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56415B1 - 기어타입 압축기 - Google Patents

기어타입 압축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56415B1
KR100556415B1 KR1020030094233A KR20030094233A KR100556415B1 KR 100556415 B1 KR100556415 B1 KR 100556415B1 KR 1020030094233 A KR1020030094233 A KR 1020030094233A KR 20030094233 A KR20030094233 A KR 20030094233A KR 100556415 B1 KR100556415 B1 KR 10055641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ression
gear
suction pipe
refrigerant
type compress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942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62226A (ko
Inventor
김경호
차강욱
배영주
강승민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300942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56415B1/ko
Publication of KR200500622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6222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564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5641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18/00Rotary-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 F04C18/08Rotary-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of intermeshing-engagement type, i.e. with engagement of co-operating members similar to that of toothed gearing
    • F04C18/10Rotary-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of intermeshing-engagement type, i.e. with engagement of co-operating members similar to that of toothed gearing of internal-axis type with the outer member having more teeth or tooth equivalents, e.g. rollers, than the inner memb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ressor (AREA)
  • Applications Or Details Of Rotary Compress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기어타입의 압축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냉매를 압축하는 압축부 내부로 오일의 유입이 억제되도록 하는 오일유입 방지부가 구비된 기어타입 압축기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모터와, 모터의 구동력을 전달받아 증발기로부터 유입된 냉매를 압축하는 기어타입 압축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기어타입 압축부에는, 내부로의 냉매 유입을 위한 압축부 부흡입파이프(sub comprission suction pipe)가 구비되며, 상기 압축부 부흡입파이프에는 오일의 유입이 억제되도록 오일유입 방지부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기어타입 압축기를 제공한다.
기어, 압축기, 오일유입 방지부

Description

기어타입 압축기{gear type compressor}
도 1은 일반적인 냉동시스템의 구성을 보여주는 개념도
도 2는 도 1의 냉동시스템의 P-h선도를 나타낸 그래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기어타입 압축기의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
도 4는 도 3의 Ⅰ-Ⅰ선을 따른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기어타입 압축기가 적용된 냉동시스템의 구성도
도 6과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압축부 부흡입파이프를 나타낸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케이싱 100:흡입파이프
110:파워터미널 120:베이스 플레이트
2:모터 200:스테이터
210:로터 220:샤프트
3:압축부 300:메인베어링
300a:흡입포트 310:압축실린더
320:외부기어 320a:티스홈
330:내부기어 330a:티스
340:압축플레이트 340a:토출포트
350,450,550:압축부 부흡입파이프
350a:절곡부 450a:제1 절곡부
450b:제2 절곡부 550a:커버부
550b:차단부 550c:냉매유입공
360:압축부 토출파이프 4:응축기
5:팽창밸브 6:증발기
본 발명은 기어타입 압축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기어타입의 압축기에 있어서 압축부 부흡입파이프에 오일유입 방지부를 구비하여 압축부 부흡입파이프로 냉매가 유입될 시 오일의 유입이 억제시키도록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압축기는 전기모터나 터빈 등의 동력 발생장치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공기나 냉매 또는 그 밖의 특수 가스에 압축일을 가함으로써, 작동유체의 압력을 높여주는 기계로서, 공기조화기 분야나 냉장고 분야 등의 일반적인 가전제품에서부터 플랜트 산업에까지 널리 사용된다.
한편, 이러한 압축기는 압축을 이루는 방식에 따라 용적형 압축기(positive displacement compressor)와 터보형 압축기(dynamic compressor or turbo compressor)로 분류된다.
이 중에서도, 산업 현장에 널리 쓰이는 것은 용적형 압축기로써, 체적의 감소를 통해 압력을 증가시키는 압축방식을 갖는다. 상기 용적용 압축기는 다시 왕복동식 압축기(reciprocating compressor)와 로터리 압축기(rotary compressor)로 분류된다.
상기 왕복동식 압축기는 실린더 내부를 직선 왕복운동하는 피스톤에 의해 작동유체를 압축하는 것으로서, 비교적 간단한 기계요소로 높은 압축효율을 얻을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 반면에, 기계의 치수 및 중량이 커지게 되고 상기 왕복동식 압축기는 피스톤의 관성으로 인해 회전속도에 한계가 있으며, 관성력으로 인해 상당한 진동이 발생하는 단점이 있다.
상기 로터리 압축기는 실린더 내부를 편심된 채로 공전하는 롤러에 의해 작동유체를 압축하는 것으로서, 상기 왕복동식 압축기에 비해 저속으로 높은 압축효율을 얻을 수 있다.
그러나, 상기 로터리 압축기는 일정 회전속도에서 유량을 변화시키기 위해서는 여분의 공기를 방출하든지 또는 흡기를 교축할 필요가 있고, 또 여분의 공기에 의한 송출 압력 증대에 대비하여 안정장치를 설비하는 등 취급이 곤란하게 된다.
그리고, 각 부의 틈이 대단히 균일하지 않으면 압축가스가 누설되어 성능을 발휘하지 못할 수 도 있고, 마모가 된 경우는 급격한 성능 저하를 보인다. 그래서 고도로 정밀한 가공이 필요하다. 또한 급격한 압력 변화에 의한 편하중이 작용하여 베어링이 파손되기 쉽다.
즉, 상기 로터리 압축기와 왕복동식 압축기는 각각 다른 특성 및 장단점을 갖고 있다.
한편, 냉동사이클이란 열역학 사이클(thermodynamic cycle)의 한 종류로써, 일(work)을 가하여 저온부(cold reservoir)에 열을 추출하는데 목적이 있을 때에는 냉동사이클(refrigeration cycle)이라 하고, 이러한 냉동사이클을 이루는 시스템을 냉동시스템이라하며 이는 냉장고, 에어컨등에 주로 사용된다.
그리고, 상기 냉동시스템은 도 1을 참조하면, 냉매를 고온·고압으로 압축시키는 압축기(30)와, 상기 압축기(30)에서 압축되어 나온 냉매로부터 열을 빼앗아 외부로 방출하여 냉매를 액체 상태로 만드는 응축기(50)와, 상기 응축기(50)로부터 유입된 냉매를 단열 팽창시켜 압력을 급강하시키는 팽창밸브(40)와, 상기 팽창밸브(40)를 거친 냉매가 외부의 열을 흡수하면서 저압의 기체로 되는 증발기(60)로 이루어진다.
참고로, 도 2는 도 1의 냉동시스템의 P-h선도를 나타낸 그래프로서, 외부로부터 일(Wc)을 전달받아 압축기(30)에서 냉매를 압축하게 되며(1→4), 압축기(30)에서 압축된 냉매는 응축기(50)를 거쳐 외부로 냉매의 열을 방출하게 된다(2→3).
그리고, 상기 응축기(50)를 통과한 냉매는 팽창장치(20)를 통과하면서 단열팽창하게 되고(3→4), 상기 팽창장치를 통과한 냉매는 증발기(60)를 통과하면서 외부의 열을 냉매로 흡수하게 되며(4→1), 상기 증발기(60)를 통과한 냉매는 다시 압축기(30)로 흘러들게 된다.
이러한 냉동시스템의 성능계수(COP ; coefficient of performance)는 저온 부, 즉 증발기(60)에서 흡수한 열량(QH)에 대한 압축기 일(Wc)로 정의된다.
따라서, 효율적인 냉동시스템을 구성하기 위해서는 적절한 냉매의 선택과 함께 효율적으로 압축기를 구성할 필요가 있다.
그리고, 최근에는 냉매인 프레온 가스가 오존층을 파괴하는 문제점이 나타나면서 CO2등의 대체 냉매의 필요성이 매우 중요시되고 있고, 이 경우 대체 냉매를 사용하더라도 압축시 누설의 염려가 없고, 기계적 신뢰성이 확보되는 압축기가 필요하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필요성들을 인식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기존의 압축기 구조와는 다른 냉동시스템의 성능계수를 향상시킬 수 있는 새로운 구조의 기어타입 압축기를 제공하며, 이를 달성함에 있어 압축부로 냉매 유입시 오일의 유입이 억제되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모터와, 모터의 구동력을 전달받아 증발기로부터 유입된 냉매를 압축하는 기어타입 압축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기어타입 압축부에는, 내부로의 냉매 유입을 위한 압축부 부흡입파이프(sub comprission suction pipe)가 구비되며, 상기 압축부 부흡입파이프에는 오일의 유입이 억제되도록 오일유입 방지부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기어타입 압축기를 제공한다.
그리고, 상기 오일유입 방지부는, 상기 압축부 부흡입파이프의 끝단으로부터 연장 형성되되, 상기 압축부 부흡입파이프의 끝단으로부터 대략 직교하는 방향으로 절곡된 절곡부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오일유입 방지부는, 상기 압축부 부흡입파이프의 끝단으로부터 연장 형성되되, 상기 압축부 부흡입파이프의 끝단으로부터 대략 직교하는 방향으로 절곡된 제1 절곡부와, 상기 제1 절곡부로부터 대략 직교하는 방향으로 재차 절곡된 제2 절곡부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오일유입 방지부는, 상기 압축부 부흡입파이프의 끝단에 구비된 커버부와, 상기 커버부측 압축부 부흡입파이프의 외주면에 형성된 냉매유입공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이 때, 상기 냉매유입공은 상기 압축부 부흡입파이프의 외주면에 적어도 한개 이상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커버부의 형상은 대략 원판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커버부의 면적은 상기 압축부 부흡입파이프의 단면적보다 크게 형성되며, 상기 커버부의 둘레면에는 그 둘레면으로부터 하부로 연장된 차단부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차단부는 상기 압축부 부흡입파이프에 형성된 냉매유입공의 위치까지 연장되게 형성된다.
한편, 상기 기어타입 압축부는, 상기 모터 하부측에 고정되며, 상기 압축부 부흡입파이프가 연결된 메인베어링과; 상기 메인베어링 하부에 연접하게 설치되는 환형의 압축실린더와; 상기 압축실린더 내측공간에 회전가능하게 위치하는 외부기 어와; 상기 모터의 구동력을 전달받아 외부기어와 맞물려 돌면서 냉매를 압축하도록 상기 외부기어 내측에 설치되는 내부기어와; 상기 압축실린더 하부에 연접하게 설치되는 압축플레이트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압축플레이트에는 압축된 냉매를 응축기쪽으로 보내는 압축부 토출파이프(compression discharge pipe)가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메인베어링에는 흡입포트가 형성되고, 상기 압축플레이트에는 토출포트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외부기어는 모터의 샤프트에 결합되어 회전하는 내부기어의 티스 수보다 많은 티스홈을 갖도록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도면 도 3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기어타입 압축기의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3의 Ⅰ-Ⅰ선을 따른 횡단면도이다.
그리고, 도 5는 본 발명의 기어타입 압축기가 적용된 냉동시스템의 구성도이며, 도 6과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압축부 부흡입파이프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기어타입 압축기는, 내부에 소정의 공간부를 갖는 케이싱(1)과, 상기 케이싱(1) 내부에 설치되는 모터(2)와, 상기 모터(2)의 구동력을 전달받아 증발기(6)로부터 유입된 냉매를 압축하는 기어타입 압축부(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 때, 상기 모터(2)는, 케이싱(1) 내벽에 장착되는 스테이터(200) 및 그 중심부에 설치되어 파워터미널(110)을 통해 스테이터(200)에 전원 인가시 회전하게 되는 로터(210)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파워터미널(110)은 상기 케이싱(1)의 상부면에 구비되되, 일측은 상기 스테이터(200)에 연결되고 타측은 외부 전원선과 연결되어, 상기 스테이터(200)에 전원을 인가한다.
따라서, 상기 파워터미널(110)을 통해 상기 스테이터(200)에 전원이 인가되면 상기 로터(210)는 상기 스테이터(200)와 전자기적 작용에 의하여 회전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기어타입 압축부(3)(즉, 압축부)는, 상기 케이싱(1)의 모터 하부측에 고정되며 내부로의 냉매 유입을 위한 압축부 부흡입파이프(sub compression suction pipe:350)가 연결된 메인베어링(300)과, 상기 메인베어링(300) 하부에 연접하게 설치되는 환형의 압축실린더(310)와, 상기 압축실린더(310) 내측공간에 회전가능하게 위치하는 외부기어(320)와, 상기 모터의 구동력을 전달받아 외부기어(320)와 맞물려 돌면서 냉매를 압축하도록 상기 외부기어(320) 내측에 설치되는 내부기어(330)와, 압축실린더(310) 하부에 연접하게 설치되며 압축된 냉매를 응축기(4)쪽으로 보내기 위한 압축부 토출파이프(compression discharge pipe:360)가 연결된 압축플레이트(3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압축부 부흡입파이프(350)에는 오일의 유입이 억제되도록 오일유입 방지부가 구비된다.
즉,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압축부 부흡입파이프(350)의 끝단으로부터 연장 형성되되, 압축부 부흡입파이프(350)의 끝단으로부터 대략 직교하는 방향으로 절곡된 절곡부(351)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케이싱(1) 일측에는 상기 케이싱(1) 내부로의 냉매 유입을 위한 흡입파이프(100)(suction pipe)가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케이싱(1) 하부에는 압축기 설치를 위한 베이스 플레이트(120)가 구비된다.
한편, 상기 기어타입 압축부 상·하부의 오일은 분리되어 위치하는 것이 아니라, 압축실린더(310)와 메인베어링(300) 및 압축플레이트(340) 외주면상에 수직방향으로 길이를 갖도록 따진 홈(3g)부분을 통해 서로 통하고 있어 교류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메인베어링(300)에는 흡입포트(300a)가 형성되고, 압축플레이트(340)에는 토출포트(340a)가 형성된다.
이하에서는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압축기 작용을 도 3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을 참조하면, 모터(2)의 작동에 따라서 기어타입 압축부(3)에서 냉매의 압축이 이루어지게 되고, 이어 압축부(3)에서 압축된 냉매는 유로를 따라서 응축기(4)로 유입되며, 상기 응축기(4)를 통과하면서 열을 외부로 방출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응축기(4)를 통과한 냉매는 유로를 통하여 팽창밸브(5)로 유입되고, 상기 팽창밸브(5)로 유입된 냉매는 팽창밸브(5)를 지나는 과정에서 팽창하게 된다.
이어, 상기 팽창밸브(5)를 통과한 냉매는 증발기(6)로 유입되며, 냉매는 상기 증발기(6)를 통과하면서 외부로부터 열을 흡수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증발기(6)를 통과한 냉매는 다시 압축부(3)로 흘러들게 되며, 이러한 일련의 흐름이 반복되어 냉동사이클을 이루게 된다.
상기와 같이 냉동사이클을 이루는 과정중 본 발명 압축기에 의해 수행되는 압축작용을 도 3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케이싱(1) 내벽에 장착된 모터에 전원이 인가되어 스테이터(200)와의 전자기적 상호 작용에 의해 로터(210)가 회전하게 되면, 케이싱(1) 상단부에 설치된 흡입파이프(100)(suction pipe)를 통해 케이싱(1) 내부로 냉매가 유입된다.
그리고, 케이싱(1) 내부로 유입된 냉매는 메인베어링(300)에 연결된 압축부 부흡입파이프(350)(sub compression suction pipe)를 통해 외부기어(320) 내측공간으로 보내진다.
이 때, 냉매가 압축부 부흡입파이프(350)로 유입되면서 오일(oil)도 함께 유입될 수 있다. 특히, 압축기 기동시에 발생하는 오일의 포밍(foaming)현상으로 오일이 과도하게 유입될 가능성이 있다.
그리하여, 상기와 같이 유입된 오일은 액체이므로 압축이 되지 않으며, 오일에 녹아있는 냉매가 압축과정에서 열을 받아 기체로 되어 과도한 양의 냉매가 압축되는 과압축 현상이 발생됨으로써, 압축기의 부하를 증가시키고 이로 인해 압축되는 냉매의 양을 점차 저감시켜 압축기의 성능을 저하시킬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압축기 부흡입파이프(350)에는 압축기 부흡입파이프(350)의 끝단으로부터 절곡되어 연장 형성된 절곡부(350a)로 이루어진 오일유입 방지부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오일이 압축부 부흡입파이프(350)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함에 따라 냉매의 흡입량을 증가시켜 원활한 냉매의 압축이 이루어진다.
한편, 압축부 부흡입파이프(350)를 통과한 냉매는 외부기어(320) 내측공간과 연통된 메인베어링(300)의 흡입포트(300a)를 통해 외부기어(320) 내측공간으로 유입된다.
그리고, 상기 외부기어(320) 내측공간으로 보내진 냉매는 모터 샤프트(220)에 축결합된 내부기어(330)의 회전에 따라 점점 압축된 후 압축플레이트(340)에 형성된 토출포트(340a)를 지나 상기 토출포트(340a)에 연결된 압축부 토출파이프(360)를 통해 토출되어 응축기(4)로 보내어지게 된다.
여기서, 상기 압축부(3)에서의 토출포트(340a) 면적은 흡입포트(300a) 면적에 비해 작게 형성됨은 물론이다.
한편, 상기 기어타입 압축부(3)와 모터(2)는 하나의 케이싱(1) 내에 설치됨이 바람직하나, 별도의 케이싱(1)에 각각 분리 설치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구동수단으로서 전기모터 대신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것이라면 어느 것도 가능하다.
한편, 도 4는 도 3의 Ⅰ-Ⅰ선을 따른 단면도로서, 압축부(3)를 이루는 내부기어(330)와 외부기어(320)의 기하학적 형태를 예시한 것이다.
이 때, 상기 외부기어(320)는 모터 샤프트(220)에 결합되어 회전하는 내부기어(330)의 티스(teeth:330a) 수보다 많은 티스홈(320a)을 갖도록 형성되고, 내부기어(330)의 회전중심과 외부기어(320)의 회전중심은 편심되게 설치된다.
통상적으로 내부기어(330)의 티스(330a)는 외부기어(320)의 티스홈(320a) 개수보다 작고, 티스(330a)의 형상은 사이클로이드 곡선을 이루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의 구조에 따른 압축기에 의해 냉매가 압축될 때 발생하는 토크의 변화량은 다른 구조를 가지는 압축장치에 비하여 현저히 작아진다.
즉, 본 발명의 구조에 따른 압축기는 왕복동식 압축기에 비해 토크의 변화량 이 현저히 작아지게 된다.
그리고, 본 발명의 기어타입 압축기는 냉매 압축시 내부기어(330)와 함께 외부기어(320)가 회전함에 따라 토크의 균형이 유지됨으로써 진동 및 소음이 작아지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기어타입 압축기는 내부기어(330)에 형성된 티스(330a)와 외부기어(320)측의 티스홈(320a)이 다수개 접촉됨으로써, 내부기어(330)에서 외부기어(320)로 전달되는 힘이 어느 한곳에 집중되지 않고 분산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기어타입 압축기는 내부기어(330)에 형성된 티스(330a)와 외부기어(320)측의 티스홈(320a)이 맞물리는 지점에서의 속도차 즉, 상대속도가 작은 이점이 있다.
한편, 본 발명의 기어타입 압축기는 사용되는 냉매를 이산화탄소도 냉매로서 사용이 가능하다.
이산화탄소는 냉매로서 사용시간이 길며, 독성이 없을 뿐만 아니라 비가연성이다. 또한 그 가격이 싸며 원천이 풍부하고 회수할 필요가 없으며, 윤활유와도 잘 용해될 수 있고, 단위 용적당 냉각량이 CFC계열 R-22에 비하여 5배나 되어 동일한 냉방용량을 발생시키기 위한 용적이 작아지고 압축비율도 작아지는 장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어타입 압축기 사용시에는 이산화탄소를 냉매로 사용함으로써 상기한 장점을 충분히 활용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6과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오일유입 방지부를 보여주기 위한 압축부 부흡입파이프의 단면도이다.
먼저, 도 6의 압축부 부흡입파이프(450)에 구비된 오일유입 방지부는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입축부 부흡입파이프(450)의 끝단으로부터 연장 형성되되, 압축부 부흡입파이프(450)의 끝단으로부터 대략 직교하는 수평방향으로 절곡된 제1 절곡부(450a)와, 상기 제1 절곡부(450a)로부터 대략 직교하는 수직 하부방향으로 절곡된 제2 절곡부(450b)로 이루어져 있다.
그리고, 도 7의 압축부 부흡입파이프(550)에 구비된 오일유입 방지부는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압축부 부흡입파이프(550)의 끝단에 구비된 원판형상의 커버부(550a)와, 상기 커버부(550a)의 둘레면으로부터 하부로 연장된 차단부(550b)와, 상기 커버부(550a)측 압축부 부흡입파이프(550)의 외주면에 양방향으로 대응되게 형성된 냉매유입공(550c)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 때, 상기 커버부(550a)의 면적은 상기 압축부 부흡입파이프(550)의 단면적보다 크게 형성되며, 상기 차단부(550b)는 상기 냉매유입공(550c)의 위치까지 연장되도록 형성된다.
상기한 각 실시예에 있어서, 오일유입 방지부의 형태는 달라도 작용 원리 및 효과는 전술한 바와 동일 내지 유사하므로 더 이상의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상기한 오일유입 방지부의 형태는 제시한 몇가지 실시예의 형태 이외에 동일한 기술사상의 범주를 벗어나지 않는 한 여러 가지 다양한 형태로의 변경이 가능함은 물론이며, 이에 따라 더 이상의 예시는 생략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기어타입의 압축기를 제공함으로써, 냉동시스템 의 성능계수를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르면, 압축기에 사용되는 냉매를 이산화탄소등으로 대체할 수 있어 환경친화적인 압축기 구현이 가능해지는 장점이 있다.
즉, 이산화탄소는 냉매로서 사용시간이 길며, 독성이 없을 뿐만 아니라 비가연성이다. 또한 그 가격이 싸며 원천이 풍부하고 회수할 필요가 없으며, 윤활유와도 잘 용해될 수 있고, 단위 용적당 냉각량이 CFC계열 R-22에 비하여 5배나 되어 동일한 냉방용량을 발생시키기 위한 용적이 작아지고 압축비율도 작아지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기어타입 압축기는 내부기어와 외부기어의 힘과 토크의 균형으로 인해 압축기 가동시의 진동 및 소음을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기어타입 압축기는 압축부로 냉매가 유입될 시 오일의 유입을 사전에 방지할 수 있어, 압축기의 부하가 상승되는 것을 방지함은 물론 냉매의 흡입유량을 높여 압축기의 성능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Claims (13)

  1. 모터와, 모터의 구동력을 전달받아 증발기로부터 유입된 냉매를 압축하는 기어타입 압축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기어타입 압축부에는, 내부로의 냉매 유입을 위한 압축부 부흡입파이프(sub comprission suction pipe)가 구비되며,
    상기 압축부 부흡입파이프에는 오일의 유입이 억제되도록 오일유입 방지부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기어타입 압축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오일유입 방지부는,
    상기 압축부 부흡입파이프의 끝단으로부터 연장 형성되되, 상기 압축부 부흡입파이프의 끝단으로부터 대략 직교하는 방향으로 절곡된 절곡부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기어타입 압축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오일유입 방지부는,
    상기 압축부 부흡입파이프의 끝단으로부터 연장 형성되되, 상기 압축부 부흡입파이프의 끝단으로부터 대략 직교하는 방향으로 절곡된 제1 절곡부와, 상기 제1 절곡부로부터 대략 직교하는 방향으로 재차 절곡된 제2 절곡부로 이루어짐을 특징 으로 하는 기어타입 압축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오일유입 방지부는,
    상기 압축부 부흡입파이프의 끝단에 구비된 커버부와, 상기 커버부측 압축부 부흡입파이프의 외주면에 형성된 냉매유입공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기어타입 압축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냉매유입공은 상기 압축부 부흡입파이프의 외주면에 적어도 한개 이상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기어타입 압축부.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의 형상은 대략 원판형상으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기어타입 압축기.
  7.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의 면적은 상기 압축부 부흡입파이프의 단면적보다 크게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기어타입 압축기.
  8.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의 둘레면에는 그 둘레면으로부터 하부로 연장된 차단부가 더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기어타입 압축기.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부는 상기 압축부 부흡입파이프에 형성된 냉매유입공의 위치까지 연장되게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기어타입 압축기.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어타입 압축부는,
    상기 모터 하부측에 고정되며, 상기 압축부 부흡입파이프가 연결된 메인베어링과;
    상기 메인베어링 하부에 연접하게 설치되는 환형의 압축실린더와;
    상기 압축실린더 내측공간에 회전가능하게 위치하는 외부기어와;
    상기 모터의 구동력을 전달받아 외부기어와 맞물려 돌면서 냉매를 압축하도록 상기 외부기어 내측에 설치되는 내부기어와;
    상기 압축실린더 하부에 연접하게 설치되는 압축플레이트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기어타입 압축기.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압축플레이트에는 압축된 냉매를 응축기쪽으로 보내는 압축부 토출파이프(compression discharge pipe)가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기어타입 압축기.
  1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베어링에는 흡입포트가 형성되고, 상기 압축플레이트에는 토출포트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기어타입 압축기.
  13.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기어는 모터의 샤프트에 결합되어 회전하는 내부기어의 티스(teeth) 수보다 많은 티스홈을 갖도록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기어타입 압축기.
KR1020030094233A 2003-12-20 2003-12-20 기어타입 압축기 KR10055641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94233A KR100556415B1 (ko) 2003-12-20 2003-12-20 기어타입 압축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94233A KR100556415B1 (ko) 2003-12-20 2003-12-20 기어타입 압축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62226A KR20050062226A (ko) 2005-06-23
KR100556415B1 true KR100556415B1 (ko) 2006-03-03

Family

ID=372544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94233A KR100556415B1 (ko) 2003-12-20 2003-12-20 기어타입 압축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56415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62226A (ko) 2005-06-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851437A1 (en) Capacity varying type rotary compressor
JP5905005B2 (ja) 多気筒回転式圧縮機及び冷凍サイクル装置
US20110176949A1 (en) Rotary compressor
JP4306240B2 (ja) ロータリ式膨張機及び流体機械
JP2010185342A (ja) 回転式電動圧縮機
KR20100042168A (ko) 스크롤 압축기 및 이를 적용한 냉동기기
KR100677513B1 (ko) 냉동시스템 및 그 압축기
JP2003138901A (ja) 流体機械
KR100556415B1 (ko) 기어타입 압축기
KR100556414B1 (ko) 기어타입 압축기
KR100556410B1 (ko) 기어타입 압축기
US20110135526A1 (en) Rotary compressor
KR100556409B1 (ko) 기어타입 압축기
KR100556411B1 (ko) 기어타입 압축기
KR100556412B1 (ko) 기어타입 압축기
KR100556408B1 (ko) 기어타입 압축기
KR100617188B1 (ko) 기어타입 압축기
KR100556413B1 (ko) 기어타입 압축기
KR100608867B1 (ko) 고압식 스크롤 압축기의 냉매유로구조
KR101128791B1 (ko) 기어타입 압축기
KR20060032338A (ko) 기어타입 압축기
KR20060033185A (ko) 기어타입 압축기
KR20060032339A (ko) 기어타입 압축기
KR20060032340A (ko) 기어타입 압축기
CN100465446C (zh) 齿轮型压缩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1220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