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37160B1 - 상하수도관, 케이블관 등 지하매설관의 연결관 접합부의수밀을 위한 라이닝 시공장치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상하수도관, 케이블관 등 지하매설관의 연결관 접합부의수밀을 위한 라이닝 시공장치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37160B1
KR100537160B1 KR10-2003-0075664A KR20030075664A KR100537160B1 KR 100537160 B1 KR100537160 B1 KR 100537160B1 KR 20030075664 A KR20030075664 A KR 20030075664A KR 100537160 B1 KR100537160 B1 KR 10053716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ner
pipe
air injection
expansion pack
injection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756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40458A (ko
Inventor
정철권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나스텍엔지니어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나스텍엔지니어링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나스텍엔지니어링
Priority to KR10-2003-00756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37160B1/ko
Publication of KR200500404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4045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371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37160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3/00Sewer pipe-line systems
    • E03F3/04Pipes or fittings specially adapted to sew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5/00Devices or appurtenances for use in, or in connection with, pipes or pipe systems
    • F16L55/26Pigs or moles, i.e. devices movable in a pipe or conduit with or without self-contained propulsion mea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3/00Sewer pipe-line systems
    • E03F3/06Methods of, or installations for, laying sewer pipes
    • E03F2003/065Refurbishing of sewer pipes, e.g. by coating, lin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ning Or Join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 Pipe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지가 함침된 라이너를 본관 외부로부터 투입 접착시켜 연결관 접합부의 수밀을 보장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서, 일실시예의 라이닝 시공장치는 중앙에 하나 이상의 공기방출구멍을 갖고 공압원과 연결되는 소정 길이의 에어주입용 파이프와; 얇고 유연한 합성수지 재질로서 상기 에어주입용 파이프의 양단부에 기밀하게 고정 지지되고, 표면에 공압에 의해 돌출 동작하여 상기 라이너를 연결관 내로 위치시키는 일정 길이의 연장된 라이너 신장부를 갖고 수축 및 팽창가능한 팽창팩과; 상기 라이너 신장부에 끼움된 수지가 함침된 라이너를 팽창팩내로 반전 장입시키거나 상기 라이너 신장부의 최대 팽창된 신장 길이를 제한하기 위해 상기 에어주입용 파이프의 일단에 구비된 라이너 반전수단과; 상기 팽창팩과 함께 에어주입용 파이프를 관로내에서 이동시키거나 지지하기 위해 에어주입용 파이프의 양단에 각기 착탈가능하게 설치된 팽창팩 이동지지수단과; 상기 에어주입용 파이프에 설치되고, 상기 팽창팩에 부착된 라이너가 투입될 연결관 접합부의 위치를 검출해내기 위한 연결관 접합부 검출수단을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상하수도관, 케이블관 등 지하매설관의 연결관 접합부의 수밀을 위한 라이닝 시공장치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Lining device and method for drainage pipe jointing part of underground water pipe, cable pipe etc.}
본 발명은 상하수도 연결관 접합부를 라이너로 보수하는데 사용되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수지가 함침된 라이너를 본관 외부로부터 투입 압착시켜 연결관 접합부의 수밀을 보장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서 경량으로 취급이 용이 간편하며, 관경변화에 대응이 용이토록 한 상하수도관, 케이블관 등 지하매설관의 연결관 접합부의 수밀을 위한 라이닝 시공장치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수관 및 하수관 즉, 본관에는 연결관(또는 가지관)이 접합되고, 이 접합부의 깨짐, 크랙 등으로 수밀이 파괴되어 이를 보수 하고자 할 경우에 라이너가 사용된다. 또 이 라이너는 본관의 내벽을 라이닝 공법에 의해 보수한 후 연결관의 막힌 부분을 천공시킨 후 나타난 접합부를 보수할 경우에도 사용된다.
라이너를 이용하여 연결관 접합부의 수밀 보수를 시행하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조건이 만족되어야 한다.
첫째, 본관에 투입된 보수 시공장비가 가볍고 다루기가 용이해야 한다. 이는 압축공기로 팽창될 부분이 고무로 제작되어 있을 경우 무게가 상당하여 다루기가 어렵고 부피가 커져 운반 및 관리가 용이치 못하기 때문이다.
둘째, 비굴착식으로 연결관 접합부에 라이너를 접합시켜야 한다. 굴착을 하게 되면 굴착 비용이 추가되고 주변의 교통흐름을 방해시키기 때문이다.
셋째, 본관의 직경 크기에 적절하게 대응할 수 있어야 한다. 즉, 본관의 직경이 항시 동일한 직경이 아니므로 변화된 직경에 즉시 대처가 가능해야 한다.
넷째, 라이너 보수 시공장비를 맨홀에서 조작하여 본관내에서 이동이 쉽고 연결관 접합부의 검출이 용이해야 한다. 본관내로 작업자가 직접 투입될 수 없는 환경에서 라이닝 작업이 가능해야 작업 안전성이 높고, 연결관 접합부의 위치가 정확해야 작업 신뢰성이 높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연결관 접합부의 라이닝 시공방법에 있어서, 수지가 함침된 라이너를 본관 외부로부터 투입 압착시켜 연결관 접합부의 수밀을 보장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서 경량으로 취급이 용이 간편하며, 관경변화에 대응이 용이토록 한 상하수도, 케이블관 등 지하매설관의 연결관 접합부의 수밀을 위한 라이닝 시공장치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체적인 수단은, 상하수도 본관의 연결부에 수지가 함치된 라이너를 부착 경화시켜 보수하는 장치에 있어서,
중앙에 하나 이상의 공기방출구멍을 갖고 공압원과 연결되는 소정 길이의 에어주입용 파이프와;
얇고 유연한 합성수지 재질로서 상기 에어주입용 파이프의 양단부에 기밀하게 고정 지지되고, 표면에 공압에 의해 돌출 동작하여 상기 라이너를 연결관 접합부내로 위치시키는 일정 길이의 연장된 라이너 신장부를 갖고 수축 및 팽창가능한 팽창팩과;
라이너 신장부에 끼움된 수지가 함침된 라이너를 팽창팩내로 반전 장입시키거나 상기 라이너 신장부의 최대 팽창된 신장 길이를 제한하기 위해 상기 에어주입용 파이프의 일단에 구비된 라이너 반전수단과;
상기 팽창팩과 함께 에어주입용 파이프를 관로내에서 이동시키거나 지지하기 위해 에어주입용 파이프의 양단에 각기 착탈가능하게 설치된 팽창팩 이동지지수단으로, 상기 에어주입용 파이프에 연통되는 제1파이프의 외경에 제2파이프가 삽입되고, 상기 제2파이프에 나사 결합된 한쌍의 조절너트의 사이에 압축스프링력을 받아 이동 가능한 아암지지용 원판이 위치되고, 상기 아암지지용 원판의 둘레에 힌지 연결된 복수개의 아암에 각기 힌지 연결됨과 동시에 일단이 상기 제2파이프에 힌지 연결되고 타단에 회전가능한 회전바퀴를 갖는 복수개의 지지다리가 구비되고;
에어주입용 파이프에 설치되고, 상기 팽창팩에 부착된 라이너가 투입될 연결관 접합부의 위치를 검출해내기 위한 연결관 접합부 검출수단을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에어주입용 파이프의 어느 일단에는 유연한 플렉시블관이 복수개로 착탈가능하게 더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라이너 반전수단은, 일단이 상기 라이너 신장부의 폐쇄된 끝단 내측에 연결된 와이어와; 상기 와이어의 타단이 감김되고 에어주입용 파이프측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는 보빈과; 상기 보빈을 정역회전시키는 핸들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연결관 접합부 검출수단은, 상기 팽창팩에 근접하여 상기 연결관내로 유입될 수 있는 충분한 길이를 갖고 에어주입용 파이프에 입설된 탄성 복원가능한 검출로드와, 상기 검출로드에 근접하게 배치되어 에어주입용 파이프에 지지 설치되고, 외부의 디스플레이장치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검출로드의 자세를 촬상하는 화상카메라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연결관 접합부 검출수단은, 상기 팽창팩에 근접하여 에어주입용 파이프에 배치되어 기울어져 있고, 상기 연결관 접합부를 촬상하는 제1화상카메라와; 상기 제1화상카메라와 이웃하게 배치되어 팽창팩측 라이닝 신장부를 연결관 접합부측에 일치되는가를 촬상하는 제2화상카메라로 구성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라이닝 시공방법으로서,
에어주입용 파이프에 플렉시블관을 수개 연결하여 가면서 수축된 팽창팩을 본관내로 투입하여 연결관 접합부측으로 이동시켜 해당 연결관 접합부의 위치를 검출하는 단계와;
연결관 접합부의 위치가 검출되면 플렉시블관을 잡아당겨 본관내에서 지상으로 반출하고, 수지가 함침된 라이너를 팽창팩의 라이너 신장부에 끼워넣고 팽창팩내로 장입시킨 후 본관내로 라이너를 검출위치로 이동 위치시키는 단계와;
상기 팽창팩내로 압축공기를 투입하여 팽창팩을 팽창시켜서 라이너 신장부와 함께 라이너를 반전시켜가면서 연결관 접합부에 라이너를 부착시켜 놓는 단계와;
라이너의 반전이 완료되면 라이너에 함침된 수지의 경화시간을 가진 후 팽창팩을 수축시킨 후 팽창팩을 반출하는 단계로 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3에서 도면부호 '10'은 금속 또는 플라스틱으로 제작된 에어주입용 파이프이다.
상기 에어주입용 파이프(10)는 공압원으로 작용하는 도 5의 공기압축기(100)와 연결되는 것으로, 중앙에 도 3과 같이 하나 이상의 공기방출구멍(11)을 갖고 있다. 에어주입용 파이프(10)에는 후술할 팽창팩(20)의 라이너 신장부(21) 수축을 돕기 위한 원형의 브래킷(12)이 입설되어 있다.
따라서 공기압축기(100)에서 압축된 공기는 에어주입용 파이프(10)의 공기방출구멍(11)을 통하여 방출하게 되어 있고, 공기압축기(100)의 출구측에는 압력조정기(102)가 연결되어 있고, 이 압력조정기(102)는 압축공기의 투입 및 배기를 제어하여 후술할 팽창팩(20)의 팽창 및 수축을 가능하게 한다.
도면부호 '20'은 팽창팩이다.
상기 팽창팩(20)은 상기 에어주입용 파이프(10)로부터 방출되는 압축공기에 의해 팽창되는 것으로서 얇고 유연한 합성수지, 바람직하게는 그물 형태의 부직포가 포설된 폴리에틸렌(PE) 재질로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팽창팩(20)은 고무로 제작되었을 경우보다 매우 경량화되어 라이닝 시공장치를 실질적으로 작업자가 현장에서 취급하기가 용이 편리하다.
상기 팽창팩(20)은 상기 에어주입용 파이프(10)의 양단부에 기밀하게 고정되고, 팽창팩(20)의 외측 표면에는 공압에 의해 돌출 동작하여 도 7의 라이너(7)를 상,하수도 본관(5)의 연결관(6)내로 위치시키는 일정 길이의 라이너 신장부(21)를 갖고 있다. 라이너 신장부(21)는 일단이 팽창팩(20)과 연통되고 타단은 공기압이 새어나가지 못하도록 막힘된 형태를 하고 있다. 팽창팩(20)은 에어주입용 파이프(10)의 공기방출구멍(11)으로 압축 공기가 분출되면 팽창을 하여 연결관(6)의 내벽에 밀착되는 원통형태가 된다.(도 2참조)
상기 팽창팩(20)측 라이너 신장부(21)는 라이너(7)를 연결관(6) 접합부내로 투입시키는 기능을 하는 것이다. 여기서 라이너(7)는 부직포로 제작된 대략 갓 형태로서 수지가 함침되어 보수 부분에 부착 경화되어 수밀을 담당하는 기능을 한다.
상기 라이너(7)는 실제 보수 사용시 라이너 신장부(21)에 끼움시켜 팽창팩(20)에 떨어지기 쉽도록 부착시킨 상태에서 팽창팩(20)의 공기팽창에 의해 본관(5)의 연결관(6)내로 투입되어 팽창된 원통형상을 이룬 상태에서 시간이 지남에 따라 경화되어 연결관(6) 접합부에 확고히 압착된다.
상기 팽창팩(20)측 라이너 신장부(21)에 끼움된 수지가 함침된 라이너(7)를 팽창팩(20)내로 반전 장입시키거나 상기 라이너 신장부(21)의 최대 팽창된 신장 길이를 제한하기 위해 상기 에어주입용 파이프(10)의 일단에 라이너 반전장치가 구비된다.
본 실시예에서 라이너 반전장치는, 도 3과 같이 일단이 상기 라이너 신장부(21)의 폐쇄된 내측 끝단에 연결된 와이어(31)와, 상기 와이어(31)의 타단이 감김되고 에어주입용 파이프(10)의 일단측에 접속된 보빈하우징(32)측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는 보빈(33)과, 상기 보빈(33)을 정역회전시키는 조작핸들(34)로 구성되어 있다. 이때 보빈하우징(32)은 에어주입용 파이프(20)내로 에어주입을 방해하지 않는 통로를 갖는다.
따라서 조작핸들(34)을 일방향으로 조작하게 되면 와이어(31)의 당김력에 의해 라이너 신장부(21)와 함께 수지가 함침된 라이너(7)를 도 1과 같이 수축시킬 수 있다. 라이너 신장부(21)가 팽창될 경우는 조작핸들(34)을 조작시키지 않아도 와이어(31)가 풀려나가면서 보빈(33)이 회전하고, 이때 와이어(31)의 최대 신장길이는 라이너 신장부(21)의 최대 팽창 길이를 제한하고 라이너 신장부(21)의 끝단을 지지하여 팽창압에 의한 터짐을 방지한다.
상기 팽창팩(20)과 함께 에어주입용 파이프(10)를 본관(5)내에서 이동시키거나 지지하기 위해 팽창팩 이동지지장치가 구비된다.
본 실시예에서 팽창팩 이동지지장치는 도 1,4a,4b와 같이 상기 에어주입용 파이프(10)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어 연통되는 제1파이프(40)와, 상기 제1파이프(40)의 외경에 회전가능하게 삽입되고 중간에 일정 길이의 나사부(41a)를 갖는 제2파이프(41)가 구비된다.상기 제2파이프(41)의 나사부(41a)에 한쌍의 조절너트(42,43)가 나사 결합되어 각기 상,하부에 위치하고, 이들 조절너트(42,43)의 사이에 제2파이프(41)의 외경으로 아암지지용 원판(44)이 위치되고, 아암지지용 원판(44)은 제2파이프(41)의 길이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또한 상기 아암지지용 원판(44)은 상기 일측 너트(43)와의 사이에 개재된 압축스프링(48)력을 받아 상기 타측 너트(42)로 밀어붙여져 있다.상기 아암지지용 원판(44)의 둘레에는 복수개의 아암(45) 일단이 힌지(h1)로 연결되어 있고, 아암(45)의 타단은 힌지(h2)로 지지다리(47)에 연결되어 있고, 이때 지지다리(47)는 아암(45)과 동일 갯수로 구비된다.상기 지지다리(47)는 일단이 상기 제2파이프(41)의 상단에 힌지(h3) 연결되고 타단에 회전가능한 회전바퀴(46)가 구비되어 있다.
이때 타측 조절너트(42)는 지지다리(47)의 벌어지는 최대 각도(θ)를 제한하고, 타측 조절너트(43)는 압축스프링(48)의 압축량을 제한하기 위해 사용된다.
즉, 일측 조절너트(42)를 회전시켜 타측 조절너트(43)로부터 멀리 위치시키면 압축스프링(48)의 탄성반발력에 의해 아암지지용 원판(44)이 일측 조절너트(42)로 이동하면서 힌지(h1과 h3)간의 거리가 좁아지고, 이로 인해 아암(45)이 지지다리(47)를 벌려 회전바퀴(46)가 위치되는 파이프(41)로부터의 반경 거리를 증가시키다.이와 반대로 일측 조절너트(42)를 회전시켜 타측 조절너트(43)로 가까이 이동 위치시키면 아암지지용 원판(44)이 일측 조절너트(43)로 이동하면서 힌지(h1과 h3)간의 거리가 증가되면서 아암(45)가 지지다리(47)를 오므려 회전바퀴(46)의 반경 위치를 감소시킨다.
따라서 조절너트(42)의 위치를 조절하게 되면 지지다리(47)의 벌림량이 확장되고, 결국 지지다리(47)측 회전바퀴(46)의 반경 위치가 확장되어 본관(5)의 직경에 유연하게 대처할 수 있다.
상기 에어주입용 파이프(10)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기 위한 수단은 도 4와 같이 주지의 밸브커플링(4)이 사용된다.
본 발명은 팽창팩(20)측 라이너 신장부(21)와 함께 라이너(7)를 반전시켜 연결관(6) 접합부에 투입시시킬 위치를 검출해내기 검출수단이 구비된다.
일실시예의 검출수단은 상기 팽창팩(20)에 근접하게 배치되고, 관로(5)의 연결관(6)내로 유입될 수 있는 충분한 길이를 갖고 에어주입용 파이프(10)에 입설된 탄성 복원가능한 검출로드(50)와, 상기 검출로드(50)에 근접하게 배치되어 에어주입용 파이프(10)에 지지 설치되고, 외부의 디스플레이장치(도시안됨)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검출로드(50)의 자세를 촬상하는 화상카메라(52)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검출로드(50)는 스프링식로 감아올라간 스프링 형태로 제작되거나, 플라스틱 등의 탄성복원력을 갖는 로드 형태로 제작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 에어주입용 파이프(10)에는 도5와 같이 플라스틱으로 제작된 유연한 플렉시블관(60)이 복수개로 착탈가능하게 더 연결되어 하수관 맨홀에서 이동 제어가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이때 착탈수단은 주지의 밸브커플링(4)이 이용된다.
본 실시예에서 보빈하우징(32)은 팽창팩(20)과 지지 이동장치의 사이에 배치되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실시예의 작동 및 시공방법을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장치 투입]
먼저, 팽창팩(20)이 수축된 상태에서 본 발명의 라이너 시공장치가 도 5와 같이 맨홀(H)을 통해 본관(5)내로 투입된다. 이때 화상카메라(50)는 전기적으로 외부의 디스플레이장치(도시안됨)와 연결되고, 에어주입용 파이프(10)측 라인은 중간에 압력조정기(102)를 매개로 공기압축기(100)와 연결된다.
이때 에어주입용 파이프(10)측 라인 끝단은 복수개의 유연한 플렉시블관(60)이 연결되어 외부(하수도 맨홀 밖)에서 본 발명의 라이너 시공장치의 이동을 가능하게 한다. 이때 팽창팩 이동지지장치의 회전바퀴(46)가 관로(5)의 내벽에 지지된 상태에서 라이너 시공장치의 이동을 원활하게 지지한다.
라이너 시공장치가 이동하면서 디스플레이장치(모니터)에는 화상카메라(52)에서 감시되는 검출로드(52)의 자세 및 형상이 시각적으로 감지된다.
예로, 검출로드(52)가 본관(5)의 연결관(6) 접합부에 도달하지 못하였을 경우 검출로드(52)는 휘어진 자세가 나타날 것이고, 검출로드(52)가 연결관(6) 접합부에 이르게 되면 검출로드(52)가 연결관(6)에 위치되면서 탄성력에 의해 바르게 세워져 나타날 것이다.(도 1참조)
따라서 모니터 감시자는 검출로드(52)의 자세가 바르게 이루어졌다고 판단되었을 때 본 장치의 투입거리를 플렉시블관(60)에 마킹해 둔다.
[장치 반출]
위와 같이 라이너 시공장치의 투입거리가 확인 검출되면 다시 플라스틱 관(60)을 잡아당겨 라이너 시공장치를 맨홀(H)을 통해 외부로 반출해 낸다.
[라이너 부착]
다음, 준비된 라이너(7)를 반출된 팽창팩(20)의 표면에 부착한다. 이때 라이너(7)는 수지를 함침시킨 상태에서 팽창된 팽창팩(20)측 라이너 신장부(21)에 끼워넣어서 팽창팩(20) 표면에 부착시킨다.(도7 참조)
그 다음, 팽창팩(20)내의 공기를 배기시켜 수축시키고 동시에 조작핸들(34)을 조작하여 라이너(7)를 반전시켜 원형브래킷(12)을 통해 팽창팩(20)내로 장입한다.
[장치 재투입]
라이너(7)가 팽창팩(20)에 부착 완료되면 다시 본 라이너 시공장치를 본관(5)내로 투입하여 같은 방법으로 라이너(7)가 연결관(6) 접합부에 위치할 때까지 이동시킨다.
이때 본 장치의 이동거리는 최초 검출거리(마킹표시점)에서 라이너 신장부(21)와 검출로드(50)와의 거리를 감한 거리가 된다.
이같이 하여 라이너(7)가 연결관(6) 접합부에 일치되면, 라이너 시공장치를 정지시킨다.
[압력공기 주입]
다음, 압력조정기(102)를 조작하여 에어주입용 파이프(20)내로 압축공기를 공급한다. 압축공기는 도 3의 공기방출구멍(11)을 통해 방출되어 팽창팩(20)을 팽창시킨다, 동시에 팽창팩(30)에 연결된 라이너 신장부(21) 및 라이너(7)가 동시에 역방향으로 반전되면서 신장하여 연결관(6) 접합부내로 투입되고 동시에 연결관(6) 접합부에 수지접착력으로 라이너(7)가 접착된다.
이때 와이어(31)는 팽창팩(20)측 라이너 신장부(21)의 신장 길이를 제한함과 동시에 이를 지지함으로써 팽창팩(20)내의 고압에도 터지거나 찢기는 일은 없다.
라이너(7)의 접착시간이 소정 시간 경과되면 함침 수지가 경화되어 연결관(7) 접합부의 파손 및 크랙 부분은 완벽하게 수밀처리된다. 이것은 본관(5)을 라이너공법으로 보수한 후 연결관(7)측을 천공한 부분의 접합부에도 이용되어 수밀효과를 얻는다.
[장치 반출]
라이너(7)의 경화가 완료되면 압력조정기(102)를 조정하여 팽창팩(20)내의 압력공기를 제거한다. 이렇게 되면 팽창팩(20)과 함께 라이너 신장부(21)가 수축되고, 라이너(7)로부터 라이너 신장부(21)가 이탈된다. 아탈된 라이너 신장부(21)는 원형 브래킷(12)내로 장입된다.
팽창팩(20)의 수축이 완료되면 플렉시블관(60)을 잡아당겨 라이너 시공장치를 본관(5)으로부터 반출해낸다.
이같이 본 발명은 팽창팩(20)이 가볍고 질긴 비닐이 꾸러미 형태로 수축하여 가볍고 콤팩하여 다루기가 아주 편리하다.
또한 본관(5)의 직경 크기에 대응하여 팽창팩 이동 지지장치측 복수개의 회전바퀴(46)의 위치를 동시에 쉽게 가변시킬 수 있어 본관(5)의 크기에 적절하게 대응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 연결관 접합부 검출수단의 다른 실시예로서, 도 7과 같이 상기 팽창팩(20)에 근접하여 에어주입용 파이프(10)에 배치되어 기울어져 상기 연결관(6) 접합부의 위치를 찾아내는 제1화상카메라(52a)와, 상기 제1화상카메라(52a)와 이웃하게 배치되어 팽창팩(20)측 라이닝 신장부(21)를 연결관 접합부측에 일치되는가를 촬상하는 제2화상카메라(52b)로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라이닝 장치 투입단계에서 장치를 이동시키면서 제1화상카메라(52a)를 통해 해당하는 연결관(6) 접합부를 찾아내고, 찾아낸 연결관(6) 접합부가 라이닝 신장부(21)와 일치되는가를 제2화상카메라(52b)로 확인할 수 있다. 제2화상카메라(52b)로 위치가 확인되면 동일하게 플렉시블관(60)에 마킹표시를 하여 본 장치의 재투입시 이를 활용하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경량이고 콤팩트화시킬 수 있어 라이닝 보수 시공장비가 경량으로 취급이 용이하다. 또한 외부에서 본 장치를 관내로 투입시켜 비굴착식으로 연결관 접합부에 라이너의 접합이 가능하고, 본관의 직경 크기에 적절하게 대응할 수 있으며, 라이너 보수 시공장치를 외부에서 쉽게 조작하여 라이닝 시공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후술하는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라이닝 시공장치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라이너 반전상태에서의 사용상태도.
도 3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라이너 반전장치의 확대단면도.
도 4a,4b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팽창팩 이동지지장치의 사시도 및 조립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라이닝 시공장치의 사용상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라이닝 시공방법의 공정도.
도 7은 본 발명의 라이닝 시공장치에 적용되는 라이너가 라이너 신축부에 끼움되기 이전상태도.
도 8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연결관 접합부 검출수단의 변형예를 적용한 라이너 시공장치의 구성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7 : 라이너 10 : 에어주입용 파이프
11 : 공기방출구멍 20 : 팽창팩
21 : 라이너 신장부 31 : 와이어
32 : 보빈하우징 33 : 보빈
34 : 조작핸들 40 : 제1파이프
41 : 제2파이프 42,43 : 조절너트
44 : 아암지지용 원판 45 : 아암
46 : 회전바퀴 47 : 지지다리
48 : 압축스프링 50 : 검출로드
52 : 화상카메라 52a : 제1화상카메라
52b : 제2화상카메라 60 : 플렉시블관

Claims (7)

  1. 상하수도 본관의 연결부에 수지가 함치된 라이너를 부착 경화시켜 보수하는 장치에 있어서,
    중앙에 하나 이상의 공기방출구멍을 갖고 공압원과 연결되는 소정 길이의 에어주입용 파이프와;
    얇고 유연한 합성수지 재질로서 상기 에어주입용 파이프의 양단부에 기밀하게 고정 지지되고, 표면에 공압에 의해 돌출 동작하여 상기 라이너를 연결관 접합부내로 위치시키는 일정 길이의 연장된 라이너 신장부를 갖고 수축 및 팽창가능한 팽창팩과;
    상기 라이너 신장부에 끼움된 수지가 함침된 라이너를 팽창팩내로 반전 장입시키거나 상기 라이너 신장부의 최대 팽창된 신장 길이를 제한하기 위해 상기 에어주입용 파이프의 일단에 구비된 라이너 반전수단과;
    상기 팽창팩과 함께 에어주입용 파이프를 관로내에서 이동시키거나 지지하기 위해 에어주입용 파이프의 양단에 각기 착탈가능하게 설치된 팽창팩 이동지지수단으로, 상기 에어주입용 파이프에 연통되는 제1파이프의 외경에 제2파이프가 삽입되고, 상기 제2파이프에 나사 결합된 한쌍의 조절너트의 사이에 압축스프링력을 받아 이동 가능한 아암지지용 원판이 위치되고, 상기 아암지지용 원판의 둘레에 힌지 연결된 복수개의 아암에 각기 힌지 연결됨과 동시에 일단이 상기 제2파이프에 힌지 연결되고 타단에 회전가능한 회전바퀴를 갖는 복수개의 지지다리가 구비되고;
    상기 에어주입용 파이프에 설치되고, 상기 팽창팩에 부착된 라이너가 투입될 연결관 접합부의 위치를 검출해내기 위한 연결관 접합부 검출수단을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하수도관, 케이블관 등 지하매설관의 연결관 접합부의 수밀을 위한 라이닝 시공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주입용 파이프의 어느 일단에는 유연한 플렉시블관이 복수개로 착탈가능하게 더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하수도관, 케이블관 등 지하매설관의 연결관 접합부의 수밀을 위한 라이닝 시공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라이너 반전수단은,
    일단이 상기 라이너 신장부의 폐쇄된 끝단 내측에 연결된 와이어와;
    상기 와이어의 타단이 감김되고, 에어주입용 파이프측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는 보빈과;
    상기 보빈을 정역회전시키는 핸들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하수도관, 케이블관 등 지하매설관의 연결관 접합부의 수밀을 위한 라이닝 시공장치.
  4. 삭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관 접합부 검출수단은,
    상기 팽창팩에 근접하여 상기 연결관내로 유입될 수 있는 충분한 길이를 갖고 에어주입용 파이프에 입설된 탄성 복원가능한 검출로드와;
    상기 검출로드에 근접하게 배치되어 에어주입용 파이프에 지지 설치되고, 외부의 디스플레이장치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검출로드의 자세를 촬상하는 화상카메라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하수도관, 케이블관 등 지하매설관의 연결관 접합부의 수밀을 위한 라이닝 시공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관 접합부 검출수단은,
    상기 팽창팩에 근접하여 에어주입용 파이프에 배치되어 기울어져 있고, 상기 연결관 접합부를 촬상하는 제1화상카메라와;
    상기 제1화상카메라와 이웃하게 배치되어 팽창팩측 라이닝 신장부를 연결관 접합부측에 일치되는가를 촬상하는 제2화상카메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하수도관, 케이블관 등 지하매설관의 연결관 접합부의 수밀을 위한 라이닝 시공장치.
  7. 청구항 1의 시공장치를 이용한 라이닝 시공방법으로서,
    상기 에어주입용 파이프에 플렉시블관을 수개 연결하여 가면서 수축된 팽창팩을 본관내로 투입하여 연결관 접합부측으로 이동시켜 해당 연결관 접합부의 위치를 검출하는 단계와;
    상기 연결관 접합부의 위치가 검출되면 플렉시블관을 잡아당겨 본관내에서 지상으로 반출하고, 수지가 함침된 라이너를 팽창팩의 라이너 신장부에 끼워넣고 팽창팩내로 장입시킨 후 본관내로 라이너를 검출위치로 이동 위치시키는 단계와;
    상기 팽창팩내로 압축공기를 투입하여 팽창팩을 팽창시켜서 라이너 신장부와 함께 라이너를 반전시켜가면서 연결관 접합부에 라이너를 부착시켜 놓는 단계와;
    상기 라이너의 반전이 완료되면 라이너에 함침된 수지의 경화시간을 가진 후 팽창팩을 수축시킨 후 팽창팩을 반출하는 단계로 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하수도관, 케이블관 등 지하매설관의 연결관 접합부의 수밀을 위한 라이닝 시공방법.
KR10-2003-0075664A 2003-10-28 2003-10-28 상하수도관, 케이블관 등 지하매설관의 연결관 접합부의수밀을 위한 라이닝 시공장치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KR10053716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75664A KR100537160B1 (ko) 2003-10-28 2003-10-28 상하수도관, 케이블관 등 지하매설관의 연결관 접합부의수밀을 위한 라이닝 시공장치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75664A KR100537160B1 (ko) 2003-10-28 2003-10-28 상하수도관, 케이블관 등 지하매설관의 연결관 접합부의수밀을 위한 라이닝 시공장치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10700U Division KR200356558Y1 (ko) 2004-04-19 2004-04-19 상하수도관, 케이블관 등 지하매설관의 연결관 접합부의수밀을 위한 라이닝 시공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40458A KR20050040458A (ko) 2005-05-03
KR100537160B1 true KR100537160B1 (ko) 2005-12-16

Family

ID=372422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75664A KR100537160B1 (ko) 2003-10-28 2003-10-28 상하수도관, 케이블관 등 지하매설관의 연결관 접합부의수밀을 위한 라이닝 시공장치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3716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72127B1 (ko) 2012-05-31 2013-06-07 (주)아록이엔지 높이 조절이 가능한 단차 극복용 보수패커 및 이를 이용한 비굴착 부분 보수공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41171B1 (ko) * 2013-07-26 2013-12-13 주식회사 삼안 산업단지 내의 중량차량 이동구간 지중 매설물의 이음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72127B1 (ko) 2012-05-31 2013-06-07 (주)아록이엔지 높이 조절이 가능한 단차 극복용 보수패커 및 이를 이용한 비굴착 부분 보수공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40458A (ko) 2005-05-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097333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repairing a lateral pipe and the junction of the lateral with a main sewer line
US5950682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repairing the junction of a sewer main line and lateral
US5040922A (en) Method for repairing an inaccessible sewage pipe leading away from a house using a remote-controlled apparatus operating in the main sewage pipe
US5927341A (en) Lining of &#34;Tees&#34; and &#34;Wyes&#34; in pipelines or passageways
EP0620102B1 (en) Branch pipe lining method and liner
US5964249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repairing a pipeline
US20190162351A1 (en) Means and Method for Lining a Pipe
US6152184A (en) Branch pipe liner bag and branch pipe lining method
JP2520995B2 (ja) 流体搬送用本管の取替え方法、取替えに使用するヘッド及び取替え用本管
JPH0337615B2 (ko)
KR101267432B1 (ko) 하수관의 본관과 가지관이 연결된 부위를 보수하기 위한 비굴착 하수관 보수 방법 및 장치
KR101245258B1 (ko) 하수관의 본관과 가지관이 연결된 부위를 보수하기 위한 비굴착 하수관 보수 방법 및 장치
US6755592B2 (en) Device for repairing underground sewers
KR0178141B1 (ko) 지관 라이닝공법
EP2287510B1 (en) Pipeline plug
KR100537160B1 (ko) 상하수도관, 케이블관 등 지하매설관의 연결관 접합부의수밀을 위한 라이닝 시공장치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WO1989008218A1 (en) Method and device for renovating a duct system
KR200356558Y1 (ko) 상하수도관, 케이블관 등 지하매설관의 연결관 접합부의수밀을 위한 라이닝 시공장치
US6142187A (en) Device for repairing pipes
KR101245259B1 (ko) 하수관의 본관과 가지관이 연결된 부위를 보수하기 위한 비굴착 하수관 보수 방법 및 장치
KR102350524B1 (ko) 방수형 광경화 패커와 이를 포함하는 부분 보수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비굴착 부분보수 광경화 공법
JP4481514B2 (ja) 更生管の止水方法と止水部材の保持装置
US10160158B2 (en) Pipe-liner eversion system and method
JP2003083471A (ja) 取付管口の止水方法
JP2702099B2 (ja) 枝管用鍔付スタートライナー及び管ライニング工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1205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