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45047B1 - 수치도면의 구조화 속성 자동 생성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수치도면의 구조화 속성 자동 생성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45047B1
KR100545047B1 KR1020050095333A KR20050095333A KR100545047B1 KR 100545047 B1 KR100545047 B1 KR 100545047B1 KR 1020050095333 A KR1020050095333 A KR 1020050095333A KR 20050095333 A KR20050095333 A KR 20050095333A KR 100545047 B1 KR100545047 B1 KR 10054504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rget object
attribute
extracting
structured
type proces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953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일영
고동일
Original Assignee
삼아항업(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아항업(주) filed Critical 삼아항업(주)
Priority to KR10200500953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4504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450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4504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29/00Maps; Plans; Charts; Diagrams, e.g. route diagram
    • G09B29/003Map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Document Processing Apparatu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치도면의 구조화 속성 자동 생성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테이블 구조파일, 속성생성 규정파일 및 도메인 정의파일을 구비하는 사전정의부와, 수치도면에 포함된 대상 객체로부터 구조화 속성 생성에 관련한 필요정보를 추출하고, 추출된 정보를 대상 객체의 부착 테이블에 속성값으로 입력하는 필요정보 추출부, 및 수치도면과 사전정의부로부터 테이블 구조, 속성생성 규정 및 도메인 정의를 로드하여 수치도면의 구조화 속성에 관련한 일련의 처리를 담당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정위치 편집된 수치도면 내에 존재하는 객체로부터 필요정보를 추출하여 해당 부착 테이블의 필드에 속성값으로 자동 입력되게 함으써, 외부DB를 배제한 수치도면의 구조화 속성 생성 작업 또는 편집작업을 할 수 있으며, 최종 결과물(GIS 데이터)의 무결성 보장 및 인적, 물적 낭비를 현저히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GIS, 수치도면, 구조화, 속성 생성

Description

수치도면의 구조화 속성 자동 생성 시스템 및 방법{SYSTEM FOR CREATING STRUCTURED ATTRIBUTE IN DIGITAL MAP AND METHOD THEREOF}
도 1a는 본 발명에 따른 수치도면의 구조화 속성 자동 생성 시스템을 나타내는 개략적인 구성도,
도 1b는 정위치 편집된 수치도면을 나타내는 예시도,
도 2a는 본 발명에 따른 테이블 구조파일을 나타내는 예시도,
도 2b는 본 발명에 따른 속성생성 규정파일을 나타내는 예시도,
도 2c는 본 발명에 따른 도메인 정의파일을 나타내는 예시도,
도 3a는 본 발명에 따른 수치도면 구조화 속성 자동 생성방법의 전체적인 과정을 나타내는 순서도,
도 3b는 도 3a의 사정 정의 로딩 과정을 나타내는 세부 순서도,
도 3c는 도 3a의 참조 객체 리스트 구성 과정을 나타내는 세부 순서도,
도 3d는 도 3a의 필요정보 추출 및 속성 입력 과정을 나타내는 세부 순서도,
도 4a는 도 3d의 Serial타입 처리 단계를 나타내는 세부 순서도,
도 4b 및 도 4c는 Serial타입 처리 단계가 적용되기 전과 후의 수치도면을 나타내는 예시도,
도 5a는 도 3d의 Area타입 처리 단계를 나타내는 세부 순서도,
도 5b 및 도 5c는 Area타입 처리 단계가 적용되기 전과 후의 수치도면을 나나내는 예시도,
도 6a는 도 3d의 Layer타입 처리 단계를 나타내는 세부 순서도,
도 6b 및 도 6c는 Layer타입 처리 단계가 적용되기 전과 후의 수치도면을 나타내는 예시도,
도 7a는 도 3d의 Height타입 처리 단계를 나타내는 세부 순서도,
도 7b 및 도 7c는 Height타입 처리 단계가 적용되기 전과 후의 수치도면을 나타내는 예시도,
도 8a는 도 3d의 Text타입 처리 단계를 나타내는 세부 순서도,
도 8b 및 도 8c는 Text타입 처리 단계가 적용되기 전과 후의 수치도면을 나타내는 예시도,
도 9a는 도 3d의 RefText타입 처리 단계를 나타내는 세부 순서도,
도 9b 및 도 9b는 RefText타입 처리 단계가 적용되기 전과 후의 수치도면을 나타내는 예시도,
도 10a는 도 3d의 RefSymbol타입 처리 단계를 나타내는 세부 순서도,
도 10b 및 도 10c는 RefSymbol타입 처리 단계가 적용되기 전과 후의 수치도면을 나타내는 예시도,
도 11a는 도 3d의 RefLinear타입 처리 단계를 나타내는 세부 순서도,
도 11b 및 도 11c는 RefLinear타입 처리 단계가 적용되기 전과 후의 수치도 면을 나타내는 예시도,
도 12는 객체 유효성 판단 단계를 나타내는 세부 순서도,
도 13은 추출된 값 코드화 단계를 나타내는 세부 순서도,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일련의 구조화 속성 생성 과정을 나타내는 예시도,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구조화 속성 생성 과정이 적용된 후의 수치도면을 나타내는 예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10 : 제어부 120 : 사전정의부
122 : 테이블 구조파일 124 : 속성생성 규정파일
126 : 도메일 정의파일 130 : 참조 객체 리스트 구성부
140 : 필요정보 추출부 141 : 룰타입 분석모듈
142 : Serial타입 분석모듈 143 : Area타입 분석모듈
144 : Layer타입 분석모듈 145 : Height타입 분석모듈
146 : Text타입 분석모듈 147 : RefText타입 분석모듈
148 : RefSymbol타입 분석모듈 149 : RefLinear타입 분석모듈
DM : 수치도면, Digital Map
본 발명은 지리정보시스템(GIS,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에 이용되는 수치도면의 구조화 속성 생성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정위치 편집이 완료된 수치도면 내에 포함된 여러 객체로부터 구조화 속성 생성에 필요한 정보를 추출하고, 추출한 정보를 객체에 부합하도록 미리 정의된 테이블의 필드에 속성으로 입력함으로써, 구조화 편집 과정을 자동으로 처리할 수 있는 수치도면의 구조화 속성 자동 생성방법에 관한 것이다.
수치도면 또는 수지지형도(Digital Map)란, 종이지도가 가지고 있는 정보를 점, 선, 면 형태의 기하학적 도형 요소나 화소들의 집합으로 디지털화한 지도를 의미하며, 국가기관인 국토지리정보원(National Geographic Information Institute)에 제공하는 표준서식에 부합하도록 작성된다. 수치도면은 표시하고자 하는 지표면상의 상황에 대한 측량결과와 행정구역경계, 지명 등을 도시하고 있으며, 국토의 이용개발과 통계조사 등 여러 분야에서 기초자료로 이용된다.
본 기술분야에서 구조화 속성 생성이란, 수치도면 상에 도시된 건물과 같은 특정한 지형지물(Feature)의 형상과 위치를 표현하는 객체(Polyline, Text, Symbol 등으로 이루어짐)의 비공간 정보, 예컨대 건물 층수, 도로 재질 등의 부가적 속성을 해당 지형지물에 데이터베이스(테이블+필드)로써 구조화시키는 일련의 과정을 의미한다.
통상적으로 이러한 과정은 각 지형지물의 공간적 위치(기하, 기호)를 나타내는 공간정보DB와 비공간 정보로 구성되는 비공간정보DB를 수작업으로 작성한 후, 두 DB를 연결키(일반적으로 연결키 값으로서 지형지물의 유일 식별자를 이용함)를 통해 상호 참조 가능하도록 연동시킴으로써 최종적으로 GIS관련 데이터(이하, 'GIS 데이터')를 생성하는 방식으로 진행된다.
이와 같은 종래의 구조화 속성 생성방법은, 공간DB와 비공간DB를 별도로 구축하고 관리해야 하는 바, 이들 DB구축을 위한 인력과 비용이 가중되며, 또한 별도로 구축되는 비공간DB로부터 해당 객체에 대한 속성들을 독출하는데 요구되는 시스템 자원의 낭비를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더욱이 통합 DB구축을 위해 반복적인 입력작업을 수행하는 작업자의 피로도 누적과 입력 오류로 인해 최종 결과물인 GIS 데이터의 무결성(Integrity)을 보장하기가 어렵다는 문제점들이 제기되어 왔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정위치 편집된 수치도면로부터 구조화 속성 생성에 필요한 정보들을 추출하여 해당 객체에 미리 정의되어 할당된 테이블의 속성으로 입력하는 일련의 구조화 편집 과정을 자동적으로 처리할 수 있는 수치도면의 구조화 속성 자동 생성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술한 특징적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시스템은, 테이블 구조파일(122)과, 속성생성 규정파일(124) 및 도메인 정의파일(126)에 정의된 규칙에 의거하여 정위치 편집이 완료된 수치도면(DM)의 구조화 속성을 생성하기 위한 시스템에 있어서, 테이블 구조파일, 속성생성 규정파일 및 도메인 정의파일을 구비하는 사전정의부; 수치도면에 포함된 대상 객체로부터 구조화 속성 생성에 관련한 필요정보를 추출하고, 추출된 정보를 대상 객체의 부착 테이블에 속성값으로 입력하는 필요정보 추출부; 및 수치도면과, 사전정의부로부터 테이블 구조, 속성생성 규정 및 도메인 정의를 로드하여 수치도면의 구조화 속성에 관련한 일련의 처리를 담당하는 제어부; 로 구성된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의 시스템은, 대상 객체를 참조하는 객체를 수치도면에서 검색하여 리스트로 구성하는 참조객체 리스트 구성부; 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의 필요정보 추출부는, 대상 객체에 부착된 부착 테이블의 필드에 정의된 속성 추출 방법을 분석하는 룰타입 분석모듈과, 대상 객체의 일련번호를 생성하는 Serial타입 처리모듈과, 대상 객체의 면적을 계산하는 Area타입 처리모듈과, 대상 객체의 Layer를 추출하는 Layer타입 처리모듈과, 대상 객체의 높이 값을 추출하는 Height타입 처리모듈과, 대상 객체의 문자열을 추출하는 Text타입 처리 모듈과, 대상 객체와 공간 연산에 의해 연관된 객체로서 검색된 Text객체의 Layer 및 문자열 등을 추출하는 RefText타입 처리모듈과, 대상 객체와 공간 연산에 의해 연관된 객체로서 검색된 Symbol객체의 Layer 및 Block명 등을 추출하는 RefSymbol타입 처리모듈, 및 대상 객체의 내부에 포함되는 참조 선형 객체의 Layer, 길이, 면적 등을 추출하는 RefLinear타입 처리모듈로 구성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수치도면의 구조화 속성 자동 생성방법은, 테이블 구조와, 속성생성 규정 및 도메인 정의에 의거하여 정위치 편집이 완료된 수치도면의 구조화 속성을 생성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테이블 구조, 속성생성 규정 및 도메 인 정의를 로딩하는 과정과, 수치도면으로부터 대상 객체를 선택하는 과정과, 대상 객체로부터 구조화 속성 생성에 관련한 필요정보를 추출하여 대상 객체의 부착 테이블에 속성값으로 입력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진다.
바람직하게 필요정보를 추출하여 대상 객체의 부착 테이블에 속성값으로 입력하는 과정은, 대상 객체에 부착된 부착 테이블의 필드에 정의된 속성 추출 방법을 분석하는 룰타입 분석단계와, 대상 객체의 일련번호를 생성하는 Serial타입 처리단계와, 대상 객체의 면적을 계산하는 Area타입 처리단계와, 대상 객체의 Layer를 추출하는 Layer타입 처리단계와, 대상 객체의 높이 값을 추출하는 Height타입 처리단계와, 대상 객체의 문자열을 추출하는 Text타입 처리단계와, 대상 객체와 공간 연산에 의해 연관된 객체로서 검색된 Text객체의 Layer 및 문자열 등을 추출하는 RefText타입 처리단계와, 대상 객체와 공간 연산에 의해 연관된 객체로서 검색된 Symbol객체의 Layer 및 Block명 등을 추출하는 RefSymbol타입 처리단계, 및 대상 객체의 내부에 포함되는 참조 선형객체의 Layer, 길이, 면적 등을 추출하는 RefLinear타입 처리단계로 구성된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특징 및 이점들은 첨부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관련된 공지 기능 및 그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하였음에 유의해야 할 것이다.
도 1a는 본 발명에 따른 수치도면의 구조화 속성 자동 생성 시스템을 나타내는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수치도면의 구조화 속성 자동 생성 시스템(100)(이하, '시스템'이라 한다)은 제어부(110); 사전정의부(120); 참조객체 리스트 구성부(130); 및 필요정보 추출부(140); 를 구비한다.
제어부(110)는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은 정위치 편집된 수치도면(Digital Map, DM)을 로딩한 후, 구조화 속성 생성에 필요한 정보를 추출하여 대상 객체에 부착된 테이블(이하, '부착 테이블')의 필드에 입력하는데 필요한 처리를 수행한다.
사전정의부(120)는 각 대상 객체에 상응한 테이블 구조 정보를 담고있는 테이블 구조파일(122)과, 속성생성에 대한 규정(Rule)을 담고 있는 속성생성 규정파일(124) 및 도메인 정의파일(126)을 구비한다. 여기서, 사전정의부(120)에 포함된 파일들은 제어부(110)가 수치도면(DM)에 대한 구조화 속성 생성시에 참조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테이블 구조파일(122)은, 국토지리정보원에서 발간한 "기본지리정보구축 연구 및 시범사업"과 "제2차 기본 지리정보 구축 시범연구"에 관한 보고서에 의거하며, 객체(바람직하게는 지형지물)에 따른 테이블 구조를 정의하고 있다. 테이블 구조파일(122)은 기본적으로 다수의 태그와 상기 태그에 대한 값으로 이루어져 있다. 도 2a를 참조하여 지형지물이 '건물'인 경우를 예로 들면, [TableName] 태그에는 테이블 이름(B001)이 정의되어 있으며, [TableAliasName] 태그에는 테이블의 별칭, [LayerName] 태그에는 테이블을 부착할 객체의 도면 레이어(Layer), [EntityType] 태그에는 테이블을 부착할 객체의 형태, [FieldList] 태그에는 테이블의 구조가 정의되어 있다. 즉, 도 2a에 도시된 테이블은 수치도면(DM)의 레이어(AAA001~AAA008), 그리고 형태가 닫힌 'Polyline' 형태의 객체에 부착되며, [FieldList] 태그에 나열된 필드들(ID, 명칭, 구분, 종류, 용도, 주기, 층수)로 구성된다. 이들 각각의 필드에는 별칭 및 자료형태, 크기 등이 지정되어 있다.
다음으로 속성생성 규정파일(124)은, 테이블 각각의 필드에 입력될 속성을 수치도면(DM)으로부터 추출하는 방법을 정의하고 있다. 도 2b를 참조하면, [Rule] 태그에는 앞서 설명한 [FieldList] 태그에 나열된 필드(ID, 구분, 명칭, 종류, 용도, 주기, 층수) 이름과, 필드별 속성 생성 방법, 참조 객체의 레이어, 도메인 및 다중입력 가능 여부가 정의되어 있다. 하기에서 상세히 기술하겠지만, 입력된 수치도면(DM)에서 객체의 정보들은 각 객체마다 부착되는 테이블에 저장되되, 속성생성 규정파일(124)에 정의된 규정에 따라 추출되고 그 형식에 부합하도록 변환된 후 저장된다.
도메인 정의파일(126)은, 수치도면(DM)으로부터 추출된 값을 변환하여 해당 필드의 속성값으로 입력하기 위한 일종의 명세서(일종의 변환 테이블로 이해함이 바람직함)이다. 여기서, 도메인(Domain)이란 속성값으로 허용되는 값의 범위 또는 집합을 의미한다. 도 2c에 도시된 바와 같이, [RefGroup] 태그에는 도 2b에 도시된 도메인 이름('건물_구분', '건물_종류', '건물_용도')이 정의되어 있으며, [RefValue] 태그에는 도면으로부터 추출된 값과 이를 변환하여 입력할 값들이 정의되어 있다. 실제 수치도면(DM)에서 추출되는 정보는 'AAA001~AAA999'와 같이 기규정된 코드값이므로 각 코드값에 대응하는 문자열(일반주택, 연립주택, 아파트 등)로 변환되어 해당 필드에 입력된다.
한편, 참조객체 리스트 구성부(130)는, 대상 객체를 참조하는 객체(이하, '참조 객체')를 수치도면(DM)에서 검색하여 리스트로 구성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여기서 리스트로 구성되는 참조 객체는 대상 객체의 Symbology Layer(수치도면의 Layer 또는 Text)로부터 추출될 수 있으나, 대부분의 경우 대상 객체와 공간 연산에 의해 연관되는 객체(점, 선, 면)로부터 추출된다. 여기서, 참조객체 리스트 구성부(130)는 대상 객체로부터 필요정보 추출시 구성된 리스트의 항목을 참조함으로써 추출 작업을 신속하고 효율적으로 수행하기 위한 부가적인 기능을 제공한다.
필요정보 추출부(140)는, 대상 객체로부터 실질적인 구조화 속성들을 추출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추출 과정은 앞서 살펴본 부착 테이블에 정의된 필드의 개수와 각각의 필드에 정의된 속성 추출 방법에 따라 진행된다. 본 발명에 따른 속성 추출 타입으로는 'Serial', 'Area', 'Layer', 'Height', 'Text', 'RefText', 'RefSymbol' 및 'RefLinear' 타입으로 총 8가지이다. 따라서, 필요정보 추출부(140)는 대상 객체에 해당하는 테이블 구조(도 2a의 예시 참조)에 정의된 필드와 각 필드의 속성 생성 방법을 분석하는 룰타입 분석모듈(141)과, 분석된 룰타입에 따라 대상 객체로부터 속성을 추출하여 처리하는 Serial처리모듈(142), Area처리모듈(143), Layer처리모듈(144), Height처리모듈(145), Text처리모듈(146), RefText처리모듈(147), RefSymbol처리모듈(148), 및 RefLinear처리모듈(149)을 구성한다. 이들 처리모듈(142, 143, 144, 145, 146, 147, 148, 149)에 대한 상세한 기능은 첨부된 순서도를 참조하여 후술하는 단계 설명들로 대체하기로 한다.
참고적으로, 상술한 시스템(100)의 기능은, 컴퓨터 내에서 작동하는 GIS(지리정보시스템)관련 소프트웨어의 일부 기능으로 구현되는 것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며, 이하에서 설명될 수치도면 구조화 속성 자동 생성방법을 통해 더욱 명확해질 것이다.
도 3a는 본 발명에 따른 수치도면 구조화 속성 자동 생성방법의 전체적인 과정을 나타내는 순서도로서, 사전 정의 로딩 과정(S100); 수치도면 로딩 과정(S200); 대상 객체 선택 과정(S300); 참조객체 리스트 구성 과정(S400); 필요정보 추출 및 속성 입력 과정(S500); 및 수치도면 저장 과정(S600);으로 구성되어 있다.
먼저, 사전 정의 로딩 과정(S100)은 앞서 설명한 미리 정의된 규정을 로딩하는 과정으로서,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테이블 구조파일(122)로부터 테이블 구조를 로딩하는 단계(S110)와, 속성생성 규정파일(124)로부터 테이블 각각의 필드에 입력될 속성을 수치도면으로부터 추출하는 규정을 로딩하는 단계(S120)와, 도메인 정의파일(126)로부터 도메인 정의를 로딩하는 단계(S130)로 구성된다.
대상 객체 선택 과정(S300)은, 수치도면(DM)에 포함된 다수의 객체로부터 구 조화 속성을 생성하고자 하는 객체(대상 객체)를 선택하는 과정이다.
참조객체 리스트 구성 과정(S400)은, 선택된 대상 객체를 참조하고 있는 참조 객체를 리스트로 구성하는 과정으로서, 구조화 속성 생성 과정을 신속하고 효율적으로 수행하기 위한 부가적인 과정이다. 앞서 설명했듯이 참조 객체는 속성 생성 대상 객체의 'Symbology'로부터 추출될 수 있으며, 대부분의 경우 대상 객체와 공간 연산에 의해 연관되는 객체로부터 얻어지게 된다. 구체적으로 도 3c를 참조하면, 참조객체 리스트 구성 과정(S400)은 제 S300 단계에서 선택된 대상 객체를 참조하고 있는 참조 객체를 아이템(항목)으로서 리스트에 추가하는 단계(S410)로 구성된다.
바람직하게 아이템 추가 단계는 대상 객체를 참조하는 수치도면 상의 모든 참조 객체에 대해 반복적으로 수행되며, 리스트에 추가된 각각의 참조 객체는 필드에 입력될 필요속성을 포함하고 있으므로, 작업의 효율을 위하여 필요속성들이 미리 추출되어 시스템의 미도시된 메모리에 임시저장(S420)될 수 있다.
상술한 제 S400 과정이 실행된 후, 선택된 대상 객체(지형지물)에 대한 실제적인 구조화 속성 생성 작업으로서 필요정보 추출 및 속성 입력 과정(S500)이 실행되며, 대상 객체에 부착된 테이블의 필드수 만큼 반복처리 된다. 여기서 필요정보는 앞서 설명한 8가지 속성 추출 방법에 의해 추출된다. 제 S500 과정은 도 3d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필드에 입력될 값을 추출하는 방법을 분석하는 단계(S510)와, 분석된 방법에 해당하는 처리 단계(S520~S590)로 구성된다.
각각의 처리 단계(S520~S590)에 대해 첨부된 세부 순서도를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 1. 제 S520 단계 - Serial타입 처리 단계 ]
도 4a는 Serial타입 처리 순서를 나타내는 세부 순서도이며, 여기서 Serial타입 처리란 대상 객체와 다른 객체들과 구별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유일한 일련번호(Serial Number)를 생성하는 것을 의미한다. 도면을 참조하면, 일련번호(Serial Number)의 초기값 및 증분을 설정하는 단계(S521)와, 증가변수(times)를 '0'으로 설정하는 단계(S522)와, 대상 객체의 유효성을 검사하여 유효할 경우 하기의 단계들을 처리하고, 유효하지 않을 경우 리턴하는 단계(S523)와, 증가변수(times)와 증분의 곱을 초기값과 더한 값으로 일련번호를 생성하는 단계(S524)와, 해당 필드에 일련번호를 입력하는 단계(S525)와, 증가변수(times)의 값을 '1'만큼 증가시키는 단계(S526)로 구성된다. 도 4b 및 도 4c는 각각 Serial타입 처리 단계 적용 전후의 수치도면 나타내고 있다. 도 4b의 '여성회관' 지형지물(대상 객체)의 속성으로서 도 4c에 도시된 'ID'필드에 속성값 '19'를 갖는 일련번호로 입력되어 있음을 볼 수 있다.
[ 2. 제 S530 단계 - Area타입 처리 단계 ]
도 5a는 Area타입 처리 순서를 나타내는 세부 순서도로서, 대상 객체가 Polygon 형태인 경우에 한하여 Polygon의 면적을 계산하여 해당 필드에 입력하는 단계를 나타낸다. 도면을 참조하면, 대상 객체의 유효성을 검사하는 단계(S531)와, 대상 객체의 면적을 계산하는 단계(S532) 및 계산된 면적 값을 해당 필드에 입력하는 단계(S533)로 구성된다. 도 5b 및 도 5c는 Area타입 처리 단계 적용 전후의 수 치도면을 나타낸다. 도 5c에 도시된 바와 같이 Polygon의 형태를 취하는 대상 객체의 면적이 '31.69'라는 값으로 해당 필드에 입력되어 있음을 볼 수 있다.
[ 3. 제 S540 단계 - Layer타입 처리 단계 ]
도 6a는 Layer타입 처리 순서를 도시한 세부 순서도로서, 대상 객체의 Layer를 추출하여 해당 필드에 속성으로 입력하는 단계를 나타낸다. 도시된 바와 같이 Layer타입 처리 단계(S540)는, 대상 객체의 유효성을 검사하는 단계(S541)와, 대상 객체의 Layer를 추출하는 단계(S542)와, 추출된 값을 코드화 하는 단계(S543) 및 해당 필드에 추출된 값을 입력하는 단계(S544)로 이루어진다. 도 6b 및 도 6c는 Layer타입 처리 단계 적용 전후를 나타내는 수치도면으로서, 도 6c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분'이라는 필드에 '주택'이라는 값이 입력되어 있음을 볼 수 있다.
여기서 상술한 본 단계(S542)는, 부가적인 단계로서 이하에서 살펴볼 S550, S560, S570, S580 및 S590 단계들에도 포함되는 바, 하기에서 일괄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그리고, 본 단계가 포함될 경우, 해당 필드에 입력되는 속성 값은 본 단계에 의해 코드화된 값이 되는 것은 자명하다.
[ 4. 제 S550 단계 - Height타입 처리 단계 ]
도 7a는 Height타입 처리 순서를 도시한 세부 순서도로서, 대상 객체의 높이값을 추출하여 해당 필드에 속성으로 입력하는 단계를 나타낸다. 도면을 참조하면, Height타입 처리 단계는 대상 객체의 유효성을 검사하는 단계(S551)와, 대상 객체가 3차원 형태의 객체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552)와, 대상 객체가 3차원 형태의 객체라면 대상 객체의 첫점의 높이값을 추출하는 단계(S553)와, 추출된 값을 코 드화하는 단계(S554)와, 추출된 값을 해당 필드에 입력하는 단계(S555) 및 대상 객체가 3차원 형태의 객체가 아닌 경우, 다시 말해 2차원(점, 선) 형태의 객체인 경우 대상 객체가 위치한 평면의 높이값을 추출하는 단계(S556)로 이루어진다.
도 7b 및 도 7c는 Height타입 처리 단계 적용 전후의 수치도면을 나타내고 있으며, 도 7c에 보이는 바와 같이 '등고수치'라는 필드에 '97.00'이라는 값이 입력되어 있음을 볼 수 있다.
[ 5. 제 S560 단계 - Text타입 처리 단계 ]
도 8a는 Text타입 처리 순서를 도시한 세부 순서도로서, 대상 객체가 Text(문자열)인 경우에 한하여 대상 객체의 문자열을 추출하고 이를 해당 필드에 입력하는 단계를 도시하고 있다. 도면을 참조하면, Text타입 처리 단계는 대상 객체의 유효성을 검사하는 단계(S561)와, 대상 객체의 문자열을 추출하는 단계(S562)와, 추출된 값을 코드화하는 단계(S563)와, 추출된 값을 해당 필드에 입력하는 단계(S564)로 구성된다. 도 8b 및 도 8c는 Text타입 처리 단계 적용 전후의 수치도면을 나타내고 있으며, 도 8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명칭' 필드에 '오전동'이라는 값이 입력되어 있음을 볼 수 있다.
[ 6. 제 S570 단계 - RefText타입 처리 단계 ]
도 9a 는 RefText타입 처리 순서를 도시한 세부 순서도이며, 대상 객체와 공간 연산에 의해 연관된 객체로서 검색된 Text 객체의 Layer 및 문자열 등을 추출하여 해당 필드에 입력하는 단계를 나타내고 있다. 도면을 참조하면, RefText타입 처리 단계는, 객체의 유효성을 검사하는 단계(S571)와, 대상 객체의 형태(Type)을 판 단하는 단계(S572)와, 제 S572 단계의 판단결과 대상 객체가 Polygon 형태일 경우 Text 객체의 삽입점이 대상 객체 내부에 위치하는지 판단하는 단계(S573)와, 제 S572 단계의 판단결과 대상 객체가 Point 형태일 경우 Text 객체의 삽입점이 대상 객체의 삽입점과 같은 곳에 위치하는지 판단하는 단계(S574)와, 제 S572 단계의 판단결과 대상 객체가 Line 형태일 경우 Text 객체의 삽입점이 대상 객체 선상에 위치하는지 판단하는 단계(S575)와, 제 S573, S574, S575 단계에 있어서 삽입점이 내부에 위치하거나, 삽입점이 선상에 위치하거나, 또는 두 객체의 삽입점이 동일한 점에 위치하는 경우 Text객체의 지정 속성을 추출하는 단계(S576)와, 추출된 값을 코드화 하는 단계(S577) 및 해당 필드에 추출된 값을 입력하는 단계(S578)로 구성되어 있다.
도 9b 및 도 9c는 상술한 RefText타입 처리 단계 적용 전후의 수치도면을 나타내고 있으며, 도 9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명칭' 필드에 '삼천리아파트'라는 값이 입력되어 있고, '주기'에 '나동'이라는 값이 입력되어 있음을 볼 수 있다.
[ 7. 제 S580 단계 - RefSymbol타입 처리 단계 ]
도 10a 는 RefSymbol타입 처리 순서를 도시한 세부 순서도이며, 대상 객체와 공간 연산에 의해 연관된 객체로서 검색된 Symbol 객체의 Layer 및 Block명 등을 추출하여 해당 필드에 입력하는 단계를 나타내고 있다. 도면을 참조하면, RefSymbol타입 처리 단계는, 객체의 유효성을 검사하는 단계(S581)와, 대상 객체의 형태(Type)을 판단하는 단계(S582)와, 제 S582 단계의 판단결과 대상 객체가 Polygon 형태일 경우 Symbol 객체의 삽입점이 대상 객체 내부에 위치하는지 판단하 는 단계(S583)와, 제 S582 단계의 판단결과 대상 객체가 Point 형태일 경우 Symbol 객체의 삽입점이 대상 객체의 삽입점과 같은 곳에 위치하는지 판단하는 단계(S584)와, 제 S582 단계의 판단결과 대상 객체가 Line 형태일 경우 Text 객체의 삽입점이 대상 객체 선상에 위치하는지 판단하는 단계(S585)와, 제 S583, S584, S585 단계에 있어서 삽입점이 내부에 위치하거나, 삽입점이 선상에 위치하거나, 또는 두 객체의 삽입점이 동일한 점에 위치하는 경우 Symbol 객체의 지정 속성을 추출하는 단계(S586)와, 추출된 값을 코드화 하는 단계(S587) 및 해당 필드에 추출된 값을 입력하는 단계(S588)로 구성되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단계(S580)는, 앞서 설명한 RefText처리 단계(S570)의 순서와 동일하게 처리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도 10b 및 도 10c는 상술한 RefSymbol타입 처리 단계 적용 전후의 수치도면을 나타내고 있으며, 도 10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도' 필드에 '교회'라는 값이 입력되어 있음을 볼 수 있다.
[ 8. 제 S590 단계 - RefLinear타입 처리 단계 ]
도 11a 는 RefLinear타입 처리 순서를 도시한 세부 순서도로서, 대상 객체의 내부에 포함되는 참조 선형 객체의 Layer 및 길이, 면적 등을 추출하여 해당 필드에 입력하는 단계를 나타내고 있다. 여기서 참조 선형 객체는 지정된 Layer를 갖는 Line이나 Polyline 형태를 취하고 있으며, 대상 객체는 반드시 Polygon형태를 취해야 한다. 도면을 참조하면, RefLinear타입 처리 단계(S590)는, 대상 객체의 유효성을 검사하는 단계(S591)와, 대상 객체가 Polygon형태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592)와, 선형 객체의 모든 정점이 대상 객체 내부에 위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593)와, 참조 선형 객체로부터 지정 속성을 추출하는 단계(S594)와, 추출된 값을 코드화 하는 단계(S595) 및 해당 필드에 추출된 값을 입력하는 단계(S596)로 구성된다.
도 11b 및 도 11c는 상술한 RefLinear타입 처리 단계 적용 전후의 수치도면을 나타내고 있으며, 도 11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로폭' 필드에 '9.82'라는 값이 입력되어 있고, '도로길이' 필드에 '160.31'이라는 값이 입력되어 있음을 볼 수 있다.
전술한 과정(S100~S500)들이 이루어지면 최종적으로 현재 작업중인 수치도면(DM)을 저장한다(S600). 이때의 저장된 수치도면은 앞서 언급한 GIS 데이터를 의미한다.
한편, 대상 객체의 유효성 검사(S523, S531, S541, S551, S561, S571, S581, S591) 단계는 대상 객체에 부착될 테이블 정의시에 지정되는 형태(점, 선, 면)와 수치도면 상의 객체 형태의 부합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이다. 보다 구체적 도 12를 참조하면, 부착 테이블에 정의된 대상 객체의 형태(도 2a의 'EntityType' 태그에 정의된 형태)가 점 형태인 경우 수치도면(DM) 상의 객체 형태가 Point 또는 Insert 중 어느 하나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12)와, 정의된 대상 객체의 형태가 선 형태인 경우 수치도면(DM) 상의 개체 형태가 Line 또는 Polyline 중 어느 하나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14), 및 정의된 대상 객체의 형태가 면 형태인 경우 수치도면(DM) 상의 객체 형태가 닫힌 Polyline 또는 Region 중 어느 하나인지 여부를 판 단하는 단계(S16)를 통해 대상 객체의 유효성 여부가 판단된다.
부연하면, 정의된 대상 객체의 형태가 점 형태인 경우에는 반드시 수치도면 상의 객체가 Point 또는 Insert 중 어느 하나를 취해야 하며, 선 형태인 경우 수치도면 상의 객체가 Line 또는 Polyline 중 어느 하나를 취해야 하고, 면 형태인 경우 수치도면 상의 객체가 닫힌 Polyline 또는 Region 중 어느 하나를 취해야 한다.
그리고, 제 S540 내지 S590 단계에서 추출된 값은 미리 정의된 코드 테이블(변환 테이블)을 통해 변환 과정이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지형지물 '건물'의 Layer 중 'AAA001'은 '일반주택'으로 변환되어 해당 필드에 입력된다. 이는 앞서 설명한 속성생성 규정파일(124)에 도메인(Domain)이 정의되어 있는 경우, 도메인 정의파일(126)에 정의된 도메인별 코드 그룹(Code Group, 도 2c의 'RefValue'태그 참조)에 의거하여 변환이 이루어진다. 도 13을 참조하면, 추출된 값을 코드화 하는 단계(S543, S554, S563, S577, S587, S595)는 도메인 정의파일(126)에서 해당 필드에 지정된 도메인 이름과 동일한 도메인 이름을 검색하는 단계(S22)와, 검색된 도메인의 코드 그룹에서 상기 추출된 값과 동일한 항목의 기정의된 추출된 값을 검색하는 단계(S24)와, 검색된 추출된 값에 해당하는 코드값을 리턴하는 단계(S26)로 이루어진다.
지금까지 제 S520 내지 S590 단계를 포함한 총 8 단계를 통해서 대상 객체에 부착된 테이블에 어떠한 순서로 필요 정보가 추출되고 해당 필드에 속성으로 입력되는지에 관해 부분별로 살펴보았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보다 명확히 하기 위해 도 14를 참조하여 종합적인 구조화 속성 생성 과정을 살펴본다.
도 14는 구조화 속성 생성 과정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14와 속성생성 규정파일(124)을 예시한 도 2b를 참조하면, 좌측에 지형지물인 건물(30)과 그 우측에 건물(30)에 대한 부착 테이블이 도시되어 있다.
먼저, 부착 테이블 최상단에는 전술한 Serial타입 처리 단계(S520)를 통해 일련번호(ID, 202)가 입력되며, RefText처리 단계(S570)를 통해 상기 건물(30)의 'ZC002' Layer를 갖는 참조 객체(32)로부터 추출된 '최가정의학과의원' 문자열이 입력되고, 건물(30) 내에 위치하는 각각의 심볼들(34)로부터 RefSymbol처리 단계(S580)에 의해 추출된 값이 상술한 코드화 단계(추출된 값 코드화 단계)를 거쳐 변환된 코드값들(의료, 약국, 일반병원, 학원)이 입력된다. 또한 건물(30)의 Layer(AAA008)가 추출되어 코드화 단계를 거친후 변환된 코드값 '주택외건물'이 입력되며, 마지막으로 RefText처리 단계(S570)를 통해 상기 건물(30)의 'PS120' Layer를 갖는 참조 객체(38)로부터 추출된 문자열 '4'가 입력된다. 여기서 Layer 'AAA008', 'ZC002', 'PS120'는 도 2b의 속성생성 규정파일의 해당 필드에 정의되어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구조화 속성 생성 과정(S100~S600)이 적용된 후의 수치도면(GIS 데이터)은 도 15에 도시되어 있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예시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하고 도시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와 같이 도시되고 설명된 그대로의 구성 및 작용에만 국한되는 것이 아니며, 기술적 사상의 범주를 일탈함이 없이 본 발명에 대해 다수의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당업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그러한 모든 적절한 변경 및 수정과 균등물들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되어야 할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정위치 편집된 수치도면 내에 존재하는 객체로부터 필요정보를 추출하여 해당 부착 테이블의 필드에 속성값으로 자동 입력되게 함으써, 외부DB를 배제한 수치도면의 구조화 속성 생성 작업 또는 편집 작업을 할 수 있으며, 최종 결과물(GIS 데이터)의 무결성 보장 및 인적, 물적 낭비를 현격히 줄일 수 있다.

Claims (17)

  1. 테이블 구조파일(122)과, 속성생성 규정파일(124) 및 도메인 정의파일(126)에 정의된 규칙에 의거하여 정위치 편집이 완료된 수치도면(DM)의 구조화 속성을 생성하기 위한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테이블 구조파일, 속성생성 규정파일 및 도메인 정의파일을 구비하는 사전정의부;
    상기 수치도면에 포함된 대상 객체로부터 구조화 속성 생성에 관련한 필요정보를 추출하고, 추출된 정보를 상기 대상 객체의 부착 테이블에 속성값으로 입력하는 필요정보 추출부; 및
    상기 수치도면과, 상기 사전정의부로부터 테이블 구조, 속성생성 규정 및 도메인 정의를 로드하여 상기 수치도면의 구조화 속성에 관련한 일련의 처리를 담당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치도면의 구조화 속성 자동 생성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대상 객체를 참조하는 객체를 수치도면에서 검색하여 리스트로 구성하는 참조객체 리스트 구성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수치도면의 구조화 속성 자동 생성 시스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테이블 구조파일은,
    상기 대상 객체에 부착될 테이블 이름과, 테이블의 별칭과, 대상 객체의 도면 레이어와, 대상 객체의 형태, 및 다수의 필드와 상기 필드의 자료형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치도면의 구조화 속성 자동 생성 시스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속성생성 규정파일은,
    상기 대상 객체에 부착된 테이블 각각의 필드에 입력될 속성값을 추출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필드 이름과, 필드별 속성 생성 방법, 대상 객체를 참조하는 참조 객체의 레이어, 필드별로 입력되는 속성값의 범위를 나타내는 도메인, 및 속성값의 다중입력 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치도면의 구조화 속성 자동 생성 시스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도메인 정의파일은,
    상기 대상 객체의 부착된 테이블 각각의 필드에 입력될 속성값의 변환값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치도면의 구조화 속성 자동 생성 시스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필요정보 추출부는,
    상기 대상 객체에 부착된 부착 테이블의 필드에 정의된 속성 추출 방법을 분석하는 룰타입 분석모듈(141);
    상기 대상 객체의 일련번호를 생성하는 Serial타입 처리모듈(142);
    상기 대상 객체의 면적을 계산하는 Area타입 처리모듈(143);
    상기 대상 객체의 Layer를 추출하는 Layer타입 처리모듈(144);
    상기 대상 객체의 높이 값을 추출하는 Height타입 처리모듈(145);
    상기 대상 객체의 문자열을 추출하는 Text타입 처리 모듈(146);
    상기 대상 객체와 공간 연산에 의해 연관된 객체로서 검색된 Text객체의 Layer 및 문자열 등을 추출하는 RefText타입 처리모듈(147);
    상기 대상 객체와 공간 연산에 의해 연관된 객체로서 검색된 Symbol객체의 Layer 및 Block명 등을 추출하는 RefSymbol타입 처리모듈(148); 및
    상기 대상 객체의 내부에 포함되는 참조 선형 객체의 Layer, 길이, 면적 등을 추출하는 RefLinear타입 처리모듈(149);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치도면의 구조화 속성 생성 시스템.
  7. 테이블 구조와, 속성생성 규정 및 도메인 정의에 의거하여 정위치 편집이 완료된 수치도면의 구조화 속성을 생성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a) 상기 테이블 구조, 속성생성 규정 및 도메인 정의를 로딩하는 과정;
    (b) 상기 수치도면으로부터 대상 객체를 선택하는 과정;
    (c) 상기 대상 객체로부터 구조화 속성 생성에 관련한 필요정보를 추출하여 대상 객체의 부착 테이블에 속성값으로 입력하는 과정; 및
    (d) 상기 수치도면에 포함된 모든 대상 객체에 대해 상기 제 (b) 및 (c) 과정이 반복 처리된 수치도면을 저장하는 과정;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치도면의 구조화 속성 자동 생성 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c) 단계 이전에,
    상기 선택된 대상 객체를 참조하고 있는 참조 객체를 리스트로 구성하는 과정; 을 더 포함하되, 상기 참조 객체는 상기 대상 객체의 'Symbology'로부터 추출되거나 또는 상기 대상 객체와 공간 연산에 의해 연관되는 객체로부터 추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치도면의 구조화 속성 자동 생성 방법.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c) 단계는,
    (c-1) 상기 대상 객체에 부착된 부착 테이블의 필드에 정의된 속성 추출 방법을 분석하는 룰타입 분석단계(S510);
    (c-2) 상기 대상 객체의 일련번호를 생성하는 Serial타입 처리단계(S520);
    (c-3) 상기 대상 객체의 면적을 계산하는 Area타입 처리단계(S530);
    (c-4) 상기 대상 객체의 Layer를 추출하는 Layer타입 처리단계(S540);
    (c-5) 상기 대상 객체의 높이 값을 추출하는 Height타입 처리단계(S550);
    (c-6) 상기 대상 객체의 문자열을 추출하는 Text타입 처리단계(S560);
    (c-7) 상기 대상 객체와 공간 연산에 의해 연관된 객체로서 검색된 Text객체의 Layer 및 문자열 등을 추출하는 RefText타입 처리단계(S570);
    (c-8) 상기 대상 객체와 공간 연산에 의해 연관된 객체로서 검색된 Symbol객체의 Layer 및 Block명 등을 추출하는 RefSymbol타입 처리단계(S580); 및
    (c-9) 상기 대상 객체의 내부에 포함되는 참조 선형객체의 Layer, 길이, 면적 등을 추출하는 RefLinear타입 처리단계(S59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치도면의 구조화 속성 자동 생성 방법.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 (c-2) 단계는,
    (c-2-1) 생성할 일련번호의 초기값 및 증분을 설정하는 단계;
    (c-2-2) 증가변수(times)를 '0'으로 설정하는 단계;
    (c-2-3) 상기 증가변수와 상기 증분의 곱을 상기 초기값과 더한 값으로 일련번호를 생성하는 단계;
    (c-2-4) 상기 생성된 일련번호를 상기 부착 테이블의 해당 필드에 입력하는 단계; 및
    (c-2-5) 상기 증가변수를 '1'만큼 증가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치도면의 구조화 속성 자동 생성 방법.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 (c-3) 단계는,
    (c-3-1) 상기 대상 객체의 면적을 계산하는 단계; 및
    (c-3-2) 상기 계산된 면적값을 상기 부착 테이블의 해당 필드에 입력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치도면의 구조화 속성 자동 생성 방법.
  12.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 (c-4) 단계는,
    (c-4-1) 상기 대상 객체의 Layer를 추출하는 단계; 및
    (c-4-2) 상기 추출된 값을 상기 부착 테이블의 해당 필드에 입력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치도면의 구조화 속성 자동 생성 방법.
  13.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 (c-5) 단계는,
    (c-5-1) 상기 대상 객체가 3차원 형태의 객체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c-5-2) 상기 대상 객체가 3차원 형태의 객체라면 상기 대상 객체의 첫점의 높이값을 추출하는 단계;
    (c-5-3) 상기 대상 객체가 3차원 형태의 객체가 아니라면 상기 대상 객체가 위치한 평면의 높이값을 추출하는 단계; 및
    (c-5-4) 상기 추출된 높이값을 상기 부착 테이블의 해당 필드에 입력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치도면의 구조화 속성 자동 생성 방법.
  14.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 (c-6) 단계는,
    (c-6-1) 상기 대상 객체의 문자열을 추출하는 단계; 및
    (c-6-2) 상기 추출된 값을 상기 부착 테이블의 해당 필드에 입력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치도면의 구조화 속성 자동 생성 방법.
  15.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 (c-7) 단계는,
    (c-7-1) 상기 대상 객체의 부착 테이블로부터 대상 객체의 형태를 판단하는 단계;
    (c-7-2) 상기 대상 객체가 Polygon 형태인 경우 상기 Text객체의 삽입점이 상기 대상 객체 내부에 위치하는지 판단하는 단계;
    (c-7-3) 상기 대상 객체가 Point 형태인 경우 상기 Text객체의 삽입점이 대상 객체의 삽입점과 동일 위치에 있는지 판단하는 단계;
    (c-7-4) 상기 대상 객체가 Line 형태인 경우 상기 Text객체의 삽입점이 대상 객체와 동일 선상에 위치하는지 판단하는 단계;
    (c-7-5) 상기 Text객체의 삽입점이 대상 객체의 내부에 위치하거나, 동일 선상에 위치하는 경우 Text객체의 지정 속성을 추출하는 단계; 및
    (c-7-6) 상기 추출된 값을 상기 부착 테이블의 해당 필드에 입력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치도면의 구조화 속성 자동 생성 방법.
  16.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 (c-8) 단계는,
    (c-8-1) 상기 대상 객체의 부착 테이블로부터 대상 객체의 형태를 판단하는 단계;
    (c-8-2) 상기 대상 객체가 Polygon 형태인 경우 상기 Symbol객체의 삽입점이 상기 대상 객체 내부에 위치하는지 판단하는 단계;
    (c-8-3) 상기 대상 객체가 Point 형태인 경우 상기 Symbol객체의 삽입점이 대상 객체의 삽입점과 동일 위치에 있는지 판단하는 단계;
    (c-8-4) 상기 대상 객체가 Line 형태인 경우 상기 Symbol객체의 삽입점이 대상 객체와 동일 선상에 위치하는지 판단하는 단계;
    (c-8-5) 상기 Symbol객체의 삽입점이 대상 객체의 내부에 위치하거나, 동일 선상에 위치하는 경우 Symbol객체의 지정 속성을 추출하는 단계; 및
    (c-8-6) 상기 추출된 값을 상기 부착 테이블의 해당 필드에 입력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치도면의 구조화 속성 자동 생성 방법.
  17.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 (c-9) 단계는,
    (c-9-1) 상기 대상 객체가 Polygon형태인지 판단하는 단계;
    (c-9-2) 상기 대상 객체가 Polygon형태인 경우 상기 선형객체의 모든 정점이 상기 대상 객체 내부에 위치하는지 판단하는 단계;
    (c-9-3) 상기 선형객체의 모든 정점이 대상 객체 내부에 위치하는 경우 상기 선형객체로부터 지정 속성을 추출하는 단계; 및
    (c-9-4) 상기 추출된 값을 상기 부착 테이블의 해당 필드에 입력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치도면의 구조화 속성 자동 생성 방법.
KR1020050095333A 2005-10-11 2005-10-11 수치도면의 구조화 속성 자동 생성 시스템 및 방법 KR10054504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95333A KR100545047B1 (ko) 2005-10-11 2005-10-11 수치도면의 구조화 속성 자동 생성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95333A KR100545047B1 (ko) 2005-10-11 2005-10-11 수치도면의 구조화 속성 자동 생성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45047B1 true KR100545047B1 (ko) 2006-01-24

Family

ID=371783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95333A KR100545047B1 (ko) 2005-10-11 2005-10-11 수치도면의 구조화 속성 자동 생성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45047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01262B1 (ko) 2011-12-12 2017-11-24 현대엠엔소프트 주식회사 도면 해석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815034B1 (ko) * 2016-07-22 2018-01-08 서울시립대학교 산학협력단 건축 도면 기반 공사비 산정을 위한 bim 객체 구성 장치, 이를 위한 방법 및 이 방법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KR102236240B1 (ko) * 2021-02-15 2021-04-05 주식회사 삼인공간정보 지형 형상 파일을 변환하는 장치
KR20220077163A (ko) 2020-11-29 2022-06-09 스마트로봇연구소(주) 조선 철의장품 제작 중 조선소와 협력사 간 작업도면의 가공데이터 전달을 위한 가공요소 표현 데이터의 표준화용 데이터베이스를 구비한 시스템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01262B1 (ko) 2011-12-12 2017-11-24 현대엠엔소프트 주식회사 도면 해석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815034B1 (ko) * 2016-07-22 2018-01-08 서울시립대학교 산학협력단 건축 도면 기반 공사비 산정을 위한 bim 객체 구성 장치, 이를 위한 방법 및 이 방법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KR20220077163A (ko) 2020-11-29 2022-06-09 스마트로봇연구소(주) 조선 철의장품 제작 중 조선소와 협력사 간 작업도면의 가공데이터 전달을 위한 가공요소 표현 데이터의 표준화용 데이터베이스를 구비한 시스템
KR102236240B1 (ko) * 2021-02-15 2021-04-05 주식회사 삼인공간정보 지형 형상 파일을 변환하는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Gerçek et al. Object-based classification of landforms based on their local geometry and geomorphometric context
Smith et al. Systematic conservation planning: a review of perceived limitations and an illustration of the benefits, using a case study from Maputaland, South Africa
CN102289991B (zh) 一种基于视觉变量的地图注记自动分类配置方法
CN110990590A (zh) 一种基于强化学习和迁移学习的动态金融知识图谱构建方法
CN109670783A (zh) 一种基于bim的施工企业智库建立方法
CN111222661A (zh) 一种城市规划实施效果分析评估方法
CN109684428A (zh) 空间数据建设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KR100545047B1 (ko) 수치도면의 구조화 속성 자동 생성 시스템 및 방법
Laborczi et al. Mapping of topsoil texture in Hungary using classification trees
Nauman et al. Fuzzy disaggregation of conventional soil maps using database knowledge extraction to produce soil property maps
CN103530405B (zh) 一种基于分层结构的图像检索方法
CN102750363A (zh) 一种城市地理信息数据仓库的构建方法
WO2015085622A1 (zh) 一种物联网终端设备的语义化方法
Malone et al. Improvements to the Australian national soil thickness map using an integrated data mining approach
CN104598553A (zh) 一种复合式的地质图制图自动综合的方法
Alcaraz et al. A loosely coupled GIS and hydrogeological modeling framework
Zaragozí et al. A graph-based analysis for generating geographical context from a historical cadastre in Spain (17th and 18th centuries)
CN104866630A (zh) 成矿预测中gis与es自动空间建模系统及方法
Chiang Querying historical maps as a unified, structured, and linked spatiotemporal source: vision paper
Vadoudi et al. A GIS-oriented semantic data model to support PLM for DfS
Chiang et al. Creating structured, linked geographic data from historical maps: Challenges and trends
Khan et al. rmap: An R package to plot and compare tabular data on customizable maps across scenarios and time
Röhricht oik–nulla vita sine dispensatio. Vegetation Modelling for Landscape Planning
Moreno A vector-based geographical cellular automata model to mitigate scale sensitivity and to allow objects’ geometric transformation
Bendiksen Creating a workflow of 3D building data in a municipality contex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0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02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03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2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07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3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24

Year of fee payment: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