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38337B1 - 폴더 자동 구동장치가 구비된 휴대 전화기 - Google Patents

폴더 자동 구동장치가 구비된 휴대 전화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38337B1
KR100538337B1 KR10-2003-0016774A KR20030016774A KR100538337B1 KR 100538337 B1 KR100538337 B1 KR 100538337B1 KR 20030016774 A KR20030016774 A KR 20030016774A KR 100538337 B1 KR100538337 B1 KR 1005383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lder
main body
mobile phone
opening
drive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167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10062A (ko
Inventor
임태형
이기영
Original Assignee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기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기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0400100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1006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383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38337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폴더 자동 구동장치가 구비된 휴대 전화기에 관한 것으로서, 한 쌍의 축지지부를 갖는 본체와; 상기 한 쌍의 축지지부 사이에 위치되는 하우징을 갖는 폴더와; 상기 폴더가 본체에 대하여 열리고 닫히도록 상기 축지지부와 하우징을 연결하는 힌지 수단과; 상기 폴더를 개폐시키도록 상기 힌지수단에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구동수단과; 상기 본체 또는 폴더 중 적어도 어느 한쪽에 구비되어 본체에 대하여 폴더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폴더위치 감지수단과; 상기 폴더의 하우징과 상기 힌지 수단에 상호 대응되도록 설치되어 폴더의 개폐상태를 감지하는 개폐완료 감지수단 및; 상기 폴더위치 감지수단과 개폐완료 감지수단의 감지 결과에 따라 상기 폴더를 자동 개폐시키도록 상기 구동수단을 제어하는 제어유닛;을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함으로써, 폴더를 수동으로 여닫는데 익숙한 사용자가 보다 편리하게 폴더를 개폐시킬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하게 된다.

Description

폴더 자동 구동장치가 구비된 휴대 전화기{PORTABLE PHONE HAVING AUTOMATIC FOLDER DRIVING APPARATUS}
본 발명은 폴더형 휴대 전화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사용자가 폴더를 약간만 움직여도 폴더가 자동으로 열리거나 닫히도록 이루어진 폴더 자동 구동장치가 구비된 휴대 전화기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휴대전화기는 그 형상에 따라 숫자(기능)버튼이 외부에 노출된 상태에 있는 바(Bar)타입과, 숫자(기능)버튼을 덮개로 차폐시킨 커버를 갖는 플립(Flip)타입과, 본체가 반으로 접혀지는 폴더(Folder)타입 등으로 분류되며, 소형화 추세에 따라 폴더형 휴대전화기 보급이 대부분을 이루고 있다.
이와 같은 폴더형 휴대전화기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게 본체(10)와 폴더(20)로 이루어지는 바, 상기 본체(10)는 통상 숫자(기능)버튼(12)과 마이크를 포함하며, 내부에 송수화를 위한 각종 제어 유닛이 내장되고, 뒷면에 전원공급을 위한 배터리팩이 장착된다.
그리고 상기 폴더(20)는 각종 통화정보 및 기능정보를 표시하는 표시창(22)과 스피커 등을 포함하고 이외에도 각종 구성부품이 내장된다.
이와 같은 폴더형 휴대전화기는 상기 폴더(20)가 본체(10)에 대해서 힌지 축지지부(15)와 힌지 하우징(25)에 내장된 힌지 수단(미도시)에 의해 지지되어 있으며, 이 힌지 수단을 중심으로 폴더(20)가 정방향 또는 역방향 회동함으로써 폴더의 개폐가 이루어지게 된다.
특히, 최근에는 보다 손쉽게 상기 폴더(20)를 개폐시킬 수 있도록 수동으로 폴더(20)의 개폐가 가능함과 아울러, 한 손으로 조작 버튼(SW)을 누르면 모터에 의해 자동으로 폴더가 개폐되는 자동폴더 휴대전화기가 보급되고 있다.
즉, 상기 폴더측 하우징(25)의 내부에는 미도시된 모터와 감속기 등이 구비되어 사용자가 본체(10)의 일측에 노출된 조작버튼(SW)을 작동시키면 모터가 작동되면서 상기 본체(10)에 대하여 폴더(20)를 자동으로 개방시키거나 닫히게 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폴더형 휴대전화기는 폴더(20)를 수동으로 개방시키는 작동과 자동으로 개방시키는 작동이 모두 가능하기 때문에 사용자가 자동으로 개방시키는 작동에 익숙하지 않을 경우, 대부분 수동으로만 폴더를 개폐시키게 되므로 폴더 자동 개폐 기능을 원활하게 사용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발생된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가 폴더를 일정 이상만 움직이면 이를 감지하여 자동으로 폴더를 개폐시킬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사용자의 편의성이 향상되도록 하는 폴더 자동 구동장치가 구비된 휴대 전화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한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폴더 자동 구동장치가 구비된 휴대 전화기는, 한 쌍의 축지지부를 갖는 본체와;
상기 한 쌍의 축지지부 사이에 위치되는 하우징을 갖는 폴더와;
상기 폴더가 본체에 대하여 열리고 닫히도록 상기 축지지부와 하우징을 연결하는 힌지 수단과;
상기 폴더를 개폐시키도록 상기 힌지수단에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구동수단과;
상기 본체 또는 폴더 중 적어도 어느 한쪽에 구비되어 본체에 대하여 폴더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폴더위치 감지수단과;
상기 폴더의 하우징과 상기 힌지 수단에 상호 대응되도록 설치되어 폴더의 개폐상태를 감지하는 개폐완료 감지수단 및;
상기 폴더위치 감지수단과 개폐완료 감지수단의 감지 결과에 따라 상기 폴더를 자동 개폐시키도록 상기 구동수단을 제어하는 제어유닛;을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폴더 자동 구동장치가 구비된 휴대 전화기의 제 1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자동 구동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A-A'선 단면도이며,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자동 구동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5는 도 2에 도시된 폴더의 수동동작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6은 도 2에 도시된 자동 구동장치의 작동 상태를 도시한 A-A'선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휴대 전화기는 뒤쪽에 상측으로 돌출되어 상호 마주보는 방향으로 개방되게 형성된 한쌍의 축지지부(55)를 갖는 본체(50)와, 상기 한쌍의 축지지부(55) 사이에 위치되는 원통형상의 하우징(65)을 갖는 폴더(60)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폴더(60)가 본체(50)에 대하여 열리고 닫히도록 상기 축지지부(55)와 하우징(65)을 연결하는 힌지 수단(75)과, 상기 하우징(65)의 내부에 고정되어 상기 폴더(60)를 개폐시키도록 상기 힌지 수단(75)에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구동 수단(72)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본체(50) 또는 폴더(60) 중 적어도 어느 한쪽에 구비되어 본체(50)에 대하여 폴더(60)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폴더위치 감지센서(100)와, 상기 폴더(60)의 하우징(65)과 상기 힌지 수단(75)에 상호 대응 설치되어 폴더(60)의 개폐완료 상태를 감지하는 개폐완료 감지센서(78)을 포함한다.
마지막으로, 상기 폴더위치 감지센서(100) 및 상기 개폐완료 감지센서(78)의 감지 결과에 따라 상기 폴더(60)를 자동 개폐시키도록 상기 구동수단(72)을 제어하는 제어유닛(200)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구동수단(72)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터(72a) 및 모터(72a)의 구동토크를 향상시키기 위한 유성기어체의 감속기(72b)로 구성된 기어드모터이며, 상기 힌지 수단(75)은 암·수로 이루어진 한 쌍의 캠어샘블리(75a, 75b)와, 본체(50)의 축지지부(55)에 내장되어 캠어샘블리(75a, 75b)를 탄력지지하는 코일스프링형 탄성부재(75c)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캠어샘블리(75a, 75b)는 수형 및 암형캠(75a, 75b)으로 이루어지되, 수형캠(75a)은 일측이 상기 구동수단(72)의 회전축(S)에 고정되고, 타측은 양측에 테이퍼가 형성된다. 그리고 암형캠(75b)은 수형캠(75a)의 테이퍼진 부분에 대응되는 홈을 갖는다.
따라서, 수형캠(75a)의 테이퍼진 단부가 암형캠(75b)의 홈에 삽입되어 캠어샘블리(75a, 75b)는 서로 결합되며, 이로 인하여 수형 및 암형캠(75a, 75b)는 일체를 이룬다.
물론, 암형캠(76b)은 수형캠(75a)의 반대방향에서 탄력지지하는 탄성부재(75c)에 의하여 수형캠(75a)과 결합상태를 유지한다.
한편, 제어 유닛(200)은 통상의 마이크로 컴퓨터로서, 본체의 제어 기판 상에 구비되어, 상기 폴더(60)가 설정치 이상 움직이면 상기 폴더(60)를 자동으로 개폐시키도록 제어신호를 출력하도록 이루어지며, 개폐완료 감지센서(78)로부터 개폐완료 신호를 인가 받으면 구동수단(72)의 구동을 정지시킨다.
즉, 사용자가 폴더(60)를 개방시키거나 닫기 위해 폴더(60)를 일정 이상 즉, 20° 내지 30°정도로 설정된 설정 범위 이상 움직이게 되면 상기 폴더위치 감지센서(100)가 이를 감지하여 상기 제어 유닛(200)에 신호를 입력하게 되고, 이때 제어 유닛(200)에서는 사용자가 폴더(60)를 개방시키거나 닫고자 하는 의지가 있는 것으로 판단하여 상기 구동수단(72)을 작동시킴으로써 자동으로 폴더(60)가 닫히거나 열리게 된다.
그리고, 폴더(60)가 완전히 개폐를 완료하게 되면 개폐완료 감지센서(78)가 이를 감지하여 상기 제어 유닛(200)으로 개폐완료 신호를 인가하게 되고, 이 신호로 인하여 제어 유닛(200)은 구동수단(72)의 구동을 정지시켜 폴더(60)의 자동 개폐 동작을 종료시킨다.
상기 폴더위치 감지센서(100)는 도 2에서와 같이 본체(50)의 상면과 폴더(60)의 하우징(65)에 각각 접촉식 스위치(101)(102,103)를 구비하여, 폴더(60)가 일정 이상 열리거나 닫힐 때 상호 접촉함으로써 폴더(60)의 움직임을 감지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즉, 폴더 쪽에 구비된 이동 스위치 단자(102,103)는 상기 하우징(65)의 둘레에 일정 간격 이격되게 위치되고, 본체(50) 쪽에 구비된 고정 스위치 단자(101)는 상기 이동 스위치 단자(102,103)가 접촉되는 위치에 구비됨으로써, 상기 폴더(60)의 회전에 따라 상기 이동 스위치 단자(102,103) 중 어느 하나가 상기 고정 스위치 단자(101)에 접촉됨으로써 폴더(60)의 움직임을 감지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에서는 폴더위치 감지센서(100)가 접촉식 센서로 구성된 것을 예시하고 있으나, 설계 조건에 따라 비접촉식 센서로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즉, 비접촉식 센서는 Hall IC로 이루어진 홀 센서, 자기저항효과소자(MR소자)를 사용한 센서, 포토 센서 등을 사용하여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폴더위치 감지센서(100)는 상기 폴더(60)에 구비하거나 본체(50)에 구비될 수 있고, 상기한 바와 같이 폴더(60)와 본체(50)에 모두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폴더위치 감지센서(100)는 상기 하우징(65)의 내에서 힌지 수단(75)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구조로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종래에서와 같이 상기 구동수단(72)을 작동시키는 조작 버튼(SW)은 본체(50)의 측면 위치 등에 별개로 설치 가능하다.
또한, 상기에서는 폴더(60)가 자동으로 열리고 닫히는 기능을 예시하였으나, 필요에 따라 폴더(60)가 열리는 상태만 감지하여 폴더를 자동으로 열리게 하는 기능만 갖게 하거나, 폴더(60)가 닫히는 상태만 감지하여 폴더를 자동으로 닫히게 하는 기능만 갖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한편, 개폐완료 감지센서(78)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65)의 내주면에 설치되는 감지기(78a)와, 캠어샘블리(75a, 75b)의 외주면에 설치되어 감지기(78a)와 대향되는 더미(78b)로 이루어지며, 보다 정확하게 설명하면 더미(78b)는 수형캠(75a)의 외주면에 180°간격으로 한쌍이 설치된다.
따라서, 감지기(78a)는 폴더(60)의 개폐시 하우징(65)과 함께 회동되어 개폐가 완료될 때 더미(78b)와 상호 접촉함으로써 폴더(60)의 개폐완료를 감지할 수 있다.
이러한 개폐완료 감지센서(78) 역시 폴더위치 감지센서(100)와 같이 접촉식이나 비접촉식으로 구성할 수 있으며, 접촉식일 경우에는 스위치를 리미트 스위치 타입이나 브러시타입으로 형성하여 구성하고, 비접촉식일 경우에는 전술된 홀 센서, 자기저항효과소자를 사용한 센서, 포토 센서 등으로 구성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폴더 자동 구동장치가 구비된 휴대 전화기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일반적으로 폴더형 휴대전화기 사용자는 대부분 폴더(60)를 손으로 여닫는데 익숙하다. 자동으로 폴더(60)를 여닫기 위해서는 의식적으로 자동 조작을 위한 조작 버튼을 작동시켜야 가능하다.
하지만 본 발명은 폴더(60)를 조금만 움직이면, 즉, 세팅된 설정치 이상 움직이면 이를 폴더위치 감지센서(100)에서 감지하여 구동수단(72)을 작동시킴으로써 자동으로 폴더(60)를 개방시키거나 닫히도록 작동시키게 된다.
즉, 폴더(60)의 움직임이 감지되면 폴더(60)가 본체(50)에 닫혀있는 경우 폴더(60)를 열리는 방향으로 구동수단(72)을 구동시키고, 반대로 폴더(60)가 열려 있는 경우 닫히는 방향으로 구동수단(72)을 구동시킨다.
좀더 자세히 설명하면, 도 2와 같은 폴더(60)의 개방시, 폴더위치 감지센서(10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 스위치 단자(101)와 이동 스위치 단자(102, 103)가 서로 이격 상태를 유지한다.
하지만, 사용자가 폴더(60)를 닫기 위하여 폴더(60)를 손으로 움직이면 하우징(65)이 폴더(60)와 함께 회동하게 되며, 하우징(65)의 회동에 의하여 내부에 고정된 구동수단(72) 및 회전축(S)도 함께 회동되면서 수형캠(75a)을 도 5에 점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회동시켜 수형캠(75a)이 도 6에서 처럼 암형캠(75b)을 밀도록 한다.
그러면, 암형캠(75b)은 홈의 테이퍼면에 의하여 슬립되어 후진하고, 탄성부재(75c)는 암형캠(75b)의 후진으로 압축되며, 수형캠(75a)은 테이퍼진 단부가 암형캠(75b)의 홈에 피벗 지지되어 회동된다.
이때, 탄성부재(75c)는 구동수단(72)의 구동력 보다는 크고, 사용자의 조작에 의한 외력 보다는 작은 탄성력을 갖도록 설계되어, 전술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폴더(60)를 움직이면 압축된다.
계속해서, 전술된 바와 같이 수형캠(75a)이 암형캠(75b)에 피벗 지지되어 회동됨에 따라 하우징(65)도 회동되며, 하우징(65)의 회동으로 폴더위치 감지센서(100)는 도 6에서 처럼 서로 마주한다.
즉, 하우징(65)의 회동으로 이동 스위치 단자(102)와 고정 스위치 단자(101)는 서로 접촉되며, 이동 스위치 단자(102)와 고정 스위치 단자(101)의 접촉으로 폴더위치 감지센서(100)는 폴더(60)의 위치를 감지한다.
그러면, 폴더위치 감지센서(100)는 감지된 폴더(60)의 위치를 상기 제어 유닛(200)에 신호를 입력하게 되고, 입력된 신호에 따라 제어 유닛(200)은 상기 구동수단(72)을 구동시켜 폴더(60)가 자동으로 회동되도록 하여 닫히게 한다.
좀더 자세하게는, 제어 유닛(200)에 의하여 모터(72a)가 구동되면 축지지부(55)에 내장된 탄성부재(75c)는 구동수단(72)의 구동력을 극복하고 압축상태에서 다시 팽창되어 암형캠(75b)을 탄력지지한다.
물론, 탄성부재(75c)는 탄성력이 구동수단(72)의 구동력 보다 크므로 구동수단(72)의 구동시 압축상태에서 팽창상태로 변형되어 수형캠(75a)이 암형캠(75b)에 결합되도록 암형캠(75b)을 지지한다.
그러면, 암형캠(75b)에 피벗 지지된 수형캠(75b)은 피벗 상태에서 벗어나 도 3과 같이 암형캠(75b)과 결합되며, 결합에 의하여 수형캠(75a)은 암형캠(75b)에 구속되어 회동이 방지된다.
따라서, 구동수단(72a)은 수형캠(75a)의 미회동으로 회전축(S)이 회동되지 못하여 회전축(S)을 중심으로 회동되며, 구동수단(72)의 회동으로 하우징(65)도 회동되면서 폴더(60)를 회전시켜 폴더(60)를 자동으로 닫히게 한다.
즉, 구동수단(72)의 회전축(S)이 힌지수단(75)에 의하여 고정되는 고정자가 되고, 구동수단(72)은 회전축(S)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회전자가 되어 하우징(65)과 함께 폴더(65)를 회전시킨다.
한편, 폴더(65)의 닫힘 동작시 하우징(65)의 내주면에 설치되어 수형캠(75a)의 일측 더미(78b)와 마주하고 있던 개폐완료 감지센서(78)의 감지기(78a)도 하우징(65)과 함께 회동되며, 폴더(60)가 완전히 닫히면 감지기(78a)는 수형캠(75a)의 반대편에 위치한 또 다른 더미(78b)와 마주하게 되어 폴더(60)의 개폐완료를 감지하게 된다.
그러면, 개폐완료 감지센서(78)는 제어 유닛(200)으로 개폐완료 신호를 인가하여 제어 유닛(200)이 구동수단(72)의 구동을 정지시키도록 하여 폴더(60)의 닫힘 동작을 종료시킨다.
이때, 하우징(65)에 구비된 이동 스위치 단자(102, 103)는 고정 스위치 단자(101)를 지나 도 3에 도시된 최초 위치의 정반대 방향에 위치하게 된다.
여기서, 전술된 바와 달리 폴더(60)의 개방 동작에 대하여 설명하면, 사용자가 수동 동작으로 닫힌 상태의 폴더(60)를 열면, 폴더(60)의 이동 스위치 단자(103)가 회전되어 본체(50)의 고정 스위치 단자(101)와 접촉됨으로써 폴더(60)의 움직임을 감지하게 된다.
그러면, 폴더위치 감지센서(100)는 제어 유닛(200)으로 감지 신호를 인가하여 제어 유닛(200)이 구동수단(72)을 구동시키도록 하여 폴더(60)를 자동으로 개방시킨다.
이러한 폴더(60)의 개방 동작은 전술된 폴더(60)의 닫힘 동작의 역으로 이루어지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자동 구동장치의 제 2 실시예를 도시한 A-A'선 단면도이고, 도 8은 도 7에 도시된 자동 구동장치의 작동 상태를 도시한 A-A'선 단면도로서, 제 2 실시예에 의한 자동 구동장치는 도시된 바와 같이 전술된 제 1 실시예와 그 구성이 대동소이 하므로, 동일한 구성요소에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여 설명하고, 동일한 구성 및 작동에 대한 중복설명은 생략한다.
도시된 바와 같은 제 2 실시예에 의한 자동 구동장치가 제 1 실시예와 다른점은 폴더위치 감지센서(100)가 본체(50)의 축지지부(55) 내측에 설치되는 것이다.
즉, 폴더위치 감지센서(100)가 제 1 실시예에서는 본체(50)와 하우징(65)에 각각 마련되었으나, 여기서는 축지지부(55) 한곳에만 설치된다.
이러한 폴더위치 감지센서(10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양측으로 마련된 고리형의 마이너스단자(111)와, 마이너스단자(111)의 중앙에 마이너스단자(111)와 이격 설치되는 플러스단자(112) 및, 마이너스단자(111)에 외주면이 접지된 볼록한 원판형의 접지판(114)으로 이루어진 돔스위치(110)이다.
여기서, 돔스위치(110)는 도 8과 같이 힌지 수단(75)인 수형캠(75a)이 암형캠(75b)을 밀게되면 암형캠(75b)의 후방 내측면이 접지판(114)을 가압하도록 하여 스위칭되며, 이를 위하여 돔스위치(110)는 암형캠(75b)과 근접한 거리에 위치하도록 설치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체(50)의 축지지부(55) 내측 중앙에 도시된 바와 같은 돌기(55d)를 형성한 후 돌기(55d)의 단부에 돔스위치(110)를 설치할 수 있으며, 이와 달리 축지지부(55)에 돌기(55d)를 설치하지 않고, 축지지부(55)의 내측에 돔스위치(110)를 설치한 후 암형캠(75b)의 후단에 돌기(75d)를 형성하여, 암형캠(75b)이 후방으로 조금만 밀려도 돔스위치(110)를 가압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때, 돔스위치(110)의 접지판(114)과 플러스단자(112)의 간격은 약 0.3mm이므로, 암형캠(75b)의 후단부가 접지판(114)을 약간만 가압하여도 접지판(114)은 압축변형되어 플라스단자(112)와 접지하게 되어 통전된다.
이와 같은 제 2 실시예에 대한 작용을 설명하면, 전술된 제 1 실시예에서 처럼 사용자가 수동으로 폴더(60)를 움직일 경우 폴더(60)와 함께 하우징(65)과 내부 구동수단(72)이 회동되며, 구동수단(72)의 회동으로 회전축(S)과 수형캠(75a)은 도 8과 같이 회동되면서 암형캠(75b)을 밀어 탄성부재(75c)를 압축시킨다.
그러면, 탄성부재(75c)의 압축으로 수형캠(75a)은 후방으로 슬립됨과 동시에 후단부가 돔스위치(110)의 접지판(114)을 가압하여 스위칭한다.
이때, 돔스위치(110)는 스위칭으로 인한 폴더위치 감지신호를 제어 유닛(200)에 인가하게 되고, 제어 유닛(200)은 사용자가 폴더(60)의 개폐의지가 있는 것으로 판단하여 구동수단(72)을 작동시켜 폴더(60)가 열리거나 닫히게 한다.
물론, 폴더(60)는 하우징(65)의 내주면과 캠어셈블리(75a, 75b)의 외주면에 설치된 개폐완료 감지센서(78)에 의하여 열림이나 닫힘 동작이 감지되며, 제어 유닛(200)은 개폐완료 감지센서(78)의 개폐완료 신호에 따라 구동수단(72)의 구동을 차단시켜 폴더(60)의 열림이나 닫힘 동작을 종료시킨다.
한편, 도 9는 본 발명에 의한 자동 구동장치의 제 3 실시예를 도시한 A-A'선 단면도이고,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자동 구동장치의 작동 상태를 도시한 A-A'선 단면도로서, 제 3 실시예에 의한 자동 구동장치는 도시된 바와 같이 전술된 제 1 실시예 및 제 2 실시예와 그 구성이 대동소이 하므로, 동일한 구성요소에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여 설명하고, 동일한 구성 및 작동에 대한 중복설명은 생략한다.
도시된 바와 같은 제 3 실시예에 의한 자동 구동장치가 제 1, 2 실시예와 다른점은 폴더위치 감지센서(100)가 접촉식이 아닌 비접촉식인 것이 커다란 차이점이다.
좀더 자세히 설명하면, 도 9 및 10에 도시된 폴더위치 감지센서(100)는 비접촉식으로 작동되는 포토센서(P)를 적용한 것으로서, 포토센서(P)를 본체(50)의 축지지부(55)에 마련하여 힌지 수단(75)인 암형캠(75b)의 움직임을 레이저(L)로 포착할 수 있다.
즉, 포토센서(P)는 폴더(60)가 외력으로 작동되지 않을 경우 도 9에서 처럼 레이저(L)를 출사하는 상태로 있지만, 사용자가 폴더(60)를 수동으로 조작하면 도 10에서 처럼 암형캠(75b)은 회전되는 수형캠(75a)으로 인하여 슬립되면서 포터센서(P)의 레이저(L)를 차단하게 된다.
그러면, 포토센서(P)는 폴더(60)가 움직인 것으로 판단하여 폴더위치 감지신호를 제어 유닛(200)에 인가하게 되고, 이 신호에 따라 제어 유닛(200)은 구동수단(72)을 구동시켜 폴더(60)를 자동으로 열거나 닫는다.
이때, 폴더(60)는 열림이나 닫힘 동작이 개폐완료 감지센서(78)에 의하여 감지됨에 따라 종료된다.
한편, 설명된 바와 같은 포터센서(P)는 도면상 본체(50)의 축지지부(55)의 내측에 마련된 것을 예로 들었으나, 본체(50)가 아닌 폴더(60)의 하우징(65)에 마련할 수도 있으며, 이와 달리 경우에 따라 다양한 위치에 설치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 1 내지 3 실시예로 이루어지는 본 발명에 의한 폴더 자동 구동장치가 구비된 휴대전화기는 사용자가 폴더(60)를 수동으로 조작하면 폴더위치 감지센서(100) 및 이와 연동되는 제어 유닛(200)에 의하여 자동으로 개폐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폴더(60)를 개폐하기 위하여 일일이 조작버튼(SW)을 찾아서 조작하지 않아도 된다.
상기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하나의 실시예를 설명한 것에 불과하고, 본 발명의 적용 범위는 이와 같은 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동일 사상의 범주 내에서 적절하게 변경 가능한 것이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나타난 각 구성 요소의 형상 및 구조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폴더 자동 구동장치가 구비된 휴대 전화기는 사용자가 폴더를 일정 이상만 움직이면 이를 감지하여 자동으로 폴더를 개폐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기 때문에, 폴더를 수동으로 여닫는데 익숙한 사용자가 보다 편리하게 폴더를 개폐시킬 수 있는 이점을 제공하게 된다.
도 1은 일반적인 폴더형 휴대 전화기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폴더 자동 구동장치가 구비된 휴대 전화기의 제 1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자동 구동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A-A'선 단면도,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자동 구동장치의 분해 사시도,
도 5는 도 2에 도시된 폴더의 수동동작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
도 6은 도 2에 도시된 자동 구동장치의 작동 상태를 도시한 A-A'선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자동 구동장치의 제 2 실시예를 도시한 A-A'선 단면도,
도 8은 도 7에 도시된 자동 구동장치의 작동 상태를 도시한 A-A'선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에 의한 자동 구동장치의 제 3 실시예를 도시한 A-A'선 단면도,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자동 구동장치의 작동 상태를 도시한 A-A'선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50 : 본체 55 : 축지지부
60 : 폴더 65 : 하우징
72 : 구동수단 75 : 힌지수단
78 : 개폐완료 감지수단 100 : 폴더위치 감지수단
200 : 제어 유닛

Claims (10)

  1. 무선통신이 가능한 휴대전화기에 있어서,
    한 쌍의 축지지부를 갖는 본체와;
    상기 한 쌍의 축지지부 사이에 위치되는 하우징을 갖는 폴더와;
    상기 폴더가 본체에 대하여 열리고 닫히도록 상기 축지지부와 하우징을 연결하는 힌지 수단과;
    상기 폴더를 개폐시키도록 상기 힌지수단에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구동수단과;
    상기 본체 또는 폴더 중 적어도 어느 한쪽에 구비되어 본체에 대하여 폴더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폴더위치 감지수단과;
    상기 폴더의 하우징과 상기 힌지 수단에 대응되도록 본체의 축지지부에 설치되어 폴더의 개폐완료 상태를 감지하는 개폐완료 감지수단 및;
    상기 폴더위치 감지수단과 개폐완료 감지수단의 감지 결과에 따라 상기 폴더를 자동 개폐시키도록 상기 구동수단을 제어하는 제어유닛;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더 자동 구동장치가 구비된 휴대 전화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유닛은 상기 폴더가 설정치 이상 움직이면 상기 폴더를 개폐시키도록 제어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폴더의 개폐가 완료되면 개폐 동작을 종료하도록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더 자동 구동장치가 구비된 휴대 전화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폴더위치 감지수단은 상기 본체와 폴더에 모두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더 자동 구동장치가 구비된 휴대 전화기.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폴더위치 감지수단은 상기 폴더의 움직임에 의한 접촉으로 신호를 발생시키는 접촉식 센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더 자동 구동장치가 구비된 휴대 전화기.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식 센서는 가압에 의하여 스위칭되는 돔스위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더 자동 구동장치가 구비된 휴대전화기.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 수단은 상기 돔스위치를 가압하여 스위칭 시키는 돌기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더 자동 구동장치가 구비된 휴대전화기.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축지지부는 상기 돔스위치의 스위칭이 용이하도록 내부에 돌기가 형성되며, 돌기의 단부에 돔스위치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더 자동 구동장치가 구비된 휴대전화기.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폴더위치 감지수단은 비접촉에 의해 상기 폴더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비접촉식 센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더 자동 구동장치가 구비된 휴대 전화기.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비접촉식 센서는 출사되는 레이저 빔의 상태에 의해 폴더의 위치를 감지하는 포토센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더 자동 구동장치가 구비된 휴대 전화기.
KR10-2003-0016774A 2002-07-23 2003-03-18 폴더 자동 구동장치가 구비된 휴대 전화기 KR10053833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20043316 2002-07-23
KR1020020043316 2002-07-2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10062A KR20040010062A (ko) 2004-01-31
KR100538337B1 true KR100538337B1 (ko) 2005-12-22

Family

ID=373188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16774A KR100538337B1 (ko) 2002-07-23 2003-03-18 폴더 자동 구동장치가 구비된 휴대 전화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3833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43373B1 (ko) * 2006-05-25 2008-07-03 삼성전기주식회사 자동/수동으로 구동되는 표시부를 갖는 포토프린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0731B1 (ko) * 2006-08-22 2007-11-30 삼성전기주식회사 오토폴더형 휴대 단말 및 그 구동방법
KR100830402B1 (ko) * 2007-05-29 2008-05-19 삼성전기주식회사 개선된 폴더 개폐 각도를 갖는 단말기 폴더의 개폐 방법 및이를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43373B1 (ko) * 2006-05-25 2008-07-03 삼성전기주식회사 자동/수동으로 구동되는 표시부를 갖는 포토프린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10062A (ko) 2004-01-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363065B2 (en) Automatic sliding-typ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method of automatically driving sliding-typ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method of detecting incoming call to sliding-typ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US6628974B1 (en) Folder operating apparatus for cellular phone
JP4057504B2 (ja) スライド型携帯電話機及び、該携帯電話機の滑動方法
US20060160584A1 (en) Inclined-typ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JPH07203523A (ja) 携帯電話機
KR100689378B1 (ko) 휴대용 단말기의 힌지 장치
KR100538337B1 (ko) 폴더 자동 구동장치가 구비된 휴대 전화기
KR100849318B1 (ko) 힌지 장치 및 그를 구비하는 휴대용 단말기
KR100501188B1 (ko) 자동구동형 슬라이드폰, 슬라이드폰의 자동구동방법, 및자동구동형 슬라이드폰의 착신신호감지방법
KR100318830B1 (ko) 휴대전화기의 폴더 구동장치
KR100337086B1 (ko) 휴대전화기의 폴더 개폐장치
KR100674828B1 (ko) 회전형 카메라 모듈을 구비한 통신단말기 및 이에사용되는 회전형 카메라 모듈
JP2002281116A (ja) 折り畳み式携帯通信機器
KR100359077B1 (ko) 휴대전화기의 폴더 개폐장치
KR100405214B1 (ko) 오토폴더형 휴대전화기
KR100359078B1 (ko) 휴대 전화기의 폴더 개폐장치
JP2005354420A (ja) 自動スライド型移動通信端末機、スライド型移動通信端末機の自動駆動方法及び着信信号感知方法
KR100513323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착신신호 감지방법
KR100519699B1 (ko) 슬라이드형 휴대전화기
KR100318831B1 (ko) 휴대전화기의 폴더 구동장치
KR100780731B1 (ko) 오토폴더형 휴대 단말 및 그 구동방법
KR100342418B1 (ko) 휴대전화기의 폴더 구동장치
KR20040038304A (ko) 폴더형 휴대폰 힌지장치
KR100688084B1 (ko) 폴더형 휴대폰의 자동 개폐 모듈
KR100422041B1 (ko) 오토폴더형 휴대전화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930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