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48341B1 - 분실한 이동 통신 단말기의 사용자 연결 방법 - Google Patents

분실한 이동 통신 단말기의 사용자 연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48341B1
KR100548341B1 KR20030029062A KR20030029062A KR100548341B1 KR 100548341 B1 KR100548341 B1 KR 100548341B1 KR 20030029062 A KR20030029062 A KR 20030029062A KR 20030029062 A KR20030029062 A KR 20030029062A KR 100548341 B1 KR100548341 B1 KR 10054834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lost
user
mobile communication
lo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0300290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96197A (ko
Inventor
한창의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0300290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48341B1/ko
Priority to CN 03157943 priority patent/CN1254141C/zh
Publication of KR200400961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9619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483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48341B1/ko

Links

Images

Landscapes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 통신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단말기를 분실한 경우 이동 통신 사업자로 분실 신고를 하고, 사용자가 수신할 수 있는 대표 전화번호를 등록하여 습득자가 상기 단말기를 사용할 경우 자동으로 상기 대표 전화번호로 연결함으로써, 사용자와 습득자에게 편리함을 제공할 수 있고, 무단사용을 방지할 수 있는 분실한 이동 통신 단말기의 등록 및 사용자 연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 단말기를 분실한 사용자는 타인에 의한 무단사용을 방지하기 위해 이동 통신 단말기 사업자의 서비스 센터로 직접가서 단말기 분실 신고를 해야하는 불편한 문제점과 습득자의 경우 습득한 단말기의 사용자를 찾아주기 위해서는 사용자로부터 습득한 단말기로 전화가 오거나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습득한 단말기를 분실물 센터로 직접 가져가야 하는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한 본 발명은 유무선을 통해서 이동 통신 사업자로 단말기의 분실 신고를 요청하고, 그 분실한 단말기 및 사용자 정보를 입력하는 단계와, 상기 이동 통신 사업자에서 상기 입력한 단말기 및 사용자 정보와 기 저장된 단말기 및 사용자 정보를 비교하여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판단 결과, 두 정보가 일치하면 대표 전화번호를 등록하는 단계로 이루어짐으로써, 단말기를 분실한 사용자와 습득자에게 편리함을 제공할 수 있고, 습득자에 의한 단말기의 무단사용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분실한 이동 통신 단말기의 사용자 연결 방법{METHOD FOR CONNECTING USER OF A MISSING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도1은 본 발명 분실한 이동 통신 단말기의 등록 과정에 대한 흐름을 도시한 순서도.
도2는 본 발명 분실한 이동 통신 단말기의 사용자 연결 방법에 대한 일 실시예의 흐름을 도시한 순서도.
도3은 본 발명 분실한 이동 통신 단말기의 사용자 연결 방법에 대한 또 다른 일 실시예의 흐름을 도시한 순서도.
본 발명은 이동 통신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단말기를 분실한 경우 이동 통신 사업자로 분실 신고를 하고, 사용자가 수신할 수 있는 대표 전화번호를 등록하여 습득자가 상기 단말기를 사용할 경우 자동으로 상기 대표 전화번호로 연결함으로써, 사용자와 습득자에게 편리함을 제공할 수 있고, 무단사용을 방지할 수 있는 분실한 이동 통신 단말기의 사용자 연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이동 통신 단말기 사용자들 중에서 실수로 단말기를 분실하는 경우가 종종 발생한다. 사용자는 상기 분실한 단말기를 타인이 습득하고, 그 단말기의 무단 사용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그 단말기의 이동 통신 사업자에 가서 분실 신고를 해야한다.
또한, 분실 신고를 하지 않고, 분실한 단말기를 찾기 위해서는 사용자가 직접 사용자 단말기로 전화하여 그 분실한 단말기의 습득자와 통화함으로써 찾을 수 있다. 즉, 사용자가 단말기 습득자와 통화하여 약속장소를 정하고 그 장소에서 분실한 이동 통신 단말기를 돌려 받을 수 있다.
반면, 사용자와 습득자 간에 통화가 이루어지지 않은 경우에는 그 분실한 단말기를 해지한 후 새로운 단말기를 구입해야 하고, 습득자는 상기 습득한 단말기를 분실물 센터에 가서 신고해야 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종래 단말기를 분실한 사용자는 타인에 의한 무단사용을 방지하기 위해 이동 통신 단말기 사업자의 서비스 센터로 직접가서 단말기 분실 신고를 해야하는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분실한 단말기를 찾기 위해서는 사용자 단말기로 직접 전화하여 습득자와 통화가 이루어져야만 가능한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습득자의 경우 습득한 단말기의 사용자를 찾아주기 위해서는 사용자로부터 습득한 단말기로 전화가 오거나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습득자가 습득한 단말기를 분실물 센터로 직접 가져가야 하는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이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한 본 발명은 사용자가 단말기 분실 시 이동 통신 기지국에 분실된 단말기와 사용자간 자동 통화가 이루어질 수 있는 대표 전화번호를 등록하고, 분실된 단말기의 전원이 온되거나 단말기 습득자에 의해 음성호 신호가 송신되면 상기 기지국에 기 등록된 대표 전화번호를 단말기로 전송하여 그 대표 전화번호로 자동 연결함으로써, 단말기를 분실한 사용자와 습득자에게 편리함을 제공할 수 있고, 습득자에 의한 단말기의 무단사용을 방지할 수 있는 분실한 이동 통신 단말기의 사용자 연결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삭제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 분실한 이동 통신 단말기의 사용자 연결 방법은 기지국에서 단말기에서 송신한 전원 온 혹은 통화 시도에 의해 발생된 소정의 신호를 수신하면 그 단말기의 분실 등록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판단 결과, 분실 등록된 단말기이면 기지국에서 기 등록된 대표 전화번호가 포함된 소정의 데이터를 상기 단말기로 송신하는 단계와; 단말기에서 상기 대표 전화번호가 포함된 소정의 데이터를 수신하여 분실 여부 플래그를 설정하고, 상기 대표 전화번호로 통화를 자동 연결하는 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상기와 같은 특징을 갖는 본 발명 분실한 이동 통신 단말기의 사용자 연결 방법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고하여 설명한다.
도1은 본 발명 분실한 이동 통신 단말기의 등록 과정에 대한 흐름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유무선을 통해 이동 통신 사업자로 접속하는 단계와, 상기 이동 통신 사업자로 분실 신고를 요청하는 단계와, 상기 분실 신고를 위한 단말기 및 사용자 정보를 입력하는 단계와, 상기 입력한 단말기 및 사용자 정보와 기 저장된 단말기 및 사용자 정보를 비교하는 단계와, 상기 비교 결과, 두 정보가 일치하면 대표 전화번호를 등록하는 단계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단계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대한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사용자가 단말기를 분실하고, 분실 신고를 하기 위해 유무선 전화기를 이용하여 이동 통신 단말기의 사업자로 접속한다(S10). 또한, 이동 통신 사업자에서 운영하여 홈페이지에 인터넷을 이용하여 분실 신고를 할 수도 있다. 이하, 유무선 전화기를 이용하여 이동 통신 사업자에 접속한 경우를 들어 설명한다.
상기 이동 통신 사업자에 접속하면 그 사업자로 단말기 분실 신고를 요청한다(S11). 이동 통신 사업자는 상기 분실 신고 요청을 접수하여 그 분실 신고한 단말기 및 사용자 정보를 요청한다.
이동 통신 사업자로부터 상기 정보 입력 요청을 받으면 사용자는 분실한 단 말기에 대한 정보(예를 들어, 단말기 전화번호)와 사용자 정보(예를 들어, 주민등록번호)를 입력한다(S12). 사업자에서 상기 입력한 정보와 기 저장된 정보를 비교하여(S13) 일치하면 분실 신고를 접수하고, 사용자는 분실한 단말기로부터 소정의 신호(예를 들어, 음성호 신호)가 수신되면 사용자에게 연결할 수 있는 대표 전화번호를 입력하여 분실 신고 등록을 마친다(S14).
도2는 분실한 이동 통신 단말기의 사용자 연결 방법에 대한 일 실시예의 흐름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전원이 오프된 상태의 단말기를 사용하기 위해 전원을 온시키면 기지국에서 상기 단말기의 분실 등록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판단 결과, 분실 등록된 단말기인 경우 기지국에서 그 단말기로 기 등록된 대표 전화번호가 포함된 소정의 데이터를 송신하는 단계와, 단말기에서 상기 기지국에서 송신한 소정의 데이터를 수신하고, 분실 여부 플래그를 설정한 후 상기 수신한 대표 전화번호로 자동 발신하는 단계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대표 전화번호로 자동 발신하는 중에 단말기의 표시창에 기 설정된 소정의 문구를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러한 단계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대한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사용자 또는 습득자가 오프된 단말기를 사용하기 위해 단말기의 전원을 온시키면(S20), 단말기는 기지국으로부터 소정의 데이터(예를 들어, 시간 정보 및 채널 정보 등)를 수신하기 위해 기지국에 접속한다.
기지국은 상기 접속한 단말기가 분실 등록된 상태인지 판단한다(S21). 상기 판단 결과, 분실 등록된 단말기이면 분실 등록 시 등록한 대표 전화번호가 포함된 소정의 데이터를 상기 단말기로 송신한다(S22, S23).
단말기는 상기 기지국에서 송신한 대표 전화번호가 포함된 소정의 데이터를 수신하고, 단말기 내에 분실 여부 플래그를 설정하고, 상기 대표 전화번호로 자동 발신한다(S24). 이때, 상기 설정한 분실 여부 플래그 및 수신한 대표 전화번호는 메모리의 소정 영역에 저장된다.
그리고, 상기 대표 전화번호로 자동 발신하는 중에 단말기의 표시창에 기 설정된 소정의 문구, 예를 들어, "본 단말기의 사용자로 통화 연결중입니다."와 같은 문구를 표시함으로써, 습득자 또는 사용자에게 단말기가 분실 등록된 단말기이고, 단말기의 주인에게 자동 연결 중이라는 것을 통보하게 된다(S25).
상기 대표 전화번호로 자동 연결되어 습득자와 사용자의 통화가 이루어지면, 습득자와 사용자 간에 약속을 정하고, 그 습득한 단말기를 되돌려 줄 수 있다.
또한, 상기 대표 전화번호로 통화가 이루어지지 않고, 이 후에 습득자가 통화를 시도하면, 상기 저장된 대표 전화번호로 자동 발신하게 된다. 즉, 아이들 상태에서 통화를 시도하면 분실 여부 플래그를 판단하고, 그 판단 결과, 분실 여부 플래그가 설정된 상태면 대표 전화번호로 연결한다. 이러한 아이들 상태에서의 동작은 도3에서 상세히 설명한다.
도3은 본 발명 분실한 이동 통신 단말기의 사용자 연결 방법에 대한 또 다른 일 실시예의 흐름을 도시한 순서도로서, 아이들 상태의 단말기에서 통화를 시도하는 과정을 도시한 것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통화를 시도할 때, 단말기의 분실 여부 플래그가 설정되어 있는지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판단 결과, 분실 여부 플래그 가 설정되어 있으면 단말기에 기 저장된 대표 전화번호로 자동 발신하는 단계와, 상기 판단 결과, 분실 여부 플래그가 설정되어 있지 않으면, 기지국에서 단말기의 분실 등록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분실 등록 여부 판단 결과, 분실 등록된 단말기이면 기지국에서 그 단말기로 기 등록된 대표 전화번호가 포함된 소정의 데이터를 송신하는 단계와, 단말기에서 상기 기지국에서 송신한 소정의 데이터를 수신하고, 분실 여부 플래그를 설정한 후 상기 수신한 대표 전화번호로 자동 발신하는 단계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대표 전화번호로 자동 발신하는 중에 단말기의 표시창에 소정의 기 설정된 문구를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기지국에서 분실 등록 여부 판단 결과, 분실 등록이 되어 있지 않으면 통화를 시도한 전화번호로 발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러한 단계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대한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단말기가 아이들 상태에 있고, 사용자 또는 습득자가 통화를 시도하면(S30), 단말기에서 분실 여부 플래그가 설정되어 있는지 판단한다(S31). 상기 판단 결과, 상기 플래그가 설정되어 있으면 즉, True이면 통화를 시도하고자하는 전화번호와 상관없이 기 저장된 대표 전화번호로 자동 발신하고(S32), 이때, 단말기의 표시창에는 분실 단말기에 대한 기 설정된 소정의 문구를 표시한다(S33). 예를 들어, "본 단말기는 분실 등록되어 있으며 사용자의 대표 전화번호로 연결중입니다."와 같은 문구를 표시함으로써, 사용자 또는 습득자에게 통보한다.
반면, 상기 한 과정 S31 판단 결과, 단말기에 분실 여부 플래그가 설정되어 있지 않으면, 기지국에서 단말기의 분실 등록 여부를 판단한다(S34).
상기 판단 결과(S35), 상기 단말기가 분실 등록이 되어 있지 않으면 통화 시도한 전화번호로 발신하고(S38), 분실 등록이 되어 있으면, 기지국에서 그 단말기로 분실 신고 시 등록된 대표 전화번호가 포함된 소정의 데이터를 송신한다(S36).
단말기는 상기 기지국에서 송신한 대표 전화번호가 포함된 소정의 데이터를 수신하고, 단말기 내에 분실 여부 플래그를 설정 후 상기 통화 시도한 전화번호와 상관없이 대표 전화번호로 자동 발신한다(S32). 이때, 상기 설정한 분실 여부 플래그 및 수신한 대표 전화번호는 메모리의 소정 영역에 저장된다.
그리고, 상기 대표 전화번호로 발신하는 중에 단말기의 표시창에 기 설정된 소정의 문구를 표시한다(S33). 예를 들어, "본 단말기는 분실 등록되어 있으며 사용자의 대표 전화번호로 연결중입니다."와 같은 문구를 표시함으로써, 사용자 또는 습득자에게 통보한다.
상기 대표 전화번호로 자동 연결되어 습득자와 사용자의 통화가 이루어지면, 습득자와 사용자 간에 약속을 정하고, 그 습득한 단말기를 되돌려 줄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 단말기가 분실폰으로 등록이 되면, 즉, 단말기 내부의 메모리에 설정된 분실 여부 플래그가 설정되면, 표시창에 기 설정된 소정의 문구가 표시되도록 한다. 예를 들어, "본 단말기는 분실 등록이 되어 있습니다."와 같은 문구가 표시창에 항상 표시되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기지국에서 단말기로 대표 전화번호를 송신하지 않고, 분실 등록에 대한 소정의 데이터를 송신하고, 단말기에서 그 분실 등록에 대한 소정의 데이터를 수신하여 등록 여부 플래그를 설정한다. 그리고, 통화 시 상기 등록 여부 플래그에 대한 소정의 데이터를 기지국으로 송신하면 기지국에서 상기 등록 여부 플래그 값을 수신하여 등록된 대표 전화번호로 자동 발신할 수도 있다.
상기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사용자가 단말기 분실 시 이동 통신 기지국에 분실된 단말기와 사용자간 자동 통화가 이루어질 수 있는 대표 전화번호를 등록하고, 분실된 단말기의 전원이 온되거나 단말기 습득자에 의해 음성호 신호가 송신되면 상기 기지국에 기 등록된 대표 전화번호를 단말기로 전송하여 그 대표 전화번호로 자동 연결함으로써, 단말기를 분실한 사용자와 습득자에게 편리함을 제공할 수 있고, 습득자에 의한 단말기의 무단사용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삭제

Claims (10)

  1. 삭제
  2. 삭제
  3. 기지국에서 단말기에서 송신한 전원 온 혹은 통화 시도에 의해 발생된 소정의 신호를 수신하면 그 단말기의 분실 등록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판단 결과, 분실 등록된 단말기이면 기지국에서 기 등록된 대표 전화번호가 포함된 소정의 데이터를 상기 단말기로 송신하는 단계와;
    단말기에서 상기 대표 전화번호가 포함된 소정의 데이터를 수신하여 분실 여부 플래그를 설정하고, 상기 대표 전화번호로 통화를 자동 연결하는 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실한 이동 통신 단말기의 사용자 연결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대표 전화번호로 통화를 연결할 때 단말기의 표시창에 기 설정된 소정의 문구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실한 이동 통신 단말기의 사용자 연결 방법.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에 분실 여부 플래그가 설정되면, 그 단말기 표시창에 기 설정된 소정의 문구를 항상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실한 이동 통신 단말기의 사용자 연결 방법.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분실 여부 플래그와 대표 전화번호는 단말기 내부 메모리의 기 설정된 영역에 저장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실한 이동 통신 단말기의 사용자 연결 방법.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에 분실 여부 플래그가 설정된 이후 통화를 시도하면 상기 대표 전화번호로 자동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실한 이동 통신 단말기의 사용자 연결 방법.
  8.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에서 통화 시도 시 분실 여부 플래그의 설정 여부를 판단하고, 그 판단 결과, 분실 여부 플래그가 설정되어 있지 않으면, 기지국에서 그 단말기의 분실 등록 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실한 이동 통신 단말기의 사용자 연결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 결과, 분실 여부 플래그가 설정되어 있으면, 상기 단말기에 기 저장된 대표 전화번호로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실한 이동 통신 단말기의 사용자 연결 방법.
  10. 제3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의 분실 등록 여부 판단 결과, 분실 등록이 되어 있지 않으면, 상기 통화 시도한 전화번호로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실한 이동 통신 단말기의 사용자 연결 방법.
KR20030029062A 2003-05-07 2003-05-07 분실한 이동 통신 단말기의 사용자 연결 방법 KR100548341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30029062A KR100548341B1 (ko) 2003-05-07 2003-05-07 분실한 이동 통신 단말기의 사용자 연결 방법
CN 03157943 CN1254141C (zh) 2003-05-07 2003-09-03 遗失移动通信终端的用户连接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30029062A KR100548341B1 (ko) 2003-05-07 2003-05-07 분실한 이동 통신 단말기의 사용자 연결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96197A KR20040096197A (ko) 2004-11-16
KR100548341B1 true KR100548341B1 (ko) 2006-02-02

Family

ID=343740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30029062A KR100548341B1 (ko) 2003-05-07 2003-05-07 분실한 이동 통신 단말기의 사용자 연결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0548341B1 (ko)
CN (1) CN1254141C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27228B1 (ko) * 2005-10-07 2007-06-11 (주) 엘지텔레콤 분실된 이동통신 단말기의 위치 및 주소록 정보 전송방법
KR100867445B1 (ko) * 2006-11-08 2008-11-06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이동 단말기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과, 이를 위한 이동단말기 및 그의 기록 매체
KR101208242B1 (ko) * 2007-01-22 2012-12-04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분실 휴대전화 호 착신 서비스 제공 방법 및 그 방법을수행하는 시스템
CN102158952A (zh) * 2011-03-23 2011-08-17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保护个人信息的方法和系统
CN107708073B (zh) * 2017-09-28 2020-05-05 中国联合网络通信集团有限公司 手机的找回方法及其找回系统
CN109982268B (zh) * 2017-12-28 2022-02-08 富泰华工业(深圳)有限公司 电子装置、失物寻回装置及失物寻回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96197A (ko) 2004-11-16
CN1254141C (zh) 2006-04-26
CN1549645A (zh) 2004-11-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68304B1 (ko) 이동 통신 디바이스에서 원격 데이터 액세스를 위한 방법및 장치
KR100354996B1 (ko) 셀룰러무선전화기용디렉토리정보저장방법및셀룰러무선전화시스템
JP6160944B2 (ja) 通信デバイスおよび移動通信ネットワークのための方法
US7454003B2 (en) Telephone call control methods
KR101125515B1 (ko) 이동-대-이동 비디오 능력을 네트워크에 제공하기 위한방법 및 장치
KR100548341B1 (ko) 분실한 이동 통신 단말기의 사용자 연결 방법
JP3788700B2 (ja) 携帯電話機
KR100797885B1 (ko) 전기통신 장치 사이에 교환되는 정보를 녹음하는 방법 및이를 위한 전자 액세서리 장치
US20040082310A1 (en) Method of controlling a switch device using a mobile terminal in a wireless communications network
KR20020022460A (ko) 이동통신단말기 사용자정보 관리시스템
KR100607703B1 (ko) 듀얼모드 착발신 전화 단말기
KR100603049B1 (ko) 레터링 서비스 방법
US6526132B2 (en) Bi-directional CID service providing apparatus and method
KR20050044190A (ko) 네트워크를 이용한 이동통신단말기 사용자의 폰페이지자동접속서비스 제공방법
KR20050023853A (ko) 타인의 단말을 이용한 지정번호 표시 서비스 제공방법
KR100351734B1 (ko) 아이디를 이용한 전화통화 방법.
KR100862750B1 (ko) 전화 접속 중계 장치 및 이를 위한 방법
KR20040095621A (ko) 휴대전화의 유선전화망 접속시스템
KR100652615B1 (ko) 이동 통신 시스템의 전화번호 자동 등록 방법
KR101149785B1 (ko) 통화대기음 설정 방법 및 그 기능을 가지는 이동통신단말기
KR100652617B1 (ko) 이동 통신 단말기의 상대 가입자 상태 표시 방법
KR101050149B1 (ko) 폰북의 개인별 통화정보 수집 및 이를 이용한 서비스 방법
KR101018215B1 (ko) 발신자 정보 수신 방법 및 시스템
KR20040000590A (ko) 휴대용 단말기의 분실 신고 방법
JPH08172670A (ja) 携帯無線電話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2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2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24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24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