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60895B1 - 음극선관 - Google Patents

음극선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60895B1
KR100560895B1 KR1020030097384A KR20030097384A KR100560895B1 KR 100560895 B1 KR100560895 B1 KR 100560895B1 KR 1020030097384 A KR1020030097384 A KR 1020030097384A KR 20030097384 A KR20030097384 A KR 20030097384A KR 100560895 B1 KR100560895 B1 KR 1005608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nel
ray tube
cathode ray
thickness
cen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973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05725A (ko
Inventor
정원호
Original Assignee
엘지.필립스 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필립스 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필립스 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0500057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0572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608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6089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9/00Details of cathode-ray tubes or of electron-beam tubes of the types covered by group H01J31/00
    • H01J29/02Electrodes; Screens; Mounting, supporting, spacing or insulating thereof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9/00Details of cathode-ray tubes or of electron-beam tubes of the types covered by group H01J31/00
    • H01J29/86Vessels; Containers; Vacuum locks
    • H01J29/861Vessels or containers characterised by the form or the structure thereof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229/00Details of cathode ray tubes or electron beam tubes
    • H01J2229/86Vessels and containers
    • H01J2229/8613Faceplates
    • H01J2229/8616Faceplates characterised by shape
    • H01J2229/862Parameterised shape, e.g. expression, relationship or equation

Landscapes

  • Vessels, Lead-In Wires, Accessory Apparatuses For Cathode-Ray Tub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음극선관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패널의 두께를 적절한 두께로 감소시킴으로써 제조공정에서 패널의 파손 및 제조원가를 최소화하고 휘도 특성을 개선한 음극선관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음극선관은 외면이 평면형이고 내면은 곡률을 갖도록 형성된 패널과, 상기 패널과 결합되는 펀넬과, 상기 펀넬에 장착되어 전자빔이 방출되는 전자총과, 상기 전자빔이 편향되도록 하는 편향요크와 상기 전자빔의 색선별 작용을 하는 새도우 마스크가 포함되는 음극선관에 있어서, 상기 패널은 중앙부의 두께 대비 코너부의 두께의 비(%)가 150~230%이고, 상기 패널은
Figure 112005069595609-pat00028
을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단, 여기서 CFT는 패널 중앙부의 두께, USD는 패널의 유효면 대각길이, IBRD는 패널 중심에서 패널 코너부의 곡률의 중심까지의 거리를 2배한 길이를 의미한다.
음극선관, 패널

Description

음극선관{CATHODE RAY TUBE}
도 1은 종래의 음극선관의 구성을 설명하는 도면.
도 2는 내면과 외면이 소정의 곡률로 형성된 패널을 설명하는 도면.
도 3은 외면이 실질적으로 평면이고 내면은 소정의 곡률로 형성된 패널을 설명하는 도면.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외면이 실질적으로 평면이고 내면은 소정의 곡률로 형성된 패널과 도 2에 도시된 내면과 외면이 소정의 곡률로 형성된 패널을 비교하여 설명하는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음극선관에 있어서 패널을 설명하는 도면.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음극선관에 있어서 패널의 단면을 설명하는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패널 2 ; 펀넬
3 ; 새도우 마스크 5 ; 마스크 프레임
7 ; 인너쉴드 8 ; 전자총
9 ; 편향요크 10 ; 패널
11 ; 전자빔 20 ; 패널
본 발명은 음극선관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패널의 두께를 적절한 두께로 감소시킴으로써 제조공정에서 패널의 파손 및 제조원가를 최소화하고 휘도 특성을 개선한 음극선관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음극선관의 구성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음극선관은 내면에 형광체 스크린이 형성된 패널(1)과 상기 패널(1)과 결합되는 펀넬(2)과, 상기 펀넬(2)에 장착되어 전자빔(11)이 방출되는 전자총(8)과, 상기 전자빔(11)을 상하좌우로 편향되도록 하는 편향요크(9)와, 상기 전자빔(11)의 색선별 작용을 하는 새도우 마스크(3)와, 상기 새도우 마스크를 지지하는 마스크 프레임(5)과, 지자계의 영향을 차단하는 인너쉴드(7)가 포함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음극선관은 펀넬(2)에 장착된 전자총(8)에서 전자빔(11)이 방출되어 편향요크(9)의 편향작용을 받아 패널(1) 내면에 형성된 형광체 스크린을 타격함으로써 소정의 화상을 디스플레이한다.
도 2와 도 3은 종래의 음극선관에 사용되는 패널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는 내면과 외면이 소정의 곡률로 형성된 패널(1)이 도시되어 있으며, 도 3에는 외면이 실질적으로 평면이고 내면은 소정의 곡률로 형성된 패널(10)이 도시되어 있다.
도 4는 도 2와 도 3에 도시된 패널을 비교하여 설명하는 도면으로서, 중심을 기준으로 좌측은 도 3에 도시된 외면이 실질적으로 평면이고 내면은 소정의 곡률로 형성된 패널(10)이며, 중심을 기준으로 우측은 도 2에 도시된 내면과 외면이 소정의 곡률로 형성된 패널(1)이 도시되어 있다.
최근, 도 3에 도시된 외면이 실질적으로 평면인 패널(10)이 음극선관에서 주종을 이루고 있는데, 외면이 평면으로 형성되는 경우 화상의 왜곡이 적고, 외부광의 반사가 적어 화질이 우수하다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도 3에 도시된 패널(10)의 경우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몰드 매치 라인(mold match line)에서 실 에지 라인(seal edge line)까지의 거리 (OMH)가 내면과 외면이 소정의 곡률로 형성된 패널(1)보다 더 크게 형성된다.
이 때문에, 외면이 실질적으로 평면인 패널(10)은 패널의 전체적인 두께가 증가하여 무게가 무거워진다.
이울러, 패널 스커트와 유효면 사이 경계부(6)의 최대 두께가 증가되고 이로 인하여 가열로 내에서 열전도 차이로 인하여 글라스의 파손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외면이 실질적으로 평면인 패널(10)은 내면과 외면이 소정 곡률로 형성된 패널(1)에 비하여 방폭 특성에 있어서 약한 구조적 취약점을 가지고 있는데, 이를 보완하기 위해서는 패널(10)의 두께를 더욱 두껍게 해주어야 한다. 그러나, 이것은 화면의 휘도 저하로 이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이와 같이 외면이 실질적으로 평면인 패널(10)은 패널(10)의 두께가 두껍게 형성되고, 글라스 파손이 발생됨에 따라 재료비 및 생산원가가 증가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패널의 두께를 적절한 두께로 감소시킴으로써 제조공정에서 패널의 파손 및 제조원가를 최소화하고 휘도 특성을 개선한 음극선관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음극선관은 외면이 평면형이고 내면은 곡률을 갖도록 형성된 패널과, 상기 패널과 결합되는 펀넬과, 상기 펀넬에 장착되어 전자빔이 방출되는 전자총과, 상기 전자빔이 편향되도록 하는 편향요크와 상기 전자빔의 색선별 작용을 하는 새도우 마스크가 포함되는 음극선관에 있어서, 상기 패널은 중앙부의 두께 대비 코너부의 두께의 비(%)가 150~230%이고, 상기 패널은
Figure 112005069595609-pat00002
을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단, 여기서 CFT는 패널 중앙부의 두께, USD는 패널의 유효면 대각길이, IBRD는 패널 중심에서 패널 코너부의 곡률의 중심까지의 거리를 2배한 길이를 의미한다.
또한, 상기 패널은
Figure 112003049770251-pat00003
을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패널은
Figure 112003049770251-pat00004
을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패널은
Figure 112003049770251-pat00005
을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패널은
Figure 112003049770251-pat00006
을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패널은
Figure 112003049770251-pat00007
을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패널 내면의 대각방향 곡률반경은 1000mm~2000mm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패널 외면의 대각방향 곡률반경은 3000mm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패널의 유효면 대각길이는 500mm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음극선관은 모니터용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음극선관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음극선관은 내면에 형광체 스크린이 형성된 패널과 상기 패널과 결합되는 펀넬과, 상기 펀넬에 장착되어 전자빔이 방출되는 전자총과, 상기 전자빔을 상하좌우로 편향되도록 하는 편향요크와, 상기 전자빔의 색선별 작용을 하는 새도우 마스크가 포함된다.
그리고, 상기 패널은 외면이 실질적으로 평면이고, 내면을 소정의 곡률로 형성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음극선관에 있어서 패널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음극선관에서 패널(20) 내면의 대각방향 곡률반경은 1000mm~2000mm이고, 패널(20) 외면의 대각방향 곡률반경은 3000mm 이상으로 형성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음극선관은 모니터용으로 적합한 음극선관으로서, 패널(20)의 유효면 대각길이(USD)는 500mm이하이고, 패널(20) 중심의 두께 대비 패널(20) 대각 코너부의 두께의 비의 %값(웨지율이라고도 함.)은 150~230%로 형성된다.
또한, 도 6에는 외면이 실질적으로 평면이고 내면은 소정의 곡률로 형성된 패널에 있어서 본 발명은 실선으로 표시하였고, 비교예는 점선으로 표시하였다.
본 발명과 비교예의 차이를 간단히 설명하면, 본 발명은 비교예에 비하여 패널(2) 중앙부의 두께(CFT)가 감소하였고, 패널 스커트와 유효면 경계부의 최대 두께(T)가 감소되었음을 도면으로 확인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보다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CFT는 패널 중앙부의 두께를 의미하고, USD는 패널의 유효면 대각 길이이다. 그리고, T는 패널 스커트와 유효면 경계부 사이의 최대 두께를 의미하고, R은 패널 코너부에서 유효면 경계부의 곡률반경을 의미한다.
또한, IBRD는 패널 중심에서 패널 코너부의 곡률의 중심까지의 거리를 2배한 길이를 의미한다.
음극선관은 전자총에서 방출된 전자빔으로 인한 X-레이가 패널을 뚫고 외부로 방출되는데, 이때 X-레이의 양은 미미하지만 안전을 위하여 그 상한치가 규격으로 정해져 있다.
상기 X-레이에 대한 규격을 만족하기 위해서 상기 CFT와, USD와, IBRD값이 소정 범위를 만족하여야 한다.
따라서, 이를 고려하여 패널의 설계가 이루어져야 하는데, 본 발명은 상기 규격을 만족하기 위한 범위로서 다음 관계식을 제안한다.
Figure 112003049770251-pat00008
상기
Figure 112003049770251-pat00009
가 750mm보다 작은 경우에는 X-레이를 제한하는 규격을 만족할 수 없으며, 상기
Figure 112003049770251-pat00010
가 1100mm보다 큰 경우에는 화면의 평면감이 저하되고, 패널 중앙부와 주변부의 두께 차이로 인하여 글라스 파손이 발생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USD와, IBRD값이 다음 범위를 만족하도록 설계된다.
Figure 112003049770251-pat00011
상기
Figure 112003049770251-pat00012
가 99%보다 작은 경우 패널의 스커트와 유효면 경계부 사이의 최대 두께 T가 커져 글라스 파손이 증가하며, 상기
Figure 112003049770251-pat00013
가 102.5%보다 큰 경우 패널의 스커트와 유효면 경계부 사이의 최대 두께 T가 너무 작아져서 응력의 집중으로 인한 음극선관의 방폭 특성이 저하된다.
또한, 본 발명은 패널 코너부에서 유효면 경계부의 곡률반경 R이 다음 관계식을 만족하도록 설계된다.
Figure 112003049770251-pat00014
상기 R이 5.8mm보다 작은 경우에 글라스의 제작이 용이하지 않으며, R이 10.0mm보다 큰 경우에 응력의 집중으로 인하여 음극선관의 방폭 특성이 저하된다.
표 1은 본 발명과 비교예의 패널의 각 설계치수를 설명한 것이다.
17인치 음극선관 19인치 음극선관
비교예 본 발명 비교예 본 발명
CFT 11.0mm 8.5mm 11.5mm 8.5mm
IBRD 201.0mm 201.6mm 227.9mm 229.0mm
USD 203.2mm 203.2mm 228.6mm 228.6mm
T 26.1mm 24.7mm 27.4mm 25.8mm
R 5.5mm 7.0mm 5.5mm 6.0mm
Figure 112003049770251-pat00015
1112mm 843mm 1154mm 930mm
상기 표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동일한 대각 유효면 사이즈(USD)의 패널에서 패널 중앙부의 두께(CFT)와, 패널 스커트와 유효면 경계부 사이의 최대 두께(T)를 감소시켰으며, 패널 코너부에서 유효면 경계부의 곡률반경(R)을 크게 형성하였다. 이는 도 6에서 확인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종래의 패널 두께를 감소시킴으로써 휘도 특성을 개선하였으며, 열처리 공정에서의 패널의 파손을 최소화하였다. 아울러, 패널의 두께가 감소함에 따라 제조비용이 감소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패널의 제조공정에서 패널의 파손을 최소화함으로써 생산 수율 및 제조원가를 저감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패널의 두께를 축소함에 따라 화면의 휘도가 개선되는 장점이 있다.

Claims (10)

  1. 외면이 평면형이고 내면은 곡률을 갖도록 형성된 패널과, 상기 패널과 결합되는 펀넬과, 상기 펀넬에 장착되어 전자빔이 방출되는 전자총과, 상기 전자빔이 편향되도록 하는 편향요크와 상기 전자빔의 색선별 작용을 하는 새도우 마스크가 포함되는 음극선관에 있어서,
    상기 패널은 중앙부의 두께 대비 코너부의 두께의 비(%)가 150~230%이고,
    상기 패널은
    Figure 112005069595609-pat00029
    을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극선관.
    (단, CFT는 패널 중앙부의 두께, USD는 패널의 유효면 대각길이, IBRD는 패널 중심에서 패널 코너부의 곡률의 중심까지의 거리를 2배한 길이.)
  2. 삭제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패널은
    Figure 112003049770251-pat00019
    을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극선관.
    (단, USD는 패널의 유효면 대각길이, IBRD는 패널 중심에서 패널 코너부의 곡률의 중심까지의 거리를 2배한 길이.)
  5. 삭제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패널은
    Figure 112003049770251-pat00021
    을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극선관.
    (단, R은 패널 코너부에서 유효면 경계부의 곡률반경)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패널 내면의 대각방향 곡률반경은 1000mm~2000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극선관.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패널 외면의 대각방향 곡률반경은 3000mm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극선관.
  9. 삭제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음극선관은 모니터용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극선관.
KR1020030097384A 2003-06-30 2003-12-26 음극선관 KR10056089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30043287 2003-06-30
KR1020030043287 2003-06-3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05725A KR20050005725A (ko) 2005-01-14
KR100560895B1 true KR100560895B1 (ko) 2006-03-13

Family

ID=341016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97384A KR100560895B1 (ko) 2003-06-30 2003-12-26 음극선관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7095166B2 (ko)
KR (1) KR100560895B1 (ko)
CN (1) CN1271674C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54420B1 (ko) * 2003-11-27 2006-02-22 엘지.필립스 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칼라 음극선관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497115B (en) * 1998-04-28 2002-08-01 Hitachi Ltd Cathode ray tube
KR100331818B1 (ko) * 2000-04-11 2002-04-09 구자홍 음극선관용 섀도우 마스크
KR100439261B1 (ko) * 2001-09-11 2004-07-05 엘지.필립스디스플레이(주) 평면형 컬러음극선관용 경량화 패널
KR100426571B1 (ko) * 2002-03-07 2004-04-14 엘지.필립스디스플레이(주) 음극선관용 펀넬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271674C (zh) 2006-08-23
US7095166B2 (en) 2006-08-22
CN1577712A (zh) 2005-02-09
KR20050005725A (ko) 2005-01-14
US20050023954A1 (en) 2005-02-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08005B1 (ko) 마스크 스트레칭형 칼라 음극선관용 패널
KR100404574B1 (ko) 평면형 컬러음극선관
KR100560895B1 (ko) 음극선관
KR100389542B1 (ko) 평면형 컬러음극선관
KR100439261B1 (ko) 평면형 컬러음극선관용 경량화 패널
US7154215B2 (en) Color cathode ray tube capable of reducing stress
KR20020076830A (ko) 경량화를 위한 평면형 컬러 음극선관
KR100645793B1 (ko) 평면형 음극선관
US6914378B2 (en) Color cathode ray tube panel having seal edge corner with a specific curvature
KR100554420B1 (ko) 칼라 음극선관
KR100489613B1 (ko) 평면형 컬러음극선관
KR100869793B1 (ko) 평면 음극선관
KR100712905B1 (ko) 음극선관
KR100585533B1 (ko) 평면형 컬러음극선관
KR100489612B1 (ko) 평면형 컬러음극선관
KR100493513B1 (ko) 평면 음극선관
KR100588863B1 (ko) 평면형 컬러음극선관
KR100404575B1 (ko) 평면형 컬러음극선관
KR100489606B1 (ko) 음극선관
EP1564781B1 (en) Cathode-ray tube apparatus
KR20030025456A (ko) 평면형 컬러음극선관
KR20020058297A (ko) 평면형 컬러음극선관
KR20050000582A (ko) 평면형 컬러음극선관
KR20050091399A (ko) 칼라 음극선관
KR20050006775A (ko) 평면형 컬러음극선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1216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