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41358B1 - 홈 오토메이션을 이용한 원격검침 시스템 - Google Patents

홈 오토메이션을 이용한 원격검침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41358B1
KR100541358B1 KR1020030097673A KR20030097673A KR100541358B1 KR 100541358 B1 KR100541358 B1 KR 100541358B1 KR 1020030097673 A KR1020030097673 A KR 1020030097673A KR 20030097673 A KR20030097673 A KR 20030097673A KR 100541358 B1 KR100541358 B1 KR 10054135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mote
meter reading
home automation
remote meter
gener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976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66391A (ko
Inventor
김준하
Original Assignee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300976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41358B1/ko
Publication of KR200500663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6639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413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4135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DMEASURING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ARRANGEMENTS FOR 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NOT COVERED IN A SINGLE OTHER SUBCLASS; TARIFF METERING APPARATUS; MEASURING OR TEST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D4/00Tariff metering apparatus
    • G01D4/002Remote reading of utility meters
    • G01D4/004Remote reading of utility meters to a fixed location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19/00Electric signal transmission systems
    • G08C19/02Electric signal transmission systems in which the signal transmitted is magnitude of current or voltag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12/2823Reporting information sensed by appliance or service execution status of appliance services in a home automation net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2012/284Home automation network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medium used
    • H04L2012/2843Mains power lin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B90/20Smart grids as enabling technology in buildings secto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4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HAVING AN IMPACT ON OTHER TECHNOLOGY AREAS
    • Y04S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MANAGEMENT OR USAGE, i.e. SMART GRIDS
    • Y04S20/00Management or operation of end-user stationary applications or the last stages of power distribution; Controlling, monitoring or operating thereof
    • Y04S20/30Smart metering, e.g. specially adapted for remote read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Arrangements For Transmission Of Measured Sign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홈 오토메이션을 이용한 원격검침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인터페이스 장치를 이용하여 원격검침 시스템과 홈 오토메이션을 연결함으로써 각 세대에서 홈 오토메이션의 LCD창을 통해 원격검침 시스템에서 계량된 계량기의 사용량을 확인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를 위한 본 발명에 의한 홈 오토메이션을 이용한 원격검침 시스템은 각 세대에 설치된 계량기의 사용량을 원격지에서 검침 및 관리하는 원격검침 시스템; 상기 각 세대에 설치되며, 상기 원격검침 시스템에서 검침된 계량기의 사용량을 데이터 표시부를 통해 표시하는 홈 오토메이션 시스템; 및 상기 원격검침 시스템 및 상기 홈 오토메이션 시스템 사이에 데이터 통신이 가능하도록 연결하는 인터페이스 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홈 오토메이션을 이용한 원격검침 시스템{REMOTE METER READING SYSTEM USING HOME AUTOMATION}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원격검침 시스템을 간략하게 나타낸 블록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홈 오토메이션을 이용한 원격검침 시스템의 블록 구성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세대용 원격검침 단말기 20 : 중앙제어장치(CCU)
30 : 검침서버
40 : 가스, 수도, 온수, 열량, 냉방 등 각종 계량기
100 : 원격검침 시스템
200 : 인터페이스 장치 210 : 원격검침 통신부(모뎀)
220 : 중앙처리장치(CPU) 230 : 홈오토 통신부
240 : 로더 통신부 300 : 홈오토 시스템
310 : 통신 제어부 320 : 데이터 표시부
330 : 중앙처리장치(CPU)
본 발명은 홈 오토메이션(Home Outomation)을 이용한 원격검침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인터페이스(Interface)장치를 이용하여 원격검침 시스템과 홈 오토메이션을 연결함으로써 각 세대에서 홈 오토메이션의 LCD창을 통해 원격검침 시스템에서 계량된 계량기의 사용량을 확인 할 수 있는 홈 오토메이션을 이용한 원격검침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원격검침 시스템을 간략하게 나타낸 블록 구성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원격검침 시스템은 각 세대(또는 가정)에 설치된 전기, 가스, 수도, 온수, 열량, 냉방 등 각종 계량기(40)와, 상기 각 세대에 설치된 각종 계량기(40)의 사용량을 원격에서 적산 및 저장하는 세대용 원격검침 단말기(10)와, 상기 세대용 원격검침 단말기(10)에서 적산 및 저장된 계량기의 계량값을 읽어들여 검침 서버(30)로 전송하는 중앙제어장치(CCU)(20)와, 상기 중앙제어장치(20)로부터 수신된 각 세대의 계량기의 계량값을 보관 및 관리하며 모니터링하는 검침 서버(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세대용 원격검침 단말기(10)는 각 세대내에 설치되어 있는 각종 계량기(40)의 계량값을 적산하여 저장한다. 그리고, 상기 중앙제어장치(20)는 상기 세대용 원격검침 단말기(10)에 저장되어 있는 계량값들을 읽어와 상기 검침 서버(30)로 전달한다. 상기 검침서버(30)는 상기 중앙제어장치(20)로부터 수신된 각 세대의 계량기의 계량값을 보관 및 관리하며 관리소의 관리자가 한눈에 볼수 있도 록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한다. 상기 검침서버(30)는 계량기의 관리사무소에 설치되어 운영된다.
종래의 원격검침 시스템은 상기 도 1과 같이, 세대용 원격검침 단말기(10)를 각 세대 내에 설치하여 각 세대에 설치되어 있는 각종 계량기(40)에서 출력되는 펄스들을 상기 세대용 원격검침 단말기(10)가 검출하여 그 값을 적산 및 저장한다. 상기 검침 서버(30)에서 상기 중앙제어장치(20)로 데이터 요청을 하게되면 상기 중앙제어장치(20)에서는 상기 세대용 원격검침 단말기(10)의 적산 및 저장된 계량기의 계량값을 읽어들여 상기 검침 서버(30)로 전송하게 된다. 상기 검침 서버(30)는 각 세대용 원격검침 단말기(10)에서 전송받은 데이터를 보관 및 관리하며 그 보관 및 관리한 데이터를 관리소의 관리자가 한눈에 볼수 있도록 모니터링한다.
그러나, 상기 구성을 갖는 종래의 원격검침 시스템에서는 세대 내에 설치되어 사용하는 각종 계량기(40)들의 계량값을 상기 검침 서버(30)에서만 모니터링 할수 있고 사용자가 직접 세대내에서 모니터링 할 수 없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즉, 종래의 원격검침 시스템은 각 세대에서 사용된 계량기의 계량값을 관리자측에서만 실시간으로 모니터링 할 수 있고 각 세대의 사용자는 모니터링을 할 수 없는 구조로 되어 있다. 따라서, 각 세대의 사용자는 관리소에서 통보가 되지 않는 이상은 사용자가 사용하는 계량기(전기,가스,수도,온수,열량,냉방 등)의 계량값을 확인할수 없는 불편함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본 발명 의 목적은 인터페이스 장치를 이용하여 원격검침 시스템과 홈 오토메이션을 연결함으로써 각 세대에서 홈 오토메이션의 LCD창을 통해 원격검침 시스템에서 계량된 계량기의 사용량을 확인 할 수 있는 홈 오토메이션을 이용한 원격검침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홈 오토메이션을 이용한 원격검침 시스템은,
각 세대에 설치된 계량기의 사용량을 원격지에서 검침 및 관리하는 원격검침 시스템;
상기 각 세대에 설치되며, 상기 원격검침 시스템에서 검침된 계량기의 사용량을 데이터 표시부를 통해 표시하는 홈 오토메이션 시스템; 및
상기 원격검침 시스템 및 상기 홈 오토메이션 시스템 사이에 데이터 통신이 가능하도록 연결하는 인터페이스 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홈 오토메이션을 이용한 원격검침 시스템의 블록 구성도이다.
상기 홈 오토메이션을 이용한 원격검침 시스템은 도시된 바와 같이, 각 세대에 설치된 계량기의 사용량을 원격지에서 검침 및 관리하는 원격검침 시스템(100) 과, 상기 각 세대에 설치되며 상기 원격검침 시스템에서 검침된 계량기의 사용량을 데이터 표시부를 통해 표시하는 홈 오토메이션 시스템(300)과, 상기 원격검침 시스템(100) 및 상기 홈 오토메이션 시스템(300) 사이에 데이터 통신이 가능하도록 연결하는 인터페이스 장치(2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원격검침 시스템(100)은 상기 각 세대에 설치된 전기, 가스, 수도, 온수, 열량, 냉방을 포함한 각종 계량기(40)와, 상기 각 세대에 설치된 각종 계량기(40)의 사용량을 원격에서 적산 및 저장하는 세대용 원격검침 단말기(10)와, 상기 세대용 원격검침 단말기(10)에서 적산 및 저장된 계량기의 계량값을 읽어들여 전송하는 중앙제어장치(20)와, 상기 중앙제어장치(20)로부터 수신된 각 세대의 계량기의 계량값을 보관 및 관리하며 모니터링하는 검침 서버(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홈 오토메이션 시스템(300)은 상기 인터페이스 장치(200)와 데이터의 송수신이 가능하도록 하는 통신 제어부(310)와, 상기 원격검침 시스템(100)으로부터 수신된 계량기의 사용량을 LCD창을 통해 표시하는 데이터 표시부(320)와, 상기 통신 제어부(310)를 통해 데이터를 송수신하며 상기 원격검침 시스템(100)으로부터 수신된 계량기의 사용량을 표시하도록 상기 데이터 표시부(320)를 제어하는 중앙처리장치(3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인터페이스 장치(200)는 상기 원격검침 시스템(100)의 상기 세대용 원격검침 단말기(10)와 데이터 송수신이 가능하도록 하는 원격검침 통신부(210)와, 상기 홈 오토메이션 시스템(300)의 통신 제어부(310)와 데이터 송수신이 가능하도 록 하는 홈오토 통신부(230)와, 세대의 고유 아이디(ID)를 입력하는 로더 통신부(240)와, 상기 원격검침 통신부(210), 상기 홈오토 통신부(230) 및 상기 로더 통신부(240)의 각 동작을 제어하며, 이들 상호간에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중앙처리장치(2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의 특징은 상기 인터페이스 장치(200)를 사용함으로써 상기 원격검침 시스템(100)과 상기 홈 오토메이션 시스템(300)을 개별적으로 각자의 시스템을 운영할수 있으며, 또한 세대 내에 설치되어 있는 계량기(전기,수도,가스,온수,열량,냉방,기타)의 계량값의 데이터를 상기 홈 오토메이션 시스템(300)의 데이터 표시부(320)에 표시하는 것을 주요 특징으로 한다.
상기 세대용 원격검침 단말기(10)에서는 각 세대에 설치된 상기 각종 계량기(40)에서 출력되는 펄스 신호를 수신하여 적산 및 저장하며, 상기 세대용 원격검침 단말기(10)의 표시부(도시되지 않음)에 저장된 데이터를 순차적으로 표시한다.
상기 검침 서버(30)에서 상기 세대용 원격검침 단말기(10)에 적산 및 저장된 데이터를 요구하기 위해 상기 중앙제어장치(20)로 명령을 전달하면, 상기 중앙제어장치(20)에서는 상기 세대용 원격검침 단말기(10)에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를 읽어 들여 상기 검침 서버(30)로 전송하게 된다. 이때 상기 중앙제어장치(20)와 상기 세대용 원격검침 단말기(10)간의 통신 라인에 상기 인터페이스 장치(200)의 원격검침 통신부(210)와 병렬 접속하여 필요로 하는 세대의 고유 아이디(ID)를 상기 세대용 원격검침 단말기(10)와 동일하게 입력한다. 이때, ID 입력은 외부에서 핸디로 더(도시되지 않음)로 입력하며, 입력부는 상기 인터페이스장치(200)의 로더 통신부(240)를 사용하면 된다.
또한 상기 원격검침 시스템(100)에서 데이터를 송수신하고 있을 때 상기 인터페이스 장치(200)에서는 필요로 하는 세대의 계량값(전기,가스,수도,온수,열량,냉방,기타)을 통신 라인에서 캐치(Catch)하여 상기 홈 오토메이션 시스템(300)으로 전송하게 된다. 이때, 데이터 캐치(Catch) 방법은 통신 라인에서 송수신하는 데이터를 상기 원격검침 시스템(100)의 사용하는 통신 프로토콜을 맞춤으로써 쉽게 상기 인터페이스 장치(200)에서 필요로 하는 데이터의 정보를 실시간으로 수집할수 있다.
상기 인터페이스 장치(200)에서 상기 홈 오토메이션 시스템(300)으로 전송된 계량기(40)의 계량값은 상기 홈 오토메이션 시스템(300)의 데이터 표시부(320)에 실시간으로 표시됨으로써, 검침관리자 뿐만아니라 각 세대의 사용자가 직접 실시간으로 계량기(40)의 계량값을 모니터링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인터페이스 장치(200)는 통신 라인을 이용하여 상기 원격검침 시스템(100)의 송수신 데이터를 캐치(Catch)하여 수집한 후 상기 홈 오토메이션 시스템(300)으로 전송하는 것을 구성상 특징으로 한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은 예시의 목적을 위해 개시된 것이며,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안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부가등이 가능할 것이며, 이러한 수정 변경 등은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홈 오토메이션을 이용한 원격검침 시스템은 원격검침 시스템에서 읽어들인 데이터를 수집하여 홈 오토메이션 시스템으로 전송하며, 이때 전송된 계량값(전기,가스,수도,온수,열량,냉방,기타)을 홈오토메이션의 LCD창에 표시함으로써 종래의 원격검침 시스템에서의 문제점을 해소하고 시스템의 다양화 및 기능을 극대화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원격검침 시스템과 홈 오토메이션 시스템 간의 인터페이스 장치를 사용함으로써 서로의 시스템에 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하면서 각각의 시스템을 운영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Claims (4)

  1. 각 세대에 설치된 계량기의 사용량을 적산 및 저장하는 원격검침 단말기와, 상기 세대용 원격검침단말기에서 적산 및 저장된 계량기의 계량값을 읽어들여 전송하는 중앙제어장치와, 상기 중앙제어장치로부터 수신된 각 세대의 계량기의 계량값을 보관 및 관리하여 모니터링하고 검침 서버를 구비하는 원격검침시스템;
    상기 각 세대에 설치되며, 상기 원격검침 시스템에서 검침된 계량기의 사용량을 데이터 표시부를 통해 표시하는 홈 오토메이션 시스템; 및
    상기 원격검침 시스템 및 상기 홈 오토메이션 시스템과 별체로 분리 구성되고, 상기 원격검침 시스템 및 상기 홈 오토메이션 시스템 사이에 데이터 통신이 가능하도록 연결하는 인터페이스 장치;
    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 오토메이션을 이용한 원격검침 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페이스 장치는,
    상기 원격검침 시스템의 상기 세대용 원격검침 단말기와 데이터 송수신이 가능하도록 하는 원격검침 통신부;
    상기 홈 오토메이션 시스템의 통신 제어부와 데이터 송수신이 가능하도록 하는 홈오토 통신부;
    세대의 고유 아이디(ID)를 입력하는 로더 통신부; 및
    상기 원격검침 통신부, 홈오토 통신부 및 로더 통신부의 각 동작을 제어하며, 이들 상호간에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중앙처리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 오토메이션을 이용한 원격검침 시스템.
KR1020030097673A 2003-12-26 2003-12-26 홈 오토메이션을 이용한 원격검침 시스템 KR10054135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97673A KR100541358B1 (ko) 2003-12-26 2003-12-26 홈 오토메이션을 이용한 원격검침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97673A KR100541358B1 (ko) 2003-12-26 2003-12-26 홈 오토메이션을 이용한 원격검침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66391A KR20050066391A (ko) 2005-06-30
KR100541358B1 true KR100541358B1 (ko) 2006-01-10

Family

ID=372574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97673A KR100541358B1 (ko) 2003-12-26 2003-12-26 홈 오토메이션을 이용한 원격검침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41358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66391A (ko) 2005-06-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68679B1 (ko) 실시간 모니터링이 가능한 무선원격 검침시스템
JP5130220B2 (ja) 実用メータによる異常な消費量の自動検出システム及び装置
JP2003279122A (ja) 給湯器、外部サーバ及び通信システム
KR20190026305A (ko) 홈 오토 원격 검침 월패드 및 이를 포함하는 홈 오토 원격 검침 및 첨단 계량 인프라 시스템
JP5476602B2 (ja) ガスメータ遠隔管理システムに用いられる携帯型情報端末
KR100541359B1 (ko) 전력선 방식을 이용한 원격 부하 제어형 전자식 전력량계
KR100850638B1 (ko) 무선 원격 검침이 가능한 계량기 시스템
KR101162741B1 (ko) 실시간 프로토콜을 이용한 원격검침 시스템
KR101298831B1 (ko) 사용자를 위한 공공요금 실시간 원격 검침 시스템
KR100437741B1 (ko) 인터넷을 이용한 원격검침 시스템
KR101003918B1 (ko) 펄스 출력 계량기와 rf, cdma 통신을 이용한 자동원격 검침시스템
KR100541358B1 (ko) 홈 오토메이션을 이용한 원격검침 시스템
EP0834849A1 (en) Metering Apparatus
KR100691167B1 (ko) 원격 검침 데이터 수집/중계 장치 및 그 방법
KR20050012572A (ko) 무선 원격 검침 시스템에서 무선 모뎀의 전력 소모를줄이는 방법 및 시스템
CN210983742U (zh) 一种智能数据采集集中装置
KR100438986B1 (ko) 원격검침을 사용한 멀티 에어컨 검침 시스템
KR100523210B1 (ko) 적산계량기의 원격 검침 시스템
KR100494580B1 (ko) 열량계의 원격 검침 시스템
JPH10336766A (ja) 通信システム、端末装置およびコントローラ
KR101624206B1 (ko) 적산열량계 원격검침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082523B1 (ko) 원격검침을 위한 전력량계 어드레스 등록 시스템 및 이의 구동방법
KR100541357B1 (ko) 원격검침 일체형 전자식 전력량계 및 이를 이용한 원격검침 시스템
CN219996256U (zh) 一种高度集成蓝牙协议栈的NB-IoT智能燃气表
KR100469497B1 (ko) 원격검침을 사용한 멀티 에어컨 검침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1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16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01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02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10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11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01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01

Year of fee payment: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