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54892B1 - Language Learning System by means of Connecting Content Words, and Content and Function Words in a Step-by-Step Manner and a Method Using Thereof - Google Patents

Language Learning System by means of Connecting Content Words, and Content and Function Words in a Step-by-Step Manner and a Method Using Thereof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54892B1
KR100554892B1 KR1020040028731A KR20040028731A KR100554892B1 KR 100554892 B1 KR100554892 B1 KR 100554892B1 KR 1020040028731 A KR1020040028731 A KR 1020040028731A KR 20040028731 A KR20040028731 A KR 20040028731A KR 100554892 B1 KR100554892 B1 KR 10055489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word
content
learning
lear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28731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50103436A (en
Inventor
김영운
Original Assignee
김영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영운 filed Critical 김영운
Priority to KR10200400287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54892B1/en
Publication of KR200501034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103436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548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54892B1/en

Links

Ima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Electrically Operated Instructional Device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단계별 내용어 연결과 내용어와 기능어 연결을 활용한 외국어 학습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학습자의 학습단계에 따라서 단계별 내용어 연결과 내용어와 기능어 연결을 통해 언어 말하기를 효과적으로 학습할 수 있도록 인터넷과 멀티미디어를 이용하여 외국어 학습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oreign language learning system and method using step-by-step content linking and content word and functional word linking, and more specifically, to speak a language effectively through step-by-step content linking and content and function linking according to a learner's learning stage. It is to provide foreign language learning system using internet and multimedia for learning.

이를 실현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In order to realize this,

내용어연결학습과 내용어와기능어연결학습에 관한 학습자료를 저장하는 학습자료데이터부와,A learning material data section for storing learning materials related to content-language learning and content-language and functional word-linked learning;

학습자의 응답과 표준음성데이터 또는 운율/의미단위데이터를 음성인식으로 비교하여 정확성을 판정하는 음성인식비교부와,Speech recognition comparison unit for determining the accuracy by comparing the learner's response and standard speech data or rhyme / meaning unit data with speech recognition,

학습자의 데이터를 저장하는 회원정보데이터부와,Member information data section for storing the learner's data,

학습자로부터 입력된 정보가 회원정보데이터인지 오디오 데이터인지 구분하여 저장하는 수신데이터저장부와,A reception data storage unit for storing whether the information input from the learner is member information data or audio data, and storing the classified information;

상기 수신데이터저장부에 기록된 회원정보데이터에 기초하여 학습자료데이터부에서 소정의 학습순서에 따라 질문데이터, 내용어데이터, 추가설명데이터, 표준음성데이터, 운율/의미단위 데이터등을 네트워크망을 통해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송신제어부를 포함하여 네트워크망을 통해 전송시키는 정보제공자장치와;On the basis of the member information data recorded in the receiving data storage unit, the learning data data unit stores question data, content word data, additional explanation data, standard voice data, rhyme / meaning unit data, etc.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learning order. An information provider device including a transmission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ransmission through the network;

상기 정보제공자장치에서 출력한 학습자료데이터부의 자료를 네트워크망을 통해 수신하여 이를 출력시키고 가입자가 입력시킨 음성데이터를 상기 정보제공자장치로 전송시키는 가입자장치로 구성된다.Receiving the data of the learning data output unit output from the information provider device via a network network, and outputs it, and the subscriber device for transmitting the voice data input by the subscriber to the information provider device.

본 발명의 단계별 내용어 연결과 내용어와 기능어 연결을 활용한 외국어 학습시스템 및 그 방법을 이용하면When using a foreign language learning system and method using the step-by-step content connection and the content and functional words conn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첫째, 내용어 연결 학습을 통해 복잡한 기능어의 방해를 받지 않고 내용어 중심의 외국어의 말과 생각체계를 일치시킬 수 있으며 둘째, 말하기 습득 단계를 모국어와 같이 내용어 연결단계 후에 운율단위와 의미단위를 활용한 기능어와 운율까지 활용한 완전한 말을 습득하는 단계를 적용하여 단계적인 말하기 습득이 가능하며 셋째, 내용어 연결 학습에서 학습자의 올바른 응답 후에는 학습자의 응답과 관련하여 내용어 연결 표현을 중심으로 정확한 표준 제시와 강화, 확장을 위한 관련된 말을 해주어 학습자가 자신이 시도한 표현을 강화하여 숙달하고 다음단계까지 확장된 말을 반복하여 들으면서 다음단계로 발전할 수 있는 준비를 하게 하여 학습자가 주도적으로 자신의 말을 발전시켜 나갈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해 줄 수 있으며 넷째, 운율단위와 의미단위의 상호보완적 연결작용을 활용하여 외국어 학습자가 유창한 말을 하는데 꼭 필요한 단어의 빠르고 자연스러운 연결능력을 갖출 수 있고 부가적으로 복잡한 기능어 활용 능력을 기를 수 있는 효과가 있다.First, through content linkage learning, it is possible to match words and thought systems of a foreign language centered on content without disturbing complex functional words. Second, after acquiring the rhyme unit and semantic unit after the content linking step like the mother tongue, Step-by-step acquisition is possible by applying the steps of acquiring complete words using function words and rhymes. Third, after the correct response of the learner in content-conjugated learning, the content-centered expression is related to the learner's response. Provide appropriate standards for the presentation, reinforcement, and expansion of the standard so that the learner can master his or her expressions and prepare to advance to the next level by listening to the expanded word to the next level. Fourth, it can provide an environment to develop the words of To leverage the complementary connection unit equipped with fast action of the US natural ability to connect words necessary to speak fluent foreign language learners and has the effect of an addition to the complex function words literacy.

외국어 학습, 단계별 학습, 내용어, 기능어.Foreign language learning, step-by-step learning, content words, functional words.

Description

단계별 내용어 연결과 내용어와 기능어 연결을 활용한 외국어 학습시스템 및 그 방법 { Language Learning System by means of Connecting Content Words, and Content and Function Words in a Step-by-Step Manner and a Method Using Thereof } Language Learning System by means of Connecting Content Words, and Content and Function Words in a Step-by-Step Manner and a Method Using Thereof}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단계별 내용어 연결과 내용어와 기능어 연결을 활용한 외국어 학습시스템에서 정보제공자장치의 구성을 상세히 나타낸 구성도이다. 1 is a block diagram showing in detail the configuration of the information provider device in the foreign language learning system using the step-by-step content word connection and content word and functional word conne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단계별 내용어 연결과 내용어와 기능어 연결을 활용한 외국어 학습시스템에서 가입자장치의 구성을 상세히 나타낸 구성도이다. 2 is a block diagram showing in detail the configuration of the subscriber device in the foreign language learning system using the step-by-step content word connection and content word and functional word conne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단계별 내용어 연결과 내용어와 기능어 연결을 활용한 외국어 학습시스템에서 정보제공자장치의 구성을 상세히 나타낸 구성도이다. 3 is a block diagram showing in detail the configuration of the information provider device in the foreign language learning system using the step-by-step content word connection and content word and functional word connection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단계별 내용어 연결과 내용어와 기능어 연결을 활용한 외국어 학습시스템에서 가입자장치의 구성을 상세히 나타낸 구성도이다. 4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subscriber device in detail in the foreign language learning system using the step-by-step content word connection and content word and functional word connection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a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단계별 내용어 연결과 내용어와 기능어 연결을 활용한 외국어 학습시스템에서 내용어연결학습모드의 학습자료데이터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FIG. 5A is a diagram illustrating a learning data data structure of a content connection learning mode in a foreign language learning system using content word connection and content word and functional word conne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단계별 내용어 연결과 내용어와 기능어 연결을 활용한 외국어 학습시스템에서 학습자료데이터 세부 구성예를 나타낸 도면이다.FIG. 5B is a diagram illustrating a detailed configuration of learning data data in a foreign language learning system using stepwise content word connection and content word and functional word conne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a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단계별 내용어 연결과 내용어와 기능어 연결을 활용한 외국어 학습시스템에서 내용어연결학습모드의 학습절차를 나타낸 플로우차트이다.6A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learning procedure of a content-language link learning mode in a foreign language learning system utilizing content-content linking and content word and functional word link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단계별 내용어 연결과 내용어와 기능어 연결을 활용한 외국어 학습시스템에서 내용어 출력없는 학습절차를 나타낸 플로우챠트이다. 6B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learning process without content word output in a foreign language learning system using content word connection and content word and functional word conne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a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단계별 내용어 연결과 내용어와 기능어 연결을 활용한 외국어 학습시스템에서 내용어와기능어연결학습모드의 학습자료데이터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FIG. 7A is a diagram illustrating a learning data structure of a content word and a functional word connection learning mode in a foreign language learning system using content word connection and content word and functional word conne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단계별 내용어 연결과 내용어와 기능어 연결을 활용한 외국어 학습시스템에서 운율/의미단위연결 데이터의 세부 구성예를 나타낸 도면이다.7B is a diagram illustrating a detailed configuration example of rhyme / meaning unit connection data in a foreign language learning system using stepwise content word connection and content word and functional word conne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a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단계별 내용어 연결과 내용어와 기능어 연결을 활용한 외국어 학습시스템에서 내용어와기능어연결학습모드의 학습절차를 나타낸 플로우챠트이다. 8A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learning procedure of a content word and functional word connection learning mode in a foreign language learning system using content word connection and content word and functional word conne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단계별 내용어 연결과 내용어와 기능어 연결을 활용한 외국어 학습시스템에서 음성인식단계없이 단위 반복횟수 지정을 나타낸 플로우챠트이다. 8B is a flowchart illustrating unit repetition number designation without a speech recognition step in a foreign language learning system using stepwise content word connection and content word and functional word conne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단계별 내용어 연결과 내용어와 기능어 연결을 활용한 외국어 학습시스템에서 회원데이터베이스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9 is a diagram illustrating a member database structure in a foreign language learning system using stepwise content word connection and content word and functional word conne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on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10 : 학습자료데이터부 111 : 학습자료데이터베이스 110: study materials data section 111: study materials database

112 : 학습자료추출제어부 113 : 표준음성데이터버퍼112: learning data extraction control unit 113: standard voice data buffer

114 : 운율/의미단위데이터버퍼 115 : 질문데이터버퍼114: rhyme / meaning unit data buffer 115: question data buffer

116 : 내용어데이터버퍼 117 : 추가설명데이터버퍼116: content buffer 117: additional description data buffer

120 : 음성인식비교부 121 : 비교부      120: speech recognition comparison unit 121: comparison unit

122 : 음성인식부 130 : 송신제어부122: voice recognition unit 130: transmission control unit

140 : 회원정보데이터부 141 : 회원데이터베이스140: member information data department 141: member database

142 : 회원인식부 150 : 수신데이터저장부142: member recognition unit 150: receiving data storage unit

151 : 수신오디오버퍼 152 : 수신제어부151: reception audio overper 152: reception control unit

160 : 네트워크인터페이스 170 : 인터넷 160: network interface 170: the Internet

220 : 수신제어부 230 : 송신제어부220: reception control unit 230: transmission control unit

240 : 학습자료저장버퍼 241 : 운율/의미단위데이터버터240: learning data storage buffer 241: rhyme / meaning unit data butter

242 : 질문데이터버퍼 243 : 내용어데이터버퍼242: question data buffer 243: content data buffer

244 : 추가설명데이터버퍼 250 : 출력제어부244: Additional explanation data buffer 250: output control unit

260 : 비디오카드 270 : 사운드카드260: video card 270: sound card

280 : 마이크 280: microphone

본 발명은 단계별 내용어 연결과 내용어와 기능어 연결을 활용한 외국어 학습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학습자의 학습단계에 따라서 단계별 내용어 연결과 내용어와 기능어 연결을 통해 언어 말하기를 효과적으로 학습할 수 있도록 인터넷과 멀티미디어를 이용하여 외국어 학습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oreign language learning system and method using step-by-step content linking and content word and functional word linking, and more specifically, to speak a language effectively through step-by-step content linking and content and function linking according to a learner's learning stage. It is to provide foreign language learning system using internet and multimedia for learning.

언어는 크게 내용어(Content Word)와 기능어(Function Word)로 나눌 수 있는데, 내용어(Content Word)는 언어의 내용을 담는 부분에 해당하는 명사, 동사, 형용사, 부사, 대명사, 감탄사 등을 나타내고 기능어(Function Word)는 내용어와 연결되어 내용어의 의미를 구체화하거나 부가하는 기능을 하는 관사, 전치사, 관계사, 접속사, 조동사등을 나타낸다. Languages can be broadly divided into content words and function words. Content words represent nouns, verbs, adjectives, adverbs, pronouns, and interjections that correspond to parts of the language. Function words refer to articles, prepositions, affiliates, conjunctions, modifiers, and the like that are connected to the content word and function to specify or add the meaning of the content word.

운율적으로 볼때 주로 내용어에 강세가 오고 억양이 올라가며, 기능어에는 강세가 오지 않고 억양이 내려간다. 여기서, 말하기를 점점 능숙하게 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추게 되면 여기에 다양한 변화를 주어 기능어인 전치사에도 강세를 주어 전치사 자체의 내용을 강조하여 내용어화 시킬 수 있고 내용어도 해당 문장에서 중요하지 않고 통상적인 단어인 경우에는 강세를 주지 않아 내용 자체보다는 다른 단어를 도와주는 기능적 측면을 강조하여 기능어화하는 등 자유자재로 활용을 할 수 있게 된다.Rhythmically, accents and content accents are mainly increased in content words, and accents are not accentuated in functional words. Here, if you have the ability to speak more and more proficiently, you can give a variety of changes to the preposition, which is a functional word, to emphasize the content of the preposition itself, and to make it into content. In this case, it is possible to use it freely by emphasizing the functional aspects that help other words rather than the content itself by not stressing them.

외국어 말하기 능력이 중시되는 사회적 요구에 따라 인터넷과 멀티미디어를 활용한 외국어 말하기 학습프로그램이 많이 보급되고 있다. 그러나, 대부분의 프로그램들은 기존의 말하기 학습 방법을 그대로 멀티미디어로 옮겨놓은 것으로 내용어와 기능어를 구분하여 이를 체계적으로 연결하는 방법은 사용하고 있지 않다.In accordance with the social demands of the ability to speak foreign languages, foreign language speaking learning programs using the Internet and multimedia are widely used. However, most programs replace existing speech learning methods with multimedia, and do not use a method of systematically connecting content words and functional words.

기존의 외국어 말하기 학습 방법의 특징으로는 첫째, 내용어와 기능어를 모두 포함한 완전한 문장을 운율까지 살려서 전체 문장단위로 연습하거나 의미단위로 나누어 연습하여 이를 연결해 나가는 것과 둘째, 암기한 어휘와 표현을 문법적인 지식으로 결합하는 것과 셋째, 듣고 따라서 반복하기, 역할활동을 통해 정해진 대화를 연습하기, 모국어로 음성을 듣거나 텍스트를 읽고 외국어로 번역하여 말하기, 학습자에게 특정 상황을 부여하여 학습자는 무조건 외국어로 의사소통을 시도하여 시행착오를 통해 배우기와 넷째, 외국어 생각체계로 생각의 틀을 바꾸는 것을 강조하는 기존의 방법들은 외국어 생각체계를 외국어 어순과 동일하게 생각하여 어순 익히기에 중점을 두는 것과 다섯째, 모국어의 습득순서와 단계를 고려하지 않고 외국어 언어습득을 위한 단계를 어휘와 내용의 난이도로 구분하고 있으며 여섯째, 언어습득이 완료된 사람들이 하는 의사소통 중심의 대화위주로 외국어 말하기 연습이 진행되어 학습자와 상대자가 동일한 입장에서 자신의 의사를 말하는 것으로 구성되어 있다.The characteristics of the existing method of learning a foreign language are as follows. First, practice by using the complete sentence including both the content word and the functional word to rhyme and practice by the whole sentence unit or by dividing it by the semantic unit. Combining with knowledge and third, listening and repeating, rehearsing conversations through role activities, listening to voices in native language, reading texts and translating into foreign languages, giving learners specific situations by unconditionally Fourth, the existing methods of emphasizing learning through trial and error and changing the framework of thinking into foreign language thinking systems focus on learning foreign language thinking systems in the same way as foreign language ordering. Learn a foreign language without considering acquisition order and steps Identify the steps to a difficulty of vocabulary and content, which is a foreign language speaking practice focuses on communicative dialogue center for the people Sixth, language acquisition is completed there is a learner and partner consists in telling his doctor in the same position.

상기와 같은 기존의 외국어 말하기 학습 방법은 언어 습득에서 가장 효과적인 방법으로 알려진 어린 아이들이 모국어를 습득하는 방법과는 크게 다른 것이다. 즉, 모국어를 습득하는 어린 아이는 다른 사람의 말을 무조건 흉내내어 긴 문장을 그대로 따라서 말하지 않고 철저하게 단계적으로 모국어를 습득하게 된다. 처음에는 운율 중심으로 듣고 운율을 습득하고 다음으로 음성의 소리와 의미를 연결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추어 모국어를 듣고 이해하는 능력을 갖춘 후에 본격적인 말하기를 할 수 있는 것이다. 예를 들어 건물을 짓는 것에 비교하여 설명하자면, 처음에는 운율중심의 듣기를 통해 건물의 거푸집에 해당하는 모국어의 운율을 습득하고 다음으로 건물의 뼈대에 해당하는 모국어의 소리와 의미를 연결시킬 수 있는 능력을 키운 후에 본격적인 말하기 단계인 단어를 연결하여 말하기를 시작하는 것이다.The existing method of learning a foreign language as described above is very different from the method of acquiring a mother tongue by young children known as the most effective method in language acquisition. In other words, a young child who acquires his or her native language unconditionally mimics someone else's words and learns his or her native language step by step, rather than following a long sentence. At first, you have the ability to listen to and understand rhymes, and then to acquire the rhymes, and then to hear and understand your native language. For example, compared to building a building, you can first learn the rhyme of the native language corresponding to the formwork of the building by listening to the rhythm-centered listening, and then connect the sounds and meanings of the native language corresponding to the skeleton of the building. After developing their skills, they begin to speak by connecting words, which are the steps of speaking.

평균적으로 생후 18개월부터 시작되는 단어 연결을 통한 본격적인 말하기 단계를 통해 아이들은 생각체계와 말을 일치시켜 나간다. 그런데 생각체계와 말을 일치시켜 나가는 과정도 돌보는 사람들의 말을 무조건 따라하는 것이 아니라 철저하게 단계적으로 처음에는 두 단어를 연결하는 단계(이어기)를 거쳐 세 단어를 연결하는 단계(삼어기)로 진행하고 그 다음으로 네 단어 이상을 연결하는 단계(다어기)로 발전해 나간다. 이렇게 단어를 연결하여 생각체계와 말을 일치시켜 나가는 과정에서 가장 필요한 것이 내용을 담고 있는 내용어이다. 복잡한 기능을 하는 기능어는 관심을 분산시키기 때문에 기능어는 빼고 내용어 단어를 중심으로 연결하게 된 다. 그리고 동사나 명사의 변형을 최소화하고 원형 위주로 사용한다. 따라서, 이 시기의 아이들은 강세가 오지 않는 기능어가 빠진 강세가 오는 내용어 중심의 말을 연결하기 때문에 말의 운율적 특징이 나타나지 않고 주요 내용어들을 단순히 연결하는 전보식 말을 하게 되고 이를 통해 어휘를 빠르게 습득하는 어휘폭발현상이 나타난다.On average, children match their thoughts and words through a full-scale speaking phase through word-linking beginning at 18 months of age. However, the process of matching the thought system with the words does not unconditionally follow the words of the caring people, but thoroughly steps first to connect two words (following) and then to connect three words (swallowing). Proceed to the next step, followed by four or more words. In this process of connecting words and matching thought system and words, the most necessary content is content words. Function words that perform complex functions distract attention, so the function words are subtracted from the function words. Minimize the transformation of verbs and nouns, and use them in a circular form. Therefore, the children of this period are connected to the content-centered words that are stressed and the functional words that are not stressed. Therefore, the rhythm characteristic of the words does not appear and the telegrams are simply connected to the main content words. The vocabulary explosion that is acquired quickly appears.

말에서 주요내용을 담고 있는 내용어의 연결은 생각의 흐름과 일치한다. 즉, 영어를 예를 들면, "People love to bring their dogs to the park."를 말할 때 내용어인 "People, love, bring, dog, park"위주로 생각의 흐름이 이루어지고 생각을 반영하는 이러한 단어에 강세를 주어 발음하면서 기능어인 "to, their, to the"는 강세가 오지 않는 연결어로서 역할을 한다.The linkage of content words containing the main content in a word is consistent with the flow of ideas. That is, in English, for example, when people say "People love to bring their dogs to the park.", The flow of thought is made around the words "People, love, bring, dog, park." While accentuated and pronounced, the functional words "to, their, to the" act as unconnected accents.

이때, 모국어를 습득 중인 아이를 돌보는 사람들은 자신의 의사를 아이에게 이해시키는 단순한 의사소통 중심의 대화를 하는 것이 아니라, 아이가 시도하는 내용어 연결 표현을 중심으로 정확한 표준 제시와 강화, 확장을 위한 관련된 말을 해주어 아이의 표현이 틀린 경우는 스스로 표준에 맞추어 수정할 수 있고 틀리지 않은 경우에도 시도한 표현을 강화하여 숙달하고 다음단계까지 확장된 말을 반복하여 들으면서 다음단계로 발전할 수 있는 준비를 하게 된다. 즉, 아이가 주도적으로 자신의 말을 발전시켜 나갈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하고 이끌어 주는 것이다.At this time, people who care for children who are acquiring native languages do not simply communicate with each other to understand their intentions. If the child's expression is wrong by saying related words, he or she can correct it to the standard, and if he is not wrong, he will be prepared to reinforce the mastered expression and to progress to the next level by listening to the words extended to the next level. . In other words, it provides and leads an environment where children can develop their own words.

이렇게 여러 내용어 단어를 연결하여 말을 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추어지면 이미 습득한 언어의 운율단위와 의미단위의 상호보완적 연결 능력을 활용하여 기능어 활용과 유창하게 연결된 말을 쉽게 습득할 수 있게 된다. 언어의 기본 운율은 강에 서 약이거나 강에서 약 그리고 약에서 약으로 구성된 운율적 구성은 쉽게 연결되고, 약에서 강의 구조는 자연스러운 연결이 어렵다. 그래서, 기본운율구조를 여기에서 운율단위라고 부른다. 의미단위는 의미가 형성되는 단위로 최소단위인 단어에서 구,절로 확장되어 간다. 영어에서 "noon"은 정오의 뜻으로 한 단어지만 "after noon"도 하나의 구로서 전치사+명사의 구조를 가진 구이다. 이러한 구도 자주 쓰면 한 단어가 되어 "afternoon"으로 된다. 이를 더 확장하면 " in the afternoon"도 하나의 의미단위로서의 구이다. 유창하게 연결된 말을 구사하기 위한 운율단위와 의미단위의 상호 보완적 연결작용을 영어로 예를 들자면, " I want to play with John this weekend."에서 의미단위로는 " I want ", " to play ", " with John ", " this weekend."로 나누어지고 각 단위 안에서는 하나의 의미로 자연스럽게 연결이 된다. 하지만 운율단위에서는 "강약"으로 구성된 " want to ", " play with ", " John this ", " weekend "로 나누어진다. 이렇게 운율단위와 의미단위가 엇박자로 나누어지기 때문에 의미단위의 단절부분은 운율단위로 연결이 되고, 운율단위의 단절부분은 의미단위로 연결이 되는 것이다. 위의 예에서 " want와If you have the ability to speak words by connecting various content words, you will be able to easily learn the words linked with the use of functional words by utilizing the complementary linking ability of the rhyme unit and semantic unit of the already acquired language. . The basic rhythm of language is weakness in the river or rhyme composition consisting of weakness in the river and weakness in the weakness, and the structure of the weakness in the weakness is difficult. Thus, the basic rhyme structure is called a rhyme unit here. A semantic unit is a unit in which meanings are formed, and extends from the minimum word to phrases and clauses. In English, "noon" is a word meaning noon, but "after noon" is a phrase with the structure of preposition + noun. If you use this phrase often, it becomes a word and becomes "afternoon." To further expand this, "in the afternoon" is also a phrase as a semantic unit. In English, for example, the complementary linkage between rhyme and semantic units for the use of fluent words is "I want", "to play in" I want to play with John this weekend. " It is divided into "," with John "and" this weekend. " However, the rhyme unit is divided into "want to", "play with", "John this", and "weekend" consisting of "weak". Thus, since the rhyme unit and the semantic unit are divided into rhythms, the disconnection part of the semantic unit is connected to the rhyme unit, and the disconnection part of the rhyme unit is connected to the semantic unit. In the example above,

to ", " play와 with ", " John과 this "는 의미단위에서는 단절이 되지만 운율단위를 통하여 연결을 할 수 있고 " I와 want ", " to와 play ". " with와 John ", " this와 weekend "는 운율단위에서는 단절이 되지만 의미단위를 통하여 연결을 할 수 있는 것이다.to "," play and with "," John and this "are disconnected in the semantic unit, but can be connected through the rhyme unit, and" I and want "," to and play "." with and John "," this And weekend are disconnected in the rhyme unit but can be connected through the semantic unit.

기능어 습득도 운율단위와 의미단위를 통해서 자연스럽게 이루어진다. 즉, 위의 예에서 강세가 오는 단어는 " want, play, John, weekend "등의 내용어이고 이것은 내용어 연결을 통해 습득하게 된다. 이를 연결해주는 기능어는 " to, with, this "등이고 여기에는 강세가 오지 않는다. 강세가 오지 않는 기능어는 강세가 오는 내용어와의 연결을 통해서 습득이 되는 것이다. 여기에서도 운율단위와 의미단위의 상호보완적 연결작용의 도움과 퍼즐 맞추기에서 특징이 잘 드러나는 주요조각을 먼저 맞추고 나면 나중에 특징이 별로 없는 사소한 조각도 쉽게 맞출 수 있게 되는 것과 같은 원리에 의해 쉽개 기능어를 익히게 되는 것이다.The acquisition of functional words is naturally achieved through rhyme and semantic units. In other words, the words that are accented in the above example are content words such as "want, play, John, weekend", etc., which are acquired through content linking. The functional words that link them up are "to, with, this", and so on. Functional words that do not come stressed are acquired through connection with accented content words. Here too, it is easy to learn functional words by the same principle that the complementary linking between the rhyme unit and the semantic unit and the main pieces that are well-characterized in the puzzle matching can be easily matched later. Will be.

위에서 설명한 모국어 말하기 습득과정과 비교해 볼때 기존의 외국어 말하기 학습 방법은 다음과 같은 문제를 가지고 있다. 첫째, 외국어의 운율과 소리와 의미를 연결시키는 능력을 습득하지 않고 곧바로 말하기를 연습한다.Compared with the native language speaking acquisition process described above, the existing foreign language learning method has the following problems. First, they practice speaking immediately without acquiring the ability to connect rhymes, sounds, and meanings in foreign languages.

둘째, 말하기 연습도 처음부터 내용어와 기능어가 모두 갖추어지고 동사와 명사의 변화와 운율까지도 모두 살려서 연습함으로써 세부적이고 중요하지 않은 주변적인 것에 관심이 분산되어 말하기에 필요한 내용어 중심의 외국어 생각체계가 형성되지 않는다. 셋째, 모국어 습득의 단계를 적용하지 않고 내용, 문법, 어휘의 난이도로 단계를 구분한다. 넷째, 대화의 내용이 의사소통 중심으로 구성되어 이미 정해진 말을 피동적으로 따라해야 하기 때문에 학습자가 관심을 가지고 시도하고 있는 표현을 중심으로 학습자의 언어발달을 이끌어 줄 관련된 말을 학습자에게 충분히 제공해 주지 못하여 학습자가 능등적으로 외국어 언어발달을 할 수 있는 환경이 조성되지 않는다. 다섯째, 외국어 말하기에서 무조건적인 따라서 반복하기와 문법적인 지식으로는 복잡한 기능어 활용을 익히기가 어렵다.Second, the practice of speaking is equipped with both content and functional words from the beginning, and the practice of verbal and noun changes and rhythms makes it possible to diversify attention to the details and non-trivial surroundings, forming a foreign-language-oriented foreign language system necessary for speaking. It doesn't work. Third, the level of content, grammar, and vocabulary is divided without applying the level of mother tongue acquisition. Fourth, since the contents of the conversation are organized around communication and must follow passive words accordingly, it is not possible to provide the learners with enough related words to lead the learners' language development centering on the expressions that the learners are interested in and attempt to do. There is no environment in which learners can proficiency develop foreign languages. Fifth, it is difficult to learn to use complex functional words with unconditional repetition and grammatical knowledge in foreign language speaking.

본 발명은 단계별 내용어 연결과 내용어와 기능어 연결을 활용한 외국어 학습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학습자의 학습단계에 따라서 단계별 내용어 연결과 내용어와 기능어 연결을 통해 언어 말하기를 효과적으로 학습할 수 있도록 인터넷과 멀티미디어를 이용하여 외국어 학습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oreign language learning system and method using step-by-step content linking and content word and functional word linking, and more specifically, to speak a language effectively through step-by-step content linking and content and function linking according to a learner's learning stage. It is to provide foreign language learning system using internet and multimedia for learning.

본 발명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이를 실현하기 위하여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conventional problems, to realize this

내용어연결학습과 내용어와기능어연결학습에 관한 학습자료를 저장하는 학습자료데이터부와,A learning material data section for storing learning materials related to content-language learning and content-language and functional word-linked learning;

학습자의 응답과 표준음성데이터 또는 운율/의미단위데이터를 음성인식으로 비교하여 정확성을 판정하는 음성인식비교부와,Speech recognition comparison unit for determining the accuracy by comparing the learner's response and standard speech data or rhyme / meaning unit data with speech recognition,

학습자의 데이터를 저장하는 회원정보데이터부와,Member information data section for storing the learner's data,

학습자로부터 입력된 정보가 회원정보데이터인지 오디오 데이터인지 구분하여 저장하는 수신데이터저장부와,A reception data storage unit for storing whether the information input from the learner is member information data or audio data, and storing the classified information;

상기 수신데이터저장부에 기록된 회원정보데이터에 기초하여 학습자료데이터부에서 소정의 학습순서에 따라 질문데이터, 내용어데이터, 추가설명데이터, 표준음성데이터, 운율/의미단위 데이터등을 네트워크망을 통해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송신제어부를 포함하여 네트워크망을 통해 전송시키는 정보제공자장치와;On the basis of the member information data recorded in the receiving data storage unit, the learning data data unit stores question data, content word data, additional explanation data, standard voice data, rhyme / meaning unit data, etc.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learning order. An information provider device including a transmission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ransmission through the network;

상기 정보제공자장치에서 출력한 학습자료데이터부의 자료를 네트워크망을 통해 수신하여 이를 출력시키고 가입자가 입력시킨 음성데이터를 상기 정보제공자 장치로 전송시키는 가입자장치로 구성된다.And a subscriber device which receives the data of the learning data data portion output from the information provider device through a network and outputs it, and transmits voice data input by the subscriber to the information provider device.

내용어 연결 학습을 위해서는 학습자에게 내용어 연결을 위한 질문을 동영상과 음성으로 제공한 후 연결될 내용어 중에 하나를 음성과 그 의미를 보여주는 영상으로 제공하고 학습자의 응답을 음성 인식으로 인식하여 올바른 응답인 경우에는 관련된 추가 설명을 제공해주고 올바른 응답이 아닌 경우에는 구성되는 내용어를 힌트로 한 단어씩 들려주면서 학습자의 올바른 응답을 유도하는 학습단계를 진행시키고 내용어와 기능어 연결 학습을 위해서는 학습자가 내용어와 기능어를 효과적으로 연결할 수 있도록 운율단위와 의미단위를 조합한 구간단위로 동영상과 음성을 제공하여 주고 학습자가 이를 따라서 말하면 음성인식을 통해 발음이 정확한 경우에는 다음 구간단위로 이동시키는 학습단계를 진행시키는 단계별 내용어 연결과 내용어와 기능어 연결을 활용한 외국어 학습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으며, 멀티미디어 학습 데이터와 내용어 연결과 내용어와 기능어 연결 데이터에 의한 학습프로그램을 저장시킨 기록매체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In order to learn content linking, learners provide questions for content linking with video and audio, and then provide one of the content words to be linked as a video showing the voice and its meaning. If it is not the correct response, the learner will proceed to the learning phase to induce the learner's correct response by providing the hints of the content words as a hint. Provides video and voice in the unit of the combination of rhyme unit and semantic unit so as to effectively connect the words. Word connections, content words, and functions To provide a language learning system using the connection and method and its purpose, it is an object to provide a recording medium which stores a learning program according to the multimedia learning data and control information associated with information data connection eel function words.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단계별 내용어 연결과 내용어와 기능어 연결을 활용한 외국어 학습시스템은,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foreign language learning system utilizing the stepwise content word connection and the content word and functional word conn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학습자료데이터부, 음성인식비교부, 회원정보데이터부, 수신데이터저장부, 송신제어부를 포함하는 정보제공자 장치와 정보제공자 장치에서 출력한 학습자료데이터부의 자료를 네트워크를 통해 수신하여 이를 출력시키고 가입자가 입력시킨 음 성데이터를 상기 정보제공자 장치로 전송시키는 가입자 장치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Receive the data from the information provider device including the learning data data unit, voice recognition comparison unit, member information data unit, receiving data storage unit, transmission control unit and the learning data data unit output from the information provider device through the network and output them And the subscriber device for transmitting the input voice data to the information provider device.

각 학습모드별로 구체적으로는, 내용어연결학습모드에서는, Specifically, in the contextual content learning mode,

학습자가 자신의 학습단계에 맞는 내용어 연결을 하도록 상황설정과 질문으로 이루어진 질문데이터, 연결 대상 내용어를 한 단어씩 힌트로 제공하도록 대상 단어별로 음성과 그 의미를 보여주는 영상으로 구성된 내용어데이터, 음성인식을 위한 표준음성데이터, 학습자의 응답 후에 올바른 표준제공, 강화, 확장을 위한 추가적인 설명으로 구성된 추가설명데이터로 구성된 학습자료데이터부와; Questionnaire data consisting of situation setting and questions to connect learners according to their learning level, content word data consisting of video showing voice and its meaning for each word to provide the target word for each word with a hint, A learning material data unit comprising standard descriptive data for speech recognition and additional descriptive data consisting of additional descriptions for reinforcing and extending the correct standard after the learner's response;

학습자의 응답과 표준음성데이터또는 운율/의미단위데이터를 음성인식으로 비교하여 정확성을 판정하는 음성인식비교부와; A speech recognition comparison unit for determining accuracy by comparing a learner's response with standard speech data or rhyme / meaning unit data by speech recognition;

학습자의 데이터를 저장하는 회원정보데이터부와; A member information data unit for storing learner data;

학습자로부터 입력된 정보가 회원정보데이터인지 오디오데이터인지 구분하여 저장하는 수신데이터저장부와;A reception data storage unit for classifying and storing information input from the learner as member information data or audio data;

회원정보데이터에 기초하여 학습자료데이터부에서 소정의 학습순서에 따라 질문데이터, 내용어데이터, 추가설명데이터를 네트워크를 통해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송신제어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transmission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transmission of the question data, the content data, the additional description data in accordance with a predetermined learning sequence in the learning data data unit based on the member information data,

내용어와기능어연결학습모드에서는, In content word and functional word connection learning mode,

학습자가 운율단위와 기능단위의 상호보완적 연결작용을 통해 기능어를 익히고, 유창하게 연결된 말을 할 수 있도록 학습하도록 하기 위해 1개의 문장을 운율단위연결과 의미단위연결을 포함하도록 “내용어+기능어+내용어”, “기능어+내용 어”, “내용어+기능어” 형태를 포함하는 단위로 나누어 음성과 동영상 데이터로 저장된 학습자료데이터부와; In order to enable learners to learn functional words through complementary linkage between rhyme units and functional units, and learn to speak fluently linked words, a sentence includes a rhyme unit connection and a semantic unit connection. A learning material data unit divided into units including + content words ”,“ function words + content words ”, and“ content words + function words ”and stored as audio and video data;

학습자의 응답과 음성데이터를 음성인식으로 비교하여 정확성을 판정하는 음성인식부와; A voice recognition unit for determining accuracy by comparing the learner's response with voice data by voice recognition;

학습자로부터 입력된 정보가 회원정보데이터인지 오디오데이터인지 구분하여 저장하는 수신데이터저장부와; A reception data storage unit for classifying and storing information input from the learner as member information data or audio data;

수신데이터저장부에 기록된 회원정보데이터에 기초하여 학습자료데이터부에서 소정의 학습순서에 따라 음성데이터를 네트워크를 통해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송신제어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nd a transmission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o transmit the voice data through the network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learning order in the learning data data unit based on the member information data recorded in the reception data storage unit.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의하면, 단계별 내용어 연결과 내용어와 기능어 연결을 활용한 외국어 학습 방법은,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foreign language learning method utilizing the step-by-step content word connection and content word and functional word connection,

저장된 학습자료가 저장된 기억매체로부터 데이터를 추출하여 학습자의 터미널로 출력시키는 방법에 있어서, In the method of extracting the data from the storage medium in which the stored learning data is stored and output to the learner's terminal

회원정보데이터에 의해 내용어연결학습모드 또는 내용어와기능어연결학습모드를 진행할 것인지를 선택하는 단계와;Selecting whether to proceed with the content word connecting learning mode or the content word and functional word connecting learning mode based on the member information data;

내용어연결학습모드가 선택된 경우에,If the content linking learning mode is selected,

회원정보데이터에 의해서 학습자가 두 단어 연결 학습, 세 단어 연결 학습, 네 단어 이상 연결 학습 중 어디에 속하는지와 이전 학습 진도를 고려하여 학습내용을 결정하는 단계와; Determining, based on the member information data, the learner by considering whether the learner belongs to a two-word connection learning, a three-word connection learning, a four-word connection learning, or a previous learning progress;

이에 따라, 학습자가 자신의 학습단계에 맞는 내용어 연결을 하도록 상황설 정과 질문으로 이루어진 질문데이터를 출력하는 단계와; Accordingly, the step of outputting the question data consisting of the situation setting and the question so that the learner connects the content words corresponding to the learning stage;

연결 대상 내용어 중 한 단어를 음성으로 출력함으로써 학습자에게 연결의 기준단어를 힌트로 제공하고 이후 반복 연습 시에는 다른 대상 내용어를 제공하며 대상 내용어 모두를 힌트로 사용하여 학습한 후에는 대상 내용어로 힌트를 제공하는 단계 없이 학습자 응답으로 이어지도록 구성하는 단계와; Provides the learner with the reference word of the connection as a hint by outputting one word of the target content as a voice, and provides the other target content word in a subsequent repetition exercise, and after learning by using all the target content word as a hint. Configuring to lead to a learner response without providing hints;

학습자가 응답하면 이를 음성인식으로 평가하는 단계와; Evaluating if the learner responds with speech recognition;

올바른 응답인 경우는 올바른 표준제공, 강화, 확장을 위한 추가적인 설명으로 구성된 추가설명데이터를 출력하는 단계와; In case of a correct response, outputting additional explanatory data consisting of additional explanations for providing a correct standard, reinforcing, and expanding;

올바르지 않은 응답인 경우는 학습자에게 도움을 주기 위해 내용어데이터에 저장된 내용어 단어를 학습자의 한번 시도마다 한 단어씩 순서대로 음성과 영상으로 출력하여 학습자의 올바른 응답을 유도하여 추가설명데이터 출력으로 연결시켜 학습할 수 있도록 제어하는 단계로 구성되고,In case of an incorrect response, the content words stored in the content data are output as voice and video in order one word per learner's attempt in order to help the learner. To control the learning so that

내용어와기능어연결학습모드가 선택된 경우에,When the content word and functional word link learning mode is selected,

회원정보데이터에 의해 학습자의 이전 학습 진도를 고려하여 학습내용을 결정하는 단계와; Determining learning contents by considering the learner's previous learning progress based on the member information data;

이에 따라 학습자료데이터부에서 1개의 문장을 “내용어+기능어+내용어”, “기능어+내용어”, “내용어+기능어” 형태를 포함하는 단위로 나누어진 운율/의미단위데이터를 문장의 앞에서부터 출력하는 단계와; Accordingly, the rhyme / meaning unit data divided into units including one sentence in the form of “content + functional word + content word”, “functional word + content word”, and “content word + functional word” in the learning data data part is included. Outputting from the front;

학습자가 따라서 발음하여 입력하면 이를 음성인식으로 평가하여 정확한 발음이면 다음 단위로 이동하여 반복하는 단계와; If the learner accordingly pronounced and inputted, it is evaluated by voice recognition, and if the correct pronunciation is moved to the next unit and repeated;

부정확한 발음이면 같은 단위를 반복하여 학습할 수 있도록 제어하는 단계와; If the pronunciation is incorrect, controlling to learn the same unit repeatedly;

위의 운율/의미단위데이터를 누적반복식으로 진행하는 단계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above rhyme / meaning unit data is characterized by consisting of a step of proceeding cumulative repetition.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According to another feature of the invention, the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that recorded the program,

저장된 학습자료가 저장된 기억매체로부터 데이터를 추출하여 학습자의 터미널로 통해 수행되는 내용어 연결과 내용어와 기능어 연결을 이용한 외국어 말하기 학습 프로그램을 기록하는 매체에 있어서, A medium for recording a foreign language speaking learning program using content content connection and content word and functional word connection, which is performed through a terminal of a learner by extracting data from a storage medium storing stored learning data,

내용어연결학습모드에서는, In content word connection learning mode,

회원정보데이터에 의해서 학습자가 두 단어 연결 학습, 세 단어 연결 학습, 네 단어 이상 연결 학습 중 어디에 속하는지와 이전 학습 진도를 고려하여 학습내용을 결정하는 단계와; Determining, based on the member information data, the learner by considering whether the learner belongs to a two-word connection learning, a three-word connection learning, a four-word connection learning, or a previous learning progress;

학습자료데이터가 저장된 기억매체로부터 데이터를 추출하는 단계와; Extracting data from a storage medium storing learning material data;

학습자가 자신의 학습단계에 맞는 내용어 연결을 하도록 상황설정과 질문으로 이루어진 질문데이터를 출력하는 단계와; Outputting question data consisting of a situation setting and a question so that the learner connects the content word corresponding to the learning level thereof;

연결 대상 내용어 중 한 단어를 음성으로 출력함으로써 학습자에게 연결의 기준단어를 힌트로 제공하고 이후 반복 연습 시에는 다른 대상 내용어를 제공하며 대상 내용어 모두를 힌트로 사용하여 학습한 후에는 대상 내용어로 힌트를 제공하는 단계 없이 학습자 응답으로 이어지도록 구성하는 단계와; Provides the learner with the reference word of the connection as a hint by outputting one word of the target content as a voice, and provides the other target content word in a subsequent repetition exercise, and after learning by using all the target content word as a hint. Configuring to lead to a learner response without providing hints;

학습자가 응답하면 이를 음성인식으로 평가하는 단계와; Evaluating if the learner responds with speech recognition;

올바른 응답인 경우에는,If the response is correct,

올바른 표준제공, 강화, 확장을 위한 추가적인 설명으로 구성된 추가설명데이터를 출력하는 단계와; Outputting additional descriptive data comprising additional descriptions for providing correct standards, reinforcing, and expanding the standard;

올바르지 않은 응답인 경우에는,If the response is incorrect,

학습자에게 도움을 주기 위해 내용어데이터에 저장된 내용어 단어를 학습자의 한번 시도마다 한 단어씩 순서대로 음성과 영상으로 출력하여 추가설명데이터 출력으로 연결하는 단계를 실행시키는 프로그램과,A program for executing the step of outputting the content word stored in the content data in order to assist the learner by outputting voice and video in order one word per learner's attempt, and connecting to additional description data output;

내용어와기능어연결학습모드에서는, In content word and functional word connection learning mode,

회원정보데이터에 의해 학습자의 이전 학습 진도를 고려하여 학습내용을 결정하는 단계와; Determining learning contents by considering the learner's previous learning progress based on the member information data;

학습자료데이터부에서 1개의 문장을 “내용어+기능어+내용어”, “기능어+내용어”, “내용어+기능어” 형태를 포함하는 단위로 나누어진 음성데이터를 문장의 앞에서부터 출력하는 단계와; The step of outputting the speech data divided into units including one sentence “content word + function word + content word”, “function word + content word”, and “content word + function word” in the learning data data section from the front of the sentence. Wow;

학습자가 따라서 발음하여 입력하면 이를 음성인식으로 평가하는 단계와; If the learner pronounces and inputs the voice recognition method, the voice recognition method;

정확한 발음이면 다음 단위로 이동하여 반복하고, 부정확한 발음이면 같은 단위를 반복하도록 하는 단계와; Moving to the next unit if the correct pronunciation is repeated and repeating the same unit if the pronunciation is incorrect;

상기의 음성데이터를 누적반복식으로 실행시키는 프로그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nd a program for executing the above voice data cumulatively and repeatedly.

이하, 도 1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1 to 9.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정보제공자장치에 의해 학습과정이 제어되는 흐름을 나타낸 것이다. 1 and 2 illustrate a flow of a learning process controlled by an information provider device.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단계별 내용어 연결과 내용어와 기능어 연결을 활용한 외국어 학습시스템에서 정보제공자장치의 구성을 상세히 나타낸 구성도이다. 1 is a block diagram showing in detail the configuration of the information provider device in the foreign language learning system using the step-by-step content word connection and content word and functional word conne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먼저, 도면을 참조하여 학습자료데이터부(110)를 상세히 설명한다. First, the learning data data unit 110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상기 학습자료데이터부(110)는 소정의 학습프로그램에 따라 내용어연결학습과 내용어와기능어연결학습에 활용되는 음성과 영상데이터를 저장하는 학습자료데이터베이스(111)와;The learning material data unit 110 includes a learning material database 111 for storing voice and image data used for content word connection learning and content word and functional word connection learning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learning program;

학습관련 데이터를 저장시키는 버퍼와;A buffer for storing learning related data;

학습자료 추출제어신호에 따라 학습자료데이터베이스(111)로부터 해당되는 학습자료를 추출하고 데이터를 구분하여 상기 버퍼에 저장시키는 학습자료추출제어부(112)로 구성된다.The learning data extraction control unit 112 extracts the corresponding learning material from the learning material database 111 according to the learning data extraction control signal and stores the data in the buffer.

좀 더 상세히 설명하자면, 모든 학습자료는 학습자료데이터베이스(111)에 저장된다. 이와 같은 학습자료데이터베이스(111)에 저장된 학습자료는 학습자료추출제어부(112)의 제어에 따라 추출된 후, 각각의 컨텐츠별로 버퍼에 저장된다. 즉, 학습자료데이터베이스(111)로부터의 표준음성데이터는 표준음성데이터버퍼(113)에, 운율/의미단위데이터는 운율/의미단위데이터버퍼(114)에, 질문데이터는 질문데이터버퍼(115)에, 내용어데이터는 내용어데이터버퍼(116)에, 추가설명데이터는 추가설명데이터버퍼(117)에 각각 저장된다. In more detail, all the learning material is stored in the learning material database 111. The learning material stored in the learning material database 111 is extracted under the control of the learning material extraction control unit 112 and then stored in a buffer for each content. That is, the standard voice data from the learning material database 111 is in the standard voice data buffer 113, the rhyme / meaning unit data is in the rhyme / meaning unit data buffer 114, and the question data is in the question data buffer 115. , The content word data is stored in the content word data buffer 116, and the additional description data is stored in the additional description data buffer 117.

각 데이터의 구성과 내용에 대한 예는 도 5a, 도5b와 도7a, 도 7b에서 설명을 하도록 한다. An example of the configuration and contents of each data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5A, 5B, 7A, and 7B.

상기 학습자료추출제어부(112)는 송신제어부(130)으로부터의 제어신호에 따라 추출되는 학습자료를 선택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학습자료데이터부(110)의 운율/의미단위데이터버퍼(114)와 질문데이터버퍼(115)와 내용어데이터버퍼(116)와 추가설명데이터버퍼(117)에 저장된 데이터는 송신제어부(130)에 입력되어 네트워크인터페이스(160)을 통해 인터넷(170)으로 송신된다.The learning data extraction control unit 112 selects the learning data extracted according to the control signal from the transmission control unit 130. As described above, the data stored in the rhyme / meaning unit data buffer 114, the question data buffer 115, the content word data buffer 116, and the additional description data buffer 117 of the learning material data unit 110 is transmitted to the transmission control unit ( 130 is transmitted to the Internet 170 through the network interface 160.

한편, 인터넷(170)으로부터 수신되는 데이터는 네트워크인터페이스(160)를 통해 수신제어부(152)로 입력된다. 그러면, 수신제어부(152)는 수신된 데이터가 회원정보를 나타내는 경우에는 회원인식부(142)로 출력시키고, 오디오 데이터인 경우에는 수신오디오버퍼(151)로 출력시킨다. On the other hand, the data received from the Internet 170 is input to the reception control unit 152 through the network interface 160. Then, the reception control unit 152 outputs the received data to the member recognition unit 142 if the received data indicates member information, and outputs the received audio overper 151 to audio reception data.

회원인식부(142)는 회원데이터베이스(141)에 저장된 회원정보와 수신제어부(152)로부터의 회원정보를 비교하여 회원을 인식하게 된다. The member recognition unit 142 recognizes the member by comparing the member information stored in the member database 141 with the member information from the reception control unit 152.

그리고 음성인식비교부(120)의 비교부(121)는 내용어연결학습모드에서는 표준음성데이터버퍼(113)로부터의 표준음성데이터와 수신오디오버퍼(151)로부터 음성인식를 통해 입력된 가입자의 오디오 데이터를 비교하고, 내용어와기능어연결학습모드에서는 운율/의미단위데이터버퍼(114)로부터의 운율/의미단위데이터와 수신오디오버퍼(151)로부터 음성인식를 통해 입력된 가입자의 오디오데이터를 비교하여 가입자의 발음이 정확한지를 판단하여 송신제어부(130)로 출력한다. In addition, the comparison unit 121 of the speech recognition unit 120 compares the standard voice data from the standard voice data buffer 113 and the audio data of the subscriber input through the voice recognition from the reception audio overloader 151 in the content connection learning mode. In the content word and functional word connection learning mode, the rhyme / meaning unit data from the rhyme / meaning unit data buffer 114 is compared with the audio data of the subscriber input through the voice recognition from the reception audio overper 151 and the pronunciation of the subscriber. It is determined whether this is correct and output to the transmission control unit 130.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단계별 내용어 연결과 내용어와 기능어 연결을 활용한 외국어 학습시스템에서 가입자장치의 구성을 상세히 나타낸 구성도이다. 2 is a block diagram showing in detail the configuration of the subscriber device in the foreign language learning system using the step-by-step content word connection and content word and functional word conne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정보제공자로부터의 데이터는 네트워크인터페이스(160)을 통해 수신제어부(220)에 수신된다. 그러면 수신제어부(220)는 수신된 데이터를 각각 구분하여 운율/의미단위데이터는 운율/의미단위데이터버터(241)에, 질문데이터는 질문데이터버퍼(242)에, 내용어데이터는 내용어데이터버퍼(243)에, 추가설명데이터는 추가설명데이터버퍼(244)에 각각 저장시킨다. 이렇게 저장된 데이터들은 출력제어부(250)의 제어에 따라 비디오카드(260)와 사운드카드(270)를 통해 디스플레이 모니터와 스피커로 출력된다.Data from the information provider is received by the reception controller 220 through the network interface 160. Then, the reception controller 220 classifies the received data, and the rhyme / meaning unit data is the rhyme / meaning unit data butter 241, the question data is the question data buffer 242, and the content word data is the content word data buffer. At 243, the additional description data is stored in the additional description data buffer 244, respectively. The stored data are output to the display monitor and the speaker through the video card 260 and the sound card 270 under the control of the output controller 250.

한편, 가입자로부터의 음성신호는 마이크(280)를 통해 사운드카드(270)로 입력된다. 이렇게 사운드카드(270)로 입력된 음성신호는 오디오데이터로 변환된 후, 송신제어부(230)의 제어에 따라 네트워크인터페이스(160)과 인터넷(170)을 통해 상기 정보제공자장치로 수신된다.On the other hand, the voice signal from the subscriber is input to the sound card 270 through the microphone 280. The voice signal input to the sound card 270 is converted into audio data and then received by the information provider device through the network interface 160 and the Internet 170 under the control of the transmission controller 230.

상기 도1 및 도2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인터넷을 통해 정보제공자장치와 가입자장치간에 학습자료를 전송하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정보제공자장치로부터 제공되는 학습자료를 이동식 저장장치(예컨대 CD, DVD 등)에 저장시켜 가입자 장치에 일괄적으로 제공한 후 실행하여도 된다. 이때 상기 가입자장치는 이동식저장장치를 구동할 수 있는 다양한 형태와 기능을 갖춘 기기로 구성할 수 있다. 또한 학습자는 가입자장치를 통해 정보제공자로부터 학습자료를 일괄적으로 다운로드한 후 실행시켜 학습할 수 있다. 1 and 2 illustrate an example of transferring learning materials between an information provider device and a subscriber device through the Internet. However, the learning materials provided from the information provider device may be transferred to a portable storage device (eg, CD, DVD). Etc.) may be stored in the subscriber device and executed in a batch. In this case, the subscriber device may be configured as a device having various forms and functions capable of driving a mobile storage device. In addition, the learner can download the learning materials from the information provider through the subscriber device in a batch and run them to learn.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계별 내용어 연결과 내용어와 기능어 연결을 활용한 외국어 학습시스템은 온라인 및 오프라인으로 교육이 가능하다.Therefore, the foreign language learning system utilizing the stepwise content word connection and the content word and functional word conne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educated online and offline.

도 3 및 도 4에 나타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가입자장치에 의해 학습과정이 제어되는 예를 나타낸 것이다. 3 and 4 show an example in which a learning process is controlled by a subscriber device.

먼저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단계별 내용어 연결과 내용어와 기능어 연결을 활용한 외국어 학습시스템에서 정보제공자장치의 구성을 상세히 나타낸 구성도이다. First, FIG. 3 is a block diagram showing in detail the configuration of an information provider device in a foreign language learning system using stepwise content word connection and content word and functional word connection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을 참조하여 학습자료데이터부(310)을 상세히 설명한다. 모든 학습자료는 학습자료데이터베이스(311)에 저장된다. 이와 같은 학습자료데이터베이스(311)에 저장된 학습자료는 학습자료추출제어부(312)의 제어에 따라 추출된 후, 각각의 컨텐츠별로 버퍼에 저장된다. The learning material data unit 310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All the learning material is stored in the learning material database (311). The learning material stored in the learning material database 311 is extracted under the control of the learning material extraction control unit 312, and then stored in a buffer for each content.

즉, 학습자료데이터베이스(311)로부터의 표준음성데이터는 표준음성데이터버퍼(313)에, 운율/의미단위데이터는 운율/의미단위데이터버퍼(314)에, 질문데이터는 질문데이터버퍼(315)에, 내용어데이터는 내용어데이터버퍼(316)에, 추가설명데이터는 추가설명데이터버퍼(317)에 각각 저장된다. That is, the standard voice data from the learning material database 311 is in the standard voice data buffer 313, the rhyme / meaning unit data in the rhyme / meaning unit data buffer 314, and the question data in the question data buffer 315. , The content word data is stored in the content word data buffer 316, and the additional description data is stored in the additional description data buffer 317.

상기 학습자료추출제어부(312)는 송신제어부(320)으로부터의 제어신호에 따라 추출되는 학습자료를 선택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학습자료데이터부(310)의 표준음성데이터버퍼(313), 운율/의미단위데이터버퍼(314), 질문데이터버퍼(315), 내용어데이터버퍼(316), 추가설명데이터버퍼(317)에 저장된 데이터는 송신제어부(320)에 입력되어 네트워크인터페이스(350)을 통해 인터넷(360)으로 송 신된다.The learning data extraction control unit 312 selects the learning material extracted according to the control signal from the transmission control unit 320. As described above, the standard voice data buffer 313 of the learning material data unit 310, the rhyme / meaning unit data buffer 314, the question data buffer 315, the content word buffer 316, the additional explanation data buffer 317 ) Is stored in the transmission control unit 320 is transmitted to the Internet 360 through the network interface 350.

한편, 인터넷(360)으로부터의 데이터는 네트워크인터페이스(350)를 통해 수신제어부(340)로 입력된다. 그러면, 수신제어부(340)는 수신된 데이터가 회원정보를 나타내는 경우에는 회원인식부(332)로 출력시킨다. 회원인식부(332)는 회원데이터베이스(331)에 저장된 회원정보와 수신제어부(340)로부터의 회원정보를 비교하여 회원을 인식하게 된다. On the other hand, data from the Internet 360 is input to the reception control unit 340 through the network interface 350. Then, the reception control unit 340 outputs to the member recognition unit 332 when the received data indicates member information. The member recognition unit 332 recognizes the member by comparing the member information stored in the member database 331 with the member information from the reception control unit 340.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단계별 내용어 연결과 내용어와 기능어 연결을 활용한 외국어 학습시스템에서 가입자장치의 구성을 상세히 나타낸 구성도이다. 4 is a block diagram showing in detail the configuration of the subscriber device in the foreign language learning system using the step-by-step content word connection and content word and functional word conne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정보제공자로부터의 데이터는 네트워크인터페이스(350)을 통해 송수신제어부(420)에 수신된다. 그러면 송수신제어부(420)는 수신된 데이터를 각각 구분하여 표준음성데이터는 표준음성데이터버퍼(431)에, 운율/의미단위데이터는 운율/의미단위데이터버터(432)에, 질문데이터는 질문데이터버퍼(433)에, 내용어데이터는 내용어데이터버퍼(434)에, 추가설명데이터는 추가설명데이터버퍼(435)에 각각 저장시킨다. Data from the information provider is received by the transmission and reception control unit 420 through the network interface 350. Then, the transmission / reception control unit 420 classifies the received data, and the standard voice data is the standard voice data buffer 431, the rhyme / meaning unit data is the rhyme / meaning unit data buffer 432, and the question data is the question data buffer. In 433, the content word data is stored in the content word data buffer 434, and the additional description data is stored in the additional description data buffer 435, respectively.

이렇게 저장된 데이터들 중 표준음성데이터를 제외한 데이터들은 출력제어부(450)의 제어에 따라 비디오카드(460)와 사운드카드(470)를 통해 디스플레이 모니터와 스피커로 출력된다. 그리고 마이크(480)와 사운드카드(470)를 통해 입력된 오디오 데이터는 오디오버퍼(443)에 저장된다. The data excluding the standard voice data among the stored data are output to the display monitor and the speaker through the video card 460 and the sound card 470 under the control of the output controller 450. The audio data input through the microphone 480 and the sound card 470 is stored in the audio buffer 443.

한편, 인식부(440)의 비교부(441)는 내용어연결학습모드에서는 표준음성데이 터버퍼(431)로부터의 표준음성데이터와 오디오버퍼(443)로부터 음성인식를 통해 입력된 학습자의 오디오데이터를 비교하고, 내용어와기능어연결학습모드에서는 운율/의미단위데이터버퍼(432)로부터의 운율/의미단위데이터와 오디오버퍼(443)로부터 음성인식를 통해 입력된 학습자의 오디오데이터를 비교하여 학습자의 발음이 정확한지를 판단하여 출력제어부(450)로 출력한다. On the other hand, the comparator 441 of the recognition unit 440 is the standard speech data from the standard voice data buffer 431 and the audio data of the learner input through the voice recognition from the audio buffer 443 in the content-language learning mode. In the content word and functional word connection learning mode, the rhyme / meaning unit data from the rhyme / meaning unit data buffer 432 and the audio data of the learner inputted through the audio recognition from the audio buffer 443 are compared to determine whether the learner's pronunciation is correct. Determine and output to the output control unit 450.

상기 도3 및 도4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단계별 내용어 연결과 내용어와 기능어 연결을 활용한 외국어 학습시스템을 인터넷을 통해 정보제공자장치와 가입자장치간에 학습자료를 전송하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정보제공자장치로부터 제공되는 학습자료를 이동식 저장장치(예컨대 CD, DVD 등)에 저장시켜 가입자 장치에 일괄적으로 제공한 후 실행하여도 된다. 이때 상기 가입자장치는 이동식저장장치를 구동할 수 있는 다양한 형태와 기능을 갖춘 기기로 구성할 수 있다. 또한 학습자는 가입자장치를 통해 정보제공자로부터 학습자료를 일괄적으로 다운로드한 후 실행시켜 학습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계별 내용어 연결과 내용어와 기능어 연결을 활용한 외국어 학습시스템은 온라인 및 오프라인으로 교육이 가능하다.3 and 4, the foreign language learning system utilizing the step-wise content word connection and the content word and functional word connection has been described as an example of transmitting learning data between the information provider device and the subscriber device through the Internet. The learning material provided from the provider device may be stored in a portable storage device (for example, CD, DVD, etc.) and collectively provided to the subscriber device for execution. In this case, the subscriber device may be configured as a device having various forms and functions capable of driving a mobile storage device. In addition, the learner can download the learning materials from the information provider through the subscriber device in a batch and run them to learn. Therefore, the foreign language learning system utilizing the step-by-step content word connection and content word and functional word conne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educated online and offline.

도 5a 내지 도 5b와 도 7a 내지 도 7b는 도 1 및 도 3에 도시된 학습자료데이터베이스의 학습자료데이터의 구조와 세부구성 예를 상세히 나타낸 도면이다.5A to 5B and 7A to 7B are detailed views showing the structure and detailed configuration example of the learning data data of the learning material database shown in FIGS. 1 and 3.

이중에서 도 5a 내지 도 5b는 내용어연결학습모드, 도 7a 내지 도 7b는 내용어와 기능어 연결 학습모드의 학습자료데이터 구조와 세부구성 예를 상세히 나타낸 도면이다. 5A through 5B are content word connection learning modes, and FIGS. 7A through 7B are detailed views illustrating a learning data data structure and detailed configuration examples of the content word and functional word connection learning modes.

학습자는 내용어연결학습모드로 학습을 마친 후에 내용어와기능어연결학습모드로 학습하도록 학습자료코드를 구성하여 회원정보데이터에 의해 학습해야 할 현재학습자료코드가 결정되면 이와 함께 학습모드도 결정된다. The learner configures the learning material code to learn the content word and the functional word connection learning mode after completing the learning in the content connection learning mode, and the learning mode is determined together with the current learning material code to be learned by the member information data.

먼저 내용어연결학습모드부터 설명하면, 도 5a는 학습자료데이터 구조, 도 5b는 학습자료데이터 세부구성 예를 두 단어 연결단계를 기준으로 각각 나타낸다. 상기 학습자료데이터는 도5a가 보여주듯이 학습자료코드, 질문데이터, 내용어데이터, 표준음성데이터, 추가설명데이터, 학습진행절차 프로그램 필드로 구성된다. First, the content word connection learning mode will be described. FIG. 5A shows a learning data data structure, and FIG. 5B shows a detailed structure of the learning data data based on two word connection steps. As shown in FIG. 5A, the learning material data includes learning material code, question data, content word data, standard voice data, additional explanation data, and learning process program fields.

도 5b는 두 단어 연결단계의 데이터의 구성 예를 세부적으로 보여준다. 질문데이터는 학습자가 두 개의 내용어를 연결하도록 하는 상황과 질문을 제공하는 필드이다. 여기에서는 그림을 공을 차는 사진을 보여주고 공을 차는 사람이 학습자라는 상황을 설정하고 무엇을 하고 있는지 질문을 하고 있다. 5B shows an example of the configuration of the data of the two words concatenation step. Question data is a field that provides a situation and question that allows the learner to connect two content words. It shows pictures of kicking pictures and sets the situation where the kicker is a learner and asks what they are doing.

내용어데이터는 상기 질문데이터에 따라 학습자가 연결을 위한 출발점 및 힌트로 활용하도록 두 개의 내용어 중 하나의 단어를 음성과 그 의미를 나타내는 영상으로 출력해 주고, 동일한 내용을 가지고 다음에는 다른 단어를 출력해 주어 반복연습을 할 수 있도록 하고, 또한 학습자가 올바른 응답을 못했을 경우, 각 시도마다 앞에서부터 한 단어씩 힌트로 출력해 주어서 학습자가 올바른 응답을 하도록 유도하기 위해 두 개의 내용어를 각각 음성데이터로 저장하고 있는 필드이다. 여기에서는 먼저 ②번 ball을 음성으로 들려주고 학습자가 kick과 ball을 연결하는 연습을 하고 다음에 반복연습 시에는 kick을 제시하여 다시 kick과 ball을 연결하는 연습을 하도록 구성한다. 학습자의 응답이 올바르지 않을 경우에는 ① kick, ② ball을 차례로 음성과 그 의미를 나타내는 영상으로 출력하여 학습을 돕도록 구성한다. The content word data outputs a word of one of the two content words as an audio and video showing the meaning so that the learner can use it as a starting point and a hint according to the question data. If the learner failed to respond correctly, the program outputs one word from the front as a hint for each attempt to induce the learner to respond correctly. This field is stored as. Here, first, the second ball is spoken and learners practice connecting the kick and the ball, and in the next repetition exercise, the kick is presented to configure the practice of connecting the kick and the ball again. When the learner's response is not correct, ① Kick and ② Ball are output in order to help the learning by outputting the voice and the video showing the meaning.

상기의 학습과정을 마친 후에는 질문데이터 출력 후에 제시되는 내용어 없이 그대로 학습자가 응답을 하고, 올바른 응답이 아닐 경우에만 내용어를 차례로 힌트로 제시하는 학습과정을 구성할 수 있다. After completing the above learning process, the learner responds as it is without the content word presented after the question data is output, and the learning process can be configured to present the content word in order only when it is not a correct response.

표준음성데이터는 학습자가 두 개의 내용어를 정확한 순서와 발음으로 연결했는가를 음성인식을 통해 평가하기 위한 기준데이터를 포함하는 필드이다. 추가설명데이터는 현재 학습자가 시도하고 있는 내용어 연결 표현을 중심으로 정확한 표준 제시하여 학습자가 표현이나 발음을 더 완전하게 수정하고, 시도한 표현을 숙달하여 강화하며, 다음단계에 해당하는 확장된 말을 들려주어 다음단계로 발전할 수 있는 준비를 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하기 위한 추가설명을 포함하는 필드이다. 여기에서는 kick ball을 표준으로 제시하고, 뒤에 좀더 높은 수준의 완전한 말로서 학습자가 다음단계로 발전하는데 필요한 환경을 제공해 주고 있다. 세 단어 연결단계나 네 단어 이상 연결단계에서도 동일한 데이터 구조와 데이터 구성을 갖고 차이점은 내용어데이터 필드에 포함되는 내용어의 숫자만 달라지고, 이에 따라 각각 다른 내용어를 제시하여 반복 연습하는 횟수와 학습자가 올바른 응답을 못했을 경우 줄 수 있는 힌트의 수가 달라지는 것뿐이다.The standard voice data is a field including reference data for evaluating whether the learner connects two content words in the correct order and pronunciation through voice recognition. Additional explanatory data suggests an accurate standard based on the content-connection expression that the student is currently attempting to more fully modify the expression or pronunciation, learns and reinforces the attempted expression, and expands the extended words corresponding to the next step. This field contains additional instructions to provide an environment that can be heard and prepared to advance to the next level. Here we present the kick ball as a standard, followed by a higher level, complete word, which provides the environment for the learner to advance to the next level. In the three-word concatenation step or the concatenation of four or more words, the same data structure and data structure are used. The difference is that only the number of content words included in the content data field is changed. The only difference is the number of hints that the learner can give if the learner fails to respond correctly.

도 6a 내지 도 6b는 내용어연결학습모드에서 상기 데이터를 활용한 학습절차를 나타내는 플로우챠트이다. 6A to 6B are flowcharts illustrating a learning procedure using the data in the content connection learning mode.

이러한 절차는 도 1에 도시된 송신제어부(130)나, 도 4에 도시된 출력제어부 (450)을 통해 제어된다. 도 6a부터 설명하면, 처음에 회원데이터베이스의 이전 학습역사자료를 통해 현재 학습자료코드(S110)를 선정한 후 학습자료데이터에서 질문데이터를 출력(S120)하여 학습자가 내용어 연결을 할 수 있는 상황과 질문을 제공한다. 그리고, 학습자가 연결을 위한 출발점 및 힌트로 활용하도록 내용어데이터를 출력(S130)한다. 처음 학습에서 내용어 중 하나를 음성으로 출력해주고 다음에 동일한 내용을 반복 학습할 때에는 차례로 다른 내용어를 하나씩 출력해 주어 다양한 반복연습이 가능하도록 구성한다. 다음으로 학습자가 응답을 하면 이를 학습자음성인식(S140)을 하여 표준음성데이터와 비교하여 적합한가(S160)를 판정한다. 적합할 경우에는 추가설명데이터를 출력(S180)하여 현재 학습자가 시도하고 있는 내용어 연결 표현을 중심으로 정확한 표준 제시하여 학습자가 표현이나 발음을 더 완전하게 수정하고, 시도한 표현을 숙달하여 강화하며, 다음단계에 해당하는 확장된 말을 들려주어 다음단계로 발전할 수 있는 준비를 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해 준다. 응답이 적합하지 않을 경우에는 내용어데이터에서 마지막 내용어까지 모두 출력하였는지 판단(S170)하여 모두 출력하지 않았을 경우에는 첫 번째 내용어부터 시작하여 적합하지 않은 응답마다 하나씩 다음 내용어로 이동(S150)하여 내용어데이터를 음성으로 출력(S130)하고, 마지막 내용어까지 모두 출력하였을 경우에는 추가설명데이터를 출력(S180)한다. This procedure is controlled by the transmission control unit 130 shown in FIG. 1 or the output control unit 450 shown in FIG. Referring to Figure 6a, first select the current learning material code (S110) through the previous learning history data in the member database and then outputs the question data from the learning data (S120) and the learner can connect the content word and Provide questions. Then, the learner outputs the content data so as to utilize the starting point and the hint for the connection (S130). In the first lesson, one of the content words is output as a voice, and the next time the same content is repeatedly learned, the other content words are output one by one to configure various repetitive exercises. Next, when the learner responds, the learner speech recognition is performed (S140) to compare the standard speech data to determine whether the learner is suitable (S160). If appropriate, output additional explanatory data (S180) to present an accurate standard based on the content-connection expression that the learner is currently attempting to more fully modify the expression or pronunciation of the learner, and to master and reinforce the attempted expression. By listening to the extended words for the next step, you are provided with an environment that will prepare you for the next step. If the response is not appropriate, it is determined whether all contents are output from the contents data to the last contents (S170). If not, all the outputs start from the first contents and move to the next contents for each unsatisfactory response (S150). When the content word data is output as a voice (S130), and all the final content words are output, additional description data is output (S180).

추가설명데이터 출력(S180) 후에는 학습자료데이터 코드를 1단위 증가(S190)시켜 끝인지를 판단(S200)하여 끝이 아닌 경우에는 다음 학습자료데이터로 이동하여 질문데이터를 출력(S120)하는 것부터 상기 단계를 반복하고, 끝인 경우에는 본 학습과정 제어를 리턴시킨다. After the additional explanation data output (S180) to increase the learning data data code by one unit (S190) to determine whether the end (S200), if not the end to move to the next learning material data from the output of the question data (S120) The above steps are repeated, and if it is the end, the present process control is returned.

도 6b는 도 6a의 절차를 반복학습한 이후 다음 단계의 학습절차로 질문데이터 출력(S220) 후에 내용어데이터를 출력하지 않고 학습자가 응답하고 이를 학습자음성인식(S230)을 통하여 표준음성데이터와 비교하여 적합한가를 판단(S250)하여 이후 상기 도 6a와 동일한 절차를 진행하는 학습절차를 보여주는 플로우차트이다.FIG. 6B illustrates that the learner responds without outputting the content data after the question data output (S220) as the learning procedure of the next step after repeating the procedure of FIG. 6A, and compares it with the standard voice data through the learner speech recognition (S230). The method is a flowchart showing a learning procedure for determining whether it is suitable (S250) and then proceeding with the same procedure as in FIG. 6A.

상기 학습절차는 두 단어 연결단계, 세 단어 연결단계, 네 단어 이상 연결단계에 모두 동일하게 적용되고 차이점은 내용어데이터 필드에 포함되는 내용어의 숫자만 상이하므로, 이에 따라 학습자가 올바른 응답을 못했을 경우 줄 수 있는 힌트의 수가 달라지고 질문데이터 출력 후 다른 내용어를 제시하여 반복 연습하는 횟수가 달라지는 것이다.The learning procedure is the same for both word concatenation, three word concatenation, and four or more concatenation. The difference is that only the number of contents contained in the contents data field is different. In this case, the number of hints that can be given is changed, and the number of repetitions of practice by presenting different content words after outputting the question data is changed.

다음으로 내용어와기능어연결학습모드를 설명하면, 도 7a는 학습자료데이터 구조, 도 7b는 운율/의미단위연결 데이터의 세부구성 예를 보여준다. Next, the content word and the functional word connection learning mode will be described. FIG. 7A shows a detailed structure of the learning data data structure and FIG. 7B shows the rhyme / meaning unit connection data.

상기 학습자료데이터는 도7a가 보여주듯이 학습자료코드, 운율/의미단위연결데이터, 학습진행절차 프로그램 필드로 구성된다. As shown in FIG. 7A, the learning material data includes a learning material code, a rhyme / meaning unit connection data, and a learning process procedure program field.

도 7b는 운율/의미단위연결 데이터의 세부구성 예로서 순서 G1~G5는 단위별 연결연습을 위해 기본운율의미단위로 구성되어 있고 C1~C5는 누적반복식 연습을 위한 운율의미단위로 구성되어 있다. FIG. 7B shows a detailed structure of the rhyme / meaning unit connection data. For example, sequences G1 to G5 are composed of basic rhyme units for unit practice, and C1 to C5 are rhyme units for cumulative repetitive exercises. .

이것은 기본단위별로 연습한 후에 누적반복식 연습을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구성이다. G1~G4에서는 첫째와 마지막 단어를 제외하고는 모든 내용어는 두 번씩 반복하여 나타나고, “want to play”, “play with my friends”, “friends in the park", "park this weekend”에서 보여주듯이 “내용어+기능어+내용어”로 구성되어 “내용어+기능어” 부분은 운율단위로 연결하고, “기능어+내용어” 부분은 의미단위로 연결하도록 함으로써 운율단위와 의미단위의 상호보완적 연결기능을 활용하여 연결하는 연습이 가능하도록 구성한다. This is a structure to enable the cumulative repetitive practice after practicing by the basic unit. In G1 ~ G4, all content words appear twice except for the first and last words, as shown in “want to play”, “play with my friends”, “friends in the park”, “park this weekend” Complementary linking function between rhyme unit and semantic unit by consisting of “content word + functional word” and “content word + functional word” part by rhyme unit, and “functional word + content word” part by semantic unit Use this to configure the practice to connect.

G1~G5의 기본단위별 반복연습 후에는 C1~C5의 누적반복식 연습을 통해 기본단위를 전체문장으로 연결하여 유창하게 말을 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추도록 구성한다. After the repetitive practice of each basic unit of G1 ~ G5, it is configured to have the ability to speak fluently by connecting the basic unit to the whole sentence through the cumulative repetitive exercises of C1 ~ C5.

도 8a 내지 도 8b는 내용어와기능어연결학습모드에서 상기 데이터를 활용한 학습절차를 나타내는 플로우챠트이다. 8A to 8B are flowcharts illustrating a learning procedure using the data in the content word and functional word connection learning mode.

이러한 절차는 도 1에 도시된 송신제어부(130)나, 도 4에 도시된 출력제어부(450)을 통해 제어된다. This procedure is controlled by the transmission control unit 130 shown in FIG. 1 or the output control unit 450 shown in FIG.

도 8a부터 설명하면, 처음에 회원데이터베이스의 이전 학습역사자료를 통해 현재 학습자료코드(S310)를 선정한 후 선정된 학습자료코드(S310)의 운율/의미단위데이터의 첫 단위부터 출력(S320)시킨다. 그리고 학습자가 따라하면 학습자 음성인식(S330)을 통해 출력된 운율/의미단위데이터와 비교하여 적합한가를 판정(S340)한다. 적합할 경우에는 운율/의미단위데이터의 단위를 1단위만큼 증가(S350)시켜 도 7b의 C5와 같이 단위의 끝인가를 판단(S360)하여 끝이 아닌 경우에는 다음 단위를 출력(S320)하고, 끝인 경우에는 다음 학습자료데이터로 이동하기 위하여 학습자료코드를 1만큼 증가(S370)시킨다. 학습자 음성인식이 적합하지 않을 경우(S340)에는 동일한 단위를 다시 출력(S320)하여 반복연습이 되도록 구성한다. 학습자료코드를 1만큼 증가(S370)시켜 마지막 학습자료데이터인지를 판단(S380)하여 마지막 학습자료데이터가 아닌 경우에는 다음 학습자료데이터로 이동하여 운율/의미단위데이터의 첫 단위부터 출력(S320)하여 상기 절차를 반복하고, 마지막 학습자료데이터인 경우에는 본 학습과정 제어를 리턴시킨다. Referring to Figure 8a, first select the current learning material code (S310) through the previous learning history data in the member database and then outputs (S320) from the first unit of the rhyme / meaning unit data of the selected learning material code (S310) . If the learner follows, it is determined whether or not it is appropriate by comparing the rhyme / meaning unit data output through the learner voice recognition (S330) (S340). If appropriate, the unit of rhyme / meaning unit data is increased by one unit (S350), and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unit is the end as shown in C5 of FIG. 7B (S360), and if it is not the end, the next unit is output (S320), If it is the end to increase the learning material code by 1 to move to the next learning material data (S370). If the learner voice recognition is not suitable (S340), the same unit is output again (S320) is configured to repeat the practice. The learning material code is increased by 1 (S370) to determine whether it is the last learning material data (S380) .If it is not the last learning material data, it moves to the next learning material data and outputs from the first unit of rhyme / meaning unit data (S320). The procedure is repeated, and in the case of the last learning material data, the control of the learning process is returned.

도 8b는 음성인식 단계가 없이 사전에 단위별 반복횟수를 지정(S420)하여 각 단위를 지정된 횟수만큼 반복 출력(S430)후 다음단위로 이동하기 위해 1단위만큼 증가(S440)시키고 단위의 끝인가를 판단(S450)하여 이후 8a의 단계와 동일하게 진행되는 학습단계를 보여주는 플로우차트이다.8B is a step of specifying the number of repetitions for each unit in advance without a voice recognition step (S420) and repeating each unit for a predetermined number of times (S430), and then increasing the unit by one unit (S440) to move to the next unit. This is a flowchart showing a learning step that proceeds in the same manner as in step 8a after the determination (S450).

도 9는 회원데이터베이스 구조로 회원을 인식하기 위한 회원코드와 신상내용, 비밀번호 필드와 현재 학습해야 할 데이터로 연결시키기 위한 현재학습자료코드 필드, 차후 학습을 위한 자료로 활용하기 위한 학습자료코드별 학습횟수와 학습결과를 저장하는 학습결과 필드로 구성된다.9 is a member database structure, the member code for recognizing the member and the new contents, the password field and the current learning material code field for connecting to the data to be learned currently, learning by learning material code to use as a material for future learning It consists of a learning result field that stores the count and the learning result.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은 텍스트를 읽을 때에는 연결에 대한 부담이 없기 때문에 단순히 의미단위로 읽기 때문에 운율단위의 연결을 활용한 말을 습득하는데 도움이 되지 않으므로 유창한 말을 습득하는 단계에서는 운율단위가 반영되는 즉흥적인 말을 학습자가 들을 수 있도록 해 주어 외국어 학습의 효율을 증가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As described above, since the present invention does not burden the connection when reading the text, it does not help in acquiring words using the concatenation of rhyme units because it is simply read as a semantic unit. It allows the learners to listen to improvised words so as to increase the efficiency of foreign language learning.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 및 작용은 하나의 실시예로서 본 발명의 청구범위를 제한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변경하지 아니하는 범위내에서 다양한 변경과 수정이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 종사하는 자에게는 자명한 것이다.Th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as described above are not limited to the claims of the present invention as an embodiment, and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are possible within the scope of not changing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obvious to those who are engaged.

본 발명의 단계별 내용어 연결과 내용어와 기능어 연결을 활용한 외국어 학습시스템 및 그 방법을 이용하면When using a foreign language learning system and method using the step-by-step content connection and the content and functional words conn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첫째, 내용어 연결 학습을 통해 복잡한 기능어의 방해를 받지 않고 내용어 중심의 외국어의 말과 생각체계를 일치시킬 수 있으며 둘째, 말하기 습득 단계를 모국어와 같이 내용어 연결단계 후에 운율단위와 의미단위를 활용한 기능어와 운율까지 활용한 완전한 말을 습득하는 단계를 적용하여 단계적인 말하기 습득이 가능하며 셋째, 내용어 연결 학습에서 학습자의 올바른 응답 후에는 학습자의 응답과 관련하여 내용어 연결 표현을 중심으로 정확한 표준 제시와 강화, 확장을 위한 관련된 말을 해주어 학습자가 자신이 시도한 표현을 강화하여 숙달하고 다음단계까지 확장된 말을 반복하여 들으면서 다음단계로 발전할 수 있는 준비를 하게 하여 학습자가 주도적으로 자신의 말을 발전시켜 나갈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해 줄 수 있으며 넷째, 운율단위와 의미단위의 상호보완적 연결작용을 활용하여 외국어 학습자가 유창한 말을 하는데 꼭 필요한 단어의 빠르고 자연스러운 연결능력을 갖출 수 있고 부가적으로 복잡한 기능어 활용 능력을 기를 수 있는 효과가 있다.First, through content linkage learning, it is possible to match words and thought systems of a foreign language centered on content without disturbing complex functional words. Second, after acquiring the rhyme unit and semantic unit after the content linking step like the mother tongue, Step-by-step acquisition is possible by applying the steps of acquiring complete words using function words and rhymes. Third, after the correct response of the learner in content-conjugated learning, the content-centered expression is related to the learner's response. Provide appropriate standards for the presentation, reinforcement, and expansion of the standard so that the learner can master his or her expressions and prepare to advance to the next level by listening to the expanded word to the next level. Fourth, it can provide an environment to develop the words of To leverage the complementary connection unit equipped with fast action of the US natural ability to connect words necessary to speak fluent foreign language learners and has the effect of an addition to the complex function words literacy.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다. 따라서, 특허청구범위의 등가적인 의미나 범위에 속하는 모든 변화들은 전부 본 발명의 권리범위안에 속한다는 것을 밝혀두고자 한다.Although the above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be able to variously modify and change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described in the claims below. Can be. Accordingly, all changes that come within the meaning or range of equivalency of the claims are to be embraced within their scope.

Claims (15)

네트워크를 통하여 언어를 학습하는 시스템에 있어서,In a system for learning a language through a network, 내용어연결학습과 내용어와기능어연결학습에 관한 학습자료를 저장하는 학습자료데이터부와,A learning material data section for storing learning materials related to content-language learning and content-language and functional word-linked learning; 학습자의 응답과 표준음성데이터 또는 운율/의미단위데이터를 음성인식으로 비교하여 정확성을 판정하는 음성인식비교부와,Speech recognition comparison unit for determining the accuracy by comparing the learner's response and standard speech data or rhyme / meaning unit data with speech recognition, 학습자의 데이터를 저장하는 회원정보데이터부와,Member information data section for storing the learner's data, 학습자로부터 입력된 정보가 회원정보데이터인지 오디오 데이터인지 구분하여 저장하는 수신데이터저장부와,A reception data storage unit for storing whether the information input from the learner is member information data or audio data, and storing the classified information; 상기 수신데이터저장부에 기록된 회원정보데이터에 기초하여 학습자료데이터부에서 소정의 학습순서에 따라 질문데이터, 내용어데이터, 추가설명데이터, 표준음성데이터, 운율/의미단위 데이터등을 네트워크망을 통해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송신제어부를 포함하여 네트워크망을 통해 전송시키는 정보제공자장치와;On the basis of the member information data recorded in the receiving data storage unit, the learning data data unit stores question data, content word data, additional explanation data, standard voice data, rhyme / meaning unit data, etc.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learning order. An information provider device including a transmission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ransmission through the network; 상기 정보제공자장치에서 출력한 학습자료데이터부의 자료를 네트워크망을 통해 수신하여 이를 출력시키고 가입자가 입력시킨 음성데이터를 상기 정보제공자장치로 전송시키는 가입자장치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계별 내용어 연결과 내용어와 기능어 연결을 활용한 외국어 학습시스템.Step by step content linking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subscriber device for receiving the data from the learning data output unit outputted from the information provider device through a network network and outputs it and transmits the voice data input by the subscriber to the information provider device. Foreign language learning system using content word and functional word connection.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학습자료데이터부는 소정의 학습프로그램에 따라 내용어연결학습과 내용어와기능어연결학습에 활용되는 음성과 영상데이터를 저장하는 학습자료데이터베이스와;The learning material data unit comprises: a learning material database for storing audio and video data used for content word connection learning and content word and functional word connection learning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learning program; 학습관련 데이터를 저장시키는 버퍼와;A buffer for storing learning related data; 학습자료 추출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학습자료데이터베이스로부터 해당되는 학습자료를 추출하고 데이터를 구분하여 상기 버퍼에 저장시키는 학습자료추출제어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계별 내용어 연결과 내용어와 기능어 연결을 활용한 외국어 학습시스템.According to the learning data extraction control signal, the learning data extraction control unit for extracting the corresponding learning material from the learning material database and classifying the data and storing the data in the buffer utilizing step-by-step content word connection and content word and functional word connection A foreign language learning system. 제2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 상기 버퍼는,The buffer is 표준음성을 저장하는 표준음성데이터버퍼와;A standard voice data buffer for storing standard voice; 질문 데이터를 저장하는 질문데이터버퍼와;A question data buffer for storing question data; 추가설명 데이터를 저장하는 추가설명데이터버퍼와;An additional description data buffer for storing additional description data; 운율 및 의미단위 데이터를 저장하는 운율/의미단위데이터버퍼와;A prosody / meaning unit data buffer for storing prosody and semantic unit data; 내용어 데이터를 저장하는 내용어데이터버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계별 내용어 연결과 내용어와 기능어 연결을 활용한 외국어 학습시스템.A foreign language learning system that utilizes content word linking step by step and content word and function word connection, characterized by a content word data buffer for storing content word data.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수신데이터저장부는 수신된 정보가 회원정보데이터인지, 오디오데이터인지를 구분하는 수신제어부와;The reception data storage unit includes a reception control unit for discriminating whether the received information is member information data or audio data; 상기 수신제어부로부터 구분된 오디오데이터를 저장하는 수신오디오버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계별 내용어 연결과 내용어와 기능어 연결을 활용한 외국어 학습시스템.A foreign language learning system utilizing content-content linking step by step and content-word and functional-word connection,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reception audio overper for storing the audio data separated from the reception control unit.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가입자장치는 정보제공자장치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고, 수신된 데이터가 운율/의미단위데이터인지, 질문데이터인지, 추가설명데이터인지, 표준음성데이터인지, 내용어데이터인지를 구분하여 출력하는 수신제어부와;The subscriber device receives the data from the information provider device, and the reception control unit for distinguishing and outputting whether the received data is rhyme / meaning unit data, question data, additional description data, standard voice data, or content word data; ; 상기 수신제어부로부터 출력된 운율/의미단위데이터와 질문데이터와 추가설명데이터와 표준음성데이터와 내용어데이터를 각각 구분하여 저장시키는 버퍼와;A buffer configured to separately store rhyme / meaning unit data, question data, additional explanation data, standard voice data, and content word data output from the reception control unit; 상기 버퍼에 저장된 데이터 중에 비디오 데이터는 비디오 출력장치를 통해 출력되고, 상기 버퍼에 저장된 데이터 중에 오디오 데이터는 오디오 출력장치를 통해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출력 제어부와;An output control unit controlling video data among the data stored in the buffer to be output through a video output device, and audio data among the data stored in the buffer to be output through an audio output device; 상기 정보제공자장치의 수신제어부로 학습자 음성을 송신하는 송신 제어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계별 내용어 연결과 내용어와 기능어 연결을 활용한 외국어 학습시스템.A foreign language learning system utilizing step by step content connection and content word and functional word connection, characterized in that the transmission control unit for transmitting the learner voice to the reception control unit of the information provider device. 제5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5, 상기 버퍼는 운율/의미단위데이터를 저장시키는 운율/의미단위데이터버퍼와;The buffer includes a rhyme / meaning unit data buffer for storing rhyme / meaning unit data; 질문 데이터를 저장시키는 질문데이터버퍼와;A question data buffer for storing question data; 내용어 데이터를 저장시키는 내용어데이터버퍼와;A content word data buffer for storing content word data; 추가설명 데이터를 저장시키는 추가설명데이터버퍼와;An additional description data buffer for storing additional description data; 표준 음성 데이터를 저장시키는 표준음성버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계별 내용어 연결과 내용어와 기능어 연결을 활용한 외국어 학습시스템.A foreign language learning system utilizing content speech linking step by step and content and functional word linking, comprising a standard speech buffer for storing standard voice data.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학습자료데이터부는,The learning data data unit, 학습자가 자신의 학습단계에 맞는 내용어 연결을 하도록 상황설정과 질문으로 이루어진 질문 데이터와, 연결대상 내용어를 한 단어씩 제공하도록 대상단어별로 음성과 그 의미를 보여주는 영상으로 구성된 내용어 데이터와, 음성 인식을 위한 표준연결 데이터와, 학습자의 응답후에 올바른 표준제공,강화,확장을 위한 추가적인 설명으로 구성한 추가설명 데이터로 구성된 내용어연결학습모드; 및Contents data consisting of question data consisting of situation setting and questions to connect the content words to the learner according to their learning level, and images showing voice and meaning for each word to provide content words one by one, and Content-language connection learning mode consisting of additional descriptive data consisting of standard connection data for speech recognition and additional description for reinforcing and extending the correct standard after the learner's response; And 1개의 문장을 운율단위연결과 의미단위연결을 포함하는 단위로 나누어 음성 과 영상 데이터로 저장된 내용어와기능어연결학습모드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계별 내용어 연결과 내용어와 기능어 연결을 활용한 외국어 학습시스템. Foreign language learning system using stepwise content linking and content word and functional word linking which consists of contents and functional word connection learning mode which is divided into units including rhyme unit connection and semantic unit connection. . 제7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상기 내용어와기능어연결학습모드에서의 음성과 영상 데이터는,The audio and video data in the content word and functional word connection learning mode, 내용어+기능어+내용어와;Content word + function word + content word; 기능어+내용어와;Function word + content word; 내용어+기능어 형태를 포함하는 단위로 나누어 저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계별 내용어 연결과 내용어와 기능어 연결을 활용한 외국어 학습시스템.A foreign language learning system that utilizes content-level linkage and content-word and function-word linking, which are divided into units including content word + function word. 제5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5, 상기 가입자장치는 상기 정보제공자장치로부터 표준음성데이터를 입력받아 저장하고 이를 음성인식비교부로 보내는 버퍼와;The subscriber device includes a buffer that receives standard voice data from the information provider device and sends the same to the voice recognition comparator; 가입자로부터 음성 데이터를 입력받아 표준음성데이터 또는 운율/의미단위데이터와 비교하여 음성인식을 하는 음성인식비교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계별 내용어 연결과 내용어와 기능어 연결을 활용한 외국어 학습시스템.Foreign language learning system using stepwise content connection and content word and functional word connection, further comprising a voice recognition comparison unit that receives voice data from subscribers and compares it with standard voice data or rhyme / meaning unit data. .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정보제공자장치는 상기 입력부로부터 입력된 음성 데이터와 표준음성 데이터 또는 운율/의미단위데이터를 비교하여 출력하는 비교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계별 내용어 연결과 내용어와 기능어 연결을 활용한 외국어 학습시스템.The information provider device further comprises a comparison unit for comparing and outputting voice data input from the input unit with standard voice data or rhyme / meaning unit data. Learning system. 네트워크망을 통해 학습제공서버로부터 학습자의 터미널로 어학 학습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In the method for providing a language learning program from the learning providing server to the learner's terminal through a network, 회원정보데이터에 의해 내용어연결학습모드 또는 내용어와기능어연결학습모드를 진행할 것인지를 선택하는 단계와;Selecting whether to proceed with the content word connecting learning mode or the content word and functional word connecting learning mode based on the member information data; 내용어연결학습모드가 선택된 경우에,If the content linking learning mode is selected, 회원정보데이터에 의해서 학습자가 두 단어 연결 학습, 세 단어 연결 학습, 네 단어 이상 연결 학습 중 어디에 속하는지와 이전 학습 진도를 고려하여 학습내용을 결정하는 단계와;Determining, based on the member information data, the learner by considering whether the learner belongs to a two-word connection learning, a three-word connection learning, a four-word connection learning, or a previous learning progress; 학습자가 자신의 학습단계에 맞는 내용어 연결을 하도록 상황설정과 질문으로 이루어진 질문데이터를 제공하는 단계와;Providing question data consisting of a situation setting and a question so that the learner connects the content word corresponding to his / her learning level; 연결 대상 내용어 중 한 단어를 음성으로 출력함으로써 학습자에게 연결의 기준단어를 힌트로 제공하고 학습자 응답으로 이어지도록 구성하는 단계와;Outputting one word of the content word to be connected to the learner by providing a reference word of the connection to the learner as a hint and leading to a learner response; 학습자에게 도움을 주기 위해 내용어데이터에 저장된 내용어 단어를 학습자의 한번 시도마다 한 단어씩 순서대로 음성과 영상으로 출력하여 학습자의 올바른 응답을 유도하여 추가설명데이터 출력으로 연결시켜 학습할 수 있도록 제어하는 단계로 구성되고,In order to help learners, the content words stored in the content data are output as voice and video in order one word per learner's attempt to induce the learner's correct response and connect them to the additional description data output. Consists of steps 내용어와기능어연결학습모드가 선택된 경우에,When the content word and functional word link learning mode is selected, 회원정보데이터에 의해 학습자의 이전 학습 진도를 고려하여 학습내용을 결정하는 단계와;Determining learning contents by considering the learner's previous learning progress based on the member information data; 이에 따라 학습자료데이터부에서 1개의 문장을 “내용어+기능어+내용어”, “기능어+내용어”, “내용어+기능어” 형태를 포함하는 단위로 나누어진 운율/의미단위데이터를 문장의 앞에서부터 제공하는 단계와; Accordingly, the rhyme / meaning unit data divided into units including one sentence in the form of “content + functional word + content word”, “functional word + content word”, and “content word + functional word” in the learning data data part is included. Providing from the front; 상기의 운율/의미단위데이터를 누적반복식으로 제공하는 단계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계별 내용어 연결과 내용어와 기능어 연결을 활용한 외국어 학습방법.A method of learning a foreign language using stepwise content linking and content word linking with functional words, comprising the steps of providing cumulative repetition of the rhyme / meaning unit data. 제1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1, 상기 학습자에게 연결의 기준단어를 힌트로 제공하고 학습자 응답으로 이어지도록 구성하는 단계는, The step of providing the learner a reference word of the connection as a hint and leading to the learner response, 상기 단계 이후 반복 연습 시에는 다른 대상 내용어를 제공하며 대상 내용어 모두를 힌트로 사용하여 학습한 후에는 대상 내용어로 힌트를 제공하지 않는 단계를 포 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계별 내용어 연결과 내용어와 기능어 연결을 활용한 외국어 학습방법.When the repetitive practice after the above step provides a different target content word and after learning using all the target content words as a hint, step by step content linking,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step that does not provide a hint as the target content word Foreign language learning method using content word and functional word connection. 네트워크망을 통해 학습제공서버로부터 학습자의 터미널로 어학 학습 프로그램을 출력시키는 방법에 있어서,In the method for outputting a language learning program from the learning providing server to the learner's terminal through a network, 내용어연결학습모드에서는, In content word connection learning mode, 회원정보데이터에 의해서 학습자가 두 단어 연결 학습, 세 단어 연결 학습, 네 단어 이상 연결 학습 중 어디에 속하는지와 이전 학습 진도를 고려하여 학습내용을 결정하는 단계와; Determining, based on the member information data, the learner by considering whether the learner belongs to a two-word connection learning, a three-word connection learning, a four-word connection learning, or a previous learning progress; 학습자료데이터가 저장된 기억매체로부터 데이터를 추출하는 단계와; Extracting data from a storage medium storing learning material data; 학습자가 자신의 학습단계에 맞는 내용어 연결을 하도록 상황설정과 질문으로 이루어진 질문데이터를 출력하는 단계와; Outputting question data consisting of a situation setting and a question so that the learner connects the content word corresponding to the learning level thereof; 연결 대상 내용어 중 한 단어를 음성으로 출력함으로써 학습자에게 연결의 기준단어를 힌트로 제공하고 학습자 응답으로 이어지도록 구성하는 단계와; Outputting one word of the content word to be connected to the learner by providing a reference word of the connection to the learner as a hint and leading to a learner response; 학습자가 응답하면 이를 음성인식으로 평가하는 단계와; Evaluating if the learner responds with speech recognition; 올바른 응답인 경우에는,If the response is correct, 올바른 표준제공, 강화, 확장을 위한 추가적인 설명으로 구성된 추가설명데이터를 출력하는 단계와;Outputting additional descriptive data comprising additional descriptions for providing correct standards, reinforcing, and expanding the standard; 올바르지 않은 응답인 경우에는,If the response is incorrect, 학습자에게 도움을 주기 위해 내용어데이터에 저장된 내용어 단어를 학습자의 한번 시도마다 한 단어씩 순서대로 음성과 영상으로 출력하여 추가설명데이터 출력으로 연결하는 단계를 실행시키는 것으로 구성되고,In order to help the learner consists of executing the step of outputting the content words stored in the content data in audio and video in order one word for each attempt of the learner to connect to the additional description data output, 내용어와 기능어 연결 학습모드에서는, In content mode and functional word connection learning mode, 회원정보데이터에 의해 학습자의 이전 학습 진도를 고려하여 학습내용을 결정하는 단계와; Determining learning contents by considering the learner's previous learning progress based on the member information data; 학습자료데이터부에서 1개의 문장을 “내용어+기능어+내용어”, “기능어+내용어”, “내용어+기능어” 형태를 포함하는 단위로 나누어진 음성데이터를 문장의 앞에서부터 출력하는 단계와; The step of outputting the speech data divided into units including one sentence “content word + function word + content word”, “function word + content word”, and “content word + function word” in the learning data data section from the front of the sentence. Wow; 학습자가 따라서 발음하여 입력하면 이를 음성인식으로 평가하는 단계와; If the learner pronounces and inputs the voice recognition method, the voice recognition method; 정확한 발음이면 다음 단위로 이동하여 반복하고, 부정확한 발음이면 같은 단위를 반복하도록 하는 단계와; Moving to the next unit if the correct pronunciation is repeated and repeating the same unit if the pronunciation is incorrect; 상기의 음성데이터를 누적반복식으로 실행시키는 것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계별 내용어 연결과 내용어와 기능어 연결을 활용한 외국어 학습방법.Foreign language learning method using the step-by-step content word connection and the content word and functional word connection,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onfigured to repeatedly execute the voice data cumulative. 제13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3, 상기 학습자에게 연결의 기준단어를 힌트로 제공하고 학습자 응답으로 이어지도록 구성하는 단계는, The step of providing the learner a reference word of the connection as a hint and leading to the learner response, 상기 단계 이후 반복 연습 시에는 다른 대상 내용어를 제공하며 대상 내용어 모두를 힌트로 사용하여 학습한 후에는 대상 내용어로 힌트를 제공하지 않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계별 내용어 연결과 내용어와 기능어 연결을 활용한 외국어 학습방법.When the repetitive practice after the above step provides a different target content word and after learning using all of the target content words as a hint, step by step content linking and content comprising a step of not providing a hint as the target content word Foreign language learning method using language and functional word connection. 멀티미디어 학습자료가 저장된 기록매체로부터 데이터를 추출하여 학습자의 터미널을 통해 수행시키는 어학 학습 프로그램을 기록하는 매체에 있어서,Claims [1] A medium for recording a language learning program that extracts data from a recording medium storing multimedia learning materials and executes the same through a learner's terminal. 내용어연결학습모드에서는, In content word connection learning mode, 회원정보데이터에 의해서 학습자가 두 단어 연결 학습, 세 단어 연결 학습, 네 단어 이상 연결 학습 중 어디에 속하는지와 이전 학습 진도를 고려하여 학습내용을 결정하는 단계와; Determining, based on the member information data, the learner by considering whether the learner belongs to a two-word connection learning, a three-word connection learning, a four-word connection learning, or a previous learning progress; 학습자료데이터가 저장된 기억매체로부터 데이터를 추출하는 단계와; Extracting data from a storage medium storing learning material data; 학습자가 자신의 학습단계에 맞는 내용어 연결을 하도록 상황설정과 질문으로 이루어진 질문데이터를 출력하는 단계와; Outputting question data consisting of a situation setting and a question so that the learner connects the content word corresponding to the learning level thereof; 연결 대상 내용어 중 한 단어를 음성으로 출력함으로써 학습자에게 연결의 기준단어를 힌트로 제공하고 학습자 응답으로 이어지도록 구성하는 단계와; Outputting one word of the content word to be connected to the learner by providing a reference word of the connection to the learner as a hint and leading to a learner response; 학습자가 응답하면 이를 음성인식으로 평가하는 단계와; Evaluating if the learner responds with speech recognition; 올바른 응답인 경우에는,If the response is correct, 올바른 표준제공, 강화, 확장을 위한 추가적인 설명으로 구성된 추가설명데이터를 출력하는 단계와;Outputting additional descriptive data comprising additional descriptions for providing correct standards, reinforcing, and expanding the standard; 올바르지 않은 응답인 경우에는,If the response is incorrect, 학습자에게 도움을 주기 위해 내용어데이터에 저장된 내용어 단어를 학습자의 한번 시도마다 한 단어씩 순서대로 음성과 영상으로 출력하여 추가설명데이터 출력으로 연결하는 단계를 실행시키는 것으로 구성되고,In order to help the learner consists of executing the step of outputting the content words stored in the content data in audio and video in order one word for each attempt of the learner to connect to the additional description data output, 내용어와기능어연결학습모드에서는, In content word and functional word connection learning mode, 회원정보데이터에 의해 학습자의 이전 학습 진도를 고려하여 학습내용을 결정하는 단계와; Determining learning contents by considering the learner's previous learning progress based on the member information data; 학습자료데이터부에서 1개의 문장을 “내용어+기능어+내용어”, “기능어+내용어”, “내용어+기능어” 형태를 포함하는 단위로 나누어진 음성데이터를 문장의 앞에서부터 출력하는 단계와; The step of outputting the speech data divided into units including one sentence “content word + function word + content word”, “function word + content word”, and “content word + function word” in the learning data data section from the front of the sentence. Wow; 학습자가 따라서 발음하여 입력하면 이를 음성인식으로 평가하는 단계와; If the learner pronounces and inputs the voice recognition method, the voice recognition method; 정확한 발음이면 다음 단위로 이동하여 반복하고, 부정확한 발음이면 같은 단위를 반복하도록 하는 단계와; Moving to the next unit if the correct pronunciation is repeated and repeating the same unit if the pronunciation is incorrect; 상기의 음성데이터를 누적반복식으로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매체.A recording medium having recorded thereon a program for executing the above-mentioned sound data cumulatively and repeatedly.
KR1020040028731A 2004-04-26 2004-04-26 Language Learning System by means of Connecting Content Words, and Content and Function Words in a Step-by-Step Manner and a Method Using Thereof KR100554892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28731A KR100554892B1 (en) 2004-04-26 2004-04-26 Language Learning System by means of Connecting Content Words, and Content and Function Words in a Step-by-Step Manner and a Method Using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28731A KR100554892B1 (en) 2004-04-26 2004-04-26 Language Learning System by means of Connecting Content Words, and Content and Function Words in a Step-by-Step Manner and a Method Using Thereof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03436A KR20050103436A (en) 2005-10-31
KR100554892B1 true KR100554892B1 (en) 2006-02-24

Family

ID=372813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28731A KR100554892B1 (en) 2004-04-26 2004-04-26 Language Learning System by means of Connecting Content Words, and Content and Function Words in a Step-by-Step Manner and a Method Using Thereof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54892B1 (e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07597A (en) * 2000-07-18 2002-01-29 윤덕용 Method of speaking test and foreign language pronunciation learning using automatic pronunciation comparison method on internet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07597A (en) * 2000-07-18 2002-01-29 윤덕용 Method of speaking test and foreign language pronunciation learning using automatic pronunciation comparison method on interne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03436A (en) 2005-10-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Peterson Skills and strategies for proficient listening
US20100304342A1 (en) Interactive Language Education System and Method
Johnson et al. The DARWARS tactical language training system
Poelmans Developing second-language listening comprehension: Effects of training lower-order skills versus higher-order strategy
Wilske Form and meaning in dialog-based computer-assisted language learning
Kanellou The place and practice of pronunciation teaching in the context of the EFL classroom in Thessaloniki, Greece
KR20220011109A (en) Digital english learning service method and system
TWI575483B (en) A system, a method and a computer programming product for learning? foreign language speaking
US11587460B2 (en) Method and system for adaptive language learning
Baur et al. A textbook-based serious game for practising spoken language
JP6656529B2 (en) Foreign language conversation training system
WO2009032425A1 (en) Language teaching method and apparatus
Bouillon et al. Translation and technology: The case of translation games for language learning
CN114255759A (en) Method, apparatus and readable storage medium for spoken language training using machine
KR100554892B1 (en) Language Learning System by means of Connecting Content Words, and Content and Function Words in a Step-by-Step Manner and a Method Using Thereof
Zhang Application of Mobile Learning Software in College English Vocabulary Teaching
Xu Language technologies in speech-enabled second language learning games: From reading to dialogue
US20220383772A1 (en) Method of interactive foreign language learning by voice talking each other using voice recognition function and TTS function
KR20140004540A (en) Method for providing foreign language listening training service based on listening and speaking using speech recognition engine
Mubin ROILA: Robot interaction language
Brown Task-Based Listening: What Every ESL Teacher Needs to Know
Su et al. A pilot study of an English learning skill using Amazon Echo Dot and Alexa in taiwan
Lau SLLS: An online conversational spoken language learning system
Saylibayeva et al. HOW TO IMPROVE SPEAKING SKILLS
TW200412551A (en) Sentence making and conversation teaching system and method providing situation and role selec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817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