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58371B1 - 폐타이어에서 연료유 추출 장치 - Google Patents

폐타이어에서 연료유 추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58371B1
KR100558371B1 KR1020030039520A KR20030039520A KR100558371B1 KR 100558371 B1 KR100558371 B1 KR 100558371B1 KR 1020030039520 A KR1020030039520 A KR 1020030039520A KR 20030039520 A KR20030039520 A KR 20030039520A KR 100558371 B1 KR100558371 B1 KR 1005583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uel oil
pipeline
storage tank
cooler
carb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395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110292A (ko
Inventor
성성환
천필지
Original Assignee
성성환
천필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성성환, 천필지 filed Critical 성성환
Priority to KR10200300395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58371B1/ko
Publication of KR200401102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11029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583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5837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GCRACKING HYDROCARBON OILS; PRODUCTION OF LIQUID HYDROCARBON MIXTURES, e.g. BY DESTRUCTIVE HYDROGENATION, OLIGOMERISATION, POLYMERISATION; RECOVERY OF HYDROCARBON OILS FROM OIL-SHALE, OIL-SAND, OR GASES; REFINING MIXTURES MAINLY CONSISTING OF HYDROCARBONS; REFORMING OF NAPHTHA; MINERAL WAXES
    • C10G1/00Production of liquid hydrocarbon mixtures from oil-shale, oil-sand, or non-melting solid carbonaceous or similar materials, e.g. wood, coal
    • C10G1/10Production of liquid hydrocarbon mixtures from oil-shale, oil-sand, or non-melting solid carbonaceous or similar materials, e.g. wood, coal from rubber or rubber waste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BDESTRUCTIVE DISTILLATION OF CARBONACEOUS MATERIALS FOR PRODUCTION OF GAS, COKE, TAR, OR SIMILAR MATERIALS
    • C10B53/00Destructive distill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solid raw materials or solid raw materials in special form
    • C10B53/07Destructive distill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solid raw materials or solid raw materials in special form of solid raw materials consisting of synthetic polymeric materials, e.g. tyre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GCRACKING HYDROCARBON OILS; PRODUCTION OF LIQUID HYDROCARBON MIXTURES, e.g. BY DESTRUCTIVE HYDROGENATION, OLIGOMERISATION, POLYMERISATION; RECOVERY OF HYDROCARBON OILS FROM OIL-SHALE, OIL-SAND, OR GASES; REFINING MIXTURES MAINLY CONSISTING OF HYDROCARBONS; REFORMING OF NAPHTHA; MINERAL WAXES
    • C10G2300/00Aspects relating to hydrocarbon processing covered by groups C10G1/00 - C10G99/00
    • C10G2300/10Feedstock materials
    • C10G2300/1003Waste materia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50/00Technologies for the production of fuel of non-fossil origin
    • Y02E50/30Fuel from waste, e.g. synthetic alcohol or diesel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50Reuse, recycling or recovery technologies
    • Y02W30/62Plastics recycling; Rubber recycling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 Solid Fuels And Fuel-Associated Substances (AREA)
  • Production Of Liquid Hydrocarbon Mixture For Refining Petroleum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소정 직경과 길이를 가지는 스테인레스 재질로 되는 건류로 내부에는 고온의 포화증기(약 500℃)를 분사함과 아울러 외부 가열장치에서 고열을 건류로에 방사하여 호퍼로 부터 내부에 장입되는 폐타이어 절편들을 고열로 건류하여 폐타이어 절편들에서 건류가스를 발생시키게 하고 이 건류가스를 응축 냉각하여 응결되는 정제 연료유를 생성하도록 폐타이어의 연료유 추출 장치에 대한 발명이다.

Description

폐타이어에서 연료유 추출 장치{The equipment that extract fuel oil in lungs tire}
도 1은 본 발명상으로 실시구성되는 폐타이어에서 연료를 추출하는 공정 블럭다이어그람.
도 2는 도 1상의 공정으로 되는 각 장치들을 거치면서 폐타이어 절편으로 부터 연료유를 추출하는 각 장치 파이프라인을 도시한 배관도.
도 3은 도 2상으로 추출한 카본(탄소)을 별도 처리하여 카본을 카본 블랙으로 제품화하는 공정을 참고로 도시한 카본 생산 공정 블럭다이어그람.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C. 카본 g. 연료유가스 N. 토출노즐
P1,P2,P3,P4,P5,P6,P7,P8,P9,P10,P11,P12. 파이프라인 SP. 증기토출관
S. 스팀발생장치 T. 절편 W. 철심
1. 건류로 2. 호퍼 3. 재료투입관
3a. 수평관 4. 공기차단밸브 5. 유입스크류
6. 축 7,8. 모터 9. 전동수단
10,10a. 가열장치 11. 냉각장치 12. 스크류
13. 펌프 13a. 순환펌프 14. 1차 냉각기
14a. 2차 냉각기 15. 배출파이프 16. 카본철심세퍼레이터
17,17a. 응결연료유 18. 1차 연료유저장탱크 18a. 2차 연료유저장탱크
19. 자켓 20. 쿨링타워 21. 이송펌프
22. 유, 수 분리기 23. 정수장치
본 발명은 폐타이어의 주성분인 고무에서 고무가 함유하고 있는 화력이 높은 연료유를 추출하여 보일러 등의 연료유 등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연료유 추출 장치에 대한 것으로 폐타이어는 그대로 방치하면 부식되지 않고 자연경관을 해칠뿐 아니라 환경공해를 유발하게 되고 이러한 폐타이어는 전국적으로 발생량이 엄청나게 많아 이 폐타이어를 폐기하기 위하여 세편으로 절단하여 매립하거나 시멘트 킬른(kiln;소성로)의 가동 연료로 사용하거나 일부는 일반적으로 외부에서 가열하게 되는 용융로에 투입하여 용융건류처리 하여 왔다.
그런데 종래 폐타이어를 그대로 또는 세편으로 절단하여 매립하면 장기간이 지나면서 타이어 제조시 필히 가황처리가 된 폐타이어 고무에 함유된 황(S)이 침출되어 토양을 강산성으로 오염시켜 식물의 생장을 교란하여 생태계에 악영향을 미치 며 지상에 노출 폐기시키면 미관을 해치며 이 폐타이어 절편을 보일러 또는 시멘트 킬른의 가동 연료로 사용하면 폐타이어의 연소시 엄청난 유독가스와 그을음이 발생하고 종래 건류로 외부에서 가열하는 구조의 건류로로 건류하여 생성되는 연료유는 잔류 유황을 1.2%정도 함유하고 있어 인체 및 동,식물에 치명적인 유해성분인 유황 및 다이옥신 및 탄소성분인 매연 등이 발생하여 대기를 오염시키는 문제점 등이 발생된다.
본 발명은 종래 건류로의 문제점을 해결하고 보다 완전연소에 근접하도록 건류로 내부에는 고온의 포화증기(약 500℃)를 분사함과 아울러 외부 가열장치에서 고열을 건류로에 방사하여 호퍼로 부터 내부에 장입되는 폐타이어 절편들을 고열로 건류하여 폐타이어 절편들에서 건류가스를 발생시키게 하고 이 건류가스를 응축 냉각하여 응결되는 정제 연료유를 생성하여 이 정제 연료유는 정제 연료유탱크에 저장하고 건류되면서 생성되는 타이어의 강도 유지를 위하여 타이어 제조시 타이어 고무속에 매입되어 있던 철심은 별도로 수거하여 금속 원료로 재사용하는 한편 잔류탄소(카본)는 첨부한 도면 도 3에 도시한 공정을 경유하면서 흑색 안료 등의 원료인 카본블랙을 제조하게 되는 바,
본 발명상으로 실시구성되는 각 장치 파이프라인을 첨부한 도면 도 1 및 도 2를 참고로 하여 상술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상의 건류로(1)는 건류로(1) 내부에 고온의 증기를 분사하여 이 건류가스 중 H2S를 증기중의 수소분자가 결합하여 H2SO4가 되도록 유도결합하게 하는 탈황방식으로써 본 발명상의 중요 장치중의 하나인 건류로(1)의 구조는 소정 직경과 길이로 되는 스테인레스재질(SUS310S)의 건류로(1) 일측 선단에 "L" 단면으로 되는 구조의 미리 소정크기로 재료 투입 호퍼(2)가 상단에 구비된 "L"형 재료투입관(3)이 연결되되 "L"형 재료투입관(3) 상측에 다수개의 공기차단밸브(4)가 연결되고 "L"형 재료투입관(3)의 수평관(3a)에는 재료투입호퍼(2)로 부터 일정한 크기로 미리 절단한 폐타이어 절편(T)을 건류로(1) 내부로 유입시키는 절편 유입스크류(5)가 축(6)에 형성된 모터(7)와 연결되게하는 한편, 이러한 건류로(1)를 모터(8)와 체인 또는 밸트 등의 전동수단(9)으로 연동되게하여 이 건류로(1)가 일정한 회전수로 회전되게 하며 이 건류로(1) 외주면측에서 공지한 별도의 장치로 구비된 고열 스팀발생장치(S)에서 발생된 스팀(
Figure 112005061736091-pat00001
)을 건류로 내부로 수평적으로 인입하는 스팀토출노즐(N)이 하향으로 다수개 구비된 증기토출관(SP)이 건류로(1) 외주면에 장치된 가열장치(10a)가 위치한 곳까지 위치되는 길이로 내설하고 가열장치(10)(10a) 및 냉각장치(11)를 공지한 수단으로 위치고정시키고 건류로(1) 내주면 전체에는 일정한 피치의 스크류(12)가 소정높이로 돌출형성되게하여 건류로(1)가 회전하면 유입된 폐타이어 절편(T)들이 외부의 가열장치(10)(10a)에서 방사되는 고열과 건류로(1) 내부에 인입된 스팀파이프(SP)의 노즐(N)로 부터 분사되는 고온의 포화증기(약 500℃)의 고열에 의하여 절편(T)들이 건류되고 회전하는 스크류(12)가 건류되는 절편(T)들을 유입 반대방향으로 밀어내게하며 이 가열장치(10)(10a)들을 지나면서 절편(T)들은 건류되어 밀폐된 건류로(1) 내에 생성된 건류가스와 증기는 파이프라인(P1)을 통하여 펌프(13)의 감압으로 1차냉각기(14)로 유입되게하고 건류시 생성된 카본(탄소)(C) 및 철심(W)은 각각 배출파이프(15)(15a)를 통하여 각각 배출되되 철심(W)은 폐기처분하거나 철제품 원료로 재활용하게 하고 카본(탄소)는 배출파이프(15)를 통하여 카본철심세퍼레이터(16)을 통과하게 하여 철심(W)과 카본(C)을 2차분리처리하게 하여 이 카본(C)은 첨부한 도면 도 3에 도시한 처리공정을 거쳐 카본블랙을 제조하게 하며 1차 냉각기(14)를 거쳐 응결되어 액체로 성상이 변화된 응결연료유(17)는 파이프라인(P2)을 따라 연료유저장탱크(18)로 보내어져 저장되게 하는 한편 이 1차 연료유 저장탱크(18)에서 기화된 연료유가스(g)는 파이프라인(P3)을 통하여 2차 냉각기(14a)로 보내게하여 응결연료유(17a)를 생성하여 파이프라인(P4)을 통하여 2차 연료유저장탱크(18a)에저장하여 일부는 파이프라인(P5)을 통하여 가열장치(10)(10a)의 보조 연료로 사용될 수 있게하며, 1차 냉각기(14) 및 2차 냉각기(14a)는 각각 냉각수 자켓(19)을 구비하여 냉각수 순환 펌프(13a)를 가동하여 각각 파이프라인(P6)(P7)을 통하여 쿨링타워(20)와 연결되게하여 냉각수를 순환시키게하고 1차 연료유 저장탱크(18)와 2차 연료유 저장탱크(18a)에 저장된 연료유(17)(17a)는 탱크(18)(18a) 하부와 연결된 파이프라인(P8)을 따라 연료유 이송펌프(21)의 펌핑압에 의하여 별도로 구비된 유,수분리기(22)를 통과하여 정제연료유로 제품화 하며 참고로 유, 수분리기(22)를 통하여 분리된 황산은 폐기하며 증기가 응결하여서 생성된 물은 정수장치(23)를 거쳐서 파이프라인(P9)을 통하여 스팀발생장치(S)와 연결되게 한 파이프라인을 형성하여 연료유를 지속적으로 생산할 수 있게 본 발명의 전체 폐타이어에서 연료유를 추출 장치가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 장치의 동작 상태를 설명하면 원료인 폐타이어 절편(T)이 투입되기 전에 예열하여 가동온도인 건류로(1)의 내부온도가 500~600℃에 도달되면 다수개(도면상으로 3개)의 공기차단 밸브(4)를 개폐하여 건류기(1)에 절단된 폐타이어 절편(T)이 스크류(5)에 의하여 유입되면 이미 건류기(1) 내부는 반응조건의 온도에 도달되어 있음으로 건류물질인 폐타이어 절편(T)이 유입되는 즉시 반응(열분해)이 시작되기 시작한다.(이때 건류물질에 의하여 유지온도가 내려가면 즉시 외부가열기가 작동되어 용융건류조간의 온도를 유지할 수 있게 설계되어 있으나 이는 공지 기술이므로 설명을 생략함) 일정한 시간이 경과하면 폐타이어 절편(T)들은 건류가스를 발생하면서 건류 물질인 고분자합성물(고무성분)은 CH의 고리가 끊어지면서 분해가 이루어지기 시작하여 약 3~4시간이 지나면 탄화수소와 잔류탄소, 철심으로 분해가 이루어지고 이와 동시에 용융건류시 에너지로 주입된 고온스팀 주입온도 500~600℃가 건류물질과 반응하면서 열에너지를 일부 상실하여 430~460℃로 변화되어 건류가스와 혼합되어 건류가스에 함유된 황(S)과 유리된 상태의 가스로 파이프라인(P1)을 통하여 가스추출 펌프(13)에 의해 1차 냉각기(14)로 유입되되 이 냉각기(14)는 냉각수 자켓이 구비되어 있어 이 자켓(19)으로 외부 쿨링타워(20)에서 순환펌프(13a)로 계속적으로 냉각수를 유입 배출되도록하여 순환 냉각되며, 냉각수의 온도는 30℃미만으로 관리되어 응축 냉각된 정제연료유와 황산은 1차 오일저장탱크(18)에 저장되고 잉여가스는 2차 냉각기(14a)로 이송되어 응측되어 저 비중오일과 황산으로 생성되는 2차 연료유 저장탱크(18a)에 저장되고 남는 비 응축가스는 유도관(P5)을 통해 건류기(1)의 가열장치(10)(10a)의 열원으로 이용되는데 참고로 1,2차 연료유 저장탱크(18)(18a)는 적정량에 도달되면 설치된 레벨에 의하여 연료유 이송펌프(13)(13a)가 작동하여 유, 수 분리기(22)로 이송되어 황산과 정제연료유로 구분하여 황산은 정수장치(23)를 통하여 황과 물로 분리되어 물은 스팀발생장치(S)로 이송되고 잔류황은 불순물이 함유되어 있음으로 폐기 처분하게 된다.
참고로 본 발명 공정으로 얻어지는 폐타이어 건류공정을 거쳐 처리되는 물성조성표는 도표(1)과 같고
Figure 112003021760205-pat00002
본 발명상으로 추출된 정제연료유의 성분분석은 도표(2)와 같다.
Figure 112003021760205-pat00003
상기와 같은 우수한 성능의 연료유를 처리 곤란하였든 폐타이어로 부터 회수할 수 있어 폐타이어로 인한 자연 훼손방지와 폐자재 재활용, 그리고 폐타이어를 원료로 함에 따른 저렴한 생산비로 생산되는 새로운 연료유의 사용으로 인한 순수 연료의 절감 등의 획기적인 발명의 효과가 창출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폐타이어 절편의 건류를 건류로(1) 외부의 외부가열장치(10)(10a)의 가열을 별도의 에너지를 투입하지 않고 2차 연료유저장탱크(18a)에서 기화되는 가스를 연소시켜 가열하므로 건류 가열에너지를 보다 절약하면서 외부가열장치(10)(10a)를 가열하여 건류로(1)를 가열함과 동시에 건류로(1) 내부에 고온의 증기를 동시에 가하여 건류하게되므로 건류능률을 배가시키게 되는 등의 우수한 건류가스 발생 효과가 있다.

Claims (1)

  1. 폐타이어의 절편(T)을 원료로 하여 연료유를 추출 장치의 구조를 구성함에 있어, 주 구조장치인 건류로(1)의 구조는 소정 직경과 길이로 되는 스테인레스재질(SUS310S)의 건류로(1) 일측 선단에 재료 투입 호퍼(2)가 상단에 구비된 "L"형 재료투입관(3)이 연결되되 "L"형 재료투입관(3) 상측에 다수개의 공기차단밸브(4)가 연결되고 "L"형 재료투입관(3)의 수평관(3a)에는 재료투입호퍼(2)로 부터 일정한 크기로 미리 절단한 폐타이어 절편(T)을 건류로(1) 내부로 유입시키는 절편 유입스크류(5)가 축(6)에 형성된 모터(7)와 연결되게하고, 이러한 건류로(1)를 모터(8)와 체인 또는 밸트 등의 전동수단(9)으로 연동되게하여 이 건류로(1)가 일정한 회전수로 회전되게 하며 이 건류로(1) 외주면측에 별도의 장치로 구비된 고열 스팀발생장치(S)에서 발생된 스팀(
    Figure 112005061736091-pat00004
    )을 건류로(1) 내부로 수평적으로 인입하는 스팀토출노즐(N)이 하향으로 다수개 구비된 증기토출관(SP)을 내설하고 가열장치(10)(10a) 및 냉각장치(11)를 공지한 수단으로 위치고정시키고 건류로(1) 내주면 전체에는 일정한 피치의 스크류(12)가 소정높이로 돌출형성되게하며 이 가열장치(10)(10a)들을 지나면서 절편(T)들은 건류되어 밀폐된 건류로(1) 내에 생성된 건류가스와 증기는 파이프라인(P1)을 통하여 펌프(13)의 감압으로 1차냉각기(14)로 유입되게하고 건류시 생성된 카본(탄소)(C) 및 철심(W)은 각각 배출파이프(15)(15a)를 통하여 각각 배출되게 함과 아울러 카본(탄소)은 배출파이프(15)를 통하여 카본철심세퍼레이터(16)을 통과하게 하여 철심(W)과 카본(C)을 2차분리처리하게 하고 건류로(1) 타측 상측과 외주면에 냉각자켓(19)이 구비된 1차 냉각기(14) 사이에 펌프(13)가 개재된 파이프라인(P1)으로 라인을 연결하고 냉각수자켓(19) 상측과 쿨링타워(20)와를 파이프라인(P6)으로 연결하며 1차 냉각기(14) 하측과 1차 연료유 저장탱크(18)와를 파이프라인(P2)와 연결하며 쿨링타워(20)와 외주면에 냉각수 자켓(19a)이 구비된 2차 냉각기(14a)와를 순환펌프(13a)를 개재한 상태로 파이프라인(P7)과 연결하고 2차 냉각기(14a) 상측과 1차 연료유 저장탱크(18) 상단과 파이프라인(P3)로 연결하는 한편 1차 냉각기(14)의 자켓(19)과 2차 냉각기(14a)의 자켓(19a)과를 파이프라인(10)으로 연결하고 2차 냉각기(14a) 하단과 2차 연료유 저장탱크(18a) 상측과를 파이프라인(P4)와 연결하며 2차 연료유 저장탱크(18a) 상측과 가열장치(10)(10a)와 파이프라인(P5)으로 연결하고 1차 연료유 저장탱크(18) 하단과 2차 연료유 저장탱크(18a) 하단과를 이송펌프(21)를 중간에 개재한 유, 수 분리기(22)와 파이프라인(P8)으로 연결되게 하고 유, 수 분리기(22) 타측선단은 정제 연료유가 배출되는 파이프라인(P11)을 연결하며 정수장치(23) 타측과 스팀 발생장치(S)와를 파이프라인(P9)와 연결하고 정수장치(23) 하부에 배출 파이프라인(P12)과를 연결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폐타이어에서 연료유 추출 장치.
KR1020030039520A 2003-06-18 2003-06-18 폐타이어에서 연료유 추출 장치 KR10055837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39520A KR100558371B1 (ko) 2003-06-18 2003-06-18 폐타이어에서 연료유 추출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39520A KR100558371B1 (ko) 2003-06-18 2003-06-18 폐타이어에서 연료유 추출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110292A KR20040110292A (ko) 2004-12-31
KR100558371B1 true KR100558371B1 (ko) 2006-03-10

Family

ID=373827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39520A KR100558371B1 (ko) 2003-06-18 2003-06-18 폐타이어에서 연료유 추출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5837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8020B1 (ko) * 2006-08-22 2008-05-08 케이피텍 주식회사 폐 전차궤도의 바디와 핀의 고무 제거 및 재활용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25149A (ko) * 2002-09-18 2004-03-24 에스엘투(주) 영상/환경음향을 이용한 보안장치
KR100726209B1 (ko) * 2005-12-30 2007-06-11 신경식 열분해된 폐타이어의 분리 냉각장치
KR100736357B1 (ko) * 2005-12-30 2007-07-06 신경식 폐타이어의 열분해 장치
KR100812682B1 (ko) * 2007-02-06 2008-03-13 (주)세일환경 폐 타이어 재활용 가스를 이용한 건류로 연소장치
KR101219776B1 (ko) * 2010-06-30 2013-01-09 한국전력공사 바이오매스 연료 토리팩션 장치 및 전처리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8020B1 (ko) * 2006-08-22 2008-05-08 케이피텍 주식회사 폐 전차궤도의 바디와 핀의 고무 제거 및 재활용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110292A (ko) 2004-12-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863606B (zh) 在球式炉中的有机废料的热解
RU2392543C2 (ru) Способ и устройство переработки бытовых и промышленных органических отходов
KR101288716B1 (ko) 가스로부터 열을 추출하고 응축물을 회수하기 위한 장치
AU2009297334B2 (en) System for recycling used tires
US3971704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ollution free, destructively processing waste
BRPI1000208A2 (pt) equipamento trocador de calor vibrante para conversão de baixa temperatura para tratamento de resìduos orgánicos e processo de tratamento de resìduos orgánicos mediante emprego de equipamento trocador de calor vibrante para conversão de baixa temperatura
KR100558371B1 (ko) 폐타이어에서 연료유 추출 장치
KR100885805B1 (ko) 고효율 공냉식 유기성 폐기물 탄화로
BR112015021689B1 (pt) processo de tratamento de materiais carbonáceos por termólise a vapor e dispositivo de tratamento de materiais carbonáceos
CN107099883A (zh) 一种碳纤维增强复合材料再生处理方法及装置
RU2005115198A (ru) Способ переработки резиносодержащих отходов и установка для его осуществления (варианты)
JP7352993B2 (ja) 廃樹脂熱分解油プラントシステム
KR20110138316A (ko) 폐타이어의 오일 회수 장치 및 그 방법
KR101249728B1 (ko) 폐타이어의 오일 회수 장치
RU2493961C1 (ru) Установка для переработки резинотехнических материалов
KR101937192B1 (ko) 폐플라스틱 유화 공정에서 발생하는 폐가스를 이용한 에너지 생산 시스템 및 그 방법
JP2005008677A (ja) 廃タイヤ油化装置
CN216337194U (zh) 一种节能环保型废气回收再利用污油泥热脱附处理系统
KR100812682B1 (ko) 폐 타이어 재활용 가스를 이용한 건류로 연소장치
KR102547205B1 (ko) 고분자 폐기물의 초음파 열분해 이동장치
KR102361670B1 (ko) 유기성폐기물 처리장치
JP2010013329A (ja) 高分子廃棄物からの活性炭製造システム
KR100542489B1 (ko) 슬러지의 다단 밀폐식 탄화방법
KR20110113337A (ko) 폐고분자 물질로부터 고급 유분의 제조 방법
KR100828020B1 (ko) 폐 전차궤도의 바디와 핀의 고무 제거 및 재활용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2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17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