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54617B1 - 지능형 인체감지 열선 센서 장치 - Google Patents

지능형 인체감지 열선 센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54617B1
KR100554617B1 KR1020050046464A KR20050046464A KR100554617B1 KR 100554617 B1 KR100554617 B1 KR 100554617B1 KR 1020050046464 A KR1020050046464 A KR 1020050046464A KR 20050046464 A KR20050046464 A KR 20050046464A KR 100554617 B1 KR100554617 B1 KR 1005546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mperature
human body
sensor
alarm
electrical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464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대환
민경화
전웅철
하동완
Original Assignee
맥슨씨아이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맥슨씨아이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맥슨씨아이씨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464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5461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546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5461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3/00Burglar, theft or intruder alarms
    • G08B13/18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 G08B13/189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 G08B13/19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using infrared-radiation detection systems
    • G08B13/191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using infrared-radiation detection systems using pyroelectric sensor mea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3/00Burglar, theft or intruder alarms
    • G08B13/18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 G08B13/189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 G08B13/194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using image scanning and comparing systems
    • G08B13/196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using image scanning and comparing systems using television cameras
    • G08B13/19617Surveillance camera constructional details
    • G08B13/19626Surveillance camera constructional details optical details, e.g. lenses, mirrors or multiple lens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rglar Alarm Systems (AREA)
  • Photometry And Measurement Of Optical Pulse Characteristics (AREA)

Abstract

인체의 이동 속도에 따른 주파수 반응도 및 주변 온도 변화를 인지하여 정확하게 침입자를 감지할 수 있는 지능형 인체감지 열선 센서 장치를 개시한다. 본 발명은 마이크로 콘트롤러를 이용하여 입력신호를 디지털 값인 주기와 진폭의 형태로 변환하고 각 주기에 적합한 경계값을 찾아내어 수신된 신호와 경계값 사이의 비교를 통해 침입자의 검출 여부를 판단한다. 또한, 온도 민감성을 극복하기 위해 서미스터와 저항으로 이루어진 온도 감지부를 두어 주변온도를 감지하고 그에 따라 열원체가 움직일 때 수신되는 적외선 에너지 변화량을 보정함으로써 보다 정확하게 침입자를 감지 할 수 있다.
인체감지 열선 센서, 초전형 센서, 온도 감지부

Description

지능형 인체감지 열선 센서 장치{Passive Infrared Intrusion Detector}
도 1은 종래의 인체감지 열선 센서 장치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2는 초전형 센서의 주파수증가에 따른 반응도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3a는 종래의 인체감지 열선 센서 장치에서 인체의 이동 각속도가 느린 경우의 경보발생 판단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b는 종래의 인체감지 열선 센서 장치에서 인체의 이동 각속도가 빠른 경우의 경보발생 판단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서미스터의 온도증가에 따른 저항 값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체감지 열선 센서 장치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6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체감지 열선 센서 장치에서 인체의 이동 각속도가 느린 경우의 경보발생 판단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체감지 열선 센서 장치에서 인체의 이동 각속도가 빠른 경우의 경보발생 판단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은 인체감지 열선 센서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 인체의 이동 속도에 따른 주파수 반응도 및 주변 온도 변화를 인지하여 정확하게 침입자를 감지할 수 있는 지능형 인체감지 열선 센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인체감지 열선 센서 장치는 침입자 경보용으로 널리 이용되는데, 이는 인체에서 발생되는 약 7~14㎛ 정도의 긴 파장을 가진 적외선에 반응을 하는 원리로 동작된다. 상기 센서 장치는 상기 파장에 대에 반응을 하여 전기적인 출력을 발생시키는 초전형 센서(Pyroelectric Sensor)를 포함하고 상기 초전형 센서로부터 발생된 전기적 출력은 신호 증폭기를 통해 큰 신호로 증폭되며 이후 신호감지 회로 및 알고리즘을 통해 침입자 여부를 판단하여 이를 외부에 알리게 된다.
도 1은 종래의 인체감지 열선 센서 장치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종래의 인체감지 열선 센서 장치는 프레넬 렌즈부(10), 초전형 센서(20), 대역통과 증폭부(30), 경계값 비교기(40) 및 경보 발생기(50)로 구성된다.
종래의 인체감지 열선 센서의 동작을 간략히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프레넬 렌즈부(10)는 인체에서 방사되는 적외선을 집광하여 상기 초전형 센서(20)로 전달한다. 이후, 초전형 센서(20)는 상기 집광된 적외선 에너지에 반응하여 전기적 신호를 출력하게 된다. 상기 초전형 센서(20)에서 출력된 전기적 신호는 대역통과 증폭부(30)에서 증폭되어 상기 경계값 비교기(40)로 인가된다. 따 라서, 상기 경계값 비교기(40)는 미리 설정된 기준 경계값과 상기 대역통과 증폭부(30)에서 증폭된 신호를 비교하여 기준 경계값을 넘었는지 아닌지의 유/무를 판단하고, 기준 경계값을 넘었을 경우 상기 경보 발생기(50)에서 경보음이 발생되고 그렇지 않은 경우 경보음이 발생되지 않는다.
그러나, 종래의 인체감지 열선 센서 장치는 여러 가지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갑작스럽게 주변의 온도가 올라가거나 떨어지는 경우, 상기 초전형 센서(20)는 이러한 온도변화에 반응하여 전기적 신호를 출력하게 되고 이로 인하여 의도하지 않은 오경보가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일반적으로 이러한 외부적 요인으로 인한 오경보를 최소화 하기위해 초전형 센서(20)는 내부의 초전 소자(Pyroelectric Element)를 두개 채용하게 된다. 즉, 두개의 초전소자는 서로 다른 극성으로 연결이 되어 있으며, 의도하지 않은 열에너지가 두개의 초전 소자로 유입될 경우 두개의 초전 소자는 서로 다른 극성으로 전기적 신호를 출력하게 된다. 따라서 최종적인 전기적 신호 출력은 서로 다른 극성의 신호 출력으로 인해 상쇄되고 이와 같은 방식으로 외부 환경적 잡음 요인을 어느 정도 극복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서로 다른 극성의 두개의 초전 소자를 초전형 센서에 채용함으로써, 감지영역에서 인체가 움직이면, 시간의 차이를 두고 두개의 초전 소자에서 초전 현상이 발생하게 되고, 증폭단을 거쳐 최종출력신호는 기준전위를 중심으로 서로 다른 방향의 신호 전압이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최종출력신호가 정해져 있는 경계값을 넘어서느냐 그렇지 않느냐로 유효/무효 여부를 판단하고 유효 신호 가 두개 이상일 경우 인체가 감지되었음을 외부로 알리게 된다.
일반적으로, 인체를 감지하는 데에는 ① 인체와 센서 장치와의 거리 ② 센서 장치에 대한 인체의 각속도 ③ 주변의 온도 등의 요소가 중요하다.
먼저, 인체와 센서 장치와의 거리는 멀수록 발생하는 신호 전압의 크기는 작아지고, 가까울수록 신호 전압의 크기는 커진다. 이는 인체가 가까이 있을 때의 적외선 에너지가 멀리 있을 때보다 크기 때문이다. 인체와 센서장치의 거리와 신호 전압과의 관계는 제곱에 반비례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다음으로 인체의 각속도를 살펴보면, 하나의 프레넬 렌즈는 두개의 초전 소자에 의해 서로 다른 극성의 두 감지 영역을 만드는데, 이 두 감지 영역은 서로 인접해 있으며 인체의 각속도에 따라 신호 출력에서 나타나는 파형의 주파수가 달라지게 된다. 즉, 각속도가 빠르면 빠를수록 신호 출력에서 두 극점은 인접하고, 각속도가 느리면 두 극점은 멀어진다. 각속도와 신호출력의 주파수 사이에는 비례관계가 성립하게 된다.
마지막으로, 주변의 온도가 달라질 경우 출력전압의 크기는 극적으로 변한다. 인체의 온도는 1년 4계절 크게 변화하지 않으나 주변의 온도는 영하 20도에서 심지어 영상 40도까지 변화하게 된다. 초전 소자의 특성을 수식적으로 표현하면 온도의 차이에 비례적으로 반응함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주변온도가 0도 일 때의 반응 출력과 주변온도가 20도일 때의 반응 출력은 큰 차이가 나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경우 약 3배의 차이까지도 발생할 가능성이 있다.
상기 인체를 감지하는데 중요한 3가지 요소 중 ①과②는 초전형 센서(20)에 서 출력되는 전기적 신호가 상기 대역통과 증폭부(30)에서 증폭되어 최종적으로 경계값 비교기로 입력되는 최종 신호의 주파수 특성과 매우 밀접한 관계가 있다. 특히, 상기 최종 신호의 주파수 특성은 초전형 센서의 영향을 가장 크게 받는다. 이는 도 2의 그래프에 잘 나타나 있다.
도 2는 초전형 센서의 주파수증가에 따른 반응도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0.1Hz 근방에서 초전형 센서의 반응도가 최대이고, 주파수가 높아질수록 반응도는 떨어지는 것을 볼 수 있다. 10Hz에 이르면 0.1Hz에 비해 20dB(10배)가 넘는 차이가 나게 된다. 이는 인체이동속도 (약 0.3m/s~1.5m/s)에 대해 출력신호의 주파수를 구해보면, 대략 0.3Hz에서 3Hz 정도로 형성이 되며 이는 주파수가 높아지면 높아질수록 출력신호의 크기는 현저하게 작어진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리고, 같은 속도로 움직이는 인체에 대해서 원거리와 근거리에 대해 각속도를 구해보면 근거리의 경우가 훨씬 각속도가 크게 나오고 따라서, 근거리에서의 주파수 반응도가 떨어지게 됨을 알 수가 있다. 종래의 인체감지 열선 센서 장치들은 이러한 각속도 및 주파수와 출력전압간의 상관관계를 전혀 고려하지 않고 단순히 일정한 경계값을 초과하였을 경우 유효한 것으로 판정을 내리기 때문에 불필요한 오경보/미경보가 수시로 발생하게 되는 것이다. 이를 도면으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도 3a는 종래의 인체감지 열선 센서 장치에서 인체의 이동 각속도가 느린 경우의 경보발생 판단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3b는 종래의 인체감지 열선 센서 장치에서 인체의 이동 각속도가 빠른 경우의 경보발생 판단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a 및 도 3b를 참조하면, 인체의 이동 각속도가 느린 경우, 도 2의 초전형 센서 주파수 반응도에서 주파수가 작은 쪽에 해당함으로 도 3a와 같이 출력히 비교적 크게 나오고, 그에 따라 경계값 적용 방법에서는 충분히 유효한 경보가 발생하게 된다. 하지만, 인체의 이동 각속도가 빠른 경우는 주파수 반응도에서 주파수가 높은 쪽에 해당하고 도 3b와 같이 미약한 신호가 발생하므로 경계값 적용 방식에서는 유효한 경보가 발생하지 않는다. 위와 같이 같은 인체이지만, 이동속도에 따라서 경보음 발생 여부가 달라지게 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인체를 감지하는데 중요한 3가지 요소 중 ③과 관련하여 종래의 인체감지 열선 센서 장치는 겨울철에 민감한 반응으로 인한 오경보가 발생되고, 여름철에는 둔감해져 미감지가 발생할 우려가 커진다. 일반적으로 이에 대한 대책으로 대역통과 증폭부에 서미스터(thermistor)를 달아 증폭률을 변화시키는 방법을 사용한다. 일반적으로 서미스터는 일반금속과 달리 온도가 높아지면 저항값이 감소하는 부저항온도계수의 특성을 가지는데, 이를 NTC(Negative Temperature Coefficient Thermistor)라 한다.
도 4는 서미스터의 온도증가에 따른 저항 값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서미스터는 온도가 증가하면 저항 값이 감소하고, 온도가 낮으면 저항 값이 증가함을 알 수 있다. 또한, 서미스터는 온도가 증가함에 따라 선형적으로 저항 값이 감소되는 것이 아니라 비선형적으로 감소되는 특성을 가지고 있다. 결국, 상기 서미스터는 온도에 대해 비선형적인 저항 변화 특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종래와 같이 대역통과 증폭부에 상기 서미스터를 단다고 해도 어느 정도의 온도에 대한 보상은 되지만 온도와 신호 출력 전압간의 선형성이 떨어지기 때문에 정확한 온도 보상은 힘들다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침입자의 이동속도에 선형적으로 반응하고, 감지거리에 따른 편차를 줄이며, 외부온도의 영향으로 인한 오경보/미경보를 최소한으로 하는 신뢰성 있는 인체감지 열선 센서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고자 본 발명의 인체감지 열선 센서 장치는 인체에서 발생하는 적외선을 집광하는 프레넬 렌즈부; 상기 프레넬 렌즈부에서 집광된 적외선을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는 초전형 센서; 상기 초전형 센서에서 발생되는 전기적 신호를 증폭하기 위한 대역통과 증폭부; 서미스터와 저항으로 구성되며, 외부의 온도를 감지하여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는 온도 감지부; 상기 대역통과 증폭부에서 증폭된 인체감지 신호 및 상기 온도 감지부로부터 입력받은 전기적 신호를 각각 디지털 값으로 변환하고 연산하며, 미리 저장된 경계값 테이블과 비교하여 경보 발생 여부를 결정하는 마이크로 콘트롤러; 및 상기 마이크로 콘트롤러에서 경보 발생 신 호를 인가하는 경우 경보를 외부로 전달하여 주는 경보 발생기를 포함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체감지 열선 센서 장치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인체감지 열선 센서 장치는 프레넬 렌즈부(100), 초전형 센서(200), 대역통과 증폭부(300), 온도 감지부(400), 마이크로 콘트롤러(500) 및 경보 발생기(600)로 구성된다.
상기 프레넬 렌즈부(100)는 집광렌즈의 하나로서, 방이나 사무실과 같은 정해진 영역내의 인체를 감지하기 위한 것으로써, 거울과 같은 것을 이용해 정해진 영역에서 나오는 적외선 에너지를 집광한다. 상기 프레넬 렌즈부(100)는 분리된 여러 개의 작은 프레넬 렌즈들로 이루어져 있고 각각의 렌즈들은 정해진 감지범위를 가지며, 각 감지범위 사이에는 감지되지 않는 영역(Dead Zone)이 존재한다. 인체가 미감지 영역(Dead Zone)을 지나 감지 영역에 들어서게 되는 순간 해당 영역을 관장하는 프레넬 렌즈에서 인체에서 방사되는 적외선을 후술할 초전형 센서(200)로 집광한다.
상기 초전형 센서(200)는 상기 프레넬 렌즈부(100)에서 집광된 적외선 에너지를 전기적 신호로 전환한다. 초전형 센서(200)는 내부의 초전 소자(Pyroelectric Element)를 2개 가지고 있으며, 이들은 서로 다른 극성으로 연결이 되어 있으며, 열에너지가 2개의 초전 소자로 유입될 경우 2개의 초전 소자는 서로 다른 극성으로 전기적 신호를 출력하게 된다.
상기 대역통과 증폭부(300)는 상기 초전형 센서(200)에서 발생된 미약한 전기적 신호를 분석 가능한 큰 신호로 증폭하기 위한 것으로서, 2단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대역통과 증폭부(300)는 주위 온도가 높아지면 증폭률을 크게 하고, 주위 온도가 낮아지면 증폭률을 적게 하기 위한 서미스터를 가진다.
상기 온도 감지부(400)는 외부의 온도를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는 서미스터(Themistor)와 저항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온도 감지부(400)의 역할에 대하여는 후술하기로 한다.
상기 마이크로 콘트롤러(500)는 상기 대역통과 증폭부(300)에서 증폭된 아날로그 전기적 신호 및 상기 온도 감지부에서 변환된 전기적 신호를 디지털값으로 변환하고 이를 미리 메모리에 저장된 경계값들과 비교하여 경보 발생 유/무 신호를 출력한다. 상기 마이크로 콘트롤러(500)의 기능과 역할에 대하여도 후술하기로 한다.
상기 경보 발생기(600)는 상기 마이크로 콘트롤러(500)에서 판단한 경보 발생 유/무 신호에 따라 외부로 경보를 전달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체감지 열선 센서 장치의 마이크로 콘트롤러(500)에서 증폭된 신호의 주기를 검출하고 경보 경계값을 적용하는 방법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도 6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체감지 열선 센서 장치에서 인체의 이동 각속도가 느린 경우의 경보발생 판단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6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체감지 열선 센서 장치에서 인체의 이동 각속도가 빠른 경우의 경보발생 판단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a 및 도 6b를 참조하면, 초전형 센서(200)에서 출력된 전기적 신호가 상기 대역통과 증폭부(300)에서 증폭되어 상기 마이크로 콘트롤러(500)에 입력되면, 상기 마이크로 콘트롤러(500)는 입력된 신호의 진폭(극대값과 극소값의 차:Vd)과 극대값과 극소값 사이의 시간(Td)의 정보를 분석한다. 매 일정한 시간 간격으로(노이즈의 영향을 덜 받을 정도로 빠른 간격 예를 들면, 10ms의 시간 간격) 입력신호를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ADC)를 통하여 디지털 값으로 변환하고, 변환된 이산값을 분석하여 매 극값이 발생하였을 경우 그 극값의 크기와 그때의 시간을 메모리에 기록한다.
상기 일정시간 내에 2개의 연속된 극값이 발생하였을 경우, 한 개의 이벤트(경보로 판단될 수 있는 유효한 사건)가 발생하였다고 판단하고, 이때의 극값의 진폭(Vd)과 시간차이(Td)를 이용하여 미리 메모리에 저장된 주기-경보경계값 테이블에서 적합한 경보 경계값을 찾아낸다.
따라서, 도 6a와 도 6b에 나타낸 바와 같이 경보 경계값이 일정하지 않고 입력되는 신호에 따라 경보 경계값은 변화된다. 그 결과, 인체의 이동 각속도의 변화에 최적의 경계값을 찾아 경보를 외부에 알려준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체감지 열선 센서 장치의 온도 감지부(400)에 따른 온도 보상 방법을 살펴보기로 한다.
먼저, 종래의 방법을 살펴보면, 일차적으로 대역통과 증폭부(300)의 증폭단에 서미스터(Thermistor)를 적용함으로써, 주변 온도에 따른 증폭률이 변화하게 한다. 상기 서미스터(NTC Thermistor)는 온도가 낮아지면 저항값이 커지고 온도가 높아지면 저항값이 낮아지는 특징이 있는데, 이를 이용하여 증폭률을 조정한다. 즉, 외부 온도가 낮을 때는 증폭률을 작게 함으로써 덜 민감하게 하며, 외부온도가 높을 때는 증폭률을 높게 함으로써 인체의 온도와 외부 온도와의 차이가 적더라도 민감하게 감지할 수 있게 한다. 그러나, 이렇게 증폭단을 설계한다고 하더라도 증폭률과 온도와의 관계가 선형적인 관계가 아니기 때문에 부가적인 보상장치가 필요하다.
따라서, 본 발명은 마이크로 콘트롤러(500)의 외부에 온도 감지부(400)를 장착하여 마이크로 콘트롤러(500)에서 지능적으로 온도에 대한 보상을 수행하게 한다. 먼저, 온도 감지부(400)에서 변환된 전압을 마이크로 콘트롤러(500)내의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ADC)를 통하여 디지털값으로 변환하고, 메모리에 저장된 온도와 온도계수 테이블을 참조하여 적당한 온도계수를 찾게 된다. 상기 온도계수 테이블은 대역통과 증폭부(300)를 통과한 온도-증폭률 관계를 기반으로 데이터베이스를 형성한다. 이 온도 계수는 구해진 인체감지 신호의 진폭에 곱해져 온도에 따른 편차를 보상하게 된다. 즉, 외부의 온도가 높을 때에는 이 온도 계수가 1 이상이 되고, 외부온도로 인해 작아진 진폭을 기준온도에 맞게 보상하고, 외부온도가 낮을 때는 1 미만으로 온도 계수를 설정하여 감지 센서를 덜 민감하게 보상한다. 결과적으로 상기와 같이 계산된 경보 경계값에 기반하여 인체감지 신호의 진폭에 온도 계 수를 곱하고 이를 상기 경보 경계값과 비교하여 경보 여부를 판단하게 되는 것이다.
상술한 본 발명의 인체감지 열선 센서 장치의 동작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프레넬 렌즈부(100)에서 인체에서 발생되는 적외선을 집광하고, 초전형 센서(200)에서는 집광된 적외선 에너지를 전기적 신호로 전환하며, 이 신호는 2단 대역통과 증폭부(300)를 지나 큰 전압으로 증폭된다. 온도감지부(400)에서는 외부온도를 전압으로 변환한다. 다음으로 마이크로 콘트롤러(500)는 상기 대역통과 증폭부(300)에서 증폭된 전압을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ADC)를 통해 이산값으로 변환하고 입력신호의 주파수와 진폭을 구하게 된다. 또한, 상기 마이크로 콘트롤러(500)는 상기 온도 감지기(400)에서 입력되는 전압을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ADC)를 통해 변환 후 이산값으로 현재의 온도를 계산하여 진폭의 크기를 보상한 뒤 현재 주파수와 온도에 적합한 경보 경계값을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는 테이블에서 구해낸다. 저장된 경보 경계값과 상기 진폭값을 비교하여 경보 여부를 판단하고, 경보로 판단될 경우 경보 발생기(600)를 통해 외부로 알리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체감지 열선 센서 장치는 마이크로 콘트롤러에 미리 저장된 주기-경보경계값 테이블을 이용하여 인체의 이동속도 및 근거리/원거리에 따른 감지성능 편차가 보상되며, 외부 온도 감지부를 두어 직접 외부온도에 따른 전압을 상기 마이크로 콘트롤러에 인가하고, 상기 마이크로 콘트롤러에 미리 저장된 온도-온도계수 테이블을 이용하여 외부온도 변화에 따른 감 지 성능저하를 보상하였다.
상기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은 초전형 센서의 주파수 특성과 외부 요인에 의해 발생하는 인체 이동속도에 따른 감지 성능편차, 외부온도 변화에 따른 감지 성능저하, 및 근거리/원거리의 감시 성능 편차 등의 문제들을 해결하여 최적의 경보 경계값을 산출하고, 신뢰성 있는 경보를 외부에 알리는 효과가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4)

  1. 인체감지 열선 센서에 있어서,
    상기 인체감지 열선 센서로 입사되는 적외선을 집광하는 프레넬 렌즈부;
    상기 프레넬 렌즈부가 집광한 적외선을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는 초전형 센서;
    상기 초전형 센서가 변환한 전기적 신호를 증폭하는 대역통과 증폭부;
    상기 인체감지 열선 센서 외부의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 감지부;
    상기 대역통과 증폭부에서 증폭된 전기적 신호를 상기 온도 감지부가 감지한 외부 온도에 따라 보상하고, 상기 보상된 값과 미리 저장된 경계값 테이블을 비교하여 경보 발생 신호를 출력하는 마이크로 콘트롤러; 및
    상기 마이크로 컨트롤러로부터 경보 발생 신호를 수신한 경우 경보를 외부로 전달하는 경보 발생기를 포함하는 인체감지 열선 센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대역통과 증폭부는,
    상기 인체감지 열선 센서 외부의 온도가 높은 경우 상기 전기적 신호의 증폭률을 크게 하고, 상기 인체감지 열선 센서 외부의 온도가 낮은 경우 상기 전기적 신호의 증폭률을 작게 하는 서미스터를 포함하는 인체감지 열선 센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로 콘트롤러는,
    상기 대역통과 증폭부가 변환한 전기적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여, 이를 진폭과 주기의 변수로 이산화하며, 상기 각 주기의 변수와 상기 경계값 테이블을 매칭한 경계값을 경보 발생 여부의 기준으로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체감지 열선 센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로 콘트롤러는,
    상기 온도 감지부로부터 입력된 외부 온도에 상응하는 온도 계수를 구하고, 상기 온도 계수에 따라 상기 대역통과 증폭부로부터 입력된 전기적 신호를 증폭함으로써 보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체감지 열선 센서.
KR1020050046464A 2005-05-31 2005-05-31 지능형 인체감지 열선 센서 장치 KR1005546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46464A KR100554617B1 (ko) 2005-05-31 2005-05-31 지능형 인체감지 열선 센서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46464A KR100554617B1 (ko) 2005-05-31 2005-05-31 지능형 인체감지 열선 센서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54617B1 true KR100554617B1 (ko) 2006-02-24

Family

ID=371791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46464A KR100554617B1 (ko) 2005-05-31 2005-05-31 지능형 인체감지 열선 센서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54617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41863B1 (ko) 2006-03-16 2007-07-24 코위버(주) 침입 감지 오류를 줄이기 위한 열선센서장치 및 그 방법
KR101153399B1 (ko) 2010-08-19 2012-06-05 김호진 무선 인체 및 온도감지 지능센서
KR101202610B1 (ko) 2010-10-14 2012-11-19 (주) 케이엠티 열선 감지기를 이용한 물체 감지 장치 및 그 방법
KR20160106897A (ko) 2015-03-03 2016-09-13 주식회사 호서텔넷 Pir 센서와 이의 작동 방법
KR20160136064A (ko) * 2015-05-19 2016-11-29 주식회사 호서텔넷 Pir 센서, 이를 포함하는 보안 시스템, 및 상기 보안 시스템의 작동 방법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41863B1 (ko) 2006-03-16 2007-07-24 코위버(주) 침입 감지 오류를 줄이기 위한 열선센서장치 및 그 방법
KR101153399B1 (ko) 2010-08-19 2012-06-05 김호진 무선 인체 및 온도감지 지능센서
KR101202610B1 (ko) 2010-10-14 2012-11-19 (주) 케이엠티 열선 감지기를 이용한 물체 감지 장치 및 그 방법
KR20160106897A (ko) 2015-03-03 2016-09-13 주식회사 호서텔넷 Pir 센서와 이의 작동 방법
KR20160136064A (ko) * 2015-05-19 2016-11-29 주식회사 호서텔넷 Pir 센서, 이를 포함하는 보안 시스템, 및 상기 보안 시스템의 작동 방법
KR101712966B1 (ko) * 2015-05-19 2017-03-07 주식회사 호서텔넷 Pir 센서, 이를 포함하는 보안 시스템, 및 상기 보안 시스템의 작동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637040A (en) Infrared object detector
US5693943A (en) Passive infrared intrusion detector
KR0151302B1 (ko) 위치판별 적외선센서와 이를 이용한 센싱방법
CA1120126A (en) Infrared intrusion alarm system with temperature responsive threshold level
KR100554617B1 (ko) 지능형 인체감지 열선 센서 장치
US7126476B2 (en) Dual sensor intruder alarm
US20070279215A1 (en) Sensitivity adjustable intrusion detecting system
KR101827680B1 (ko) 모델링된 배경 차분을 이용한 적외선 존재 감지
CN106354057A (zh) 摄像装置
US8319638B2 (en) Motion detector for detecting tampering and method for detecting tampering
JP3869781B2 (ja) 物体検出方法および物体検出装置
US5444432A (en) Detection signal evaluation at varying signal levels
JP4460516B2 (ja) 人体検知装置
JPH01162186A (ja) 人体検知センサ
KR100578343B1 (ko) 열선 센서 장치 및 그 감지 방법
KR101503033B1 (ko) 무선 열선감지기에 있어서 배터리 수명을 연장하기 위한 저전력 동작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저전력 동작 시스템
Kastek et al. Passive infrared detector for security systems design, algorithm of people detection and field tests result
JPH08178750A (ja) 赤外線アレイセンサ
KR101202610B1 (ko) 열선 감지기를 이용한 물체 감지 장치 및 그 방법
JP3333646B2 (ja) 赤外線式人体検知装置
KR20020041669A (ko) 수동 적외선 센서를 이용한 인체 감지 시스템 및 그의감지 방법
JPH01173893A (ja) 熱体検出装置
US20180058937A1 (en) Differential circuit for pyroelectric infrared detector
GB2553133A (en) Motion detector
GB2598238A (en) Motion detect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2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16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16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16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19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18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17

Year of fee payment: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