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34415B1 - 수신 정재파비 측정 장치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수신 정재파비 측정 장치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34415B1
KR100534415B1 KR10-2003-0022597A KR20030022597A KR100534415B1 KR 100534415 B1 KR100534415 B1 KR 100534415B1 KR 20030022597 A KR20030022597 A KR 20030022597A KR 100534415 B1 KR100534415 B1 KR 10053441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standing wave
wave ratio
circuit
measu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225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88643A (ko
Inventor
조한신
박성래
조형식
김준형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Priority to KR10-2003-00225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34415B1/ko
Publication of KR200400886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8864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344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34415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7/00Monitoring; Testing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nitoring And Testing Of Transmission In General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기지국의 수신 안테나의 정재파비를 측정하는 방법과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발신회로로부터 출력된 동일한 레벨의 전력 신호가 수신기의 수신회로 방향과 안테나 방향으로 각각 전송된다. 수신회로로 전송된 전력과 안테나로 전송되어 반사된 전력신호를 기초로 하여 반사계수가 계산되고 그로부터 정재파비가 계산된다. 상기 기지국 내의 수신단 포트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는 수신회로의 경로중에 존재하는 스위치에서 유기되는 전력을 각각 측정하여 미리 작성된 테이블을 참조하여 정재파비를 측정한다. 본 발명의 구성에 따르면, 서비스 중단없이 다양한 구조의 수신국 기지국에서 수신 정재파비를 측정할 수 있다.

Description

수신 정재파비 측정 장치 및 그 방법{Apparatus for measuring Rx VSWR and measur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이동통신 기지국 또는 중계기의 수신 안테나의 정재파비를 측정하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수신기의 구성에 상관없이 실시간적으로 수신 안테나의 정재파비를 측정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다이버시티 안테나를 포함한 기지국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기지국(100)은 다양한 기지국 형태중 다이버시티 안테나를 포함한 기지국을 도시하고 있다. 안테나 다이버시티는 기지국과 안테나 사이의 전파 전파(RF propagation)의 공간적 또는 시간적 다양한 경로에 의해 도달하는 신호를 구분해서 수신하여 수신 특성을 개선한다. 공간적 의미의 다이버시티는 기본적으로 송수신 안테나를 복수개 설치함으로써 구현되기 때문에 안테나 다이버시티라고도 한다. 이는 안테나 송신회로 및 수신회로에 적용될 수 있으나, 시스템 구현의 경제성 및 성능개선 효과를 고려해 주로 수신 다이버시티를 먼저 고려한다.
기지국(100)은 크게 송/수신 회로(110)와 다이버시티 수신회로(120)와 제 1 안테나(114)와 제 2 안테나(123)를 포함한다. 도 1에 도시된 기지국에서는 제 1 안테나(114)가 송/수신 모두에 사용되고, 제 2 안테나(123)는 수신에 사용된다. 상기 제 2 안테나는 다이버시티 안테나이며, 다이버시티 경로를 형성하고 안테나 다이버시티에 사용되게 된다.
송/수신 회로(110)는 송신기(도시생략)에서 송신 신호는 고출력 증폭기(high power amplifier)(111)를 통하여 제 1 안테나(114)로 송출되고, 상기 제 1 안테나(114)로 수신된 신호는 저잡음 증폭기(low noise amplifier)(113)를 통해 수신기(도시생략)로 전송된다. 듀플렉서(112)는 제 1 안테나가 송/수신 모두에 사용될 수 있도록 송신회로와 수신회로를 연결하는데 사용된다. 상기 송/수신 회로는 원하는 채널 대역을 선택하기 위한 대역통과 필터 등을 더 포함하고, 상기 듀플렉서 없이 별도의 안테나로 더 추가하는 다양한 형태로 구성될 수 있으며, 도 1 에 도시된 회로에 한정되지 않는다.
수신회로(120)는 제 2 안테나에서 수신된 RF 신호에서 원하는 채널을 선택하는 대역통과 필터(121)와 저잡음 증폭기(122)를 포함한다.
상기 제 1 안테나와 제 2 안테나는 쌍으로 같은 방향 섹터를 구성하며, 기지국 안테나는 복수의 섹터에 대해 송수신하는 구성을 취할 수 있다.
전압 정재파비(voltage standing-wave ratio; VSWR)는 정재파를 갖는 선로 또는 도파관 내의 인접한 파절 및 파복에서 측정한 전압의 비를 의미하거나, 전압 파형의 크기 값의 비교로 진행하는 파의 최대값에 대한 진행파의 최소값을 의미한다. 이하에서는 편의상 정재파비(VSWR)로 칭하기로 한다.
예를 들어, 서로 다른 두 개의 임피던스를 가지고 있는 두 개의 매질에서 진행파는 임피던스 부정합에 의해 진행파와 반사파로 나누어지게 되며, 상기 두 파의 차이가 정재파비가 된다. 반사 계수를 ρ라 하면 정재파비(VSWR)는 이하의 수학식 1과 같이 정의될 수 있다.
즉, 상기 정재파비가 1이라는 말은 선로 임피던스와 종단 임피던스과 완전 매칭되어 입사파가 모두 통과한다는 의미가 되며, 1보다 커질수록 입사파가 더 많이 반사되는 것이므로, 상기 정재파비는 안테나 이상 유무를 체크하는데 중요한 지표가 된다.
그러나 전술한 기지국 시스템에 있어서, 수신 전용 안테나(123)의 경우에는 송신회로(111)의 고출력 증폭기와 같은 송신 신호가 없어 수신 정재파비를 측정하여 안테나 성능을 파악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수신 안테나를 분리하여 별도의 장비에 설치하거나 안테나 성능을 측정하여야 하였으며, 기지국 서비스의 중단을 초래하는 문제점이 존재하였다.
따라서, 서비스 중단없이 기지국의 수신 정재파비의 측정이 당업계에 절실히 요구되고 있으나, 현재 기지국의 내부구성은 제조사에 따라 각각 다르므로, 그 측정방법을 구현하는데 어려운 점이 존재하는 것이 현실이다.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서비스 중단없이 수신안테나 또는 다이버시티 안테나의 정재파비 측정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서비스 중단을 요하지 않고, 제조사별로 다른 구성을 가지는 기지국 장치마다 적합하게 수신 정재파비를 측정하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며, 측정 장치의 역방향 과출력을 방지하여 더욱 안정적인 수신 정재파비를 측정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전술한 본 발명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하나의 특징에 따른 정재파비 측정 장치는, 전력신호를 출력하는 발신 회로와; 상기 발신 회로로부터 상기 기지국의 수신회로 방향으로 상기 전력 신호를 전달하고, 상기 발신 회로로부터 상기 전력 신호를 안테나 방향으로 전달하는 방향성 커플러와; 상기 수신회로내의 경로중, 상기 수신회로 방향으로 전달된 전력신호로부터 유기된 제 1 전력을 측정하는 제 1 전력 측정부와; 상기 수신회로내의 경로중, 상기 안테나로 전달되어 반사된 전력 신호로부터 유기된 제 2 전력을 측정하는 제 2 전력 측정부와; 상기 제 1 전력과 제 2 전력의 차분을 계산하는 제 3 전력 계산부와; 상기 제 3 전력에 대응한 정재파비가 저장되어 있는 제 3 전력대 정재파비 테이블과; 상기 제 3 전력에 대응하는 정재파비를 검출하여 출력하는 정재파비 측정부를 포함한다.
여기에 있어서, 상기 제 1 전력 및 제 2 전력은 수신회로내의 경로중 스위치에서 측정될 수 있으며, 상기 제 1 전력 및 제 2 전력은 개방된 단자로 유기된 전력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른 정재파비 측정 장치는, 상기 정재파비 측정부로부터 측정 종료를 검출하는 측정 종료 검출부와; 측정 개시시부터 소정의 시간을 카운팅하는 타이머를 더 포함하고, 상기 발신회로는, 상기 측정 종료 검출부와 상기 타이머의 동작에 따라 발신 전원을 제어하는 전원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발신회로는, 상기 전원 제어부에 의해 구동되고, 구동시 측정 개시를 상기 타이머를 구동시키는 전원 모듈과; 상기 전원 모듈에서 제공된 전원으로부터 소정의 주파수의 신호를 외부로 출력하는 발진 회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다.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이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에 대하여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제 2 안테나(123)의 수신 정재파비를 측정 방법을 도시하고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수신 정재파비 측정 장치는 방향성 커플러(200)과, 측정장치(400)을 포함하며, 상기 측정장치는 검출 회로(410)과 발신회로(420)를 포함한다.
수신회로(120)는 고출력 증폭장치(111)와 같이 자체의 출력 장치가 없으므로, 도시된 바와 같이 별도의 발신 회로(410)를 구비한다. 상기 2 출력 발신회로에서 시간적 간격을 두고 출력된 전력신호는 방향성 커플러(200)의 순방향 포트(201)와 역방향 포트(202)로 각각 입력되고, 입력된 신호는 그 방향성에 따라서 수신회로와 안테나로 각각 전송된다. 여기서, 발신회로(420)는 20 dBm의 미세한 전력이므로, 호가 할당되지 않는 주파수로 설정되므로 수신회로의 수신 동작에 영향을 미치지 않으며, 실시간적으로 정재파비를 측정할 수 있다.
상기 발신회로(420)에서 발신되는 신호는 순방향 포트(201)와 역방향 포트(202)로 입력되어 수신회로내의 저잡음 증폭기(122)의 포트(123)를 경유하여 검출회로(410)로 접속된다.
상기 순방향 포트(201)로 입력된 전달 전력 신호(10)와 역방향 포트(202)로 입력되어 안테나에 반사된 반사 전력 신호(20)는 검출회로(410)로 입력된다. 상기 전달 전력(10)과 반사 전력(20)의 비, 즉 dB 단위의 차분을 이용하여 반사계수 ρ를 구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반사 계수를 기초로 수학식 1에 따라서 정재파비를 계산하게 된다. 상기 계산된 정재파비를 이용하여 안테나를 분리하거나, 수신 동작을 중지하지 않고 수신 안테나의 이상 유무를 판별할 수 있게 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수신 정재파비 측정 방법 및 장치의 구조를 도시하고 있다.
도 2에 도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의 경우에는 수신단 자체에서 연결포트가 존재하는 경우 구현이 가능하지만, 제조사별로 이러한 연결포트(125)를 지원하지 않거나 고려하지 않은 장비도 존재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는 자체 수신단의 포트를 이용할 수 없는 경우에도 수신 정재파비를 측정할 수 있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신 정재파비 측정 장치는 방향성 커플러(210)과 검출 회로(310) 및 발신회로(320)를 포함한 측정 장치(300)를 포함한다. 상기 방향 성 커플러(210)는 순방향 포트(211)와, 역방향 포트(212)를 포함하며, 발신 회로(320)에서 시간적 간격을 두고 출력되는 전력 신호를 각각 수신 회로 방향과 안테나 방향으로 분배한다. 순방향 포트(211)로 발신된 전력 신호는 수신회로 측으로 전달되어 전달 전력으로 취급되며, 역방향 포트(212)로 발신된 전력 신호는 안테나(123)에 반사되어 반사 전력으로 취급된다.
검출회로(310)는 수신회로의 경로중 임의의 스위치(124)에 접속되어 유기 전력을 측정한다. 수신 회로 내에는 복수의 스위치가 존재하며, 개방된 스위치 단자 사이에도 미세한 전력이 유실되며, 유기 전력으로 접수된다. 이렇게 측정된 유기 전력은 각각 순방향 유기 전력 경로(30)와 역방향 유기 전력 경로(40)를 거쳐 시간적 간격을 두고 검출회로(310)에 수신된다.
상기 수신된 전력으로부터 유기전력이 계산되고, 안테나의 정상 운용시의 유기 전력값과 비교하여 안테나의 정재파비를 검출하게 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수신단 자체에 별도의 정재파비 검출용 포트를 구비하지 않은 기지국에서도 정재파비 검출이 가능해진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검출 회로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3에 도시된 검출 회로(300)은, 경로(30)를 통하여 수신된 제 1 전력 신호를 측정하는 제 1 전력 측정부(311), 경로(40)를 통하여 수신된 제 2 전력 신호를 측정하는 제 2 전력 측정부(312), 상기 제 1 전력과 제 2 전력의 차분을 계산하는 제 3 전력 계산부(320), 상기 측정된 제 3 전력과 안테나의 상태별 정재파비가 저장되어 있는 유기 전력 대 정재파비 테이블(350), 상기 제 3 전력 대 정재파비 테이블에 기초하여 대응하는 정재파비를 검출하는 정재파비 검출부(330), 검출된 정재파비를 산출하는 정재파비 산출부(340) 및 상기 제 3 전력 계산부(320), 정재파비 검출부(330), 정재파비 산출부(340)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 제 1 전력 측정부(311)와, 제 2 전력 측정부(312)는 경로(30)과 경로(40)를 통해 수신된 유기 전력을 각각 측정하여, 이를 제 3 전력 계산부(320)에 전송한다. 제 3 전력 계산부(320)는 측정된 제 1 전력과 제 2 전력의 차분을 계산하여 그 결과를 정재파비 검출부(330)에 전송한다. 상기 정재파비 검출부(350)는 제 3 전력 대 정재파비 테이블을 참조하여 대응하는 정재파비를 검출하게 된다. 상기 테이블은 실험적으로 만들어진 것으로서, 스위치에서 유기되는 전력의 차분과 안테나 상태에 따른 정재파비가 미리 저장되어 있다. 상기 검출된 정재파비를 정재파비 산출 부(340)는 현재 수신 안테나의 정재파비로서 출력하게 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정재파비 검출방법의 흐름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측정이 시작되면, 상기 순방향 전력 신호에 의해 유기된 전력인 제 1 입력 전력을 측정하고(S110), 시간적 간격을 둔 역방향 전력 신호에 의해 유기된 전력인 제 2 입력 전력을 측정한다(S120). 상기 제 1 입력 전력과 제 2 입력 전력을 기초로 하여 두 유기 전력의 차분을 제 3 전력으로서 계산한다(S130). 여기서, 발신회로(320)의 출력 레벨은 일정하게 유지되므로, 상기 계산된 제 3 전력은 비교적 일정한 값에 수렴하게 된다. 상기 유기 전력들의 차분값을 이용하여 제 3 전력 대 정재파비 테이블에서 대응 정재파비를 검색하게 된다(S140). 여기서, 대응하는 정재파비가 검출되면, 수신 안테나의 정재파비로서 산출하게 된다(S150). 또한, 더욱 정확한 수치를 찾기 위하여 상기 측정과정을 복수회 반복하여(S160), 그 평균치를 수신 정재파비로 결정할 수 있다.(S180, S200).
전술한 바와 같이, 제 1 실시예와 제 2 실시예를 별개로 설명하였으나, 제 1 실시예의 경우에는 제 1 전력 측정과 제 2 전력 측정의 dB 단위의 차분을 구함으로써 용이하게 정재파비를 산출할 수 있으므로, 정재파비 측정부가 단순 모드 전환으로써 상이한 제작사에 의해 제작된 기지국의 수신 정재파비를 측정할 수 있는 것은 당업자에게 자명할 것이다.
이러한, 정재파비 측정 장치는 기지국 수신단의 포트의 유무에 따라 모드 전환을 할 수 있는 스위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도시 생략).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사용될 수 있는 정재파비 측정 장치의 감시 장치의 내부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전술한 정재파비 측정 장치(300, 400)은 별도의 발신 회로를 갖추고 수신 정재파비를 측정하기 위해서는 발진 회로에서 발생되는 신호를 사용하게 된다. 상기 신호는 20 dBm의 낮은 전력을 이용하기 때문에 수신 회로의 동작에 영향을 끼치지 않고 측정을 수행할 수 있으나, 측정 동작이 끝난 상태에서도 발신 회로가 발신을 수행하거나, 수신 신호의 역방향 과출력이 일어나는 경우에는 수신 회로의 이상을 일으키게 된다. 따라서, 상기의 경우에는 실시간 정재파비 검출에 장애가 될 수 있으므로 발진 회로의 안정적인 동작을 확보하는 것이 반드시 필요하다.
도 6에 도시된 측정 장치(500)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 및 제 2 실시예에 공통적으로 적용이 가능하다. 발신 부(520)는 발진 회로(522), 전원 모듈(521), 전원 제어부(523)와 발신 측 인터페이스(524)를 포함한다. 측정부(514)는 측정회로(511)와, 측정 종료 검출부(512), 타이머(513), 측정측 인터페이스(514)를 포함한다. 이하 각각의 구성요소의 연결관계와 동작을 설명한다.
측정이 개시되면, 전원 제어부(523)에 의해 전원 모듈(521)을 동작 시키고, 발진회로(522)는 적합한 주파수로 발진하게 된다. 상기 전원 모듈과 발진 회로는 위상 동기 루프(PLL)등을 통해서 동기가 이루어질 수 있다.
전원제어부(523)의 제어에 따라 측정용 발신 신호가 출력되고, 상기 전원 모듈의 동작은 측정회로(511)에 전달되어, 전술한 바와 같이 제 1 전력과 제 2 전력을 교번으로 측정하게 된다. 측정 종료 검출부(512)는 측정 회로(511)의 측정 동작을 감시하고 측정종료가 검출되면, 종료 확인 신호를 인터페이스(514, 524)를 통해 전원 제어부에 공급하고, 상기 전원 제어부는 전원 모듈과 발진 회로의 동작을 중지시킨다.
또한, 상기 전원 모듈(521)은 상기 측정회로(511)에 전원 상태를 알리는 것 외에도, 타이머(513)에 전원 상태를 통보하여 타이머를 작동 시킨다.
전술한 상황에서, 측정 회로에서 측정을 종료하였으나, 종료 확인 신호가 생성되지 않거나, 측정 종료 신호가 정확한 전원 모듈의 제어를 행하지 못한 경우에는, 타이머(513)가 전원 제어부(523)에 타임 아웃 신호를 전송하여 강제적으로 전원 모듈의 발신 동작을 중지시키게 된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신 정재파비 측정 장치 감시 동작의 흐름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최초 측정 장치는 전원 오프의 상태이며(S210), 측정이 시작되면, 외부의 스위치등으로 전원 온 상태가 된다(S220). 전원이 온 되면, 측정이 수행 되고 측정 종료를 확인하는 일련의 프로세스가 진행되는 동시에(S230), 소정의 시간으로 설정된 타이머(S290)를 구동하게 된다.
측정이 종료되면, 단계(S230)에서 전원 제어부가 측정 종료를 확인하게 되고 확인 신호가 수신된 경우에는 전원 오프 동작을 수행한다(S260). 확인 신호가 아직 수신되지 않은 경우에는 타이머(513)로부터 타임아웃 신호가 도착했는지 확인하고, 아직 타임아웃이 되지 않은 경우에는 측정 종료 신호의 확인을 반복하고, 타임 아웃인 경우에는 전원 오프 동작을 수행한다(S250).
전술한 측정 장치의 감시 장치를 이용하여 본 발명의 정재파비 측정 동작은 오동작을 미연에 방지하여 안정적으로 수행 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전술한 본 발명의 구성에 의한 수신 정재파비 측정 장치 및 측정 방법은 별도의 수신 기지국의 내부 구조에 상관없이 실시간 수신 정재파비 측정이 가능하며, 역방향 과출력등을 사전에 방지하여 안정적인 정재파비와 안테나 성능을 측정할 수 있는 현저한 효과를 구비한다.
도 1은 다이버시티 안테나를 구비한 기지국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수신 정재파비를 측정하는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수신 정재파비를 측정하는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검출기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정재파비 측정 흐름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사용되는 측정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사용되는 측정장치의 동작 흐름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Claims (11)

  1. 서비스 중단 없이 기지국의 수신 정재파비를 측정하는 장치에 있어서:
    전력신호를 출력하는 발신 회로와;
    상기 발신 회로로부터 상기 기지국의 수신회로 방향으로 상기 전력 신호를 전달하고, 상기 발신 회로로부터 상기 전력 신호를 안테나 방향으로 전달하는 방향성 커플러와;
    상기 수신회로내의 경로중, 상기 수신회로 방향으로 전달된 전력신호로부터 유기된 제 1 전력을 측정하는 제 1 전력 측정부와;
    상기 수신회로내의 경로중, 상기 안테나로 전달되어 반사된 전력 신호로부터 유기된 제 2 전력을 측정하는 제 2 전력 측정부와;
    상기 제 1 전력과 제 2 전력에 기초하여 제 3 전력을 계산하는 제 3 전력 계산부와;
    상기 제 3 전력에 대응한 정재파비가 저장되어 있는 제 3 전력대 정재파비 테이블과;
    상기 제 3 전력에 대응하는 정재파비를 검출하여 출력하는 정재파비 측정부를 포함하는 수신 정재파비 측정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전력 및 제 2 전력의 측정은 수신회로내의 스위치에서 이루어지며 , 상기 제 1 전력 및 제 2 전력은 상기 스위치의 개방된 단자로 유기된 전력인 수신 정재파비 측정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전력 대 정재파비 테이블은 실험적으로 작성된 수신 정재파비 측정 장치.
  4. 제 1 항 내지 제 3 항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정재파비 측정부로부터 측정 종료를 검출하는 측정 종료 검출부와;
    측정 개시시부터 소정의 시간을 카운팅하는 타이머를 더 포함하고,
    상기 발신회로는, 상기 측정 종료 검출부와 상기 타이머의 동작에 따라 발신 전원을 제어하는 전원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수신 정재파비 측정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발신회로는,
    상기 전원 제어부에 의해 구동되고, 구동시 측정 개시를 상기 타이머를 구동시키는 전원 모듈과;
    상기 전원 모듈에서 제공된 전원으로부터 소정의 주파수의 신호를 외부로 출력하는 발진 회로를 더 포함하는 수신 정재파비 측정 장치.
  6. 서비스 중단없이 수신 기지국의 정재파비를 측정하는 방법에 있어서,
    발신회로로부터 상기 기지국의 수신회로 방향으로 전력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와;
    발신 회로로부터 상기 기지국의 안테나 방향으로 상기 전력신호를 출력하는 단계와;
    상기 수신회로의 경로중에서, 상기 수신회로 방향으로 전송된 전력신호에서 유기된 제 1 전력을 측정하는 단계와;
    상기 수신회로의 경로중에서, 상기 안테나로부터 반사된 전력신호에서 유기된 제 2 전력을 측정하는 단계와;
    상기 제 1 전력과 제 2 전력에 기초하여 제 3 전력을 측정하는 단계와;
    상기 제 3 전력에 대응하는 정재파비가 저장되어 있는 제 3 전력 대 정재파비 테이블에서 대응하는 정재파비를 검출하는 단계와;
    상기 검출된 정재파비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수신 정재파비 측정 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전력은 상기 제 1 전력과 제 2 전력의 dB 단위의 차분인 수신 정재파비 측정 방법.
  8. 제 6 항 또는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정재파비를 출력하고 나면 측정 종료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와;
    전원 제어부가 상기 측정 종료 신호를 확인 하면, 상기 발신 회로의 전원을 오프상태로 전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수신 정재파비 측정 방법.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발신회로가 전력 신호를 출력할 때, 소정의 시간이 설정된 타이머를 구동하는 단계와;
    상기 전원 제어부는 상기 타이머가 타임 아웃 된 경우, 상기 발신 회로의 전원을 오프 상태로 전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수신 정재파비 측정 방법.
  10. 삭제
  11. 서비스 중단 없이 수신 기지국의 정재파비를 측정하는 방법에 있어서,
    발신 회로가 상기 기지국의 수신회로 방향으로 전력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와;
    상기 발신 회로가 상기 기지국의 안테나의 방향으로 전력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수신 기지국의 수신회로내에 별도의 수신단이 존재하는 경우,
    상기 기지국의 수신단에서 상기 수신회로 방향으로 전송된 제 1 전력을 측정하는 단계와;
    상기 기지국의 수신단에서 상기 안테나로부터 반사되어진 제 2 전력을 측정하는 단계와;
    상기 제 1 전력과 제 2 전력에 기초하여 수신 정재파비를 측정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수신 기지국의 수신 회로내에 별도의 수신단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
    상기 수신회로의 경로중에서, 상기 수신회로 방향으로 전송된 전력신호에서 유기된 제 3 전력을 측정하는 단계와;
    상기 수신회로의 경로중에서, 상기 안테나로부터 반사된 전력신호에서 유기된 제 4 전력을 측정하는 단계와;
    상기 제 3 전력과 제 4 전력에 기초하여 제 5 전력을 측정하는 단계와;
    상기 제 5 전력에 대응하는 정재파비가 저장되어 있는 제 5 전력 대 정재파비 테이블에서 대응하는 정재파비를 검출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수신 정재파비 측정 방법.
KR10-2003-0022597A 2003-04-10 2003-04-10 수신 정재파비 측정 장치 및 그 방법 KR10053441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22597A KR100534415B1 (ko) 2003-04-10 2003-04-10 수신 정재파비 측정 장치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22597A KR100534415B1 (ko) 2003-04-10 2003-04-10 수신 정재파비 측정 장치 및 그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88643A KR20040088643A (ko) 2004-10-20
KR100534415B1 true KR100534415B1 (ko) 2005-12-07

Family

ID=373703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22597A KR100534415B1 (ko) 2003-04-10 2003-04-10 수신 정재파비 측정 장치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34415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88643A (ko) 2004-10-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78613B1 (ko) 안테나및피더케이블테스팅장치및방법
US6313644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measuring voltage standing wave ratio in antenna of base station
EP2226955A2 (en) Wireless communication apparatus and method
US20120155287A1 (en) Method and device for duplexer fault detection
KR20070027581A (ko) 송신기의 부하 임피던스 불량 검출 방식
US8280316B2 (en) Wireless transmitting/receiving device
CN112118055B (zh) 一种驻波检测装置及通信设备
KR100531619B1 (ko) 수신전용 패스를 포함하는 통신 시스템의 수신감도를측정하는 장치 및 방법
KR100534415B1 (ko) 수신 정재파비 측정 장치 및 그 방법
KR20000007967A (ko) 기지국 시험장치의 자체 점검 방법
KR20190014357A (ko) 통신 신호 보상기
JP3973958B2 (ja) アンテナ・セルフチェック機能付き受信機
JP2004015518A (ja) 移動無線システムの無線チャネル接続切替方式
JP3522225B2 (ja) 無線装置およびその受信故障検出方法
WO2013089553A1 (en) A system and method to detect and switch between internal and external antennas
KR20020068967A (ko) 안테나 정재파비 측정장치
KR101870935B1 (ko) 멀티밴드 반사신호 측정 장치
JP2912253B2 (ja) アンテナ故障検出回路
JP2637930B2 (ja) 送信電力制御回路
KR100434342B1 (ko) 무선통신망의 기지국 송신기 회로
KR100530585B1 (ko) 호 상태를 보정한 기지국의 송신 정재파비 측정 장치 및그 방법
KR20000001672A (ko) 기지국 시험 장비의 송신 출력 검출 유니트를 이용한 수신안테나 정합비 측정 방법
KR19990070544A (ko) 무선가입자망용 기지국의 송수신 급전상태 감시장치
KR100834613B1 (ko) 기지국에서 송신 출력을 측정하는 방법 및 장치
CN117411569A (zh) 一种天线检测电路和终端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0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02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01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