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41884B1 - 궤환제어 중계기용 일체형 안테나 시스템 - Google Patents

궤환제어 중계기용 일체형 안테나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41884B1
KR100541884B1 KR1020030025155A KR20030025155A KR100541884B1 KR 100541884 B1 KR100541884 B1 KR 100541884B1 KR 1020030025155 A KR1020030025155 A KR 1020030025155A KR 20030025155 A KR20030025155 A KR 20030025155A KR 100541884 B1 KR100541884 B1 KR 10054188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ntenna
feedback control
unit
signal
receiv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251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91343A (ko
Inventor
정하재
Original Assignee
(주)더블유엘호스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더블유엘호스트 filed Critical (주)더블유엘호스트
Priority to KR10200300251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41884B1/ko
Publication of KR200400913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9134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418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4188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BNON-METALLIC ELEMENTS; COMPOUNDS THEREOF; METALLOIDS OR COMPOUNDS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 C01C
    • C01B13/00Oxygen; Ozone; Oxides or hydroxides in general
    • C01B13/10Preparation of ozone
    • C01B13/11Preparation of ozone by electric discharg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015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gaseous or vaporous substances, e.g. ozone
    • A61L9/04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gaseous or vaporous substances, e.g. ozone using substances evaporated in the air without heating
    • A61L9/12Apparatus, e.g. holders, therefor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7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oxidation
    • C02F1/78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oxidation with ozo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9/00Aspects relating to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2209/20Method-related aspects
    • A61L2209/21Use of chemical compounds for treating air or the like
    • A61L2209/212Use of ozone, e.g. generated by UV radiation or electrical discharge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BNON-METALLIC ELEMENTS; COMPOUNDS THEREOF; METALLOIDS OR COMPOUNDS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 C01C
    • C01B2201/00Preparation of ozone by electrical discharge
    • C01B2201/20Electrodes used for obtaining electrical discharge
    • C01B2201/22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electrode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78Details relating to ozone treatment devices
    • C02F2201/782Ozone generator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303/00Specific treatment goals
    • C02F2303/04Disinfection

Landscapes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Radio Relay Systems (AREA)
  • Aerials With Secondary Devices (AREA)
  • Variable-Direction Aerials And Aerial Arrays (AREA)

Abstract

궤환제어 중계기용 일체형 안테나 시스템이 개시된다. 본 발명 궤환제어 중계기용 일체형 안테나 시스템은 궤환제어 중계기에 사용되는 안테나에 관한 것으로 직접적인 간섭의 양과 위상의 변화를 최소화하는 안테나 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종래 수신소자와 반사판이 결합된 수신안테나부와 송신소자와 반사판이 결합된 송신안테나부로 이격되어 구성된 안테나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수신소자는 상기 반사판의 일측에 결합하고, 상기 송신소자는 상기 반사판의 타측에 결합하여 수신안테나부와 송신안테나부가 하나의 구조체로 일체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수신안테나부와 송신안테나부의 방사패턴이 상호 배타적으로 형성되게 하여 필요한 서비스 영역을 확보함과 동시에 주변의 반사체로부터 궤환되는 전파레벨을 최소화되도록 하여 각종 통신산업에 사용하는 중계장치의 안테나 시스템으로 활용이 가능하며, 특히 아파트 밀집단지의 전파음영과 대형 구조물 또는 지형 장애물에 의한 전파음영지역의 통신품질 개선의 효과 및 궤환제어 중계기의 구성요소를 줄여 기구적 크기를 줄일 수가 있고, 중계 시스템의 설치 및 운용이 용이한 효과가 있다.
궤환제어 중계기, 송신안테나부, 수신안테나부, 반파장 다이폴

Description

궤환제어 중계기용 일체형 안테나 시스템{THE SINGLE-UNIT ANTENNA SYSTEM FOR FEEDBACK CONTROLLING}
도 1은 종래의 안테나 시스템을 이용한 궤환제어 중계기의 구성을 보인 도면.
도 2는 본 발명 궤환제어 중계기용 일체형 안테나 시스템의 패턴 생성 원리를 보인 도면.
도 3은 본 발명 궤환제어 중계기용 일체형 안테나 시스템을 이용한 궤환제어 중계기의 구성을 보인 도면.
도 4는 본 발명 궤환제어 중계기용 일체형 안테나 시스템에 신호 합성부와 출력 검출부를 포함한 것을 보인 도면.
도 5는 본 발명 궤환제어 중계기용 일체형 안테나 시스템의 소자를 다수 결합한 형태의 예를 보인 도면.
도 6은 본 발명 궤환제어 중계기용 일체형 안테나 시스템의 실시 예를 보인 도면.
*** 도면 부호의 간단한 설명 ***
110 : 수신안테나부 120 : 송신안테나부
130 : 궤환제어 중계기 131 : 신호합성부
132 : 신호증폭부 133 : 출력검출부
134 : 지연조정부 135 : 레벨조정부
136 : 위상제어부 140 : 주변반사체
150 : 직접궤환신호 160 : 반사궤환신호
210 : 반사판 220 : 수신소자
230 : 송신소자 221 : 제1주영역
222 : 제1부영역 231 : 제2주영역
232 : 제2부영역 240 : 격리영역
380 : 일체화된 구조체 480 : 궤환제어 중계기
510 : 십자형 반사판 512: 반사판 종부
513 : 송신소자 514 : 반사판 횡부
515 : 수신소자 516 : 반사판 지지체
610 : 안테나 시스템 612 : 반사판
613 : 내부 공간 614 : 보호체
615 : 수신소자 616 : 송신소자
620 : 안테나 지지체 630 : 중계기 함체부
640 : 피뢰침
본 발명은 무선통신에서 이용되는 안테나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무선 중계기에서 궤환되는 신호를 제어하는 궤환제어 중계기에 이용되는 안테나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궤환제어 중계기에 이용되는 안테나 시스템은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신안테나부(110)와 송신안테나부(120)가 별개의 장치로써 분리되어 각각 궤환제어 중계기(130)에 결합된다.
이때 상기 수신안테나부(110)에서 수신되는 신호는 중계모국(Donor) 또는 단말국(Mobile)과 같이 궤환제어 중계기(130)의 외부로부터 발생된 신호와 궤환제어 중계기(130)의 자기 송신신호의 일부 즉, 사용하는 송신안테나부(120)와 수신안테나부(110)간 직접적인 공간경로를 통하여 수신되는 직접궤환신호(150)와 주변반사체(140)를 통하여 수신되는 반사궤환신호(160) 등이 있다.
본 발명의 설명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순 방향만을 언급한다. 즉, 도너(또는 링크라고 함)를 지향하는 안테나부를 수신안테나부라고 하며, 상기 수신의 신호를 증폭하여 다수의 주변 이동국에 재송신 또는 서비스하는 안테나부를 송신안테나부라고 한다.
그러나, 양방향의 통신시스템에서 역방향의 경우는 상기 송신안테나부를 수신안테나부로 사용하며, 상기 수신안테나부를 송신안테나부로 사용하나, 본 발명에서 구체적으로 언급하지 않는 이유는 본 발명의 응용사례로 간주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상기 궤환제어 중계기(130)는 일반적으로 신호증폭부(132), 출력 검 출부(133), 지연조정부(134), 레벨조정부(135) 및 위상제어부(136)로 구성하여 상기 수신안테나부(110)로 입력된 상기 직접궤환신호(150) 및 반사궤환신호(160)를 신호처리과정을 통하여 상쇄시킨다.
상기 궤환제어 중계기를 이루는 구성요소의 기능을 살펴보면, 상기 신호증폭부(132)는 중계를 목적으로 하는 신호를 증폭을 하며, 상기 출력 검출부(133)는 중계기 자체의 송신신호 즉 송신안테나부(120)를 통하여 송출되는 신호의 일부를 분기하여 표본화한다.
상기 지연 조정부(134)는 상기 분기 및 표본화된 신호를 직접궤환신호(150)와 반사궤환신호(160)의 각각의 궤환신호에 대한 공중선을 구성하는 경로만큼 지연시키며 상기 레벨 조정부(135)는 상기 각각의 궤환신호에 대하여 각각의 궤환신호에 상응하는 신호의 크기를 제어하고 상기 위상 제어부(136)는 상기 지연 조정부(134), 레벨 조정부(135) 및 위상 제어부(136)를 통과한 신호에 대하여 수신안테나부(110)를 통하여 수신된 궤환신호와 상호 역위상으로 조정한다.
따라서 상기 신호 합성부(131)는 상기 위상 제어부(136)로 출력신호와 상기 수신안테나부(110)를 통하여 수신된 궤환신호를 합성하여 상기 각각의 궤환신호를 상쇄하는 최소한의 특징을 갖는다.
또한, 상기 언급한 직접궤환신호(150)와 반사궤환신호(160)에 대한 특징을 상기 궤환제어 중계기(130)와 연동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직접궤환신호(150)는 송신안테나부(120)와 수신안테나부(110)간의 거 리가 근접하고, 상기 송신안테나부(120)와 수신안테나부(110) 상호 간에 패턴의 중첩에 의하여 다른 여타의 반사경로를 갖지 아니하고 공간적으로 직접 궤환되는 신호를 말한다.
따라서 철탑과 같은 구조체에 송신안테나부(120)와 수신안테나부(110)가 각각 이격되어 설치되므로 상기 안테나부 간의 설치 위치에 따라서 이격 거리와 상호 패턴 중첩시 발생되는 보강현상과 상쇄현상(Nulling)에 의한 레벨변화가 크게 발생하며, 또한 바람과 같이 지속적인 자연의 변화에 의하여 상기 철탑과 같은 구조체에 진동이 발생하여 상기 안테나부 상호 간에 위상변화가 불규칙하게 발생한다.
따라서 상기 궤환제어 중계기(130)는 끊임없이 상기 변화를 감시하여야 하고 상기 궤환제어 중계기(130) 내부의 위상제어부(136)와 레벨조정부(135)를 조정하여야 하므로 상기 조정하는 과정에서 발진현상과 출력상승과 같은 불안정한 중계가 이루어지는 문제점을 갖고 있다.
또한, 반사궤환신호(160)의 경우는 주변반사체(140)로 인하여 궤환되는 신호로 주로 주변의 반사 구조체 또는 차량과 같은 이동체의 반사에 의하여 발생된다.
따라서 상기 송신안테나부(120)와 수신안테나부(110) 간의 안테나 방사 패턴의 중첩과 상기 주변반사체(140)의 위치에 따라서 궤환되는 양과 위상이 변한다.
특히, 사용하는 RF(Radio Frequency) 주파수가 높고 이동하는 반사체의 이동속도가 빠를수록 궤환되는 위상변화의 속도가 빠르게 변하여, 궤환제어 중계기(130) 내부의 각각의 구성 요소들이 능동적으로 제어하는데 과도시간이 필요하고, 이로 인하여 중계 시스템의 운용이 불안정하게 한다.
따라서, 상기 송신안테나부(120)와 수신안테나부(110)에 대한 각각의 방사 패턴을 분리 조정 할 필요가 있으나, 상기 안테나부의 설치 위치가 상호 분리되어 있고, 상기 안테나부의 설치장소에서 실제방사 및 수신되는 패턴을 운용자가 현실적으로 철탑과 같은 구조체 주위를 입체적으로 회전 측정하여 조정하기란 비용과 도구측면에서 거의 불가능한 일이므로 수신안테나부의 수신패턴과 송신안테나부의 방사패턴이 확실히 구분 지어지는 협각의 안테나를 선택하여 서비스 지역을 협각으로 제한하여 사용하거나, 궤환제어 중계기(130) 내부에 고속으로 신호를 처리하는 다수의 위상제어부(136), 레벨제어부(135) 및 지연조정부(134)를 구비하여야 하는 문제점 및 이로 인하여 궤환제어 중계기가 구조적으로 크기가 증가하며 제작비용이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기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 송신안테나부와 수신안테나부를 일체시킨 일체형 안테나 시스템으로 상기 서술한 종래의 안테나 시스템에서 발생되는 문제점인 직접궤환신호의 변화를 최소화하며, 광각의 서비스 각도를 유지하면서도 반사간섭신호의 양을 최소화하는 안테나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 기술한 바와 같은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수신소자와 반사판이 결합된 수신안테나부와 송신소자와 반사판이 결합된 송신안테나부로 구성되고, 이격 설치되어 무선통신에서 사용되는 안테나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수신소 자는 상기 반사판의 일측에 결합되고, 상기 송신소자는 상기 반사판의 타측에 결합되어 수신안테나부와 송신안테나부가 일체된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수신(일명 "Link")소자는 상기 반사판의 일측면에 적어도 1개 이상의 소자로 수평으로 배열되고, 상기 송신(일명 "Service")소자는 상기 반사판의 타측면에 적어도 1개 이상의 소자로 수직으로 배열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반사판은 내부에 공간이 형성된 2중의 겹판구조로 상기 수신(일명 "Link") 안테나부측은 안테나 빔 폭이 예각으로 형성되며 상기 송신(일명 "Service") 안테나부측은 안테나 빔 폭이 둔각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안테나 시스템은 상기 수신안테나부로부터 수신된 신호를 입력받아 위상제어부의 출력신호와 합성하여 이를 신호증폭부로 전달하는 신호 합성부 및 상기 송신안테나로 송출될 신호의 일부를 분기 및 표본화하여 레벨 조정부로 전달하는 출력 검출부를 더 포함하거나 또는 선택적으로 어느 하나를 더 포함하여 궤환제어 중계기의 구성요소인 지연 조정부없이도 궤환중계를 할 수 있도록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 궤환제어 중계기용 일체형 안테나 시스템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 궤환 제어 중계기용 일체형 안테나 시스템의 패턴 생성 원리를 보인 도면이다. 상기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하나의 반사판(210)을 이용하여 상기 반사판의 일측과 타측에 각각 수신소자(220) 내지 송신소자(230)를 결합하여 구성된다. 이때 상기 반사판(210)의 일측에 결합된 수신소자(220)는 수신안테나부가 되고 상기 수신안테나부는 도너(Donner)측 또는 링크(Link)측을 지향하며, 상기 반사판(210)의 타측에 결합된 송신소자(230)는 송신안테나부가 되고 상기 송신안테나부는 서비스(Service)측을 지향한다.
상기 반사판(210)은 알루미늄(Aluminum)과 같은 양도체(conductor)를 소재로한 판넬(Panel)의 형태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수신소자(220) 및 송신소자(230)는 안테나 시스템에서 이용되는 다양한 송수신 소자(Element)를 이용할 수가 있으나 본 발명에서는 소자의 전체 길이가 사용 파장의 1/2인 것으로 반파장 더블렛이라고도 하는 반파장 다이폴(dipole) 소자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반파장 다이폴 소자는 자유공간에서 수평면내의 지향성은 무지향성으로 원형의 지향특성을 갖으며 수직면내의 지향성은 8자형 지향특성을 갖는다.
상기 안테나부를 구성하는 소자의 갯수는 특정되지 않으나 1개 내지 6개의 소자로 수신안테나부 및 송신안테나부를 구성하는 것이 일반적이며 본 발명 역시 일반적으로 안테나부를 구성하는 소자의 갯수로 안테나 시스템을 구성하며 특정한 소자의 갯수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때 상기 소자의 배열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반사판 지지체(516)에 결합되어 고정된 십자형의 반사판(510)의 전면 횡부(514)에 수신소자(515)를 다수 결합하여 도너(Donner)측을 지향하는 수신안테나부를 형성하고, 상기 십자형의 반사판(510)의 배면 종부(512)에 송신소자(513)를 다수 결합하여 서비스(Service)측을 지향하는 송신안테나부를 형성하다. 따라서 상기 수신소자(515)와 송신소자(513)는 서로 배타적인 면에 결합된다.
상기 십자형 반사판(510)은 횡부(514)와 종부(512)가 일체형으로 제작되거나 또는 상기 횡부(514)와 종부(512)가 각각 별도의 반사판으로 소자가 결합되지 않는 타측면을 서로 직각으로 결합하여 십자형 반사판(510)을 구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소자를 반사판(510)에 다수 결합 시 횡부(514)와 종부(512)로 나누어 결합을 하여, 수신측 패턴 그래프와 송신측 패턴 그래프에서 알 수 있듯이 각기 수신안테나부와 송신안테나부의 영역을 더욱 명확히 격리시키고, 상위 시설국측(도너 또는 링크) 즉 수신안테나측은 지형의 수평구조에 따라 수평패턴은 협각으로 수직패턴은 광각으로 패턴을 구성하여 강한 지향성과 선택성을 높히고, 이동단말국측(서비스) 즉 송신안테나측은 수평패턴은 광각으로 수직패턴은 협각으로 패턴을 구성하여 이동성과 고이득 특성을 확보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안테나 시스템은 상기 반사판과 수신소자 및 송신소자 간의 결합을 일반적으로 이용되는 4분지 1파장의 공진 스터브(Stub)를 사용하여 방사 효율과 지향특성을 형성한다.
즉, 상기 반사판(210)에 4분지1파장 거리로 이격된 상기 수신소자(220)는 상기 수신소자(220)가 결합된 반사판(210)의 일측면의 반대 방향으로 가장 강한 신호 세기의 제1주영역(Main Lobe,221)과 제1주영역의 세기보다 약한 제1부영역(side lobe,222)을 형성한다. 그러나, 반사판(210)과 수신소자(220)와의 위치상의 영상효과(Image Effect)에 의하여 반사판(210) 평면을 따라가는 각도에 대하여는 영점(Nulling Point)를 형성하는 기술적인 특징이 있으며, 상기 송신소자(230) 역 시 상기 수신소자(220)가 설치된 일측 평면에 대한 타측 평면 즉 배면(Back Side)에 결합되어 제2주영역(Main Lobe,231)과 제2부영역(side lobe 232)을 형성하며 반사판(210)의 평면을 따라 영점(Nulling Point)를 형성하여, 결과적으로 수신소자(220)와 상기 수신소자(220)에 대하여 배면(Back side)에 존재하는 송신소자(230)는 반사판(210)의 평면을 상호 경계로 하는 입체적으로 배타적인 격리영역(240)의 패턴을 형성하는 특징이 있다.
한편, 상기 수신소자(220)와 상기 송신소자(230)는 상기 반사판(210)을 중심으로 상호 배면에 위치함으로 인하여 발생하는 직접 전달 신호는 후방 패턴(Back Lobe) 특성에 의하여 위상과 레벨이 결정되며, 상기 레벨은 수신소자(220)와 송신소자(230)가 공간적으로 이격 된 때보다 월등히 크지만 상기 위상은 안테나 제조 시의 구조체의 형상에 의하여 결정되어 실제 궤환제어 중계기가 설치되어 운용 중인 때에는 자유공간을 통하지 않고 구조체를 통하여 직접적으로 전달되므로 바람과 같은 자연적인 외력이 작용한다고 하더라도 상기 위상과 레벨의 변화가 상기 수신소자(220)와 송신소자(230)가 각각 공간적으로 이격 되어 있는 경우보다 현저히 적은 특징을 갖는다.
도 3은 본 발명 궤환제어 중계기용 일체형 안테나 시스템의 설치를 보인 도면이다. 상기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도 2에서 설명한 궤환제어 중계기용 안테나 시스템은 상기 도 1에서 설명한 궤환제어 중계기(230)에 결합되어 사용된다.
즉 종래의 수신안테나부와 송신안테나부가 분리된 형태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수신안테나부(310)와 송신안테나부(320)가 일체화된 구조체(380)로 궤환제어 중계기의 안테나 시스템으로 이용된다.
따라서 상기 도 3에서 도시된 일체화된 구조의 안테나 시스템은 상기 도 2의 격리영역(240)의 효과에 의하여 주변반사체(350)로 인하여 발생하는 반사궤환신호(360)의 양을 안테나를 설치 시 별도의 조정을 필요치 않으면서도 최소화 할 수 있으며, 직접궤환신호(370)에 대하여 레벨과 위상의 변화가 적어 궤환중계기(340)내의 조정요소가 운용초기에 설정이 된 이후에는 변동량이 적거나 시간적으로 점진적이므로 종래기술의 송신과 수신의 안테나가 공간적으로 이격되어 풍압과 같은 진동으로 인하여 전달 레벨과 위상의 변화가 빈번히 발생한데 따른 과도기적 불안정 운용 현상을 방지하여 안정적으로 운용 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 궤환제어 중계기용 일체형 안테나 시스템에 신호 합성부와 출력 검출부를 포함한 것을 보인 도면이다. 상기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신호 합성부(430)와 출력 검출부(440)를 궤환제어 중계기용 일체형 안테나 시스템에 포함하여 안테나 시스템과 궤환제어 중계기을 연결하는 케이블(Cable)에 의한 지연을 조정하는 지연 조정부를 필요로 하지 않도록 한다.
상기 도 3의 지연 조정부는 상기 도 1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수신안테나부(310)에서 신호합성부를 연결하는 케이블의 길이와 송신안테나부(320)에서 출력검출부을 연결하는 케이블에 의해 발생되는 지연을 조정하는 것으로 상기 지연 조정부는 물리적으로 지연을 조정하므로 인하여 케이블의 길이가 길어짐에 따라서 그 부피가 증가하고 결과적으로 궤환제어 중계기가 커지고 정확한 지연의 조정이 어려우나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신안테나부(410)에 신호 합성부(430)를 포함시키거나, 송신안테나부(420)에 출력 검출부(440)를 포함시켜, 상기 안테나부와 궤환제어 중계기를 연결하는 케이블의 길이 및 궤환제어 중계기의 송수신 케이블의 경로만큼 설치시공 시 상기 케이블의 길이 및 경로의 길이와 재질을 일치시킴으로써 궤환제어 중계기 내부에서 별도의 지연을 조정하는 지연 조정부가 필요 없도록 한다. 따라서 궤환제어 중계기(480)는 신호증폭부, 레벨 조정부 및 위상 제어부만으로 구성되어 중계기의 부피를 줄일 수가 있다.
상기 도 4에서는 신호 합성부(430)와 출력 검출부(440)가 모두 포함된 형태를 예를들어 설명하였으나 여기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며 선택적으로 신호 합성부(430) 내지 출력 검출부(440)를 포함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 궤환 제어 중계기용 일체형 안테나 시스템의 실시 예를 보인 도면이다. 상기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로써 고층 아파트 단지의 옥상에서 원거리의 기지국 일명 도너(Donor)국과 저층의 이동전화 사용자간의 통신 일명 서비스(Service)를 중계하는 것을 예로 설명하면, 본 발명의 일체화된 안테나 시스템을 사용하는 궤환제어 중계기의 구성은 궤환제어 중계기의 전원공급과 일체의 회로를 내장하는 중계기 함체부(630) 및 중계기와 안테나를 연결하는 급전선 및 접지선의 통로역할과 안테나를 설치 표면으로부터 일정 높이에 위치하게 하는 역할을 하는 안테나 지지체(620) 및 송신안테나와 수신안테나가 일체화된 일체형 안테나 시스템(610) 및 낙뢰 보호 요소인 피뢰침(640)으로 한다.
특히, 상기 일체형 안테나 시스템(610)은 송신안테나와 수신안테나가 양방향으 로 상기 궤환제어 중계기의 송수신 결합기(Duplexer)에 의하여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안테나 시스템(610)의 횡단면을 볼 때, 상기 반사판(612)의 수신안테나측은 도너(Donor)국 방향으로 예각 지향되어 있는 반사면에 수신소자(615)를 결합하여 상위국의 공간적 선택도와 안테나 이득(Gain)을 높이며, 송신안테나측은 서비스(Service)방향으로 상기 예각 지향되어 있는 반사면의 배면에 둔각으로 지향되어 있어 반사면에 송신소자(616)를 결합하여 이동전화의 이동성에 따른 수평방향에 대한 광각 서비스와 목적하는 수직방향에 대하여 경사 패턴(Tilting)을 형성할 수 있는 특징이 있으며, 전파의 투과성이 우수하고 견고한 보호체(614)로써 외관을 형성하는 특징을 갖는다.
또한 상기 횡 단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반사판(612)을 내부에 공간(613)이 형성된 겹판 구조로 하여 표피침투효과(Skin Depth Effect)에 의한 상호 간섭량을 구조적으로 줄이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안테나 시스템은 상기 도 4에 도시된 신호 합성부(430) 및 출력 검출부(440)를 상기 겹판 구조로 인하여 형성된 내부 공간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서술한 발명의 방법과 응용은 일 실시 예로서 본 발명의 활용을 제한하고자 한 것이 아니고, 이해를 돕기 위한 설명이란 점에 유의하여야 하며, 상술한 내용을 이용하여 상술의 송신안테나는 양방향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 듀플렉서(Duplexer)라는 필터 분리소자를 사용하여 수신을 겸하는 용도로 사용할 수 있는 등 유사한 사례들을 충분히 응용 할 수 있고 본 발명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은 수신안테나부와 송신안테나부가 일체된 일체형 안테나 시스템으로서 통신 중계에 필요한 양방향의 안테나 패턴을 상호 배타적으로 형성 함으로 인하여 궤환제어 중계기의 운용상 발생되는 반사궤환신호의 양을 최소화 하고 안테나 시스템이 설치된 환경의 변화에 따라 안테나 구조체를 통하여 유기되는 직접궤환신호의 위상과 레벨의 변화를 최소화하여 급격하고 빈번한 궤환제어 과정의 과도기적 불안정 현상을 방지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신호 합성부 및 출력 검출부를 내장하여 궤환제어 중계기의 구성요소인 지연 조정부가 없이도 구동이 가능하도록 하여 궤환제어 중계기의 기구적 크기를 줄일 수가 있고 제조단가를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궤환제어 중계기를 사용함에 있어 설치와 관리의 용이성을 제공하며, 아파트 단지 및 도심지의 통신품질을 개선하는데 다수의 안테나를 별도로 설치 하는 것 보다 미관적으로 우수하며, 설치 비용적으로 경제적인 효과가 있다.

Claims (4)

  1. 수신소자와 반사판이 결합된 수신안테나부와 송신소자와 반사판이 결합된 송신안테나부가 이격 설치되어 무선통신에서 사용되는 안테나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수신소자는 상기 반사판의 일측에 결합되고, 상기 송신소자는 상기 반사판의 타측에 결합되어 수신안테나부와 송신안테나부가 일체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궤환제어 중계기용 일체형 안테나 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일명 "Link")소자는 상기 반사판의 일측면에 적어도 1개 이상의 소자로 수평으로 배열되고, 상기 송신(일명 "Service")소자는 상기 반사판의 타측면에 적어도 1개 이상의 소자로 수직으로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궤환 제어 중계기용 일체형 안테나 시스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판은
    내부에 공간이 형성된 2중의 겹판구조로 상기 수신(일명 "Link") 안테나부측은 안테나 빔 폭이 예각으로 형성되며 상기 송신(일명 "Service") 안테나부측은 안테나 빔 폭이 둔각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궤환 제어 중계기용 일체형 안테나 시스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안테나부로부터 수신된 신호를 입력받아 위상제어부의 출력신호와 합성하여 이를 신호증폭부로 전달하는 신호 합성부; 및
    상기 송신안테나로 송출될 신호의 일부를 분기 및 표본화하여 레벨 조정부로 전달하는 출력 검출부;를 모두 포함하거나 선택적으로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궤환 제어 중계기용 일체형 안테나 시스템.
KR1020030025155A 2003-04-21 2003-04-21 궤환제어 중계기용 일체형 안테나 시스템 KR10054188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25155A KR100541884B1 (ko) 2003-04-21 2003-04-21 궤환제어 중계기용 일체형 안테나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25155A KR100541884B1 (ko) 2003-04-21 2003-04-21 궤환제어 중계기용 일체형 안테나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91343A KR20040091343A (ko) 2004-10-28
KR100541884B1 true KR100541884B1 (ko) 2006-01-11

Family

ID=373720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25155A KR100541884B1 (ko) 2003-04-21 2003-04-21 궤환제어 중계기용 일체형 안테나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4188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73576B1 (ko) * 2019-03-26 2020-02-06 (주)텔트론 전파궤환을 이용한 aia방식 rf센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95329B1 (ko) * 2004-12-21 2007-03-15 한국전자통신연구원 H형 모노폴 격리 안테나
KR100695330B1 (ko) * 2004-12-21 2007-03-15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중계기용 격리 안테나
KR100695328B1 (ko) 2004-12-21 2007-03-15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초격리 안테나
JP4639857B2 (ja) * 2005-03-07 2011-02-23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Rfidタグが取り付けられた物品を収納する収納箱、その配置方法、通信方法、通信確認方法および包装構造。
US20080081555A1 (en) * 2006-10-03 2008-04-03 Wireless Data Communication Co., Ltd Unified communication repeater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73576B1 (ko) * 2019-03-26 2020-02-06 (주)텔트론 전파궤환을 이용한 aia방식 rf센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91343A (ko) 2004-10-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008759B2 (en) Stabilized platform for a wireless communication link
KR0185962B1 (ko) 안테나 측면 복사에너지를 최소화한 안테나
AU763142B2 (en) Side-to-side repeater and adaptive cancellation for repeater
KR100844828B1 (ko) 안테나를 내장한 궤환 간섭신호 제거 무선중계장치
US8457700B2 (en) GPS mast module and mobile radio installation
US5880695A (en) Antenna system for wireless comunication systems
KR101007667B1 (ko) 다중대역 및 광대역 방향성 안테나
US20190052346A1 (en) Millimeter wave booster, millimeter wave transmission system, and millimeter wave transmission method
KR102020581B1 (ko) 집속 안테나를 가지는 통합된 트랜시버
JP2005072646A (ja) ギャップフィラー用受信再送信共用アンテナ
US20220338024A1 (en) Passive intermodulation interference optimized antenna configuration
KR100541884B1 (ko) 궤환제어 중계기용 일체형 안테나 시스템
US20220116790A1 (en) Base station antennas with sector splitting in the elevation plan based on frequency band
JPH1117605A (ja) ダイバシティ受信方式
KR100433152B1 (ko) 중계 시스템의 안테나 장치
JP3210931B2 (ja) 無線通信方法
KR100875894B1 (ko) H형 소자배열을 통한 이중 편파 단일빔 안테나 설계 방법 및 장치
US4737796A (en) Ground plane interference elimination by passive element
JPWO2019087525A1 (ja) 基地局装置用アンテナ、再放射器、通信システム、及び基地局装置
KR100852426B1 (ko) 무선통신 중계기
WO2016076049A1 (ja) アンテナシステム
JPH104313A (ja) アンテナ装置
EP3618304A1 (en) Radio communication device, radio reception device, and radio communication system
KR20050094660A (ko) 단일 빔 패턴의 안테나
KR20010001091A (ko) 마스트 안테나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103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