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51584B1 - Coupling having freely three-dimensional movability - Google Patents

Coupling having freely three-dimensional movability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51584B1
KR100551584B1 KR1020040024497A KR20040024497A KR100551584B1 KR 100551584 B1 KR100551584 B1 KR 100551584B1 KR 1020040024497 A KR1020040024497 A KR 1020040024497A KR 20040024497 A KR20040024497 A KR 20040024497A KR 100551584 B1 KR100551584 B1 KR 10055158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upling
block
coupled
boss
sha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24497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50099254A (en
Inventor
시노즈카긴조우
Original Assignee
유니카 고우상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니카 고우상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유니카 고우상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to KR10200400244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51584B1/en
Publication of KR200500992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99254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515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51584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3/00Yielding couplings, i.e. with means permitting movement between the connected parts during the drive
    • F16D3/16Universal joints in which flexibility is produced by means of pivots or sliding or rolling connecting parts
    • F16D3/26Hooke's joints or other joints with an equivalent intermediate member to which each coupling part is pivotally or slidably connect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3/00Yielding couplings, i.e. with means permitting movement between the connected parts during the drive
    • F16D3/50Yielding couplings, i.e. with means permitting movement between the connected parts during the drive with the coupling parts connected by one or more intermediate members
    • F16D3/70Yielding couplings, i.e. with means permitting movement between the connected parts during the drive with the coupling parts connected by one or more intermediate members comprising elastic elements arranged in holes in one coupling part and surrounding pins on the other coupling par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mission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두 개의 축을 연결하는 축 커플링에 관한 것으로서, 하나의 축에 결합된 제1 커플링보스와, 상기 제1 커플링보스에 결합되는 중앙블록과, 상기 중앙블록에 결합됨과 동시에 다른 축에 결합되는 제2 커플링보스가 축 길이방향인 Z방향으로 순차결합하여 이루어진 축 커플링에 있어서,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haft coupling connecting two shafts, comprising: a first coupling boss coupled to one shaft, a central block coupled to the first coupling boss, and another shaft coupled to the central block. In the axial coupling formed by the second coupling boss coupled to the sequential coupling in the Z direction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상기 중앙블록은, 상기 제1 커플링보스에 X방향으로 상대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 블록과, 상기 제2 커플링보스에 X방향에 수직인 Y방향으로 상대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 블록으로 구성되며;The center block may include a first block coupled to the first coupling boss in a X direction and a second block coupled to the second coupling boss in a Y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X direction. Consisting of;

상기 제1 블록과 제2 블록은 X 및 Y방향에 모두 수직인 Z방향으로 상대이동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first block and the second block may be coupled relative to each other in the Z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X and Y directions.

본 발명은 축 커플링을 삼차원방향으로 자유성을 가지도록 구성함으로써, 1개의 축 커플링만으로도 여러 종류의 연결축간 오차를 동시에 흡수하도록 축 위치를 조정할 수 있어 원활하게 회전토크전달을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haft coupling is configured to have freedom in the three-dimensional direction, and thus the shaft position can be adjusted to simultaneously absorb various types of coupling errors with only one shaft coupling, so that the rotation torque transmission can be smoothly performed. have.

또한, 본 발명의 축 커플링은 축 보정작업, 조립 및 보수작업이 용이하고, 동시에 생산 비용이 저렴하며, 긴 수명을 가진다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shaft coupling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of easy axis correction work, assembly and maintenance work, at the same time low production cost, and has a long life.

축 커플링, 제1 커플링보스, 제2 커플링보스, 중앙블록, 제1 블록, 제2 블록Shaft coupling, first coupling boss, second coupling boss, center block, first block, second block

Description

삼차원방향으로 자유성을 가지는 축 커플링{COUPLING HAVING FREELY THREE-DIMENSIONAL MOVABILITY} Axis Coupling with Freedom in Three Dimensional Directions {COUPLING HAVING FREELY THREE-DIMENSIONAL MOVABILITY}             

도 1은, 핀과 슬라이드 홈으로 구성된 이동결합기구의 개략도,1 is a schematic view of a mobile coupling mechanism composed of a pin and a slide groove,

도 2는, 도1에 따른 이동결합기구의 X,Y,Z의 세 축방향 이동을 도시한 개략도,2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three axial movements of X, Y, and Z of the mobile coupling mechanism according to FIG.

도 3은, 본 발명의 삼차원방향으로 자유성을 가지는 축 커플링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개략단면도.Figure 3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showing one embodiment of the axial coupling having freedom in the three-dimensional dir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도 3 중 커플링보스와 중앙블록의 결합관계를 도시한 도면,4 is a view illustrating a coupling relationship between a coupling boss and a central block in FIG. 3;

도 5는, 도 3 중 중앙블록의 결합관계를 도시한 도면,5 is a view showing a coupling relationship of the central block in FIG.

도 6은, 중앙블록을 구성하는 제1 블록의 우측면도와, 제2 블록의 좌측면도,6 is a right side view of the first block constituting the center block, a left side view of the second block,

도 7은, 도 3의 축 커플링의 조립과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7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assembly process of the shaft coupling of FIG. 3.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Description of the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b1...제1 커플링보스, b2...제2 커플링보스,b1 ... first coupling boss, b2 ... second coupling boss,

P...핀. S...멈춤나사,P ... pin. S ... set screw,

B...중앙블록, Ⅰ,Ⅱ...축,B ... middle block, I, II ... axis,

100...제1 블록, 110...제1 커플링보스 결합부,100 ... first block, 110 ... first coupling boss coupling portion,

111...슬라이드 홈, 112...베어링,111 ... slide grooves, 112 ... bearings,

120...제2 블록 상대결합부, 121...슬라이드 홈,120 ... second block counterpart, 121 ... slide groove,

122...베어링, 200...제2 블록,122 bearing, 200 second block,

210...제2 커플링보스 결합부, 211...슬라이드 홈,210 ... second coupling boss coupling, 211 ... slide groove,

212...베어링, 220...제1 블록 상대결합부,212 bearing, 220 first block counterpart,

221...슬라이드 홈, 222...베어링.221 ... slide grooves, 222 ... bearings.

본 발명은 두 개의 축을 연결하는 축 커플링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삼차원방향으로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어서 축을 연결할 경우에 발생하는 오차를 흡수할 수 있는 삼차원방향으로 자유성을 가지는 축 커플링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haft coupling connecting two axes, and more particularly, to a shaft coupling having freedom in a three-dimensional direction that can freely move in the three-dimensional direction to absorb an error occurring when connecting the shaft.

일반적으로 회전축의 토오크를 전달하는 축 커플링으로서, 가장 단순한 것은 파이프 등의 원통형상재료에 간단한 기계가공을 하여 고정커플링으로 한 것이며, 이러한 커플링은 현재 시판되고 있다. 하지만, 상기와 같은 고정커플링은, 예컨대 전동모터의 회전축과 피 회전측 기기의 피회전축을 연결하는 경우를 가정할 때, 모터와 피회전측 기기가 소정위치로 부착되면 회전축과 그 피회전축도 고정되어 버리므로, 그 위치를 조정할 수 없게 되어 연결축간 오차를 해소할 수 없다.In general, as a shaft coupling for transmitting torque of a rotating shaft, the simplest one is a fixed coupling by simple machining on a cylindrical material such as a pipe, and such a coupling is currently commercially available. However, the fixed coupling as described above assumes, for example, that the rotational shaft of the electric motor and the rotational axis of the rotational side device are connected. Since it is fixed, the position cannot be adjusted and the error between the connecting shafts cannot be eliminated.

연결축간 오차는 각도오차 및 평행오차(편심오차), 또 축단(軸端)의 유격에 의한 오차의 세 종류가 있으며. 이 세 종류의 오차는 동시에 존재한다. 이론적으로는, 양 축이 완전히 직선 상에 오도록 연결하면 연결축간 오차를 없앨 수 있지만, 이와 같이 축을 연결하는 것은 경험적으로 불가능하며 반드시 부착상의 오차가 발생한다. There are three types of errors between connecting shafts: angular error, parallel error (eccentric error), and error due to the clearance between shaft ends. These three kinds of errors exist at the same time. Theoretically, connecting the two axes completely on a straight line eliminates the error between the connecting axes, but connecting the axes in this way is empirically impossible and necessarily results in attachment errors.

상기와 같은 연결축간 오차가 축 커플링의 오차보정한도를 넘을 정도로 큰 경우에는 두 축을 연결할 수 없게 된다. 이러한 경우에는 재부착을 하여 축 위치를 수정하거나, 오차를 흡수할 수 있도록 오차보정기능을 가지는 축 커플링으로 대체하여야 한다.When the error between the connecting shafts is large enough to exceed the error correction limit of the shaft coupling, the two axes cannot be connected. In this case, it is necessary to reattach to correct the shaft position or to replace the shaft coupling with error correction function to absorb the error.

그러나, 현재로서는 상기와 같은 세 종류의 오차를 충분히 흡수하여 축 위치를 보정할 수 있는 축 커플링은 시판되고 있지 않다. 예컨대, 유니버셜조인트는 1개만으로는 평행오차(편심오차)를 보정할 수 없다. 판스프링식, 벨로우즈식, 고무식 등의 탄성커플링이나 기어나 체인식 커플링도 세 종류의 오차를 동시에 흡수할 수는 없다. 올덤 커플링은 작은 각도오차와 평행오차를 흡수하지만, 전달 토크가 큰 경우에는, 커플링 끼워맞춤부의 마모가 커서 이를 감당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at present, there is no commercially available shaft coupling capable of sufficiently absorbing the three kinds of errors described above and correcting the shaft position. For example, only one universal joint cannot correct parallel error (eccentric error). Elastic couplings such as leaf springs, bellows and rubber, as well as gear and chain couplings, cannot absorb three types of errors at the same time. Oldham coupling absorbs a small angular error and parallel error, but when the transmission torque is large,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wear of the coupling fitting is large and cannot afford it.

따라서, 1개의 축 커플링만으로 각도오차, 평행오차 및 축단의 유격에 의한 오차를 동시에 흡수하면서도 원활한 회전토크전달을 할 수 있는 커플링이 요구되고 있다.Therefore, there is a demand for a coupling capable of smoothly transmitting torque while simultaneously absorbing errors due to angular error, parallel error, and clearance between shaft ends by only one shaft coupling.

본 발명은, 축 커플링을 삼차원방향으로 자유성을 가지도록 구성함으로써, 1개의 축 커플링만으로도 여러 종류의 연결축간 오차를 동시에 흡수할 수 있어 원활하게 회전토크전달을 할 수 있는 축 커플링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haft coupling is configured to have freedom in the three-dimensional direction, so that only one shaft coupling can simultaneously absorb various types of connecting shaft errors, thereby providing a shaft coupling capable of smoothly rotating torque transmission. It aims to do it.

또한, 본 발명은, 축 보정작업, 조립 및 보수작업이 용이한 축 커플링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Moreover, an object of this invention is to provide the shaft coupling which is easy for an axis | shaft correction work, an assembly, and a maintenance work.

아울러, 본 발명은 생산 비용이 저렴하며, 긴 수명을 가지는 축 커플링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In addition,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haft coupling having a low production cost and a long service life.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축 커플링은, 하나의 축에 결합된 제1 커플링보스와, 상기 제1 커플링보스에 결합되는 중앙블록과, 상기 중앙블록에 결합됨과 동시에 다른 축에 결합되는 제2 커플링보스가 축 길이방향인 Z방향으로 순차결합하여 이루어진 축 커플링에 있어서,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shaft coupling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coupling boss coupled to one axis, the central block coupled to the first coupling boss, and the other shaft coupled to the central block at the same time In the axial coupling formed by the second coupling boss coupled to the sequential coupling in the Z direction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상기 중앙블록은, 상기 제1 커플링보스에 X방향으로 상대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 블록과, 상기 제2 커플링보스에 X방향에 수직인 Y방향으로 상대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 블록으로 구성되며;The center block may include a first block coupled to the first coupling boss in a X direction and a second block coupled to the second coupling boss in a Y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X direction. Consisting of;

상기 제1 블록과 제2 블록은 X 및 Y방향에 모두 수직인 Z방향으로 상대이동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first block and the second block may be coupled relative to each other in the Z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X and Y directions.

상기 제1 블록은 X방향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제1 커플링보스에 결합되며, 상기 제2 블록은 Y방향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제2 커플링보스에 결합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Preferably, the first block is coupled to the first coupling boss rotatably about the X direction axis, and the second block is coupled to the second coupling boss rotatably about the Y direction axis.

또한, 상기 제1 커플링보스와 제1 블록, 제2 블록과 제2 커플링보스는, 일측의 보스 또는 블록에 구비되며 이동방향으로 돌출 연장된 핀과, 상기 보스 또는 블록에 대응되는 타측의 블록 또는 보스에 형성되고 그 내주를 따라 복수개의 베어링이 설치되며 상기 핀이 삽입되는 슬라이드 홈의 결합에 의하여 각각 상대이동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first coupling boss and the first block, the second block and the second coupling boss is provided on one side of the boss or block, the pin protruding in the movement direction and the other side corresponding to the boss or block A plurality of bearings are formed in the block or the boss, and a plurality of bearings are installed along the inner circumference thereof, and the pins may be coupled to each other so as to be movable relative to each other.

그리고, 상기 제1 블록과 제2 블록은, 상기 블록 중 하나에 형성되고 Z축방향으로 연장되며 그 내주를 따라 복수개의 베어링이 설치된 슬라이드 홈과, 상기 블록 중 다른 하나에 구비되며 Z축방향으로 돌출 연장되어 상기 슬라이드 홈에 삽입되는 핀의 결합에 의하여 상대이동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The first block and the second block may include a slide groove formed in one of the blocks and extending in the Z-axis direction and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bearings along the inner circumference thereof, and provided in the other one of the blocks in the Z-axis direction. Protrudingly extending may be coupled relative to each other by the coupling of the pin is inserted into the slide groove.

상기 베어링은 구형(球形)베어링 또는 리니어슬라이드 베어링일 수 있다.The bearing may be a spherical bearing or a linear slide bearing.

또한, 상기 제1 블록과 제2 블록은 서로 대응되는 결합위치에 상기 슬라이드 홈과 핀을 모두 구비하고, 상기 슬라이드 홈과 핀의 결합에 의하여 상대이동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first block and the second block may be provided with both the slide groove and the pin in the coupling position corresponding to each other, it may be coupled relative to the slide groove by the coupling of the slide groove and the pin.

한편, 제1 블록과 제2 블록은, 상기 블록 중 하나에 구비되며 Z축방향으로 돌출 연장되는 스플라인축과, 상기 블록 중 다른 하나에 형성되며 상기 스플라인축이 삽입되는 스플라인 너트홈의 결합에 의하여 Z축방향으로 상대이동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first block and the second block is provided by one of the blocks, the spline shaft protruding and extending in the Z-axis direction, and the spline nut groove formed in the other one of the blocks and the spline shaft is inserted by It can be coupled to move relative to the Z-axis direction.

상기 제1 블록과 제2 블록은 서로 대응되는 결합위치에 상기 스플라인축과 스플라인 너트홈을 모두 구비하고, 상기 스플라인축과 스플라인 너트홈의 결합에 의하여 상대이동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The first block and the second block may include both the spline shaft and the spline nut groove at coupling positions corresponding to each other, and may be coupled to be movable relative to each other by coupling the spline shaft and the spline nut groove.

또한, 상기 제1 블록과 제2 블록은 동일한 종류의 블록인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first block and the second block is preferably a block of the same type.

또한, 상기 제1 커플링보스와 제2 커플링보스는, 동일한 종류의 커플링보스인 것이 바람직하다.Moreover, it is preferable that the said 1st coupling boss and the 2nd coupling boss are coupling bosses of the same kind.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ill be described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먼저, 연결축간 오차를 흡수할 수 있는 구조에 관하여 고찰해보기로 한다. 각도오차를 흡수하기 위해서는 각도보정용의 회전기구가 필요하다. 또한 평행오차의 흡수에는 축 길이방향을 Z축방향으로 가정하였을 때, 커플링의 X축방향, Y축방향으로의 이동기구가 필요하게 된다. 축단의 유격을 흡수하기 위해서는 축 길이방향인 Z방향으로 신축하는 기구가 필요하게 된다. 즉, 세 종류의 연결축간 오차를 흡수하기 위해서는, 축 커플링의 X축방향, Y축방향, Z축방향(축의 길이방향)의 삼차원방향으로 직선이동하여 위치보정을 하는 기구가 불가결하다. 특히, Z축방향(축의 길이방향)으로 신축은 축단의 유격의 흡수 이외에, X축, Y축방향의 오차도 흡수하므로. Z축방향으로의 신축은 모든 끼워맞춤위치의 보정에 불가결하게 된다.First, the structure that can absorb the error between the connecting axis will be considered. In order to absorb the angle error, a rotation mechanism for angle correction is required. In addition, the absorption of the parallel error requires a moving mechanism of the coupling in the X-axis direction and the Y-axis direction when the axial length direction is assumed as the Z-axis direction. In order to absorb the play of the shaft end, a mechanism for stretching in the Z direction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haft is required. That is, in order to absorb the error between three types of connecting shafts, a mechanism for correcting the position by linearly moving in the three-dimensional directions of the axial coupling in the X-axis direction, the Y-axis direction, and the Z-axis directio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axis) is indispensable. In particular, the expansion and contraction in the Z-axis direction (axis longitudinal direction) absorbs errors in the X-axis and Y-axis directions in addition to the absorption of the play at the shaft end. Stretching in the Z-axis direction is indispensable for the correction of all the fitting positions.

이러한 세 방향으로의 이동 기구를 조합하여 일체화하면, 각도오차, 평행오차 및 축단의 유격을 모두 흡수할 수 있다. 오차를 흡수하기 위한 커플링 내의 자유성 즉, 위치에 대응하여 변화하는 양은 재료나 스프링의 변화량보다는 훨씬 크게 된다.By integrating such movement mechanisms in three directions, it is possible to absorb all of the angular error, parallel error, and play of the shaft end. The amount of freedom in the coupling to absorb the error, ie the amount that changes in response to position, is much greater than the amount of change in the material or spring.

본 발명의 커플링은, 이와 같이 세 방향으로의 이동 기구를 조합하여 일체화한다는 기술적사상에 착안한 것으로서, 두 축이 X축, Y축, Z축의 세 방향으로 각각 상대이동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The coupling of the present invention focuses on the technical idea of integrating and combining three moving mechanisms in three directions, and the two couplings are configured to move relative to three directions of X, Y, and Z axes. Doing.

X축, Y축, Z축의 삼차원방향의 원활한 이동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스플라인축과 스플라인 너트홈 간의 결합이나, 핀과 베어링이 내장된 슬라이드 홈 간의 결합 등이 고려될 수 있지만, 본 발명은 이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원활하게 위치이동이 가능한 이동결합기구라면, 어느 것도 본 발명의 구조를 만족한다.In order to ensure smooth movement in the three-dimensional directions of the X-axis, Y-axis, and Z-axis, coupling between the spline shaft and the spline nut groove or coupling between the pin and the bearing groove with the bearing may be considere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any mobile coupling mechanism capable of smoothly moving the position satisfies the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및 도 2에는, 핀과 베어링이 내장된 슬라이드 홈으로 구성된 이동결합기구가 도시되어 있다. 도 1(a)에는, 슬라이드 홈을 구비한 상대이동부재(예컨대, 후술하는 중앙블록(B))가 개시되어 있으며, 상기 슬라이드 홈의 내주를 따라 베어링 홈이 일정 간격으로 형성되어 있다. 도 1(b)는, 상기 슬라이드 홈 내주의 베어링 홈 내에 베어링이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것이며, 베어링은 베어링 홈에 끼워져 설치된 후에는 밖으로 다시 튀어나오지 않게 설치된다. 도 1(c)는 상기 슬라이드 홈에 다른 상대이동부재인 핀이 삽입된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1 and 2, there is shown a movable coupling mechanism consisting of a slide groove with a pin and a bearing embedded therein. In Fig. 1 (a), a relative moving member having a slide groove (for example, a center block B described later) is disclosed, and bearing grooves are formed at regular intervals along the inner circumference of the slide groove. Fig. 1 (b) shows a state in which a bearing is installed in the bearing groove of the slide groove inner circumference, and the bearing is installed so as not to protrude again after being fitted into the bearing groove. Figure 1 (c) shows a state in which the pin, which is another relative moving member is inserted into the slide groove.

도 2를 참조하면, 도 1에 의하여 구성된 상대이동부재와 이에 대응하는 상대이동부재인 핀이 각각 X축, Y축, Z축방향으로 상대이동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Referring to FIG. 2, it can be seen that the relative moving member configured by FIG. 1 and the pin corresponding to the relative moving member may be moved relative to the X, Y, and Z axes, respectively.

도 3은, 상대이동결합기구로서, 도 1 및 도 2와 같은 핀과 슬라이드 홈을 이용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인 축 커플링을 나타낸 것이다.Figure 3 shows a shaft coupling as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using a pin and a slide groove as shown in Figures 1 and 2 as a relative movable coupling mechanism.

상기 축 커플링은, 하나의 축(Ⅰ)에 고정 결합된 제1 커플링보스(b1)와, 상기 제1 커플링보스(b1)에 결합되는 중앙블록(B)과, 상기 중앙블록(B)에 결합됨과 동시에 다른 축(Ⅱ)에 고정 결합되는 제2 커플링보스(b2)가 축 길이방향인 Z방향으로 순차결합함으로써 이루어진다.The shaft coupling may include a first coupling boss b1 fixedly coupled to one shaft I, a central block B coupled to the first coupling boss b1, and the central block B. The second coupling boss (b2) is coupled to the other shaft (II) and fixedly coupled to the other axis (II) is made by sequentially coupling in the Z direction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axis.

도 4는, 도 3 중 커플링보스와 중앙블록의 결합관계를 도시한 도면이다.4 is a view illustrating a coupling relationship between a coupling boss and a center block in FIG. 3.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커플링보스(b1)와 제2 커플링보스(b2)는 중앙블록(B)과 결합하는 결합부(110,210)에 각각 X축(도면에서는 지면(紙面)으로 들어가는 방향), Y축방향으로 연장된 핀(P)을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핀(P)의 양단은 멈춤나사(S)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상기 제1 커플링보스(b1)와 결합하는 중앙블록(B)의 대응되는 결합부(후술하는 제1 블록(100)의 결합부;110)와 제2 커플링보스(b2)와 결합하는 중앙블록(B)의 대응되는 결합부(후술하는 제2 블록(200)의 결합부;210)에는 내주에 베어링(112,212)이 설치된 슬라이드 홈(111,211)이 각각 형성되어 있으므로, 상기 중앙블록(B)은 베어링의 작용에 의하여 제1 및 제2 커플링보스(b2)에 부착된 핀(P) 상을 직선방향으로 슬라이드하여 자유로운 위치로 이동하여, X축, Y축의 이차원방향으로 자동중심조절된다. 따라서, 축 연결시의 평행오차의 흡수가 가능하게 된다. As shown in FIG. 4, the first coupling boss b1 and the second coupling boss b2 are connected to the coupling parts 110 and 210 which are coupled to the central block B, respectively. Direction) and a pin P extending in the Y-axis direction, and both ends of the pin P are fixed by a stop screw S. A corresponding coupling portion of the central block (B) for coupling with the first coupling boss (b1) (coupling portion of the first block 100 to be described later; 110) and the central coupling with the second coupling boss (b2) In the corresponding coupling portion of the block B (coupling portion of the second block 200 to be described later; 210) slide grooves 111 and 211 having bearings 112 and 212 installed in the inner circumference thereof are formed, respectively, so that the center block B By sliding the pins (P) attached to the first and second coupling boss (b2) in a linear direction by the action of the bearing to move to a free position, it is automatically adjusted in the two-dimensional direction of the X-axis, Y-axis. Therefore, absorption of parallel error at the time of shaft connection becomes possible.

또한, 상기 중앙블록(B)과 축(Ⅰ)에 연결된 제1 커플링보스(b1)는 베어링(112)의 작용에 의하여 X방향축을 중심으로 상대회전이 가능하다. 마찬가지로, 상기 중앙블록(B)과 제2 커플링보스(b2)도 Y방향축을 중심으로 상대회전이 가능하다. 이에 의하여, 상기 축 커플링에 연결된 두 축은 각도보정을 위하여 회전할 수 있으므로, 각도오차도 흡수할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the first coupling boss (b1) connected to the central block (B) and the shaft (I) can be rotated relative to the X direction axis by the action of the bearing (112). Similarly, the center block (B) and the second coupling boss (b2) can also be rotated relative to the Y direction axis. As a result, the two shafts connected to the shaft coupling can rotate for angle correction, thereby absorbing the angle error.

편의상 제1 커플링보스(b1)와 제2 커플링보스(b2)로 순번을 나누어 표시하였 으나, 상기 커플링보스는 동일한 종류의 것이다. 즉, 동일한 종류의 두 개의 커플링보스를, 핀 연장방향이 수직이 되도록 핀이 설치된 결합면을 서로 대향하여 배치시키고, 그 결합면에 중앙블록(B)을 결합함으로써, 중앙블록(B)이 X축 및 Y축방향으로 각각 이동될 수 있게 구성한 것이다. 이와 같이, 커플링보스를 동일한 종류로 하면, 커플링의 구성을 단순하게 할 수 있어 생산 비용이 낮아지고 부품의 호환이 용이해지게 된다. 또한, 중앙블록(B)의 양쪽 방향에서의 커플링보스의 조립 및 보수작업이 반복작업으로서 단순해지게 된다. For convenience, the first coupling boss b1 and the second coupling boss b2 are divided and displayed in order, but the coupling bosses are of the same kind. That is, by placing two coupling bosses of the same type opposite to each other with the mating surfaces provided with pins so that the pin extending direction is perpendicular to each other, the center block B is joined to the mating surfaces. It is configured to be moved in the X-axis and Y-axis direction, respectively. In this manner, when the coupling boss is the same type, the coupling configuration can be simplified, thereby lowering the production cost and facilitating compatibility of the parts. Further, the assembling and maintenance work of the coupling boss in both directions of the center block B is simplified as a repetitive work.

또한 예컨대, 커플링보스 측에 슬라이드 홈을, 중앙블록(B) 측에 핀(P)을 설치하는 식으로, 각 커플링보스와 중앙블록(B)의 대응되는 결합부의 구성을 역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In addition, for example, a slide groove is provided on the coupling boss side and a pin P is provided on the central block B side to reverse the configuration of the corresponding coupling portion of each coupling boss and the central block B. It is possible.

도 5는, 도 3 중 중앙블록의 결합관계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6은 중앙블록을 구성하는 제1 블록의 우측면도와, 제2 블록의 좌측면도이다.FIG. 5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upling relationship between the central blocks in FIG. 3, and FIG. 6 is a right side view of the first block constituting the center block and a left side view of the second block.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중앙블록(B)은, 상기 제1 커플링보스(b1)에 X방향으로 상대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 블록(100)과 상기 제2 커플링보스(b2)에 X방향에 수직인 Y방향으로 상대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 블록(200)으로 구성되며, 상기 제1 블록(100)과 제2 블록(200)은 X 및 Y방향에 모두 수직인 Z방향으로 상대이동가능하게 결합되어 있어, 세 종류의 연결오차 , 특히 축단의 유격에 의한 오차를 흡수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As shown in FIG. 5, the center block B may include a first block 100 and a second coupling boss b2 coupled to the first coupling boss b1 so as to be movable relative to each other in the X direction. ) Is composed of a second block 200 coupled to be movable relative to the Y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X direction, wherein the first block 100 and the second block 200 are Z perpendicular to both the X and Y directions It is coupled so as to be relatively movable in the direction, so that it is possible to absorb three kinds of connection errors, in particular, errors caused by play at the shaft ends.

제1 블록(100)과 제2 블록(200)은 상기 커플링보스와 결합하는 측에 각각 슬라이드 홈이 형성된 결합부(110,210)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상기 결합부의 반대 쪽, 즉 제1 블록(100)과 제2 블록(200)의 상대결합부(120,220)에는 각각 복수개의 슬라이드 홈(121,221)과 핀(P)이 서로 대응되는 결합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각 블록의 상대결합부(120,220)에 두 개의 핀(P)이 서로 대향되게 쌍을 이루어 배치되며, 또한 두 개의 슬라이드 홈(121,221)도 서로 대향되게 쌍을 이루어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핀(P)의 쌍을 연결하는 직선과 상기 슬라이드 홈의 쌍을 연결하는 직선이 수직이 되게 핀(P)과 슬라이드 홈이 배치되어 있다. 제1 블록(100)과 제2 블록(200)은 한 블록의 핀(P)이 다른 블록의 슬라이드 홈에 결합되도록 그 상대결합부가 대향되게 배치된다. The first block 100 and the second block 200 are provided with coupling parts 110 and 210 having slide grooves formed on the side of the first block 100 and the coupling block. In addition, a plurality of slide grooves 121, 221 and pins P are located at opposite sides of the coupling part, that is, the relative coupling parts 120 and 220 of the first block 100 and the second block 200, respectively. It is arranged. In the illustrated embodiment, two pins (P) are arranged in pairs opposite to each other on the mating coupling parts 120 and 220 of each block, and two slide grooves 121 and 221 are also arranged in pairs opposite to each other. . The pin P and the slide groove are disposed such that the straight line connecting the pair of pins P and the straight line connecting the pair of slide grooves are vertical. The first block 100 and the second block 200 are disposed so that their relative coupling parts face each other such that the pin P of one block is coupled to the slide groove of the other block.

결합된 제1 블록(100)과 제2 블록(200)은, 베어링(122,222)의 작용에 의하여 핀(P)이 슬라이드 홈 내를 직선적으로 슬라이드함으로써 상대적인 위치를 변화시킬 수 있다. 이에 의하여 Z축방향으로의 상대 이동을 확보할 수 있다.The combined first block 100 and the second block 200 may change their relative positions by the pin P sliding linearly in the slide groove by the action of the bearings 122 and 222. As a result, relative movement in the Z-axis direction can be ensured.

중앙블록(B)은 2개의 블록에 의한 구성이지만 블록의 종류는 한 개이며, 이와 같이 중앙블록(B)을 구성하는 블록의 종류를 동일하게 하면, 커플링의 구성을 단순하게 할 수 있어 생산 비용이 낮아지고 부품의 호환이 용이해지게 된다. 또한, 중앙블록(B) 및 커플링의 조립 및 보수작업이 반복작업으로서 단순해지게 된다.The central block B is composed of two blocks, but there is only one type of block. If the same kind of blocks constituting the central block B is made in this way, the coupling structure can be simplified and produced. Lower costs and easier component compatibility. In addition, the assembly and maintenance work of the central block (B) and the coupling is simplified as a repetitive work.

도 7은, 본 발명의 축 커플링의 조립순서를 도시한 도면이다.Fig. 7 is a diagram showing the assembling procedure of the shaft coupling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축 커플링의 조립순서는 다음과 같다.The assembly sequence of the shaft coupling of this invention is as follows.

1)고정된 한 축(Ⅰ)에 제1 커플링보스(b1)의 일측을 부착한다. 이 때, 상기 커플링보스를 축(Ⅰ)에는 고정되지 않은 자유상태로 하여 둔다. 1) Attach one side of the first coupling boss (b1) to a fixed shaft (I). At this time, the coupling boss is left in a free state not fixed to the shaft (I).

2)다른 축(Ⅱ)에도 제2 커플링보스(b2)를 부착하고, 동일하게 한다.2) A second coupling boss (b2) is also attached to the other shaft (II) and made the same.

3)제1 커플링보스(b1)와 제1 블록(100)을 핀(P)으로 고정한다.3) The first coupling boss b1 and the first block 100 are fixed with a pin P.

4)제2 커플링보스(b2)와 제2 블록(200)을 핀(P)으로 고정한다.4) The second coupling boss b2 and the second block 200 are fixed with the pin P.

5)제1 블록(100)과 제2 블록(200)의 핀(P)과 슬라이드 홈을 대응되게 끼워맞춘 후에, 양쪽의 축에 고정하여 부착이 완료된다. 보수점검작업은 역순서로 행한다. 5) After the pins P and the slide grooves of the first block 100 and the second block 200 are fitted to each other, the attachment is completed by fixing them to both shafts. Maintenance work is performed in reverse order.

상술한 바와 같이, 중앙블록(B)과 커플링보스는 구성이 간단하고 동일한 종류로 구성되어 있어 조립 및 보수작업이 매우 용이하다.As described above, the central block (B) and the coupling boss is simple in configuration and composed of the same type, so assembling and maintenance work are very easy.

도 3 및 도 7과 같이, 완성된 축 커플링은 한 종류의 커플링보스 2개, 각각 한 쌍의 슬라이드 홈과 핀(P)을 구비하며 중앙블록(B)을 구성하는 한 종류의 블록이 2개, 커플링보스와 중앙블록(B)의 조립용 핀(P) 2개로 구성된 간단한 구조로 되어 있으며, 상기 슬라이드 홈의 내주에는 베어링이 설치되어 있고, 각각의 핀(P)은 그 양단부에서 멈춤나사에 의하여 고정된다.3 and 7, the completed shaft coupling includes two coupling bosses of two types, each of which has a pair of slide grooves and pins P, and one type of block constituting the central block B. It has a simple structure consisting of two, a coupling boss and two assembly pins (P) of the central block (B), bearings are installed on the inner circumference of the slide groove, and each pin (P) at both ends thereof. It is fixed by the set screw.

이하에서, 본 발명의 축 커플링의 작용을 보다 자세히 설명한다.In the following, the operation of the shaft coupling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연결축간에 오차가 있는 상태에서 좌우의 커플링보스(b1,b2)가 회전축에 부착 고정되어 회전할 때, 좌우의 커플링보스의 회전중심은 달라진다. 따라서, 좌우의 커플링보스와 끼워맞춰져 결합된 중앙블록(B) 자체가 회전시의 끼워맞춤위치를 X축방향, Y축방향 및 Z축방향(축의 길이방향)으로 이동함으로서, 자동으로 중심 조절하여 회전토크를 전달하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중앙블록(B) 내의 자유기구가 변화에 대응하여 삼차원방향의 최적 결합위치를 잡아 주기 때문에, 회전이 가능하며 원활하게 회전토크를 전달할 수 있다.When the left and right coupling bosses b1 and b2 are attached and fixed to the rotating shaft in a state where there is an error between the connecting shafts, the center of rotation of the left and right coupling bosses is changed. Therefore, the center block B, which is fitted and coupled to the left and right coupling bosses, automatically adjusts the center position by moving the fitting position at the time of rotation in the X-axis direction, Y-axis direction and Z-axis direction (axis longitudinal direction). To rotate the torque. In this way,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free mechanism in the central block (B) to hold the optimum coupling position in the three-dimensional direction in response to the change, it is possible to rotate and smoothly transmit the rotation torque.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축 커플링을 삼차원방향으로 자유성을 가지도록 구성함으로써, 1개의 축 커플링만으로도 여러 종류의 연결축간 오차를 동시에 흡수하도록 축 위치를 조정할 수 있어 원활하게 회전토크전달을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s described above,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shaft coupling is configured to have freedom in the three-dimensional direction, so that the shaft position can be adjusted to simultaneously absorb various types of coupling errors with only one shaft coupling, thereby smoothly rotating torque transmission. There is an effect that can be done.

또한, 본 발명의 축 커플링은, 동일한 종류의 커플링보스와 동일한 종류의 블록 등으로 이루어진 간단한 구성으로 되어 있어 축 보정작업, 조립 및 보수작업이 용이하고, 동시에 생산 비용이 저렴하며, 긴 수명을 가진다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shaft coupling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simple configuration consisting of the same type of coupling boss and the same type of block, so that the axis correction work, assembly and maintenance work is easy, at the same time the production cost is low, long life Has the effect.

Claims (12)

하나의 축(Ⅰ)에 결합된 제1 커플링보스(b1)와, 상기 제1 커플링보스(b1)에 결합되는 중앙블록(B)과, 상기 중앙블록(B)에 결합됨과 동시에 다른 축(Ⅱ)에 결합되는 제2 커플링보스(b2)가 축 길이방향인 Z방향으로 순차결합하여 이루어진 축 커플링에 있어서,The first coupling boss (b1) coupled to one axis (I), the central block (B) coupled to the first coupling boss (b1), and the other axis coupled to the central block (B) In the axial coupling formed by sequentially coupling the second coupling boss (b2) to (II) in the Z direction in the axial longitudinal direction, 상기 중앙블록(B)은, 상기 제1 커플링보스(b1)에 X방향으로 상대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 블록(100)과, 상기 제2 커플링보스(b2)에 X방향에 수직인 Y방향으로 상대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 블록(200)으로 구성되며;The central block B may include a first block 100 coupled to the first coupling boss b1 so as to be relatively movable in the X direction, and perpendicular to the X direction to the second coupling boss b2. A second block 200 coupled to be movable relative to the Y direction; 상기 제1 블록(100)과 제2 블록(200)은 X 및 Y방향에 모두 수직인 Z방향으로 상대이동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삼차원방향으로 자유성을 가지는 축 커플링.The first block (100) and the second block (200) is axial coupling having freedom in the three-dimensional direction, characterized in that coupled to move relative to the Z direction perpendicular to both the X and Y direction.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제1 블록(100)은 X방향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제1 커플링보스(b1)에 결합되며, 상기 제2 블록(200)은 Y방향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제2 커플링보스(b2)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삼차원방향으로 자유성을 가지는 축 커플링.The first block 100 is coupled to the first coupling boss b1 to be rotatable about the X direction axis, and the second block 200 is rotatable about the Y direction axis to the second coupling boss ( b2) axial coupling having freedom in the three-dimensional direction characterized in that coupled to. 제2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 상기 제1 커플링보스(b1)와 제1 블록(100), 제2 블록(200)과 제2 커플링보스(b2)는, 일측의 보스 또는 블록에 구비되며 이동방향으로 돌출 연장된 핀(P)과, 상기 보스 또는 블록에 대응되는 타측의 블록 또는 보스에 형성되고 그 내주를 따라 복수개의 베어링이 설치되며 상기 핀(P)이 삽입되는 슬라이드 홈의 결합에 의하여 각각 상대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삼차원방향으로 자유성을 가지는 축 커플링.The first coupling boss (b1) and the first block 100, the second block 200 and the second coupling boss (b2) are provided on one side of the boss or block and protruding in the moving direction pin ( P) and a plurality of bearings formed along the inner circumference of the block or the boss on the other side corresponding to the boss or the block, and the pins are inserted into the slide grooves, respectively, to be relatively movable. A shaft coupling having freedom in the three-dimensional direction, characterized in that.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상기 제1 블록(100)과 제2 블록(200)은, 상기 블록 중 하나에 형성되고 Z축방향으로 연장되며 그 내주를 따라 복수개의 베어링이 설치된 슬라이드 홈과, 상기 블록 중 다른 하나에 구비되며 Z축방향으로 돌출 연장되어 상기 슬라이드 홈에 삽입되는 핀(P)의 결합에 의하여 상대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삼차원방향으로 자유성을 가지는 축 커플링.The first block 100 and the second block 200 are formed in one of the blocks and extend in the Z-axis direction, the slide groove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bearings are installed along the inner circumference, and the other one of the blocks The axial coupling having freedom in the three-dimensional direction characterized in that the protruding in the Z-axis direction is coupled to be relatively movable by the coupling of the pin (P) inserted into the slide groove. 제4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상기 베어링은 구형(球形)베어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삼차원방향으로 자유성을 가지는 축 커플링.And said bearing is a spherical bearing. The shaft coupling having freedom in a three-dimensional direction. 제4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상기 베어링은 리니어슬라이드 베어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삼차원방향으로 자유성을 가지는 축 커플링.3. The shaft coupling having freedom in the three-dimensional direction, characterized in that the bearing is a linear slide bearing. 제4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상기 제1 블록(100)과 제2 블록(200)은 서로 대응되는 결합위치에 상기 슬라이드 홈과 핀(P)을 모두 구비하고, 상기 슬라이드 홈과 핀(P)의 결합에 의하여 상대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삼차원방향으로 자유성을 가지는 축 커플링.The first block 100 and the second block 200 are provided with both the slide groove and the pin (P) in the coupling position corresponding to each other, and the relative movement by the combination of the slide groove and the pin (P). A shaft coupling having freedom in the three-dimensional direction characterized in that coupled.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제1 블록(100)과 제2 블록(200)은, 상기 블록 중 하나에 구비되며 Z축방향으로 돌출 연장되는 스플라인축과, 상기 블록 중 다른 하나에 형성되며 상기 스플라인축이 삽입되는 스플라인 너트홈의 결합에 의하여 Z축방향으로 상대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삼차원방향으로 자유성을 가지는 축 커플링.The first block 100 and the second block 200 are provided in one of the blocks, a spline shaft protruding and extending in the Z-axis direction, and a spline nut groove formed in the other one of the blocks and into which the spline shaft is inserted. The axial coupling having freedom in the three-dimensional direction, characterized in that coupled to the relative movement in the Z-axis direction by the combination of. 제8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8, 상기 제1 블록(100)과 제2 블록(200)은 서로 대응되는 결합위치에 상기 스플라인축과 스플라인 너트홈을 모두 구비하고, 상기 스플라인축과 스플라인 너트홈의 결합에 의하여 상대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삼차원방향으로 자유성을 가지는 축 커플링.The first block 100 and the second block 200 are provided with both the spline shaft and the spline nut groove at the coupling position corresponding to each other, and is coupled relative to each other by the coupling of the spline shaft and the spline nut groove. A shaft coupling having freedom in the three-dimensional direction, characterized in that. 제7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상기 제1 블록(100)과 제2 블록(200)은 동일한 종류의 블록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삼차원방향으로 자유성을 가지는 축 커플링.The axial coupling having freedom in the three-dimensional direction, characterized in that the first block (100) and the second block (200) is the same kind of block. 제9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9, 상기 제1 블록(100)과 제2 블록(200)은 동일한 종류의 블록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삼차원방향으로 자유성을 가지는 축 커플링.The axial coupling having freedom in the three-dimensional direction, characterized in that the first block (100) and the second block (200) is the same kind of block.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제1 커플링보스(b1)와 제2 커플링보스(b2)는, 동일한 종류의 커플링보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삼차원방향으로 자유성을 가지는 축 커플링.The first coupling boss (b1) and the second coupling boss (b2) are the same type of coupling boss, characterized in that the axial coupling having freedom in the three-dimensional direction.
KR1020040024497A 2004-04-09 2004-04-09 Coupling having freely three-dimensional movability KR100551584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24497A KR100551584B1 (en) 2004-04-09 2004-04-09 Coupling having freely three-dimensional movability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24497A KR100551584B1 (en) 2004-04-09 2004-04-09 Coupling having freely three-dimensional movability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99254A KR20050099254A (en) 2005-10-13
KR100551584B1 true KR100551584B1 (en) 2006-02-13

Family

ID=372784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24497A KR100551584B1 (en) 2004-04-09 2004-04-09 Coupling having freely three-dimensional movability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51584B1 (e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99254A (en) 2005-10-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1097935A (en) Telescoping universal joints
US7013750B1 (en) Unit set for robot
US3747368A (en) Double universal joint
US20200032851A1 (en) Universal Constant Velocity Joint System And Method Of Use
KR100551584B1 (en) Coupling having freely three-dimensional movability
US4696659A (en) Swivel-jointed robot arm
JPS6034518A (en) Flexible joint
JP6216410B2 (en) Shaft coupling assembly, method for connecting two shafts by shaft coupling assembly, and maintenance method
KR101649108B1 (en) A joint structure and a robot having the same
US1459035A (en) Flexible coupling
KR20060047416A (en) High speed high angle universal joint
KR20080109019A (en) Arrangement for transmitting movement between, in particular, a vehicle door catch and lock
USRE30606E (en) Telescoping universal joints
US5358445A (en) Variable angle torque transmitting coupling device
CN113733154B (en) Flexible mechanical arm based on cross shaft hinge
US4643698A (en) Constant velocity joint
KR20090119294A (en) Gear type robot arm
KR102331630B1 (en) Robot Joint
JP4579112B2 (en) Sliding type constant velocity universal joint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JPH01210619A (en) Universal joint
JPH0470491B2 (en)
CN107327509B (en) Universal coupling
US4953421A (en) Power-transmission joint
CN112963460B (en) Rolling coupler
RU2761158C1 (en) Mechanism for transferring rotation between parallel shaft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201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