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48610B1 - Mobile terminal with stylus pen antenna - Google Patents

Mobile terminal with stylus pen antenna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48610B1
KR100548610B1 KR1020030009286A KR20030009286A KR100548610B1 KR 100548610 B1 KR100548610 B1 KR 100548610B1 KR 1020030009286 A KR1020030009286 A KR 1020030009286A KR 20030009286 A KR20030009286 A KR 20030009286A KR 100548610 B1 KR100548610 B1 KR 1005486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ntenna
monopole
helical antenna
helical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09286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40073634A (en
Inventor
김병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팬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팬택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팬택
Priority to KR10200300092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48610B1/en
Publication of KR200400736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73634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486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48610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upport Of Aerials (AREA)
  • Details Of A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본체에 결합되는 헬리컬 안테나에 모노폴 안테나가 삽입 및 인출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안테나 장치를 구비하는 터치스크린 방식의 이동통신단말기에 있어서, 모노폴 안테나는 터치스크린을 눌러 신호를 입력할 수 있도록 하단부가 첨예하게 형성되고 헬리컬 안테나로부터 인출되어 독립적으로 분리 가능한 구조로 구성되어, 모노폴 안테나를 스타일러스 펜으로 사용하기 위하여 본체 외부로 인출시키더라도 헬리컬 안테나는 본체에 고정되어있는 상태가 유지되므로 일정 수준의 전파 수신율을 유지할 수 있는 스타일러스 펜 겸용 안테나가 장착된 이동통신단말기를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touch screen typ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n antenna device configured to insert and withdraw a monopole antenna into a helical antenna coupled to a main body, wherein the monopole antenna has a lower portion to input a signal by pressing a touch screen. Is formed sharply and is drawn out from the helical antenna and can be separated independently. Even though the monopole antenna is pulled out of the main body for use as a stylus pen, the helical antenna is fixed to the main body to maintain a certain level of propagation. Provided is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equipped with a stylus pen antenna for maintaining a reception rate.

이동통신단말기, 터치스크린, 모노폴 안테나, 헬리컬 안테나, 인출Mobile terminal, touch screen, monopole antenna, helical antenna, drawout

Description

스타일러스 펜 겸용 안테나가 장착된 이동통신단말기 {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combination stylus pen and antenn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stylus pen antenn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combination stylus pen and antenna}

도 1a는 종래의 스타일러스 펜 겸용 안테나 장치가 장착된 이동통신단말기의 부분단면도이다.Figure 1a is a partial cross-sectional view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equipped with a conventional stylus pen antenna device.

도 1b는 종래의 스타일러스 펜 겸용 안테나 장치가 장착된 이동통신단말기의 또 다른 실시예이다.Figure 1b is another embodiment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equipped with a conventional stylus pen antenna device.

도 2는 모노폴 안테나를 분리시킨 본 발명에 의한 스타일러스 펜 겸용 안테나가 장착된 이동통신단말기의 사시도이다.2 is a perspective view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equipped with a stylus pen antenna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which a monopole antenna is separated.

도 3a는 고정핀을 이용한 모노폴 안테나의 결합구조를 도시한다.3A illustrates a coupling structure of a monopole antenna using a fixing pin.

도 3b는 도 3a의 상태에서 모노폴 안테나를 인출시킨 형상을 도시한다.FIG. 3B illustrates a shape in which the monopole antenna is drawn out in the state of FIG. 3A.

도 4a는 나사결합을 이용한 모노폴 안테나의 결합구조를 도시한다.4A illustrates a coupling structure of a monopole antenna using screw coupling.

도 4b는 도 4a의 상태에서 모노폴 안테나를 인출시킨 형상을 도시한다.FIG. 4B illustrates a shape in which the monopole antenna is drawn out in the state of FIG. 4A.

도 5a는 판스프링을 이용한 모노폴 안테나의 결합구조를 도시한다.5A illustrates a coupling structure of a monopole antenna using a leaf spring.

도 5b는 도 5a의 상태에서 모노폴 안테나를 인출시킨 형상을 도시한다.FIG. 5B illustrates a shape in which the monopole antenna is drawn out in the state of FIG. 5A.

도 6a는 나사결합 구조를 이용한 모노폴 안테나의 결합구조를 도시한다.6A illustrates a coupling structure of a monopole antenna using a screw coupling structure.

도 6b는 도 6a의 상태에서 모노폴 안테나를 인출시킨 형상을 도시한다.FIG. 6B illustrates a shape in which the monopole antenna is drawn out in the state of FIG. 6A.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on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0 : 상폴더 110 : 이어피스100: upper folder 110: earpiece

120 : 터치스크린 200 : 하폴더120: touch screen 200: lower folder

210 : 키패드 220 : 송신부210: keypad 220: transmitter

300 : 안테나 장치 310 : 헬리컬 안테나300: antenna device 310: helical antenna

312 : 인출구 314 : 고정핀홀312: outlet 314: fixing pin hole

316 : 판스프링 안착홈 320 : 고정핀316: seat spring seating groove 320: fixing pin

330 : 스토퍼 332 : 암나사 330: stopper 332: female thread

340 : 스토퍼 고정홀 350 : 모노폴 안테나340: stopper fixing hole 350: monopole antenna

360 : 고정홈 370 : 수나사360: fixing groove 370: male thread

380 : 판스프링380: leaf spring

본 발명은 터치스크린(touch screen) 방식의 엘씨디 모듈(LCD Module)을 사용하는 이동통신단말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터치스크린의 조작을 용이하기 하기 위하여 안테나 장치와 겸용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이동통신단말기의 스타일러스 펜 겸용 안테나 장치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using a touch screen LCD module, and in particular, a mobile communication configured to be used in combination with an antenna device in order to facilitate manipulation of a touch screen. It relates to a stylus pen combined antenna device of the terminal.

최근 들어, 이동통신단말기가 점차 보급되어감에 따라 다양한 기능과 디자인 의 단말기가 등장하고 있다. 또한, 단말기가 점차 소형화, 경박 단소화 되어감과 동시에 그 기능의 다양성이 더욱 부각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이동통신단말기는 상대방과 음성을 송수신하기 위한 기본적인 기능이외에도 인터넷기능이나, 문자정보, 그래픽등의 처리가 요구되고 있다. 이에 따라, 엘씨디 모듈인 디스플레이부(Display Unit)는 점차 넓어지게 되고, 반면에 단말기의 부피는 점차 소형화되어가야만 소비자의 욕구에 부응할 수 있기 때문에 별도의 키패드가 없는 터치스크린 방식을 사용하게 된다. 또한, 제품의 특성상, 상기 터치스크린을 조작하기 위한 보조기구가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보조기구로는 필기구 형상을 하고 있으며, 단부가 첨예한 스타일러스(Stylus)를 사용할 수 있으며, 스타일러스는 사용자가 별도로 휴대하고 다니거나 단말기 본체의 일부에 고정시켜 사용하게 된다.Recently, as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become more and more popular, terminals having various functions and designs have appeared. In addition, as terminals become smaller and lighter and shorter, a variety of functions are being highlighted. Therefore, in addition to the basic functions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voice with the other party,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required to process Internet functions, text information, graphics, and the like. Accordingly, an LCD module (Display Unit) is gradually widened, while the volume of the terminal can be reduced to meet the needs of consumers only when the size of the terminal is gradually reduced to use a touch screen without a separate keypad. In addition, due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product, an auxiliary mechanism for manipulating the touch screen may be used. The auxiliary device may have a writing instrument shape, and a stylus having a sharp end may be used, and the stylus is carried by the user separately or fixed to a part of the terminal body.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종래의 스타일러스 펜 겸용 안테나 장치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a conventional stylus pen combined antenna device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a는 종래의 스타일러스 펜 겸용 안테나 장치가 장착된 이동통신단말기의 부분단면도로써, 스타일러스 펜은 단말기 본체의 하우징(10)상에 설치되는 안테나 장치(30)에 겸용으로 구비된다. 안테나 장치(30)는 출몰식 안테나 장치로써, 본체에 고정되는 헬리컬 안테나(31)와 헬리컬 안테나(31)에 삽입되어 인입 및 인출이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모노폴 안테나(32)로 구성된다.FIG. 1A is a partial cross-sectional view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equipped with a conventional stylus pen antenna device, and the stylus pen is provided in the antenna device 30 installed on the housing 10 of the terminal body. The antenna device 30 is a sunken antenna device, and is composed of a helical antenna 31 fixed to a main body and a monopole antenna 32 which is inserted into the helical antenna 31 to be inserted and drawn out.

헬리컬 안테나(31)는 본체 하우징(10)에 설치된 고정편(11)상에 나사결합에 의해 결합되어 화살표 A방향으로 착탈이 가능하며, 고정편(11)은 금속성재질로 형성되어 본체의 RF보드와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또한, 상기 헬리컬 안테나(31)에서 모노폴 안테나(32)가 완전히 인출되면, 모노폴 안테나(32)의 단부는 헬리컬 안테나(31)와 접속되므로써, 안테나의 기능이 발생하게 되는 것이다.The helical antenna 31 is coupled to the fixing piece 11 installed in the main body housing 10 by screwing and detachable in the direction of arrow A. The fixing piece 11 is formed of a metallic material to form an RF board of the main body.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In addition, when the monopole antenna 32 is completely drawn out of the helical antenna 31, the end of the monopole antenna 32 is connected to the helical antenna 31, so that the function of the antenna occurs.

이때, 모노폴 안테나(32)의 하단부에는 첨예하게 형성된 접촉부(33)를 형성 내지 설치함으로써, 터치스크린으로 구성된 단말기의 엘씨디 모듈을 조작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헬리컬 안테나(31)를 고정편(11)에서 분리시킨 후, 데이터 입력수단으로 사용되는 단말기의 엘씨디 모듈인 터치스크린을 조작할 수 있는 스타일러스 펜으로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At this time, by forming or installing a sharply formed contact portion 33 at the lower end of the monopole antenna 32, it is possible to operate the LCD module of the terminal consisting of a touch screen. Therefore, the user can be used as a stylus pen that can separate the helical antenna 31 from the fixing piece 11 and then manipulate the touch screen, which is the LCD module of the terminal used as the data input means.

종래의 스타일러스 펜 겸용 안테나 장치에서는 단말기 고정편과 안테나와의 연결은 나사식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일반적인 나사의 경우 착탈에 상대적으로 많은 시간이 소요되므로 보다 빠른 안테나의 착탈이 가능하도록 2중 나선 혹은 3중 나선으로 변경된 경우도 있다.In the conventional stylus pen combined antenna device, the connection between the terminal fixing piece and the antenna is made of a screw type. In the case of a general screw, since it takes a relatively long time to attach and detach, a double spiral or triple Sometimes it has been changed to spiral.

도 1b는 종래의 스타일러스 펜 겸용 안테나 장치가 장착된 이동통신단말기의 또 다른 실시예이다.Figure 1b is another embodiment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equipped with a conventional stylus pen antenna device.

도 1b는 헬리컬 안테나(31)를 본체에서 원활히 착탈시킬 수 있도록 스냅 핏(snap-fit)구조를 이용한 종래의 스타일러스 펜 겸용 안테나 장치의 내부 구성을 도시한다.Figure 1b shows the internal configuration of a conventional stylus pen combined antenna device using a snap-fit (snap-fit) structure so that the helical antenna 31 can be removed from the main body smoothly.

헬리컬 안테나(31)의 외주면 적소에는 일정 형상의 돌기부(34)가 돌출된다. 또한, 헬리컬 안테나(31)가 장착되는 본체 하우징상(10)에는 돌기부(34)가 안착될 수 있는 안착홈(12)이 형성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헬리컬 안테나(31)에 일정 힘을 가하여 본체 하우징 상에서 원 터치로 화살표 B방향으로 착탈 시킬 수 있다. 이때, 돌기부는 본체 하우징(10)상에 형성될 수 있으며, 돌기부와 상응하도록 헬리컬 안테나(31)의 외주면상에 안착홈을 형성할 수 있다.The protrusion 34 of a predetermined shape protrudes from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helical antenna 31. In addition, a mounting groove 12 on which the protrusion 34 may be mounted is formed on the main body housing 10 on which the helical antenna 31 is mounted. Therefore, the user can apply a certain force to the helical antenna 31 to be detached in the direction of the arrow B with one touch on the body housing. In this case, the protrusion may be formed on the body housing 10, and may form a mounting groove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helical antenna 31 to correspond to the protrusion.

단말기 본체의 하우징(10) 내측면상에는 RF보드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금속성 판스프링(13)이 설치되므로써, 장착되는 헬리컬 안테나(31)의 단부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도록 구성된다.On the inner surface of the housing 10 of the terminal main body, a metallic leaf spring 13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RF board is installed, and is configured to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an end of the helical antenna 31 to be mounted.

이와 같은 구조로 구성된 종래의 스타일러스 펜 겸용 안테나 장치는, 안테나를 스타일러스 펜으로 사용하기 위하여 본체의 하우징(10) 외부로 인출하게되면 모노폴 안테나(32) 뿐만 아니라 헬리컬 안테나(30)까지 본체의 하우징(10)과 분리되므로, 전파 수신율이 현격하게 떨어진다는 단점이 있었다.In the conventional stylus pen combined antenna device having such a structure, when the antenna is pulled out of the housing 10 of the main body to use the antenna as the stylus pen, not only the monopole antenna 32 but also the helical antenna 30 includes the housing of the main body ( Since it is separated from the 10), there was a disadvantage that the radio wave reception rate drops significantly.

본 발명은 상기 전술한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안출된 것으로서, 모노폴 안테나를 스타일러스 펜으로 사용하기 위하여 본체 외부로 인출시키더라도 헬리컬 안테나는 본체에 고정되어있는 상태를 유지하여 전파 수신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스타일러스 펜 겸용 안테나가 장착된 이동통신단말기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described problem, even if the monopole antenna is drawn out of the main body for use as a stylus pen, the helical antenna is fixed to the main body to improve the radio wave reception rate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equipped with a combined antenna.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스타일러스 펜 겸용 안테나가 장착된 이동통신단말기는, 본체에 결합되는 헬리컬 안테나에 모노폴 안테나가 삽입 및 인출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안테나 장치를 구비하는 터치스크린 방식의 이동통신 단말기에 있어서, 모노폴 안테나는 터치스크린을 눌러 신호를 입력할 수 있도록 하단부가 첨예하게 형성되고 헬리컬 안테나로부터 인출되어 독립적으로 분리 가능한 구조로 구성된다.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equipped with a stylus pen combined antenna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a touch screen type movement having an antenna device configured to insert and withdraw a monopole antenna to the helical antenna coupled to the main body In the communication terminal, the monopole antenna has a sharply formed lower end so as to input a signal by pressing the touch screen, and is drawn out from the helical antenna to be independently separated.

이와 같은 기능을 실현하기 위한 헬리컬 안테나와 모노폴 안테나의 구조는 다음과 같은 여러 가지 방식으로 구현 가능하다.The structure of the helical antenna and the monopole antenna to realize such a function can be implemented in various ways as follows.

첫 번째 방식으로는 고정핀을 조작하여 모노폴 안테나의 분리동작을 제어하는 방식이 있다. The first method is to control the detaching operation of the monopole antenna by manipulating the fixing pin.

모노폴 안테나의 일부에 인출방향과 엇각인 방향으로 형성되는 고정홈을 형성하고, 헬리컬 안테나의 일부에 고정홈의 방향과 평행한 방향으로 중심부를 지나도록 형성된 구멍 형상의 고정핀홀을 형성한다.A portion of the monopole antenna is provided with a fixing groove formed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drawing direction, and a portion of the helical antenna is formed with a hole-shaped fixing pin hole formed to pass through the center i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direction of the fixing groove.

또한, 고정핀홀에 삽입되어 고정핀홀을 따라 왕복운동이 가능한 구조로 형성되며 모노폴 안테나의 인출동작을 간섭하도록 일부가 고정홈에 결합되는 고정핀과, 고정핀이 고정홈에 결합되는 방향으로 탄성을 인가하는 스프링을 추가로 구비한다.In addition, the fixing pin is inserted into the fixing pin hole is formed in a structure capable of reciprocating along the fixing pin hole, and the fixing pin is coupled to the fixing groove a portion to interfere with the extraction operation of the monopole antenna, the elastic pin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fixing pin is coupled to the fixing groove A spring to apply is further provided.

사용자는 고정핀을 조작하여 고정홈으로 결합 및 이탈시킴으로써, 모노폴 안테나의 분리동작을 제어한다.The user controls the separation operation of the monopole antenna by engaging and disengaging into the fixing groove by manipulating the fixing pin.

두 번째 방식으로는 스토퍼 구조를 이용하여 모노폴 안테나를 헬리컬 안테나로부터 분리시키는 방식이 있다.The second method uses a stopper structure to separate the monopole antenna from the helical antenna.

모노폴 안테나의 일부에 수나사를 형성하고, 수나사와 결합 가능한 암나사가 내부에 형성되어 모노폴 안테나와 나사결합 구조로 결합되는 스토퍼를 추가로 구비하며, 헬리컬 안테나의 하단면에 스토퍼와 결합되어 스토퍼의 회전운동을 차단하는 스토퍼 고정홀을 형성한다.A male screw is formed on a part of the monopole antenna, and a female screw that can be combined with the male screw is further formed therein, and further includes a stopper coupled to the monopole antenna by a screw coupling structure, and is coupled to the stopper on the lower surface of the helical antenna to rotate the stopper. Form a stopper fixing hole for blocking the.

사용자는 모노폴 안테나를 회전시켜 스토퍼와 분리시킴으로써, 헬리컬 안테나로부터 모노폴 안테나를 독립적으로 이탈시킨다.The user rotates the monopole antenna apart from the stopper, thereby independently detaching the monopole antenna from the helical antenna.

세 번째 방식으로는 판스프링의 탄성을 이용하여 모노폴 안테나의 인출동작과 분리동작을 구분하는 방식이다.The third method is to distinguish the drawing and separating operation of the monopole antenna using the elasticity of the leaf spring.

모노폴 안테나의 하단 측면에 외부로 돌출되는 판스프링을 결합시키고, 헬리컬 안테나의 내부에 판스프링이 안착될 수 있도록 오목한 홈 형상으로 형성된 판스프링 안착부를 형성하여, 모노폴 안테나가 인출되었을 때 판스프링 안착부에 판스프링이 안착되도록 함으로써 모노폴 안테나가 인출되어있는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A plate spring seating portion is formed on the bottom side of the monopole antenna, and a plate spring seating portion formed in a concave groove shape is formed inside the helical antenna to allow the plate spring to be seated. By allowing the leaf springs to rest, the monopole antenna can be pulled out.

헬리컬 안테나로부터 모노폴 안테나를 분리하고자 하는 경우, 사용자는 판스프링 안착부로부터 판스프링이 이탈되는 이상의 힘으로 모노폴 안테나를 인출시켜 모노폴 안테나를 분리시킨다.When the monopole antenna is to be separated from the helical antenna, the user separates the monopole antenna by drawing the monopole antenna with a force greater than that of the leaf spring from the leaf spring seat.

네 번째 방식으로는 나사결합 구조를 이용하여 모노폴 안테나의 인출동작과 분리동작을 구분하는 방식이다.In the fourth method, a screw coupling structure is used to distinguish the drawing operation and the separating operation of the monopole antenna.

모노폴 안테나의 하단 측면에 인출구의 지름과 동일한 크기의 바깥지름을 갖는 수나사 구조의 모노폴 나사를 형성하고, 인출구 내측면의 상단 일부에는 모노폴 나사와 결합 가능한 암나사 구조로 이루어지며 모노폴 나사의 바깥지름보다 작은 크기의 안지름을 갖는 헬리컬 나사를 형성한다.On the lower side of the monopole antenna, a male-pole monopole screw with an outer diameter equal to the diameter of the outlet is formed, and the upper part of the inner side of the outlet has a female screw structure that can be combined with a monopole screw and is smaller than the outer diameter of the monopole screw. Form a helical screw with an inner diameter of size.

모노폴 안테나를 인출시켜 모노폴 나사가 인출구 내부에 위치되면, 모노폴 나사와 인출구는 끼워맞춤 형식으로 결합되어 별도의 외력이 가해지지 않는 한 모노폴 안테나가 하향으로 떨어지는 현상은 발생하지 아니하게된다.When the monopole antenna is pulled out and the monopole screw is located inside the outlet, the monopole screw and the outlet are combined in a fitting manner so that the monopole antenna does not fall downward unless a separate external force is applied.

또한, 모노폴 안테나를 헬리컬 안테나로부터 분리시킬 때에는, 모노폴 안테나를 회전시켜 모노폴 나사가 헬리컬 나사를 타고 이동하도록 함으로써 모노폴 안테나가 헬리컬 안테나의 외부로 인출되도록 한다.In addition, when the monopole antenna is separated from the helical antenna, the monopole antenna is rotated so that the monopole screw moves on the helical screw so that the monopole antenna is drawn out of the helical antenna.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스타일러스 펜 겸용 안테나가 장착된 이동통신단말기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equipped with a stylus pen antenna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2는 모노폴 안테나를 분리시킨 본 발명에 의한 스타일러스 펜 겸용 안테나가 장착된 이동통신단말기의 사시도이다.2 is a perspective view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equipped with a stylus pen antenna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which a monopole antenna is separated.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스타일러스 펜 겸용 안테나가 장착된 이동통신단말기는, 음향을 출력하는 이어피스(110)와 정보 출력 및 신호 입력의 기능을 갖는 터치스크린(120)을 내측면에 구비하는 상폴더(100)와, 신호입력을 위한 키패드(210)와 음향 송신을 위한 송신부(220)를 내측면에 구비하는 하폴더(200)와, 하폴더(200)의 상단에 고정되는 헬리컬 안테나(310)와 헬리컬 안테나(310)에 삽입되어 인입 및 인출되며 헬리컬 안테나(310)로부터 분리 가능한 구조로 구성된 모노폴 안테나(350)로 이루어지는 안테나 장치(3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As shown in FIG. 2,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equipped with the stylus pen antenna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earpiece 110 for outputting sound and a touch screen 120 having functions of information output and signal input. The upper folder 100, which is provided in the, the keypad 210 for the signal input and the transmitting unit 220 for transmitting the sound on the inner side of the lower folder 200, and fixed to the upper end of the lower folder 200 The antenna device 300 includes a helical antenna 310 and a monopole antenna 350 which is inserted into and withdrawn from the helical antenna 310 and is separated from the helical antenna 310.

모노폴 안테나(350)의 하단부 끝단은 첨예하게 형성되어, 사용자는 헤리컬 안테나(310)를 스타일러스 펜으로 이용하여 자신이 누르고자 하는 터치스크린(120)의 특정부위를 정확하게 누를 수 있게된다.The lower end of the monopole antenna 350 is sharply formed so that the user can accurately press a specific portion of the touch screen 120 to be pressed by using the helical antenna 310 as a stylus pen.

헬리컬 안테나(310)와 모노폴 안테나(350)의 결합구조는 이하 도시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A coupling structure of the helical antenna 310 and the monopole antenna 350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shown below.

도 3a는 고정핀을 이용한 모노폴 안테나의 결합구조를 도시한다.3A illustrates a coupling structure of a monopole antenna using a fixing pin.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헬리컬 안테나(310)의 중심부에는 길이방향으로 관통하는 구멍 형상의 인출구(312)가 형성되어있어, 모노폴 안테나(350)는 인출구(312)에 삽입되어 이동통신단말기 본체의 내·외부로 인입 및 인출된다.As shown in Figure 3a, the central portion of the helical antenna 310 is formed with a hole-shaped outlet 312 penetrat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 monopole antenna 350 is inserted into the outlet 312 is the main body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n and out of and out of.

모노폴 안테나(350)는 하단부에 인출방향과 직각인 방향으로 형성되는 고정홈(360)을 구비하고, 헬리컬 안테나(310)는 측면 일부에 고정홈(360)의 방향과 평행한 방향으로 인출구(312)를 관통하도록 형성되는 구멍 형상의 고정핀홀(314)을 구비한다.The monopole antenna 350 has a fixing groove 360 formed at a lower end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drawing direction, and the helical antenna 310 has a drawing hole 312 i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direction of the fixing groove 360 at a part of the side surface. ) Is provided with a hole-shaped fixing pin hole 314 formed to pass through.

또한, 헬리컬 안테나(310)에는, 고정핀홀(314)에 삽입되어 고정핀홀(314)을 따라 왕복운동이 가능한 구조로 형성되며 모노폴 안테나(350)가 인출되었을 때 헬리컬 안테나(310)와 분리되지 못하도록 일부가 고정홈(360)에 결합되는 고정핀(320)이 추가로 결합된다.In addition, the helical antenna 310 is formed into a structure capable of reciprocating along the fixing pin hole 314 by being inserted into the fixing pin hole 314 so that it cannot be separated from the helical antenna 310 when the monopole antenna 350 is drawn out. The fixing pin 320 is coupled to a part of the fixing groove 360 is further coupled.

또한, 헬리컬 안테나(310)의 내부에는, 고정핀(320)이 고정핀홀(314)의 외부로 인출되는 방향으로 고정핀(320)에 탄성을 인가하는 스프링(미도시)이 구비된다.In addition, a spring (not shown) is provided inside the helical antenna 310 to apply elasticity to the fixing pin 320 in a direction in which the fixing pin 320 is drawn out of the fixing pin hole 314.

스프링의 종류와 구조로는 여러 가지 방법으로 적용이 가능하며, 이와 같이 특정 부품에 탄성을 인가하는 구조는 일반적으로 상용하는 방법을 사용하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The type and structure of the spring can be applied in various ways, and thus the structure for applying elasticity to a specific part is generally used in a commercially available method, so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도 3b는 도 3a의 상태에서 모노폴 안테나를 인출시킨 형상을 도시한다.FIG. 3B illustrates a shape in which the monopole antenna is drawn out in the state of FIG. 3A.

도 3a의 상태에서 모노폴 안테나(350)를 상향으로 인출시켜 고정홈(360)이 고정핀(320)의 위치로 이동하게되면, 고정핀(320)에 인가되는 스프링 탄성력에 의하여 도 3b와 같이 고정핀(320)의 일부는 고정홈(360)에 삽입되어 결합된다.When the fixing pole 360 is moved to the position of the fixing pin 320 by pulling the monopole antenna 350 upward in the state of FIG. 3A, it is fixed as shown in FIG. 3B by a spring elastic force applied to the fixing pin 320. A portion of the pin 320 is inserted into the fixing groove 360 is coupled.

따라서, 모노폴 안테나(350)는 헬리컬 안테나(310)의 외부로 더 이상 인출되지 못하고 도 3b와 같은 상태를 유지하게된다.Therefore, the monopole antenna 350 is no longer drawn out of the helical antenna 310 and maintains the state as shown in FIG. 3B.

도 3b와 같은 상태에서, 모노폴 안테나(350)를 스타일러스 펜으로 사용하기 위하여 헬리컬 안테나(310)로부터 분리시킬 때에는, 고정핀홀(314)의 안쪽 방향으로 고정핀(320)을 밀어 고정홈(360)과의 간섭을 해제시킨 후 모노폴 안테나(350)를 상향으로 인출한다.In the state as shown in FIG. 3B, when the monopole antenna 350 is separated from the helical antenna 310 to be used as a stylus pen, the fixing pin 320 is pushed toward the inside of the fixing pin hole 314. After releasing interference with the monopole antenna 350 is pulled upward.

도 3a와 도 3b에 도시된 구조 이외에, 헬리컬 안테나(310)와 모노폴 안테나(350)의 결합구조는 나사결합을 이용한 방법과 판스프링을 이용한 방법 등 여러 가지 다양한 방법으로 구현될 수 있다.In addition to the structures illustrated in FIGS. 3A and 3B, the coupling structure of the helical antenna 310 and the monopole antenna 350 may be implemented by various methods such as a screw coupling method and a leaf spring method.

도 4a는 스토퍼 이용한 모노폴 안테나의 결합구조를 도시한다.4A illustrates a coupling structure of a monopole antenna using a stopper.

모노폴 안테나(350)는 하단에 수나사(370)가 형성되고, 수나사(370)가 형성된 모노폴 안테나(350)의 하단에는 모노폴 안테나(350)의 일부를 감쌀 수 있는 형상으로 형성된 스토퍼(330)가 결합된다.The monopole antenna 350 has a male screw 370 formed at a lower end thereof, and a stopper 330 formed at a lower end of the monopole antenna 350 having the male screw 370 formed to cover a portion of the monopole antenna 350 is coupled thereto. do.

스토퍼(330)의 내부에는 수나사(370)와 결합 가능한 형상의 암나사(332)가 형성되어있어 나사결합 방식으로 모노폴 안테나(350)와 결합되며, 나사결합이 풀리는 방향으로 모노폴 안테나(350)를 회전시키면 모노폴 안테나(350)와 스토퍼(330)는 분리된다. A female screw 332 is formed in the stopper 330 to be coupled to the male screw 370, and is coupled to the monopole antenna 350 by a screw coupling method, and rotates the monopole antenna 350 in a direction in which the screw coupling is released. The monopole antenna 350 and the stopper 330 are separated.

또한, 헬리컬 안테나(310)는 모노폴 안테나(350)가 상향으로 인출되었을 때 스토퍼(330)를 안착시킬 수 있는 형상으로 형성된 스토퍼 고정홀(340)을 하단면에 구비한다. 따라서, 스토퍼(330)는 모노폴 안테나(350)가 상향으로 인출하였을 때 스토퍼 고정홀(340)의 내부로 인입된다. In addition, the helical antenna 310 has a stopper fixing hole 340 formed in a shape that can seat the stopper 330 when the monopole antenna 350 is pulled upward. Accordingly, the stopper 330 is introduced into the stopper fixing hole 340 when the monopole antenna 350 is pulled upward.

스토퍼(330)는, 스토퍼 고정홀(340)의 내부에 인입된 상태가 되면 하향으로의 직선운동만이 가능하고 상향 및 수평방향으로의 운동이나 기타 회전운동은 불가하도록 고정된다.When the stopper 330 enters the inside of the stopper fixing hole 340, only the linear movement downward is possible, and the stopper 330 is fixed such that movement in the upward and horizontal directions or other rotational movement is impossible.

스토퍼(330)와 스토퍼 고정홀(340)이 원통형 형상으로 형성되면 스토퍼(330)가 스토퍼 고정홀(340)의 내부에 안착된 상태에서 회전운동을 할 수 있게 되므로, 스토퍼(330)와 스토퍼 고정홀(340)의 단면은 다각형 형상으로 형성된다.When the stopper 330 and the stopper fixing hole 340 are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the stopper 330 can rotate in a state where the stopper 330 is seated inside the stopper fixing hole 340, and thus, the stopper 330 and the stopper are fixed. The cross section of the hole 340 is formed in a polygonal shape.

도 4b는 도 4a의 상태에서 모노폴 안테나를 인출시킨 형상을 도시한다.FIG. 4B illustrates a shape in which the monopole antenna is drawn out in the state of FIG. 4A.

도 4a의 상태에서 모노폴 안테나(350)를 상향으로 인출시키면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토퍼(330)는 스토퍼 고정홀(340)의 내부에 안착되고, 스토퍼(330)가 스토퍼 고정홀(340)에 안착되면 모노폴 안테나(350)는 더 이상 상향으로 인출되지 아니한다.When the monopole antenna 350 is pulled upward in the state of FIG. 4A, as shown in FIG. 4B, the stopper 330 is seated in the stopper fixing hole 340, and the stopper 330 is the stopper fixing hole 340. When seated in the monopole antenna 350 is no longer drawn upwards.

도 4a의 상태에서 모노폴 안테나(350)를 헬리컬 안테나(310)로부터 분리시키고자 할 때에는, 모노폴 안테나(350)를 길이방향의 중심을 회전축으로 회전시켜 스토퍼(330)와의 나사결합을 해제시킨 후 상향으로 인출시킨다.In the state of FIG. 4A, when the monopole antenna 350 is to be separated from the helical antenna 310, the monopole antenna 350 is rotated around the longitudinal axis by the rotation axis to release the screw from the stopper 330 and then upward. Withdraw.

스토퍼(330)는 스토퍼 고정홀(340)의 내부에 안착된 상태에서 회전운동이 불가하므로, 도 4b의 상태에서 사용자가 모노폴 안테나(350)를 회전시키면 모노폴 안테나(350)만이 회전하게되고, 이에 따라 모노폴 안테나(350)는 스토퍼(330)와의 나 사 결합이 해제되어 헬리컬 안테나(310) 외부로의 인출이 가능해 진다.Since the stopper 330 cannot rotate in the state of being seated in the stopper fixing hole 340, when the user rotates the monopole antenna 350 in the state of FIG. 4B, only the monopole antenna 350 rotates. Accordingly, the screw coupling with the stopper 330 is released from the monopole antenna 350 to allow the helical antenna 310 to be pulled out.

도 5a는 판스프링을 이용한 모노폴 안테나의 결합구조를 도시한다.5A illustrates a coupling structure of a monopole antenna using a leaf spring.

모노폴 안테나(350)는 외측으로 탄성을 인가하는 판스프링(380)을 하단에 구비하고, 헬리컬 안테나(310)는 판스프링(380)을 안착시킬 수 있도록 오목한 홈 형상으로 형성된 판스프링 안착홈(316)을 인출구(312)의 내측면에 구비한다. The monopole antenna 350 has a leaf spring 380 that applies elasticity to the outside at the bottom thereof, and the helical antenna 310 has a leaf spring seating groove 316 formed in a concave groove shape to seat the leaf spring 380. ) Is provided on the inner side of the outlet 312.

모노폴 안테나(350)가 상향으로 인출되어 판스프링(380)이 인출구(312)에 위치되면 판스프링(380)은 인출구(312) 벽면에 접촉됨과 동시에 인출구(312)의 벽면으로 탄성력을 인가하게되고, 이에 따른 판스프링(380)과 인출구(312)간의 마찰력 증가로 인하여 모노폴 안테나(350)를 인출하는데 큰 힘이 요구된다.When the monopole antenna 350 is pulled upward and the leaf spring 380 is located at the outlet 312, the leaf spring 380 contacts the wall of the outlet 312 and simultaneously applies an elastic force to the wall of the outlet 312. Due to the increased friction between the leaf spring 380 and the outlet 312, a large force is required to draw out the monopole antenna 350.

도 5b는 도 5a의 상태에서 모노폴 안테나를 인출시킨 형상을 도시한다.FIG. 5B illustrates a shape in which the monopole antenna is drawn out in the state of FIG. 5A.

도 5a의 상태에서 모노폴 안테나(350)를 상향으로 인출하여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판스프링(380)을 판스프링 안착홈(316)에 위치시키면, 모노폴 안테나(350)는 외력이 가해지지 아니하는 한 도 5b와 같이 헬리컬 안테나(310)의 외측으로 일부가 인출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When the monopole antenna 350 is pulled upward in the state of FIG. 5A and the leaf spring 380 is positioned in the leaf spring seating groove 316 as shown in FIG. 5B, the monopole antenna 350 is not subjected to an external force. As shown in FIG. 5B, a portion of the helical antenna 310 is drawn outward.

도 5b의 상태에서 모노폴 안테나(350)를 헬리컬 안테나(310)의 외부로 인출하고자 할 때에는, 판스프링(380)이 인출구(312)를 통과할 때 발생하는 마찰력보다 큰 힘으로 모노폴 안테나(350)를 상향으로 당겨 인출시킨다.When the monopole antenna 350 is to be drawn out of the helical antenna 310 in the state of FIG. 5B, the monopole antenna 350 has a force greater than the frictional force generated when the leaf spring 380 passes through the outlet 312. To pull up.

도 6a는 나사결합 구조를 이용한 모노폴 안테나의 결합구조를 도시한다.6A illustrates a coupling structure of a monopole antenna using a screw coupling structure.

모노폴 안테나(350)는 하단 측면에 인출구(312)의 지름과 동일한 크기의 바깥지름을 갖는 수나사 구조의 모노폴 나사(390)를 구비하고, 헬리컬 안테나(310)는 모노폴 나사(390)와 결합 가능한 암나사 구조로 이루어지며 모노폴 나사(390)의 바깥지름보다 작은 크기의 안지름을 갖는 헬리컬 나사(318)를 인출구(312) 내측면의 상단 일부에 구비한다.The monopole antenna 350 has a male thread structure monopole screw 390 having an outer diameter equal to the diameter of the outlet 312 on the lower side, and the helical antenna 310 is a female screw coupleable with the monopole screw 390. A helical screw 318 having a structure and having an inner diameter smaller than the outer diameter of the monopole screw 390 is provided at the upper portion of the inner surface of the outlet 312.

도 6b는 도 6a의 상태에서 모노폴 안테나를 인출시킨 형상을 도시한다.FIG. 6B illustrates a shape in which the monopole antenna is drawn out in the state of FIG. 6A.

6a의 상태에서 사용자가 모노폴 안테나(390)를 인출시켜 모노폴 나사(390)가 인출구(312) 내부에 위치하게되면,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노폴 나사(390)와 인출구(312)는 끼워맞춤 형식으로 결합된다. 따라서, 별도의 외력이 가해지지 않는 한 모노폴 안테나(390)는 하향으로 떨어지지 아니하고 인출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When the user pulls out the monopole antenna 390 in the state of 6a so that the monopole screw 390 is positioned inside the outlet 312, the monopole screw 390 and the outlet 312 are fitted as shown in FIG. 6B. Are combined into a form. Therefore, unless a separate external force is applied, the monopole antenna 390 does not fall downward and maintains the drawn state.

또한, 모노폴 나사(390)의 바깥 지름이 헬리컬 나사(318)의 안지름보다 크기가 크기 때문에, 모노폴 안테나(350)는 모노폴 나사(390)와 헬리컬 나사(318)가 간섭되는 위치까지 인출되면 상향으로는 더 이상 인출되지 못하게 된다.In addition, since the outer diameter of the monopole screw 390 is larger than the inner diameter of the helical screw 318, the monopole antenna 350 is upward when drawn out to the position where the monopole screw 390 and the helical screw 318 interfere. Will no longer be withdrawn.

도 6b의 상태에서 모노폴 안테나(350)를 헬리컬 안테나(310)로부터 분리시킬 때에는, 모노폴 안테나(350)를 회전시켜 모노폴 나사(390)를 헬리컬 나사(318)의 내부로 진입시킨 후, 모노폴 나사(390)가 헬리컬 나사(318)의 상부로 완전히 빠져 나올 때까지 모노폴 안테나(350)를 회전시킨다. In the state of FIG. 6B, when the monopole antenna 350 is separated from the helical antenna 310, the monopole screw 350 is rotated to enter the monopole screw 390 into the helical screw 318, and then the monopole screw ( Rotate monopole antenna 350 until 390 completely exits to the top of helical screw 318.

모노폴 나사(390)가 헬리컬 나사(316)로부터 완전히 빠져 나오게되면, 모노폴 안테나(350)는 헬리컬 안테나(310)로부터 완전히 분리가 된다.When the monopole screw 390 is completely pulled out of the helical screw 316, the monopole antenna 350 is completely separated from the helical antenna 310.

이상 본 발명의 기술사상은 상기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기술되었으나, 상기 폴더형 휴대폰에 적용된 실시예는 그 설명을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의 적용이 폴더형 휴대폰에 제한을 두는 것이 아님을 주의하여야한다. 또한, 본 발명은 각종 이동통신단말기와 PDA 등 모든 휴대용 단말기에 적용 가능하며, 본 발명의 기술분야의 통상의 전문가라면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위에서 다양한 실시예가 가능함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Although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detail according to the above-described preferred embodiment, the embodiment applied to the clamshell phone is for the purpose of explanation, and it should be noted that the applic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clamshell phone. do.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to all mobile terminals such as various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and PDA,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hat various embodiments are possible within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 의한 스타일러스 펜 겸용 안테나가 장착된 이동통신단말기를 사용하면, 모노폴 안테나를 스타일러스 펜으로 사용하기 위하여 본체 외부로 인출시키더라도 헬리컬 안테나는 본체에 고정되어있는 상태가 유지되므로, 일정 수준의 전파 수신율을 유지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When using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equipped with a stylus pen combined antenna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even if the monopole antenna is drawn out of the main body for use as a stylus pen, the helical antenna is fixed to the main body, so that a certain level of propagation The advantage is that the reception rate can be maintained.









Claims (5)

삭제delete 길이방향으로 관통하는 구멍 형상의 인출구가 내부에 형성되는 헬리컬 안테나와 상기 인출구로 삽입 및 인출 가능하도록 상기 헬리컬 안테나에 결합되는 모노폴 안테나로 구성되는 안테나 장치와, 정보 출력 및 신호 입력의 기능을 갖는 터치스크린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이동통신단말기에 있어서, An antenna device comprising a helical antenna having a hole-shaped outlet formed therein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a monopole antenna coupled to the helical antenna to be inserted into and withdrawn from the outlet, and a touch having a function of information output and signal input. 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omprising a screen, 상기 모노폴 안테나는 상기 터치스크린을 눌러 신호를 입력할 수 있도록 하단부가 첨예하게 형성되고, 상기 헬리컬 안테나의 외부로 인출되어 독립적으로 분리 가능한 결합구조로 상기 헬리컬 안테나에 결합되며, 하단 일부에 인출방향과 엇각인 방향으로 형성되는 고정홈을 구비하고, The monopole antenna is sharply formed at the lower end so as to input the signal by pressing the touch screen, and is coupled to the helical antenna with a coupling structure that is drawn out to the outside of the helical antenna to be independently separated, and a drawing direction is provided at a portion of the lower end. It has a fixing groove formed in a staggered direction, 상기 헬리컬 안테나는 상기 고정홈의 형성 방향과 평행한 방향으로 상기 인출구를 관통하는 구멍 형상의 고정핀홀이 내부에 형성되고, 상기 고정핀홀에 삽입되어 상기 고정핀홀을 따라 왕복운동이 가능한 구조로 형성되며 상기 모노폴 안테나의 인출동작을 간섭하도록 일부가 상기 고정홈에 결합되는 고정핀과, 상기 고정핀이 상기 고정홈에 결합되는 방향으로 탄성을 인가하는 스프링을 추가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The helical antenna has a hole-shaped fixing pin hole penetrating the outlet i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direction of the formation of the fixing groove therein, is inserted into the fixing pin hole is formed in a structure capable of reciprocating movement along the fixing pin hole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further comprises a fixing pin coupled to the fixing groove and a spring for applying elasticity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fixing pin is coupled to the fixing groove so as to interfere with the drawing operation of the monopole antenna. . 길이방향으로 관통하는 구멍 형상의 인출구가 내부에 형성되는 헬리컬 안테나와 상기 인출구로 삽입 및 인출 가능하도록 상기 헬리컬 안테나에 결합되는 모노폴 안테나로 구성되는 안테나 장치와, 정보 출력 및 신호 입력의 기능을 갖는 터치스크린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이동통신단말기에 있어서, An antenna device comprising a helical antenna having a hole-shaped outlet formed therein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a monopole antenna coupled to the helical antenna to be inserted into and withdrawn from the outlet, and a touch having a function of information output and signal input. 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omprising a screen, 상기 모노폴 안테나는 상기 터치스크린을 눌러 신호를 입력할 수 있도록 하단부가 첨예하게 형성되고, 상기 헬리컬 안테나의 외부로 인출되어 독립적으로 분리 가능한 결합구조로 상기 헬리컬 안테나에 결합되며, 하단 일부에 수나사가 형성되고, 상기 수나사와 결합 가능한 암나사가 내부에 형성되어 상기 모노폴 안테나와 나사결합 구조로 결합되는 스토퍼를 구비하고,The monopole antenna is sharply formed at the lower end so as to press the touch screen to input a signal, and is coupled to the helical antenna with a coupling structure that can be independently separated by being drawn out of the helical antenna, and a male screw is formed at a part of the lower end. And a stopper coupled to the male screw and having a stopper formed therein and coupled to the monopole antenna by a screw coupling structure. 상기 헬리컬 안테나는 상기 스토퍼가 안착될 수 있도록 오목한 홈 형상으로 형성되어있으며 상기 스토퍼 안착시 스토퍼의 회전운동을 간섭하는 스토퍼 고정홀을 하단면에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The helical antenna is formed in a concave groove shape so that the stopper is seated,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the stopper fixing hole which interferes with the rotational movement of the stopper when the stopper is seated on the bottom surface. 길이방향으로 관통하는 구멍 형상의 인출구가 내부에 형성되는 헬리컬 안테나와 상기 인출구로 삽입 및 인출 가능하도록 상기 헬리컬 안테나에 결합되는 모노폴 안테나로 구성되는 안테나 장치와, 정보 출력 및 신호 입력의 기능을 갖는 터치스크린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이동통신단말기에 있어서, An antenna device comprising a helical antenna having a hole-shaped outlet formed therein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a monopole antenna coupled to the helical antenna to be inserted into and withdrawn from the outlet, and a touch having a function of information output and signal input. 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omprising a screen, 상기 모노폴 안테나는 상기 터치스크린을 눌러 신호를 입력할 수 있도록 하단부가 첨예하게 형성되고, 상기 헬리컬 안테나의 외부로 인출되어 독립적으로 분리 가능한 결합구조로 상기 헬리컬 안테나에 결합되며, 외부로 돌출되는 판스프링을 하단 측면에 구비하고,The monopole antenna is sharply formed at the lower end so as to input the signal by pressing the touch screen, is drawn out to the outside of the helical antenna and coupled to the helical antenna independently coupled to the helical antenna, the leaf spring protruding outside On the bottom side, 상기 헬리컬 안테나는 상기 판스프링이 안착될 수 있도록 오목한 홈 형상으로 형성된 판스프링 안착부를 상기 인출구 내측면에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The helical antenna has a leaf spring seating portion formed in a concave groove shape so that the leaf spring is seat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outlet. 길이방향으로 관통하는 구멍 형상의 인출구가 내부에 형성되는 헬리컬 안테나와 상기 인출구로 삽입 및 인출 가능하도록 상기 헬리컬 안테나에 결합되는 모노폴 안테나로 구성되는 안테나 장치와, 정보 출력 및 신호 입력의 기능을 갖는 터치스크린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이동통신단말기에 있어서, An antenna device comprising a helical antenna having a hole-shaped outlet formed therein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a monopole antenna coupled to the helical antenna to be inserted into and withdrawn from the outlet, and a touch having a function of information output and signal input. 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omprising a screen, 상기 모노폴 안테나는 상기 터치스크린을 눌러 신호를 입력할 수 있도록 하단부가 첨예하게 형성되고, 상기 헬리컬 안테나의 외부로 인출되어 독립적으로 분리 가능한 결합구조로 상기 헬리컬 안테나에 결합되며, 인출구의 지름과 동일한 크기의 바깥지름을 갖는 수나사 형상의 모노폴 나사를 하단 측면에 구비하고,The monopole antenna is sharply formed at the lower end so as to input the signal by pressing the touch screen, and is coupled to the helical antenna with a coupling structure that is independently separated by being drawn out of the helical antenna and is the same size as the diameter of the outlet. A monopole screw with a male thread shape having an outer diameter of 상기 헬리컬 안테나는 상기 모노폴 나사와 결합 가능한 암나사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모노폴 나사의 바깥지름보다 작은 크기의 안지름을 갖는 헬리컬 나사를 상기 인출구 내측면의 상단 일부에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The helical antenna has a female screw shape that can be combined with the monopole screw and has a helical screw having an inner diameter smaller than an outer diameter of the monopole screw on a portion of the upper end of the inner side of the outlet.
KR1020030009286A 2003-02-14 2003-02-14 Mobile terminal with stylus pen antenna KR100548610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09286A KR100548610B1 (en) 2003-02-14 2003-02-14 Mobile terminal with stylus pen antenna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09286A KR100548610B1 (en) 2003-02-14 2003-02-14 Mobile terminal with stylus pen antenna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73634A KR20040073634A (en) 2004-08-21
KR100548610B1 true KR100548610B1 (en) 2006-01-31

Family

ID=373606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09286A KR100548610B1 (en) 2003-02-14 2003-02-14 Mobile terminal with stylus pen antenna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48610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26593B1 (en) 2004-09-10 2006-09-25 삼성전자주식회사 Stylus pen served as antenna in portable wireless terminal
KR100780349B1 (en) * 2005-05-18 2007-11-28 엘지전자 주식회사 Portable terminal having pen for both input and antenna
KR100830218B1 (en) * 2006-12-15 2008-05-16 세원텔레텍 주식회사 Antenna with a stylus-pen
KR102279396B1 (en) 2014-02-24 2021-07-21 삼성전자주식회사 Electronic device, input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electronic device using input device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739793A (en) * 1996-01-09 1998-04-14 Mitsubishi Denki Kabushiki Kaisha Mobile communication information terminal apparatus
KR200187702Y1 (en) * 2000-01-26 2000-07-15 원경민 Touch screen type portable phone
KR20010083320A (en) * 2000-02-10 2001-09-01 김순택 Cellular phone
KR20030047393A (en) * 2001-12-10 2003-06-18 삼성전자주식회사 Antenna served as stylus in portable radiotelephone
KR20030095740A (en) * 2002-06-14 2003-12-24 엘지전자 주식회사 Personal digital assistance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739793A (en) * 1996-01-09 1998-04-14 Mitsubishi Denki Kabushiki Kaisha Mobile communication information terminal apparatus
KR200187702Y1 (en) * 2000-01-26 2000-07-15 원경민 Touch screen type portable phone
KR20010083320A (en) * 2000-02-10 2001-09-01 김순택 Cellular phone
KR20030047393A (en) * 2001-12-10 2003-06-18 삼성전자주식회사 Antenna served as stylus in portable radiotelephone
KR20030095740A (en) * 2002-06-14 2003-12-24 엘지전자 주식회사 Personal digital assistan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73634A (en) 2004-08-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40565B1 (en) Stylus pen and electronic device having the same
US7494353B2 (en) Card ejecting mechanism an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the same
KR100626593B1 (en) Stylus pen served as antenna in portable wireless terminal
US8194055B2 (en) Stylus retaining mechanism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
US20090117953A1 (en) Construction of mobile device
KR20030058623A (en) Portable phone with hinge stylus and sub-inputting unit
EP1610420A2 (en) Interface connector cover opening and closing apparatus for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KR100548610B1 (en) Mobile terminal with stylus pen antenna
US20090050377A1 (en) Stylus and portable electronic device using the same
US8491320B2 (en) Portable electronic device with chip card ejecting mechanism
JP2008160875A (en) Portable terminal and antenna of portable terminal
CN101159770B (en) Battery cover device for portable terminal
CN203734721U (en) Multifunctional gamepad
JP4071875B2 (en) Mobile phone built-in antenna mounting structure
KR100810385B1 (en) Antenna served as stylus in portable radiotelephone
EP1995658B1 (en) Touch pen having an antenna and electronic device having the touch pen
EP2590388A1 (en) Keypad coupling device for portable terminal
KR100800745B1 (en) Antenna apparatus for mobile phone
EP4191632B1 (en) Relay module structure
KR20050037198A (en) Stylus pen input and outputing apparatus for personal digital assistant
JPH0951218A (en) Drawout type antenna for portable telephone set
KR100459416B1 (en) Audio jack door apparatus for mobile phone
KR100677387B1 (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helical antenna controllable pitch
KR200455550Y1 (en) Antenna-type touch pen
KR101571496B1 (en) Antenna integrated stylu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0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3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05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04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