 상태에서, 도어구동모터(212) 또는 보조덮개판구동모터(222) 또는 경사판구동모터(202)를 구동하여 차폐막(40)이 인출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한 후, 막구동모터(30)를 구동한다. 이러한 모터의 순차적인 구동은 릴레이를 통해서 이루어진다. 막구동모터(30)가 회전 구동되면, 구동롤러(32)와 가압롤러(26)가 서로 반대방향으로 회전하고, 이때 구동롤러(32)의 회전방향에 따라 차폐막(40)을 물어서 차폐막 수납실(22a)로 수납시키거나 반대로 구동시켜 차폐막 수납실(22a)로부터 차폐막(40)이 인출된다.
막구동모터(30)와 로프구동모터(100)는 동시에 구동할 수 있도록 전기회로적으로 연결되어 있어 권취로프(104)가 도 4와 같이 차폐막(40)을 대각선 방향에서도 잡아당김하게 된다.
이같이 차폐막(40)은 막구동모터(30)의 구동력에 의한 구동롤러(32)와 가압롤러(26)의 물림력 그리고 로프구동모터(100)에 의한 권취로프(104)의 당김력에 의해 차폐막 수납실(22a)로 원활하게 수납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차폐막(40)은 소정위치 마다 지지부재(150)를 방사상으로 구비하고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150)의 복원력으로 인하여 차폐막(40)은 차폐막 수납실(22a)의 내부공간에서 직선상태를 유지하려고 하므로 차폐막 수납실(22a)의 안쪽공간부터 채워지게 된다.
도 6a와 6b의 실시예를 기준으로 한 차폐막의 수납과 인출과정을 도 10a 내지 10d에 나타내었다.
도 10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승하강도어(210)가 하강한 상태에서 차폐막 케이스를 케이스 본체(22)와 본체 덮개판(24)으로 분리하여, 케이스 본체(22)를 차량의 루프(12)에 부착시킨다. 다음으로 케이스 본체(22)에 차폐막(40)을 끼워 넣고 권취로프(104)를 귄취로프구동모터(100)에 연결된 풀리(102)에 연결시키고, 본체 덮개판(24)을 케이스 본체(22)에 결합시킨다. 이렇게 하면 구동롤러(32)와 압축롤러(26) 사이에 차폐막(40)이 물리게 된다.
도 10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막구동모터(30)를 구동하면 구동롤러(32)가 화살표방향으로 회전하여 차폐막(40)을 차폐막 수납실(22a)의 내부로 밀어 넣게 된다. 차폐막(40)에는 차폐막(40)의 직선상태를 유지하도록 하기 위한 지지부재(도 9의 150)가 구비되어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150)의 탄성력에 의해서 차폐막 수납실(22a)의 내부에서도 직선 상태를 유지하려고 하므로 차폐막(40)의 차폐막 수납실(22a) 내부 깊숙히 까지 이동하고 더 이상 이동할 수 없을 때부터 휘어지게 되므로 차폐막 수납실(22a)의 내부에 비교적 일정한 상태를 유지하며 수납될 수 있다. 상기 지지부재(150)는 소정부위에만 구비되어 있는 것으로 상기 지지부재(150)의 영향을 받지 않는 부분은 임의로 접혀지면서 수납되게 된다. 또한 상기 차폐막(40)의 모서리부분은 권취로프(104)에 연결되어 있고, 상기 권취로프(104)는 막구동모터(30)와 함께 동작하는 권취로프구동모터(100)에 연결된 풀리(102)에 감기게 되므로 차폐막(40)의 모서리 부분도 안정적으로 차폐막 수납실(22a)의 내부로 수납될 수 있다.
소정시간 막구동모터(30)와 귄취로프구동모터(100)가 구동되면 차폐막(40)은 테두리부분을 제외하고는 모두 차폐막 수납실(22a)의 내부로 수납된 상태가 된다. 이렇게 막구동모터(30)와 권취로프구동모터(100)가 소정시간 작동한 후에, 이들의 구동은 멈추고 다음으로 도 10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구동모터(212)가 작동하여 승하강도어(210)를 상승시키고, 도 10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승하강도어(210)가 경 사판(200)에 닿으면 작동을 멈추게 된다.
차폐막의 사용시의 과정은 이와 역순의 과정을 따르게 되는데 간략하게 설명하면, 도어구동모터(212)가 반대방향으로 작동하여 승하강도어(210)을 하상시킨다. 승하강도어(210)의 하강이 완료되면 다음으로 막구동모터(30)와 권취로프구동모터(100)가 도 10b에 도시된 방향과 반대방향으로 구동하여 차폐막(30)을 차폐막수납실(22a)로부터 밀어내게 되고 차폐막(30)의 인출이 완료되면 막구동모터(30)와 권취로프구동모터(100)의 작동이 멈추게 된다.
차폐막(30)이 완전히 인출된 상태에서 도 2a나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폐막을 고정시키면, 여름철 강한 햇빛을 차단함으로서 차실의 온도를 높이는 일은 발생되지 않는다. 또한 겨울철에는 냉기가 윈도우 글라스에 직접 접촉되는 것을 방지하므로 성애가 끼는 일도 발생되지 않는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간편하게 구동모터를 정역회전 조작하는 것만으로 차량의 윈도우 글라스를 차폐막으로 쉽게 덮어버리거나 벗겨낼 수 있으므로써 옥외 주차시 여름의 햇빛 가림과 겨울의 서리 방지가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은 차폐막이 인출되는 경사판 하부의 공간을 밀폐할 수 있는 구 조를 제공하여, 주행시에 받게되는 공기의 저항을 감소시켜 윈도우 차폐장치 장착으로 인한 주행 소음을 저감시키는 효과도 있다.

Claims (10)

  1. 차양 또는 서리방지를 위해 차량의 루프에 설치된 윈도우 차폐장치로서,
    상기 루프의 상측에 케이스 본체 및 이 케이스 본체에 결합수단으로 연결되는 본체 덮개판이 구비된 차폐막 케이스가 탑재되고,
    상기 케이스 본체는, 일정 공간을 갖는 차폐막 수납실이 구비되고, 차폐막 수납실의 둘레에 차량을 기준으로 전후좌우로 배치된 수개의 막구동모터에 의해 각기 회전 구동되는 복수개의 구동롤러가 설치되고,
    상기 본체 덮개판에는 그 둘레에 하향 경사지게 형성된 경사판을 구비하며 상기 각 구동롤러와 마주하여 대응되는 가압롤러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차폐막 케이스에는 케이스 본체와 본체 덮개판의 사이를 통해 수납되어 상기 구동롤러와 가압롤러의 사이에 물림됨과 동시에 구동롤러의 회전 방향에 따라 인출되어 윈도우 글라스를 덮거나 차폐막 수납실내로 인입이 가능하도록 된 한 장으로 구성되는 차폐막과;
    상기 차폐막의 대각선 끝단쪽을 당김하기 위한 수단으로, 상기 케이스 본체의 바닥에 설치된 복수개의 로프구동모터와, 일단이 상기 로프구동모터의 출력단에 설치된 풀리에 연결되고 타단이 차폐막의 내측 대각선 끝단에 각기 연결된 권취로프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윈도우 차폐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 본체의 테두리에 승하강도어와 도어구동모터를 추가로 구비하여, 상기 승하강도어가 경사판의 하부를 개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윈도우 차폐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 본체의 상단에 차폐막 케이스 전체를 덮는 크기의 보조덮개판과, 상기 보조덮개판을 구동하기 위한 보조덮개판 구동모터를 구비하여 상기 보조덮개판이 승하강 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윈도우 차폐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 덮개판에 구비된 경사판을 본체 덮개판에 대하여 회동가능하게 결합하고, 경사판 구동모터를 추가로 구비하여 상기 경사판을 개폐 가능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윈도우 차폐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차폐막에는 수납된 차폐막의 표면에 부착된 물방울을 제거키 위한 다수의 차폐막 배수공이 분포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광 및 서리방지를 위한 차량용 윈도우 차폐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 본체의 바닥 일측에 케이스 본체 배수구가 형성되고, 이 케이스 본체 배수구를 향해 케이스 본체 바닥은 차폐막 수납실에 유입된 물을 본체 배수구로 배출시키기 위해 기울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광 및 서리방지를 위한 차량용 윈도우 차폐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차폐막의 수납시 그 테두리가 차폐막 수납실로 수납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차폐막의 테두리에 분할된 다수의 걸림봉이 포설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광 및 서리방지를 위한 차량용 윈도우 차폐장치.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차폐막은 복원력을 가지는 다수의 지지부재를 방사상으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윈도우 차폐장치.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차폐막의 인출 완료 후 고정하기 위해 암수 다수쌍의 벨크로파스너가 차폐막과 차체측에 대응하여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광 및 서리방지를 위한 차량용 윈도우 차폐장치.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차폐막의 인출 완료 후 고정하기 위해 차폐막의 테두리부분 내측면에 복수개의 압축고정판이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광 및 서리방지를 위한 차량용 윈도우 차폐장치.
KR1020030076279A 2003-07-04 2003-10-30 차량용 윈도우 차폐장치 KR10056135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45276 2003-07-04
KR20030045276 2003-07-0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03959A KR20050003959A (ko) 2005-01-12
KR100561352B1 true KR100561352B1 (ko) 2006-03-16

Family

ID=372189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76279A KR100561352B1 (ko) 2003-07-04 2003-10-30 차량용 윈도우 차폐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6135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143085A (zh) * 2016-08-08 2016-11-23 成都德荣汽车用品有限公司 一种智能遥控车衣
CN106143086A (zh) * 2016-08-08 2016-11-23 成都德荣汽车用品有限公司 一种防盗车衣
CN106143087A (zh) * 2016-08-08 2016-11-23 成都德荣汽车用品有限公司 一种智能防盗遥控车衣
CN108382175A (zh) * 2018-03-27 2018-08-10 张存达 一种冬夏两用自动化霜遮阳挡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03959A (ko) 2005-01-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337793B2 (en) Sun shade apparatus for a vehicle
US3766958A (en) Fire protection device for building structure
US8419107B2 (en) Retractable vehicle shade for tropical and cold climates
US5579820A (en) Roll-up door for vehicle shelters
KR0122375Y1 (ko) 승용차 커버
JPH03506011A (ja) 日除けを有する透明な車両屋根
US20040178618A1 (en) Automated covering for an automobile
US11472275B2 (en) Vehicle roof-mounted shading apparatus
US4195622A (en) Swimming pool cover and solar heater
KR100561352B1 (ko) 차량용 윈도우 차폐장치
KR101932129B1 (ko) 혹한과 혹서를 대비한 버스 대기소
KR100595843B1 (ko) 차량용 비 차단장치
FR2576255A1 (fr) Systeme de protection des vitres contre les intemperies notamment des vehicules routiers
KR20050058607A (ko) 차량 루프 장착형 텐트
CN201309395Y (zh) 机动车遮阳帘
CN213228489U (zh) 一种带车边帐的汽车车顶行李箱
KR100466156B1 (ko) 차량용 윈도우 차폐장치
US4565186A (en) Passive-type solar device
KR102659087B1 (ko) 차량유리용 전동 스크린장치
KR20190006743A (ko) 차량용 차양장치
CN211441912U (zh) 车内阳光遮挡系统及包含其的汽车
CN218600024U (zh) 顶推滚落式遮阳帘及太阳能热水器
CN1162538A (zh) 机动车遮阳降温卷帘
KR20220000581U (ko) 승용차 보호커버
KR20230133033A (ko) 구조물 회동에 의한 캠핑카의 공간확보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306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