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58955B1 - 마모성능이 향상된 트럭버스용 타이어의 트레드 고무조성물 - Google Patents

마모성능이 향상된 트럭버스용 타이어의 트레드 고무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58955B1
KR100558955B1 KR1020030081718A KR20030081718A KR100558955B1 KR 100558955 B1 KR100558955 B1 KR 100558955B1 KR 1020030081718 A KR1020030081718 A KR 1020030081718A KR 20030081718 A KR20030081718 A KR 20030081718A KR 100558955 B1 KR100558955 B1 KR 10055895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hr
rubber
rubber composition
truck
styre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817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47916A (ko
Inventor
김인식
Original Assignee
금호타이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금호타이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금호타이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300817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58955B1/ko
Publication of KR200500479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4791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589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58955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7/00Compositions of natural rubb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1/00Tyres characterised by the chemical composition or the physical arrangement or mixture of the composition
    • B60C1/0016Compositions of the tread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2Elements
    • C08K3/04Carbon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04Oxygen-containing compounds
    • C08K5/09Carboxylic acids; Metal salts thereof; Anhydrides thereof
    • C08K5/098Metal salts of carboxylic aci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9/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njugated diene hydrocarb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9/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njugated diene hydrocarbons
    • C08L9/06Copolymers with styr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5/00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 C08L2205/02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containing two or more polymers of the same C08L -group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5/00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 C08L2205/03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containing three or more polymers in a blend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 Tires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트럭버스용 타이어의 트레드 고무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하기 성분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트럭버스용 타이어의 트레드 고무조성물을 제공한다.
(a) 천연고무 15∼60phr
(b) 스타이렌 함량이 22.5∼24.5%인 스타이렌-부타디엔고무 최대 45phr
(c) 시스 함량이 94%이상인 부타디엔고무 10∼60phr
(d) 고분자의 지방산 아연염 최대 3phr
상기 구성에 의한 고무조성물에 의하면, 점도하락으로 인한 공정성이 향상되고, 브로우 아웃 특성은 개선되며, 마모성능이 향상된 트럭버스용 타이어 트레드를 제조할 수 있다.

Description

마모성능이 향상된 트럭버스용 타이어의 트레드 고무조성물{Tread Compound of Truck-Bus Tire with Improved Abrasion Properties}
본 발명은 트럭버스용 타이어 트레드 고무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점도하락으로 인한 공정성이 향상되고, 브로우 아웃 특성은 개선되며, 마모성능이 향상된 트레드 고무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승용차용 타이어의 트레드는 일반적으로 마모, 제동력, 회전저항 등을 잘 조화시키기 위해 합성고무(특히, 스타이렌-부타디엔 고무)를 중심으로 설계되었다. 그러나, 트럭버스용 타이어의 트레드 고무조성물은 적게는 수톤에서 많게는 수십톤의 화물을 싣고 운반을 하기 때문에 이러한 하중으로 인해 트레드와 도로표면은 충분한 접지력을 발휘하게 되어 제동력 등은 고무설계시 중요시 되지 않는 대신 하중으로 인한 고무분자간 급격한 운동으로 생기는 발열과 마모에 비중을 두어 설계되고 있다. 따라서 트럭버스용 타이어의 원료고무로는 발열성능이 우수한 천연고무가 주로 사용되었으며, 마모성능을 향상시킬 목적으로 천연고무에 부타디엔 고무를 혼합하였다.
그러나, 천연고무와 부타디엔 고무의 혼용은 마모성능은 향상시키지만 발열성능이 하락되고, 부타디엔 고무의 사용에 따른 공정성의 하락이 지적된다.
본 발명은 점도하락으로 인한 공정성이 향상되고, 브로우 아웃 특성은 개선되며, 마모성능이 향상된 트레드 고무조성물을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트럭버스용 타이어의 트레드 고무조성물은 하기 성분을 포함한다.
(a) 천연고무 15∼60phr
(b) 스타이렌 함량이 22.5∼24.5%인 스타이렌-부타디엔고무 최대 45phr
(c) 시스 함량이 94%이상인 부타디엔고무 10∼60phr
(d) 고분자 지방산의 아연염 최대 3phr
본 발명의 고무조성물은 보강제로 I2NO(mg/g)가 117∼125, DBPA(cc/mg)가 110∼118인 카본블랙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고무조성물은 가류시스템으로서 N-터셔리부틸벤조티아졸설펜아마 이드(TBBS)와 N,N-디페닐구아니딘(DPG)가 각각 0.7∼1.0phr 및 최대 0.3phr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의 내용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원료고무는 상기한 바와 같이 천연고무가 15∼60phr 포함되도록 한다. 만일 천연고무의 함량이 15phr 미만인 경우에는 공정성이 하락하게 되고, 60phr를 초과하면 열노화가 크게 되므로 바람직하지 않다.
스타이렌-부타디엔고무는 스타이렌 함량이 22.5∼24.5%인 것으로서 최대 45phr까지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이유는 상기 범위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마모성능이 오히려 하락할 우려가 있기 때문이다.
부타디엔 고무는 바람직하게는 시스 함량이 94%이상인 것을 10∼60phr 혼합한다. 만일 10phr 미만으로 혼합하는 경우에는 마모성능의 향상을 기대하기 곤란하고, 60phr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발열성능이 하락되고 뿐만 아니라 공정성을 하락시키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고무조성물은 보강제로 바람직하게는 I2NO(mg/g)가 117∼125, DBPA(cc/mg)가 110∼118인 카본블랙을 포함한다. 보강제로 카본블랙의 함량은 특별한 한정을 요하는 것은 아니며, 바람직하게는 40∼65phr 정도가 좋다.
또한, 본 발명의 고무조성물은 바람직하게는 가류시스템으로서 N-터셔리부틸벤조티아졸설펜아마이드(TBBS)와 N,N-디페닐구아니딘(DPG)가 각각 0.7∼1.0phr 및 최대 0.3phr를 포함한다. TBBS가 0.7phr 미만인 경우에는 가류가 원활하지 않을 우 려가 있으며, TBBS가 1.0phr를 초과하거나 DPG가 0.3phr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원료의 추가에 따른 특성 개선이 크지 않아 제품단가의 상승요인이 된다.
고분자 지방산의 아연염(상품명: SDA, Flow polymer)은 이의 등가물이 이용될 수 있다. 고분자 지방산의 아연염은 바람직하게는 최대 3phr까지 첨가되며, 만일 3phr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원료의 추가에 따른 특성 개선이 크지 않고, 오히려 다른 물성을 하락시키는 요인이 될 수도 있다.
기타, 본 발명에 따른 트럭버스용 트레드고무조성물은 통상의 첨가물들을 포함한다. 이들 첨가물의 예로는 스테아린산, 아연화, 노화방지제, 왁스, 오일, 황, 지연제 등이 있으며, 이들은 모두 당업계에 자명한 성분들이다. 따라서, 이들 기타 첨가물들은 본 발명의 요지를 구성하지는 아니한다.
상기 배합조건을 가지는 본 발명에 따른 고무조성물은 점도하락으로 인한 공정성이 향상되고, 브로우 아웃 특성은 개선되며, 마모성능이 향상된 트레드 고무조성물을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의 내용을 실시예에 의해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이들 실시예는 본 발명의 내용을 이해하기 위해 제시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한정되어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져서는 아니된다.
<비교예 1> 고무조성물
천연고무 100phr, 카본블랙 A 52phr, 스테아린산 2phr, 아연화 4phr, 노화방지제 3phr, 왁스 1phr, 오일 5phr, 황 2phr 촉진제 A 0.7phr, 지연제 0.2phr을 배 합하여 160℃에서 혼합물을 배출하였다.
<실시예 1> 고무조성물
천연고무 30phr, 스타이렌-부타디엔고무 30phr, 부타디엔 40phr, 카본블랙 B 57phr, 고분자 지방산의 아연염 A 3phr, 황 2.2phr, 촉진제 A 0.9phr, 촉진제 B 0.3phr, 지연제 0.1phr을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비교예 1과 동일하게 배합하여 시행하였다.
<실시예 2> 고무조성물
천연고무 30phr, 스타이렌-부타디엔고무 30phr, 부타디엔 40phr, 카본블랙 B 60phr, 고분자 지방산의 아연염 A 3phr, 황 2.2phr, 촉진제 A 0.9phr, 촉진제 B 0.3phr, 지연제 0.1phr을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비교예 1과 동일하게 배합하여 시행하였다.
<실시예 3> 고무조성물
천연고무 15phr, 스타이렌-부타디엔고무 45phr, 부타디엔 40phr, 카본블랙 B 57phr, 고분자 지방산의 아연염 A 3phr, 황 2.2phr, 촉진제 A 0.9phr, 촉진제 B 0.3phr, 지연제 0.1phr을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비교예 1과 동일하게 배합하여 시행하였다.
<실시예 4> 고무조성물
천연고무 15phr, 스타이렌-부타디엔고무 45phr, 부타디엔 40phr, 카본블랙 B 60phr, 고분자 지방산의 아연염 A 3phr, 황 2.2phr, 촉진제 A 0.9phr, 촉진제 B 0.3phr, 지연제 0.1phr을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비교예 1과 동일하게 배합하여 시행하였다.
상기 비교예 및 실시예에서 제조된 트레드 고무조성물의 성분배합 및 배합물의 물성을 하기 표 1에 나타냈으며, 표 1의 배합물로 제조한 12R22.5 16PR 규격의 실차시험 결과는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표 1> 고무조성물의 배합비 (phr) 및 물성
항목 비교예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실시예 4
천연고무 100 30 30 15 15
스타이렌-부타디엔고무1 - 30 30 45 45
부타디엔고무2 - 40 40 40 40
카본블랙 A3 52 - - - -
카본블랙 B4 - 57 60 57 60
고분자 지방산의 아연염 A5 - 3 3 3 3
스테아린산 2 2 2 2 2
아연화 4 4 4 4 4
노화방지제 3 3 3 3 3
왁스 1 1 1 1 1
오일 5 5 5 5 5
2 2.2 2.2 2.2 2.2
촉진제 A6 0.7 0.9 0.9 0.9 0.9
촉진제 B7 - 0.3 0.3 0.3 0.3
지연제8 0.2 0.1 0.1 0.1 0.1
점도 100℃ 96 81 86 81 87
레오미터 (145℃) T40(분) 15.3 15.9 15.7 16.5 16.3
T90(분) 23.2 24.1 24.2 24.8 24.6
인장물성 (145℃,30분 가류) 경도, 쇼어법 68 70 72 70 71
300%모듈러스, kg/㎠ 132 147 157 138 142
인장강도,kg/㎠ 292 171 176 188 185
마모성능 PICO,g 0.0275 0.0180 0.0185 0.0195 0.0180
DIN,g 0.164 0.111 0.109 0.106 0.110
블로우 아웃 발생시간 (100℃,분) 4.2 10.1 9.6 7.8 10
1: 스타이렌 함량이 22.5∼24.5%인 스타이렌-부타디엔고무(오일을 포함하지 않음)
2: 시스(cis) 함량이 94%인 부타디엔고무
3: I2NO(mg/g)가 136∼144, DBPA(cc/100g)가 126∼134인 카본블랙
4: I2NO(mg/g)가 117∼125, DBPA(cc/100g)가 110∼118인 카본블랙
5: Zinc salts of Higher Molecular Fatty Acids(상품명: SDA, Flow Polymer)
6: N-터셔리부틸벤조티아졸설펜아마이드(TBBS)
7: N,N-디페닐구아니딘(DPG)
8: N-시클로헥실티오프탈이미드
※ 점도가 낮을수록 공정성은 유리함
※ 마모성능은 발생량이 적을수록 우수한 특성을 나타냄
※ 블로우 아웃은 파단시간이 길수록 우수한 특성을 나타냄
삭제
<표 2> 완제품을 대상으로 하는 실사시험결과
(규격: 12R22.5 16PR)
항목 비교예 실시예 1 실시예 2
실차결과 (마모지수) 100 118 121
※ 마모지수는 같은 skid depth에서 달릴 수 있는 거리를 비교예를 기준으로 나눈 값임
본 발명에 의하면, 원료고무로 천연고무/스타이렌-부타디엔/부타디엔고무를 최적조건으로 혼합하고 소정의 고분자 지방산의 아연염을 포함함으로써, 점도하락으로 인한 공정성이 향상되고, 브로우 아웃 특성은 개선되며, 마모성능이 향상된 트레드 고무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고무조성물로 제조되는 타이어는 마모성능의 향상으로 수명이 증가된 타이어를 제조할 수 있게 한다.

Claims (3)

  1. 트럭버스용 타이어의 트레드 고무조성물에 있어서, 하기 성분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트럭버스용 타이어의 트레드 고무조성물
    (a) 천연고무 15∼60phr
    (b) 스타이렌 함량이 22.5∼24.5%인 스타이렌-부타디엔고무 최대 45phr
    (c) 시스 함량이 94%이상인 부타디엔고무 10∼60phr
    (d) 고분자 지방산의 아연염 최대 3phr
  2. 제 1항에 있어서, 보강제로 I2NO(mg/g)가 117∼125, DBPA(cc/mg)가 110∼118인 카본블랙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고무조성물
  3. 제 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가류시스템으로는 TBBS와 DPG가 각각 0.7∼1.0phr 및 최대 0.3phr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고무조성물
KR1020030081718A 2003-11-18 2003-11-18 마모성능이 향상된 트럭버스용 타이어의 트레드 고무조성물 KR10055895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81718A KR100558955B1 (ko) 2003-11-18 2003-11-18 마모성능이 향상된 트럭버스용 타이어의 트레드 고무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81718A KR100558955B1 (ko) 2003-11-18 2003-11-18 마모성능이 향상된 트럭버스용 타이어의 트레드 고무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47916A KR20050047916A (ko) 2005-05-23
KR100558955B1 true KR100558955B1 (ko) 2006-03-10

Family

ID=372467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81718A KR100558955B1 (ko) 2003-11-18 2003-11-18 마모성능이 향상된 트럭버스용 타이어의 트레드 고무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58955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47916A (ko) 2005-05-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42216B1 (ko) 타이어 트레드용 고무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한 타이어
US9637610B2 (en) Silica-filled ENR masterbatch and cross linkable elastomeric composition
KR100709976B1 (ko) 승용차용 타이어 트레드 고무조성물
WO2004026954A1 (ja) タイヤ
KR100558955B1 (ko) 마모성능이 향상된 트럭버스용 타이어의 트레드 고무조성물
KR100542286B1 (ko) 발열 및 블로우 아웃 특성이 향상된 트럭버스용 타이어의트레드 고무조성물
KR100809631B1 (ko) 스노우 타이어 트레드 고무조성물
KR100771684B1 (ko) 타이어 사이드월 고무조성물
KR100618525B1 (ko) 트럭 버스용 타이어의 트레드용 고무 조성물
KR20060134483A (ko) 타이어 트레드 고무조성물
KR100593005B1 (ko) 저발열 언더트레드 고무조성물
KR102202580B1 (ko) 회전저항 특성이 우수한 타이어고무조성물 및 그 타이어
KR100558961B1 (ko) 트럭버스 타이어용 림 플렌지 고무조성물
KR100592994B1 (ko) 승용차 타이어용 트레드 고무조성물
KR100569869B1 (ko) 젖은노면마찰 특성 및 회전저항특성이 우수한 트레드고무조성물
KR100635608B1 (ko) 압출성이 향상된 타이어 트레드 고무조성물
KR100656551B1 (ko) 나노 탄산칼슘이 함유된 트레드 고무조성물
KR100683957B1 (ko) 내열성이 향상된 실리카 고무조성물
KR100749347B1 (ko) 젖은 노면에서의 제동성능이 향상된 타이어 트레드고무조성물
KR100738675B1 (ko) 타이어 트레드용 고무조성물
KR100641046B1 (ko) 고온 가류를 위한 트럭 및 버스 타이어용 고무 조성물
KR100569875B1 (ko) 승용차 타이어용 트레드 고무조성물
KR100578098B1 (ko) 타이어 트레드용 고무조성물
KR100829176B1 (ko) 회전저항이 감소된 타이어용 고무조성물
KR100569874B1 (ko) 압출공정이 우수한 트레드 고무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