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40190B1 - 노래반주기의 이미지가사 디스플레이방법 - Google Patents

노래반주기의 이미지가사 디스플레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40190B1
KR100540190B1 KR10-2004-0034019A KR20040034019A KR100540190B1 KR 100540190 B1 KR100540190 B1 KR 100540190B1 KR 20040034019 A KR20040034019 A KR 20040034019A KR 100540190 B1 KR100540190 B1 KR 10054019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yrics
image
syllable
information
leng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340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108831A (ko
Inventor
문건락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금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금영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금영
Priority to KR10-2004-00340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40190B1/ko
Publication of KR200501088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10883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401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40190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1/00Details of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 G10H1/36Accompaniment arrangements
    • G10H1/361Recording/reproducing of accompaniment for use with an external source, e.g. karaoke system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2220/00Input/output interfacing specifically adapted for electrophonic musical tools or instruments
    • G10H2220/005Non-interactive screen display of musical or status data
    • G10H2220/011Lyrics displays, e.g. for karaoke application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2220/00Input/output interfacing specifically adapted for electrophonic musical tools or instruments
    • G10H2220/005Non-interactive screen display of musical or status data
    • G10H2220/015Musical staff, tablature or score displays, e.g. for score reading during a performanc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ultimedia (AREA)
  • Reverberation, Karaoke And Other Acoustics (AREA)
  • Auxiliary Devices For Music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노래반주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노래반주기에서 곡의 가사를 통하여 곡의 악보정보를 보여주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노래반주기에서 가사를 디스플레이하는 방법에 있어서, 곡파일로부터 곡의 악보정보와 가사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상기 가사정보 및 상기 악보정보를 이용하여 악보정보를 담고 있는 이미지가사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생성된 이미지가사를 디스플레이장치를 통해 보여주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래반주기의 이미지가사 디스플레이방법을 개시한다.

Description

노래반주기의 이미지가사 디스플레이방법{METHOD FOR DISPLAYING IMAGE WORDS OF KARAOKE SYSTEM}
본 발명은 노래반주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노래반주기에서 곡의 가사를 통하여 곡의 악보정보를 보여주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노래반주기는 노래방 또는 그 외의 장소에서 사람들이 노래반주기의 화면에 나타나는 곡의 가사를 보고 노래반주기에서 들려주는 반주에 맞추어 노래를 부를 수 있도록 하는 장치이다.
노래반주기는 곡의 반주를 해주는 것 이외에도 곡의 가사를 볼 수 있다는 점에서 가사를 암송하지 못하는 사람들도 노래반주기의 가사를 보면서 노래를 부를 수 있다는 장점으로 인해 그 보급이 널리 확산되었다.
노래반주기의 보급으로 음악을 흥얼거리는 사람은 늘어나게 되었지만 가사를 기억하는 사람은 줄어들게 되었고 음악을 즐기더라도 음악의 특정지점에서의 음의 고저나 음의 장단 등 음악적 전문지식을 잘 알고 즐기는 사람은 많지 않다.
도 1은 종래의 노래반주기의 음악데이터와 가사데이터가 출력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1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종래의 노래반주기는 음악데이터는 음원처리장치 및 스피커장치와 같은 음향장치를 통해 출력되고, 가사데이터는 노래반주기의 모니터와 같은 디스플레이장치를 통하여 출력되어 사용자가 디시플레이장치에 보여지는 가사를 보면서 음향장치를 통하여 들리는 반주에 맞추어 노래를 부를 수 있도록 한다.
그런데 종래의 가사만 출력해 주는 노래반주기만으로는 가사 이외의 다른 정보를 알기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 노래반주기에서는 곡의 시작시점을 다운카운트 하여 시작시점을 알려주는 정보와 가사의 색상을 반전시키며 곡의 템포정보를 표시하는 것이 있다. 하지만 다운카운트는 시작할 타이밍은 정확히 표시해 주지만 음악을 이해하며 부르기에 너무나 부족한 정보였고 가사의 색상반전은 노래를 현재 불러야 할 시점만을 표시해 주기 때문에 노래를 부르기 전 미리 음악적 정보를 알 수 없어 사용자가 이에 대처하여 노래를 부르기가 힘들 뿐만 아니라 정보량이 작아 사용자가 음악을 보다 쉬게 접하여 즐기기에는 어려움이 많았다.
또한 악보를 출력하는 장치는 있었지만 악보를 읽을 수 있는 음악적 지식을 요구하게 되어 일반인들이 접근하여 사용하기가 용이하지 않았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가사에 멜로디가 출력되는 위치나 음악의 연주 위치를 표시하기 위하여 가사를 연주속도에 맞추어 반전시키거나 음악의 전주와 간주 등을 표시 하거나 악보 자체를 표시하는 등 여러 가지 표시정보가 있었지만 그 정보량이 너무 작거나 혹은 너무 전문적이어서 사용자가 음악을 보다 쉽게 접하여 즐기기에는 어려움이 많았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변형된 가사나 가사 주위의 부가이미지를 이용하여 가사 이외의 악보정보를 이미지가사를 통해 알 수 있도록 하는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노래반주기에서 가사를 디스플레이하는 방법에 있어서, 곡파일로부터 곡의 악보정보와 가사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상기 가사정보 및 상기 악보정보를 이용하여 악보정보를 담고 있는 이미지가사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생성된 이미지가사를 디스플레이장치를 통해 보여주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래반주기의 이미지가사 디스플레이방법을 제공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악보정보는 음의 고저 및 길이에 대한 정보를 포함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음악데이터는 미디데이터(MIDI data), 엠피쓰리 데이터(MP3 data), 또는 웨이브 데이터(WAVE data)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악보정보 및 가사정보 추출단계는: 곡파일로부터 음악데이터와 가사데이터를 분리하는 단계; 상기 음악데이터로부터 곡의 악보정보를, 상기 가사데이터로부터 가사정보를 각각 추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가사 생성단계는: 가사데이터로부터 가사의 각 음절을 분리하는 단계; 상기 각 음절에 대응하는 음의 길이에 따라 서로 크기가 다른 이미지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각 음절에 대응하는 음의 고저에 따라 각 음절에 대응하는 가사글자의 상하위치를 서로 다르게 배치하는 단계; 상기 가사의 각 음절과 상기 각 음절에 대응하는 이미지를 결합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사용되는 용어인 "이미지가사"는 악보정보에 따라 가사의 크기, 색상, 모양 등을 변형하거나 또는 가사의 상단이나 그 주위에 가사글자 이외에 부가이미지가 추가되어 있는 형태, 또는 가사의 상단이나 그 주위에 상기 부가이미지가 움직이는 애니메이션이 추가되어 있는 형태로 디스플레이장치를 통해 출력되는 가사를 의미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노래반주기의 음악데이터와 이미지가사가 출력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2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노래반주기에서는 음악데이터는 음향장치를 통하여 출력된다. 그러나, 가사데이터는 디스플레이장치를 통하여 바로 출력되는 종래의 노래반주기와 달리 일반가사가 아닌 이미지가사가 디스플레이장치로 출력된다.
이미지가사는 먼저 음악데이터로부터 음의 고저에 대한 정보 또는 음의 길이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악보정보를 추출한 후, 음악데이터로부터 추출된 악보정보와 가사데이터를 이용하여 생성한다.
즉, 도 2의 디스플레이장치에 표시되는 가사는 종래와 같이 텍스트 데이터(text data)인 가사데이터를 문자로 변환하여 나타나는 가사가 아니라 악보정보에 따라 그 크기가 달라지거나 그 색상이 다르게 표현되는 이미지가사이다.
좀 더 상세히 설명하면, 먼저 곡파일로부터 음악데이터와 가사데이터를 분리하고, 상기 음악데이터로부터 곡의 악보정보를 추출한다. 다음, 상기 가사데이터 및 상기 악보정보를 이용하여 악보정보를 담고 있는 이미지가사를 생성한 후 이를 디스플레이장치를 통해 보여준다.
특히 상기 이미지가사를 생성하기 위해서는 먼저 가사의 각 음절에 대응하는 음의 고저 또는 길이에 따라 서로 다른 부가이미지를 추가한 후 각 음절과 각 음절에 대응하는 이미지를 결합함으로써 악보정보를 담고 있는 이미지가사를 생성하게 된다.
이미지가사는 가사의 폰트크기를 조절하여 음의 길이에 따라 또는 음의 고저에 따라 가사의 글자크기를 다르게 표현하거나 또는 가사의 글자의 색상을 다르게 표현하여 생성할 수 있다. 또는 가사의 글자크기를 동일하게 유지하면서 가사의 상단 또는 하단에 별도의 부가이미지를 추가하고 음의 길이 또는 음의 고저에 따라 상기 부가이미지의 크기를 다르게 하여 이미지가사를 생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3은 음악데이터로부터 악보정보를 추출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상기 음악데이터는 미디데이터(MIDI data)인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미디 데이터는 메모리 영역에서 도 3의 (가)와 같이 헥사 코드로 표시되며 이 데이터를 미디규격에 따라 해석을 할 수 있다. 도 3의 (나)는 미디데이터를 해석하는 예를 보여준다. 0x41은 미디에서 소리의 높낮이를 나타내는 값으로 F5의 음계를 표시한다. 0x54는 악기를 연주할 때 얼마만큼의 빠르기로 연주하는가를 나타내는 값이다. 이 값은 0~127의 128단계의 값을 가지며 소리의 세기를 표시하는 정보이다. 0x60은 악기의 음을 연주한 이후 얼마만큼의 시간 동안 악기음을 지속할지를 나타내는 값으로 지속시간을 표시한다.
곡으로부터 분리한 미디 데이터를 이와 같은 과정을 반복하면서 곡의 노트번호(note number) 정보와 노트지속시간(note duration) 정보를 얻어낸다. 노트번호(Note number)는 가사에 대응하는 음의 고저에 대한 정보를 주어 가사에 따라 서로 다른 글자크기를 갖거나 서로 다른 부가이미지 또는 서로 다른 크기의 부가이미지를 갖는 이미지가사를 출력하는데 사용되는 정보이다.
이렇게 추출한 정보는 이미지 가사 정책 테이블을 통해서 출력 형태를 결정한다.
도 4는 이미지 가사 정책 테이블의 일 예 및 그에 따라 표시된 가사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이미지 가사 정책 테이블은 가사와 이미지를 화면에 표시하기 위한 정책을 규정한 테이블로 도 4의 좌측 상단에서 보인 테이블과 같이 가사 높이 레벨, 가사 높이 픽셀 레벨, 가사지속시간 레벨, 가사지속시간 임계치 등의 가사를 표시하기 위한 다양한 항목들을 갖는다. 노트번호(Note number)의 128단계의 정보는 도 4의 이미지 가사 정책 테이블의 가사 높이 레벨값(음의 고저에 대한 레벨값)이 16으로 설정되어 있어 각 단계마다의 간격은 8개의 노트넘버(128/16)로 표시된다. 이 16단계는 화면에 표시할 때의 단위인 가사높이 픽셀레벨이 4로 되어 있으므로 최대 64(16×4)픽셀의 높이로 표시 가능하다.
노트지속시간(Note duration)은 스탠다드 미디에서 길이의 제한이 없지만 이미지 가사를 위해 1바이트(byte)의 값을 할당한다.
가사 지속시간 레벨은 100으로 되어 있으며 단위는 미디의 시간 단위인 틱{tick : 일상 시간에서의 '초'단위가 '분'단위를 60등분한 것처럼 미디(MIDI)에서의 '틱' 단위는 '박자'를 임의의 시간으로 등분한 단위이다.}을 사용한다. 가사 지속시간 레벨에 따라 서로 크기가 다른 부가이미지를 선택할 수 있다. 가사지속시간은 상한값이 없으므로 도 4에서는 가사 지속시간 임계치를 10000으로 설정하여 그 이상의 값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가이미지를 선택하도록 한다. 또는 가사 지속시간 임계치 이상의 값에 대해서는 가사가 디스플레이되는 색상을 다른 색으로 처리하는 방식을 이용할 수도 있다. 또한, 도 4에서는 가사지속시간이 13000과 같이 10000을 넘는 경우에는 가사의 색을 붉은 색으로 표시하는 방법을 사용하였다.
도 5는 음의 길이에 따라 서로 다른 부가이미지를 할당하는 테이블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온음표의 길이를 갖는 음은 이미지1(파일명 : Image1.bmp)의 부가이미지에 할당되고 2분음표의 길이를 갖는 음은 이미지2(파일명 : Image2.bmp)의 부가이미지에 할당되고, 4분음표의 길이를 갖는 음은 이미지3(파일명 : Image3.bmp)의 부가이미지에 할당되고, 8분음표의 길이를 갖는 음은 이미지4(파일명 : Image4.bmp)의 부가이미지에 할당되고, 16분음표의 길이를 갖는 음은 이미지5(파일명 : Image5.bmp)의 부가이미지에 할당된다.
도 6a는 도 5에서 할당된 부가이미지를 이용하여 악보상의 음의 길이에 따라 부가이미지의 크기를 다르게 표현하는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a를 참조하면, 악보에서 8분음표의 음에 해당하는 가사에는 그 가사의 상단에 이미지4에 해당하는 부가이미지가 추가된다. 상기 이미지4는 도 5에서 8분음표의 음에 대응하는 부가이미지로 정의되었기 때문이다.
도 6b는 음의 길이에 따라 가사의 상단에 위치하는 부가이미지의 크기를 다르게 표현하는 경우를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6c는 음의 길이에 따라 가사의 글자크기를 다르게 하여 표현한 경우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b에서는 가사에 대응하는 음의 길이에 따라 가사 상단에 위치하는 부가이미지의 크기를 다르게 함으로써 악보를 보지 않고 이미지가사만을 보고서도 가사에 해당하는 음의 길이를 알 수 있도록 하는 경우를 보여준다.
도 6c에서는 가사에 대응하는 음의 길이에 따라 가사의 글자의 크기를 다르게 함으로써 악보를 보지 않고 이미지 가사화면을 보고서도 가사에 해당하는 음의 길이를 알 수 있도록 하는 경우를 보여준다.
이미지가사를 이용하여 음의 길이와 음의 고저에 대한 정보를 동시에 보여줄 수 있다.
도 7은 음의 길이를 가사의 상단에 부가되는 이미지 크기의 조절을 이용하여 표현하고, 음의 고저를 가사의 상하위치를 조절하여 표현하는 것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악보상의 음의 길이에 따라 부가이미지의 크기를 다르게 하여 해당가사에 할당하고, 악보상의 음의 고저에 따라 해당하는 가사의 상하위치를 조절함으로써 해당하는 악보에서 알 수 있는 음의 길이 및 음의 고저에 관한 정보를 이미지가사만을 보고서도 알 수가 있게 된다.
다만, 가사의 상하위치를 조절하여 악보에 있는 음의 고저를 정확하게 표시하기 위해서는 약 2 내지 3옥타브의 음, 즉 16단계 내지 24단계로 가사의 높이를 나누어야 하는데 이 경우 가사의 높이가 너무나 세분되어 사람이 육안으로 이것들을 각각 구별하는게 어렵게 된다. 따라서 가사의 상하위치를 조절하여 음의 고저를 표현하기 위새서는 음의 고저를 2 내지 3옥타브인 16단계 내지 24단계로 나누지 않고 2옥타브의 16음을 4개로 또는 3옥타브의 24음을 6개로 그룹핑하여 가사의 높이가 4개 또는 6개의 구별되는 가사높이를 갖도록 구현한다. 이에 관하여는 도 4의 가사정책테이블에 나타난 가사 높이 레벨, 가사 높이 픽셀 레벨 등의 항목들을 조절하여 구현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생성되는 이미지가사가 노래반주기에서 사용되는 예를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사용자가 노래반주기를 이용하여 노래를 부르고자 할 경우 곡을 선택한 후 이미지가사를 볼 것인지 일반가사를 볼 것인지를 선택하게 하고(S110), 일반가사를 선택한 경우에는 종래와 같은 방법으로 가사데이터를 디스플레이장치를 통해 보여주고(S130) 사용자가 이미지가사를 보여줄 것을 요청한 경우에는 음악데이터에서 악보정보를 추출하고(S121) 악보정보와 가사데이터를 이용하여 이미지가사를 생성한 후(S122) 디스플레이 장치를 통하여 보여준다(S123).
상기에서는 음악데이터가 미디(MIDI)데이터인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MIDI데이터가 아닌 엠피쓰리(MP3)데이터나 웨이브(WAVE)데이터를 음악데이터로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에서는 음의 길이 또는 음의 고저에 따라 가사글자의 크기를 다르게 하여 악보정보를 보여주는 경우 또는 음의 길이 또는 음의 고저에 따라 가사글자에 할당되는 부가이미지의 크기를 다르게 하여 악보정보를 보여주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동일한 방법으로 음의 길이 또는 음의 고저에 따라 가사글자 또는 가사글자에 할당되는 부가이미지의 색상을 다르게 표현하여 악보정보를 보여주는 것도 가능하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상기한 설명 및 도면에 따라 도시하였지만, 이는 예를 들어 설명한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화 및 변경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특히, 상기 실시예에서는 미디데이터와 같은 음악데이터와 가사데이터가 분리될 수 있는 곡파일을 사용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미디데이터가 가사정보를 포함하고 있는 곡파일을 이용함으로써 곡파일로부터 가사데이터를 분리해낼 필요가 없도록 구현하는 것도 가능하며, 이러한 구현방법 역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 있는 것을 자명하다 할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음악의 어려운 악보를 일일이 표시하지 않고 가사를 통하여 악보가 가진 많은 정보를 시각적인 형태로 변형하여 디스플레이 장치에 표시함으로써 음악적 지식이 전무한 사람도 악보정보로부터 변형한 가사나 악보정보로부터 정의한 도형 또는 이미지를 통하여 음악적 정보를 시각적으로 쉽게 이해하여 음악을 즐길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가사 주변의 이미지를 이용하여 악보나 별도의 부가적인 장치 없이 악보가 가진 정보를 사용자가 이해하기 쉬운 형태로 전달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노래반주기의 음악데이터와 가사데이터가 출력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노래반주기의 음악데이터와 이미지가사가 출력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
도 3은 음악데이터로부터 악보정보를 추출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4는 이미지 가사 정책 테이블의 일 예 및 그에 따라 표시된 가사를 보여주는 도면.
도 5는 음의 길이에 따라 서로 다른 부가이미지를 할당하는 테이블을 설명하는 도면.
도 6a는 도 5에서 할당된 부가이미지를 이용하여 악보상의 음의 길이에 따라 부가이미지가 할당되는 예를 보여주는 도면
도 6b는 음의 길이에 따라 가사의 상단에 위치하는 부가이미지의 크기를 다르게 표현하는 경우를 보여주는 도면.
도 6c는 음의 길이에 따라 가사의 글자크기를 다르게 하여 표현한 경우를 보여주는 도면.
도 7은 음의 길이를 가사의 상단에 부가되는 이미지를 이용하여 표현하고, 음의 고저를 가사의 상하위치를 조절하여 표현하는 것을 보여주는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생성되는 이미지가사가 노래반주기에서 사용되는 예를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Claims (15)

  1. 노래반주기에서 가사를 디스플레이하는 방법에 있어서,
    곡파일로부터 곡의 악보정보와 가사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상기 가사정보 및 상기 악보정보를 이용하여 악보정보를 담고 있는 이미지가사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생성된 이미지가사를 디스플레이장치를 통해 보여주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래반주기의 이미지가사 디스플레이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악보정보는 음의 고저 및 길이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래반주기의 이미지가사 디스플레이방법.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음악데이터는 미디데이터(MIDI data), 엠피쓰리 데이터(MP3 data), 또는 웨이브 데이터(WAVE data)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래반주기의 이미지가사 디스플레이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악보정보 및 가사정보 추출단계는:
    곡파일로부터 음악데이터와 가사데이터를 분리하는 단계;
    상기 음악데이터로부터 곡의 악보정보를, 상기 가사데이터로부터 가사정보를 각각 추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래반주기의 이미지가사 디스플레이방법.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악보정보는 음의 고저 및 길이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래반주기의 이미지가사 디스플레이방법.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음악데이터는 미디데이터(MIDI data), 엠피쓰리 데이터(MP3 data), 또는 웨이브 데이터(WAVE data)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래반주기의 이미지가사 디스플레이방법.
  7. 제 1항 내지 제 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가사 생성단계는:
    가사의 각 음절에 대응하는 음의 고저 또는 길이에 따라 서로 다른 이미지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가사의 각 음절과 상기 각 음절에 대응하는 이미지를 결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래반주기의 이미지가사 디스플레이방법.
  8. 제 1항 내지 제 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가사 생성단계는:
    가사의 각 음절에 대응하는 음의 길이에 따라 서로 다른 이미지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각 음절에 대응하는 음의 고저에 따라 각 음절에 대응하는 가사글자의 상하위치를 서로 다르게 배치하는 단계;
    상기 가사의 각 음절과 상기 각 음절에 대응하는 이미지를 결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래반주기의 이미지가사 디스플레이방법.
  9. 제 1항 내지 제 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가사 생성단계는:
    가사의 각 음절에 대응하는 음의 고저 또는 길이에 따라 서로 크기가 다른 이미지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가사의 각 음절과 상기 각 음절에 대응하는 이미지를 결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래반주기의 이미지가사 디스플레이방법.
  10. 제 1항 내지 제 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가사 생성단계는:
    가사의 각 음절에 대응하는 음의 길이에 따라 서로 크기가 다른 이미지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각 음절에 대응하는 음의 고저에 따라 각 음절에 대응하는 가사글자의 상하위치를 서로 다르게 배치하는 단계;
    상기 가사의 각 음절과 상기 각 음절에 대응하는 이미지를 결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래반주기의 이미지가사 디스플레이방법.
  11. 제 1항 내지 제 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가사 생성단계는:
    가사의 각 음절에 대응하는 음의 고저 또는 길이에 따라 상기 각 음절에 해당하는 가사글자의 크기를 다르게 하여 이미지가사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래반주기의 이미지가사 디스플레이방법.
  12. 제 1항 내지 제 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가사 생성단계는:
    가사의 각 음절에 대응하는 음의 길이에 따라 상기 각 음절에 해당하는 가사글자의 크기를 다르게 하고 음의 고저에 따라 상기 각 음절에 대응하는 가사글자의 상하위치를 서로 다르게 배치하여 이미지가사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래반주기의 이미지가사 디스플레이방법.
  13. 제 1항 내지 제 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가사 생성단계는:
    가사의 각 음절에 대응하는 음의 고저 또는 길이에 따라 상기 각 음절에 해당하는 가사글자의 색상을 다르게 하여 이미지가사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래반주기의 이미지가사 디스플레이방법.
  14. 제 1항 내지 제 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가사 생성단계는:
    가사의 각 음절에 대응하는 음의 길이에 따라 상기 각 음절에 해당하는 가사글자의 색상을 다르게 하고, 음의 고저에 따라 상기 각 음절에 대응하는 가사글자의 상하위치를 서로 다르게 배치하여 이미지가사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래반주기의 이미지가사 디스플레이방법.
  15. 제 1항 내지 제 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가사 생성단계는:
    가사의 각 음절에 대응하는 음의 길이에 따라 상기 각 음절에 해당하는 가사글자의 가로넓이 또는 세로길이를 다르게 하고, 음의 고저에 따라 상기 각 음절에 대응하는 가사글자의 상하위치를 서로 다르게 배치하여 이미지가사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래반주기의 이미지가사 디스플레이방법.
KR10-2004-0034019A 2004-05-13 2004-05-13 노래반주기의 이미지가사 디스플레이방법 KR10054019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34019A KR100540190B1 (ko) 2004-05-13 2004-05-13 노래반주기의 이미지가사 디스플레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34019A KR100540190B1 (ko) 2004-05-13 2004-05-13 노래반주기의 이미지가사 디스플레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08831A KR20050108831A (ko) 2005-11-17
KR100540190B1 true KR100540190B1 (ko) 2005-12-29

Family

ID=372848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34019A KR100540190B1 (ko) 2004-05-13 2004-05-13 노래반주기의 이미지가사 디스플레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4019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07142B1 (ko) * 2006-06-16 2007-04-13 이종필 엠피쓰리 장착용 노래방형 마이크
KR101193362B1 (ko) * 2012-04-13 2012-10-19 최병기 문자열을 발음 단위로 분할하는 방법, 이를 이용하는 문자열의 어조 표현 방법 및 문자열의 어조를 표현하는 동영상 데이터가 저장된 저장매체
CN111859014A (zh) * 2020-06-29 2020-10-30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数据标注方法及装置
WO2024069349A1 (en) 2022-09-29 2024-04-04 Bussolino-Sitcap S.A.S Di G. Bussolino & C. Method of encoding music information, corresponding computer program product and music information display apparatu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08831A (ko) 2005-11-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6205280B (zh) 一种交互式动态彩色形意释谱方法与乐器弹奏教练装置
CN106991995B (zh) 一种无级变调及揉键变音的恒定唱名键盘数码视唱琴
US8907195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usical training
US7323631B2 (en) Instrument performance learning apparatus using pitch and amplitude graph display
US8872011B2 (en) Visual, tactile and motion-sensation system for representing music for an audience
US7589727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generating visual images based on musical compositions
US7674964B2 (en) Electronic musical instrument with velocity indicator
Isaacson What You See Is What You Get: on Visualizing Music.
JP7274082B2 (ja) 音楽生成装置、音楽生成方法、及び音楽生成プログラム
US20150310876A1 (en) Raw sound data organizer
KR100540190B1 (ko) 노래반주기의 이미지가사 디스플레이방법
JP2004271783A (ja) 電子楽器および演奏操作装置
Cheng et al. Time-frequency analysis of musical rhythm
JP2017058595A (ja) 自動アレンジ装置及びプログラム
JP6977741B2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演奏データ表示システム、およびプログラム
Savery et al. Learning from History: Recreating and Repurposing Sister Harriet Padberg's Computer Composed Canon and Free Fugue
CN1378197A (zh) 一种多功能乐谱自动生成装置
JP7338669B2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演奏データ表示システム、およびプログラム
JP7326776B2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7327434B2 (ja) プログラム、方法、情報処理装置、および演奏データ表示システム
Calebaugh Color in Music: An Analysis of Joan Tower’s Purple Works for Viola
Segnini et al. Scoregram: Displaying gross timbre information from a score
Ong A CUBIST READING OF MAURICE RAVEL’S LA VALSE
Bodo et al. Web Sonification with synesthesia tools
Khumalo Reading for ‘African Spectralism’in Latozi Mphahleni’s ‘Modokali’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16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27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23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22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12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01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02

Year of fee payment: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