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48509B1 - Truss framework system for combined slurry wall using supporting implement - Google Patents

Truss framework system for combined slurry wall using supporting implemen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48509B1
KR100548509B1 KR1020050023743A KR20050023743A KR100548509B1 KR 100548509 B1 KR100548509 B1 KR 100548509B1 KR 1020050023743 A KR1020050023743 A KR 1020050023743A KR 20050023743 A KR20050023743 A KR 20050023743A KR 100548509 B1 KR100548509 B1 KR 10054850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plywood
panel
truss
w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23743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최종학
최준호
신운식
Original Assignee
(주)일호인터내셔날
주식회사 일호
신운식
장극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일호인터내셔날, 주식회사 일호, 신운식, 장극관 filed Critical (주)일호인터내셔날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485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48509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7/00Insoles for insertion, e.g. footbeds or inlays, for attachment to the shoe after the upper has been joined
    • A43B17/02Insoles for insertion, e.g. footbeds or inlays, for attachment to the shoe after the upper has been joined wedge-like or resilient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7/00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 A43B7/14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 A43B7/1405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with pads or holes on one or more locations, or having an anatomical or curved form
    • A43B7/1455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with pads or holes on one or more locations, or having an anatomical or curved form with special properties
    • A43B7/146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with pads or holes on one or more locations, or having an anatomical or curved form with special properties provided with acupressure points or means for foot massag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Forms Removed On Construction Sites Or Auxiliary Member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물 또는 도로 토목공사시 토류를 방지하기 위한 합벽을 시공할 때 사용되는 합벽용 트러스 골조시스템과 상기 골조시스템에 사용되는 트러스 골조체 지지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골조체 지지구를 통하여 H파일(pile)이 똑바로 박히지 않은 경우에도 합벽의 균형에 영향이 없도록 함과 아울러, 합벽의 두께에 맞게 건설현장에서 작업자가 일일이 철근의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한 상태로 상호 결속하여 골조를 형성하는 배근과정을 생략하기 위하여 트러스 골조체를 도입하고, 상기 골조체 지지구를 통하여 골조체의 배열이 획기적으로 쉽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합벽용 트러스 골조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russ frame system for plywood used when constructing a plywood wall to prevent the earth during building or road civil works, and a truss frame support for the frame system. Even if the H-pile is not nailed straight through the earth, it does not affect the balance of the plywood wall, and at the construction site according to the thickness of the plywood wall, the workers bind to each other in a state where the interval between the bars is kept constant. In order to omit the reinforcement process to form a truss frame is introduced, and through the support frame, the truss frame system for the plywood wall so that the arrangement of the structure can be made easily.

본 발명에 따른 합벽용 골조체 지지구는 중력방향에 상응하는 방향으로 H파일 노출면에 고정되는 종장근(縱長筋); 및 상기 H파일과 상기 종장근의 전방으로 서로 일정 간격을 두고 상하로 다수 돌설되어 있으며, 각각의 상부에 골조체가 얹혀지는 횡단근(橫短筋)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A plywood frame support for a plywo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longitudinal longus (縱 長 筋) fixed to the H-pile exposed surface in a direction corresponding to the direction of gravity; And a plurality of protrusions vertically up and down at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front of the H-file and the longitudinal muscle, and each includes a transverse muscle on which the skeleton is placed.

또 본 발명에 따른 합벽용 트러스 골조시스템은 일정 간격 떨어진 다수의 끼움공이 천공 형성되어 있는 거푸집패널; 시공되는 합벽의 두께에 상응하는 간격을 유지하고 있는 둘 이상의 주철근, 그리고 상기 주철근의 간격유지와 보강을 위한 래티스철근으로 이루어진 2차원 또는 3차원 형상의 골조체; 시공되는 합벽의 후방에 서로 일정 간격 떨어져 좌우로 배열된 다수의 H파일; 중력방향에 상응하는 방향으로 상기 H파일 노출면에 고정되는 종장근(縱長筋)과, 상기 H파일과 상기 종장 근의 전방으로 서로 일정 간격을 두고 상하로 다수 돌설되어 있으며 각각의 상부에 상기 골조체가 얹혀지는 횡단근(橫短筋)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골조체 지지구; 및 상기 골조체과 상기 거푸집패널을 연결하도록 상기 패널의 끼움공 마다 위치하는 연결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In addition, the truss frame system for plywo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formwork panel in which a plurality of fitting holes spaced apart at regular intervals; A two-dimensional or three-dimensional frame structure consisting of two or more cast iron bars keeping a gap corresponding to the thickness of the construction wall and lattice bars for maintaining and reinforcing the gap of the cast iron bars; A plurality of H piles arranged laterally apart from each other at a rear of the construction wall; The longitudinal muscles fixed to the H pile exposed surface in a direction corresponding to the direction of gravity, and the front and rear of the H pile and the longitudinal muscles are plurally up and down at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each other. Frame support including a transverse muscle (橫 短 筋) on which the frame is placed; And it comprises a connecting means positioned for each fitting hole of the panel to connect the frame and the formwork panel.

합벽, H파일, 골조시스템, 골조체, 거푸집패널, 지지구, 연결수단. 간격유지구 Plywood, H-pile, frame system, frame, formwork panel, support, connecting means. Spacing

Description

골조체 지지구를 이용한 합벽용 트러스 골조시스템{TRUSS FRAMEWORK SYSTEM FOR COMBINED SLURRY WALL USING SUPPORTING IMPLEMENT}Truss frame system for plywood using frame support {TRUSS FRAMEWORK SYSTEM FOR COMBINED SLURRY WALL USING SUPPORTING IMPLEMENT}

도 1a 및 도 1b는 각각 특허등록 제0416835호의 공보 제1도 및 제3도에 도시된 합벽의 개략적인 평단면도 및 확대 단면도,1A and 1B are schematic plan cross-sectional and enlarged cross-sectional views of a plywood wall shown in FIGS. 1 and 3 of Publication No. 0416835, respectively;

도 2a는 본 발명에 따른 골조시스템의 분해 사시도,Figure 2a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skeleton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b는 본 발명에 따른 골조시스템의 설치 평단면도,Figure 2b is a plan sectional view of the installation of the skeleton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골조체 지지구와 H파일의 분해사시도,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frame support and the H pi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a 및 도 4b는 H파일이 중력방향에서 벗어났을 경우 본 발명에 따를 지지구를 이용하여 이를 보정하는 것을 나타낸 측면도 및 정면도,Figures 4a and 4b is a side view and a front view showing the correction using the suppor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H-file is out of gravity direction,

도 5는 도 2a에 활용된 연결수단의 사시도,5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connection means utilized in Figure 2a,

도 6a는 도 5와는 다른 형태의 연결수단의 사시도,Figure 6a is a perspective view of a connecting means of a different form from Figure 5,

도 6b는 도 6a의 연결수단이 고정되어 있고, 도 2a에 도시된 골조체와는 다른 형태를 갖는 골조체의 사시도,Figure 6b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frame is fixed to the connecting means of Figure 6a, having a different form from the frame shown in Figure 2a,

도 6c는 도 6b의 골조체와 거푸집패널의 결합단면도,Figure 6c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union of the frame and the formwork panel of Figure 6b,

도 7는 또 다른 형태의 연결수단을 도시한 사시도,7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other form of connecting means,

도 8a는 연결수단의 노출부와 활주판의 의 결합과정을 나타낸 사시도,Figure 8a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upling process of the exposed portion of the connecting means and the sliding plate,

도 8b는 연결수단 고정구가 부착된 거푸집패널의 사시도,8b is a perspective view of a formwork panel to which a connecting means fixture is attached;

도 8c는 다른 형태의 고정구를 나타낸 사시도,8C is a perspective view of another type of fastener;

도 8d는 거푸집패널 연결구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8D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formwork panel connector.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Description of the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 골조체 11A,11B: 주철근10: frame 11A, 11B: cast steel

13: 래티스철근 20: 거푸집패널13: Lattice rebar 20: Formwork panel

23: 끼움공 H: H파일23: fitting hole H: H file

30: 골조체지지구 31: 종장근(縱長筋)30: skeletal support 31: longitudinal muscles

33: 횡단근(橫短筋) 35: 이탈방지돌기33: transverse muscle 35: departure preventing protrusion

40: 연결수단 41: 결합부40: connecting means 41: coupling portion

43: 지지부재 44: 연결부43: support member 44: connecting portion

45: 노출부 45A: 단면적확장부45: exposed part 45A: cross-sectional area extension part

50: 고정구 50A: 활주판50: fixture 50A: sliding plate

51: 접촉부 53: 쐐기부51: contact portion 53: wedge portion

53A: 슬릿 50B: 고정판53A: Slit 50B: Fixed plate

55: 삽입공 57: 고정공55: insertion hole 57: fixing hole

60: 패널연결구 61: 결합부재60: panel connector 61: coupling member

61A: 걸림브라켓 63: 결합공61A: Hanging bracket 63: Coupling hole

65: 연결부재 65A: 결속장공65: connecting member 65A: binding slot

본 발명은 건물 또는 도로 토목공사시 토류를 방지하기 위한 합벽을 시공할 때 사용되는 합벽용 트러스 골조시스템과 상기 골조시스템에 사용되는 트러스 골조체 지지구에 관한 것으로,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russ frame system for plywood used when constructing a plywood wall to prevent soil during building or road civil works, and a truss frame support used for the frame system.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골조체 지지구를 통하여 H파일(pile)이 똑바로 박히지 않은 경우에도 합벽의 균형에 영향이 없도록 함과 아울러, In more detail, even when the H-pile is not straight through the frame support, there is no influence on the balance of the plywood,

합벽의 두께에 맞게 건설현장에서 작업자가 일일이 철근의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한 상태로 상호 결속하여 골조를 형성하는 배근과정을 생략하기 위하여 트러스 골조체를 도입하고, 상기 골조체 지지구를 통하여 골조체의 배열이 획기적으로 쉽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합벽용 트러스 골조시스템에 관한 것이다.In the construction site according to the thickness of the plywood wall, the truss skeleton is introduced in order to omit the reinforcement process in which the workers bind to each other with a constant interval of the reinforcing bars to form a frame, and through the frame support. It relates to a truss frame system for plywood to facilitate the arrangement of the breakthrough.

일반적으로 합벽은 도로공사 또는 건물의 지반공사시에 지반 붕괴를 방지하기 위하여 설치된다. 종래 합벽의 축조에는 H파일이 주로 활용되고 있으며, 다양한 H파일을 활용한 합벽 축조 공법(예: 토류판, CIP, SWC, 시트파일, 그리고 지하 연속벽 등의 공법)이 공지되어 있다.In general, the plywood is installed to prevent ground collapse during road construction or ground construction of buildings. Conventionally, the H pile is mainly used for the construction of a plywood, and a plywood construction method using various H piles (for example, earth plate, CIP, SWC, sheet pile, and underground continuous wall) is known.

실용신안공개 제1998-0017205호(1998.07.06) 『거푸집패널 고정용 타이볼트 고정구』와 실용신안등록 제0342710호(2004.02.10) 『지하옥벽 구축용 거푸집패널 체결부재』에는 합벽의 목재 토류판에 체결되는 거푸집패널의 간격유지에 유용한 부재에 대하여 기재되어 있다. Utility Model Publication No. 1998-0017205 (July 06, 1998) `` Tiebolt Fixture for Formwork Panel Fixing '' and Utility Model Registration No. 0432710 (2004.02.10) `` Formwork Panel Fastening Member for Building a Building Wall, '' A member useful for maintaining the spacing of the formwork panel to be fastened is described.

상기 실용신안들과 실용신안공개 제1995-0033458호(1995.12.16) 『지하 옹벽 구축용 거푸집 고정장치』 등의 공보에 기재된 바와 같이 종래 목재 토류판을 이용한 합벽의 시공은 일정 간격으로 지반에 고정된 H파일의 날개 사이의 홈에 토류판을 고정한 다음 배근된 이형봉강을 사이에 두고 상기 토류판과 일정간격 떨어진 거푸집패널을 타이로드 등을 이용하여 고정하고, 토류판과 거푸집패널 사이에 콘크리트몰타르룰 투입하여 양생하는 거쳐 이루어진다.As described in the above-mentioned Utility Models and Utility Model Publication No. 1995-0033458 (December 16, 1995) `` Formation Fixing Device for Underground Retaining Wall Construction, '' construction of plywood walls using conventional wood earthen boards is fixed to the ground at regular intervals. Fix the earth plate in the groove between the blades of the H pile, and fix the formwork panel spaced apart from the earth plate by using a tie rod, etc., with the reinforcing mold bar sandwiched between them, and inject the concrete mortar rule between the earth plate and the form panel. Is done through.

그러나 이러한 합벽의 시공방식은 거푸집패널 내에 철근을 일일이 상호 결속하여 배근하여야 하는 불편함과 공기(工期) 증가, 노동력 낭비와 같은 문제점, 결국은 경제성의 문제점을 안고 있다.However, the construction method of the plywood has problems such as inconveniences of reinforcing the reinforcing bars in the formwork panel, reinforcement of air, increase of air, waste of labor, and economic problems.

이러한 배근의 비경제성을 해결하기 위하여 건물, 교량, 합벽 등의 시공에 트러스(truss)근을 이용하는 공법이 공지되어 있다.In order to solve such an economical efficiency of the reinforcement, there is known a method using a truss muscle for the construction of buildings, bridges, plywood and the like.

트러스 공법 중 합벽과 관련된 것으로 토류판 공법과 접목한 특허등록 제0416835호(2004.01.16) 『지하실 철근콘크리트 영구합벽』이 있다.Related to plywood among truss methods, there is a patent registration No. 0416835 (2004.01.16) which is combined with earth plate method.

상기 등록 특허의 공보의 제1도 및 제3도를 도시한 첨부된 도 1a 및 도 1b에 서와 같이, 상기 등록특허의 합벽은 흙막이용 엄지말뚝(1)에 J형 띠쇠(3)와 ㄷ형 띠쇠(33)의 타입 고리(31)로 고정하여 수직 스토퍼(35)를 세우고 여기에 철선트러스(2)를 얹도록 구성함에 있어서, 상기 철선트러스(2)는 상?하현재(21,22)를 수평 내?외근으로 삼고 수직 외주근(25)과 수직 내주근(26)으로 배근하여 거푸집판(6)을 대도록 구성하고, 상기 거푸집판(6)에 나사형 후크볼트(5)나 절단형 후크볼트(5a)로 하현재(22)에 걸어 고정시키고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양생시킨 후 후크볼트(5a)를 분리하여 거푸집을 탈형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As shown in Figs. 1A and 1B of Figs. 1A and 3B of the publication of the registered patent, the plywood of the registered patent is J-shape (3) and c-type on the thumb pile (1) In order to fix the vertical stopper 35 by fixing it with the type ring 31 of the collar 33 and to place the iron truss 2 on it, the iron truss 2 is upper and lower chords 21 and 22. The horizontal inner and outer muscles and the vertical outer periphery (25) and the vertical inner periphery (26) are arranged to face the formwork plate (6), the formwork plate (6) threaded hook bolt (5) or cut type The hook bolt 5a is fixed to the lower chord 22 and fixed by pouring concrete, and then the hook bolt 5a is separated to form a die.

도면에서 각 참조부호와 구성요소의 대응관계는 다음과 같다.Correspondence of each reference numeral and components in the drawings are as follows.

1: 엄지말뚝 2: 철선트러스 21: 상현재 22: 하현재 1: thumb pile 2: steel truss 21: high current 22: low current

23: 래티스재 24: 하고리 25: 수직내주근 26: 수직외주근23: lattice material 24: ring 25: vertical inner root 26: vertical outer root

3: J형 띠쇠 31: 타입고리 32; 후크 33: ㄷ형 띠쇠3: J-shape 31: type ring 32; Hook 33: U-shaped shackle

34: 볼트너트 35: 수직스토퍼 4: 토류판 5: 나사형후크볼트34: Bolt nut 35: Vertical stopper 4: Earth plate 5: Threaded hook bolt

5a: 잘단형후크볼트 51: 4각머리 52: ㅁ형 와셔5a: Single-head hook bolt 51: Square head 52: K-type washer

53: 너트 6: 거푸집판 7: 볼트구멍 53: nut 6: formwork 7: bolt hole

그러나 상기 등록특허는 비록 트러스 방식을 이용함에도 불구하고, 하나의 H파일의 전방 날개에 J형띠쇠(3)와 ㄷ형띠쇠(33)를 볼트(34)를 이용하여 일일이 고정하는 작업과 J형띠쇠(3)의 고리에 트러스(2)의 수직외주근(26)을 일일이 고정하는 작업으로 인하여 시공성이 떨어지게 되고, 확고한 고정을 위해서는 결국 J형띠쇠(3) 및 ㄷ형띠쇠(33)를 엄지말뚝(1)에 용접하는 것이 필요하게 되므로 트러스 방 식을 이용한 배근 과정의 경제성 향상 효과는 퇴색될 수밖에 없다.However, although the registered patent uses a truss method, the J-type bolt 3 and the c-type bolt 33 are fixed to the front wing of one H-pile using bolts 34 and J-type bolts. Due to the work of fixing the vertical outer circumference (26) of the truss (2) to the ring of (3) one by one, the workability is inferior, and in order to firmly fix the J-shaped bolt (3) and the c-shaped bolt (33) the thumb pile ( Since it is necessary to weld in 1), the economic improvement effect of the reinforcement process using the truss method is inevitably faded.

또 상기 등록특허는 H파일, 즉 엄지말뚝(1)이 중력방향을 벗어나 고정됨으로 인하여 합벽이 균형을 잃게 되는 문제점에 대한 해결수단이 제시되어 있지 않다.In addition, the registered patent does not present a solution for the problem that the plywood wall is unbalanced because the H pile, that is, the thumb pile 1 is fixed out of the gravity direction.

본 발명은 종래의 H파일을 활용한 합벽 축조공법에서 배근과정의 비경제성을 해소하고, H파일이 중력방향을 벗어나 고정된 경우 축조되는 합벽이 균형을 잃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roposed to solve the problem of resolving the inconsistency of the reinforcement process in the conventional plywood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 H pile, and to lose the balance of the plywood to be built when the H pile is fixed out of the gravity direction.

이에 본 발명은 합벽 축조에 트러스 골조체를 도입할 경우 여전히 남아 있는 배근과정의 번거로움과 복잡성을 획기적으로 줄이고 H파일이 중력방향을 벗어남으로 인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트러스 골조체 지지구를 제공하고, 이 지지구를 이용한 트러스 골조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truss frame support for drastically reducing the hassle and complexity of the reinforcement process still remaining when introducing the truss frame to the plywood construction, and to solve the problem caused by the H-file deviating from the direction of gravity.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truss frame system using this support.

또 본 발명은 트러스 골조체와 거푸집패널의 간편한 연결을 보장하는 다양한 연결수단과 고정구를 골조시스템에 도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In addition,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introduce a variety of connecting means and fixtures to the frame system to ensure easy connection of the truss frame and the formwork panel.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합벽용 골조체 지지구는 중력방향에 상응하는 방향으로 H파일 노출면에 고정되는 종장근(縱長筋); 및 상기 H파일과 상기 종장근의 전방으로 서로 일정 간격을 두고 상하로 다수 돌설되어 있으며, 각각의 상부에 골조체가 얹혀지는 횡단근(橫短筋)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lywood frame support bod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fixed to the H-pile exposed surface in a direction corresponding to the direction of gravity (縱 長 筋); And a plurality of protrusions up and down at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front of the H-file and the longitudinal muscle, and includes a transverse muscle (橫 短 筋) on which the skeleton is placed.

또 본 발명에 따른 합벽용 트러스 골조시스템은 일정 간격 떨어진 다수의 끼움공이 천공 형성되어 있는 거푸집패널; 시공되는 합벽의 두께에 상응하는 간격을 유지하고 있는 둘 이상의 주철근, 그리고 상기 주철근의 간격유지와 보강을 위한 래티스철근으로 이루어진 2차원 또는 3차원 형상의 골조체; 시공되는 합벽의 후방에 서로 일정 간격 떨어져 좌우로 배열된 다수의 H파일; 중력방향에 상응하는 방향으로 상기 H파일 노출면에 고정되는 종장근(縱長筋)과, 상기 H파일과 상기 종장근의 전방으로 서로 일정 간격을 두고 상하로 다수 돌설되어 있으며 각각의 상부에 상기 골조체가 얹혀지는 횡단근(橫短筋)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골조체 지지구; 및 상기 골조체과 상기 거푸집패널을 연결하도록 상기 패널의 끼움공 마다 위치하는 연결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In addition, the truss frame system for plywo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formwork panel in which a plurality of fitting holes spaced apart at regular intervals; A two-dimensional or three-dimensional frame structure consisting of two or more cast iron bars keeping a gap corresponding to the thickness of the construction wall and lattice bars for maintaining and reinforcing the gap of the cast iron bars; A plurality of H piles arranged laterally apart from each other at a rear of the construction wall; The longitudinal muscles fixed to the H-pile exposed surface in a direction corresponding to the direction of gravity, and the front and rear of the H-pile and the longitudinal muscles are plurally up and down at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each other. Frame support including a transverse muscle (橫 短 筋) on which the frame is placed; And it comprises a connecting means positioned for each fitting hole of the panel to connect the frame and the formwork panel.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a 및 도 1b에 도시된 종래 골조시스템과 관련된 참조부호와 도 2a 이하에 도시된 본 발명에 따른 골조시스템의 각 구성요소의 참조부호는 상호 무관한 부재를 지칭하는 것이다.Reference numerals associated with the conventional framework system shown in FIGS. 1A and 1B and reference numerals of each component of the framework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FIG. 2A below refer to mutually unrelated members.

또 도 2a 이하의 각 도면에서 십의 자리 및 일의 자리, 또는 십의 자리, 일의자리 및 알파벳이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기능을 갖는 부재를 지칭하며, 특별한 언급이 없는 한 이러한 기준에 의하여 참조부호와 구성요소와의 상관관계를 이 해하면 된다.In addition, in each of the drawings of FIG. 2A and the following, the tens and ones place, or the tens, ones place, and the same reference numeral refer to a member having the same function. You just need to understand the correlation between the sign and the component.

한편 본 발명에 따른 골조체 지지구 및 골조시스템을 설명함에 있어 방향성과 관련하여 도 2a에서, 골조체(10) 지지구(30)가 부착된 H파일 노출면 쪽을 전방이라 하고, 그 반대쪽을 후방으로 정하며, 중력방향을 기준으로 상하를 정하고, 상기 H파일(H)의 전방 노출면을 바라 본 상태에서 좌우를 정한다.Meanwhile, in describing the frame support and the frame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FIG. 2A, the exposed side of the H-pile on which the support frame 30 is attached is referred to as the front side, and the opposite side is illustrated in FIG. 2A. It is determined to be rearward, up and down is determined based on the direction of gravity, and left and right are determined while looking at the front exposed surface of the H-pile (H).

먼저 도 2a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골조체(10)를 위한 지지구(30)는 중력방향에 상응하는 방향으로 H파일(H)의 전방 노출면에 고정되는 종장근(縱長筋)(31)과, 상기 H파일(H)과 상기 종장근(31)의 전방으로 서로 일정 간격을 두고 상하로 다수 돌설되어 있으며, 각각의 상부에 골조체(10)가 얹혀지는 횡단근(橫短筋)(33)을 포함한다.First, as shown in FIGS. 2A and 3, the support 30 for the frame 10 is longitudinally fixed to the front exposed surface of the H pile H in a direction corresponding to the direction of gravity. ) 31, the H pile (H) and the longitudinal muscles 31 in front of each other at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each other up and down, the transverse muscle (혀) is placed on each of the skeleton (10) Iii) 33.

상기 종장근(31)과 상기 횡단근(33)은 통상적으로 건축에 많이 사용되는 이형봉강(도면에서는 간략화를 위하여 밋밋한 형태로 도시)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때 상기 횡당근(33)의 후방 단부에는 종장근(31)과의 용접 결합 면적을 넓히기 위한 절곡부(33A)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longitudinal root 31 and the transverse muscle 33 may be made of a deformed bar (shown in a flat form for the sake of simplicity in the drawing) that is commonly used in construction, and at the rear end of the transverse carrot 33 It is preferable that the bent part 33A for forming the welding joint area with the longitudinal root 31 is formed.

또 상기 횡단근(33)의 각 전방 단부에는 상부로 돌설된 골조체 이탈방지 돌기가 더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한데,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돌기는 판상의 부재(35)를 횡단근(33)의 전방 절곡부(33B)에 용접 결합한 형태로 이루어진다. 상기 판상부재로 이루어진 돌기(35)에는 골조체(10)의 전방 주철근(11A)이 수용될 수 있는 요홈(35a)이 형성되어 있다.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each of the front end of the transverse muscle 33 is further formed a skeleton departure prevention projection protruding upwards, as shown in the projection is a plate-like member 35 of the transverse muscle 33 It is made of a form that is welded to the front bent portion (33B). The protrusion 35 made of the plate member is formed with a recess 35a in which the front main reinforcing bar 11A of the frame 10 can be accommodated.

다음으로 도 2a 및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트러스 골조시스템(F)은 지반에 고정된 H파일(H), 상기 H파일(H)의 노출면에 고정된 지지구(30), 상기 지지구(20)의 횡단근(33) 상부에 얹혀지는 골조체(10), 거푸집패널(20), 상기 골조체(10)와 상기 패널(20)을 연결하는 연결수단(240)을 포함한다.Next, as shown in Figures 2a and 2b, the truss frame system (F)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the H pile (H) fixed to the ground, the support 30 fixed to the exposed surface of the H pile (H) ), Connecting means 240 for connecting the frame body 10, the formwork panel 20, the frame body 10 and the panel 20 mounted on the transverse muscle 33 of the support 20, It includes.

또 본 발명의 트러스 골조시스템(F)은 상기 골조체(10)의 전방 주철근(11A)과 상기 거푸집패널(20)을 일정 간격 떨어뜨리는 간격유지수단을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truss frame system (F)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space maintaining means for separating the front main reinforcing bar (11A) and the formwork panel 20 of the frame (10) by a predetermined distance.

상기 골조체(10)가 공장에서 기성품으로 생산될 경우에는 서로 일정 간격 떨어져 있는 두 주철근(11A)(11B)과 상기 주철근의 간격유지와 보강을 위한 래티스철근(13)으로 되어 있다. When the frame 10 is produced as a ready-made product in a factory, it is composed of two main reinforcing bars 11A and 11B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a lattice reinforcing bar 13 for maintaining and reinforcing the spacing of the main reinforcing bars.

상기 래티스철근(13)은 지그재그 형태로 절곡되어 그 절곡부위 마다 상기 주철근(11A)(11B)과 결합된 형태일 수 있지만,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두 주철근(111A)(111B)과 수직 교차하는 형태의 래티스철근(113)을 갖는 골조체(110)로 변형될 수도 있다.The lattice reinforcing bar 13 may be bent in a zigzag form and may be combined with the main reinforcing bars 11A and 11B at each bent portion thereof, but as shown in FIG. 6B, the two reinforcing bars 111A and 111B are perpendicular to each other. It may be transformed into a frame (110) having a lattice reinforcing bar 113 of the cross shape.

또 도 2b에서와 같이, 상기 지지구(30)에 상하로 배열된 각 골조체(10)는 필요할 경우 별도의 종방향 보강철근(15)을 이용하여 상호 결속될 수도 있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ure 2b, each of the frame 10 arranged up and down on the support 30 may be bound to each other using a separate longitudinal reinforcement (15) if necessary.

본 발명에서 상기 골조체는 도시된 바와 같이 가상의 동일 평면상에서 둘 이상의 주철근을 배열한 2차원 형태이거나, 서로 다른 평면상에서 셋 이상의 주철근을 배열한 3차원 형태로도 제조될 수 있는데, 이때 배열된 주철근 사이의 거리는 건설되는 합벽의 두께에 상응하게, 즉 주철근 사이의 간격이 상기 합벽의 두께 보다 좁게 배열되어야 한다는 제한을 받는다. 이러한 제한은 타설된 합벽에서 콘크리트 외부로 철근, 특히 주철근이 노출되지 않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In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the skeleton may be manufactured in a two-dimensional form in which two or more cast irons are arranged on a virtual same plane, or in a three-dimensional form in which three or more cast irons are arranged on different planes. The distance between the main bars is limited to correspond to the thickness of the wall to be constructed, that is, the spacing between the main bars should be arranged to be narrower than the thickness of the wall. This restriction is intended to prevent reinforcing bars, in particular cast iron, from the cast-in plywood outside the concrete.

다음으로 상기 거푸집패널(20)은 일정 간격 떨어진 다수의 끼움공(21)이 천공되어 있으며, 흔히 사용되는 상표명 베니어합판과 같은 목재, FRP와 같은 합성수지 소재, 또는 금속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고, 반복된 사용을 위하여 상기 패널(20)의 콘크리트 몰타르와의 접촉면, 즉 후면에는 공지된 코팅제가 도포될 수 있다.Next, the formwork panel 20 has a plurality of fitting holes 21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t a predetermined interval, and may be made of wood such as a commonly used brand name veneer plywood, synthetic resin material such as FRP, or metal material, and repeated. For use, a known coating may be applied to the contact surface of the panel 20 with the concrete mortar, i.e., the rear surface.

상기 H파일(H)은 다양한 합벽 공법에 따라 지반에 고정된 것일 수 있는데, 예를 들어 주열식 현장타설 말뚝 공법의 일종인 CIP(cast in place pile) 공법에 따라 지반 상에 보링 머신 등을 이용하여 소정 직경의 구멍을 천공하고, 이 천공된 구멍 내에 H파일을 삽입한 후, 그 나머지 부위에 자갈 등을 채우고 시멘트를 주입하여 타설하여 고정된 것일 수 있다.The H pile (H) may be fixed to the ground according to various plywood methods, for example, by using a boring machine on the ground according to the cast in place pile (CIP) method, which is a kind of cast-in-place casting pile method By drilling a hole of a predetermined diameter, the H-file is inserted into the perforated hole, and then filled with gravel and the like in the remaining portion may be fixed by pouring.

또 SCW(soil cement wall) 공법에 따라 계획 심도까지 보링장치(예: 3축 오거)로 천공한 후, 형성된 구멍에 시멘트를 주입한 다음 H파일을 응력재로 삽입하여 고정된 것일 수 있다.In addition, after drilling with a boring device (for example, three-axis auger) to the planned depth in accordance with the SCW (soil cement wall) method, it may be fixed by injecting cement into the formed hole and then inserting the H pile into the stress material.

도 2b에 도시된 H파일(H)은 이와 같은 CIP 또는 SCW 공법에 따라 고정된 형태이다.H file (H) shown in Figure 2b is fixed in accordance with the CIP or SCW method.

본 발명에 따른 골조체(10) 지지구(30)를 합벽 축조에 도입할 경우의 이점은 지반에 고정된 H파일이 중력방향을 벗어났을 경우, 삐뚤어진 H파일로 인하여 타설된 합벽의 두께가 불균일해지거나 기울어져 균형을 잃는 경우를 방지할 수 있기 때문이다.The advantage of introducing the framework 10 support 30 to the plywood wall constru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that when the H-file fixed on the ground is out of the gravity direction, the thickness of the plywood wall poured due to the skewed H-file is uneven This is because it prevents the balance from being lost or tilted.

이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먼저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H파일(H)이 좌우로 기울어져 중력방향(G)을 벗어났을 경우, 지지구(30)의 중력방향에 일치하도록 H파일(H)의 노출면에 용접하여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More specifically, first, as shown in FIG. 4A, when the H file H is inclined to the left and the outside of the gravity direction G, the H file H to match the gravity direction of the support 30. The problem can be solved by welding to the exposed surface of.

또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H파일(H)이 전후로 기울어졌을 경우에는 지지구(30)의 좌우 균형을 맞춰 H파일의 노출면에 용접하되 지지구(30)의 횡단근(33)의 길이를 달리하여 횡단근에 얹혀지는 골조체의 전후 균형을 맞추는 방식을 취할 수 있다. 도면에서는 H파일의 상단부가 전방으로 기울어진 형태이므로 하부에 위치하는 횡단근이 길고 상부에 위치하는 횡단근은 보다 짧게 되어 있다. In addition, as shown in FIG. 4B, when the H pile H is tilted back and forth, the left and right balances of the support 30 are welded to the exposed surface of the H pile, but the cross section 33 of the support 30 is welded. Different lengths can be used to balance the front and back of the skeleton on the transverse muscles. In the figure, since the upper end of the H pile is inclined forward, the transverse muscle located at the lower part is long and the transverse muscle located at the upper part is shorter.

만약 H파일의 상단부가 후방으로 기울어졌을 경우에는 반대의 방식으로 횡단근 길이를 조절하면 되고, 전후 및 좌우로 기울어진 H파일의 경우에는 도 4a 및 도 4b의 방식을 조합하여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If the upper end of the H pile is inclined rearward, the transverse muscle length may be adjusted in the opposite manner, and in the case of the H pile inclined back and forth and left and right, the combination of the methods of FIGS. 4A and 4B may be solved. .

도 2a 및 도 2b에서, 상기 H파일(H)의 전방 노출면에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지지구(30)가 고정되어 있다.2A and 2B, the support 30 is fixed to the front exposed surface of the H pile H as described above.

상기 지지구(30)의 횡단근(33) 상부 마다 얹혀진 상기 트러스 골조체(10)의 길이는 필요에 따라 가변되는데, 예를 들어 5 내지 10m 내외의 것이 사용될 수 있 다.The length of the truss frame 10 placed on each of the transverse muscles 33 of the support 30 is varied as necessary, for example, about 5 to 10m may be used.

상기 골조체(10)와 상기 거푸집패널(20)을 연결하도록 상기 패널(20)의 끼움공(21) 마다 위치하는 연결수단은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는데, 본 발명에서는 패널(20)과 골조체(10)의 연결 고정을 보다 쉽게 할 수 있도록 하는 다양한 연결수단을 제공한다. Connection means located for each fitting hole 21 of the panel 20 to connect the frame 10 and the formwork panel 20 can be implemented in various forms,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panel 20 and the frame It provides a variety of connecting means to make the connection of the sieve 10 more easily.

아울러 골조시스템(F)에서 골조체(10)의 전방 주철근(11A)과 상기 패널(20)은 간격유지수단에 의하여 서로 일정 간격 떨어져 있어 합벽의 콘크리트 양생 후 거푸집 패널을 제거하였을 때 합벽 전면에 골조체가 노출되지 않도록 되어 있는 것이 골조체(10)를 이루는 주철근(11A)의 부식방지를 위하여 바람직하다. In addition, in the frame system F, the front main reinforcing bars 11A of the frame 10 and the panel 20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gap maintaining means so that when the formwork panel is removed after concrete curing of the plywood, the front frame of the plywood is framed. It is preferable that the sieve is not exposed to prevent corrosion of the main reinforcing bar 11A constituting the frame 10.

이와 같은 간격유지수단은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그재그로 연속된 래티스근(23)의 절곡부가 하현재(22) 아래로 뻗은 하고리(24), 즉 돌출부일 수 있다.As shown in FIG. 1A, the gap maintaining means may be a ring 24, that is, a protrusion in which the bent portion of the lattice muscles 23 continuously arranged in a zigzag form extends below the lower chord 22.

아래에서 설명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특별히 이와 같은 연결수단과 간격유지수단이 복합되어 하나의 부재에 구현된 형태를 제안한다. 이와 같은 복합부재를 설명함에 있어 본 명세서에서는 편의상 연결수단으로 통칭한다.As will be described below, the present invention proposes a form in which the connection means and the space keeping means are particularly implemented in one member. In the description of such a composite member is referred to herein as a connecting means for convenience.

본 발명에 따른 골조시스템(F)에서 도 5, 도 6a, 및 도 7에 각각 도시된 연결수단은 공통적으로 골조체, 특히 주철근과의 연결을 위한 결합부, 패널(20)의 끼움공(21)으로 투입되어 패널 하부로 들어나는 노출부, 상기 결합부와 상기 노출부를 잇는 연결부, 그리고 일종의 간격유지수단으로 기능하는 평판형, 특히 돔(dome) 형태의 원반형 지지부재(다만 5의 지지부재는 콘 형태)를 가지며, 도 2a 및 도 2b 에 도시된 것과 같은 형태로 골조체(10) 및 패널(20)을 연결한다.In the frame system F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necting means shown in FIGS. 5, 6A, and 7, respectively, are commonly used in the fitting hole for the connection with the frame body, in particular, the main reinforcing bar, the fitting hole of the panel 20 (21). ) Is a flat plate-type, in particular a dome-shaped disc-shaped support member (except for the support member of 5), which is inserted into the panel and is exposed to the lower part of the panel, the coupling portion and the connection portion connecting the exposed portion, and a kind of space keeping means. Cone shape) and connects the frame 10 and the panel 20 in the form as shown in FIGS. 2A and 2B.

먼저 도 5에 도시된 연결수단(40)은 결합부(41)의 갈고리부(41A)를 통하여 상기 골조체(10), 특히 주철근 (11A)(11B) 중 어느 하나, 도 2a에서는 후방의 주철근(11B)에 연결되는데, 보다 확고한 결합을 위하여 주철근(11A)(11B)과 갈고리부(41A)는 용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First, the connecting means 40 shown in Figure 5 is any one of the frame 10, in particular the main reinforcing bars (11A) (11B) through the hook portion 41A of the coupling portion 41, the rear main reinforcing bar in Figure 2a 11B, the main reinforcing bars 11A and 11B and the hook portion 41A are preferably welded for more firm coupling.

또 도시된 연결수단(40)은 지지부재(43)가 콘 형상을 갖는 콘크리트 소재의 부재(43A)와, 콘크리트의 파손을 방지하기 위하여 이 부재의 상면부에 배열된 금속 또는 합성수지 소재의 와셔(43a)로 이루어져 있다.In addition, the connecting means 40 shown is a member 43A of a concrete material having a support member 43 having a cone shape, and a washer of metal or synthetic resin material arrang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member to prevent breakage of the concrete. 43a).

이와 같이 상기 콘 형상의 지지부재(43)가 콘크리트로 이루어질 경우 합벽의 타설 후 거푸집을 제거하여도 외부에 가능한 연결수단의 철근부재(연결부와 노출부를 이루는 부재)가 노출되지 않도록 하면서 동시에 연결수단과 콘크리트 합벽 사이의 결합력을 높일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when the cone-shaped support member 43 is made of concrete, the reinforcing members (members forming the connecting portion and the exposed portion) of the connecting means are not exposed to the outside even when the formwork is removed after placing the plywood wall. It can increase the bonding force between concrete plywood.

도 5에 도시된 연결수단(40)을 골조시스템(F)과 관련된 도 2a 및 도 2b에 채용할 경우, 상기 콘 형상의 지지부재(43)는 횡단면적이 넓은 상부가 상기 골조체(10)의 전방 주철근(11A)과 접촉하고, 횡단면적이 보다 좁은 하부가 거푸집의 패널(20) 후면과 접촉한다.When employing the connecting means 40 shown in Figure 5 in Figures 2a and 2b associated with the framework system (F), the cone-shaped support member 43 has a wide cross-sectional area of the upper frame 10 The front main reinforcing bar of 11A is in contact with, and a lower cross section is in contact with the rear panel 20 of the formwork.

즉, 상기 지지부재(43)는 상기 골조체(10)의 전방 주철근(11A))과 상기 거푸집 패널(20) 사이에 개재되어 있는 형태이다.That is, the support member 43 is interposed between the front main reinforcing bar (11A) and the formwork panel 20 of the frame (10).

도 5에서, 상기 콘 형상 부재(43A) 중심에는 너트부재로 이루어진 부싱(B)( 본 명세서에서는 이러한 기능의 부재를 ‘너트 부싱’이라 약칭함)이 구비되어 있다. In FIG. 5, the center of the cone-shaped member 43A is provided with a bushing B made of a nut member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 member of such a function is referred to as a 'nut bushing').

특히 도시된 너트 부싱(B)과 결합되는 연결부(44)의 볼트부(44a) 및 노출부(45)의 볼트부(45a)는 상호 연결되어 있고, 연결되어 있는 중간 정도의 위치에는 노치부(N)가 형성되어 있어, In particular, the bolt portion 44a of the connection portion 44 coupled to the nut bushing B shown and the bolt portion 45a of the exposed portion 45 are connected to each other, and the notch portion is connected to the intermediate position. N) is formed,

콘크리트 양생 후 거푸집 제거시 상기 노출부(45)를 너트 부싱(B)으로부터 제거할 경우 노출부(45)의 단면적확장부(45A)를 렌치 등의 공구로 잡고 회전시키면 상기 연결부(44) 및 노출부(45)의 각 볼트부(44a)(45a) 연결 중간부위의 노치부(N)를 기점으로 절단되어 쉽게 상기 노출부(45)를 분리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When removing the exposed part 45 from the nut bushing (B) when removing the formwork after curing of concrete, holding the cross-sectional extension 45A of the exposed part 45 with a tool such as a wrench and rotating the connection part 44 and the exposed part The notch part N of the intermediate part of the connection of each bolt part 44a and 45a of the part 45 is cut | disconnected as a starting point, and the said exposure part 45 is isolate | separated easily.

물론 상기 노치부(N)의 역할은 상기 연결부와 상기 노출부를 서로 다른 별도의 부재로 할 경우 동일하게 달성될 수 있으나, 상기 지지부재(43)에 연결부 및 끼움부를 각각 별도로 조립할 경우에는 작업의 복잡성과 단가 상승과 같은 문제점을 초래할 수 있다.Of course, the role of the notch portion (N) can be achieved in the same manner when the connecting portion and the exposed portion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but the complexity of the work in the case of assembling the connecting portion and the fitting portion separately to the support member 43 This can lead to problems such as higher prices.

이러한 부싱(B)과 노치부(N)는 콘 형상 부재 없이 도 6a 및 도 7의 연결수단에 도입될 수도 있다.The bushing B and the notch portion N may be introduced into the connecting means of FIGS. 6A and 7 without the cone-shaped member.

한편, 도 5에서, 상기 노출부(45)는 거푸집패널(20)의 끼움공(21)을 통과하여 패널(20) 전방 외측에 위치하며, 상기 노출부(45) 단부에는 횡단면 면적이 증가된 단면적확장부, 상세하게는 횡단면이 다각형인 확장부, 보다 상세하게는 횡단면이 육각형인 확장부(45A)가 형성되어 있어, 도 2a, 도 2b 및 도 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거푸집패널(20)을 골조체(10)에 밀착시켜 고정하기 위한 고정구를 이루는 활주판(50A)과의 결합으로 상기 연결수단(40)의 지지부재(43)와 거푸집 패널(20)의 밀착결합을 가능하게 한다. On the other hand, in Figure 5, the exposed portion 45 is located outside the panel 20 through the fitting hole 21 of the formwork panel 20, the cross-sectional area is increased at the end of the exposed portion 45 A cross-sectional area extension, in particular, an extension having a polygonal cross section and an expanded portion 45A having a hexagonal cross section is formed, and as shown in FIGS. 2A, 2B and 8A, the formwork panel 20 ) Is coupled to the slide plate (50A) to form a fixture for tightly fixing to the frame (10) to enable a close coupling of the support member 43 and the formwork panel 20 of the connecting means (40). .

상기 활주판(50A)은 최저점 부근의 확장부(53a)와 최저점에서 최고점까지 이어져 있으며 상기 확장부(53a)와 연통된 협소부(53b)로 이루어진 슬릿(53A)이 형성되어 있다. 또 활주판(50A)의 양단은 일정 각도로 절곡된 상승부(51c,51d)가 형성되어 있어, 상기 상승부를 망치와 같은 공구로 살짝살짝 쳐서 활주판(50A)이 상기 연결수단(40) 노출부(45)를 쉽게 물거나 풀 수 있게 하기 위한 타격부위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The slide plate 50A is formed with a slit 53A consisting of an extended portion 53a near the lowest point and a narrow portion 53b communicating with the expanded portion 53a. In addition, both ends of the slide plate (50A) is formed with raised portions (51c, 51d) bent at a predetermined angle, the sliding plate 50A is exposed to the connecting means 40 by gently beating the raised portion with a tool such as a hammer. It is to provide a hitting part for making it easy to bite or loosen the portion 45.

도 2b에서 참조부호 50a는 상기 활주판(50A)과 연결수단(40)의 단면적확장부(45A)가 밀착될 수 있도록 하는 보조수단으로, 거푸집패널(20)의 폭 전체에 해당하는 길이를 갖을 수 있으며, 노출부(45)가 끼워지는 구멍(50h)이 형성되어 있다.In FIG. 2B, reference numeral 50a is an auxiliary means for allowing the slide plate 50A to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cross-sectional extension 45A of the connecting means 40, and has a length corresponding to the entire width of the formwork panel 20. And a hole 50h into which the exposed portion 45 is fitted.

또 상기 단면적확장부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골조시스템(F)에 콘크리트를 양생한 후 거푸집 패널(20)을 해체할 때 양생된 콘크리트 구조체 외면에 노출되는 노출부(45)를 상기 노치부(N)를 기점으로 절단하여 제거할 경우 상기 육각형 단면을 갖는 단면적확장부(45A)를 렌치 등의 공구로 파지한 후 돌려 노출부(45)를 보다 쉽게 제거할 수 있도록 한다.In addition, the cross-sectional area expansion portion is exposed to the exposed portion 45 expos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cured concrete structure when dismantling the formwork panel 20 after curing the concrete in the framework system (F) to the notch portion (N) When cutting to remove the starting point, the cross-sectional area extension portion 45A having the hexagonal cross section is gripped with a tool such as a wrench and then rotated so that the exposed portion 45 can be more easily removed.

상기 단면적확장부(45A)는 그 외경이 상기 패널의 끼움공(21) 내경보다 크거나 작을 수 있으나, 도 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패널(20)에 전면에 위치하는 활주판(50A)과의 결합을 고려할 때 단면적확장부의 외경은 끼움공(21)의 내경, 고 정판(50B) 삽입공(55)의 내경, 그리고 활주판(50A)의 슬릿(53A) 확장부(53a)의 내경 보다 작고, 상기 활주판(50A)의 슬릿(53A) 협소부(53b)의 틈새 폭 보다 큰 것이어야 한다.The cross-sectional area extension portion 45A may have an outer diameter greater than or smaller than an inner diameter of the fitting hole 21 of the panel, but as shown in FIG. 8A, the sliding plate 50A positioned at the front surface of the panel 20 and the slide plate 50A. When considering the coupling of the outer diameter of the cross-sectional area expansion portion than the inner diameter of the fitting hole 21, the inner diameter of the fixing plate 50B insertion hole 55, and the inner diameter of the slit 53A extension 53a of the sliding plate 50A It should be small and larger than the gap width of the narrow portion 53b of the slit 53A of the slide plate 50A.

이와 같은 노출부의 단면적확장부는 도 6a 및 도 7의 연결수단에 도시된 바와 같은 패널(20)과 골조체(10)의 연결을 위한 연결수단(140)(240)에서 역시 공통적이다.Such cross-sectional extension of the exposed part is also common in the connecting means 140 and 240 for connecting the panel 20 and the frame 10 as shown in the connecting means of FIGS. 6A and 7.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골조시스템에서 상기 활주판(50A)의 기능을 위하여 필수적이다. In addition, it is essential for the function of the sliding plate (50A) in the skeleton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즉, 도 2a, 도 2b, 도 8a에서, 상기 패널(20)의 끼움공(21) 및 상기 활주판(50A) 슬릿(53A)의 확장부(53a)로 투입되어 상기 패널(20) 전면으로 나오는 노출부(45)가 도 8a에서와 같은 쐐기 형상의 활주판(50A)의 이동으로 상기 슬릿(53A)의 협소부(53b)에 의하여 물리고, 상기 단면적확장부(45A)에 의하여 상기 활주판(50A), 결국은 거푸집패널(20)의 이탈이 제한받게 된다.That is, in FIGS. 2A, 2B, and 8A, the fitting hole 21 of the panel 20 and the expansion part 53a of the sliding plate 50A slit 53A are introduced to the front of the panel 20. The exposed portion 45 is picked up by the narrow portion 53b of the slit 53A by the movement of the wedge-shaped slide plate 50A as shown in FIG. 8A, and the slide plate by the cross-sectional area extension portion 45A. 50A, eventually, the departure of the formwork panel 20 is restricted.

다음으로 도 6a의 도시된 연결수단(140)은 결합부(141)의 상부 갈고리부(141A)를 통하여 도 6b에 도시된 골조체(110)의 후방 주철근(111B)에 연결되고, 결합부(141)의 하부 갈고리부(141B)를 통하여 전방 주철근(111A)과 연결되는데, 보다 확고한 결합을 위하여 주철근(111A)(111B)과 갈고리부(141A)(141B)는 용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Next, the connecting means 140 of FIG. 6A is connected to the rear cast iron 111B of the frame 110 shown in FIG. 6B through the upper hook portion 141A of the coupling portion 141, and the coupling portion ( It is connected to the front main reinforcement 111A through the lower hook portion 141B of the 141, the main reinforcing bars (111A) 111B and the hook portion (141A) (141B) is preferably welded for a more firm coupling.

또 도시된 연결수단(140)을 이루는 결합부(141) 및 연결부(144), 그리고 노 출부(145) 모두가 하나의 봉강을 절곡시키고 변형시킨 형태의 것인데, 이러한 연결수단은 당업자에 의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In addition, the coupling portion 141 and the connecting portion 144 constituting the connecting means 140, and the exposure portion 145 are all of the form of bending and deformation of one bar, such a connection means various modifications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is is possible.

이어서 상기 갈고리부(141B) 하부에 배열되어 있으며 거푸집 패널(20)의 후면과 접촉하는 지지부재(143)로써, 상기 갈고리부(141B) 하부로 뻗어 있는 연결부(144)에 결합된 판상부재, 특히 돔(dome) 형태의 원반 형상인 지지부재(143)와 상기 지지부재(143)의 상부 이동을 제한하기 위한 멈춤돌기가 구비되어 있다.Subsequently, a support member 143 which is arranged under the hook portion 141B and contacts the rear surface of the formwork panel 20, and is a plate member coupled to the connection portion 144 extending below the hook portion 141B. A dome-shaped disc-shaped support member 143 and a stopper for limiting the upper movement of the support member 143 are provided.

도시된 멈춤돌기(144A)는 상기 연결부(144) 자체를 납작하게 가압하여 변형시켜 형성된 것으로서, 골조시스템(F)에 콘크리트를 양생한 후 거푸집 패널(20) 해체 분리시 양생된 콘크리트 구조체 외면에 돌출된 노출부(145)를 제거할 때 상기 멈춤돌기(144A)의 하부가 노출부를 위한 분리 기점으로 작용할 수 있다. 즉 상기 멈춤돌기(144A) 자체가 노치(notch)부와 같은 기능을 할 수 있다.The detent protrusion 144A shown is formed by deforming the connecting portion 144 by flat pressing, and cures concrete in the frame system F, and then protrudes on the outer surface of the cured concrete structure during disassembly of the formwork panel 20. When removing the exposed portion 145, the lower portion of the stop 144A may serve as a separation point for the exposed portion. That is, the stopper 144A itself may function as a notch part.

나아가 상기 돔 형태를 갖는 원반 부재(143)는 도 6c의 부분 확대된 원에서와 같이 콘크리트 몰타르가 투입되지 않는 공간부(R)를 형성할 수 있어 거푸집 패널(20)의 끼움공(21)을 통하여 몰타르가 외부로 분출되지 않도록 할 수 있는데, 이러한 몰타르 유실 방지 효과는 상기 원반 부재(143)가 도시된 것과 달리 반대로 뒤집혀 배열된 경우에 비하여서도 더 뛰어나다.Furthermore, the disk member 143 having the dome shape may form a space portion R, into which the concrete mortar is not injected, as in the partially enlarged circle of FIG. 6C, thereby closing the fitting hole 21 of the form panel 20.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mortar is not ejected to the outside, this mortar loss prevention effect is superior to the case when the disc member 143 is arranged upside down unlike the illustrated.

도 6c에서 참조부호 50B는 도 8b와 관련하여 아래에서 설명할 활주수단의 일종인 고정판(50B)으로 활주판(50A)과 함께 고정구(50)를 이루며, 이러한 고정구가 부착된 패널(20)은 거푸집조립체(M)를 형성한다.In FIG. 6C, reference numeral 50B is a fixing plate 50B, which is a kind of sliding means to be described below with reference to FIG. 8B, and forms a fixture 50 together with the slide plate 50A, and the panel 20 to which the fixture is attached. Formwork assembly (M) is formed.

아울러 상기 돔 형태를 갖는 원반 부재(143) 내부에 몰타르가 유입되지 않으 므로 콘크리트 양생 후 거푸집 제거시 상기 연결수단(140))의 노출부(145) 제거와 함께 원반부재(143) 자체의 제거 또한 가능하므로 분리된 원반을 재활용할 경우 자재비 절약면에서 뛰어나다. In addition, since the mortar is not introduced into the disk member 143 having the dome shape, the removal of the disk member 143 itself together with the removal of the exposed portion 145 of the connecting means 140 when removing the formwork after curing the concrete. Since it is possible to recycle the separated disk, it is excellent in terms of material cost saving.

또 상기 노출부(145)는 거푸집 패널(20)의 끼움공(21)을 통과하여 패널(20) 전면에 위치하며, 상기 노출부(45) 단부에는 횡단면이 육각형인 확장부(145A)가 형성되어 있다. In addition, the exposed portion 145 passes through the fitting hole 21 of the formwork panel 20 and is positioned in front of the panel 20. An extended portion 145A having a hexagonal cross section is formed at the end of the exposed portion 45. It is.

도 6a의 연결수단(140)은 도 5의 연결수단(40)에 비하여 연결부(144)와 노출부(145)를 연결한 가상의 직선과 상기 두 갈고리부(141A)(141B)에 위치한 상기 골조체(110)의 두 주철근(111A)(111B)의 중심을 연결한 가상의 직선은 서로 겹치도록 배열된 것이다. 이러한 연결수단과 주철근의 중심 중복은 도 7에 도시된 연결수단(240)에서도 마찬가지이다.The connecting means 140 of FIG. 6A is an imaginary straight line connecting the connecting portion 144 and the exposed portion 145 and the frame located at the two hook portions 141A and 141B as compared to the connecting means 40 of FIG. 5. The imaginary straight lines connecting the centers of the two main reinforcing bars 111A and 111B of the sieve 110 are arranged to overlap each other. The center overlap between the connecting means and the main reinforcing bar is the same in the connecting means 240 shown in FIG. 7.

다음으로 도 7에 도시된 연결수단(240)은 골조체(10)의 전방 주철근(11A)과 연결되는 결합부(241)가 고리부(241B)인 것만이 도 6a에 도시된 연결수단(140)과 다르다. 도시된 형태의 연결수단(240)의 고리부(241B) 역시 결합부(241), 연결부(244), 그리고 노출부(245)를 이루는 하나의 봉강을 절곡하여 형성한 것이다. 다만 상기 고리부(241B)로 인하여 골조체(10)의 주철근(11A)(11B)에 래티스철근(13)을 결합하기 전에 또는 결합하는 중에 연결수단(240)의 고리부(241B)를 전방 주철근(11A)에 끼워야 하며 골조체를 제조한 다음에 연결수단(240)을 골조체에 결합하는 것은 거의 불가능하다는 제한이 있다. 도 2a 및 도 2b에 채용한 연결수단은 도 7의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Next, the connecting means 240 shown in FIG. 7 is only a coupling part 241 connected to the front main reinforcing bar 11A of the frame 10 is a ring part 241B. ) The ring portion 241B of the connecting means 240 of the illustrated form is also formed by bending one bar forming the coupling portion 241, the connecting portion 244, and the exposed portion 245. However, the ring portion 241B of the connecting means 240 before the coupling of the lattice reinforcement 13 to the main reinforcing bars (11A) (11B) of the frame 10 due to the ring portion 241B There is a limitation that it is necessary to fit in the 11A, and after the skeleton is manufactured, it is almost impossible to couple the connecting means 240 to the skeleton. The connecting means employed in FIGS. 2A and 2B are shown in FIG. 7.

다음으로 도 8b에는 도 8a에 도시된 활주판(50A)을 포함하는 고정구(50)를 거푸집패널(20)의 끼움공(21) 위치마다 미리 기성품으로 부착한 거푸집조립체(M)에 관한 것이다.Next, FIG. 8B relates to a mold assembly M in which a fixture 50 including the sliding plate 50A shown in FIG. 8A is previously attached to the fitting hole 21 of the formwork panel 20 in a ready-made manner.

도 8b의 활주판(50A)은 도 8a와 관련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최저점 부근의 확장부(53a)와 최저점에서 최고점까지 이어져 있으며 상기 확장부(53a)와 연통된 협소부(53b)로 이루어진 슬릿(53A)이 형성되어 있고 돌출 형성된 쐐기부(53)를 갖고, 상기 쐐기부(53)가 형성되어 있는 평판 형상의 접촉부(51)로 이루어져 있다.As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8A, the sliding plate 50A of FIG. 8B is a slit consisting of an extension 53a near the lowest point and a narrow portion 53b communicating with the extension 53a and extending from the lowest point to the highest point. 53A is formed and has the protruding wedge part 53, and consists of the flat contact part 51 in which the said wedge part 53 is formed.

특히 상기 활주판(50A)을 패널(20)에 부착하기 위한 수단은 상기 활주판의 고정과 함께 슬라이드가 가능하도록 하는 활주수단으로, 다시 말해 상기 활주판(50A)이 거푸집 패널(20)의 하부에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거푸집 패널의 끼움공(21)과 상기 활주판(50A)의 슬릿(53A)이 동축상에 배열되도록 위치 제한한 상태로 상기 활주판(50A)이 상기 거푸집 패널(20) 하부에 부착되어 슬라이드 되도록 한다.In particular, the means for attaching the slide plate (50A) to the panel 20 is a sliding means to enable the slide with the fixing of the slide plate, that is, the slide plate (50A) is the lower portion of the formwork panel (20) The sliding plate 50A is positioned on the formwork panel 20 in a state where the fitting hole 21 of the formwork panel and the slit 53A of the sliding plate 50A are coaxially arranged in a fixed state. Attach to the bottom to slide.

도 8b에서 활주수단의 구현한 고정판(50B)은 활주판(50A) 접촉부(51) 양측부에 형성된 요입부(51a)(51b)와 상기 요입부를 외측에서 물(bite) 수 있는 걸림편(59a)(59b)이 돌설되어 있다.The fixed plate 50B of the sliding means in FIG. 8B includes a recess 51a and 51b formed at both sides of the sliding plate 50A and the contact portion 51 and a locking piece 59a capable of biting the recess from the outside. ) 59b is protruding.

도 8b에서 상기 고정판(50B)은 상기 패널(20)의 끼움공(21)에 상응하는 위치에 형성되어 있어 도 2a 및 도 8a에서와 같은 연결수단(40)의 노출부(45) 단면적확 장부(45A)가 삽입될 수 있는 삽입공(55)과, 상기 패널(20)에 고정되도록 하기 위하여 핀(57a)과 같은 체결수단이 끼워질 수 있는 네 귀퉁이에 형성된 고정공(57)을 갖는다.In FIG. 8B, the fixing plate 50B is form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fitting hole 21 of the panel 20 so that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exposed portion 45 of the connecting means 40 as shown in FIGS. 2A and 8A. An insertion hole 55 into which 45A can be inserted, and a fixing hole 57 formed at four corners at which fastening means such as a pin 57a can be fitted to be fixed to the panel 20.

상기 고정판(50B) 걸림편(59a)(59b)의 내측면 사이의 거리는 상기 활주판(50A) 요입부(51a)(51b) 외측면 사이의 거리 보다 약간 길어 활주판의 원활한 미끄러짐을 보장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distance between the inner surface of the fixing plate (50B) engaging piece (59a) (59b) is slightly longer than the distance between the outer surface of the sliding plate (50A) concave portion (51a) (51b) to ensure smooth sliding of the sliding plate. It is desirable to have.

또 도 8c에 도시된 다른 형태의 활주수단은 상기 활주판(150A) 양측부에 치우쳐 형성된 활주장공(150a)(150b)과, 상기 활주장공을 관통하여 상기 패널(20)에 결합된 체결부재인 못(P)으로 이루어져 있다.In addition, the sliding means of another form shown in Figure 8c is a sliding member (150a, 150b) formed to be biased on both sides of the slide plate (150A), and the fastening member coupled to the panel 20 through the slide hole It consists of a nail (P).

도 8c에 도시된 활주판(150A)을 이루는 구성요소의 참조부호는 도 8b의 활주판(50A)의 구성요소의 참조부호와 십의 자리 및 일의 자리가 동일한 것은 동일한 기능을 갖는 부재를 나타내는 것으로 앞서 설명한 도 8b의 활주판(40A)과 관련된 기재에 준하는 이해하면 되며, 간략한 설명을 위하여 생략한다.The reference numerals of the components constituting the sliding plate 150A shown in FIG. 8C are the same as the reference numerals of the components of the sliding plate 50A of FIG. 8B and the tenth and tenth positions indicate members having the same function. As described above, it should be understood according to the description related to the sliding plate 40A of FIG. 8B, and will be omitted for brief description.

또 앞서 도 8a와 관련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도 8b 및 도 8c에 도시된 활주판(50A)(150A)의 양단은 일정 각도로 절곡된 상승부(51c,51d)(151c,151d)를 통하여 망치와 같은 공구로 살짝살짝 쳐서 활주판(50A)(150A)이 상기 연결수단(40) 노출부(45)를 쉽게 물거나 풀 수 있게 하기 위한 타격부위를 제공한다.As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FIG. 8A, both ends of the slide plates 50A and 150A illustrated in FIGS. 8B and 8C are hammered through the rising portions 51c and 51d and 151c and 151d that are bent at an angle. Gently swipe with a tool such as to provide a striking area for the sliding plate 50A, 150A to easily bite or loosen the connecting portion 40 exposed portion 45.

더 나아가 8b 및 도 8d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트러스 골조시스템은 패널과 패널의 연결을 위한 연결구(60)를 구비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Furthermore, as shown in 8b and 8d, the truss frame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preferably provided with a connector 60 for connecting the panel to the panel.

상기 연결구(60)는 먼저 상기 패널(20)의 테두리에 일정 간격을 두고 결합되어 있고, 상기 패널(20)의 측면과 동일 평면을 이루도록 절곡된 접촉편(61a)과, 상기 접촉편(61a)으로부터 내측으로 절곡된 이탈방지편(61b)으로 이루어진 걸림브라켓(61A)을 포함하는 결합부재(61)를 갖는다. 상기 결합부재(61) 상기 패널(20)과의 결합을 위한 다수의 결합공(63)이 본체에 형성되어 있어 체결부재(63a)에 의하여 고정될 수 있다.The connector 60 is first coupled to the edge of the panel 20 at a predetermined interval, the contact piece 61a and the contact piece 61a which are bent to form the same plane as the side surface of the panel 20. It has a coupling member 61 including a locking bracket (61A) made of a separation prevention piece (61b) bent inward from the. The coupling member 61 has a plurality of coupling holes 63 for coupling to the panel 20 can be fixed by the fastening member 63a.

아울러 상기 연결구(60)는 상호 인접한 두 패널(20)에 결합된 상기 두 결합부재(61)를 결속하기 위한 결합부재(65)를 갖는다.In addition, the connector 60 has a coupling member 65 for binding the two coupling members 61 coupled to two adjacent panels 20.

상기 결합부재(65)에는 인접한 상기 두 결합부재(61) 걸림브라켓(61A)의 이탈방지편(61b)이 삽입될 수 있는 크기를 갖는 확장부(65a)와 상기 걸림브라켓(61A)이 이탈되지 않도록 하면서 두 결합부재(61)를 조여 각각의 접촉편(61a)을 밀착시킬 수 있는 협소부(65b)로 이루어진 결속장공(65A)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연결부재(65)의 상부는 절곡되어 정지편(65B)을 형성한다.The expansion member 65a and the locking bracket 61A having a size to which the separation preventing pieces 61b of the two engaging members 61 and the engaging bracket 61A adjacent to each other are coupled to the coupling member 65 are not separated. Binding long hole (65A) consisting of a narrow portion (65b) that can be in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and the contact piece (61a) by tightening the two coupling members (61). The upper portion of the connecting member 65 is bent to form the stop piece 65B.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골조체 지지구(30)와 골조시스템(F)을 이용하여 합벽을 축조하는 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Referring to the method of building the plywood wall using the skeleton support 30 and the frame system (F)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are as follows.

먼저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정 간격으로 다수의 H파일(H)을 지반(E)에 고정한다.First, as shown in FIG. 2B, a plurality of H piles H are fixed to the ground E at regular intervals.

특히 H파일(H) 고정 공법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공지된 CIP공법 또는 SCW공법을 이용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In particular, the H pile (H) fixing method can be made using a known CIP method or SCW method as described above.

공법 특성에 따른 천공으로 인하여 도 2b에서와 같이, 지반(E)과 1차벽을 이루는 콘크리트몰타르(M) 사이의 경계 형상은 원호 형상이다.Due to the puncturing according to the method characteristics, as shown in FIG. 2B, the boundary shape between the ground E and the concrete mortar M forming the primary wall is an arc shape.

이어서 도2a에서와 같이, 미리 제조된 골조체(10) 지지구(30)를 H파일 전방 노출면에 용접 고정한다. 이때 H파일이 중력방향을 벗어났을 경우는 도 4a 및 도 4b와 관련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지지구(30)의 종장근(31)을 중력방향과 일치하게 고정하거나 상기 지지구(30)의 횡단근(33) 길이를 가변시켜 보정할 수 있다.Subsequently, as shown in FIG. 2A, the prefabricated frame 10 support 30 is welded to the H pile front exposed surface. In this case, when the H pile is out of the gravity direction, as described in relation to FIGS. 4A and 4B, the longitudinal root 31 of the support 30 is fixed to match the direction of gravity, or the traverse of the support 30. The length of the root 33 can be changed and corrected.

다음으로 도 2a 또는 도 6b에 도시된 것과 같은 기성 트러스 골조체(10)(110)를 상기 지지구(30)의 횡단근(33) 상부마다 얹는다. 필요에 따라 종방향 보강철근(15)이 더 사용될 수 있으며, 지지구(30)와 골조체(10)의 용접이 이루어질 수 있다.Next, a ready-made truss frame (10, 110) as shown in Figure 2a or 6b is placed on the top of the transverse muscle 33 of the support 30. If necessary, longitudinal reinforcing bars 15 may be further used, and welding of the support 30 and the frame 10 may be performed.

다음으로 미리 또는 건설현장에서 끼움공(21)이 천공된 도 2a의 거푸집패널(20) 또는 도 8b와 같은 기성 거푸집조립체(M)를 준비하여 끼움공(21) 마다 연결수단(40)의 노출부(45)를 삽입하여 결합한다.Next, prepare the formwork panel 20 of FIG. 2A or the ready-made formwork assembly M shown in FIG. 8B in which the fitting hole 21 is drilled in advance or at the construction site, and expose the connecting means 40 for each fitting hole 21. Insert part 45 to combine.

상기 거푸집패널(20)은 도 8b 및 도 8d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패널연결구(60)를 통하여 상호 연결될 수 있다.The formwork panel 20 may be connected to each other through the panel connector 60 as shown in Figure 8b and 8d.

상기 거푸집패널(20) 후면과 상기 연결수단(40) 지지부재(43) 전면의 밀착은 고정구(50)에 의하여 이루어진다.The back of the formwork panel 20 and the front of the connecting means 40, the support member 43 is made by the fixture 50.

특히 도 8b에 도시된 거푸집조립체(M)를 활용할 경우, 작업자가 상기 활주판(50A)의 상승부(51c)를 망치와 같은 공구로 톡톡 치면 상기 활주판(50A)의 요입부(51a)(51b)는 상기 고정판(50B)의 걸림편(59a)(59b)을 타고 슬라이드 되고, 상기 쐐기부(53) 슬릿(53A)의 협소부(53b)의 전면부와 상기 노출부(45)의 단면적확장부(45A)의 후면부와 꽉 끼는 느낌으로 물려서 상기 쐐기부(53) 전면부와 상기 노출부(45)의 단면적확장부(45A) 후면부는 상호 밀착된다.In particular, when using the die assembly (M) shown in Figure 8b, the operator taps the rising portion (51c) of the slide plate (50A) with a tool such as a hammer recessed portion (51a) of the slide plate (50A) ( 51b is slid through the engaging pieces 59a and 59b of the fixing plate 50B, and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front portion of the narrow portion 53b of the wedge portion 53 and the slit 53A and the exposed portion 45 are slid. The front portion of the wedge portion 53 and the rear portion of the cross-sectional area extension portion 45A of the exposed portion 45 are closely contacted with the rear portion of the extension portion 45A.

결국 상기 단면적확장부(45A) 후면, 상기 활주판(50A)의 쐐기부(53) 전면, 접촉부(51)의 후면, 고정판(50B), 상기 거푸집 패널(20)의 전후면, 그리고 상기 연결수단(40) 지지부재(43)의 전면은 서로 확고하게 밀착될 수 있으므로 본 발명에 따른 트러스 골조시스템(F)은 웬만한 충격이나 하중에도 견고성을 유지할 수 있게 된다.As a result, the rear surface of the cross-sectional expansion portion 45A, the front surface of the wedge portion 53 of the sliding plate 50A, the rear surface of the contact portion 51, the fixing plate 50B, the front and rear surfaces of the formwork panel 20, and the connection means (40) Since the front surface of the support member 43 can be firmly in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the truss frame system (F)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ble to maintain the robustness even in the moderate impact or load.

이러한 과정을 거쳐 완성된 트러스 골조시스템(F)은 골조체(10)들과 거푸집 패널(20)들이 상기 연결수단(40), 활주판(50A)에 의하여 확고하게 고정되어 있으며, 또한 상기 패널(20) 상호간은 패널연결구(60)에 의하여 고정되어 있다.Truss frame system (F) completed through this process is the frame 10 and the formwork panel 20 is firmly fixed by the connecting means 40, the sliding plate 50A, and also the panel ( 20) The mutual connection is fixed by the panel connector 60.

마지막으로 본 발명에 따른 골조시스템(F)의 조립이 완료되면 상기 골조시스템 상부로 레미콘 또는 콘크리트 몰타르를 붙고 다짐과 고르기 과정을 거쳐 양생한다.Finally, when the assembly of the frame system (F)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ompleted, the ready-mixed concrete or concrete mortar is attach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frame system and is cured through a process of compaction and selection.

종래에는 일반적으로 콘크리트 몰타르나 레미콘의 하중 지탱을 위하여 합벽의 거푸집패널 외측면에는 다수의 동바리 등을 이용한 버팀재를 고정하는 것이 일 반적이었으나, 본 발명에 따른 골조시스템(F)에서는 전혀 또는 거의 버팀재가 필요 없다.Conventionally, in order to support the load of concrete mortar or ready-mixed concrete, it was common to fix the support material using a plurality of clubs on the outside of the formwork panel of the plywood wall, but in the frame system F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t least or almost no support No ash needed

또 콘크리트가 굳은 다음 거푸집패널 해체시에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 연결수단(40)(140)의 단면적확장부(45A)를 비틀어 노치부(N) 또는 눌림부(144A)를 기점으로 노출부를 분리제거할 수 있으므로 해체 공정과 마무리 공정의 단순화에 이바지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concrete panel is solidified, when dismantling the formwork panel, as described above,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cross-sectional area extension part 45A of the connecting means 40 and 140 is twisted to expose the exposed part from the notch part N or the pressed part 144A. Separation and removal can contribute to simplifying the dismantling and finishing processes.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합벽용 트러스 골조시스템에 골조체 지지를 위한 지지구를 도입함으로써 합벽 축조에 트러스 골조체를 도입함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남아 있는 배근과정의 번거로움과 복잡성을 획기적으로 줄이고 H파일이 중력방향을 벗어남으로 인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introduction of a support for supporting the frame in the plywood truss frame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drastically reduces the inconvenience and complexity of the remaining reinforcement process despite the introduction of the truss frame in the plywood construction This can solve the problem of the file being out of gravity direction.

또 본 발명은 다양한 연결수단과 고정구를 골조시스템에 도입하여 트러스 골조체와 거푸집패널의 간편한 연결을 보장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ensure a simple connection of the truss skeleton and the formwork panel by introducing a variety of connecting means and fixtures to the framework system.

이상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특정 형상과 구조를 갖는 트러스 골조체 지지구 및 이를 이용한 트러스 골조시스템과 축조방법을 위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고, 이러한 변형 및 변경은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In the abov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 truss frame support having a specific shape and structure, a truss frame system and a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 same have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but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variously modified and chang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And, such variations and modifications should be construed as falling within the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Claims (14)

삭제delete 삭제delete 일정 간격 떨어진 다수의 끼움공이 천공 형성되어 있는 거푸집패널; Formwork panel in which a plurality of fitting holes spaced apart at regular intervals are formed; 시공되는 합벽의 두께에 상응하는 간격을 유지하고 있는 둘 이상의 주철근, 그리고 상기 주철근의 간격유지와 보강을 위한 래티스철근으로 이루어진 2차원 또는 3차원 형상의 골조체;A two-dimensional or three-dimensional frame structure consisting of two or more cast iron bars keeping a gap corresponding to the thickness of the construction wall and lattice bars for maintaining and reinforcing the gap of the cast iron bars; 시공되는 합벽의 후방에 서로 일정 간격 떨어져 좌우로 배열된 다수의 H파일;A plurality of H piles arranged laterally apart from each other at a rear of the construction wall; 중력방향에 상응하는 방향으로 상기 H파일 노출면에 고정되는 종장근(縱長筋)과, 상기 H파일과 상기 종장근의 전방으로 서로 일정 간격을 두고 상하로 다수 돌설되어 있으며 각각의 상부에 상기 골조체가 얹혀지는 횡단근(橫短筋)을 포함하 여 이루어진 골조체 지지구; 및The longitudinal muscles fixed to the H-pile exposed surface in a direction corresponding to the direction of gravity, and the front and rear of the H-pile and the longitudinal muscles are plurally up and down at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each other. Frame support, including a transverse muscle (橫 短 筋) on which the frame is placed; And 상기 골조체과 상기 거푸집패널을 연결하도록 상기 패널의 끼움공 마다 위치하는 연결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합벽용 트러스 골조시스템.A truss frame system for a plywood wall comprising connecting means located at each fitting hole of the panel to connect the frame and the formwork panel. 제 3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상기 골조체 지지구의 횡단근의 각 전방 단부에는 상부로 돌설된 골조체 이탈방지 돌기가 더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벽용 트러스 골조시스템.The truss skeleton system for a plywood wall, characterized in that the frontal end of the transverse muscle of the frame support is further formed with a departure prevention protrusion protruding upward.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수단은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connecting means 상기 골조체과 연결되어 있는 결합부; 및 A coupling part connected to the frame; And 상기 결합부와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거푸집패널의 끼움공을 거쳐 외부에 드러나는 노출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벽용 트러스 골조시스템.A truss frame system for a plywood wall connected to the coupling part and including an exposed part exposed through the fitting hole of the formwork panel. 제 5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5, 상기 노출부의 단부에는 횡단면의 면적이 다른 부분에 비하여 더 넓은 단면적확장부가 구비되어 있으며,An end portion of the exposed portion is provided with a wider cross-sectional area extension than the other portion of the cross-sectional area, 상기 단면적확장부와 상기 패널 사이에는 최저점 부근의 확장부와 최저점에서 최고점까지 이어져 있으며 상기 확장부와 연통된 협소부로 이루어진 슬릿이 형성된 쐐기부와, 상기 쐐기부가 형성되어 있는 접촉부를 갖는 활주판을 포함하는 고 정구가 더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벽용 트러스 골조시스템.Between the cross-sectional area expansion portion and the panel includes a wedge portion formed of a slit consisting of a narrow portion communicating with the expansion portion and extending from the lowest point to the lowest point and a sliding plate having a contact portion in which the wedge portion is formed. Truss frame system for plywood, characterized in that the fixture is further provided. 제 3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3 to 6, 상기 골조체의 전방 주철근과 상기 거푸집패널을 일정 간격 이격시키는 간격유지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벽용 트러스 골조시스템.The truss skeleton system for a plywood wall,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space maintaining means for spaced apart from the front main reinforcement of the frame and the formwork panel.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간격유지수단은8.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gap maintaining means 상기 골조체의 전방 주철근 앞에 돌출된 상기 래티스근의 돌출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벽용 트러스 골조시스템.The truss skeleton system for a plywood, characterized in that the protrusion of the lattice muscles projecting in front of the front main reinforcement of the frame.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간격유지수단은8.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gap maintaining means 상기 전방 주철근과 상기 패널 사이에 개재되고 상기 연결수단의 결합부 및 노출부와 연결되어 있는 지지부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벽용 트러스 골조시스템.Truss frame system for the plywood, characterized in that the support member is interposed between the front main reinforcement and the panel and connected to the coupling portion and the exposed portion of the connecting means.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수단에서 The method of claim 9, wherein in the connecting means 상기 결합부는 상기 주철근에 걸쳐지는 고리 또는 갈고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벽용 트러스 골조시스템.The coupling portion truss frame system for the plywood,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hook or hook portion that is spread over the reinforcing bar. 제 3, 4, 5,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3, 4, 5, 6 , 상기 결합부에는 너트 부싱이 상기 패널 후면과 접촉하도록 배열되어 있고,The coupling portion has a nut bushing arranged in contact with the back of the panel, 상기 노출부의 단면적확장부 반대편 단부에는 상기 너트 부싱과 결합되는 나사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벽용 트러스 골조시스템.Truss frame system for the plywood wall, characterized in that the threaded portion coupled to the nut bushing is formed at the end opposite to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exposed portion. 제 7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상기 연결수단의 결합부는 상부 또는 하부, 또는 상하부 모두의 상기 주철근에 걸쳐지는 고리 또는 갈고리부를 포함하고, Coupling portion of the connecting means comprises a ring or hook portion over the main reinforcement of the upper or lower, or both upper and lower, 상기 간격유지수단은 상기 결합부와 상기 노출부 사이의 연결부에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패널 상면부와 접촉하는 판상부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벽용 트러스 골조시스템.The gap holding means is a truss frame system for the plywood wall, characterized in that the plate-like member provided in the connecting portion between the engaging portion and the exposed portion in contact with the panel upper surface.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판상부재는The method of claim 12, wherein the plate member 돔(dome) 형태의 원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벽용 트러스 골조시스템.A plywood truss skeleton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the dome-shaped disk. 제 7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상기 연결수단의 결합부는 상기 주철근에 걸쳐지는 고리 또는 갈고리부를 포함하고, Coupling portion of the connecting means comprises a hook or hook portion over the cast iron, 상기 간격유지수단은 상기 결합부와 상기 노출부 사이의 연결부에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전방 주철근과 상기 패널 사이에 위치하는 콘크리트 소재의 콘형상 부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벽용 트러스 골조시스템.The gap holding means is a truss frame system for the plywood, characterized in that the cone-shaped member is provided between the coupling portion and the exposed portion and located between the front main reinforcement and the panel.
KR1020050023743A 2005-01-29 2005-03-22 Truss framework system for combined slurry wall using supporting implement KR100548509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08332 2005-01-29
KR20050008332 2005-01-29
KR20050010101 2005-02-03
KR1020050010101 2005-02-03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48509B1 true KR100548509B1 (en) 2006-02-01

Family

ID=371785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23743A KR100548509B1 (en) 2005-01-29 2005-03-22 Truss framework system for combined slurry wall using supporting implement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48509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50835B1 (en) * 2015-05-22 2016-08-24 동양건축자재주식회사 Accompanied by harp and the Conditions for Supporting Structure of Cement Mortar Form for the Admixtures of Concrete Filling a basis with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50835B1 (en) * 2015-05-22 2016-08-24 동양건축자재주식회사 Accompanied by harp and the Conditions for Supporting Structure of Cement Mortar Form for the Admixtures of Concrete Filling a basis with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359797B2 (en) Structure constructed using precast members and method of constructing the same
KR101714371B1 (en) Joints Appartus of The Concrete Piles and Steel Pipe
KR200381589Y1 (en) A pile head reinforcement structure of precastconcrete pile
KR100609184B1 (en) Joint Structure of Precast Concrete Beam and Column Unit
KR100548509B1 (en) Truss framework system for combined slurry wall using supporting implement
KR102269141B1 (en) Deck plate wall installation method using underground pavement
JP2769936B2 (en) Construction method of beams and slabs in underground skeleton construction
JPH08284439A (en) Heavy load type form timbering and member thereof
JP3763575B2 (en) Underground beam construction frame and underground beam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 same
KR100730914B1 (en) Truss framework system for combined slurry wall
KR200434425Y1 (en) An assembly matrix
KR20070027431A (en) A fastener for fixing a reinforcing bar assembly, a mold panel, and a ceiling panel by spot welding
KR200386881Y1 (en) A pile head reinforcement structure of precast concrete pile
JPH0711710A (en) Reinforced concrete column and steel frame beam jointing structure and building constructing method
KR100994398B1 (en) A process of steel pipe post and the head armature for a pondside strengthening
KR200370135Y1 (en) Forms for edge girder construction
KR20130047096A (en) A multipurpose molding assembly for a construction
JP6978901B2 (en) Joining structure and joining method of precast concrete beam members
KR200408488Y1 (en) Construction mold panel having increased handiness for connection
KR20050122138A (en) Concrete structure
KR101304501B1 (en) Steel Pipe Pile head reinforcement device
KR100942534B1 (en) Structure for bundle nail of poor ground stabilty
KR20090085797A (en) Reinforcement structure for a foundation pile
KR200205800Y1 (en) A reinforcement structure for a foundation pile
JP3643809B2 (en) Connection structure of precast concrete foundation block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0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03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12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13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05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