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48811B1 - 흡연보조구 - Google Patents

흡연보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48811B1
KR100548811B1 KR1020040055995A KR20040055995A KR100548811B1 KR 100548811 B1 KR100548811 B1 KR 100548811B1 KR 1020040055995 A KR1020040055995 A KR 1020040055995A KR 20040055995 A KR20040055995 A KR 20040055995A KR 100548811 B1 KR100548811 B1 KR 10054881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igarette
smoking
oxygen
hole
outer diame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559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07219A (ko
Inventor
한효재
Original Assignee
한효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효재 filed Critical 한효재
Priority to KR10200400559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48811B1/ko
Publication of KR200600072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0721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488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4881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13/00Appliances for smoking cigars or cigarettes
    • A24F13/02Cigar or cigarette holders
    • A24F13/08Cigar or cigarette holders with special devices, e.g. spikes or grippers, for holding the cigars or cigarette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CMACHINES FOR MAKING CIGARS OR CIGARETTES
    • A24C5/00Making cigarettes; Making tipping materials for, or attaching filters or mouthpieces to, cigars or cigarettes
    • A24C5/60Final treatment of cigarettes, e.g. marking, printing, branding, decorating
    • A24C5/605Pressing of cigarettes, e.g. for obtaining an oval form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7/00Smokers' requisit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Landscapes

  • Cigarettes, Filters, And Manufacturing Of Fil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흡연보조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소정크기의 판재에 담배의 외경에 대응되도록 통공을 형성하고, 이 통공의 내경면에 다수개의 돌기와 요홈을 원주방향을 따라 반복형성하여 통공으로 삽입되는 담배의 외경에 산소유입로가 형성되도록 한다.
따라서, 담배가 연소될 때 산소유입로를 통하여 다량의 산소가 공급되도록 함으로써 흡연시 담배의 불완전 연소를 거의 해소하도록 하고, 이에 따라, 일산화탄소의 양의 발생량을 저감시키도록 하는 흡연보조구를 제공한다.

Description

흡연보조구{Assistance implement for smoking}
도 1은 본 발명 흡연보조구를 도시한 사시도.
도 2a는 본 발명 흡연보조구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2b는 본 발명 흡연보조구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 흡연보조구를 관통한 담배의 단면을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흡연보조구가 열쇠고리에 사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흡연보조구가 라이터에 사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1 : 담배 102 : 통공
103 : 돌기 104 : 요홈
105 : 산소유입로 106 : 열쇠고리
107 : 라이터 110 : 흡연보조구
본 발명은 흡연보조구에 관한 것으로, 특히, 소정크기의 판재에 담배의 외경 에 대응되도록 통공을 형성하고, 이 통공의 내경면에 다수개의 돌기와 요홈을 원주방향을 따라 반복형성하여 통공으로 관통되는 담배의 외경에 산소유입로가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담배가 연소될 때 이 산소유입로를 통하여 다량의 산소가 공급되도록 하여 흡연시 담배의 불완전 연소가 거의 해소되도록 하고, 이에 따라, 일산화탄소의 양의 발생량을 저감시키도록 하는 흡연보조구에 관한 것이다.
2004년 현재 흡연인구가 세계적으로 10억 이상이며, 담배로 인한 사망자가 연간 4백만명에 달하는 것으로 추산된다. 이 수치는 현재 성인 10명당 1명이 흡연으로 사망하는 것이며, 2030년경에는 6명당 1명이 되는 것이다.
담배는 다른 기호품과는 달리 불에 탈 때 발생하는 연기를 사람이 흡입하여 즐기는 기호품이다. 이 담배연기는 에어로졸(Aerosol)의 일종이며 에어로졸이란 연기, 먼지, 아지랑이, 안개, 구름 등 입자의 크기가 0.001~100㎛정도의 고체나 액체의 입자가 기체 중에 분산되어 있는 것을 말한다.
담배연기는 주류연과 부류연으로 구분되는데, 궐련이 연소되거나 열분해 되어 발생한 연기가 흡연에 의해 입안으로 들어오는 부분을 주류연이라 하며 흡연이 끝나고 다음번의 흡연이 시작될 때까지 불이 붙어있는 연소대에서 궐련 외부로 피어오르는 연기를 부류연이라 한다.
담배연기의 성분은 가스성분이 90%, 아세통과 알데히드 등 증기성분이 2%, 니코틴 0.5%, 타르 6.7%, 수분이 0.8% 등으로 구성된다. 이들 성분 중에서 인체에 해로운 성분은 아세톤과 알데히드, 니코틴, 타르 및 일산화탄소(CO) 등이다.
이러한, 담배연기를 흡연시 한번 들이마실 때에는 약 50cc의 연기가 폐속으 로 들어가게 되는데 그 중 일산화탄소는 100%, 니코틴은 약 90%, 타르는 약 70%가 몸속으로 흡수된다.
일산화탄소는 그 자체에 독성이 있는 것이 아니라 폐에서 적혈구 내의 헤모글로빈과 결합하여 체내의 산소공급능력을 방해하고 체내 조직세포의 산소결핍을 초래하여 중독증상을 나타낸다.
일산화탄소의 헤모글로빈과의 결합력은 산소보다 약 300배나 강하기 때문에 일산화탄소는 혈액의 산소운반능력을 감퇴시켜 만성저산소증 현상을 일으키게 하여 신진대사에 장애를 주고 뇌세포를 죽이므로 조기노화현상을 유발하는 물질이다.
한편, 물질이 연소되기 위해서는 충분한 양의 산소와 연소가 시작될 수 있는 최저온도(발화점) 이상의 조건이 필요하며, 이 경우 물질 속의 탄소는 완전연소되어 물과 이산화탄소가 발생한다.
그러나 온도가 낮거나 산소가 부족하면 일산화탄소가 발생하는데 이런 경우를 불완전연소라 하며, 이때 생성되는 일산화탄소는 독성이 매우 강하다.
이러한 이유로 담배는 피우는 사람은 물론 옆에 있는 사람에게도 간접흡연으로 해를 주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담배를 피우지 않는 것이 가장 최선책이 되겠지만 만약 피우게 되더라도 일산화탄소의 양을 최소화할 필요성을 갖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담배의 불완전연소에 의해 발생하는 일산화탄소의 양을 저감시키기 위해 담배의 연소지점으로 원활하게 산소가 공급될 수 있도록 산소유통로 를 형성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은, 소정크기의 판재(110a)에 담배(101)의 외경에 대응되도록 통공(102)을 형성하고, 이 통공(102)의 내경면에 다수개의 돌기(103)와 요홈(104)을 원주방향을 따라 반복형성하여 통공(102)으로 관통되는 담배(101)의 외경에 산소유입로(105)가 형성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연보조구(110)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돌기(103)는 부채꼴 모양으로 성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설명을 첨부된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흡연보조구(110)는 소정 면적과 두께와 너비의 판재(110a)에 담배(101)의 외경과 대응되는 크기의 지름을 갖도록 통공(102)을 형성하되, 이 통공(102)의 내경면에는 중심을 향하여 다수개의 돌기(103)가 돌설되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돌기(103)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채꼴 모양으로 성형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돌기(103)의 내측 끝단은 라운딩되어 통공(102)에 삽입되는 담배(101)의 종이 표피가 손상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통공(102)의 내측으로 돌설되는 돌기(103)와 돌기(103)사이에는 양측 돌기(103)에 의해 요홈(104)이 형성되도록 하고, 통공(102)으로 삽입되는 담배(101)의 외경면을 다수개의 돌기(103)가 부분적으로 압지할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도 2a,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흡연보조구(110)에 형성된 통공(102)으로 담배(101)를 삽입시키면, 돌기(103)는 담배(101)의 외경과 대응되는 통공(102)의 내경면으로부터 돌설되어 있기 때문에 다수개의 돌기(103)가 이루는 내경의 크기는 담배(101)의 외경보다 작은 상태가 된다.
따라서, 담배(101)를 통공(102)에 삽입한 후, 담배(101)를 통공(102)측으로 강제로 압입하거나, 통공(102)의 일단으로 관통되는 담배(101)를 파지하여 강제로 잡아당기면 담배(101)의 표피 내부에 충진된 담배가루(101a)가 돌기(103)에 의해서 압입된다.
여기서, 상기 돌기(103)는 담배(101)를 압입하는 반면, 어느 하나의 돌기(103)와 인접한 돌기(103) 사이에 형성되는 요홈(104)은 담배(101)의 외경면(표피)와 간섭되지 않으므로 담배(101)를 압지하지는 않으며, 이때, 다수개의 돌기(103)에 의해 압지되는 담배(101)의 외경면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움푹 들어간 단면형상을 갖게 되는 반면에 요홈(104)과 맞대어지는 담배(101)의 표피는 도 3과 같이 돌출된 단면형상을 갖게 된다.
따라서, 돌기(103)에 의해 압지된 담배(101)가루는 담배(101)의 중심쪽으로 압지되면서 서로 뭉쳐지게 되고, 담배(101)의 돌출된 부분은 중공상태를 갖게 되는 것이다.
즉, 담배가루(101a)가 충진된 담배(101)의 끝단으로부터 필터의 전단까지는 산소유입로(105)가 도 2b와 같이 형성되는 것이다.
따라서, 흡연시 담배(101)가 연소될 때에는 상기한 산소유입로(105)를 통하 여 다량의 산소가 담배(101)에 공급되므로써 산소의 부족으로 발생하던 담배(101)의 불완전연소는 산소유입로(105)를 통하여 다량의 산소가 원활하게 공급되어짐으로써 완전연소에 근접하게 되며, 불완전연소의 발생이 저감됨에 따라 일산화탄소의 발생량이 최대한 억제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흡연보조구(110)는 도 4,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열쇠고리(106)에 부속될 수 있게 성형제작하거나 라이터(107) 및 구두주걱 등에 일체로 성형될 수 있도록 하여 다양한 형태로의 변형사용이 가능하도록 하고, 담배(101)의 외경은 제조사 및 제품에 따라 서로 다를 수 있으므로 다양한 크기로 제작하여 휴대와 사용이 용이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담배가 연소될 때 다량의 산소가 원활하게 공급될 수 있도록 담배의 외경면에 물리적인 변형을 가하여 산소유입로가 형성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산소의 부족으로 발생하는 불완전연소와 이러한 불완전연소로 발생하는 일산화탄소의 발생을 억제하여 흡연자의 건강은 물론 인접한 간접흡연자의 건강이 간접흡연에 의해 손상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가진다.

Claims (2)

  1. 소정크기의 판재에 담배의 외경에 대응되도록 통공을 형성하고, 이 통공의 내경면에 다수개의 돌기와 요홈을 원주방향을 따라 반복형성하여 통공으로 관통되는 담배의 외경에 산소유입로가 형성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연보조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는 부채꼴 모양으로 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흡연보조구.
KR1020040055995A 2004-07-19 2004-07-19 흡연보조구 KR1005488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55995A KR100548811B1 (ko) 2004-07-19 2004-07-19 흡연보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55995A KR100548811B1 (ko) 2004-07-19 2004-07-19 흡연보조구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20499U Division KR200364473Y1 (ko) 2004-07-19 2004-07-19 흡연보조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07219A KR20060007219A (ko) 2006-01-24
KR100548811B1 true KR100548811B1 (ko) 2006-02-10

Family

ID=371185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55995A KR100548811B1 (ko) 2004-07-19 2004-07-19 흡연보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48811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07219A (ko) 2006-01-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293883A (en) Non-combustible anti-smoking device with nicotine impregnated mouthpiece
KR100598131B1 (ko) 밀폐형 흡연장치
US8127772B2 (en) Nebulizer method
JPS62278975A (ja) 嗜好品を加熱気化させて吸喫する方法とその吸喫器具
KR20180093030A (ko) 흡연 물품
KR20210028663A (ko) 탈착 가능한 카트리지를 갖는 흡연 물품
EP3613303A1 (en) Conventional cigarette and electronic cigarette mixed smoking set
KR20110009056U (ko) 금연보조제
JP2011528900A (ja) 喫煙品用フィルター
WO2014155378A1 (en) Modified risk tobacco product
KR100860566B1 (ko) 전자 금연 담배
US7946293B2 (en) Cigarette lighter and method
KR100548811B1 (ko) 흡연보조구
JPH0198470A (ja) たばこ煙香料吸入用パイプ型フィルター
KR200364473Y1 (ko) 흡연보조구
JP3160809U (ja) 喫煙パイプ
US3043314A (en) Smoking articles
JP2022542027A (ja) カートリッジ用の回転可能なエンクロージャを有するエアロゾル送達装置
KR20210068584A (ko) 흡연 치구
JP2021525055A (ja) 使い捨てのデュアルチャネルタバコスティックとその作製方法
JP2024518050A (ja) 開放端と封止端とを画定するカップ状の加熱チャンバを含むエアロゾル発生装置
CN212260455U (zh) 生物基质制备的新型加热不燃烧抽吸品
US11246338B2 (en) Device for smoking tobacco and other inhalation materials
KR200497167Y1 (ko) 전자담배
US11647796B2 (en) Device for smoking tobacco and other inhalation material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129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