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53929B1 - Apparatus of Display with Temperature Rising Deterrent Structure - Google Patents

Apparatus of Display with Temperature Rising Deterrent Structur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53929B1
KR100553929B1 KR1019980034030A KR19980034030A KR100553929B1 KR 100553929 B1 KR100553929 B1 KR 100553929B1 KR 1019980034030 A KR1019980034030 A KR 1019980034030A KR 19980034030 A KR19980034030 A KR 19980034030A KR 100553929 B1 KR100553929 B1 KR 1005539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
crt
display device
temperature
circuit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34030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00014547A (en
Inventor
장보웅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199800340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53929B1/en
Publication of KR200000145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14547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539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53929B1/en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9/00Details of cathode-ray tubes or of electron-beam tubes of the types covered by group H01J31/00
    • H01J29/86Vessels; Containers; Vacuum locks
    • H01J29/867Means associated with the outside of the vessel for shielding, e.g. magnetic shield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229/00Details of cathode ray tubes or electron beam tubes
    • H01J2229/863Passive shielding means associated with the vessel
    • H01J2229/8631Coatings

Landscapes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 Vessels, Lead-In Wires, Accessory Apparatuses For Cathode-Ray Tub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브라운관을 사용하는 디스플레이장치 내부의 온도상승을 억제하도록 구성된 온도상승 억제구조를 갖는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isplay device having a temperature increase suppression structure configured to suppress a temperature rise inside a display device using a CRT.

본 발명에 따른 온도상승 억제구조를 갖는 디스플레이 장치는 브라운관과 회로부 사이에 설치되어 회로부에서 발생된 열의 유동을 차단함과 아울러, 외부공기의 유동을 브라운관의 편향요크쪽으로 안내하는 열차폐수단을 구비한다.The display device having a temperature rise suppressing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between the CRT and the circuit portion to block the flow of heat generated in the circuit portion, and has a heat shield means for guiding the flow of external air toward the deflection yoke of the CRT. .

이에따라, 본 발명에 따른 온도상승 억제구조를 갖는 디스플레이 장치는 편향요크에서 발생되는 열의 온도를 하강시키게 된다.Accordingly, the display device having the temperature increase suppressing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lowers the temperature of heat generated in the deflection yoke.

Description

온도상승 억제구조를 갖는 디스플레이 장치{Apparatus of Display with Temperature Rising Deterrent Structure}Apparatus of Display with Temperature Rising Deterrent Structure}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브라운관을 사용하는 디스플레이장치 내부의 온도상승을 억제하도록 구성된 온도상승 억제구조를 갖는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isplay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a display device having a temperature increase suppression structure configured to suppress a temperature rise inside a display device using a CRT.

통상적으로, 브라운관(Braun Tube)은 전자총에서 나온 전자빔을 형광면에 조사하여 광점을 형성하고 수평, 수직방향의 편향전극 또는 편향코일에 의한 전계(또는 자계)의 작용에 의해서 전자빔을 편향시켜 그에따른 광점의 궤적을 나타내는 대표적인 디스플레이 장치로 텔레비전, 레이더, 계측기 등에 널리 사용되고 있다.In general, a Braun tube irradiates an electron beam from an electron gun to a fluorescent surface to form a light spot, and deflects the electron beam by an action of an electric field (or magnetic field) by a deflection coil or a horizontal or vertical deflection electrode. As a representative display device showing the trajectory of, it is widely used in televisions, radars, and measuring instruments.

실제로, 도 1에 도시된바와 같이 칼라 브라운관을 사용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는, 영상신호에 대응하는 화상을 표시하는 브라운관(30)과, 상기 브라운관을 구동하기 위한 회로부(20)와, 브라운관(30)과 회로부(20)를 실장하여 보호하는 케이스(10)를 구비한다. 회로부(20)는 브라운관(30)을 구동하기 위한 회로블록들로 구성되어 있으며, 케이스(10)는 브라운관(30)과 회로부(20)를 실장하여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보호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또한, 브라운관(30)은 전자빔을 발생하여 가속 및 집속 시키는 전자총(36)과, 전자빔을 화면상의 각위치로 편향시키는 편향요크(Deflection Yoke;38 이하 "DY"라 함)와, 패널(Panel;32)의 내면에 도포되어 상기 전자빔과 충돌하여 발광되는 형광체(42)와, 상기 전자총(36)과 형광체(42) 사이에 위치하여 자신에게 형성된 전자빔 통과홀에 전자빔을 통과시켜 형광체에 충돌하도록 전자빔을 분리하는 샤도우마스크(40)로 구성된다. 이때, 브라운관의 전면유리인 패널(32)과 후면유리인 펀넬(Funnel;34)은 봉착(Sealing)되어 브라운관의 진공을 유지하게 된다. 브라운관의 동작에 대해서 살펴보면, 전자총(36)에서 발생되어 가속 및 집속된 전자빔은 DY(38)에 의해 화면상의 각 위치로 편향된다. 이때, 샤도우마스크(40)의 전자빔 통과홀에서는 전자총에서 방출된 전자빔이 집중되고 R,G,B 각각의 빔에 대응하여 분리된 전자빔이 형광체에 충돌하여 영상신호에 대응하는 화상을 표시하게 된다.In fact, as shown in Fig. 1, a display device using a color CRT includes a CRT 30 for displaying an image corresponding to a video signal, a circuit portion 20 for driving the CRT, a CRT 30 and a CRT. The case 10 which mounts and protects the circuit part 20 is provided. The circuit unit 20 is composed of circuit blocks for driving the CRT 30, and the case 10 performs the function of mounting the CRT 30 and the circuit part 20 to protect from an external impact. In addition, the CRT 30 includes an electron gun 36 for generating and accelerating and focusing an electron beam, a deflection yoke (hereinafter referred to as “DY” 38 or less) that deflects the electron beam to an angular position on the screen, and a panel; 32 is appli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32 and emits light by colliding with the electron beam, and is located between the electron gun 36 and the phosphor 42 and passes the electron beam through an electron beam passing hole formed therein to impinge the phosphor. It consists of a shadow mask 40 to separate the. At this time, the panel 32 which is the front glass of the CRT and the funnel 34 which is the rear glass are sealed to maintain the vacuum of the CRT. Referring to the operation of the CRT, the electron beam generated and accelerated and focused by the electron gun 36 is deflected by the DY 38 to each position on the screen. At this time, in the electron beam passing hole of the shadow mask 40, the electron beam emitted from the electron gun is concentrated, and the electron beam separated corresponding to each of the R, G, and B beams collide with the phosphor to display an image corresponding to the image signal.

도 2를 결부하여 DY(38)에 대해서 살펴보기로 한다. DY(38)는 수평 편향코일(38a)과, 수직 편향코일(38b)과, 페라이트 코어(Ferrite Core;38c) 및 홀더(Holder;38d)가 순차적으로 적층된 구조로 구성되어 있다. 수평 편향코일(38a)은 전자빔을 수평방향으로 편향시키는 기능을 수행하며 수직 편향코일(38b)은 전자빔을 수직방향으로 편향시키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홀더(38d)는 상기 수평 편향코일(38a)과 수직 편향코일(38b)을 절연시킴과 아울러, 지지하게 된다. 상기 DY(38) 동작시 수직편향 코일(38b)에는 60 - 70 ㎐ 정도의 동작주파수가 사용되어 소정의 열이 발생하게 된다. 또한, 수평 편향코일(38a)에는 15㎑ 에서 110㎑의 동작주파수가 사용된다. 예를들면, 통상의 동작주파수는 15㎑를 사용하게 되며, 고선명 텔레비젼의 경우 동작주파수는 48㎑, 모니터의 경우 110㎑의 동작주파수를 사용하게 된다. 이와같이, 수평편향 코일(38a)은 높은 동작주파수를 사용하므로 비교적 많은 양의 열이 발생하게 된다. 한편, 상기 디스플레이 내부에는 상기와 같이 DY(38)를 구동하는 과정에서 소정의 열이 발생됨과 아울러, 회로부(20)를 구동하는 과정에서 소정의 열이 발생하게 된다. 이에 대해서는 도 3을 결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2, the DY 38 will be described. The DY 38 has a structure in which a horizontal deflection coil 38a, a vertical deflection coil 38b, a ferrite core 38c and a holder 38d are sequentially stacked. The horizontal deflection coil 38a performs the function of deflecting the electron beam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nd the vertical deflection coil 38b performs the function of deflecting the electron beam in the vertical direction. The holder 38d insulates and supports the horizontal deflection coil 38a and the vertical deflection coil 38b. During the operation of the DY 38, an operating frequency of about 60 to 70 kHz is used for the vertical deflection coil 38b to generate predetermined heat. In addition, an operating frequency of 15 Hz to 110 Hz is used for the horizontal deflection coil 38a. For example, a typical operating frequency of 15 kHz is used, and an operating frequency of 48 kHz for high definition televisions and 110 kHz for monitors is used. As such, the horizontal deflection coil 38a uses a high operating frequency, so that a relatively large amount of heat is generated. Meanwhile, a predetermined heat is generated in the process of driving the DY 38 as described above, and a predetermined heat is generated in the process of driving the circuit unit 20. Thi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3.

도 3을 참조하면, 브라운관을 사용한 디스플레이 장치 내부의 열흐름이 도시되어 있다. DY(38)의 수평 편향코일(38a)과 수직 편향코일(38b)에서 발생된 열은 홀더(38d)를 통하여 전도되어 방출되거나 패널(32) 및 펀넬(34)의 유리벌브를 통해 복사되어 방출된다. 또한, 외부공기에 의해 자연대류되어 케이스(10) 외부로 방출된다. 이러한 DY(38)는 열적으로 매우 안정되어야 함과 아울러, 디스플레이장치의 구동시 최대온도(예를들면, 105°)이상이 되지 않아야 한다. 최대온도(예를들면, 105°)이상이 될 경우, 홀더(38d)의 변형을 가져옴과 아울러, 화질의 저하를 야기시키게 된다. 이때, DY(38)의 허용온도는 최고 105°이하로 제한되어 있으며, DY(38)의 자체 발열에 의한 열과, 회로부(20)에서 발생된 열과, 외부대기의 온도를 합한 온도를 의미한다. 이 경우, 외부(주변)대기의 온도는 40°로 설정된다. 한편, 브라운관을 사용하는 디스플레이장치 내부에서의 열의 유동에 대해서 살펴보기로 한다. 유동성이 있는 물질의 열전달은 대류열전달로 표현할수 있다. 대류열전달이 수학식 1에 나타나 있다.Referring to FIG. 3, the heat flow inside the display device using the CRT is illustrated. Heat generated in the horizontal deflection coil 38a and the vertical deflection coil 38b of the DY 38 is conducted by being discharged through the holder 38d or radiated through the glass bulb of the panel 32 and the funnel 34. do. In addition, natural convection by external air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case (10). This DY 38 must be very thermally stable and must not be above the maximum temperature (eg, 105 °) when the display device is driven. When the maximum temperature (for example, 105 degrees) or more is reached, the holder 38d is deformed and the image quality is deteriorated. In this case, the allowable temperature of the DY 38 is limited to a maximum of 105 ° or less, and means a temperature in which heat generated by the self-heating of the DY 38, heat generated by the circuit unit 20, and the temperature of the external air are added together. In this case, the temperature of the external (ambient) atmosphere is set to 40 degrees. Meanwhile, the flow of heat in the display device using the CRT will be described. Heat transfer of flowable materials can be expressed as convective heat transfer. Convective heat transfer is shown in Equation 1.

[수학식 1][Equation 1]

여기에서 Q는 열전달량, T는 물체의 온도, Tout은 외부(주변 )공기의 온도를 의미한다. 즉, 외부공기의 온도 영향에 따라 열전달량은 변화하게 된다. 디스플레이 장치가 동작하게 되면 DY(38)는 수평 편향코일(38a)에 인가되는 고주파 동작에 의해 열(1')이 발생하여 온도가 매우 높아지게 된다. 실제로, 고주파 동작시 DY(38)의 수평편향 코일(38a)의 온도는 100°이상으로 상승하게 된다. 또한, 회로부(20)의 동작에 의해 열(2')이 발생하여 온도가 상승하게 되어 외부의 차가운 공기(3' 예를들면, 40°)가 케이스(10) 내부에 유입되더라도 회로부(20)에서 발생된 열(2')에 의해 가열(4')되어 DY(38)로 유입되게 된다. 실제로 회로부(20)는 케이스(10) 내부에 방출되는 열의 10%에 해당하는 열(2')을 방출하게 되어 외부에서 유입되는 공기의 온도를 10 - 20°정도 가열시키게 된다. 이로인해, DY(38)의 열방출량이 작아지게 하는 결과를 가져오게 된다. 한편, DY(38)의 최대온도를 105°이하로 유지하기 위해서 DY(38)의 열방출을 증가시켜야만 한다. 이를위해, 전도, 복사 및 대류를 통한 열방출중 어느 한가지만이라도 증가하게 되면 DY(38)의 최종온도를 낮출수 있게된다. 예를들어 설명하면, DY(38)에 팬(Fan)을 이용하여 바람을 불어주면 발생열은 전도 및 복사에 의해 방출되는 열은 일정하지만 대류 열전달 계수의 값이 커지게 된다. 이 것은 대류로 인한 열방출량을 극대화 시키는 효과를 나타내므로 DY(38)의 온도를 휠씬 더 낮아지게한다. 그러나, 홀더(38d)와 페라이트 코아 사이에는 실제로 1 - 2㎜ 정도의 공간밖에 없으므로 팬을 사용한 공기의 강제순환은 오직 외부의 대류 열전달 계수만을 증가시키는 역할을 하게된다. 또한, 팬을 이용한 방식에 있어서는 별도의 전원을 필요로 하고, 소음의 문제가 부수적으로 발생하게 되는 단점이 있다. 또한, 자연대류 냉각방식을 이용하여 열의 방출을 용이하게 하기위해 방열판(도시되지 않음)을 설치하는 경우에 DY(38)에는 고주파수의 교류가 인가되므로 금속재질의 방열판에는 와전류(Eddy Current)에 의한 손실이 발생하여 온도를 높이게 되므로 DY(38)를 냉각하는데 한계를 가지게 된다. 또한, DY의 발생열을 최소화하기 위해 여러가닥의 코일을 꼬아서 하나의 코일을 형성한 리쯔 와이어(Litz Wire) 또는 코어의 재질을 다르게하여 전도에 의한 열전달 특성을 극대화하여 발생열을 최소화하는 방법을 사용하게 된다. 그러나, 이 경우 제조비용의 상승을 가져오는 단점이 있다. 이에따라, 브라운관을 사용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에서는 내부 열을 줄이기 위한 새로운 방안이 요구되고 있다.Where Q is the heat transfer, T is the temperature of the object, and Tout is the temperature of the outside air. In other words, the heat transfer amount is changed according to the temperature influence of the external air. When the display device is operated, the DY 38 generates heat 1 'due to the high frequency operation applied to the horizontal deflection coil 38a, and thus the temperature becomes very high. In fact, during high frequency operation, the temperature of the horizontal deflection coil 38a of the DY 38 rises above 100 °. In addition, heat (2 ') is generated by the operation of the circuit portion 20 to increase the temperature, even if the external cool air (3', for example, 40 °) flows into the case 10, the circuit portion 20 Heat (4 ') is generated by the heat (2') is introduced into the DY (38). In fact, the circuit unit 20 emits heat 2 'corresponding to 10% of heat emitted from the case 10, thereby heating the temperature of the air introduced from the outside by about 10-20 °. This results in a decrease in the amount of heat released by the DY 38. On the other hand, in order to keep the maximum temperature of the DY 38 below 105 °, the heat dissipation of the DY 38 must be increased. To this end, an increase in any of the heat dissipation through conduction, radiation and convection allows the final temperature of the DY 38 to be lowered. For example, when the fan is blown to the DY 38 by using a fan, the generated heat is constant while the heat emitted by conduction and radiation is constant, but the value of the convective heat transfer coefficient becomes large. This has the effect of maximizing the heat dissipation due to convection, thus making the temperature of the DY 38 much lower. However, since there is actually only a space of about 1-2 mm between the holder 38d and the ferrite core, the forced circulation of air using the fan only serves to increase the external convective heat transfer coefficient. In addition, in the method using a fan requires a separate power supply, there is a disadvantage that the problem of noise occurs incidentally. In addition, when a heat sink (not shown) is installed to facilitate heat dissipation using a natural convection cooling method, since high-frequency alternating current is applied to the DY 38, an eddy current is applied to the heat sink of the metallic material. Since losses occur and the temperature is increased, there is a limit to cooling the DY 38. In addition, in order to minimize the heat generated by DY, a method of minimizing the heat generated by maximizing heat transfer characteristics by conduction by varying the material of the Litz Wire or the core, which forms one coil by twisting several coils, is used. Done. However, in this case, there is a disadvantage that the rise in manufacturing costs. Accordingly, display devices using CRTs require new methods to reduce internal heat.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브라운관을 사용하는 디스플레이장치 내부의 온도상승을 억제하도록 구성된 온도상승 억제구조를 갖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 하는데 있다.Accordingly,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display device having a temperature increase suppression structure configured to suppress a temperature rise inside a display device using a CRT.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온도상승 억제구조를 갖는 디스플레이 장치에 있어서, 상기 회로부에서 발생된 열의 유동을 차단하고 아울러 외부공기의 유동을 상기 브라운관의 편향요크쪽으로 안내하기 위하여, 일정한 길이, 폭 및 두께를 갖으며, 상기 브라운관과 상기 회로부 사이에 이격되어 배치되되 일측단이 상기 회로부의 소정 부위에 취부되어 지지되는 열차폐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display device having a temperature increase suppression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n order to block the flow of heat generated in the circuit portion and to guide the flow of external air toward the deflection yoke of the CRT, It has a width and a thickness, and is disposed between the CRT and the circuit portion, characterized in that the one end is provided with a heat shield means that is mounted and supported in a predetermined portion of the circuit portion.

상기 목적외에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특징들은 첨부도면을 참조한 실시예에 대한 설명을 통하여 명백하게 드러나게 될 것이다.Other object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other than the above object will become apparent from the description of the embodiments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4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 하기로 한다.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4 to 5.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온도상승 억제구조를 갖는 디스플레이장치는 영상신호에 대응하는 화상을 표시하는 브라운관(70)과, 상기 브라운관(70)을 구동하기 위한 회로부(60)와, 브라운관(70)과 회로부(60)를 실장하여 보호하는 케이스(50)와, 상기 회로부(60)에서 발생된 열의 유동을 차단함과 아울러, 외부공기의 유동을 브라운관(70)쪽으로 안내하는 열차폐물(74)을 구비한다. 열차폐물(74)은 회로부(60)의 상부에 설치되어 회로부(60)의 구동에 의해 발생된 열(2")의 흐름이 브라운관(70)의 후면에 구비된 편향요크(DY)(72)쪽으로 바로 진행하는 것을 방지함과 아울러 회로부(60)에 의해 온도가 상승한 공기(4")의 유동을 DY(72)와 거리가 먼 주변부로 안내하게 된다. 이러한 열차폐물(74)은 일정한 길이, 폭 및 두께를 갖으며, 브라운관(70)과 회로부(60) 사이에 이격되어 배치되되, 일측단이 회로부(60)의 소정 부위에 취부되어 지지된다.Referring to FIG. 5, a display device having a temperature increase suppressing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RT 70 for displaying an image corresponding to an image signal, a circuit unit 60 for driving the CRT 70, and a CRT. A case 50 for mounting and protecting the 70 and the circuit unit 60, and a heat shield that blocks the flow of heat generated from the circuit unit 60 and guides the flow of external air to the CRT 70. 74). The heat shield 74 is installed on the upper part of the circuit part 60 so that the flow of heat 2 "generated by the driving of the circuit part 60 is provid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CRT 70. The deflection yoke DY 72 is provided. In addition to preventing direct travel to the side, the circuit portion 60 guides the flow of the air 4 ", which has risen in temperature, to the periphery far from the DY 72. The heat shield 74 has a predetermined length, width, and thickness, and is spaced apart between the CRT 70 and the circuit unit 60, and one end is mounted and supported at a predetermined portion of the circuit unit 60.

한편, 열차폐물(74)의 온도가 상승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회로부(60)에 대향하는 열차페물(74)의 표면을 반사율이 높은 물질(예를들면, 비스무스)을 사용하여 코팅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열차폐물(74)은 외부에서 유입되는 차가운 공기(3")의 유동을 DY(72)쪽으로 안내하여 외부의 차가운 공기가 DY(72)에 직접 접촉하도록하여 DY(72)의 구동에 의해 발생된 열(1")의 온도를 하강시키게 된다. 즉, 열차폐물(74)은 회로부(60)에서 발생된 열의 유동을 차단함과 아울러, 외부의 차가운 공기를 DY(72)가 직접 접촉하도록하여 DY(72)에서 발생된 열의 온도를 하강시키게 된다. On the other hand, in order to prevent the temperature of the heat shield 74 from rising, it is preferable to coat the surface of the heat shield 74 opposite to the circuit part 60 by using a material having a high reflectance (for example, bismuth). . In addition, the heat shield 74 guides the flow of the cold air (3 ") flowing from the outside toward the DY 72 to direct the external cold air to contact the DY 72 by the drive of the DY 72 The temperature of the generated heat 1 "is lowered. That is, the heat shield 74 blocks the flow of heat generated in the circuit unit 60 and lowers the temperature of the heat generated in the DY 72 by allowing the DY 72 to directly contact external cold air. .

한편, DY(72)에서 발생된 열을 복사에 의해 방출시켜 온도를 하강시킬수도 있을 것이다. DY(72)와 회로부(60), DY(72)와 케이스(50) 사이에는 무시할수 없는 정도의 복사에 의한 열교환이 일어나게 되는데 온도가 높아 질수록 복사에 의한 열전달량도 증가하게 된다. 이를 위해 도 5의 (c), (d)에 도시된바와같이, 열차폐물(74)의 직선형으로 형성된 DY(72)와 대향하는 면에 흑연 또는 페인트 등의 방사율이 높은 물질을 코팅하여 코팅막(74a)을 형성하면 복사에 의한 열전달양을 크게 할수 있다. 또한, 열차페물(74)의 DY(72)와 대향하는 면을 돌기 형태를 갖도록 구성해도 복사에 의한 열전달량을 크게할수 있을 것이다. 또한, 도 5의 (a),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열차페물의 형상을 DY(72)와 펀넬의 형상과 같이 유선형으로 형성하여 복사에 의한 열전달량을 크게할수 있다. 이때, 열차폐물(74)의 상부의 폭은 DY(72)의 폭보다 약간 크게 형성함과 아울러, 끝부분이 중심보다 높게 설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열차폐물(74)과 DY(72)는 소정의 거리(예를들면, 5㎝)를 유지하도록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열차폐물(74)은 회로부(60)에서 발생한 열을 차폐할수 있도록 플라스틱 재질을 사용하여 구현할수도 있으며, DY(72)의 홀더와 같은 재질을 사용하여 열차폐물(74)을 형성한 후, DY(72)에 대향하는 면에 코팅막을 형성하여 구현할수도 있을 것이다.On the other hand, the heat generated in the DY 72 may be released by radiation to lower the temperature. The heat exchange by the irreversible radiation occurs between the DY 72 and the circuit unit 60, the DY 72 and the case 50. As the temperature increases, the heat transfer amount due to the radiation increases. To this end, as shown in (c) and (d) of FIG. 5, a material having a high emissivity such as graphite or paint is coated on a surface of the heat shield 74 opposite to the DY 72 formed in a straight line. The formation of 74a) can increase the amount of heat transfer by radiation. In addition, even if the surface facing the DY 72 of the train effluent 74 is configured to have a protrusion shape, the amount of heat transfer due to radiation may be increased. In addition, as shown in (a) and (b) of FIG. 5, the heat dissipation object may be streamlined like the shape of the DY 72 and the funnel to increase the amount of heat transfer due to radiation. At this time, the width of the upper portion of the heat shield 74 is slightly larger than the width of the DY 72, and the end portion is preferably designed to be higher than the center. In addition, the heat shield 74 and the DY 72 are preferably installed so as to maintain a predetermined distance (for example, 5 cm). On the other hand, the heat shield 74 may be implemented using a plastic material to shield the heat generated from the circuit unit 60, and after forming the heat shield 74 using the same material as the holder of the DY 72, It may be implemented by forming a coating film on the surface opposite to the DY (72).

상술한 바와같이, 본 발명에 따른 온도상승 억제구조를 갖는 디스플레이 장치는 열차폐물을 DY와 회로부 사이에 형성하여 회로부에서 발생된 열을 차단함과 아울러, 외부의 공기흐름을 DY로 진행시켜 DY에서 발생된 열의 온도를 하강시킬수 있는 장점이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display device having a temperature increase suppression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ms a heat shield between the DY and the circuit portion to block heat generated from the circuit portion, and also advances the external air flow to the DY to the DY. There is an advantage that can lower the temperature of the generated heat.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온도상승 억제구조를 갖는 디스플레이 장치는 DY와 대향하는 열차폐물에 복사열을 흡수하는 코팅막을 형성하여 DY에서 발생된 열의 온도를 하강시킬수 있는 장점이 있다.In addition, the display device having a temperature increase suppression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advantage that the temperature of the heat generated from the DY can be reduced by forming a coating film for absorbing radiant heat in the heat shield facing the DY.

이상 설명한 내용을 통해 당업자 라면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일탈하지 아니하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알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명세서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 청구의 범위에 의해 정하여 져야만 할 것이다.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appreciate that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can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the technical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limited to the contents described in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specification but should be defined by the claims.

도 1은 브라운관을 사용한 디스플레이 장치를 도시한 도면.1 is a view showing a display device using a CRT.

도 2는 도 1의 편향요크를 도시한 도면.FIG. 2 shows the deflection yoke of FIG. 1. FIG.

도 3은 도 1 내부의 열흐름도를 도시한 도면.3 is a diagram illustrating a heat flow diagram of the inside of FIG. 1;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 내부의 열흐름도를 도시한 도면.4 is a view showing a heat flow diagram inside th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도 4의 열차폐물의 형상을 도시한 도면.5 is a view showing the shape of the heat shield of FIG.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Description of the code | symbol about the principal part of drawing>

10,50 : 케이스 20,60 : 회로부10,50: case 20,60: circuit part

30,70 : 브라운관 32 : 패널30,70: CRT 32: panel

34 : 펀넬 36 : 전자총34: Funnel 36: electron gun

38,72 : 편향요크 40 : 샤도우마스크38,72: deflection yoke 40: shadow mask

42 : 형광체 74 : 열차폐물42: phosphor 74: heat shield

Claims (5)

후편에 편향요크를 구비하고 영상신호에 대응하는 화상을 표시하는 브라운관과, 상기 브라운관을 구동하기 위한 회로부를 갖는 디스플레이 장치에 있어서,A display device having a deflection yoke on a rear side and having a picture tube for displaying an image corresponding to a video signal, and a circuit portion for driving the picture tube; 상기 회로부에서 발생된 열의 유동을 차단하고 아울러 외부공기의 유동을 상기 브라운관의 편향요크쪽으로 안내하기 위하여, 일정한 길이 폭 및 두께를 갖으며, 상기 브라운관과 상기 회로부 사이에 이격되어 배치되되 일측단이 상기 회로부의 소정 부위에 취부되어 지지되는 열차폐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도상승 억제구조를 갖는 디스플레이 장치.In order to block the flow of heat generated in the circuit portion and to guide the flow of external air toward the deflection yoke of the CRT, it has a predetermined length and thickness and is spaced apart between the CRT and the circuit portion, one end of which is disposed. And a heat shielding means mounted to and supported by a predetermined portion of the circuit portion.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열차폐수단이,The heat shield means, 상기 회로부와 대향하는 면에 반사율이 높은 물질이 도포됨과 아울러, 상기 편향요크에 대응하는 면에 방사율이 높은 물질이 도포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도상승 억제구조를 갖는 디스플레이 장치.A display device having a temperature increase suppression structure, wherein a material having a high reflectance is coated on a surface facing the circuit portion, and a material having a high emissivity is coated on a surface corresponding to the deflection yoke. 제 2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 상기 방사율이 높은 물질이 흑연 및 페인트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도상승 억제구조를 갖는 디스플레이 장치.The display device having a temperature increase suppression structure, characterized in that the material having a high emissivity is graphite and paint.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열차폐수단이 상기 브라운관의 형상에 대응하여 유선형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도상승 억제구조를 갖는 디스플레이 장치.And the heat shielding means is formed in a streamline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CRT.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열차폐수단이 직선형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도상승 억제구조를 갖는 디스플레이 장치.Display device having a temperature increase suppression structure characterized in that the heat shield means is formed in a straight line.
KR1019980034030A 1998-08-21 1998-08-21 Apparatus of Display with Temperature Rising Deterrent Structure KR100553929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34030A KR100553929B1 (en) 1998-08-21 1998-08-21 Apparatus of Display with Temperature Rising Deterrent Structur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34030A KR100553929B1 (en) 1998-08-21 1998-08-21 Apparatus of Display with Temperature Rising Deterrent Structur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14547A KR20000014547A (en) 2000-03-15
KR100553929B1 true KR100553929B1 (en) 2006-05-16

Family

ID=195479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34030A KR100553929B1 (en) 1998-08-21 1998-08-21 Apparatus of Display with Temperature Rising Deterrent Structur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53929B1 (e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14547A (en) 2000-03-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S597731Y2 (en) cathode ray tube equipment
US5925977A (en) Strengthened glass bulb for a cathode ray tube
KR900006170B1 (en) Deflection yoke of cathode ray tube
EP0136360B1 (en) Liquid-cooled cathode-ray tube apparatus
KR100553929B1 (en) Apparatus of Display with Temperature Rising Deterrent Structure
US3531674A (en) Cathode ray tube with cooling means for the fluorescent screen
KR900003216B1 (en) Cathode-ray tube
US6373179B1 (en) Laser cathode-ray tube
JP2015076359A (en) X-ray tube apparatus
KR100710355B1 (en) Display Apparatus
US6043598A (en) High resolution color picture tube having a small diameter neck
KR200271018Y1 (en) Cathode support structure of color CRT
KR930001183B1 (en) Electron gun for cathode-ray tube
KR100292459B1 (en) Heat radiation apparatus of deflection yoke in crt
JPH05190119A (en) Cathode ray tube
JP2002521796A (en) Cathode ray tube having a deflection unit provided with a blower
KR200162359Y1 (en) Cathode ray tube
KR19990075746A (en) Deflection yoke coil for CRT
KR920002591Y1 (en) Anti-heat type deflection yoke
JP2001076656A (en) X-ray tube
KR20030011473A (en) separator for deflection york
KR20010001227U (en) structure inner shield in plat type cathode ray tube
US5747925A (en) Electron gun for cathode ray tube
JP2965673B2 (en) Manufacturing equipment for shrink-fit type explosion-proof color picture tubes
KR100295791B1 (en) Color CRT having high brightness and exposure light method of tha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