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40798B1 - 절삭 공구 홀더 - Google Patents

절삭 공구 홀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40798B1
KR100540798B1 KR1020030079093A KR20030079093A KR100540798B1 KR 100540798 B1 KR100540798 B1 KR 100540798B1 KR 1020030079093 A KR1020030079093 A KR 1020030079093A KR 20030079093 A KR20030079093 A KR 20030079093A KR 100540798 B1 KR100540798 B1 KR 10054079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ite
finishing
main body
roughing
fix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790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45134A (ko
Inventor
신종원
Original Assignee
(주)스맥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스맥 filed Critical (주)스맥
Priority to KR10200300790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40798B1/ko
Publication of KR200500451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4513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407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4079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BTURNING; BORING
    • B23B29/00Holders for non-rotary cutting tools; Boring bars or boring heads; Accessories for tool holders
    • B23B29/24Tool holders for a plurality of cutting tools, e.g. turrets
    • B23B29/248Tool holders for a plurality of cutting tools, e.g. turrets with individually adjustable toolhold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BTURNING; BORING
    • B23B25/00Accessories or auxiliary equipment for turning-machines
    • B23B25/06Measuring, gauging, or adjusting equipment on turning-machines for setting-on, feeding, controlling, or monitoring the cutting tools or work
    • B23B25/065Tool setting height gau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utting Tools, Boring Holders, And Turre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구홀더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공구홀더는, 황삭용바이트(Ba)가 수납되는 황삭용바이트 수납부와, 상기 황삭용바이트 수납부와 인접한 부분에 오목하게 형성된 고정구수납부(104)를 구비하는 본체(100)와; 정삭용바이트(Bb)가 수납되는 정삭용바이트수납부(112)를 구비하고, 상기 고정구수납부(104)에 수납되는 정삭용바이트 고정구(110); 상기 정삭용바이트 고정구(110)의 전면에 밀착되는 전면부(122)와, 본체의 상면에 밀착되는 상면부(124)로 구성되고, 상기 본체에 고정되어 상기 고정구수납부에 삽입한 상태로 지지하는 전면커버(120); 상기 전면커버의 상면에 형성된 고정용홈(127)에 걸려 상하방향으로 고정되도록 외주연에 형성된 홈(132)을 구비하고, 상기 바이트고정구의 상면에 형성된 나사결합공에 나사결합되어, 상기 정삭용바이트 고정구(110)를 상하방향으로 조정하는 상하조정볼트(130); 상기 정삭용바이트 및 황삭용바이트의 후방에 대응하는 위치에서, 상기 본체의 상면에 고정되는 조절블럭(150); 그리고 상기 조절블럭에 성형된 나사공(156)에 나사결합되고, 선단부가 상기 정삭용바이트 및 황삭용바이트의 후면에 접촉하게 되어, 상기 바이트를 전후방향으로 조정하는 한쌍의 전후조절볼트(158)를 포함한다.
공구홀더, 정삭용바이트, 황삭용바이트, 상하 전후 조정

Description

절삭 공구 홀더{Tool holder for machinary cutting}
도 1은 종래의 공구홀더를 사용상태와 관련하여 보인 예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공구홀더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공구홀더의 평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공구홀더의 측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본체 110 ..... 정삭용바이트 고정구
120 ..... 전면커버 130 ..... 상하조절볼트
140 ..... 상하고정볼트 160 ..... 다이얼게이지
170 ..... 가이드
본 발명은 절삭가공을 위한 공구홀더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정삭 및 황삭용 절삭공구를 전후 좌우 방향으로 조절 가능하게 구성되는 공구홀더에 관한 것이다.
정삭용 및 황삭용의 두가지 절삭공구를 장착할 수 있는 공구홀더가 대한민국 특허공개 특1999-0076453호에 개시된 바 있다. 이러한 종래 기술을 살펴보면,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종래의 공구홀더(1)는, 선단부(11)와 중단부(12), 그리고 후단부(13)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선단부(11)에 형성된 안착홈에는, 황삭용절삭공구(2)와 정삭용절삭공구(3)가 같이 장착된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절삭공구 홀더(1)의 후방에는 조절나사(41)가 설치되어 있어서, 상기 절삭공구(2,3)의 정삭 여유량을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구성에 의하면, 상기 절삭공구(2,3)는 홀더(1) 본체에 대하여 실질적으로 일방향으로 밖에 조정할 수 없게 되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원통상의 피삭물을 가공하기에 여러가지 불편함이 제기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정삭용 및 황삭용의 두가지 절삭공구를, 각 방향으로 조정하는 것이 가능한 공구홀더를 제공하는 것을 주된 목적으로 하고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공구홀더는, 절삭공구를 고정하여, 선반의 공구대에 장착되는 공구홀더로써; 황삭용바이트가 수납되는 황삭용바이트 수납부와, 상기 황삭용바이트 수납부와 인접한 부분에 오목하게 형성된 고정구수납부를 구비하는 본체와; 정삭용바이트가 수납되는 정삭용바이트수납부를 구비하고, 상기 고정구수납부에 수납되는 정삭용바이트 고정구; 상기 정삭용바이트 고정구의 전면에 밀착되는 전면부와, 본체의 상면에 밀착되는 상면부로 구성되고, 상기 본체에 고정되어 상기 고정구수납부에 삽입한 상태로 지지하는 전면커버; 상기 전면커버의 상면에 형성된 고정용홈에 걸려 상하방향으로 고정되도록 외주연에 형성된 홈을 구비하고, 상기 바이트고정구의 상면에 형성된 나사결합공에 나사결합되어, 상기 정삭용바이트 고정구를 상하방향으로 조정하는 상하조정볼트; 상기 정삭용바이트 및 황삭용바이트의 후방에 대응하는 위치에서, 상기 본체의 상면에 고정되는 조절블럭; 그리고 상기 조절블럭에 성형된 나사공에 나사결합되고, 선단부가 상기 정삭용바이트 및 황삭용바이트의 후면에 접촉하게 되어, 상기 바이트를 전후방향으로 조정하는 한쌍의 전후조절볼트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정삭용바이트 및 황삭용바이트를 각각 전후 및 상하방향으로 조절할 수 있는 장점이 기대된다.
그리고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정삭용바이트 고정구의 저면에 부착되어 본체측 후방으로 연장되는 가이드와; 하측의 접촉부가 본체의 게이지장착공을 관통하여 상기 가이드 상면에 접촉하도록 본체에 설치되는 다이얼게이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어; 상기 다이얼게이지가 정삭용바이트 고정구의 높이를 측정할 수 있다.
그리고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본체의 일측면에서 일정한 간격을 가지고 나사결합되는 한쌍의 각도조절볼트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다음에는 도면에 도시한 실시예에 기초하면서 본 발명에 대하여 더욱 상세하게 살펴보기로 한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공구홀더의 본체(100)의 선단부에는, 황삭용 바이트가 수납되는 황삭용 바이트수납부(102)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1 수납부(102)에는 황삭용바이트(Ba)가 삽입되고, 이렇게 삽입된 상태에서 볼트(a)에 의하여 고정된다.
그리고 상기 제1수납부(102)의 인접한 부분에는, 정삭용바이트 고정구(110)이 수납될 수 있는 고정구수납부(104)가 오목하게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정삭용바이트 고정구(110)는, 그 상부에 정삭용바이트(Bb)를 수납할 수 있는 정삭용 바이트수납부(112)가 상부에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정삭용바이트(Bb)도, 볼트(b)에 의하여 고정된다.
상기 볼트(a,b)가 관통하는 바이트(Ba,Bb)의 관통공(Baa,Bbb)은 전후방향으로 일정한 길이를 가지는 장공형상으로 성형되어, 후술하는 바와 같이 상기 바이트(Ba,Bb)의 전후방향의 조정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 고정구수납부(104)에, 정삭용바이트 고정구(110)가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본체(100)의 전면에는 전면커버(120)가 설치된다. 상기 전면커버(120)는, 본체(100)의 전면에 밀착되는 전면부(122)와, 본체(100)의 전면 상면에 고정되는 상면부(124)로 형성되고, 상기 전면부(122)와 상면부(124)는 90도 벤딩되어 있다.
상기 전면커버(120)는, 고정볼트(125b)가 체결공(125)를 관통한 상태에서 본체의 전면체결공(125c)에 체결되는 것에 의하여 전면부(122)가 본체(100)의 전면에 고정됨과 동시에, 상면부(124)에 형성된 체결공(126) 및 본체(100) 상면의 상면체결공(126a)에 고정용 볼트(126c)가 체결되는 것에 의하여 상면부(124)가 본체의 상면에 고정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상기 전면커버(120)의 전면부(122)는, 상기 고정구수납부(104)에 수납되어 있는 정삭용바이트 고정구(110)의 전면에 밀착되기 때문에, 상기 정삭용바이트 고정구(110)는 전후방으로는 이동하지 못하고 규제되어 있는 상태이다.
그리고 상하조정볼트(130)가 상기 황삭용바이트 고정구(110)의 상면에 형성된 나사결합공(114)에 나사결합된다. 이 때 상기 상하조정볼트(130)의 중간부분 외주연에 형성된 홈(132)이, 전면커버(120)의 일측면에 형성된 고정용홈(127)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하조정볼트(130)의 하부가 상기 나사결합공(114)에 나사결합된다.
따라서 상기 상하조정볼트(130)는, 고정된 전면커버(122)에 홈(132)이 걸려있는 상태가 되기 때문에, 실질적으로 상하조정볼트(130) 자체는 상하방향으로는 고정된 상태로 된다. 그리고 상기 상하조정볼트(130)의 하단부는, 상기 나사결합공(114)과 나사결합된 상태이기 때문에, 상기 상하조정볼트(130)가 회전하게 되면, 나사결합되어 있는 정삭용바이트 고정구(110) 자체가 상하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러한 상기 상하조정볼트(130)와 나사결합공(114)의 구성에 의하여, 상기 정삭용바이트고정구(110)는, 본체(100)에 대하여 상하방향(y축 방향)으로 소정의 간격 내에서 조정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이와 같이 하여, 상기 정삭용바이트고정구(110)가 상하방향으로의 조정이 완료되면, 완전히 고정되어야 하는데, 이 때에는 상하고정볼트(140)를 사용하게 된다. 상기 상하고정볼트(140)를, 본체의 황삭용바이트수납부(102)의 하부에 형성된 관통공(104a)과, 정삭용바이트 고정구(110)에서 가로방향으로 성형되어 있 는 세로장공(116)을 관통한 상태에서, 본체(100)의 전면에 형성된 체결공(106)에 체결하여 고정시키게 된다. 상기 정삭용바이트 고정구(110)에 형성되는 세로장공(116)은, 세로방향으로 일정한 길이를 가짐으로써, 상기 정삭용바이트 고정구(110)의 상하(y축) 높이 조절을 가능하게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정리하면, 상기 정삭용바이트고정구(110)는, 본체(100)에 대하여 상하방향(y축방향)으로 높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구성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본체(100)에 성형된 게이지장착공(103)에는, 다이얼게이지(160)가 장착된다. 즉, 다이얼게이지(160)의 하단부에 설치되는 접촉부(162)가 상기 게이지장착공(103)을 관통한 상태로 상기 다이얼게이지(160)가 장착된다. 이렇게 다이얼게이지(160)가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접촉부(162)는 상기 게이지장착공(103)의 하단부로 돌출하는 상태로 된다.
그리고 상기 정삭용바이트고정구(110)의 하단부에는 전후방향으로 일정한 길이를 가지는 가이드(170)가 볼트(172)에 의하여 고정되어 있다. 상기 가이드(170)가 볼트(172)에 의하여 정삭용바이트 고정구(110)의 하단부에 밀착된 상태에서, 상기 가이드(170)의 후단부는 후방으로 수평으로 연장된 상태가 된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170)의 후단부는 실질적으로 본체(100)의 하부에 위치하게 되는데, 상기 게이지장착공(103)은 상기 가이드(170)의 후단부와 일치하는 부분에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다이얼게이지(160)의 접촉부(162)는 실질적으로 상기 가이드(170)의 상면에 접촉한 상태가 된다. 따라서 상하조정볼트(130)의 회전 조작에 따라서 상기 정삭 용바이트 고정구(110)가 상하방으로 움직이게 되면, 이러한 움직임은 상기 가이드(170)도 같이 연동시키게 된다. 따라서 상기 가이드(170)의 상면에 접촉하고 있는 접촉부(162)는 상기 가이드(170)의 상하이동을 그대로 감지할 수 있게 되고, 이렇게 감지되는 정삭용바이트 고정구(110)의 상하이동값은, 상기 다이얼게이지(160)에 그대로 디스플레이될 것이어서, 사용자는 상기 상하조정볼트(130)에 의한 정삭용바이트 고정구(110)의 상하이동량을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게 된다.
다음에는 상기 황삭용바이트(Ba)와 정삭용바이트(Bb)의 전후방향 조정에 대하여 살펴본다. 상기 황삭용바이트(Ba) 및 정삭용바이트(Bb)가 장착되어 있는 후방에 대응하는 본체(100) 상에는, 조절블럭(150)이 고정된다. 예를 들면 한쌍의 볼트(152a)가, 관통공(152)을 관통한 상태에서, 본체의 상면에 성형된 고정공(154)에 체결되어 고정되는 것에 의하여, 상기 조절블럭(150)이 상기 본체(100) 상에 고정된다.
그리고 상기 조절블럭(150)에는 전후방을 관통하는 한쌍의 나사공(156)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한쌍의 나사공(156)에는 한쌍의 전후조절볼트(158)가 각각 나사결합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나사공(156)에 전후조절볼트(158)가 나사결합되면, 상기 전후조절볼트(158)의 선단부는, 각각 황삭용바이트(Ba)와 정삭용바이트(Bb)의 후단부와 접촉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전후조절볼트(158)의 회전에 의하여, 상기 황삭용바이트(Ba)와 정삭용바이트(Bb)는 전후방향(x축방향)으로 조절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 때 상기 황삭용바이트(Ba)와 정삭용바이트(Bb)를 고정하기 위한 4개의 고정볼트(a)가 관통하는 관통공(Baa,Bbb)은, 전후방향으로 소정의 길이를 가 지는 장공으로 형성되어 있어서, 상기 전후조절볼트(158)에 의한 전후방향의 조절이 가능하게 되는 것은 당연하다. 즉, 상기 전후조절볼트(158)를 이용하여 바이트(Ba,Bb)의 전후방향의 위치를 조절한 후, 상기 고정볼트(a)를 완전히 조임으로써, 상기 바이트(Ba,Bb)가 소정의 위치에서 고정될 수 있게 될 것이다.
다음에는 상기 본체(100)의 측면에 설치되는 한쌍의 각도조절볼트(180)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상기 각도조절볼트(180)는 한쌍으로 구성되고, 본체(100)의 측면에서 일정한 간격을 두고 설치된다. 상기 각도조절볼트(180)는, 본체의 측면을 관통하도록 성형되어 있는 한쌍의 조절공(182)에 각각 나사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조절공(182)의 일측에는, 상기 각도조절볼트(180)가 선반의 공구대에 직접 접촉하여 스크래치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삽입구(184)가 삽입되어 있다. 이러한 상태에서, 상기 조절공(182)의 타측면에서 삽입되어 있는 각도조절볼트(180)의 일측을 회전시키면, 고정되어 있는 타측의 각도조절볼트(180)에 대하여 본체(100)가 zx평면상에서 일정 간격만큼 회전이동하는 것이 가능하게 될 것이다. 즉 일측의 각도조절볼트(180)가 회전하여 z방향으로 전후진하게 되면, 각도조절볼트(180)와 접하고 있는 삽입구(184) 자체가 밀리면서 공구대에 대하여 일측으로 회전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한쌍의 각도조절볼트(180) 중의 어느 일측을 조절하는 것에 의하여, 공구홀더가 장착되는 선반의 공구대에 대하여, 상기 본체(100)는 zx평면상에서 일정한 각도 만큼 각도 조절이 가능하게 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정삭용 및 황삭용바이트를 동시에 장착하고 있으며, 이러한 바이트의 전후, 상하, 그리고 일면에 대한 각도조 절이 가능하게 구성됨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기본적인 기술적 사상의 범주 내에서, 당업계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있어서는 다른 많은 변형이 가능할 것임은 자명하고, 본 발명은 첨부한 특허청구의 범위에 기초하여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공구홀더는, 정삭용 및 황삭용 바이트를 같이 장착할 수 있음과 동시에, 상기 바이트의 전후 및 상하, 그리고 일정한 각도범위 내에서의 각도 조절이 가능함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공구홀더를 이용하게 되면, 선반의 절삭가공의 효율을 더욱 높일 수 있게 되고 다양한 가공이 가능하게 되는 장점을 기대할 수 있게 될 것이다.

Claims (3)

  1. 절삭공구를 고정하여, 선반의 공구대에 장착되는 공구홀더로써;
    황삭용바이트(Ba)가 수납되는 황삭용바이트 수납부와, 상기 황삭용바이트 수납부와 인접한 부분에 오목하게 형성된 고정구수납부(104)를 구비하는 본체(100)와;
    정삭용바이트(Bb)가 수납되는 정삭용바이트수납부(112)를 구비하고, 상기 고정구수납부(104)에 수납되는 정삭용바이트 고정구(110);
    상기 정삭용바이트 고정구(110)의 전면에 밀착되는 전면부(122)와, 본체의 상면에 밀착되는 상면부(124)로 구성되고, 상기 본체에 고정되어 상기 고정구수납부에 삽입한 상태로 지지하는 전면커버(120);
    상기 전면커버의 상면에 형성된 고정용홈(127)에 걸려 상하방향으로 고정되도록 외주연에 형성된 홈(132)을 구비하고, 상기 바이트고정구의 상면에 형성된 나사결합공에 나사결합되어, 상기 정삭용바이트 고정구(110)를 상하방향으로 조정하는 상하조정볼트(130);
    상기 정삭용바이트 및 황삭용바이트의 후방에 대응하는 위치에서, 상기 본체의 상면에 고정되는 조절블럭(150); 그리고
    상기 조절블럭에 성형된 나사공(156)에 나사결합되고, 선단부가 상기 정삭용바이트 및 황삭용바이트의 후면에 접촉하게 되어, 상기 바이트를 전후방향으로 조정하는 한쌍의 전후조절볼트(158)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공구홀더.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정삭용바이트 고정구(110)의 저면에 부착되어 본체측 후방으로 연장되는 가이드와; 하측의 접촉부(162)가 본체의 게이지장착공(103)을 관통하여 상기 가이드 상면에 접촉하도록 본체에 설치되는 다이얼게이지(16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어; 상기 다이얼게이지가 정삭용바이트 고정구(110)의 높이를 측정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구홀더.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일측면에서 일정한 간격을 가지고 나사결합되는 한쌍의 각도조절볼트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구홀더.
KR1020030079093A 2003-11-10 2003-11-10 절삭 공구 홀더 KR10054079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79093A KR100540798B1 (ko) 2003-11-10 2003-11-10 절삭 공구 홀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79093A KR100540798B1 (ko) 2003-11-10 2003-11-10 절삭 공구 홀더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45134A KR20050045134A (ko) 2005-05-17
KR100540798B1 true KR100540798B1 (ko) 2006-01-10

Family

ID=372448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79093A KR100540798B1 (ko) 2003-11-10 2003-11-10 절삭 공구 홀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4079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01134B1 (ko) 2021-11-08 2022-05-20 권대규 정밀 조절이 용이한 절삭인서트용 절삭공구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18866B1 (ko) * 2015-01-27 2017-03-22 신광자 절삭 가공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01134B1 (ko) 2021-11-08 2022-05-20 권대규 정밀 조절이 용이한 절삭인서트용 절삭공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45134A (ko) 2005-05-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768247B2 (en) Toolholder with detachable blade
US8308403B2 (en) Tool holder
US20150158150A1 (en) Tooling Fixture and System
US3726352A (en) Means for clamping cutting inserts in a drill
KR101409118B1 (ko) 절삭 공구 조립체
CN214640815U (zh) 线切割便携夹具
US3758927A (en) Cutoff tool
SE509338C2 (sv) Skärande verktyg
US4198038A (en) Device for clamping a workpiece to a supporting surface
CN1227087C (zh) 夹持刀架
KR100540798B1 (ko) 절삭 공구 홀더
US5288180A (en) Cutting tool
US7128501B1 (en) Lathe tool assembly
US4545705A (en) Insert retaining apparatus
US3802042A (en) Cutoff tool having improved rigidity properties
US5112163A (en) Variable tool bit holder
US3780409A (en) Threading tool
US7013775B1 (en) Center reference adjustable cutter holder for CNC lathe
US1522587A (en) Tool holder
SU831059A3 (ru) Резец
JP2017177307A (ja) 切削インサート及び切削工具
EP1048381B1 (en) Cutting tool and tool holder
US8616809B2 (en) Toolholder
CN213163126U (zh) 一种提高工件切削稳定性的机床卡盘爪
CN214722278U (zh) 一种通用固定夹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1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05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28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07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07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11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06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04

Year of fee payment: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