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43155B1 - Synchrotilt chair with adjustable seat, back and energy mechanism - Google Patents

Synchrotilt chair with adjustable seat, back and energy mechanism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43155B1
KR100543155B1 KR1020007004400A KR20007004400A KR100543155B1 KR 100543155 B1 KR100543155 B1 KR 100543155B1 KR 1020007004400 A KR1020007004400 A KR 1020007004400A KR 20007004400 A KR20007004400 A KR 20007004400A KR 100543155 B1 KR100543155 B1 KR 10054315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t
backrest
chair
support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7004400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10031386A (en
Inventor
헤이드만커트알.
텍레이커래리
바테이로버트제이.
노블록글렌에이.
존슨미셸알.
쉐퍼로버트엠.
댐머만아놀드비.
에크달케빈에이.
클라센가드너제이.2세
퍼킨스제임스에이.
페터슨고든제이.
펀체스에드워드에이치.
루지엔찰스피.
테포데이비드에스.
얀카라스마이클제이.
Original Assignee
스틸케이스인코오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US08/957,506 external-priority patent/US6086153A/en
Application filed by 스틸케이스인코오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스틸케이스인코오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0100313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31386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431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43155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3/00Chair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Chairs or stools with rotatable or vertically-adjustable seats

Landscapes

  • Chairs For Special Purposes, Such As Reclining Chairs (AREA)
  • Chairs Characterized By Structure (AREA)

Abstract

기부 프레임을 포함하는 기부 조립체(21), 직립 위치와 경사 위치 사이의 이동을 위해 기부 프레임에 대해 피벗되는 등받이 프레임(30), 및 기부 프레임 상에 활주 가능하게 지지되고 기부 프레임에 대해 피벗되어 전방으로 이동하고, 이의 후방이 경사시 등받이 프레임과 함께 전방 및 하방으로 이동하는 시트(24)를 포함하는 의자(20)가 제공된다. 가요성 등받이는 상부 및 하부 위치에서 등받이 프레임에 연결되고, 향상된 요추 힘/지지 및 형상을 위한 요추 조절이 제공된다. 시트에는 시트 깊이 조절과 활성 및 수동 대퇴부 굴곡 지지가 제공된다. 횡방향 스프링(28) 및 등받이 프레임 상에서 스프링 장력을 조절하기 위한 모멘트 아암 이동 조절기(29)를 포함하는 신규한 에너지 기구(27)가 제공된다. 모멘트 아암 이동 조절기는 반경 방향으로 조절 가능하고 에너지 기구의 요소에 대한 손상을 방지하도록 과토오크 장치를 포함한다. A base assembly 21 comprising a base frame, a back frame 30 pivoted relative to the base frame for movement between an upright position and an inclined position, and slidably supported on the base frame and pivoted relative to the base frame forward A chair 20 is provided that includes a seat 24 that moves to the front, and the rear thereof moves forward and downward with the backrest frame when tilted. The flexible back is connected to the back frame in the upper and lower positions and lumbar adjustment is provided for improved lumbar force / support and shape. The seat is provided with seat depth control and active and passive thigh flexion support. A novel energy mechanism 27 is provided that includes a lateral spring 28 and a moment arm movement regulator 29 for adjusting spring tension on the back frame. The moment arm travel regulator is radially adjustable and includes an overtorque device to prevent damage to the elements of the energy appliance.

동기 경사식 의자, 시트, 기부 프레임, 등받이 프레임, 직립 위치, 경사 위치Synchronous Tilt Chair, Seat, Base Frame, Back Frame, Upright Position, Tilt Position

Description

조절 가능한 시트, 등받이 및 에너지 기구를 구비한 동기 경사식 의자{SYNCHROTILT CHAIR WITH ADJUSTABLE SEAT, BACK AND ENERGY MECHANISM} SYNCHROTILT CHAIR WITH ADJUSTABLE SEAT, BACK AND ENERGY MECHANISM} WITH ADJUSTABLE SEATS, BACKBACK AND ENERGY DEVICES

배경background

본 발명은 경사 가능 등받이, 등받이가 경사짐에 따라 동기식으로 이동하는 가동/경사 가능 시트, 및 경사지는 동안 등받이를 지지하기 위한 조절 가능한 에너지 기구를 구비한 의자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hair having a tiltable backrest, a movable / tiltable seat which moves synchronously as the backrest tilts, and an adjustable energy mechanism for supporting the backrest while tilting.

제어부를 갖는 기부 조립체, 제어부에 대해 피벗되는 경사 가능 등받이, 및 등받이에 작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등받이의 경사짐에 따른 동기 이동식으로 조절되는 시트를 갖는 동기 경사식 의자가, [노브록(knoblock) 등의] 미국 특허 제5,050,931호, 제5,567,012호, 제4,744,603호 및 제4,776,633호에 기재되어 있다. 종래 기술의 의자는 의자 지지 구조와 조합되어 업무/작업에 관련된 신체 이동 중(즉, 등받이가 직립 위치에 있는 경우)과 경사/휴식에 관련된 신체의 이동 중(즉, 등받이가 경사진 위치에 있는 경우), 제어가 용이한 자세 지지를 제공하는 반강성 가요성 셸(semi-rigid flexible shell)을 합체한다. 종래 기술의 의자는 사용자가 경사짐에 따라 착석한 사용자의 상체를 사용자의 작업면으로부터 멀리 이동시키고, 따라서 사용자가 움직여야할 공간이 보다 많아진다. 그러나, 흔히 사용자는 그들의 신체를 경사지게 하여 휴식을 취하는 자세에서도 그리고 연속적인 자세 지지를 갖는 상태에서도 그들의 작업면에 가까이 유지되기를 원하며 작업면에서 계속 작업 하는 것을 원한다. 이를 위하여, 미국 특허 제5,050,931호의 동기 경사식 의자에서는, 사용자는 그들이 경사진 후에도 그들의 작업면에 용이하게 도달하기 위해서는 그들의 의자를 전방으로 이동시켜야 한다. 사용자는 또한 작업면에 충돌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직립 위치로 복귀 이동할 때 밀어내야 한다. 전후방으로 한번 또는 두 번 "이동"하는 것은 심각한 문제는 아니겠지만, 컴퓨터를 사용하는 사무 직원과 같은 사용자는 흔히 직립 위치와 경사 위치 사이에서 끊임없이 이동하여, 전후방으로 반복적으로 이동하는 과정은 짜증나고 혼란스럽게 된다. 실제로, 단일한 정적 위치에 머무르지 않고 주위를 이동하는 것은 장시간 앉아 있어야 하는 직업을 가진 작업자의 등의 건강 유지에 중요하다. Synchronous inclined chairs having a base assembly having a control unit, an inclined backrest pivoted relative to the control unit, and a seat operably mounted to the backrest to be synchronously movable according to the inclination of the backrest include a knoblock or the like. US Pat. Nos. 5,050,931, 5,567,012, 4,744,603 and 4,776,633. The chair of the prior art is combined with a chair support structure in combination with the work / task during body movement (ie when the backrest is in an upright position) and during movement of the body during inclination / rest (ie when the backrest is in an inclined position). Case), incorporates a semi-rigid flexible shell that provides easy posture support. The chair of the prior art moves the upper body of the seated user away from the work surface of the user as the user is inclined, thus increasing the space for the user to move. However, users often want to stay close to their work surface, even in a resting position by tilting their bodies and with continuous posture support, and want to continue working on the work surface. To this end, in the synchronous tilting chair of US Pat. No. 5,050,931, the user must move their chair forward in order to easily reach their working surface even after they are tilted. The user must also push out when moving back to the upright position to avoid colliding with the working surface. "Moving" back and forth once or twice is not a serious problem, but users, such as computer-based office workers, often move constantly between upright and inclined positions, and the process of repeatedly moving back and forth is annoying and confusing. do. Indeed, moving around without staying in a single static position is important for maintaining the health of the back of a worker with a job that has to sit for a long time.

착석한 사용자의 상체가 경사지는 동안 후방으로 상당히 이동하는 것의 다른 단점은 사용자의 전체적인 무게 중심이 후방으로 이동한다는 것이다. 보다 일정한 무게 중심을 제공함으로써, 의자의 전체적인 안정성을 희생시키지 않고 더욱 경사지거나 높이 조절되는 경사 가능 의자를 설계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착석한 사용자의 상체가 후방으로 상당히 이동하는 경사 가능 의자는 비교적 대형의 풋프린트(footprint)를 가짐으로써, 이들 의자들은 좁은 사무실 또는 협소한 작업 공간에 사용되는 경우 가구 또는 벽과 충돌할 수도 있다. 또 다른 단점은 이러한 종래의 경사 가능 의자에서는 등받이를 지지하기 위해 대형 스프링이 요구된다는 것이고, 스프링은 스프링에 의해 발생된 힘에 의해 조절하는 것이 어렵다. 그러나, 이들 스프링의 장력은 바람직하게는 보다 무겁고 보다 가벼운 사용자가 적절한 지지의 크기를 얻기 위해 의자를 조절할 수 있도록 조절되어야 한다. Another disadvantage of significantly moving backwards while the torso of the seated user is tilted is that the overall center of gravity of the user moves backwards. By providing a more constant center of gravity, it is possible to design tiltable chairs that are more inclined or height adjusted without sacrificing the overall stability of the chair. In addition, the tiltable chair, with the torso of the seated user moving significantly to the rear, has a relatively large footprint, so that these chairs may collide with furniture or walls when used in narrow offices or narrow work spaces. have. Another disadvantage is that in these conventional tiltable chairs a large spring is required to support the backrest, which is difficult to adjust by the force generated by the spring. However, the tension of these springs should preferably be adjusted so that heavier and lighter users can adjust the chair to obtain the proper support size.             

결과적으로, 착석한 사용자는 경사지는 동안 사용자의 등에 대한 지지를 제공하기 위하여 스프링 장력을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기를 원한다. 무겁고/큰 사람들은 가볍고/작은 사람들보다 더욱 크고/확고한 등받이의 지지를 필요로 할뿐만 아니라, 요구되는 지지의 크기를 경사지는 동안 더욱 큰 비율로 변화하는 것을 요구한다. 특히, 가볍고/작은 사람들은 그들이 경사지기 시작할 때 보다 작은 초기 지지 수준을 필요로 하고, 그들이 계속하여 경사질 때 적절히 증가된 지지 수준을 필요로 하는 반면, 무겁고/큰 사람들은 그들이 경사지기 시작할 때 상당히 큰 최소 초기 지지 수준을 필요로 하고 그들이 계속 경사질 때 상당히 증가된 지지 수준을 필요로 한다. 바꿔 말하면, 초기에 경사지는 동안에는 등받이에 대한 초기 지지 수준에서 용이하게 조절될 수 있고, 또한 경사지는 동안 지지의 증가율이 자동으로 조절되는 의자를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1) 착석해 있는 동안, (2) 비교적 약한 사용자에 의해, (3) 용이한 조절성의 조절 제어부를 사용하여 용이하게 조절되고, (4) 제어부에 "과토오크(overtorque)"를 가할 수 있는 비교적 강한 사람에 의해 쉽게 손상되지 않는 제어부를 갖는 기구를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최적 형상을 제공하고 재료 비용과 크기를 최소화하도록 소형 스프링 배열을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As a result, the seated user wants to be able to easily adjust the spring tension to provide support for the user's back while tilting. Heavier / large people not only require support of larger / firm backs than lighter / smaller people, but also require a greater rate of change in the amount of support required while tilting. In particular, light / small people need a smaller initial support level when they start to slope and moderately increased support levels as they continue to slope, while heavy / big people considerably when they start to slope. It requires a large minimum initial support level and a significantly increased support level as they continue to slope. In other words, it is desirable to provide a chair that can be easily adjusted at the initial level of support for the backrest during initial tilting, and that the rate of increase of support is automatically adjusted during tilting. In addition, (1) while seated, (2) by a relatively weak user, (3) is easily adjusted using an easily adjustable adjustment control unit, and (4) "overtorque" is applied to the control unit. It would be desirable to provide a mechanism having a control that is not easily damaged by a relatively strong person. It would also be desirable to provide a compact spring arrangement to provide an optimal shape and to minimize material cost and size.

적절한 요추 지지가 장시간 앉아 있는 사용자에 대해 등 하부 부분의 불편함을 방지하고 작업자의 스트레스를 줄이기 위해 매우 중요하다는 것을 제조업자들은 알게 되었다. 문제는 작업자의 척추 형상과 신체 형상은 매우 다양하여, 동일한 형상으로 모든 작업자를 만족시킨다는 것을 불가능하다는 것이다. 또한, 요추 부 근에서 요구되는 수준의 확고함 또는 지지력은 각각의 사람에 대해 다르고, 착석한 사용자가 다른 일을 수행함에 따라, 및/또는 의자 내에서 경사짐에 따라, 및/또는 피로해짐에 따라 변화할 수 있다. 실제로, 정적인 요추 지지는 바람직하지 않다. 대신에, 서로 다른 요추 형상과 작업 시간 전체에 걸쳐 소정의 지지 수준을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요추 지지의 형상과 힘을 변화시키도록 구성된 조절 가능한 요추 시스템이 바람직하다. 동시에, 조절 가능한 요추 시스템은 작동이 단순하고 용이하여야 하고, 착석해 있는 동안 접근이 용이해야 하며, 기계적으로 복잡하지 않고 가격이 낮아야 하며, 미학적/시각적으로 만족스러워야 한다. 바람직하게는, 요추 영역에서 형상 및/또는 힘의 조절은 의자의 직물을 주름지게 하지 않고, 바람직하지 않은 직물의 헐거운/늘어진 부분을 초래해서는 않된다. Manufacturers have found that proper lumbar support is of great importance to prevent discomfort in the lower back and to reduce operator stress for long sitting users. The problem is that the spine shape and body shape of the worker are so diverse that it is impossible to satisfy all workers with the same shape. In addition, the level of firmness or bearing capacity required near the lumbar spine is different for each person, as the seated user performs different tasks, and / or as it slopes in the chair, and / or becomes fatigued. It can change accordingly. Indeed, static lumbar support is undesirable. Instead, it is desirable to provide the desired level of support over different lumbar vertebrae shapes and working hours. Thus, an adjustable lumbar spine system configured to vary the shape and force of lumbar support is desirable. At the same time, the adjustable lumbar system should be simple and easy to operate, easy to access while seated, not mechanically complex, low in price, and aesthetically and visually satisfactory. Preferably, adjustment of shape and / or force in the lumbar region does not wrinkle the fabric of the chair and should not result in loose / stretched portions of the fabric that are undesirable.

근래의 소비자와 의자 구매자들은 매우 다양한 의자 선택 사양과 특징을 요구하여, 종종 수많은 선택 사양과 특징들이 의자 시트에 설계된다. 그러나, 시트의 개선은 착석한 사용자의 무게가 의자 시트 상에 적절하게 지지되기 위해서 요구되지만, 동시에 착석한 사용자의 대퇴부 영역이 착석한 사용자의 둔부와 대퇴부의 형상과 크기가 아주 다르기 때문에 적절한 방식으로 편안하고 조절 가능하게 지지되도록 하는 것이 요구된다. 또한, 이러한 선택 사양과 특징들이 부품의 수를 최대한으로 줄이고, 다른 선택 사양들에 대한 공통 부품의 사용을 최대화하고, 제조와 조립의 효율을 최대화하고, 조절과 조절 제어부 위치의 논리의 용이함을 최대화하고, 시각적으로 만족스러운 설계를 얻을 수 있는 방식으로 의자 구조에 합체되는 것이 중요하다. Modern consumers and chair buyers require a wide variety of chair options and features, so many options and features are often designed on the chair seat. However, the improvement of the seat is required in order for the weight of the seated user to be properly supported on the chair seat, but at the same time the thigh area of the seated user is very different in shape and size of the seated buttock and thigh of the seated user. There is a need for a comfortable and adjustable support. In addition, these options and features minimize the number of components to the maximum, maximize the use of common components for other options, maximize the efficiency of manufacturing and assembly, and maximize the ease of logic of adjustment and adjustment control positions. It is important to incorporate the chair structure in such a way that a visually satisfactory design can be obtained.

특히, 시트와 등받이가 동기식 각도 이동에 의해 피벗되는 동기 경사식 의자에 관하여, 많은 동기 경사식 의자는 사용자의 경사짐에 따라 시트가 후방으로 피벗되도록 설계되어 왔다. 하지만, 흔히 이들 공지의 시트 구조는 시트의 전방 모서리의 후방으로 위치된 시트 피벗 축에 대해 피벗된다. 이는 착석한 사용자의 무릎을 들어올려, 경사질 때 착석한 사용자의 대퇴부에 대한 요구되지 않는 가압을 초래한다. 시트 내부에 가요성 전방 립을 설계하는 것은 대퇴부가 시트의 전방 립에 의해서가 아니라 대신에 시트의 적어도 약 절반을 따라 지지되기 때문에, 요구되지 않는 대퇴부 가압을 완전하게 해결하지 못한다. 착석한 사용자의 고관절의 후방과 같이 가요성 영역을 시트 내의 실질적으로 후방에 위치시키는 것도 착석한 사용자의 상체의 무게가 착석한 사용자를 의자가 경사진 때 의자 등받이의 하방 및 전방으로 멀리 미끄러지고/활주되도록 하는 경향이 있기 때문에,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지 못한다. 이는 이어서 시트가 이러한 전방 미끄러짐/활주 이동에 대항하여 착석한 사용자를 지지하도록 향하여 형성된 후방 지역을 포함하지 않는다면, 착석한 사용자를 시트의 전방으로 멀리 활주시키게 된다. 이러한 문제는, 서로 다른 착석한 사용자의 고관절이 의자 시트 상에서 항상 동일한 상대 위치에 위치되지 않고, 따라서 하나의 시트 설계는 한 명의 착석한 사용자에 대해서는 적합하지만, 다른 착석한 사용자에 대해서는 그렇지 않다는 사실과 복합된다.In particular, with regard to a synchronous tilting chair in which the seat and the backrest are pivoted by synchronous angular movement, many synchronous tilting chairs have been designed such that the seat pivots back as the user tilts. Often, however, these known sheet structures are pivoted about a sheet pivot axis located rearward of the front edge of the sheet. This raises the knee of the seated user, resulting in undesired pressure on the thigh of the seated user when tilted. Designing the flexible anterior lip inside the seat does not completely solve the undesired thigh compression because the thigh is supported by at least about half of the seat instead of by the front lip of the seat. Positioning the flexible area substantially rearward within the seat, such as behind the seated user's hip joint, also slides downward and forward of the chair back and forward when the chair tilts the seated user's upper body weight / Because it tends to slide, it does not solve the problem. This will then cause the seated user to slide away in front of the seat, unless the seat includes a rear area formed to support the seated user against this forward slip / slide movement. This problem is due to the fact that the hip joints of different seated users are not always located in the same relative position on the chair seat, so that one seat design is suitable for one seated user but not for another seated user. Compound.

경사 가능 의자는 의자 산업 분야에서 폭 넓고 뛰어난 지지를 얻어 왔다. 경사 가능 의자는 흔히 등받이 경사 축을 한정하도록 기부 또는 제어 하우징의 대향 측부에 대해 등받이 피벗부에 의해 피벗되는 등받이 프레임을 포함한다. 문제 는 등받이 피벗부가 등받이 경사 축과 항상 완전하게 정렬되지 않는다는 것이다. 이러한 오정렬은 등받이 피벗부가 등받이 경사 축에 대한 소정 각도로 기울어지게 하거나, 등받이 피벗부가 등받이 경사 축에 평행하지만 이와 정렬되지는 않게 하거나, 등받이 피벗부가 사용자가 의자에 앉거나 의자에서 경사짐에 따라 방향을 변화시키게 할 수 있다. 정확한 결과는, 등받이가 경사지는 동안 적어도 하나의 의자 요소가 굴곡되어야 하고, 구속되지 않도록 기계식으로 제공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전형적으로, 제어 하우징 또는 등받이 프레임 구조는 모두 변형되고, 및/또는 베어링은 오정렬을 보상하도록 충분한 여유가 있어야 한다는 것이다. 변형이 충분히 크거나 의자 요소가 이러한 가요성을 위해 설계되지 않는다면, 의자 요소 중 하나가 주기적인 피로 파괴에 의해 시간이 경과하면 파손, 고장 또는 파괴될 수 있다. 다른 문제점은 등받이 피벗부의 베어링이 오정렬에 의해 발생된 큰 힘으로부터 빠르게 마모된다는 것이다. 이는 등받이가 헐거워지게 하고, 이는 특정 상황에서는 바람직하지 않을 수 있다. 시트가 시트 경사 축과 정확하게 정렬되지 않는 시트 피벗부로부터 이격된 공간을 갖는 동기 경사식 의자에서 유사한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시트 피벗부는 또한 착석한 사용자의 무게의 대부분을 지지하여야 하고, 따라서 시트 피벗부의 응력 수준을 증가시켜야 한다는 것에 주목해야 한다.Inclined chairs have gained wide and outstanding support in the chair industry. The tiltable chair often includes a backrest frame pivoted by the backrest pivot to the opposite side of the base or control housing to define the backrest tilt axis. The problem is that the backrest pivot is not always perfectly aligned with the backslope axle. This misalignment causes the backrest pivot to be inclined at an angle to the backrest inclination axis, the backrest pivot to be parallel to, but not aligned with, the backrest inclination axis, or the backrest pivot as the user sits on or inclines the chair. Can be changed. The correct result is that at least one chair element must be bent while the backrest is tilted and provided mechanically so as not to be constrained. Typically, the control housing or back frame structure is all deformed and / or the bearings must have sufficient margin to compensate for misalignment. If the deformation is large enough or the chair element is not designed for this flexibility, one of the chair elements may break, fail or break down over time by periodic fatigue failure. Another problem is that the bearings of the backrest pivot quickly wear out from the large forces generated by misalignment. This causes the backrest to become loose, which may not be desirable in certain situations. A similar problem may arise in a synchronous tilting chair having a space spaced from the seat pivot that the seat is not exactly aligned with the seat tilt axis. It should be noted that the seat pivot must also support most of the weight of the seated user, thus increasing the stress level of the seat pivot.

공지된 의자용 등받이 피벗부에 대한 다른 문제점은 조립이 번거롭고, 및/또는 조립을 수동으로 해야 할뿐만 아니라 고가라는 것인데, 이는 구멍들이 피벗 핀/축을 수용하도록 정렬되어야 하고, 피벗 핀/축은 정확하지만 지나치게 조여지거나 고정되면 않되기 때문이다. 특히, 고정 중 피벗 핀/축은 과토오크를 인가할 수 없 고 또는 조립체가 구속될 것이며, 또한 저토오크를 인가할 수 없고 또는 조립체가 바람직하지 않게 헐거워지고 분리될 것이다.Another problem with known chair back pivots is that the assembly is cumbersome, and / or not only manual, but also expensive, as the holes must be aligned to accommodate the pivot pins / axes, and the pivot pins / axes are correct. This is because it should not be over tightened or fixed. In particular, the pivot pin / axis during fixation will not be able to apply overtorque or the assembly will be constrained, nor will it be able to apply low torque or the assembly will be undesirably loosened and separated.

상기 요구 사항들과 함께, 어떠한 등받이 피벗부와 시트 피벗부도 바람직한 형상을 제공하도록 의자 구조에 포함되어야 하는데, 이는 흔히 의자가 아주 잘 보이는 영역에 위치하기 때문이다.In addition to the above requirements, any backrest and seat pivot should be included in the chair structure to provide the desired shape, since the chair is often located in a very visible area.

따라서, 전술된 문제점을 해결하는 의자 구조가 바람직하다.Therefore, a chair structure that solves the above-mentioned problems is desirable.

발명의 요약Summary of the Invention

본 발명의 일 태양에서, 의자는 대향하는 측부 플랜지들과 측부 피벗부를 갖는 제어 하우징을 구비한 기부 조립체, 직립 위치와 경사 위치 사이에서 이동하도록 기부 조립체에 대해 피벗되는 등받이, 및 기부 조립체 상에 작동 가능하게 지지되고 등받이와 동일 방위로 동기식으로 이동하도록 등받이에 연결된 시트를 포함한다. 직립 위치를 향해 등받이를 편의시키도록 에너지 기구가 제공된다. 에너지 기구는 측부 플랜지들 중 하나의 플랜지 상에 지지된 일단부를 갖는 제어 하우징 내에 횡방향으로 위치된 신장/압축 가능한 스프링을 포함하고, 측부 피벗부에 대해 피벗되고 스프링의 자유 단부와 결합하는 스프링 결합부와 시트에 작동 가능하게 연결된 시트 편의부를 갖는 레버를 추가로 포함한다. 측부 피벗부, 스프링 결합부 및 시트 편의부는 서로 이격되어 있고, 스프링이 직립 위치를 향해 등받이를 편의시키기 위해 대체로 측부 피벗부에 위치된 지지점에 대해 레버를 편의시키도록 배열된다.In one aspect of the invention, the chair operates on a base assembly having a control housing having opposing side flanges and side pivots, a backrest pivoted relative to the base assembly to move between an upright position and an inclined position, and a base assembly A seat possibly connected to the backrest to support and move synchronously in the same orientation as the backrest. An energy device is provided to bias the backrest toward the upright position. The energy mechanism includes an elongate / compressible spring positioned transversely in a control housing having one end supported on one of the side flanges, the spring engagement pivoting against the side pivot and engaging with the free end of the spring. And a lever having a seat convenience operably connected to the portion and the seat. The side pivot, spring engagement and seat convenience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the spring is arranged to bias the lever with respect to a support point located generally on the side pivot to bias the backrest toward the upright position.

본 발명의 다른 태양에서는, 의자는 피벗 부재를 포함하는 제어 하우징, 직 립 위치와 경사 위치 사이의 이동을 위해 제어 하우징에 작동 가능하게 연결된 경사 가능 등받이, 및 제어 하우징 내의 에너지원을 포함한다. 의자는 또한 피벗 부재가 조절 가능하고, 레버가 에너지원 및 피벗 부재와 결합하고 직립 위치로 등받이를 편의시키도록 등받이에 작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의자를 위한 개량된 조절 가능한 등받이 장력 제어부를 포함한다. 레버 및 피벗 부재는 적어도 하나는 곡선인 비미끄러짐식 인터페이싱 표면들을 구비하여, 인터페이싱 표면들은 등받이가 경사지는 동안 레버가 회전되는 지지점을 한정하도록 결합되고, 또한 지지점은 피벗 부재가 에너지원이 작동하는 동안에 모멘트 아암을 변화시키도록 조절되는 위치를 변화시킨다.In another aspect of the invention, the chair comprises a control housing comprising a pivot member, a tiltable backrest operably connected to the control housing for movement between an upright position and an inclined position, and an energy source within the control housing. The chair also includes an improved adjustable back tension control for the chair wherein the pivot member is adjustable and the lever engages the energy source and pivot member and is operably connected to the backrest to facilitate the backrest in an upright position. The lever and pivot member have at least one non-slip interfacing surface that is curved such that the interfacing surfaces are joined to define a support point at which the lever is rotated while the backrest is tilted, and the support point is also used while the pivot member is operating an energy source. Change the position adjusted to change the moment arm.

본 발명의 또 다른 태양에서, 의자는 기부 조립체, 제1 위치와 제2 위치 사이의 이동을 위해 기부 조립체에 대해 피벗되는 경사 가능 등받이와 가동 시트 중 하나를 포함하는 요소, 및 기부 조립체 상에 지지되는 일단부와 상기 요소에 작동 가능하게 연결된 타단부를 구비한 스프링을 포함한다. 스프링은 소정 길이를 갖고, 요소가 제1 위치로부터 제2 위치로 이동될 때 동시에 상기 소정 길이를 따라 길이 방향으로 압축되고 또한 상기 길이에 횡방향으로 측방향으로 굴곡된다. In another aspect of the invention, the chair supports a base assembly, an element comprising one of a tiltable back and a movable seat pivoted relative to the base assembly for movement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positions, and a support on the base assembly. And a spring having one end thereof and the other end operatively connected to the element. The spring has a predetermined length and is simultaneously compressed longitudinally along the predetermined length and laterally bent laterally along the length as the element is moved from the first position to the second position.

본 발명의 또 다른 태양에서, 의자는 제어 하우징을 포함하는 기부 조립체, 제어 하우징 상에 활주 가능하게 지지된 시트, 직립 위치와 경사 위치 사이의 이동을 위해 기부 조립체에 대해 피벗되고 시트에 작동 가능하게 부착되어 등받이 프레임의 피벗 이동과 시트의 활주 이동을 동기화시키는 등받이 프레임, 및 소정 길이를 갖고 코일 스프링의 일단부와 결합하는 제1 다리 및 스프링의 길이에 대체로 평 행하게 연장하는 제2 다리를 구비한 L자형 토오크 부재를 갖는 스프링을 포함한다. 제1 다리는 스프링의 단부로부터 이격된 위치에서 제어 하우징과 피벗 가능하게 결합한다. 제2 다리는 스프링이 직립 위치를 향해 등받이 프레임을 편의시키는 방식으로 토오크 부재를 편의시키도록 시트와 등받이 프레임 중 하나에 작동 가능하게 연결된다.In another aspect of the invention, a chair is a base assembly comprising a control housing, a seat slidably supported on the control housing, pivoted relative to the base assembly for movement between an upright position and an inclined position and operatively actuated on the seat. A backrest frame attached to synchronize the pivot movement of the backrest frame and the slide movement of the seat, a first leg having a predetermined length and engaging with one end of the coil spring, and a second leg extending generally parallel to the length of the spring; And a spring having an L-shaped torque member. The first leg pivotally engages the control housing in a position spaced from the end of the spring. The second leg is operably connected to one of the seat and the back frame such that the spring biases the torque member in a manner that biases the back frame toward the upright position.

본 발명의 또 다른 태양에서, 의자는 제어 하우징을 포함하는 기부 조립체, 제어 하우징 상에 활주 가능하게 지지된 시트를 포함하고, 상기 기부 조립체는 직립 위치와 경사 위치 사이의 이동을 위해 기부 프레임에 대해 피벗되고 시트에 작동 가능하게 부착되어 등받이 프레임의 피벗 이동과 시트의 활주 이동을 동기화시킨다. 제어 하우징은 시트 하부에 비교적 얇고 수평으로 연장하는 구역을 한정한다. 조절 가능한 에너지 기구는 확장 가능한 에너지원, 에너지원과 시트 사이에 작동 가능하게 연결된 레버, 및 에너지원으로부터 레버를 통해 시트로 전달된 힘을 조절 가능하게 제어하는 레버를 조절 가능한 피벗 가능하게 지지하는 조절 부재를 포함한다. 에너지원, 레버, 및 조절 부재는 비교적 얇고 수평으로 연장하는 구역 내에서 작동하도록 수평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다. In another aspect of the invention, a chair comprises a base assembly comprising a control housing, a seat slidably supported on the control housing, the base assembly being relative to the base frame for movement between an upright position and an inclined position. It is pivoted and operatively attached to the seat to synchronize the pivot movement of the back frame and the slide movement of the seat. The control housing defines a region that is relatively thin and extends horizontally under the seat. The adjustable energy mechanism is adjustable pivotally supporting an adjustable energy source, a lever operably connected between the energy source and the seat, and a lever that operatively controls the force transmitted from the energy source to the seat through the lever. Member. The energy source, the lever, and the regulating member are movable in the horizontal direction to operate in a region that is relatively thin and extends horizontally.

본 발명의 또 다른 태양에서, 의자 제어부는 제어 하우징, 복수개의 위치들 사이의 이동을 위해 제어 하우징에 작동 가능하게 부착된 요소, 요소의 이동을 제어하기 위해 요소에 작동 가능하게 연결된 제어 하우징 상의 작동기, 작동기를 작동시키기 위한 수동으로 작동 가능한 핸들, 및 핸들을 작동기에 연결하기 위한 과토오크 장치를 포함한다. 과토오크 장치는 의자 제어부에 대한 손상을 방지하도록 핸들로부터 작동기로 전달되는 힘의 최대 크기를 제한하도록 구성된다. In another aspect of the invention, the chair control unit comprises a control housing, an element operably attached to the control housing for movement between a plurality of positions, an actuator on the control housing operably connected to the element for controlling movement of the element. A manually operable handle for operating the actuator, and an overtorque device for connecting the handle to the actuator. The overtorque device is configured to limit the maximum amount of force transmitted from the handle to the actuator to prevent damage to the chair control.

일 태양에서, 본 발명은 대향하는 측부 아암들을 포함하는 기부 조립체, 등받이 경사 축에 대한 회전을 위해 등받이 피벗부에서 측부 아암에 대해 피벗되도록 소정 형상의 단부를 갖는 등받이 프레임, 및 시트 경사 축에 대한 회전을 위해 시트 피벗부에서 소정 형상의 단부에 대해 피벗되는 시트를 갖는 의자를 포함한다. 적어도 하나의 등받이 피벗부와 시트 피벗부는 회전 가능한 베어링 요소와, 베어링 요소가 스터드(stud)가 등받이 경사 축과 시트 경사 축 중 연결된 하나의 축과 오정렬된 때에도 베어링이 구속되지 않고 스터드에 대해 회전하도록 적어도 하나의 축과 연결된 경사 축과 오정렬된 회전 이동을 위해 베어링 요소를 가요성을 갖고 지지하는 지지 요소를 포함한다. 보다 좁은 태양에서, 지지 요소는 탄성 고무로 제작된다.In one aspe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ase assembly comprising opposing side arms, a back frame having an end of a predetermined shape to pivot relative to the side arm at the back pivot for rotation about the back tilt axis, and the seat tilt axis relative to the seat tilt axis. And a chair having a seat pivoted about an end of a predetermined shape in the seat pivot for rotation. The at least one back pivot and seat pivot are such that the bearing is not constrained and rotates with respect to the stud even when the bearing element is misaligned with one of the connected studs of the back tilt and seat tilt axes. An inclined axis connected with at least one axis and a support element that flexibly supports the bearing element for misaligned rotational movement. In a narrower aspect, the support element is made of elastic rubber.

본 발명의 다른 태양에서, 의자는 측부 아암을 포함하는 기부 조립체와, 등받이 경사 축에 대한 회전을 위해 등받이 피벗부에서 측부 아암에 대해 피벗되도록 소정 형상의 단부를 갖는 등받이 프레임을 갖는다. 등받이 프레임은 조립하는 동안 가요성을 갖고 이격되도록 소정 형상의 단부를 허용하기 충분한 가요성을 갖는다. 소정 형상의 단부와 측부 아암은 인접 면들을 갖고, 이들 중 하나의 면은 내부에 리세스를 갖는다. 베어링 배열은 각각 소정 형상의 단부에 측부 아암을 피벗 가능하게 연결하도록 각각의 등받이 피벗부에 위치된다. 베어링 배열은 리세스 내부로 연장하는 스터드와, 스터드를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는 베어링을 포함하고, 베어링은 리세스로부터 제거 가능하지만 인접 면들 부근에서 리세스 내부에 부분적으 로 보유된다. In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hair has a base assembly comprising side arms and a back frame having an end portion of the predetermined shape to pivot relative to the side arms at the back pivot for rotation about the backrest tilt axis. The back frame is flexible enough to allow ends of the desired shape to be flexible and spaced apart during assembly. The end and side arms of the predetermined shape have adjacent faces, one of which has a recess therein. Bearing arrangements are located on the respective backrest pivots to pivotally connect the side arms to the respective ends of the predetermined shape. The bearing arrangement includes a stud extending into the recess and a bearing rotatably coupling the stud, the bearing being removable from the recess but partially retained within the recess near adjacent surfaces.

다른 태양에서, 본 발명은 측방향으로 연장하고 대면하는 돌출부를 갖는 의자 요소를 제공하는 단계와, 리세스를 구비한 소정 형상의 단부를 갖는 등받이 프레임을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의자 조립 방법을 포함한다. 상기 방법은 등받이 프레임의 소정 형상의 단부들을 이격 굴곡시키는 단계와, 동시에 돌출부 상에 소정 형상의 단부의 리세스를 위치시키는 단계와, 등받이 프레임을 제위치에 유지하고 의자 요소에 등받이 프레임을 피벗 가능하게 연결하는 최초 형상으로 등받이 프레임을 탄성 복원시키도록 등받이 프레임을 해제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한다. In another aspect,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hair assembly method comprising providing a chair element having laterally extending and facing projections, and providing a back frame having an end of a predetermined shape with a recess. do. The method is capable of spaced apart bent ends of the back frame, simultaneously positioning recesses of the end of the predetermined shape on the projection, holding the back frame in place and pivoting the back frame to the chair element. Releasing the back frame to elastically restore the back frame to an initial shape that connects securely.

본 발명의 또 다른 태양에서, 제어부는 제어 하우징, 압축력을 제공하도록 제어 하우징 내에 위치된 단일 저장 에너지원과, 직립 위치와 경사 위치 사이의 이동을 위해 상기 단일 에너지원과 작동 가능하게 상호 연결된 레버를 포함한다. 단일 저장 에너지원은 직립 위치를 향해 레버를 편의시키도록 예비 장력을 인가하고 경사질 때 레버의 경사에 대한 저항을 제공한다. 제어부는 저장 에너지원과 레버의 경사율의 예비 장력을 조절하기 위한 제어기를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제어기는 상기 단일 저장 에너지원의 압축력을 극복해야 하는 작동기 없이 조절하도록 형성된다.In another aspect of the invention, the control unit comprises a control housing, a single stored energy source located within the control housing to provide a compressive force, and a lever operably interconnected with the single energy source for movement between the upright and inclined positions. Include. The single stored energy source applies a pretension to bias the lever towards the upright position and provides resistance to the tilt of the lever when tilted. The control further includes a controller for adjusting the preliminary tension of the storage energy source and the tilt rate of the lever, the controller being configured to adjust without an actuator that must overcome the compressive force of the single storage energy source.

본 발명의 또 다른 태양에서, 의자는 제어 하우징을 포함하는 기부 조립체, 압축력을 제공하도록 제어 하우징 내에 위치된 단일 저장 에너지원, 및 직립 위치와 경사 위치 사이의 이동을 위해 상기 단일 에너지원과 작동 가능하게 상호 연결된 등받이 지지체를 포함한다. 단일 저장 에너지원은 직립 위치를 향해 등받이 지 지체를 편의시키도록 예비 장력을 인가하고 경사질 때 등받이 지지체의 경사에 대한 저항을 제공한다. 제어부는 저장 에너지원의 예비 장력과 등받이 지지체의 경사율을 조절하기 위한 제어기를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제어기는 상기 단일 저장 에너지원의 압축력을 극복하지 않고 조절될 수 있는 조절 가능한 지지점을 한정하는 레버를 포함한다. In another aspect of the invention, a chair is operable with a base assembly comprising a control housing, a single stored energy source located within the control housing to provide compressive force, and the single energy source for movement between an upright position and an inclined position. And a back support that is interconnected. A single stored energy source applies a preliminary tension to bias the back support delay towards the upright position and provides resistance to the tilt of the back support when tilted. The control further includes a controller for adjusting the preliminary tension of the stored energy source and the tilt rate of the back support, the controller defining an adjustable support point that can be adjusted without overcoming the compressive force of the single stored energy source. It includes.

본 발명의 또 다른 태양에서, 제어부는 제어 하우징, 제어 하우징 내에 위치된 저장 에너지원, 및 직립 위치와 경사 위치 사이의 이동을 위해 상기 에너지원과 작동 가능하게 상호 연결된 등받이 지지 제1 레버를 포함한다. 저장 에너지원은 직립 위치를 향해 제1 레버를 편의시키도록 예비 장력을 인가하고 경사질 때 제1 레버의 경사에 대한 저항을 제공한다. 제어부는 제1 레버의 저장 에너지원의 예비 장력을 조절하기 위한 제어기를 추가로 포함한다. 제어기는 제어 하우징 내에서 크랭크 레버(crank lever)를 포함한다. 크랭크 레버는 저장 에너지원과 결합하는 일단부와 제1 레버와 작동 가능하게 상호 연결된 타단부를 갖는다. 크랭크 레버는 지지점을 형성하는 2개의 단부들 사이의 부분을 구비하여, 저장 에너지원은 직립 위치를 향해 제1 레버를 편의시키도록 지지점에 대해 크랭크 레버를 편의시킨다.In another aspect of the invention, the control portion includes a control housing, a stored energy source located within the control housing, and a back support first lever operably interconnected with the energy source for movement between the upright and inclined positions. . The storage energy source applies a pretension to bias the first lever towards the upright position and provides resistance to the tilt of the first lever when tilted. The control further includes a controller for adjusting the preliminary tension of the stored energy source of the first lever. The controller includes a crank lever in the control housing. The crank lever has one end coupled with the stored energy source and the other end operatively interconnected with the first lever. The crank lever has a portion between the two ends forming the support point, so that the stored energy source biases the crank lever relative to the support point to bias the first lever toward an upright position.

본 발명의 또 다른 태양에서, 제어부는 제어 하우징, 제어 하우징 내에 위치된 저장 에너지원, 및 직립 위치와 경사 위치 사이의 이동을 위해 상기 에너지원 작동 가능하게 상호 연결된 제1 레버를 포함한다. 저장 에너지원은 직립 위치를 향해 제1 레버를 편의시키도록 예비 장력을 인가하고 경사질 때 제1 레버의 경사에 대한 저항을 제공한다. 제어부는 저장 에너지원의 예비 장력을 조절 가능하게 제 어하도록 조절 가능한 제어기를 추가로 포함한다. 제어기는 저장 에너지원의 예비 장력을 제어하기 위해 수동으로 작동 가능한 핸들과, 핸들로부터 제어기로 전달되는 물리적인 힘을 제한하도록 형성된 과토오크 장치를 포함한다. In another aspect of the invention, the control portion includes a control housing, a stored energy source located within the control housing, and a first lever operably interconnected with the energy source for movement between an upright position and an inclined position. The storage energy source applies a pretension to bias the first lever towards the upright position and provides resistance to the tilt of the first lever when tilted. The control further includes an adjustable controller to controllably control the preliminary tension of the stored energy source. The controller includes a manually operable handle to control the preliminary tension of the stored energy source and an overtorque device configured to limit the physical force transmitted from the handle to the controller.

본 발명의 상기 및 다른 특징과 장점들은 이하의 명세서, 특허 청구의 범위 및 첨부 도면을 참조함으로써 당해 기술 분야의 숙련자들은 명확하게 이해될 것이다.These and other feature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com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by reference to the following specification, claims and appended drawings.

도면의 상세한 설명Detailed description of the drawings

도1 내지 도3은 본 발명을 실시하는 경사 가능 의자의 정면, 배면 및 측면 사시도이다.1 to 3 are front, back and side perspective views of an inclined chai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4a 및 도4b는 도1에 도시된 의자의 상부 및 하부 부분을 도시하는 분해 사시도이다.4A and 4B are exploded perspective views showing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chair shown in FIG.

도5 및 도6은 도1에 도시된 의자의 측면도로서, 도5는 직립 위치에 있는 의자의 가요성과 조절성을 도시하고, 도6은 경사지는 동안 등받이와 시트의 이동을 도시한다.5 and 6 are side views of the chair shown in FIG. 1, FIG. 5 shows the flexibility and adjustability of the chair in an upright position, and FIG. 6 shows the movement of the backrest and seat while inclined.

도7은 하부시트 외장 덮개를 제거한 상태의, 도1에 도시된 의자의 정면도이다. Fig. 7 is a front view of the chair shown in Fig. 1 with the lower seat cover removed.

도8은 주 에너지 기구, 모멘트 아암 이동 조절 기구, 및 등받이 정지 기구를 포함하는 제어부를 도시하는 평면도로서, 주 에너지 기구는 비교적 저토오크 위치로 조절되어 있고, 등받이가 직립 위치에 있을 때 시트가 휴지 위치에서 후방에 있도록 하는 위치를 향해 있고, 등받이 정지 기구는 최대 경사를 허용하도록 등받이 를 제한하기 위한 중간 위치에 있는 것을 도시한다.Fig. 8 is a plan view showing a control unit including a main energy mechanism, a moment arm movement adjusting mechanism, and a back rest stop mechanism, wherein the main energy mechanism is adjusted to a relatively low torque position, and the seat rests when the backrest is in an upright position. Towards the position to be rearward in position, the back stop mechanism shows that it is in an intermediate position to restrict the backrest to allow maximum tilt.

도8a는 도8에 도시된 기부 프레임과 의자 제어부의 사시도로서, 일부의 시트와 등받이 지지 구조가 점선으로 도시되어 있고, 제어부 중 일부 제어부들이 상대적인 위치를 도시하도록 실선으로 도시되어 있다.FIG. 8A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base frame and the chair control unit shown in FIG. 8, in which some seat and back support structures are shown in dashed lines, and some of the controls are shown in solid lines to show relative positions.

도9는 도8에 도시된 제어부와 주 에너지 기구를 도시하는 사시도로서, 주 에너지 기구가 저토오크 위치에 있도록 조절되어 있고, 시트가 후방으로 이동하도록 등받이가 직립 위치에 있는 것처럼 도시되어 있다.Fig. 9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trol unit and the main energy mechanism shown in Fig. 8, which is adjusted so that the main energy mechanism is in a low torque position, and the backrest is in an upright position so that the seat moves rearward.

도9a는 도9에 도시된 제어부와 주 에너지 기구의 사시도로서, 주 에너지 기구가 저토오크 위치에 있도록 조절되어 있지만, 시트가 전방으로 이동되고 스프링이 압축되도록 등받이가 경사 위치에 있는 것처럼 도시되어 있다.Fig. 9A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control and main energy mechanism shown in Fig. 9, with the main energy mechanism being adjusted to a low torque position, but shown as if the backrest is in an inclined position such that the seat is moved forward and the spring is compressed. .

도9b는 도9에 도시된 제어부와 주 에너지 기구의 사시도로서, 주 에너지 기구가 고토오크 위치에 있도록 조절되어 있고, 시트가 후방으로 이동하도록 등받이가 직립 위치에 있는 것처럼 도시되어 있다. FIG. 9B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control and main energy mechanism shown in FIG. 9, with the main energy mechanism adjusted to a high torque position and shown as if the backrest is in an upright position such that the seat moves rearward.

도9c는 도9에 도시된 제어부와 주 에너지 기구의 사시도로서, 주 에너지 기구는 고토오크 위치에 있도록 조절되어 있지만, 시트가 전방으로 이동되고 스프링이 압축되도록 등받이가 경사 위치에 있는 것처럼 도시되어 있다.FIG. 9C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control and main energy mechanism shown in FIG. 9, the main energy mechanism being adjusted to a high torque position, but shown as if the backrest is in an inclined position such that the seat is moved forward and the spring is compressed. .

도9d는 도9 내지 도9c의 주 에너지 기구에 대한 비틀림 대 각도 편향 곡선을 도시하는 그래프로서, 곡선은 고토오크로부터 얻어진 힘을 도시하는 상부 곡선(주 스프링의 긴 모멘트 아암 결합)과 낮은 토오크로부터 얻어진 힘을 도시하는 하부 곡선(주 스프링의 짧은 모멘트 아암 결합)을 포함한다. FIG. 9D is a graph showing the torsional versus angular deflection curves for the main energy mechanism of FIGS. 9-9C, the curves being from the upper curve (the long moment arm coupling of the main spring) and the low torque showing the force obtained from the high torque. A lower curve showing the resulting force (short moment arm engagement of the main spring).             

도10은 도8에 도시된 제어부와 주 에너지 기구의 확대 평면도로서, 등받이 정지 기구를 위한 제어부를 포함하고, 등받이 정지 기구는 해제 위치로 도시되어 있다. Fig. 10 is an enlarged plan view of the control unit and the main energy mechanism shown in Fig. 8, which includes a control unit for the back rest stop mechanism, and the back stop mechanism is shown in the released position.

도11은 과토오크 해제 기구를 포함하는 주 에너지 기구를 조절하기 위한 기구를 도시하는 분해도이다.11 is an exploded view showing a mechanism for adjusting a main energy mechanism including an overtorque release mechanism.

도11a는 변형된 등받이 정기 제어부와 관련된 링크를 도시하는 평면도이고, 도11b는 도11a의 원형 영역의 부분 확대 절결 단면도이고, 도11c는 도11a의 선XIC-XIC를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FIG. 11A is a plan view showing a link associated with the modified backrest regular controller, FIG. 11B is a partially enlarged cutaway sectional view of the circular region of FIG. 11A, and FIG. 11C is a 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XIC-XIC of FIG.

도12는 도1에 도시된 등받이 조립체의 측면도로서, 등받이 프레임과 가요성 등받이 셸을 포함하고, 착석한 사용자의 골격과 신체를 포함하고, 등받이 셸이 실선으로 전방으로 볼록한 형상으로 도시되어 있고, 다른 가요성 형상이 파선과 점선으로 도시되어 있다.FIG. 12 is a side view of the backrest assembly shown in FIG. 1, comprising a backrest frame and a flexible backshell, including the skeleton and body of a seated user, the backshell being shown in a convex forward shape in a solid line; FIG. Other flexible shapes are shown with dashed lines and dashed lines.

도12a는 도4a에 도시된 등받이 프레임의 확대 사시도로서, 등받이 프레임이 보강체를 쉽게 볼 수 있도록 성형 중합체 외부 셸이 투명한 것처럼 도시되어 있다.12A is an enlarged perspective view of the backrest frame shown in FIG. 4A, with the molded polymer outer shell being transparent so that the backrest frame can easily see the reinforcement.

도12b 및 도12c는 도12a의 선 XXIIB-XXIIB 및 선 XXIIC-XXIIC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12B and 12C are cross-sectional views taken along lines XXIIB-XXIIB and XXIIC-XXIIC of FIG. 12A.

도12d 내지 도12i는 착석한 사용자의 등에 호응하여 이동하도록 된 가요성 등받이 셸 구조물의 부가적인 실시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12D-12I illustrate additional embodiments of a flexible back shell structure adapted to move in response to the seated user's back.

도12j는 도4a에 도시된 비틀림 조절 가능 요추 지지 스프링 기구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12j1는 허브의 대향 측면으로부터 취한 도12j의 허브와 스프링 연결의 분해도이다.12J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torsion adjustable lumbar support spring mechanism shown in FIG. 4A, and FIG. 12J1 is an exploded view of the hub and spring connections of FIG. 12J taken from opposite sides of the hub.

도12k는 변형된 비틀림 조절 가능 요추 지지 스프링 기구의 분해 사시도이다.12K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modified torsion adjustable lumbar support spring mechanism.

도12l 및 도12l1은 저토오크 위치로 조절된 도12k에 도시된 기구의 측면도이고, 도12m 및 도12m1은 고토오크 위치로 조절된 기구의 측면도이며, 도12l 및 도12m은 스프링 드라이버를 상세히 도시하고, 도12l1 및 도12m1은 레버를 상세히 도시한다.12L and 12L1 are side views of the instrument shown in FIG. 12K adjusted to a low torque position, FIGS. 12M and 12M1 are side views of the instrument adjusted to a high torque position, and FIGS. 12L and 12M show spring drivers in detail. 121 and 12M1 show the lever in detail.

도12n은 도12에 도시된 등받이 구조의 부분 단면도이다.FIG. 12N is a partial sectional view of the backrest structure shown in FIG. 12; FIG.

도13은 등받이 프레임에 기부 프레임을 상호 연결하고 시트 프레임에 등받이 프레임을 상호 연결한 피벗부를 도시하는, 선XIII-XIII을 따라 취한 측단면도이다.Figure 13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XIII-XIII, showing a pivot portion interconnecting the base frame to the back frame and interconnecting the back frame to the seat frame.

도13a는 도13과 유사하지만 다른 구조를 도시하는 변형된 피벗부의 측단면도이다.FIG. 13A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of a modified pivot similar to FIG. 13 but showing another structure.

도14a 및 도14b는 등받이 프레임에 등받이 셸을 연결한 상부 커넥터의 사시도 및 정면도이다.14A and 14B are perspective and front views of the upper connector connecting the back shell to the back frame.

도15는 도4a에 도시된 등받이 셸의 배면도이다.Figure 15 is a rear view of the backrest shell shown in Figure 4A.

도16은 도4a에 도시된 수직 조절 가능한 요추 지지 기구를 포함하는 등받이의 사시도이다.Figure 16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backrest including the vertically adjustable lumbar support mechanism shown in Figure 4A.

도17 및 도18은 도16에 도시된 수직 조절 가능한 요추 지지 기구의 정면도 및 평면도이다.17 and 18 are front and top views of the vertically adjustable lumbar support mechanism shown in FIG.

도19는 도18에 도시된 수직 조절 가능한 요추 지지 기구의 활주 프레임의 정 면도이다.FIG. 19 is an illustration of the slide frame of the vertically adjustable lumbar support mechanism shown in FIG.

도20은 도17에 도시된 수직 조절 가능한 요추 지지 기구의 측방향으로 연장하는 핸들과, 핸들의 요추 지지 기구의 활주 부재에 대한 부착을 도시하는 부분 평면 단면도이다.FIG. 20 is a partial planar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laterally extending handle of the vertically adjustable lumbar support mechanism shown in FIG. 17 and the attachment of the handle to the sliding member of the lumbar support mechanism. FIG.

도21은 시트 캐리어와, 시트 캐리어 상에 활주 가능하게 장착된 시트 하부 캐리어/지지 프레임을 포함하고, 시트 하부 캐리어/지지 프레임이 시트 캐리어 상의 베어링을 도시하도록 부분 절결되어 있고, 시트 쿠션이 하부의 부품을 드러내도록 제거된, 도4b에 도시된 깊이 조절 가능 시트의 사시도이다.Figure 21 includes a seat carrier and a seat lower carrier / support frame slidably mounted on the seat carrier, the seat lower carrier / support frame is partially cut to show a bearing on the seat carrier, and the seat cushion A perspective view of the depth adjustable sheet shown in FIG. 4B, removed to reveal the part.

도22는 시트 하부 캐리어/후방 프레임이 제거되어 있지만, 시트 프레임 활주 베어링이 도시되어 있고, 시트 캐리어 깊이 조절 가능 정지 장치가 도시된 도21에 도시된 시트 캐리어의 평면도이다.FIG. 22 is a top view of the seat carrier shown in FIG. 21 with the seat lower carrier / rear frame removed, but with a seat frame sliding bearing and a seat carrier depth adjustable stop device shown.

도23은 깊이 조절 제어 핸들, 링크, 및 시트의 선택된 깊이 위치를 유지하는 래치를 포함하는, 도21에 도시된 시트 하부 캐리어/후방 프레임 및 시트 캐리어의 평면 사시도이다.FIG. 23 is a top perspective view of the seat lower carrier / rear frame and seat carrier shown in FIG. 21, including a depth adjustment control handle, a link, and a latch holding the selected depth position of the seat.

도24 및 도25는 도21에 도시된 깊이 조절 가능 시트의 측면도로서, 도24는 최대 시트 깊이로 조절된 시트를 도시하고, 도25는 최소 시트 깊이로 조절된 시트를 도시하며, 도24 및 도25는 또한 최적 대퇴부 지지를 제공하도록 시트 셸의 전방 부분을 조절하기 위한 가스 스프링을 포함하는 수동 조절 가능한 "활성" 대퇴부 지지 시스템도 도시한다. Figures 24 and 25 are side views of the depth adjustable sheet shown in Figure 21, Figure 24 shows the sheet adjusted to the maximum sheet depth, Figure 25 shows the sheet adjusted to the minimum sheet depth, Figures 24 and Figure 25 also illustrates a manually adjustable "active" thigh support system that includes a gas spring to adjust the front portion of the seat shell to provide optimal thigh support.

도26은 (대부분 파선으로 도시된) 시트 캐리어, 시트 캐리어/후방 프레임, 시트의 전방 부분을 조절 가능하게 지지하기 위한 가스 스프링 및 보강 판을 구비한 활성 대퇴부 지지 시스템, 및 시트와 깊이 설정 래치의 전방 및 후방 최대 깊이 조절을 제한하기 위한 정지부를 포함하는 깊이 조절 기구의 일부분을 포함하는 도24 및 도25에 도시된 시트 지지 구조의 평면도이다. Figure 26 shows a seat carrier (usually broken line), seat carrier / rear frame, an active thigh support system with gas springs and reinforcement plates for adjustable support of the front portion of the seat, and seat and depth setting latches. 24 is a plan view of the seat support structure shown in FIGS. 24 and 25 that includes a portion of a depth adjustment mechanism that includes a stop for limiting front and rear maximum depth adjustment.

도26a는 깊이 조절 기구를 위한 정지부를 도시하는, 도26의 선XXVIA-XXVIA를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FIG. 26A is a cross 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XXVIA-XXVIA in FIG. 26, showing a stop for the depth adjustment mechanism.

도27 및 도28은 도26에 도시된 시트 지지 구조의 상부 및 하부 사시도이다.27 and 28 are top and bottom perspective views of the sheet support structure shown in FIG.

도29 및 도30은 도26에 도시된 것과 유사한 시트를 도시하는 상부 및 하부 사시도이지만, 수동 조절 가능한 대퇴부 지지 시스템이 시트의 전방 부분을 지지하기 위한 판 스프링을 포함하는 수동 대퇴부 지지 시스템으로 대체된 것을 도시한다.29 and 30 are top and bottom perspective views showing a sheet similar to that shown in FIG. 26, but with a manually adjustable thigh support system replaced by a manual thigh support system that includes a leaf spring for supporting the front portion of the seat. Shows that.

도31은 도30에 도시된 판 스프링의 단부를 지지하기 위한 브래킷과 안내부의 하부 사시도이지만, 판 스프링을 평평한 압축 상태를 향해 굴곡시키도록 시트의 대퇴부 지지 전방 부분이 하방으로 굴곡된 상태를 도시한다.FIG. 31 is a bottom perspective view of the bracket and guide for supporting the end of the leaf spring shown in FIG. 30, but showing a state where the thigh support front portion of the seat is bent downward to bend the leaf spring toward a flat compression state; .

양호한 실시예의 상세한 설명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

본 명세서에서 설명을 위해, "상부", "하부", "우측", "좌측", "후방", "전방", "수직", "수평"의 용어와 이들의 파생어는 사람이 의자에 착석하는 상태에서 도1에서와 같이 배향된 본 발명과 관련된다. 그러나, 본 발명은 반대로 특별히 표현된 경우를 제외하고 다양한 다른 방향을 가정할 수도 있다는 것을 이해하여야 한다. 또한, 첨부 도면에 도시되어 있고 이하의 명세서에 설명된 특정 장치와 공정 은 첨부된 청구의 범위에 한정된 본 발명의 개념의 단순한 예시적인 실시예라는 것을 이해하여야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에 관한 특정 치수와 다른 특징들은 청구의 범위의 표현과 다르지 않다면, 불필요하게 제한되어서는 않된다.For purposes of this specification, the terms "top", "bottom", "right", "left", "rear", "front", "vertical", and "horizontal" and their derivatives refer to a person seated in a chair. The present invention is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oriented as shown in FIG. However,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present invention may assume various other directions except where specifically indicated. In addition,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specific apparatus and processes shown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and described in the following specification are merely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inventive concept as defined in the appended claims. Thus, specific dimensions and other features of the embodiments disclosed herein are not to be unnecessarily limited, unless they differ from the representation of the claims.

본 발명을 실시하는 의자 구조물(20, 도1 및 도2)은 주조된 기부 조립체(21)와, 직립 위치와 경사 위치 사이에서 고정 등받이 경사 축(23)을 중심으로 한 이동을 위해 기부(21)에 대해 피벗되는 경사 가능 등받이 조립체(22)를 포함한다. 시트 조립체(24, 도6)는 시트 경사 축(25)에 대한 이동을 위해 등받이(22)에 대해 후방에서 피벗된다. 시트 경사 축(25)은 등받이 경사 축(23)으로부터 하방 및 후방으로 오프셋되고, 시트(24)는 선형 베어링에 의해 기부(21) 상의 전방에서 활주 가능하게 지지되어, 시트(24)는 전방으로 활주되고 이의 후방은 등받이(22)의 경사에 동기식 이동으로 전방 및 하방으로 회전된다(도6 참조). 동기식 이동은 처음으로 등받이를 약 2.5 : 1의 각도 동기 비율에서 시트에 대해 이동시키고, 거의 완전히 경사진 위치에서는 약 5 : 1 의 각도 동기 비율에서 등받이를 시트에 대해 이동시킨다. 경사지는 동안 시트(24)와 등받이(22) 이동은 착석한 사용자가 매우 안정적이고 고정되는 것을 느끼게 하는 매우 편안한 착석을 제공한다. 이는 이동이 착석한 사용자의 무게 중심을 비교적 일정하게 유지하고, 착석한 사용자는 의자 기부 위에서 비교적 균형있는 위치에 있도록 유지한다는 사실에 부분적으로 기인한다. 또한, 전방 활주/동기식 이동은, 제거되지 않는다면 경사진 후 전방으로 끊임 없이 이동하고 나서 직립 위치를 향해 이동할 때 후방으로 이동시키는 것이 매우 감소하 는 문제점을 갖는 종래의 동기 경사식 의자 구조보다 착석한 사용자가 경사지는 동안 사용자를 작업대 주위에 유지시킨다. 다른 장점은 의자 구조물(20)이 의자 뒤의 벽에 밀접하게 또는 작은 사무실에 사용될 수 있어, 경사지는 동안 사무실 가구로부터의 방해를 덜 초래한다는 것이다. 또한, 직립 위치를 향해 등받이(22)를 편의시키기 위한 스프링(28)은 현재의 의자에서 착석한 사용자의 무게의 후방으로의 이동이 감소되기 때문에, 크기가 잠재적으로 감소될 수 있다.Chair structure 20, Figures 1 and 2, embodying the present invention, has a cast base assembly 21 and a base 21 for movement about a fixed backrest tilt axis 23 between an upright position and an inclined position. Tiltable backrest assembly 22 pivoted about. The seat assembly 24 (FIG. 6) is pivoted rearward relative to the backrest 22 for movement relative to the seat tilt axis 25. FIG. The seat inclination axis 25 is offset downward and rearward from the backrest inclination axis 23, and the seat 24 is slidably supported from the front on the base 21 by the linear bearing so that the seat 24 is forward. It is slid and its rear is rotated forward and downward in synchronous movement to the inclination of the backrest 22 (see FIG. 6). Synchronous movement first moves the backrest relative to the seat at an angular sync ratio of about 2.5: 1, and moves the backrest relative to the seat at an angular sync ratio of about 5: 1 at a nearly fully inclined position. The movement of the seat 24 and the back 22 during inclination provides a very comfortable seating that makes the seated user feel very stable and secure. This is partly due to the fact that the movement keeps the center of gravity of the seated user relatively constant and the seated user in a relatively balanced position on the chair base. In addition, the forward sliding / synchronous movement is more seated than conventional synchronous inclined chair structures, which, if not removed, have a problem that it is much less likely to move backwards after tilting forward and then backwards when moving towards the upright position. Keep the user around the workbench while the user is tilted. Another advantage is that the chair structure 20 can be used close to the wall behind the chair or in a small office, resulting in less disturbance from office furniture during the inclination. In addition, the spring 28 for biasing the back 22 toward the upright position can potentially be reduced in size because of the reduced back movement of the weight of the seated user in the current chair.

기부는 제어 하우징(26)을 포함한다. 주 에너지 기구(27, 도8)는 시트(24)를 후방으로 편의시키도록 제어 하우징(26) 내에 작동 가능하게 위치된다. 등받이(22)와 시트(24)의 상호 연결에 의해, 시트(24)의 후방 편의는 이어서 등받이(22)를 직립 위치를 향해 편의시킨다. 주 에너지 기구(27, 도8)는 토오크 부재 또는 레버(54)와 작동 가능하게 결합하는 제어 하우징(26) 내에 횡방향으로 위치된 주 스프링(28)을 포함한다. 주 스프링(28)에 의해 제공된 장력과 토오크는 실질적으로 제어 하우징(26) 내에 위치된 조절 가능한 모멘트 아암 이동(MAS) 시스템(29)을 통해 조절 가능하다. 외장 덮개(26', 도1)는 제어 하우징(26)과 시트(24)의 하부측 사이의 영역을 덮는다. 등받이 조립체(22)는 피벗부/축(23, 25)을 한정하는 구조를 구비한 등받이 지지체 또는 등받이 프레임(30, 도4a)을 포함한다. 가요성/유연성 등받이 셸 구조물(31)은 편안하고 적합한 등받이 지지를 제공하는 방식으로 상부 연결부(32) 및 하부 연결부(33)에서 등받이 프레임(30)에 대해 피벗된다. 비틀림 조절 가능한 요추 지지 스프링 기구(34)는 양호한 요추 압력을 제공하기 위해 최적화된 전방 볼록 곡선 형상으로 등받이 셸(31)을 전방으로 편의시키도록 제공된 다. 수직 조절 가능한 요추 지지체(35, 도16)는 최적 형상과 등받이(22) 상의 전방 지지면에 대한 압력 위치를 제공하도록 수직 이동을 위해 등받이 셸(31) 상에 작동 가능하게 장착된다. 시트(24)에는 등받이(22)의 경사를 제한하도록 시트(24)와 조절 가능하게 결합하는 등받이 정지 기구(36, 도8)와 같은 강화된 의자 기능을 제공하기 위한 각종 선택 사양이 제공된다. 또한, 시트(24)는 이하에 설명될 것처럼, 활성 및 수동 대퇴부 지지 선택 사양(각각 도24 및 도30 참조), 시트 깊이 조절부(도28 및 도25 참조), 및 다른 시트 선택 사양을 포함할 수 있다. The base includes a control housing 26. The main energy device 27 (FIG. 8) is operatively located in the control housing 26 to bias the seat 24 backwards. By the interconnection of the back 22 and the seat 24, the rear bias of the seat 24 then biases the back 22 towards the upright position. The main energy mechanism 27 (Fig. 8) includes a main spring 28 positioned transversely in the control housing 26 which is operatively engaged with the torque member or lever 54. The tension and torque provided by the main spring 28 are substantially adjustable via an adjustable moment arm movement (MAS) system 29 located in the control housing 26. The sheathing cover 26 ′ (FIG. 1) covers the area between the control housing 26 and the lower side of the seat 24. The backrest assembly 22 includes a backrest support or backrest frame 30 (FIG. 4A) having a structure defining a pivot / axis 23, 25. As shown in FIG. The flexible / flexible back shell structure 31 is pivoted against the back frame 30 at the upper and lower connections 32 and 33 in a manner that provides a comfortable and suitable back support. A torsionally adjustable lumbar support spring mechanism 34 is provided to bias the backrest shell 31 forward in a convex curve shape optimized to provide good lumbar pressure. The vertically adjustable lumbar support 35 (FIG. 16) is operably mounted on the backrest shell 31 for vertical movement to provide an optimal shape and pressure position relative to the front support surface on the backrest 22. FIG. The seat 24 is provided with a variety of options for providing enhanced chair function, such as a back stop mechanism 36 (FIG. 8) that adjustably engages the seat 24 to limit the inclination of the backrest 22. FIG. The seat 24 also includes active and passive thigh support options (see FIGS. 24 and 30, respectively), seat depth adjustments (see FIGS. 28 and 25), and other seat options, as described below. can do.

기부 조립체Base assembly

기부 조립체(21, 도1)는 중앙 허브(40)와 거미 형상으로 중앙 허브(40)에 부착된 반경 방향으로 연장하는 주조된 다리(41)를 갖는 바닥 결합 지지체(39)를 포함한다. 삽통식으로 연장 가능한 중앙 지주(42)는 중앙 허브(40) 내에 위치되고, 의자의 높이를 상승시키도록 지주(42)를 삽통식으로 연장하도록 작동 가능한 가스 스프링을 포함한다. 기부 조립체(21)의 제어 하우징(26)은 팬 형상이고(도11), 상방 개방형 구조 부재를 형성하는 저부 패널과 플랜지가 형성된 측벽을 포함한다. 노치(43)는 MAS 시스템(29)을 위한 조절 가능한 제어부의 일부분을 수용하도록 하우징(26)의 하나의 측벽 내에 형성된다. 하우징(26)의 전방은 횡방향 구조 튜브(45, 도8a)를 수용하기 위한 상방 대면 U자형 횡방향 플랜지(44)로 형성되고, 구멍(46, 도11)은 대체로 인접한 플랜지를 형성한다. 횡방향 튜브(45)는 플랜지(44)에 용접되고, 실질적으로 수평으로 연장한다. 보강 채널(47)은 횡방향 구조 튜브(45)의 전방 부근에서 하우징(26)에 용접된다. 절두원추형(frustoconical) 튜브 부분(48)은 구멍(46) 상부에서 보강체(47)에 수직으로 용접되고, 튜브 부분(48)은 연장 가능한 중앙 지주(42)의 상부 단부와 확고하게 결합 가능하도록 형성된다. 한 쌍의 강화 상방 연장 측부 아암[49, 때때로 "스트러트(strut)" 또는 "포드(pod)"로 불림]은 횡방향 튜브(45)의 대향 단부들에 용접된다. 측부 아암(49)들은 아암의 내부면 상에서 강화 판(50)을 각각 포함한다. 판(50)들은 등받이 경사 축(23)을 한정하도록 정렬되는 용접 너트(51)를 포함한다. 하우징(26), 횡방향 튜브(45), 및 측부 아암(49)은 강성이고 완강한 기부 프레임을 형성한다. 하우징(26)의 측벽은 측벽을 강화하도록 이들의 상부 에지를 따라 연장하는 립(lip) 또는 플랜지를 포함한다. 캡(52)은 시트의 전방을 활주 가능하게 지지하는 선형 베어링의 고정 부분을 형성하도록 립에 부착된다. Base assembly 21 (FIG. 1) includes a bottom bonding support 39 having a central hub 40 and a cast leg 41 extending radially attached to the central hub 40 in a spider shape. The insertably extendable central strut 42 is located in the central hub 40 and includes a gas spring operable to insert the strut 42 to raise the height of the chair. The control housing 26 of the base assembly 21 is fan-shaped (FIG. 11) and includes a bottom panel and flanged sidewalls forming an upwardly open structural member. Notches 43 are formed in one sidewall of housing 26 to receive a portion of an adjustable control for MAS system 29. The front of the housing 26 is formed of an upward facing U-shaped transverse flange 44 for receiving the transverse structural tube 45 (FIG. 8A), and the holes 46 (FIG. 11) form a generally adjacent flange. The transverse tube 45 is welded to the flange 44 and extends substantially horizontally. The reinforcement channel 47 is welded to the housing 26 near the front of the transverse structural tube 45. The frustoconical tube portion 48 is welded perpendicularly to the reinforcement 47 at the top of the hole 46, so that the tube portion 48 is firmly engageable with the upper end of the extendable central strut 42. Is formed. A pair of reinforced upwardly extending side arms 49 (sometimes referred to as “struts” or “pods”) are welded to opposite ends of the transverse tube 45. The side arms 49 each comprise a reinforcing plate 50 on the inner face of the arm. The plates 50 comprise a welding nut 51 which is aligned to define the backrest tilting axis 23. The housing 26, the transverse tube 45, and the side arms 49 form a rigid, rigid base frame. The sidewalls of the housing 26 include lips or flanges that extend along their upper edges to reinforce the sidewalls. The cap 52 is attached to the lip to form a fixed portion of the linear bearing that slidably supports the front of the seat.

주 에너지 기구 및 작동Main energy apparatus and operation

도9 내지 도9c 및 도10에 도시된 하우징(26)은 약간 길고, 도8, 도8a 및 도11의 하우징과 서로 다른 비율을 갖지만, 작동 원리는 동일하다. 주 에너지 기구(27, 도8)는 하우징(26) 내에 위치된다. 주 에너지 기구(27)는 L자형 토오크 부재 또는 벨 크랭크(bell crank, 54), 링크(55), 및 시트 부착 브래킷(56)에 의해 시트에 작동 가능하게 연결된 스프링(28)을 포함한다. 스프링(28)은 디스크형 앵커(anchor, 57)에 의해 하우징(26)의 측부에 대해 지지된 일단부를 갖는 상태로, 하우징(26) 내에 횡방향으로 위치된 코일 스프링이다. 앵커(57)는 소음을 방지하도록 스프링(28)의 단부를 지지하기 위한 와셔를 포함하고, 스프링(28)을 확고히 파지하도록 스프링(28)의 단부의 중심 내부로 연장하지만, 스프링(28)이 압축되고 측부를 향해 경사/굴곡되면서 토오크 부재 또는 벨 크랭크(54)가 피벗되는 것을 허용하는 돌출부를 추가로 포함한다. L자형 토오크 부재 또는 벨 크랭크(54)는 짧은 다리 또는 레버(58) 및 긴 다리(59)를 포함한다. 짧은 다리(58)는 앵커(57)와 유사한 와셔 및 돌출부를 구비한 하우징(26)의 대체로 좌측 부근에서 스프링(28)의 일단부와 결합하는 자유 단부를 갖는다. 짧은 다리(26)는 아치형이고, 일련의 치형(60)을 한정하는 하우징의 인접 측벽과 대면하는 외부면을 포함한다. 강철 스트립(strip, 61)은 짧은 다리(58)의 상부 및 하부 측부에 부착되고, 이하에 설명될 것처럼 다리(58) 상에 원활한 롤링 베어링 면을 제공하는 외부 아치형 면을 갖는다. 스트립(61)의 아치형 면은 대체로 기어 치형(60)의 정점 또는 피치 직경 주위에 위치된다. 짧은 다리(58)는 스프링(28)의 길이 방향에 대체로 수직하게 연장하고, 긴 다리(59)는 스프링(28)의 길이에 대체로 평행하게 연장하지만 스프링(28)으로부터 이격되어 있다. 링크(55, 도8)는 긴 다리(59)의 단부에 대해 피벗되고 시트 부착 브래킷(56)에 대해서도 피벗된다. The housings 26 shown in FIGS. 9-9C and 10 are slightly longer and have different ratios than the housings of FIGS. 8, 8A and 11, but the principle of operation is the same. The main energy device 27 (Fig. 8) is located in the housing 26. The main energy mechanism 27 includes a spring 28 operatively connected to the seat by an L-shaped torque member or bell crank 54, a link 55, and a seat attachment bracket 56. The spring 28 is a coil spring positioned transversely in the housing 26 with one end supported by the disk-shaped anchor 57 relative to the side of the housing 26. The anchor 57 includes a washer for supporting the end of the spring 28 to prevent noise, and extends into the center of the end of the spring 28 to firmly grasp the spring 28, but the spring 28 It further includes a protrusion that is compressed and inclined / bent toward the side to allow the torque member or bell crank 54 to pivot. The L-shaped torque member or bell crank 54 includes a short leg or lever 58 and a long leg 59. The short leg 58 has a free end that engages one end of the spring 28 near the left side of the housing 26 with a washer and protrusion similar to the anchor 57. The short leg 26 is arcuate and includes an outer surface facing an adjacent sidewall of the housing that defines a series of teeth 60. The steel strip 61 is attached to the upper and lower sides of the short leg 58 and has an outer arcuate face that provides a smooth rolling bearing face on the leg 58 as described below. The arcuate face of the strip 61 is generally located around the vertex or pitch diameter of the gear tooth 60. The short leg 58 extends generally perpendicular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pring 28, and the long leg 59 extends generally parallel to the length of the spring 28 but is spaced apart from the spring 28. The link 55 (Fig. 8) is pivoted about the end of the long leg 59 and also about the seat attachment bracket 56.

초승달 형상의 피벗 부재(63, 도11)는 이동 지지점을 한정하도록 짧은 다리(58) 상에서 강철 스트립(61)의 곡선형 면과 롤링식으로 결합하는 아치형 롤링 베어링 면을 포함한다. 피벗 부재(63)는 또한 다리(58)의 롤링 베어링 면과 피벗 부재(63)의 경계 사이에서 어떠한 미끄러짐도 방지하도록 짧은 다리(58) 상에서 치형(60)과 결합 가능하도록 형성된 치형(64)의 톱니 받침도 포함한다. 피벗 부재(63)는 노치(43)에서 하우징(26)의 측부에 부착된다. 시트(24)가 후방 위치(즉, 등받이가 직립 위치에 있을 때, 도9)에 있을 때, 긴 다리(59)는 스프링(28)에 인접하여 대체로 평행하게 위치되고, 짧은 다리(58)는 스프링이 비교적 낮은 크기로 압축되도록 피벗된다. 이 위치에서, 스프링(28)의 압축은 시트를 후방으로 적절히 편의시키도록 충분하고, 이어서 착석한 사용자에 대한 최적으로 편안한 지지를 제공하도록 직립 위치로 등받이 프레임(30)을 편의시킨다. 착석한 사용자가 경사질 때, 시트(24)는 전방으로 이동된다(도9a). 이는 스프링(28)을 압축하는 방식으로 L자형 토오크 부재 또는 벨 크랭크(54)를 지지점에서 피벗 부재(63) 상에서 구르도록 한다. 결과적으로, 스프링(28)은 경사에 대해 저항하는 힘을 증가시키고, 이러한 증가된 힘은 사용자가 경사짐에 따른 적절한 지지를 위해 필요하다. 특히, 스프링 다리(58)는 경사지는 동안 짧은 거리로 초승달 형상의 피벗 부재(63)를 따라 "이동"하여, 실제 피벗 위치는 경사지는 동안 약간 변화한다. 짧은 다리(58)와 피벗 부재(63)의 완만한 곡선 형상은 경사지는 동안 등받이에 대한 지지체 내에서 급격한 변화를 방지하지만, 이들 2개의 요소의 곡선 형상은 2가지 방식으로 스프링 압축에 영향을 준다는 것에 주목해야 한다. 피벗 부재(63) 상에서 짧은 다리(58)의 "이동"은 실제 피벗점[즉, 치형(60, 64)이 특정 지점에 제시간에 결합되는 위치]에 대한 모멘트 아암의 길이에 영향을 준다. 또한, 상기 "이동"은 "이동"이 발생함에 따라 스프링(28)이 길이 방향으로 압축되도록 할 수 있다. 그러나, 양호한 형태에서, 조절이 용이하게 달성되도록 해야 하는 이유로, 피벗 부재(63)의 조절 중 스프링(28)이 상당히 압축되지 않도록 시스템을 설계하였다. 압축되는 스프링(28)에 의해 조절이 발생한다면, 조절은 조절을 수행하도록 부수적인 노력을 필요로 할 것이고, 이는 본 발명의 의자 설계에 바람직하지 않다. The crescent-shaped pivot member 63 (FIG. 11) includes an arcuate rolling bearing surface that rolls into engagement with the curved surface of the steel strip 61 on the short leg 58 to define the movement support point. The pivot member 63 is also provided with a tooth 64 formed to engage with the teeth 60 on the short leg 58 to prevent any slippage between the rolling bearing face of the leg 58 and the boundary of the pivot member 63. It also includes tooth support. Pivot member 63 is attached to the side of housing 26 at notch 43. When the seat 24 is in the rear position (ie when the backrest is in the upright position, Fig. 9), the long legs 59 are positioned substantially parallel to the spring 28 and the short legs 58 are The spring is pivoted to compress to a relatively low size. In this position, compression of the spring 28 is sufficient to adequately bias the seat backwards, and then biases the back frame 30 to an upright position to provide optimally comfortable support for the seated user. When the seated user is inclined, the seat 24 is moved forward (Fig. 9A). This causes the L-shaped torque member or bell crank 54 to roll on the pivot member 63 at the support point in a manner that compresses the spring 28. As a result, the spring 28 increases the force that resists the inclination, which is necessary for proper support as the user inclines. In particular, the spring leg 58 "moves" along the crescent shaped pivot member 63 a short distance while being tilted so that the actual pivot position changes slightly during the tilting. The gentle curved shape of the short leg 58 and the pivot member 63 prevents abrupt changes in the support for the backrest while tilting, but the curved shape of these two elements affects the spring compression in two ways. It should be noted that The " movement " of the short legs 58 on the pivot member 63 affects the length of the moment arm relative to the actual pivot point (i.e., where the teeth 60, 64 are engaged in time at a particular point). Further, the "movement" may cause the spring 28 to be compress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s the "movement" occurs. However, in a good configuration, the system is designed so that the spring 28 is not significantly compressed during the adjustment of the pivot member 63 for reasons that adjustment should be easily achieved. If adjustment occurs by the spring 28 being compressed, adjustment will require additional effort to perform the adjustment, which is undesirable for the chair design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 설명될 것처럼, 피벗 부재(63)는 스프링(28)이 작동하는 동안 내내 토오크 아암을 변화시키도록 조절 가능하다. 도9b는 시트(24)가 후방 위치에 있는[그리고 등받이 프레임(30)이 직립 위치에 있는] 상태에서 고토오크 위치로 조절된 주 에너지 기구(27)를 도시한다. 도9c는 아직 고토오크 상태로 조절되어 있지만, 시트(24)가 전방 위치에 있는[그리고 등받이 프레임(30)이 직립 위치에 있는] 압축 상태에 있는 주 에너지 기구(27)를 도시한다. 특히, 도9b 및 도9c에서, 피벗 부재(63)는 스프링(28)이 작용하는 동안 내내 레버(58) 상에 긴 토오크 아암을 제공하도록 조절되었다. As will be explained below, the pivot member 63 is adjustable to change the torque arm throughout the spring 28 operation. 9B shows the main energy mechanism 27 adjusted to the high torque position with the seat 24 in the rear position (and the back frame 30 in the upright position). FIG. 9C shows the main energy mechanism 27 in the compressed state with the seat 24 in the forward position (and the back frame 30 in the upright position), while still in the high torque state. In particular, in FIGS. 9B and 9C, the pivot member 63 has been adjusted to provide a long torque arm on the lever 58 throughout the spring 28.

도9d는 경사 각도의 함수로서 스프링(28)에 의해 발생된 등받이 토오크를 도시하는 그래프이다. 그래프로부터 명확해지는 것처럼, 지지의 초기 힘은 (이하에 설명되는 것처럼) 조절에 의해 변화될 수 있다. 또한, 비틀림력의 변화율(즉, 기울기)은 초기 비틀림력이 높은 힘으로 조절됨에 따라 자동으로 변화하여, 낮은 초기 스프링 힘은 완만한 기울기를 나타내는 반면, 높은 초기 스프링력은 가파른 기울기를 나타낸다. 이는, 가벼운/작은 사람이 의자의 직립 위치에서 보다 적은 지지를 필요로 할뿐만 아니라, 경사지는 동안에도 보다 적은 지지를 필요로 하기 때문에 장점이 된다. 반대로, 무거운/큰 사람은 직립 위치와 경사 위치에 있을 때 보다 큰 지지를 필요로 한다. 특히, 높고 낮은 토오크 힘/변위 곡선의 요구되는 기울기는 짧은 다리(58)와 피벗 부재(63)의 형상을 변화시킴으로써 의자 내부에 설계될 수 있다.9D is a graph showing the back torque generated by the spring 28 as a function of the angle of inclination. As will be clear from the graph, the initial force of the support can be changed by adjustment (as described below). In addition, the rate of change of the torsional force (i.e., the slope) changes automatically as the initial torsional force is adjusted to a higher force, so that the lower initial spring force exhibits a gentle slope while the high initial spring force exhibits a steep slope. This is an advantage because the light / small person needs less support in the upright position of the chair, as well as less support while inclining. Conversely, heavy / large people require greater support when in the upright and inclined positions. In particular, the required slope of the high and low torque force / displacement curves can be designed inside the chair by changing the shape of the short legs 58 and pivot member 63.

초승달 형상의 피벗 부재(63, 도11)는 브래킷(65)에 의해 하우징(26) 상에 피벗 가능하게 지지된다. 브래킷(65)은 하우징(26)의 측부 내에서 노치(43)와 결합하도록 사이에 형성된 접합부를 구비한 튜브 부분(66) 및 소정 형상의 단부(67)를 포함한다. 소정 형상의 단부(67)는 피벗 부재(63)를 위한 회전 축(69)을 한정하는 개구를 구비한 한 쌍의 플랜지(68)를 포함한다. 피벗 부재(63)는 피벗 핀에 의해 플랜지(68)에 대해 피벗되고, 축(69) 주위로 회전 가능하다. 피벗 부재(63)를 회전시킴으로써, 치형(60, 64) 및 관련된 인터페이싱 표면들의 결합은 실제 피벗점을 L자형 토오크 부재 또는 벨 크랭크(54)를 따라 변화하도록 하는 방식으로 변화한다(도9와 도9b의 비교). 결과적으로, 스프링(28)의 단부로부터 실제 피벗점까지의 거리는 변화한다. 이는 스프링(28)이 작동하는 동안 토오크 아암의 짧아짐(또는 길어짐)을 야기하고, 이어서 힘/변위 곡선(도9d의 상부 및 하부 곡선 비교)의 상당한 변화를 야기한다. 모멘트 아암의 변화는 스프링(28)은 실질적으로 조절되는 동안 압축되지 않기 때문에 비교적 용이하게 달성될 수 있는데, 이는 피벗 부재(63) 상의 인터페이싱 표면이 이의 회전 축 주위의 일정한 반경을 한정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조절은 스프링(28)의 강도에 의해 역으로 영향받지 않는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조절은 스프링(28)이 작동하는 동안 모멘트 아암의 길이의 변화를 초래하기 때문에 스프링 곡선에 큰 영향을 미친다. The crescent-shaped pivot member 63 (FIG. 11) is pivotally supported on the housing 26 by the bracket 65. As shown in FIG. The bracket 65 includes a tube portion 66 with a joint formed therein to engage the notch 43 within the side of the housing 26 and an end 67 of predetermined shape. The end portion 67 of the predetermined shape includes a pair of flanges 68 with openings defining the axis of rotation 69 for the pivot member 63. Pivot member 63 is pivoted about flange 68 by a pivot pin and is rotatable about axis 69. By rotating the pivot member 63, the engagement of the teeth 60, 64 and associated interfacing surfaces changes in such a way that the actual pivot point changes along the L-shaped torque member or the bell crank 54 (Figures 9 and 9). Comparison of 9b). As a result, the distance from the end of the spring 28 to the actual pivot point changes. This causes shortening (or lengthening) of the torque arm while the spring 28 is in operation, followed by a significant change in the force / displacement curve (compare the upper and lower curves of FIG. 9D). The change in the moment arm can be achieved relatively easily because the spring 28 is not compressed while being substantially adjusted, since the interfacing surface on the pivot member 63 defines a constant radius around its axis of rotation. Thus, the adjustment is not adversely affected by the strength of the spring 28. Nevertheless, the adjustment has a great influence on the spring curve as the spring 28 causes a change in the length of the moment arm during operation.

피벗 부재(63)를 피벗하는 것은 축(69)으로부터 이격되어 있는 피벗 부재(63) 상에서 한 쌍의 개구가 형성된 플랜지(70, 도11)를 사용함으로써 달성된다. 조절 로드(71)는 소정 형상의 단부(67) 내부로 튜브 부분(66)을 통해 연장하고, 개구가 형성된 플랜지(70)에 대해 피벗된다. 로드(71)는 나사 형성된 대향 단부(72)를 포함한다. 길이가 긴 너트(73)는 로드 단부(72) 상에 나사 결합된다. 너트(73)는 튜브 부분(66)의 단부와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는 와셔(73')를 포함하고, 구동 링(76) 상에서 결합 가능한 삽통식 결합 리브(75) 형상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하는 리브 또는 슬롯을 갖는 소정 형상의 단부(74)를 추가로 포함한다. 핸들(77)은 튜브 부분(66) 상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고, 과토오크 클러치 링(78)에 의해 구동 링(76)에 작동 가능하게 연결된다. 클러치 링(78)은 구동 링(76) 상에서 마찰 치형(80)의 링과 작동 가능하게 결합하는 탄성 플랜지(79)를 포함한다. 핑거(79)는 의자(20)의 요소에 대한 손상을 방지하도록 예비 설정된 비틀림 부하에서 치형(80) 위로 마찰식으로 미끄러지도록 형성된다. 보유부(81)는 예비 설정된 힘의 크기로 구동 링(76)과 클러치 링(78)을 함께 보유하도록 너트(73)의 단부(74)와 스냅식으로 결합하는 탄성 다리(81')를 포함한다. 스페이서/와셔(82)는 회전을 위해 클러치 링(78)을 최상으로 지지하기 위한 베어링 링을 제공하도록 너트(73)의 단부 상에 놓인다. 단부 캡(83)은 조립체의 단부를 볼 수 있게 덮는다. 단부 캡(83)은 너트(73)의 단부 내에서 결합된 보유부(81)의 탄성 다리를 강제로 유지시키도록 보유부(81) 내부로 스냅 체결되는 중앙 돌출부(84)를 포함한다.Pivoting the pivot member 63 is accomplished by using a flange 70 (FIG. 11) in which a pair of openings are formed on the pivot member 63 spaced from the axis 69. As shown in FIG. The adjusting rod 71 extends through the tube portion 66 into the end 67 of the predetermined shape and pivots about the flange 70 with the opening formed. The rod 71 includes a threaded opposing end 72. The long nut 73 is screwed onto the rod end 72. The nut 73 includes a washer 73 ′ that rotatably engages the end of the tube portion 66 and extend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n the form of an insertable engagement rib 75 engageable on the drive ring 76. Or an end portion 74 of a predetermined shape having a slot. The handle 77 is rotatably mounted on the tube portion 66 and is operably connected to the drive ring 76 by an overtorque clutch ring 78. Clutch ring 78 includes an elastic flange 79 that operatively engages a ring of friction teeth 80 on drive ring 76. Fingers 79 are formed to frictionally slide over teeth 80 at a torsional load that is preset to prevent damage to the elements of chair 20. Retention portion 81 includes an elastic leg 81 ′ that snaps to an end 74 of nut 73 to hold drive ring 76 and clutch ring 78 together at a pre-set amount of force. do. Spacer / washer 82 rests on the end of nut 73 to provide a bearing ring for best supporting clutch ring 78 for rotation. End cap 83 covers the end of the assembly so that it can be seen. The end cap 83 includes a central protrusion 84 that snaps into the retainer 81 to forcibly retain the resilient legs of the retainer 81 engaged within the end of the nut 73.

사용 중, 조절은 튜브 부분(66) 상에서 핸들(77)을 회전시킴으로써 달성되고, 이는 [너트(73)의 회전을 위해 요구되는 힘이 너무 크지 않아 클러치 링(78)이 요소에 대한 손상을 방지하도록 구동 링(76) 상에서 활주된다면] 너트(73)가 클러치 링(78)과 구동 링에 의해 회전되도록 한다. 너트(73)가 회전할 때, 로드(71)는 하우징(26)으로부터 외측으로 당겨져(또는 내측으로 가압되어), 피벗 부재(63)를 회전시킨다. 피벗 부재(63)의 피벗은 피벗 부재(63)와 L자형 토오크 부재 또는 벨 크랭크(54)의 짧은 다리(58)의 결합 지점(즉, 지지점)을 변화시켜, 스프링(28)이 작용하는 동안 모멘트를 변화시킨다.In use, adjustment is achieved by rotating the handle 77 on the tube portion 66, which means that the force required for the rotation of the nut 73 is not too large to prevent the clutch ring 78 from damaging the element. So that the nut 73 is rotated by the clutch ring 78 and the drive ring. When the nut 73 rotates, the rod 71 is pulled outward (or pressed inward) from the housing 26 to rotate the pivot member 63. The pivot of the pivot member 63 changes the engagement point (ie, support point) of the pivot member 63 and the L-shaped torque member or the short leg 58 of the bell crank 54, so that the spring 28 is in operation. Change the moment.

등받이 정지 기구Backrest stop mechanism

등받이 정지 기구(36, 도8)는 위치(87)에서 하우징(26)에 대해 피벗되는 캠(86)을 포함한다. 캠(86)은 정지면 또는 단차부(88), 정지면(88)에 대응하는 멈춤 함몰부(89), 및 치형(90)을 포함한다. 단차부(88)는 시트(24)의 후방 이동을 제한함으로써 등받이 프레임(30)의 후방 회전을 제한하도록 시트 부착 브래킷(56)과 결합하도록 형성된다. 이는 착석한 사용자가 요구되는 최대 지점까지 경사의 크기를 제한하는 것을 허용한다. 판 스프링(91, 도10)은 제1 구멍을 통해 활주하고 하우징(26) 내의 제2 구멍 내부로 후크 결합되는 U자형 핑거(92)를 사용함으로써 하우징(26)에 부착된다. 판 스프링의 대향 단부는 멈춤 함몰부(89)와 활주 가능하게 결합하도록 형성된 U자형 굴곡부(93)를 포함한다. 함몰부(89)는, 특정 단차부(88)가 선택된 때 대응하는 함몰부(89)가 선택된 각도 위치에서 캠을 보유하도록 스프링(91)에 의해 결합되기 위해 단차부(88)에 대응한다. 특히, 단차부(88)[및 함몰부(89)]는 등받이 프레임(30)의 직립 위치 부근에서 의자 위치에 대응하는 영역 내에서 함께 근접한 각도로 위치되고, 보다 완전히 경사진 의자 위치에 대응하는 영역 내에서 보다 멀리 있는 각도로 위치된다. 이는 착석한 사용자가 직립 위치 부근에 있을 때 등받이 정지 위치의 최대 수로부터 선택할 수 있도록 한다. 착석한 사용자는 직립 위치 근방에 있을 때 함께 근접한 다중 등받이 정지 위치들을 원하기 쉽고, 완전히 경사진 의자 위치 부근의 등받이 정지 위치를 선택할 가능성이 적다는 것에 주목해야 한다. The back rest stop mechanism 36 (FIG. 8) includes a cam 86 pivoted relative to the housing 26 in position 87. As shown in FIG. The cam 86 includes a stop surface or step 88, a stop depression 89 corresponding to the stop surface 88, and a tooth 90. The stepped portion 88 is formed to engage the seat attachment bracket 56 to limit the rearward rotation of the back frame 30 by limiting the rearward movement of the seat 24. This allows the seated user to limit the size of the slope to the maximum point required. The leaf spring 91 (FIG. 10) is attached to the housing 26 by using a U-shaped finger 92 that slides through the first hole and hooks into the second hole in the housing 26. As shown in FIG. The opposite end of the leaf spring includes a U-shaped bend 93 formed to slidably engage the stop depression 89. The depression 89 corresponds to the step 88 so that when the particular step 88 is selected, the corresponding depression 89 is engaged by the spring 91 so as to retain the cam at the selected angular position. In particular, the stepped portion 88 (and the recessed portion 89) are located at near angles together in an area corresponding to the chair position in the vicinity of the upright position of the backrest frame 30, corresponding to a more fully inclined chair position. It is located at a farther angle within the area. This allows the seated user to select from the maximum number of back rest positions when in the vicinity of the upright position. It should be noted that the seated user is likely to want multiple backrest stop positions that are close together when in the vicinity of the upright position, and less likely to select the backrest stop position near the fully inclined chair position.

캠(86)은 피벗 레버(94), 링크(95), 및 회전 핸들(96)을 포함하는 제어부의 사용을 통해 회전하다. 피벗 레버(94)는 위치(97)에서 하우징에 대한 대체로 중간에서 피벗된다. 피벗 레버(94)의 일단부는 캠(86)의 치형(90)과 결합하는 치형(98)을 포함한다. 레버(94)의 타단부는 위치(97')에서 강성 링크(95)에 대해 피벗된다. 핸들(96)은 MAS 피벗 브래킷(65)의 튜브 부분(66) 상에서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본체(101)를 포함하고, 착석한 사용자를 쉽게 감싸도록 플리퍼(flipper, 99)를 추가로 포함한다. 돌출부(100)는 본체로부터 연장하고 링크(95)에 피벗 가능하게 부착된다. Cam 86 rotates through the use of a control that includes pivot lever 94, link 95, and rotation handle 96. Pivot lever 94 is pivoted about midway relative to the housing in position 97. One end of the pivot lever 94 includes a tooth 98 that engages with the tooth 90 of the cam 86. The other end of the lever 94 is pivoted relative to the rigid link 95 at position 97 '. The handle 96 includes a body 101 rotatably mounted on the tube portion 66 of the MAS pivot bracket 65 and further includes a flipper 99 to easily wrap the seated user. The protrusion 100 extends from the body and pivotally attaches to the link 95.

등받이 정지 기구(36)를 조절하도록, 핸들(96)은 회전되고, 이는 링크(95)와 레버(94)의 작동을 통해 캠(86)을 회전시킨다. 캠(86)은 선택된 단차부(87)가 한정된 등받이 정지점을 지나는 어떠한 추가의 경사도 방지하도록 시트 부착 브래킷(56)과 결합하기 위하여 요구되는 각도 위치로 회전된다. 시트(24)가 등받이 프레임(30)에 부착되기 때문에, 이는 등받이(22)의 경사를 제한한다.To adjust the back stop mechanism 36, the handle 96 is rotated, which rotates the cam 86 through the operation of the link 95 and the lever 94. The cam 86 is rotated to the angular position required to engage the seat attachment bracket 56 such that the selected step 87 prevents any further inclination past the defined backrest stop. Since the seat 24 is attached to the backrest frame 30, this limits the inclination of the backrest 22.

등받이 정지 캠(86)의 작동을 위해 변형된 제어부가 도11a에 도시되어 있다. 변형된 제어부는 회전식 피벗/활주 조인트(380)에 의해 핸들(96A)에 연결된 회전 가능 핸들(96A)과 피벗 레버(94A)를 포함한다. 레버(94A)는 캠(86)과 결합하는 치형(381)을 포함하고, 피벗부(97)에서 하우징(26)에 대해 피벗되고, 이들은 모두 레버(94)와 유사하다. 그러나, 변형된 제어부에서, 링크(95)는 제거되어 단일 조인 트(380)로 대체된다. 조인트(380)는 레버(94A)로부터 연장하는 볼(381, 도11b)을 포함한다. 스냅-온 "카"(snap-on "car") 또는 베어링(382)은 볼-소켓 조인트를 한정하도록 볼(381)과 피벗 가능하게 결합하기 위한 소켓(383)을 포함한다. 베어링(382)은 핸들(96A, 도11c) 상에서 반경 방향으로 연장하는 아암(386) 내의 슬롯(385)과 활주 가능하게 결합하는 외부면(384)을 포함한다. 조인트(380)는 제1 축 주위로의 핸들(96A)의 회전과 제1 축에 대해 비스듬한 제2 축 주위로의 레버(94A)의 회전을 초래하는 복합 이동에도 불구하고, 레버(94A)에 대해 핸들(96A)을 작동 가능하게 연결한다. 장점으로는, 변형된 제어부는 제어 하우징(26)의 부분적인 내측에 부품을 구비한 상태에서 작동 가능하게 상호 연결된 부품이 거의 없는 상태에서 제공되어, 부품들은 의자 옆에 서있는 사람의 시야에 실질적으로 보이지 않게 된다.A modified control for the operation of the backrest stop cam 86 is shown in Fig. 11A. The modified control includes a rotatable handle 96A and a pivot lever 94A connected to the handle 96A by a rotary pivot / slide joint 380. Lever 94A includes teeth 381 that engage cam 86 and are pivoted about housing 26 at pivot 97, all of which are similar to lever 94. However, in the modified control, the link 95 is removed and replaced with a single joint 380. Joint 380 includes balls 381 (FIG. 11B) extending from lever 94A. Snap-on "car" or bearing 382 includes a socket 383 for pivotally engaging ball 381 to define a ball-socket joint. The bearing 382 includes an outer surface 384 that slidably engages a slot 385 in the arm 386 extending radially on the handle 96A, FIG. 11C. The joint 380 is in contact with the lever 94A despite the combined movement resulting in the rotation of the handle 96A around the first axis and the rotation of the lever 94A around the second axis beveled about the first axis. Operatively connect the handle 96A. Advantageously, the deformed control is provided with parts inside the control housing 26, with little or no operatively interconnected parts, so that the parts are substantially in view of the person standing next to the chair. Invisible

등받이 구조Backrest structure

등받이 프레임(30) 및 등받이 셸(31)(도12)은, 특히 등받이(22)의 요추 영역 내에서 착석한 사용자의 등의 이동에 대해 특별히 편안하고 적합한 유연한 등받이 지지를 형성한다. 조립체에 대한 조절 특징은 보다 편안함을 제공하고, 경사 위치에서 직립 위치까지 사용자의 특정 요구와 선호에 부합하는 의자를 허용한다. The back frame 30 and the back shell 31 (FIG. 12) form a flexible back support that is particularly comfortable and suitable for the movement of the user's back seated, especially within the lumbar region of the back 22. The adjustment feature for the assembly provides more comfort and allows the chair to meet the user's specific needs and preferences from the inclined position to the upright position.

등받이 프레임(30, 도12a)은 곡선형으로 형성되어 의자(20)의 등받이 영역을 가로질러 아치형을 형성한다. 다양한 구조가 등받이 프레임(30)용으로 고려되고, 따라서, 본 발명은 특정한 하나의 형상만으로 부당하게 제한되어서는 않된다. 예를 들면, 등받이 프레임(30)은 전체적으로 금속, 플라스틱 또는 이들의 조합이 가 능하다. 또한, 이하에 설명된 내부 강성 보강체(102)는 튜브형, 앵글 철(angle iron), 또는 스탬핑일 수 있다. 도시된 등받이 프레임(30)은 고리형 또는 아치형 내부 금속 보강체(102)와 외부 성형 중합체 외피 또는 덮개(103)를 포함한다. [도시를 위해, 덮개(103)는 투명한 것처럼 도시되어 있어(도12a), 보강체(102)를 쉽게 볼 수 있다.] 금속 보강체(102)는 원형 단면 부분을 가진 (도12a에서 단지 절반만 도시된) 고리형 중간 로드 부분(104)을 포함한다. 보강체(102)는 중간 부분(104)의 단부 상에 용접되어 소정 형상의 단부/브래킷(105)을 포함한다. 하나 이상의 T자형 상부 피벗 커넥터(107)는 상부 부분 근처의 중간 부분에 부착된다. 특히, 단일 상부 커넥터(107)는 사용될 때 2개의 상부 커넥터보다 더욱 나란한 가요성을 허용하고, 이는 사용자가 이들의 상체를 자주 비틀고 의자에서 측부에 기대는 의자에 바람직할 것이다. 쌍의 이격된 상부 커넥터(107)는 강화된 배열을 제공한다. 각각의 커넥터(107, 도12b)는 중간 부분(104)에 용접된 스템(stem, 108)을 포함하고, 스템(108)을 통해 연장된 횡방향 로드 부분(109)을 포함한다. 로드 부분(109)은 외피 또는 셸(103)의 외부로 위치되고, 이하에 설명될 것처럼, 수평 축에 대해 회전하기 위해 등받이 셸 내의 결합 리세스와 피벗 가능하게 결합한다. 본 발명은 서로 다른 등받이 프레임 형상을 포함하는 것을 고려한다. 예를 들면, 등받이 프레임(30)의 역전된 U자형 중간 부분(104)은 벨트 브래킷(132)과 대체로 평행하고 인접한 횡방향 부재와 이로부터 상방으로 연장하는 수직 부재를 갖는 역전된 T자형 중간 부분으로 대체될 수 있다. 양호한 형태에서, 본 발명의 의자의 각각의 등받이 프레임은 삼각형 배열을 형성하는 피벗점들과 상부 연결부(107)를 한정하는 이 격된 하부 연결부 또는 개구(113)를 한정한다. 이러한 배열은 자세에 따라 가요성 있게 지지하고 의자 내에 있을 때 착석한 사용자의 상체의 비틀림 굴곡을 허용하도록 반강성 탄성 가요성 등받이 셸(31)과 조합되고 한다. 이와 다른 형태에서, 하부 연결부(113)는 의자의 등받이 대신에 시트 상에 형성할 수 있다. The back frame 30 (FIG. 12A) is curved to form an arc across the back region of the chair 20. FIG. Various structures are contemplated for the back frame 30, and 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unduly limited to only one particular shape. For example, the back frame 30 may be metal, plastic or a combination thereof as a whole. In addition, the internal rigid reinforcement 102 described below may be tubular, angle iron, or stamping. The illustrated backrest frame 30 includes an annular or arcuate inner metal reinforcement 102 and an outer molded polymer sheath or cover 103. [For illustration, the lid 103 is shown as transparent (FIG. 12A), so that the reinforcement 102 can be easily seen.] The metal reinforcement 102 has a circular cross section (only half in FIG. 12A). Only an annular intermediate rod portion 104). The reinforcement 102 is welded on the end of the intermediate portion 104 to include an end / bracket 105 of a predetermined shape. One or more T-shaped upper pivot connectors 107 are attached to the middle portion near the upper portion. In particular, the single top connector 107, when used, allows for more parallelism than the two top connectors, which would be desirable for a chair where the user frequently twists their upper body and leans to the side in the chair. The pair of spaced top connectors 107 provide a reinforced arrangement. Each connector 107 (FIG. 12B) includes a stem 108 welded to the intermediate portion 104 and includes a transverse rod portion 109 extending through the stem 108. The rod portion 109 is located out of the shell or shell 103 and pivotally engages with the engaging recess in the backrest shell to rotate about the horizontal axis, as will be described below. The present invention contemplates including different backrest frame shapes. For example, the inverted U-shaped intermediate portion 104 of the backrest frame 30 is an inverted T-shaped intermediate portion having a transverse member that is generally parallel and adjacent to the belt bracket 132 and extends upwardly therefrom. Can be replaced by In a preferred form, each back frame of the chair of the present invention defines a spaced bottom connection or opening 113 defining an upper connection 107 and pivot points forming a triangular arrangement. This arrangement is combined with the semi-rigid elastic backrest shell 31 to flexibly support the posture and allow torsional bending of the upper body of the seated user when in the chair. In another form, the lower connecting portion 113 may be formed on the seat instead of the back of the chair.

소정 형상의 단부(105)는 외부 셸(103)에 의해 덮일 수도 있고 덮이지 않을 수도 있는 내부면(105', 도13)을 포함한다. 도12a 및 도4a에 도시된 등받이 프레임(30)에서, 보강체(102)는 셸(103)에 의해 실질적으로 덮이지만, 포켓이 개구(111 내지 113)에서 소정 형상의 단부(105)의 내부면 상에 형성된다. 소정 형상의 단부(105)는 등받이 경사 축(23), 시트 경사 축(25) 및 등받이 셸(31)을 위한 하부 피벗 연결부를 각각 이어서 한정하는 돌출된 플랜지 형성 개구(111 내지 113)를 포함한다. 개구(111 및 112, 도13)는 각각 다중편 베어링(114, 115)을 수용하는 포켓을 한정하는 절두원추형 플랜지(116)를 포함한다. 베어링(114)은 내부 윤활 베어링 요소(118)와 플랜지(116)를 결합하는 외부 고무 부싱(bushing, 117)을 포함한다. 피벗 스터드(119)는 제1 베어링 요소(118)와 활주 가능하게 결합하는 제2 윤활 베어링 요소(120)를 포함한다. 스터드(119)는 외부 방향으로 베어링(114)을 통해 연장되고, 기부 프레임(26, 45 및 49)의 측부 아암(49) 상에 용접된 너트(51)에 나사 결합된다. 베어링 요소(118)는 스터드(119)의 과조임을 방지하도록 너트(51) 상에서 바닥에 닿는다. 스터드(119)의 헤드는 측부 아암(49)의 내부측으로부터 너트(51) 내부로 나사 결합되는 스터드를 허용함으로써 조립이 용이하도록 개구(111)를 통해 활주되도록 형성된다. 스터드(119)의 헤드는 요구된다면 측부 아암(49)에 대해 소정 형상의 단부(105)를 수동적으로 포획하도록 확대될 수 있다는 것에 주목해야 한다. 고무 부싱(117)을 포함하는 본 발명의 구성은 피벗부(23)가 굴곡되어 축(23)에 대해 완전하게 정렬되지 않은 회전을 보상하도록 하여서, 베어링 상의 응력을 감소시키고 스터드(119)가 축과 오정렬되는 등받이 프레임(30)과 측부 아암(49) 상과 같은 의자의 요소 상에서 응력을 감소시킨다. The shaped end 105 includes an inner surface 105 '(FIG. 13) that may or may not be covered by the outer shell 103. In the backrest frame 30 shown in Figs. 12A and 4A, the reinforcement 102 is substantially covered by the shell 103, but the pocket is inside the end portion 105 of the predetermined shape in the openings 111 to 113. It is formed on the face. The end portion 105 of the predetermined shape includes a protruding flange-forming opening 111-113 that subsequently defines a lower pivot connection for the backrest tilt axis 23, the seat tilt axis 25 and the backrest shell 31, respectively. . Openings 111 and 112 (FIG. 13) include truncated conical flanges 116 that define pockets for receiving multiple bearings 114 and 115, respectively. The bearing 114 includes an outer rubber bushing 117 that joins the inner lubricated bearing element 118 and the flange 116. The pivot stud 119 includes a second lubricated bearing element 120 slidably engages with the first bearing element 118. The stud 119 extends through the bearing 114 in the outward direction and is screwed into the nut 51 welded on the side arms 49 of the base frames 26, 45 and 49. The bearing element 118 touches the bottom on the nut 51 to prevent overtightening of the stud 119. The head of the stud 119 is formed to slide through the opening 111 to facilitate assembly by allowing studs to be screwed into the nut 51 from the inside of the side arm 49. It should be noted that the head of the stud 119 can be enlarged to passively capture the end 105 of the predetermined shape with respect to the side arm 49 if desired. The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ing the rubber bushing 117 allows the pivot 23 to bend to compensate for rotations that are not completely aligned with respect to the axis 23, thereby reducing the stress on the bearing and the stud 119 to the shaft. Stress is reduced on elements of the chair such as on the backrest frame 30 and the side arms 49 which are misaligned with each other.

하부 시트-등받이 프레임 베어링(115)은, 베어링(115)이 고무 부싱(121)과 윤활 베어링 요소(122)를 포함한다는 점에서 베어링(114)과 유사하지만, 절두원추형 면이 내측으로 향한다는 것에 주목해야 한다. 용접된 스터드(123)는 시트 캐리어(124)로부터 연장하고, 베어링 요소(122)와 회전 및 활주 가능하게 결합하기 위한 윤활 베어링 요소(125)를 포함한다. 도시된 배열에서, 소정 형상의 단부(105)는 기부 프레임(26, 45 및 49)의 측부 아암과 시트 캐리어(124) 사이에 포획되어, 베어링(114, 115)은 소정 형상의 단부(105)에 대해 수동적으로 보유되는 것이 필요하지 않다는 것에 주목해야 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수동적인 베어링 배열은 스터드(119)의 헤드를 확대함으로써 그리고 용접된 스터드(123)의 제위치에 있는 유사한 헤드 스터드를 사용함으로써 피벗부(112) 상에 용이하게 구성될 수 있다. The lower seat-back frame bearing 115 is similar to the bearing 114 in that the bearing 115 includes a rubber bushing 121 and a lubricating bearing element 122, but with the frustoconical face facing inward. It should be noted. The welded stud 123 extends from the seat carrier 124 and includes a lubricated bearing element 125 for rotationally and slidably engaging with the bearing element 122. In the arrangement shown, the shaped end 105 is captured between the side arms of the base frames 26, 45, and 49 and the seat carrier 124 such that the bearings 114, 115 have a shaped end 105. It should be noted that it is not necessary to be retained manually for. Nevertheless, the passive bearing arrangement can be easily configured on pivot 112 by expanding the head of stud 119 and by using a similar head stud in place of welded stud 123.

등받이 프레임(30)의 소정 형상의 단부의 제2 형상이 도13a에 도시되어 있다. 유사한 요소가 동일한 도면 부호에 의해 표시되어 있고, 변형된 요소는 문자"A"가 부가된 상태로 동일한 도면 부호로 표시되어 있다. 변형된 단부(105A)에서, 피벗부(111A, 112A)의 절두원추형 면은 피벗부(111, 112)로부터 대향하는 방향으로 향한다. [등받이 프레임(30) 상에서 시트 캐리어(124)를 피벗 가능하게 지 지하는 용접된 스터드(123A)를 포함하는] 피벗부(112A)는 외부 단부 내의 나사 형성 축방향 구멍을 포함한다. 보유 나사(300)는 피벗 조립체를 함께 확실하게 보유하도록 나사 형성 구멍 내부로 연장된다. 특히, 나사(300) 상의 와셔(301)는 피벗 스터드(123A) 상에서 내부 베어링 요소(122)를 장착하는 베어링 슬리브(125)를 결합하여 확실하게 보유한다. 포켓 내부와 베어링 외부 슬리브(121) 상의 테이퍼는 함께 베어링(115A)을 함께 확실하게 보유한다. 기부 프레임의 측부 아암(50) 상에서 등받이 프레임(30)을 피벗 가능하게 지지하는 상부 피벗부(111A)는, 피벗부(111A)가 대향하는 내부 방향으로 향하는 경우를 제외하고는, 하부 피벗부(112)와 대체로 동일하다. 특히, 상부 피벗부(111A)에서, 스터드(119A)는 측부 아암(50) 상에 용접된다. 베어링은 기부 프레임(30) 내에 한정된 베어링 포켓 내의 스터드(119A) 상에 작동 가능하게 장착되고, 다른 와셔가 형성된 나사(300)로 제위치에서 보유된다. 조립을 위하여, 등받이 프레임(30)은 베어링(115)을 결합하도록 이격되어 굴곡되어 있고, 소정 형상의 단부(105A)는 비틀어져 탄성적으로 굴곡되어 있으며, 그 후에 이들이 휴지 위치로 탄성 복원되도록 해제된다. 이러한 배열은 체결구 없이 고정되고 용이하게 완성되는 신속한 조립 과정을 제공한다.The second shape of the end of the predetermined shape of the backrest frame 30 is shown in Fig. 13A. Similar elements are denoted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nd modified elements are denoted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with the letter "A" added thereto. At the deformed end 105A, the frustoconical faces of the pivots 111A, 112A are directed in opposite directions from the pivots 111, 112. Pivot portion 112A (including welded studs 123A that pivotally supports seat carrier 124 on backrest frame 30) includes threaded axial holes in the outer end. Retention screw 300 extends into the threaded hole to securely hold the pivot assembly together. In particular, the washer 301 on the screw 300 engages and securely retains the bearing sleeve 125 mounting the inner bearing element 122 on the pivot stud 123A. The taper on the inside of the pocket and on the bearing outer sleeve 121 reliably holds the bearing 115A together. The upper pivot 111A pivotably supporting the backrest frame 30 on the side arm 50 of the base frame is the lower pivot (except in the case where the pivot 111A faces in the opposite inward direction). Generally the same as 112). In particular, in the upper pivot 111A, the stud 119A is welded on the side arm 50. The bearing is operably mounted on studs 119A in a bearing pocket defined within base frame 30 and held in place with screws 300 having other washers formed therein. For assembly, the back frame 30 is spaced apart and bent to engage the bearing 115, the end portion 105A of the predetermined shape is twisted and elastically bent, after which they are released to elastically return to the rest position. . This arrangement provides a fast assembly process that is secured and easily completed without fasteners.

도12, 도15 및 도16에 도시된 본 발명의 등받이 셸 시스템(및 도12d 내지 도12i에 도시된 등받이 시스템)은 사용자의 등에 호응하여 작동하도록 유연하게 설계된다. 본 명세서에 사용된 "유연한(compliant)"이란 단어는 가요성(도12d 및 도12e)과 동등함을 제공하는 요추 영역(도12 및 도12f 내지 도12i 참조) 또는 등받이 구조에서 본 발명의 등받이의 가요성을 언급하고자 하는 것이고, "호응하여(sympathetically)"란 단어는 등받이가 의자 등받이(22)가 경사지고 착석한 사용자가 그들의 하부 등을 휠 때 착석한 사용자의 등을 자세적으로 지지하고 착석한 사용자의 등과 밀접하게 조화되어 이동하는 것을 의미하고자 하는 것이다. 등받이 셸(31)은 흉부 부위, 요추 부위 및 골반 부위를 갖는 인간의 등과 같은 3개의 부위를 갖는다.The backrest shell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Figs. 12, 15 and 16 (and the backrest system shown in Figs. 12D-12I) is flexibly designed to operate in response to the user's back. The word "compliant" as used herein refers to the backres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lumbar region (see FIGS. 12 and 12F-12I) or back structure, which provides equivalence with flexibility (FIGS. 12D and 12E). The term "sympathetically" means that the backrest supports the seated user's back in detail when the chair back 22 is tilted and the seated user swivels their lower back. It means to move in close harmony with the seated user's back. The back shell 31 has three parts, such as a human's back having a thoracic region, a lumbar region and a pelvic region.

인간의 등의 영역인 흉부 "흉곽"은 비교적 강성이다. 이러한 이유로, 착석한 사용자의 비교적 강성인 흉부(흉곽) 영역(252)을 지지하는 비교적 강성인 상부 셸 부분(도12)이 제공된다. 이는 사용자의 상체의 무게를 지지한다. 상부 피벗 축은 양호한 압력 분포를 위해 사람의 등의 무게의 균형을 맞추면서, 사용자의 평균 무게 중심의 바로 뒤편에 중요한 위치에 위치된다.The thoracic "thorax", the region of the human back, is relatively rigid. For this reason, a relatively rigid upper shell portion (Figure 12) is provided that supports the relatively rigid chest (thoracic) region 252 of the seated user. This supports the weight of the user's upper body. The upper pivot axis is located in an important position just behind the user's average center of gravity, balancing the weight of the person's back for good pressure distribution.

인간의 등의 요추 영역(251)은 더욱 가요성을 갖는다. 이러한 이유로, 등받이 셸(31)의 셸 요추 영역은 많은 수평 "횡단(cross) 스트랩"(125'')에 의해 연결된 측부 모서리(도15)들에서 2개의 곡선 수직 작용 힌지(126)를 포함한다. 이들 스트랩(125'')들은 스트랩이 독립적으로 이동하도록 허용하는 폭방향 슬롯(125')에 의해 분리된다. 슬롯(125')은 응력 집중을 감소시키도록 반경 방향 단부 또는 눈물방울 형상의 단부를 가질 수 있다. 이러한 셸 영역은 편안함을 위해 형성되고, 인간의 요추 부위를 자세적으로 지지한다. 2개의 측부 스트랩(125'')은 휠 수 있고, 측부간의 곡률 반경을 상당히 변화시킬 수 있다. 셸 영역은 사용자의 자세가 변화함에 따라 곡률을 자동적으로 변화시키지만, 비교적 일정한 지지의 수준을 유지한다. 이는 사용자가 피곤한 근육 또는 서로 다른 척추 디스크 부분의 응력을 완화시키면서 임시로 이동하면서 작업 중 사용자의 등을 의식적으로(또는 의식하지 않고) 굴곡되게 하는 것을 허용한다. 이러한 빈번한 이동은 척추를 통해 영양분을 공급하여 보다 건강에 도움을 주는 "이송"을 제공한다. 특정 사용자가 셸(31)에 대해 기댈 때, 사용자는 다양한 요추 "횡단 스트랩" 상에 독특한 상대적인 압력을 가한다. 이는 작용 힌지를 독특한 경로로 굴곡되도록 하고, 사용자의 독특한 등 형상과 부합되도록 가압한다. 이는 등받이의 대부분의 영역에 걸쳐 안락함을 증가시키고 "고압 지점"을 감소시키는 보다 균일한 지지를 제공한다. 횡단 스트랩은 사용자의 측부간의 형상을 더욱 양호하게 부합시키도록 굴곡되게 할 수 있다. 인간 척추의 중립축은 등받이의 내측에 양호하게 위치된다. 따라서, "측부 스트랩"은 셸의 굴곡 구조를 사람의 등의 굴곡과 유사하게 도와주면서, (척추 중립 축에 밀접하게) 요추 영역의 중앙 부분의 전방에 위치된다. The lumbar region 251 of the human back is more flexible. For this reason, the shell lumbar region of the backrest shell 31 includes two curved vertical action hinges 126 at the side edges (Fig. 15) connected by many horizontal "cross straps" 125 ''. . These straps 125 '' are separated by a widthwise slot 125 'that allows the strap to move independently. Slot 125 'may have a radial end or a teardrop-shaped end to reduce stress concentration. This shell region is formed for comfort and supports the human lumbar region in detail. The two side straps 125 ″ can bend and can significantly change the radius of curvature between the sides. The shell area automatically changes the curvature as the user's posture changes, but maintains a relatively constant level of support. This allows the user to consciously (or unconsciously) flex the back of the user while working temporarily while relieving the stress of tired muscles or different spinal disc portions. This frequent movement provides nutrients through the spine, providing "transportation" to help healthier. When a particular user leans against the shell 31, the user exerts a unique relative pressure on the various lumbar “cross straps”. This allows the working hinge to bend in a unique path and press to conform to the user's unique back shape. This provides more uniform support that increases comfort and reduces the "high pressure point" over most areas of the backrest. The transverse straps can be bent to better match the shape between the sides of the user. The neutral axis of the human spine is well positioned inside the backrest. Thus, the "side straps" are located in front of the central portion of the lumbar region (close to the spinal neutral axis), helping the flexure structure of the shell to resemble the flexion of the human back.

골반 영역(250)은 오히려 인간보다 굴곡되지 않는다. 따라서, 셸(31)의 최하부 부분은 굴곡되지 않는 인간 골반을 자세적/결합 가능하게 지지하도록 오히려 굴곡되지 않는다. 사용자가 척추를 후방으로 휠 때, 사용자의 골반은 사용자의 등의 신장시 고관절과 피부에 대해 자동으로 피벗된다. 하부 셸/등받이 프레임은 인간 고관절의 약간 후방이지만 근처의 요지에 위치된다. 이러한 근접함은 셸 골반 영역이 사용자의 골반에 호응하여 회전하는 것을 허용한다. 그러나, 약간 후방에 위치함으로써, 셸의 요추 영역은 보다 양호하게 호응하여 굴곡되기에 충분하도록 사용자의 등의 피부보다 다소 덜 신장되지만(슬롯의 확장), 직물을 신장시키거나 직물에 주름을 생성할 만큼 크지 않다. Pelvic region 250 is rather curved than human. Thus, the lowermost part of the shell 31 is not rather curved to support the posture of the human pelvis which is not flexed in a posture / combinable manner. When the user spins the spine backwards, the user's pelvis is automatically pivoted against the hips and skin upon stretching the user's back. The lower shell / back frame is located slightly rearward of the human hip but at a nearby point. This proximity allows the shell pelvic area to rotate in response to the user's pelvis. However, by being slightly rearward, the lumbar region of the shell is stretched slightly less than the skin of the user's back (enlarging of the slots) to be sufficient to be more responsive and bend, but not to stretch the fabric or create wrinkles in the fabric. Not as big as             

특히, 본 발명의 등받이 셸 구조물(31, 도4a)은 위에 위치한 상부 및 하부 쿠션을 갖는 상태로(도4a 참조), 폴리프로필렌과 같은 중합체 재료로부터 제조된 탄성 가요성 성형 쉬트(sheet)를 포함한다. 등받이 셸(31, 도16)은 의자(20)의 대체로 요추 영역 내에 위치된 하부 절반부 내에서 복수개의 수평 슬롯(125')을 포함한다. 슬롯(125')은 등받이 셸(31)을 실질적으로 가로질러 연장하지만, 재료(126)의 탄성 수직 밴드(126)는 각각의 모서리를 따라 형성되도록 측부로부터 이격된 위치에서 종료한다. 재료의 밴드 또는 측부 스트랩(126)은 자연적으로 전방으로 볼록한 형상을 형성하지만, 이들이 착석한 사용자에 대한 최적 요추 지지와 형상을 제공하도록 가요성을 갖는다. 밴드(126)는 등받이 셸이 유연한 방식으로 측부간에 수직으로 사용자 등의 형상에 대해 부합하도록 형성을 변화시키는 것을 허용한다. 리지(ridge, 127)는 셸(31)의 외주연을 따라 연장한다. 한 쌍의 이격된 리세스(128)는 후방 표면 상에서 등받이 셸(31)의 상부 흉부 영역으로 형성된다. 리세스(128, 도14a 및 도14b)들은 등받이 프레임(30) 상에 상부 커넥터(32)의 스템(108)을 수용하도록 폭을 갖는 리세스의 좁은 부분(129)과 상부 커넥터(32)의 횡방향 로드 부분(109)을 수용하도록 형성된 폭을 갖는 리세스(128)의 넓은 부분(130)을 구비한 T자형 입구를 각각 포함한다. 리세스(128)들은 스템(108)이 폭이 좁은 부분(129) 내부로 활주될 때 T자형 상부 커넥터(107)의 로드 부분(109)을 인접한 폭이 좁은 부분(129)을 형성하는 대향하는 플랜지(131)가 피벗 가능하게 포획하도록 등받이 셸(31) 내부로 상방으로 연장한다. 리세스(128) 내의 리지(132)는 상부 커넥터를 마찰식으로 확실하게 보유하고, 등받이 셸(31)을 등받 이 프레임(30)에 고정하지만, 등받이 셸(31)이 수평 축 주위에 대해 피벗되는 것을 허용한다. 이는 등받이 셸(31)이 바람직하지 않게 제한되지 않고 최적 요추 지지를 위해 굴곡되는 것을 허용한다. In particular, the backrest shell structure 31 (FIG. 4A)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n elastically flexible molded sheet made from a polymer material such as polypropylene, with the upper and lower cushions positioned thereon (see FIG. 4A). do. The back shell 31 (FIG. 16) includes a plurality of horizontal slots 125 'in the lower half located in a generally lumbar region of the chair 20. FIG. Slot 125 ′ extends substantially across backrest shell 31, but the elastic vertical band 126 of material 126 terminates at a position spaced from the side to form along each edge. The band or side straps 126 of material naturally form forward convex shapes, but are flexible to provide optimal lumbar support and shape for the seated user. The band 126 allows the back shell to vary in shape to conform to the shape of the user's back, perpendicular to the sides in a flexible manner. The ridge 127 extends along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shell 31. A pair of spaced recesses 128 are formed on the posterior surface of the upper chest region of the backrest shell 31. Recesses 128, 14A and 14B are formed in the narrow portion 129 of the upper connector 32 and the narrow portion 129 of the recess having a width to receive the stem 108 of the upper connector 32 on the back frame 30. Each comprising a T-shaped inlet with a wide portion 130 of a recess 128 having a width formed to receive the transverse rod portion 109. The recesses 128 oppose the rod portion 109 of the T-shaped upper connector 107 to form an adjacent narrow portion 129 when the stem 108 slides into the narrow portion 129. The flange 131 extends upwardly into the backrest shell 31 to pivotally capture. Ridge 132 in recess 128 securely holds the upper connector frictionally and secures the backrest shell 31 to the backrest frame 30, but the backrest shell 31 pivots about the horizontal axis. Allow it to be. This allows the backrest shell 31 to be undesirably restricted and to bend for optimal lumbar support.

벨트 브래킷(132, 도16)은 등받이 셸(31)의 하부 모서리의 형상과 부합하고 등받이 셸(31)의 하부 모서리 내부로 성형된 길이가 긴 중앙 스트립 또는 스트랩(133)을 포함한다. 스트립(133)은 등받이 셸의 일체형 부분으로 될 수 있고, 또는 나사, 체결구, 접착제, 마찰 탭, 삽입성형 기술, 또는 종래 기술에서 공지된 어떠한 방식의 부착 기술을 사용하여 등받이 셸(31)에 부착될 수 있다. 스트립(133)은 스트립(133)의 단부로부터 전방으로 연장하고 개구(135)를 포함하는 측부 아암/플랜지(134)를 포함한다. 비틀림 조절 요추 기구(34)는 플랜지(134)와 결합하고, 등받이 셸(31)을 위치(113, 도4a)에서 등받이 프레임에 피벗 가능하게 부착한다. 비틀림 조절 요추 스프링 기구(34)는 조절 가능하고, 등받이 셸(31)을 착석한 사용자를 위한 최적 요추 지지를 제공하도록 전방 돌출 형상으로 편의시킨다. 비틀림 조절 요추 스프링 기구(34)는 착석한 사용자에 대한 높은 조절성과 편안한 등의 지지를 제공하도록 등받이 셸(31)의 탄성 가요성 및 수직 조절 가능한 요추 지지(35)의 형상 변화 능력과 협동한다. Belt bracket 132 (FIG. 16) includes a long central strip or strap 133 that conforms to the shape of the bottom edge of backrest shell 31 and is molded into the bottom edge of backrest shell 31. As shown in FIG. The strip 133 may be an integral part of the back shell, or may be attached to the back shell 31 using screws, fasteners, adhesives, friction tabs, insert molding techniques, or any type of attachment technique known in the art. Can be attached. The strip 133 includes a side arm / flange 134 extending forward from the end of the strip 133 and including an opening 135. Torsion control lumbar spine mechanism 34 engages flange 134 and pivotally attaches backrest shell 31 to backrest frame at position 113 (FIG. 4A). The torsionally adjustable lumbar spring mechanism 34 is adjustable and biases the backrest shell 31 into a forward protruding shape to provide optimal lumbar support for the seated user. The torsionally adjustable lumbar spring mechanism 34 cooperates with the elastic flexibility of the backrest shell 31 and the shape change capability of the vertically adjustable lumbar support 35 to provide high flexibility and comfortable back support for the seated user.

피벗 위치(113)는 좌골의 후방에서 시트(24) 약간 위에서 최적으로 선택된다(도12 참조). 최적으로는, 스트립(133)에 대한 피벗 위치(113)로부터 전방/후방 거리는 착석한 사용자의 하부 등이 착석한 사용자의 고관절에 대해 굴곡되는 동안 이동하는 방식으로 하부 등받이(250)가 매우 유사하고 적합하게 이동하도 록 착석한 사용자의 고관절/축으로부터 하부 척추/꼬리뼈 영역까지의 거리와 대략 동일하다. 전방으로 연장하는 측부 플랜지(133)의 길이와 조합되는 위치(113)는 등받이 셸(31)이 이에 따른 적합한 방식으로 굴곡되게 한다. 등받이 셸 구조물(31)의 골반 지지 영역(250)은 착석한 사용자가 그들의 등이 굴곡되고 등받이 셸 구조물(31)에 대해 사용자의 등의 하부 부분을 가압할 때, 사용자의 척추와 신체 이동에 부합하도록 선택된 경로를 따라 후방 및 하방으로 적합하게 이동한다. 요추 지지 영역(251)은 전방으로 오목한 형상으로부터 보다 평평한 형상을 향해 동시에 굴곡된다. 흉부 지지 영역(252)은 상부 커넥터(107)에 대해 회전하지만, 상당한 크기로 굴곡되지는 않는다. 골반 및 흉부 지지 영역(250, 252)의 전체 각도 회전은 종래 기술의 동기 경사식 의자보다 매우 크고, 이는 상당히 증가된 지지를 제공한다. 특히, 등받이 셸 구조물(31)은 또한 목표에 닿기 위해 상체를 비트는 사용자에 대한 양호한 자세 지지를 제공하도록 수평면 내에서 굴곡된다. 특히, 등받이 프레임(30)은 직립 위치에 있을 때 수직으로부터 약 5° 후방 각도로 향하고, 완전히 경사진 위치에 있을 때 수직으로부터 약 30°의 후방 각도로 회전한다. 동시에, 시트 경사 축(25)은 등받이 프레임(30)이 직립 위치에 있을 때 등받이 경사 축(23)으로부터 하부 수평으로 약 60°의 각도로 후방에 있고, 등받이 프레임(30)이 완전히 경사진 위치에 있을 때 등받이 경사 축(23)의 거의 수직 하부로 피벗된다. The pivot position 113 is optimally selected slightly above the seat 24 at the rear of the sciatic arm (see Figure 12). Optimally, the front / rear distance from the pivot position 113 relative to the strip 133 is very similar in that the lower back 250 is moved in such a way that the lower back of the seated user moves while flexing against the hip joint of the seated user. It is approximately equal to the distance from the hip / axis of the user seated to move appropriately from the lower spine / tail region. The position 113 combined with the length of the side flange 133 extending forward causes the backrest shell 31 to bend accordingly in a suitable manner. The pelvic support area 250 of the back shell structure 31 corresponds to the user's spine and body movement when the seated user flexes their back and presses the lower part of the user's back against the back shell structure 31. Suitably to move backwards and downwards along the path selected. Lumbar support region 251 is simultaneously bent from a concave forward shape to a flatter shape. Chest support region 252 rotates with respect to upper connector 107 but does not flex to a significant size. The overall angular rotation of the pelvic and chest support regions 250, 252 is much larger than the synchronous tilting chairs of the prior art, which provide significantly increased support. In particular, the back shell structure 31 is also curved in the horizontal plane to provide good postural support for the user twisting the upper body to reach the target. In particular, the backrest frame 30 faces at an angle of about 5 ° from the vertical when in the upright position and rotates at a rear angle of about 30 ° from the vertical when in the fully inclined position. At the same time, the seat inclination shaft 25 is rearward at an angle of about 60 ° horizontally downward from the back inclination axis 23 when the backrest frame 30 is in an upright position, and the backrest frame 30 is inclined completely. Is pivoted to a nearly vertical bottom of the back tilting axis 23 when in position.

등받이 구조물(31a 내지 31f)(각각, 도12d 내지 12i)은 등받이 셸 구조물(31)에 대한 많은 태양과 유사한 호응형 등받이 지지를 제공하도록 된 부가 적인 구조물이다. 등받이 구조물(31)과 비슷하게, 본 발명은 하부 연결부에서 시트 또는 기부 프레임에 등받이 구조물(31A 내지 31F)을 부착하는 것을 포함하고자 한다. 특히, 도시된 구조물(31A 내지 31F)은 착석한 사용자의 흉부, 요추, 및 골반 영역에 맞춘 특정 지지를 제공하도록 등받이 프레임(30)과 조합되어 사용된다. 각각의 등받이 구조물(31A 내지 31F)은 상부 및 하부 피벗 연결부(107, 113)에서 피벗되고, 특정 위치의 레버 피벗 축(113)에 대해 굴곡되도록 측부 아암(134)을 각각 포함한다. The backrest structures 31a-31f (FIGS. 12D-12I, respectively) are additional structures adapted to provide many aspects of a compatible backrest support for the backrest shell structure 31. Similar to the back structure 31, the present invention is intended to include attaching the back structure 31A to 31F to the seat or base frame at the lower connection. In particular, the illustrated structures 31A-31F are used in combination with the back frame 30 to provide specific support tailored to the thoracic, lumbar and pelvic regions of the seated user. Each back structure 31A-31F pivots at the upper and lower pivot connections 107, 113, and includes side arms 134 to be bent relative to the lever pivot axis 113 at a particular position.

등받이 구조물(31A, 도12d)은 상부 피벗 연결부(107)에서 피벗되는 완충 상부 등받이 지지체(255)를 포함하고, 측부 플랜지(134)를 포함하는 벨트 브래킷(132)에 의해 하부 위치(113)에서 피벗되는 완충 하부 등받이 지지체(256)를 추가로 포함한다. 상부 및 하부 등받이 지지체(255, 256)는 피벗/활주 연결부(257)에 의해 결합된다. 피벗/활주 연결부(257)는 한 쌍의 플랜지(258)에 의해 형성된 하부 포켓과, 포켓 내에서 활주 및 피벗되는 상부 플랜지(259)를 포함한다. 비틀림 요추 지지 스프링 기구(34)는 하부 피벗 위치(113)에 부착되고, 요구된다면, 상부 및 하부 등받이 지지체(255, 256)를 전방으로 편의시키도록 연결부(107)에도 부착된다. 상기 조합은 전술된 등받이 셸 구조물(31)과 유사하게, 실제로 어떠한 사용자의 등의 형상과도 부합되도록 선택된 사용자의 등과 이동하는 호응형 등받이 지지체를 제공한다. The backrest structure 31A (FIG. 12D) includes a cushioning upper back support 255 pivoted at the upper pivot connection 107 and is in its lower position 113 by a belt bracket 132 including a side flange 134. It further includes a cushioning lower back support 256 that is pivoted. Upper and lower back support 255, 256 are joined by pivot / slide connections 257. Pivot / slide connection 257 includes a lower pocket defined by a pair of flanges 258 and an upper flange 259 that slides and pivots within the pocket. A torsional lumbar support spring mechanism 34 is attached to the lower pivot position 113 and, if desired, also attached to the connection 107 to bias the upper and lower back support 255, 256 forward. The combination provides a compatible backrest support that moves with the user's back selected to match the shape of any user's back, similar to the backrest shell structure 31 described above.

등받이 구조물(31B, 도12e)은 상부 연결부(107)에서 피벗되는 상부 등받이 지지체(261), 벨트 브래킷 측부 플랜지(134) 상의 하부 연결부(113)에서 피벗되는 하부 등받이 지지체(262), 및 이들 사이에 작동 가능하게 연결된 중간 등받이 지지체(262)를 포함한다. 중간 등받이 지지체(262)는 피벗부(263)에서 하부 등받이 지지체(262)에 대해 피벗되고, 피벗/활주 조인트(264)에서 상부 등받이 지지체(261)에 대해 활주 가능하게 피벗된다. 피벗/활주 조인트(264)는 포켓을 한정하는 상부 플랜지(265), 포켓 내에서 피벗 및 활주되는 단부를 갖는 다른 플랜지(266)에 의해 형성된다. 스프링은 전방으로 오목한 형상으로 등받이 구조물(260)을 편의시키도록 하나 이상의 조인트(107, 113 및 264)에 위치된다.The backrest structure 31B (Fig. 12E) includes an upper back support 261 pivoted at the upper connection 107, a lower back support 262 pivoted at the lower connection 113 on the belt bracket side flange 134, and between them. And an intermediate back support 262 operatively connected to it. The intermediate back support 262 is pivoted relative to the lower back support 262 at the pivot 263 and slidably pivots relative to the upper back support 261 at the pivot / slide joint 264. Pivot / slide joint 264 is formed by an upper flange 265 defining a pocket, another flange 266 having ends pivoted and slid within the pocket. The spring is positioned in one or more joints 107, 113, and 264 to bias the back structure 260 in a forwardly concave shape.

등받이 구조물(31C, 도12f)은 횡방향 요추 슬릿을 갖는 쉬트형 가요성 셸을 포함한다는 점에서, 등받이 셸 구조물(31)과 유사하다. 셸은 상부 및 하부 연결부(107, 113)에서 등받이 프레임(30)에 대해 피벗된다. 등받이 구조(31C)의 셸은 하부 피벗부(113)와 상부 피벗부(107)에서 비틀림 스프링 기구(34)에 의해, 셸의 요추 영역에서 곡선 판 스프링(271)에 의해, 셸을 등받이 프레임(30)의 중간 부분의 전방으로 멀리 가압하는 스프링(272)에 의해, 및/또는 벨트 브래킷 측부 플랜지(134) 상의 후방 피벗부 상에서 상부 연결부(107)로부터 연장하는 수직 스프링(273)에 의해 전방으로 볼록한 형상으로 편의된다.The backrest structure 31C (FIG. 12F) is similar to the backrest shell structure 31 in that it includes a sheet-like flexible shell with transverse lumbar slit. The shell is pivoted against the backrest frame 30 at the upper and lower connections 107, 113. The shell of the backrest structure 31C is supported by the torsion spring mechanism 34 at the lower pivot 113 and the upper pivot 107, by the curved leaf spring 271 at the lumbar region of the shell, Forward by a spring 272 that pushes away forward of the middle portion of 30 and / or by a vertical spring 273 that extends from the upper connection 107 on the rear pivot on the belt bracket side flange 134. It is convenient in convex shape.

등받이 구조물(31D, 도12g)은 등받이 프레임(30)의 대향 측부들 사이에서 간격을 갖고, 등받이 구조물(270) 내에서 스프링(272)과 매우 유사하게 등받이 셸(277)의 전방으로 요추 영역을 편의시키는 횡방향 판 스프링(276)을 포함한다. 등받이 구조물(31E, 도12h)은 등받이 구조물(270) 내의 스프링(271)과 매우 유사하게 등받이 셸(280)의 요추 영역을 전방으로 편의시키는 등받이 셸(280) 내에 끼워 진 수직 판 스프링(279)을 포함한다. 특히, 등받이 구조물(278)은 단일 상부 피벗 연결부(107)만을 포함한다. 등받이 구조물(31F, 도12i)은 등받이 프레임(30)의 상부에, 그리고 등받이 셸(283)의 하부에서 벨트 브래킷(132)에 연결된 수직 스프링(282)을 포함한다. 등받이 셸(283)이 전방으로 볼록하기 때문에, 스프링(282)은 더욱 볼록한 형상으로 셸(283)을 편의시키고, 따라서 부가적인 요추 지지를 제공한다[도12f의 등받이 구조물(31C) 상의 스프링(273)과 비교].The backrest structure 31D (Fig. 12G) has a gap between the opposite sides of the backrest frame 30, and in the backrest structure 270 the lumbar region forward of the backrest shell 277, very similar to the spring 272. A transverse leaf spring 276 is provided for convenience. The backrest structure 31E (FIG. 12H) is a vertical leaf spring 279 fitted within the backrest shell 280 that biases the lumbar region of the backrest shell 280 forward, much like the spring 271 in the backrest structure 270. It includes. In particular, the back structure 278 includes only a single upper pivot connection 107. The backrest structure 31F (Fig. 12I) includes a vertical spring 282 connected to the belt bracket 132 at the top of the backrest frame 30 and at the bottom of the backrest shell 283. Because the backrest shell 283 is convex forward, the spring 282 biases the shell 283 into a more convex shape and thus provides additional lumbar support (spring 273 on backrest structure 31C of FIG. 12F). )).

비틀림 요추 스프링 기구(34, 도12j)는 많은 다른 구조로 설계될 수 있지만, 등받이 프레임(30)과 등받이 셸(31) 사이에서 작동 가능하게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고려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배열은 장력 조절을 제공하도록 핸들과 마찰 래치를 갖는 장력 조절 장치를 포함한다. 스프링은 등받이 셸(31)이 착석한 사용자에 대한 요추 지지를 위해 최적으로 적합한 전방 볼록 형상을 한정하도록 벨트 브래킷(132)을 전방으로 회전 가능하게 편의시킨다. 서로 다른 래치 위치로 핸들을 회전시킴으로써, 스프링의 장력은 최적 전방 요추 힘을 제공하도록 조절된다. 착석한 사용자가 등받이 셸(31)의 요추 영역에 대해 가압할 때, 등받이 셸(31)은 착석한 사용자의 척추와 신체를 반영하여 적합하게 이동하여 굴곡된다. 셸(31) 내의 재료(126)의 밴드의 힘은 이들의 자연적인 곡선 형상을 향한 비교적 일정한 힘을 제공하지만, 비틀림 요추 지지 스프링 기구(34)와 조합된 때, 이들은 사용자가 요추 영역에 대해 기댐에 따라 요추 지지를 위한 조절이 용이한 편의력을 제공한다. 등받이 벨트 또는 등받이 셸 굴곡 영역을 편의시키는 고정된 비조절성 스프링이 직접 사용될 수 있고, 또는 설치 중에만 조절될 수 있는 조절 가능한 스프링이 사용될 수 있다는 것에 주목해야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조절 가능한 장치는 착석한 사용자의 각종 요구에 부합하도록 최적의 조절을 허용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다양한 양호한 등의 자세를 취할 수 있다.The torsional lumbar spring mechanism 34 (FIG. 12J) may be designed in many different configurations, but it is contemplated to include at least one spring operably connected between the backrest frame 30 and the backrest shell 31. Optionally, the arrangement includes a tension adjustment device having a handle and a friction latch to provide tension adjustment. The springs rotatably bias the belt bracket 132 forward to define a front convex shape that is optimally suitable for lumbar support for the seated user with the back shell 31. By rotating the handle to different latch positions, the tension of the spring is adjusted to provide the optimum front lumbar force. When the seated user presses against the lumbar region of the backrest shell 31, the backrest shell 31 suitably moves and flexes to reflect the seated user's spine and body. The forces of the bands of the material 126 in the shell 31 provide a relatively constant force towards their natural curvilinear shape, but when combined with the torsional lumbar support spring mechanism 34, they cause the user to lean against the lumbar region. According to the lumbar support provides an easy to adjust convenience. It should be noted that a fixed, non-adjustable spring may be used directly to facilitate the backrest belt or the backshell flexion zone, or an adjustable spring may be used that can only be adjusted during installation. However, the adjustable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allows for optimal adjustment to meet the various needs of the seated user. Thus, the user can take various good postures.

본 발명의 비틀림 요추 지지 스프링 기구(34, 도12j)에서, 벨트 브래킷(132)은 벨트 브래킷 측부 플랜지(134) 내의 구멍(291)을 통해 등받이 프레임(30)으로부터 내부로 연장하는 스터드(290)에 의해 등받이 프레임(30)에 대해 피벗된다. 부싱(292)은 원활한 회전을 위해 제공되도록 스터드(290)와 결합하고, 보유부(293)는 구멍(291) 내에 스터드(290)를 보유한다. 기부(294)는 기부 프레임(30)에 나사(294')에 의해 나사 결합되거나 용접되고, 일단부 상에 태양 기어(296)와 돌출 팁(297)을 갖는 돌출부(295)를 포함한다. 허브(298)는 돌출부(295)를 수용하기 위한 슬리브형 보스(300)를 구비한 판(299)을 포함한다. 보스(300)는 나선형 스프링(303)의 내부 단부(302)를 수용하기 위한 슬롯(301)을 갖는다. 스프링(303)의 본체는 돌출부(295) 주위를 감싸고, 후크형 외부 단부(304) 내에서 종료한다. 허브(298)는 대향하는 보스(300) 방향으로 판(299)으로부터 연장하는 한 쌍의 축 스터드(305)를 갖는다. 한 쌍의 파이형 유성 기어(306)가 피벗 구멍(307)에서 축 스터드(305)에 대해 피벗된다. 복수개의 치형(308)은 유성 기어(306) 상에서 피벗 구멍(307)에 대해 아치형으로 위치되고, 구동 핀(309)은 아치의 일단부에 위치된다. 컵형 핸들(310)은 기어(306), 허브(298), 스프링(303) 및 기부(294)를 덮도록 형성된다. 핸들(310)은 기부(294)의 돌출 팁(297)과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는 중앙 구멍(312)을 갖는 평평 단부 패널(311)을 포함한다. 한 쌍의 대향 나선형 리세스 또는 채널(313)이 단부 패널(311) 내에 형성된다. 리세스(313)는 내부 단부(314), 외부 단부(315) 및 단부(314, 315)들 사이에 형성된 복수개의 멈춤쇠 또는 스캘럽(316)을 갖는 길이가 긴 부분을 포함한다. 리세스(313)들은 구동 핀(309)을 결합 가능하게 수용한다. 후크형 외부 단부(304)는 벨트 브래킷(132) 상에서 핑거(317)와 결합하고, 상기 핑거(317)는 등받이 프레임(30)의 소정 형상의 단부(105) 내의 아치형 슬롯(318)을 통해 연장한다. In the torsional lumbar support spring mechanism 34 (FIG. 12J)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belt bracket 132 extends inwardly from the backrest frame 30 through a hole 291 in the belt bracket side flange 134. Is pivoted relative to the back frame 30. Bushing 292 engages stud 290 to provide for smooth rotation, and retention portion 293 retains stud 290 in hole 291. Base 294 is screwed or welded to base frame 30 by screws 294 'and includes a protrusion 295 having a sun gear 296 and a protruding tip 297 on one end. The hub 298 includes a plate 299 with a sleeved boss 300 for receiving the protrusion 295. The boss 300 has a slot 301 for receiving the inner end 302 of the helical spring 303. The body of spring 303 wraps around protrusion 295 and terminates within hooked outer end 304. The hub 298 has a pair of axial studs 305 extending from the plate 299 in the direction of the opposing boss 300. A pair of piezoelectric planetary gears 306 are pivoted about the axial stud 305 in the pivot hole 307. The plurality of teeth 308 are arcuately positioned relative to the pivot hole 307 on the planetary gear 306 and the drive pin 309 is located at one end of the arch. Cup-shaped handle 310 is formed to cover gear 306, hub 298, spring 303, and base 294. The handle 310 includes a flat end panel 311 having a central hole 312 that rotatably engages with the protruding tip 297 of the base 294. A pair of opposing helical recesses or channels 313 are formed in the end panel 311. The recess 313 includes an elongate portion having an inner end 314, an outer end 315, and a plurality of detents or scallops 316 formed between the ends 314, 315. The recesses 313 releasably receive the drive pin 309. The hooked outer end 304 engages a finger 317 on the belt bracket 132, which extends through an arcuate slot 318 in the end portion 105 of the predetermined shape of the backrest frame 30. do.

핸들(310)은 비틀림 요추 지지 스프링 기구(34)를 작동하도록 회전된다. 이는 리세스(313)들이 유성 기어(306) 상에서 구동 핀(309)과 결합하도록 한다. 유성 기어(306)는 태양 기어(296)와 연동되어, 유성 기어(306)는 구동 핀(309)이 내측으로(또는 외측으로) 가압되고 유성 기어(306)가 각각의 피벗부/축(305) 상에서 회전하도록 가압될 때 태양 기어(296)에 대해 회전한다. 이어서, 유성 기어(306)가 회전될 때, 이들은 허브(298)를 회전하도록 가압한다. 나선형 스프링(303)과 허브(298)의 연결에 의해, 나선형 스프링(303)은 팽팽하게 권취된다(또는 권취되지 않음). 따라서, 벨트 브래킷(132) 상의 스프링(303)의 장력은 조절 가능하게 변화한다. 멈춤쇠(316)는 요구되는 장력 상태에서 스프링(303)을 유지하도록 충분한 마찰 저항을 갖는 상태로 구동 핀(309)과 결합한다. 상기 배열에 의해, 나선형 스프링(303)의 권취 각도는 핸들(310)의 회전 각도보다 크다. The handle 310 is rotated to actuate the torsional lumbar support spring mechanism 34. This allows the recesses 313 to engage with the drive pin 309 on the planetary gear 306. The planetary gear 306 is interlocked with the sun gear 296 such that the planetary gear 306 is urged with the drive pin 309 inward (or outward) and the planetary gear 306 with each pivot / axis 305. Rotate with respect to sun gear 296 when pressurized to rotate. Then, when the planetary gear 306 is rotated, they pressurize the hub 298 to rotate. By the connection of the helical spring 303 and the hub 298, the helical spring 303 is wound tightly (or not wound). Thus, the tension of the spring 303 on the belt bracket 132 changes adjustable. The detent 316 engages the drive pin 309 with a sufficient frictional resistance to keep the spring 303 in the required tension. By this arrangement, the winding angle of the helical spring 303 is greater than the rotation angle of the handle 310.

변형된 비틀림 요추 지지 스프링 기구(34A, 도12k)에서, 기부 브래킷(244A)은 등받이 프레임(30)의 소정 형상의 단부(105A)에 부착된다. 레버(306A)와 구동기(298A)는 핸들(310A)이 회전될 때, 나선형 스프링(303A)을 권취시키도록 기부 브 래킷(244A) 상에 작동 가능하게 장착된다. 특히, 기부 브래킷(244A)은 벨트 브래킷(132) 내의 구멍(291)과 피벗 가능하게 결합하는 피벗 핀(290)을 포함한다. 제2 핀(317)은 소정 형상의 단부(105A) 내에서 아치형 슬롯(318)을 통해 연장하고, 슬롯(318)은 일정한 반경에서 피벗 핀(290) 주위로 연장한다. 2개의 핀(360, 361)은 기부 브래킷(244A)으로부터 피벗 핀(290)에 대향하여 연장한다. 구동기(298A)는 중앙 핀(360)과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기 위해 구멍(363)을 갖는 개구가 소정 형상의 단부(362)를 포함한다. 단부(362)는 나선형 스프링(303A)의 내부 단부(365)와 결합하기 위한 내부의 슬롯을 갖는 외부면(364)을 포함한다. 외부 단부(365)는 벨트 브래킷(132) 상에서 핀(317)과 확고하게 결합하도록 후크 형상이다. 핑거형 스터드(366)는 구동기(298A)의 외부 단부(367)로부터 측방향으로 연장한다.In the deformed torsional lumbar support spring mechanism 34A (Fig. 12K), the base bracket 244A is attached to an end portion 105A of the predetermined shape of the backrest frame 30. The lever 306A and the driver 298A are operably mounted on the base bracket 244A to wind up the helical spring 303A when the handle 310A is rotated. In particular, base bracket 244A includes pivot pin 290 that pivotally engages a hole 291 in belt bracket 132. The second pin 317 extends through the arcuate slot 318 in the end portion 105A of the predetermined shape, and the slot 318 extends around the pivot pin 290 at a constant radius. The two pins 360, 361 extend opposite the pivot pin 290 from the base bracket 244A. The driver 298A has an opening 362 with an opening having a hole 363 to rotatably engage the central pin 360. End 362 includes an outer surface 364 having an internal slot for engaging the inner end 365 of helical spring 303A. The outer end 365 is hook shaped to securely engage the pin 317 on the belt bracket 132. Finger-shaped stud 366 extends laterally from outer end 367 of driver 298A.

레버(306A)는 핀(361)과 피벗 가능하게 결합하기 위한 구멍(368)을 갖는 본체와, 구멍(368) 주위로 아치형으로 연장하는 슬롯(369)을 포함한다. 핀(370)은 컵형 핸들(310A)의 내부면 상에서 나선형 캠 슬롯(313A)과 결합하기 위해 레버(306A)로부터 연장한다. 레버(306A) 상의 치형(371)은 구동기(298A) 상의 스터드(366)와 결합하도록 위치된다. 핸들(310A) 상의 구멍(372)은 기부 브래킷(244A) 상에서 피벗 핀(360)과 회전 가능하게 결합한다. Lever 306A includes a body having a hole 368 for pivotally engaging the pin 361 and a slot 369 extending arcuately around the hole 368. Pin 370 extends from lever 306A to engage helical cam slot 313A on the inner surface of cup-shaped handle 310A. Teeth 371 on lever 306A are positioned to engage studs 366 on driver 298A. A hole 372 on the handle 310A rotatably engages the pivot pin 360 on the base bracket 244A.

핸들(310A)은 저장력 위치(도12l 및 도12l1)와 고장력 위치(도12m 및 도12m1) 사이에서 회전 가능하다. 특히, 핸들(310A)이 회전될 때, 핀(370)은 구멍(368)과 피벗 핀(361) 주위에서 레버(306A)를 회전시키는 슬롯(313A) 위에 놓인다. 레버(306A)가 회전될 때, 치형(371)은 핀(360) 주위로 구동기(298A)를 회전 시키도록 핀(366)과 결합한다. 구동기(298A)의 회전은 스프링(303A)의 내부 단부(365)를 회전시켜, 스프링(303A)을 귄취시킨다(또는 권취 해제시킨다). 구동기(298A), 레버(360A) 및 핸들(310A)의 배열은 약 4 : 1의 기계적인 장점을 제공하여, 나선형 스프링(303A)을 핸들(310A) 상에서 요구되는 조절력의 크기를 갖는 상태로 조절 가능하게 권취시킨다. 도시된 바와 같이, 핸들(310A)의 약 330°회전은 약 80°의 스프링 장력 조절 권취를 발생시킨다. The handle 310A is rotatable between the storage force position (FIGS. 12L and 12L1) and the high tension position (FIGS. 12M and 12M1). In particular, when handle 310A is rotated, pin 370 rests on slot 313A, which rotates lever 306A around hole 368 and pivot pin 361. When lever 306A is rotated, teeth 371 engage pin 366 to rotate driver 298A around pin 360. Rotation of the driver 298A rotates the inner end 365 of the spring 303A, causing the spring 303A to swing (or unwind). The arrangement of the driver 298A, the lever 360A, and the handle 310A provides a mechanical advantage of about 4: 1, adjusting the helical spring 303A to the amount of adjustment force required on the handle 310A. Wind it up as much as possible. As shown, about 330 [deg.] Rotation of the handle 310A results in a spring tension adjustment winding of about 80 [deg.].

선택적으로, 최대의 조절성을 위해, 수직 조절 가능 요추 시스템(35, 도16)이 대체로 평평하고 전방면 상에서 수개의 후크형 탭(151)을 포함하는 측부 프레임(150, 도19)을 포함하여 제공된다. 스프링강과 같은 가요성 재료의 오목한 요추 지지 쉬트(152, 도16)가 쉬트(152)의 상부 및 하부 모서리를 따라 탄성 판 스프링형 핑거(153)를 형성하는 복수개의 수직 슬롯을 포함한다. (선택적인) 높이 조절 가능 등받이 지지 쉬트(152)는, 정상 등받이 지지 압력을 갖는 상태로 이의 하부에서 등받이 셸의 형상과 부합할 때까지 편향시킬 수 있는, 기본적으로는 반경 방향 쉬트 스프링이다. 이렇게 함으로써, 등받이를 가로질러 높은 힘의 밴드를 제공한다. 이는 사용자의 등의 굴곡 형상과 무관하게, 사용자에게 높이 조절 가능한 지역적인 등받이 지지를 제공한다. 따라서, 특정한 강성 등받이 자세로 사용자를 가압하지 않고, 전통적인 요추 높이 조절의 이점을 제공한다. 또한, 등받이의 직물 또는 내부 재료는 항상 잘 정리되어 유지되어, 주름이 제거된다. 신장된 직물은 또한 주름을 제거하도록 사용될 수 있다. Optionally, for maximum control, the vertically adjustable lumbar spine system 35 (FIG. 16) includes a side frame 150 (FIG. 19) that is generally flat and includes several hooked tabs 151 on the front face. Is provided. Concave lumbar support sheet 152 (FIG. 16) of a flexible material, such as spring steel, includes a plurality of vertical slots forming elastic plate spring-like fingers 153 along upper and lower edges of sheet 152. The (optional) height adjustable backrest support sheet 152 is basically a radial sheet spring, which can deflect until it conforms to the shape of the backrest shell at the bottom thereof with normal backrest support pressure. This provides a high force band across the backrest. This provides the user with a height adjustable local back support, regardless of the user's back flexure. This provides the advantage of traditional lumbar height adjustment without forcing the user to a specific rigid back posture. In addition, the fabric or inner material of the backrest is always kept well organized to eliminate wrinkles. Elongated fabrics can also be used to remove wrinkles.

사용자는 또한 사용자 자신의 독특한 등의 형상에 대해 등받이 셸 형상에 완 전히 적합해야 하는 제2 이유를 위해 상기 장치를 사용할 수도 있다. 특히, 하부 요추/골반 영역에서, 인간은 등의 형상을 환상적으로 변화시킬 수 잇다. 보다 극단적인 형상을 갖는 사용자는 그들의 등이 셸과 고정식으로 접촉하지 않는 영역 내부로 장치를 활주시킴으로써 이점을 얻을 수 있다. 장치는 상기 영역에서 양호한 지지를 제공하고 정확하게 "간극을 메우기" 위한 형상을 효과적으로 변화시킬 것이다. 어떠한 다른 공지의 요추 높이 조절기도 이하에 설명될 방식을 갖지는 않는다.The user may also use the device for a second reason that the user's own unique back shape should be fully adapted to the back shell shape. In particular, in the lower lumbar / pelvic region, a human can fantastically change the shape of the back. A user with a more extreme shape may benefit from sliding the device into an area where their back is not in fixed contact with the shell. The device will provide good support in this area and effectively change the shape to accurately "fill the gap". No other known lumbar height adjuster has the manner described below.

핑거(153) 상의 4개의 팁(154)은 활주 프레임(150)에 대해 쉬트(152)를 보유하도록 후크형 탭(151)과 고정식으로 결합하도록 된 보유 탭을 형성한다. 핑거(153)의 나머지 팁(155)은 활주 프레임(150)과 활주 가능하게 결합하고 활주 프레임(150)으로부터 멀리 전방으로 오목한 쉬트의 중앙 부분(156)을 보유한다. 활주 프레임(150)은 등받이 셸(31, 도16) 상에서 수직으로 조절될 수 있고, 등받이 셸(31)과 등받이 쿠션 사이에서 등받이 셸(31) 상에 위치된다. 이와 다르게, 활주 프레임(150)은 등받이 쿠션과 등받이(22)들 덮는 내부 재료의 하부 사이에서, 또는 등받이(22)를 덮는 내부 재료 쉬트의 외측에서 등받이(22)의 전방면에서도 위치될 수 있다. 활주를 수직으로 조절함으로써, 상기 배열은 착석한 사용자가 등받이 셸(31) 상의 요추 영역의 형상을 조절하도록 하고, 따라서 높은 정도의 편안함을 제공한다. 측방향으로 연장하는 안내부(157, 도19)는 활주 프레임(150)의 각각의 단부에 형성된다. 안내부(157)는 내측으로 대면하는 홈을 형성하는 대향 플랜지(158)를 포함한다. 성형된 핸들(159, 도20)은 각각 안내부(157, 도17 및 도18) 를 삽통식으로 결합하도록 형성된 다리(160)를 포함한다. 핸들(159)은 등받이 셸(31)의 모서리를 따라 모서리 리지(127)를 따라 활주하고 스냅식으로 결합하도록 형성된 C형 립(160)을 추가로 포함한다. 다른 수단이, 등받이 셸을 따라 트랙 성형되지만 등받이 셸의 모서리의 내측을 따라 코드 등의 등받이 셸(31) 상의 활주 프레임(150)의 수직 이동을 안내하기 위해 제공될 수 있다는 것을 고려한다. 핸들(159)의 길이가 긴 평평 단부 부분(161)은 성형된 핸들(159)로부터 측방향 외측으로 연장한다. 특히, 단부 부분(161)은 립(160)의 외부로 인접한 위치(161')에서 비교적 얇기 때문에, 핸들(159)은 쿠션과 내부 재료 쉬트가 등받이 셸(31)에 부착된 때, 등받이(22)의 측부 모서리를 따라 비교적 얇은 슬롯을 통해 연장될 수 있다. The four tips 154 on the finger 153 form a retaining tab adapted to securely engage the hooked tab 151 to retain the sheet 152 relative to the slide frame 150. The remaining tip 155 of the finger 153 slidably engages the slide frame 150 and holds a central portion 156 of the sheet recessed forward away from the slide frame 150. The slide frame 150 can be adjusted vertically on the backrest shell 31 (FIG. 16) and is located on the backrest shell 31 between the backrest shell 31 and the backrest cushion. Alternatively, the slide frame 150 may also be located between the backrest cushion and the lower part of the inner material covering the backrests 22 or on the front face of the backrest 22 outside the inner material sheet covering the backrest 22. . By adjusting the slide vertically, the arrangement allows the seated user to adjust the shape of the lumbar region on the backrest shell 31, thus providing a high degree of comfort. Laterally extending guides 157 (FIG. 19) are formed at each end of the slide frame 150. As shown in FIG. Guide portion 157 includes opposing flange 158 forming a groove facing inwardly. Shaped handles 159 (FIG. 20) include legs 160 formed to insertably engage guides 157, 17 and 18, respectively. The handle 159 further includes a C-shaped lip 160 configured to slide along the edge ridge 127 along the edge of the backrest shell 31 and snap-fit. It is contemplated that other means may be provided for guiding the vertical movement of the slide frame 150 on the back shell 31, such as a cord, along the inside of the edge of the back shell while track forming along the back shell. The long flat end portion 161 of the handle 159 extends laterally outward from the shaped handle 159. In particular, because the end portion 161 is relatively thin at the outwardly adjacent position 161 ′ of the lip 160, the handle 159 is a backrest 22 when the cushion and the inner material sheet are attached to the backrest shell 31. Along the side edges of the shell).

도12의 도시된 등받이(22)는 등받이(22)의 전방을 덮기 위한 내부 재료 쉬트(402)의 하부 모서리에 대한 위치에서 재봉된 신장된 직물을 합체하는 신규한 구조를 포함한다. 신장된 직물(400)은 폴리프로필렌 또는 폴리에틸렌과 같은 구조 플라스틱의 돌출부(403) 내의 노치(406) 내부로 추가로 재봉된다. 돌출부(403)는 스냅 체결 부착, 후크형 부착, 리벳, 나사, 다른 기계식 체결구 또는 다른 고정 부착 수단 등의 고정 수단에 의해 등받이 셸(31)의 하부 부분(404)에 부착된다. 등받이(22)의 폼 쿠션(405)과 수직 조절 가능한 요추 지지 장치(35)는 쉬트(402)와 등받이 셸(31) 사이에 위치된다. 신장된 직물은 적어도 90% 이상의 복원율을 갖는 상태로, 적어도 약 100%의 신장율을 갖는다는 것을 고려한다. 신장된 직물(400)과 쉬트(402)는 인장된 상태에서 등받이(22) 상에서 재봉되어, 쉬트(402)는 평면 상태를 향해 요추 영역(251)의 큰 굴곡에도 불구하고 주름지지 않는다. 신장된 직물(400)은 잘 않보이는 위치에 있지만, 요구된다면 의자의 색깔에 맞출 수 있다. 덮개(402)는 등받이(22)의 후방뿐만 아니라 전방도 덮도록 연장한다는 것을 주목해야 한다.The illustrated backrest 22 of FIG. 12 includes a novel structure incorporating the sewn stretched fabric in position relative to the lower edge of the inner material sheet 402 to cover the front of the backrest 22. The stretched fabric 400 is further sewn into the notch 406 in the protrusion 403 of structural plastic such as polypropylene or polyethylene. The protrusion 403 is attached to the lower portion 404 of the backrest shell 31 by fastening means such as snap fastening attachment, hooked attachment, rivets, screws, other mechanical fasteners or other fastening attachment means. The foam cushion 405 of the backrest 22 and the vertically adjustable lumbar support device 35 are positioned between the sheet 402 and the backrest shell 31. It is contemplated that the stretched fabric has a recovery rate of at least about 100%, with a recovery rate of at least 90% or more. The stretched fabric 400 and the sheet 402 are sewn on the backrest 22 in the tensioned state so that the sheet 402 does not wrinkle despite the large curvature of the lumbar region 251 towards the planar state. The stretched fabric 400 is in an invisible position, but can be matched to the color of the chair if desired. It should be noted that the cover 402 extends to cover the front as well as the rear of the backrest 22.

주 시트 이동, 시트 하부 구조물/지지 프레임 및 베어링 배열Main seat movement, seat substructure / support frame and bearing arrangement

시트(24, 도4b)는 시트 전방 활주부(162) 및 시트 캐리어(124)를 포함하는 하부 구조물에 의해 지지된다. 시트 깊이 조절이 요구되는 경우, 수동식 깊이 조절 가능 시트 프레임(163)이 시트 캐리어(124) 상에 활주 가능하게 위치된다(도4b 및 도21 내지 도30 참조). 시트 깊이 조절이 요구되지 않는 경우, 시트 프레임(163)과 시트 후방 캐리어(124)의 요소들은 프레임 부재(163')에 의해 도29에 도시된 바와 같은 단일 요소로 합체될 수 있다. 시트 셸(164, 도4b)은 시트 캐리어(124) 상에 위치된 둔부 지지 후방 부분(165)을 포함한다. 둔부 지지 후방 부분(165)은 착석한 사용자의 무게의 대부분을 지지하고, 이러한 점에서 시트와 어느 정도 유사하게 작용한다. 시트 셸(164)은 시트 프레임(163)의 전방으로 연장하는 대퇴부 지지 전방 부분(166)을 추가로 포함한다. 전방 부분(166)은 착석한 사용자의 고관절의 약간 전방으로 그리고 하부에 중요한 위치에 위치된 탄성 부분(167)에 의해 후방 부분(165)에 연결된다. 탄성 부분(167)은 내부에 복수개의 횡방향 슬롯을 갖는다. 슬롯(168)은 시트 셸(164)을 가로질러 비교적 짧게 엇갈려 있지만, 시트 셸의 모서리로부터 이격되어, 시트 셸(164)의 모서리에서 재료(169)의 밴드가 휴지 상태 및 중단되지 않은 상태로 남아 있다. 밴드(169)는 전방 및 후방 부분(166, 165)을 함께 확고하게 연결하고, 평면 상태를 향해 이들을 편의시킨다. 시트 쿠션(170)은 시트 프레임(163) 상에 위치되고, 내부 재료 쉬트 및/또는 접합제 등에 의해 제 위치에 유지된다.The seat 24 (FIG. 4B) is supported by an undercarriage comprising a seat front slide 162 and a seat carrier 124. As shown in FIG. If seat depth adjustment is desired, a manual depth adjustable seat frame 163 is slidably positioned on the seat carrier 124 (see FIGS. 4B and 21-30). If seat depth adjustment is not required, the elements of the seat frame 163 and the seat rear carrier 124 may be incorporated into a single element as shown in FIG. 29 by the frame member 163 ′. The seat shell 164 (FIG. 4B) includes a buttock supporting rear portion 165 located on the seat carrier 124. The buttock supporting rear portion 165 supports most of the weight of the seated user, and in this respect acts somewhat similar to the seat. The seat shell 164 further includes a thigh support front portion 166 extending forward of the seat frame 163. The front portion 166 is connected to the rear portion 165 by an elastic portion 167 located at a position slightly forward and below the hip joint of the seated user. The elastic portion 167 has a plurality of transverse slots therein. Slot 168 staggers relatively short across seat shell 164, but is spaced from the edge of the seat shell so that the band of material 169 remains idle and uninterrupted at the edge of seat shell 164. have. Band 169 firmly connects front and rear portions 166, 165 together and biases them toward a planar state. The seat cushion 170 is positioned on the seat frame 163 and held in place by an inner material sheet and / or a binder or the like.

활주부(162, 도4b)는 하방 및 내측으로 연장하는 C자형 측부 플랜지(172)를 구비한 상부 패널(171)을 포함한다. 선형 윤활 캡(173)은 하우징(26)의 각각의 측벽 상부에 부착되고, 결합 베어링(174)은 윤활 캡(173)과 활주 가능하게 결합하도록 C자형 측부 플랜지(172)의 내측에 부착된다. 이러한 방식에서, 활주부(162)는 전후방 활주 이동을 위해 하우징(26) 상에서 포획된다. 시트 부착 브래킷(56)은 상부 패널(171)의 하부에 부착되고, 등받이 정지 기구(36)와 작동하도록 위치된다. 축(174')은 상부 패널(171) 정점에 부착되고, 활주부(162)로부터 측방향으로 연장하는 단부(175)를 포함한다.Slide 162 (FIG. 4B) includes top panel 171 with C-shaped side flanges 172 extending downward and inward. A linear lubrication cap 173 is attached to the top of each sidewall of the housing 26, and a coupling bearing 174 is attached to the inside of the C-shaped side flange 172 to slidably engage the lubrication cap 173. In this manner, the slide 162 is captured on the housing 26 for forward and backward slide movement. The seat attachment bracket 56 is attached to the bottom of the upper panel 171 and is positioned to operate with the backrest stop mechanism 36. Axle 174 ′ is attached to apex of top panel 171 and includes an end 175 extending laterally from slide 162.

시트 캐리어(124, 도4b)는 평면도로 보면 T자형이다. 시트 캐리어(124)는 쉬트 금속으로부터 T자형으로 스탬핑 가공되고, 비교적 넓은 후방 부분(176)과 좁은 전방 부분(177)을 포함한다. 길이가 긴 양각부(178, 179, 및 180) 등의 양각부는 요소를 강화하도록 측부 하향 플랜지(181)와 측부 상향 플랜지(182)와 함께 부분(176, 177)을 형성한다. 2개의 이격된 정지 탭(183)과 일련의 래치 개구(184)는 이하에 설명될 이유로 전방 부분(177) 내에 형성된다. 용접된 스터드(123)는 측부 상향 플랜지(182)에 부착되고 측방향으로 연장한다. 전술된 바와 같이, 스터드(123)는 상기 위치에서 시트 경사 축을 한정한다.The sheet carrier 124 (FIG. 4B) is T-shaped in plan view. The seat carrier 124 is stamped T-shaped from the sheet metal and includes a relatively wide rear portion 176 and a narrow front portion 177. Embossed portions, such as long embossed portions 178, 179, and 180, form portions 176, 177 with side down flange 181 and side up flange 182 to reinforce the element. Two spaced stop tabs 183 and a series of latch openings 184 are formed in the front portion 177 for reasons to be described below. The welded stud 123 is attached to the side upward flange 182 and extends laterally. As mentioned above, the stud 123 defines the seat tilt axis at this position.

시트 프레임(163, 도4b)은 시트 캐리어(124)와 매우 유사한 T자형이지만, 시트 프레임(163)은 팬과 보다 유사한 형상이고 시트 셸(164)과 시트 쿠션(170)을 보다 양호하게 지지하도록 시트 캐리어(124)보다 대체로 크다. 시트 프레임(163)은 전방 부분(185)과 후방 부분(186)을 포함한다. 전방 부분(185)은 측부에서 하향 플랜지(188)를 갖는 상부 패널(187)을 포함한다. 하향 플랜지(188)의 전방에서 구멍(189)은 이하에 설명될 것처럼 활성 대퇴부 굴곡 장치(190)를 위한 피벗 축을 형성한다. 구멍(189)의 후방으로 이격된 다른 구멍(191)은 측방향으로 연장하는 축을 지지하고 시트 깊이 조절과 활성 대퇴부 굴곡 장치(190)를 제어하기 위해 다중 기능 제어부(192)를 지지한다. 전방 부분(185)의 중앙은 상승되어 있고, 깊이 래치(197)를 피벗 및 작동 가능하게 지지하도록 협동하는 3개의 구멍(194 내지 196)을 갖는 측벽(193, 도23)을 한정한다. 함몰부(198)는 전방 부분(185)의 중앙에 형성되고, 슬롯(200)은 함몰부(198)의 중앙에서 절결된다. T자형 정지 제한부(199, 도26)는 제한부(199)의 스템(201)이 슬롯(200, 도26 및 도26a)을 통해 하방으로 연장하는 상태로, 함몰부(198) 내에 위치되고 내부에 나사 부착된다. 역전된 U자형 브래킷(203)은 넓은 후방 부분(176)에 부착된다. U자형 브래킷(203, 도28)은 이하에 설명될 활성 대퇴부 굴곡 지지 장치(190)에 사용되는 가스 스프링(204)의 일단부를 피벗 가능하게 지지하기 위한 개구를 포함한다. 후방 부분(176, 도23)은 외주연과 최외곽 외주연 플랜지(206) 주위로 연장하는 U자형 채널 부분(205)을 포함하고, 이들은 후방 부분(176)을 강화하도록 역할한다. 평평 영역(205')은 후방 베어링(209)의 상부와 활주 가능하게 결합하기 위해 후방 부분(176)의 대향 측부 상에 형성된다.The seat frame 163 (FIG. 4B) is T-shaped very similar to the seat carrier 124, but the seat frame 163 is more similar in shape to a fan and to better support the seat shell 164 and seat cushion 170. Larger than the sheet carrier 124. The seat frame 163 includes a front portion 185 and a rear portion 186. The front portion 185 includes a top panel 187 having a downward flange 188 at the side. The hole 189 in front of the downward flange 188 forms a pivot axis for the active femoral flexion device 190 as will be described below. Another hole 191 spaced to the rear of the hole 189 supports the laterally extending axis and supports the multi-function control unit 192 to control the seat depth adjustment and the active thigh flexure device 190. The center of the front portion 185 is raised and defines a sidewall 193 (FIG. 23) having three holes 194-196 that cooperate to pivotally and operatively support the depth latch 197. The depression 198 is formed at the center of the front portion 185, and the slot 200 is cut out at the center of the depression 198. The T-shaped stop limiter 199 (FIG. 26) is located within the depression 198, with the stem 201 of the limiter 199 extending downward through the slots 200, 26 and 26A. It is screwed inside. The inverted U-shaped bracket 203 is attached to the wide rear portion 176. The U-shaped bracket 203 (FIG. 28) includes an opening for pivotably supporting one end of the gas spring 204 used in the active thigh flexion support device 190 to be described below. The rear portion 176 (FIG. 23) includes a U-shaped channel portion 205 extending around the outer and outermost outer flanges 206, which serve to reinforce the rear portion 176. As shown in FIG. A flat region 205 ′ is formed on the opposite side of the rear portion 176 to slidably engage the top of the rear bearing 209.

시트 깊이 조절Seat Depth Adjustment

한 쌍의 평행한 길이가 긴 브래킷(207, 도4b)은 시트 캐리어(124) 상에서 시트 프레임(163)을 활주 가능하게 지지하기 위해 U자형 채널 부분(205)의 전방으로 연장하는 외부 측부 아래에 부착된다. 길이가 긴 Z자형 브래킷(207)은 시트 프레임(163)의 아래에서 전후방으로 연장하는 내측으로 대면하는 C자형 안내부 또는 트랙(도21)을 형성한다. 베어링 부재는 요구된다면 원활한 작동을 제공하도록 브래킷(207)의 안내부 내측에 부착된다. 2개의 이격된 전방 베어링(208, 도4b) 및 2개의 이격된 후방 베어링(209)은 시트 캐리어(124)의 정점에 부착되고, 전방 베어링(208)은 전방 부분(177)에 부착되고, 후방 베어링(209)은 후방 부분(176)에 부착된다. 후방 베어링(209)은 브래킷(207) 내의 안내부와 활주 가능하게 결합하도록 형성되고, C자형 안내부의 C자형 부분 내부 내측으로 연장하는 설부(210)를 추가로 포함한다. 설부(210)는 시트 프레임(163)이 시트 캐리어(124)로부터 멀리 상방으로 당겨지지 않도록 시트 프레임(163)을 포획한다. 전방 베어링(208)은 이격된 위치에서 전방 부분(187)의 하부측과 활주 가능하게 결합한다. 전방 베어링(208)은 또한 시트 프레임(163)의 전방 부분을 포획하도록 제작될 수도 있지만, 상기 기능을 제공하는 대퇴부 굴곡 장치 때문에 필요하지 않은 것으로 생각된다. A pair of parallel elongated brackets 207 (FIG. 4B) is located below the outer side extending forward of the U-shaped channel portion 205 to slidably support the seat frame 163 on the seat carrier 124. FIG. Attached. The long Z-shaped bracket 207 forms an inwardly facing C-shaped guide or track (FIG. 21) extending below and below the seat frame 163. As shown in FIG. The bearing member is attached inside the guide of the bracket 207 to provide smooth operation if required. Two spaced front bearings 208 (FIG. 4B) and two spaced rear bearings 209 are attached to the apex of the seat carrier 124, and the front bearing 208 is attached to the front portion 177, the rear Bearing 209 is attached to rear portion 176. The rear bearing 209 is formed to slidably engage a guide in the bracket 207 and further includes a tongue 210 extending inwardly inside the C-shaped portion of the C-shaped guide. The tongue 210 captures the seat frame 163 so that the seat frame 163 is not pulled upward away from the seat carrier 124. The front bearing 208 slidably engages with the lower side of the front portion 187 in a spaced position. The front bearing 208 may also be made to capture the front portion of the seat frame 163, but it is not considered necessary because of the femoral flexion device that provides the function.

시트(24)의 깊이 조절은 최소 시트 깊이를 위한 후방 위치(도24 참조)와 최대 시트 깊이를 위한 전방 위치(도25 참조) 사이에서 시트 캐리어(124) 상에서 베어링(208, 209) 상의 수동식으로 활주 시트 프레임(163)에 의해 제공된다. 제한부(199)의 스템(210, 도26a)은 시트(24)가 전방으로 너무 멀리 또는 후방으로 너무 멀리 조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시트 캐리어(124) 내의 정지 탭(183)과 결합한다. 깊이 래치(197, 도23)는 T자형이고, 시트 프레임(163) 내의 개구(194, 195)와 피벗 가능하게 결합하는 아암들 중 하나의 아암 상에서 피벗 탭(212, 212')을 포함한다. 깊이 래치(197)는 시트 캐리어(124) 내의 일련의 슬롯(214, 도26)들 중 선택된 하나의 슬롯 내부로 시트 프레임(163) 내에서 개구(195)를 통해 연장하는 다른 아암들 상의 하방으로 연장하는 래치 치형(213)을 추가로 포함한다. 깊이 래치(197, 도23)의 "스템"은 측방향 외부로 연장하고, 작동 탭(215)을 포함한다. 다중 기능 제어부(192)는 다중 기능 제어부의 주 요소를 지지하는 내부 축(217)을 포함한다. 이들 요소들 중 하나는 축(217) 상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 내부 슬리브(218)이다. 핸들(219)은 내부 슬리브(218)의 외부 단부에 연결되고, 돌출부(220)는 내부 슬리브(218)의 내부 단부에 연결된다. 돌출부(220)는 작동 탭(215)에 연결되어, 핸들(219)의 회전이 돌출부(220)를 이동시키고, 상향 및 하향 연결 해제 상태로 래치 피벗부(194, 195)에 대해 래치(197)를 피벗시킨다. 이는 일련의 슬롯(214)으로부터 래치 치형(213)을 해제하여, 시트(24)가 요구되는 새로운 깊이로 조절될 수 있다. 내부 슬리브(218) 상의 스프링은 정상적인 결합 위치로 래치(197)를 편의시킨다. 서로 다른 각종 스프링 배열이 내부 슬리브(218) 또는 래치(197)에 작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내부 스프링을 포함함으로써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을 고려한다.The depth adjustment of the seat 24 is performed manually on the bearings 208, 209 on the seat carrier 124 between the rear position for the minimum seat depth (see FIG. 24) and the front position for the maximum seat depth (see FIG. 25). Provided by the slide seat frame 163. The stem 210 of FIG. 199 (FIG. 26A) engages the stop tab 183 in the seat carrier 124 to prevent the seat 24 from being adjusted too far forward or too far backward. Depth latch 197 (FIG. 23) is T-shaped and includes pivot tabs 212, 212 ′ on one of the arms pivotably engaging openings 194, 195 in seat frame 163. Depth latch 197 is downward on other arms extending through opening 195 in seat frame 163 into a selected one of a series of slots 214 (FIG. 26) in seat carrier 124. It further includes an extended latch tooth 213. A “stem” of depth latch 197 (FIG. 23) extends laterally outward and includes an actuation tab 215. Multi-function control unit 192 includes an internal axis 217 that supports the main elements of the multi-function control unit. One of these elements is an inner sleeve 218 rotatably mounted on an axis 217. The handle 219 is connected to the outer end of the inner sleeve 218, and the protrusion 220 is connected to the inner end of the inner sleeve 218. The protrusion 220 is connected to the actuating tab 215 so that the rotation of the handle 219 moves the protrusion 220 and latches 197 relative to the latch pivots 194, 195 with the up and down disconnects. Pivot This releases the latch tooth 213 from the series of slots 214 so that the seat 24 can be adjusted to the new depth required. The spring on the inner sleeve 218 biases the latch 197 to its normal engagement position. It is contemplated that a variety of different spring arrangements can be used by including inner springs operably connected to inner sleeve 218 or latch 197.

시트 활성 대퇴부 각도 조절(무한 조절식 가스 스프링을 구비함)Seat active thigh angle adjustment (with endless adjustable gas spring)

전방 보강 판(222, 도28)은 시트 셸(164)의 대퇴부 지지 전방 부분(166)의 하부측에 부착된다. Z자형 브래킷(221)은 판(222)에 부착되고, 부싱(223)은 브래킷(221)과 판(222) 사이에 고정된다. 굴곡된 로드 축(224)은 부싱(223) 내에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시트 프레임(163)의 하향 플랜지(189)의 개구(190) 내에 피벗 가능하게 지지되고 이를 통해 연장하는 단부 부분(225, 226)을 포함한다. 단부 부분(226)은 평평한 측부를 포함하고, U자형 브래킷(227)은 가스 스프링(204)의 단부를 지지하기 위해 단부 부분(226)에 비회전식으로 부착된다. U자형 브래킷(227)은 부싱(223)을 향해 연장하는 굴곡된 로드 축(224)의 일부분에서 소정 각도로 향하여, U자형 브래킷(227)은 가스 스프링(204)이 연장되거나 후퇴된 때 시트 셸(164)의 대퇴부 지지 전방 부분(166)을 상승 및 하강시키도록 크랭크로서 작용한다. 특히, 가스 스프링(204)은 브래킷(227, 203) 사이에서 작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연장된 때 시트 셸(164)의 전방 대퇴부 지지 부분(166)이 부가적인 대퇴부 지지를 제공하도록 상방으로 이동시킨다. 특히, 대퇴부 지지 부분(166)은 가스 스프링(204)이 고정된 크기로 고정된 때에도 약간의 굴곡을 제공하여, 사용자의 대퇴부를 항상 편안하게 지지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상기 작동 지지 시스템의 무한 조절성은 특히 다리가 짧은 사람들에게 매우 유용한 향상된 조절성을 제공한다.Anterior reinforcement plate 222 (FIG. 28) is attached to the lower side of thigh support front portion 166 of seat shell 164. The Z-shaped bracket 221 is attached to the plate 222, and the bushing 223 is fixed between the bracket 221 and the plate 222. The curved rod shaft 224 is rotatably supported in the bushing 223 and is end portion 225 pivotally supported in and extending through the opening 190 of the downward flange 189 of the seat frame 163. , 226). The end portion 226 includes a flat side, and the U-shaped bracket 227 is non-rotationally attached to the end portion 226 to support the end of the gas spring 204. The U-shaped bracket 227 faces the angle at a portion of the curved rod shaft 224 extending toward the bushing 223 so that the U-shaped bracket 227 seats the shell when the gas spring 204 is extended or retracted. Acts as a crank to raise and lower the femoral support front portion 166 of 164. In particular, the gas spring 204 is operably mounted between the brackets 227 and 203 to move the anterior thigh support portion 166 of the seat shell 164 upward to provide additional thigh support when extended. . In particular, the thigh support portion 166 provides some curvature even when the gas spring 204 is fixed in a fixed size, so that the thigh of the user is always comfortably supported. Nevertheless, the infinite adjustability of the actuation support system provides an improved adjustability which is very useful, especially for short legged people.

가스 스프링(204, 도28)은 자기 고정되고, 연장 가능한 로드가 연장되거나 후퇴될 수 있도록 가스 스프링(204)을 해제하기 위해 브래킷(203)에 부착된 후방 단부에서 해제 단추(233)를 포함한다. 이러한 가스 스프링(204)은 종래 기술에서 주지되어 있다. 다중 기능 제어부(192, 도3)는 해제 단추(233)를 작동시키기 위한 작동기를 포함한다. 특히, 다중 기능 제어부(192)는 내부 슬리브(218) 상에 작동 가능하게 위치된 회전식 외부 슬리브(229, 도23)와, 외부 슬리브(229)를 회전시키기 위한 핸들(230)을 포함한다. 커넥터(231)는 외부 슬리브(229)의 내부로의 단부로부터 반경 방향으로 연장한다. 케이블(232)은 외부 슬리브(229) 상의 커넥터(231)로부터 해제 단추(233, 도28)까지 연장한다. 케이블(232)은 외부 슬리브(229)가 회전될 때 케이블(232)이 가스 스프링(204)의 내부 잠김을 해제하도록 해제 단추(233)를 당기기 위해 선택된 소정 길이를 갖는다. 해제 단추(233)는 정상 고정 위치까지 스프링 편의된다. 착석한 사용자는 가스 스프링(204)을 해제하도록 핸들(230)을 작동시킴으로써 활성 대퇴부 굴곡 지지 시스템을 조절한다. 착석한 사용자는 그리고 나서 시트 셸(164)의 대퇴부 지지 전방 부분(166) 상에서 가압되어(또는 이들의 다리를 이로부터 멀리 상승시켜), 가스 스프링(230)이 대퇴부 지지 전방 부분(166)을 재조절하도록 굴곡된 로드 축(217)을 작동시킨다. 특히, 작동 대퇴부 지지 시스템(190)은 소정의 조절 범위 내에서 무한 조절을 위해 제공된다.The gas spring 204 (FIG. 28) includes a release button 233 at the rear end attached to the bracket 203 to release the gas spring 204 so that the self-locking and extendable rod can be extended or retracted. . Such a gas spring 204 is well known in the art. The multi-function control unit 192 (FIG. 3) includes an actuator for operating the release button 233. FIG. In particular, the multi-function control unit 192 includes a rotatable outer sleeve 229 (FIG. 23) operatively positioned on the inner sleeve 218 and a handle 230 for rotating the outer sleeve 229. The connector 231 extends radially from an end into the interior of the outer sleeve 229. Cable 232 extends from connector 231 on outer sleeve 229 to release button 233 (FIG. 28). The cable 232 has a predetermined length selected to pull the release button 233 so that the cable 232 releases the internal lock of the gas spring 204 when the outer sleeve 229 is rotated. The release button 233 is spring biased to its normal locked position. The seated user adjusts the active thigh flexion support system by operating the handle 230 to release the gas spring 204. The seated user is then pressed on (or raised their legs away from) the thigh support front portion 166 of the seat shell 164, so that the gas spring 230 reattaches the thigh support front portion 166. Operate the curved rod shaft 217 to adjust. In particular, the working thigh support system 190 is provided for infinite adjustment within a predetermined adjustment range.

보우던 케이블(Bowden cable, 235), 슬리브(235') 및 측부 브래킷(235'')에 의해 의자 높이를 조절하기 위해 공압 수직 높이 조절 기구에 작동 가능하게 연결된 제2 회전식 핸들(234)도 제어부(192, 도19) 상에 도시되어 있다. 의자 높이 조절 기구의 상세한 사항은 주지되어 있어, 본 명세서에 설명할 필요는 없다.A second rotatable handle 234 operatively connected to the pneumatic vertical height adjustment mechanism for adjusting chair height by Bowden cable 235, sleeve 235 'and side brackets 235 " 192, FIG. 19 is shown. Details of the chair height adjustment mechanism are well known and need not be described herein.

시트 셸(164)과 지지 구조물(도4b)은 착석한 사용자의 대퇴부를 휠 수 있게 지지하도록 형성된다. 이러한 이유로, 시트 쿠션(170)은 착석한 사용자의 고관절(도12)의 약간 전방으로 위치된 만입부(170A)를 포함한다. 시트 쿠션(170B)을 덮는 내부 재료는 대퇴부 지지 영역이 하향으로 굴곡되는 동안 재료가 확장 또는 팽창하도록 만입부(170A)에서 턱(tuck) 또는 절첩부를 포함하는데, 이는 내부 재료 덮개의 상부면이 시트 셸(164)의 굴곡 힌지 축 위에서 이격된다는 사실에 의해 만입부에서 팽창 또는 확장을 야기하기 때문이다. 이와 다르게, 팽창 신장된 또는 별개의 전방 및 후방 내부 재료 쿠션이 사용될 수도 있다. The seat shell 164 and the support structure (FIG. 4B) are formed to support the thigh of the seated user. For this reason, the seat cushion 170 includes an indentation 170A positioned slightly forward of the hip joint of the seated user (Figure 12). The inner material covering the seat cushion 170B includes a tuck or fold at the indentation 170A so that the material expands or expands while the thigh support region is bent downward, which means that the top surface of the inner material cover This is because the fact that they are spaced above the bending hinge axis of the seat shell 164 causes expansion or expansion at the indentation. Alternatively, expanded or separate front and rear inner material cushions may be used.

시트 수동/가요성 대퇴부 지지(가스 스프링 없음)Seat manual / flexible thigh support (without gas spring)

수동 대퇴부 굴곡 장치(237, 도30)는 시트 셸(164, 도4b)의 대퇴부 지지 전방 부분(166)의 하부측에 부착된 보강 판(238)을 포함한다. 한 쌍의 L자형 정지 탭(239, 도29)은 판(238)의 본체로부터 하향으로 굴곡된다. L자형 탭(239)은 핑거(240)가 시트 프레임(163)의 전방 모서리(241)와 중첩되는 위치까지 후방으로 연장하는 수평 핑거(240)를 포함한다. 부싱(242)은 L자형 탭(239) 내측에 위치하고, 전방 모서리(241)와 결합하는 노치(243)를 포함한다. 곡선형 판 스프링(244)은 부싱(242)의 상부에서 리세스들과 결합하는 판 스프링(244)의 단부(245)를 구비한 보강 판(238) 아래에서 횡방향으로 위치된다. 판 스프링(244)은 본 발명의 수동 대퇴부 굴곡 장치(237)에서는 압축 상태에 있도록 곡선 형상을 갖는다. 착석한 사용자가 그들의 대퇴부와 함께 대퇴부 지지 전방 부분(166) 상에서 하향으로 가압할 때, 판 스프링(244)은 보강 판(238)을 시트 프레임(163)의 전방 모서리(241)를 향해 이동시키도록 중앙에서 굴곡된다. 이러한 작동이 일어날 때, 핑거(240)는 각각 그들의 각각의 부싱(242, 도31)으로부터 멀리 이동한다. 착석한 사용자가 대퇴부 지지 전방 부분(166) 상에서 하향으로 가압 해제되는 경우, 스프링(244)은 핑거(240, 도30)와 결합 상태로 부싱(242)을 후방으로 이동하도록 중립 굴곡 형상을 향해 굴곡된다. 특히, 이러한 수동 대퇴부 굴곡 장치(237)는 사용자가 독립적 또는 연속적으로 시트 셸(164)의 대퇴부 지지 전방 부분(166)의 측부를 측방향으로 굴곡되도록한다. 수동 대퇴부 굴곡 장치(237)의 굴곡의 정도는 L자형 탭(239) 내에서 부싱(242)이 이동할 수 있는 거리에 의해 제한된다.The passive thigh flexure device 237 (FIG. 30) includes a reinforcement plate 238 attached to the lower side of the thigh support front portion 166 of the seat shell 164 (FIG. 4B). The pair of L-shaped stop tabs 239 (Fig. 29) are bent downward from the body of the plate 238. The L-shaped tab 239 includes a horizontal finger 240 extending rearward to a position where the finger 240 overlaps the front edge 241 of the seat frame 163. Bushing 242 is located inside L-shaped tab 239 and includes notch 243 that engages front edge 241. The curved leaf spring 244 is positioned transversely below the reinforcement plate 238 with the end 245 of the leaf spring 244 engaging the recesses at the top of the bushing 242. The leaf spring 244 has a curved shape so as to be in a compressed state in the manual thigh flexure device 237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seated user presses down on the thigh support front portion 166 with their thighs, the leaf spring 244 moves the reinforcement plate 238 toward the front edge 241 of the seat frame 163. Bent in the center When this operation occurs, the fingers 240 move away from their respective bushings 242 (FIG. 31). When the seated user is depressurized downward on the femoral support anterior portion 166, the spring 244 flexes toward the neutral flexure shape to move the bushing 242 back in engagement with the finger 240 (FIG. 30). do. In particular, this manual thigh flexion device 237 allows the user to bend the sides of the thigh support front portion 166 of the seat shell 164 independently or continuously. The degree of bending of the manual thigh flexure device 237 is limited by the distance the bushing 242 can move within the L-shaped tab 239.

전술된 설명에서, 당해 기술 분야의 숙련된 자들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개념으로부터 벗어나지 않고 본 발명에 대한 변형이 만들어질 수 있다는 것을 쉽게 이해할 것이다. 이러한 변형은 청구의 범위가 그들의 언어로 다르게 표현되지 않는다면, 이하의 청구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것으로서 고려되어야 한다.In the foregoing description,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readily understand that modifications may be made to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concepts disclosed herein. Such modifications should be considered as included within the scope of the following claims unless the scope of the claims is expressed otherwise in their language.

Claims (240)

대향한 측면 플랜지들 및 상기 측면 플랜지들 중 하나의 측면 플랜지에 근접 위치된 측부 피벗부를 갖는 제어 하우징을 구비한 기부 조립체와,A base assembly having a control housing having opposing side flanges and side pivots positioned proximate to one of said side flanges; 직립 위치와 경사 위치 사이에서 이동하도록 기부 조립체에 대해 피벗되는 등받이와,A backrest pivoted relative to the base assembly to move between an upright position and an inclined position, 기부 조립체 상에 작동 가능하게 지지되고, 등받이와 동조되어 동기 이동하도록 등받이에 연결된 시트와,A seat operably supported on the base assembly and coupled to the backrest to synchronously move with the backrest; 직립 위치를 향해 등받이를 편의시키는 에너지 기구를 포함하며,An energy appliance for biasing the backrest toward the upright position, 상기 에너지 기구는 측면 플랜지들 중 하나의 측면 플랜지 상에 일단부가 지지된 상태로 제어 하우징 내에 횡방향으로 위치된 신장/압축 스프링과, 측부 피벗부에 대해 피벗되는 레버를 포함하고,The energy mechanism comprises an extension / compression spring positioned transversely in the control housing with one end supported on one of the side flanges, and a lever pivoted against the side pivot, 상기 레버는 스프링의 자유 단부와 결합하는 스프링 결합부와, 시트에 작동 가능하게 연결된 시트 편의부를 구비하며,The lever has a spring engaging portion engaging with the free end of the spring, and a seat convenience portion operatively connected to the seat, 측부 피벗부, 스프링 결합부 및 시트 편의부는 서로로부터 이격되어 있으며, 또한 이들은 스프링이 등받이를 직립 위치를 향해 편의시키기 위해 측부 피벗부에 위치된 지지점을 중심으로 상기 레버를 편의시키도록 배열되고,The side pivot, the spring coupling and the seat convenience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they are also arranged to bias the lever about a support point located on the side pivot to spring bias the backrest toward the upright position, 상기 측부 피벗부는 조절시 레버 상의 지지점의 위치를 변경하도록 구성된 조절 가능 피벗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 And the side pivot comprises an adjustable pivot member configured to change the position of the support point on the lever when adjusted.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피벗 부재 및 레버는 인터페이싱 표면들을 포함하며, 인터페이싱 표면들 중 적어도 하나는 곡선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The chair of claim 1 wherein the pivot member and the lever comprise interfacing surfaces, wherein at least one of the interfacing surfaces is curved. 제3항에 있어서, 인터페이싱 표면들은 상호 맞물림 치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4. A chair as claimed in claim 3, wherein the interfacing surfaces comprise interlocking teeth. 제4항에 있어서, 레버는 L자형 벨 크랭크를 포함하고, 지지점은 L자형 벨 크랭크의 하나의 다리의 중간부를 따라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5. A chair according to claim 4, wherein the lever comprises an L-shaped bell crank and the support point is located along the middle of one leg of the L-shaped bell crank. 제1항에 있어서, 레버 및 피벗 부재는 수직축들을 중심으로 피벗되고 공통 수평면 내에서 이동 가능하여 제어 하우징 내에 집약적으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The chair of claim 1 wherein the lever and pivot member are pivoted about the vertical axes and moveable within a common horizontal plane so as to be intensively disposed in the control housing. 제1항에 있어서, 스프링은 스프링의 자유 단부를 상기 지지된 단부를 향해 이동시킴과 동시에 등받이의 경사 중에 전후 방향을 따라 이동시키는 구성으로 제어 하우징에 의해 지지되고 레버와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2. A chair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pring is supported by the control housing and engages the lever in such a way as to move the free end of the spring toward the supported end and simultaneously move along the front and rear direction during the inclination of the backrest. . 대향한 측면 플랜지들 및 상기 측면 플랜지들 중 하나의 측면 플랜지에 근접 위치된 측부 피벗부를 갖는 제어 하우징을 구비한 기부 조립체와,A base assembly having a control housing having opposing side flanges and side pivots positioned proximate to one of said side flanges; 직립 위치와 경사 위치 사이에서 이동하도록 기부 조립체에 대해 피벗되는 등받이와,A backrest pivoted relative to the base assembly to move between an upright position and an inclined position, 기부 조립체 상에 작동 가능하게 지지되고, 등받이와 동조되어 동기 이동하도록 등받이에 연결된 시트와,A seat operably supported on the base assembly and coupled to the backrest to synchronously move with the backrest; 직립 위치를 향해 등받이를 편의시키는 에너지 기구를 포함하며,An energy appliance for biasing the backrest toward the upright position, 상기 에너지 기구는 측면 플랜지들 중 하나의 측면 플랜지 상에 일단부가 지지된 상태로 제어 하우징 내에 횡방향으로 위치된 신장/압축 스프링과, 측부 피벗부에 대해 피벗되는 레버를 포함하고,The energy mechanism comprises an extension / compression spring positioned transversely in the control housing with one end supported on one of the side flanges, and a lever pivoted against the side pivot, 상기 레버는 스프링의 자유 단부와 결합하는 스프링 결합부와, 시트에 작동 가능하게 연결된 시트 편의부를 구비하며,The lever has a spring engaging portion engaging with the free end of the spring, and a seat convenience portion operatively connected to the seat, 측부 피벗부, 스프링 결합부 및 시트 편의부는 서로로부터 이격되어 있으며, 또한 이들은 스프링이 등받이를 직립 위치를 향해 편의시키기 위해 측부 피벗부에 위치된 지지점을 중심으로 상기 레버를 편의시키도록 배열되고,The side pivot, the spring coupling and the seat convenience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they are also arranged to bias the lever about a support point located on the side pivot to spring bias the backrest toward the upright position, 상기 스프링은 스프링의 자유 단부를 상기 지지된 단부를 향해 이동시킴과 동시에 등받이의 경사 중에 전후 방향을 따라 이동시키는 구성으로 제어 하우징에 의해 지지되고 레버와 결합하고, The spring is supported by the control housing and engaged with the lever in a configuration that moves the free end of the spring toward the supported end and simultaneously moves along the front and rear direction during the inclination of the backrest, 상기 레버는 스프링을 길이방향으로 압축시킬 뿐 아니라, 스프링을 등받이의 경사 중에 비선형 방식으로 측방향으로 굴곡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The lever not only compresses the spr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but also the spring flexes laterally in a non-linear manner during the inclination of the backrest. 피벗 부재를 갖는 제어 하우징, 직립 위치와 경사 위치 사이에서 이동하도록 제어 하우징에 작동 가능하게 연결된 경사 가능 등받이, 및 등받이를 직립 위치를 향해 편의시키도록 제어 하우징 내에 있는 에너지원을 포함하는 의자이며,A chair comprising a control housing having a pivot member, a tiltable back operatively connected to the control housing to move between an upright position and an inclined position, and a source of energy within the control housing to bias the backrest toward the upright position, 조절 가능 등받이 장력 제어부는 상기 에너지원 및 조절 가능한 피벗 부재와 결합하는 레버를 포함하고,The adjustable back tension control unit includes a lever that engages the energy source and the adjustable pivot member, 상기 레버는 등받이를 직립 위치를 향해 편의시키도록 등받이에 작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레버 및 피벗 부재는 미끄러지지 않는 인터페이싱 표면들을 가지며, 인터페이싱 표면들 중 적어도 하나는 곡선형이어서, 인터페이싱 표면들은 등받이의 경사 중에 레버가 회전될 때 이동 지지점을 한정하도록 결합하며, 지지점은 피벗 부재가 에너지원이 작용하는 모멘트 아암을 변경하도록 조절됨에 따라 그 위치가 변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The lever is operably connected to the backrest to bias the backrest toward the upright position, the lever and the pivot member have non-slip interfacing surfaces, at least one of the interfacing surfaces being curved such that the interfacing surfaces are inclined during the inclination of the backrest. And the lever engages to define a moving support point when the lever is rotated, the support point being changed as the pivot member is adjusted to change the moment arm at which the energy source acts. 제9항에 있어서, 레버는 지지점을 한정하도록 피벗 부재와 중간 위치에서 피벗 가능하게 결합하는 다리를 갖는 벨 크랭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10. A chair as claimed in claim 9, wherein the lever comprises a bell crank having a leg pivotally engages in an intermediate position with the pivot member to define a support point. 제10항에 있어서, 레버는 제어 하우징 내에 집약적으로 배치되도록 수직축을 중심으로 수평면 내에서 피벗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11. A chair as claimed in claim 10, wherein the lever is pivoted in a horizontal plane about a vertical axis to be intensively disposed in the control housing.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의자는 링크와, 상기 링크에 의해 레버에 작동 가능하게 연결된 시트 결합 브래킷을 추가로 포함하며, 상기 레버는 시트 결합 브래킷 및 시트를 후방으로 편의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12. The chair as claimed in claim 11, wherein the chair further comprises a link and a seat joining bracket operably connected to the lever by the link, wherein the lever biases the seat joining bracket and the seat rearward. 제10항에 있어서, 피벗 부재는 피벗 부재의 인터페이싱 표면으로부터 이격된 피벗 위치에서 제어 하우징에 대해 피벗되고, 피벗 부재의 인터페이싱 표면은 원호형으로 형성되어 피벗 위치로부터 일정한 반경을 한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The pivot member of claim 10, wherein the pivot member is pivoted relative to the control housing at a pivot position spaced apart from the interfacing surface of the pivot member, the interfacing surface of the pivot member being arcuate to define a constant radius from the pivot position. chair. 제13항에 있어서, 인터페이싱 표면들은 결합하는 치형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14. The chair of claim 13 wherein the interfacing surfaces have engaging teeth. 제14항에 있어서, 레버의 인터페이싱 표면은 곡선 형상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15. The chair as claimed in claim 14, wherein the interfacing surface of the lever also has a curved shape. 제9항에 있어서, 모멘트 아암의 길이를 변경하도록 피벗 부재를 각도 조절하는 조절 기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10. The chair as claimed in claim 9, comprising an adjustment mechanism for angle adjusting the pivot member to change the length of the moment arm.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 기구는 피벗 부재가 조절될 때 사용자에 의해 과도한 토오크가 인가되는 것을 방지하는 과토오크 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17. The chair as claimed in claim 16, wherein the adjustment mechanism includes an overtorque device that prevents excessive torque from being applied by the user when the pivot member is adjusted. 제9항에 있어서, 제어 하우징 상에 작동 가능하게 위치되고 레버와 등받이 사이에서 상호 연결된 시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10. A chair as claimed in claim 9, comprising a seat operably positioned on the control housing and interconnected between the lever and the backrest. 제9항에 있어서, 인터페이싱 표면들은 결합하는 치형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The chair of claim 9 wherein the interfacing surfaces have engaging teeth. 기부 조립체와,Base assembly, 제1 위치와 제2 위치 사이에서 이동하도록 기부 조립체에 대해 피벗되는 이동 가능 시트 및 경사 가능 등받이 중 하나를 구비하는 요소와,An element having one of a movable seat and an inclined backrest pivoted relative to the base assembly to move between the first position and the second position; 일단부가 기부 조립체에서 지지되고 타단부가 상기 요소에 작동 가능하게 연결되며 소정 길이부를 갖는 스프링을 포함하며,One end supported by the base assembly and the other end operatively connected to the element, the spring having a predetermined length, 상기 스프링은 상기 요소가 제1 위치로부터 제2 위치로 이동될 때 상기 길이부를 따라 길이방향으로 압축됨과 동시에 상기 길이부에 대해 횡방향으로 측방향으로 굴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Said spring being longitudinally compressed along said length as said element is moved from said first position to said second position and at the same time bending laterally laterally relative to said length. 제20항에 있어서, 스프링의 타단부와 접촉하는 제1 단부와, 상기 요소에 링 크 연결된 제2 단부를 구비하는 레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21. A chair as claimed in claim 20, comprising a lever having a first end in contact with the other end of the spring and a second end linked to the element.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레버는 기부 조립체에 대해 피벗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The chair of claim 21 wherein the lever is pivoted relative to the base assembly.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요소는 이동 가능한 시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23. The chair as claimed in claim 22, wherein said element comprises a movable seat. 제23항에 있어서, 시트와 동시에 이동하도록 시트에 작동 가능하게 연결된 등받이 프레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24. The chair as claimed in claim 23, comprising a back frame operably connected to the seat to move simultaneously with the seat. 제어 하우징을 구비하는 기부 조립체와,A base assembly having a control housing; 제어 하우징 상에 활주 가능하게 지지된 시트와,A seat slidably supported on the control housing, 직립 위치와 경사 위치 사이에서 이동하도록 기부 조립체에 대해 피벗되고, 등받이 프레임의 피벗 이동과 시트의 활주 이동이 동기되도록 시트에 작동 가능하게 부착된 등받이 프레임과,A backrest frame pivoted relative to the base assembly to move between an upright position and an inclined position and operably attached to the seat such that pivotal movement of the backrest frame and sliding movement of the seat are synchronized; 소정 길이부를 갖는 스프링과 L자형 토오크 부재를 구비하는 에너지 기구를 포함하며,An energy mechanism having a spring having a predetermined length and an L-shaped torque member, L자형 토오크 부재는 상기 스프링의 일단부와 결합하는 제1 다리와, 스프링의 길이부에 대체로 평행하게 연장되는 제2 다리를 구비하고,The L-shaped torque member has a first leg that engages with one end of the spring and a second leg that extends generally parallel to the length of the spring, 제1 다리는 스프링의 단부로부터 이격된 위치에서 제어 하우징에 피벗 가능하게 결합하고, 제2 다리는 상기 시트 및 등받이 프레임 중 하나에 작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등받이 프레임을 직립 위치를 향해 편의시키는 방식으로 스프링이 토오크 부재를 편의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The first leg is pivotally coupled to the control housing in a position spaced from the end of the spring, and the second leg is operably connected to one of the seat and back frame, to bias the back frame towards the upright position. A chair, wherein the spring biases the torque member. 제25항에 있어서, 제1 다리는 등받이 프레임이 직립 위치와 경사 위치 사이에서 이동할 때 제어 하우징 상의 구조물과 롤링 및 피벗 가능하게 결합하는 곡선형 표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27. The chair of claim 25, wherein the first leg includes a curved surface that rolls and pivotably engages the structure on the control housing as the back frame moves between an upright position and an inclined position. 제26항에 있어서, 제어 하우징 상의 구조물은 제1 다리 상의 곡선형 표면과 결합하는 인터페이스 표면을 갖는 피벗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표면들은 원하지 않는 미끄럼을 방지하기 위하여 확실하게 결합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27. The structure of claim 26, wherein the structure on the control housing includes a pivot member having an interface surface that engages a curved surface on the first leg, the surfaces configured to securely engage to prevent unwanted slippage. chair. 제어 하우징을 구비하는 기부 조립체와,A base assembly having a control housing; 제어 하우징 상에 활주 가능하게 지지된 시트와,A seat slidably supported on the control housing, 직립 위치와 경사 위치 사이에서 이동하도록 기부 조립체에 대해 피벗되고, 등받이 프레임의 피벗 이동과 시트의 활주 이동이 동기되도록 시트에 작동 가능하게 부착된 등받이 프레임과,A backrest frame pivoted relative to the base assembly to move between an upright position and an inclined position and operably attached to the seat such that pivotal movement of the backrest frame and sliding movement of the seat are synchronized; 제어 하우징에 의해 시트 아래에서 한정되는 비교적 얇고 수평으로 연장되는 격실 내에 작동 가능하게 위치된 조절 가능 에너지 기구를 포함하며,An adjustable energy mechanism operably located in a relatively thin, horizontally extending compartment defined below the seat by the control housing, 상기 조절 가능 에너지 기구는 신장 가능한 에너지원과, 에너지원과 시트 사 이에 작동 가능하게 연결된 레버와, 에너지원으로부터 레버를 통해 시트로 전달되는 힘을 조절 가능하게 제어하도록 레버를 조절 가능하게 피벗 지지하는 조절 부재를 포함하고,The adjustable energy mechanism includes an adjustable pivot support for resiliently controlling a stretchable energy source, a lever operably connected between the energy source and the seat, and a force controllably controlling the force transmitted from the energy source to the seat through the lever. Including an adjustment member, 에너지원, 레버 및 조절 부재는 비교적 얇고 수평으로 연장되는 격실 내부에서 작동하도록 수평 방향으로만 이동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And the energy source, the lever and the adjustment member are movable only in the horizontal direction to operate in a relatively thin and horizontally extending compartment. 제28항에 있어서, 조절 부재는 레버의 지지점을 조절하도록 레버를 이동시키기 위하여 제어 하우징에 작동 가능하게 부착된 피벗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29. A chair as claimed in claim 28, wherein the adjustment member comprises a pivot member operably attached to the control housing for moving the lever to adjust the support point of the lever.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기부 조립체는 하우징을 합체한 기부 프레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The chair of claim 1 wherein the base assembly comprises a base frame incorporating a housing. 제20항에 있어서, 기부 조립체는 하우징을 합체한 기부 프레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21. The chair as claimed in claim 20, wherein the base assembly comprises a base frame incorporating the housing. 제25항에 있어서, 기부 조립체는 하우징을 합체한 기부 프레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27. The chair as claimed in claim 25, wherein the base assembly comprises a base frame incorporating the housing. 제28항에 있어서, 기부 조립체는 하우징을 합체한 기부 프레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The chair of claim 28 wherein the base assembly comprises a base frame incorporating the housing.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어 하우징을 구비하는 기부 조립체와,A base assembly having a control housing; 제어 하우징 내에 위치하여 압축력을 제공하는 단일 저장 에너지원과,A single stored energy source located within the control housing to provide a compressive force, 직립 위치와 경사 위치 사이에서 이동하도록 상기 단일 저장 에너지원과 작동 가능하게 상호 연결된 등받이 지지체와,A backrest support operatively interconnected with said single stored energy source to move between an upright position and an inclined position, 제어기를 포함하며,A controller, 상기 단일 저장 에너지원은 등받이 지지체를 직립 위치를 향해 편의시키도록 예비 장력을 인가하는 동시에, 경사시 등받이 지지체의 경사에 대한 저항력을 제공하며,The single stored energy source applies a preliminary tension to bias the backrest support toward the upright position, while at the same time providing resistance to the inclination of the backrest support, 상기 제어기는 저장 에너지원의 예비 장력과 등받이 지지체의 경사율을 조절하고, 상기 제어기는 상기 단일 저장 에너지원의 압축력을 극복하지 않으면서 조절될 수 있는 조절 가능한 지지점을 한정하는 레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The controller adjusts the preliminary tension of the stored energy source and the tilt ratio of the back support, and the controller includes a lever defining an adjustable support point that can be adjusted without overcoming the compressive force of the single stored energy source. Chair. 제41항에 있어서, 등받이 지지체와 결합하여 상기 등받이 지지체를 상기 에너지원에 상호 연결하는 시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42. The chair of claim 41, comprising a seat coupled with the back support to interconnect the back support to the energy sourc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기부 조립체와,Base assembly, 기부 조립체 상에 지지된 시트와,A seat supported on the base assembly, 직립 위치와 경사 작동 위치 사이에서 이동하도록 기부 조립체에 대해 피벗되는 등받이 프레임과,A backrest frame pivoted relative to the base assembly to move between an upright position and an inclined operating position; 적어도 하나의 상부 연결부에서 등받이 프레임에 연결되고 적어도 하나의 상부 연결부로부터 수직으로 이격된 하부 연결부에서 의자에 연결된 가요성 등받이를 포함하며,A flexible backrest connected to the back frame at at least one upper connection and connected to the chair at a lower connection vertically spaced from the at least one upper connection, 상기 하부 연결부는 하부 연결부가 착석한 사용자의 좌골 및 하부 척추와 관련된 영역과 정렬되는 축을 한정하도록 가요성 등받이의 하부의 전방과 시트의 후방 부근에 위치되고,The lower linkage is located in front of the bottom of the flexible back and near the rear of the seat to define an axis that is aligned with the area associated with the sciatic and lower vertebrae of the user in which the lower linkage is seated, 상기 가요성 등받이는 착석한 성인 사용자의 등의 굴곡시 상부 연결부와 하부 연결부 사이에서 제어된 굴곡을 받도록 굴곡될 수 있고,The flexible back may be bent to receive a controlled bend between the upper and lower connections when the back of the seated adult user is bent, 상기 시트는 기부 조립체 상에 활주 가능하게 지지된 전방부와, 등받이 프레임에 피벗 가능하게 연결된 후방부를 구비하여, 등받이 프레임의 경사 중에 시트는 등받이 프레임과 동기되어 전방으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And the seat has a front part slidably supported on the base assembly and a rear part pivotally connected to the back frame, wherein the seat moves forward in synchronization with the back frame during the inclination of the back frame. 제46항에 있어서, 가요성 등받이는 역회전 이동을 위해 서로 작동 가능하게 연결된 상부 섹션 및 하부 섹션을 포함하고, 상부 섹션은 상부 연결부에서 등받이 프레임에 대해 피벗되고, 하부 섹션은 하부 연결부에서 등받이 프레임에 대해 피벗되는 전방 연장 플랜지를 포함하며, 하부 연결부로부터 하부 섹션의 하부 전방면까지의 후향 거리는 평균적인 착석한 성인 사용자의 고관절로부터 평균적인 착석한 사용자의 후방/하부 척추뼈까지로 산정한 소정의 거리와 대략 동일하여, 가요성 등받이는 착석한 성인 사용자의 등의 하부 부분의 굴곡시 구부러지는 동시에 편안한 자세 지지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47. The backrest of claim 46, wherein the flexible back includes an upper section and a lower section operably connected to each other for reverse rotational movement, the upper section pivoting relative to the back frame at the upper connection, and the lower section at the back connection at the lower connection And an anterior extension flange pivoted about, wherein the rearward distance from the lower connection to the lower anterior surface of the lower section is determined from the hip joint of the average seated adult user to the posterior / lower vertebra of the average seated user. Roughly equal to the distance, the chair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flexible back flexes upon bending of the lower portion of the seated adult user's back while providing comfortable postural support. 제46항에 있어서, 가요성 등받이는 착석한 성인 사용자의 요추 영역에 위치하는 가요성 구역에 의해 연결된 상부 및 하부 강성 섹션들을 갖는 등받이 셸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47. The chair of claim 46, wherein the flexible back comprises a back shell having upper and lower rigid sections connected by a flexible zone located in the lumbar region of a seated adult user. 제48항에 있어서, 가요성 구역은 가요성 등받이를 가로질러 연장하지만 요추 영역의 대향한 측면 모서리들에서 연속된 재료 밴드를 남겨두도록 종료하는 복수개의 수평 슬릿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49. The chair according to claim 48, wherein the flexible zone includes a plurality of horizontal slits extending across the flexible back but terminating to leave a continuous band of material at opposite side edges of the lumbar region. 제49항에 있어서, 상기 의자는 등받이 셸에 작동 가능하게 부착된 비틀림 요추 지지 기구를 포함하고, 비틀림 요추 지지 기구는 최적의 요추 지지를 위하여 등받이 셸을 전방으로 돌출한 볼록 형상으로 편의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50. The chair of claim 49, wherein the chair comprises a torsional lumbar support mechanism operably attached to the backrest shell, wherein the torsional lumbar support mechanism biases the backrest shell into a convex shape projecting forward for optimal lumbar support. Chair. 제50항에 있어서, 착석한 사용자의 요추 영역에서 가요성 등받이의 전방면의 형상을 변경하는 수직 조절을 위하여 가요성 등받이에 부착된 수직 조절 가능 요추 지지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51. The chair of claim 50, comprising a vertically adjustable lumbar support attached to the flexible back for vertical adjustment of the shape of the front face of the flexible back in the lumbar region of the seated user. 제51항에 있어서, 수직 조절 가능 요추 지지체는 가요성 등받이의 외주 모서리와 결합하도록 모서리를 따라 구성되어 측방향으로 연장되는 핸들을 포함하고, 상기 핸들은 핸들이 외주 모서리를 추종하는 상태로 그리고 추종 상태로부터 벗어나게 조절하도록 수직 조절 가능 요추 지지체와 활주 가능하게 결합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52. The vertically adjustable lumbar support of claim 51, wherein the vertically adjustable lumbar support includes a handle configured laterally extending along the edge to engage the outer peripheral edge of the flexible back, the handle having and following the peripheral edge of the handle. And slidably engages with a vertically adjustable lumbar support to adjust it out of condition. 제46항에 있어서, 가요성 등받이를 전방으로 돌출한 볼록 형상을 향해 편의시키도록 하부 연결부들 중 하나에 부착된 비틀림 요추 지지 기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47. The chair of claim 46, comprising a torsional lumbar support mechanism attached to one of the lower connections to bias the flexible back toward the convex shape projecting forward. 제46항에 있어서, 상기 의자는 가요성 등받이의 전방면에 작동 가능하게 부착된 수직 조절 가능 요추 지지체를 포함하고, 상기 수직 조절 가능 요추 지지체는 착석한 사용자의 요추 영역의 가요성 등받이의 전방면에서의 지지력을 변경시키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47. The chair of claim 46, wherein the chair comprises a vertically adjustable lumbar support operably attached to the front face of the flexible back, wherein the vertically adjustable lumbar support is a front face of the flexible back of the lumbar region of the seated user. Chair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onfigured to change the bearing capacity in the. 제54항에 있어서, 상기 의자는 수직 조절 가능 요추 지지체와 수평 방향으로 활주 가능하게 결합하는 적어도 하나의 핸들을 포함하고, 상기 핸들은 수직 조절 가능 요추 지지체를 수직으로 조절하도록 가요성 등받이의 외주 모서리를 따라 추종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55. The chair of claim 54, wherein the chair comprises at least one handle slidably coupled in a horizontal direction with the vertically adjustable lumbar support, wherein the handle is at the outer edge of the flexible back to vertically adjust the vertically adjustable lumbar support Chair characterized in that configured to follow along. 제46항에 있어서, 상부 연결부는 상부 피벗 연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49. The chair as claimed in claim 46, wherein the upper connection comprises an upper pivot connection. 제56항에 있어서, 상부 피벗 연결부는 등받이 프레임 상의 T자형 돌출 커넥터와, 가요성 등받이 내의 결합 리세스를 포함하며, 상기 리세스는 가요성 등받이를 등받이 프레임에 부착하기 위하여 T자형 돌출 커넥터를 수용하여 마찰 결합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59. The connector of claim 56, wherein the upper pivot connection includes a T-shaped protruding connector on the backrest frame and a mating recess in the flexible backrest, the recess receiving the T-shaped protruding connector to attach the flexible backrest to the backrest frame. The chair, characterized in that configured to frictionally engage. 제46항에 있어서, 가요성 등받이는 가요성 등받이의 하부 모서리를 따라 부착된 벨트 브래킷을 포함하고, 벨트 브래킷은 하부 연결부들의 일부를 형성하는 플랜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47. The chair of claim 46, wherein the flexible back includes a belt bracket attached along the lower edge of the flexible back, wherein the belt bracket includes a flange that forms part of the lower connections. 제58항에 있어서, 하부 연결부들 중 하나에 부착된 조절 가능 비틀림 요추 지지 기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59. The chair of claim 58 including an adjustable torsional lumbar support mechanism attached to one of the lower connections. 제46항에 있어서, 등받이 프레임은 뒤집힌 곡선 아치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47. The chair as claimed in claim 46, wherein the back frame forms an inverted curved arch. 제46항에 있어서, 등받이 프레임은 내부 금속 보강체와, 상기 금속 보강체의 중간 섹션의 모든 측면들을 덮는 외부 폴리머 피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47. The chair as claimed in claim 46, wherein the back frame comprises an inner metal reinforcement and an outer polymer sheath covering all sides of the middle section of the metal reinforcement. 제46항에 있어서, 등받이 프레임은 시트의 후방부의 대향 측면들에 위치된 소정 형상의 단부들을 포함하고, 소정 형상의 단부들은 등받이 프레임에 대한 피벗 연결을 위한 제1 피벗부와 시트에 대한 피벗 연결을 위한 제2 피벗부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47. The backrest frame of claim 46, wherein the backrest frame includes ends of a predetermined shape located on opposite sides of the back of the seat, the ends of the predetermined shape pivoting to the seat and the first pivot for pivotal connection to the backrest frame. And a second pivot for forming the chair. 기부 조립체와,Base assembly, 직립 위치와 경사 작동 위치 사이에서 이동하도록 기부 조립체에 대해 피벗되는 등받이 프레임과,A backrest frame pivoted relative to the base assembly to move between an upright position and an inclined operating position; 상부 연결부에서 등받이 프레임에 작동 가능하게 부착되고 하부 연결부에서 의자에 작동 가능하게 부착된 가요성 등받이를 포함하며,A flexible back operatively attached to the back frame at the upper connection and operably attached to the chair at the lower connection, 상기 가요성 등받이는 하부 연결부에서 회전축을 형성하는 자체의 하부 모서리를 따라 위치된 전방 돌출 플랜지를 포함하고, 회전축은 가요성 등받이의 전방과 시트의 후방 섹션 부근에 위치되고, 상기 가요성 등받이는 흉부 부분, 골반 부분 및 굴곡 요추 부분을 포함하며, 착석한 사용자가 등의 하부 부분을 후방으로 굴곡시킬 때, 가요성 등받이의 골반 부분은 회전축을 중심으로 하방 및 후방으로 피벗 이동하고, 가요성 등받이의 척추 부분은 골반 부분과 더욱 평면으로 배열되도록 후방으로 굴곡 이동하며 등받이의 흉부 부분은 상부 연결부를 중심으로 피벗되도록 구성되어서, 상기 가요성 등받이는 등받이 프레임 및 기부 조립체와 조합하여 착석한 사용자의 몸통 및 척추를 굴곡시키고 이동시키는 착석한 사용자의 등에 대한 자세 지지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The flexible back includes a front protruding flange located along its lower edge forming a rotation axis at the lower connection, the rotation axis being located in front of the flexible back and near the rear section of the seat, the flexible back being the chest Part, pelvic part, and flexion lumbar spine, and when the seated user flexes the lower part of the back, the pelvic part of the flexible back pivots downward and backward about the axis of rotation, The vertebral portion flexes backwards to be more planarly aligned with the pelvis portion and the chest portion of the backrest is configured to pivot about the upper connection, such that the flexible back rests with the seated user's torso and Providing postural support for the seated back of a seated user that flexes and moves the spine. Chair according to claim. 제63항에 있어서, 착석한 사용자에 대한 최적의 요추 지지를 위하여 가요성 등받이를 전방 돌출 볼록 형상으로 비틀림 편의시키는 조절 가능 비틀림 요추 지지 스프링 기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64. The chair of claim 63, comprising an adjustable torsional lumbar support spring mechanism that biases the flexible back into a forward protruding convex shape for optimal lumbar support for the seated user. 제64항에 있어서, 가요성 등받이는 탄성 요추 섹션을 갖는 성형 셸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65. The chair of claim 64, wherein the flexible back comprises a molded shell having an elastic lumbar section. 제65항에 있어서, 상기 성형 셸의 하부 모서리에 부착된 벨트 브래킷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66. The chair as claimed in claim 65 comprising a belt bracket attached to the lower edge of the shaping shell. 제66항에 있어서, 가요성 등받이의 전방에 작동 가능하게 부착된 수직 조절 가능 요추 지지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67. The chair of claim 66, comprising a vertically adjustable lumbar support operably attached to the front of the flexible back. 제63항에 있어서, 상부 연결부는 기부 프레임 상의 돌출부와, 가요성 등받이 상의 결합 리세스를 포함하고, 리세스는 돌출부를 수용하여 돌출부와 마찰 결합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64. The chair of claim 63, wherein the upper connection comprises a protrusion on the base frame and a coupling recess on the flexible back, the recess configured to receive the protrusion and to frictionally engage the protrusion. 제63항에 있어서, 착석한 사용자의 요추 영역 내의 가요성 등받이의 전방면의 형상을 변경하도록 요추 영역 내의 가요성 등받이에 부착된 수직 조절 가능 요추 지지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65. The chair of claim 63, comprising a vertically adjustable lumbar support attached to the flexible back in the lumbar region to alter the shape of the front face of the flexible back in the lumbar region of the seated user. 제69항에 있어서, 수직 조절 가능 요추 지지체와 작동 가능하게 결합하고 수직 조절 가능 요추 지지체의 수직 조절 중에 가요성 등받이의 외주 모서리를 추종하도록 구성된 핸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70. The chair of claim 69, comprising a handle operatively coupled with the vertically adjustable lumbar support and configured to follow the outer periphery of the flexible back during vertical adjustment of the vertically adjustable lumbar support. 제63항에 있어서, 등받이 프레임은 가요성 등받이의 대향 측면들 상에 위치된 소정 형상의 단부를 구비하며, 상기 소정 형상의 단부는 등받이 경사 축과, 시트 경사 축과, 등받이 경사 축 및 시트 경사 축의 후방으로 위치된 등받이 셸 하부 경사 축을 한정하며, 등받이 셸 하부 경사 축은 조절 가능 비틀림 요추 지지 스프링 기구에 위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66. The backrest frame of claim 63, wherein the backrest frame has an end of a predetermined shape located on opposite sides of the flexible backrest, the end of the predetermined shape having a backrest tilt axis, a seat tilt axis, a backrest tilt axis, and a seat tilt. A backrest shell lower inclination axis positioned rearward of the axle, the backshell shell inclination axis being positioned in an adjustable torsional lumbar support spring mechanism. 제63항에 있어서, 가요성 등받이는 피복 쉬트를 포함하며, 피복 쉬트의 적어도 신장 가능 부분은 가요성 등받이의 굴곡 중에 피복 쉬트를 가요성 등받이 상에서 인장 상태로 유지하는 신장 가능 재료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66. The flexible backrest of claim 63, wherein the flexible back comprises a coated sheet, wherein at least the extensible portion of the coated sheet is of an extensible material that holds the coated sheet in tension on the flexible back during bending of the flexible back. Chair. 제72항에 있어서, 신장 가능 부분은 피복 쉬트의 하부 모서리에 재봉된 신장 직물의 스트립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73. The chair as claimed in claim 72, wherein the stretchable portion comprises a strip of stretch fabric sewn to the bottom edge of the sheath sheet. 제73항에 있어서, 가요성 등받이는 등받이 셸과, 신장 직물의 스트립에 부착된 돌기를 포함하며, 돌기는 등받이 셸의 하부 모서리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74. The chair of claim 73, wherein the flexible back includes a back shell and a protrusion attached to a strip of stretch fabric, the protrusion being secured to a lower edge of the back shell. 제74항에 있어서, 돌기는 신장 직물의 스트립의 모서리를 수용하는 노치를 포함하며, 상기 돌기는 상기 노치를 따라 신장 직물의 스트립에 재봉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75. The chair of claim 74, wherein the protrusion comprises a notch receiving an edge of the strip of stretch fabric, the protrusion being sewn on the strip of stretch fabric along the notch. 기부, 시트, 기부에 회전 가능하게 부착된 등받이 프레임, 및 등받이 프레임을 직립 위치를 향해 편의시키는 제1 에너지 기구를 구비하는 의자이며,A chair having a base, a seat, a backrest frame rotatably attached to the base, and a first energy mechanism for biasing the backrest frame toward an upright position, 착석한 사용자의 등을 이에 호응하여 지지하기 위하여 다양한 곡선 형상을 형성하도록 가요성 있게 굴곡 가능한 가요성 등받이와,A flexible back flexibly flexible to form various curved shapes to support the seated user's back in response thereto; 가요성 등받이를 제1 연결부에서 등받이 프레임에 피벗 가능하게 연결하는 전방 연장 플랜지를 갖는 벨트 브래킷과,A belt bracket having a front extension flange pivotally connecting the flexible back to the back frame at the first connection; 제2 에너지 기구를 포함하며,A second energy device, 상기 가요성 등받이는 제1 연결부로부터 수직으로 이격된 제2 위치에서 가요성 등받이를 등받이 프레임에 피벗 가능하게 연결하는 제2 연결부를 구비하여, 가요성 등받이는 제1 연결부 및 제2 연결부에 의해 제한된 범위에 걸쳐 이동하도록 구속되며,The flexible back has a second connection pivotally connecting the flexible back to the back frame at a second position vertically spaced from the first connection such that the flexible back is limited by the first connection and the second connection. Constrained to move across range, 상기 제2 에너지 기구는, 제1 연결부 및 제2 연결부 중 하나에 위치되어 브래킷을 편의시키고 가요성 등받이의 요추 부분을 의자에 대하여 전방으로 편의시키도록 구성된 힘 발생 기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The second energy mechanism includes a force generating mechanism positioned at one of the first connection portion and the second connection portion and configured to bias the bracket and to bias the lumbar region of the flexible back forward with respect to the chair. . 제76항에 있어서, 벨트 브래킷은 제1 연결부가 통상의 착석한 성인 사용자의 골반뼈와 정렬되는 위치에서 의자의 시트의 배면에 제1 연결부를 위치 설정하는 측면 플랜지를 포함하여, 착석한 성인 사용자가 등의 하부 부분을 후방으로 굴곡시킬 때, 등받이의 골반 부분은 하방 및 후방으로 이동하며, 등받이의 요추 부분은 골반 부분과 더욱 평면으로 배열되도록 가요성 있게 후방으로 이동하고, 등받이의 흉부 부분은 제2 연결부를 중심으로 피벗하며, 골반 부분과 흉부 부분은 요추 부분에 의해 굴곡 가능하게 상호 연결되어 있고 착석한 성인 사용자의 등의 이동에 고도로 호응하는 방식으로 이동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77. The seated adult user of claim 76, wherein the belt bracket includes a side flange that positions the first connection at the back of the seat of the chair in a position where the first connection is aligned with the pelvic bone of a conventional seated adult user. When the lower part of the back is bent backwards, the pelvic portion of the backrest moves downward and backward, the lumbar portion of the backrest flexibly moves backwards to align more flatly with the pelvic portion, and the chest portion of the backrest A chair pivoted about a second connection, wherein the pelvic and chest portions are flexibly interconnected by the lumbar region and configured to move in a highly responsive manner to the movement of the seated adult user's back. 기부 조립체와,Base assembly, 시트와,With sheets, 직립 위치와 경사 위치 사이에서 이동하도록 기부 조립체에 피벗되는 등받이 프레임과,A backrest frame pivoted on the base assembly to move between an upright position and an inclined position; 등받이 프레임, 시트 및 기부 조립체 중 하나에 대해 하부 연결부에서 피벗되는 전방 연장 플랜지를 구비하고, 고정된 상부 연결부에서 등받이 프레임에 대해 피벗되는 가요성 등받이를 포함하며,A flexible backrest having a front extension flange pivoted at the bottom connection for one of the backrest frame, the seat and the base assembly, and pivoted relative to the backrest frame at a fixed top connection, 하부 연결부는 가요성 등받이의 하부 전방 중심면으로부터 측방향으로 이격되어 있어, 착석한 성인 사용자의 등의 하부 부분 및 척추의 굴곡시 가요성 등받이가 호응하여 굴곡되어 착석한 성인 사용자의 등 및 척추의 굴곡에 추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 구조물.The lower connection is laterally spaced from the lower anterior center of the flexible back, so that the flexible back rests in response to the lower part of the seated back of the seated adult user and the back of the spine, Chair structure characterized in following the bending. 제78항에 있어서, 하부 연결부는 가요성 등받이의 플랜지를 등받이 프레임에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 구조물.79. The chair structure according to claim 78, wherein the lower connection portion connects the flange of the flexible back to the back frame. 제79항에 있어서, 가요성 등받이는 가요성 섹션에 의해 상호 연결된 비교적 강성인 상부 섹션 및 하부 섹션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 구조물.80. The chair structure according to claim 79, wherein the flexible back comprises a relatively rigid upper section and a lower section interconnected by flexible sections. 삭제delete 삭제delete 기부 조립체와,Base assembly, 시트와,With sheets, 기부 조립체에 대해 피벗되는 한 쌍의 소정 형상의 단부 섹션, 중간 상부 섹션, 상부 섹션으로부터 돌출한 T자형 상부 커넥터, 및 소정 형상의 단부 섹션에 있는 한 쌍의 하부 커넥터를 구비하는 뒤집힌 U자형 등받이 프레임과,Inverted U-shaped back frame with a pair of predetermined shaped end sections pivoted relative to the base assembly, an intermediate upper section, a T-shaped upper connector protruding from the upper section, and a pair of lower connectors in the shaped end section and, 상부 커넥터를 수용하고 이와 마찰 결합하도록 구성된 상부 리세스와, 하부 커넥터에 연결하도록 전방으로 소정 거리로 연장된 대향 플랜지들을 갖는 하부 모서리를 따른 벨트 브래킷을 포함하는 가요성 등받이와,A flexible back including an upper recess configured to receive and frictionally engage the upper connector, a belt bracket along a lower edge having opposite flanges extending a predetermined distance forward to connect to the lower connector; 시트의 배면에 근접한 위치에서 하부 커넥터에 대향 플랜지들을 피벗 가능하게 연결하는 연결 기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And a coupling mechanism for pivotally connecting the opposing flanges to the lower connector at a position proximate to the back of the seat. 제83항에 있어서, 가요성 등받이는 가요성 요추 섹션을 포함하고, 플랜지가 전방으로 연장되는 거리는 착석한 성인 사용자의 고관절로부터 착석한 사용자의 하부 척추뼈까지의 거리와 대략 동일하게 산정되도록 수 인치이어서, 가요성 등받이는 굴곡시 착석한 성인 사용자의 척추에 대한 계속적이고 편안한 지지를 제공하도록 호응하는 방식으로 굴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84. The system of claim 83, wherein the flexible back comprises a flexible lumbar section, and the distance the flange extends forward is estimated to be approximately equal to the distance from the hip joint of the seated adult user to the lower vertebra of the seated user. The chair is then curved in a responsive manner to provide continued and comfortable support for the spine of an adult user seated upon bending. 등받이 프레임과,Backrest frame, 가요성 등받이가 복수개의 다양한 볼록 형상으로 굴곡될 수 있도록, 특유의 가요성과 굴곡성을 갖는 전방 돌출 요추 지지 섹션을 갖는 고 가요성 등받이와,A highly flexible back with a protruding lumbar support section having unique flexibility and flexibility, such that the flexible back can be curved into a plurality of different convex shapes, 가요성 등받이를 등받이 프레임에 피벗 가능하게 연결하는 상부 연결부 및 하부 연결부와,Upper and lower connections pivotally connecting the flexible back to the back frame, 상기 가요성 등받이 및 등받이 프레임 중 적어도 하나에 작동 가능하게 부착된 조절 가능한 힘 발생 기구를 포함하며, An adjustable force generating mechanism operably attached to at least one of said flexible back and back frame, 상기 힘 발생 기구는 착석한 사용자의 등에 대한 최적의 요추 지지를 위하여 요추 지지 섹션을 전방으로 조절 가능하게 편의시키는 조절 가능한 편의력을 제공하도록 구성되지만, 가요성 등받이의 형상을 변화시키지는 않으면서 편의력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용 등받이 구조물.The force generating mechanism is configured to provide an adjustable comfort force that adjustably adjusts the lumbar support section forward for optimal lumbar support for the seated user's back, but without altering the shape of the flexible back. Chair back structure, characterized in that to provide. 등받이 프레임과,Backrest frame, 착석한 성인 사용자의 등에 대한 자세 지지와 편안한 지지를 제공할 수 있는 복수개의 다양한 볼록 형상으로 굴곡 가능하게 이동할 수 있는 전방 돌출 요추 지지 섹션을 갖는 고 가요성 등받이와,A highly flexible back with a forwardly protruding lumbar support section that can be flexibly moved into a plurality of different convex shapes that can provide posture support and comfortable support for the seated adult user's back 가요성 등받이를 등받이 프레임에 피벗 가능하게 연결하는 상부 연결부 및 하부 연결부와,Upper and lower connections pivotally connecting the flexible back to the back frame, 착석한 사용자의 등에 대한 최적의 요추 지지를 위하여 요추 지지 섹션을 전방으로 편의시키도록 가요성 등받이 및 등받이 프레임 중 하나 또는 모두에 작동 가능하게 부착되고, 하부 연결부에서 등받이 프레임 및 가요성 등받이에 작동 가능하게 장착된 조절 가능한 비틀림 힘 발생 기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용 등받이 구조물.Operatively attached to one or both of the flexible back and back frame to bias the lumbar support section forward for optimal lumbar support for the seated user's back and operable to the back frame and flexible back at the lower connection And an adjustable torsional force generating mechanism. 제86항에 있어서, 가요성 등받이는 요추 지지 섹션에 의해 상호 연결된 비교적 강성인 흉부 지지 섹션 및 비교적 강성인 골반 지지 섹션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용 등받이 구조물.87. The chair back structure of claim 86, wherein the flexible back comprises a relatively rigid chest support section and a relatively rigid pelvic support section interconnected by a lumbar support section. 제87항에 있어서, 요추 지지 섹션은 가요성 재료 쉬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용 등받이 구조물.88. The chair back structure of claim 87, wherein the lumbar support section comprises a flexible material sheet. 제86항에 있어서, 비틀림 힘 발생 기구는 스프링 및 핸들을 포함하고, 상기 핸들은 스프링의 장력을 조절하기 위해 감기거나 풀리도록 회전 가능하며, 상기 스프링은 가요성 등받이의 요추 지지 섹션을 전방 볼록 형상을 향해 편의시키도록 가요성 등받이와 등받이 프레임 사이에 작동 가능하게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용 등받이 구조물.87. The torsional force generating mechanism of claim 86, wherein the torsional force generating mechanism comprises a spring and a handle, the handle being rotatable to unwind or unwind to adjust the tension of the spring, the spring forwardly convex in the lumbar support section of the flexible back. Chair backrest structure, characterized in that it is operatively connected between the flexible backrest and the backrest frame to facilitate towards. 제89항에 있어서, 비틀림 힘 발생 기구는 스프링의 장력을 조절할 때 기계적 이점을 제공하도록 레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용 등받이 구조물.89. The chair back structure of claim 89, wherein the torsional force generating mechanism includes a lever to provide a mechanical advantage when adjusting the tension of the spring. 에너지원을 내부에 갖는 제어 하우징을 구비하는 기부 조립체와,A base assembly having a control housing having an energy source therein; 기부 조립체 상의 시트와,A sheet on the base assembly, 직립 위치와 경사 위치 사이에서 이동하도록 에너지원에 작동 가능하게 상호 연결된 등받이 지지체를 포함하며,A back support operably interconnected to the energy source to move between an upright position and an inclined position, 상기 등받이 지지체는 등받이 프레임 및 등받이 셸을 포함하고,The back support includes a back frame and a back shell, 상기 등받이 셸은 착석한 성인 사용자의 등 영역을 지지하도록 된 형상인 탄성 가요성 폴리머 쉬트를 포함하고, 의자 상의 골반 영역 내에 배치된 반강성 하부 영역과, 상기 하부 영역 위에 그리고 의자 상의 요추 영역 내에 배치된 가요성 중심 영역과, 의자 상의 흉부 영역 내에서 상기 중심 영역 위에 배치된 반강성 상부 영역을 구비하며,The back shell includes an elastic flexible polymer sheet shaped to support the back region of a seated adult user, and is disposed in a semi-rigid lower region disposed in the pelvic region on the chair, over the lower region and in the lumbar region on the chair. A flexible central region and a semi-rigid upper region disposed above said central region within the chest region on the chair, 상기 등받이 프레임은 상기 등받이 셸의 상부 영역을 등받이 프레임에 결합시키는 제1 부착부와, 상기 등받이 셸의 하부 영역을 등받이 프레임에 피벗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복수개의 제2 부착부를 포함하고,The back frame includes a first attachment portion for coupling the upper region of the backrest shell to the backrest frame, and a plurality of second attachment portions for pivotally coupling the lower region of the backrest shell to the backrest frame, 상기 제2 부착부는 착석한 동안 착석한 성인 사용자의 척추의 굴곡 중에 요추 영역에서의 착석한 성인 사용자의 척추의 연속적이고 편안한 지지를 보장하기 위하여 등받이를 지지하도록 요추 영역에서의 제어된 호응 방식으로 굴곡이 발생하도록 하부 영역의 이동을 구속하고, The second attachment flexes in a controlled and responsive manner in the lumbar region to support the backrest to ensure continuous and comfortable support of the spine of the seated adult user in the lumbar region during flexion of the spine of the seated adult user while seated. Constrains the movement of the lower region to occur, 상기 등받이 셸의 상기 중심 영역은 상기 등받이 지지체의 중심 영역의 일부분을 수평으로 가로질러 연장되는 상기 쉬트 내의 복수개의 수직으로 이격된 슬롯을 포함하며, 상기 슬롯은 상기 쉬트의 외주 모서리 이전에서 종료하여, 상기 슬롯은 상기 중심 영역에서 복수개의 긴 수평 탄성 스트랩을 한정하며, 각각의 스트랩은 성인 사용자가 의자에 착석한 때 착석한 성인 사용자에 대한 탄성 지지력을 제공하도록 하는 치수로 되어 있고,The central region of the backrest shell comprises a plurality of vertically spaced slots in the sheet extending horizontally across a portion of the central region of the backrest support, the slots ending before the outer peripheral edge of the sheet, The slots define a plurality of long horizontal elastic straps in the central area, each strap being dimensioned to provide elastic support for the adult user seated when the adult user is seated on the chair, 상기 등받이 셸의 하부 영역은 등받이 프레임의 제2 부착부에 피벗 가능하게 결합된 전방 연장 플랜지를 갖는 보강체를 포함하며, 상기 보강체 및 피벗 부착부는 착석한 사용자의 골반 영역의 적어도 일부분에 대한 이동 가능하고 확실한 지지를 제공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The lower region of the backrest shell includes a reinforcement having a front extension flange pivotally coupled to a second attachment portion of the backrest frame, the reinforcement and pivot attachment being moved relative to at least a portion of the pelvic area of the seated user. A chair characterized by providing possible and reliable support. 제91항에 있어서, 등받이 프레임은 제1 피벗부를 포함하고, 상기 등받이 프레임은 직립 위치와 경사 위치 사이에서의 등받이 지지체의 이동을 위하여 기부 조립체에 피벗 가능하게 부착되며, 제1 피벗부는 시트의 배면에 위치된 축과 대략 일치되어, 축이 착석한 성인 사용자의 고관절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92. The backrest frame of claim 91, wherein the backrest frame includes a first pivot portion, the backrest frame being pivotally attached to the base assembly for movement of the backrest support between an upright position and an inclined position, wherein the first pivot portion is a rear side of the seat. A chair, wherein the chair is approximately coincident with the axis positioned at and positioned on the hip joint of an adult user seated. 삭제delete 삭제delete 에너지원을 내부에 갖는 제어 하우징을 구비하는 기부 조립체와,A base assembly having a control housing having an energy source therein; 기부 조립체 상의 시트와,A sheet on the base assembly, 직립 위치와 경사 위치 사이에서 이동하도록 에너지원에 작동 가능하게 상호 연결된 등받이 지지체를 포함하며,A back support operably interconnected to the energy source to move between an upright position and an inclined position, 상기 등받이 지지체는 등받이 프레임 및 등받이 셸을 포함하고,The back support includes a back frame and a back shell, 상기 등받이 셸은 착석한 성인 사용자의 등 영역을 지지하도록 된 형상인 탄성 가요성 폴리머 쉬트를 포함하고, 의자 상의 골반 영역 내에 배치된 반강성 하부 영역과, 상기 하부 영역 위에 그리고 의자 상의 요추 영역 내에 배치된 가요성 중심 영역과, 의자 상의 흉부 영역 내에서 상기 중심 영역 위에 배치된 반강성 상부 영역을 구비하며,The back shell includes an elastic flexible polymer sheet shaped to support the back region of a seated adult user, and is disposed in a semi-rigid lower region disposed in the pelvic region on the chair, over the lower region and in the lumbar region on the chair. A flexible central region and a semi-rigid upper region disposed above said central region within the chest region on the chair, 상기 등받이 프레임은 상기 등받이 셸의 상부 영역을 등받이 프레임에 결합시키는 제1 부착부와, 상기 등받이 셸의 하부 영역을 등받이 프레임에 피벗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복수개의 제2 부착부를 포함하고,The back frame includes a first attachment portion for coupling the upper region of the backrest shell to the backrest frame, and a plurality of second attachment portions for pivotally coupling the lower region of the backrest shell to the backrest frame, 상기 제2 부착부는 착석한 동안 착석한 성인 사용자의 척추의 굴곡 중에 요추 영역에서의 착석한 성인 사용자의 척추의 연속적이고 편안한 지지를 보장하기 위하여 등받이를 지지하도록 요추 영역에서의 제어된 호응 방식으로 굴곡이 발생하도록 하부 영역의 이동을 구속하고, The second attachment flexes in a controlled and responsive manner in the lumbar region to support the backrest to ensure continuous and comfortable support of the spine of the seated adult user in the lumbar region during flexion of the spine of the seated adult user while seated. Constrains the movement of the lower region to occur, 상기 등받이 셸의 하부 영역을 등받이 프레임에 피벗 가능하게 결합하는 피벗 가능 제2 부착부는 등받이 셸의 중심 영역을 전방 방향으로 편의시키는 편의 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And a pivotable second attachment portion for pivotally coupling the lower region of the backrest shell to the backrest frame, comprising a convenience device for biasing the central region of the backrest shell in a forward direction. 제95항에 있어서, 상기 등받이 셸의 하부 영역은 등받이 프레임의 제2 부착부에 피벗 가능하게 결합된 전방 연장 플랜지를 포함하며, 상기 편의 장치는 상기 전방 연장 플랜지에 작동 가능하게 상호 연결된 비틀림 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 징으로 하는 의자.95. The system of claim 95, wherein the lower region of the backrest shell includes a front extension flange pivotally coupled to a second attachment portion of the backrest frame, wherein the convenience device includes a torsion spring operatively interconnected to the front extension flange. A chair characterized by including. 제96항에 있어서, 상기 편의 장치는 비틀림 스프링에서의 예비 장력을 조절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98. The chair as claimed in claim 96, wherein the biasing device comprises means for adjusting the pretension in the torsion spring. 에너지원을 내부에 갖는 제어 하우징을 구비하는 기부 조립체와,A base assembly having a control housing having an energy source therein; 기부 조립체 상의 시트와,A sheet on the base assembly, 직립 위치와 경사 위치 사이에서 이동하도록 에너지원에 작동 가능하게 상호 연결된 등받이 지지체를 포함하며,A back support operably interconnected to the energy source to move between an upright position and an inclined position, 상기 등받이 지지체는 등받이 프레임 및 등받이 셸을 포함하고,The back support includes a back frame and a back shell, 상기 등받이 셸은 착석한 성인 사용자의 등 영역을 지지하도록 된 형상인 탄성 가요성 폴리머 쉬트를 포함하고, 의자 상의 골반 영역 내에 배치된 반강성 하부 영역과, 상기 하부 영역 위에 그리고 의자 상의 요추 영역 내에 배치된 가요성 중심 영역과, 의자 상의 흉부 영역 내에서 상기 중심 영역 위에 배치된 반강성 상부 영역을 구비하며,The back shell includes an elastic flexible polymer sheet shaped to support the back region of a seated adult user, and is disposed in a semi-rigid lower region disposed in the pelvic region on the chair, over the lower region and in the lumbar region on the chair. A flexible central region and a semi-rigid upper region disposed above said central region within the chest region on the chair, 상기 등받이 프레임은 상기 등받이 셸의 상부 영역을 등받이 프레임에 결합시키는 제1 부착부와, 상기 등받이 셸의 하부 영역을 등받이 프레임에 피벗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복수개의 제2 부착부를 포함하고,The back frame includes a first attachment portion for coupling the upper region of the backrest shell to the backrest frame, and a plurality of second attachment portions for pivotally coupling the lower region of the backrest shell to the backrest frame, 상기 제2 부착부는 착석한 동안 착석한 성인 사용자의 척추의 굴곡 중에 요추 영역에서의 착석한 성인 사용자의 척추의 연속적이고 편안한 지지를 보장하기 위하여 등받이를 지지하도록 요추 영역에서의 제어된 호응 방식으로 굴곡이 발생하도록 하부 영역의 이동을 구속하고, The second attachment flexes in a controlled and responsive manner in the lumbar region to support the backrest to ensure continuous and comfortable support of the spine of the seated adult user in the lumbar region during flexion of the spine of the seated adult user while seated. Constrains the movement of the lower region to occur, 상기 등받이 셸의 하부 영역은 등받이 프레임의 피벗 가능 제2 부착부에서 회전축을 형성하는 전방 연장 플랜지를 포함하며, 상기 회전축은 착석한 성인 사용자가 사용자의 등의 하부 부분을 후방으로 굴곡시킨 때 등받이 셸의 하부 부분이 하방 및 후방으로 이동하고 등받이 셸의 중심 부분이 하부 부분과 더욱 평면으로 배열되도록 후방으로 굴곡되게 하기 위하여 회전축이 착석한 성인 사용자의 골반뼈에 근접하게 위치되도록 시트의 배면에 또는 그 후방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The lower region of the backrest shell includes a front extension flange defining a rotational axis at the pivotable second attachment portion of the backrest frame, the rotational axis when the seated adult user bends the lower part of the user's back backward. Or on the back of the seat such that the axis of rotation is positioned proximate to the pelvic bone of the seated adult user so that the lower portion of the arm moves downward and rearward and the central portion of the backrest shell is flexed rearward to align more flatly with the lower portion. A chair, characterized in that located in the rear. 에너지원을 내부에 갖는 제어 하우징을 구비하는 기부 조립체와,A base assembly having a control housing having an energy source therein; 기부 조립체 상의 시트와,A sheet on the base assembly, 직립 위치와 경사 위치 사이에서 이동하도록 에너지원에 작동 가능하게 상호 연결된 등받이 지지체를 포함하며,A back support operably interconnected to the energy source to move between an upright position and an inclined position, 상기 등받이 지지체는 등받이 프레임 및 등받이 셸을 포함하고,The back support includes a back frame and a back shell, 상기 등받이 셸은 착석한 성인 사용자의 등 영역을 지지하도록 된 형상인 탄성 가요성 폴리머 쉬트를 포함하고, 의자 상의 골반 영역 내에 배치된 반강성 하부 영역과, 상기 하부 영역 위에 그리고 의자 상의 요추 영역 내에 배치된 가요성 중심 영역과, 의자 상의 흉부 영역 내에서 상기 중심 영역 위에 배치된 반강성 상부 영역을 구비하며,The back shell includes an elastic flexible polymer sheet shaped to support the back region of a seated adult user, and is disposed in a semi-rigid lower region disposed in the pelvic region on the chair, over the lower region and in the lumbar region on the chair. A flexible central region and a semi-rigid upper region disposed above said central region within the chest region on the chair, 상기 등받이 프레임은 상기 등받이 셸의 상부 영역을 등받이 프레임에 결합시키는 제1 부착부와, 상기 등받이 셸의 하부 영역을 등받이 프레임에 피벗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복수개의 제2 부착부를 포함하고,The back frame includes a first attachment portion for coupling the upper region of the backrest shell to the backrest frame, and a plurality of second attachment portions for pivotally coupling the lower region of the backrest shell to the backrest frame, 상기 제2 부착부는 착석한 동안 착석한 성인 사용자의 척추의 굴곡 중에 요추 영역에서의 착석한 성인 사용자의 척추의 연속적이고 편안한 지지를 보장하기 위하여 등받이를 지지하도록 요추 영역에서의 제어된 호응 방식으로 굴곡이 발생하도록 하부 영역의 이동을 구속하고, The second attachment flexes in a controlled and responsive manner in the lumbar region to support the backrest to ensure continuous and comfortable support of the spine of the seated adult user in the lumbar region during flexion of the spine of the seated adult user while seated. Constrains the movement of the lower region to occur, 상기 등받이 프레임은 곡선형 아치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And said back frame forms a curved arch. 제91항에 있어서, 등받이 프레임은 탄성 폴리머 피복 내에 둘러싸인 내부 금속 보강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92. The chair as claimed in claim 91, wherein the back frame comprises an inner metal reinforcement enclosed in an elastomeric sheath. 제91항에 있어서, 상기 의자는 기부 조립체 상에 작동 가능하게 장착된 시트를 포함하며, 상기 시트는 등받이 지지체를 에너지원에 상호 연결하는 링크를 형성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92. The chair of claim 91, wherein the chair comprises a seat operably mounted on a base assembly, wherein the seat forms a link interconnecting the back support to an energy source. 에너지원을 내부에 갖는 제어 하우징을 구비하는 기부 조립체와,A base assembly having a control housing having an energy source therein; 기부 조립체에 이동 가능하게 지지된 등받이 조립체를 포함하며,A backrest assembly movably supported on the base assembly, 상기 등받이 조립체는, 등받이 프레임 및 적어도 하나의 연결부에 의해 등받이 프레임에 연결된 등받이 셸을 구비하고 에너지원에 작동 가능하게 상호 연결된 등받이 지지체와, 등받이 셸의 전방면 상의 쿠션과, 등받이 셸의 전방에 위치된 수직 조절 가능 요추 지지체를 포함하고,The backrest assembly includes a backrest support having a backrest frame and a backrest shell connected to the backrest frame by at least one connection and operably interconnected to an energy source, a cushion on the front face of the backrest shell, and positioned in front of the backrest shell. Includes a vertically adjustable lumbar support, 상기 등받이 셸은 착석한 성인 사용자의 등을 지지하도록 된 탄성 가요성 중합체 쉬트를 포함하며, 상기 쉬트는 의자 상의 골반 영역 내에 배치된 하부 영역과, 의자 상의 요추 영역 내에 그리고 상기 하부 영역 위에 배치된 중심 영역과, 상기 중심 영역 위에 그리고 의자 상의 흉부 영역 내에 배치된 상부 영역을 포함하며,The back shell includes an elastic flexible polymer sheet adapted to support the back of a seated adult user, the sheet having a lower region disposed within the pelvic region on the chair and a center disposed within and above the lumbar region on the chair. An area and an upper area disposed above the central area and within a chest area on the chair, 상기 요추 지지체는 요추 영역에서 등받이의 전방면의 형상을 변경하기 위하여 수직 조절하도록 구성되고 등받이 지지체 상에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며, 상기 수직으로 조절 가능한 요추 지지체는 등받이 셸의 소정 형상의 평행하지 않게 대향하는 외주 모서리와 결합하고 이를 추종하도록 구성된 측방향으로 연장되는 핸들을 포함하고, 상기 핸들은 핸들이 외주 모서리를 측방향으로 추종하는 상태로 그리고 추종 상태로부터 벗어나게 조절할 수 있도록 수직 조절 가능 요추 지지체와 활주 가능하게 결합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The lumbar support is configured to vertically adjust to change the shape of the front face of the backrest in the lumbar region and is movably supported on the backrest support, the vertically adjustable lumbar support facing non-parallel to the predetermined shape of the backrest shell. And a laterally extending handle configured to engage and follow the outer circumferential edge, wherein the handle slides with the vertically adjustable lumbar support so that the handle can be adjusted laterally and out of the following state. Chair characterized in that configured to possibly combine. 상부 모서리를 갖는 대향 플랜지들을 구비한 제어 하우징과, 제어 하우징의 상부 모서리에 부착된 윤활 캡을 포함하는 기부 조립체와,A base assembly comprising a control housing having opposing flanges having a top edge, a lubrication cap attached to the top edge of the control housing, 직립 위치와 경사 위치 사이에서 이동하도록 등받이 피벗부에서 기부 조립체에 대해 피벗되는 등받이 프레임과,A backrest frame pivoted relative to the base assembly at the backrest pivot to move between an upright position and an inclined position; 기부 조립체 및 등받이 프레임 상에 작동 가능하게 지지된 시트 지지 구조물을 포함하며,A seat support structure operatively supported on the base assembly and the back frame, 상기 윤활 캡은 활주 부재와 활주 가능하게 결합하는 트랙을 형성하는 상부면을 포함하고,The lubrication cap includes an upper surface defining a track slidably engaging the sliding member, 상기 시트 지지 구조물은 수평 활주 이동하도록 제어 하우징과 활주 가능하게 결합하는 활주 부재와, 전방 시트 피벗부에서 활주 부재에 대해 피벗되고 후방 시트 피벗부에서 등받이 프레임에 대해 피벗되는 시트 캐리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The seat support structure includes a sliding member slidably engaged with the control housing for horizontal sliding movement, and a seat carrier pivoted relative to the sliding member at the front seat pivot and pivoted against the back frame at the rear seat pivot. Chair. 제103항에 있어서, 상기 의자는 시트 지지 구조물에 부착된 시트 셸을 포함하며, 상기 시트 셸은 통상의 착석한 성인 사용자의 신체를 편안하게 지지하도록 구성된 후방 섹션과, 착석한 성인 사용자의 둔부를 지지하고 착석한 성인 사용자의 중량의 대부분을 편안하게 지지하도록 구성된 전방 섹션과, 후방 섹션과 전방 섹션을 연결하는 가요성 구역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103. The seat of claim 103, wherein the chair comprises a seat shell attached to a seat support structure, the seat shell configured to comfortably support the body of a conventional seated adult user, and the buttocks of a seated adult user. A chair comprising a front section configured to comfortably support most of the weight of a supported and seated adult user, and a flexible section connecting the rear section and the front section. 제104항에 있어서, 상기 의자는 시트 지지 구조물과 전방 섹션 사이에서 연장되는 가스 스프링을 포함하며, 상기 가스 스프링은 해제 가능 자동 로킹식 장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107. The chair of claim 104, wherein the chair comprises a gas spring extending between the seat support structure and the front section, the gas spring being a releasable automatic locking device. 제105항에 있어서, 시트 지지 구조물 및 전방 섹션에 대해 피벗되고 가스 스프링에 작동 가능하게 연결된 굴곡 로드 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105. The chair as claimed in claim 105, comprising a curved rod shaft pivoted about the seat support structure and the front section and operably connected to the gas spring. 제104항에 있어서, 시트 지지 구조물 상에서 전방 섹션을 작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판 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107. The chair of claim 104, comprising a leaf spring operably supporting the front section on the seat support structure. 제103항에 있어서, 제어 하우징 내에 위치되고 활주 부재에 작동 가능하게 연결된 스프링 기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103. A chair as claimed in claim 103, comprising a spring mechanism positioned in the control housing and operably connected to the sliding member. 제108항에 있어서, 스프링 기구는 제어 하우징 내에 횡방향으로 위치된 스프링을 포함하고, 제어 하우징에 대해 작동 가능하게 피벗되는 레버를 추가로 포함하며, 레버는 스프링과 작동 가능하게 결합하는 일단부와 시트 지지 구조물과 작동 가능하게 결합하는 타단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109. The spring device of claim 108, wherein the spring mechanism further comprises a spring positioned laterally within the control housing, further comprising a lever operatively pivoted relative to the control housing, the lever having one end operatively engaged with the spring. And a second end operatively engaged with the seat support structure. 제어 하우징을 포함하는 기부 조립체와,A base assembly comprising a control housing, 직립 위치와 경사 위치 사이에서 이동하도록 등받이 피벗부에서 기부 조립체에 대해 피벗되는 등받이 프레임과,A backrest frame pivoted relative to the base assembly at the backrest pivot to move between an upright position and an inclined position; 수평 활주 이동을 위해 제어 하우징과 활주 가능하게 결합하는 활주 부재와 전방 시트 피벗부에서 활주 부재에 대해 피벗되며 또한 후방 시트 피벗부에서 등받이 프레임에 대해 피벗되는 시트 캐리어를 포함하고, 기부 조립체와 등받이 프레임 상에 작동 가능하게 지지되는 시트 지지 구조물과,A slide member slidably engaging the control housing for horizontal slide movement and a seat carrier pivoted against the slide member at the front seat pivot and pivoted against the back frame at the rear seat pivot, the base assembly and the back frame A sheet support structure operatively supported on the substrate, 제어 하우징 내에 위치되고, 활주 부재에 작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제어 하우징 내에 횡방향으로 위치되는 스프링을 포함하며, 제어 하우징에 대해 작동 가능하게 피벗되고 스프링과 작동 가능하게 결합하는 일단부와 시트 지지 구조물과 작동 가능하게 결합하는 타단부를 갖는 레버를 추가로 포함하는 스프링 기구와, One end and seat support structure positioned within the control housing, the spring operatively connected to the sliding member and laterally positioned within the control housing, the spring operatively pivoted with respect to the control housing and operatively engaged with the spring; A spring mechanism further comprising a lever having a second end that is operatively coupled; 레버와의 인터페이싱 표면들을 가지며 그 중 적어도 하나의 표면은 장치가 랙-피니언과 같이 작동하도록 곡선이며, 스프링이 작용하는 모멘트 아암의 길이를 조절하기 위해 레버 상의 지지점을 변경하도록 조절 가능하도록 된 피벗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A pivot member having interfacing surfaces with the lever and at least one surface of which is curved such that the device acts like a rack-pinion and is adjustable to change the support point on the lever to adjust the length of the moment arm on which the spring acts. Chair comprising a. 제110항에 있어서, 제어 하우징 내에 위치되는 등받이 정지부를 포함하고, 등받이 정지부는 등받이 프레임의 경사를 제한하기 위해 시트 지지 구조물과 결합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119. The chair of claim 110, comprising a backrest stop located within the control housing, the backrest stop configured to engage the seat support structure to limit the inclination of the backrest frame. 제111항에 있어서, 등받이 정지부는 직립 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제어 하우징에 대해 피벗된 캠을 포함하고, 캠은 시트 지지 구조물과 결합하도록 선택적으 로 위치될 수 있는 복수개의 단차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119. The backrest stop of claim 111, wherein the backrest includes a cam pivoted about the control housing to rotate about an upright axis, wherein the cam includes a plurality of steps that can be selectively positioned to engage the seat support structure. Chair. 제어 하우징을 포함하는 기부 조립체와,A base assembly comprising a control housing, 직립 위치와 경사 위치 사이에서 이동하도록 등받이 피벗부에서 기부 조립체에 대해 피벗되는 등받이 프레임과,A backrest frame pivoted relative to the base assembly at the backrest pivot to move between an upright position and an inclined position; 수평한 활주 이동을 위해 제어 하우징과 활주 가능하게 결합하는 활주 부재와 전방 시트 피벗부에서 활주 부재에 대해 피벗되며 또한 후방 시트 피벗부에서 등받이 프레임에 대해 피벗되는 시트 캐리어를 포함하고, 기부 조립체와 등받이 프레임 상에 작동 가능하게 지지되는 시트 지지 구조물과,A slide member slidably engaging the control housing for horizontal slide movement and a seat carrier pivoted against the slide member at the front seat pivot and pivoted against the back frame at the rear seat pivot, the base assembly and the backrest A seat support structure operatively supported on the frame, 선택적인 깊이 조절을 위해 시트 지지 구조물 상에 활주 가능하게 지지됨으로써 시트 셸의 깊이가 등받이 프레임에 대하여 선택적으로 조절될 수 있는 시트 셸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And a seat shell slidably supported on the seat support structure for selective depth adjustment such that the depth of the seat shell can be selectively adjusted relative to the backrest frame. 트랙을 한정하는 측벽들을 구비한 제어 하우징을 포함하는 기부 조립체와,A base assembly comprising a control housing having sidewalls defining a track; 트랙과 활주 가능하게 결합하는 베어링이 구비된 전방부 및 후방부를 구비하며, 굴곡 지지되는 전방부를 갖는 시트 셸을 포함하는 시트와,A seat having a front part and a rear part having a bearing slidably engaged with the track, the seat including a seat shell having a front part bent and supported; 기부 조립체에 대해 피벗되고, 직립 위치와 경사 위치 사이에서 이동하도록 시트에 대해 독립적으로 피벗되는 등받이와, A backrest pivoted relative to the base assembly and independently pivoted relative to the seat to move between an upright position and an inclined position, 중앙 하우징 내에 위치되고, 시트를 후방으로 편의시키도록 시트에 작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제어 하우징 내에 위치되는 신장/압축 스프링과 제어 하우징에 대해 피벗되는 레버를 포함하며, 등받이를 직립 위치로 편의시키도록 스프링으로부터 시트에 에너지를 전달하는 스프링이 구비된 모멘트 아암을 한정하는 스프링 기구와,Located in the central housing, operatively connected to the seat to bias the seat rearward, and comprising a lever pivoted relative to the control housing and an elongation / compression spring positioned within the control housing to bias the backrest into an upright position. A spring mechanism defining a moment arm with a spring for transferring energy from the spring to the seat, 셸의 전방부와 통상의 착석한 성인 사용자의 무게를 지지하도록 된 시트의 나머지 부분 사이를 작동 가능하게 연결하며, 시트의 나머지 부분에 대한 전방부의 위치를 조절하도록 작동 가능한 가스 스프링을 포함하며,An operative connection between the front portion of the shell and the rest of the seat adapted to support the weight of a typical seated adult user, the gas spring operable to adjust the position of the front relative to the rest of the seat, 상기 시트의 후방부는 등받이의 경사시 시트가 전방으로 이동하고 시트 후방부가 동기 이동식으로 전방 및 하방으로 이동하도록 등받이에 대해 피봇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And the rear portion of the seat is pivoted relative to the back so that the seat moves forward when the backrest is inclined and the seat rear portion moves forward and downward synchronously. 제114항에 있어서, 가스 스프링은 자동 로킹 및 해제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119. The chair of claim 114, wherein the gas spring is automatically lockable and unlockable. 제115항에 있어서, 시트에 연결되며, 조절을 위해 가스 스프링을 해제하도록 가스 스프링에 작동 가능하게 연결된 링크를 구비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116. The chair of claim 115, comprising a control unit coupled to the seat and having a link operatively connected to the gas spring to release the gas spring for adjustment. 트랙을 한정하는 측벽들을 구비한 제어 하우징을 포함하는 기부 조립체와,A base assembly comprising a control housing having sidewalls defining a track; 트랙과 활주 가능하게 결합하는 베어링이 구비된 전방부 및 후방부를 구비하며, 굴곡 지지된 전방부를 갖는 시트 셸을 포함하는 시트와,A seat having a front part and a rear part having a bearing slidably engaging the track, the seat comprising a seat shell having a bent support front part; 기부 조립체에 대해 피벗되고, 직립 위치와 경사 위치 사이에서 이동하도록 시트에 대해 독립적으로 피벗되는 등받이와, A backrest pivoted relative to the base assembly and independently pivoted relative to the seat to move between an upright position and an inclined position, 중앙 하우징 내에 위치되고, 시트를 후방으로 편의시키도록 시트에 작동 가능하게 연결되며 제어 하우징 내에 위치된 신장/압축 스프링과 제어 하우징에 대해 피벗되는 레버를 포함하며, 등받이를 직립 위치로 편의시키도록 스프링으로부터 시트로 에너지를 전달하는 스프링을 구비한 모멘트 아암을 한정하는 스프링 기구와,Located in the central housing, including an extension / compression spring operatively connected to the seat to bias the seat rearward and a lever pivoted relative to the control housing, the spring to bias the backrest to an upright position. A spring mechanism defining a moment arm with a spring for transferring energy from the sheet to the seat, 시트의 전방 섹션과 나머지 부분 사이에 위치되어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판 스프링을 포함하며, A leaf spring positioned between the front section of the seat and the rest of the seat to support elastically, 상기 시트의 후방부는 등받이의 경사시 시트가 전방으로 이동하고 시트 후방부가 동기 이동식으로 전방 및 하방으로 이동하도록 등받이에 대해 피벗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And the rear portion of the seat is pivoted relative to the backrest such that the seat moves forward when the backrest tilts and the seat back portion moves forward and downward synchronously. 트랙을 형성하는 측벽들을 구비한 제어 하우징을 포함하는 기부 조립체와,A base assembly comprising a control housing having sidewalls forming a track; 트랙과 활주 가능하게 결합하는 베어링이 구비된 전방부 및 후방부를 구비하며, 시트 셸 및 등받이 대한 시트 셸의 깊이를 조절하도록 깊이 조절 구조물을 포함하는 시트와,A seat having a front portion and a rear portion with bearings slidably engaged with the track, the seat comprising a depth adjusting structure to adjust the depth of the seat shell to the seat shell and the backrest; 기부 조립체에 대해 피벗되고, 직립 위치와 경사 위치 사이에서 이동하도록 시트에 대해 독립적으로 피벗되는 등받이와, A backrest pivoted relative to the base assembly and independently pivoted relative to the seat to move between an upright position and an inclined position, 중앙 하우징 내에 위치되고, 시트를 후방으로 편의시키도록 시트에 작동 가능하게 연결되며, 제어 하우징 내에 위치되는 신장/압축 스프링과 제어 하우징에 대해 피벗되는 레버를 포함하며, 등받이를 직립 위치로 편의시키도록 스프링으로부터 시트로 에너지를 전달하는 스프링을 구비한 모멘트 아암을 한정하는 스프링 기구를 포함하며,Located in the central housing and operably connected to the seat to bias the seat rearward, the extension / compression spring positioned within the control housing and a lever pivoted relative to the control housing, for biasing the backrest to an upright position. A spring mechanism defining a moment arm with a spring for transferring energy from the spring to the seat, 상기 시트의 후방부는 등받이의 경사시 시트가 전방으로 이동하고 시트 후방부가 동기 이동식으로 전방 및 하방으로 이동하도록 등받이에 대해 피벗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And the rear portion of the seat is pivoted relative to the backrest such that the seat moves forward when the backrest tilts and the seat back portion moves forward and downward synchronously. 제118항에 있어서, 시트는 시트 셸을 지지하는 시트 캐리어와 시트 캐리어 상의 셸과 활주 가능하게 결합하는 선형 베어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119. The chair of claim 118, wherein the seat comprises a seat carrier supporting the seat shell and a linear bearing slidably engages the shell on the seat carrier. 제119항에 있어서, 셸을 선택된 깊이 위치에 보유하기 위해 시트 캐리어와 셸 사이에서 작동 가능하게 연장되는 래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119. The chair of claim 119 including a latch operatively extending between the seat carrier and the shell to hold the shell in a selected depth position. 제120항에 있어서, 래치를 작동시키도록 시트에 연결된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121. The chair as claimed in claim 120, comprising a control coupled to the seat to actuate the latch. 제어 하우징을 포함하는 기부 조립체와,A base assembly comprising a control housing, 직립 위치와 완전한 경사 위치 사이에서 이동하도록 기부 조립체에 대해 피 벗되는 경사 가능 등받이 프레임과,An inclined backrest frame which is skinned relative to the base assembly to move between an upright position and a complete inclined position; 제어 하우징 상에 활주 가능하게 지지되며 등받이 프레임 상에 피벗 가능하게 지지되는 시트와,A seat slidably supported on the control housing and pivotally supported on the back frame; 완전한 경사 위치에 도달하기 전에 시트를 정지시킴과 동시에 선택된 위치에서 등받이의 경사를 정지시키기 위해 시트와 결합하도록 기부 조립체 상에 작동 가능하게 지지되고, 시트-결합 부재와 시트-결합 부재를 조절 가능하게 이동시키는 작동기 레버를 구비하는 가변 등받이 정지 기구를 포함하며,Operatively supported on the base assembly to engage the seat to stop the seat at the same position and stop the tilt of the backrest at the selected position prior to reaching the full inclined position, and to adjust the seat-engaging member and the seat-engaging member A variable back stop mechanism having an actuator lever for moving, 상기 시트-결합 부재와 레버는 미끄럼 방지 결합을 제공하기 위해 상호 맞물림 치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And the seat-engaging member and the lever comprise interlocking teeth to provide a non-slip engagement. 제122항에 있어서, 시트-결합 부재는 시트와 선택적으로 결합하도록 형성된 단차들을 갖는 이동 가능한 캠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123. The chair as recited in claim 122, wherein the seat-binding member comprises a movable cam having steps formed to selectively engage the seat. 제123항에 있어서, 가변 등받이 정지 기구는 단차들 중 특정한 하나의 단차가 시트와 결합하도록 위치되는 선택된 정지 위치에서 캠을 보유하기 위한 스프링 멈춤쇠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124. The chair of claim 123, wherein the variable back stop mechanism includes a spring detent for retaining the cam at a selected stop position where a particular one of the steps is positioned to engage the seat. 제124항에 있어서, 특정한 하나의 단차를 선택하도록 캠을 회전시키기 위해 캠에 연결된 작동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124. The chair as recited in claim 124, comprising an actuator coupled to the cam to rotate the cam to select a particular one step. 제어 하우징을 포함하는 기부 조립체와,A base assembly comprising a control housing, 직립 위치와 완전한 경사 위치 사이에서 이동하도록 기부 조립체에 대해 피벗되는 경사 가능 등받이 프레임과,A tiltable back frame pivoted relative to the base assembly to move between an upright position and a full tilt position; 제어 하우징 상에 활주 가능하게 지지되고, 등받이 프레임 상에 피벗 가능하게 지지되는 시트와,A seat slidably supported on the control housing and pivotally supported on the back frame; 완전한 경사 위치에 도달하기 전에 시트를 정지시킴과 동시에 선택된 위치에서 등받이의 경사를 정지시키기 위해 시트와 결합하도록 기부 조립체 상에 작동 가능하게 지지되는 가변 등받이 정지 기구와,A variable back stop mechanism operably supported on the base assembly to engage the seat to stop the seat at the same time and stop the tilt of the backrest at the selected position before reaching the complete tilt position; 특정한 하나의 단차를 선택하도록 캠을 회전시키기 위해 캠에 연결되고 제어 하우징에 대해 피벗되는 레버를 구비한 작동기를 포함하며, An actuator with a lever connected to the cam and pivoted relative to the control housing to rotate the cam to select a particular one step, 상기 가변 등받이 정지 기구는 시트와 선택적으로 결합하도록 형성된 단차가 구비된 이동 가능한 캠을 포함하고, 단차들 중 특정한 하나의 단차가 시트와 결합하도록 선택된 정지 위치에서 캠을 보유하는 스프링 멈춤쇠를 추가로 포함하고,The variable back stop mechanism includes a moveable cam having a step formed to selectively engage the seat, and further comprising a spring detent that holds the cam at a stop position selected such that a particular step of the step engages the seat. Including, 상기 레버와 캠은 상호 맞물림 치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And said lever and cam comprise interlocking teeth. 제126항에 있어서, 작동기는 레버에 작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회전 가능한 핸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126. The chair of claim 126, wherein the actuator comprises a rotatable handle operably connected to the lever. 제127항에 있어서, 작동기는 핸들을 레버에 연결하는 로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127. The chair of claim 127 wherein the actuator comprises a rod connecting the handle to the lever. 제127항에 있어서, 핸들은 반경 방향 연장 돌기를 포함하고, 핸들이 제1 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것을 허용하고 레버가 비스듬하며 제1 축과 평행하지 않은 제2 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것을 허용하는 피벗/활주 조인트에 의해 레버에 연결되며, 레버의 핸들 구동 회전은 감기지 않으면서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 129. The pivot of claim 127, wherein the handle includes a radially extending protrusion, the pivot allowing the handle to rotate about a first axis and the lever to rotate about a second axis that is oblique and not parallel to the first axis. Chair connected to the lever by a slide joint, wherein the handle drive rotation of the lever is not wound. 제어 하우징을 포함하는 기부 조립체와,A base assembly comprising a control housing, 직립 위치와 완전한 경사 위치 사이에서 이동하도록 기부 조립체에 대해 피벗되는 경사 가능 등받이 프레임과,A tiltable back frame pivoted relative to the base assembly to move between an upright position and a full tilt position; 제어 하우징 상에 활주 가능하게 지지되며 등받이 프레임 상에 피벗 가능하게 지지되는 시트와,A seat slidably supported on the control housing and pivotally supported on the back frame; 완전한 경사 위치에 도달하기 전에 시트를 정지시킴과 동시에 선택된 위치에 등받이의 경사를 정지시키도록 시트와 결합하기 위해 기부 조립체 상에 작동 가능하게 지지되며, 시트와 선택적으로 결합하는 형상의 단차들이 구비된 이동 가능한 캠을 포함하고, 캠은 시트와 결합하는 위치에서 단차를 선택적으로 보유하는 멈춤쇠와 결합하도록 된 파형 표면을 추가로 포함하고, 캠을 작동시키는 작동기 상의 정합 치형과 결합하도록 된 치형을 추가로 포함하는 가변 등받이 정지 기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It is operably supported on the base assembly to engage the seat to stop the seat and stop the tilt of the backrest at the selected position before reaching the complete tilted position, provided with steps shaped to selectively engage the seat. A movable cam, the cam further comprising a corrugated surface adapted to engage a detent that selectively retains the step in position to engage the seat, and add a tooth adapted to engage a mating tooth on the actuator actuating the cam Chair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variable back stop mechanism including. 통상의 착석한 성인 사용자의 대퇴부를 편안하게 지지하는 형상의 전방 섹션과, 착석한 성인 사용자의 둔부를 편안하게 지지하는 형상의 후방 섹션과, 전방 섹션과 후방 섹션을 연결하는 가요성 중간 섹션을 포함하고, 전방 섹션은 중간 또는 전방에 시트 셸 상에 위치되고 착석한 성인 사용자의 고관절의 예상 위치의 대체로 전방에 위치되어 있어서 대부분의 성인 사용자의 경우 착석한 성인 사용자의 무게는 대체로 후방 섹션에 의해 지지되도록 된 탄성적으로 가요성이 있는 시트 셸과,A front section shaped to comfortably support the thighs of a conventional seated adult user, a rear section shaped to comfortably support the buttocks of a seated adult user, and a flexible intermediate section connecting the front and rear sections And the anterior section is positioned on the seat shell in the middle or anterior and is generally forward of the expected position of the seated adult user's hip joint so that for most adult users the weight of the seated adult user is generally supported by the posterior section. Elastically flexible seat shells, 시트 셸 상에 지지되는 시트 쿠션과,A seat cushion supported on the seat shell, 셸의 후방 섹션을 지지하며, 가요성 중간 섹션 하부에서 연장되는 전방 연장 섹션을 포함하고 가요성 중간 섹션 하부에서 이격되어 가요성 중간 섹션과 연결되지 않는 팬형 시트 캐리어와,A fan-shaped seat carrier supporting the rear section of the shell, the fan-shaped seat carrier comprising a front extension section extending below the flexible middle section and spaced apart below the flexible middle section and not connected to the flexible middle section, 착석한 성인 사용자에게 최적의 대퇴부 압력 및 지지를 제공하기 위해 전방 섹션이 후방 섹션에 대하여 조절 가능하도록 시트 캐리어의 전방 연장 섹션 상에서 시트 셸의 전방 섹션을 작동 가능하게 지지하며 예비 인장된 횡방향 판 스프링을 포함하는 조절 가능한 대퇴부 굴곡 지지 기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의 시트 구조물.Pre-tensioned transverse leaf springs operably supporting the front section of the seat shell on the front extension section of the seat carrier such that the front section is adjustable relative to the rear section to provide optimal thigh pressure and support for the seated adult user. Seat structure of a chair comprising an adjustable femoral flexion support mechanism comprising a. 통상의 착석한 성인 사용자의 대퇴부를 편안하게 지지하는 형상의 전방 섹션과, 착석한 어른 사용자의 둔부를 편안하게 지지하는 형상의 후방 섹션과, 전방 섹션과 후방 섹션을 연결하는 가요성 중간 섹션을 포함하고, 전방 섹션은 중간 또는 전방에 시트 셸 상에 위치되고 착석한 성인 사용자의 고관절의 예상 위치의 대체로 전방에 위치되어 있어서 대부분의 성인 사용자의 경우 착석한 어른 사용자의 무게는 대체로 후방 섹션에 의해 지지되도록 된 탄성적으로 가요성이 있는 시트 셸과,A front section shaped to comfortably support the thighs of a conventional seated adult user, a rear section shaped to comfortably support the buttocks of a seated adult user, and a flexible intermediate section connecting the front and rear sections And the anterior section is positioned on the seat shell in the middle or anterior and is generally forward of the expected position of the seated adult user's hip joint so that for most adult users the weight of the seated adult user is generally supported by the posterior section. Elastically flexible seat shells, 시트 셸 상에 지지되는 시트 쿠션과,A seat cushion supported on the seat shell, 셸의 후방 섹션을 지지하며, 가요성 중간 섹션 하부에서 연장되는 전방 연장 섹션을 포함하고 가요성 중간 섹션 하부에서 이격되어 가요성 중간 섹션과 연결되지 않는 팬형 시트 캐리어와,A fan-shaped seat carrier supporting the rear section of the shell, the fan-shaped seat carrier comprising a front extension section extending below the flexible middle section and spaced apart below the flexible middle section and not connected to the flexible middle section, 착석한 성인 사용자에게 최적의 대퇴부 압력 및 지지를 제공하기 위해 전방 섹션이 후방 섹션에 대하여 조절 가능하도록 시트 캐리어의 전방 연장 섹션 상에서 시트 셸의 전방 섹션을 작동 가능하게 지지하며 굴곡 로드 축과 굴곡 로드 축을 회전시킨 후에 굴곡 로드 축을 선택된 방향으로 보유하는 해제 가능하게 로킹 가능한 가스 스프링을 포함하는 조절 가능한 대퇴부 굴곡 지지 기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의 시트 구조물.The flexure rod axis and the flexure rod axis are operably supported on the forward extension section of the seat carrier so that the forward section is adjustable relative to the posterior section to provide optimal thigh pressure and support to the seated adult user. And an adjustable thigh flexure support mechanism comprising a releasably lockable gas spring that holds the flexure rod axis in a selected direction after rotation. 통상의 착석한 성인 사용자를 지지하는 형상의 전방 섹션과, 착석한 성인 사용자의 둔부를 편안하게 지지하고 착석한 성인 사용자의 대부분의 무게를 편안하게 지지하는 형상의 후방 섹션과, 가요성 중간 섹션을 포함하는 가요성 시트 셸과,A front section shaped to support a typical seated adult user, a rear section shaped to comfortably support the buttocks of a seated adult user and comfortably support most of the weight of a seated adult user, and a flexible intermediate section A flexible seat shell containing, 전체 폭 후방 섹션과, 전체 폭 후방 섹션 미만의 폭을 가지며 후방 섹션의 중심으로부터 전방으로 연장되는 부분 폭 전방 섹션을 형성하는 바닥 패널을 가지며 전체 폭 후방 섹션은 부분 폭 전방 섹션이 전방 섹션 하부에서 이격되어 연장되면서 셸의 후방 섹션을 지지하는 형상으로 된 T자형 시트 지지 팬과,A full width rear section and a bottom panel having a width less than the full width rear section and forming a partial width front section extending forward from the center of the rear section, the full width rear section having a partial width front section spaced below the front section; A T-shaped seat support fan shaped to extend and support the rear section of the shell, 부분 폭 전방 섹션 상의 전방 섹션을 조절 가능하게 연결 및 지지하는 조절 가능 대퇴부 지지 기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 구조물.And an adjustable thigh support mechanism for controlably connecting and supporting the front section on the partial width front section. 제133항에 있어서, 조절 가능 대퇴부 지지 기구는 예비 인장된 횡방향 판 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 구조물.134. The seat structure of claim 133, wherein the adjustable thigh support mechanism includes a pretensioned transverse leaf spring. 제134항에 있어서, 조절 가능 대퇴부 지지 기구는 굴곡 로드 축과, 굴곡 로드 축을 회전시킨 후에 굴곡 로드 축을 소정 방향에 보유하는 해제 가능하게 로킹 가능한 가스 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 구조물.134. The seat structure of claim 134, wherein the adjustable thigh support mechanism includes a flexure rod axis and a releasably lockable gas spring that retains the flexure rod axis in a predetermined direction after rotating the flexure rod axis. 경사 가능 등받이와, 등받이와 동기 이동하도록 작동 가능하게 지지되는 이동 가능한 시트를 갖는 의자이며,A chair having a tiltable backrest and a movable seat operatively supported to synchronously move with the backrest, 전방 섹션과 후방 섹션을 포함하고 전방 섹션의 각 측면과 후방 섹션의 각 측면 상에 위치되는 선형 베어링을 포함하는 T자형 본체를 갖는 시트 캐리어와,A seat carrier having a T-shaped body comprising a front section and a rear section and including linear bearings located on each side of the front section and on each side of the rear section; 시트 쿠션과 착석한 사용자를 지지하도록 구성되며, 선형 베어링들 중 해당하는 선형 베어링과 활주 가능하게 결합하는 평평한 표면을 갖는 바닥 패널을 포함함으로써 시트 캐리어 상에서 깊이가 조절 가능한 팬형 시트 프레임을 포함하고, A fan-shaped seat frame, the depth of which is adjustable on the seat carrier by including a bottom panel having a flat surface slidably engaged with the corresponding one of the linear bearings, the seat cushion being configured to support the seated user; 상기 시트 캐리어는 경사 가능 등받이에 대하여 이동 가능한 시트를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부에 시트 캐리어를 피벗 가능하게 장착하도록 된 피벗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And the seat carrier includes a pivot configured to pivotally mount the seat carrier to a support that movably supports a movable seat relative to the tiltable backrest. 제136항에 있어서, 시트 캐리어와 시트 프레임 중 하나는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일련의 노치를 포함하고, 시트 캐리어와 시트 프레임의 다른 하나는 노치와 선택적으로 결합하는 래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138. The chair of claim 136, wherein one of the seat carrier and the seat frame includes a series of notches extending in the front-rear direction, and the other of the seat carrier and the seat frame includes a latch that selectively engages the notches. . 제137항에 있어서, 시트 캐리어는 상향 형성된 멈춤 탭을 포함하고, 시트 프레임에 부착된 상부 장착식 멈춤 제한기를 포함하고, 이 멈춤 제한기는 시트 프레임을 통해 하향 연장되며 시트 캐리어 상에서 시트 프레임의 최대 깊이 위치 및 최소 깊이 위치를 형성하도록 멈춤 탭과 결합하는 형상의 돌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138. The seat carrier of claim 137, wherein the seat carrier includes an upwardly formed stop tab and includes a top mounted stop limiter attached to the seat frame, the stop limiter extending downward through the seat frame and having a maximum depth of the seat frame on the seat carrier. And a protrusion shaped to engage the stop tab to form a position and a minimum depth position. 제136항에 있어서, 시트 프레임은 시트 프레임이 시트 캐리어로부터 직립으로 상승되어 제거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적어도 2개의 베어링을 포획하는 플랜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138. The chair of claim 136, wherein the seat frame includes a flange that captures at least two bearings to prevent the seat frame from being lifted upright and removed from the seat carrier. 적어도 하나의 상향 플랜지와 각각의 상향 플랜지 상부에 지지되는 활주 베어링을 갖는 제어 하우징을 포함하는 기부 조립체와,A base assembly comprising a control housing having at least one upward flange and a sliding bearing supported over each upward flange; 직립 위치와 경사 위치 사이에서 이동하도록 등받이 피벗부에서 기부 조립체에 대해 피벗된 등받이 프레임과,A backrest frame pivoted relative to the base assembly at the backrest pivot to move between an upright position and an inclined position; 기부 조립체 및 등받이 프레임 상에 작동 가능하게 지지되고 대체로 수평한 활주 이동을 위해 각각의 상향 플랜지의 활주 베어링과 활주 가능하게 결합하는 활주 부재를 포함하고 전방 시트 피벗부에서 활주 부재에 대해 피벗되고 또한 후방 시트 피벗부에서 등받이 프레임에 대해 피벗된 시트 캐리어를 포함하는 시트 지지 구조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A sliding member operably supported on the base assembly and the backrest frame and slidably engaging the sliding bearing of each upward flange for generally horizontal sliding movement and pivoted relative to the sliding member at the front seat pivot; And a seat support structure comprising a seat carrier pivoted relative to the back frame at the seat pivot. 제140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상향 플랜지는 제어 하우징 상의 2개의 평행한 측면 플랜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141. The chair of claim 140, wherein the at least one upward flange comprises two parallel side flanges on the control housing. 제141항에 있어서, 각각의 활주 베어링은 측면 플랜지의 상부 모서리에 부착되는 중합체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143. The chair of claim 141 wherein each sliding bearing comprises a polymeric member attached to an upper edge of the side flange. 제140항에 있어서, 기부 조립체는 하우징을 포함하는 기부 프레임을 포함하고, 등받이 피벗부에서 등받이 프레임을 지지하는 측면 아암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141. The chair of claim 140, wherein the base assembly comprises a base frame comprising a housing and further comprises side arms supporting the back frame at the back pivot. 제103항에 있어서, 기부 조립체는 하우징을 구비하는 기부 프레임을 포함하 고, 등받이 피벗부에서 등받이 프레임을 지지하는 측면 아암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109. The chair of claim 103, wherein the base assembly includes a base frame having a housing and further includes side arms supporting the back frame at the back pivot. 제110항에 있어서, 기부 조립체는 하우징을 포함하는 기부 프레임을 포함하고, 등받이 피벗부에서 등받이 프레임을 지지하는 측면 아암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119. The chair of claim 110, wherein the base assembly comprises a base frame comprising a housing and further comprises a side arm supporting the back frame at the back pivot. 제113항에 있어서, 기부 조립체는 하우징을 포함하는 기부 프레임을 포함하고, 등받이 피벗부에서 등받이 프레임을 지지하는 측면 아암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116. The chair of claim 113, wherein the base assembly includes a base frame comprising a housing and further includes side arms supporting the back frame at the back pivot.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측방향 연장하고 대면하는 돌출부들을 갖는 의자 요소를 제공하는 단계와,Providing a chair element having laterally extending and facing protrusions, 리세스를 내부에 갖는 단부 섹션을 구비한 등받이 프레임을 제공하는 단계와,Providing a backrest frame with an end section having a recess therein, 등받이 프레임의 단부 섹션을 굴곡시키는 동시에 단부 섹션의 리세스를 돌출부 상에 위치시키는 단계와,Bending the end section of the backrest frame while simultaneously placing a recess in the end section on the protrusion, 등받이 프레임을 제위치에 보유하고 등받이 프레임을 의자 요소에 피벗 가능하게 연결하는 최초 형상으로 등받이 프레임이 탄성 복원하도록 등받이 프레임을 해제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 조립 방법.Releasing the back frame such that the back frame is elastically restored to an initial shape that holds the back frame in place and pivotally connects the back frame to the chair element. 제163항에 있어서, 의자 요소는 시트를 포함하며, 상기 의자 조립 방법은 측부 아암을 구비한 기부 조립체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단부 섹션을 기부 조립체의 측부 아암과 시트의 측부 부분 사이에 위치시키도록 상기 단부 섹션을 굴곡시키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 조립 방법.166. The chair element of claim 163, wherein the chair element comprises a seat, the method of assembling the chair comprising providing a base assembly with side arms, the end section being positioned between the side arm of the base assembly and the side portion of the seat. And bending the end section to cause the chair to assemble. 제164항에 있어서, 상기 측부 아암은 대면하는 제2 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단부 섹션은 제2 리세스를 포함하며, 상기 의자 조립 방법은 제2 리세스를 제2 돌출부 상에 위치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 조립 방법.175. The method of claim 164, wherein the side arms comprise facing second protrusions, the end sections comprise second recesses, and the chair assembly method includes positioning a second recess on the second protrusions. Chair assembly method comprising a. 제165항에 있어서, 각각의 의자면의 측부 상의 제1 돌출부 및 제2 돌출부는 반대 방향으로 대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 조립 방법.167. The method of claim 165, wherein the first and second protrusions on the sides of each chair face face in opposite directions.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164항에 있어서, 기부 조립체는 하우징을 구비한 기부 프레임을 포함하며, 대향 측부 아암은 하우징으로부터 측방향 및 상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의자 조립 방법은 소정 형상의 단부 섹션을 측부 아암의 상부 단부 내부에 위치시키지만 대체로 하우징의 외부 및 상부에 위치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 조립 방법.167. The base assembly of claim 164, wherein the base assembly comprises a base frame with a housing, the opposing side arms extend laterally and upwardly from the housing, wherein the chair assembly method includes an end section of a predetermined shape inside the upper end of the side arm. Positioning at but substantially outside and on top of the housing. 착석한 사용자가 업무를 수행하는 동안에 의자를 마루면 상에 지지하는 기부 조립체와,A base assembly for supporting the chair on a floor while the seated user performs a task; 직립 및 경사 작업 위치를 포함하는 복수개의 작업 위치들 사이에서 이동하도록 등받이 피벗부에서 기부 조립체에 대해 피벗되는 등받이 프레임과,A backrest frame pivoted relative to the base assembly at the backrest pivot to move between a plurality of work positions including upright and inclined work positions; 등받이 피벗부의 후방 및 하방으로 이격된 시트 피벗부에서 등받이 프레임에 대해 피벗되고, 수평 이동하도록 기부 조립체의 전방 부분에서 활주 가능하게 지지되는 시트를 포함하고,A seat pivoted relative to the backrest frame at the seat pivot spaced rearward and downwardly spaced from the backrest pivot, and slidably supported at the front portion of the base assembly to move horizontally, 상기 등받이 피벗부 및 시트 피벗부는 등받이 프레임의 경사시 시트를 전방으로 이동시키고 시트의 후방부를 동기 피벗 이동식으로 하향으로 이동시키도록 상호 연결 및 배열되어, 착석한 사용자는 직립 및 경사 작업 위치들에서 편안하게 지지되고, 기부 조립체를 고정 작업면에 대해 전후로 계속적으로 이동 및 조절하지 않으면서도 직립 작업 위치와 경사 작업 위치 사이에서 이동하면서 계속하여 작업할 수 있고,The backrest pivot and seat pivot are interconnected and arranged to move the seat forward when tilting the backrest frame and to move the rear portion of the seat downward synchronously pivotally, so that the seated user is comfortable in the upright and tilting working positions. Supported, and can continue to work while moving between an upright working position and an inclined working position without continuously moving and adjusting the base assembly back and forth relative to the stationary work surface, 상기 기부 조립체는 등받이 프레임을 직립 위치로 편의시키도록 등받이 프레임 및 시트 중 하나와 작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에너지 기구를 내부에 구비한 제어 하우징을 포함하고, The base assembly includes a control housing having an energy mechanism therein operatively coupled with one of the back frame and the seat to bias the back frame to an upright position, 상기 시트는 제어 하우징과 활주 가능하게 결합하는 시트 활주 부재와, 제1 피벗부에서 시트 활주부와 피벗 가능하게 결합하고 제2 피벗부에서 등받이 프레임과 피벗 가능하게 결합하는 시트 지지 캐리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The seat includes a seat sliding member slidably engaged with the control housing and a seat support carrier pivotally engaging the seat slide at the first pivot and pivotally engaging the back frame at the second pivot. Chair features. 삭제delete 제170항에 있어서, 기부 조립체는 등받이 프레임 및 시트의 일부를 지지하도록 시트에 인접하여 대체로 상향으로 연장된 측부 아암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172. The chair of claim 170, wherein the base assembly includes a back arm extending generally upwardly adjacent the seat to support a portion of the back frame and the seat. 제172항에 있어서, 등받이 프레임은 측부 아암에 대해 피벗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172. The chair of claim 172 wherein the back frame is pivoted about the side arms. 제173항에 있어서, 시트는 측부 아암에 대체로 근접한 위치에서 등받이 프레 임에 대해 피벗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173. The chair of claim 173, wherein the seat is pivoted against the back frame in a position generally proximate to the side arms. 착석한 사용자가 업무를 수행하는 동안에 의자를 마루면 상에 지지하는 기부 조립체와,A base assembly for supporting the chair on a floor while the seated user performs a task; 직립 및 경사 작업 위치를 포함하는 복수개의 작업 위치들 사이에서 이동하도록 등받이 피벗부에서 기부 조립체에 대해 피벗되는 등받이 프레임과,A backrest frame pivoted relative to the base assembly at the backrest pivot to move between a plurality of work positions including upright and inclined work positions; 등받이 피벗부의 후방 및 하방으로 이격된 시트 피벗부에서 등받이 프레임에 대해 피벗되고, 수평 이동하도록 기부 조립체의 전방 부분에서 활주 가능하게 지지되는 시트를 포함하고,A seat pivoted relative to the backrest frame at the seat pivot spaced rearward and downwardly spaced from the backrest pivot, and slidably supported at the front portion of the base assembly to move horizontally, 상기 등받이 피벗부 및 시트 피벗부는 등받이 프레임의 경사시 시트를 전방으로 이동시키고 시트의 후방부를 동기 피벗 이동식으로 하향으로 이동시키도록 상호 연결 및 배열되어, 착석한 사용자는 직립 및 경사 작업 위치들에서 편안하게 지지되고, 기부 조립체를 고정 작업면에 대해 전후로 계속적으로 이동 및 조절하지 않으면서도 직립 작업 위치와 경사 작업 위치 사이에서 이동하면서 계속하여 작업할 수 있고,The backrest pivot and seat pivot are interconnected and arranged to move the seat forward when tilting the backrest frame and to move the rear portion of the seat downward synchronously pivotally, so that the seated user is comfortable in the upright and tilting working positions. Supported, and can continue to work while moving between an upright working position and an inclined working position without continuously moving and adjusting the base assembly back and forth relative to the stationary work surface, 상기 기부 조립체는 등받이 프레임을 직립 위치로 편의시키도록 등받이 프레임 및 시트 중 하나와 작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에너지 기구를 내부에 구비한 제어 하우징을 포함하고, The base assembly includes a control housing having an energy mechanism therein operatively coupled with one of the back frame and the seat to bias the back frame to an upright position, 상기 기부 조립체는 등받이 프레임과 시트의 일부를 지지하기 위해 시트에 근접하여 상방으로 연장하는 측부 아암을 포함하고,The base assembly includes a back arm and a side arm extending upwardly close to the seat to support a portion of the seat, 상기 등받이 프레임은 측부 아암에 대해 피벗되며,The back frame is pivoted about the side arm, 상기 시트는 측부 아암에 근접한 위치에서 등받이 프레임에 대해 피벗되고,The seat is pivoted against the backrest frame at a position proximate to the side arms, 상기 에너지 기구는 제어 하우징에 횡방향으로 위치된 스프링과, 스프링을 시트 및 등받이 프레임 중 하나에 작동 가능하게 연결하는 레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The energy mechanism includes a spring positioned laterally in the control housing and a lever operatively connecting the spring to one of the seat and back frame. 제175항에 있어서, 상기 의자는 스프링으로부터 시트로 전달된 편의력을 변화시키도록 레버를 조절하는 조절 기구를 포함하며, 조절 기구는 레버를 포함하고 등받이 프레임을 직립 위치를 향해 조절 가능하게 편의시키는 레버 상의 조절 가능한 모멘트 아암을 한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175. The chair of claim 175, wherein the chair comprises an adjustment mechanism that adjusts the lever to change the biasing force transmitted from the spring to the seat, the adjustment mechanism including the lever and releasably adjusting the back frame to an upright position. A chair characterized by defining an adjustable moment arm on the lever. 제170항에 있어서, 상기 의자는 제어 하우징 내에서 횡방향으로 위치된 스프링을 포함하고, 스프링을 시트 및 등받이 프레임 중 하나에 작동 가능하게 연결하는 레버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172. The chair of claim 170, wherein the chair comprises a spring positioned transversely within the control housing and further comprising a lever operably connecting the spring to one of the seat and back frame. 착석한 사용자가 업무를 수행하는 동안에 의자를 마루면 상에 지지하는 기부 조립체와,A base assembly for supporting the chair on a floor while the seated user performs a task; 직립 및 경사 작업 위치를 포함하는 복수개의 작업 위치들 사이에서 이동하도록 등받이 피벗부에서 기부 조립체에 대해 피벗되는 등받이 프레임과,A backrest frame pivoted relative to the base assembly at the backrest pivot to move between a plurality of work positions including upright and inclined work positions; 등받이 피벗부의 후방 및 하방으로 이격된 시트 피벗부에서 등받이 프레임에 대해 피벗되고, 수평 이동하도록 기부 조립체의 전방 부분에서 활주 가능하게 지지되는 시트와,A seat pivoted with respect to the backrest frame at the seat pivot spaced rearward and downwardly spaced from the backrest pivot and slidably supported at the front portion of the base assembly for horizontal movement; 스프링을 시트와 등받이 중 하나에 작동 가능하게 연결하는 레버를 포함하고,A lever operatively connecting the spring to one of the seat and the backrest, 상기 등받이 피벗부 및 시트 피벗부는 등받이 프레임의 경사시 시트를 전방으로 이동시키고 시트의 후방부를 동기 피벗 이동식으로 하향으로 이동시키도록 상호 연결 및 배열되어, 착석한 사용자는 직립 및 경사 작업 위치들에서 편안하게 지지되고, 기부 조립체를 고정 작업면에 대해 전후로 계속적으로 이동 및 조절하지 않으면서도 직립 작업 위치와 경사 작업 위치 사이에서 이동하면서 계속하여 작업할 수 있고,The backrest pivot and seat pivot are interconnected and arranged to move the seat forward when tilting the backrest frame and to move the rear portion of the seat downward synchronously pivotally, so that the seated user is comfortable in the upright and tilting working positions. Supported, and can continue to work while moving between an upright working position and an inclined working position without continuously moving and adjusting the base assembly back and forth relative to the stationary work surface, 상기 기부 조립체는 등받이 프레임을 직립 위치로 편의시키도록 등받이 프레임 및 시트 중 하나와 작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에너지 기구를 내부에 구비한 제어 하우징을 포함하고, The base assembly includes a control housing having an energy mechanism therein operatively coupled with one of the back frame and the seat to bias the back frame to an upright position, 상기 에너지 기구는 제어 하우징 내에서 횡방향으로 위치된 스프링을 포함하고,The energy mechanism comprises a spring positioned transversely within the control housing, 상기 레버는 시트를 후방으로 편의시킨 후 이어서 등받이 프레임을 직립 위치로 편의시키도록 제1 단부가 스프링과 연결되고 제2 단부가 시트에 작동 가능하게 연결된 상태로 수직축을 중심으로 피벗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The lever is pivotable about a vertical axis with the first end connected to the spring and the second end operably connected to the seat to bias the seat backwards and then to bias the back frame to the upright position. chair. 제170항에 있어서, 제어 하우징은 대향 측부 플랜지를 포함하고, 시트는 측부 플랜지와 활주 가능하게 결합된 베어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172. The chair of claim 170, wherein the control housing comprises an opposite side flange and the seat comprises a bearing slidably coupled with the side flange. 삭제delete 제170항에 있어서, 시트는 착석한 성인 사용자의 둔부를 지지하도록 된 후방 섹션을 갖는 가요성 시트 셸과, 착석한 성인 사용자의 대퇴부를 지지하도록 되어 있고 후방 섹션에 가요성 있게 연결된 전방 섹션을 포함하며, 후방 섹션은 시트 지지 캐리어에 의해 운반 및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172. The seat of claim 170, wherein the seat comprises a flexible seat shell having a back section adapted to support the buttocks of the seated adult user, and a front section adapted to support the thighs of the seated adult user and flexibly connected to the back section. And the rear section is carried and supported by the seat support carrier. 제170항에 있어서, 시트는 기부 조립체에 활주 가능하게 연결되고 등받이 프레임에 피벗 가능하게 연결된 시트 지지 캐리어와, 수동 조작식 깊이 조절을 위해 시트 지지 캐리어 상에 활주 가능하게 지지된 시트 셸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172. The seat of claim 170, wherein the seat comprises a seat support carrier slidably connected to the base assembly and pivotally connected to the back frame, and a seat shell slidably supported on the seat support carrier for manually operated depth adjustment. Chair characterized in that. 착석한 사용자가 업무를 수행하는 동안에 의자를 마루면 상에 지지하는 기부 조립체와,A base assembly for supporting the chair on a floor while the seated user performs a task; 직립 및 경사 작업 위치를 포함하는 복수개의 작업 위치들 사이에서 이동하도록 등받이 피벗부에서 기부 조립체에 대해 피벗되는 등받이 프레임과,A backrest frame pivoted relative to the base assembly at the backrest pivot to move between a plurality of work positions including upright and inclined work positions; 등받이 피벗부의 후방 및 하방으로 이격된 시트 피벗부에서 등받이 프레임에 대해 피벗되고, 수평 이동하도록 기부 조립체의 전방 부분에서 활주 가능하게 지지되는 시트와, A seat pivoted with respect to the backrest frame at the seat pivot spaced rearward and downwardly spaced from the backrest pivot and slidably supported at the front portion of the base assembly for horizontal movement; 제어 하우징에 부착되고, 시트의 전방 이동을 제한하기 위해 시트와 선택적으로 결합되어 그에 따라 등받이 프레임의 경사를 선택적으로 제한하도록 구성된 등받이 정지 기구를 포함하고,A back rest stop mechanism attached to the control housing and configured to selectively engage the seat to restrict forward movement of the seat and thereby selectively limit the inclination of the back frame; 상기 등받이 피벗부 및 시트 피벗부는 등받이 프레임의 경사시 시트를 전방으로 이동시키고 시트의 후방부를 동기 피벗 이동식으로 하향으로 이동시키도록 상호 연결 및 배열되어, 착석한 사용자는 직립 및 경사 작업 위치들에서 편안하게 지지되고, 기부 조립체를 고정 작업면에 대해 전후로 계속적으로 이동 및 조절하지 않으면서도 직립 작업 위치와 경사 작업 위치 사이에서 이동하면서 계속하여 작업할 수 있고,The backrest pivot and seat pivot are interconnected and arranged to move the seat forward when tilting the backrest frame and to move the rear portion of the seat downward synchronously pivotally, so that the seated user is comfortable in the upright and tilting working positions. Supported, and can continue to work while moving between an upright working position and an inclined working position without continuously moving and adjusting the base assembly back and forth relative to the stationary work surface, 상기 기부 조립체는 등받이 프레임을 직립 위치로 편의시키도록 등받이 프레임 및 시트 중 하나와 작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에너지 기구를 내부에 구비한 제어 하우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And the base assembly includes a control housing having an energy mechanism therein operatively coupled with one of the back frame and the seat to bias the back frame into an upright position. 제170항에 있어서, 상기 의자는 적어도 2개의 수직으로 이격된 위치에서 등받이 프레임에 부착되고, 최적의 요추 지지를 제공하도록 적어도 2개의 수직 이격된 위치들 사이에서 굴곡되도록 구성된 가요성 등받이 조립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172. The chair of claim 170, wherein the chair includes a flexible back assembly attached to the back frame at at least two vertically spaced positions and configured to bend between at least two vertically spaced positions to provide optimal lumbar support. Chair characterized in that. 제184항에 있어서, 가요성 등받이 조립체는 탄성적으로 굴곡되는 일편 셸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185. The chair of claim 184, wherein the flexible back assembly includes a one-piece shell that is elastically curved. 제184항에 있어서, 가요성 등받이 조립체는 각각 사용자의 등의 일부를 지지하는 표면을 갖는 다중편 요소 조립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185. The chair of claim 184, wherein the flexible back assembly comprises a multi-piece element assembly each having a surface supporting a portion of a user's back. 제어 하우징을 포함하는 이동식 기부 조립체와,A movable base assembly comprising a control housing; 직립 위치와 경사 위치 사이에서 이동하도록 기부 조립체에 대해 피벗되는 등받이와,A backrest pivoted relative to the base assembly to move between an upright position and an inclined position, 실질적으로 후방 작업 위치와 전방 작업 위치 사이에서 이동하도록 기부 조립체 상에서 작동 가능하게 지지되고 등받이에 연결된 시트와,A seat operably supported on the base assembly and connected to the backrest to move substantially between the rear work position and the front work position, 제어 하우징에서 횡방향으로 위치된 스프링 기구와, 시트를 후방 작업 위치를 향해 편의시키는 동시에 등받이를 직립 위치를 향해 편의시키도록 스프링 기구와 피벗 가능하게 결합하고 시트에 작동 가능하게 연결된 레버를 포함하며,A spring mechanism positioned laterally in the control housing and a lever pivotally coupled to the seat and operatively coupled to the seat to bias the seat toward the rear working position while simultaneously biasing the backrest toward the upright position, 상기 시트는 착석한 사용자의 다리가 경사 중에 마루면으로부터 바람직하지 않게 상승되지 않도록 등받이의 경사시 수평 전방으로 이동하도록 기부 조립체에 활주 가능하게 연결된 전방부를 포함하고, The seat includes a front portion slidably connected to the base assembly such that the seated user's leg moves horizontally forward upon inclination of the back such that the leg of the seated user does not undesirably rise from the floor surface, 상기 시트는 전방 부분에 가요성 있게 연결되고, 착석한 사용자가 시트 및 등받이의 각도 동기 이동으로 경사 중에 편안하게 자세 지지되도록 지지되고 경사 중에 시트의 최대 전방 이동 및 등받이의 최대 각도 이동이 착석한 사용자의 손을 비교적 일정하게 유지하는 스트로크로 제한되도록 경사시 하향 및 전방으로 이동하기 위해 등받이에 작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착석한 사용자가 모든 착석 위치에서 용이하고 편안하게 계속 작업할 수 있는 후방 부분을 추가로 포함하고,The seat is flexibly connected to the front part and is supported so that the seated user is comfortably posture supported during the inclination by the angular synchronous movement of the seat and the back, and the maximum forward movement of the seat and the maximum angle movement of the backrest are seated during the inclination. Operationally connected to the backrest to move downwards and forwards during incline to limit the hand's hand to a relatively constant stroke, adding a rear portion that allows the seated user to continue working easily and comfortably in all seating positions Including, 상기 제어 하우징은 측부 아암을 포함하고, 시트는 측부 아암과 활주 가능하게 결합하는 베어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And the control housing includes a side arm and the seat includes a bearing slidably engaged with the side arm. 삭제delete 제187항에 있어서, 측부 아암은 축이 착석한 사용자의 고관절과 정렬하도록 된 시트의 배면에서의 위치에서 등받이를 피벗 가능하게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187. The chair of claim 187, wherein the side arms pivotally support the backrest at a position at the back of the seat adapted to align with the hip joint of the seated user. 삭제delete 제187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 기구는 착석한 사용자에게 향상된 편안함을 제공하기 위해 굴곡 이동하도록 시트의 전방 섹션을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187. The chair as recited in claim 187, wherein the spring mechanism includes a spring that resiliently supports the front section of the seat to bend to provide enhanced comfort for a seated user. 제191항에 있어서, 시트는 착석한 사용자에게 조절 가능한 편안함을 제공하기 위해 조절 가능하게 이동하도록 전방 섹션을 작동 및 조절 가능하게 지지하는 해제 및 로킹 가능한 가스 스프링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192. The chair of claim 191, wherein the seat further comprises a release and lockable gas spring that operatively and operatively supports the front section for adjustable movement to provide adjustable comfort for the seated user. . 삭제delete 제189항에 있어서, 후방부는 착석한 성인 사용자의 둔부 및 착석한 성인 사용자의 무게의 대부분을 지지하도록 구성되고, 전방부는 등받이의 경사 중에 착석한 성인 사용자의 다리를 상승시키지 않고 착석한 성인 사용자의 대퇴부를 굴곡될 수 있고 편안하게 지지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189. The rear part of claim 189, wherein the rear portion is configured to support the majority of the weight of the seated adult user's buttocks and the seated adult user, and the front portion of the seated adult user without raising the leg of the seated adult user during inclination of the backrest. A chair characterized in that the thigh can be bent and configured to comfortably support it. 제189항에 있어서, 시트는 기부 조립체 상에 활주 가능하게 지지되고 등받이 프레임과 피벗 가능하게 결합하는 시트 지지 캐리어와, 시트 지지 캐리어 상에서 수동식으로 깊이 조절 가능한 시트 셸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189. The chair of claim 189, wherein the seat comprises a seat support carrier slidably supported on the base assembly and pivotally engaging the backrest frame, and a seat shell manually adjustable on the seat support carrier. 측부 아암을 구비한 기부 조립체와,A base assembly having side arms, 직립 및 경사 작업 위치를 포함하는 복수개의 작업 위치들 사이에서 이동하도록 등받이 피벗부에서 기부 조립체에 대해 피벗되는 등받이 프레임과,A backrest frame pivoted relative to the base assembly at the backrest pivot to move between a plurality of work positions including upright and inclined work positions; 시트 피벗부에서 등받이 프레임에 대해 피벗되고 기부 프레임의 전방부에서 활주 가능하게 지지되는 시트를 포함하며, A seat pivoted against the back frame at the seat pivot and slidably supported at the front of the base frame, 상기 등받이 프레임은 시트의 측부들과 측부 아암들 중 관련 아암들 사이 및 시트의 대향 측부들 상에 위치된 소정 형상의 우측 및 좌측 단부 섹션을 포함하고,The back frame comprises a right and left end section of a predetermined shape located between the sides of the seat and the associated arms of the side arms and on opposite sides of the seat, 상기 소정 형상의 단부 섹션은 시트 피벗부에서 제1 피벗 베어링을 지지하고 등받이 피벗부에서 제2 피벗 베어링을 지지하여, 착석한 사용자는 직립 및 경사 작업 위치 사이에서 이동하면서 계속 작업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The end section of the predetermined shape supports the first pivot bearing at the seat pivot and the second pivot bearing at the backrest pivot so that the seated user can continue working while moving between the upright and inclined working positions. Chair. 제어 하우징 및 상향 연장된 측부 아암을 구비한 이동식 거미 다리형 기부 조립체와,A movable spider leg base assembly having a control housing and an upwardly extending side arm; 측부 아암들 중 관련 아암들에 인접하게 위치되고, 각각 제1 스터드, 및 제1 스터드와 결합된 회전 가능한 제1 베어링을 구비한 등받이 피벗부에서 피벗되는 소정 형상의 단부 섹션을 구비하는 역전된 U자형 등받이 프레임과,Inverted U with adjacent shaped ones of the side arms, each having an end section of a predetermined shape pivoted in a backrest pivot with a first stud and a rotatable first bearing associated with the first stud, respectively. With a backrest frame, 제어 하우징 상에 활주 가능하게 지지되고, 각각 제2 스터드, 및 제2 스터드와 결합하는 회전 가능한 제2 베어링을 구비하고 등받이 피벗부와는 이격된 시트 피벗부에서 단부 섹션에 대해 피벗되는 시트와,A seat slidably supported on the control housing, the seat having a second stud and a rotatable second bearing that engages the second stud, respectively, and pivoted against the end section at a seat pivot that is spaced apart from the backrest pivot; 횡방향 스프링, 시트를 후방 위치를 향해 편의시킨 후 이어서 등받이 프레임을 직립 위치를 향해 편의시키도록 스프링 및 시트와 작동 가능하게 결합하는 레버, 및 경사 중에 이동하는 지지점을 한정하고 시트 상의 스프링의 힘을 조절 가능하게 제어하도록 지지점을 재위치시키기 위해 수동식으로 조절 및 변화 가능한 레버와 조절 가능하게 결합하는 조절 피벗 부재를 구비한 조절 가능 에너지 기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A transverse spring, a lever operatively engaging the spring and the seat to bias the seat back toward the upright position, and subsequently supporting the back frame towards the upright position, and defining a support point moving during the inclination and restraining the force of the spring on the seat And an adjustable energy mechanism having an adjustable pivot member that operatively engages with a manually adjustable and changeable lever to reposition the support point for adjustable control.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181항에 있어서, 시트는 착석한 사용자에게 향상된 편안함을 제공하기 위해 독립적으로 굴곡 이동하도록 전방 섹션의 우측 및 좌측 측부들을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스프링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181. The chair of claim 181, wherein the seat further comprises a spring that elastically supports the right and left sides of the front section to bend independently to provide enhanced comfort for the seated user. 제181항에 있어서, 시트는 착석한 사용자에게 조절 가능한 편안함을 제공하기 위해 조절 가능하게 이동하도록 전방 섹션을 작동 및 조절 가능하게 지지하는 해제 및 로킹 가능한 가스 스프링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181. The chair of claim 181, wherein the seat further comprises a release and lockable gas spring that operatively and adjustablely supports the front section for adjustable movement to provide adjustable comfort for the seated user. . 제어 하우징을 구비한 기부 조립체와,A base assembly with a control housing, 제어 하우징 내에 위치된 에너지원과,An energy source located within the control housing, 전방 및 후방 위치 사이에서 대체로 수평 이동하도록 기부 조립체 상에 작동 가능하게 지지되고, 상기 에너지원에 작동 가능하게 상호 연결된 시트와,A sheet operably supported on the base assembly and operatively interconnected to the energy source so as to move generally horizontally between the front and rear positions; 등받이 셸과 등받이 셸을 지지하는 등받이 프레임을 구비한 등받이 지지체와,A backrest support having a backrest frame and a backrest frame for supporting the backrest shell, 기부 조립체 상에 지지되고 시트와 작동 가능하게 결합하는 가변 등받이 정지 기구를 포함하며, A variable back stop mechanism supported on the base assembly and operatively coupled to the seat, 상기 등받이 프레임은 직립 및 경사 위치 사이에서 등받이 지지체가 이동하도록 등받이 프레임이 기부 조립체에 피벗 가능하게 체결되는 제1 피벗부, 및 등받이 프레임이 시트에 피벗 가능하게 체결되는 제2 피벗부를 포함하고,The back frame comprises a first pivot portion pivotally fastened to the base assembly and a second pivot portion pivotably fastened to the seat such that the back support moves in an upright and inclined position; 상기 에너지원은 시트를 후방으로 가압함으로써 등받이 지지부를 직립 위치로 편의시키고, 상기 시트의 후방 운동은 제1 피벗부에서 등받이 지지체를 대체로 직립 위치로 회전시키고,The energy source biases the back support to an upright position by pressing the seat backwards, and the backward movement of the seat rotates the back support to a generally upright position at the first pivot, 상기 가변 등받이 정지 기구는 직립 및 경사 위치 사이의 복수개의 선택 가능한 위치에서 등받이 및 등받이 지지체를 동시에 정지시키도록 구성된 가변형 등받이 정지 기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And the variable backrest stop mechanism comprises a variable backrest stop mechanism configured to simultaneously stop the backrest and the backrest support in a plurality of selectable positions between upright and inclined positions. 제202항에 있어서, 제1 피벗 축은 제1 피벗축이 착석한 성인 사용자의 고관절과 정렬하도록 된 시트의 배면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202. The chair of claim 202, wherein the first pivot axis is located on the back of the seat such that the first pivot axis is aligned with the hip joint of the seated adult user. 제202항에 있어서, 시트는 제어 하우징 상에서 전방 및 후방으로 활주되도록 된 시트 전방 활주부와, 상기 제어 하우징 및 상기 전방 활주부에 피벗 가능하게 상호 연결된 시트 캐리어와, 시트 캐리어와 활주 가능하게 결합된 시트 프레임, 및 착석한 성인 사용자의 둔부 및 대퇴부를 지지하도록 된 시트 셸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202. The seat of claim 202, wherein the seat is slidably coupled with a seat front slide portion adapted to slide forward and backward on the control housing, a seat carrier pivotally interconnected to the control housing and the front slide portion; And a seat frame adapted to support the buttocks and thighs of the seated adult user. 제204항에 있어서, 시트 셸은 착석한 성인 사용자의 둔부를 지지하고 착석한 성인 사용자의 무게의 대부분을 지지하도록 구성된 후방 섹션과,204. The seat shell of claim 204, wherein the seat shell comprises: a rear section configured to support the hip of the seated adult user and to support most of the weight of the seated adult user; 착석한 성인 사용자의 대퇴부를 지지하도록 된 전방 섹션과,An anterior section adapted to support the thigh of the seated adult user, 후방 섹션 및 전방 섹션을 연결하고, 전방 섹션에 연결되어 후방 섹션에 대해 시트 셸의 전방 섹션을 각도 조절하도록 구성된 조절 장치를 구비한 가요성 구역을 포함하며,A flexible zone having an adjustment device connecting the rear section and the front section and connected to the front section and configured to angle the front section of the seat shell with respect to the rear section, 상기 조절 장치는 시트 셸의 전방 섹션의 하부측에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And the adjustment device is attached to the lower side of the front section of the seat shell. 삭제delete 제어 하우징을 구비한 기부 조립체와,A base assembly with a control housing, 제어 하우징 내에 위치된 에너지원과,An energy source located within the control housing, 전방 및 후방 위치 사이에서 대체적으로 수평 이동하도록 기부 조립체 상에 작동 가능하게 지지되고, 에너지원에 작동 가능하게 상호 연결되며, 착석한 성인 사용자의 둔부를 지지하도록 된 후방 섹션과 착석한 성인 사용자의 대퇴부를 지지하도록 된 전방 섹션을 갖는 시트 셸을 구비한 시트와,Thigh of the adult user seated with the rear section operably supported on the base assembly, operatively interconnected to the energy source, and supporting the buttocks of the seated adult user for generally horizontal movement between the front and rear positions. A seat having a seat shell having a front section adapted to support the 등받이 셸과 등받이 셸을 지지하는 등받이 프레임을 구비한 등받이 지지체를 포함하며, A backrest support having a backrest shell and a backrest frame supporting a backrest shell, 상기 등받이 프레임은 등받이 프레임이 기부 조립체에 피벗 가능하게 체결되는 제1 피벗부와, 등받이 프레임이 시트에 피벗 가능하게 체결되는 제2 피벗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And the back frame comprises a first pivot portion at which the back frame is pivotally fastened to the base assembly and a second pivot portion at which the back frame is pivotably fastened to the seat. 기부, 시트, 기부에 회전 가능하게 부착된 등받이 프레임, 및 등받이 프레임을 직립 위치를 향해 편의시키기 위하여 상기 등받이 프레임과 기부에 작동 가능하게 연결된 제1 에너지 기구를 구비하는 착석 유닛이며,A seating unit having a base, a seat, a backrest frame rotatably attached to the base, and a first energy mechanism operably connected to the backrest frame and the base to bias the backrest frame toward an upright position, 착석한 사용자의 등을 이에 호응하여 지지하기 위하여 다양한 곡선 형상을 형성하도록 가요성 있게 굴곡 가능한 가요성 등받이와, A flexible back flexibly flexible to form various curved shapes to support the seated user's back in response thereto; 가요성 등받이를 제1 연결부에서 등받이 프레임에 피벗 가능하게 연결하는 전방 연장 플랜지를 갖는 벨트 브래킷과,A belt bracket having a front extension flange pivotally connecting the flexible back to the back frame at the first connection; 제2 에너지 기구를 포함하며, A second energy device, 상기 가요성 등받이는 제1 연결부로부터 수직으로 이격된 제2 위치에서 가요성 등받이를 등받이 프레임에 피벗 가능하게 연결하는 제2 연결부를 구비하여, 가요성 등받이는 제1 연결부 및 제2 연결부에 의해 제한된 범위에 걸쳐 이동하도록 구속되며, The flexible back has a second connection pivotally connecting the flexible back to the back frame at a second position vertically spaced from the first connection such that the flexible back is limited by the first connection and the second connection. Constrained to move across range, 상기 제2 에너지 기구는, 제1 연결부와 제2 연결부 중의 하나에 위치되어 브래킷을 편의시키고 가요성 등받이의 요추 부분을 착석 유닛에 대하여 전방으로 편의시키도록 구성된 힘 발생 기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석 유닛.The second energy mechanism includes a force generating mechanism positioned at one of the first connection portion and the second connection portion and configured to bias the bracket and to bias the lumbar region of the flexible back forward relative to the seating unit. Seating unit. 제208항에 있어서, 상기 가요성 등받이는 역회전 이동을 위해 서로 작동 가능하게 연결된 상부 섹션 및 하부 섹션을 포함하고, 상부 섹션은 적어도 하나의 상부 연결부에서 등받이 프레임에 대해 피벗되고, 하부 섹션은 적어도 하나의 하부 연결부에서 등받이 프레임에 대해 피벗되는 전방 연장 플랜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석 유닛.208. The system of claim 208, wherein the flexible back includes an upper section and a lower section operatively connected to each other for reverse rotational movement, the upper section pivoting relative to the back frame at at least one upper connection, and the lower section being at least A seating unit comprising a front extension flange pivoted against the back frame at one lower connection. 제208항에 있어서, 상기 가요성 등받이는 착석한 사용자의 요추 영역에 위치하는 가요성 구역에 의해 연결된 상부 및 하부 강성 섹션을 갖는 등받이 셸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석 유닛.208. The seating unit of claim 208, wherein the flexible back includes a back shell having upper and lower rigid sections connected by a flexible zone located in the lumbar region of the seated user. 제208항에 있어서, 등받이 셸에 작동 가능하게 부착된 비틀림 요추 지지 기구를 포함하고, 상기 비틀림 요추 지지 기구는 최적의 요추 지지를 위하여 상기 셸을 전방으로 돌출한 볼록 형상으로 편의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석 유닛.209. The torsional lumbar support mechanism of claim 208, comprising: a torsional lumbar support mechanism operably attached to the backrest shell, wherein the torsional lumbar support mechanism biases the shell forward in a convex shape for optimal lumbar support. Seating unit. 제208항에 있어서, 가요성 등받이를 전방으로 돌출한 볼록 형상으로 편의시키기 위해 제1 연결부와 제2 연결부 중의 하나에 부착된 비틀림 요추 지지 기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석 유닛.208. The seating unit of claim 208, comprising a torsional lumbar support mechanism attached to one of the first and second connections for biasing the flexible back into a convex shape that projects forward. 제208항에 있어서, 상기 가요성 등받이는 등받이 셸을 포함하며, 상기 착석 유닛은 가요성 등받이의 등받이 셸의 전방면에 작동 가능하게 부착된 수직 조절 가능 요추 지지체를 포함하고, 상기 수직 조절 가능 요추 지지체는 착석한 사용자의 요추 영역의 가요성 등받이의 전방면에서의 지지력을 변경시키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석 유닛.213. The lumbar support of claim 208, wherein the flexible back comprises a backrest shell, wherein the seating unit comprises a vertically adjustable lumbar support operably attached to the front face of the backrest shell of the flexible back. And the support is configured to change the bearing force at the front face of the flexible back of the lumbar region of the seated user. 단일의 등받이 프레임과,With a single back frame, 복수개의 다양한 볼록 형상으로 굴곡될 수 있는 가요성 전방 돌출형 요추지지 섹션을 갖는 가요성 등받이와,A flexible back having a flexible anterior protruding lumbar support section that can be bent into a plurality of different convex shapes, 가요성 등받이를 등받이 프레임에 피벗 가능하게 연결하는 적어도 두 개의 연결부와,At least two connections pivotally connecting the flexible back to the back frame, 상기 가요성 등받이와 등받이 프레임 중의 적어도 하나에 작동 가능하게 부착된 조절 가능한 힘 발생 기구를 포함하며,An adjustable force generating mechanism operably attached to at least one of said flexible back and back frame, 상기 힘 발생 기구는, 착석한 사용자의 등에 대한 최적의 요추 지지를 위하여 요추 지지 섹션을 편의시키는 편의력을 제공하도록 구성되지만, 가요성 등받이의 형상을 변화시키지는 않으면서 편의력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석 유닛용 등받이 구조물.The force generating mechanism is configured to provide a biasing force to bias the lumbar support section for optimal lumbar support for a seated user's back, but provides a biasing force without changing the shape of the flexible backrest. Back structure for seating unit. 제214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 가능한 힘 발생 기구는 비틀림 기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석 유닛용 등받이 구조물.214. The backrest structure of claim 214, wherein the adjustable force generating mechanism comprises a torsion mechanism. 제214항에 있어서, 상기 가요성 등받이는 요추 지지 섹션에 의해 상호 연결된 비교적 강성인 흉부 지지 섹션 및 비교적 강성인 골반 지지 섹션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석 유닛용 등받이 구조물.214. The backrest structure of claim 214, wherein the flexible back comprises a relatively rigid chest support section and a relatively rigid pelvic support section interconnected by a lumbar support section. 제214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 가능한 힘 발생 기구는 편의 스프링을 포함하고, 상기 편의 스프링은 상기 하부 연결부를 중심으로 피벗 거동을 위하여 하부 영역을 편의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석 유닛용 등받이 구조물.214. The backrest structure of claim 214, wherein the adjustable force generating mechanism comprises a biasing spring, the biasing spring biasing the lower region for pivotal behavior about the lower connection. 기부 조립체와, Base assembly, 시트와, With sheets, 직립 위치와 경사 위치 사이에서 이동하도록 기부 조립체에 피벗되는 등받이 프레임과, A backrest frame pivoted on the base assembly to move between an upright position and an inclined position; 등받이 프레임, 시트 및 기부 조립체 중 하나에 대해 하부 연결부에서 피벗되는 전방 연장 플랜지를 구비하고, 고정된 상부 연결부에서 등받이 프레임에 대해 피벗되는 가요성 등받이를 포함하며, A flexible backrest having a front extension flange pivoted at the bottom connection for one of the backrest frame, the seat and the base assembly, and pivoted relative to the backrest frame at a fixed top connection, 하부 연결부는 가요성 등받이의 하부 전방 중심면으로부터 전방으로 이격되어 있어, 착석한 사용자의 등의 하부 부분 및 척추의 굴곡시 가요성 등받이가 호응하여 굴곡되어 착석한 사용자의 등과 척추의 굴곡을 추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석 유닛 구조물.The lower connection part is spaced forward from the lower front center of the flexible back, so that the flexible back rests in response to the seated user's lower back and the back of the spine, and follows the flexion of the seated back of the seated user. Seating unit structure, characterized in that. 제218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연결부는 가요성 등받이의 플랜지를 등받이 프레임에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석 유닛 구조물.218. The seating unit structure of claim 218, wherein the lower connection connects a flange of the flexible back to the back frame. 제219항에 있어서, 상기 가요성 등받이는 가요성 섹션에 의해 상호 연결된 비교적 강성인 상부 섹션 및 하부 섹션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석 유닛 구조물.219. The seating unit structure of claim 219, wherein the flexible back includes a relatively rigid upper section and a lower section interconnected by flexible sections. 제218항에 있어서, 상기 가요성 등받이는 역회전 이동을 위해 서로 작동 가능하게 연결된 상부 섹션 및 하부 섹션을 포함하고, 상부 섹션은 적어도 하나의 상부 연결부에서 등받이 프레임에 대해 피벗되고, 하부 섹션은 적어도 하나의 하부 연결부에서 등받이 프레임에 대해 피벗되는 전방 연장 플랜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석 유닛 구조물.218. The flexible backrest of claim 218, wherein the flexible back includes an upper section and a lower section operably connected to each other for reverse rotational movement, the upper section pivoting relative to the backrest frame at at least one upper connection, and the lower section being at least A seating unit structure comprising a front extension flange pivoted against a back frame at one lower connection. 제218항에 있어서, 상기 가요성 등받이는 착석한 사용자의 요추 영역에 위치하는 가요성 구역에 의해 연결된 상부 및 하부 강성 섹션을 갖는 등받이 셸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석 유닛 구조물.226. The seating unit structure of claim 218, wherein the flexible back includes a back shell having upper and lower rigid sections connected by a flexible zone located in the lumbar region of the seated user. 제218항에 있어서, 가요성 등받이를 전방으로 돌출한 볼록 형상으로 편의시키기 위해 하부 연결부들 중의 하나에 부착된 비틀림 요추 지지 기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석 유닛 구조물.218. The seating unit structure of claim 218, comprising a torsional lumbar support mechanism attached to one of the lower connections for biasing the flexible back into a convex shape that projects forward. 제218항에 있어서, 상기 가요성 등받이는 가요성 등받이의 하부 모서리를 따라 부착된 벨트 브래킷을 포함하고, 상기 벨트 브래킷은 하부 연결부들의 일부를 형성하는 플랜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석 유닛 구조물.218. The seating unit structure of claim 218, wherein the flexible back includes a belt bracket attached along a lower edge of the flexible back, wherein the belt bracket includes a flange that forms part of the lower connections. 프레임 부재와, With frame member, 착석한 사용자의 요추와 몸통과 맞물려 이들을 인간 공학적으로 지지하도록 다양한 형상으로 굴곡 가능한 등받이와, Backrests that can be bent into various shapes to ergonomically support the lumbar and torso of the seated user, 상기 등받이로부터 연장된 플랜지를 구비하며 상기 등받이에 부착된 벨트 브래킷을 포함하고,A belt bracket having a flange extending from said backrest and attached to said backrest, 상기 플랜지는 제1 연결부에서 상기 등받이를 상기 프레임 부재에 피벗 가능하게 연결시키며, 상기 등받이는 상기 제1 연결부로부터 수직으로 이격된 제2 연결부에서 상기 프레임 부재에 피벗되고, 상기 등받이는 제1 및 제2 연결부와 플랜지에 의해 구속되어 상기 등받이의 요추 부분이 착석한 사용자와 결합하여 인간 공학적인 요추 지지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석 유닛.The flange pivotally connects the backrest to the frame member at a first connection, the backrest pivots to the frame member at a second connection perpendicularly spaced from the first connection, and the backrest is first and first. 2 A seating unit, constrained by a connection and a flange, coupled with a user seated in the lumbar region of the backrest to provide ergonomic lumbar support. 제225항에 있어서, 상기 등받이는 가요성 재료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석 유닛.255. The seating unit of claim 225, wherein said backrest is made of a flexible material. 제225항에 있어서, 상기 등받이는 곡선 쉬트 형상을 형성하며, 플랜지는 상기 곡선 쉬트 형상으로부터 전방으로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석 유닛.255. The seating unit of claim 225, wherein said backrest forms a curved sheet shape and a flange extends forwardly from said curved sheet shape. 제225항에 있어서, 요추 부분을 착석한 사용자에 대하여 전방으로 편의시키는 힘 발생 에너지 기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석 유닛.225. The seating unit of claim 225, comprising a force generating energy mechanism for biasing the lumbar spine forward relative to the seated user. 제225항에 있어서, 상기 등받이는 착석한 사용자의 요추 영역에 위치하는 가요성 구역에 의해 연결된 상부 및 하부 강성 섹션을 갖는 등받이 셸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석 유닛.255. The seating unit of claim 225, wherein the backrest comprises a backrest shell having upper and lower rigid sections connected by a flexible zone located in the lumbar region of the seated user. 등받이 프레임과,Backrest frame, 상부 연결부 및 하부 연결부에서 상기 등받이 프레임에 작동 가능하게 부착된 등받이를 포함하고,A backrest operatively attached to the backrest frame at upper and lower connections, 상기 등받이는 가요성 요추 부분에 의해 연결된 강성 골반 부분과 강성 흉부 부분을 포함하며, 상기 하부 연결부는 골반 부분의 전방에 위치하고,The backrest includes a rigid pelvic portion and a rigid chest portion connected by a flexible lumbar region, wherein the lower connection is located in front of the pelvic portion, 상기 상부 및 하부 연결부와, 흉부, 골반 및 요추 부분들은, 착석한 사용자가 자신의 등의 하부 부분을 후방으로 굴곡시킨 때, 등받이의 골반 부분은 하방 및 후방으로 피벗 이동하고, 등받이의 요추 부분은 골반 부분과 더욱 평면으로 배열되도록 후방으로 굴곡 이동하고, 등받이의 흉부 부분은 상부 연결부를 중심으로 피벗되도록 구성되어서, 등받이 프레임과 협력하여 상기 등받이는 매우 편안하면서도 착석한 사용자의 몸통 및 척추의 상당한 굴곡과 이동을 올바른 자세로 지지하는 착석한 사용자의 등에 대한 자세 지지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석 유닛.The upper and lower connections, the chest, the pelvis and lumbar region, when the seated user flexes the lower portion of his back backward, the pelvic portion of the backrest pivots downward and backward, and the lumbar portion of the backrest It flexes backwards to align with the pelvic part more planarly, and the chest part of the backrest is configured to pivot about the upper connection, so that, in cooperation with the backrest frame, the backrest is very comfortable and seated with significant flexion of the torso and spine of the user And a posture support for the back of the seated user supporting the movement in the correct posture. 제230항에 있어서, 상기 등받이 프레임은 하부 피벗부를 형성하고 직립 위치와 경사 위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석 유닛.234. The seating unit of claim 230, wherein said backrest frame forms a lower pivot and is movable between an upright position and an inclined position. 제230항에 있어서, 상기 요추 부분은 가요성 재료 쉬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석 유닛.234. The seating unit of claim 230, wherein the lumbar region comprises a flexible material sheet. 제230항에 있어서, 요추 부분을 전방으로 편의시키기 위해 등받이에 작동 가능하게 연결된 힘 발생 기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석 유닛.234. The seating unit of claim 230, comprising a force generating mechanism operably connected to the backrest to bias the lumbar region forward. 제230항에 있어서, 요추 부분이 전방으로 돌출하는 형상으로 가요성 등받이를 편의시키는 편의 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편의 장치는 편의력을 제공하지만 가요성 등받이의 형상을 변경시키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석 유닛.231. The seating device of claim 230, comprising a convenience device for biasing the flexible back to a shape in which the lumbar region protrudes forward, the comfort device providing convenience but not altering the shape of the flexible back. unit. 적어도 하나의 상부 연결부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상부 연결부로부터 수직으로 이격된 적어도 하나의 하부 연결부를 구비한 가요성 셸을 포함하며,A flexible shell having at least one upper connection and at least one lower connection vertically spaced from the at least one upper connection, 상기 적어도 하나의 하부 연결부는 셸의 바닥의 정면에 있어, 상기 하부 연결부는 착석한 성인 사용자가 몸통을 셸에 기댈 때 착석한 사용자의 엉덩이뼈와 정렬되는 축을 한정하며,The at least one lower connection is in front of the bottom of the shell, the lower connection defining an axis that is aligned with the hip bone of the seated user when the seated adult user leans against the shell, 상기 셸은 강성 흉부 부분, 강성 골반 부분 및 요추 부분을 구비하고,The shell having a rigid thoracic part, a rigid pelvic part and a lumbar spine part, 상기 요추 부분은 수평 전방 방향으로 상당히 구부러질 수 있기 때문에 상기 셸이 용이하게 굴곡될 수 있어 최적의 요추 지지를 위한 다양한 형상을 제공하지만, 상기 요추 부분은 흉부 및 골반 부분 측의 방향으로는 거의 비압축적이기 때문에 상기 요추 부분은 요추 부분의 굴곡시 흉부 및 골반 부분이 상부 및 하부 연결부를 중심으로 소정의 경로를 따라 피벗하도록 하여, 상기 가요성 등받이에서는 착석한 사용자의 등의 굴곡에 의한 요추 부분의 굴곡시 상부 연결부와 하부 연결부 사이의 굴곡이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요성 등받이.The shell can be easily bent because the lumbar region can be bent considerably in the horizontal forward direction to provide various shapes for optimal lumbar support, but the lumbar region is almost non-near in the direction of the thoracic and pelvic side. Since the lumbar part is compressive, the chest and pelvis parts pivot along a predetermined path around the upper and lower joints when the lumbar part is bent, so that the flexible back rests the lumbar part by the back of the user seated. Flexible backrest, characterized in that the bending between the upper connection and the lower connection is controlled during bending. 제235항에 있어서, 요추 부분이 전방으로 돌출하는 형상으로 가요성 등받이를 편의시키는 편의 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편의 장치는 편의력을 제공하지만 가요성 등받이의 형상을 변경시키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요성 등받이.238. The flexible device of claim 235, comprising a convenience device for biasing the flexible back to a shape in which the lumbar region protrudes forward, the comfort device providing convenience but not altering the shape of the flexible back. Sex back. 기부와, Donation, 상기 기부 상에 이동 가능하게 장착된 시트 지지 구조물과, A seat support structure movably mounted on the base; 직립 위치와 경사 위치 사이에서 이동하도록 상기 시트 지지 구조물에 피벗되는 등받이 지지체와, A backrest support pivoted on the seat support structure to move between an upright position and an inclined position; 상기 시트 지지 구조물 상에 위치한 시트와, A seat located on the seat support structure; 적어도 하나의 상부 연결부에서 상기 등받이 지지체에 연결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상부 연결부로부터 수직으로 이격된 적어도 하나의 하부 연결부에서 시트 및 등받이 지지체 중의 하나에 연결되는 가요성 등받이를 포함하고, A flexible backrest connected to the backrest support at at least one upper connection and to one of the seat and backrest support at at least one lower connection vertically spaced from the at least one upper connection; 상기 시트 지지 구조물은 상기 시트를 등받이 지지체의 경사에 따라 등받이 지지체와 동기적으로 전방으로 이동시키며, The seat support structure moves the seat forward synchronously with the back support according to the inclination of the back support, 상기 적어도 하나의 하부 연결부는 가요성 등받이의 바닥을 소정 범위의 거동으로 구속시키며, 상기 가요성 등받이는 굴곡 가능하여, 상기 가요성 등받이에서는 착석한 사용자의 등의 굴곡시 상부 연결부와 하부 연결부 사이의 굴곡이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석 유닛.The at least one lower connection portion restrains the bottom of the flexible back with a predetermined range of motion, and the flexible back is bendable, so that the flexible backrest between the upper connection part and the lower connection part when the user's back is bent. Seating unit, characterized in that the bending is controlled. 제237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의 전방으로의 상기 이동은 상기 등받이 지지체의 경사 동안에 발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석 유닛.237. The seating unit of claim 237, wherein said movement forward of said seat occurs during the inclination of said back support. 제237항에 있어서, 에너지 기구가 상기 등받이 지지체를 직립 위치로 편의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석 유닛.237. The seating unit of claim 237, wherein an energy mechanism biases the back support to the upright position. 제237항에 있어서, 등받이 지지체와 시트 지지 구조물은 착석한 사용자에 의한 등받이의 경사시 동기적 거동으로 등받이와 시트를 이동시키기 위해 기부에 작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석 유닛. 237. The seating unit of claim 237, wherein the back support and the seat support structure are operably connected to the base to move the back and the seat in synchronous behavior of the backrest by the seated user.
KR1020007004400A 1997-10-24 1998-10-19 Synchrotilt chair with adjustable seat, back and energy mechanism KR100543155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08/957,506 US6086153A (en) 1997-10-24 1997-10-24 Chair with reclineable back and adjustable energy mechanism
US8/957,604 1997-10-24
US08/957,604 US5979984A (en) 1997-10-24 1997-10-24 Synchrotilt chair with forwardly movable seat
US8/957,548 1997-10-24
US08/957,473 US5975634A (en) 1997-10-24 1997-10-24 Chair including novel back construction
US08/957,548 1997-10-24
US08/957,548 US5909923A (en) 1997-10-24 1997-10-24 Chair with novel pivot mounts and method of assembly
US08/957,604 1997-10-24
US08/957,506 1997-10-24
US8/957,473 1997-10-24
US9/957,561 1997-10-24
US08/957,561 US5871258A (en) 1997-10-24 1997-10-24 Chair with novel seat construction
US08/957,473 1997-10-24
US8/957,506 1997-10-24
US09/957,561 1997-10-24
PCT/US1998/022047 WO1999021456A1 (en) 1997-10-24 1998-10-19 Synchrotilt chair with adjustable seat, back and energy mechanism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31386A KR20010031386A (en) 2001-04-16
KR100543155B1 true KR100543155B1 (en) 2006-01-20

Family

ID=452178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7004400A KR100543155B1 (en) 1997-10-24 1998-10-19 Synchrotilt chair with adjustable seat, back and energy mechanism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100543155B1 (en)
AT (2) ATE533382T1 (en)
HK (1) HK1072702A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0137830A2 (en) * 2009-05-25 2010-12-02 (주)에이포 Chair with an adjustable backrest angle
KR102071448B1 (en) * 2019-05-16 2020-01-30 유한회사 애니체 Back rest tilting structure of chair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46664B1 (en) * 2009-05-25 2010-03-09 (주) 에이포 Chair with a reclinable back support
US9458905B2 (en) * 2012-09-20 2016-10-04 Steelcase Inc. Spring assembly and method
CN108514264A (en) * 2018-06-20 2018-09-11 昆山奇朗数码科技有限公司 A kind of power seat
CN111109912A (en) * 2018-10-31 2020-05-08 周学蒙 Chair with music playing function
EP3955774A4 (en) * 2019-04-16 2023-01-11 MillerKnoll, Inc. Chair for active engagement of user
KR102366702B1 (en) 2020-07-01 2022-02-22 한의경 Head tilting chair
KR102519219B1 (en) * 2021-04-21 2023-04-05 박상근 Chair Discharging Foreign matter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0137830A2 (en) * 2009-05-25 2010-12-02 (주)에이포 Chair with an adjustable backrest angle
WO2010137830A3 (en) * 2009-05-25 2011-03-03 (주)에이포 Chair with an adjustable backrest angle
CN102448347A (en) * 2009-05-25 2012-05-09 A4有限公司 Chair with an adjustable backrest angle
KR102071448B1 (en) * 2019-05-16 2020-01-30 유한회사 애니체 Back rest tilting structure of chai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TE548943T1 (en) 2012-03-15
HK1072702A1 (en) 2005-09-09
ATE533382T1 (en) 2011-12-15
KR20010031386A (en) 2001-04-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104286B2 (en) Synchronous tilting chair with adjustable seat, backrest and energy mechanism
KR100543155B1 (en) Synchrotilt chair with adjustable seat, back and energy mechanism
MXPA00003882A (en) Synchrotilt chair with adjustable seat, back and energy mechanis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