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08242B1 - 분실 휴대전화 호 착신 서비스 제공 방법 및 그 방법을수행하는 시스템 - Google Patents

분실 휴대전화 호 착신 서비스 제공 방법 및 그 방법을수행하는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08242B1
KR101208242B1 KR1020070006764A KR20070006764A KR101208242B1 KR 101208242 B1 KR101208242 B1 KR 101208242B1 KR 1020070006764 A KR1020070006764 A KR 1020070006764A KR 20070006764 A KR20070006764 A KR 20070006764A KR 101208242 B1 KR101208242 B1 KR 1012082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st
mobile phone
call
phone
called nu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067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69104A (ko
Inventor
최강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Priority to KR10200700067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08242B1/ko
Publication of KR200800691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6910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082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08242B1/ko

Links

Images

Abstract

본 발명은 분실 휴대전화 호 착신 서비스에 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분실된 휴대전화에 소정의 착신번호로 강제 착신 등록을 완료한 이후에, 상기 분실된 휴대전화를 이용하여 통화를 시도할 경우, 상기 착신 등록된 착신번호로 직접 연결하기 위한 분실 휴대전화 호 착신 서비스 제공 방법 및 그 방법을 수행하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휴대전화 분실자로부터 착신번호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착신번호 정보를 상기 휴대전화의 전화번호와 연관되게 설정하는 단계, 상기 휴대전화로 상기 착신번호 정보를 포함하는 문자메시지를 전송하고, 상기 착신번호 정보가 상기 휴대전화에 등록되도록 제어하는 단계, 및 상기 휴대전화로부터 호 발신 요청을 수신한 경우, 상기 설정된 착신번호로 착신 연결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휴대전화 습득자와 분실자가 직접 통화할 수 있도록 호가 연결되어 분실된 휴대전화를 용이하게 돌려 받을 수 있고, 휴대전화를 습득한 자에 의한 분실 휴대전화의 무단 사용을 방지할 수 있다.
Figure R1020070006764
착신 설정, 착신번호, 텔레서비스ID, 문자 메시지, 휴대전화 분실자

Description

분실 휴대전화 호 착신 서비스 제공 방법 및 그 방법을 수행하는 시스템{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RECEPTION SIGNAL SERVICE OF A LOST MOBILE PHONE}
도 1은 본 발명에 있어서, 휴대전화 호 착신 서비스 제공을 위한 네트워크 연결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있어서, 휴대전화 호 착신 서비스 제공을 위하여 네트워크의 각 주체간에 수행되는 신호의 흐름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분실 휴대전화 호 착신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내부 구성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분실 휴대전화 호 착신 서비스 제공 방법에 대한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1 : 휴대전화 분실자
202 : 분실 휴대전화 호 착신 서비스 제공 시스템
203 : 분실 휴대전화
204 : 휴대전화 습득자
본 발명은 분실 휴대전화 호 착신 서비스에 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분실된 휴대전화에 소정의 착신번호로 강제 착신 등록을 완료한 이후에, 상기 분실된 휴대전화를 이용하여 통화를 시도할 경우, 상기 착신 등록된 착신번호로 직접 연결하기 위한 분실 휴대전화 호 착신 서비스 제공 방법 및 그 방법을 수행하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사용자가 이동 단말기를 분실하거나 도난 당하여 다른 사람이 취득한 경우, 이동통신 사업자에게 발신금지 및 일시 사용금지 설정을 요청하여 자신의 휴대전화를 이용하여 다른 사람이 사용하지 못하도록 하는 것이 일반적이었다. 그러나 상기 이동 단말기를 습득한 자가 고의적으로 상기 이동단말기의 구조를 변경하여 통화를 시도하거나 다른 사람에게 판매할 경우, 휴대전화 분실자가 상기 분실된 휴대전화를 돌려받기 위해 취할 수 있는 방법은 매우 한정적이었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한국특허출원 제 10-2004-0032581 호는 분실된 휴대전화를 습득한 다른 사람이 이동 단말기의 ESN(Electronic Serial Number)을 바꾸어 재사용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인증을 통한 단말기 분실 관리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에 대해 개시하고 있다. 상기 특허출원은 이동 통신망에서 분실된 단말기가 호 발신을 할 때, 호 발신한 단말기에 대하여 단말기 MIN, 단말기 ESN, 및 단말기 기종이나 버전 등의 인증 키를 확인하여 세 가지 정보가 일치하는 경우에만 인증하여 호 처리를 수행하도록 함으로써, 가입자만이 단말기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출원은 분실 여부와 상관 없이 사용자가 휴대전화를 사용할 때마다 통화 호 요청 단계에서 여러 단계의 인증확인 과정들이 수행되기 때문에, 전체적인 휴대전화의 호 대기시간이 길어지는 단점을 초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인증정보는 이동 단말기를 생산하는 업체에 의해 사전에 결정되므로, 분실자의 의사가 충분히 반영될 여지가 배제된다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제3자가 상기 분실된 휴대전화를 이용하여 통화를 시도할 경우, 상기 착신 등록된 휴대전화 분실자의 호로 직접 연결하여 용이하게 휴대전화를 돌려 받을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착신번호의 등록 여부를 휴대전화 분실자에게 실시간으로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분실된 휴대전화의 단말기 고유번호를 변경하여 통화를 시도하더라도 무조건 휴대전화 분실자에게 호가 연결됨으로써, 휴대전화 분실에 따른 제3자의 무단사용을 방지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고, 상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분실 휴대전화 호 착신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휴대전 화 분실자로부터 착신번호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착신번호 정보를 상기 휴대전화의 전화번호와 연관되게 설정하는 착신번호 설정부, 상기 휴대전화로 상기 착신번호 정보를 포함하는 문자메시지를 전송하고, 상기 착신번호 정보가 상기 휴대전화에 등록되도록 제어하는 착신번호 등록부 및 상기 휴대전화로부터 호 발신 요청을 수신한 경우 상기 설정된 착신번호로 착신 연결하는 착신번호 연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분실 휴대전화 호 착신 서비스 제공 방법은, 휴대전화 분실자의 착신번호 정보를 상기 휴대전화의 전화번호와 연관되도록 설정하는 단계, 상기 휴대전화로 상기 착신번호 정보를 포함하는 문자메시지를 전송하고, 상기 착신번호 정보가 상기 휴대전화에 등록되도록 제어하는 단계 및 상기 휴대전화로부터 호 발신 요청이 있는 경우 상기 설정된 착신번호로 착신 연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측에 따르면, 상기 분실 휴대전화 호 착신 서비스 제공 방법은, 착신번호 정보를 텔레서비스ID를 이용하여 상기 휴대전화에 등록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휴대전화로부터 착신번호 등록 메시지를 수신하여 휴대전화 분실자에게 통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 중 '휴대전화 분실자'는 소정의 휴대전화 착신번호 정보를 분실 휴대전화 호 착신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등록하고 상기 시스템을 통하여 상기 분실 등록된 휴대전화로부터 착신을 받는 주체를 의미한다.
또한, 이하 사용된 용어 중 '착신번호 정보'는 분실 휴대전화로부터 통화요청 시 호가 연결되도록 설정되는 휴대전화 분실자의 연락처로서, 착신설정 가능한 유무선 통신 수단의 접속번호를 포괄적으로 지칭하는 개념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휴대전화"는 PDC(Personal Digital Cellular)폰, PCS(Personal Communication Service)폰, PHS(Personal Handyphone System)폰, CDMA-2000(1X, 3X)폰, WCDMA(Wideband CDMA)폰, 듀얼 밴드/듀얼 모드(Dual Band/Dual Mode)폰, GSM(Global Standard for Mobile)폰, MBS(Mobile Broadband System)폰,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폰, 스마트(Smart) 폰, 핸드폰 등과 같은 통신 기능이 포함될 수 있는 휴대용 기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핸드 헬드 PC(Hand-Held PC), 노트북 컴퓨터, 랩탑 컴퓨터, 와이브로(WiBro) 단말기, MP3 플레이어, MD 플레이어 등과 같은 휴대 단말기, 그리고 국제 로밍(Roaming) 서비스와 확장된 이동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IMT-2000(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단말기 등을 포함하는 모든 종류의 핸드 헬드 기반의 무선 통신 장치를 의미하는 휴대용 전기전자장치로서, CDMA(Code Division Multiplexing Access) 모듈, 블루투스(Bluetooth) 모듈, 적외선 통신 모듈(Infrared Data Association), 유무선 랜카드 및 GPS(Global Positioning System)를 통한 위치 추적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해 GPS 칩이 탑재된 무선 통신 장치와 같은 소정의 통신 모듈을 구비할 수 있으며, 멀티미디어 재생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마이크로프로세서를 탑재함으로써 일정한 연산 동작을 수행할 수 있는 단말기를 통칭하는 개념으로 해석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있어서, 휴대전화 호 착신 서비스 제공을 위한 네트워크 연결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휴대전화 호 착신 서비스 제공을 위한 네트워크(100)는 사용자 단말기(101), 분실 휴대전화 호 착신 서비스 제공 시스템(102), 교환기(103), 무선기지국 및 기지 제어국(104), 휴대전화 분실자(105), 분실 휴대전화(106)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휴대전화 분실자는 사용자 단말기(101)를 이용하여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휴대전화 분실정보를 분실 휴대전화 호 착신 서비스 제공 시스템(102)에 전송한다. 휴대전화 분실정보는 분실자에 대한 개인 신상 정보 이외에도, 분실된 휴대전화로부터 걸려 오는 발신호를 강제로 착신할 수 있는 착신번호를 포함한다.
분실 휴대전화 호 착신 서비스 제공 시스템(102)은 사용자 단말기(101)로부터 전달된 착신번호 정보를 포함하는 문자메시지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문자메시지를 교환기(103)를 통해 분실 휴대전화(106)로 전송한다.
교환기(103)는 분실 휴대전화 호 착신 서비스 제공 시스템(102)의 문자메시지를 휴대전화(106)로 전송하여 착신번호 정보를 등록하고, 추후 분실 휴대전화로부터 호 발신 요청이 있는 경우, 교환기(103)에 연결된 무선기지국 및 기지제어국(104)을 통해 휴대전화 분실자(105)와 분실 휴대전화(106)를 연결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있어서, 휴대전화 호 착신 서비스 제공을 위하여 네트워크의 각 주체간에 수행되는 신호의 흐름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실 휴대전화 호 착신 서비스 제공 네트워 크(100)는 휴대전화 분실자(201)로부터 수신된 휴대전화 분실정보를 이용하여 분실 신고된 휴대전화에 착신번호 설정을 수행한다. 또달리, 휴대전화 분실자(201)는 유무선 네트워크를 이용하는 컴퓨터 수단 및 기타 통신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ARS를 통해 휴대전화 분실 정보를 이동 통신 서비스 업체의 데이터베이스에 등록할 수 있고, 컴퓨터, 휴대전화, PDA 등과 같은 유무선 수단을 이용하여 착신설정이 가능하다.
분실 휴대전화 호 착신 서비스 제공 시스템(202)은 휴대전화 분실자로부터 입력된 휴대전화 분실정보를 이용해 휴대전화의 분실설정 및 착신번호를 설정한다. 이를 위해, 교환기를 통한 착신호의 전환 및 호 신호 검출을 위한 특정의 텔레서비스ID를 생성하고, 문자메시지(SMS 또는 MMS)를 통해 분실 휴대전화 (203)로 전송한다.
착신번호 설정을 위한 문자메시지의 일례로서, 텔레서비스ID(TID) 서비스가 이용될 수 있다.
텔레서비스ID 서비스는 사용자 데이터 및 SMS 송수신에 필요한 여러 필드들, 예를 들어 착신번호(Destination address)정보, 회신번호 정보를 나타내는 콜 백 넘버(Callback Number) 등의 정보를 포함하는 필드들로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나열된 각각의 정보에 이용될 수 있는 분실 휴대전화의 특정 애플리케이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분실 휴대전화(203)는 분실 휴대전화 호 착신 제공 시스템(202)으로부터 메시지 형태로 수신된 텔레서비스ID를 등록한다. 또한, 분실 휴대전화(203)는 텔레 서비스ID의 등록결과를 휴대전화 분실자(201)에게 통보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분실 휴대전화에는 소정의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설치되어 구동될 수 있으며, 상기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통하여 시스템(202)으로부터 수신된 착신번호 정보를 등록할 수 있다.
휴대전화 습득자(204)가 분실 휴대전화(203)를 이용하여 통화를 시도하는 경우 앞서 설정된 착신번호 정보로 호가 연결됨으로써, 휴대전화 분실자(201)와 휴대전화 습득자(204)가 직접 통화할 수 있게 된다. 예를 들어, 텔레서비스ID를 통해 010-222-3333의 착신번호 정보가 분실 휴대전화(203)에 등록된 상태에서, 휴대전화 습득자(204)가 분실 휴대전화(203)를 이용해 임의의 전화번호, 예를 들어 010-777-8888로 통화를 시도할 경우, 무조건 010-222-3333로 호가 연결됨으로써, 분실된 휴대전화를 습득한 자가 무단으로 휴대전화를 사용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분실 휴대전화 호 착신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내부 구성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실 휴대전화 호 착신 서비스 제공 시스템(300)은 착신번호 설정부(301), 착신번호 등록부(302) 및 착신번호 연결부(303)를 포함한다. 이하, 각 구성 요소별로 그 기능을 상술하기로 한다.
착신번호 설정부(301)는 휴대전화 분실자로부터 착신번호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착신번호 정보를 휴대전화의 전화번호와 연관되게 설정한다. 이를 위해, 착신번호 설정부(301)는 휴대전화 분실자에게 휴대전화 분실 설정을 위한 소정의 정보 입력을 요청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인터 페이스는 유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제공될 수 있다. 또달리, 착신번호 정보는 컴퓨터 단말기 및 기타 통신 수단을 통해 입력된 정보일 수 있다.
착신번호 설정부(301)는 휴대전화 분실자로부터 입력된 착신번호 정보를 이용하여 착신호 전환을 위한 특정의 문자메시지를 생성한다. 문자메시지의 일례로서, 텔레서비스ID 서비스가 사용될 수 있다.
착신번호 등록부(302)는 상기 휴대전화로 상기 착신번호 정보를 포함하는 문자메시지를 전송하고, 상기 착신번호 정보가 상기 휴대전화에 등록되도록 제어한다.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로서, 착신번호 등록부(302)는 분실 휴대전화로부터 착신번호 등록 메시지를 수신하여 분실자에게 전달한다. 즉, 분실 휴대전화로부터 상기 착신번호 등록에 대한 완료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완료신호를 휴대전화 분실자에게 통지할 수 있다. 이렇게 하여, 휴대전화 분실자는 상기 착신번호 등록 메시지를 수신함으로써, 분실자의 휴대전화로부터 호 착신이 설정되었음을 실시간으로 손쉽게 인지할 수 있고, 이를 통하여 분실된 휴대폰을 되찾을 수 있다는 기대를 가질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분실 휴대전화에는 소정의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설치되어 구동될 수 있으며, 상기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통하여 착신번호 등록부(302)는 휴대전화로부터 착신번호 등록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또다른 실시예로서, 착신번호 등록부(302)가 소정 시간 동안 상기 착신번호 등록 메시지를 수신하지 못한 경우, 상기 착신번호 정보를 포함하는 문자 메시지를 휴대전화로 재전송한다. 이는 분실자의 휴대전화의 전원이 꺼져 있거나, 또는 기타 다른 이유로 인하여 휴대전화에 있어서 착신번호 등록이 원활치 못한 경우에도, 추후 문자메시지의 재전송을 통하여 착신번호 등록을 지속적으로 시도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착신번호 연결부(303)는 휴대전화로부터 호 발신 요청을 수신한 경우 상기 설정된 착신번호로 착신 연결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분실된 휴대전화로부터 생성되는 임의의 호 발신에 대해서도 분실자가 미리 설정해 놓은 착신번호로 강제 착신시킴으로써, 분실자와 습득자가 직접 연결될 수 있도록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분실 휴대전화 호 착신 서비스 제공 방법에 대한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각 단계별로 수행되는 기능을 상술하기로 한다.
먼저, 단계(S401)에서는 휴대전화 분실자로부터 착신번호 정보를 수신한다. 휴대전화 분실자는 시스템과 여러 경로를 통하여 접속하고, 자신이 착신을 원하는 착신번호를 입력할 수 있다. 상기 착신번호는 유무선 전화번호 또는 기타 휴대전화로부터 걸려 오는 발신 호를 수신할 수 있는 모든 통신 수단의 접속번호를 포함할 수 있다.
다음으로, 단계(S402)에서 상기 수신된 착신번호 정보를 휴대전화와 연관되게 설정한다. 이를 위해, 휴대전화 분실자로부터 입력된 휴대전화 착신번호 정보를 이용하여 착신호 전환을 위한 텔레서비스ID를 생성한다.
단계(S403)에서 텔레서비스ID는 문자메시지(SMS 또는 MMS)를 통해 분실 휴대 전화로 전달된다. 텔레서비스ID는 착신번호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단계(S404)에서 상기 텔레서비스ID에 포함된 착신번호 정보를 이용하여 휴대전화에 착신 등록하고, 단계(S405)에서 착신번호 정보가 휴대전화에 등록된 경우, 휴대전화로부터 상기 착신번호 등록에 대한 완료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완료신호를 휴대전화 분실자에게 통보한다.
단계(S406)에서는 휴대전화로부터 발신 호의 생성 여부를 검출한다. 분실된 휴대전화를 이용하여 통화를 시도할 경우, 단계(S404)에서 분실 휴대전화로 전달된 텔레서비스ID에 포함된 착신번호 정보로 호를 연결한다.
단계(S407)에서 휴대전화로부터 호 발신 요청이 있는 경우 상기 텔레서비스ID에 포함된 착신번호 정보의 호로 연결함으로써, 휴대전화 분실자와 휴대전화 습득자가 직접 통화할 수 있게 된다.
상기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분실 휴대전화 호 착신 서비스 제공 방법 및 그 방법을 수행하는 시스템은 분실휴대전화를 이용하여 통화를 시도할 경우, 분실 휴대전화 자체적으로 착신 설정된 착신번호 정보로 착신전환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보다 안정적으로 휴대전화 분실자와 휴대전화 습득자를 연결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분실 휴대전화 호 착신 서비스 제공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 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 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제3자가 상기 분실된 휴대전화를 이용하여 통화를 시도할 경우, 상기 착신 등록된 휴대전화 분실자의 호로 직접 연결하여 용이하게 휴대전화를 돌려받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착신번호의 등록 여부를 휴대전화 분실자에게 실시간으로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분실된 휴대전화의 단말기 고유번호를 변경하여 통화를 시도하더라도 무조건 휴대전화 분실자에게 호가 연결됨으로써, 휴대전화 분실에 따른 제3자의 무단사용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8)

  1. 휴대전화 분실자의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제1 착신번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제1 착신번호와 분실 휴대전화의 전화번호를 대응시키는 단계; 및
    상기 분실 휴대전화로부터 제2 착신번호를 포함한 호 발신 요청을 수신한 경우, 상기 분실 휴대전화의 전화번호에 대응하는 제1 착신번호를 확인하고, 상기 제2 착신번호에 대신하여 상기 확인된 제1 착신번호로 착신 연결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분실 휴대전화 호 착신 서비스 제공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착신호 전환을 위한 텔레서비스ID를 생성하고, 상기 텔레서비스ID를 포함하는 문자메시지를 전송하여, 상기 텔레서비스ID를 통해 상기 제1 착신번호가 상기 분실 휴대전화에 등록되도록 제어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실 휴대전화 호 착신 서비스 제공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분실 휴대전화로부터 착신번호 등록 메시지를 수신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게 통보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분실 휴대전화 호 착신 서비스 제공 방법.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5. 휴대전화 분실자의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제1 착신번호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제1 착신번호와 분실 휴대전화의 전화번호를 대응시키는 착신번호 설정부; 및
    상기 분실 휴대전화로부터 제2 착신번호를 포함한 호 발신 요청을 수신한 경우, 상기 분실 휴대전화의 전화번호에 대응하는 제1 착신번호를 확인하고, 상기 제2 착신번호에 대신하여 상기 확인된 제1 착신번호로 착신 연결하는 착신번호 연결부
    를 포함하는 분실 휴대전화 호 착신 서비스 제공 시스템.
  6. 제5항에 있어서,
    착신호 전환을 위한 텔레서비스ID를 생성하고, 상기 텔레서비스ID를 포함하는 문자메시지를 전송하여, 상기 텔레서비스ID를 통해 상기 제1 착신번호가 상기 분실 휴대전화에 등록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실 휴대전화 호 착신 서비스 제공 시스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착신 번호 등록부는,
    상기 분실 휴대전화로부터 착신번호 등록 메시지를 수신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게 통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실 휴대전화 호 착신 서비스 제공 시스템.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착신 번호 등록부는,
    상기 분실 휴대전화로부터 착신번호 등록 메시지를 미리 정해진 시간 이내 수신하지 못한 경우, 상기 문자메시지를 상기 분실 휴대전화로 재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실 휴대전화 호 착신 서비스 제공 시스템.
KR1020070006764A 2007-01-22 2007-01-22 분실 휴대전화 호 착신 서비스 제공 방법 및 그 방법을수행하는 시스템 KR1012082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06764A KR101208242B1 (ko) 2007-01-22 2007-01-22 분실 휴대전화 호 착신 서비스 제공 방법 및 그 방법을수행하는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06764A KR101208242B1 (ko) 2007-01-22 2007-01-22 분실 휴대전화 호 착신 서비스 제공 방법 및 그 방법을수행하는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69104A KR20080069104A (ko) 2008-07-25
KR101208242B1 true KR101208242B1 (ko) 2012-12-04

Family

ID=398225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06764A KR101208242B1 (ko) 2007-01-22 2007-01-22 분실 휴대전화 호 착신 서비스 제공 방법 및 그 방법을수행하는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0824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05243B1 (ko) 2022-07-18 2023-03-02 주식회사 데이터유니버스 분실 휴대폰 회수 지원 서비스 방법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42952A (ko) * 1998-12-28 2000-07-15 김동연 휴대용 단말기의 분실/도난 상태 제어방법
KR20020090455A (ko) * 2001-05-25 2002-12-05 엘지전자 주식회사 문자 메시지를 이용한 이동 통신 단말기의 제어 방법
KR20040096197A (ko) * 2003-05-07 2004-11-16 엘지전자 주식회사 분실한 이동 통신 단말기의 등록 및 사용자 연결 방법
KR20040100153A (ko) * 2003-05-21 2004-12-02 엘지전자 주식회사 분실한 이동 통신 단말기 제어 방법
JP2006074437A (ja) * 2004-09-02 2006-03-16 Fujitsu Ltd 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携帯端末の所在確認サービスシステム
KR20060059274A (ko) * 2004-11-26 2006-06-01 햄펙스 주식회사 단문메시지를 이용한 통신단말기의 기능제어 시스템 및 방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42952A (ko) * 1998-12-28 2000-07-15 김동연 휴대용 단말기의 분실/도난 상태 제어방법
KR20020090455A (ko) * 2001-05-25 2002-12-05 엘지전자 주식회사 문자 메시지를 이용한 이동 통신 단말기의 제어 방법
KR20040096197A (ko) * 2003-05-07 2004-11-16 엘지전자 주식회사 분실한 이동 통신 단말기의 등록 및 사용자 연결 방법
KR20040100153A (ko) * 2003-05-21 2004-12-02 엘지전자 주식회사 분실한 이동 통신 단말기 제어 방법
JP2006074437A (ja) * 2004-09-02 2006-03-16 Fujitsu Ltd 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携帯端末の所在確認サービスシステム
KR20060059274A (ko) * 2004-11-26 2006-06-01 햄펙스 주식회사 단문메시지를 이용한 통신단말기의 기능제어 시스템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69104A (ko) 2008-07-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750793B2 (en) Near-field communication (NFC) system with mobile wireless communications devices determining geographic positions of NFC tags and related methods
US8831514B2 (en) Near-field communication (NFC) system providing NFC tag geographic position authentication and related methods
CN102821380B (zh) 用于实现移动终端一卡多号的方法及移动终端
EP2301280B1 (en) User initiated mobile learning of preferred femtocell
US20120094596A1 (en) Near-field communication (nfc) system providing nfc tag geographic position authentication and related methods
US7299037B2 (en) Remote control over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RU2011121849A (ru) Беспроводной обмен данными
CN101431825B (zh) 基于多模终端的呼叫转移实现方法以及多模终端
JP5867774B2 (ja) 携帯電話、通信接続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101208242B1 (ko) 분실 휴대전화 호 착신 서비스 제공 방법 및 그 방법을수행하는 시스템
JP2009232414A (ja) 移動通信システム、および、加入者識別符号通知装置
CN113853779A (zh) 保障终端安全的方法、装置以及系统
CN103546873A (zh) 一键通业务处理方法及装置
US9413867B2 (en) Communications system providing caller identification features based upon near field communication and related methods
US10887732B2 (en) Telephone base station for combining mobile and VOIP telephone service
US20140159875A1 (en) Terminal and operation control method thereof
KR20070028107A (ko) 명의 도용 방지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이동통신시스템
KR100835539B1 (ko) 모바일 메시지를 이용하는 선불 카드 서비스 방법 및 이를이용한 선불 카드 서비스 시스템
EP2442128A1 (en) Near-field communication (nfc) system with mobile wireless communications devices determining geographic positions of nfc tags and related methods
JP6320718B2 (ja) 携帯端末装置、発番サーバ、及び携帯端末プログラム
KR100905890B1 (ko) 메시지 전달 서버, 메시지 전송 단말기 및 메시지 전달 방법
US20120202472A1 (en) Method, apparatus and system for processing communication call
JP6070867B2 (ja) 通信装置、通信接続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101293851B1 (ko) 게시판을 이용한 메시지 송신 시스템 및 방법
CN101835104A (zh) 销户移动终端的群组信息更新方法及集群调度子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2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11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