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39177B1 - 음악적 특징 기록 장치, 음악적 특징 검색장치, 음악적특징 검색 시스템 및 검색 방법 - Google Patents

음악적 특징 기록 장치, 음악적 특징 검색장치, 음악적특징 검색 시스템 및 검색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39177B1
KR100539177B1 KR10-2004-0033038A KR20040033038A KR100539177B1 KR 100539177 B1 KR100539177 B1 KR 100539177B1 KR 20040033038 A KR20040033038 A KR 20040033038A KR 100539177 B1 KR100539177 B1 KR 10053917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musical
musical feature
pitch
bea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330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60863A (ko
Inventor
주기현
전한구
정혜경
Original Assignee
(주)나요미디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나요미디어 filed Critical (주)나요미디어
Priority to KR10-2004-00330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39177B1/ko
Publication of KR200400608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6086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391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39177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TECHNIQUES OR SPEECH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TECHNIQUES;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21/00Speech or voice signal processing techniques to produce another audible or non-audible signal, e.g. visual or tactile, in order to modify its quality or its intelligibility
    • G10L21/06Transformation of speech into a non-audible representation, e.g. speech visualisation or speech processing for tactile ai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6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audio data
    • G06F16/68Retrieval characterised by using metadata, e.g. metadata not derived from the content or metadata generated manually
    • G06F16/683Retrieval characterised by using metadata, e.g. metadata not derived from the content or metadata generated manually using metadata automatically derived from the content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TECHNIQUES OR SPEECH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TECHNIQUES;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25/00Speech or voice analysis techniques not restricted to a single one of groups G10L15/00 - G10L21/00
    • G10L25/48Speech or voice analysis techniques not restricted to a single one of groups G10L15/00 - G10L21/00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2250/00Aspects of algorithms or signal processing methods without intrinsic musical character, yet specifically adapted for or used in electrophonic musical processing
    • G10H2250/055Filters for musical processing or musical effects; Filter responses, filter architecture, filter coefficients or control parameters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Library & Information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Information Retrieval, Db Structures And Fs Structures Therefo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아날로그 형태의 음성 또는 음향 데이타를 입력받아 음악적 특징을 추출하여 매우 작은 크기의 추상적인 데이타로 표현하기 위한 음악적 특징 기록장치, 다수의 음악 데이타에 대하여 음악적 특징을 저장한 데이타베이스 및 데이타베이스의 음악 데이타를 미리 비교한 인덱스를 이용하여 음악 데이타를 검색하기 위한 음악적 특징 검색장치에 관한 것이며, 또한 본 발명은 또한 음악적 특징 기록장치와 음악적 특징 검색장치를 이용하여, 음성 또는 음향 데이타를 입력받아 음악데이타를 검색하기 위한 음악적 특징 검색시스템과 검색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음악적 특징 기록 장치, 음악적 특징 검색장치, 음악적 특징 검색 시스템 및 검색 방법 {MUSICAL FEATURE RECORDING DEVICE, MUSICAL FEATURE SEARCHING DEVICE, MUSICAL FEATURE SEARCHING SYSTEM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음악적 특징 기록장치, 음악적 특징 검색장치, 음악적 특징 검색 시스템 및 검색 방법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음원 또는 음향 데이타를 시간단위로 분할하여 샘플링하는 방식으로 표현하는 대신 추상적인 형태의 매우 작은 크기의 데이타로 표현하기 위한 음악적 특징 기록장치 및 이러한 음악적 특징을 이용한 검색장치, 검색시스템 및 검색방법에 관한 것이다.
음악데이타를 기록하기 위한 방식으로는 음성데이타를 기록하기 위한 ADPCM(Adaptive Differential Pulse Code Modulation)방식이 있으며, 음악 데이타를 압축하기 위한 방식으로 MP3나 OGG와 같은 방식이 있다. 그러나, 이러한 방식으로 음악 데이타를 표현 하는 경우에는 노래를 흥얼거리는 것을 직접 입력받거나, 스피커를 통해 나오는 음악의 일부를 직접 입력받아 음악을 검색하기가 용이하지 않다. 이는 첫번째로 입력받은 음악의 샘플과 MP3나 OGG등의 형태로 기록된 음악 데이타를 직접 비교하여 검색하기에는 지나치게 계산량이 많아지고, 두번째로 높은 신뢰도를 가지는 비교 알고리즘을 구현하기가 어렵기 때문이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본 발명의 하나의 목적은 아날로그 형태의 음성 또는 음향 데이타를 입력받아 음악적 특징을 추출하여 매우 작은 크기의 추상적인 데이타로 표현하기 위한 음악적 특징 기록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또한 다수의 음악 데이타에 대하여 음악적 특징을 저장한 데이타베이스 및 데이타베이스의 음악 데이타를 미리 비교한 인덱스를 이용하여 음악 데이타를 검색하기 위한 음악적 특징 검색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또한 음악적 특징 기록장치와 음악적 특징 검색장치를 이용하여, 음성 또는 음향 데이타를 입력받아 음악데이타를 검색하기 위한 음악적 특징 검색시스템과 검색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음악적 특징 기록장치는 사용자로부터 음성 또는 음향 데이타를 입력받기 위한 입력부, 입력받은 데이타로부터 음악적 특징을 분석하여 소정의 형태로 기록하기 위한 음악적 특징 기록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음악적 특징 검색장치는 쿼리를 입력받아 색인부를 우선 검색하고, 검색결과가 없는 경우 데이타베이스를 검색하기 위한 검색부, 다수의 음악 데이타를 저장하기 위한 데이타베이스 및 상기 데이타베이스에 저장된 음악 데이타를 미리 비교하여 작성된 색인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음악적 특징 검색 시스템은 음성 또는 음향 데이타를 입력받기 위한 입력부 및 입력받은 데이타로부터 음정과 박자를 분석하여 기록하기 위한 음악적 특징 기록부로 구성된 음악적 특징 기록장치와 쿼리를 입력받아 색인부를 우선 검색하고, 검색결과가 없는 경우 데이타베이스를 검색하기 위한 검색부, 다수의 음악 데이타를 저장하기 위한 데이타베이스, 및 상기 데이타베이스에 저장된 음악 데이타를 미리 비교하여 작성된 색인부로 구성된 음악적 특징 검색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음악적 특징 검색 방법은 음성 또는 음향 데이타를 입력받아 음악적 특징을 추출하는 단계, 추출된 음악적 특징을 소정의 형태로 기록하는 단계, 상기 기록된 음악적 특징에 대하여 색인부를 검색하는 단계 및 상기 색인부를 검색하여 검색결과가 없는 경우 데이타베이스를 검색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악적 특징 기록장치(100)의 블럭도이다. 입력부(120)는 사용자로부터 음성이나 음향 데이타를 입력받아 이를 음악적 특징 기록부(110)로 전송하며, 음악적 특징 기록부(110)는 입력받은 데이타로부터 음악적 특징을 분석하여 소정의 형태로 기록한다. 이러한 음악적 특징 기록부(110)는 음악적 특징 추출부(111), 음정 계산부(112), 박자 계산부(113) 및 통합기록부(11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음악적 특징 추출부(111)는 입력부(120)을 통해 입력받은 음성이나 음향데이타를 분석하여 음정과 박자와 같은 음악적 특징을 추출하는데, 이렇게 음정과 박자와 같은 음악적 특징을 추출하는 기술은 종래의 것을 그대로 이용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본 출원인의 특허출원 제10-2004-30940호에 개시된 방식을 사용할 수 있다. 특허출원 제10-2004-30940호에 개시된 방식은 음성 데이타와 같은 단음(monophony)데이타와 음악소리와 같은 다중음(polyphony)데이타를 가리지 않고 박자와 음정에 해당하는 특징을 추출한다. 즉, 다중음의 경우에는 동시에 여러개의 서로 다른 높이를 가진음이 발음되는데 이들 각각의 음정을 추출하는 것이 아니라 전체에 대하여 하나의 음정과 박자에 해당하는 특징을 추출하므로 단음인 음성과 다중음인 음향을 구분하지 않고 처리할 수 있다. 음악적 특징 추출부(111)에서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박자와 음정이 추출되면 이들 각각을 음정 계산부(112) 및 박자 계산부(113)로 전송한다.
음정 계산부(112)는 음악적 특징 추출부(111)에서 추출된 음정에 대하여 상대적인 크기 변화를 계산하고, 박자 계산부(113)는 음악적 특징 추출부(111)에서 추출된 박자에 대하여 상대적인 크기를 계산한다. 음정 계산부(112) 및 박자 계산부(113)에서의 동작과정을 악보 1을 참조로 하여 예시적으로 설명한다.
(악보 1)
예를들어, 상기 악보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음정은 각각 G5, G5, A5, B5, G5, B5, G5, A5에 해당하며, 음정을 7비트로 나타낼 때 27=128 이므로 128개의 음을 표현할 수 있으므로 상기의 음정을 각각 79, 79, 81, 83, 79, 83, 81로 표현할 수 있다. 음정 계산부(112)에서는 이렇게 표현된 음정을 맨 첫음을 제외한 두번째 음정부터는 직전의 음정에 대한 상대적인 변화값만을 표기하여, 79, 0, +2, +2, -4, +4, -2와 같이 표현한다.
또한, 박자 계산부(113)에서는 박자를 상기 악보 1에서 가장 짧은 음표인 8분 음표의 길이를 기준으로 하여 상대값을 표현하여 1,1,1,1,1,1,2와 같이 상대적인 크기로 표현한다. 음정 계산부(112)와 박자 계산부(113)에서 상기와 같이 저장된 데이타는 통합기록부(114)로 전달된다.
통합기록부(114)는 음정 계산부(112)와 박자 계산부(113)에서 계산된 각 음에 대한 음정의 상대적인 크기 변화와 박자의 상대적인 크기를 쌍을 지어 나열하는 방식으로 기록한다. 상기의 예를 들어 설명하면, 상기 음정 계산부(112)와 박자 계산부(113)에서 계산된 음정의 상대적인 변화와 및 박자의 상대적인 크기는 79:1, 0:1, +2:1, +2:1, -4:1, +4:1, -2:2과 같이 음정 : 박자의 순으로 연속배열되는 자료구조의 형태로 기록될 수 있다. 이때, 동일한 높이의 음이 연속적으로 발음 되는 경우에 이를 합하여 표시할 수 있다. 즉, 통합기록부(114)에서는 상기 악보 1에 대한 음악적 특징을
79:2, +2:1, +2:1, -4:1, +4:1, -2:2
와 같이 기록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음악적 특징 검색장치(200)의 구성을 도시하고 있다.
검색부(201)는 검색하고자 하는 쿼리를 입력받아 색인부(202)와 데이타베이스(203)를 검색하기 위한 수단이며, 이때, 검색하고자 하는 쿼리는 상기 음악적 특징 기록장치(100)에서와 같은 형태로 기록된 것이다. 데이타베이스(203)는 다수의 음악 데이타를 저장하기 위한 수단으로, 상기 음악적 특징 기록장치(100)에서와 같은 형태로 음악 데이타를 저장한다. 색인부(202)는 상기 데이타베이스(203)에 저장된 음악 데이타를 대상으로하여 미리 색인을 만들어 두어 빠른 검색을 가능케 한다. 검색부(201)는 사용자로부터 쿼리를 입력받아 색인부(202)에서 우선 검색을 한 후 매칭되는 결과값이 없는 경우, 데이타베이스에 저장된 음악 데이타로부터 쿼리를 직접 검색하기 위한 수단이다. 검색부(201)에서 쿼리를 입력받으면 이를 음정과 박자의 두가지 요소로 분리하여 후술하는 바와 같이 색인부(202)와 데이타베이스(203)을 통해 검색하게 된다.
색인부(202)는 데이타베이스(203)에 저장된 음악데이타를 분석하여 미리 인덱스를 작성하여 보다 빠른 검색을 가능하게 하기 위한 수단이다. 쿼리는 통상적으로 악곡 전체를 입력하는 것이 아니라 일부만을 입력하게 되며, 특히 검색을 위해 사용자가 직접 음성 입력하는 경우 음표의 수가 대략 20여 개를 넘지 않으므로, 데이타베이스의 각각의 음악 데이타를 미리 비교 검색하여 결과를 인덱싱 해 둠으로써, 사용자가 요청한 쿼리가 이들 중에 있는 경우에는 데이타베이스를 직접 검색하지 않고 결과값을 즉시 리턴할 수 있다. 검색부(201)는 다음과 같은 과정을 통해 미리 작성된 인덱스를 포함한다.
1) 데이타베이스(203)의 음악데이타를 순차적으로 선택한다.
2) 상기 선택된 음악데이타에 대하여 첫 음부터 일정 개수, 바람직하게는 20개의 음표에 대하여 음정만을 추출하여 이를 기록한다.
3) 상기 선택된 음악데이타에 대하여 두번째 음부터 일정 개수, 바람직하게는 20개의 음표에 대하여 음정만을 추출하여 이를 기록한다.
4) 음악 데이타의 마지막 20개의 음표까지 상기 2), 3)의 과정을 반복한다.
5) 데이타베이스의 모든 음악데이타에 대하여 상기의 과정을 반복한다.
통상적인 경우 데이타베이스(203)내의 음악 데이타 각각에 대하여 상기와 같은 방식으로 추출된 음정의 수가 가능한 모든 경우의 수에 비하여 현저하게 작으므로 인덱스는 2개의 컬럼을 가진 테이블형태로 작성될 수 있다. 즉, 첫 번째 컬럼은 상기 일정 개수의 음표에 대한 음정이며, 두번째 컬럼은 해당하는 음정이 포함된 데이타베이스(203)의 음악데이타를 지시하는 값이다. 이 때 첫번째 컬럼은 순서대로 배열될 수도 있으나, 신속한 검색을 위하여 연결리스트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도 있다.
즉, +1,+1,+1,...+1 다음으로 +1, +1, +1,...+2가 배치되는 형태의 테이블일 수 있으며, 또는 다중 연결리스트로 구현되어 쿼리에 해당하는 값을 직접 검색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할 수도 있다. 즉, 맨 첫번째 음에서 두번째 음으로 넘어갈때 +1의 값을 가지는(즉, 1만큼 음이 올라가는) 노드는 맨 첫번째 음에서 두번째 음으로 넘어갈때 +2의 값을 가지는 노드로 연결되어 있고, 이 노드는 또한 맨 첫번째 음에서 두번째 음으로 넘어갈때 +3의 값을 가지는 노드로 연결되는 식으로 되어, 쿼리에 포함된 각각의 음표에 대하여 링크를 따라 이동하여 동일한 값을 가지는 노드를 찾는 방식으로 매우 짧은 시간에 쿼리와 동일한 데이타를 검색할 수 있다. 따라서, 색인부(202)를 검색한 결과 매칭되는 결과값이 존재하면 해당하는 데이타베이스의 레코드를 찾아 리턴한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데이타베이스(203)의 각 레코드는 상기 음악적 특징 추출장치(100)에서와 같은 방식으로 음악데이타를 표현하는 것 이외에 노래의 제목, 가수, 작곡가, 가사 등과 같은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만약, 색인부(202)를 검색한 결과 동일한 데이타를 발견하지 못하면, 데이타베이스(203)을 통해 직접검색을 하게 된다. 상기의 색인부(202)는 검색의 용이성을 위하여 음정에 대해서만 인덱스를 미리 작성하였으나, 박자에 대해서도 동일한 과정을 통해 인덱스를 구비할 수도 있다.
데이타베이스(203)는 상기 음악적 특징 기록장치(100)에서 사용된 방식과 동일한 방식으로 저장된 음악 데이타를 포함하는 다수개의 레코드를 저장한다. 상기 데이타베이스(203)의 각 레코드는 음악 데이타에 더하여 각각의 음악데이타에 대한 작곡가, 가사, 제목, 가수등과 같은 각종 정보를 함께 저장할 수도 있다. 쿼리는 검색부(201)에서 음정과 박자의 두가지 요소로 각각 분리되어 검색되는데, 예를들어, 쿼리가 83:2,-4:2,+4:2,-2:4와 같이 주어졌을 때, 음정만을 분리하면, 83,-4,+4,-2가 된다. 이러한 쿼리의 음정부분을 이용하여 데이타베이스(203)를 검색 할 수 있다. 데이타베이스(203)의 특정한 레코드에 상기 악보 1과 같은 음악 데이타가 포함되어 있다고 가정하고, 여기에서 음정만을 추출하면,
79, +2, +2, -4, +4, -2
와 같은데, 양자를 서로 비교할 때 음정의 상대적 변화치만을 고려하므로, 맨 첫음이 동일하다고 가정하고 계산한다. 즉, 쿼리의 첫 음을 79로 가정하여 비교하는데, 맨 첫 음부터 네번째 음까지의 크기 차이는 다음에서 계산한 바와 같이 10이 된다.
79, +2, +2, -4, +4, -2 - 데이타베이스의 특정 레코드
- 79, -4, +4, -2 - 쿼리
------------------------------
0 + 6 + 2 + 2 = 10
따라서, 일치하지 않으므로 그 다음 음을 비교한다. 즉, 쿼리의 첫 음을 음악 데이타의 두번째 음과 같다고 가정하고 계산하면 크기의 차이는 다음에서 계산한 바와 같이 20이 된다.
79, +2, +2, -4, +4, -2
- 81, -4, +4, -2
-------------------------------
0 + 6 + 8 + 6 = 20
따라서, 여전히 일치하지 않는 것으로 보아 다음 음정과 비교한다. 다음 음정과의 비교결과 양자의 크기 차이는 0이 되므로 쿼리를 완전하게 포함하는, 즉 쿼리에 대하여 정확하게 매칭되는 데이타베이스(203)의 음악데이타가 검색된다.
79, +2, +2, -4, +4, -2
- 83, -4, +4, -2
--------------------------------
0 + 0 + 0 + 0 = 0
다만, 음악데이타의 경우에 입력시의 잡음이나 음성입력시의 음정불안으로 동일한 데이타를 발견할 수 없는 경우가 발생하므로, 검색시의 크기 차이가 임계값(예를들어, 3) 미만인 경우 검색결과로 리턴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박자에 대해서도 상기와 마찬가지로 비교가 가능하다. 상기의 쿼리에서 박자만을 분리하면 2, 2, 2, 4와 같이 되며, 상기 악보 1을 상기 음악적 특징 기록장치(100)에서 기록한 것과 같은 음악 데이타로부터 박자를 분리하면 1, 1, 1, 1, 1, 1, 2과 같다.
이 때에도 박자의 상대적인 크기를 비교하는 것이므로, 맨 첫 박자가 서로 동일하게 되도록 보정한 다음 비교한다. 즉, 쿼리가 2, 2, 2, 4이며, 검색대상 데이타가 1로 시작하므로 쿼리를 2로 나누어 첫 박자를 동일하게 보정한 후 비교한다. 이때, 양자의 크기의 차이(즉, 절대값)는 다음 계산결과와 같이 1이다.
1, 1, 1, 1, 1, 1, 2
- 1, 1, 1, 2
----------------------
0+ 0+ 0+ 1 = 1
따라서, 동일하지 않은 것으로 보아 다음 박자로 분기하여 계산을 반복한다. 이 때, 크기 차이는 다음 계산결과와 같이 1이다.
1, 1, 1, 1, 1, 1, 2
- 1, 1, 1, 2
-----------------------
0+ 0+ 0+ 1 = 1
따라서, 동일하지 않은 것으로 보아 다음 박자로 분기하여 계산을 반복한다. 이 때, 크기 차이는 다음 계산결과와 같이 1이다.
1, 1, 1, 1, 1, 1, 2
- 1, 1, 1, 2
------------------------
0+ 0+ 0+ 1 = 1
따라서, 동일하지 않은 것으로 보아 다음 박자로 분기하여 계산을 반복한다. 아래와 같이 계산한 결과, 크기 차이는 다음 계산결과와 같이 0 이므로 쿼리와 동일한 데이타, 즉 쿼리와 매칭되는 레코드를 검색할 수 있게 된다.
1, 1, 1, 1, 1, 1, 2
- 1, 1, 1, 2
-------------------------
0+ 0+ 0+ 0 = 0
즉, 데이타베이스(203)에서 쿼리에 대하여 상기와 같은 방식으로 검색하여 음정과 박자가 동시에 임계값보다 작은 크기의 유사범위내에 속하는 음악데이타를 검색하여 결과를 리턴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음악적 특징 검색 시스템은 상기와 같은 음악적 특징 기록장치와 음악적 특징 검색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되는데 구체적으로는 음성 또는 음향 데이타를 입력받기 위한 입력부 및 입력받은 데이타로부터 음정과 박자를 분석하여 기록하기 위한 음악적 특징 기록부로 구성된 음악적 특징 기록장치와 쿼리를 입력받아 색인부를 우선 검색하고, 검색결과가 없는 경우 데이타베이스를 검색하기 위한 검색부, 다수의 음악 데이타를 저장하기 위한 데이타베이스, 및 상기 데이타베이스에 저장된 음악 데이타를 미리 비교하여 작성된 색인부로 구성된 음악적 특징 검색장치를 포함한다. 음악적 특징 기록부에서는 입력부에서 입력받은 음성 또는 음향 데이타를 분석하여 음악적 특징을 추출하고 소정의 형태로 기록한 후 이를 음악적 특징 검색장치의 검색부로 전송한다. 검색부에서는 이를 쿼리로 하여 색인부와 데이타베이스를 검색하여 매칭되는 결과값을 리턴한다.
이하에서는 도 3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악적 특징 검색방법을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음악적 특징 검색방법은 음성 또는 음향 데이타를 입력받아 음악적 특징을 추출하는 단계(S1), 추출된 음악적 특징을 소정의 형태로 기록하는 단계(S2), 상기 기록된 음악적 특징에 대하여 색인부를 검색하는 단계(S3) 및 상기 색인부를 검색하여 검색결과가 없는 경우 데이타베이스를 검색하는 단계(S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구체적으로는, 음성 또는 음향 데이타로부터 박자와 음의 높낮이와 같은 음악적 특징을 추출하는 단계(S1)에서는 사용자로부터 직접 흥얼거림과 같은 음성 데이타를 입력받거나 또는 스피커를 통해 나오는 음악을 직접 입력받아, 입력받은 데이타를 분석하여 음정과 박자를 추출하거나 또는 다중음(polyphony)인 경우 음정과 박자에 해당하는 음악적 특징을 추출한다. 추출된 음정과 박자를 음악적 특징을 소정의 형태로 기록하는 단계(S2)에서는 각각의 음에 대한 음정과 박자를 연속적으로 나열하는 형태로 기록한다. 색인부 검색 단계(S3)에서는 기록된 음악적 특징을 쿼리로하여 색인부의 인덱스에 쿼리를 그대로 포함하는 데이타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검색하고, 존재하면 그에 해당하는 데이타베이스의 레코드를 리턴한다. 데이타베이스 검색 단계(S4)는 상기 색인부 검색 단계에서 검색결과가 나오지 않은 경우에 데이타베이스로부터 쿼리를 그대로 포함하거나 혹은 유사하게 포함하는 데이타를 검색하는 단계이며, 검색결과가 없으면 아무런 결과도 리턴하지 않으며, 검색결과가 있으면 해당하는 데이타베이스의 레코드를 리턴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음성이나 음향 데이타를 입력받아 음악을 검색함에 있어 매우 작은 크기의 추상적인 형태의 자료구조를 이용하여 음악 데이타를 저장하고, 검색하기 때문에 검색이 용이하다는 뛰어난 효과가 있으며, 또한 데이타베이스를 직접 검색하기에 앞서 인덱스를 이용함으로써 검색시간이 현저하게 빨라진다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음악적 특징 기록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블럭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음악적 특징 검색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블럭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음악적 특징 검색방법을 도시한 플로우차트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음악적 특징 기록장치 110 : 음악적 특징 기록부
111 : 음악적 특징 추출부 112 : 음정 계산부
113 : 박자 계산부 114 : 통합기록부
120 : 입력부 200 : 음악적 특징 검색장치
201 : 검색부 202 : 색인부
203 : 데이타베이스

Claims (9)

  1. 음악적 특징 기록장치에 있어서,
    사용자로부터 음성 또는 음향 데이타를 입력받는 입력부; 및
    입력받은 데이타의 음악적 특징을 추출하여 각 음에 대하여 박자 데이터는 가장 짧은 박자에 대한 상대적인 크기로 나타내고, 첫 음을 제외한 나머지 음에 대하여 음정 데이터는 직전음에 대한 상대적인 크기의 변화값으로 나타내어 각 음에 대한 음정 데이터와 박자 데이터를 쌍을 지어 연속적인 배열의 형태로 기록하는 음악적 특징 기록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악적 특징 기록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음악적 특징 기록부는 상기 입력받은 음성 또는 음향 데이타를 분석하여 각 음에 대해 음정과 박자를 추출하기 위한 음악적 특징 추출부;
    상기 음악적 특징 추출부에서 추출한 각 음의 음정의 상대적인 크기 변화를 계산하기 위한 음정 계산부;
    상기 음악적 특징 추출부에서 추출한 각 음의 박자의 상대적인 크기를 계산하기 위한 박자 계산부; 및
    상기 음정 계산부와 박자 계산부에서 계산한 음정의 상대적인 크기 변화와 박자의 상대적인 크기를 입력받아, 상기 음정 데이터와 상기 박자 데이터를 쌍을 지어 연속적인 배열의 형태로 기록하기 위한 통합기록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악적 특징 기록장치.
  3. 삭제
  4. 음악적 특징 검색장치에 있어서,
    음악 데이타를 포함하는 다수의 레코드를 저장하기 위한 데이타베이스;
    상기 데이타베이스에 저장된 모든 음악 데이타에 대하여 작성된 색인을 포함하는 색인부; 및
    쿼리를 입력받아 색인부를 우선 검색하고, 검색결과가 없는 경우 데이타베이스를 검색하기 위한 검색부를 포함하고,
    상기 데이타베이스는 각 음에 대하여 박자 데이터는 가장 짧은 박자에 대한 상대적인 크기로 나타내고, 첫 음을 제외한 나머지 음에 대하여 음정 데이터는 직전음에 대한 상대적인 크기의 변화값으로 나타내어 각 음에 대한 음정 데이터와 박자 데이터를 쌍을 지어 연속적인 배열의 형태로 기록된 음악 데이타를 포함하는 다수개의 레코더를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악적 특징 검색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검색부가 데이타베이스를 검색함에 있어 음정과 박자를 각각 분리하여 비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악적 특징 검색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검색부가 데이타베이스를 검색함에 있어 쿼리와 유사한 음악적 데이타를 포함하는 레코드를 결과값으로 돌려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악적 특징 검색장치.
  7.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레코드는 음악의 작곡가, 제목 및 가수에 대한 정보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악적 특징 검색장치.
  8. 음악적 특징 검색시스템에 있어서,
    음성 또는 음향 데이타를 입력받기 위한 입력부 및 입력받은 데이타의 음악적 특징을 추출하여 각 음에 대하여 박자 데이터는 가장 짧은 박자에 대한 상대적인 크기로 나타내고, 첫 음을 제외한 나머지 음에 대하여 음정 데이터는 직전음에 대한 상대적인 크기의 변화값으로 나타내어 각 음에 대한 음정 데이터와 박자 데이터를 쌍을 지어 연속적인 배열의 형태로 기록하는 음악적 특징 기록부로 구성되는 음악적 특징 기록장치; 및
    음악 데이타를 포함하는 다수의 레코드를 저장하기 위한 데이타베이스, 상기 데이타베이스에 저장된 모든 음악 데이타에 대하여 작성된 색인을 포함하는 색인부, 및 상기 음악적 특징 기록부에서 기록된 음정과 박자의 연속적인 배열을 입력받아 입력받아 색인부를 우선 검색하고, 검색결과가 없는 경우 데이타베이스를 검색하기 위한 검색부로 구성되는 음악적 특징 검색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악적 특징 검색시스템.
  9. 음악적 특징 검색 방법에 있어서,
    음성 또는 음향 데이타를 입력받아 음악적 특징을 추출하는 제 1 단계;
    추출된 음악적 특징을 이용하여 각 음에 대하여 박자 데이터는 가장 짧은 박자에 대한 상대적인 크기로 나타내고, 첫 음을 제외한 나머지 음에 대하여 음정 데이터는 직전음에 대한 상대적인 크기의 변화값으로 나타내어 각 음에 대한 음정 데이터와 박자 데이터를 쌍을 지어 연속적인 배열의 형태로 기록하는 제 2 단계;
    상기 기록된 음악적 특징에 대하여 색인부를 검색하는 제 3 단계; 및
    상기 색인부를 검색하여 검색결과가 없는 경우 데이타베이스를 검색하는 제 4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악적 특징 검색방법.
KR10-2004-0033038A 2004-05-11 2004-05-11 음악적 특징 기록 장치, 음악적 특징 검색장치, 음악적특징 검색 시스템 및 검색 방법 KR10053917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33038A KR100539177B1 (ko) 2004-05-11 2004-05-11 음악적 특징 기록 장치, 음악적 특징 검색장치, 음악적특징 검색 시스템 및 검색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33038A KR100539177B1 (ko) 2004-05-11 2004-05-11 음악적 특징 기록 장치, 음악적 특징 검색장치, 음악적특징 검색 시스템 및 검색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60863A KR20040060863A (ko) 2004-07-06
KR100539177B1 true KR100539177B1 (ko) 2005-12-27

Family

ID=373525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33038A KR100539177B1 (ko) 2004-05-11 2004-05-11 음악적 특징 기록 장치, 음악적 특징 검색장치, 음악적특징 검색 시스템 및 검색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3917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5453B1 (ko) * 2006-03-14 2007-12-13 주식회사 코난테크놀로지 오디오 데이터 정보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493525B1 (ko) * 2008-08-22 2015-02-13 엘지전자 주식회사 데이터 방송을 통한 음원 검색 장치 및 방법
KR101238113B1 (ko) * 2010-12-31 2013-02-27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입력 음성의 분석을 이용한 작곡 및 기성곡 검색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60863A (ko) 2004-07-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963957A (en) Bibliographic music data base with normalized musical themes
KR100836574B1 (ko) 악곡재생방법, 장치 및 음악음향데이터 중의 대표 모티프구간 검출방법
EP1821286B1 (en) Apparatus, system and method for extracting the structure of song lyrics by identifying repetitive patterns therein
US7680788B2 (en) Music search engine
US20070282860A1 (en) Method and system for music information retrieval
JP3467415B2 (ja) 音楽検索装置,音楽検索方法および音楽検索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記録媒体
JP6794990B2 (ja) 楽曲検索方法および楽曲検索装置
US20120036156A1 (en) System and method for storing and retrieving non-text-based information
JPH06110945A (ja) 音楽データベース作成装置及びその検索装置
JP2000155759A (ja) 音楽情報検索装置,音楽情報蓄積装置,音楽情報検索方法,音楽情報蓄積方法およびそれらの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記録媒体
KR100539177B1 (ko) 음악적 특징 기록 장치, 음악적 특징 검색장치, 음악적특징 검색 시스템 및 검색 방법
JP4594701B2 (ja) 情報検索装置、情報検索方法及び情報検索用プログラム並びに情報記録媒体
JP2000347659A (ja) 音楽検索装置,音楽検索方法および音楽検索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記録媒体
KR20090083972A (ko) 음악 검색을 위한 음악 데이터베이스 구축 방법, 허밍 질의를 입력으로 하여 음악을 검색하는 방법 및 장치
JP2007072023A (ja) 情報処理装置及び情報処理方法
KR100481575B1 (ko) 음악의 통계적 성질을 이용한 음악데이터베이스 구축 방법및 음악정보 검색 방법
JP5085577B2 (ja) プレイリスト作成装置、楽曲再生装置、プレイリスト作成方法およびプレイリスト作成プログラム
JP4026764B2 (ja) 演奏情報の比較方法
KR20040101592A (ko) 멜로디 질의 기반 음악 검색 방법
JP2004333605A (ja) 前後の検索結果利用型類似音楽検索装置,前後の検索結果利用型類似音楽検索処理方法,前後の検索結果利用型類似音楽検索プログラムおよびそのプログラムの記録媒体
Bainbridge et al. Searching digital music libraries
JP2006194953A (ja) テンポ抽出装置およびテンポ抽出方法
KR101302568B1 (ko) 허밍 질의 기반 음원 검색 고속화 시스템 및 그 방법
Freedman Correlational Harmonic Metrics: Bridging Computational and Human Notions of Musical Harmony
Sødring et al. Evaluating a melody extraction engin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1219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