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36695B1 - 콤보 시스템의 토글 신호 처리방법 - Google Patents

콤보 시스템의 토글 신호 처리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36695B1
KR100536695B1 KR10-2003-0073609A KR20030073609A KR100536695B1 KR 100536695 B1 KR100536695 B1 KR 100536695B1 KR 20030073609 A KR20030073609 A KR 20030073609A KR 100536695 B1 KR100536695 B1 KR 1005366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de
toggle signal
toggle
signal
mas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736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38336A (ko
Inventor
나태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Priority to KR10-2003-00736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36695B1/ko
Publication of KR200500383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3833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366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36695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11B20/10009Improvement or modification of read or write signal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5/00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record carrier employed but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e.g. dictating apparatus; Combinations of such apparatus
    • G11B25/10Apparatus capable of using record carriers defined in more than one of the sub-groups G11B25/02 - G11B25/08; Adaptor devices therefor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220/00Record carriers by type
    • G11B2220/20Disc-shaped record carriers
    • G11B2220/25Disc-shaped 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in that the disc is based on a specific recording technology
    • G11B2220/2537Optical discs
    • G11B2220/2562DVDs [digital versatile discs]; Digital video discs; MMCDs; HDCD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220/00Record carriers by type
    • G11B2220/40Combinations of multiple record carri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Information Transfer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콤보 시스템의 토글 신호 처리방법에 관한 것으로, 토글 신호를 수신한 마스터 디바이스가 해당 토글 신호에 대응하는 현재의 모드를 추출하는 단계와, 마스터 디바이스가 추출된 현재 모드와 토글 신호에 의한 절환 모드를 식별할 수 있는 모드 절환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와, 마스터 디바이스가 생성된 모드 절환 신호를 슬레이브 디바이스로 전달하는 단계와, 마스터 디바이스와 슬레이브 디바이스가 모드 절환 신호에 따라 선택적으로 해당 토글 신호에 대응하는 현재의 모드를 절환 모드로 변경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마스터 디바이스와 슬레이브 디바이스가 서로 상이한 모드에 놓일 우려를 최소화하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콤보 시스템의 토글 신호 처리방법{METHOD FOR PROCESSING TOGGLE SIGNAL OF COMBO SYSTEM}
본 발명은 콤보 시스템의 토글(Toggle) 신호 처리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여러 디바이스가 복합 구현된 콤보 시스템에서 마스터(Master) 디바이스와 슬레이브(Slave) 디바이스가 토글 신호를 처리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TV와 DVD 및 VCR 등과 같은 여러 디바이스가 하나의 제품으로 결합된 일반적인 콤보 시스템의 블록 구성도이다.
이에 나타낸 바와 같이 콤보 시스템(10)은, 각각의 디바이스를 개별적으로 제어하기 위한 마이크로 프로세서 등과 같은 제어부가 복수로 구비되며, 어느 하나의 디바이스를 위한 제어부가 마스터 제어부(12)의 역할을 수행하여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6)를 통해 사용자가 입력한 각종 명령을 수신하며, 나머지 디바이스를 위한 제어부가 슬레이브 제어부(14)의 역할을 수행하고, 마스터 제어부(12)는 수신된 각종 명령 신호를 슬레이브 제어부(14)로 전달한다.
한편,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6)는 통상의 리모트 컨트롤러 또는 본체의 일측에 마련된 컨트롤 패널 등으로 구현할 수 있으며, 대부분의 가전제품에서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6)에는 토글 키(Toggle Key)가 존재하는 것으로 말할 수 있다.
토글 키는 온/오프(On/Off)와 같이 2가지 상태만을 가지고 있는 키로서, 키를 한 번 누르면 한 값이 되고, 다시 한 번 누르면 다른 값으로 변하는 것을 의미한다. 예로서 DVD/VCR 콤보 시스템에서 전원 키와 음소거 키 등이 토글 키에 해당한다.
이와 같은 토글 키를 콤보 시스템에서 신호 처리하는 과정을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6)의 전원 키와 음소거 키 등과 같은 토글 키에 의해 토글 신호가 발생되면 마스터 디바이스를 제어하는 마스터 제어부(12)에 의해 토글 신호가 수신된다(S21∼S23).
그러면, 토글 신호를 수신한 마스터 제어부(12)는 슬레이브 디바이스를 제어하는 슬레이브 제어부(14)로 토글 신호를 전달한다(S25).
다음으로, 마스터 제어부(12)와 슬레이브 제어부(14)는 수신된 토글 신호에 의거하여 각각 현재 모드에서 토글을 시행한다(S27).
그러나,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토글 신호 처리방법에 의하면 사용자가 토글 키를 연속하여 누를 경우에 마스터 디바이스와 슬레이브 디바이스가 서로 상이한 모드에 놓일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토글 신호를 처리함에 있어서 마스터와 슬레이브 간의 통신환경 또는 프로그램 구조상의 오류가 발생하면 마스터와 슬레이브 중에서 어느 한곳에서만 토글이 시행되어 마스터 디바이스와 슬레이브 디바이스가 서로 상이한 모드에 놓이며, 이후 연속되는 토글 신호에 의해서도 마스터와 슬레이브는 서로 상이한 모드로 토글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한 것으로, 여러 디바이스가 복합 구현된 콤보 시스템에서 마스터 디바이스가 토글 신호를 수신하면 현재의 모드를 추출한 후에 이에 근거하여 현재 모드와 절환 모드를 식별할 수 있는 모드 절환 신호를 새로이 생성하여 슬레이브 디바이스로 전달함으로써 마스터 디바이스와 슬레이브 디바이스가 서로 상이한 모드에 놓일 우려를 최소화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콤보 시스템의 토글 신호 처리방법은, 토글 신호를 수신한 마스터 디바이스가 해당 토글 신호에 대응하는 현재의 모드를 추출하는 단계와, 마스터 디바이스가 상기 추출된 현재 모드와 상기 토글 신호에 의한 절환 모드를 식별할 수 있는 모드 절환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와, 상기 마스터 디바이스가 상기 생성된 모드 절환 신호를 슬레이브 디바이스로 전달하는 단계와, 상기 마스터 디바이스와 상기 슬레이브 디바이스가 상기 모드 절환 신호에 따라 선택적으로 상기 해당 토글 신호에 대응하는 현재의 모드를 상기 절환 모드로 변경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토글 신호 처리과정을 보인 흐름도이며, 이러한 본 발명의 토글 신호 처리방법은 도 1에 도시된 일반적인 콤보 시스템에 적용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본 발명의 토글 신호 처리방법을 도 1의 콤보 시스템에 적용한 예를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콤보 시스템의 토글 신호 처리방법은 도 3의 흐름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6)로부터 토글 신호를 수신한 마스터 디바이스의 마스터 제어부(12)가 해당 토글 신호에 대응하는 현재의 모드를 추출하는 단계(S301∼S305)와, 마스터 제어부(12)가 상기 추출된 현재 모드와 상기 토글 신호에 의한 절환 모드를 식별할 수 있는 모드 절환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S307)와, 마스터 제어부(12)가 상기 생성된 모드 절환 신호를 슬레이브 디바이스의 슬레이브 제어부(14)로 전달하는 단계(S309)와, 마스터 제어부(12)와 슬레이브 제어부(14)가 선택적으로 상기 모드 절환 신호에 따라 상기 해당 토글 신호에 대응하는 현재의 모드를 상기 절환 모드로 변경하는 단계(S311)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토글 신호 처리방법을 도 1 및 도 3을 참조하여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6)의 전원 키와 음소거 키 등과 같은 토글 키에 의해 토글 신호가 발생되면 마스터 디바이스를 제어하는 마스터 제어부(12)에 의해 토글 신호가 수신된다(S301∼S303).
그러면, 토글 신호를 수신한 마스터 제어부(12)는 마스터 디바이스의 동작 상태를 점검하여 해당 토글 신호에 대응하는 현재의 모드가 어떠한 상태에 놓여 있는 가를 추출한다(S305).
그리고, 마스터 제어부(12)는 현재 모드가 추출되면 추출된 현재 모드와 상기 토글 신호에 의한 절환 모드를 식별할 수 있는 모드 절환 신호를 새로이 생성한다. 일예로, 단계 S301에서 전원 오프 토글 신호가 발생되었고 마스터 디바이스가 전원 온 모드에 놓인 경우라면 전원 온 모드에서 전원 오프 모드로 변경할 것을 지시하는 모드 절환 신호를 생성하는 것이다(S307).
이후, 마스터 제어부(12)는 상기 생성된 모드 절환 신호를 슬레이브 제어부(14)로 전달한다(S309).
아울러, 마스터 제어부(12)는 단계 S307에서 자신이 생성한 모드 절환 신호에 의거하여 현재 모드를 절환 모드로 변경하며, 슬레이브 제어부(14)는 마스터 제어부(12)로부터 전달받은 모드 절환 신호에 의거하여 현재 모드를 절환 모드로 변경한다. 여기서 마스터 제어부(12) 및 슬레이브 제어부(14)는 현재 자신의 동작 모드가 상기 모드 절환 신호에 지시된 절환 모드와 동일한 경우에는 모드 변경을 수행하지 않게 된다(S311).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토글 신호 처리방법이 적용된 콤보 시스템에서는 마스터와 슬레이브 간의 통신환경 또는 프로그램 구조상의 오류가 발생하여 마스터와 슬레이브 중에서 어느 한곳에서만 토글이 시행되어 마스터 디바이스와 슬레이브 디바이스가 서로 상이한 모드에 놓이더라도 이후 연속되는 토글 신호에 의하여 어느 한쪽의 디바이스만이 모드가 변경되므로 마스터와 슬레이브의 모드가 일치되는 것이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국한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기술이 당업자에 의하여 용이하게 변형 실시될 가능성이 자명하다. 이러한 변형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기술사상에 포함된다고 하여야 할 것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여러 디바이스가 복합 구현된 콤보 시스템에서 마스터 디바이스가 토글 신호를 수신하면 현재의 모드를 추출한 후에 이에 근거하여 현재 모드와 절환 모드를 식별할 수 있는 모드 절환 신호를 새로이 생성하여 슬레이브 디바이스로 전달함으로써 마스터 디바이스와 슬레이브 디바이스가 서로 상이한 모드에 놓일 우려를 최소화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토글 신호 처리방법을 적용할 수 있는 콤보 시스템의 블록 구성도,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콤보 시스템의 토글 신호 처리과정을 보인 흐름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토글 신호 처리과정을 보인 흐름도.

Claims (1)

  1. 토글 신호를 수신한 마스터 디바이스가 해당 토글 신호에 대응하는 현재의 모드를 추출하는 단계와,
    마스터 디바이스가 상기 추출된 현재 모드와 상기 토글 신호에 의한 절환 모드를 식별할 수 있는 모드 절환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와,
    상기 마스터 디바이스가 상기 생성된 모드 절환 신호를 슬레이브 디바이스로 전달하는 단계와,
    상기 마스터 디바이스와 상기 슬레이브 디바이스가 상기 모드 절환 신호에 따라 선택적으로 상기 해당 토글 신호에 대응하는 현재의 모드를 상기 절환 모드로 변경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콤보 시스템의 토글 신호 처리방법.
KR10-2003-0073609A 2003-10-22 2003-10-22 콤보 시스템의 토글 신호 처리방법 KR10053669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73609A KR100536695B1 (ko) 2003-10-22 2003-10-22 콤보 시스템의 토글 신호 처리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73609A KR100536695B1 (ko) 2003-10-22 2003-10-22 콤보 시스템의 토글 신호 처리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38336A KR20050038336A (ko) 2005-04-27
KR100536695B1 true KR100536695B1 (ko) 2005-12-14

Family

ID=372407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73609A KR100536695B1 (ko) 2003-10-22 2003-10-22 콤보 시스템의 토글 신호 처리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36695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38336A (ko) 2005-04-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6293262B (zh) 一种交互教学大屏触控转发系统和方法
US9645960B2 (en) KVM switch
KR100280783B1 (ko) 컴퓨터 시스템의 원격 제어 장치 및 원격 제어 방법
CN104394449A (zh) 一种单遥控器控制多设备的方法及系统
CN107479846A (zh) 一种拼接屏控制方法和系统
US10656726B2 (en) Kit for controlling multiple computers and use thereof
CN203084921U (zh) 基于智能设备的家电遥控终端
KR100536695B1 (ko) 콤보 시스템의 토글 신호 처리방법
CN105451051A (zh) 按键遥控器、使用按键遥控器控制电子设备的方法
CN102956094A (zh) 一种遥控系统及其控制方法
CN103596030A (zh) 切换多媒体输出设备的方法、控制设备及智能电视系统
CN104469522A (zh) 一种视频播放的控制方法及装置
US20120161548A1 (en) Wall outlet device, power management system having sam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reof
CN103716672B (zh) 一种遥控器、显示装置以及遥控显示系统
CN203084915U (zh) 一种基于智能设备的家电遥控终端
CN202837867U (zh) 用于运动驱动装置的控制的控制设备
CN101212547A (zh) 遥控器的遥控编码方法及一机多控实现方法
JPH11168779A (ja) リモコン用制御装置及び方法並びにリモコン用制御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記録媒体
CN100394704C (zh) 冗余备份控制系统及接口板电源控制方法
CA2903651C (en) Method for coupling a remote control and an electronic device
CN103631750A (zh) 一种信息处理的方法及电子设备
CN104796749A (zh) 利用遥控器替代键盘实现常用快捷键的装置和方法
CN201145951Y (zh) 宾馆数字客房可编程多控遥控器
CN111722574A (zh) 一种整机usb遥控装置
KR20080036752A (ko) 리모트 컨트롤러 장치의 키 입력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1201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