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54702B1 - 3 포지션 부하개폐기 메커니즘의 트립부 축세구조 - Google Patents

3 포지션 부하개폐기 메커니즘의 트립부 축세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54702B1
KR100554702B1 KR1020040067890A KR20040067890A KR100554702B1 KR 100554702 B1 KR100554702 B1 KR 100554702B1 KR 1020040067890 A KR1020040067890 A KR 1020040067890A KR 20040067890 A KR20040067890 A KR 20040067890A KR 100554702 B1 KR100554702 B1 KR 1005547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ring
shaft
tripping
holder
ca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678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정주
Original Assignee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678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5470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547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5470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73/00Protective overload circuit-breaking switches in which excess current opens the contacts by automatic release of mechanical energy stored by previous operation of a hand reset mechanism
    • H01H73/02Detai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33/00High-tension or heavy-current switches with arc-extinguishing or arc-preventing means
    • H01H33/02Details
    • H01H33/04Means for extinguishing or preventing arc between current-carrying parts
    • H01H33/12Auxiliary contacts on to which the arc is transferred from the main contacts
    • H01H33/121Load break switch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71/00Details of the protective switches or relays covered by groups H01H73/00 - H01H83/00
    • H01H71/10Operating or release mechanisms
    • H01H71/50Manual reset mechanisms which may be also used for manual release
    • H01H71/505Latching devices between operating and release mechanism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71/00Details of the protective switches or relays covered by groups H01H73/00 - H01H83/00
    • H01H71/10Operating or release mechanisms
    • H01H71/50Manual reset mechanisms which may be also used for manual release
    • H01H71/52Manual reset mechanisms which may be also used for manual release actuated by lever

Landscapes

  • Driving Mechanisms And Operating Circuits Of Arc-Extinguishing High-Tension Switch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3 포지션 부하개폐기 메커니즘의 트립부 축세구조에 관한 것으로, 동일한 한 개의 구동축에서 투입, 순시트립, 접지동작을 구현할 수 있는 조작기구(메커니즘)의 동작시 외부돌출 및 설치공간 제약을 제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를 위한 본 발명에 의한 3 포지션 부하개폐기 메커니즘의 트립부 축세구조는 제 1 샤프트(1), 캠(2), 라체트휠(3)로 구성되어 메커니즘 열림 위치 유지, 스프링 축세를 위한 회전, 및 트립시 구동캠(4)을 밀어주는 역할을 하는 메인회전부와, 상기 메인회전부와 링크홀더(15) 및 링크(16)로 연결되어 투입스프링(6) 및 트립토션스프링(30)을 축세하고 고정 유지 시키는 스프링 축세부와, 상기 스프링 축세부의 스프링 탄력과 상기 메인회전부의 캠(2)에 의해 구동캠(4)과 메인샤프트(20)를 회전시켜 투입 열림 접지동작을 구현하는 동력전달부와, 그 외에 부하개폐기 투입상태에서 상기 메인회전부를 트립대기 할 수 있도록 하는 래치(17), 접지동작시 가이드핀(25)을 회전시켜 접지스프링(14)을 축세할 수 있도록 제 1 내지 제 3 접지링크(22-24)로 구성된 접지동작부와, 상기 접지스프링(14)을 축세하고 고정할 수 있도록 제 3 내지 제 5 홀더(11-13)로 구성된 접지스프링 홀더부 및 이들 부품들을 고정 유지시키는 플레이트류를 포함하는 3 포지션 부하개폐기 메커니즘의 트립부 축세구조에 있어서, 상기 트립토션스프링(30)은 양끝단이 각각 중간 플레이트(31)와 후면 플레이트(32)에 구속되어 있고 중앙부분은 제 6 홀더(33)와 밀착 구성되며, 상기 제 6 홀더(33)는 제 2 샤프트(19)의 회전력으로 상기 투입스프링(6)과 상기 트립토션스프링(30)을 동시에 축세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3 포지션 부하개폐기 메커니즘의 트립부 축세구조{PRINTING IN SMALLER TYPE STRUCTURE OF TRIP PART OF 3-POSITION LOAD BREAK SWITCH MECHANISM}
도 1 내지 도 5는 종래의 부하개폐기 메커니즘을 나타낸 구조도로서,
도 1a는 종래의 트립 메커니즘의 구조도이고,
도 1b는 도 1a의 평면도이고,
도 1c는 도 1a의 배면도이며,
도 2a는 도 1a의 전면커버(27)를 제거한 트립 메커니즘의 구조도이고,
도 2b는 도 2a의 평면도이며,
도 3a는 도 2a의 중간 플레이트(31)를 제거한 트립 메커니즘의 구조도이고,
도 3b는 도 3a의 평면도이며,
도 4a는 도 3a의 투입스프링(6)을 제거한 트립 메커니즘의 구조도이고,
도 4b는 도 4a의 평면도이며,
도 5a는 도 4a의 링크홀더(15)와 링크(16)를 제거한 트립 메커니즘의 구조도이고,
도 5b는 도 5a의 평면도이며,
도 6은 종래의 트립 메커니즘의 투입 및 열림 동작을 나타낸 동작도
도 7은 종래의 트립 메커니즘의 열림 및 접지 동작을 나타낸 동작도
도 8a 및 도 8b는 종래 기술에 따른 부하개폐기 메커니즘의 문제점을 설명하기 위한 동작도 및 사진도
도 9a 내지 도 9d는 본 발명에 의한 3 포지션 부하개폐기 메커니즘의 트립부 축세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분해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에 의한 3 포지션 부하개폐기 메커니즘의 트립부 축세구조의 열림 및 투입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동작도
도 11은 본 발명에 의한 트립토션스프링(30)의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제 1 샤프트 2 : 캠
3 : 라체트휠 4 : 구동캠
5 : 트립스프링 6 : 투입스프링
7 : 제 1 홀더 8 : 힌지
9 : 접지판 10 : 제 2 홀더
11 : 제 3 홀더 12 : 제 4 홀더
13 : 제 5 홀더 14 : 접지스프링
15 : 링크홀더 16 : 링크
17 : 래치 18 : 스프링홀더
19 : 제 2 샤프트 20 : 메인 샤프트
21 : 인디케이터 22 : 제 1 접지링크
23 : 제 2 접지링크 24 : 제 3 접지링크
25 : 가이드핀 26 : 중간판
27 : 전면커버 28 : 후면커버
29 : 트립스프링 가이드 30 : 트립토션스프링
31 : 중간 플레이트 32 : 후면 플레이트
33 : 제 6 홀더
본 발명은 부하개폐기 메커니즘(Load Break Switch Mechanism)에 관한 것으로, 특히 동일한 한 개의 구동축에서 투입, 순시트립, 접지동작을 구현할 수 있는 3 포지션(position) 부하개폐기 메커니즘의 트립부 축세구조에 관한 것이다.
발전소에서 약 20,000V 정도의 전압으로 만들어진 전기는 송전에 적합한 초 고압으로 승압 되어 1차 변전소로 송전된다. 1차 변전소에서는 공급 받은 전력을 22.9kV로 강하 시켜 2차 변전소 또는 각 수용가로 공급하게 된다. 1차 변전소로부터 공급된 전력은 가공배전선과 지중 배전선으로 구성된 배전계통을 통하여 각 수용가의 수전설비로 공급되어지며 특고수용가, 고압수용가 및 각종 옥외설치 변압기를 통하여 저압 수용가에 까지 공급된다. 이 때 고압 수용가 수배전반(수전설비)의 선로구분, 분기 및 변압기 1차측 보호를 목적으로 부하개폐기가 사용되고, 현재 는 공기를 절연소재로 사용한 공기절연 부하개폐기가 널리 사용되고 있지만, 점차적으로 개폐 신뢰성을 높이기 위해 SF6 가스를 절연소재로 사용한 SF6 가스 절연 부하개폐기의 수요가 증가되는 추세이다. 본 발명은 SF6 가스 절연 부하개폐기에 적용되는 3-포지션 부하개폐기 메커니즘(조작기구)의 트립부 축세구조에 관한 것이다. 그러면,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종래의 부하개폐기 메커니즘의 트립부 축세구조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도 1 내지 도 5는 종래의 부하개폐기 메커니즘을 나타낸 구조도로서, 도 1a는 종래의 트립 메커니즘의 구조도이고, 도 1b는 도 1a의 평면도이고, 도 1c는 도 1a의 배면도이며, 도 2a는 도 1a의 전면커버(27)를 제거한 트립 메커니즘의 구조도이고, 도 2b는 도 2a의 평면도이며, 도 3a는 도 2a의 중간 플레이트(31)를 제거한 트립 메커니즘의 구조도이고, 도 3b는 도 3a의 평면도이며, 도 4a는 도 3a의 투입스프링(6)을 제거한 트립 메커니즘의 구조도이고, 도 4b는 도 4a의 평면도이며, 도 5a는 도 4a의 링크홀더(15)와 링크(16)를 제거한 트립 메커니즘의 구조도이고, 도 5b는 도 5a의 평면도이다. 그리고, 도 6은 종래의 트립 메커니즘의 투입 및 열림 동작을 나타낸 동작도이고, 도 7은 종래의 트립 메커니즘의 열림 및 접지 동작을 나타낸 동작도이다.
종래기술의 구성은 제 1 샤프트(1), 캠(2), 라체트휠(3)로 구성되어 메커니즘 열림 위치 유지, 스프링 축세를 위한 회전, 및 트립시 구동캠(4)을 밀어주는 역할을 하는 메인회전부와, 상기 메인회전부와 링크홀더(15) 및 링크(16)으로 연결되어 투입 및 트립스프링(6)(5)을 축세하고 고정 유지시키는 스프링 축세부와, 상기 스프링 축세부의 스프링 탄력과 상기 메인회전부의 캠(2)에 의해 구동캠(4)와 메인샤프트(20)를 회전시켜 투입 열림 접지동작을 구현하는 동력전달부와, 그 외에 부하개폐기 투입 상태에서 상기 메인회전부를 트립대기 할 수 있도록 하는 래치(17)와, 접지동작시 가이드핀(25)을 회전시켜 접지스프링(14)을 축세할 수 있도록 제 1 내지 제 3 접지링크(22-24)로 구성된 접지동작부와, 상기 접지스프링(14)를 축세하고 고정할 수 있도록 제 3 내지 제 5 홀더(11-13)로 구성된 접지스프링 홀더부 및 이들 부품들을 고정 유지시키는 플레이트류로 구성된다.
상기 구성을 갖는 종래의 부하개폐기 메커니즘의 동작은 다음과 같다.
1) 주회로 투입동작(도 2, 도 3 및 도 6 참조)
상기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메인회전부는 제 1 샤프트(1)에 캠(2)과 라체트휠(3)에 고정되어 회전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상기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작기구로 제 1 샤프트(1)를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링크홀더(15)와 링크(16)를 통해서 회전력이 스프링축세부로 전달되어 - 링크홀더(15), 제 2 샤프트(19), 제 1 홀더(7)는 한 몸체로 제 2 샤프트(19)를 중심으로 회전한다 - 제 1 홀더(7) 또한 시계 방향으로 회전되며, 제 1 홀더(7)와 제 2 홀더(10)사이에 설치된 투입스프링(6)은 인장되어 구동캠(4)을 메인샤프트(20)를 중심으로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킬 축세력을 갖게된다.
이 때, 구동캠(4)은 캠(2)의 외경원주에 구속되어 회전하지 않으며, 캠(2)은 구동캠(4)을 슬라이딩하면서 회전하고 캠(2)의 회전에 따라 투입스프링(6)의 인장이 증가한다. 또한 제 1 홀더(7)의 회전에 따라 트립스프링 가이드(29), 스프링홀 더(18)에 구속된 트립스프링(5)도 압축되어 축세되고 캠(2)은 외경이 사라지는 "B" 위치{도 6의 (c) 참조}에서 구동캠(4)의 구속을 해제한다. 이때 인장된 투입스프링(6)의 축세력은 제 2 홀더(10)를 통해 구동캠(4)에 전달되고 도 6에서와 같이 구동캠(4)은 시계방향으로 45˚회전하여 투입동작이 완료된다.
투입동작 완료시 링크(16)은 제 2 샤프트(1)의 중심을 통과하여 위치하므로 링크홀더(15)를 통해서 링크홀더(15)가 복귀되는 방향(f)으로 작용하는 트립스프링(5)의 축세력을 제 2 샤프트(19)가 시계방향으로 계속 회전할수 있도록 인가한다. 이때 제 2 샤프트(19)는 래치(17)와 접하게 되어 구속되므로 트립대기 상태로 유지된다.
(2) 주회로 트립(열림)동작(도 2 및 도 6 참조)
트립 동작은 투입 동작의 역순으로 진행된다.
트립대기 상태에서 제 2 샤프트(19)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계방향의 회전력(F)이 작용하고, 이 회전력은 래치(17)에 의해 구속되어 있으므로 트립동작은 래치(17)를 트립버튼을 사용하여 그림과 같이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제 1 샤프트(1)가 구속해제되어 링크홀더(15)와 링크(16)를 통해 전달된 트립스프링(5)의 축세력으로 시계방향으로 회전한다. 이 때 제 1 샤프트(1)와 일체화되어 회전하는 캠(2)의 “A” 부위{도 6의 (c) 참조}가 회전하며 구동캠(4)의 “C”부위를 회전가속력으로 밀어주어 구동캠(4)을 반시계 방향으로 45˚회전시켜 트립(열림)동작을 완료시킨다. 열림위치에서 구동캠(4)은 제 2 홀더(10)에 작용하는 투입스프링(6) 의 일정한 힘과 캠(2)의 외경원주에 구속되어 일정한 트립(열림) 위치를 갖는다.
(3) 접지 투입동작(도 2, 도 4, 도 5 및 도 7 참조)
접지 투입동작은 조작봉을 이용하여 제 1 접지링크(22)를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제 2 접지링크(23)를 통해 제 3 접지링크(24)도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이 때 제 3 접지링크(24)는 회전하면서 가이드핀(25)을 반시계 방향으로 밀어주며, 이 가이드핀(25)는 메인샤프트(20)을 중심으로 제 3 홀더(11)를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고,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지스프링(14)의 축세력을 전달시켜 구동캠(4)를 반시계 방향으로 45˚회전시킴으로써 접지투입동작을 완료시킨다.
(4) 접지 열림동작(도 2, 도 4, 도 5 및 도 7 참조)
접지 열림동작은 투입동작의 역순으로 진행한다. 조작봉을 이용하여 제 1 접지링크(22)를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제 2 접지링크(23)를 통해 제 3 접지링크(24)도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이 때 제 3 접지링크(24)는 회전하면서 가이드핀(25)을 시계 방향으로 밀어주며, 이 가이드핀(25)는 메인샤프트(20)을 중심으로 제 3 홀더(11)를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고,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지스프링(14)을 압축하며 구동캠(4)을 시계 방향으로 45˚회전시켜 접지열림동작을 완료시킨다.
그러나, 상기 구성을 갖는 종래 기술에 따른 부하개폐기 메커니즘의 트립부 축세구조는 도 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에 트립스프링(5)과 축세를 위한 스프링홀더(18)와 트립스프링 가이드(29)가 돌출되어 설치시의 공간 제약을 발생하며, 또한 투입시 트립스프링(5)의 축세를 위해 트립스프링 가이드(29)가 돌출되어 상부의 불필요한 설치공간이 추가로 필요하였다. 특히 소형의 기기 집약형 판넬 구성시에 설치공간을 제약하므로써 불필요하게 판넬의 크기를 키우거나 상부에 설치되는 기기나 배선과의 간섭이 발생된다.(도 8b의 사진 참조)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동일한 한 개의 구동축에서 투입, 순시트립, 접지동작을 구현할 수 있는 조작기구(메커니즘)의 동작시 외부돌출 및 설치공간 제약을 제거한 3 포지션 부하개폐기 메커니즘의 트립부 축세구조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3 포지션 부하개폐기 메커니즘의 트립부 축세구조는,
제 1 샤프트, 캠, 라체트휠로 구성되어 메커니즘 열림 위치 유지, 스프링 축세를 위한 회전, 및 트립시 구동캠을 밀어주는 역할을 하는 메인회전부와, 상기 메인회전부와 링크홀더 및 링크로 연결되어 투입스프링 및 트립토션스프링을 축세하고 고정 유지 시키는 스프링 축세부와, 상기 스프링 축세부의 스프링력과 상기 메인회전부의 캠에 의해 구동캠과 메인샤프트를 회전시켜 투입 열림 접지동작을 구현 하는 동력전달부와, 그 외에 부하개폐기 투입상태에서 상기 메인회전부를 트립대기 할 수 있도록 하는 래치, 접지동작시 가이드핀을 회전시켜 접지스프링을 축세할 수 있도록 제 1 내지 제 3 접지링크로 구성된 접지동작부와, 상기 접지스프링을 축세하고 고정할 수 있도록 제 3 내지 제 5 홀더로 구성된 접지스프링 홀더부 및 이들 부품들을 고정 유지시키는 플레이트류를 포함하는 3 포지션 부하개폐기 메커니즘의 트립부 축세구조에 있어서,
상기 트립토션스프링은 양끝단이 각각 중간 플레이트와 후면 플레이트에 구속되어 있고 중앙부분은 제 6 홀더와 밀착 구성되며, 상기 제 6 홀더는 제 2 샤프트의 회전력으로 상기 투입스프링과 상기 트립토션스프링을 동시에 축세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9a 내지 도 9d는 본 발명에 의한 3 포지션 부하개폐기 메커니즘의 트립부 축세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분해 사시도이다.
상기 도 9a 내지 도 9d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구성은 제 1 샤프트(1), 캠(2), 라체트휠(3)로 구성되어 메커니즘 열림 위치 유지, 스프링 축세를 위한 회전, 및 트립시 구동캠(4)을 밀어주는 역할을 하는 메인회전부와, 상기 메인회전부와 링크홀더(15) 및 링크(16)로 연결되어 투입스프링(6) 및 트립토션스프링(30)을 축세하고 고정 유지 시키는 스프링 축세부와, 상기 스프링 축세부의 스프링 탄력과 상기 메인회전부의 캠(2)에 의해 구동캠(4)과 메인샤프트(20)를 회전시켜 투입 열림 접지동작을 구현하는 동력전달부와, 그 외에 부하개폐기 투입상태에서 상기 메인회전부를 트립대기 할 수 있도록 하는 래치(17), 접지동작시 가이드핀(25)을 회전시켜 접지스프링(14)을 축세할 수 있도록 제 1 내지 제 3 접지링크(22-24)로 구성된 접지동작부와, 상기 접지스프링(14)을 축세하고 고정할 수 있도록 제 3 내지 제 5 홀더(11-13)로 구성된 접지스프링 홀더부 및 이들 부품들을 고정 유지시키는 플레이트류로 구성된다.
그리고, 양끝단이 각각 중간 플레이트(31)와 후면 플레이트(32)에 구속되어 있고 중앙부분은 제 6 홀더(33)와 밀착된 트립토션스프링(3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 10은 본 발명에 의한 3 포지션 부하개폐기 메커니즘의 트립부 축세구조의 열림 및 투입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동작도이다.
먼저, 주회로 투입동작에 대해 상기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메인회전부의 제 1 샤프트(1)는 캠(2)과 라체트휠(3)에 고정되어 회전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작기구로 제 1 샤프트(1)를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면 링크홀더(15)와 링크(16)를 통해서 회전력이 스프링축세부로 전달되어 - 링크홀더(15), 제 1 샤프트(19), 제 6 홀더(33)는 한 몸체로 제 2 샤프트(19)를 중심으로 회전한다 - 제 6 홀더(33) 또한 시계방향으로 회전되며 제 6 홀더(33)과 제 2 홀더(10) 사이에 설치된 투입스프링(6)은 인장되어 구동캠(4)을 메인샤프트(20)를 중심으로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킬 축세력을 갖게 된다.
이 때 구동캠(4)은 캠(2)의 외경 원주에 구속되어 회전하지 않으며, 캠(2)은 구동캠(4)을 슬라이딩하면서 회전하고 캠(2)의 회전에 따라 투입스프링(6)의 인장이 증가한다. 또한 제 6 홀더(33)의 회전에 따라 트립토션스프링(30)은 양끝단이 중간 플레이트(31)와 후면 플레이트(32)에 구속되고 중앙부만 회전하므로 회전토르크력을 축세한다. 캠(2)는 외경이 사라지는 “B” 위치에서 구동캠(4)의 구속을 해제한다. 이때 인장된 투입스프링(6)의 축세력은 제 2 홀더(10)를 통해 구동캠(4)에 전달되고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캠(4)은 시계 방향으로 45˚회전하여 투입동작이 완료된다.
투입동작 완료시 링크(16)는 제 2 샤프트(19)의 중심을 통과하여 위치하므로 링크홀더(15)를 통해서 링크홀더(15)가 복귀되는 방향(f)으로 작용하는 트립토션스프링(30)의 축세력을 제 2 샤프트(19)가 시계 방향으로 계속 회전할 수 있도록 인가한다. 이때 제 2 샤프트(19)는 래치(17)와 접하게 되어 구속되므로 트립대기 상태로 유지된다.
다음은, 주회로의 트립(열림) 동작에 대해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트립 동작은 투입 동작의 역순으로 진행된다.
트립대기 상태에서 제 1 샤프트(1)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계방향의 회전력(F)이 작용하고, 이 회전력은 래치(17)에 의해 구속되어 있으므로 트립동작은 래치(17)을 트립버튼을 사용하여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제 1 샤프트(1)가 구속해제되어 링크홀더(15)와 링크(16)를 통해 전달된 트립토션스프링(30)의 축세력으로 시계방향으로 회전한다. 이 때 제 1 샤프트(1)와 일체화되어 회전하는 캠(2) 의 “A” 부위가 회전하며, 구동캠(4)의 “C”부위를 회전가속력으로 밀어주어 구동캠(4)를 반시계 방향으로 45˚회전시켜 트립(열림)동작을 완료시킨다.
열림위치에서 구동캠(4)는 제 2 홀더(10)에 작용하는 투입스프링(6)의 일정한 힘과 캠(2)의 외경원주에 구속되어 일정한 트립(열림)위치를 갖는다.
접지 투입동작 및 열림동작은 종래와 동일하다.
도 11은 본 발명에 의한 트립토션스프링(30)의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트립토션스프링(30)은 양끝단(30a)(30b)이 각각 중간 플레이트(31)와 후면 플레이트(32)에 구속되도록 구성되어 있고, 스프링의 중간부분에 제 6 홀더(33)에 구속하기 위해 스프링의 길이 방향으로 평행하게 연장된 구속부(30c)를 구비하고 있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은 예시의 목적을 위해 개시된 것이며,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안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부가등이 가능할 것이며, 이러한 수정 변경 등은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3 포지션 부하개폐기 메커니즘의 트립부 축세구조에 의하면, 종래의 조작기구는 3-포지션 부하개폐기 메커니즘의 트립기능 구현을 위한 트립스프링 축세를 압축스프링을 이용하므로서 스프링홀더와 스프링 가이드가 요구되고 스프링설치 및 축세에 필요한 공간확보를 위해 상부의 돌출, 동작에 필요한 공간을 필요로 하였으나 본 발명에서는 트립기능을 위한 축세 를 토션스프링으로 구현하여 외부돌출 및 동작에 필요한 공간이 없이도 트립기능을 구현할 수 있다.

Claims (1)

  1. 제 1 샤프트(1), 캠(2), 라체트휠(3)로 구성되어 메커니즘 열림 위치 유지, 스프링 축세를 위한 회전, 및 트립시 구동캠(4)을 밀어주는 역할을 하는 메인회전부와, 상기 메인회전부와 링크홀더(15) 및 링크(16)로 연결되어 투입스프링(6) 및 트립토션스프링(30)을 축세하고 고정 유지 시키는 스프링 축세부와, 상기 스프링 축세부의 스프링 탄력과 상기 메인회전부의 캠(2)에 의해 구동캠(4)과 메인샤프트(20)를 회전시켜 투입 열림 접지동작을 구현하는 동력전달부와, 그 외에 부하개폐기 투입상태에서 상기 메인회전부를 트립대기 할 수 있도록 하는 래치(17), 접지동작시 가이드핀(25)을 회전시켜 접지스프링(14)을 축세할 수 있도록 제 1 내지 제 3 접지링크(22-24)로 구성된 접지동작부와, 상기 접지스프링(14)을 축세하고 고정할 수 있도록 제 3 내지 제 5 홀더(11-13)로 구성된 접지스프링 홀더부 및 이들 부품들을 고정 유지시키는 플레이트류를 포함하는 3 포지션 부하개폐기 메커니즘의 트립부 축세구조에 있어서,
    상기 트립토션스프링(30)은 양끝단이 각각 중간 플레이트(31)와 후면 플레이트(32)에 구속되어 있고 중앙부분은 제 6 홀더(33)와 밀착 구성되며, 상기 제 6 홀더(33)는 제 2 샤프트(19)의 회전력으로 상기 투입스프링(6)과 상기 트립토션스프링(30)을 동시에 축세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3 포지션 부하개폐기 메커니즘의 트립부 축세구조.
KR1020040067890A 2004-08-27 2004-08-27 3 포지션 부하개폐기 메커니즘의 트립부 축세구조 KR10055470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67890A KR100554702B1 (ko) 2004-08-27 2004-08-27 3 포지션 부하개폐기 메커니즘의 트립부 축세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67890A KR100554702B1 (ko) 2004-08-27 2004-08-27 3 포지션 부하개폐기 메커니즘의 트립부 축세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54702B1 true KR100554702B1 (ko) 2006-02-24

Family

ID=371791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67890A KR100554702B1 (ko) 2004-08-27 2004-08-27 3 포지션 부하개폐기 메커니즘의 트립부 축세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54702B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538650B1 (en) Isolator/circuit-breaker device for electric substations
US4278958A (en) Electromagnetically operated multi-pole circuit breaker
CA2627569A1 (en) Energy dissipating spring seat
US7718913B2 (en) Actuation by cylindrical CAM of a circuit-breaker for an alternator
US20080217153A1 (en) Insulating Body For a Medium-Voltage Switchgear Assembly
WO1995027295A1 (en) Circuit interrupter with spring charged operating mechanism including rotary cam and trip latch mechanism
JP4703616B2 (ja) ガス絶縁遮断器
KR100554702B1 (ko) 3 포지션 부하개폐기 메커니즘의 트립부 축세구조
KR100633761B1 (ko) 부하개폐기의 접점 조작장치
US8436264B2 (en) Power transmission mechanism for four poles circuit breaker
KR100831389B1 (ko) 수동 및 자동겸용의 부하개폐시스템
KR100830930B1 (ko) 변전설비 차단기
US20120212307A1 (en) Electromagnetically operated switching device
US6628494B2 (en) Protective device and system
US6989501B2 (en) Current limiting circuit breaker
US3906413A (en) Current-limiting device for low-voltage electrical power systems
KR200429022Y1 (ko) 가스절연 다회로 차단기용 접지조작기구
KR20000042114A (ko) 전력 기기용 링 메인 유니트의 접점 조작기구
US6362442B1 (en) Two-stage self adjusting trip latch
KR200446093Y1 (ko) 가스절연개폐장치의 진공차단기 링크구조
KR100492754B1 (ko) 개폐기의 접점 조작 장치
KR101879339B1 (ko) 배전반의 접지스위치
EP0795219A1 (en) Electric switching device
US8963035B2 (en) Electrical switching apparatus employing rotary contact assembly
KR101201712B1 (ko) 3-포지션 부하개폐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11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21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