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61175B1 - 다단 수위센서 - Google Patents

다단 수위센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61175B1
KR100561175B1 KR1020030081035A KR20030081035A KR100561175B1 KR 100561175 B1 KR100561175 B1 KR 100561175B1 KR 1020030081035 A KR1020030081035 A KR 1020030081035A KR 20030081035 A KR20030081035 A KR 20030081035A KR 100561175 B1 KR100561175 B1 KR 10056117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de
water
tank
signal
level sens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810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47235A (ko
Inventor
이상철
Original Assignee
에이디반도체(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이디반도체(주) filed Critical 에이디반도체(주)
Priority to KR10200300810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61175B1/ko
Publication of KR200500472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4723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611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6117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08Liquid supply or discharge arrangements
    • D06F39/087Water level measuring or regulating devic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FMEASURING VOLUME, VOLUME FLOW, MASS FLOW OR LIQUID LEVEL; METERING BY VOLUME
    • G01F23/00Indicating or measuring liquid level or level of fluent solid material, e.g. indicating in terms of volume or indicating by means of an alarm
    • G01F23/22Indicating or measuring liquid level or level of fluent solid material, e.g. indicating in terms of volume or indicating by means of an alarm by measuring physical variables, other than linear dimensions, pressure or weight, dependent on the level to be measured, e.g. by difference of heat transfer of steam or water
    • G01F23/26Indicating or measuring liquid level or level of fluent solid material, e.g. indicating in terms of volume or indicating by means of an alarm by measuring physical variables, other than linear dimensions, pressure or weight, dependent on the level to be measured, e.g. by difference of heat transfer of steam or water by measuring variations of capacity or inductance of capacitors or inductors arising from the presence of liquid or fluent solid material in the electr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G01F23/263Indicating or measuring liquid level or level of fluent solid material, e.g. indicating in terms of volume or indicating by means of an alarm by measuring physical variables, other than linear dimensions, pressure or weight, dependent on the level to be measured, e.g. by difference of heat transfer of steam or water by measuring variations of capacity or inductance of capacitors or inductors arising from the presence of liquid or fluent solid material in the electric or electromagnetic fields by measuring variations in capacitance of capacitor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3/00Parameters monitored or detected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3/18Washing liquid leve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Measurement Of Levels Of Liquids Or Fluent Solid Materials (AREA)

Abstract

수조 내의 수위에 따라 각각 다른 신호를 출력하는 다단 수위센서에 관하여 개시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장치는, 접지되는 제1 전극봉, 제1 전극봉보다 길이가 작은 제2 전극봉, 및 제2 전극봉보다 길이가 작은 제3 전극봉과; 전극봉들과 수조 내의 물에 의한 정전용량값을 각각 입력받아 비교하는 비교기, 제2 전극봉에 수조 내의 물이 접촉되지 않을 경우와 제2 전극봉에 수조 내의 물이 접촉되었을 경우와 제3전극봉에 수조 내의 물이 접촉되었을 않을 경우를 구분하여 각각 신호를 상기 물공급장치로 출력하는 신호출력부를 포함하는 신호부와; 전극봉들이 자신의 하면에 설치되며, 신호부가 내삽되는 몸체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하나의 수위 센서로도 복수의 수위를 감지하게 되므로 비용이 절감되고 작업이 용이하며, 접지된 긴 전극봉, 하단이 뾰족한 전극봉, 전극봉의 소정영역을 감싸는 절연체 등을 사용함으로써 수위센서의 오작동이 방지된다.
다단 수위센서, 전극봉, 센서부, 비교기, 절연체, 접지

Description

다단 수위센서{Multiple-stage liquid level sensor}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다단 수위센서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
도 2는 도 1에 따른 다단 수위센서의 신호부를 설명하기 위한 회로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참조번호의 설명 >
100 : 몸체 210 : 제1 전극봉
220 : 제2 전극봉 230 : 제3 전극봉
300 : 신호부 310 : 비교기
320 : 신호출력부 400 : 절연체
500 : 고정부 600 : O-Ring
본 발명은 다단 수위센서에 관한 것으로, 특히 수조 내의 수위에 따라 각각 다른 신호를 출력하는 다단 수위센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수조 내의 수위를 감지하기 위하여 전극봉을 이용한 수위센서가 사용되고 있다.
그런데, 수조 내의 물은 충전전하를 띠고 있으므로 그 충전전하가 외부에서 인가되는 VDD 전압과 상이(相異)하면, 감지된 수위에 대한 신호를 출력하는 반도체 회로가 오작동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하나의 수위센서는 일정한 하나의 수위만을 감지하게 되므로, 감지를 희망하는 수위가 복수인 경우에는 복수 개의 수위센서를 각각 설치하고 있다. 따라서, 수위센서를 마련하는 비용과 그 수위센서들을 설치하는 비용 등 다방면으로 비용이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오작동을 방지하고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다단 수위센서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다단 수위센서는, 수조 내의 수위를 감지하여 그 감지신호를 물공급장치로 출력하는 다단 수위센서로서,
상기 수조에 결합되는 몸체;
상기 몸체의 하면에 아래로 길게 늘어지도록 설치되는 길이가 다른 복수개의 전극봉;
상기 몸체의 하면에 연결되는 부위인 상기 전극봉의 윗부분에 상기 전극봉을 둘러싸도록 설치되는 절연체; 및
비교기와 신호출력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데, 상기 비교기는 상기 전극봉과 수조 내의 물에 의한 정전용량값을 각각 입력받아 비교하며, 상기 신호출력부는 상기 비교기의 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전극봉들 중에서 어느 전극봉까지 물에 닿았느냐의 신호를 상기 물공급장치로 출력하는 신호부; 를 구비하며,
상기 전극봉 중에서 가장 긴 것은 접지되며, 상기 신호부는 상기 몸체에 내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전극봉들 각각은 하단이 뾰족한 형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삭제
삭제
삭제
이하에서,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에 따른 수위센서의 용도를 물이 담기는 수조를 예로 들어 설명하지만 반드시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수위센서는 모든 액체와 그 액체가 담겨지는 용기에 적용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다단 수위센서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고, 도 2는 도 1에 따른 다단 수위센서의 신호부를 설명하기 위한 회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단 수위센서는 몸체(100)와, 길이가 서로 다른 세 개의 전극봉들(210, 220, 230)과, 신호부(300) 와, 몸체(100)와 연결되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위센서를 수조에 설치하기 위한 체결 수단이 삽입되는 구멍 등이 형성된 고정부(500)와, 고정부(500)와 몸체(100)의 사이의 틈을 통하여 물이 수조밖으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O-Ring(60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몸체(100)와 고정부(500)는 일체형이 되도록 사출하여 사용하여도 좋다. 몸체(100)에는 신호부(300)가 내삽되고, 신호부(300) 상측에는 방습용 도로가 도포되며, 몸체(100)의 하면에는 전극봉들(210, 220, 230)이 설치된다. 각각의 전극봉들(210, 220, 230)과 수조 내의 물이 접촉되면 정전용량이 발생하여 신호부(300)로 입력되고, 신호부(300)에서는 입력된 정전용량에 따라 물공급장치로 각각 신호를 발생시킨다.
전극봉들 중에서 제1 전극봉(210)은 접지되고, 제2 전극봉(220)은 제1 전극봉(210)보다 길이가 작으며, 제3 전극봉(230)은 제2 전극봉(220)보다 길이가 작다. 따라서, 제2 전극봉(220)의 하단은 제1 전극봉(210)의 하단보다 높게 위치되며 제3 전극봉(230)의 하단은 제2 전극봉(220)의 하단보다 높게 위치되어, 제2 전극봉(220)은 저수위(低水位)를 감지하고 제3 전극봉(230)은 고수위(高水位)를 감지한다.
제1 전극봉(210)을 제2 및 제3 전극봉(220, 230) 보다 길게 하고 접지되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단 수위센서를 수조 내에 설치하면, 제2 및 제3 전극봉(220, 230)이 수조 내의 물에 닿기 전에 제1 전극봉(210)이 먼저 물에 닿게 되어 물의 충전전하가 접지를 통해 방출되므로 센서의 오작동이 방지된다. 그리고, 외부로부터 인가되는 강한 정전기 역시 제1 전극봉(210)을 통하여 방출되게 되므 로, 센서의 안정된 작동이 보장된다.
각각의 전극봉들(210, 220, 230)의 하단을 뾰족하게 함으로써, 물이 전극봉에 닿았다 떨어질 때의 표면장력을 최소화시켜 물이 전극봉에 묻어 있음으로써 발생될 수 있는 오작동이 사전에 방지된다.
한편, 수위센서는 다습한 환경에서 사용되므로, 몸체(100)의 하면에는 물방울들이 맺히게 되고, 그 물방울들로 인하여 각각의 전극봉들(210, 220, 230)이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누전이 발생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전극봉들(210, 220, 230)의 소정영역, 즉 전극봉들의 상단을 포함한 소정영역을 각각 감싸도록, 몸체(100)의 하면에 전극봉들(210, 220, 230)보다 직경이 큰 절연체(400)들을 각각 설치하였다. 따라서, 몸체(100)의 하면에 맺힌 물방울들은 절연체(400)들의 외면을 타고서 흘러내려 수조 내로 떨어지게 되어 몸체에 맺힌 물방울에 의한 누전이 방지되므로, 결과적으로 센서의 오작동이 방지된다.
도 2를 참조하면, 신호부(300)는 비교기(310)와 신호출력부(3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비교기(310)는, 제1, 제2, 및 제3 전극봉(210, 220, 230)과 수조 내의 물에 의한 정전용량값을 각각 입력받아 가감한다. 비교기(310)에서 가감된 정전용량값은 다음 세 가지 경우로 나타나게 된다. 첫째, 제2 전극봉(220)에 수조 내의 물이 접촉되지 않을 경우, 즉 제1 전극봉(210)만이 수조 내의 물에 접촉된 경우이다. 둘째, 제2 전극봉(220)에 수조 내의 물이 접촉된 경우, 즉 제1 전극봉(210)과 제2 전극봉(220)만이 수조 내의 물에 접촉된 경우이다. 셋째, 제3 전극봉(230)에 수조 내의 물이 접촉된 경우, 즉 제1, 제2 및 제3 전극봉(210, 220, 230) 모두에 수조 내의 물이 접촉된 경우이다. 신호출력부(320)는 비교기(310)에서 비교된 정전용량값에 따라 각각 다른 신호를, 예컨대 상기 첫째의 경우에는 5V의 신호를, 상기 둘째의 경우에는 2.5V의 신호를, 상기 셋째의 경우에는 0V의 신호를 물공급장치로 각각 출력한다. 따라서, 물공급장치에서는 입력된 신호에 따라 수조 내의 수위를 확인할 수 있고, 그에 따라서 물의 공급여부를 판단하여 물을 공급하거나 물의 공급을 중단시키게 된다.
한편, 감지하고자 하는 수위가 셋 이상인 경우에는 제1 전극봉(210)보다 길이가 작으며, 제2 전극봉(220) 및 제3 전극봉(230)과 다른 길이를 가지는 전극봉들을 몸체(100)의 하면에 더 설치하고 신호부(300)에 연결하여 사용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다단 수위센서에 의하면, 하나의 수위 센서로도 복수의 수위를 감지하게 되므로 비용이 절감되고 작업이 용이하다.
나아가, 접지된 긴 전극봉, 하단이 뾰족한 전극봉, 전극봉의 소정영역을 감싸는 절연체 등을 사용함으로써 수위센서의 오작동이 방지된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만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많은 변형이 가능함은 명백하다.

Claims (4)

  1. 수조 내의 수위를 감지하여 그 감지신호를 물공급장치로 출력하는 다단 수위센서로서,
    상기 수조에 결합되는 몸체;
    상기 몸체의 하면에 아래로 길게 늘어지도록 설치되는 길이가 다른 복수개의 전극봉;
    상기 몸체의 하면에 연결되는 부위인 상기 전극봉의 윗부분에 상기 전극봉을 둘러싸도록 설치되는 절연체; 및
    비교기와 신호출력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데, 상기 비교기는 상기 전극봉과 수조 내의 물에 의한 정전용량값을 각각 입력받아 비교하며, 상기 신호출력부는 상기 비교기의 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전극봉들 중에서 어느 전극봉까지 물에 닿았느냐의 신호를 상기 물공급장치로 출력하는 신호부; 를 구비하며,
    상기 전극봉 중에서 가장 긴 것은 접지되며, 상기 신호부는 상기 몸체에 내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단 수위센서.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봉들 각각은 하단이 뾰족한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단 수위센서.
  4. 삭제
KR1020030081035A 2003-11-17 2003-11-17 다단 수위센서 KR10056117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81035A KR100561175B1 (ko) 2003-11-17 2003-11-17 다단 수위센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81035A KR100561175B1 (ko) 2003-11-17 2003-11-17 다단 수위센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47235A KR20050047235A (ko) 2005-05-20
KR100561175B1 true KR100561175B1 (ko) 2006-03-15

Family

ID=372462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81035A KR100561175B1 (ko) 2003-11-17 2003-11-17 다단 수위센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61175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811928A (zh) * 2015-11-30 2017-06-09 无锡小天鹅股份有限公司 洗衣机及其排水控制方法
KR102326794B1 (ko) 2021-06-29 2021-11-16 주식회사 젠트리스 정전용량 센서를 이용한 비접촉식 레벨 측정 장치
KR102416671B1 (ko) 2021-03-11 2022-07-06 주식회사 도우인시스 강화로 내 질산칼륨 수위 감지 센싱 모듈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87223B1 (ko) * 2014-06-09 2020-03-11 주식회사 위니아딤채 정전용량형 수위 감지 장치
KR101929422B1 (ko) * 2016-10-24 2018-12-14 이종목 융착부 보강형 멀티룸 플로트
KR20210074946A (ko) * 2019-12-12 2021-06-22 삼성전자주식회사 스팀발생장치 및 이를 갖는 의류 관리기
US20240142290A1 (en) * 2022-10-31 2024-05-02 Applied Materials, Inc. Methods of lithium level measurement at elevated temperature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811928A (zh) * 2015-11-30 2017-06-09 无锡小天鹅股份有限公司 洗衣机及其排水控制方法
KR102416671B1 (ko) 2021-03-11 2022-07-06 주식회사 도우인시스 강화로 내 질산칼륨 수위 감지 센싱 모듈
KR102326794B1 (ko) 2021-06-29 2021-11-16 주식회사 젠트리스 정전용량 센서를 이용한 비접촉식 레벨 측정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47235A (ko) 2005-05-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61175B1 (ko) 다단 수위센서
KR100832410B1 (ko) 정전 용량 변화 검출 장치
CN105229429B (zh) 液位测量装置
CN110567554A (zh) 用于检测填充水平的设备
US20110027104A1 (en) Sensor for switching a pump on and/or off
CN1166708A (zh) 电磁噪声保护电路
CN108257643B (zh) 数据储存装置以及其备用电力来源的储电能力监控方法
KR101228828B1 (ko) 다단 수위감지 모듈
KR100574011B1 (ko) 다단 수위센서
US6571625B2 (en) Fluid level sensor
KR101092082B1 (ko) 정전용량형 액체수위센서
JP2019002855A (ja) 静電検出装置
JP6618037B2 (ja) 静電容量型水位センサ
KR100781744B1 (ko) 차량용 빗물 감지 장치
CN219977523U (zh) 一种水位检测电路及水位检测传感器
CN206891522U (zh) 一种小型车辆玻璃洗涤液检测报警装置
US7586353B2 (en) Electronic pulse-generating device
KR20180071109A (ko) 차량용 워셔액 수위 감지장치
CN220729395U (zh) 一种用于汽车液位检测的电路
KR100608620B1 (ko) 정전기 감지 회로
US20180010937A1 (en) Multi-directional capacitive flow sensor
CN211178657U (zh) 一种水流检测组件及出水装置
KR20040073129A (ko) 정전용량을 이용한 수위센서
WO2013089316A1 (ko) 정전용량 방식의 레벨 센서 및 레벨 감지 방법
KR100982955B1 (ko) 정전용량 센서를 이용한 감지회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05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0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303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03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03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05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22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18

Year of fee payment: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