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37775B1 - 투명유리 공간을 갖는 벽거울의 가변장치 - Google Patents

투명유리 공간을 갖는 벽거울의 가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37775B1
KR100537775B1 KR1020020046006A KR20020046006A KR100537775B1 KR 100537775 B1 KR100537775 B1 KR 100537775B1 KR 1020020046006 A KR1020020046006 A KR 1020020046006A KR 20020046006 A KR20020046006 A KR 20020046006A KR 100537775 B1 KR100537775 B1 KR 10053777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m
transparent glass
printing paper
glass space
mirr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460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47691A (ko
Inventor
조한천
Original Assignee
조한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한천 filed Critical 조한천
Publication of KR200300476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4769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377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3777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00Mirrors; Picture frames or the like, e.g. provided with heating, lighting or ventilating means
    • A47G1/02Mirrors used as equipment

Landscapes

  • Displays For Variable Information Using Movable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투명유리 공간을 갖는 벽거울의 가변장치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벽 거울 이면이 일정부분 크기로 상, 중, 하 또는 좌, 우에 선택적으로 거울피막이 도포되지 않음으로서 형성된 투명유리 공간(X)과 상응되는 지지판(15)이 밀착되고 명언, 격언, 고사성어, 성경구절, 광고 등의 인쇄지필름(F)을 사용자가 선택하여 다수의 컷으로 왕복롤링 되도록 제1 롤러(A)와 제2 롤러(B)에 보조롤러(A1),(B1)를 경유하여 권선하고, 일방향감속모터(M)에 기어풀리로 연결된 동력전달풀리(2)와 각각의 축에 클러치베어링(1)이 필름이 감기는 방향(화살표 회전방향)으로 토오크를 전달하고 역방향 공회전 되게 하여 삽지되고, 보조필름(F1) 이면 각단부마다 검출부(S1)를 두어 센서(S)가 감지토록 하며 앤드롤링을 감지토록 한 양 끝단의 각각의 검출부(S1)를 따로 두고 센서(S)가 감지토록 하며, 전면 각단부는 투명가이드(F2)를 종방향 붙여 선택되는 인쇄지필름(F)을 갈아 끼울 수있도록 한 구성과, 거울의 전면 일측에 적외선센서(S2)를 내장하여 일정거리 이내로 사람이 근접하면 표출되는 인쇄지필름(F)이 부연설명과 함께 스피커(V)를 통해 출력되어 가변되는 내용을 보고 들을 수있게 한 것으로서, 클러치베어링(1)은 미세한 토오크의 전달도 가능하게 되어, 반복적인 회동-정지에 따른 회동롤링편차를 자동으로 제어함으로 인쇄지필름(F)이 끼워진 보조필름(F1)의 일정한 텐션유지가 이루어지는 특징과, 거울을 볼때에 주목성의 증가되는 투명유리 공간을 갖는 벽거울의 가변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투명유리공간, 인쇄지필름, 센서, 가변장치.

Description

투명유리 공간을 갖는 벽거울의 가변장치{Wall mirror that device that change in Transparent Space glas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벽 거울의 투명유리 공간이 형성되는 과정도
도 2의 가는 본 발명에 따른 인쇄지필름의 교환을 위한 구성도
나는 본 발명에 따른 센서와 검출부의 역할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부분단면 사시도
도 4의 가는 본 발명에 따른 주요부품 구성 측면도
나는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일예의 장치구성 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일예의 측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전체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벽 거울의 사용 실시예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1.클러치베어링 2.동력전달풀리 10.반사판 15.지지판 20.뒷판 30.제어부 A.제1롤러 B.제2롤러 A1.제1보조롤러 B1.제2보조롤러 E.다이오드 F.인쇄지필름 F1.보조필름 F2.투명가이드 G.유리 G1.거울피막 L.조명 M.감속모터 M1.모터 S.센서 S1.검출부 S2.적외선센서 T.LCD모니터 W.웜기어 X.투명유리 공간
본 발명은 벽 거울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도록 된 틀, 상기틀 전면에 설치되는 거울 이면 일부분에 피막이 도포되지 않음으로서 형성된 투명유리 공간(X), 상기 투명유리 공간(X)의 상부와 하부의 틀내부 공간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롤러의 양측에 축을 끼우고 좌측은 동력전달풀리(2)의 내부에 클러치베어링(1)을 삽지 후 이를 축에 끼우며 베어링을 브라켓에 끼워 축에 끼우고, 우측은 베어링과 브라켓을 끼워 축에 끼우고, 일방향 감속모터(M)가 기어풀리로 동력전달풀리(2)에 각각 연결되고 그 내부에 클러치베어링(1)은 서로 반대방향으로 작동되도록 된 필름 가변장치, 상기 필름가변 장치의 상하롤러의 권취된 것으로서 상기투명유리공간(X)을 통하여 외부로 표출되는 명언, 격언, 고사성어, 성경구절, 광고 등의 인쇄지필름(F)을 사용자가 선택적으로 컷과 컷을 구성하여, 보조필름(F1) 전면에 투명가이드(F2)를 붙여 사이에 인쇄지필름(F)을 끼울 수있도록 하고, 상기 보조필름(F1) 이면의 각단부마다 검출부(S1)를 두어 센서(S)가 감지토록 한 것과 양끝 단 앤드롤링을 감지하는 검출부(S1)를 각각 두고 이를 감지하는 센서(S)의 구성, 상기투명유리공간(X) 내부에 조명(L)을 설치 반사판(10)이 전반사하도록 하고, 틀외부 일측에 구성된 제어부(30)의 조작에 따라 상기 일방향 감속모터(M)를 작동, 제어하고 조명(L)의 점등 유,무를 선택할 수 있는 것과, 상기틀 외부 전면 일측의 적외선 센서(S2)가 일정거리내의 사람을 감지하여 가변되며 인쇄지필름(F)의 내용 이 미리 입력된 음성의 출력에 따라 스피커(V)를 통해 부연설명을 함께 보고 들을 수있도록 이루어져 있다.
종래에는 벽 거울을 통해 외적인 모습만을 비추어 볼 수있었으며 일부분의 투명유리 공간의 구성이 용이하지 않았고, 가변장치는 스타트-가속-정지의 반복에도 필름의 일정한 텐션유지가 선행되어야 하는데, 회동편차를 제외하기 위하여 미세한 전압조절로 구동 가능한 모터와 그에 따른 부속물(롤링편차제어장치를 포함한 전자 클러치 및 전자 브레이크 등)의 조립시간 증가와 규모의 비대와에 따른 장치의 복잡한 구성에도 오작동의 가능성은 상존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발명한 것으로서, 벽 거울을 보는 동안 자연스럽게 투명유리공간(X)으로 시선이 옮겨질 수있도록 하면 주목성이 증가되고 인쇄지필름(F)의 교환에 따른 편리성 부여와 보조필름(F1) 각단부의 검출부(S1)를 센서(S)가 감지하여 회동-정지를 반복하여 각각 양 끝 단에는 역 구동을 위한 앤드롤링이 표시된 검출부(S1)가 센서(S)와 별도 구성되며, 정지시간의 타임조절과 컷의 순서에 따라 메모리 된 음성기록이 스피커(V)를 통해 부연설명 되도록 하고, 틀의 전면 일측에 적외선센서(S2)를 내장하여 일정거리내에 사람을 인식하여, 제어부(30)의 조작에 따라 조명(L)의 점등과 감속모터(M)의 작동 유,무를 제어할 수있도록 한 것으로서, 반복되는 회동롤링 편차를 자동으로 제어하는 클러치베어링(1)은 상호 역방향(필름이 감기는 방향)으로 토오크를 전달하고 역방향 공회전되어 권선된 인쇄지필름(F)이 끼워진 보조필름(F1)이 항상 텐션유지가 이루어 지도록 한 것이다.
이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을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벽 거울의 투명유리 공간이 형성되는 과정도로서, 유리(G)에서 거울피막(G1)을 도포하는 과정에 일정크기 부분을 도포하지 않은 투명유리 공간(X)을 형성하기 위한 것으로, 직사각 형상을 테이프로 처리한 후 거울피막(G1)을 순서대로 입힌 다음 적당히 굳은(완전굳기 전) 다음 테이프를 벗겨낸다. 상기와 같이 형성된 투명유리공간(X)에 보조롤러(A1),(B1)가 근접되도록 한 크기의 통구를 갖는 지지판(15)이 밀착된다.
도 2의 가는 본 발명에 따른 인쇄지필름의 교환을 위한 구성도로서,
다수의 컷으로 구성된 보조필름(F1)에 투명가이드(F2) 종방향으로 붙여 인쇄지필름(F)의 교환에 용의함을 제공한다. 보조필름(F1)의 두께는 많은 롤링을 위하여 가급적 얇은소재로 하고 우연성 또한 갖추어야 할 것이다. 투명가이드(F)는 항상 종방향으로 도시된 수만큼 붙이는 것이 아니라, 보조필름(F1)의 너비와 비례하여 수의증가와 롤링을 원활히 할 수있도록 붙여진다. 상기 보조필름(F1)과 투명가이드(F2) 틈새 공간 너비만큼의 포토페이퍼, PVC필름, 폴리에스터필름, 아크릴필름 등을 아울러 총칭하는 인쇄지필름(F)은 소재의제한은 두지 않으며 가급적 얇은 소재와 조명(L)의 적정투과를 위한 인쇄방법을 선택한다.
도 2의 나는 본 발명에 따른 센서와 검출부의 역할도로서,
필름의 롤링 양끝 단에 앤드롤링을 감지하여 역구동을 할 수있도록 검출부(S1)가 각각 구성되고 센서(S)가 일측에 설치되며, 보조필름(F1)의 각단부마다 검출부(S1)가 구성되어 센서(S)가 또 다른 일측에서 컷과 컷을 감지할 수있도록 한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부분단면 사시도로서,
제1 롤러(A)와 제2롤러(B)의 롤링된 보조필름(F1)이 제1 보조롤러(A1)와 제2 보조롤러(B1)를 경유하여 투명유리공간(X)에 1-2mm 범위에 근접하여 외부에 인쇄지필름(F)을 표출한다.
조명(L)의 실장은 거울 틀 내부와 외부의 조도차이를 틀 내부에서 점등하여 인쇄지필름(F)의 주목성을 높이고자 함이고, 상기 보조필름(F1)은 제1 롤러(A)에서 제2 롤러(B)로 왕복 회동될 수있도록 수평설치 된 것이다. 상기 투명유리공간(X)에 근접되는 보조롤러(A1),(B1) 한 쌍은 보조필름(F1)이 경유할 수있도록 지지판(15)이 상기 투명유리 공간(X)보다 커야한다.
도 4의 가는 본 발명에 따른 주요부품 구성 측면도로서,
제1 롤러(A), 제2 롤러(B)의 축과 동력전달풀리(2)에 끼워지는 클러치베어링(1)은 보조필름(F1)이 롤러에 각각 감기는 방향(화살표 회전방향)으로 토오크를 전달하고 역방향공회전 되게 끼워지며 상기 동력전달풀리(2)는 기어풀리와 직결된 일방향 감속모터(M)가 각각 연결되어 제1 롤러(A)에서 제1 보조롤러(A1)와 제2 보조롤러(B1)를 경유하여 제2 롤러(B)로 감기어질 때 하측 일방향 감속모터(M)는 구동되어도 상측 일방향 감속모터(M)는 정지되어 있게 된다. 따라 서, 상, 하측 일방향 감속모터(M)의 일측이 작동되는 반대측은 정지된 상태가 유지되어 보조필름(F1)에 끼워진 인쇄지필름(F)의 롤링양과 관계없이 항상 자동으로 롤링양 회동편차가 제어되고 일정한 텐션유지가 가능하게 된다. 상기 텐션유지를 위해 제1 롤러(A)와 제2 롤러(B) 일측에 스프링을 끼워 브라켓과 마찰을 유도하고 그 세기를 조절할 수있는 조절구를 두는 것이 유용하다.
상기 조명(L)은 투명유리공간(X)으로 보조필름(F1)에 끼워진 인쇄지필름(F)이 점등시에 빛에 고른 반사를 위해 반사판(10)을 뒷판(20)에 붙여 전반사 하도록 한다.
도 4의 나는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일예의 장치구성 측면도로서,
상기 가의 제1 롤러(A), 제2 롤러(B), 제1 보조롤러(A1), 제2 보조롤러(B1)와 지지판(15), 투명유리공간(X), 뒷판(20)의 구성은 같으나 모터(M1)가 웜기어(W)로 종방향 연결된 동력전달풀리(2)는 상응되는 기어로 연결되어 각각 축에 상기와 같이 클러치베어링(1)이 끼워진다.
그리고 상기 조명(L)을 대체한 다이오드(E)의 다수의 구성은 상기 조명(L)의 수명에 한계가 있으므로 비교적 수명이 긴 다이오드(E)를 설치하고 순간전압이 높지 않아도 되는 구동방식은 웜기어(W)로 연결된 모터(M1)를 각각 축전지로 구동 가능하게 한 가변장치가 되는 것이다.
상기 가변장치를 제어할 수 있는 마이크로세서를 틀 내부에 설치하고 틀 외부 일측에 조작에 편의성 제고한 제어부(30)를 둔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일에의 측면도로서,
상기투명유리공간을 커버하는 LCD모니터(T)를 설치하고 틀 내부 또는 외부에서 구동 가능한 DVD플레이어와 연결되어 동영상을 구현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도시에서는 LCD모니터(T)가 지지판(15)에 밀착되어 고정된 것을 보여 준다.
상기 동영상을 구현하기 위하여 CD의 제작과 녹음 그리고 편집 등에 관련된 것은 공지된 기술이므로 설명은 생략하다. 다만 틀 내부 또는 틀 외부에 설치되는 DVD플레이어는 CD의 교환 및 작동을 원활히 할 수있도록 감안하여 택1 설치한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전체사시도로서,
거울피막(G1)을 도포하지 않음으로서 형성된 투명유리공간(X)으로 상기 보조필름(F1)에 끼워진 인쇄지필름(F)이 가변 표출되는 것과; 상기 LCD모니터(T)로 연결된 DVD플레이어(도시 안됨)가 틀 내부 또는 틀 외부에서 연결되어 제작된 CD를 플레이시켜 동영상을 구현하는 것으로 구분된다.
적외선센서(S2)가 틀 일측전면에 설치되어 일정거리 이내의 사람을 감지하면 자동으로 상기 표출되는 인쇄지필름(F)의 내용이 가변되고 부연설명과 함에 스피커(V)를 통해 보고 들을 수있는 것과; 동영상 모니터(T)의 내용에 따른 음성 출력이 되도록 구분한다.
상기의 설명한 것은 선택사양으로서 사람의 왕래가 잦아 소음이 유발되는 곳이나 정숙을 요하는 장소에서는 제어부(30)의 조작으로 선택할 수있도록 하는 것이 유용하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벽 거울의 사용 실시예도로서,
많은 사람이 이용하는 이. 미용업소에서는 머리는 컷트 또는 퍼머등과 같이 스타일화하는 30분-1시간 정도 동안 거울을 보게 되는데, 이때에 벽 거울 일측에서 광고를 하게 된다면 주목성이 높게 되어 광고효과 또한 증가되고 상기 가변장치의 광고나, LCD모니터(T)로의 동영상광고 모두 동이 또는 상이 업종의 다수 광고주가 참여하면 적은 비용으로도 가변되는 높은 광고효과를 얻을 수있으며, 또한 자체의 헤어스타일 등을 소개하는 광고를 구현할 수있게 되어 상기 광고를 선택적으로 설치하면 주목성은 증가하고 손님은 지루하지 않게 되는 이점이 있다.
사용공간에 따라 사람이 많이 이용하는 사우나에서는 씻고 나와서 머리를 말리고 거울을 보며 빗질을 하는 동안 광고를 접할 수도있게 된다.
패션매장에서는 신상품을 입고 포즈를 취한 모델의사진 또는 동영상을 구현하면 마음에 드는 옷은 입고 거울을 보는 동안 다른 상품의 홍보도 할 수있게 된다.
부연하면 설명하지 않은 그외의 장소에서도 다양하게 사용할 수가 있으며, 따라서, 투명유리공간(X)으로 표출되는 명언, 격언, 고사성어, 성경구절, 광고 등의 인쇄지필름(F)을 선택하여 권취 가변시키는 것과; LCD모니터(T)의 동영상의 광고를 선택하여 투명유리공간(X)에서 표출시킬 수있는 부수적인 효과를 갖는다.
이와같이 된 본 발명은 본 발명은 벽 거울을 보는 동안 자연스럽게 투명유리공간(X)으로의 주목성이 증가되고 인쇄지필름(F)의 교환에 따른 편리성 부여와 보조필름(F1) 각단부의 검출부(S1)를 센서(S)가 감지하여 회동-정지를 반복하여 각각 양 끝 단에는 역 구동을 위한 앤드롤링이 표시된 검출부(S1)가 센서(S)와 별도 구 성되며, 정지시간의 타임조절과 컷의 순서에 따라 메모리 된 음성기록이 스피커(V)를 통해 부연설명 되도록 하고, 틀의 전면 일측에 적외선센서(S2)를 내장하여 일정거리 내에 사람을 인식하여, 제어부(30)의 조작에 따라 조명(L)의 점등과 감속모터(M)의 작동 유,무를 제어할 수있도록 한 것으로서, 반복되는 회동롤링 편차를 자동으로 제어하는 클러치베어링(1)은 상호 역방향(필름이 감기는 방향)으로 토오크를 전달하고 역방향 공회전되어 권선된 인쇄지필름(F)이 끼워진 보조필름(F1)이 항상 텐션유지가 이루어지도록 한 것과; LCD모니터(T)와 연결된 DVD플레이어의 작동에 따라 동영상 광고가 구현되도록 택1 하면 주목성과 집중도가 높은 효과를 갖는 투명유리공간을 갖는 벽거울의 가변장치가 된다.

Claims (7)

  1. 벽거울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도록 된 틀, 틀 전면에 설치되는 거울 거울이면 일부분에 피막이 도포되지 않음으로서, 형성된 투명유리공간(X)에 지지판(15)이 상응되는 통구를 형성하여 밀착되는 것과; 투명유리공간(X)의 상부와 하부의 틀 내부 공간에 수평설치 되는 롤러의 일측에는 동력전달 풀리의 내부에 클러치베어링(1)을 삽지 후, 축에 끼우며 베어링을 브라켓에 끼워 축에 끼우고, 다른 일측에는 베어링과 브라켓을 끼워 축에 끼워져 스프링의 마찰탄지력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하여 지지판(15)에 고정된 것과; 일방향 감속모터(M)가 기어풀리로 동력전달풀리(2)에 각각 연결되고 내부에 클러치베어링(1)은 서로 반대방향(필름이 롤러에 감기는 방향)으로 작동되도록 된 것과; 상하 롤러에 권취하는 명언, 격언, 고사성어, 성경구절, 광고 등의 인쇄지필름(F)을 선택적으로 컷과 컷을 구성하는 것과; 보조필름(F1)전면에 투명가이드(F2)를 붙여 사이에 인쇄지필름(F)을 끼울 수 있도록 한 것과; 보조필름(F1)이면의 각 단부마다 검출부(S1)를 두어 컷과 컷을 센서(S)가 감지하고 양끝단에 엔드롤링을 감지하는 검출부(S1)를 두어 각각 두고 이를 감지하는 센서(S)의 구성과; 제1롤러(A)와 제1보조롤러(A1), 제2보조롤러(B1)를 경유하여 제2롤러로 연결된 전체의 보조필름(F1)과; 투명유리공간(X)내부에 조명(L)을 설치 반사판(10)이 인쇄지필름(F)을 전반사하도록 한 것과; 틀 외부전면 일측의 적외선센서(S2)가 일정거리내의 사람을 감지하는 것과; 미리 입력된 음성을 스피커(V)를 통해 부연설명을 들을 수 있도록 한 것과; 정지시간의 조절, 음성출력의 유무와 볼륨조절을 제어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 투명유리공간을 갖는 벽거울 가변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모터(M1)에 웜기어(W)로 종방향 동력전달풀리(2)에 연결되고 클러치베어링(1)이 축과 끼워지며 투명유리공간(X)내부에 조명(L)을 대체한, 다이오드(E)를 다수 구성하여 인쇄지 필름(F)를 향해 점등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 투명유리공간을 갖는 벽거울 가변장치
  3. 삭제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다수의 광고주 주문에 의해 제작된 컷과 컷의 광고용 인쇄지필름(F)을 롤링하여 순서대로 반복 표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 투명유리공간을 갖는 벽거울의 가변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투명유리공간(X)을 벽거울의 상, 중, 하 또는 좌, 우 일측에 선택적으로 택1하여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 투명유리공간을 갖는 벽거울 가변장치
  6. 제2항에 있어서, 모터(M1)를 축전지로 구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 투명유리공간을 갖는 벽거울의 가변장치
  7. 삭제
KR1020020046006A 2001-12-08 2002-08-03 투명유리 공간을 갖는 벽거울의 가변장치 KR10053777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77670 2001-12-08
KR1020010077670 2001-12-0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47691A KR20030047691A (ko) 2003-06-18
KR100537775B1 true KR100537775B1 (ko) 2006-01-24

Family

ID=295738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46006A KR100537775B1 (ko) 2001-12-08 2002-08-03 투명유리 공간을 갖는 벽거울의 가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3777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07313A (ko) * 2002-12-11 2003-01-23 김정자 광고의 교체가 가능한 광고용 창이 형성된 거울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56700A (ko) * 1997-12-29 1999-07-15 김호강 투명거울
KR20010068328A (ko) * 2000-01-04 2001-07-23 이유진 슬라이드식 광고장치
KR200238876Y1 (ko) * 1998-10-20 2001-11-22 이유진 수평슬라이드식광고장치
KR20010105009A (ko) * 2000-05-18 2001-11-28 이유진 광고창과 거울이 교대로 나타나는 광고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56700A (ko) * 1997-12-29 1999-07-15 김호강 투명거울
KR200238876Y1 (ko) * 1998-10-20 2001-11-22 이유진 수평슬라이드식광고장치
KR20010068328A (ko) * 2000-01-04 2001-07-23 이유진 슬라이드식 광고장치
KR20010105009A (ko) * 2000-05-18 2001-11-28 이유진 광고창과 거울이 교대로 나타나는 광고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47691A (ko) 2003-06-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915988B2 (en) Matrix window
US5052459A (en) Covering for covering an opening
US5138462A (en) TV-set having screen covering means
US20040025389A1 (en) Continuous advertising medium and medium display device
KR100537775B1 (ko) 투명유리 공간을 갖는 벽거울의 가변장치
KR100309821B1 (ko) 포스터 세트를 개별적 및 선택적으로 디스 플레이하기 위한 장치
CN201117186Y (zh) 可自动换画的框架装置
KR200238876Y1 (ko) 수평슬라이드식광고장치
JP2004044253A (ja) 車両用ロールブラインド
EP0099399A1 (en) Strip chart recorder
KR20070044406A (ko) 이미지가변형 액자장치
KR20200055304A (ko) 이미지 변경이 가능한 렌티큘러 광고판
JP2000350647A (ja) ロール物の展示装置
JPH10116041A (ja) 自動販売機の広告表示装置
JPH02191988A (ja) 音響及び香りを有する表示体
JPH059435Y2 (ko)
WO2006102803A1 (fr) Procede et dispositif pour la commande d’un affichage publicitaire a l’aide d’un modulateur de lumiere
AU7411391A (en) Device for displaying announcements, in particular prices in numerical form
JP3073189B2 (ja) 広告表示装置
KR200299083Y1 (ko) 옥내외 광고용 또는 상품진열용 액정 디스플레이 결합 장치
JP3835558B2 (ja) シャッター装置
KR101477525B1 (ko) 광고장치
ITTO980023A1 (it) Apparecchiatura per l'esposizione di una serie di manifesti publicitar i su un quadro di visione.
CN113459708A (zh) 一种铝带压花装置
JPH0649249Y2 (ja) ショーケースのディスプレイ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