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49363B1 - Automatic transfer arm structure attached to unit table in which eye examination apparatus is combined - Google Patents
Automatic transfer arm structure attached to unit table in which eye examination apparatus is combined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549363B1 KR100549363B1 KR1020040008573A KR20040008573A KR100549363B1 KR 100549363 B1 KR100549363 B1 KR 100549363B1 KR 1020040008573 A KR1020040008573 A KR 1020040008573A KR 20040008573 A KR20040008573 A KR 20040008573A KR 100549363 B1 KR100549363 B1 KR 100549363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air
- links
- arm
- motor
- link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5/00—Convertible garments
- A41D15/002—Convertible garments in their length
-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00—Garments
- A41D1/06—Trousers
-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200/00—Components of garments
- A41D2200/10—Belts
-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400/00—Functions or special features of garments
- A41D2400/38—Shaping the contour of the body or adjusting the fig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Manipulator (AREA)
Abstract
컴팩트한 구조의 검안용 유니트 테이블의 자동 이송암은, 검안기가 결합되는 상부 베이스 어셈블리; 수평면 상에 놓여져 있는 하부 베이스 어셈블리; 일단이 상부 베이스 어셈블리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고, 타단이 하부 베이스 어셈블리에 회전가능하도록 연결되어 있으며, 서로 평행하게 배치된 한 쌍의 암링크; 평행하게 배치된 한 쌍의 암링크에 의해 한정된 내부 공간에 마련되고, 일단이 한 쌍의 암링크 중의 어느 하나의 암링크의 일측 단부에 연결되어 있고, 타단이 한 쌍의 암링크의 일측 양단부와 대각선 방향에 위치하는 한 쌍의 다른 암링크의 일측 단부에 힌지 결합되어 있으며, 모터 및 모터의 동작에 따라서, 상부베이스 어셈블리의 수평상태로 유지하면서 한 쌍의 암링크를 좌우 방향으로 이동시킴에 따라 길이가 가변되는 가변링크를 포함하는 모터 어셈블리; 평행하게 배치된 한 쌍의 암링크에 의해 한정된 내부 공간에 마련되어 있되, 한 쌍의 암링크의 동작과 연동하여, 모터 어셈블리에 의한 한쌍의 암링크의 이동 거리를 제어하는 이동거리제어부; 및 이동거리제어부의 출력에 대응하여 모터 어셈블리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보드를 포함한다. The automatic transfer arm of the optometry unit table having a compact structure includes an upper base assembly to which an optometry is coupled; A lower base assembly lying on a horizontal plane; A pair of arm links, one end of which is rotatably connected to the upper base assembly and the other end of which is rotatably connected to the lower base assembly; It is provided in an internal space defined by a pair of arm links arranged in parallel, one end of which is connected to one end of any one of the pair of arm links, and the other end of the pair of female links It is hinged to one end of a pair of other arm links positioned in a diagonal direction, and according to the motor and the motion of the motor, the pair of arm links are moved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while keeping the upper base assembly horizontal. A motor assembly including a variable link having a variable length; A movement distance control unit provided in an inner space defined by a pair of arm links arranged in parallel, and linked with an operation of the pair of arm links, for controlling a movement distance of the pair of arm links by the motor assembly; And a control board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motor assembly in response to the output of the movement distance control unit.
검안기, 자동 이송암, 모터, 링크 길이 가변Optometry, automatic transfer arm, motor, variable link length
Descrip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검안용 유니트 테이블에 장착되는 검안장치 자동 이송암의 사시도를 나타낸다. 1 is a perspective view of an optometry device automatic transfer arm mounted on an optometry unit tab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검안장치 자동 이송암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동작 블록도를 나타낸다. Figure 2 shows an operation block diagram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of the optometry automatic transfer arm in accordance with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도 1의 모터 어셈블리를 상세히 나타내는 도면이다. 3 is a view showing in detail the motor assembly of FIG.
도 4a 및 도 4b는 좌측 및 우측 스위치 감지 센서와 스위치 감지 센서플레이트가 설치된 부분을 상세히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4A and 4B are diagrams showing in detail a part in which left and right switch sensing sensors and switch sensing sensor plates are installed.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 이송암의 이동 원리를 보여주는 도면이다.5 is a view showing the principle of movement of the automatic transfer arm in accordance with the present invention.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 이송암의 좌측 및 우측 이동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들이다.6a and 6b are views showing the left and right moving state of the automatic transfer ar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검안용 유니트 테이블에 장착되는 이송암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검안기를 자동으로 이송시킬 수 있는 컴팩트한 구조의 자동 이송암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ransfer arm mounted on an optometry unit table, and more particularly, to an automatic transfer arm having a compact structure capable of automatically transferring an optometry.
피검자의 시력을 측정하고 측정된 시력에 맞는 안경렌즈를 제작하기 위해서 교정렌즈를 직접 환자에게 착용시켜 교정 렌즈의 사용이 적합한지를 확인하는 호롭터는 이송암을 통해 유니트 테이블에 장착되어 있다. In order to measure the visual acuity of the subject and to manufacture a spectacle lens suitable for the measured visual acuity, a horror is mounted on the unit table through a transfer arm to check whether the corrective lens is suitable for wearing the corrective lens directly on the patient.
종래 기술에 따른 유니트 테이블에는 이송암이 테이블 내부에 설치되어 있는 레일 등의 장치를 이용하여 상하 및 회전 운동을 하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환자가 이송암의 손잡이를 손으로 잡고 그의 상하 높이를 조정 하여 눈높이에 호롭터를 위치 시키고, 검안을 하지 않을 경우 최 상단부에서 회전을 시켜 한쪽 옆으로 호롭터를 위치 시키고 있다. 이러한 종래 기술에 따른 유니트 테이블의 이송암은, 사용자가 매번 일어서서 일일이 조정을 하는 불편함을 초래 하였다. In the unit table according to the prior art, the transfer arm moves up and down and rotates using a device such as a rail installed inside the table. Therefore, the patient grasps the handle of the transfer arm by hand and adjusts its upper and lower heights to position the hovel at eye level, and when the optometry is not done, rotates the top of the hovel to position one side of the hovel. The transfer arm of the unit table according to the prior art has caused the inconvenience of the user standing up and adjusting each time.
한편, 종래의 기술 중에는 전동 모터를 사용하여 호롭터를 자동으로 이송시키는 이송암도 있으나, 이런 자동 이송암을 동작시키기 위해 사용되는 모터 및 기어가 이송암의 하단부에 설치되므로 암의 자동 이송을 위한 장치가 많은 공간을 차지하게 되어 유니트 테이블의 부피가 커지는 단점이 있었다.On the other hand, in the prior art, there is also a transfer arm for automatically transferring the hovel by using an electric motor, but the motor and the gear used to operate the automatic transfer arm is installed on the lower end of the transfer arm device for automatic transfer of the arm Occupies a lot of space, which makes the unit table bulky.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검안용 유니트 테이블에 장착되는 검안기를 자동으로 이송시킬 수 있는 컴팩트한 구조의 자동 이송암을 제공하는 것이다.
Accordingly,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automatic transfer arm having a compact structure capable of automatically transferring an optometry mounted on an optometry unit table.
본 발명의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검안용 유니트 테이블의 자동 이송암은, 검안기가 결합되는 상부 베이스 어셈블리; 수평면 상에 놓여져 있는 하부 베이스 어셈블리; 일단이 상부 베이스 어셈블리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고, 타단이 하부 베이스 어셈블리에 회전가능하도록 연결되어 있으며, 서로 평행하게 배치된 한 쌍의 암링크; 평행하게 배치된 한 쌍의 암링크에 의해 한정된 내부 공간에 마련되고, 일단이 한 쌍의 암링크 중의 어느 하나의 암링크의 일측 단부에 연결되어 있고, 타단이 한 쌍의 암링크의 일측 양단부와 대각선 방향에 위치하는 한 쌍의 다른 암링크의 일측 단부에 힌지 결합되어 있으며, 모터 및 모터의 구동에 따라서 상부베이스 어셈블리의 수평상태로 유지하면서 한 쌍의 암링크를 좌우 방향으로 이동시킴에 따라 길이가 가변되는 가변링크를 포함하는 모터 어셈블리; 평행하게 배치된 한 쌍의 암링크에 의해 한정된 내부 공간에 마련되어 있되, 한 쌍의 암링크의 동작과 연동하여, 모터 어셈블리에 의한 한쌍의 암링크의 이동 거리를 제어하는 이동거리제어부; 및 이동거리제어부의 출력에 대응하여 모터 어셈블리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보드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부 베이스 어셈블리와 한 쌍의 암링크의 일단은 한 쌍의 링크 샤프트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체결되며, 하부 베이스 어셈블리와 한 쌍의 암링크의 타단은 한 쌍의 링크 샤프트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체결되어 있다. Automatic transfer arm of the optometry unit table for achieving the obj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upper base assembly to which the optometry is coupled; A lower base assembly lying on a horizontal plane; A pair of arm links, one end of which is rotatably connected to the upper base assembly and the other end of which is rotatably connected to the lower base assembly; It is provided in an internal space defined by a pair of arm links arranged in parallel, one end of which is connected to one end of any one of the pair of arm links, and the other end of the pair of female links It is hinged to one end of a pair of other arm links positioned in a diagonal direction, and the length is obtained by moving the pair of arm links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while keeping the upper base assembly horizontal according to the motor and the driving of the motor. A motor assembly including a variable link variable; A movement distance control unit provided in an inner space defined by a pair of arm links arranged in parallel, and linked with an operation of the pair of arm links, for controlling a movement distance of the pair of arm links by the motor assembly; And a control board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motor assembly in response to the output of the movement distance control unit. Here, one end of the upper base assembly and the pair of arm links is rotatably fastened by a pair of link shafts, and the other end of the lower base assembly and the pair of arm links is rotatably fastened by a pair of link shafts. have.
구체적으로, 모터 어셈블리의 모터는 한 쌍의 암링크의 어느 하나의 암링크의 타측 단부에 힌지 결합되어 있는 모터 힌지에 연결되어 있고, 모터 어셈블리는 모터에 의해 동작되는 기어헤드를 더 포함하고, 가변링크의 일단은 상부 베이스 어셈블리에 연결되어 있고 가변링크의 타단은 기어헤드에 연결되어 있다. Specifically, the motor of the motor assembly is connected to a motor hinge which is hinged to the other end of any one arm link of the pair of arm links, the motor assembly further comprises a gearhead operated by the motor, the variable One end of the link is connected to the upper base assembly and the other end of the variable link is connected to the gearhead.
그리고 가변링크는, 일단이 상부베이스와 연결되는 한쌍의 암링크의 어느 하나의 암링크의 일측 양단부에 연결되어 있되, 서로 평행하게 배치되어 있는 한 쌍의 스크류 너트 플레이트; 한 쌍의 스크류 너트 플레이트 사이에서 이들에 체결되어 있는 스크류 너트; 및 나사부와 나사머리로 구성되며, 나사부가 스크류 너트 내부를 관통할 수 있도록 되어 있고, 나사머리가 기어헤드에 연결되어 있는 스크류를 포함한다. The variable link includes: a pair of screw nut plates, one end of which is connected to both ends of any one arm link of the pair of female links connected to the upper base, and arranged in parallel with each other; Screw nuts fastened to them between the pair of screw nut plates; And a screw composed of a screw portion and a screw head, the screw portion being able to penetrate the inside of the screw nut, and the screw head being connected to the gear head.
이동거리제어부는, 제어보드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고, 한쌍의 암링크의 이동 시에도 그의 위치가 고정되도록 설치된 좌측 이동용 스위치 및 우측 이동용 스위치; 한 쌍의 암링크 중의 어느 하나의 암링크에 설치되어서, 한 쌍의 암링크가 좌측으로 소정거리 이동할 때 좌측 이동용 스위치와 접촉하도록 된 좌측 이동용 스위치 감지센서플레이트; 및 한 쌍의 암링크 중의 다른 하나의 암링크에 설치되어서, 한 쌍의 암링크가 우측으로 소정거리 이동할 때 우측 이동용 스위치와 접촉하도록 설치되어 있는 우측 이동용 스위치 감지센서플레이트를 포함한다.
The movement distance control unit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ontrol board, and the left movement switch and the right movement switch may be installed so that their positions are fixed even when the pair of arm links are moved; A left moving switch detecting sensor plate installed on any one of the pair of arm links, the left link switch contacting the left moving switch when the pair of female links move a predetermined distance to the left; And a right moving switch detecting sensor plate installed on the other arm link of the pair of arm links to be in contact with the right moving switch when the pair of arm links move a predetermined distance to the right.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검안용 유니트 테이블에 장착되는 검안장치 자동 이송암의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검안장치 자동 이송암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동작 블록도를 나타낸다. 그리고 도 3은 도 1의 모터 어셈블리를 상세히 나타내며, 도 4a 및 도 4b는 좌측 및 우측 스위치 감지 센서와 스위치 감지 용 플레이트가 설치된 부분을 상세히 보여준다. 1 is a perspective view of an optometry device automatic transfer arm mounted on an optometry unit tab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n operation of an optometry device automatic transfer ar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3 illustrates the motor assembly of FIG. 1 in detail, and FIGS. 4A and 4B show in detail a part in which left and right switch sensing sensors and plates for switch sensing are installed.
도 1 및 도 2를 참고로 살펴보면, 본 발명에 따른 자동 이송암(10)은, 상부 베이스 어셈블리(2, 15, 16, 17 및 39), 하부 베이스 어셈블리(1 및 41), 한 쌍의"ㄷ"형 암링크(3a, 3b), 모터 어셈블리(30), 이동제어부(40) 및 제어보드(도 2의 21)로 이루어져 있다. 상부 베이스 어셈블리(2, 15, 16, 17 및 39)에는 검안기가 결합된다. 하부 베이스 어셈블리(1 및 41)는 유니트 테이블(미도시)과 평행한 수평면 상에 놓여지게 된다. 한 쌍의 "ㄷ"형의 암링크(3a, 3b)의 일단은 상부 베이스 어셈블리(2, 15, 16, 17 및 39)의 상부링크(39)를 관통하는 상부링크샤프트(4a)에 회전가능 하도록 연결되고, 한 쌍의 "ㄷ"형의 암링크(3a, 3b)의 타단은 하부 베이스 어셈블리(1 및 41)의 하부링크(41)를 관통하는 하부링크샤프트(4b)에 회전가능 하도록 연결되어 있다. 한 쌍의 암링크(3a, 3b)는 서로 평행하게 배치된다. 여기서 상부링크샤프트(4a) 및 하부링크샤프트(4b) 각각은 쌍( 총 4개의 링크샤프트) 으로 이루어져 있다. 1 and 2, the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자동 이송암(10)의 모터 어셈블리(30)는 평행하게 배치된 한 쌍의 암링크(3a, 3b)에 의해 한정된 내부 공간에 마련된다. 모터 어셈블리(30)의 일단은 한 쌍의 상부링크샤프트(4a)의 어느 하나의 링크샤프트(4a)(우측의 링크샤프트)의 양단부를 통해 아암(3b)의 양단부와 체결되어 있고, 모터 어셈블리(30)의 타단은 하부링크샤프트(4b)가 관통하는 하부링크(41)를 관통하는 샤프트(12)에 힌지 결합되어있다. 또는 모터 어셈블리(30)의 타단은 하부링크(41) 에 연결되되 특히 하부링크(41)의 하부링크샤프트(4b) 중의 모터 어셈블리(30)의 일단이 체결된 우측의 링크샤프트(4a)의 대각선 방향에 위치하는 하부링크샤프트(4b)에 힌지결합되어 있을 수 도 있다. 따라서, 모터 어셈블리(30)에 의해 상부 베이스 어셈블리(2, 15, 16, 17 및 39)의 수평상태를 유지하면서 한 쌍의 암링크(3a, 3b)가 좌우 방향으로 이동된다. 이동거리제어부(40)는 한 쌍의 암링크(3a, 3b)의 동작과 연동하여 모터 어셈블리(30)에 의한 한쌍의 암링크(3a, 3b)의 이동 거리를 제어한다. 제어보드(도 2의 21)는 이동거리제어부(40)의 출력에 대응하여 모터 어셈블리(30)의 동작을 제어한다. 제어보드(21)는 후술하는 이동거리제어부(40)의 스위치 감지용 센서 플레이트(43, 46)으로부터 암링크(3a, 3b)의 이동거리가 제한 거리에 도달했음을 알리는 신호를 받아서, 모터 어셈블리(30)의 모터(36)의 동작을 개시하거나 또는 중지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제어기술분야의 공지의 기술을 이용하여 구현할 수 있으므로, 이의 구체적인 구성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In addition, the
여기서 상부 베이스 어셈블리(2, 15, 16, 17 및 39)는 상부링크샤프트(4a)가 관통하여 암링크(3a, 3b)의 일단과 결합되는 상부링크(39), 상부링크(39)에 부착되어 있는 헤드베이스(2), 헤드베이스(2)에 연결된 시력 검사용 램프(미도시)가 장착될 수 있도록 하는 램프 장착용 플레이트(17), 램프 장착용 플레이트(17)에 연결된 호롭터를 장착할 수 있도록 하는 호롭터 샤프트(16)가 체결되는 샤프트 베이스(15)를 포함한다. 하부 베이스 어셈블리(1, 41)는 하부링크샤프트(4b)가 관통하여 암링크(3a, 3b)의 타단과 결합되는 하부링크(41) 및 하부링크(41)를 지지하는 암베이스(1)를 포함한다. The
도 3을 참고로, 모터 어셈블리(30)의 구성 및 동작을 살펴본다. Referring to Figure 3, looks at th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of the
모터 어셈블리(30)는 상기 한 쌍의 암링크(3a, 3b)에 의해 한정된 내부 공간에 설치된 모터(36), 상기 모터(36)에 의해 동작되는 기어헤드(35) 및 일단이 상기 기어헤드(35)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상부 베이스어셈블리의 상부링크(40)의 상부링크샤프트(4a)를 통해 한 쌍의 암링크(3a, 3b)의 어느 하나의 암링크(3b)의 단부에 연결되어서, 상기 모터(36)의 구동에 의해 그의 길이가 가변되도록 된 가변링크(32, 33, 34)를 포함한다. 가변링크(32, 33, 34)의 일 예로서 본 실시예에서는 서로 평행하게 배치되어 있는 한 쌍의 스크류 너트 플레이트(31a, 31b), 한 쌍의 스크류 너트 플레이트(31a, 31b) 사이에 너트 등에 의해 체결되어 있는 스크류 너트(33) 및 나사부(32)와 나사머리(34)로 구성되며 나사부(32)가 스크류 너트(33) 내부를 관통할 수 있도록 되어 있는 스크류를 포함한다. 여기서 스크류 너트 플레이트(31a, 31b)의 일단은 상부링크(39)의 한 쌍의 상부링크샤프트(4a)의 어느 하나에 체결되어 있고 나사머리(34)의 일단은 기어헤드(35)에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전술한 구성을 가지는 모터 어셈블리(30)는 모터(36)에 연결되어 있는 모터 힌지(37)를 통해 하부링크(41)를 관통하는 샤프트(12)에 좌우 방향으로 이동가능 하도록 힌지 결합되어 있다. The
모터(36)에 의해 기어헤드(35)가 스크류의 나사머리(34)를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면 나사부(32)는 모터(36)쪽으로 진행하여 스크류 너트(33)를 빠져나오게 되고, 이에 따라 모터 어셈블리(30)의 가변링크(32, 33, 34)의 길이가 증가하게 된다(도 6b 참조). 반대로 모터(36)에 의해 기어헤드(35)가 스크류의 나사머리(34)를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면 나사부(32)는 헤드베이스(2)쪽으로 진행하여 나사부(32)가 스크류너트(33)에 삽입된 상태가 되며(도 6a 참조), 이때 모터 어셈블리(30)의 가변링크(32, 33, 34)의 길이는 감소하게 된다. 한편 상부링크(39) 및 하부링크(41)는 평행을 유지하고 있으므로, 호롭터 샤프트(16)에 연결된 호롭터(미도시)는 흔들림 및 모터의 회전의 영향을 받지 않고 수평방향으로 이동되게 된다. When the
한편, 모터 어셈블리(30)의 가변링크(32, 33, 34)길이 증가 또는 감소에 따른 모터 어셈블리(30)가 장착된 암링크(3a, 3b)의 좌우 이동의 원리는 도 5에 나타나 있다. 도 5에서, 참조번호 '18a'는 모터(36)의 구동이 없는 초기 상태의 모터 어셈블리(30)의 가변링크(32, 33, 34)의 길이를 나타내며, 참조번호 '18b'는 모터(36)의 구동에 의해 모터 어셈블리(30)의 가변링크(32, 33, 34)의 길이가 증가된 것을 나타내며 참조번호 '18c'는 모터(36)의 구동에 의해 모터 어셈블리(30)의 가변링크32, 33, 34)의 길이가 감소된 것을 나타낸다. 그리고 참조번호 '19a', '19b' 및 '19c'는 도 1의 상부링크(39)의 단면을 나타내며, 참조번호 '3aa' 및 '3bb'는 도 1의 암링크(3a, 3b)의 길이를 나타낸다. 암링크의 길이(3aa, 3bb)는 초기상태나 암링크(3a, 3b)의 좌우 이동이 있는 경우나 동일하므로, 모터 어셈블리(30)의 가변링크(32, 33, 34)의 길이가 증가하는 경우에는 암링크(3a, 3b)는 우측으로 이동함을 알 수 있으며, 모터 어셈블리(30)의 가변링크(32, 33, 34)의 길이가 감소하는 경우에는 암링크(3a, 3b)는 좌측으로 이동함을 알 수 있다. 정리하면, 모터(36)의 구동에 의해 모터 어셈블리(30)의 가변링크(32, 33, 34)의 길이가 증가하게 되면 암링크(3a, 3b)는 우측으로 이동하여 호롭터(미도시)를 우측으로 이동시키게 되며, 반면 모터(36)의 구동에 의해 모터 어셈블리(30)의 가변링크(32, 33, 34)의 길이가 감소하게 되면 암링크(3a, 3b)는 좌측으로 이동하여 호롭터(미도시)를 좌측으로 이동시키게 된다. 다른 예로서 모터의 가변링크(18a, 18b, 18c)의 일단이 길이(3aa)를 가지는 암링크의 상단에 체결되고 모터의 가변링크(18a, 18b, 18c)의 타단이 길이(3bb)를 가지는 암링크의 하단에 체결된 경우에는, 암링크(3a, 3b)를 우측으로 이동시키면 가변링크(18a, 18b, 18c)의 길이가 감소하게 되고, 좌측으로 이동시키면 가변링크(18a, 18b, 18c)의 길이가 증가하게 된다. On the other hand, the principle of the left and right movement of the arm link (3a, 3b) in which the
한편, 암링크(3a, 3b)는 일정한 위치까지 이동한 후 정지하도록 제어되는데 이는 전술한 이동거리제어부(40)에 실현된다. 이동거리제어부(40)에 대해서는 도 4a 및 도 4b를 참고로 상세히 설명한다. Meanwhile, the
이동거리제어부(40)는 좌측방향의 이동을 제어하는 스위치(42)와 스위치 감지용 센서플레이트(43) 및 우측방향의 이동을 제어하는 스위치(45)와 스위치 감지용 센서플레이트(46)를 포함한다. 이들 스위치(42, 45)는 동일한 것을 사용하며 하부링크(41)의 표면에 설치되어 있어서 암링크(3a, 3b)의 이동 시에도 그 위치가 일정하게 된다. 반면, 스위치 감지용 센서플레이트(43, 46)는 암링크(3a, 3b)에 부착되어서 암링크(3a, 3b)가 이동하면서 그의 위치가 변하게 되어 있다. 따라서 암 링크(3a, 3b)가 소정 거리를 이동 한 후에는 스위치 감지용 센서플레이트(43, 46)는 스위치(42, 45)에 접촉되도록 되어 있다. 즉, 각 방향의 이동거리는 스위치 감지용 센서플레이트(43, 46)의 일측 길이 및 스위치(43, 45)와 스위치 감지용 센서플레이트(43, 46)간의 간격을 조절하여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좌측 이동 거리와 우측 이동 거리를 각각 다르게 하기 위하여 좌측 스위치 감지용 센서플레이트(45) 와 우측 스위치 감지용 센서플레이트(46)의 치수를 달리할 수 있거나 같게 할 수 있다. The
한편 도 4a 및 도 4b에서는, 좌측 이동용 스위치(42)는 하부링크(41)의 앞면에 부착되어 있으며 좌측 이동용 스위치 감지용 센서플레이트(45)는 암(3b)에 부착되어 있고, 우측 이동용 스위치(43)는 하부링크(41)의 뒷면에 부착되어 있으며 우측 이동용 스위치 감지용 센서플레이트(46)는 암(3a)에 부착되어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좌측 이동용 스위치(42) 및 우측 이동용 스위치(43)는 암링크(3a, 3b)에 부착되고 상기 제어보드(도 2의 21)에 연결되어 있으면 되고, 좌측 이동용 스위치 감지용 센서플레이트(45)는 암링크(3a, 3b)가 좌측으로 소정거리 이동할 때 좌측 이동용 스위치(41)와 접촉하도록 하는 위치에 설치되어 있으면 족하고, 마찬가지로, 우측 이동용 스위치 감지센서플레이트(46)도 암링크(3a, 3b)가 우측으로 소정거리 이동할 때 우측 이동용 스위치(43)와 접촉하도록 하는 위치에 설치되어 있으면 족하다. 나아가 스위치(42, 45)가 한 쌍의 암링크(3a, 3b)의 이동시에도 고정되는 위치에 설치되고, 스위치 감지용 센서플레이트(43, 46)는 스 위치(42, 45)의 설치위치를 고려하되 한 쌍의 암링크(3a, 3b)의 이동과 함께 위치가 가변되도록 이송 암의 다른 부분에 설치할 수도 있다. 4A and 4B, the
한편, 사용자가 암(10)을 좌측으로 이동시키고자 할 때 좌측 이동용 스위치(42)를 누른다. 이 입력은 암링크(3a, 3b) 내부에 마련된 제어보드(21)에 제공되고 제어보드(21)는 모터(36)를 동작시킨다. 이에 따라 기어헤드(35) 및 스크류(32+34)/스크류너트(33)가 동작한다. 그리고 스크류 나사부(32)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하여, 모터 어셈블리(30)의 가변링크의 길이가 감소하게 된다. 따라서 암(10)은 좌측으로 이동한다. 그리고 이동 거리가 미리 조정한 거리가 되었을 때 좌측용 스위치(42)가 스위치 감지 센서플레이트(45)에 접촉하여 스위치 감지 센서플레이트(45)를 누르게 된다. 그러면, 스위치 감지 센서플레이트(45)는 이동거리가 제한거리에 도달했음을 알리는 신호를 제어 보드(도 2의 21)로 전달하게 된다. 그리고 제어보드(21)는 상기 입력신호에 대응하여 모터(36)를 제어하여 모터(36)의 동작을 정지시키고, 따라서 모터(36)에 의해 구동되는 기어헤드(35), 스크류(32+34)/스크류너트(33)의 동작이 정지되어, 암이 정해진 위치에서 정지하게 된다. 마찬가지로 암을 우측으로 이동시키고자 할 경우에는, 사용자는 우측 용 스위치(43)를 누르고 이에 따라 제어보드(21)는 모터(36)의 구동 방향을 반대로 하여서, 암을 우측으로 이동시킨다. 그리고 우측용 스위치(43)가 스위치 감지 센서플레이트(46)를 눌러, 이동거리가 제한거리에 도달했음을 알리는 신호가 제어 보드(도 2의 21)에 전달되면, 제어보드(21)는 상기 입력신호에 대응하여 모터(36) 의 동작을 정지시킴으로써, 암을 정해진 위치에서 정지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6a에 나타난 것과 같이 환자(11)가 호롭터(미도시)의 좌측에 있을 경우에는 호롭터(미도시)를 이송하는 암(10)을 좌측으로 이동시켜서 검안을 하며, 검안 후에는 도 6b에 나타난 바와 같이 암(10)을 우측으로 이동시켜 호롭터를 환자로부터 멀리 치우도록 한다. On the other hand, when the user wants to move the
본 발명에 따른 자동 이송암을 사용하게 되면, 사용자가 직접 손으로 호롭터의 위치를 조정해야 하는 불편함을 해소할 수 있고, 항상 동일한 위치로 호롭터를 이송시키므로 사용자가 최소한의 움직임을 가지고 검안을 행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수동 방식의 이송암을 사용할 수 없는 다리가 불편한 장애자 또는 힘이 약한 검안자들도 힘들임이 없이 간편하게 버튼하나만 누름으로써 호롭터를 환자의 눈높이에 위치시킬 수 있게 되었다. 또한 암 이동을 위한 전동 모터가 암의 외부에 장착되지 않고 그 내부에 장착되므로 이송암의 부피를 최소화 하였다.
When using the automatic transfer ar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user can eliminate the inconvenience of having to adjust the position of the hovel directly by hand, the user always transfers the hovel to the same position, so the user has the minimum amount of optometry Can be done. In addition, the handicapped handicapped or weak power optometrists who cannot use the manual transfer arm can easily place the hovel at the patient's eye level by simply pressing a button. In addition, since the electric motor for arm movement is mounted inside the arm instead of the outside, the volume of the transfer arm is minimized.
Claims (5)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40008573A KR100549363B1 (en) | 2004-02-10 | 2004-02-10 | Automatic transfer arm structure attached to unit table in which eye examination apparatus is combined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40008573A KR100549363B1 (en) | 2004-02-10 | 2004-02-10 | Automatic transfer arm structure attached to unit table in which eye examination apparatus is combined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50080530A KR20050080530A (en) | 2005-08-17 |
KR100549363B1 true KR100549363B1 (en) | 2006-02-03 |
Family
ID=372673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40008573A KR100549363B1 (en) | 2004-02-10 | 2004-02-10 | Automatic transfer arm structure attached to unit table in which eye examination apparatus is combined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549363B1 (en) |
-
2004
- 2004-02-10 KR KR1020040008573A patent/KR100549363B1/en active IP Right Gran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50080530A (en) | 2005-08-17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7159984B2 (en) | Subjective optometric apparatus | |
JP5690725B2 (en) | Neuropathy diagnostic device | |
US9662007B2 (en) | Ophthalmologic apparatus | |
KR100549363B1 (en) | Automatic transfer arm structure attached to unit table in which eye examination apparatus is combined | |
JP3150179B2 (en) | Ophthalmic device tilting device and tilting method | |
KR101386610B1 (en) | remote portable robot system for monitoring and lighting, and control method thereof | |
JP2007526813A (en) | Shiatsu therapy device | |
JP2012045236A (en) | Ophthalmologic device | |
CN115068098A (en) | Wide orthopedics of application scope is got and is followed closely equipment | |
JP5106593B2 (en) | Ophthalmic equipment | |
JP3108491B2 (en) | Vertical adjustment device for measuring head of optometry device | |
CN215502937U (en) | Rotatable auxiliary bracket and ophthalmologic examination apparatus | |
JP2002360517A (en) | Ophthalmological device | |
JP7401909B2 (en) | Skin sensation threshold measuring device | |
JP3445639B2 (en) | Subjective optometry device | |
JP4023094B2 (en) | Massage machine | |
CN215937324U (en) | Video eye movement detection equipment with adjustable interpupillary distance | |
JPH0418568Y2 (en) | ||
KR100337607B1 (en) | Bed for patients with a controlling apparatus for the declined angle of bed plate | |
CN221616964U (en) | Self-moving image acquisition device | |
JP3012304B2 (en) | Ophthalmic equipment | |
JP3177263B2 (en) | Chair type massage machine | |
KR950002828Y1 (en) | Angular adjustable device of bed | |
CN115590730A (en) | Device for flexing interphalangeal joints | |
JPH0811075Y2 (en) | Subjective optometry devic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30102 Year of fee payment: 8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0102 Year of fee payment: 9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0121 Year of fee payment: 10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120 Year of fee payment: 11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1228 Year of fee payment: 12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121 Year of fee payment: 1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200121 Year of fee payment: 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