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53847B1 - 용기뚜껑 - Google Patents

용기뚜껑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53847B1
KR100553847B1 KR1019980710437A KR19980710437A KR100553847B1 KR 100553847 B1 KR100553847 B1 KR 100553847B1 KR 1019980710437 A KR1019980710437 A KR 1019980710437A KR 19980710437 A KR19980710437 A KR 19980710437A KR 100553847 B1 KR100553847 B1 KR 10055384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d
cap
container
drinking
pu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7104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22039A (ko
Inventor
마사미치 가네코
히데토시 콘노
모크 엘마
Original Assignee
테트라 라벨 홀딩스 앤드 파이넨스 에스. 에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테트라 라벨 홀딩스 앤드 파이넨스 에스. 에이. filed Critical 테트라 라벨 홀딩스 앤드 파이넨스 에스. 에이.
Priority to KR10199807104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53847B1/ko
Publication of KR200000220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2203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538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53847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in one piece, e.g. by casting metallic material, by moulding plastics, by blowing vitreous material, by throwing ceramic material, by moulding pulped fibrous material, by deep-drawing operations performed on sheet material
    • B65D1/02Bottles or similar containers with necks or like restricted apertures, designed for pouring cont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7/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specially constructed to be opened by cutting or piercing, or by tearing of frangible members or portions
    • B65D17/50Non-integral frangible members applied to, or inserted in, preformed openings, e.g. tearable strips or plastic plugs
    • B65D17/506Rigid or semi-rigid members, e.g. plu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17/00Containers specially constructed to be opened by cutting, piercing or tearing of wall portions, e.g. preserving cans or tins
    • B65D2517/0001Details
    • B65D2517/001Action for opening container
    • B65D2517/0013Action for opening container pull-out tear panel, e.g. by means of a tear-tab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17/00Containers specially constructed to be opened by cutting, piercing or tearing of wall portions, e.g. preserving cans or tins
    • B65D2517/0001Details
    • B65D2517/0031Reclosable openings
    • B65D2517/0038Reclosable openings the plug being reinsertable into the open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17/00Containers specially constructed to be opened by cutting, piercing or tearing of wall portions, e.g. preserving cans or tins
    • B65D2517/0001Details
    • B65D2517/0058Other details of container end panel
    • B65D2517/0059General cross-sectional shape of container end panel
    • B65D2517/0061U-shap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17/00Containers specially constructed to be opened by cutting, piercing or tearing of wall portions, e.g. preserving cans or tins
    • B65D2517/0001Details
    • B65D2517/0058Other details of container end panel
    • B65D2517/008Materials of container end panel
    • B65D2517/0083Rigid plasti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17/00Containers specially constructed to be opened by cutting, piercing or tearing of wall portions, e.g. preserving cans or tins
    • B65D2517/0001Details
    • B65D2517/0058Other details of container end panel
    • B65D2517/0089Unusual detai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17/00Containers specially constructed to be opened by cutting, piercing or tearing of wall portions, e.g. preserving cans or tins
    • B65D2517/50Non-integral frangible members applied to, or inserted in, a preformed opening
    • B65D2517/5072Details of hand grip, tear- or lift-tab
    • B65D2517/5083Details of hand grip, tear- or lift-tab with means facilitating initial lifting of tape, e.g. lift or pull-tab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환경오염의 원인이 되지 않는 용기 뚜껑(11)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원통형의 용기본체(15) 상단의 개구부를 덮으며, 음용구(16)가 형성된 플라스틱제의 시트로 이루어지는 뚜껑본체(12)와, 상기 뚜껑본체(12)의 음용구(16)를 덮으며, 상기 음용구(16)의 주변과의 사이에서 밀봉이 수행되는 실 부(20), 및 상기 실 부(20)와 일체로 형성된 풀탭부(21)를 구비하며, 상기 실 부(20)에 이지 필층이 형성된 플라스틱제의 시트로 이루어지는 풀캡(14)을 갖는다. 그리고, 상기 뚜껑본체(12)에는, 상기 음용구(16)와 다른 위치에 유지홈부가 형성되며, 상기 유지홈부에, 떨어진 후의 상기 풀캡(14)을 유지하는 풀캡 유지수단이 형성된다. 떨어진 후의 풀캡(14)을 유지하는 풀캡 유지수단에 의해 유지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풀캡(14)을 뚜껑본체(12)로부터 떼어내어 음료용용기를 개봉한 후, 풀캡(14)이 부주의하게 버려지지 않게 된다.

Description

용기 뚜껑
본 발명은 용기 뚜껑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음료용용기가 사용될 때, 원통형의 용기본체내를 멸균시켜 무균상태로 하고, 음료를 채워 넣은 후, 뚜껑으로 용기본체를 밀봉하고 있다.
그리고, 예를들어, 소위 필러블 실형(peelable-seal type)(멤브레인 형) 뚜껑은, 알루미늄박 표면에 PET(폴리에틸렌 텔레프탈레이트)제의 신장 필름을 적층(laminate)하며, 용기본체와 접촉하는 측의 면에, 떼어내는 것이 용이하게 하는 이지 필(easy-to-peel)층을 형성한 시트로 이루어지며, 상기 뚜껑으로 상기 용기본체 상단의 개구부를 덮으며, 실(seal)을 수행하도록 하고 있다.
또한, 뚜껑본체에 음용구를 형성하며, 상기 음용구를 이지 필층을 구비한 PET/알루미늄박으로 이루어지는 풀탭(pull tab)으로 덮으며, 상기 풀탭과 상기 음용구의 주변 사이에서 실을 수행하도록 한 뚜껑도 제공되고 있다.
그러나, 전술된 종래의 뚜껑에서는, 필러블 실형 뚜껑의 경우에, 음료용용기를 수송하는 중에 뚜껑이 용기본체로부터 떨어지지 않도록, 뚜껑과 용기본체 사이의 실 강도를 높여 놓을 필요가 있는 반면에, 뚜껑을 용기본체로부터 떼어내서 음료용용기를 개봉하는 것이 용이하게 되도록, 상기 실 강도를 적당히 작게 해 놓을 필요가 있으므로, 이 두 개의 요구조건 사이에서 균형을 잡는 것이 곤란하다.
또한, 음료용용기를 개봉하기 위해서 뚜껑을 용기본체로부터 떼어내면, 음용구가 너무 커져서, 내부의 음료가 쉽게 흘러나오게 될 수 있다.
한편, 풀탭을 사용하여 실을 수행하도록 한 뚜껑의 경우에, 풀탭에 이지 필층이 형성되므로, 뚜껑의 모양이 고급이라는 인상을 주지못한다.
따라서, 뚜껑본체에 음용구를 형성하며, 상기 음용구를 풀캡(pull-cap)으로 덮어서 실을 수행하도록 한 뚜껑이 착안될 수 있다. 이 경우에, 뚜껑과 용기본체 사이의 실 강도를 높이며, 동시에, 풀 캡의 실 강도를 적당히 작게 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음료용용기를 수송하는 중에 뚜껑이 용기본체로부터 떨어지지 않으며, 또한 음료용용기를 개봉하는 것이 용이하게 된다.
또한, 음료용용기를 개봉했을 때 음용구가 커지지 않으며, 동시에, 뚜껑의 모양이 고급이라는 인상을 줄 수 있다.
그런데, 풀캡을 뚜껑본체로부터 떼어내서 음료용용기를 개봉한 후, 부주의하게 풀캡이 버려지는데, 이는 환경 오염의 원인이 되고 만다.
본 발명은, 상기된 바와 같은 종래의 뚜껑이 갖는 문제점을 해결하여, 음료용용기를 수송하는 중에 뚜껑이 용기본체로부터 떨어지지 않으며, 음료용용기를 개봉하는 것이 용이하며, 음료용용기를 개봉했을 때 음용구가 커지지 않으며, 뚜껑이 고급이라는 인상을 주는 것이 가능한 동시에, 환경오염의 원인이 되지 않는 뚜껑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도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뚜껑의 사시도이며, 도2는 본 발명의 상기 실시예에 따른 뚜껑의 평면도이며, 도3은 도2의 X-X 선에 따라서 절취된 단면도이며, 도4는 도2의 Y-Y 선을 따라서 절취된 단면도이며, 도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뚜껑의 제1의 요부확대도이며, 도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뚜껑의 제2의 요부확대도이며, 도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풀캡의 유지상태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며, 도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풀캡의 유지상태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며, 도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풀캡의 유지상태를 도시하는 요부단면도이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뚜껑은, 원통형의 용기본체의 상단의 개구부를 덮으며, 음용구가 형성된 플라스틱제의 시트로 형성되는 뚜껑본체와, 상기 뚜껑본체의 음용구를 덮으며, 상기 음용구의 주변과의 사이에서 실이 수행되는 실 부, 및 상기 실 부와 일체로 형성된 풀탭부를 구비하며, 상기 실 부에 이지 필층이 형성된 플라스틱제의 실로 이루어지는 풀캡을 갖는다.
그리고, 상기 뚜껑본체에는, 상기 음용구와 다른 위치에 유지홈부가 형성되며, 상기 유지홈부에는, 떨어진 후에 상기 풀캡을 유지하는 풀캡유지 수단이 형성된다.
이 경우에, 뚜껑과 용기본체 사이의 실 강도를 크게 함으로서, 음료용용기를 수송하는 중에 뚜껑이 용기본체에서 떨어지지 않게 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이지 필층에 의해서, 풀캡과 뚜껑본체 사이의 실 강도를 적당히 작게 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음료용용기를 개봉하는 것이 용이해 진다. 또한, 이지 필층이 형성되는 것은 실 부의 일부분 뿐이며, 이에 더해서, 음용구는 작으므로, 실 부를 작게 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음료용용기를 수송하는 중에 풀캡이 뚜껑본체에서 떨어지지 않는다.
또한, 음료용용기를 개봉했을 때 음용구가 충분히 작으므로, 내부의 음료가 쉽게 흘러나오지 않는다. 그리고, 뚜껑이 고급이라는 인상을 주는 것이 가능하다.
더욱이, 떨어진 후에 풀캡을 풀캡 유지수단에 의해 유지하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풀캡을 뚜껑본체로부터 떼어내서 용료용용기를 개봉한 후, 풀캡이 부주의하게 버려지지 않게 된다.
따라서, 풀캡이 환경오염을 야기시키지 않게 된다.
또한, 음용중에 풀캡을 분실하지 않게 되므로, 사용자는 음료중 일부를 음용하고 음료용용기를 닫는 것이 가능하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히 설명한다.
도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뚜껑의 사시도이며, 도2는 본 발명의 상기 실시예에 따른 뚜껑의 평면도이며, 도3은 도2의 X-X 선에 따라서 절취된 단면도이며, 도4는 도2의 Y-Y 선을 따라서 절취된 단면도이며, 도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뚜껑의 제1의 요부확대도이며, 도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뚜껑의 제2의 요부확대도이며, 도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풀캡의 유지상태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며, 도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풀캡의 유지상태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며, 도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풀캡의 유지상태를 도시하는 요부단면도이다.
도면에서, 뚜껑(11)은, 원통형의 용기본체(15)의 상단의 개구부를 덮는 플라스틱제의 시트로 이루어지는 뚜껑본체(12), 및 상기 뚜껑본체(12)에 부착된 플라스틱제의 시트로 이루어지는 풀캡(14)을 갖는다.
상기 뚜껑본체(12)는, 가스차단성(gas barrier) (특히 산소에 대한 차단성)을 갖는 플라스틱제의 시트로 이루어지는데, 예를들면, PP (폴리프로필렌) / EVOH (에틸렌 비닐 알코홀 공중합체) / PP의 다층구조를 갖는 시트를, 진공압공성형법 등의 시트성형기술에 의해 성형하므로서 형성된다. 또한, EVOH는 산소에 대한 차단성을 갖는다.
또한, 풀캡(14)은, 가스차단성(특히 산소에 대한 차단성)을 갖는 플라스틱제의 시트로 이루어지는데, 예를 들면, PP / EVOH / PP의 한쪽 면에 이지 필층이, 다른쪽 면에, 예를 들면, 폴리카보네이트 등과 같은 내열성이 높은 수지층이 각각 피복된 다층구조를 갖는 시트를, 상기 시트성형기술에 의해 성형하므로서 형성된다. 이 경우에, 상기 이지 필층은 뚜껑본체(12)와 대향하는 측에 형성된다.
그런데, 상기 뚜껑본체(12)는, 원형의 정상부(17), 상기 정상부(17)의 주변으로 부터 하방을 향해서 연장되며, 상기 용기본체(15)를 에워싸는 스커트부(18), 상기 정상부(17)로부터 하방으로 돌출시켜서 형성되며, 설정된 깊이 d1을 갖는 제1 홈부(19), 및 상기 제1 홈부(19) 보다 더욱 하방으로 돌출시켜 형성되며, 설정된 깊이 d2를 갖는 유지홈부로서 제2 홈부(10)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1 홈부(19)에 대략 삼각형의 음용구(16)가 형성된다.
이 경우에, 뚜껑(11)에 의해서 용기본체(15)를 밀봉시키므로, 음료용용기가 형성된다. 그리고, 뚜껑(11)과 용기본체(15) 사이의 실 강도를 크게 하여, 음료용용기를 수송하는 중에 뚜껑(11)이 용기본체(15)에서 떨어지지 않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이지 필층에 의해서, 풀캡(14)과 뚜껑본체(12) 사이의 실 강도를 적당히 작게 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음료용용기를 개봉하는 것이 용이하게 된다. 또한, 이지 필층이 형성되는 것은, 풀캡(14)의 실 부(20)의 일부뿐이며, 더욱이, 음용구(16)가 작으므로, 실 부(20)를 짧게 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음료용용기의 수송중에 풀캡(14)이 뚜껑본체(12)로부터 떨어지지 않는다.
또한, 음료용용기를 개봉했을 때 음용구(16)가 충분히 작으므로, 내부의 음료가 넘치지 않는다. 더욱이, 뚜껑(11)이 고급이라는 인상을 주는 것이 가능하다.
그런데, 상기 제1 홈부(19)는, 풀캡(14)에 대응하는 형상을 갖으며, 상기 뚜껑본체(12)의 중심을 통해서 직경방향으로 연장된다. 한편, 상기 제2 홈부(10)는, 상기 제1 홈부(19) 및 음용구(16)를 에워싸서 「C」자 형상으로 연장되며, 제1의 풀캡 유지공간(61) 및 제2의 풀캡 유지공간(62)을 형성한다.
또한, 상기 풀캡(14)은, 상기 음용구(16)를 덮어서 실이 수행되는 실 부(20), 및 상기 실 부(20)와 일체로 형성된 풀탭부(21)로 이루어지며, 상기 실 부(20)는, 상기 음용구(16)의 주변을 따라서 연장되는 플랜지부(22), 및 상기 플랜지부(22)의 내측에 형성되며, 상기 음용구(16)를 관통하여 하방으로 연장되며, 음용구(16)와 대략 같은 형상을 갖는 홈부(23)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실 부(20)의 주위에는, 제1 홈부(19)와 제2 홈부(10)를 구획하는 한쌍의 벽부(25, 26)가 상기 정상부(17)에 의해서 형성되지만, 상기 풀탭부(21)의 주변에는 벽부가 형성되지 않으며, 제1 홈부(19)와 제2 홈부(10)가 연속되어진다. 따라서, 상기 풀탭부(21)를 용이하게 떼어내어, 풀캡(14)을 뚜껑본체(12)로부터 떼어내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풀탭부(21)에는, 풀캡(14)을 뚜껑본체(12)로부터 떼어낼 때에, 풀탭부(21)를 떼기 쉽게 하기 위한 복수의 리브(64)가 형성된다. 또한, 풀탭부(21)를 떼어내기 쉽게 하기 위해서, 뚜껑본체(12)에 도시하지 않는 돌출부가 형성되며, 풀탭부(21)를 뚜껑본체(12)로부터 띄워지도록 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음용구(16) 주위의 제1 홈부(19)의 벽면에는, 상기 플랜지부(22)의 주변을 따라서 오목홈(31)이 형성되며, 상기 오목홈(31)에 플랜지부(22)의 주변이 맞추어 진다.
상기 구성의 뚜껑(11)을 조립하는 경우에, 먼저, 풀캡(14)의 실 부(20)를 뚜껑본체(12)의 음용구(16) 상에 배치하여, 하방으로 누르면, 실 부(20)의 플랜지부(22)의 주변의 거의 전체가 오목홈(31)에 맞추어진다.
그리고, 실 부(20)의 플랜지부(22)를 상기 음용구(16)의 주위에, 용착수단으로 용착시키면, 음용구(16)는 풀캡(14)에 의해서 덮이며, 뚜껑본체(12)와 풀캡(14) 사이에서 실이 수행된다.
또한, 상기 용기본체(15)에 음료를 채워 넣기 전에, 뚜껑(11)의 이면은 멸균된다. 상기 풀캡(14)이 뚜껑(11)에 부착될 때, 상기 플랜지부(22)의 주변이 상기 오목홈(31)에 맞추어진다. 따라서, 뚜껑(11)의 이면측에는, 상기 풀캡(14)과 뚜껑(11) 사이에 밀폐부가 형성되지 않으므로, 뚜껑(11)을 조립한 후에, 밀폐부에 멸균재료가 잔류하지 않는다.
이와 같이하여 형성된 뚜껑(11)과 음료가 채워진 용기본체(15)의 상단을 맞추어, 가열하거나 초음파를 인가하면, 뚜껑(11)과 용기본체(15) 사이에 실이 수행된다. 이 경우에, 상기 스커트부(18)의 내측에 형성된 홈(71)에 상기 용기본체(15)의 상단을 맞추어서, 뚜껑(11)과 용기본체(15)는 일시적으로 결합된다. 그와 같이 하기 위해서, 상기 홈(71)은 스커트부(18)의 상단측보다 하단측 쪽이 좁게되며, 상기 홈(71)에 상기 용기본체(15)의 상단을 삽입했을 때에는, 스커트부(18)에 의해 용기본체(15)의 상단이 유지되도록 되어있다. 또한 상기 홈(71) 및 용기본체(15)의 상단에 의해서 일시적인 결합수단이 구성된다.
따라서, 이면이 멸균된 뚜껑(11)과 내부가 멸균된 용기본체(15)를 일시적으로 결합시킨 상태에서, 용기본체(15)의 내부에 먼지 등이 들어오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충전공장에서, 음료를 충전하는 공정전에 뚜껑(11)의 이면, 용기본체(15)의 내부 등을 멸균하는 공정이 필요 없게 된다.
다음에, 상기 음료용용기를 개봉하는 경우에는, 풀캡(14)의 풀탭부(21)를 손가락으로 떼어서, 상방으로 당기면, 실 부(20)의 하면에 형성된 이지 필층의 일부분이 음용구(16)의 주변으로부터 떨어진다. 따라서, 풀캡(14)을 뚜껑본체(12)로부터 용이하게 떼어내는 것이 가능하다.
그런데,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풀캡(14)에 홈부(23)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풀캡(14)을 뚜껑본체(12)로부터 떼어낼 때에는, 음료용용기내의 음료의 표면이 흔들려서 음용구(16)로부터 흘러나오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풀캡(14)을 뚜껑본체(12)로부터 떼어낸 후에, 상기 오목홈(31)에 플랜지부(22)의 주변을 맞추어 넣으며, 풀캡(14)을 상기 뚜껑(11)에 밀어부착시켜서 음용구(16)를 폐쇄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후, 풀캡(14)을 뚜껑(11)에 대해서 탈착시키므로, 음용구(16)를 반복해서 개폐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사용자는 도중에 음료의 음용을 중지하고 용기를 닫는 것이 가능하다.
더욱이, 상기 음용구(16)를 관통한 홈부(23)가, 쉽게 음용구(16)로부터 떨어져나가지 않도록, 상기 홈부(23)의 둘레방향을 따라서 2개의 위치에 호형의 볼록부(51,52)가 형성된다.
또한, 풀캡(14)이 뚜껑(11)에 대해서 탈착이 용이하도록, 상기 벽면(30)의 둘레방향을 따라서 3개의 위치에 절결부(33-35)가 형성된다.
그런데, 상기 제2 홈부(10)의 벽면(37)에는, 주변 방향을 따라서 4개의 위치에, 떨어진 후에 풀캡(14)을 뚜껑(11)에 일시적으로 결합하기 위한 절결부(45-48)가 형성되며, 절결부(45,46)와 절결부(47,48)는 각각 서로 대향되어 있다. 그리고 절결부(45-48)에서, 제1 홈부(19)와 대략 같은 깊이의 위치에 호형의 오목부(55-58)가 형성되며, 오목부(55,57)에 의해서 제1의 풀캡 유지수단이, 오목부(56,58)에 의해서 제2의 풀캡 유지수단이 각각 형성된다.
이 경우에, 뚜껑본체(12)로부터 떨어진 후의 풀캡(14)을, 상기 제1의 풀캡 유지공간(61)에 놓으며, 하방으로 눌러 부착시키면, 상기 볼록부(51,52)가 오목부(57,55)에 각각 맞추어진다. 따라서, 풀캡(14)을 제1의 풀캡 유지공간(61)에 유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뚜껑본체(12)로부터 떨어진 후의 풀캡(14)을, 상기 제2의 풀캡 유지공간(62)에 놓으며, 하방으로 눌러 부착시키면, 상기 볼록부(51,52)가 오목부(56,58)에 각각 맞추어진다. 따라서, 도7로부터 도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풀캡(14)을 제2의 풀캡 유지공간(62)에 유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와 같이, 상기 음용구(16)를 삽입하여 양측에 제1, 제2의 풀캡 유지수단이 각각 형성되므로, 왼손잡이나 오른손잡이에 상관없이, 풀캡(14)을 제1의 풀캡 유지공간(61) 및 제2의 풀캡 유지공간(62)중 어느 것에 유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풀탭부(21)가 작게되므로, 풀캡(14)을, 제1의 풀캡 유지공간(61) 및 제2의 풀캡 유지공간(62)중 어느 것에 유지했을 때에, 풀캡(14)이 음용에 장애가 되지 않는다.
그리고, 풀캡(14)을 뚜껑본체(12)로부터 떼어내서 음료용용기를 개봉한 후, 풀캡(14)이 부주의하게 버려지지 않게 되므로, 환경오염의 원인이 되지 않는다.
또한, 음용중에 풀캡(14)을 분실하지 않으므로, 사용자는 음료의 일부를 음용하고 용기를 닫을 수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취지에 기초하여 여러 가지로 변형시키는 것이 가능하며, 그것들은 본 발명의 범위로부터 배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은, 음료용용기의 뚜껑에 이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Claims (5)

  1. (a) 통 모양의 용기본체 상단의 개구부를 덮으며, 음용구가 형성된 플라스틱제의 시트로 이루어지는 뚜껑본체와,
    (b) 이 뚜껑본체를 덮으며, 이 음용구의 주변과의 사이에서 실이 수행되는 실부, 및 이 실 부와 일체로 형성된 풀탭부를 구비하며, 상기 실부에 이지필층이 형성된 플라스틱제의 시트로 이루어지는 풀캡을 갖는 동시에,
    (c) 상기 뚜껑본체에는, 상기 음용구와 다른 위치에 보지홈부가 형성되며, 상기 음용구의 일부를 포위하는 보지홈부에는 떨어진 후에 상기 풀캡을 보지하는 풀캡 보지수단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뚜껑.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풀캡 보지수단은, 상기 음용구를 가운데 두고 그 음용구의 양측으로 형성되는 용기뚜껑.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풀캡 보지수단은 상기 보지홈부에 형성된 오목부인 용기뚜껑.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뚜껑본체는, 원형의 정상부의 주변으로부터 하방을 향해서 연장되며, 상기 용기본체를 에워싸는 스커트부를 갖으며, 이 스커트부의 내측에 형성된 홈, 및 상기 용기 본체의 상단에 의해 일시적인 결합수단이 구성되는 용기뚜껑.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음용구 주위의 벽면에는 오목홈이 형성되며, 상기 오목홈에는 풀캡의 주변이 맞추어지는 용기 뚜껑.
KR1019980710437A 1996-06-20 1997-06-20 용기뚜껑 KR10055384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710437A KR100553847B1 (ko) 1996-06-20 1997-06-20 용기뚜껑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6-159409 1996-06-20
KR1019980710437A KR100553847B1 (ko) 1996-06-20 1997-06-20 용기뚜껑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22039A KR20000022039A (ko) 2000-04-25
KR100553847B1 true KR100553847B1 (ko) 2006-09-27

Family

ID=417423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710437A KR100553847B1 (ko) 1996-06-20 1997-06-20 용기뚜껑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53847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37829U (ko) * 1988-09-03 1990-03-13
JPH03123830U (ko) * 1990-03-29 1991-12-16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37829U (ko) * 1988-09-03 1990-03-13
JPH03123830U (ko) * 1990-03-29 1991-12-16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22039A (ko) 2000-04-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922643B1 (en) Cover
EP0140282B1 (en) Can-like container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EP0299734B1 (en) Beverage containers
KR970003303B1 (ko) 재밀폐 가능한 합성물질 용기
GB2227474A (en) Retortable container with easily-openable lid
US5893477A (en) Receptacle for liquids
JP5403774B2 (ja) 液体食品用容器の開口装置及び液体食品用容器
US6102236A (en) Lid of a container for beverages
KR20200037282A (ko) 스파우트 캡, 스파우트 및 스파우트 부착 용기
JP2004359314A (ja) 開封刃をもつキャップ付カップ容器
US6129268A (en) Container comprising a container body part and a front wall connected thereto
JP2006290415A (ja) 開封機能付キャップ及び包装体
KR100553847B1 (ko) 용기뚜껑
CA1320920C (en) Openable end closure for a packaging container
US4982880A (en) Container and teat feeding assembly
JP3688776B2 (ja) 飲料用容器の蓋体
TW338758B (en) A lid of a container for beverages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EP0789659B1 (en) Receptacle for liquids
JPH0930556A (ja) 飲料用容器の蓋体
KR100430806B1 (ko) 음료 용기 뚜껑
JPH0789567A (ja) 液体取り出し部材
JPH0411711Y2 (ko)
JP4314646B2 (ja) プルリング付広口蓋
JP4003272B2 (ja) 開口容易な飲み口を有する紙容器
JP3626272B2 (ja) 飲料用容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