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45966B1 - High density connector system - Google Patents

High density connector system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45966B1
KR100545966B1 KR1019980042288A KR19980042288A KR100545966B1 KR 100545966 B1 KR100545966 B1 KR 100545966B1 KR 1019980042288 A KR1019980042288 A KR 1019980042288A KR 19980042288 A KR19980042288 A KR 19980042288A KR 100545966 B1 KR100545966 B1 KR 10054596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il
circuit board
elements
connector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42288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조세프 비. 슈에이
Original Assignee
에프씨아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프씨아이 filed Critical 에프씨아이
Priority to KR10199800422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45966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459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45966B1/en

Links

Landscapes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플러그 및 리셉터클로 도시된 전기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한 실시예에서 커넥터는 다수의 구멍을 갖는 기부 부재를 포함한다. 제1 다수의 접촉 요소는 임의의 구멍에 위치한다. 각각의 접촉 요소의 미부는 기부 부재 너머로 연장된다. 제2 다수의 접촉 요소는 다른 구멍에 위치한다. 제2 다수의 접촉 요소의 미부를 회로 기판으로 삽입함으로써 제1 다수의 접촉 요소의 미부를 회로 기판에 유지하는 데 충분하다. 제2 다수의 접촉부의 미부는 압축력이 가해졌을 때 축방향 이동이 가능한 것이 바람직하다. 다른 실시예에서, 커넥터는 프레임 및 접촉 요소층을 포함하는데, 각각의 접촉 요소는 전방 단부 및 미부를 포함한다. 미부의 단부는 프레임의 바닥면에 인접하여 위치한다. 다수의 가용성 요소, 예컨대 납땜볼은 미부의 단부에 인접하여 위치한다. 그와 같은 실시예에서 납땜볼은 종횡비가 1보다 큰 변형된 구형을 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electrical connectors shown as plugs and receptacles. In one embodiment, the connector includes a base member having a plurality of holes. The first plurality of contact elements are located in any holes. The tail of each contact element extends beyond the base member. The second plurality of contact elements are located in the other holes. It is sufficient to retain the tail of the first plurality of contact elements on the circuit board by inserting the tail of the second plurality of contact elements into the circuit board. The tail of the second plurality of contacts is preferably capable of axial movement when a compressive force is applied. In another embodiment, the connector includes a frame and a contact element layer, each contact element comprising a front end and a tail. The end of the tail is located adjacent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frame. Many fusible elements, such as solder balls, are located adjacent the ends of the tail. In such embodiments, the solder balls preferably take a modified sphere with an aspect ratio greater than one.

Description

고밀도 커넥터 시스템{HIGH DENSITY CONNECTOR SYSTEM}High Density Connector System {HIGH DENSITY CONNECTOR SYSTEM}

본 발명은 전기 커넥터, 특히 도터 보드와 백 패널의 상호접속용 고밀도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electrical connectors, in particular high density connectors for interconnection of daughter boards and back panels.

데이터 처리 및 통신 시스템용 전자 장치 설계의 계속되는 기술 진보로 인해서 전기 커넥터의 설계에 엄격한 요건이 가해지고 있다. 특히, 고밀도 및 고핀수를 갖는 전기 커넥터가 고체 디바이스(solid-state device)의 집적도와 데이터 처리 및 통신 속도를 증가시키려는 설계적 진보를 위해 필요하다. 고밀도 및 고핀수를 갖는 커넥터를 설계할 때에는, 접점 간의 거리가 감소함으로써 발생하는 문제에 대해 신중히 고려할 필요가 있다. 이는 특히 커넥터가 전기적 접속을 이루도록 기능하고 도터 보드를 제 위치에 기계적으로 유지시키도록 기능하는 도터 보드/백 패널 접속과 관련된 용도에서 그러하다. The continuing technological advances in the design of electronics for data processing and communication systems place stringent requirements on the design of electrical connectors. In particular, high density and high pin count electrical connectors are needed for design advancements to increase the density and data processing and communication speeds of solid-state devices. When designing a connector having a high density and a high pin number, it is necessary to carefully consider the problem caused by the reduction of the distance between the contacts. This is especially true for applications related to daughter board / back panel connections where the connector functions to make electrical connections and mechanically holds the daughter board in place.

밀도 및 핀수는 종종 동일시 하기도 하지만, 중요한 차이점들이 있다. 밀도는 단위 길이당 마련된 접촉부의 수를 의미한다. 반면에, 핀수는 정합력 및 분리력을 이상적으로 견딜 수 있는 접촉 요소의 수를 의미한다. 반도체 칩 또는 가요성 회로기판에 더 많은 기능들이 집적되어 더 많은 칩들이 인쇄 회로 기판(PCB)에 마련될수록, 각각의 PCB 또는 가요성 회로는 더 많은 입력부 및 출력부(I/O)를 마련하여야 한다. 더 많은 I/O에 대한 요구는 특히, 그와 같은 장치 및 집적 기술이 백 패널을 갖는 장치에 활용할 때 전기적 또는 기계적 성능을 희생시키지 않고 더 높은 밀도에 대한 요구로 이해할 수 있다. While density and pin count are often identified, there are important differences. Density means the number of contacts provided per unit length. Pin count, on the other hand, refers to the number of contact elements that can ideally withstand mating and separating forces. As more functions are integrated into a semiconductor chip or flexible circuit board and more chips are provided on a printed circuit board (PCB), each PCB or flexible circuit must provide more input and output (I / O). do. The need for more I / O can be understood as the demand for higher densities, without sacrificing electrical or mechanical performance, especially when such devices and integrated technologies are utilized in devices with back panels.

고밀도 커넥터의 전기적 성능의 중요성은 본 발명에서 참고로 인용한 Lemke의 미국 특허 제4,824,383호에서 인식되었다. 상기 특허는 다중 도체 케이블 또는 다중 트레이스 기판용 플러그 및 리셉터클 커넥터의 설계를 제안하였다. 그와 같은 설계에서 전기적 성능은 혼선 및 신호 열화를 방지하거나 최소화하기 위하여 전도성 벽의 사용을 통하여 전기적으로 절연된 개개의 접촉 요소들 또는 접촉 요소의 군에 의해 보증된다. 미국 특허 제4,824,383호에 개시된 커넥터는 접촉 요소 밀도를 증가시켰지만 산업적으로 요구되는 밀도는 계속 늘어났다. 본 발명에서 참고로 인용한 Lemke등의 미국 특허 제5,057,028호 및 Lemke등의 제5,169,324호(현재 미국 재발행 특허 제 35.508호)는 인쇄 회로 기판에 부착하기 위한 2열 플러그 및 리셉터클 커넥터를 개시하였는데, 상기 커넥터는 절연을 제공하는 전도성 벽의 사용을 통하여 우수한 전기적 성능을 보였다. The importance of the electrical performance of high density connectors was recognized in US Pat. No. 4,824,383 to Lemke, which is incorporated herein by reference. The patent proposed the design of plug and receptacle connectors for multi-conductor cables or multi-trace boards. Electrical performance in such designs is ensured by individual contact elements or a group of contact elements that are electrically insulated through the use of conductive walls to prevent or minimize crosstalk and signal degradation. The connector disclosed in US Pat. No. 4,824,383 increased the contact element density, but the industrially required density continued to increase. US Patent No. 5,057,028 to Lemke et al. And US Pat. No. 5,169,324 to Lemke et al. (Now US Reissue Patent No. 35.508) disclose a two-row plug and receptacle connector for attaching to a printed circuit board. The connector has shown excellent electrical performance through the use of conductive walls that provide insulation.

또한 고밀도 커넥터의 전기적 성능은 미국 특허 제4,846,727호, 제5,046,960호, 제5,066,236호, 제5,104,341호, 제5,496,183호, 제5,342,211호 및 제5,286,212호에서도 촛점이 되었다. 상기 특허들은 플러그 및 리셉터클 시스템에 사용되는 스트립라인 구조의 다양한 형태를 개시한다. 고밀도 스트립라인 구조에서는, 접촉 요소들의 기둥들이 각 기둥 사이에 배치된 전도성 판을 갖춘 상태로 나란한 어레이로 정렬되어 있다. 커넥터들은 플러그 및 리셉터클 접지판들이 서로 접촉하도록 설계되어 있어, 기둥들 사이의 절연을 제공한다. 이 시스템의 또 다른 면은 리셉터클의 모듈형 설계이다. 리셉터클 접촉 요소의 각 기둥은 유전체 프레임에 접촉 요소를 성형하여 형성된다. 이런 형식의 커넥터들이 갖는 문제점중 하나는 전기 절연용 전도성 벽을 사용함에 따라 공간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어떤 경우에는 그와 같은 절연을 위해 필요한 공간 또는 부피를 사용할 수 없다. Electrical performance of high density connectors has also been focused on US Pat. Nos. 4,846,727, 5,046,960, 5,066,236, 5,104,341, 5,496,183, 5,342,211 and 5,286,212. The patents disclose various forms of stripline structures for use in plug and receptacle systems. In the high density stripline structure, the pillars of the contact elements are arranged in a side by side array with conductive plates disposed between each pillar. The connectors are designed so that the plug and receptacle ground plates contact each other, providing insulation between the pillars. Another aspect of this system is the modular design of the receptacle. Each pillar of the receptacle contact element is formed by forming a contact element in the dielectric frame. One of the problems with these types of connectors is that space is required by using conductive walls for electrical insulation. In some cases, the space or volume required for such insulation cannot be used.

공간이 결정적인 경우에는, 필요한 전기적 성능을 얻기 위해서 신호 전송을 위해 선택된 하나의 핀이 접지되는 핀들 사이에 위치하는 고밀도 커넥터의 사용을 제안하고 있다. 그와 같은 패턴은 틈새 배열로 공지되어 있다. 그와 같은 접촉 요소 패턴은 미국 특허 제5,174,770호, 제5,197,893호 및 제5,525,067호에 제안되었다. 그와 같은 절연 구조가 더 소형인 커넥터에 장치되면, 그와 같은 구조는 이전에 설명된 전도성 벽을 사용하는 커넥터에서 이용할 수 있는 것보다 많은 핀수가 필요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Where space is critical, it has been proposed to use a high density connector with one pin selected for signal transmission between grounded pins to achieve the required electrical performance. Such a pattern is known as a gap arrangement. Such contact element patterns have been proposed in US Pat. Nos. 5,174,770, 5,197,893 and 5,525,067. If such an insulating structure is installed in a smaller connector, it can be seen that such a structure requires more pin count than is available in the connector using the conductive wall described previously.

백패널의 경우에는, 핀수를 증가시키면 기계적 완전성에 직접적인 영향을 준다. 핀수가 증가할수록, 백패널 및 도터 보드의 구멍 또는 관통 구멍의 수가 증가한다. 고밀도의 경우에서와 같이, 인쇄 회로 기판의 구멍수가 증가하고 동시에 각 구멍 사이의 거리가 줄어들수록, 기판의 기계적 완전성은 감소한다. 기계적 완전성이 감소할수록 백패널이 도터 보드를 제 위치에 유지하는 능력은 감소한다. In the case of the back panel, increasing the pin count directly affects mechanical integrity. As the number of pins increases, the number of holes or through holes in the back panel and daughter board increases. As in the case of high density, as the number of holes in the printed circuit board increases and at the same time the distance between each hole decreases, the mechanical integrity of the substrate decreases. As mechanical integrity decreases, the ability of the back panel to hold the daughter board in place decreases.

백패널의 경우에는, 도터 보드가 두개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데 사용되는 커넥터에 의해 제 위치 즉 수직 및 수평 방위에 때로는 독자적으로 유지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도터 보드 크기, 도터 보드의 수 및 도터 보드에 장착된 부품들은 조립후 백패널에 작용하는 응력과 모멘트를 생성하도록 결합한다. 근접하여 이격된 관통 구멍의 수가 많아서 특정 위치에서의 백패널 재료의 양이 감소하면, 백패널 파손 즉, 백패널의 변형 또는 파괴가 발생할 수 있다. In the case of the back panel, it can be seen that the daughter board is sometimes maintained independently in position, ie vertical and horizontal orientation, by the connector used to electrically connect the two. The daughter board size, the number of daughter boards and the components mounted on the daughter boards combine to create stresses and moments acting on the back panel after assembly. If the number of through-holes spaced apart closely reduces the amount of back panel material at a particular location, back panel breakage, that is, deformation or breakage of the back panel may occur.

백패널의 기계적 파손에 대한 해결 방안은 백패널에의 전기적 접속을 이루기 위해 표면 장착 기술을 이용하는 것이라고 결론내릴 수 있다. 표면 장착 기술은 관통 구멍의 사용이 필요하지 않으므로 그와 같은 기술은 기계적 완전성에 영향을 주지 않고 고밀도 커넥터를 백패널에 접속할 수 있다. 불행하게도 그와 같은 해결 방안은 성공적이지 못하다.It can be concluded that the solution to the mechanical failure of the back panel is to use surface mount technology to make electrical connections to the back panel. Surface mount technology does not require the use of through holes, so such technology can connect high density connectors to the back panel without affecting mechanical integrity. Unfortunately, such a solution is not successful.

표면 장착 기술은 일반적으로 페이스트를 사용하여 부품을 인쇄 회로 기판에 임시로 고정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페이스팅 후에 기판 및 임시 고정 부품들은 이전에 표면 장착 부품들의 도선에 피복된 납땜 재료를 재용융하기 위해 가열된다. 백패널의 경우에는, 많은 커넥터들이 일반적으로 비교적 큰 회로 기판인 백패널 기판에 부착된다. 비교적 큰 기판에 대해 많은 부품들의 흩어짐을 위해 적절한 재용융을 보증하고 그로 인하여 양호한 전기적 접속을 이루기 위해서는 백패널 기판이 상당한 열을 받아야만 한다. 불행하게도 지나치게 높은 또는 지나치게 긴 시간의 가열은 양호한 표면 장착 종료를 방해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표면 장착 기술은 백패널 적용을 위한 고밀도 커넥터가 필요로 하는 해결책이 되지 않는다.Surface mounting techniques generally involve the use of pastes to temporarily secure parts to a printed circuit board. After pasting, the substrate and temporary fixing parts are heated to remelt the brazing material previously coated on the lead of the surface mount parts. In the case of a back panel, many connectors are typically attached to the back panel substrate, which is a relatively large circuit board. The back panel substrate must be subjected to considerable heat in order to ensure proper remelting for scattering of many components on a relatively large substrate and thereby to achieve good electrical connection. Unfortunately, excessively high or excessively long heating times can hinder good surface mounting termination. As a result, surface mount technology is not a solution that requires high density connectors for back panel applications.

따라서, 접지/신호 할당에 이용할 수 있는 접촉 요소의 수를 최대화하고, 백패널 적용에 있어서 전기적 또는 기계적 완전성을 해치지 않는 커넥터 시스템에 대한 요구는 여전히 존재한다. Thus, there is still a need for a connector system that maximizes the number of contact elements available for grounding / signal assignment and does not compromise electrical or mechanical integrity in back panel applications.

특히 백패널 적용을 위한 고밀도 커넥터를 설계할 때 고려해야만 하는 다른 하나는 커넥터의 리셉터클부를 부착하기 위한 구조의 설계이다. 리셉터클 부착에서 중요한 요소는 정렬이다. 하나의 리셉터클 접촉 요소가 어긋나게 되면, 삽입력이 미미하게 증가한다. 그러나, 고밀도 접촉 리셉터클에서 오정렬이 발생하면, 삽입력이 허용할 수 없을만큼 증가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회로 기판에 리셉터클을 장착하는 중에 오정렬이 발생하면, 기판을 플러그에 장착하지 못하게 되거나 그 반대로 될 수도 있다. Another consideration that must be taken into account when designing high density connectors for back panel applications is the design of structures for attaching the receptacle portions of the connectors. An important factor in receptacle attachment is alignment. If one receptacle contact element is displaced, the insertion force increases slightly. However, if misalignment occurs in the high density contact receptacle, the insertion force may increase unacceptably. In other words, if misalignment occurs while mounting the receptacle on the circuit board, the board may not be mounted to the plug or vice versa.

따라서, 삽입력이 허용 가능한 한계 내에 유지되도록 장착후에 적절한 정렬을 제공하는 고밀도 커넥터 시스템에 대한 요구가 여전히 존재한다. Thus, there is still a need for a high density connector system that provides proper alignment after mounting so that the insertion force remains within acceptable limits.

본 발명은 접촉 요소의 수를 최대화하면서 전기적 기계적 완전성을 해치지 않고 삽입력이 허용 가능한 한계 내에 유지되도록 적절한 정렬을 이루는 고밀도 커넥터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high density connector system that is in proper alignment so as to maximize the number of contact elements while maintaining insertion force within acceptable limits without compromising electrical mechanical integrity.

신규한 고밀도 전기 커넥터에 의해서 위에서 설명한 문제들이 해결되고 다른 장점들이 성취된다. 한 실시예에서, 커넥터는 다수의 구멍을 갖는 기부 부재를 포함한다. 제1 다수의 접촉 요소는 임의의 구멍에 위치한다. 제2 다수의 접촉 요소는 다른 구멍에 위치한다. 각 접촉 요소의 미부는 기부 부재 너머로 연장된다. 제2 다수의 접촉 요소의 미부를 구멍을 통하여 회로 기판에 삽입함으로써 제1 다수 접촉 요소의 미부를 회로 기판에 유지하기에 충분하다. The novel high density electrical connector solves the problems described above and other advantages are achieved. In one embodiment, the connector includes a base member having a plurality of holes. The first plurality of contact elements are located in any holes. The second plurality of contact elements are located in the other holes. The tail of each contact element extends beyond the base member. It is sufficient to retain the tail of the first plurality of contact elements on the circuit board by inserting the tail of the second plurality of contact elements through the aperture.

제1 다수의 접촉부의 미부는 압축력이 가해졌을 때 축방향 운동을 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실시예에서, 제1 다수의 접촉부의 미부는 S형 구조를 취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The tail of the first plurality of contacts is preferably capable of axial movement when a compressive force is applied. In this embodiment, it is particularly preferable that the tail of the first plurality of contacts has an S-shaped structure.

다른 실시예에서, 커넥터는 프레임 및 이 프레임에 부착된 접촉 요소층을 포함한다. 각각의 접촉 요소들은 수용부 및 미부를 포함한다. 미부의 단부는 프레임의 바닥면 근처에 위치한다. 다수의 가용성 요소들 예컨대, 납땜볼은 미부의 단부 근처에 위치한다. 그와 같은 실시예에서, 납땜볼은 기부로부터 소정의 거리내에 연장된다. 변형된 구형상을 갖는 납땜볼을 사용함으로써 이 결과를 얻는다. 변형된 구형상은 편평한 바닥면을 가지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In another embodiment, the connector includes a frame and a contact element layer attached to the frame. Each contact element includes a receptacle and a tail. The end of the tail is located near the bottom of the frame. Many fusible elements, such as solder balls, are located near the ends of the tail. In such an embodiment, the solder ball extends within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base. This result is obtained by using a solder ball having a modified spherical shape. It is particularly preferred that the modified sphere has a flat bottom surface.

또 다른 실시예에서는, 돌출부가 프레임을 인쇄 회로 기판에 대하여 잠금 및 이격시키기 위해 프레임의 바닥부에 부착되어 있다. 이 실시예에서도 마찬가지로 납땜볼이 변형된 구형상을 가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변형된 구형상은 편평한 즉, 납땜볼의 종횡비가 높이보다 큰 길이를 갖는다. In another embodiment, a protrusion is attached to the bottom of the frame to lock and space the frame against the printed circuit board. In this embodiment as well, it is preferable that the solder ball has a deformed spherical shape, and the deformed spherical shape is flat, that is, the aspect ratio of the solder ball has a length greater than the height.

본 발명은 아래의 도면과 함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더 잘 이해될 것이고 본 발명의 많은 목적 및 장점들이 명백해질 것이다.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better understood from the detailed description taken in conjunction with the drawings below, and many object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come apparent.

위에서 논의된 것처럼, 더 높은 밀도를 가진 커넥터는 산업상 여전히 필요하다. 이를 위해, 새로운 커넥터(10)가 개발되었고 도1에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플러그로 도시되어 있지만, 본 발명은 플러그 또는 리셉터클에 적용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커넥터(10)가 측면벽(12 및 14) 및 기부벽(16)을 포함하는 것을 알 수 있다. 다수의 블래이드(18 및 20)가 바닥벽(16)에 배치된다. 블래이드(18)는 바닥벽(16)의 바닥면 아래로 연장되는 억지 맞춤부의 형태인 것이 바람직한 변형 가능한 미부를 포함한다. 반면에, 블래이드(20)는 바닥벽(16)의 바닥면으로부터 짧은 거리만 연장되는 훨씬 짧고 압축 가능한 미부를 포함한다. 블래이드(20) 미부의 구불구불한 또는 S 형상은 미부에 힘이 가해졌을 때 압축되는 것을 허용한다. 도2는 플러그(10)의 평면도이다. As discussed above, connectors with higher densities are still needed in the industry. To this end, a new connector 10 has been developed and shown schematically in FIG. Although shown as a plug, it will be appreciated that the invention is applicable to a plug or receptacle. It can be seen that the connector 10 includes side walls 12 and 14 and a base wall 16. Multiple blades 18 and 20 are disposed on the bottom wall 16. The blade 18 includes a deformable tail that is preferably in the form of an interference fit extending below the bottom surface of the bottom wall 16. Blade 20, on the other hand, comprises a much shorter and compressible tail extending only a short distance from the bottom surface of bottom wall 16. The serpentine or S-shape of the blade 20 tail permits compression when a force is applied to the tail. 2 is a plan view of the plug 10.

본 발명에 따라 구성된 커넥터들은 관통 구멍을 갖는 핀의 반부만 필요하고 다른 반부는 전기적 접속을 이루기 위한 접촉 패드로 활용한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백패널의 경우에, 그와 같은 구성은 상당히 더 높은 핀 밀도를 제공하는 백패널의 기계적 완전성을 보존한다. 도3은 플러그(10)가 장착될 인쇄 회로 기판(22)의 부분을 도시한다. 회로 기판(22)은 구멍(24) 및 접촉 패드(26)의 패턴을 포함한다. 접촉 패드의 직경은 구멍의 직경보다 작고 구멍 및 접촉 패드는 교차 패턴으로 정렬되어 있다. Connectors constructed in accordance with the present invention have the advantage that only half of the pins with through holes are required and the other half is utilized as contact pads for making electrical connections. In the case of a back panel, such a configuration preserves the mechanical integrity of the back panel, which provides significantly higher pin density. 3 shows a portion of the printed circuit board 22 on which the plug 10 is to be mounted. The circuit board 22 includes a pattern of holes 24 and contact pads 26. The diameter of the contact pads is smaller than the diameter of the holes and the holes and the contact pads are aligned in a cross pattern.

플러그(10)가 회로 기판(22)에 장착될 때, 블래이드(18)의 미부들은 구멍(24)으로 삽입된다. 삽입력은 압축 가능한 블래이드(20)의 단부가 패드(26)와 전기적 접촉을 이루게 한다. 블래이드(18)의 미부는 변형 가능하거나 또는 미부와 회로 기판(22)과의 마찰력이 플러그(10)를 제자리에 유지시키고 블래이드(20)의 미부들과 접촉 패드들 사이의 전기적 접촉을 유지시키기에 충분한 형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When the plug 10 is mounted to the circuit board 22, the tails of the blade 18 are inserted into the holes 24. The insertion force causes the end of the compressible blade 20 to make electrical contact with the pad 26. The tail of the blade 18 may be deformable or the friction between the tail and the circuit board 22 may hold the plug 10 in place and maintain electrical contact between the tails of the blade 20 and the contact pads. It is preferable that it is sufficient shape.

도4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커넥터(30)를 설명한다. 리셉터클로서 도시되었지만, 본 발명은 플러그 또는 리셉터클에 적용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커넥터(30)는 다수의 접촉 요소(32)를 포함하는 것으로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접촉 요소는 일반적으로 동일 평면에 위치하여 있고 층 모듈로서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리셉터클(30)의 조립은 다수의 접촉 요소의 층들을 나란히 쌓는 과정을 필요로 한다. 도5에 도시된 것처럼, 각 접촉 요소층은 직립부(36) 및 기부(38)로부터 형성된 위치 설정 프레임(34)을 포함한다. 제조시 부분(36 및 38)들을 접촉 요소(32) 열과 일체로 형성하고 그로 인하여 접촉 요소 모듈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The connector 3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Although shown as a receptacle, it will be appreciated that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applied to a plug or receptacle. The connector 30 is schematically shown as including a plurality of contact elements 32. The contact elements are generally located coplanar and are provided as layer modules. Assembly of the receptacle 30 requires the process of stacking layers of multiple contact elements side by side. As shown in FIG. 5, each contact element layer includes a positioning frame 34 formed from an upright 36 and a base 38. In manufacturing it may be desirable to form the parts 36 and 38 integrally with the row of contact elements 32 and thereby form a contact element module.

리셉터클(30)을 인쇄 회로 기판(40)에 장착하는 전통적인 방법은 납땜 또는 이와 유사한 방법으로 부착하기 위한 회로 기판(40)내의 적절한 크기의 구멍을 관통하는 연장 미부(42)를 사용하는 것이었다. 그러나 도3의 회로 기판(22)에 장착될 플러그와의 관계에서 지적된 것처럼, 구멍 크기는 접촉 요소 밀도에 대해 제한 효과를 가질 수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리셉터클은 모듈(30)과 회로 기판(40) 사이의 전기적 접촉을 이루는 새로운 구조를 포함한다. The traditional method of mounting the receptacle 30 to the printed circuit board 40 has been to use an extension tail 42 that penetrates an appropriately sized hole in the circuit board 40 for soldering or similar attachment. However, as indicated in the relationship with the plug to be mounted on the circuit board 22 of FIG. 3, the hole size can have a limiting effect on the contact element density. To this end, the receptacle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novel structure for making electrical contact between the module 30 and the circuit board 40.

본 발명은 모듈(30)을 기판(40)에 장착하기 위해 가용성 요소 예컨대, 납땜볼을 사용한다. 모듈(30)이 고밀도 모듈이므로, 납땜볼의 사용은 전기적 접촉을 이루는 데 뿐아니라 모듈(30)의 부착을 유지하기 위한 충분한 기계적 힘을 제공하는 데 충분할 것이다. 이를 위해 접촉 패드(도시 생략)의 패턴은 회로 기판(40)의 표면에 배치된다. The present invention uses fusible elements such as solder balls to mount the module 30 to the substrate 40. Since the module 30 is a high density module, the use of solder balls will be sufficient to provide not only electrical contact but also sufficient mechanical force to maintain attachment of the module 30. For this purpose, a pattern of contact pads (not shown) is disposed on the surface of the circuit board 40.

잠금쐐기(44)가 접촉 요소(32)의 미단부를 개개의 접촉 패드 위에 정렬하기 위해 기부(38)에 마련된다. 견부(46) 및 레그(48)는 기부(38)의 바닥을 회로 기판(40)의 상부로부터 이격시킨다. 이 거리를 정확히 고정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6 내지 도8과 관련하여 좀 더 상세히 설명하는 것처럼, 접촉 요소(32)들은 회로 기판(40)상에서 납땜볼의 사용을 통하여 접촉 패드(도시 생략)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A locking wedge 44 is provided on the base 38 to align the tail end of the contact element 32 over the individual contact pads. Shoulder 46 and leg 48 space the bottom of base 38 away from the top of circuit board 40. It is desirable to fix this distance accurately. As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spect to FIGS. 6-8, the contact elements 32 are electrically connected to contact pads (not shown) through the use of solder balls on the circuit board 40.

도6에 접촉 요소(32)중 하나의 단부가 개시되어 있다. 가용성 요소 예컨대 납땜볼(50)이 단부(52)에 부착된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납땜볼(50)의 부착은 임의의 수단 예를 들어 재용융 기술에 의해서도 가능하다. 기부(38)의 바닥면은 단부(52)의 단부면을 약간 넘어 연장된다. 다시 말해서, 단부(52)의 단부면이 기부(38)에 수용된다. 납땜볼(50)을 단부(52)에 부착한 후 납땜볼은 기부(38)의 바닥면 너머로 연장된다. 6, the end of one of the contact elements 32 is disclosed. A soluble element such as solder ball 50 is shown attached to the end 52. Attachment of the solder balls 50 may be by any means, for example by remelting techniques. The bottom surface of the base 38 extends slightly beyond the end surface of the end 52. In other words, the end face of the end 52 is received in the base 38. After attaching the solder ball 50 to the end 52, the solder ball extends beyond the bottom surface of the base 38.

납땜볼의 사용이 비록 관통 구멍 없는 고밀도 접속을 허용하지만, 하나의 문제는 여전히 남는다. 납땜볼이 기부(38)의 바닥면 너머로 연장되기 때문에, 커넥터(30)는 커넥터가 회로 기판에 조립될 때 회로 기판 위의 짧은 거리에 매달릴 수 있다. 이와 같은 상황에서, 납땜볼(50)이 접촉 패드(도시 생략)와 전기적 접속을 이루기 위해 재용융될 때 모듈(30)의 이동 즉, 재정렬이 발생한다. 그와 같은 재정렬은 삽입력을 허용할 수 없는 수준까지 상승시킬 수 있다. 이 문제는 본 발명에 의해 충분히 극복된다. Although the use of solder balls allows for high density connections without through holes, one problem remains. Because the solder balls extend beyond the bottom of the base 38, the connector 30 can be suspended over a short distance over the circuit board when the connector is assembled to the circuit board. In such a situation, movement of the module 30, i.e., rearrangement, occurs when the solder ball 50 is remelted to make an electrical connection with the contact pad (not shown). Such rearrangement can raise the insertion force to an unacceptable level. This problem is sufficiently overcome by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서, 가용성 요소들은 길이(커넥터가 장착될 회로 기판에 평행한 치수)가 높이(부착점으로부터 프레임의 회로 기판까지의 선에 평행한 치수)보다 훨씬 큰 종횡비가 되도록 변형된다. 그와 같은 경우에, 가용성 요소의 종횡비는 1보다 크다. 다시 말해서, 가용성 요소 또는 납땜볼은 높기보다는 넓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fusible elements are deformed so that the length (dimensions parallel to the circuit board on which the connector is to be mounted) has an aspect ratio much larger than the height (dimensions parallel to the line from the attachment point to the circuit board of the frame). In such cases, the aspect ratio of the fusible element is greater than one. In other words, the fusible element or solder ball is wider than high.

납땜볼과 같은 변형된 가용성 요소를 접촉 요소(32)의 단부에 위치시키는 기술을 간단히 살펴보도록 한다. 2개의 일반적인 기술이 고려된다. 첫번째 기술에서는 납땜볼과 같은 가용성 요소들이 요소(32)의 단부상에서 강하게 가압되어 변형된다. 변형 작업은 프레임을 고정하고 압반과 같은 장치(도시 생략)를 각각의 납땜볼의 바닥면에 가압 또는 타격하는 것 또는 각각의 납땜볼을 앤빌과 같은 장치에 대하여 가압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두 경우에서, 납땜볼은 편평한 형상으로 변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Brief description will be made of a technique for placing a modified fusible element, such as a solder ball, at the end of the contact element 32. Two general techniques are considered. In the first technique, fusible elements such as solder balls are deformed by pressing strongly on the ends of the elements 32. Deformation operations may include securing the frame and pressing or striking a device such as a platen (not shown) to the bottom surface of each solder ball or pressing each solder ball against a device such as an anvil. In both cases, the solder balls are preferably deformed into a flat shape.

납땜볼과 같은 가용성 요소를 접촉 요소(32)의 단부에 부착하는 두번째 기술에서는, 가용성 요소를 접촉 요소의 단부 또는 단자부 근처에 놓고 재용융을 일으키기 위해 열을 가한다. 재용융은 가용성 요소들이 단자부에 부착되도록 한다. 그 후에 가용성 요소들은 변형된다. 마찬가지로, 변형 작업은 프레임을 고정하고 압반과 같은 장치를 각각의 가용성 요소의 바닥면에 가압 또는 타격하는 것 또는 각각의 납땜볼을 앤빌과 같은 장치에 대하여 가압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두 경우에서, 가용성 요소는 마찬가지로 편평한 형상을 갖도록 변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the second technique of attaching a soluble element, such as a solder ball, to the end of the contact element 32, the soluble element is placed near the end or terminal portion of the contact element and heated to cause remelting. Remelting allows the fusible elements to be attached to the terminal portion. The fusible elements are then deformed. Likewise, the deforming operation may include securing the frame and pressing or striking a device such as a platen to the bottom surface of each fusible element or pressing each solder ball against a device such as an anvil. In both cases, the soluble element is preferably deformed to have a flat shape as well.

납땜볼이 가용성 요소로 사용되는 경우를 살펴보도록 한다. 제조 후 납땜볼의 단부는 견부(46) 및 레그(48)에 의해 형성된 이격 거리를 넘어 연장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커넥터가 회로 기판에 위치할 때 초기에는 견부(46) 및 레그(48) 보다는 임의의 납땜볼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재용융동안 납땜이 녹을 때, 커넥터는 회로 기판을 향해 물리적으로 이동하고 그로 인하여 커넥터를 재정렬한다. 편평하거나 변형된 (1보다 큰 종횡비) 납땜볼이 사용될 때 커넥터는 짧은 거리를 이동한다. 따라서, 재용융에 앞서 커넥터는 3차원(x, y 및 z)상에서 필요한 위치에 보다 근접한 위치에 있기 때문에 오정렬의 가능성은 상당히 적다. 재용융에 앞서 커넥터를 가능한한 궁극적인 z 좌표 위치에 가깝게 위치하도록 하는 것이 가장 결정적이다. Note the use of solder balls as fusible elements. After manufacture, the ends of the solder balls may extend beyond the separation distance formed by the shoulders 46 and legs 48. In other words, when the connector is positioned on the circuit board, it may initially be supported by any solder ball rather than shoulder 46 and leg 48. When the solder melts during remelting, the connector physically moves towards the circuit board and thereby rearranges the connector. The connector travels a short distance when flat or deformed (greater than aspect ratio) solder balls are used. Thus, the possibility of misalignment is considerably less because the connector is in a position closer to the required position in three dimensions (x, y and z) prior to remelting. It is most crucial to position the connector as close to the ultimate z coordinate position as possible prior to remelting.

특히, 도7에는 납땜볼에 압축력이 가해져서 납땜볼(50)이 변형된 것을 도시하였다. 그와 같은 압축력의 작용은 납땜볼이 구형상에서 벗어나 편평한 바닥 형상을 가지도록, 즉 종횡비가 1보다 크도록 변형시킨다. 납땜볼(50)이 재용융되면, 붕괴되거나 변형된 형상이 사라지고 커넥터의 높이가 변하면서 구형상으로 복귀한다. 그와 같이 재용융된 납땜볼이 도8에 도시되어 있다. 도8에 도시된 것처럼, 재용융후 납땜볼(50)은 회로 기판(40)과 접촉 요소(32)의 단부(52) 사이에서 전기적 접속이 이루어지는 거리만큼 연장된다. In particular, Figure 7 shows that the solder ball 50 is deformed by applying a compressive force to the solder ball. Such action of compressive force deforms the solder ball out of a sphere to have a flat bottom shape, that is, an aspect ratio of greater than one. When the solder ball 50 is remelted, the collapsed or deformed shape disappears and the height of the connector changes to return to the spherical shape. Such a remelted solder ball is shown in FIG. As shown in FIG. 8, the remelt solder ball 50 extends by the distance that an electrical connection is made between the circuit board 40 and the end 52 of the contact element 32.

납땜볼이 재용융될 때, 그와 같은 작동 동안 커넥터의 재정렬을 일으키는 기계적 힘이 발생한다. 그와 같은 재정렬은 정합 커넥터들 사이의 삽입력을 허용할 수 없는 수준까지 상승시킬 수 있다. 그러나, 도7에 도시된 것처럼 납땜볼을 먼저 성형함으로써 발생할 재정렬의 정도는 상당히 감소한다. 변형된 납땜볼의 재용융후의 삽입력은 허용할 수 없는 수준까지 상승하지 않는다.When the solder balls are remelted, mechanical forces are generated that cause the connectors to realign during such operations. Such realignment can raise the insertion force between the mating connectors to an unacceptable level. However, as shown in Fig. 7, the degree of realignment caused by forming the solder ball first is considerably reduced. The insertion force after remelting of the deformed solder ball does not rise to an unacceptable level.

따라서 회로 기판(40)과의 전기적 접속을 이루기 위해 변형된 납땜볼을 이용함으로써, 전기적 접속은 이전보다 훨씬 작은 표면적에서 이루어질 수 있으므로 접촉 요소 밀도의 잠재력을 상당히 증가시킨다. Thus, by using a modified solder ball to make an electrical connection with the circuit board 40, the electrical connection can be made at a much smaller surface area than before, thereby significantly increasing the potential of the contact element density.

본 발명이 특정한 실시예들에 대해 설명되고 도시되었지만, 이 기술 분야에 숙련된 자는 이전에 설명되었고 이후의 청구항들에서 설명될 본 발명의 원리 내에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하다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While the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and illustrated with respect to particular embodiments,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are possible within the principles of the invention previously described and described in the claims that follow.

본 발명에 의하여 제1 다수의 접촉 요소 및 제2 다수의 접촉 요소가 기부 부재의 구멍에 위치하고 삽입력이 허용 가능한 한계 내에서 유지되도록 적절한 정렬을 제공하는 고밀도 커넥터가 마련된다.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high density connector that provides proper alignment such that the first plurality of contact elements and the second plurality of contact elements are located in the holes of the base member and the insertion force is maintained within acceptable limits.

도1은 본 발명에 따라 구성된 헤더의 부분 단면도.1 is a partial cross-sectional view of a header constructed in accordance with the present invention.

도2는 도1에 도시된 전체 헤더의 평면도.FIG. 2 is a plan view of the entire header shown in FIG. 1; FIG.

도3은 도1의 헤더가 장착될 인쇄 회로 기판의 평면도.3 is a plan view of a printed circuit board on which the header of FIG.

도4는 본 발명에 따라 구성된 리셉터클의 개략 측면도.4 is a schematic side view of a receptacle constructed in accordance with the present invention.

도5는 도4에 도시된 리셉터클의 확대 개략도.FIG. 5 is an enlarged schematic view of the receptacle shown in FIG. 4; FIG.

도6은 납땜볼이 장착된 접촉 요소중 하나의 단부의 확대도.6 is an enlarged view of the end of one of the contact elements with solder balls mounted thereon.

도7은 납땜볼이 본 발명에 따른 방식으로 변형된 후의 상태를 도시한 것으로 도6에 도시된 접촉 요소의 단면도.Fig. 7 is a cross sectional view of the contact element shown in Fig. 6, showing the state after the solder ball is deformed in the manner according to the invention.

도8은 접촉 요소와 인쇄 회로 기판 사이의 전기적 접속을 이루기 위해 납땜볼이 재용융된 후의 상태를 도시한 것으로 도7에 도시된 접촉 요소 및 인쇄 회로 기판의 단면도.FIG. 8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contact element and the printed circuit board shown in FIG. 7 showing a state after the solder ball is remelted to make an electrical connection between the contact element and the printed circuit board. FIG.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Description of the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 30 : 커넥터10, 30: connector

18, 20 : 블레이드18, 20: blade

24 : 구멍24: hole

26 : 접촉 패드26: contact pad

32 : 접촉 요소32: contact element

34 : 프레임34: frame

50 : 납땜볼50: soldering ball

Claims (14)

다수의 관통 구멍을 갖는 기부 부재와,A base member having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상기 구멍중 임의의 것에 위치하고, 삽입부와 이 삽입부에 정렬된 종축을 갖추고 전도성 재료에 접촉하기 위해 상기 기부 부재 너머로 일정 거리 연장되는 미부를 각각 갖는 제1 다수의 접촉 요소와,A first plurality of contact elements, positioned in any of the holes, each having a longitudinal portion aligned with the insertion portion and each having a tail extending over the base member to contact the conductive material; 상기 구멍중 다른 것에 위치된 제2 다수의 접촉 요소를 포함하고, 상기 각각의 제2 접촉 요소는 삽입부와 미부를 갖추고, 회로 기판에 장착되었을 때 상기 제2 다수의 접촉 요소는 상기 전도성 재료에 대해 제1 다수의 접촉 요소들의 미부를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A second plurality of contact elements located in the other of said apertures, each second contact element having an insert and a tail, and when mounted to a circuit board said second plurality of contact elements in said conductive material. Retaining the tail of the first plurality of contact elements with respect to the connector. 제1항에 있어서, 제1 다수의 접촉부의 미부가 압축력을 받을 때 축방향 운동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2. A connector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axial movement is possible when the tail of the first plurality of contacts is subjected to a compressive force. 제2항에 있어서, 제2 다수의 접촉부의 미부가 인쇄 회로 기판에 형성된 구멍에 삽입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구멍에 미부를 삽입하는 것만으로 제1 다수의 접촉부의 미부를 상기 회로 기판에 전기 접속 상태로 유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3. The tail of the second plurality of contacts is configured to be inserted into a hole formed in a printed circuit board, and the tail of the first plurality of contacts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ircuit board only by inserting the tail into the hole. The connector characterized in that the holding. 제2항에 있어서, 제1 다수의 접촉부의 미부가 S형 구조를 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The connector according to claim 2, wherein the tail portions of the first plurality of contacts have an S-shaped structure. 프레임과,Frame, 상기 프레임에 부착되고, 수용부와, 상기 프레임의 바닥면에 인접하여 위치한 단부를 갖춘 미부를 각각 갖는 접촉 요소층과,A contact element layer attached to the frame and each having a receiving portion and a tail having an end portion positioned adjacent the bottom surface of the frame; 상기 미부의 단부에 인접하여 각각 위치하고 표면에 부착되는 커넥터 앞에 변형부를 포함하는 다수 형상의 가용성 요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And a plurality of soluble elements comprising a deformation in front of the connector, each positioned adjacent the end of the tail and attached to a surface. 제5항에 있어서, 형상 가용성 요소가 기부로부터 소정 거리 내에서 연장되는 납땜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6. A connector according to claim 5, wherein the shape soluble element comprises a solder ball extending within a distance from the base. 제6항에 있어서, 인쇄 회로 기판으로부터 프레임을 이격시키기 위해 프레임의 바닥에 부착된 돌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7. The connector of claim 6, further comprising a protrusion attached to the bottom of the frame to space the frame from the printed circuit board. 제6항에 있어서, 납땜볼이 재용융에 의한 재정렬을 일으키는 어떠한 힘이라도 최소화하기 위해 선택된 변형된 구형을 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7. A connector according to claim 6, wherein the solder balls take a modified sphere selected to minimize any forces causing realignment by remelting. 표면을 가진 프레임을 마련하는 단계와,Preparing a frame with a surface, 미부를 각각 갖는 다수의 접촉 요소를 마련하는 단계와,Providing a plurality of contact elements each having a tail; 다수의 가용성 요소를 마련하는 단계와,Creating a number of availability elements, 상기 미부가 상기 프레임의 표면에 인접하여 위치하도록 상기 다수의 접촉 요소를 상기 프레임에 부착하는 단계와,Attaching the plurality of contact elements to the frame such that the tail is located adjacent the surface of the frame; 상기 다수의 가용성 요소 각각을 다수의 접촉 요소의 미부 각각에 부착하는 단계와, Attaching each of the plurality of fusible elements to each tail of the plurality of contact elements; 상기 다수의 가용성 요소를 기계적으로 변형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에 의해 형성되어 회로 기판에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And attach to the circuit board by a method comprising mechanically deforming the plurality of fusible elements. 제9항에 있어서, 변형 단계가 각각의 다수의 가용성 요소의 폭이 각각의 다수의 가용성 요소의 높이보다 크도록 다수의 가용성 요소를 압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10. The electrical connector of claim 9 wherein the modifying step includes compressing the plurality of availability elements such that the width of each of the plurality of availability elements is greater than the height of each of the plurality of availability elements. 제9항에 있어서, 회로 기판을 마련하는 추가 단계와, 변형 단계가 전기 커넥터 부착 단계 중에 재정렬을 일으키는 어떠한 힘도 최소화하도록 변형 단계에 후속하여 전기 커넥터를 회로 기판에 부착하는 추가 단계들에 의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10. The method of claim 9, further comprising the step of providing a circuit board and the further steps of attaching the electrical connector to the circuit board subsequent to the deformation step such that the deformation step minimizes any force causing realignment during the electrical connector attachment step. Electrical connector, characterized in that. 제11항에 있어서, 회로 기판을 마련하는 단계가 회로 기판을 가용성 요소로부터 이격되게 위치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12. The electrical connector of claim 11 wherein the step of providing a circuit board comprises positioning the circuit board spaced apart from the fusible element. 제9항에 있어서, 변형 단계가 가용성 요소 부착 단계에 후속하여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10. An electrical connector as in claim 9 wherein the modifying step is performed subsequent to the attaching the fusible element. 제9항에 있어서, 가용성 요소는 편평부를 가진 납땜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10. The electrical connector as claimed in claim 9 wherein the fusible element is a solder ball having a flat portion.
KR1019980042288A 1997-10-10 1998-10-09 High density connector system KR100545966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42288A KR100545966B1 (en) 1997-10-10 1998-10-09 High density connector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08/948,751 1997-10-10
KR1019980042288A KR100545966B1 (en) 1997-10-10 1998-10-09 High density connector system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45966B1 true KR100545966B1 (en) 2006-03-23

Family

ID=417414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42288A KR100545966B1 (en) 1997-10-10 1998-10-09 High density connector system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45966B1 (e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484310A (en) * 1993-04-05 1996-01-16 Teradyne, Inc. Shielded electrical connector
US5585162A (en) * 1995-06-16 1996-12-17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Ground plane routing
US5829988A (en) * 1996-11-14 1998-11-03 Amkor Electronics, Inc. Socket assembly for integrated circuit chip carrier package
KR20000057331A (en) * 1996-12-02 2000-09-15 스프레이그 로버트 월터 Tab tape ball grid array package with vias laterally offset from solder ball bond sites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484310A (en) * 1993-04-05 1996-01-16 Teradyne, Inc. Shielded electrical connector
US5585162A (en) * 1995-06-16 1996-12-17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Ground plane routing
US5829988A (en) * 1996-11-14 1998-11-03 Amkor Electronics, Inc. Socket assembly for integrated circuit chip carrier package
KR20000057331A (en) * 1996-12-02 2000-09-15 스프레이그 로버트 월터 Tab tape ball grid array package with vias laterally offset from solder ball bond site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950144B2 (en) connector
JP3396833B2 (en) Electronic interconnect device and method of making same
US5593322A (en) Leadless high density connector
US7874847B2 (en) Electronic part and circuit substrate
US6554651B2 (en) High-density electrical interconnect system
US4695106A (en) Surface mount, miniature connector
US7121889B1 (en) High speed connector assembly with laterally displaceable head portion
US6494734B1 (en) High density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US6129592A (en) Connector assembly having terminal modules
US4895521A (en) Multi-port coaxial connector assembly
JPH06231815A (en) Flexible circuit card elastic cable connector
CN113491041B (en) Small form factor interposer
EP1283562B1 (en) Modular electrical connector
US8172615B2 (en) Electrical connector for an electronic module
JPH07326443A (en) Cable connector
JP4988132B2 (en) High reliability interposer for low cost and high reliability applications
JPH07230863A (en) Connector for substrate and substrate connection method
GB2325354A (en) Electrical connector or connection with concave ball-receiving site
EP0993240A1 (en) Circuit board and connection method
KR100545966B1 (en) High density connector system
US6045371A (en) Connector for electrical connection of circuit boards and such a method for electrical connection of circuit boards using such a connector
KR100346917B1 (en) High Density Interconnection System
JPH0738312B2 (en) connector
KR100647154B1 (en) Electric connector
US20070013047A1 (en) Enhanced PGA Interconnec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2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27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30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30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9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5

Year of fee payment: 13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