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36438B1 - 실내용 축열보일러 - Google Patents

실내용 축열보일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36438B1
KR100536438B1 KR1020030016740A KR20030016740A KR100536438B1 KR 100536438 B1 KR100536438 B1 KR 100536438B1 KR 1020030016740 A KR1020030016740 A KR 1020030016740A KR 20030016740 A KR20030016740 A KR 20030016740A KR 100536438 B1 KR100536438 B1 KR 10053643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 storage
heat
storage tank
heater
boil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167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82105A (ko
Inventor
최재진
김헌수
Original Assignee
최재진
김헌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재진, 김헌수 filed Critical 최재진
Priority to KR10200300167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36438B1/ko
Publication of KR200400821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8210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364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3643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7/00Storage heaters, i.e. heaters in which the energy is stored as heat in masses for subsequent release
    • F24H7/02Storage heaters, i.e. heaters in which the energy is stored as heat in masses for subsequent release the released heat being conveyed to a transfer fluid
    • F24H7/04Storage heaters, i.e. heaters in which the energy is stored as heat in masses for subsequent release the released heat being conveyed to a transfer fluid with forced circulation of the transfer fluid
    • F24H7/0408Storage heaters, i.e. heaters in which the energy is stored as heat in masses for subsequent release the released heat being conveyed to a transfer fluid with forced circulation of the transfer fluid using electrical energy supply
    • F24H7/0433Storage heaters, i.e. heaters in which the energy is stored as heat in masses for subsequent release the released heat being conveyed to a transfer fluid with forced circulation of the transfer fluid using electrical energy supply the transfer medium being wat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6/00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 F24F6/02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evaporation of water in the air
    • F24F6/025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evaporation of water in the air using electrical heating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1/00Water heaters, e.g. boilers, continuous-flow heaters or water-storage heaters
    • F24H1/18Water-storage heaters
    • F24H1/20Water-storage heaters with immersed heating elements, e.g. electric elements or furnace tubes
    • F24H1/201Water-storage heaters with immersed heating elements, e.g. electric elements or furnace tubes using electric energy supply
    • F24H1/202Water-storage heaters with immersed heating elements, e.g. electric elements or furnace tubes using electric energy supply with resistan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9/00Details
    • F24H9/02Casings; Cover lids; Ornamental pan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entral Heating Systems (AREA)
  • Heat-Pump Type And Storage Water Hea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실내용 축열보일러에 관한 것으로, 특히 축열보일러의 축열조 케이스의 외부를 석재로 형성하여 실내에 장착가능하도록 하므로써, 축열조의 미감을 미려하게 하며 축열조에서 발생되는 열이 실내에서 발산되도록 하여 방출열을 효율적으로 활용하고 석재에서 발생되는 원적외선이 방출되어 기능성을 향상시킨 난로겸용의 장식효과를 갖는 실내용 축열보일러에 관한 것이다.
상기의 본 발명은 수지제 또는 금속재로 이루어지는 축열수가 보관되는 축열조케이스와, 이 축열조케이스 내부에는 전기에 의해 축열수를 가온시키도록 히터와, 이 히터의 상측으로는 열교환이 이루어지도록 열교환기와 이 열교환기와 연결된 냉수유입배관과, 이 냉수유입배관으로 유입된 난방용 냉수가 히터의 가동으로 가온된 축열수로 인하여 열교환기에서 열교환되어 수봉펌프에 의해 온수유출배관으로 순환되는 축열보일러에 있어서, 상기 축열조케이스 외부면으로 외장재를 붙착 형성하고, 상측으로는 실내의 습기유출이 이루어지도록 습기유출파이프를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으로, 본 발명은 축열조를 실내에 장착되도록 하여 축열조에서 발생되는 열손실의 방지가 이루어지게 되고, 부수적으로 습기조절과 원적외선등이 방출되는 장식 및 난로로써의 기능을 갖는 효과를 갖게 되는 것이다.

Description

실내용 축열보일러{A BOILER}
도 1은 종래의 보일러를 나타내는 종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실내용 축열보일러를 나타내는 종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실내용 축열보일러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종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 : 축열조 21 : 축열조케이스
22 : 외부면 23 : 외장재
24 : 습기유출파이프
본 발명은 실내용 축열보일러에 관한 것으로, 특히 축열보일러의 축열조 케이스의 외부를 석재로 형성하여 실내에 장착가능하도록 하므로써, 축열조의 미감을 미려하게 하며 축열조에서 발생되는 열이 실내에서 발산되도록 하여 방출열을 효율적으로 활용하고 석재에서 발생되는 원적외선이 방출되어 기능성을 향상시킨 난로겸용의 장식효과를 갖는 실내용 축열보일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용하고 있는 축열보일러는 실외에 위치되어 난방용으로 온수를 공급하기 위하여 널리 사용되고 있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전형적인 축열보일러를 도 1에 도시하였다.
이를 상세하게 살펴보면, 수지제 또는 금속재로 이루어지는 육면체 형상의 박스타입으로 형성되어 축열수가 보관되는 내부케이스(2)에는 전력에 의해 축열수를 가온시키도록 히터(3)와 이 히터의 상측으로는 열교환이 이루어지도록 열교환기(4)를 구비하고, 이 열교환기(4)와 연결된 냉수유입배관(5)을 구비한다.
또한 냉수유입배관(5)으로 유입된 난방용 냉수가 전력에 의한 히터(3)의 가동으로 가온된 축열수(W)로 인하여 열교환된 온수가 수봉펌프(6)에 의해 온수유출배관(7)으로 순환된다.
그리고, 보일러(1)가 실외에 설치되므로, 상기 축열조케이스(2)의 외측으로는 축열수의 보온이 이루어지도록 유리섬유나 폴리우레탄등으로 이루어진 보온제(8)와 그 외측으로 외장용의 외부케이스(9)를 구비한 구성으로 이루어졌다.
그러나 이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종래의 축열보일러(1)의 축열조(2)는 열손실을 방지하기 위하여 보온재(8)로 내부케이스(3)를 감싸도록 보온재(10)를 구비하여도 발생되는 열손실을 완벽하게 방지할 수 없어 손실되는 열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없었으며 보온재가 인체에 미치는 악영향으로 인하여 실내에는 사용하기가 부적합한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 본 발 명의 목적은 축열보일러의 축열조 케이스의 외부를 석재로 형성하여 축열조의 미감을 미려하게 하여 실내에 장착이 가능하며 석재로된 축열조에서 발생되는 열이 실내에서 발산되도록 하여 방출열을 효율적으로 활용하고 석재에서 발생되는 원적외선이 방출되어 보일러의 기능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실내용 축열보일러를 제공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수지제 또는 금속재로 이루어지는 축열수가 보관되는 축열조케이스와, 이 축열조케이스 내부에는 전력에 의해 축열수를 가온시키도록 히터와, 이 히터의 상측으로는 열교환이 이루어지도록 열교환기와 이 열교환기와 연결된 냉수유입배관과, 이 냉수유입배관으로 유입된 난방용 냉수가 히터의 가동으로 가온된 축열수로 인하여 열교환기에서 열교환되어 수봉펌프에 의해 온수유출배관으로 순환되는 축열보일러에 있어서, 상기 축열케이스 외부면으로 외장재를 붙착 형성하고, 상측으로는 실내의 습기조절이 이루어지도록 습기조절파이프를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용 축열보일러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축열조 케이스(21)를 석재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용 축열보일러를 제공한다.
이에 상기한 바와같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실내용 축열보일러를 나타내는 종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실내용 축열보일러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종단면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같이 본 발명의 실내용 축열보일러는 수지제 또는 금속재로 이루어지는 축열수가 보관되는 축열조케이스(21)와, 이 축열조케이스 내부에는 전기에 의해 축열수를 가온시키는 히터(3)와, 이 히터의 상측으로는 열교환이 이루어지도록 열교환기(4)와 이 열교환기(4)와 연결된 냉수유입배관(5)과, 이 냉수유입배관(5)으로 유입된 난방용 냉수가 히터(3)의 가동으로 가온된 축열수(W)로 인하여 가온되어 열교환기(4)에서 열교환되어 수봉펌프(6)에 의해 온수유출배관(7)으로 순환되도록 구비한다.
또한 상기 축열조케이스(21)의 외부면(22)으로 외장재(23)를 붙착 형성하되, 상기 외장재는(23)는 황토성분이나 세라믹성분등이 포함되도록 하여 원적외선이 방출되도록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축열조케이스(21)의 상측으로는 실내로 습기유입이 이루어지도록 습기유출파이프(24)를 상측으로 형성한다.
또한 상기 축열조 케이스(21)의 전체를 석재(인조대리석, 옥, 맥반석)로 형성할 수도 있으며 이와같이 형성할 경우에는 축열조케이스(21)에서 방출되는 열을 실내용 라디에이터 겸용으로 사용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작용 및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수지제 또는 금속재로 이루어지는 육면체 형상의 박스타입으로 설치되는 축열조케이스(21)에 하측에 구비되는 히터(3)가 전기에 의하여 가동되어 축열조케이스(21)내의 축열수(W)를 가온시키게 되면 상측으로 구비된 열교환기(4)에 연결되어 냉수유입배관(5)으로 유입된 난방용 냉수를 온수로 가열하여 열교환되므로써 수봉 펌프(6)에 의해 온수유출배관(7)으로 순환되어 실내 바닥난방이 이루어지게 된다.
또한 실내에 구비된 축열조(20)는 축열조케이스(21)의 외부면(22)에 붙착된 외장재(23)로 축열수에서 발생하는 열이 방출이 이루어지게 되어 실내의 대기 난방도 겸한다.
그러므로, 방출되는 열에 의하여 내부케이스(20)의 외부면(21)에 장착된 황토성분등을 포함하는 타일이나 대리석등으로 이루어진 외장재(22)로 열발산이 이루어지게 됨으로써 원적외선이 방출되면서 또한 난로와 같이 실내의 난방이 이루어지게 된다.
또한 축열조(20)의 상측에 형성된 습기유출파이프(24)를 통하여 실내에 습기를 방출되게 하므로써 가습작용이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축열조(20)를 실내에 설치함으로써 축열조에서 발생하는 열손실을 실내로 전달하여 열손실을 방지함으로써 열효율을 향상시키게 되며, 부가적으로 실내에 원적외선방출 및 습기조절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같이 본 발명은 축열조를 실내에 장착되도록 하여 축열조에서 발생되는 방출열을 대기 난방으로 활용할 수 있어 방출열을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부수적으로 습기조절과 원적외선등이 방출되는 장식 및 난로로써의 기능을 갖는 효과를 갖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을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를들어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경과 수정이 가능할 것이다.

Claims (2)

  1. 수지제 또는 금속재로 이루어지는 축열수가 보관되는 축열조케이스(21)와, 이 축열조케이스 내부에는 축열수를 가온시키도록 형성한 히터(3)와, 이 히터의 상측으로는 열교환이 이루어지도록 열교환기(4)와, 이 열교환기(4)와 연결된 냉수유입배관(5)과, 이 냉수유입배관(5)으로 유입된 난방용 냉수가 히터(3)의 가동으로 가온된 축열수(W)로 열교환되어 수봉펌프(6)에 의해 온수유출배관(7)으로 순환되는 축열보일러에 있어서;
    상기 축열조케이스(21)의 외부면(22)으로 외장재(23)를 붙착 형성하고, 상측으로는 실내의 습기유출이 이루어지도록 습기유출파이프(24)를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용 축열보일러.
  2. 청구항 1항에 있어서;
    상기 축열조 케이스(21)를 석재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용 축열보일러.
KR1020030016740A 2003-03-18 2003-03-18 실내용 축열보일러 KR10053643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16740A KR100536438B1 (ko) 2003-03-18 2003-03-18 실내용 축열보일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16740A KR100536438B1 (ko) 2003-03-18 2003-03-18 실내용 축열보일러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08010U Division KR200316414Y1 (ko) 2003-03-18 2003-03-18 실내용 축열보일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82105A KR20040082105A (ko) 2004-09-24
KR100536438B1 true KR100536438B1 (ko) 2006-01-24

Family

ID=373660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16740A KR100536438B1 (ko) 2003-03-18 2003-03-18 실내용 축열보일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36438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82105A (ko) 2004-09-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857097B2 (en) Artificial light and evacuated tube boiler
KR20190002339U (ko) 캠핑용 온수 보일러
KR100536438B1 (ko) 실내용 축열보일러
KR200316414Y1 (ko) 실내용 축열보일러
KR200352827Y1 (ko) 산업용 열풍기
KR101670334B1 (ko) 공기 순환을 이용한 구들장식 주거용 난방 시스템
ES2247742T3 (es) Equipo compacto para produccion de energia.
KR200352828Y1 (ko) 전기 난방기
KR101758012B1 (ko) 전기 온수기 겸용 온풍기
JP2007163023A (ja) 家屋の構造を伴う暖房装置および冷房装置
JP5611676B2 (ja) ヒートポンプ式給湯装置
KR101081669B1 (ko) 복사 냉난방 기능 및 국부 배기 기능을 가진 경량 콘크리트 패널 및 이를 이용한 벽체구조
KR100496523B1 (ko) 단열 및 방열구조를 가진 사우나실
KR20220040160A (ko) 냉난방용 복사패널 및 이를 이용한 냉난방 시스템
KR200409651Y1 (ko) 온풍기용 열교환장치
KR100664712B1 (ko) 냉난방장치
JP4966587B2 (ja) 蓄熱温水併用暖房システム
KR200483358Y1 (ko) 난방장치
CN208952202U (zh) 温度可调式供暖设备
KR200299750Y1 (ko) 황토온돌침대
KR20130098544A (ko) 공기 가열식 난방장치
KR102626779B1 (ko) 공기순환보일러용 온돌패널 셋트 및 이를 이용한 온돌 시공방법
KR20120136702A (ko) 적외선 구역 복사 전기 가온장치
KR101041707B1 (ko) 난방용 방열시트 및 그 제조방법
JPH06257800A (ja) 空調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