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53866B1 - 접철이 가능한 관로에 의해 연결된 다중격실 분배용기 - Google Patents

접철이 가능한 관로에 의해 연결된 다중격실 분배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53866B1
KR100553866B1 KR1020030058428A KR20030058428A KR100553866B1 KR 100553866 B1 KR100553866 B1 KR 100553866B1 KR 1020030058428 A KR1020030058428 A KR 1020030058428A KR 20030058428 A KR20030058428 A KR 20030058428A KR 100553866 B1 KR100553866 B1 KR 10055386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compartment
opening
separate
dispen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584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20899A (ko
Inventor
김양수
Original Assignee
김양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양수 filed Critical 김양수
Priority to KR10200300584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53866B1/ko
Publication of KR200500208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2089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538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5386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0Details of other kinds or type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38Devices for discharging contents
    • B65D25/40Nozzles or spouts
    • B65D25/42Integral or attached nozzles or spouts
    • B65D25/46Hinged, foldable or pivoted nozzles or spouts
    • B65D25/465Hinged, foldable or pivoted nozzles or spouts the spout being either flexible or having a flexible wall portion, whereby the spout is foldable between a dispensing and a non-dispensing posi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0Details of other kinds or type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54Inspection openings or windows
    • B65D25/56Inspection openings or windows with means for indicating level of cont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etail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AREA)
  • Medical Preparation Storing Or Oral Administration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접철이 가능한 관로에 의해 연결된 다중격실 분배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이미 제작된 용기의 형상을 변형시키거나 용기의 구성품을 작동시킴으로써 유동성물질을 일측에서 타측으로 이동 분배하고 차단하는 수단을 갖도록 함에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구성은 하나의 용기로 제작되지만,사용시에는 이미 제작된 용기의 형상을 변형시키거나 용기의 구성품을 작동시킴으로써 다수개의 격실을 갖는 용기로 할 수 있다.최초에는 저장부에 담겨있는 유동성물질을 분리수용계량부로 이송과 동시에 계량을하고 계량이 끝나면 밸브기능을 갖는 용기의 관부를 접철시키거나 핀 또는 집게로 관로를 차단시켜 물질이동을 제한하고 분리수용계량부에 있는 물질을 용기 밖으로 배출한다. 본 발명은 고도의 정밀성을 요구하는 극 미량을 측량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합성수지를 원료로하여 만들어지는 주방용 액상조미료용기,공업용오일 첨가제용기, 액상의약품용기(투약병을 포함), 농약용기, 세제용기, 여성청결제용기등 실생활에서 광범위하게 쓰이는 소량씩 계량후 분배를 요하는 경우에 계량스푼이나 계량컵을 쓰지않고 한 용기내에서 계량후 분배가 가능하도록하여, 별도의 계량기구를 사용하지 않고 용기 자체의 분리수용계량부를 이용하므로 구성이 단순하고 사용이 편리한 것은 물론 계량컵이나 스푼을 항상 휴대해야하고 사용한 후에 매번 세척해야하는 번거로움이 없으므로 사용후에 별도의 뒷처리를 해야하는 번거로움을 없앰으로써 실생활에서의 편의성을 제고 해주는 효과가 있다.
저장부(a),분리수용계량부(b),관로(t), 돌기(p-1), 홈(p-2), 핀(p)

Description

접철이 가능한 관로에 의해 연결된 다중격실 분배용기{multi cell dispensing container connected by flexible tube}
도1은 본 발명에 따라 제작된 접철용기의 사시도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접철용기의 계량분배시 관로가 열려 있는 상태를 나타내 는 정면의 절단면도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접철용기의 저장부에서 분리수용계량부로 이송 후 또는 평시의 관로가 차단된 용기의 절단면도
도4는 두개의 저장부를 잇는 관부의 밀폐성을 증가시키기 위해 내측으로 돌기를 형성한 모양의 절단면도
도5는 본 발명에 따라 제작된 다른 실시예의 접철용기 사시도.
도6은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의 접철용기 관로가 열려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7은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로 접철용기의 저장부에서 분리수용계량부로 이송 후 또는 평시의 관로가 차단된 용기의 정면도
도8은 본 발명에 따라 제작된 다른 실시예로 계량분배시 접철용기의 저장부에서 분리수용계량부로 물질의 이송을 보여주는 정면의 절단면도.
도9는 본 발명에 따라 제작된 또 다른 실시예의 접철용기 사시도
도10은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실시예의 접철용기 관로가 열려 있는 상태를 나타 내는 정면도.
도11은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실시예로 접철용기의 저장부에서 분리수용계량부로 이송 후 또는 평시의 관로가 차단된 용기의 정면도
도12는 본 발명에 따라 제작된 또 다른 실시예로 계량분배시 접철용기의 저장부에서 분리수용계량부로 물질의 이송을 보여주는 정면의 절단면도.
도13은 본 발명에 따라 제작된 또 다른 실시예로 핀 또는 집게에 의해 관로가 차단되는 용기의 사시도
도14는 본 발명에 따라 제작된 또 다른 실시예로 핀 또는 집게에 의해관로가 차단되지 않고 열려 있는 용기의 정면도.
도15는 도14의 핀 또는 집게에 의해 차단되지 않고 관로가 열린 상태를 나타내는 세부 평면도.
도16은 본 발명에 따라 제작된 또 다른 실시예로 핀 또는 집게에 의해관로가 차단된 용기의 정면도.
도17는 도16의 핀 또는 집게에 의해 차단되어 관로가 막힌 상태를 나타내는 세부 정면도.
본 발명은 접철기능을 갖는 다중격실 분배 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종래에는 저장부에 수용된 내용물을 계량 분배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계량스푼이나 계량컵을 이용해왔다. 특히 일회용품으로 많이 쓰여지고 있는 약국에서 조제한 어린이 시럽제를 소분해서 담아주는 투약병에 대해서는 더욱 그러하다. 정량을 투여해야 치료효과를 높일 수 있는데, 종래 투약병은 계량눈금이 부정확하거나 비록 정확하다 하더라도
일반 밥숟가락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투약병에 새겨진 눈금에서 투약량을 차감하는 방식을 써야하므로 오차가 커질 수 있었다. 약물을 투여하기 위해서는 계량스푼 또는 계량컵을 항상 휴대해야하는 번거로움은 물론 스푼 또는 계량컵에 계량한 후 어린이에게 투약하고 그 스푼이나 컵을 매번 세척해야 하는 등 여러 동작으로 인한 불편함도 있었다. 스푼에 계량하고 투약하기 전까지 약물이 이동 중에 쏟거나 흘릴 가능성도 많아서 약물의 소실은 물론 옷도 세탁하는 번거로움이 많이 있었다. 어린이가 약에 대한 거부감이 심한 경우는 훨씬 더하였다. 스푼에 눈금이 있는 경우는 그나마 다행이지만 계량 스푼이 없을 때는 밥숟가락에 약을 먹이는 관행이 아직도 여전하다. 어떤 경우에는 밥숟가락에 약물을 대충 부어 계량하고 그 위에 가루약을 얹고 손가락으로 저어주는 경우도 종종 있다. 이는 약물의 안전성을 확보해야하는 측면에서 위생성과 안전성을 확보해야하는 약물의 특성상 매우 심각한 문제가 아닐 수 없다. 이와 같이 약물을 투여하기 위한 예비과정이 복잡한 관계로 약을 먹이는 보호자는 긴장상태가 오랫동안 유지되어야하고 약물을 복용하는 어린이는 약에 대해 갖는 거부감이 커지므로 약물을 정확하고 안전하게 투여하기에는 어려움이 지속된다. 이상에 본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약물을 저장한 용기와 계량하기 위한 도구가 분리되어 있지 않고 합체되어 있고, 계량이 편리하고, 가루약을 섞을 시에 약물의 이탈 및 손실을 방지 할 수 있고 계량한 대로 그대로 투여가 가능한 용기라면 상기한 문제점이 모두 소멸된다. 투약병 이외에도 실생활에서 사용되는 계량이 필요한 용기는 별도의 기구를 사용하는 불편을 제거하기 위해서는 같은 용기 내에서 저장부와 분리수용계량부를 분리시킨 다음과 같은 용기가 유통되고 있다.
가. 엔진오일 첨가제를 담은 용기 (도18),
나. 가습기의 구성품인 수조에 미생물 번식을 막기 위한 약품을 담는 용기 또는 구강 청결제용기(도19,도20)
그러나 위의 두 경우는 일정량을 계량한 후 분배해야하는 경우에 사용되었는데 저장용기를 외부에서 가압하여 하부에 놓인 저장부의 공기압력을 증가시켜서 상부에 위치한 분리수용계량부로 물질을 이송시키기는데 상부분리수용계량부의 압력은 내용물이 들어찰수록 공기밀도가 높아지며 압력이 높아지므로 점점더 세게 가압을 해야 분리수용계량부로 내용물을 이송시킬 수 있었다. 이때 분리수용계량부의 공기가 밖으로 빠져나가거나 아래 저장부와 순환을 통해 공기압이 평형을 이루어야 계속 이동시킬 수 있는데, 상부의 분리수용계량부는 마개로 밀폐되어 있고, 공기가 순환 할 수 있는 관로의 하부는 저장부의 유동성물질이 막고 있으므로 정상상태에서는 상부공기가 하부저장부와의 교환이 일어나지 않으므로 분리수용계량부로 유동 물질을 이송시키기 위해서는 더 센 힘이 필요해진다. 따라서 한번 가압할때 가압하는 힘만큼 물질이 이동하므로 정확한 계량이 힘든 단점과 여러 번 가압을 해야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이와 같이 계량을 했어도 가압시 상당한 힘이 가해지게 되는 경우는 목표한 양보다 과다하게 계량되면 분리수용계량부에 이송된 물질을 역으로 저장부로 이송시키는데는 곤란해지는 경우가 발생되었다. 또한 나.의 경우는 분리수용계량부와 저장부사이의 물질이동을 차단하기 위하여 용기내부 목부에 별도의 격실을 만들고 하부 물질을 상부로 이송하기 위한 관로가 상부에서는 측면으로 구멍을 내야 하는 등 상기한 단점은 물론 용기의 제조 단가가 상승하는 점이 있었다.
별도의 계량기구가 없거나 그 사용이 번거롭다는 이유로 계량을 하지 않고 대충 부어서 사용하는 경우에 자원이 낭비되고 특히 그 사용물질이 의약품이나 화공약품인 경우 위험한 상황에 노출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와 같은 폐단을 제거하여 편리하게 계량하고 안전성을 확보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저장부와 분리수용계량부가 서로 관부로 연결되어 있고 계량분배시에는 두 격실사이에 있는 관로가 개방된 상태에서 물질 이송이 이루어지므로 공기의 흐름이 자유로워지게 되고 저장부의 내용물이 상부에서 하부의 분리수용계량부로 중력에 의해서 쏟아지게 함으로써 자연스런 물질이동이 가능해진다. 분리수용계량부에 원하는 양만큼 물질이 채워지면 저장부를 원상태로 기울여 주기만 하면 되므로 쉽고 정확한 계 량이 가능해졌다. 만일 목표로한 양보다 과다하게 계량이 된 경우는 저장부에서 분리수용계량부로 분배했던 방식대로 역으로 분리수용계량부에서 저장부로 이송시키면 쉽게 보정이 되므로 정량 분배의 정확성을 높일 수 있다. 계량이 끝나면 밸브기능을 갖는 용기의 관부를 핀 또는 집게에 의해 차단하거나 접철하여 물질이동을 제한하여 분리수용계량부와 저장부로 두개의 격실을 갖게 함으로써 내용물의 혼입을 방지하고 분리수용계량부의 마개를 열어 계량한 만큼의 일정량만을 배출하도록 하게 되므로, 본 발명은 구성부품이 단순하여 제조단가를 낮추고 자원절약에도 기여하고 사용시에는 편리하고 정확한 계량분배를 이루고자함이다. 본 발명을 밀폐된 공간에서 둘 이상의 물질을 혼합하여야 하는 경우에도 다중격실을 가진 용기로 제작하여 별도의 디스펜서를 사용하지 않고도 혼합 및 분배가 가능하도록 하고자 한다.
상기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합성수지를 원료로 하여 접철 가능한 용기에 있어서, 구획진 격실(a,b) 모두 눈금이 새겨진 다수개의 저장부(a,b)를 별도의 구획으로 구성하되 그 사이에는 접철 또는 핀(p)에 의해 개폐가 가능한 관로(t)를 형성함으로써 상호간에 물질이동이 가능하도록 하며 핀(p)을 끼워 넣거나 접철시에는 두 구획이 차단됨으로써 물질이동이 더 이상 일어나지 않으므로 분리수용계량부에 있는 양만큼만 외부로 배출 되도록 한다.
이하, 본 발명의 구성 및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이용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도1에서 접철이 가능한 용기는 눈금이 새겨진 각각의 저장부를 가지며, 최초 제작되었을 때는 각각의 저장부의 접촉면은 서로 직각으로 벌어져 있는 상태로 제작되어(도1) 일측(1a)의 저장물질을 타측(1b)으로 이송한 후 목표량이 되었을 때(도2)는 각각의 저장부를 회동시켜 관로가 접철되도록 한다. 이때 관로는 서로의 내측면이 맞닿게 되므로 개방되어 있던 관로는 폐쇄가 된다(도3). 도4는 관로의 내주면에 형성된 반쪽 돌기는 서로 방향이 엇갈리게 구성되어 접철시 내주면의 돌기가 반대편의 내주면에 닿은 후에 탄성효과를 나타내게 되므로 관로의 차단효과를 높여주고, 접철면을 확정시켜 작동이 안정되게 하는 효과를 준다.
도5은 도1과 다르게 개구면의 중심을 지나는 수직선이 서로 평행하게 제작되어(도6) 일측의 저장부(2a)에 수용된 유동물질이 수용된 저장부를 기울여서(도8) 타측(2b)으로 분배한 후 각각의 저장부를 서로 대향하도록 밀착시키면(도2-3) 관로는 접철되면서 차단되고,p-1,p-2로 구성된 각각의 돌기와 홈은 용기가 분리되지 않도록 이탈방지 효과와 이동 및 보관시 안정성을 높여준다.
도9는 종래에 많이 쓰여지던 용기와 다른 특징은 탄성을 가진 합성수지로 된 용기의 목부를 가늘게 만들고 그 목부를 접철시켜 관로를 차단하는 것이다. 이것의 특징은 하나의 용기에 개구부가 하나라는 점을 특징으로 하므로 구성품이 단순하고 제작비도 저렴해진다. 도12는 도9의 사용례를 도시한 것으로서 최초에 개구부를 통해 수용(도8)된 유동성물질을 거꾸로 뒤집어서 분배 계량한 후에 관로를 접철시켜 물질이동을 차단(도11)하고 최초에 물질을 수용했던 개구부를 통해 계량된 양만큼 외부로 분배된다.
도13은 핀 또는 집게에 의해 관로를 차단하는 방식을 보여준다. 하부저장부의 상부면측단에 돌기(p)가 있고, 핀 또는 집게에는 그 돌기에 상응하는 홈이 있어서 핀 또는 집게의 이탈을 방지하며 핀으로 차단하는 경우에는 그 핀을 회전시켜주는 축이 된다. 최초에 용기에 유동성물질이 저장부(4a)에 수용된 후에는 마개가 닫힌 상태로 용기를 거꾸로 세우면 중력에 의해 분리수용계량부로 유동성물질이 이송된다(도14,도15). 목표한 계량이 이루어지면 핀을 회전시키거나, 집게로 관로를 차단한 후(도16,도17) 용기를 마개가 위로 가도록 세운 다음 마개를 열어서 계량된 내용물을 용기 외부로 분배하면 된다. 핀을 축을 따라 회전시키는 작동을 하거나 집게로 관로를 차단했을 때 원주 상을 유지했던 관로는 내주면이 서로 밀착되면서 폐쇄된다.(도17)
이상과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은 유동성물질을 계량 분배하는데 있어서,
첫째, 저장, 계량, 분배하는 일련의 과정을 하나의 용기 내에서 이루어지게 함으로써 단순한 구조가 가능하게되어 별도의 기구를 필요로 하지 않게 되므로 제작비의 절감효과와
둘째, 저장, 계량, 분배하는 일련의 과정을 하나의 용기 내에서 이루어지게 함으로써 계량을 목적으로한 별도의 기구를 사용, 보관, 운반, 세척의 과정이 필요없게되어 편의성을 제고시키는 효과와,
셋째,내용물의 계량,분배시 하나의 용기 내에서 이루어지게 함으로써 내용물의 소 실로 인한 자원의 낭비를 줄일 수 있게 하는 효과와,
넷째, 내용물의 계량, 분배시 하나의 용기 내에서 이루어지게 함으로써 그 내용물이 인체에 닿으면 유해한 경우에는 위험물로부터 인체를 보호하는 효과와
다섯째, 저장부나 분리수용계량부에 들어있는 유동성 내용물과 의약품의 분말 혹은 가용성 고체물질을 혼합하여 사용하는 경우에도 관로를 핀을 끼워 넣거나 접철시킴으로써, 저장부로부터 분리 차단된 격실이 만들어지므로 용기를 흔들더라도 저장부로부터 물질의 혼입을 방지하는 효과와
여섯째, 격실을 다수 개로 하여 여러 가지 액상물질 혹은 동일하더라도 용량을 달리하여 시차를 두고 섞어야하는 경우에도 각각의 용기가 접힌 상태에서 인접한 용기만 관로를 열어 줌으로써 연속적인 과정을 밀폐된 공간에서 일어나게 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11)

  1. 유동성물질을 담을 수 있는 두개 이상의 저장부를 가지며, 각각의 저장부는 유동성물질의 이동시 개폐가 가능하도록 신축 가능한 관로에 의해 서로 연결되어 있고, 상기 관로는 접철가능하며, 관로의 내부로 향하는 돌기가 있어 접철부위를 확정시키며 관로의 차단효과를 높일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수지를 원료로 만들어진 다중격실 분배용기.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일측의 저장부의 물질유입 또는 배출기능이 있는 개구부의 중심을 지나는 수직선은 접철시 타측의 개구부의 중심을 지나는 수직선과 서로 직각을 이루게 함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수지를 원료로 하여 만들어진 다중격실 분배용기.
  5. 제1항에 있어서, 일측의 저장부의 물질유입 또는 배출기능이 있는 개구부의 중심을 지나는 수직선은 접철시 타측의 개구부의 중심을 지나는 수직선과 서로 평행을 이루게 함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수지를 원료로 하여 만들어진 다중격실 분배용기.
  6. 제1항에 있어서, 각각의 저장부는 눈금이 새겨져 있어서 계량이 가능함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격실 분배용기.
  7. 제1항에 있어서, 각각의 저장부는 서로 결합 시에 관로의 차단효과와 용기의 안정성을 높일 수 있는 하나 이상의 돌기 또는 홈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격실 분배용기.
  8. 삭제
  9. 제1항에 있어서, 각각의 저장부는 유동성물질의 유입 또는 배출을 위한 개구를 가지며, 각각의 개구에는 마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격실 분배용기.
  10. 제1항에 있어서, 다수개의 저장부를 갖는 용기는 일측단에만 유동성물질의 유입 또는 배출을 위한 마개를 여닫을 수 있는 한 개의 개구만을 가지며, 타측의 저장부는 마개를 포함하지 않고 일측의 저장부와 관로만으로 유동성물질의 교통로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격실 분배용기.
  11. 삭제
KR1020030058428A 2003-08-22 2003-08-22 접철이 가능한 관로에 의해 연결된 다중격실 분배용기 KR10055386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58428A KR100553866B1 (ko) 2003-08-22 2003-08-22 접철이 가능한 관로에 의해 연결된 다중격실 분배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58428A KR100553866B1 (ko) 2003-08-22 2003-08-22 접철이 가능한 관로에 의해 연결된 다중격실 분배용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20899A KR20050020899A (ko) 2005-03-04
KR100553866B1 true KR100553866B1 (ko) 2006-02-24

Family

ID=372295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58428A KR100553866B1 (ko) 2003-08-22 2003-08-22 접철이 가능한 관로에 의해 연결된 다중격실 분배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53866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20899A (ko) 2005-03-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DK175626B1 (da) Doseringsindretning til væsker og med kontinuert variabel doseringsmængde
US4860927A (en) Blow molded two-compartment container
US5054660A (en) Self-dosing measuring chamber and container
US5491895A (en) Cold cereal spoon
US8757448B2 (en) System and method for liquid measuring dispenser
EP0619875B1 (en) Improved measuring/dispensing device for granular or powder products
US3288335A (en) Metering device for dispensing identical quantities of liquids from liquid containers
US20090159620A1 (en) Dispensing device for dispensing a liquid product
US6929159B1 (en) Quantitative measuring dispenser
US9423285B2 (en) Medication dispenser
US845175A (en) Bottle.
CN212196496U (zh) 定量容器
KR100553866B1 (ko) 접철이 가능한 관로에 의해 연결된 다중격실 분배용기
CN111674687A (zh) 定量容器及定量取物方法
NZ193060A (en) Squeeze bottle dispenser with integral measuring chamber
KR200386903Y1 (ko) 투약용 소분 계량용기
KR100519088B1 (ko) 계량분배용기
KR100421502B1 (ko) 액체 정량 투입용기
US8361051B2 (en) Calibrated medicine mixing assembly and associated method
CN212196497U (zh) 定量容器
KR200336438Y1 (ko) 계량 분배용기
US8863996B2 (en) Controllable medicinal dosage packaging for liquid medication
KR200186755Y1 (ko) 액체 내용물 보관용 용기의 정량 유출장치
EP0701108A1 (en) A metering device
BR102022020843A2 (pt) Tampa com dosador integrado para pot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216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