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49500B1 - 폴리에스테르 장섬유 스펀본드 부직포 - Google Patents

폴리에스테르 장섬유 스펀본드 부직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49500B1
KR100549500B1 KR1020040028639A KR20040028639A KR100549500B1 KR 100549500 B1 KR100549500 B1 KR 100549500B1 KR 1020040028639 A KR1020040028639 A KR 1020040028639A KR 20040028639 A KR20040028639 A KR 20040028639A KR 100549500 B1 KR100549500 B1 KR 1005495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onwoven fabric
spunbond nonwoven
present
polyester
functio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286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103376A (ko
Inventor
김진일
이병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코오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코오롱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코오롱
Priority to KR10200400286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49500B1/ko
Publication of KR200501033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10337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495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49500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9/00Table service
    • A47G19/12Vessels or pots for table use
    • A47G19/127Vessels or pots for table use with means for keeping liquid cool or ho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in one piece, e.g. by casting metallic material, by moulding plastics, by blowing vitreous material, by throwing ceramic material, by moulding pulped fibrous material, by deep-drawing operations performed on sheet material
    • B65D1/02Bottles or similar containers with necks or like restricted apertures, designed for pouring contents
    • B65D1/0223Bottles or similar containers with necks or like restricted apertures, designed for pouring contents characterised by sha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in one piece, e.g. by casting metallic material, by moulding plastics, by blowing vitreous material, by throwing ceramic material, by moulding pulped fibrous material, by deep-drawing operations performed on sheet material
    • B65D1/02Bottles or similar containers with necks or like restricted apertures, designed for pouring contents
    • B65D1/04Multi-cavity bottl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9/00Table service
    • A47G19/12Vessels or pots for table use
    • A47G2019/122Vessels or pots for table use for holding and dispensing a plurality of different liqui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1/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in one piece
    • B65D2501/0009Bottles or similar containers with necks or like restricted apertures designed for pouring contents
    • B65D2501/0063Additional discharging means

Abstract

본 발명은 폴리에스테르 장섬유 스펀본드 부직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부직포 생지의 중량이 30-60 gr/㎡이고 통기도가 100-400 ccs이며, 구성섬유 지름이 5-20 ㎛ 인 다공성의 폴리에스테르 장섬유 스펀본드 부직포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스펀본드 부직포의 한면 또는 양면에 흡착성 입자를 포함하는 폴리에스테르 장섬유 스펀본드 부직포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폴리에스테르 장섬유 스펀본드 부직포는 통기도 및 밀도가 조절되어 종래에 비해 저중량을 가지면서 강도 및 신도 등의 물성이 우수하므로 제조원가 상승문제를 해결할 수 있으며, 그 표면에 숯과 같은 흡착성 입자를 포함하여 항균 및 탈취율이 우수하여 아파트 등의 공동주택 및 일반 단독주택 등의 건축용 벽지의 마감재, 병원, 호텔 등의 공동 시설물, 및 자동차 기차 등과 같은 수송수단의 마감재로 사용할 수 있다.
초배지, 다공성, 폴리에스테르, 숯, 기능성

Description

폴리에스테르 장섬유 스펀본드 부직포{POLYESTER SPUNBONDED NON-WOVEN FABRIC}
본 발명은 저중량을 가지면서 강도 및 신도 등의 물성이 우수한 다공성 장섬유 스펀본드 부직포와, 상기 부직포에 흡착성 입자를 포함하여 항균성 및 물성이 우수하여 건축용 마감재로 사용하기에 적합한 폴리에스테르 장섬유 스펀본드 부직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아파트와 같은 공동주택을 주로 철근콘크리트와 같은 공법으로 건설하고 있는 우리나라에서는, 시멘트벽재의 적절한 마감처리 방법이 필요하다. 즉, 시멘트 벽재는 타설후 건조시 실내에 유해한 가스를 생성하여 방출하게 된다. 또한, 건조가 종결된 후에도 풍화작용에 의해 먼지와 입자들이 계속적으로 탈락하여, 실내오염의 발생원으로 지목되고 있다.
이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주로 종이 또는 근래에는 합성수지재 초배지와 벽지로 구성되는 마감재를 시멘트 벽재에 천연접착제 또는 합성접착제로 부착시켜 사용해오고 있다. 이와 같이 벽지마감재를 사용할 경우 시공경비가 다소 상승하지만, 마감재의 기능성으로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할 수 있을 뿐만 아 니라, 콘크리트 벽재와 인체와의 직접 접촉을 차단시켜 주며, 또한 벽지마감재의 표면에 여러 가지 색상과 문양을 채워 넣어 장식적이고 심미적인 효과를 발휘한다.
벽지마감재로 사용하는 재료로는 전통적으로 한지를 비롯한 종이류가 많이 사용되어 왔으나, 근래에는 시공성 및 내구성, 심미성 등을 고려하여 PVC와 같은 합성수지를 이용한 벽지가 많이 사용되고 있다. 합성수지제 벽지를 시공할 경우 콘크리트와의 접착성을 개선시키고, 보다 균일한 접착을 위해 폴리에스테르 수지로 제조되는 부직포 초배지를 콘크리트 타설면에 부착시킨 다음, 마감벽지를 초배지의 상부에 시공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이렇게 완성된 합성수지제 마감벽재는 종래의 종이를 원재료로 하는 마감재에 대비하여 내구성이 우수하여 장시간 사용할 수 있으며, 고강도이어서 시공시에도 잘 찢어지지 않아 간편하게 작업할 수 있어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와 같이 합성수지제 마감벽재는 우수한 물성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으나, 시멘트 벽재와의 결합력이 낮기 때문에, 접착력이 강한 합성접착제를 다량으로 사용하여 시공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합성접착제는 종래의 종이 벽재에 사용되는 전분과 같은 천연물 위주의 접착제가 아니므로, 시공시 및 시공후에 포름알데히드를 비롯한 인체에 유해한 성분이 다량으로 발생하게 된다. 이렇게 발생되는 포름알데히드, 톨루엔, 자일렌, 에틸벤젠 등의 유해성분은 저분자량 물질이 대부분이므로, 환기를 충분히 하면 보통 시공후 1년 이내에 일본후생성 기준치인 0.4 mg/㎥ 이하로 관리가능하다.
그러나, 신축주택의 경우 벽지와 같은 마감재의 시공후 입주 까지의 기간은 통상적으로 1년 미만인 경우가 대부분이므로, 실질적으로 인체에 유해한 성분이 완전히 제거되지 않은 채로 입주가 이루어져서 주거가 이루어지고 있는 실정이다.
이런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04-0029843호는 합성수지제 또는 천연섬유제 부직포 이중층 사이에 숯과 같은 고흡착성 기능재를 아크릴과 같은 접착제를 사용하여 도입시키는 방법을 제공하고 있다. 상기 방법은 콘트리크층에 접착되는 1차 부직포는 50-100 gr/㎡의 다소 얇은 제품을 위치시키고, 아크릴 바인더에 침지시킨 미세입자 기능성 숯을 부직포에 코팅시키며, 상부에 보다 두꺼운 100-150 gr/㎡ 수준의 부직포를 도입시켜 부직포를 제조하고 있다. 이렇게 제조된 기능성 부직포 제품은 숯 고유의 공기정화기능을 비롯하여 항균 및 조습기능을 부여하는 기능성을 제공한다.
그러나 상기의 방법으로 제조되는 기능성 제품은 2중의 부직포 사이에 기능성 숯을 담지하게 됨으로써, 원재료인 부직포의 사용량이 많아져서 원가상승면에서 부담스럽고, 또한 일반적으로 초배지로 사용되는 부직포 제품의 중량이 40-60 gr/㎡ 으로서 초벌만 배치되는 점에서 볼 때 더욱 원가적으로 불리하다고 할 수 있다. 또한, 두꺼운 부직포층 사이에 기능층이 배치되므로, 비록 부직포 제품이 다공성이어서 기능성이 방출되겠지만,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초배지와 비교할 때, 중량과 후도면에서 무겁고 두꺼워져서 기능성을 최대한 발휘하기 어렵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그 밖에도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999-0045954호, 제2000-0047735호, 및 제2000-0047801호에도 기능성 숯 분말 및 입자를 도입한 벽지마감재료에 대해서 개 시된 바 있다. 그러나 상기의 방법들은 모두 종이와 같은 지류의 소재상에 기능성 숯을 코팅, 침지, 또는 스프레이와 같은 방법으로 도입시켜 제조하는 것을 기술하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이 종이에 기능성 소재를 도입시키는 경우, 물성면에서 강도가 낮고 서로 접착력이 맞지 않아 종이의 외부에 접착되는 합성수지제의 마감벽재를 바로 부착할 수 없다. 따라서 종이기능층과 마감벽재사이에 합성수지 부직포제의 초배지가 도입되게 되므로, 종래의 2층 마감재에 비해 3층의 마감재가 사용되게 되어 시공성면과 원가면에서 불리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목적은 통기도 및 밀도를 조절하여 종래에 비해 저중량을 가지면서 강도 및 신도 등의 물성이 우수한 다공성 폴리에스테르 장섬유 부직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의 저중량을 가지는 다공성 폴리에스테르 장섬유 스펀본드 부직포를 이용하여 제조원가 상승문제를 해결하고, 그 표면에 기능성 소재로서 숯과 같은 흡착성 입자를 포함하여 항균 및 탈취율이 우수하고, 강도, 내구성 등이 우수하고 시공이 편리하여 경제적인 기능성 폴리에스테르 장섬유 부직포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의 기능성 폴리에스테르 장섬유 부직포를 포함하는 건축용 마감재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부직포 생지의 중량이 30-60 gr/㎡ 이고 통기도가 100-400 ccs이며, 구성섬유 지름이 5-20 ㎛ 인 다공성의 폴리에스테르 장섬유 스펀본드 부직포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다공성 폴리에스테르 장섬유 스펀본드 부직포의 한면 또는 양면에 바인더 수지에 의해 접착된 흡착성 입자를 포함하는 폴리에스테르 장섬유 스펀본드 부직포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흡착성 입자를 함유한 폴리에스테르 장섬유 스펀본드 부직포를 포함하는 건축용 마감재를 제공한다.
이하에서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은 종래의 기술에서 구현하지 못하였던 30-60 gr/㎡ 수준의 물성이 우수한 저중량의 다공성 장섬유 스펀본드 부직포 및 이를 이용한 폴리에스테르 장섬유 스펀본드 부직포에 관한 것이다.
종래기술에서는 2층 이상의 부직포 사이에 기능성 원부원료를 가공법으로 개재시키거나, 강도나 내구성 면에서 취약한 지류소재의 표면에 기능성 소재를 침투시켜 제조하여 제조원가가 상승하고 시공성 면에서도 불리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은 형태안정성과 물리적 성질이 우수한 폴리에스테르 장섬유 스펀본드 부직포를 주요소재로 하여, 두께가 얇으면서도 강도가 뛰어나며 부직포를 구성하는 섬유의 외경과 부직포의 후도를 적정하게 조정하여 최종적으로 부직포의 밀도와 통기성을 최적화시킨 다공성 장섬유 스펀본드 부직포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의 폴리에스테르 장섬유 스펀본드 부직포의 표면에 숯 또는 황토, 맥반석입자와 같은 기능성 재료를 부착시켜 다양한 분야에 적용할 수 있는 기능성 폴리에스테르 장섬유 스펀본드 부직포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장섬유 스펀본드 부직포는 상기에서 얻어진 폴리에스테르 스펀본드 부직포 상에 편면(한면) 또는 양면으로 기능성 재료를 부착시킬 수 있으나, 성능상 현저히 특성이 저하되지 않는한 보통 편면으로 가공하는 경우가 많다. 본 발명의 폴리에스테르 스펀본드 부직포 기포지는 내열성이 우수하고 수많은 작은 기공들로 이루어진 다공성 재료이므로, 통상적인 기능성 재료의 가공시에 이루어지는 고온열처리시에도 안정하며, 수축율이 낮기 때문에 열처리 전후 제품의 통기도나 밀도면에서 변화가 나타나지 않는 이상적인 재료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다공성 폴리에스테르 장섬유 스펀본드 부직포 및 이를 이용한 기능성 폴리에스테르 장섬유 스펀본드 부직포의 제조에 대해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기능성 장섬유 스펀본드 부직포를 얻기 위하여, 가공성 및 시공성과 내구성이 우수한 폴리에스테르 스펀본드 부직포를 1차적으로 제조하여 이루어진다. 즉, 본 발명의 폴리에스테르 장섬유 스펀본드 부직포는 기능성 재료를 운반하고 지지하는 내구성능이 뛰어난 지지체로서의 기능과, 부착된 기능성 재료의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해 적정한 밀도와 통기성이 동시에 보장되어야 한다. 또한, 기능성 재료 가공시 고온에서 수축작용이 최소화 되며, 가공 전후의 열수축에 의한 밀도와 통기도, 후도의 변화가 없고, 물성의 취화도 발생하지 않아야 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폴리에스테르 스펀본드 장섬유 부직포는 적절한 외경을 가지는 장섬유로 구성되어진다. 또한, 이러한 섬유로 구성된 본 발명의 스펀본드 부직포는 적정한 밀도와 통기도를 유지하여야 한다.
즉, 본 발명의 스펀본드 부직포는 통기도가 뛰어나면서 강도가 높아 보다 낮은 중량의 제품으로도 본 발명의 효과를 나타내며, 또한 적정한 외경을 가지는 섬유로 구성되어 있어 색상 등의 차단성(비침성)이 우수하다.
본 발명의 스펀본드 부직포의 구성섬유는 모두 폴리에스테르 장섬유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장섬유의 기본 외경은 5-20 ㎛이 바람직하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10-15 ㎛ 범위이다. 또한 같은 단위 선밀도를 가질 경우에 섬유의 단면이 본 발명에서 주로 다루어지는 원형외에 비원형이어도 상관없다. 이때,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장섬유의 외경보다 작으면 전체적인 부직포의 강도가 낮아지면서 통기성이 떨어지게되어 본 발명의 스펀본드 부직포로 적당하지 않게 된다. 반대로 외경이 너무 클 경우에는 통기도와 물성이 개선되어 부직포 원재료상의 문제는 없으나, 기능성 재료의 부착가공시에 점도가 낮은 재료를 표면에 도포할 경우 부직포의 후면으로 기능성 재료액이 흘러내리거나, 건조후에 외력을 받을 경우 분말상태의 기능성 재료가 탈락하여 부직포의 이면으로 빠져 나오는 현상이 나타난다. 또한, 기능성 초배지로서 콘크리트면에 타설후에도 기공도가 높아 부직포의 후면으로 도포된 기능성 재료의 색상이 비쳐져서, 최종 마감벽재를 시공한 후에도 잔상이 남아있게 되어 심미성 면에서 불리하다.
또한, 본 발명의 스펀본드 부직포는 적정 밀도를 유지하는 것도 중요하다. 본 발명의 부직포 소재는 밀도가 0.1-0.4 gr/㎤ 수준으로 제조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0.15-0.30 gr/㎤ 이다. 이때, 같은 중량 및 외경의 섬유로 제조되었을 경우에도 후도에 따라서 밀도가 변하게 된다. 따라서, 밀도가 0.4 gr/㎤ 를 초과하면 부직포의 섬유간 간격이 너무 조밀해져서 결과적으로 통기도면에서 불리하게 된다. 반대로 밀도가 0.1 gr/㎤ 미만이면 너무 엉성한 제품이 얻어져서 상기에서 설명한 문제점들이 나타난다. 즉, 적정한 통기도와 물성이 우수한 제품을 얻기 위해서는 섬유의 선밀도 뿐만 아니라 밀도 역시 적절하게 조정되어야 하는 것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의 발명자들은 밀도를 본 발명의 구성과 같은 범위로 조정하면서 섬유의 외경을 본 발명의 구성범위 밖으로 조정하여 보았으나, 최종 제품의 물성이 저하되거나 또는 본 발명의 구성범위내로 조정되었을 때보다 물성이나 통기도면에서 또는, 성능 면에서 낮은 제품이 얻어진다.
또한, 본 발명의 스펀본드 부직포 제품은 최종적으로 통기도면에서 일정범위에 있을 때 물성 또는 시공성, 내구성면에서 우수하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스펀본드 부직포는 그 중량이 30-60 gr/㎡ 수준으로서, 이때 통기도는 100-400 ccs(cc/㎠ㆍsec.) 범위가 좋다. 통기도는 일반적으로 높을수록 좋으나, 취급성과 시공성, 사용성능면에서 볼 때 400 ccs 이하로 하는 것이 좋다. 여기서, 통기도가 낮으면 기능성 소재의 가공효과가 저하되는 단점은 있지만, 후가공성과 시공성 및 사용성능면에서 유리하다. 따라서 어느 정도 사용하는 최종용도에 따라서 적정 수준의 중량과 통기도의 제품을 선택할 필요는 있다. 그러나 통기도가 100 ccs 미만이면 본 발명의 저중량 제품의 초배지로서의 의미는 퇴색되어 버리게 되며, 본 발명의 부직포의 외경과 밀도 수준에서 100 ccs 미만의 제품은 통상적으로 중량 70 gr/㎡ 이상에서 얻어지게 되므로 본 발명의 중량수준을 상회하게 된다. 또한, 이 와 같은 고중량제품을 사용할 경우 부직포의 중량면에서도 불리하지만, 저통기성 제품의 기능성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해 일반적으로 기능성 소재의 도포량을 올리게 되므로 경제성면에서 2중의 단점을 가진다. 게다가 후도가 상승하게 되어 시공성이 떨어지고 콘크리트 벽재와의 접착을 견고히 하기위해 접착제의 사용량도 증가하므로 실익이 없다.
이러한, 본 발명의 다공성 스펀본드 부직포의 제조방법은 열가소성 폴리머를 용융하고 연신 후, 제조되는 섬유의 직경이 5 내지 20 ㎛이 되도록 토출량과 구금의 모세공 수를 조절하여 필라멘트를 형성하고, 상기 모세공에서 방출된 연속필라멘트를 방사속도 4500 내지 5500 m/분으로 연신하고, 상기 연신된 필라멘트 섬유를 개섬하여 웹을 형성하고 열접착하여 제조된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필라멘트 섬유에 대하여 200-250 ℃ 온도에서 통상적인 열접착 방법으로 열접착하는데, 후도를 적정 조정하여 제조되는 스펀본드 부직포의 밀도가 0.1-0.4 gr/㎤ 수준이 되도록 조정하여 본 발명의 폴리에스테르 스펀본드 부직포를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폴리에스테르 스펀본드 부직포는 상기와 같은 통기도와 밀드등의 물성 조절에 의해 강도가 높으면서 통기도가 적정하여 고가의 기능성 재료를 많이 사용하지 않고, 최적의 부착량만 부직포의 표면에 도입시킬 수 있어 경제성 면에서 더욱 유리하다. 또한, 기능성 재료의 부착가공시 에도 최적의 소량만 담지시키게 되므로 고효율로 운전할 수 있어 더욱 더 우수한 방법이라고 할 수 있다. 더욱이, 본 발명의 장섬유 스펀본드 부직포는 모두 내열성이 우수한 폴리에스테르 섬유로 구성되므로 가공온도가 200 ℃ 이상의 고온 열처리시에도 수축율과 물성의 저하가 나타나지 않아 더욱 안정적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의 다공성 장섬유 스펀본드 부직포의 한면(편면) 또는 양면에 흡착성 입자를 포함하는 폴리에스테르 장섬유 스펀본드 부직포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기능성 장섬유 스펀본드 부직포는 흡착성 입자를 바인더에 혼련하여 스펀본드의 한면 또는 양면에 접착시켜 제조된다. 상기 흡착성 입자의 접착은 공지의 아크릴 및 폴리우레탄 또는 폴리에스테르 바인더 수지가공법으로 코팅, 그라비아 인쇄, 스크린법, 디핑(Dipping) 또는 스프레이법으로 상기에서 제조된 스펀본드 부직포의 표면에 도입시켜 이루어진다.
상기 흡착성 입자의 종류는 본 발명에서 특별히 한정하지는 않지만,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에서 주로 이용하고자 하는 초배지와 같은 건축용소재의 기능성 재료로는 입경 50 ㎛ 이하 미세분말상의 숯, 황토, 맥반석, 은(Ag)을 주체로 하는 항균입자, 및 광촉매형 나노 TiO2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1 종 이상 선택되는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 흡착성 입자의 도포량은 정해져 있지 않으나, 바람직한 최종함유율(Solid Content)은 부직포 생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5 내지 250 중량부로 조절하고, 더욱 바람직하기로는 100 중량부 이하로 조절한다. 이때, 기능성 입자의 접착시 사용하는 바인더 수지의 사용량은 임의로 조정하는데, 바인더 수지와 기능성 입자의 총 조성 100 중량부에 대하여 30-70 중량부가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필요시 바인더 제조시 통상의 침투제와 방향제와 같은 조제 등을 첨가하여 제조할 수도 있으며, 상기의 기능성 소재들을 단독 또는 혼합하여 사용할 수도 있으므로 본 발명에서는 사용상의 혼합제조방법에 대해 한정하지 않는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기능성 스펀본드 부직포는 얇으면서도 물성이 뛰어나고, 적정한 통기도와 밀도를 보유하면서도 기능성 재료의 색상차단성이 뛰어나므로 초배지용 소재로서 최적이다. 즉, 본 발명의 통기성 스펀본드 부직포를 기능성 재료의 도포지로 사용할 경우 값 비싼 기능성 소재를 다량 사용할 필요가 없다. 본 발명의 다공성 스펀본드 부직포를 사용할 경우 통기성이 뛰어나므로 그라비아 도포법이나 스크린법으로 부직포의 표면에 기능성 재료를 코팅할 경우, 부직포의 전(全)면적에 걸쳐 도포할 필요없이 부분적으로 코팅을 실시하여도 기능성을 충분히 얻을 수 있다. 침지법이나 스프레이 또는 나이프코팅법을 사용할 경우에도 기능성 소재의 함유율(Solid Content)을 줄일 수 있어 보다 경제적으로 기능성 소재의 제조가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능성 폴리에스테르 장섬유 스펀본드 부직포는 주로 건축용 벽지의 마감재로서 사용될 수 있으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콘트리트 벽재와 최종 벽지 마감재 사이에 위치한다.
또한, 본 발명의 부직포는 아파트 등 공동주택의 기능성 초배지와 같은 용도외에도 일반 단독 주택과 같은 콘크리트 가옥 및 목조가옥에도 적용할 수 있으며, 특히 사람들의 왕래가 많고 기능성이 요구되는 병원, 호텔, 학교, 상가, 백화점, 사무실과 같은 공동 시설물이나 자동차, 기차등과 같은 수송수단의 마감재로 사용 할 수도 있다.
다음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제시한다. 그러나 하기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을 보다 쉽게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본 발명의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의 장섬유 부직포에 대한 물성은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측정하였다.
<평가방법>
1. 부직포의 물리적 성질: KS K 0756 에 의거하여 측정을 실시하였다.
측정항목 - 후도, 중량, 인장강도(Cut-Strip법), 신도
2. 통기도 측정방법: JIS L 1906 에 의거하여 측정을 실시하였다.
측정방법 - Frazier 법
3. 탈취도 시험방법: 한국건자재시험연구원 KICM-FIR-1004
초기농도를 500 ppm으로 고정한 다음 120분 후의 농도를 측정하여 다음 계산식에 의해 탈취율을 계산하였다.
[계산식 1]
탈취율(%) = (초기농도-120분후 농도)/초기농도 × 100
시험가스: 암모니아
[실시예 1 내지 4]
(다공성 장섬유 스펀본드 부직포의 제조)
고유점도(IV)가 0.650 dL/g이며, 융점이 255 ℃ 인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를 원료로 사용하였다. 상기 폴리에스테르 수지를 방사온도 288 ℃에서 연속 압출기를 이용하여 녹인 다음, 연신 후 제조되는 섬유의 직경이 5-20 ㎛ 수준이 되도록 토출량과 구금의 모세공 수(數)를 조절하였다. 이후, 모세공에서 방출된 연속 필라멘트는 25 ℃의 냉각풍에 의해 고화시킨 다음 고압의 공기연신장치를 이용하여, 방사속도가 4,500 내지 5,500 m/분이 되도록 충분히 연신시켜 필라멘트 섬유의 열접착 및 후가공시에 추가적인 섬유 및 부직포의 수축이 발생되지 않도록 하였다. 상기 방법으로 방사, 연신된 필라멘트 섬유는 통상의 개섬법에 의해 연속이동하는 금속제 네트(net)상에 웹(Web)의 형태로 적층하였다. 상기 적층된 필라멘트 섬유에 대하여 200-250 ℃ 온도에서 통상적인 열접착 방법으로 열접착하는데, 후도를 적정 조정하여 제조되는 스펀본드 부직포의 밀도가 0.1-0.4 gr/㎤이 되도록 조정하여 본 발명의 폴리에스테르 스펀본드 부직포를 제조하였다.
이렇게 제조된, 스펀본드 부직포의 물성은 다음과 같다.
구분 중량 (gr/㎡) 섬유외경 (㎛) 밀도 (gr/㎤) 통기도 (ccs) 강도 (경/위) Kg/5cm 신도 (경/위) (%)
실시예1 45 12 0.18 230 15/6 25/21
실시예2 60 15 0.22 170 20/9 24/23
실시예3 30 8 0.31 280 11/6 18/14
실시예4 45 15 0.20 250 14/6 24/20
[실시예 5-8 내지 비교예 1-3]
상기에서 제조된 실시예 1 내지 4의 다공성 스펀본드 부직포 표면에 스테인레스 메쉬 #325 을 이용 미세한 분말만으로 이루어진 입경 30 ㎛ 미만의 숯을 주원 료로 하는 기능성 재료(흡착성 입자)를 공지의 아크릴 바인더를 이용하여 도포하였다. 이때 아크릴 바인더, 기능성 숯, 및 침투제를 비롯한 각종 조제의 함량비는 50:40:10으로 하였다. 또한 최종 부직포상에 잔존하는 흡착성 입자의 도포량은 부직포 생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10 내지 250 중량부로 조정하였다.
이때, 비교예는 하기 표 2와 같은 중량, 외경, 밀도 및 통기도를 갖는 부직포를 사용하여 상기와 동일한 방법으로 부직포를 제조하였다.
구분 중량 (gr/㎡) 섬유외경 (㎛) 밀도 (gr/㎤) 통기도 (ccs) 강도 (경/위) Kg/5cm 신도 (경/위) (%) 기능성 입자도포량 (중량부) 탈취율 (%) 비고
실시예5 45 12 0.18 230 15/6 25/21 80 85
실시예6 60 15 0.22 170 20/9 24/23 100 75
실시예7 30 8 0.31 280 11/6 18/14 60 70
실시예8 45 15 0.20 250 14/6 24/20 200 90
비교예1 45 25 0.12 380 10/5 16/13 80 65 배어나옴
비교예2 45 22 0.09 490 가공시 찢어짐
비교예3 80 12 0.16 85 24/13 28/23 250 45
상기 표 2에서 보면, 본 발명의 실시예 5 내지 8의 경우 부직포 중량이 30-60 gr/㎡이고 통기도가 100-400 ccs이며, 밀도가 0.1-0.4 gr/㎤인 실시예 1 내지 4의 부직포를 사용하여, 비교예 1 내지 3에 비해 강도 및 신도가 우수하고 탈취율도 우수한 저중량의 기능성 부직포를 얻을 수 있었다. 이때, 비교예 1의 경우 본 발명의 섬유의 외경 범위를 벗어나는 25 마이크론으로서 부직포의 다공성 구멍이 커지게 되므로, 도포액이 마르기 전에 흡착성 입자가 흘러나오는 문제가 있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스펀본드 부직포는 통기도 및 밀도가 조절되어 종래에 비해 저중량을 가지면서 강도 및 신도 등의 물성이 우수하므로 제조원가 상승문제를 해결할 수 있으며, 그 표면에 숯과 같은 고흡착성 기능성 입자를 포함하여 항균 및 탈취율이 우수하여 아파트 등의 공동주택 및 일반 단독주택등의 건축용 벽지의 마감재, 병원, 호텔 등의 공동 시설물, 및 자동차 기차등과 같은 수송수단의 마감재로 사용할 수 있다.

Claims (7)

  1. 부직포 생지의 중량이 30-60 gr/㎡이고 통기도가 100-400 ccs이며, 구성섬유 지름이 5-20 ㎛이고, 밀도가 0.1-0.4 gr/㎤인 다공성의 폴리에스테르 장섬유 스펀본드 부직포를 포함하는 초배지.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다공성 폴리에스테르 장섬유 스펀본드 부직포의 한면 또는 양면에 바인더 수지에 의해 접착된 흡착성 입자를 포함하는 초배지.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흡착성 입자의 함량은 부직포 생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5 내지 250 중량부로 포함하는 초배지.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흡착성 입자가 숯, 활성탄, 맥반석, 은(Ag), 및 광촉매형 나노 TiO2 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1 종 이상 선택되는 초배지.
  6.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바인더의 사용량은 바인더 수지와 기능성 입자의 총 조성 100 중량부에 대하여 30 내지 70 중량부인 초배지.
  7. 폴리에스테르 장섬유 스펀본드 부직포를 포함하며, 상기 폴리에스테르 장섬유 스펀본드 부직포는 부직포 생지의 중량이 30-60 gr/㎡이고 통기도가 100-400 ccs이며, 구성섬유 지름이 5-20 ㎛이고, 밀도가 0.1-0.4 gr/㎤인 다공성의 폴리에스테르 장섬유 스펀본드 부직포의 한면 또는 양면에 바인더 수지에 의해 접착된 흡착성 입자를 포함하는 초배지인 건축용 마감재.
KR1020040028639A 2004-04-26 2004-04-26 폴리에스테르 장섬유 스펀본드 부직포 KR1005495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28639A KR100549500B1 (ko) 2004-04-26 2004-04-26 폴리에스테르 장섬유 스펀본드 부직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28639A KR100549500B1 (ko) 2004-04-26 2004-04-26 폴리에스테르 장섬유 스펀본드 부직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03376A KR20050103376A (ko) 2005-10-31
KR100549500B1 true KR100549500B1 (ko) 2006-02-03

Family

ID=372812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28639A KR100549500B1 (ko) 2004-04-26 2004-04-26 폴리에스테르 장섬유 스펀본드 부직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4950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09750B1 (ko) 2007-06-15 2011-01-19 코오롱인더스트리 주식회사 폴리에스테르 장섬유 스펀본드 부직포 및 이의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442186B (zh) * 2015-12-09 2017-10-13 广东斯乐普环保技术股份有限公司 高效活性炭非织造布的制造方法
CN106757777A (zh) * 2016-11-29 2017-05-31 青岛海之星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浒苔活性炭/二氧化钛复合纳米纤维膜及其制备方法
CN107597068B (zh) * 2017-10-18 2020-01-17 哈尔滨理工大学 一种脱臭污泥炭布的制备方法
CN113373703B (zh) * 2020-03-10 2024-03-19 东丽纤维研究所(中国)有限公司 一种墙面装饰用无纺材料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09750B1 (ko) 2007-06-15 2011-01-19 코오롱인더스트리 주식회사 폴리에스테르 장섬유 스펀본드 부직포 및 이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03376A (ko) 2005-10-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486497B (zh) 非織材料及製造該材料之方法
CN102361898B (zh) 聚醚酮酮非织造垫
TWI475138B (zh) 非織材料及製造該材料之方法
CN1671550B (zh) 含有低延伸率织物的可呼吸材料及其制造方法
CA2451068A1 (en) Vapor permeable, liquid impermeable composite fabric and fabrication process
EP3233470B1 (en) Monolithic breathable film and composite manufactured therefrom
KR101420735B1 (ko) 복합 기능 한지 창호지
TW200400116A (en) Breathable articles
KR100549500B1 (ko) 폴리에스테르 장섬유 스펀본드 부직포
CN109316953A (zh) 一种有效解决异味及voc的微纳米过滤层及其制备工艺
CN107327102A (zh) 一种具有空气净化功能的装饰墙板
JP3795747B2 (ja) 透湿防水性シートおよび壁構造
CN106917477A (zh) 一种用于室内的装饰壁纸
CN100572330C (zh) 具有抗菌及空气净化功能的复合板材的覆盖层
CN107747254A (zh) 一种防火壁纸
CN207498741U (zh) 一种防火壁纸
KR101603273B1 (ko) 황토를 이용한 마스크
JP2022102131A (ja) 血液及びウイルス遮断防水透湿複合不織布
CN106368399A (zh) 除臭式装饰板
JP2010121314A (ja) 調湿パネル
JP5286603B2 (ja) 表装仕上げ建材
CN214727106U (zh) 一种防水效果好的拒水木浆布
KR20130004675A (ko) 건축 투습방수 소재용 다층구조 장섬유 스펀본드 부직포 및 그 제조방법
CN208152445U (zh) 一种空气净化瓷砖
KR100563307B1 (ko) 건축용 바닥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1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3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30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29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8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2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3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2

Year of fee payment: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