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56758B1 - LnCP 마스터 핸들러의 메시지 인터페이스 방법 - Google Patents

LnCP 마스터 핸들러의 메시지 인터페이스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56758B1
KR100556758B1 KR1020040051698A KR20040051698A KR100556758B1 KR 100556758 B1 KR100556758 B1 KR 100556758B1 KR 1020040051698 A KR1020040051698 A KR 1020040051698A KR 20040051698 A KR20040051698 A KR 20040051698A KR 100556758 B1 KR100556758 B1 KR 10055675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ssage
handler
packet
queue
mas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516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10877A (ko
Inventor
최후순
손진호
김진영
박진성
김동현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516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56758B1/ko
Publication of KR200600108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1087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567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5675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12/2807Exchanging configuration information on appliance services in a home automation network
    • H04L12/281Exchanging configuration information on appliance services in a home automation network indicating a format for calling an appliance service function in a home automation net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12/283Processing of data at an internetworking point of a home automation net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54Store-and-forward switching systems 
    • H04L12/56Packet switching systems
    • H04L12/5601Transfer mode dependent, e.g. ATM
    • H04L2012/5638Services, e.g. multimedia, GOS, QOS
    • H04L2012/5646Cell characteristics, e.g. loss, delay, jitter, sequence integrity
    • H04L2012/5652Cell construction, e.g. including header, packetisation, depacketisation, assembly, reassembl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Communication Contro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LnCP 마스터 핸들러의 메시지 인터페이스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마스터 핸들러(master handler)와 하위 계층(Low Layer)간의 메시지 인터페이스를 각각 구분하여 처리함으로써 메시지를 효율적으로 처리할 수 있도록 함에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의 본 발명은 LnCP 라이브러리 내에 구비된 마스터 핸들러의 메시지 처리 방법에 있어서, 하위계층 핸들러(120)으로 전달할 메시지 패킷이 있는지 확인하는 단계와, 상기에서 메시지 패킷이 확인되면 규정된 포맷으로 변환하는 단계와, 상기 변환된 메시지 패킷을 하위계층 핸들러(120)에 구비된 큐(queue)(121)에 전달하여 저장하는 단계와, 내부 큐(queue)(111)를 검색하여 하위계층 핸들러(120)에서 전달된 메시지 패킷이 있는지 확인하는 단계와, 상기에서 큐(111)에 저장된 메시지 패킷이 확인되면 해당 메시지 패킷을 해석하여 해당 기능을 작동시키는 단계를 수행하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LnCP 마스터 핸들러의 메시지 인터페이스 방법{MESSAGE INTERFACE METHOD FOR MASTER HANDLER BASED LIVING NETWORK CONTROL PROCOTOL}
도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메시지 처리 과정을 보인 신호 흐름도.
도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패킷 구조를 보인 예시도.
도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메시지 처리 과정을 보인 동작 순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
110 : 마스터 핸들러 111,121 : 큐(queue)
120 : 하위계층 핸들러
본 발명은 가전 제어에 관한 것으로 특히, LnCP 마스터 핸들러의 메시지 인터페이스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가정 내에 설치된 복수개의 가전기기를 네트워크로 연결하여 인터넷 등을 통해 원격 제어할 수 있도록 한 홈 자동화 시스템의 구축이 확산되고 있다.
현재 가전기기는 직렬통신 기능이 구비된 마이크로칩이 내장되어 마이크로 컴퓨터 또는 기기와 통신할 수 있다.
그런데, 가전기기에 내장되는 마이크로칩은 기기의 성능에 따라 통신에 사용할 수 있는 자원이 다양하다.
예를 들어, PC(Personal Computer) 또는 티브이, 오디오 등의 멀티미디어 기기의 경우에는 다양한 기능을 실현하기 위해 고기능의 하드웨어 사양이 채택됨으로 많은 데이터 량과 빠른 속도의 통신을 위한 규격이 필요하다.
반면 냉장고, 세탁기, 전자레인지, 전등 또는 보일러 등의 기능은 PC 또는 멀티미디어 기기의 기능에 비해 매우 단순함으로 일반적으로 8비트 이하의 저기능 마이크로칩을 채용한다.
이와 같은 저기능의 마이크로칩을 채용한 가전기기의 경우 원격 제어 또는 동작상태 모니터링을 위하여 최소의 자원으로 통신할 수 있는 규격을 필요로 한다.
LG전자는 가정 내에 설치된 가전기기에 인터넷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LnCP(Living network Control Protocol)를 개발하였다.
LnCP 기반의 홈 네트워크는 가정 내의 다양한 가전기기를 통합 조정할 수 있는 홈 네트워크 서버를 구비하며, 냉장고, 에어컨, 세탁기, 전자레인지 등의 각종 디지털 가전기기를 별도의 장치나 복잡한 공사 없이 전기코드만 연결되면 다양한 가전기기를 하나의 네트워크로 연결할 수 있도록 전력선통신(PLC ; Power Line Communication) 방식을 이용한다.
종래의 LnCP는 하나의 플로우(flow)를 통해서 모든 메시지를 생성, 처리, 관리하였다. 즉, 종래의 LnCP는 기능별로 계층(layer)이나 핸들러(handler)를 구분하여 구현하지 않았기 때문에 하나의 루틴에서 패킷의 헤더(header)로부터 테일(tail)까지 연속(sequential)으로 처리하게 된다.
그러나, 종래에는 사용자가 UI(User Interface)를 통해 불규칙적으로 입력을 생성시키거나 슬레이브 디바이스(slave device)의 응답이 PLC 인터페이스 상에서의 응답 시간을 보장할 수 없을 때 효율적으로 대응할 수 없다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종래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마스터 핸들러(master handler)와 하위계층(Low Layer)간의 메시지 인터페이스를 각각 구분하여 처리함으로써 메시지의 처리를 효율적으로 명확히 할 수 있도록 창안한 LnCP 마스터 핸들러의 메시지 인터페이스 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LnCP 라이브러리 내에 구비된 마스터 핸들러의 메시지 처리 방법에 있어서, 하위계층으로 전달할 메시지 패킷이 있는지 확인하는 단계와, 상기에서 메시지 패킷이 확인되면 규정된 포맷으로 변환하는 단계와, 상기 변환된 메시지 패킷을 하위계층에 구비된 큐(queue)에 전달하여 저장하는 단계와, 내부 큐(queue)를 검색하여 하위계층에서 전달된 메시지 패킷이 있는지 확인하는 단계와, 상기에서 큐에 저장된 메시지 패킷이 확인되면 해당 메시지 패킷을 해석하여 해당 기능을 작동시키는 단계를 수행하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즉, 본 발명은 마스터 핸들러(master handler)와 하위계층 핸들러(low layer handler)간의 인터페이스를 효율적으로 하기 위한 것으로, 각각의 핸들러는 상대 핸들러로 메시지를 전송하는 동작까지만을 실행한다.
우선, 메시지를 전송(send)하는 경우 인터페이스(interface)하는 핸들러의 큐(queue)에 정의한 타입(type)으로 구현된 메시지를 인큐(enqueue)함으로써 이후의 처리에 대한 모든 권한을 해당 핸들러에게 이전한다.
또한, 메시지를 수신(receive)하는 경우 해당 핸들러가 자신에게 구비되어 있는 큐(queue)를 확인하여 그 큐(queue)에 있는 메시지들을 순차적으로 서비스한다.
이하, 본 발명을 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사용되는 패킷은 패킷헤더 영역과, 메시지헤더 필드와 메시지 필드로 이루어진 바디(body) 영역으로 구성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리퀘스트(Request)/노티피케이션(Notification) 패킷의 세부 구성은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패킷을 보내고자 하는 목적지 디바이스의 어드레스를 표시하는 리시버 어드레스(Receiver address : RA), 패킷을 보내는 디바이스의 어드레스를 표시하는 샌더어드레스(Sender address : SA), 전송의 우선순위 표시를 위한 억세스 프리아러티(Access Priority : AP), 패킷 타입 표시를 위한 패킷 타입(packet Type : PT), 메시지 길이(Message Length : ML), 메시지 헤더 길이(Message Header Length : MHL), 포트(Port : PO), 코멘드 코드(Command Code : CC) 및 코맨드 코드를 실행하기 위한 입력인자가 입력되는 아규먼트(Argument : ARG)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리스폰스(Response) 패킷은 리퀘스트/노티피케이션 패킷과 동일한 구 조이며 바디 부분에 ACK/NAK만이 더 포함된다.
상기 리시버 어드레스(RA)는 샌더 어드레스(SA) 앞에 위치하며, 이는 수신자가 패킷을 수신할 때 계속 수신할 것인지 아니면 무시할 것인지를 조기에 판단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억세스 프리아러티(AP)는 응용 계층에서 긴급한 메시지를 보내야 하거나 전송에 실패하여 재전송해야 하는 패킷 또는 일반 통신보다 중요하지 않은 메시지 등을 구분하여 전송 우선순위를 표시하는 필드(field)이다.
상기 패킷 타입(PT)은 패킷을 송신할 때 지정하는 필드 값으로, 리퀘스트 패킷, 리스폰스 패킷, 노티피케이션(Notification) 패킷 중 해당 패킷타입을 구분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리스폰스 패킷은 다시 Successful 리스폰스와 Failed 리스폰스로 구분된다. 리스폰스 패킷을 두 가지로 분류되는 이유는 데이터 링크 계층에서 메시지 내용을 모르더라도 패킷 헤더에 있는 패킷 타입(PT) 필드만 보고 Failed 리스폰스일 때 응용 계층으로 패킷을 전송하지 않고 바로 재전송하기 위한 것이다. 노티피케이션 패킷은 리스폰스를 요구하지 않는 패킷이다.
상기 메시지 길이(ML)는 메시지 필드의 길이가 가변적이기 때문에 이를 알기 위한 정보이다.
상기 메시지 헤더 길이(MHL)는 메시지 필드의 확장을 위한 필드로서 메시지 필드의 암호화, 응용 프로토콜의 변경 등의 경우 메시지 헤더를 추가할 수 있다.
상기 포트 넘버(PO)는 메시지 세트(set)의 확장을 위한 필드로서 메시지 세트를 포트별로 구분할 수 있다. 메시지 세트의 Version-up 또는 타 응용 프로토콜 과의 호환을 위해 포트별로 메시지 세트를 둘 수 있다.
한편, 도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메시지 처리 방법을 보인 예시도이다.
도1에서 '110'는 마스터 핸들러(master handler)로서, Home code 관리, 주소할당, 다수의 NM(Network Manager : 네트워크 매니저)의 DB(DataBase) 처리를 위한 멀티 NM 관리, 원하는 시간에 원하는 제어를 지원하기 위한 스케쥴 관리, 디바이스 등록 관리, 디바이스 유형/모델별 제어, 이벤트 액션 관리, 디바이스 이벤트 처리를 수행하도록 구성한다.
도1에서 '120'는 하위계층 핸들러(low layer handler)로서, 마스터 핸들러(110)에서 전달된 메시지를 처리하여 해당 디바이스로 전달하고 임의의 디바이스로부터 수신된 메시지를 처리하여 상기 마스터 핸들러(110)로 전달하는 동작을 수행하도록 구성한다.
상기 마스터 핸들러(110)는 하위계층 핸들러(120)가 메시지를 저장할 수 있도록 큐(queue)(111)를 구비하여 주기적으로 또는 랜덤하게 상기 큐(111)에 저장된 메시지를 검색하고 해당 메시지가 있는 경우 처리하게 된다.
또한, 하위계층 핸들러(120)는 마스터 핸들러(110)가 메시지를 저장할 수 있도록 큐(queue)(121)를 구비하여 주기적으로 또는 랜덤하게 상기 큐(121)에 저장된 메시지를 검색하고 해당 메시지가 있는 경우 처리하게 된다.
이와 같이 구성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한 동작 및 작용효과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마스터 핸들러(110)와 하위계층(low layer) 핸들러(120)간의 인터페이스를 효율적으로 하기 위하여 상기 마스터 핸들러(110)와 하위계층 핸들러(120)는 서로 큐(queue)(111)(121)를 통해서 메시지를 주고받는다. 상기 메시지는 app-msg로 정의된 응용 메시지(application message)를 주고받는다.
우선, 마스터 핸들러(110)는 상위 어플리케이션 계층으로부터 임의의 디바이스로 전송할 메시지를 전달받으면 그 메시지가 전달될 디바이스, 메시지를 전달하는 디바이스, 패킷 타입(Packet Type : PT), 전송 우선순위(Access Priority : AP)를 확인한다.
이후, 마스터 핸들러(110)는 메시지를 하위계층 핸들러(120)에 구비된 큐(queue)(121)에 전달하여 저장한다. 이때, 마스터 핸들러(110)는 하위계층 핸들러(120)에 구비되어 있는 큐(121)에 메시지를 전송하는 것까지만 실행하고 이후의 처리 권한을 상기 하위계층 핸들러(120)에게 이전한다. 상기 큐(121)는 message-hooking-handler-snd-msg-queue로 정의된 큐이다.
이에 따라, 하위계층 핸들러(120)는 주기적으로 또는 랜덤한 주기로 큐(121)에 메시지가 저장되었는지를 확인하고 메시지가 저장된 경우 해당 메시지를 해석하여 메시지가 전송될 디바이스를 확인한 후 해당 디바이스로 전달한다.
반대로, 하위계층 핸들러(120)는 마스터 핸들러(110)로 전달할 메시지를 전송받으면 그 메시지가 전달될 디바이스, 메시지를 전달하는 디바이스, 패킷 타입(Packet Type : PT), 전송 우선순위(Access Priority : AP)를 확인한다.
이후, 하위계층 핸들러(120)는 메시지를 마스터 핸들러(110)에 구비된 큐(111)에 전달하여 저장시킨다. 이때, 하위계층 핸들러(120)는 마스터 핸들러(110)에 구비된 큐(111)에 메시지를 저장하는 동작까지만을 수행하고 이후의 처리 권한을 마스터 핸들러(110)에게 이전한다. 상기 큐(111)는 master-rcv-msg-queue라 정의된 큐(queue)이다.
이에 따라, 마스터 핸들러(110)는 주기적으로 또는 랜덤한 주기로 큐(111)를 검색하고 메시지가 저장되었음을 확인하면 해당 메시지를 해석하여 처리하게 된다.
상기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마스터 핸들러와 하위계층 핸들러간의 메시지 송수신에 있어서, 상대 핸들러에 구비된 큐(queue)에 메시지를 저장하는 동작까지만 수행하고 이후 처리에 대한 권한을 상대 핸들러에게 이전함으로써 메시지를 효율적으로 처리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1. LnCP 라이브러리에 구비된 마스터 핸들러의 메시지 처리 방법에 있어서,
    하위계층으로 전달할 메시지 패킷이 있는지 확인하는 단계와,
    상기에서 메시지 패킷이 확인되면 규정된 포맷으로 변환하는 단계와,
    상기 변환된 메시지 패킷을 하위계층에 구비된 큐(queue)에 전달하여 저장하는 단계와,
    내부 큐(queue)를 검색하여 하위계층에서 전달된 메시지 패킷이 있는지 확인하는 단계와,
    상기에서 내부 큐에 저장된 메시지 패킷이 확인되면 해당 메시지 패킷을 해석하여 해당 기능을 작동시키는 단계를 수행하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LnCP 마스터 핸들러의 메시지 인터페이스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하위계층으로 전송할 메시지 패킷이 확인되면 메시지 타입, 전송우선순위, 전송될 주소, 전송하는 주소를 확인하는 과정을 포함하여 수행하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LnCP 마스터 핸들러의 메시지 인터페이스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내부 큐 검색 과정은 주기적으로 또는 랜덤한 주기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LnCP 마스터 핸들러의 메시지 인터페이스 방법.
KR1020040051698A 2004-07-02 2004-07-02 LnCP 마스터 핸들러의 메시지 인터페이스 방법 KR10055675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51698A KR100556758B1 (ko) 2004-07-02 2004-07-02 LnCP 마스터 핸들러의 메시지 인터페이스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51698A KR100556758B1 (ko) 2004-07-02 2004-07-02 LnCP 마스터 핸들러의 메시지 인터페이스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10877A KR20060010877A (ko) 2006-02-03
KR100556758B1 true KR100556758B1 (ko) 2006-03-10

Family

ID=371210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51698A KR100556758B1 (ko) 2004-07-02 2004-07-02 LnCP 마스터 핸들러의 메시지 인터페이스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56758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10877A (ko) 2006-02-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59025B1 (ko) 홈 네트워크 관리 시스템
KR100605207B1 (ko) 네트워크 디바이스의 서비스 관리 장치
US6633781B1 (en) Home appliance networking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EP1863189B1 (en) Network control system for home appliances
KR100638017B1 (ko) 네트워크 디바이스
US20040240451A1 (en) Connection handling, service management, and channel handling devices of home network management system
KR20030090374A (ko) 네트워킹 방법 및 그 장치
CN101375558A (zh) 网络设备
US7782781B2 (en) Home network system
KR20070120099A (ko) 네트워크 컨트롤 프로토콜의 패킷 구조 및 패킷 전송방법
US20070019615A1 (en) Home network system
KR100556758B1 (ko) LnCP 마스터 핸들러의 메시지 인터페이스 방법
KR100585677B1 (ko) LnCP 라이브러리에서의 메시지 처리 방법
KR20060003679A (ko) 홈 네트워크 제어 시스템 및 방법
KR100431523B1 (ko) 가전기기 네트워크 제어시스템
KR20040104324A (ko) 홈 네트워크 시스템
CN101164292A (zh) 网络控制协议的层结构和接口方法
CN101164294A (zh) 网络控制协议装置和网络连接方法
KR20060090356A (ko) 리빙 네트워크 컨트롤 시스템에서의 통신 사이클 서비스를이용한 송수신 제어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1230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