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52477B1 - 공중전화망 이용 단말장치 - Google Patents

공중전화망 이용 단말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52477B1
KR100552477B1 KR1020030072805A KR20030072805A KR100552477B1 KR 100552477 B1 KR100552477 B1 KR 100552477B1 KR 1020030072805 A KR1020030072805 A KR 1020030072805A KR 20030072805 A KR20030072805 A KR 20030072805A KR 100552477 B1 KR100552477 B1 KR 10055247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ion terminals
connection
telephone network
public telephone
p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728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37316A (ko
Inventor
양주탁
원재윤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300728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52477B1/ko
Priority to US10/928,128 priority patent/US20050084089A1/en
Publication of KR200500373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3731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524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5247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38Interface circuits for coupling substations to external telephone lin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and to details thereof
    • H04N2201/0077Types of the still picture apparatus
    • H04N2201/0093Facsimile machin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공중전화망 이용 단말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제1 접속단자들 중 한 쌍의 일 접속단자들이 공중전화망과 접속되고, 제1 접속단자들 중 한 쌍의 타 접속단자들이 공중전화망 및 확장장치 중 어느 하나와 접속되는 제1라인 인터페이스부, 및 제1 접속단자들과 각각 병렬로 연결되는 제2 접속단자들이 구비되는 제2라인 인터페이스부를 포함하고, 제2 접속단자들은 각각 한 쌍인 일 접속단자들 및 타 접속단자들을 구비되고, 제1 접속단자들의 타 접속단자들이 확장장치와 접속된 경우, 제2 접속단자들의 일 접속단자들 중 어느 한 접속단자와 제2 접속단자들의 타 접속단자들 중 어느 한 접속단자가 연결되고, 상기 제2 접속단자들의 상기 일 접속단자들 중 다른 한 접속단자와 상기 제2 접속단자들의 상기 타 접속단자들 중 다른 한 접속단자가 연결되는 공중전화망 이용 단말장치가 제공된다. 공중전화망 이용 단말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각 국가별로 상이한 공중전화망 연결시스템에 통합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단말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공중전화망 이용 단말장치, 접속단자, 더미 잭, 스위치

Description

공중전화망 이용 단말장치{terminal apparatus using PSTN}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중전화망 이용 단말장치가 2 배선 적용 국가의 공중전화망에서 2 콘텐츠 서비스를 제공받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도 1의 공중전화망 이용 단말장치가 4 배선 적용 국가의 공중전화망에 적용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공중전화망 이용 단말장치가 2 배선 적용 국가의 공중전화망에서 2 콘텐츠 서비스를 제공받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 그리고,
도 4는 도 3의 공중전화망 이용 단말장치가 4 배선 적용 국가의 공중전화망에 적용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공중전화망 이용 단말장치 110:제1라인 인터페이스부
120:제2라인 인터페이스부 141:제1더미 잭
142:제2더미 잭 151:제1스위치
152:제2스위치
본 발명은 공중전화망 이용 단말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공중전화망을 통해 각종 데이터가 송수신되고, 공중전화망을 이용하는 확장장치들과 연결되는 공중전화망 이용 단말장치에 관한 것이다.
전세계적으로 회선 교환방식 전화망의 집합체인 공중전화망(Public Switched Telephone Network : PSTN)을 통하여 각종 데이터가 송수신된다. 다만 공중전화망을 이용하는 연결시스템은 각 국가별로 상이하다. 즉 각 국가들은 한국, 미국 등과 같이 2 배선(2 wire)을 이용하는 연결시스템이 적용되는 국가(이하 '2 배선 적용 국가'라고 함)와, 독일, 이탈리아 등과 같이 4 배선(4 wire)을 이용하는 연결시스템이 적용되는 국가(이하 '4 배선 적용 국가'라고 함)로 크게 구별된다.
2 배선 적용 국가에서 사용되는 단말장치(이하 '2 배선 적용 단말장치'라고 함)에는 모듈라 잭(modular jack)과 같은 라인 인터페이스부가 2 개 구비되며 각 라인 인터페이스부에서는 각각 4 개의 접속단자(제2 내지 제5 접속단자)가 사용된다. 상기의 2 배선 적용 단말장치 및 하기의 4 배선 적용 단말장치의 예로는 팩시밀리를 들 수 있다. 2 개의 라인 인터페이스부 중 하나의 라인 인터페이스부의 제3 및 제4 접속단자는 공중전화망과 연결되고, 다른 하나의 라인 인터페이스부의 제3 및 제4 접속단자는 전화기, 자동응답장치와 같은 공중전화망을 이용하는 확장장치(이하 '공중전화망 이용 확장장치'라고 함)와 연결된다.
반면에 4 배선 적용 국가에서 사용되는 단말장치(이하 '4 배선 적용 단말장치'라고 함)에는 라인 인터페이스부가 1 개만 구비되고, 라인 인터페이스부에서는 4 개의 접속단자(제2 내지 제5 접속단자)가 사용된다. 그 중 제3 및 제4 접속단자는 공중전화망과 연결되고, 제2 및 제5 접속단자는 공중전화망 이용 확장장치와 연결된다. 또한 제2 및 제3 접속단자는 상호 연결되고 제4 및 제5 접속단자는 상호 연결되며, 이러한 연결을 통해 제3 및 제4 접속단자로 각각 유입된 각종 데이터가 제2 및 제5 접속단자에 접속된 공중전화망 이용 확장장치로 전달될 수 있을 것이다.
다만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종래에는 각 국가별로 공중전화망과의 연결시스템이 상이하므로 2 배선 적용 단말장치와 4배선 적용 단말장치의 라인 인터페이스부를 각각 다르게 제작하여 사용하였다. 따라서 2 배선 적용 단말장치를 구입하여 사용하던 사용자가 4 배선 적용 국가에서 공중전화망 이용 단말장치를 사용해야 할 경우 새로운 4 배선 적용 단말장치를 구입해야 하므로 사용자 경제적 부담을 가중시킬 수 있으며, 기존에 사용하던 2 배선 적용 단말장치를 방치해야 하므로 자원을 효율적으로 활용하지 못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현재 미국과 같은 국가에서는 공중전화망과 연결되는 라인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하나의 특정 데이터를 공급하는 서비스(이하 '1 콘텐츠 서비스'라고 함) 뿐만 아니라 두 개의 특정 데이터를 공급하는 서비스(이하 '2 콘텐츠 서비스'라고 함)을 제공하고 있다. 1 콘텐츠 서비스 및 2 콘텐츠 서비스의 예로는 공중전화망을 통해 제공되는 전화 서비스를 들 수 있다. 이러한 2 콘텐츠 서비스는 공중전화망과 연결되는 라인 인터페이스부의 제3 및 제4 접속단자를 통해 하나의 특정 데이터를 공급받으며 제2 및 제5 접속단자를 통해 또 하나의 특정 데이터를 공급받는다. 그 러나 기존의 2 배선 적용 단말장치에 2 콘텐츠 서비스를 적용할 경우 제3 및 제4 접속단자와 제2 및 제5 접속단자가 연결되어 루프(loop)를 형성하므로 전화선이 항상 사용중(busy)으로 인식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각 국가별로 상이한 공중전화망 연결시스템에 통합적으로 적용할 수 있으며 2 콘텐츠 서비스에도 효과적으로 적용될 수 있는 공중전화망 이용 단말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공중전화망을 이용하는 하나 이상의 확장장치와 연결되는 공중전화망 이용 단말장치에 있어서, 구비된 적어도 4개의 제1 접속단자들 중 어느 한 쌍의 일 접속단자들이 상기 공중전화망과 접속되고, 상기 제1 접속단자들 중 상기 일 접속단자들과 다른 한 쌍의 타 접속단자들이 상기 공중전화망 및 상기 확장장치 중 어느 하나와 접속되는 제1라인 인터페이스부; 및 상기 적어도 4개의 제1 접속단자들과 각각 병렬로 연결되는 적어도 4개의 제2 접속단자들이 구비되는 제2라인 인터페이스부;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4 개의 제2 접속단자들은 각각 한 쌍인 일 접속단자들 및 타 접속단자들을 구비되고, 상기 제1 접속단자들의 상기 타 접속단자들이 상기 확장장치와 접속된 경우, 상기 제2 접속단자들의 상기 일 접속단자들 중 어느 한 접속단자와 상기 제2 접속단자들의 상기 타 접속단자들 중 어느 한 접속단자가 연결되고, 상기 제2 접속 단자들의 상기 일 접속단자들 중 다른 한 접속단자와 상기 제2 접속단자들의 상기 타 접속단자들 중 다른 한 접속단자가 연결되는 공중전화망 이용 단말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제 1접속단자들의 상기 타 접속단자들이 상기 공중전화망과 접속된 경우, 하나 이상의 상기 확장장치가 상기 제2 접속단자들의 상기 일 접속단자들 및 상기 제2 접속단자들의 상기 타 접속단자들에 각각 접속가능하다.
본 공중전화망 이용 단말장치는, 상기 제2 접속단자들의 상기 일 접속단자들 중 상기 어느 한 접속단자 및 상기 제2 접속단자들의 상기 타 접속단자들 중 상기 어느 한 접속단자 간의 개방 및 단락 중 어느 하나를 위해 그 사이에 구비되는 제1연결부; 및 상기 제2 접속단자들의 상기 일 접속단자들 중 상기 다른 한 접속단자 및 상기 제2 접속단자들의 상기 타 접속단자들 중 상기 다른 한 접속단자 간의 개방 및 단락 중 어느 하나를 위해 그 사이에 구비되는 제2연결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접속단자들의 상기 타 접속단자들이 상기 확장장치와 접속된 경우, 상기 제1 및 제2 연결부가 각각 단락된다.
상기 제1 접속단자들의 상기 타 접속단자들이 상기 공중전화망과 접속된 경우, 상기 제1 및 제2 연결부가 각각 개방되고, 하나 이상의 상기 확장장치가 상기 제2 접속단자들의 상기 일 접속단자들 및 상기 제2 접속단자들의 상기 타 접속단자들에 각각 접속가능하다.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공중전화망을 이용하는 하나 이상의 확장장치와 연결되는 공중전화망 이용 단말장치에 있어서, 구비 된 적어도 4개의 제1 접속단자들 중 어느 한 쌍의 일 접속단자들 및 상기 제1 접속단자들 중 상기 일 접속단자들과 다른 한 쌍의 타 접속단자들이 각각 상기 공중전화망과 접속되는 제1라인 인터페이스부; 및 상기 적어도 4개의 제1 접속단자들과 각각 병렬로 연결되는 적어도 4개의 제2 접속단자들이 구비되는 제2라인 인터페이스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접속단자들 중 어느 한 쌍의 일 접속단자들은 상기 하나 이상의 확장장치 중 일 확장장치와 접속되고 상기 제2 접속단자들 중 다른 한 쌍의 타 접속단자들은 상기 하나 이상의 확장장치 중 상기 일 확장장치와 다른 타 확장장치와 접속되므로써, 상기 제1 접속단자들의 상기 일 접속단자들 및 상기 제1 접속단자들의 상기 타 접속단자들을 통해 상기 공중전화망으로부터 상기 일 확장장치 및 상기 타 확장장치로 각각 소정 콘텐츠가 전송되는 공중전화망 이용 단말장치를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로서 단말장치를 첨부도면과 관련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이하에서는 공중망 이용 단말장치로 팩시밀리를 예로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중전화망 이용 단말장치가 2 배선 적용 국가의 공중전화망에서 2 콘텐츠 서비스를 제공받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팩시밀리(100)에 구비된 라인 인터페이스부는 제1라인 인터페이스부(110) 및 제2라인 인터페이스부(120)를 포함한다.
제1라인 인터페이스부(110)는 4개의 접속단자로서 제1-2 접속단자(111), 제1-3 접속단자(112), 제1-4 접속단자(113) 및 제1-5 접속단자(114)를 구비한다. 외부로 4개의 접속단자(111,112,113,114)는 교환시스템(210)를 통해 공중전화망(220)과 연결되어 음성 데이터와 같은 특정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1 콘텐츠 서비스가 제공될 경우 제1-3 및 제1-4 접속단자(112,113)를 통해 특정 데이터가 제공되고, 2 콘텐츠 서비스가 제공될 경우 제1-3 및 제1-4 접속단자(112,113)가 하나의 특정 데이터를 제공받는데 사용되고, 제1-2 및 제1-5 접속단자(111,114)가 또 다른 하나의 특정 데이터를 제공받는데 사용된다. 또한 각 접속단자(111,112,113,114)는 팩시밀리(100) 내부로는 각 라인과 연결되어 제어부(미도시)와 같은 각종 장치관련유닛과 연결된다. 이하에서는 제1-2 내지 제1-5 접속단자(111,112,113,114)와 연결된 라인들을 각각 제1-2 내지 제1-5라인으로 칭한다.
제2라인 인터페이스부(120)는 4개의 접속단자로서 제2-2 접속단자(121), 제2-3 접속단자(122), 제2-4 접속단자(123) 및 제2-5 접속단자(124)를 구비한다. 외부로는 4개의 접속단자(121,122,123,124)는 전화기, 자동응답장치 등과 같은 공중전화망 이용 확장장치와 연결되어 음성 데이터와 같은 특정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1 콘텐츠 서비스가 적용될 경우 제2-3 및 제2-4 접속단자(122,123)가 공중전화망 이용 확장장치(미도시)와 연결되고, 2 콘텐츠 서비스가 적용될 경우 제2-3 및 제2-4 접속단자(122,123)가 하나의 공중전화망 이용 확장장치(310)와 연결되는데 사용되고, 제2-2 및 제2-5 접속단자(121,124)가 또 다른 하나의 공중전화망 이용 확장장치(320)와 연결되는데 사용된다. 이하에서는 제2-2 내지 제2-5 접속단자(121,122,123,124)와 연결된 라인을 각각 제2-2 내지 제2-5라인으로 칭한다.
또한 제1라인 인터페이스부(110) 및 제2라인 인터페이스부(120)는 팩시밀리(100) 내부에서 연결된다. 즉 제1-2라인은 제2-5라인과, 제1-3라인은 제2-4라인과, 제1-4라인은 제2-3라인과, 제1-5라인은 제2-2라인과 각각의 소정 노드들에서 연결되고, 이를 통해 제1라인 인터페이스부(110) 및 제2라인 인터페이스부(120)는 병렬로 연결된다.
그리고 제2-2라인 및 제2-5라인 중 적어도 하나의 라인에는 릴레이 스위치(131)가 구비된다. 본 도면에서는 제2-5라인에 릴레이 스위치(131)가 구비된 것으로 도시하고 있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릴레이 스위치(131)는 1 콘텐츠 서비스가 제공되는 경우에는 턴오프 상태이며, 2 콘텐츠 서비스가 제공되는 경우에 턴온 상태로 전환된다. 즉 공중전화망 이용 확장장치인 제2확장장치가 후크오프(hook-off)인 상태인 것이 후크오프 감지부(미도시)를 통해 감지되면, 이에 대한 정보가 제어부(미도시)로 전송되고, 제어부(미도시)는 이에 기초하여 릴레이 스위치(131)가 턴온되도록 제어한다. 이를 통해 제1 확장장치(310) 뿐만 아니라 제2 확장장치(320)로도 콘텐츠가 공급되는 2 콘텐츠 서비스가 제공된다.
도 2는 도 1의 공중전화망 이용 단말장치가 4 배선 적용 국가의 공중전화망에 적용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 때 제1라인 인터페이스부(110)의 제1-3 및 제1-4 접속단자(112,113)는 교환시스템(210)을 통해 공중전화망(220)과 연결되고, 제1라인 인터페이스부(110)의 제1-2 및 제1-5 접속단자(111,114)는 확장장치(330)과 연결된다. 또한 릴레이 스위치(131)는 4 배선 적용 국가에서 사용시에는 턴온 상태로 설정된다.
다만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4 배선 이용 공중전화망이 적용되는 국가에서는 제1라인 인터페이스부(110)의 제1-2 및 제1-3 접속단자(111,112) 및 제1-4 및 제1-5 접속단자(113,114)는 연결되어 있어야 하므로 본 발명에서는 제2-2 및 제2-3 접속단자(121,122)에 제1더미 잭(141)을 장착하고, 또한 제2-4 및 제2-5 접속단자(123,124)에 제2더미 잭(142)을 장착한다.
이를 통해 제1-3 접속단자(112)를 통해 유입된 특정 데이터는 제1-3 라인 및 제2-4 라인을 통해 제2더미 잭(142)로 진행하고 다시 제2더미 잭(142)을 거쳐 제2-5 라인 및 제1-2 라인을 통해 확장장치(330)로 유입된다. 또한 상기 제1-3 접속단자(112)에의 특정 데이터 유입시에 제1-4 접속단자(113)를 통해 유입되는 특정 데이터는 제1-4 라인 및 제2-3 라인을 통해 제1더미 잭(141)로 진행하고 다시 제1더미 잭(141)을 거쳐 제2-2 라인 및 제1-5 라인을 통해 확장장치(330)로 유입된다. 따라서 기존에서 하나의 라인 인터페이스부가 구비된 4 배선 적용단말장치와 동일한 결과를 얻을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공중전화망 이용 단말장치가 2 배선 적용 국가의 공중전화망에서 2 콘텐츠 서비스를 제공받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도 3의 공중전화망 이용 단말장치가 4 배선 적용 국가의 공중전화망에 적용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 및 도 4의 실시예가 도 1 및 도 2의 실시예와 상이한 것은 도 1 및 도 2에서 제1스위치(151)가 제2-2 및 제2-3 라인 사이에 장착되고, 제2스위치(152)가 제2-4 및 제2-5 라인 사이에 장착되는 것이다. 다만 실시예에 따라서는 하나 이상 의 확장장치와 접속했던 제2라인 인터페이스부(120)의 제2-2 및 제2-3 접속단자(121,122) 사이에 제1스위치(151)가 장착되고, 제2-4 및 제2-5 접속단자(123,124) 사이에 제2스위치(152)가 장착되는 것으로 회로구성할 수도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도 3에서와 같이 2 배선 적용 국가에서는 제1 및 제2스위치(151,152)가 턴오프된다. 그에 따라 제1라인 인터페이스부(110)의 제1-3 및 제1-4 접속단자(112,113)를 통해 유입되는 한 쌍의 특정 데이터들은 제1-3 및 제2-4 라인을 통해 제2-4 접속단자(123)와, 제1-4라인 및 제2-3라인을 통해 제2-3 접속단자(122)로 각각 유입되어 제1확장장치(310)로 입력된다. 그리고 제1-2 및 제1-5 접속단자(111,114)를 통해 유입되는 한 쌍의 특정 데이터들은 제1-2라인 및 제2-5라인을 통해 제2-5 접속단자(124)와, 제1-5라인 및 제2-2라인을 통해 제2-2 접속단자(121)로 각각 유입되어 제2확장장치(320)로 입력된다. 이를 통해 제1라인 인터페이스부(110)의 제1-3 및 제1-4 접속단자(112,113)가 제2라인 인터페이스부(120)의 제2-2 및 제2-5 접속단자(121,124)와 연결되어 루프를 형성하는 문제점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도 4에서와 같이 4 배선 적용 국가에서는 제1 및 제2스위치(151,152)가 턴온되고, 그에 따라 제1-3 접속단자(112)를 통해 유입되는 특정 데이터는 제1-3라인, 제2-4라인을 통해 제2스위치(152)로 진행되고 다시 제2스위치(152)를 거쳐 제2-5라인, 제1-2라인을 통해 제1-2 접속단자(111)에 연결된 확장장치(330)로 유입된다. 또한 제1-4 접속단자(113)를 통해 유입되는 특정 데이터 는 제1-4라인, 제2-3라인을 통해 제1스위치(151)로 진행되고 다시 제1스위치(151)를 거쳐 제2-2라인, 제1-5라인을 통해 제1-5 접속단자(114)에 연결된 확장장치(330)로 유입된다. 이를 통해 4 배선 적용 국가에서 사용되던 기존 단말장치로부터 도출되는 결과와 동일한 결과를 도출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 제1 및 제2스위치(151,152)의 턴온 및 턴오프를 수동적으로 사용자가 조작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다. 반면에 입력부(미도시)를 통해 2 배선 적용 국가 또는 4 배선 적용 국가의 선택명령이 입력되면 제어부(미도시)의 제어를 통해 2 배선 적용 국가에서는 제1 및 제2스위치(151,152)가 턴오프되고, 4 배선 적용 국가에서는 제1 및 제2스위치(151,152)가 턴온되도록 회로구성할 수도 있을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공중전화망 이용 단말장치에 의할 경우 생산자 측면에서는 각 국가별로 공중전화망 이용 단말장치를 따로 제작해야 하는 불편함이 없어진다. 따라서 생산공정을 이원화할 필요가 없으므로 그로 인해 생산원가를 절약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소비자 측면에서는 기존에는 각 국가별로 적용되어야 하는 공중전화망 이용 단말장치를 따로 구입해야 한다는 번거로움이 있었으나 본 발명에 의한 공중전화망 이용 단말장치를 이용할 경우 하나의 단말장치로 모든 국가에서 통합적으로 사용할 수 있으므로 소비자의 경제부담이 줄어들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특정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또한 설명 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와 사상을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에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수정과 변형실시가 가능할 것이다.

Claims (11)

  1. 공중전화망을 이용하는 하나 이상의 확장장치와 연결되는 공중전화망 이용 단말장치에 있어서,
    구비된 적어도 4개의 제1 접속단자들 중 한 쌍의 접속단자들이 상기 공중전화망과 접속되고, 상기 제1 접속단자들 중 상기 공중전화망과 연결된 한 쌍의 접속단자들을 제외한 다른 한 쌍의 접속단자들이 상기 공중전화망와 상기 확장장치 중 어느 하나와 접속되는 제1라인 인터페이스부; 및
    상기 적어도 4개의 제1 접속단자들과 각각 병렬로 연결되는 적어도 4개의 제2 접속단자들이 구비되는 제2라인 인터페이스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접속단자들의 상기 다른 한 쌍의 접속단자들이 상기 확장장치와 접속된 경우, 상기 제1접속단자 중 상기 확장장치에 접속된 한 쌍의 접속단자와 연결된 제2 접속단자 각각과, 상기 제1접속단자 중 상기 공중전화망에 접속된 한 쌍의 접속단자에 연결된 제2접속단자 각각이 상호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중전화망 이용 단말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접속단자들의 상기 다른 한 쌍의 접속단자들이 상기 공중전화망과 접속된 경우, 상기 제2 접속단자들 중 적어도 한 쌍의 접속단자들과, 상기 한 쌍의 접속단자들을 제외한 상기 제2 접속단자들에 적어도 하나의 상기 확장장치가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중전화망 이용 단말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접속단자들 중 하나의 상기 확장장치에 연결된 접속단자와, 상기 제2 접속단자들 중 다른 하나의 상기 확장장치에 연결된 접속단자 사이에 연결되어 양자간의 연결을 개방 또는 단락하는 제1연결부; 및
    상기 제2 접속단자들 중 하나의 상기 확장장치에 연결된 접속단자 중 다른 하나와, 상기 제2 접속단자들 중 다른 하나의 상기 확장장치에 연결된 접속단자 중 다른 하나와의 사이에 연결되어 양자간의 연결을 개방 또는 단락하는 제2연결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접속단자들의 상기 다른 한 쌍의 접속단자들이 상기 확장장치와 접속된 경우, 상기 제1 및 제2 연결부가 각각 단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중전화망 이용 단말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접속단자들의 상기 다른 한 쌍의 접속단자들이 상기 공중전화망과 접속된 경우, 상기 제1 및 제2 연결부가 각각 개방되고, 상기 제2 접속단자들 중 적어도 한 쌍의 접속단자들과, 상기 한 쌍의 접속단자들을 제외한 상기 제2 접속단자들에 각각 상기 확장장치가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중전화망 이용 단말장치.
  5.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연결부 및 상기 제2연결부 중 적어도 하나는 착탈가능한 더미 잭이며, 상기 개방은 상기 더미 잭의 이탈이고, 상기 단락은 상기 더미 잭의 장착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중전화망 이용 단말장치.
  6.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연결부 및 상기 제2연결부 중 적어도 하나는 스위치이며, 상기 개방은 상기 스위치의 턴오프이고, 상기 단락은 상기 스위치의 턴온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중전화망 이용 단말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중전화망 이용 단말장치는, 팩시밀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중전화망 이용 단말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상기 확장장치는, 전화기 및 자동응답장치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중전화망 이용 단말장치.
  9. 공중전화망을 이용하는 하나 이상의 확장장치와 연결되는 공중전화망 이용 단말장치에 있어서,
    구비된 적어도 4개의 제1 접속단자들 중 한 쌍의 접속단자들과, 상기 한 쌍의 접속단자들을 제외한 다른 한 쌍의 접속단자들이 각각 상기 공중전화망에 접속되는 제1라인 인터페이스부; 및
    상기 적어도 4개의 제1 접속단자들과 각각 병렬로 연결되는 적어도 4개의 제2 접속단자들이 구비되는 제2라인 인터페이스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접속단자들 중 한 쌍의 접속단자들은 상기 확장장치 중 하나의 확장장치와 접속되고 상기 제2 접속단자들 중 다른 한 쌍의 접속단자들은 상기 확장장치 중 다른 확장장치와 접속되므로써, 상기 제1 접속단자들의 상기 한 쌍의 접속단자들 및 상기 제1 접속단자들의 상기 다른 한 쌍의 접속단자들을 통해 상기 공중전화망으로부터 상기 하나의 확장장치 및 상기 다른 확장장치로 각각 소정 콘텐츠가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중전화망 이용 단말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공중전화망 이용 단말장치는 팩시밀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중전화망 이용 단말장치.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확장장치는, 전화기 및 자동응답장치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이며, 상기 소정 콘텐츠는 음성데이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중전화망 이용 단말장치.
KR1020030072805A 2003-10-18 2003-10-18 공중전화망 이용 단말장치 KR100552477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72805A KR100552477B1 (ko) 2003-10-18 2003-10-18 공중전화망 이용 단말장치
US10/928,128 US20050084089A1 (en) 2003-10-18 2004-08-30 Terminal device using a public switched telephone network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72805A KR100552477B1 (ko) 2003-10-18 2003-10-18 공중전화망 이용 단말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37316A KR20050037316A (ko) 2005-04-21
KR100552477B1 true KR100552477B1 (ko) 2006-02-15

Family

ID=345109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72805A KR100552477B1 (ko) 2003-10-18 2003-10-18 공중전화망 이용 단말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20050084089A1 (ko)
KR (1) KR10055247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952666B (zh) * 2014-03-25 2017-05-10 国基电子(上海)有限公司 继电器切换电路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907267A (en) * 1988-06-16 1990-03-06 Gutzmer Howard A Modem interface device
JP3559579B2 (ja) * 1992-11-12 2004-09-02 ヒューレット・パッカード・カンパニー インタフェース装置
US5737094A (en) * 1995-08-09 1998-04-07 Ricoh Company, Ltd. Secure fax adapter method and apparatu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50084089A1 (en) 2005-04-21
KR20050037316A (ko) 2005-04-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341415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haring of common in-house wiring to permit multiple telephone carriers to serve the same customer
US5903643A (en) Multi-line station interface
US6178241B1 (en) Switch hook status determination in a communication system
US6874041B1 (en) Automatic configuration of communication device input or output terminal
EP0569453B1 (en) Method for signalling/communication within an entrance telephone system and an entrance telephone system communicating according to the method
KR19990064286A (ko) 전기통신 스위치
US6658096B2 (en) Local loop interceder
KR100552477B1 (ko) 공중전화망 이용 단말장치
Cisco Expansion Modules
Cisco Expansion Modules
Cisco Expansion Modules
Cisco Expansion Modules
Cisco Expansion Modules
Cisco Expansion Modules
Cisco Expansion Modules
Cisco Expansion Modules
Cisco Expansion Modules
KR100928365B1 (ko) 원격통신 단말기, 사용자, 수단을 스위칭하기 위한 어댑터
US6614802B1 (en) Telecommunication network with remotely controllable, line multi-interface and telecommunication method
JP3059530B2 (ja) ファクシミリ装置
US5991386A (en) Method and arrangement for the connection of multiple terminals to one subscriber line of the telephone network, and a terminal
US20040008835A1 (en) Carrier selection system
JPH03186050A (ja) 遠隔監視システム
US6714640B1 (en) Communication system, exchange and extension call processing method
JP2535846Y2 (ja) 電話交換システムの外線インタフェース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