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56742B1 - 디스크 크랙 검출방법 및 디스크 크랙 검출 시 디스크드라이브제어방법 - Google Patents

디스크 크랙 검출방법 및 디스크 크랙 검출 시 디스크드라이브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56742B1
KR100556742B1 KR1020030063395A KR20030063395A KR100556742B1 KR 100556742 B1 KR100556742 B1 KR 100556742B1 KR 1020030063395 A KR1020030063395 A KR 1020030063395A KR 20030063395 A KR20030063395 A KR 20030063395A KR 100556742 B1 KR100556742 B1 KR 1005567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rack
disk
disc
error signal
average valu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633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26663A (ko
Inventor
김남웅
김종만
황효균
단병주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300633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56742B1/ko
Priority to US10/939,187 priority patent/US7596062B2/en
Publication of KR200500266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2666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567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567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9/00Driving, starting, stopping record carriers not specifically of filamentary or web form, or of supports therefor; Control thereof; 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 Driving both disc and head
    • G11B19/02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e.g. switching from recording to reproducing
    • G11B19/04Arrangements for preventing, inhibiting, or warning against double recording on the same blank or against other recording or reproducing malfunctions
    • G11B19/048Testing of disk drives, e.g. to detect defects or prevent sudden failure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9/00Driving, starting, stopping record carriers not specifically of filamentary or web form, or of supports therefor; Control thereof; 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 Driving both disc and head
    • G11B19/20Driving; Starting; Stopping; Control thereof
    • G11B19/28Speed controlling, regulating, or indicating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36Monitoring, i.e. supervising the progress of recording or reproducing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33/00Constructional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G11B33/10Indicating arrangements; Warning arrangement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220/00Record carriers by type
    • G11B2220/20Disc-shaped record carriers
    • G11B2220/25Disc-shaped 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in that the disc is based on a specific recording technology
    • G11B2220/2537Optical discs

Abstract

본 발명은 디스크 크랙과 스크래치를 구분하여 정확하게 디스크 크랙의 유무를 판별하고 디스크 크랙 검출 시 디스크 드라이브의 동작을 제어하는 디스크 크랙 검출방법 및 디스크 크랙 검출 시 디스크 드라이브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 의한 디스크 크랙 검출방법은, 디스크 크랙의 유무를 판단하기 위한 디스크 크랙 검출방법에 있어서, 상기 디스크를 저속으로 회전시키면서 제 1시간 동안 크랙 모니터링을 수행하는 제 1단계와, 상기 디스크를 고속으로 회전시키면서 제 2시간 동안 크랙 모니터링을 수행하는 제 2단계와, 상기 저속 크랙 모니터링 결과 및 상기 고속 크랙 모니터링 결과를 비교하여 디스크의 크랙 유무를 판단하는 제 3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디스크 크랙 검출방법 및 디스크 크랙 검출 시 디스크 드라이브 제어방법 {METHOD FOR DETECTING DISK CRACKS AND CONTROLLING A DISK DRIVE WHEN DETECTING THE DISK CRACKS}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디스크 드라이브의 구성도.
도 2는 디스크 회전 시 크랙이 벌어지는 현상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3은 트래킹 에러신호의 전압파형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디스크 크랙 검출방법의 순서도.
도 5는 저속 크랙 모니터링의 순서도.
도 6은 고속 크랙 모니터링의 순서도.
도 7은 저속 및 고속 모니터링 결과를 비교하여 디스크 크랙의 유무를 판단하는 과정의 순서도.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디스크 크랙 검출 시 디스크 드라이브 제어방법의 순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
10 : 디스크 11 : 턴테이블
12 : 스핀들 모터 13 : SPM 구동부
14 : 픽업 15 : 레이저 구동부
16 : RF 증폭기 17 : 신호처리부
18 : 메모리 19 : 시스템 제어부
20 : 크랙
본 발명은 디스크 크랙 검출방법 및 디스크 크랙 검출 시 디스크 드라이브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디스크 크랙과 스크래치를 구분하여 정확하게 디스크 크랙의 유무를 판별하고 디스크 크랙 검출 시 디스크 드라이브의 동작을 제어하는 디스크 크랙 검출방법 및 디스크 크랙 검출 시 디스크 드라이브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현재 광디스크 드라이브는 10,000 rpm 이상에서 동작하는 52배속이 일반화되고 있으며, DVD 계열의 디스크도 꾸준히 배속을 높여가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광디스크 드라이브의 고배속화가 진행되면서 여러 가지 기계적 문제점들이 발생하고 있는데 그 중 하나가 크랙(crack)에 의한 디스크 파손이다.
디스크에 크랙이 발생된 경우 고배속으로 디스크를 회전시키면 디스크 크랙이 점점 커지면서 심한 경우 디스크가 파손되는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52배속 광디스크 드라이브의 경우 디스크의 파손으로 파편이 발생했을 때, 그 파편의 속도는 최대 66m/s에 달하여 광디스크 드라이브의 전면을 관통할 수 있는 위험이 있어서 광디스크 드라이브의 고장은 물론 사용자에게 심각한 피해를 줄 수 있다.
광디스크 드라이브 제조업체는 디스크 파손에 의한 파편이 광디스크 드라이브를 뚫고 나오지 못하도록 드라이브 전면의 두께를 두껍게 하고 결합구조를 보강하는 방편을 채택하고 있으나, 이러한 대처는 디스크 파손이 이미 일어난 상황을 상정한 소극적 해결책에 불과하고 디스크의 파손을 원천적으로 저감하거나 방지할 수 있는 적극적 해결책은 아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디스크의 크랙을 검출하여 사전에 디스크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방법이 제안되었다.
디스크 크랙 검출의 기본적 원리는 크랙이 있는 디스크에서 발생되는 트래킹 에러신호 및 포커스 에러신호는 정상적인 트랙에서 발생되는 그것들과 다르다는 것이다. 즉, 정상적인 디스크에서의 트래킹 에러신호 또는 포커스 에러신호는 이상 펄스를 거의 포함하지 않는데, 크랙이 있는 디스크에서의 트래킹 에러신호 또는 포커스 신호는 이상 펄스를 포함하고 있다.
종래의 디스크 크랙 검출방법은 일정한 측정주기 동안 소정의 임계전압을 초과하는 트래킹 에러신호 또는 포커스 에러신호의 개수를 카운팅하고, 카운팅된 트래킹 에러신호 또는 포커스 에러신호의 개수가 소정의 임계개수를 초과할 경우에 디스크 트랙이 있는 것으로 판단한다.
그러나, 상기 소정의 임계전압을 초과하는 트래킹 에러신호 또는 포커스 에러신호는 디스크에 심한 스크래치(scratch)가 존재하는 경우에도 나타날 수 있기 때문에 종래의 방법은 크랙과 스크래치를 구분하지 못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디스크 드라이브에서 픽업/액츄에이터가 접근할 수 있는 내주의 위치 는 한계가 있기 때문에 그 한계 위치에 크랙이 발생하는 경우 그 크랙을 검출하기 어렵다. 이러한 크랙을 검출하기 위해서는 상기 소정의 임계전압을 낮게 설정해야 하는데, 이럴 경우 더욱 크랙과 스크래치를 구분하지 못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크랙과 스크래치를 구분하여 더욱 정확하게 디스크 크랙의 유무를 판별할 수 있는 디스크 크랙 검출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디스크 크랙 검출 시 디스크 드라이브의 동작을 정지시켜서 디스크 드라이브를 보호할 수 있는 디스크 크랙 검출 시 디스크 드라이브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 의한 디스크 크랙 검출방법은, 디스크 크랙의 유무를 판단하기 위한 디스크 크랙 검출방법에 있어서, 상기 디스크를 저속으로 회전시키면서 제 1시간 동안 크랙 모니터링을 수행하는 제 1단계와, 상기 디스크를 고속으로 회전시키면서 제 2시간 동안 크랙 모니터링을 수행하는 제 2단계와, 상기 저속 크랙 모니터링 결과 및 상기 고속 크랙 모니터링 결과를 비교하여 디스크의 크랙 유무를 판단하는 제 3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디스크 크랙 검출 시 디스크 드라이브 제어방법은, 디스크 크랙이 검출된 경우 디스크 드라이브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디스크 크랙 검출 시 디스크 드라이브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디스크 크랙이 검출되면 상기 디스크 드라이브의 작동을 중지시키는 제 1단계와, 상기 디스크 드라이브의 중지 후 사용자에게 디스크 크랙 발생 및 디스크 확인 메시지를 표시하는 제 2단계와, 사용자의 디스크 확인이 없으면 상기 디스크 드라이브의 작동 중지 상태가 유지되고, 사용자의 디스크 확인이 있으면 상기 디스크 드라이브가 다시 정상적으로 작동하는 제 3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디스크 드라이브의 구성도를 나타낸다.
디스크(10)는 턴테이블(11)에 안착되고 재생동작 시 SPM 구동부(13)에 의해 구동되는 스핀들 모터(12)에 의해 일정 선속도(CLV), 일정 각속도(CAV) 또는 부분 일정 각속도(PCAV) 등으로 회전된다.
픽업(14)은 레이저 광원이 되는 레이저 다이오드, 반사광을 검출하기 위한 광검출기, 각종 광학렌즈 등으로 구성되어 레이저 다이오드에서 출력되는 레이저를 디스크(10)에 조사하고 디스크(10)로부터 반사된 광신호를 광검출기에서 검출한 후 전기적인 신호로 변화시켜 RF 증폭부(16)에 공급한다.
RF 증폭부(16)는 전류/전압 변환회로, 매트릭스 연산/증폭 회로 등으로 구성되어 픽업(14)에서 출력된 전기적 신호(전류)를 전압으로 변환하고 매트릭스 연산에 필요한 신호로서 재생 데이터인 RF SUM 신호, 서보제어를 위한 트래킹 에러신호(T.E) 및 포커스 에러신호(F.E)를 생성시킨다.
신호처리부(17)는 EFM 복조, MPEG 복조 및 에러정정 처리를 실행하기 위한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를 내장하여 디스크(10)에 기록된 데이터를 재생한다.
레이저 구동부(15)는 픽업(14)의 레이저 다이오드에서 기록 및 재생 레이저 파워를 생성시키기 위한 구동전류를 발생시킨다.
디스크(10)가 회전되면서 픽업(14)에 의해 디스크(10)에 엠보스 피트 형태 또는 상변화 피트 형태로 기록되어 있는 데이터의 판독이 수행된다. 스핀들 모터(12)의 서보제어를 위해 그 스핀들 모터(12)에 스핀들 FG(Frequency Generator)(미도시)가 설치되어 있어서, 스핀들 모터(12)의 회전에 동기된 FG 펄스가 발생된다.
시스템 제어부(19)는 스핀들 FG에서 출력된 FG 펄스에 기초하여 스핀들 모터(12)의 회전정보를 검출하여 스핀들 모터(12)가 목표 회전속도로 구동되도록 제어하고, RF 증폭부(16)에서 출력된 트래킹 에러신호(T.E) 및 포커스 에러신호(F.E)에 기초하여 디스크(10)의 트래킹 및 포커싱을 제어한다.
메모리(18)에는 디스크 드라이브를 구동시키는 각종 프로그램 및 데이터가 저장되어 있어서 본 발명에 의한 디스크 크랙 검출방법 및 디스크 크랙 검출시 디스크 드라이브 제어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프로그램 및 데이터가 저장되어 있다.
본 발명에 의한 디스크 크랙 검출방법은 종래 디스크 크랙 검출의 기본적 원리를 수용하면서, 다음과 같은 현상을 이용한다.
즉,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크(10)가 회전하지 않고 정지상태에 있을 때 크랙(20)의 틈새 너비는 매우 작다. 그러나, 디스크(10)가 회전하게 되면 디스크 자체의 질량에 인가되는 원심력으로 인해 도 2(b)와 같이 크랙의 틈새 너비가 서서히 벌어지는 현상이 발생한다.
이러한 현상은 트래킹 에러신호의 파형을 측정함으로써 확인할 수 있는데, 도 3(a)는 크랙이 없는 정상적인 디스크에서의 트래킹 에러신호를 나타내고, 도 3(b)는 크랙이 있는 디스크를 저속으로 회전시킬 때 발생하는 트래킹 에러신호를 나타내고, 도 3(c)는 크랙이 있는 디스크를 고속으로 회전시킬 때 발생하는 트래킹 에러신호를 나타낸다.
도 3에서, 크랙이 있는 디스크를 저속에서 고속으로 회전시킴에 따라 트래킹 에러신호의 전압치가 증가하였기 때문에 고속 회전에 의해 크랙의 틈새가 저속 회전 시보다 더 벌어졌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회전력에 의해 디스크 크랙이 벌어지는 현상을 이용하여 저속 및 고속 회전에서 나타나는 트래킹 에러신호 또는 포커스 에러신호의 차이를 통해 크랙의 유무를 판단하게 된다.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디스크 크랙 검출방법을 설명한다.
우선, 디스크를 저속으로 회전시키면서 제 1시간 동안 크랙 모니터링을 수행한다(S1). 저속 크랙 모니터링에서는 트래킹 에러신호 또는 포커스 에러신호의 레벨을 측정하여 제 1이상 펄스의 전압 평균치 및 제 1이상 펄스의 지속시간 평균치를 산출한다.
도 5는 저속 크랙 모니터링에서 제 1이상 펄스의 전압 평균치(VL,mean) 및 제 1이상 펄스의 지속시간 평균치(TL,mean)를 산출하는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저속 크랙 모니터링은 제 1시간(TL) 동안 수행된다.
저속 크랙 모니터링 단계에 들어가면, 먼저 트래킹 에러신호(TE) 또는 포커스 에러신호(FE)를 검출하여 그 레벨(V)를 측정한다. 레벨(V)이 소정의 임계전압(VTH)보다 크면 이상 펄스가 발생한 것으로 보고, dT를 0으로 하고 클럭을 동작시킨다. 클럭의 개시에 의해 dT의 값은 증가한다.
다음, 이상 펄스의 발생 횟수(NL,max)를 1증가시키고 측정된 레벨(V)을 이상 펄스의 합산 전압(VL,sum)에 더하여 저장한다. 다음, 측정된 레벨(V)이 소정의 임계전압(VTH)보다 작으면 클럭 개시 후 경과된 시간(dT)을 이상 펄스의 합산 지속시간(TL,sum)에 더하여 저장한다.
상기 과정은 저속 크랙 모니터링 개시 후 경과 시간(T)이 제 1시간(TL)이 될 때까지 수행되다가 T가 TL보다 크게 되면 상기 과정을 종료한다.
다음, 최종 이상 펄스의 합산 전압(VL,sum)을 이상 펄스의 총 발생 횟수(NL,max)으로 나누어 제 1이상 펄스의 전압 평균치(VL,mean)를 구하고, 최종 이상 펄스의 합산 지속시간(TL,sum)을 이상 펄스의 총 발생 횟수(NL,max)로 나누어 제 1이상 펄스의 지속시간 평균치(TL,mean)를 구한다.
결국, 제 1이상 펄스의 전압 평균치(VL,mean)는 트래킹 에러신호(TE) 또는 포커스 에러신호(FE)의 레벨(V)이 소정의 임계전압(VTH)보다 클 때마다 그 레벨 값을 합산하고(VL,sum = VL,sum + V) 그 횟수를 카운팅하여(NL,max = NL,max + 1) 합산된 레벨 값을 카운팅된 횟수로 나눔으로써 산출되고(VL,mean = VL,sum/NL,max), 제 1이상 펄스의 지속시간 평균치(TL,mean)는 트래킹 에러신호(TE) 또는 포커스 에러신호(FE)의 레벨(V)이 소정의 임계전압(VTH)보다 클 때마다 그 지속시간을 합산하고(TL,sum = TL,sum + dT) 그 횟수를 카운팅하여(NL,max = NL,max + 1) 합산된 지속시간을 카운팅된 횟수로 나눔으로써 산출된다(TL,mean = TL,sum/NL,max).
다음, 저속 크랙 모니터링이 종료하면 디스크를 고속으로 회전시키면서 제 2시간 동안 크랙 모니터링을 수행한다(S2). 고속 크랙 모니터링에서는 트래킹 에러신호 또는 포커스 에러신호의 레벨을 측정하여 제 2이상 펄스의 전압 평균치 및 제 2이상 펄스의 지속시간 평균치를 산출한다.
도 6은 고속 크랙 모니터링에서 제 2이상 펄스의 전압 평균치(VH,mean) 및 제 2이상 펄스의 지속시간 평균치(TH,mean)를 산출하는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고속 크랙 모니터링은 제 2시간(TH) 동안 수행된다.
도 6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이상 펄스의 전압 평균치 및 제 2이상 펄스의 지속시간 평균치를 산출하는 과정은 도 5에서 설명한 것과 동일하다.
즉, 제 2이상 펄스의 전압 평균치(VH,mean)는 트래킹 에러신호(TE) 또는 포커스 에러신호(FE)의 레벨(V)이 소정의 임계전압(VTH)보다 클 때마다 그 레벨 값을 합산하고(VH,sum = VH,sum + V), 그 횟수를 카운팅하여(NH,max = NH,max + 1) 합산된 레벨 값을 카운팅된 횟수로 나눔으로써 산출되고(VH,mean = VH,sum/NH,max), 제 2이상 펄스의 지속시간 평균치(TH,mean)는 트래킹 에러신호(TE) 또는 포커스 에러신호(FE)의 레벨(V)이 소정의 임계전압(VTH)보다 클 때마다 그 지속시간을 합산하고(TH,sum = TH,sum + dT) 그 횟수를 카운팅하여(NH,max = NH,max + 1) 합산된 지속시간을 카운팅된 횟수로 나눔으로써 산출된다(TH,mean = TH,sum/NH,max).
상기 저속 크랙 모니터링 및 고속 크랙 모니터링이 종료하면, 저속 크랙 모니터링 결과 및 고속 크랙 모니터링 결과를 비교하여 디스크 크랙의 유무를 판단한다(S3).
도 7은 모니터링 결과를 비교하여 디스크 크랙의 유무를 판단하는 과정을 나타낸다.
저속 크랙 모니터링에 의해 제 1이상 펄스의 전압 평균치(VL,mean) 및 제 1이상 펄스의 지속시간 평균치(TL,mean)가 산출되고, 고속 크랙 모니터링에 의해 제 2이상 펄스의 전압 평균치(VH,mean) 및 제 2이상 펄스의 지속시간 평균치(TH,mean)가 산출되면, 상기 값들을 비교하여 디스크 크랙의 유무를 판단한다.
우선, 제 2이상 펄스의 전압 평균치가 제 1이상 펄스의 전압 평균치보다 일정한 양만큼 큰지를 판단한다(VH,mean > VL,mean + α). 제 2이상 펄스의 전압 평균치가 제 1이상 펄스의 전압 평균치보다 일정한 양만큼 큰 경우에는 크랙이 있는 것으로 판단하고,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제 2이상 펄스의 지속시간 평균치가 제 1이상 펄스의 지속시간 평균치보다 큰지를 판단한다(TH,mean > TL,mean).
제 2이상 펄스의 지속시간 평균치가 제 1이상 펄스의 지속시간 평균치보다 크면 크랙이 있는 것으로 판단하고,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크랙이 없는 것으로 판단한다.
디스크에 크랙도 없고 스크래치도 없는 경우 디스크를 저속에서 고속으로 회전시켜도 크랙 틈새가 벌어지는 현상이 일어나지 않기 때문에 제 1이상 펄스의 전압 평균치 및 제 2이상 펄스의 전압 평균치는 일정하다.
또한, 디스크에 크랙 없이 스크래치만 있는 경우에 디스크를 저속에서 고속으로 회전시켜도 역시 크랙 틈새가 벌어지는 현상이 일어나지 않기 때문에 제 1이상 펄스의 전압 평균치 및 제 2이상 펄스의 전압 평균치는 일정하지만 약간의 전압차가 발생할 수는 있다.
이에 대하여 크랙이 있으면 상기와 같은 현상이 일어나 이상 펄스의 전압 평균치는 달라지게 된다. 크랙이 비교적 작은 경우에는 속도가 빨라지면서 크랙 틈새의 너비 변화가 크게 일어나 이상 펄스의 전압 평균치의 차가 커진다.
그러나, 크랙이 큰 경우에는 크랙 틈새의 너비 변화가 비교적 작아 이상 펄스의 전압 평균치의 차가 작거나 거의 없을 수 있으며 또한 저속 회전에서 이미 이상 펄스의 전압치가 포화되어 고속 회전에서의 이상 펄스의 전압치와 비교할 수 없는 상태가 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이상 펄스의 지속시간의 평균치를 비교하 여 크랙의 유무를 판단하게 된다. 왜냐하면, 크랙이 있다면 고속 회전에서의 이상 펄스의 지속시간은 저속 회전에서의 이상 펄스의 지속시간보다는 길기 때문이다.
따라서, 먼저 제 2이상 펄스의 전압 평균치가 제 1이상 펄스의 전압 평균치보다 일정한 양만큼 큰지를 비교하여, 일정한 양 이상으로 큰 경우에만 디스크 크랙이 있는 것으로 판단하고,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이상 펄스의 지속시간 평균치를 비교하여 큰 경우에 디스크 크랙이 있는 것으로 판단한다.
도 8은 디스크에 크랙이 검출되었을 때의 디스크 드라이브를 제어하는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시스템 제어부(19)는 디스크 크랙이 검출되면 일단 디스크 드라이브의 작동을 중지시킨다. 디스크 드라이브의 작동이 중지된 후 시스템 제어부(19)는 디스크 드라이브의 표시부(미도시)를 통해 사용자에게 디스크 크랙 발생 및 디스크 확인 메시지를 표시한다.
사용자는 이러한 디스크 확인 메시지에 따라 디스크 드라이브에서 디스크를 꺼내 크랙 여부를 육안으로 확인하게 되는데, 사용자가가 디스크를 확인하지 않으면 디스크 드라이브의 작동 중지 상태는 계속 유지되고, 사용자가 디스크를 확인하여 새로운 디스크를 디스크 드라이브에 넣으면 디스크 드라이브가 다시 정상적으로 작동한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은 크랙과 스크래치를 구분하여 더욱 정확하게 디스크 크랙의 유무를 판별함으로써 디스크의 손상 및 이에 따른 정보의 손실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디스크 크랙 검출 시 디스크 드라이브의 동작을 정지시키고 사용자로 하여금 디스크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디스크 파편에 의한 디스크 드라이브의 파손을 사전에 예방하고 이에 따라 사용자의 안전을 도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9)

  1. 디스크 크랙의 유무를 판단하기 위한 디스크 크랙 검출방법에 있어서,
    상기 디스크를 저속으로 회전시키면서 제 1시간 동안 트래킹 에러신호 또는 포커스 에러신호의 레벨을 측정하여 제 1이상 펄스의 전압 평균치 및 제 1이상 펄스의 지속시간 평균치를 산출하는 크랙 모니터링을 수행하는 제 1단계와,
    상기 디스크를 고속으로 회전시키면서 제 2시간 동안 트래킹 에러신호 또는 포커스 에러신호의 레벨을 측정하여 제 2이상 펄스의 전압 평균치 및 제 2이상 펄스의 지속시간 평균치를 산출하는 크랙 모니터링을 수행하는 제 2단계와,
    상기 저속 크랙 모니터링 결과 및 상기 고속 크랙 모니터링 결과를 비교하여 디스크의 크랙 유무를 판단하는 제 3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크랙 검출방법.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이상 펄스의 전압 평균치는 상기 트래킹 에러신호 또는 포커스 에러신호의 레벨이 소정의 임계전압보다 클 때마다 그 레벨 값을 합산하고 그 횟수를 카운팅하여 합산된 레벨 값을 카운팅된 횟수로 나눔으로써 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크랙 검출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이상 펄스의 지속시간 평균치는 상기 트래킹 에러신호 또는 포커스 에러신호의 레벨이 소정의 임계전압보다 클 때마다 그 지속시간을 합산하고 그 횟수를 카운팅하여 합산된 지속시간을 카운팅된 횟수로 나눔으로써 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크랙 검출방법.
  5. 삭제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2이상 펄스의 전압 평균치는 상기 트래킹 에러신호 또는 포커스 에러신호의 레벨이 소정의 임계전압보다 클 때마다 그 레벨 값을 합산하고 그 횟수를 카운팅하여 합산된 레벨 값을 카운팅된 횟수로 나눔으로써 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크랙 검출방법.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2이상 펄스의 지속시간 평균치는 상기 트래킹 에러신호 또는 포커스 에러신호의 레벨이 소정의 임계전압보다 클 때마다 그 지속시간을 합산하고 그 횟수를 카운팅하여 합산된 지속시간을 카운팅된 횟수로 나눔으로써 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크랙 검출방법.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3단계는 상기 제 2이상 펄스의 전압 평균치가 상기 제 1이상 펄스의 전압 평균치보다 일정한 양만큼 큰지를 판단하는 제 1과정과,
    상기 제 2이상 펄스의 전압 평균치가 상기 제 1이상 펄스의 전압 평균치보다 일정한 양만큼 큰 경우에는 크랙이 있는 것으로 판단하고,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제 2이상 펄스의 지속시간 평균치가 제 1이상 펄스의 지속시간 평균치보다 큰지를 판단하는 제 2과정과,
    제 2이상 펄스의 지속시간 평균치가 제 1이상 펄스의 지속시간 평균치보다 크면 크랙이 있는 것으로 판단하고,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크랙이 없는 것으로 판단하는 제 3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크랙 검출방법.
  9. 제 1항, 제3항, 제4항, 제 6항 내지 제 8항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디스크 크랙 검출방법에 의해 디스크 크랙이 검출된 경우 디스크 드라이브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디스크 크랙 검출 시 디스크 드라이브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디스크 크랙이 검출되면 상기 디스크 드라이브의 작동을 중지시키는 제 1단계와,
    상기 디스크 드라이브의 중지 후 사용자에게 디스크 크랙 발생 및 디스크 확인 메시지를 표시하는 제 2단계와,
    사용자의 디스크 확인이 없으면 상기 디스크 드라이브의 작동 중지 상태가 유지되고, 사용자의 디스크 확인이 있으면 상기 디스크 드라이브가 다시 정상적으로 작동하는 제 3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크랙 검출 시 디스크 드라이브 제어방법.
KR1020030063395A 2003-09-09 2003-09-09 디스크 크랙 검출방법 및 디스크 크랙 검출 시 디스크드라이브제어방법 KR1005567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63395A KR100556742B1 (ko) 2003-09-09 2003-09-09 디스크 크랙 검출방법 및 디스크 크랙 검출 시 디스크드라이브제어방법
US10/939,187 US7596062B2 (en) 2003-09-09 2004-09-09 Method of preventing optical recording media from being fractured and apparatus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63395A KR100556742B1 (ko) 2003-09-09 2003-09-09 디스크 크랙 검출방법 및 디스크 크랙 검출 시 디스크드라이브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26663A KR20050026663A (ko) 2005-03-15
KR100556742B1 true KR100556742B1 (ko) 2006-03-10

Family

ID=373843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63395A KR100556742B1 (ko) 2003-09-09 2003-09-09 디스크 크랙 검출방법 및 디스크 크랙 검출 시 디스크드라이브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56742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26663A (ko) 2005-03-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868052B2 (en) Optical disc playback apparatus and method of judging disc type
EP1229532B1 (en) Disc crack detection method and method of controlling speed of disc drive using the same
CN1260726C (zh) 用于区分dvd类型光盘的方法
US7130255B2 (en) Method of CD/DVD vibration detection by monitoring motor conditions
KR100556742B1 (ko) 디스크 크랙 검출방법 및 디스크 크랙 검출 시 디스크드라이브제어방법
US4928044A (en) Spindle motor stop control device
US7596062B2 (en) Method of preventing optical recording media from being fractured and apparatus thereof
US7821886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a disc seek operation based on a detected abnormality
KR20020006593A (ko) 광 디스크 기록 장치
JPH1139785A (ja) ディスクプレーヤーの偏重心ディスク検知方法
US20040170097A1 (en) Rotational velocity controlling system for information recording medium
JP2856159B2 (ja) ディスク装置
JPH0877688A (ja) 光ディスク再生装置
JP2001210004A (ja) 光ディスク装置、及び光ディスク判別方法
JP4725403B2 (ja) 光ディスク記録再生装置
KR100245034B1 (ko) 디브이디 시스템에서의 스레드 서보 제어장치
KR100569539B1 (ko) 광 기록매체의 디스크 종류 판별 방법
JP3166997B2 (ja) 光学的情報記録再生装置
KR20030029269A (ko) 불량디스크 판정에 따른 데이터 기록방법
JPS63268159A (ja) デイスク判別装置
CN100495557C (zh) 光盘裂缝检测方法及光盘裂缝检测时光盘驱动器的控制方法
KR100620989B1 (ko) 광 디스크 파손 방지 방법
JP2005071508A (ja) 光ディスク装置
US20070263501A1 (en) Protection mechanism of an optical disc drive and method thereof
JP2014017039A (ja) ディスク回転数検出装置、検出方法及び検出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1223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