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53777B1 - 메밀싹 재배장치, 재배방법 - Google Patents

메밀싹 재배장치, 재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53777B1
KR100553777B1 KR1020050030959A KR20050030959A KR100553777B1 KR 100553777 B1 KR100553777 B1 KR 100553777B1 KR 1020050030959 A KR1020050030959 A KR 1020050030959A KR 20050030959 A KR20050030959 A KR 20050030959A KR 100553777 B1 KR100553777 B1 KR 10055377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sprout
buckwheat
outer frame
germin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309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영한
Original Assignee
벤처테크매니지먼트(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벤처테크매니지먼트(주) filed Critical 벤처테크매니지먼트(주)
Priority to KR10200500309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5377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537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5377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2/00Cultivation of specific crops or pla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01G22/20Cereals
    • A01G22/22Rice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31/00Soilless cultivation, e.g. hydroponics
    • A01G31/02Special apparatu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01G9/029Receptacles for seedlings
    • A01G9/0293Seed or shoot receptacl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Botany (AREA)
  • Cultivation Receptacles Or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메밀싹 재배장치, 재배방법 및 그 재배 장치와 재배방법으로 재배한 메밀싹에 관한 것이다. 이 중 메밀싹 재배장치는, 메밀싹이 놓여져 발아되되, 적어도 일부분이 메쉬로 형성되는 싹발아판과; 상기 싹발아판과 소정거리 이격된 상태에서 상기 싹발아판의 상부에 나란하게 배치되어 성장하는 메밀싹의 껍질을 제거하는 메쉬로 된 껍질제거판과; 상기 싹발아판과 상기 껍질제거판을 지지하여 상기 싹발아판과 상기 껍질제거판 간의 이격거리를 일정하게 유지하는 판지지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하여, 메밀싹이 발아되어 성장하는 과정에서 자연적으로 외측의 껍질이 벗겨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추후에 도정작업을 거칠 필요가 없어 상품화하기에 유리할 뿐만 아니라 보다 품질이 우수한 메밀싹이 재배될 수 있어 그 수율이 혁신적으로 향상될 수 있다.

Description

메밀싹 재배장치, 재배방법{Apparatus, method for buckwheat sprout growing}
도 1은 일반적인 메밀의 구조를 보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메밀싹 재배장치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메밀싹 재배장치의 분해 사시도,
도 4a 내지 도 4d는 각각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메밀싹 재배장치에서 프레임몸체부에 싹발아판 및 껍질제거판이 슬라이딩 장착되는 상태를 단계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메밀싹 재배장치에 대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메밀싹 재배장치에 대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메밀싹 재배장치에 대한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제6실시예에 따른 메밀싹 재배장치에 대한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제7실시예에 따른 메밀싹 재배장치에 대한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의 제8실시예에 따른 메밀싹 재배장치에 대한 도면,
도 11은 본 발명의 제9실시예에 따른 메밀싹 재배방법에 대한 도면,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싹발아판 2 : 껍질제거판
10 : 프레임몸체부 11 : 출입공
12 : 하부슬롯 13 : 상부슬롯
20 : 클램핑부재 30 : 메밀싹채취수단
31 : 커터삽입부 32,32a : 커터
35 : 힌지부 37 : 로킹부
본 발명은, 메밀싹 재배장치, 재배방법 및 그 재배 장치와 재배방법으로 재배한 메밀싹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메밀싹이 발아되어 성장하는 과정에서 자연적으로 외측의 껍질이 벗겨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추후에 도정작업을 거칠 필요가 없어 상품화하기에 유리할 뿐만 아니라 보다 품질이 우수한 메밀싹이 재배될 수 있어 그 수율이 혁신적으로 향상될 수 있도록 한 메밀싹 재배장치, 재배방법 및 그 재배 장치와 재배방법으로 재배한 메밀싹에 관한 것이다.
중앙 또는 동북아시아가 원산지인 메밀은 높이가 60 내지 90cm 되는 일년생 쌍떡잎식물이다. 다른 작물에 비하여 어떠한 토양에서도 비교적 잘 자라기 때문에 토양의 선택성이 비교적 낮고 병충해가 거의 없어 무농약 재배가 가능하며 생육기간도 60 내지 80일로 짧아 농경지의 이용률을 높일 수 있는 유리한 작물이다.
메밀이 새로운 건강 기능성 식품으로 각광받는 이유는 생리활성물질인 루틴 (Rutin)을 다량으로 함유하고 있어 영양학적 가치가 매우 높으며, 질병을 예방해주는 효과가 높기 때문이다. 열매는 성숙하면 갈색 또는 암갈색을 띠며 모양은 세모진 사면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밀의 종실은 겉껍질, 속껍질, 배유, 배아로 구성되어 있다. 메밀가루는 메밀종실의 어느 부분을 제분 및 배합비에 따라 향과 풍미, 식감, 색깔 등이 달라진다. 메밀종실의 중심부만을 가로로 내면 빛깔이 희지만 가루를 많이 낼수록 거뭇거뭇한 암회색을 띄는데 이는 제분 시 속껍질이 섞였기 때문이다. 도 1에서 속껍질의 미세한 입자가 전혀 섞이지 않은 배유 부분만의 하얀 메밀가루를 소위, 사라시나라고 한다.
알려진 메밀의 효능은 다음과 같다. 메밀은 장과 위를 튼튼하게 하고 기력을 늘린다. 정신을 맑게 하고 오장의 부패물을 없앤다. 메밀은 적체를 없애고 신경통에 탁월하며 설사를 멎게 한다. 한방은 소위, 교맥으로 약성이 달고 차며 오장의 기능을 단련시켜주며 익기작용과 혈압조절 등의 작용이 있다고 한다. 메밀은 생것 그대로도 소화가 잘되는 음식이므로 입산수도하는 사람들의 주식으로 이용되고 있다. 메밀 깍지는 베개 속의 재료로도 활용되는데, 메밀로 만든 베게는 잠든 후에 베개 속의 온도가 체온이상 올라가지 않는다고 한다.
메밀은 차가운 음식으로 체내의 열을 내려주고 염증을 가라앉히며 배변을 쉽게 한다. 섬유질 다량 함유로 변비치료 효과, 치질, 대장암 및 심혈관계 질환 예방 효과를 제공한다. 치근막염과 잇몸출혈 등에도 유효하다. 특히, 루틴 성분은 항산화 효능이 높으며 비만, 당뇨병, 고혈압 성인병 예방 및 치료에 효과가 있다.
메밀은 수분 외에도 단백질, 지질, 당질, 섬유, 회분, 칼슘, 인, 철, 비타민 B1 및 B2, 라이신, 루틴 등을 일정량 함유하고 있어, 단백질, 아미노산과 비타민을 섭취하는데 상대적으로 좋다.
이 중에서도 특히 루틴은 메밀에서 가장 대표적인 기능성 성분(소위, 항산화물질)으로 플라보노이드(Flavonoid)의 유도체로써 비타민P라고도 불리는 수용성이다. 루틴은 모세혈관을 강화시켜 뇌출혈을 예방하는 효과 외에도 고혈압, 동맥경화, 폐출혈, 궤양성 질환 당뇨성 각막증, 동상, 치질 및 감기 치료 등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전해진다.
이러한 메밀은 세계적으로 약 3,000여 종이 있다고 알려져 있다. 그러나 다양한 종류의 메밀 중에서 현재 상품으로 재배되고 있는 것으로는 소위, 보통메밀(Fagopyrum esculentum)과 쓴메밀(Fagopyrum tataricum, 이를 달단메밀이라고도 함 )로 나뉜다.
보통메밀은 자가불화합성 타가수정작물이고, 달단메밀은 자가화합성 자가수정작물이다. 보통메밀과 달단메밀은 양질의 단백질과 필수 아미노산을 고루 함유하고 있다. 특히, 화곡류 식량작물에서 결핍되어 있는 라이신 함량이 높으며 여러 종류의 비타민과 필수 미량요소를 많이 함유하고 있다. 달단메밀의 영양성분 분석결과 보통메밀에 비하여 성인병 예방과 치료에 효과가 좋은 루틴을 비롯한 약리성분을 더 많이 함유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밀가루와 쌀에 비하여도 양질의 단백질을 더 많이 함유하고 있고, 특히 라이신 함량은 월등히 높다. 총 지방산의 39.439.4%가 리놀산으로 양질의 불포화 지방산 함량도 더 높으며 조섬유 함량은 밀가루와 쌀 에 비하여 3 내지 4배 높다. 루틴과 플라보노이드를 포함한 비타민P 함량도 월등히 높아 달단메밀은 독특한 약리구성 성분을 많이 함유하고 있다. 마그네슘과 칼슘함량도 2 내지 4배나 많고 칼륨함량은 2 내지 2.5배이다. 보통메밀에 비하여 달단메밀은 루틴 등을 더 많이 함유하고 있어 일반적으로 성인병 예방과 치료 효과가 더 높다. 달단메밀은 주로 음용하는 차로써 사용되고 있는데 가루의 제품으로 유통되고 있다.
한편, 메밀싹은 전술한 보통메밀의 씨(종실)에서 빛을 차단하여 암실에서 샤워식 수경재배를 하면 루틴의 성분이 약 30배 정도 증가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앞서도 기술한 것처럼 루틴에 의한 모세혈관을 강화시켜 뇌출혈을 예방하는 효과 외에도 고혈압, 동맥경화, 폐출혈, 궤양성 질환 당뇨성 각막증, 동상, 치질, 감기 치료, 눈 기능 향상, 혈액순환 향상 등의 효과를 배가시킬 수 있다.
물론, 메밀싹 외에도 루틴을 함유하고 있는 채소로는 케일, 칼라드그린, 시금치, 근대, 치코리, 겨자잎, 비트, 오크라, 고추, 샐러리, 로메인 레터스, 브로컬리, 팥, 호박, 토마토 등이 있으나, 메밀싹처럼 루틴을 다량 함유하고 있는 채소는 아직 존재하지 않는다.
그만큼 메밀싹으로 인한 효과는 무한하다고 할 수 있다. 이에, 이러한 일반적인 사항에 발맞추어 대한민국특허청 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특1999-45699호에는 메밀싹을 재배할 수 있도록 한 메밀싹 재배기를 제안하고 있기도 하다.
그런데 공지된 기술의 경우, 평판에 직접 메밀싹을 올려놓아 물로써 메밀싹을 재배하고 있으나, 평판 영역에서의 배수문제로 인해 뿌리가 썩거나 그 성장이 저하되는 단점을 보인다. 실제로, 공지된 기술을 동일하게 적용하여 메밀싹을 재배할 경우, 그 수율이 상대적으로 작게 나타났다.
이에, 본 출원인은, 메밀싹이 발아되어 성장하는 과정에서 자연적으로 외측의 껍질이 벗겨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추후에 도정작업을 거칠 필요가 없어 상품화하기에 유리할 뿐만 아니라 보다 품질이 우수한 메밀싹이 재배될 수 있어 그 수율이 혁신적으로 향상될 수 있도록 한 메밀싹 재배장치를 제안하기에 이르렀다.
본 발명의 목적은, 메밀싹이 발아되어 성장하는 과정에서 자연적으로 외측의 껍질이 벗겨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추후에 도정작업을 거칠 필요가 없어 상품화하기에 유리할 뿐만 아니라 보다 품질이 우수한 메밀싹이 재배될 수 있어 그 수율이 혁신적으로 향상될 수 있도록 한 메밀싹 재배장치, 재배방법 및 그 재배 장치와 재배방법으로 재배한 메밀싹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메밀싹이 놓여져 발아되되, 적어도 일부분이 메쉬로 형성되는 싹발아판과; 상기 싹발아판과 소정거리 이격된 상태에서 상기 싹발아판의 상부에 나란하게 배치되어 성장하는 메밀싹의 껍질을 제거하는 메쉬로 된 껍질제거판과; 상기 싹발아판과 상기 껍질제거판을 지지하여 상기 싹발아판과 상기 껍질제거판 간의 이격거리를 일정하게 유지하는 판지지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밀싹 재배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싹발아판을 형성하는 메쉬의 크기는 상기 메밀싹이 빠지지 않 도록 상기 메밀싹의 부피에 비해 상대적으로 작게 형성되는 것이 유리하다.
상기 판지지수단은, 상기 싹발아판 및 상기 껍질제거판이 상기 이격거리를 유지하면서 지지될 수 있는 프레임구조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싹발아판 및 상기 껍질제거판 각각이 하부 및 상부메쉬부분과, 상기 하부 및 상부메쉬부분의 외곽틀을 형성하는 하부 및 상부외곽틀로 이루어져 있을 경우; 상기 판지지수단으로써의 프레임구조는, 상하면이 개방되고 내부에 소정의 공간을 형성하는 프레임몸체부와; 상기 프레임몸체부의 내면에 마련되어 상기 싹발아판의 하부외곽틀 및 상기 껍질제거판의 상부외곽틀이 해당 위치에서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하부 및 상부슬롯을 포함한다.
상기 싹발아판의 하부외곽틀 및 상기 껍질제거판의 상부외곽틀은 상기 프레임몸체부의 상부 개구부로부터 상기 하부 및 상부슬롯에 각각 수직이게 끼워질 수 있다.
상기 프레임몸체부의 어느 일측면에는 상기 싹발아판의 하부외곽틀 및 상기 껍질제거판의 상부외곽틀을 상기 하부 및 상부슬롯에 각각 슬라이딩 가능하게 출입시키는 출입공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출입공의 상부영역에는 상기 프레임몸체부의 측면높이에 비해 상대적으로 작게 형성되는 더미판부가 마련되어 있다.
상기 판지지수단은, 상기 싹발아판 및 상기 껍질제거판이 상기 이격거리를 유지하면서 지지될 수 있는 복수개의 클램핑부재일 수도 있다.
상기 복수개의 클램핑부재 각각은, 클램핑몸체와; 상기 클램핑몸체에 형성되 어 상기 싹발아판의 하부외곽틀 및 상기 껍질제거판의 상부외곽틀이 각각 배치되는 하부 및 상부슬롯을 포함한다.
상기 클램핑부재는 상기 싹발아판의 하부외곽틀 및 상기 껍질제거판의 상부외곽틀을 사이에 두고 적어도 사각구도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복수개의 클램핑부재에는 상기 복수개의 클램핑부재들 사이의 간격을 유지하는 간격유지구가 더 장착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싹발아판에서 성장하고 상기 껍질제거판에 의해 그 껍질이 제거된 메밀싹을 채취하는 메밀싹 채취수단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메밀싹 채취수단은, 상기 프레임몸체부의 판면 적어도 어느 일측에 마련되는 메밀싹 채취용 커터삽입부와; 상기 메밀싹 채취용 커터삽입부에 삽입되어 상기 싹발아판 및 상기 껍질제거판의 판면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메밀싹을 절단하여 채취하는 메밀싹 채취용 커터를 포함한다.
상기 메밀싹 채취용 커터삽입부가 상기 출입공으로 대체될 경우, 상기 메밀싹 채취용 커터는 그 일단부가 상기 출입공으로 삽입되어 상기 출입공의 전후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메밀싹을 절단하여 채취한다.
상기 메밀싹 채취용 커터삽입부는 상기 프레임몸체부의 양 측면에 상기 싹발아판의 슬라이딩 삽입방향을 따라 각각 한 쌍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메밀싹 채취용 커터는, 양단부가 상기 프레임몸체부의 양 측면에 한 쌍으로 형성된 상기 메밀싹 채취용 커터삽입부로 노출되게 배치되고 측면에 날 부분이 형성된 커터날과; 상기 커터날의 양단부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한 쌍의 손잡 이부를 갖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껍질제거판과 상기 프레임몸체부의 일측에는 힌지부가 마련되어 있고, 타측에는 로킹부가 마련되어 있다.
상기 힌지부는 상기 껍질제거판과 상기 프레임몸체부 중 어느 하나에 마련된 힌지핀과, 다른 하나에 마련되어 상기 힌지핀을 수용하는 핀공을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로킹부는 상기 껍질제거판과 상기 프레임몸체부 중 어느 하나에 마련된 로킹핀과, 다른 하나에 마련되어 상기 로킹핀을 선택적으로 로킹 및 로킹해제하는 로킹몸체를 포함한다.
상기 메밀싹 채취용 커터의 장착을 위해 상기 프레임몸체부의 일측면 일부분은 다른 나머지부분에 대해 착탈가능하게 결합할 수도 있다.
상기 판지지수단으로써의 프레임구조는, 상하면이 개방되고 내부에 소정의 공간을 형성하는 거의 한글 "ㄷ" 자 형상의 프레임몸체부와; 상기 프레임몸체부의 내면에 마련되어 상기 싹발아판의 하부외곽틀 및 상기 껍질제거판의 상부외곽틀이 해당 위치에서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하부 및 상부슬롯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프레임몸체부에서 상기 상부슬롯의 상부영역의 길이는 상대적으로 좁게 형성되어 있는 것이 유리하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분야에 따르면, 상기 목적은, 높이방향으로 상호 이격되게 싹발아판 및 껍질제거판을 배치하는 판배치단계와; 재배대상의 메밀싹 종실을 상기 싹발아판에 배치하는 종실배치단계와; 상기 싹발아판에 놓인 상기 종실을 소정의 온도, 습도 및 빛 투과량에 부합하게 발아시키는 발아단계와; 상기 껍질제거 판에 의해 발아된 종실의 외측 껍질이 자연적으로 벗겨지도록 하면서 발아된 종실을 성장시키는 성장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밀싹 재배방법에 의해서도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발아단계 및 상기 성장단계 중 적어도 어느 한 단계에서 온도는 20 내지 30도로 유지되는 것이 유리하다.
상기 발아단계 및 상기 성장단계 중 적어도 어느 한 단계에서 습도는 60 내지 80%로 유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발아단계 및 상기 성장단계 중 적어도 어느 한 단계에서 빛은 완전차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성장단계에서 상기 종실로 3 내지 6시간의 간격으로 2 내지 5분씩 살수하여 메밀싹으로 성장시키는 살수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각 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설명 중, 동일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부호를 부여하도록 한다.
각 실시예들의 설명에 앞서, 본 발명의 메밀싹 재배장치는 공통적인 구성으로 싹발아판(1)과 껍질제거판(2)을 갖는다.
싹발아판(1)은 메밀싹이 놓여져 발아되는 부분으로써 하부메쉬부분(1a)과 하부메쉬부분(1a)의 외곽틀을 형성하는 하부외곽틀(1b)로 이루어져 있다. 이처럼 싹발아판(1)의 대부분을 메쉬로 형성함으로써 종래와 달리 물이 잘 배수될 뿐만 아니라 메밀싹의 뿌리가 메쉬에 안정적으로 감겨 증식됨으로써 더욱 우수한 메밀싹을 재배할 수 있는 조건을 이룬다. 따라서 자연스럽게 그 수율을 높일 수 있게 된다.
참고로 메밀은 그 지름이 0.5 ~ 0.6mm 정도이고 폭은 0.35 ~ 0.4mm 정도이모, 껍질이 제거된 상태의 지름과 폭은 대략 0.3mm, 0.2 mm 이다. 따라서 싹발아판(1)을 형성하는 메쉬의 크기는 전술한 크기의 메밀싹이 빠지지 않도록 메밀싹의 부피에 비해 상대적으로 작게 형성되어야 할 것이다.
싹발아판(1) 상에서 메밀싹이 발아 성장된다면, 그 상부에 위치한 껍질제거판(2)은 성장하는 메밀싹의 껍질을 제거하기 위한 수단으로 사용된다. 이러한 껍질제거판(2)은 싹발아판(1)과 소정거리 이격된 상태에서 싹발아판(1)의 상부에 싹발아판(1)과 나란하게 배치된다. 이러한 껍질제거판(2)은 상부메쉬부분(2a)과 상부메쉬부분(2a)의 외곽틀을 형성하는 상부외곽틀(2b)로 이루어져 있다.
싹발아판(1)과 껍질제거판(2) 간은 대략 10 내지 12cm 정도의 이격거리를 둔다. 이에, 싹발아판(1)에 놓여진 메밀싹이 발아하여 성장하게 되면, 성장하면서 메밀싹을 감싸고 있는 껍질이 껍질제거판(2)의 상부메쉬부분(2a)을 통해 지나면서 자연적으로 벗겨진다. 벗겨진 껍질은 싹발아판(1)과 껍질제거판(2) 사이의 공간에 배치된다. 껍질이 벗겨진 상태에서 껍질제거판(2)을 통해 성장한 메밀싹은 대략 10 내지 12cm 정도의 크기를 갖는데, 이 상태에서 후술할 방법으로 채취됨으로써 상품으로써 출하되는 것이다.
이 때, 싹발아판(1)과 껍질제거판(2)은 그 사이의 이격거리가 일정하게 유지되면서 일체로 지지될 필요가 있는데, 이는 다음의 실시예들에 의해 설명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메밀싹 재배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이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서는 판지지수단으로써 싹발아판(1) 및 껍질제거판(2)이 일체로 설치되면서도 그 사이의 이격거리가 유지될 수 있도록 프레임구조를 보이고 있다.
도 2에 도시된 판지지수단으로써의 프레임구조는, 상하면이 개방되고 내부에 소정의 공간을 형성하는 사각 폐루프형상의 프레임몸체부(10)와, 프레임몸체부(10)의 내면에 마련되어 싹발아판(1)의 하부외곽틀(1b) 및 껍질제거판(2)의 상부외곽틀(2b)이 해당 위치에서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하부 및 상부슬롯(12,13)으로 이루어져 있다.
전술한 싹발아판(1)과 껍질제거판(2) 모두는 철재질의 메쉬구조를 보이고 있기 때문에 실제로 일정부분은 유연하게 만곡될 수도 있다. 이에, 도 2에서는 싹발아판(1)과 껍질제거판(2)을 프레임몸체부(10)의 상부 개구부로 삽입하여 일정부분 휜 다음, 각각 하부 및 상부슬롯(12,13)에 끼워져 고정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도 2와 같이 하더라도 싹발아판(1)과 껍질제거판(2) 모두를 프레임몸체부(10)에 쉽게 장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그러나 도 2와 같을 경우, 싹발아판(1)과 껍질제거판(2) 모두를 프레임몸체부(10)에 쉽게 장착할 수 있을 수는 있지만 분리하기가 쉽지만은 않다. 이에, 다음과 같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를 제안하고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메밀싹 재배장치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4a 내지 도 4d는 각각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메밀싹 재배장치에서 프레임몸체부에 싹발아판 및 껍질제거판이 슬라이딩 장착되는 상태를 단계적으로 도시한 도 면이다.
도 3을 참조할 때, 프레임몸체부(10)의 전면에는 싹발아판(1)의 하부외곽틀(1b) 및 껍질제거판(2)의 상부외곽틀(2b)을 하부 및 상부슬롯(12,13)에 각각 슬라이딩 가능하게 출입될 수 있도록 하는 출입공(11)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출입공(11)의 상부영역에는 프레임몸체부(10)의 측면높이에 비해 상대적으로 작게 형성되는 더미판부(14)가 마련되어 있다.
이에,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우선 싹발아판(1)을 준비한 후, 프레임몸체부(10)의 전면에 배치한다. 그리고는 싹발아판(1)의 하부외곽틀(1b)을 출입공(11)으로 집어넣어 프레임몸체부(10)의 하부에 형성된 하부슬롯(12)에 끼워지도록 한 다음, 도 4b와 같이 싹발아판(1)을 밀어 넣음으로써 싹발아판(1)을 쉽게 장착할 수 있다.
마찬가지의 방법으로 도 4c와 같이 껍질제거판(2)을 출입공(11)을 통해서 상부슬롯(13)에 위치시킨 후, 밀어 넣으면 도 4d와 같이 프레임몸체부(10)에 싹발아판(1)과 껍질제거판(2)을 쉽게 설치할 수 있게 된다. 물론, 프레임몸체부(10)는 그 구조상, 하부 및 상부슬롯(12,13) 간의 거리가 대략 10 내지 12cm 정도의 간격을 가지고 있는 바, 슬라이딩 장착된 싹발아판(1)과 껍질제거판(2) 역시 이에 따라 그 사이의 이격간격이 자연스럽게 세팅된다.
도 2 및 도 3에서는 상대적으로 부피가 큰 커다란 프레임구조로써 판지지수단을 구성하고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제3실시예를 도시한 도 5와 같이, 판지지수단을 싹발아판(1) 및 껍질제거판(2)이 전술한 이격거리를 유지하면서 지지될 수 있 는 복수개의 클램핑부재(20)로 형성할 수도 있다.
도 5에 확대 도시된 바와 같이, 클램핑부재(20)들 각각은, 클램핑몸체(21)와, 클램핑몸체(21)에 형성되어 싹발아판(1)의 하부외곽틀(1b) 및 껍질제거판(2)의 상부외곽틀(2b)이 각각 배치되는 하부 및 상부슬롯(22,23)으로 이루어져 있다. 보다 안정적인 지지를 위해서 클램핑부재(20)들은 싹발아판(1)의 하부외곽틀(1b) 및 껍질제거판(2)의 상부외곽틀(2b)을 사이에 두고 적어도 사각구도 배치되어 있다.
이러한 경우, 클램핑부재(20)의 클램핑몸체(21)에 형성된 하부 및 상부슬롯(22,23)으로 인해 싹발아판(1) 및 껍질제거판(2)은 높이방향으로 분리되기가 힘들다. 다만 외부요인에 의해 클램핑부재(20)들이 상호 수평방향으로 움직일 수도 있는 점을 고려하여 클램핑부재(20)들이 별도의 간격유지구(25)에 의해 그 간격이 유지될 수 있도록 하는 것 또한 하나의 방법이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의 방법을 적용한다면, 우선 프레임몸체부(10) 내의 하부슬롯(12)으로 싹발아판(1)을 장착한다. 그리고는 메밀 열매를 선별 및 세척하여 소정의 온도(예를 들어 25도), 습도(예를 들어 60 ~ 80%) 및 조도(빛을 완전차단)를 갖춘 실내에서 수일(2~3일)간 보관하여 싹을 틔운 다음 싹발아판(1)에 배치한다.
다음, 프레임몸체부(10) 내의 상부슬롯(13)으로 역시 메쉬구조를 보이는 껍질제거판(2)을 결합시킨다. 그리고는 메밀싹에 주기적으로 물을 공급한다(수경재배식). 그러면 메밀싹이 성장하게 되는데, 성장하면서 메밀싹을 감싸고 있는 껍질이 껍질제거판(2)의 상부메쉬부분(2a)을 통해 지나면서 자연적으로 벗겨지게 된다. 벗겨진 껍질은 싹발아판(1)과 껍질제거판(2) 사이의 공간에 배치된다.
한편, 메밀싹이 성장하는 가운데, 껍질제거판(2)에 의해 그 껍질이 벗겨지고 나면 메밀싹은 대략 10 내지 12cm 정도의 크기로 성장한다. 그러면 성장한 메밀싹을 채취하여 상품으로 출하를 해야 한다. 이 때에 필요한 수단으로 메밀싹채취수단(30)이 필요하다.
메밀싹채취수단(30)은, 프레임몸체부(10)의 판면 적어도 어느 일측에 마련되는 메밀싹채취용 커터삽입부(31, 도 7 참조)와, 메밀싹채취용 커터삽입부(31)에 삽입되어 싹발아판(1) 및 껍질제거판(2)의 판면방향으로 이동하면서 메밀싹을 절단하여 채취하는 메밀싹채취용 커터(32a,32)를 포함한다.
도 6에서 메밀싹채취용 커터삽입부는 전술한 출입공(11)으로 대체되어 있다. 이러한 경우, 메밀싹채취용 커터(32a)는 그 일단부가 출입공(11)으로 삽입되어 출입공(11)의 전후방향(화살표 A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성장한 메밀싹을 절단하게 된다. 도 6에 도시된 메밀싹채취용 커터(32a)는 커터날(33a)이 전면에 위치하고 커터날(33a)의 후방으로 손잡이부(34a)가 마련된 T자 형상을 갖는다. 그러나 도 6과 같을 경우, 커터날(33a)의 지지문제가 대두될 수도 있다.
이에, 바람직하기로는 도 7과 같은 방법을 사용하는 것이 유리하다. 도 7을 참조할 때, 메밀싹채취용 커터삽입부(31)는 프레임몸체부(10)의 양측면에 싹발아판(1)의 슬라이딩 삽입방향을 따라 각각 한 쌍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메밀싹채취용 커터(32)는, 양단부가 프레임몸체부(10)의 양측면에 한 쌍으로 형성된 메밀싹채취용 커터삽입부(31)로 각각 노출되게 배치되고 측면에 날부분이 형성된 커터날(33)과, 커터날(33)의 양단부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한 쌍 의 손잡이부(34)로 이루어져 있다. 즉, 도 6의 커터날(33a)과 손잡이부(34a)는 일체형인데 반해 도 7에서의 커터날(33)과 손잡이부(34)는 분리형이다.
도 7의 경우, 커터날(33)을 한 쌍의 메밀싹채취용 커터삽입부(31)에 삽입하여 배치한 후, 그 양단부에 한 쌍의 손잡이부(34)를 각각 조립한다. 그리고는 손잡이부(34)를 잡고 참조부호 B의 방향으로 커터날(33)을 이동시킴으로써 성장이 완료된 메밀싹을 좀 더 쉽고 가지런하게 절단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앞서도 기술한 것처럼, 메밀싹에서 벗겨진 껍질은 싹발아판(1)과 껍질제거판(2) 사이의 공간에 위치한다. 따라서 이 공간에 위치한 껍질을 제거하거나 혹은 이 사이에 존재하는 메밀싹을 추려 내거나 혹은, 커터(32a,32)의 삽입을 편하게 하려면 껍질제거판(2)이 일방향으로 움직이면 작업하는데 보다 편리하다.
이에,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껍질제거판(2)과 프레임몸체부(10)의 일측에 힌지부(35)가 마련하고, 타측에 로킹부(37)가 마련하고 있다. 실시예로써 힌지부(35)는 껍질제거판(2)에 마련된 힌지핀(35a)과, 프레임몸체부(10)에 마련되어 힌지핀(35a)을 수용하는 핀공(35b)으로 이루어져 있다. 그리고 로킹부(37)는 껍질제거판(2)에 마련된 로킹핀(37a)과, 프레임몸체부(10)에 마련되어 로킹핀(37a)을 선택적으로 로킹 및 로킹해제하는 로킹몸체(37b)로 이루어져 있다.
이에, 힌지핀(35a)을 핀공(35b)에 삽입한 상태에서 로킹부(37) 측은 힌지핀(35a)을 축으로 하여 회동할 수 있다. 회동하다가 로킹핀(37a)이 로킹몸체(37b)에 결합되면, 껍질제거판(2)은 프레임몸체부(10)의 해당위치에서 고정될 수 있다. 로 킹부(37)에 대한 도면은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는데, 통상적인 후크밸트 정도로 이용할 수 있다. 물론, 도 9에 도시된 것처럼 프레임몸체부(10)의 일측면 일부분(10a)이 다른 나머지부분(10b)에 대해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도록 구성한 다면, 메밀싹채취용 커터(32a,32)의 장착이 보다 쉬워질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8실시예에 따른 메밀싹 재배장치에 대한 도면이다. 이 도면을 참조할 때, 본 발명의 제8실시예의 메밀싹 재배장치는 전술한 제2실시예의 것과 유사한 형태를 갖는 프레임구조를 취하고 있다.
즉, 상하면이 개방되고 내부에 소정의 공간을 형성하는 거의 한글 "ㄷ"자 형상의 프레임몸체부(110)와, 프레임몸체부(110)의 내면에 마련되어 싹발아판(1)의 하부외곽틀(1b) 및 껍질제거판(2)의 상부외곽틀(2b)이 해당 위치에서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하부 및 상부슬롯(112,113)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 때, 제2실시예에서 소개된 더미판부(14, 도 3 참조)는 구성상 제외되어 있으며, 상부슬롯(113)의 상부영역의 길이(L) 역시 제2실시예에 비해서는 현격하게 좁게 형성되어 있다. 제8실시예와 같이 형성하더라도 싹발아판(1) 및 껍질제거판(2)을 해당 위치에 슬라이딩 결합시켜 사용함에 있어 본 발명의 효과를 제공하는 데에는 아무런 무리가 없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메밀싹이 발아되어 성장하는 과정에서 자연적으로 외측의 껍질이 벗겨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추후에 도정작업을 거칠 필요가 없어 상품화하기에 유리할 뿐만 아니라 보다 품질이 우수한 메밀싹이 재배될 수 있어 그 수율이 혁신적으로 향상될 수 있게 된다.
한편, 전술한 장치를 통해서 메밀싹을 재배하는 방법에 대해 소개하면 다음과 같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높이방향으로 상호 이격되게 싹발아판 및 껍질제거판을 배치하는 판배치단계와(S11), 재배대상의 메밀싹 종실을 싹발아판에 배치하는 종실배치단계(S12)와, 싹발아판에 놓여진 종실을 소정의 온도, 습도 및 빛투과량에 부합하게 발아시키는 발아단계(S13)와, 껍질제거판에 의해 발아된 종실의 외측 껍질이 자연적으로 벗겨지도록 하면서 발아된 종실을 성장시키는 성장단계(S14)를 포함한다. 성장단계(S14)에서는 종실로 3 내지 6시간의 간격으로 2 내지 5분씩 살수하여 메밀싹으로 성장시키는 살수단계(S1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싹발아판 및 껍질제거판은 전술한 제1 내지 제8실시예 중 어느 하나를 사용하면 되기 때문에 본 실시예에서는 구체적인 도면과 그 부호를 생략하도록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우선 전술한 장치들 중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싹발아판을 배치하고 그 상측으로 소정 거리 이격되게 껍질제거판을 배치한다.
그리고는 싹발아판으로 재배대상의 메밀싹 종실을 배열한다. 메밀싹을 발아시키기 위해서는 상대적으로 많은 양의 물이 필요하기 때문에 배수가 용이한 판으로써 메쉬를 갖는 싹발아판을 이용하고 있는 것이다. 이 때, 메쉬의 실질적인 형태는 두께 1 mm정도의 철사로 형성된 이른 바 8메쉬를 이용하는 것이 좋다. 이럴 경우, 메밀싹의 뿌리가 서로 연결되어 매트를 잘 형성하며, 배수도 용이하게 때문이다.
종실을 메쉬를 갖는 싹발아판에 배치, 배열한 후에는 소정의 발아조건을 형 성한다. 발아조건에는 온도, 습도 및 빛투과량 등이 포함된다. 물론 이 조건은 성장조건에도 공통적으로 부합할 수 있는데, 온도는 대략 20 내지 30도로 유지되는 것이 유리한데, 보다 구체적으로는 25도 정도로 유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습도는 60 내지 80 %로 유지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빛은 완전히 차단되는 것이 보다 효과적이다.
발아되기 시작하면 발아된 종실로 3 내지 6시간의 간격으로 2 내지 5분씩 살수한다. 대략 6일 정도가 경과하면 그 길이가 대략 12 내지 15cm 정도로 성장을 하는데, 성장하는 과정에서 껍질제거판에 형성된 메쉬를 통과하면서 자연적으로 외측의 껍질이 벗겨진다. 따라서 추후의 도정작업을 거칠 필요가 없게 되는 것이다. 물론, 일정한 길이로 성장하고 나면, 전술한 방법으로 채취됨으로써 상품으로써 출하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전술한 장치들을 이용하여 메밀싹을 재배하게 될 경우, 메밀의 성장을 높여 수율을 향상시킬 뿐만 아니라 상품적인 가치를 증대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특히, 메밀싹이 발아되어 성장하는 과정에서 자연적으로 외측의 껍질이 벗겨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추후에 도정작업을 거칠 필요가 없어 상품화하기에 유리할 뿐만 아니라 보다 품질이 우수한 메밀싹이 재배될 수 있어 그 수율이 혁신적으로 향상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상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메밀싹이 발아되어 성장하는 과정에서 자연적으로 외측의 껍질이 벗겨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추후에 외측 껍질 제거 작업을 거칠 필요가 없어 상품화하기에 유리할 뿐만 아니라 보다 품질이 우수한 메밀싹이 재배될 수 있어 그 수율이 혁신적으로 향상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27)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메밀싹이 놓여져 발아되되, 적어도 일부분이 메쉬로 형성되는 싹발아판과;
    상기 싹발아판과 소정거리 이격된 상태에서 상기 싹발아판의 상부에 나란하게 배치되어 성장하는 메밀싹의 껍질을 제거하는 메쉬로 된 껍질제거판과;
    상기 싹발아판과 상기 껍질제거판을 지지하여 상기 싹발아판과 상기 껍질제거판 간의 이격거리를 일정하게 유지하는 판지지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싹발아판은 하부메쉬부분과 상기 하부메쉬부분의 외곽틀을 형성하는 하부외곽틀을 포함하며, 상기 껍질제거판은 상부메쉬부분과, 상기 상부메쉬부분의 외곽틀을 형성하는 상부외곽틀을 포함하며,
    상기 판지지수단은, 상기 싹발아판 및 상기 껍질제거판이 상기 이격거리를 유지하면서 지지될 수 있는 프레임구조를 가지며,
    상기 판지지수단으로써의 프레임구조는, 상하면이 개방되고 내부에 소정의 공간을 형성하는 프레임몸체부와; 상기 프레임몸체부의 내면에 마련되어 상기 싹발아판의 하부외곽틀 및 상기 껍질제거판의 상부외곽틀이 해당 위치에서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하부 및 상부슬롯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밀싹 재배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싹발아판의 하부외곽틀 및 상기 껍질제거판의 상부외곽틀은 상기 프레임몸체부의 상부 개구부로부터 상기 하부 및 상부슬롯에 각각 수직하게 끼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밀싹 재배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몸체부의 어느 일측면에는 상기 싹발아판의 하부외곽틀 및 상기 껍질제거판의 상부외곽틀을 상기 하부 및 상부슬롯에 각각 슬라이딩 가능하게 출입시키는 출입공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밀싹 재배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출입공의 상부영역에는 상기 프레임몸체부의 측면높이에 비해 상대적으 로 작게 형성되는 더미판부가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밀싹 재배장치.
  8. 메밀싹이 놓여져 발아되되, 적어도 일부분이 메쉬로 형성되는 싹발아판과;
    상기 싹발아판과 소정거리 이격된 상태에서 상기 싹발아판의 상부에 나란하게 배치되어 성장하는 메밀싹의 껍질을 제거하는 메쉬로 된 껍질제거판과;
    상기 싹발아판과 상기 껍질제거판을 지지하여 상기 싹발아판과 상기 껍질제거판 간의 이격거리를 일정하게 유지하는 판지지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판지지수단은, 상기 싹발아판 및 상기 껍질제거판이 상기 이격거리를 유지하면서 지지될 수 있는 복수개의 클램핑부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밀싹 재배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클램핑부재 각각은, 클램핑몸체와; 상기 클램핑몸체에 형성되어 상기 싹발아판의 하부외곽틀 및 상기 껍질제거판의 상부외곽틀이 각각 배치되는 하부 및 상부슬롯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밀싹 재배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클램핑부재는 상기 싹발아판의 하부외곽틀 및 상기 껍질제거판의 상부외곽틀을 사이에 두고 적어도 사각구도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복수개의 클램핑부재에는 상기 복수개의 클램핑부재들 사이의 간격을 유지하는 간격유지구가 더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밀싹 재배장치.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17. 삭제
  18. 삭제
  19. 삭제
  20.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판지지수단으로써의 프레임구조는, 상하면이 개방되고 내부에 소정의 공간을 형성하는 거의 한글 "ㄷ"자 형상의 프레임몸체부와; 상기 프레임몸체부의 내면에 마련되어 상기 싹발아판의 하부외곽틀 및 상기 껍질제거판의 상부외곽틀이 해당 위치에서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하부 및 상부슬롯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밀싹 재배장치.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몸체부에서 상기 상부슬롯의 상부영역의 길이는 상대적으로 좁게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밀싹 재배장치.
  22. 삭제
  23. 삭제
  24. 삭제
  25. 삭제
  26. 삭제
  27. 삭제
KR1020050030959A 2005-04-14 2005-04-14 메밀싹 재배장치, 재배방법 KR10055377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30959A KR100553777B1 (ko) 2005-04-14 2005-04-14 메밀싹 재배장치, 재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30959A KR100553777B1 (ko) 2005-04-14 2005-04-14 메밀싹 재배장치, 재배방법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01968A Division KR20060109270A (ko) 2005-10-27 2005-10-27 메밀싹 재배장치, 재배방법 및 그 재배 장치와재배방법으로 재배한 메밀싹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53777B1 true KR100553777B1 (ko) 2006-02-21

Family

ID=371789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30959A KR100553777B1 (ko) 2005-04-14 2005-04-14 메밀싹 재배장치, 재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5377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04478B1 (ko) * 2006-07-24 2013-09-04 김원자 메밀싹 재배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04478B1 (ko) * 2006-07-24 2013-09-04 김원자 메밀싹 재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Perween et al. Dragon fruit: An exotic super future fruit of India
Fischer et al. Cape gooseberry (Physalis peruviana L.)
Elzebroek Guide to cultivated plants
Helyes et al. Effect of irrigation on processing tomato yield and antioxidant components
Arcila‐Pulgarín et al. Application of the extended BBCH scale for the description of the growth stages of coffee (Coffea spp.)
Rodrigues et al. An Amazonian fruit with a high potential as a natural source of vitamin C: the camu-camu (Myrciaria dubia)
Le Bellec et al. Pitahaya (pitaya)(Hylocereus spp.)
Lobo et al. Biology and postharvest physiology of date fruit
Yang et al. African nightshades and African eggplants: Taxonomy, crop management, utilization, and phytonutrients
Caruso et al. Productivity, nutritional and functional qualities of perennial wall-rocket: Effects of pre-harvest factors
Thomas Jackfruit, Artocarpus heterophyllus (Moraceae), as source of food and income
KR20060109270A (ko) 메밀싹 재배장치, 재배방법 및 그 재배 장치와재배방법으로 재배한 메밀싹
Rajendran Artocarpus altilis (Parkinson) fosberg
US6797300B2 (en) Composition for preserving fresh cut flowers, fresh fruits and vegetables without the use of refrigeration
KR100553777B1 (ko) 메밀싹 재배장치, 재배방법
Ahlawat et al. Black mulberry (Morus nigra)
Skaria et al. Stevia: A sweet herb
Yadav et al. Chestnut production and its prospects in Nepal
Tsao et al. Vegetables: types and biology
KR20060110176A (ko) 메밀순 재배장치
Pohlan et al. Growth and production of cacao
Sankaralingam et al. A treatise on palmyrah
Kaur et al. Studies on seed viability, germination and seedling vigour in karonda
Soni et al. Post-harvest processing of custard apple (Annona Squamosa L.)-a review
Verma et al. A study on Stevia Rebaudiana: A review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O035 Opposition [patent]: request for opposition
O132 Decision on opposition [patent]
O074 Maintenance of registration after opposition [patent]: final registration of opposi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216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