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56022B1 - 굴삭기 작업장치의 유압시스템 - Google Patents

굴삭기 작업장치의 유압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56022B1
KR100556022B1 KR1020010050271A KR20010050271A KR100556022B1 KR 100556022 B1 KR100556022 B1 KR 100556022B1 KR 1020010050271 A KR1020010050271 A KR 1020010050271A KR 20010050271 A KR20010050271 A KR 20010050271A KR 100556022 B1 KR100556022 B1 KR 10055602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ump
arm
excavator
boom
flow r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502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16614A (ko
Inventor
이용구
김남영
Original Assignee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100502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56022B1/ko
Publication of KR200300166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1661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560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5602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20Drives; Control devices
    • E02F9/22Hydraulic or pneumatic drives
    • E02F9/2278Hydraulic circuits
    • E02F9/2292Systems with two or more pump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3/00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 E02F3/04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 E02F3/28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with digging tools mounted on a dipper- or bucket-arm, i.e. there is either one arm or a pair of arms, e.g. dippers, buckets
    • E02F3/36Component parts
    • E02F3/42Drives for dippers, buckets, dipper-arms or bucket-arms
    • E02F3/43Control of dipper or bucket position; Control of sequence of drive operations
    • E02F3/435Control of dipper or bucket position; Control of sequence of drive operations for dipper-arms, backhoes or the like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20Drives; Control devices
    • E02F9/22Hydraulic or pneumatic drives
    • E02F9/2264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elements for hydraulic drives
    • E02F9/2267Valves or distribu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luid-Pressure Circuits (AREA)
  • Operation Control Of Excava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굴삭기의 굴삭, 상차작업 및 고르기작업을 수행하기 위하여 붐(Boom) 상승과 암(Arm) 오무림을 동시에 작동시킬 때 작업장치의 작동속도 증가시켜 작업효율을 증대시키고 연료를 절감시킬 수 있게 한 굴삭기 작업장치의 유압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붐과 암 작동 시에는 미사용하는 제3펌프의 토출유량을 이용하여 암 오무림 작동시에 합류시켜 암의 오무림 속도를 증가시킬 수 있게한 것으로 제1펌프(1), 제2펌프(2) 및 제3펌프(3)로 구성된 굴삭기 작업장치의 유압시스템에 있어서, 제2펌프(2) 및 제3펌프(3)의 합류라인에 체크밸브(16)를 장착시키고, 암3속 스풀(10)과 제3펌프 유량공급 라인(11)을 설치하여 제3펌프(3)의 토출유량을 암 오무림작업에 합류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굴삭기 작업장치의 유압시스템.
굴삭기, 유압시스템, 제3펌프, 암3속 스풀, 제3펌프 유량공급 라인.

Description

굴삭기 작업장치의 유압시스템{Oil pressure system for driving appratus of excavator}
도 1 은 본 발명의 제3펌프가 합류된 상태의 유압회로도
도 2 는 종래의 제3펌프가 비 합류된 상태의 유압회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제1펌프 (2) 제2펌프
(3) 제3펌프 (4) 붐1속 스풀
(5) 암1속 스풀 (6) 붐2속 스풀
(7) 암2속 스풀 (8) 주행 스풀
(9) 선회 스풀 (10) 암3속 스풀
(11) 제3펌프 유량공급 라인 (12) 도자 스풀
(13) 암2속 직렬회로 (14) 붐2속 병렬회로
(15) 제3펌프의 옵션 스풀 (16) 체크밸브
본 발명은 굴삭기의 굴삭, 상차작업 및 고르기작업을 수행하기 위하여 붐(Boom) 상승과 암(Arm) 오무림을 동시에 작동시킬 때 작업장치의 작동속도 증가시켜 작업효율을 증대시키고 연료를 절감시킬 수 있게 한 굴삭기 작업장치의 유압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붐과 암 작동시에는 미사용하는 제3펌프의 토출유량을 이용하여 암 오무림 작동시에 합류시켜 암의 오무림 속도를 증가시킬 수 있게 한 것이다.
종래의 굴삭기 작업장치의 유압시스템은 도 2 에 도시된 유압회로도에서와 같이 제1펌프(1), 제2펌프(2) 및 제3펌프(3)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각의 펌프에서 공급되는 유량은 다음과 같다.
제1펌프(1)에서 공급되는 유량은 주행 스풀(8), 붐1속 스풀(4), 버켓 및 암2속 스풀(7)의 순으로 유량이 공급되고, 제2펌프(2)에서는 주행 스풀(8), 암1속 스풀(5) 및 붐2속 스풀(6)의 순으로 유량이 공급된다.
또한 제3펌프(3)는 도자 스풀(12), 선회 스풀(9) 및 제3펌프(3)의 옵션 스풀(15)의 순으로 유량이 공급된다.
상기한 종래의 유압시스템은 붐 상승과 암 오무림 작동을 동시에 수행하면 제1펌프(1)는 붐1속 스풀(4)에서 유량을 소모하고 붐에서 사용하고 남은 유량만이 암2속 스풀(7)로 유입되며, 유압회로가 암2속은 직렬회로(13)로 구성되어 있어 붐1속 스풀(4)이 완전히 절환 되었을 경우에는 암2속 스풀(7)로의 유량이 차단된다.
이와 동시에 제2펌프(2)에서 유량공급을 받는 암1속 스풀(5)과 붐2속 스풀(6)은 암1속 스풀(5)이 완전히 절환 되어도 유압회로가 붐2속 병렬회로(14)로 구성되어있어 붐2속 스풀(6)로의 유량은 공급되어 붐 상승속도가 암 오무림속도 보다 빠르며 이로 인한 작업장치 속도의 불균형(Unbalance)으로 인한 작업장치의 조작성 및 상차작업의 효율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제3펌프(3)는 붐 및 암 만 작동시에는 펌프에서 토출된 유량은 바로 탱크로 복귀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목적으로 창출된 것으로 제1펌프 및 제2펌프의 붐과 암만의 작동 시에는 사용되지 않는 제3펌프의 토출유량을 암 오무림 작동시에 합류시켜 암의 오무림 작동시 속도를 증가시키고 작업장치의 조작성과 작업효율을 증대시킬 뿐만 아니라 연료를 절감시킬 수 있는 유압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한 유암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하여 제1펌프, 제2펌프 및 제3펌프로 구성된 굴삭기의 유압시스템에 있어서 제2펌프 및 제3펌프의 합류라인에 체크밸브를 장착시키고 종래 유압시스템에서 사용하는 제3펌프의 옵션 스풀 대신에 암3속 스풀과 제3펌프 유량공급 라인을 설치하여 붐과 암 작동시에 사용하지 않는 제3펌프의 토출유량을 활용케 하므로 굴삭, 상차작업 및 고르기작업시에 붐의 상승속도와 암의 오무림속도의 균형을 유지하면서 속도를 증대시킬 수 있는 유압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는 것이다.
이하 발명의 요지를 첨부된 도면에 연계시켜 그 구성과 작용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은 본 발명의 제3펌프가 합류된 상태의 유압회로도로서 제2펌프 및 제3펌프의 합류라인에 체크밸브가 장착되고 종래 제3펌프의 옵션 스풀 대신 암3속 스풀과 제3펌프 유량공급 라인이 설치된 것을 도시한 것이다.
제1펌프(1), 제2펌프(2) 및 제3펌프(3)로 구성된 굴삭기 작업장치의 유압시스템에 있어서,
제2펌프(2) 및 제3펌프(3)의 합류라인에 체크밸브(16)를 장착시키고, 암3속 스풀(10)과 제3펌프 유량공급 라인(11)을 설치하여 제3펌프(3)의 토출유량을 암 오무림작업에 합류시키는 유압시스템이다.
이와 같이된 본 발명은 굴삭, 상차작업 및 고르기 작업시의 붐 상승속도와 암 오무림속도의 불균형을 해소시켜 작업장치의 속도를 증가시키고 조작성 및 작업 효율을 증대시킬 뿐만 아니라 연료를 절감할 수 있는 유압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제1펌프(1) 및 제2펌프(2)에서 정해진 유량으로는 암의 오무림속도를 증가시키는데는 한계가 있어 붐과 암 작동시에는 사용하지 않는 제3펌프(3)의 토출유량을 이용하여 암 오무림작동시 제3펌프(3)의 유량을 합류시켜 암 오무림속도를 증가시키는 것이다.
암 오무림과 선회작동시 제3펌프(3)의 유량은 선회 미세조작시 선회 스풀(9)에서 바이패스되는 유량만 암으로 유입되며 선회 스풀(9)이 완전히 절환되면 암 오무림으로 유량이 차단된다.
상기와 같이 제3펌프(3)의 유량을 암 오무림 작동시에 합류시켜 작업장치의 속도를 증가시키므로 굴삭작업, 상차작업 및 고르기작업을 수행할 때 종래 유압시스템에 비해 장비의 엔진회전수가 낮은 영역에서도 작업이 가능하고 이로인한 연료 또한 절감시킬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암 오무림 작동시에 제2펌프(2) 및 제3펌프(3)의 합류라인에 체크밸브(16)를 장착하여 고압역류를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제3펌프의 토출유량을 활용하여 굴삭기의 굴삭작업, 상차작업 및 고르기작업시의 붐의 상승속도와 암의 오무림속도의 균형을 유지하면서도 작업속도를 증대시키고 작업장치의 조작성과 작업효율을 증대시킬 뿐만 아니라 엔진회전수가 낮은 영역에서도 작업이 가능하여 연료를 절감시킬 수 있는 등의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1)

  1. 제1펌프(1), 제2펌프(2) 및 제3펌프(3)로 구성된 굴삭기 작업장치의 유압시스템에 있어서,
    제2펌프(2) 및 제3펌프(3)의 합류라인에 체크밸브(16)를 장착시키고, 암3속 스풀(10)과 제3펌프 유량공급 라인(11)을 설치하여 제3펌프(3)의 토출유량을 암 오무림작업에 합류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굴삭기 작업장치의 유압시스템.
KR1020010050271A 2001-08-21 2001-08-21 굴삭기 작업장치의 유압시스템 KR10055602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50271A KR100556022B1 (ko) 2001-08-21 2001-08-21 굴삭기 작업장치의 유압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50271A KR100556022B1 (ko) 2001-08-21 2001-08-21 굴삭기 작업장치의 유압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16614A KR20030016614A (ko) 2003-03-03
KR100556022B1 true KR100556022B1 (ko) 2006-03-03

Family

ID=277200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50271A KR100556022B1 (ko) 2001-08-21 2001-08-21 굴삭기 작업장치의 유압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5602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56046B1 (ko) * 2002-11-25 2006-12-08 두산인프라코어 주식회사 소형 굴삭기의 암속도 제어장치
KR101157267B1 (ko) * 2005-12-28 2012-07-03 두산인프라코어 주식회사 굴삭기의 주행복합제어용 유압시스템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40010173U (ko) * 1992-10-27 1994-05-23 현대중장비산업 주식회사 굴삭기의 붐 및 아암 동시 작동시 아암의 증속을 위한 유압 제어장치
KR950019261A (ko) * 1993-12-28 1995-07-22 석진철 굴삭기의 유압펌프 유압제어장치
KR960018031U (ko) * 1994-11-10 1996-06-19 유압식 굴삭기의 붐·암 성능향상장치
KR20010064381A (ko) * 1999-12-29 2001-07-09 양재신 굴삭기의 붐과 암 복합제어회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40010173U (ko) * 1992-10-27 1994-05-23 현대중장비산업 주식회사 굴삭기의 붐 및 아암 동시 작동시 아암의 증속을 위한 유압 제어장치
KR950019261A (ko) * 1993-12-28 1995-07-22 석진철 굴삭기의 유압펌프 유압제어장치
KR960018031U (ko) * 1994-11-10 1996-06-19 유압식 굴삭기의 붐·암 성능향상장치
KR20010064381A (ko) * 1999-12-29 2001-07-09 양재신 굴삭기의 붐과 암 복합제어회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16614A (ko) 2003-03-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498865B2 (ja) フロート機能を有する建設機械用油圧システム
EP1580437B1 (en) Hydraulic cylinder for use in a hydraulic tool
JP2008014468A (ja) 作業機械における油圧制御システム
JP2014502709A (ja) 建設機械のエネルギー再生システム
JP2004019437A (ja) フロート機能を有するブームシリンダー合流用油圧回路
KR100934945B1 (ko) 건설중장비용 유압 회로
JP2005061477A (ja) 油圧駆動装置
JP2004346485A (ja) 油圧駆動装置
JP2009150462A (ja) 作業機械における油圧制御システム
KR100556022B1 (ko) 굴삭기 작업장치의 유압시스템
EP1375758A4 (en) HYDRAULIC CONTROL CIRCUIT FOR A CREATING CYLINDER OF A CONSTRUCTION MACHINE
JP4753307B2 (ja) 作業機械における油圧制御システム
CN208717982U (zh) 挖掘机斗杆控制系统和挖掘机
KR101186568B1 (ko) 작업모드 설정기능이 구비된 유압시스템
KR20110007639A (ko) 소형 굴삭기용 네가티브 유량제어 시스템
JP4756600B2 (ja) 作業機械における油圧制御システム
JP2008101414A (ja) 油圧ショベルにおける油圧制御システム
RU2299296C1 (ru) Система уравновешивания рабочего оборудования стреловой машины (варианты)
KR100813774B1 (ko) 소형 굴삭기의 유압펌프 제어장치
KR100610475B1 (ko) 휠 굴삭기의 주행중 홀딩밸브 해제장치
KR100717922B1 (ko) 붐 고속 상승용 2단 유압장치
JP2008075365A (ja) 作業機械における制御システム
KR20080099506A (ko) 중장비의 옵션작업기용 유압회로
KR100985031B1 (ko) 건설장비용 유압시스템
KR0131980Y1 (ko) 중장비의 2단 릴리프 유압회로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22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15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17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21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16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28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28

Year of fee payment: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