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50914B1 - 건축폐기물에 있어서 부유성 폐기물 압축장치 - Google Patents

건축폐기물에 있어서 부유성 폐기물 압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50914B1
KR100550914B1 KR1020030095346A KR20030095346A KR100550914B1 KR 100550914 B1 KR100550914 B1 KR 100550914B1 KR 1020030095346 A KR1020030095346 A KR 1020030095346A KR 20030095346 A KR20030095346 A KR 20030095346A KR 100550914 B1 KR100550914 B1 KR 10055091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ste
floating
cylinder
water
floating was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953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114769A (ko
Inventor
박영국
Original Assignee
(주)송대환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송대환경 filed Critical (주)송대환경
Priority to KR10200300953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50914B1/ko
Publication of KR200501147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11476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509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5091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BSEPARATING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 B03B5/00Washing granular, powdered or lumpy materials; Wet separating
    • B03B5/28Washing granular, powdered or lumpy materials; Wet separating by sink-float sepa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BSEPARATING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 B03B5/00Washing granular, powdered or lumpy materials; Wet separating
    • B03B5/48Washing granular, powdered or lumpy materials; Wet separating by mechanical classifiers
    • B03B5/52Spiral classifi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BSEPARATING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 B03B9/00General arrangement of separating plant, e.g. flow sheets
    • B03B9/06General arrangement of separating plant, e.g. flow sheets specially adapted for refuse
    • B03B9/061General arrangement of separating plant, e.g. flow sheets specially adapted for refuse the refuse being industrial
    • B03B9/065General arrangement of separating plant, e.g. flow sheets specially adapted for refuse the refuse being industrial the refuse being building rubble

Landscapes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 Separation Of Solids By Using Liquids Or Pneumatic Pow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물에 뜨는 폐기물과 물에 가라앉는 폐기물을 선별하기 위해 이송스크류를 이용하는 부유성 폐기물 압축장치에 있어서, 밑부분은 개방된 상태이고 일측에 안내판(140)이 연결된 개구부(131)를 구비하는 원통(110)을 물저장탱크의 상부에 θ각 만큼 기울어지도록 설치하되 상기 원통의 개방부(130) 일측은 수면보다 위에 형성되고 타측은 물에 잠기도록 형성하므로써 부유성 폐기물이 원통 내부로 유입되도록 하고, 상기 원통 내부로 유입된 부유성 폐기물은 원통의 중앙에 구동수단(121)에 의해 회전되는 이송스크류(120)에 의해 원통의 일측으로 이송된 다음 안내판과 개구부를 통해 배출되어 호퍼(150)로 공급되어져 상기 호퍼의 하부에 형성된 파쇄기(151)에 의해 파쇄되도록 하며, 상기 파쇄된 부유성 폐기물은 배출구(171)를 구비하는 원뿔관(160)에 공급되도록 하여 상기 원뿔관 내에 구동수단(172)에 의해 회전되는 압축스크류(170)에 의해 탈수 및 압축되어 배출관을 통해 배출되어지는 부유성 폐기물 압축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골재와 함께 혼재되어 유입되는 각종의 건축폐기물 중 부유성 폐기물만을 선별하고 이를 원뿔관과 압축스크류로 압착하므로써 물을 최대한 탈수시키고 부피를 최소화함으로써 보관면적을 줄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매립 및 소각시 처리비용의 절감 및 작업의 효율성을 기대할 수 있는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건축폐기물, 부유성 폐기물, 선별, 압축

Description

건축폐기물에 있어서 부유성 폐기물 압축장치{Floating construction waste compressor}
도 1 - 본 발명의 일부가 절개된 상태의 사시도.
도 2 - 도 1의 A-A선 단면도.
도 3 - 본 발명의 평면도.
도 4 - 본 발명의 작용을 보이기 위한 참고단면도.
도 5 - 본 발명의 장착된 상태를 보이기 위한 참고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물저장탱크 11: 로울러
12: 콘베이어벨트
100: 본 발명 부유성 폐기물 압축장치
110: 원통 120: 이송스크류
121: 구동수단
130: 개방부(開放部) 131: 개구부(開口部)
140: 안내판 150: 호퍼
151: 파쇄기
160: 원뿔관 170: 압축스크류
171: 배출구 172: 구동수단
180: 집수통 190: 펌프
A: 건축폐기물(콘크리트, 자갈 등을 포함한다.)
B: 부유성 폐기물(목재, 스티로폼, 종이류 등을 포함한다.)
C: 압축된 부유성 폐기물
본 발명은 건축폐기물에 있어서 부유성 폐기물 압축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건축현장에서 발생되는 건축폐기물 중에서 재활용이 불가능하고, 선별이 곤란한 부유성(浮游性) 건축폐기물 만을 효과적으로 선별하여 압축하기 위한 건축폐기물에 있어서 부유성 폐기물 압축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축폐기물은 건설현장 및 토목공사 등에서 배출되는 폐콘크리트, 철근, 모래, 자갈, 쓰레기, 폐목재, 폐자재, 비닐, 스티로폼, 종이류 등을 통칭하며 이러한 건축폐기물은 경제성장과 건설경기의 활성화로 건축폐기물의 배출량은 날로 증가하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건축폐기물 중에는 재활용이 가능한 폐기물과 재활용이 불가능한 폐기 물로 나뉘어지며, 또한 상기 건축폐기물은 폐콘크리트, 철근 및 자갈 등과 같이 물에 가라앉는 건축폐기물과 비닐이나 스티로폼, 플라스틱류 등과 같이 부유성 폐기물로 구분되어진다.
특히 상기 수거된 부유성 폐기물은 무게는 가벼우나 부피를 많이 차지하는 단점을 갖는 것이어서 건축폐기물 선별장에 있어 넓은 부유성 폐기물 보관면적을 필요로 하게 되어 비경제적이며, 특히 상기 부유성 폐기물을 매립 및 소각하여 처리하고자 하는 경우에도 처리비용 및 물류비용이 많이 드는 매우 처치곤란한 건축폐기물이라 할 것이다.
또한 상기 부유성 폐기물을 분리하여 선별하고자 하나 상기 부유성 폐기물은 가라앉는 건축폐기물과 혼재된 상태로 건축폐기물 선별장으로 유입되어지며, 그 종류가 다양하고, 비중이 각각 달라 수거가 용이하지 못한 실정이다.
따라서 종래에는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물이 채워진 물저장탱크(10)에 순환수를 공급하여 투입된 건축폐기물중에서 무게가 가벼운 목재나 종이류 또는 스티로폼 등을 부유시킨 뒤 이를 작업자의 수작업으로 긁어서 모으거나, 강한 바람 등으로 불어서 물저장탱크(10)의 일측으로 모은 다음 물의 흐름을 이용해 외부로 배출시켜 선별하도록 하는 장치가 안출되어 있으나, 이는 부유성 폐기물의 압축가 곤란하고 비효율적이며, 부유물의 압축가 완벽하지 못해 결국 작업자의 수작업에 의존할 수 밖에 없는 단점을 갖는 것이고, 선별하였다 하더라도 수거된 이후의 부유성 폐기물의 부피에 변화가 없어 넓은 보관면적을 필요로 할 수 밖에 없는 것이며, 역시 매립 및 소각하여 처리하고자 하는 경우에도 처리비용이 많이 드는 폐단을 가질 수 밖에 없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건축폐기물 중에서 부유성 폐기물들이 간편하고 효율적으로 선별하고 이를 다시 최대한 압축하여 부피를 현저하게 줄일 수 있도록 하므로써 보관면적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하였으며, 또한 이들을 매립 및 소각에 의해 처리하고자 할 경우에도 종래에 소요되던 물류 및 처리비용보다 현저히 절감될 수 있도록 한 건축폐기물에 있어서 부유성 폐기물 압축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구성을 첨부한 도면에 의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사시도를 도시한 것으로, 본 발명 부유성 폐기물 압축장치(100)의 구성은 다음과 같다.
즉 물에 뜨는 폐기물과 물에 가라앉는 폐기물을 선별하기 위해 이송스크류를 이용하는 부유성 폐기물 압축장치에 있어서, 밑부분은 개방된 상태이고 일측에 안내판(140)이 연결된 개구부(131)를 구비하는 원통(110)을 물저장탱크의 상부에 θ각 만큼 기울어지도록 설치하되 상기 원통의 개방부(130) 일측은 수면보다 위에 형성되고 타측은 물에 잠기도록 형성하므로써 부유성 폐기물이 원통 내부로 유입되도록 하고, 상기 원통 내부로 유입된 부유성 폐기물은 원통의 중앙에 구동수단(121)에 의해 회전되는 이송스크류(120)에 의해 원통의 일측으로 이송된 다음 안내판과 개구부를 통해 배출되어 호퍼(150)로 공급되어져 상기 호퍼의 하부에 형성된 파쇄기(151)에 의해 파쇄되도록 하며, 상기 파쇄된 부유성 폐기물은 배출구(171)를 구비하는 원뿔관(160)에 공급되도록 하여 상기 원뿔관 내에 구동수단(172)에 의해 회전되는 압축스크류(170)에 의해 탈수 및 압축되어 배출관을 통해 배출되도록 구성되어진다.
이때 상기 원통(110)의 밑부분에 절개되어 형성된 개방부(130)는 부유성 폐기물이 유입되는 방향으로 θ각 만큼 기울어진 상태로 이때 θ각은 10~15°이다. 상기 θ각에 의해 원통으로 유입된 부유성 폐기물이 자연스럽게 원통의 개구부로 진행하게 되고, 이로인해 부유성 폐기물의 배출이 보다 용이해지는 것이다.
이때 부유성 폐기물이 유입되는 방향의 개방부(130)는 물보다 높게 형성되어 오픈(open)된 상태로 유지하게 되고, 반대 방향의 개방부는 물속에 약간 잠겨진 상태이므로 부유성 폐기물을 차단하여 일단 원통 내부로 유입된 부유성 폐기물은 더이상 진행되지 못하고, 이송스크류(120)에 의해 개구부, 즉 물저장탱크(10)의 측면으로 배출되어지는 것이다.
이때 상기 이송스크류(120)는 물에 떠있는 부유성 폐기물의 배출을 용이하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일측, 즉 개구부(131)로 부터 먼쪽의 이송스크류는 물에 잠기도록 구성되어져 물 위에 떠있는 부유성 폐기물을 개구부(131) 쪽으로 자연스럽게 이송시킬 수 있도록 하였으며, 타측, 즉 개구부(131)의 근처에 위치하고 있는 이송스크류는 안내판(140)은 경사진 상태이고, 개구부(131)의 근처에 위치하는 이송스쿠류의 직경은 보다 줄여서 물에 잠기지 않도록 구성하였으며, 이로인해 물은 이송시키지 않고 부유성 폐기물만 개구부(131)를 통해 배출시킬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안내판(140)도 경사지도록 형성하여 물의 배출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하였다.
상기 부유성 폐기물(B)은 호퍼(150)에 모아져 원뿔관(160)으로 공급되어지며, 이때 목재와 같이 큰 부유성 폐기물은 파쇄기(151)에 의해 파쇄된 상태로 공급되어진다.
상기 원뿔관(160)과 압축스크류(170)는 원통(110)에서 배출되어 유입된 부유성 폐기물을 강한 압력으로 압축하므로써 물을 압축하고 부피를 축소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원뿔관은 약간의 경사를 갖도록 설치되어지며, 경사가 낮은 쪽으로 물이 배출되도록 개방된 상태이다. 이때 부유성 폐기물의 함수율은 15~25% 이하로 줄어들게 되며, 이로인해 소각이 용이해진다.
상기 원뿔관(160)의 하부에는 배출된 물을 집수하기 위한 집수통(180)이 형성되어진다. 상기 집수통(180)에는 집수된 물을 물저장탱크(10)로 보내기 위한 펌프(190)를 구비되어진다.
이처럼 본 발명은 이송스크류(120)를 구비하는 원통(110)이 건축폐기물 중에서 물에 뜨는 폐기물과 물에 가라앉는 폐기물을 선별하기 위한 물저장탱크(10)의 상부에 설치되어지되, 상기 원통의 밑부분이 부유성 폐기물이 유입되는 방향으로는 열려있는 상태고, 부유성 폐기물이 배출되어야 하는 방향은 닫혀있게 되는 것이어서 약간 수면에 잠긴 상태로 회전하는 이송스크류(120)에 의해 개구부(131)을 통해 물저장탱크(10) 측면으로 배출되어진 다음, 점차 직경이 좁아져 결국 엄청난 압축 력을 갖는 원뿔관(160)과 압축스크류(170)에 의해 물이 탈수되고 압축되어지므로써 부유성 폐기물의 부피가 현저하게 축소되어 배출되어지는 것이다.
이처럼 본 발명은 골재와 함께 혼재되어 유입되는 각종의 건축폐기물 중 부유성 폐기물만을 선별하고 이를 원뿔관과 압축스크류로 압착하므로써 물을 최대한 탈수시키고 부피를 최소화함으로써 보관면적을 줄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매립 및 소각시 처리비용의 절감 및 작업의 효율성을 기대할 수 있는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Claims (1)

  1. 부유폐기물을 선별하기 위한 물저장탱크와, 배출구를 구비하는 원뿔관과, 상기 원뿔관 내에서 구동수단에 의해 회전되는 압축스크류에 의해 부유성 폐기물이 탈수 및 압축되어 배출되도록 하기 위한 구동수단과 이송스크류를 구비하는 부유성 폐기물 압축장치에 있어서,
    상기 밑부분은 개방된 상태이고 일측에 안내판(140)이 연결된 개구부(131)를 구비하는 원통(110)을 물저장탱크(10)의 상부에 10~15°각 만큼 기울어지도록 설치하되, 상기 원통의 개방부(130) 일측은 수면보다 위에 형성되고 타측은 물에 잠기도록 형성하여 상기 원통 내부로 유입된 부유성 폐기물은 테이퍼형상의 이송스크류(120)에 의해 배출되도록 하고, 상기 안내판(140)은 호퍼(150)의 상부에 형성되어 파쇄기(151)를 구비하는 원뿔관(160)으로 구성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폐기물에 있어서 부유성 폐기물 압축장치.
KR1020030095346A 2003-12-23 2003-12-23 건축폐기물에 있어서 부유성 폐기물 압축장치 KR10055091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95346A KR100550914B1 (ko) 2003-12-23 2003-12-23 건축폐기물에 있어서 부유성 폐기물 압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95346A KR100550914B1 (ko) 2003-12-23 2003-12-23 건축폐기물에 있어서 부유성 폐기물 압축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14769A KR20050114769A (ko) 2005-12-07
KR100550914B1 true KR100550914B1 (ko) 2006-02-10

Family

ID=372888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95346A KR100550914B1 (ko) 2003-12-23 2003-12-23 건축폐기물에 있어서 부유성 폐기물 압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5091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73571B1 (ko) * 2015-06-30 2016-11-07 채인원 무선 원격조정 녹조 제거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14769A (ko) 2005-12-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0813483A (zh) 一种建筑垃圾的破碎分选处理系统
KR100756420B1 (ko) 건설폐기물에서 골재와 이물질의 선별 분리장치 및 그 방법
KR100850762B1 (ko) 진동스크린의 변형구조를 이용한 이물질 분리방법 및 그장치
KR100235319B1 (ko) 건설폐기물 처리와 재활용을 위한 중간 처리 방법 및 그 장치
KR101068582B1 (ko) 건설 폐기물의 선별 분리장치
KR100981949B1 (ko) 폐토사의 재생장치
KR100533738B1 (ko) 건설폐기물 습식 이물질 분류 장치
KR100534680B1 (ko) 건설폐기물의 이물질 선별 제거장치 및 이에 사용되는보충수의 재사용 방법
CN107116086B (zh) 一种建筑垃圾回收系统
KR100358687B1 (ko) 건설폐기물의 재활용 처리방법
KR100550914B1 (ko) 건축폐기물에 있어서 부유성 폐기물 압축장치
KR20070034559A (ko) 토사에서 모래를 분리회수하는 방법 및 그 장치
CN212018899U (zh) 一种建筑用建筑垃圾分拣装置
KR100453932B1 (ko) 건설폐기물의 수조식 골재선별 처리장치
KR100725842B1 (ko) 건설폐기물 처리과정에서 발생하는 슬러지의 처리방법 및그 장치
KR19990017560A (ko) 건축 폐기물의 재활용 처리공정
KR101815112B1 (ko) 재생골재의 습식 선별장치를 이용한 황토블록 제조장치
KR100573905B1 (ko) 폐기물 탈수처리장치
KR20140132435A (ko) 정량 연속 투입장치
KR100440197B1 (ko) 준설토의 모래선별 및 세척수 정수시스템
KR20070019780A (ko) 건설폐기물 토사처리 방법 및 그 장치
KR100751838B1 (ko) 건축 폐기물의 분리장치
KR100400197B1 (ko) 습식 재생골재 선별장치
KR200313445Y1 (ko) 건설폐기물의 이물질 선별 제거장치
KR100834710B1 (ko) 회전식 스크린을 이용한 건설폐기물 토사 처리방법 및 그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601 Maintenance of original decis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041206

Effective date: 20051125

S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0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03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02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01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25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31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28

Year of fee payment: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