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33397B1 - 엘엔지 선박의 단열박스의 제조 공정 - Google Patents

엘엔지 선박의 단열박스의 제조 공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33397B1
KR100533397B1 KR10-2002-0009500A KR20020009500A KR100533397B1 KR 100533397 B1 KR100533397 B1 KR 100533397B1 KR 20020009500 A KR20020009500 A KR 20020009500A KR 100533397 B1 KR100533397 B1 KR 10053339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x
stamping
nailer
top plate
insulating materi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095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69613A (ko
Inventor
김영민
윤택수
조준호
Original Assignee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2-00095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33397B1/ko
Priority to CNB031005047A priority patent/CN1244764C/zh
Priority to JP2003013176A priority patent/JP2003261093A/ja
Publication of KR200300696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6961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333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33397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5/00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 B63B25/02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bulk goods
    • B63B25/08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bulk goods fluid
    • B63B25/12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bulk goods fluid closed
    • B63B25/16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bulk goods fluid closed heat-insulated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Filling Or Discharging Of Gas Storage Vessels (AREA)
  • Pack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장 효율적인 순서로 각 제조 공정을 두어 획기적인 시수절감을 이루는 엘엔지 선박의 단열박스의 제조 공정에 관한 것이며, 박스 부재를 네일러로 고정하는 가조립 단계(1); 박스의 측면을 스템플러로 스템플링하는 측면 스템플링 단계(2); 상면 1차 스탬플링 단계(3), 상면 2차 스템플링 단계(4), 상면 3차 스템플링 단계(5)로 이루어지는 박스의 상판과 수직부재를 조립하는 상면 스템플링 단계; 전단계에서 조립한 상판의 밑판위에 상판을 네일러로 고정하는 더블 탑 가조립 단계(6); 상판을 스템플링하는 더블 탑 스템플링 단계(7); 전단계의 작업 상태를 검사하는 1차 검사 단계(8); 상부의 조립이 끝난 박스를 뒤집는 박스 뒤집기 단계(9); 박스 전체를 균일하게 벨트 샌더로 밀어주는 박스 샌딩 단계(10); 박스 내부에 단열재를 충진하는 단열물질 충진 단계(11); 단열물질 충진후 박스의 하부를 스템플링하기 위해 하부 부재를 사람이 네일러로 고정하는 하부 가조립 단계(12); 하부 1차 스템플링 단계(13), 하부 2차 스템플링 단계(14), 하부 3차 스템플링 단계(15)로 이루어지는 하부 스템플링 단계; 클리트의 높이를 일정하게 맞추기 위해 절단하는 클리트(cleat) 사이징 단계(16); 전단계의 박스 조립을 검사하는 2차 검사 단계(17); 박스 적재단계(18), 박스 랩핑 단계(19), 팰릿 운반 단계(20)로 이루어지는 박스 이송단계;가 순차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엘엔지 선박의 단열박스의 제조 공정{A manufacturing process of a thermal insulation box for a LNG ship}
본 발명은 엘엔지 선의 카고 호울드의 단열재로 사용되는 단열박스의 제작공정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가장 효율적인 순서로 각 제조 공정을 두어 획기적인 시수절감을 이루는 엘엔지 선박의 단열박스의 제조 공정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엘엔지 선의 단열재로 사용되는 단열박스를 제조할 때 2명이 일조가 되어 엔엔지 선에 사용되는 몇만개의 단열박스를 수동으로 스템플링하여 제작하여 왔다.
그리고 현재에는 자동화된 스템플링 머신이 나와 있으나, 효율적인 공정관리가 되지 않아 자동화된 기계의 각 단계에서 다음 단계로 넘어갈 때 적절한 순서가 없어 비효율적이었다.
이에 자동화 머신을 가장 효율적으로 배치하는 공정순서가 필요하게 되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이 공정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하여 가장 적절한 순서로 자동화 머신을 재배치하고 각 단계를 연결하여 단열박스 제조의 공정 시수를 줄이고자 하는 목적을 가지고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엘엔지 선에 사용되는 단열박스 제조 공정에 있어서, 박스 부재를 네일러로 고정하는 가조립 단계; 박스의 측면을 스템플러로 스템플링하는 측면 스템플링 단계; 상면 1차 스탬플링 단계, 상면 2차 스템플링 단계, 상면 3차 스템플링 단계로 이루어지는 박스의 상판과 수직부재를 조립하는 상면 스템플링 단계; 전단계에서 조립한 상판의 밑판위에 상판을 네일러로 고정하는 더블 탑 가조립 단계; 상판을 스템플링하는 더블 탑 스템플링 단계; 전단계의 작업 상태를 검사하는 1차 검사 단계; 상부의 조립이 끝난 박스를 뒤집는 박스 뒤집기 단계; 박스 전체를 균일하게 벨트 샌더로 밀어주는 박스 샌딩 단계; 박스 내부에 단열재를 충진하는 단열물질 충진 단계; 단열물질 충진후 박스의 하부를 스템플링하기 위해 하부 부재를 사람이 네일러로 고정하는 하부 가조립 단계; 하부 1차 스템플링 단계, 하부 2차 스템플링 단계, 하부 3차 스템플링 단계로 이루어지는 하부 스템플링 단계; 클리트의 높이를 일정하게 맞추기 위해 절단하는 클리트(cleat) 사이징 단계; 전단계의 박스 조립을 검사하는 2차 검사 단계; 박스 적재단계, 박스 랩핑 단계, 팰릿 운반 단계로 이루어지는 박스 이송단계;가 순차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엔지 선박의 단열박스의 제조 공정을 제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각 공정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조립 단계(1), 측면 스템플링 단계(2), 상면 1차 스탬플링 단계(3), 상면 2차 스템플링 단계(4), 상면 3차 스템플링 단계(5), 더블 탑 가조립 단계(6), 더블 탑 스템플링 단계(7), 1차 검사 단계(8), 박스 뒤집기 단계(9), 박스 샌딩 단계(10), 단열물질 충진 단계(11), 하부 가조립 단계(12), 하부 1차 스템플링 단계(13), 하부 2차 스템플링 단계(14), 하부 3차 스템플링 단계(15), 클리트(cleat) 사이징 단계(16), 2차 검사 단계(17), 박스 적재단계(18), 박스 랩핑 단계(19), 팰릿 운반 단계(20)로 이루어진다.
각 단계별로 상세히 설명하면, 가조립 단계(1)는 전체가 4개의 소 단계로 이루어지며, 기계로 박스를 조립하기 전에 사람이 이동용 지그에 박스 부재를 삽입하고 네일러(nailer)로 부재를 고정하는 단계이다. 이렇게 가조립 단계(1)를 지나면 측면 스템플링 단계(2)를 거치는데, 박스의 측면을 좌우 각각 10개의 스템플러로 스템플링 작업을 한다.
측면 스템플링 단계(2)의 다음에는 상면 1차 스템플링 단계(3), 상면 2차 스템플링 단계(4), 상면 3차 스템플링 단계(5)로 이루어지는 상면 스템플링 단계를 거친다. 상면 스템플링 단계는 박스의 상면을 스템플링 하는 단계로 박스의 탑(top)과 수직부재를 3개의 단계로 구분하여 조립하는 단계이다.
그 다음 단계는 더블 탑 가조립 단계(6)인데, 박스의 탑이 2겹으로 구성되어 있어 밑판의 조립작업은 앞 단계에서 실시하고 상판의 조립을 위해서 밑판위에 상판을 네일러로 고정하는 단계이다.
다음은 더블 탑 스템플링 단계(7)인데 박스의 상판을 스템플링 하는 단계이다.
이와 같이 상부쪽 작업을 끝내고 사람이 수작업으로 검사하는 단계인 1차 검사 단계(8)를 거친다.
그 후에 박스 상면조립이 끝났으므로 박스의 하부와 단열물질 충진을 위해 박스를 뒤집는 박스 뒤집기 단계(9)를 거친다.
엘엔지선에 사용되는 단열박스는 그 높이가 일정해야 하므로 각 박스의 높이를 일정하게 하기 위한 작업을 거쳐야 한다. 그러한 작업으로 박스 전체를 균일하게 벨트 샌더로 밀어주는 박스 샌딩 단계(10)를 거친다.
이와 같이 박스의 높이를 균일하게 한 다음 박스의 내부에 단열물질인 펄라이트를 충진하고 진동 테이블을 이용하여 일정 밀도로 박스를 충진하는 단열물질 충진단계(11)를 거친다. 그 후에 박스의 하부를 스템플링 하기 위하여 사람이 하부 부재를 네일러로 고정하는 하부 가조립 단계(12)를 거친다.
하부 가조립 단계(12) 다음에는 박스의 하부를 스템플링하는 하부 스템플링 단계를 거친다. 상기 하부 스템플링 단계는 하부판과 수직부재를 하부 1차 스템플링 단계(13), 하부 2차 스템플링 단계(14), 하부 3차 스템플링 단계(15)로 구분하여 조립한다.
이와 같이 단열 박스가 하부가 마무리되면, 선내에서 박스를 고정할 때 사용하는 클리트(cleat)의 높이를 일정하게 맞추기 위해 클리트 0.2mm 정도를 톱날로 균일하게 절단하는 클리트 사이징 단계(16)를 거친다.
상기 클리트 사이징 단계(16)를 거친후 1차 검사 이후의 작업 상태를 사람이 수동으로 검사하는 단계인 2차 검사단계(17)를 거쳐 정도를 확인한다.
완성된 박스를 팰릿(pallet)위에 5개씩 적재하는 박스 적재단계(18)와 팰릿위에 적재된 5개의 박스를 습기등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해 비닐로 포장하는 박스 래핑 단계(19)를 거친다. 그리고 박스가 적재된 팰릿을 박스 적재기 위에 자동으로 운반하는 팰릿 운반 단계(20)를 거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엘엔지 선에 사용되는 많은 양의 단열박스의 제조 공정을 순서화 하여 효율적인 공정관리가 이루어지게 하여 많은 시수를 줄이고, 제조 원가를 절감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단열박스 제조 공정의 흐름을 나타낸 도면.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간단한 설명 >
1 : 가조립 단계 2 : 측면 스템플링 단계
3 : 상면 1차 스탬플링 단계 4 : 상면 2차 스템플링 단계
5 : 상면 3차 스템플링 단계 6 : 더블 탑 가조립 단계(6)
7 : 더블 탑 스템플링 단계 8 : 1차 검사 단계
9 : 박스 뒤집기 단계 10 : 박스 샌딩 단계
11 : 단열물질 충진 단계 12 : 하부 가조립 단계
13 : 하부 1차 스템플링 단계 14 : 하부 2차 스템플링 단계
15 : 하부 3차 스템플링 단계 16 : 클리트(cleat) 사이징 단계
17 : 2차 검사 단계 18 : 박스 적재단계
19 : 박스 랩핑 단계 20 : 팰릿 운반 단계

Claims (1)

  1. 엘엔지 선에 사용되는 단열박스 제조 공정에 있어서, 박스 부재를 네일러로 고정하는 가조립 단계(1); 박스의 측면을 스템플러로 스템플링하는 측면 스템플링 단계(2); 상면 1차 스탬플링 단계(3), 상면 2차 스템플링 단계(4), 상면 3차 스템플링 단계(5)로 이루어지는 박스의 상판과 수직부재를 조립하는 상면 스템플링 단계; 전단계에서 조립한 상판의 밑판위에 상판을 네일러로 고정하는 더블 탑 가조립 단계(6); 상판을 스템플링하는 더블 탑 스템플링 단계(7); 전단계의 작업 상태를 검사하는 1차 검사 단계(8); 상부의 조립이 끝난 박스를 뒤집는 박스 뒤집기 단계(9); 박스 전체를 균일하게 벨트 샌더로 밀어주는 박스 샌딩 단계(10); 박스 내부에 단열재를 충진하는 단열물질 충진 단계(11); 단열물질 충진후 박스의 하부를 스템플링하기 위해 하부 부재를 사람이 네일러로 고정하는 하부 가조립 단계(12); 하부 1차 스템플링 단계(13), 하부 2차 스템플링 단계(14), 하부 3차 스템플링 단계(15)로 이루어지는 하부 스템플링 단계; 클리트의 높이를 일정하게 맞추기 위해 절단하는 클리트(cleat) 사이징 단계(16); 전단계의 박스 조립을 검사하는 2차 검사 단계(17); 박스 적재단계(18), 박스 랩핑 단계(19), 팰릿 운반 단계(20)로 이루어지는 박스 이송단계;가 순차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엔지 선박의 단열박스의 제조 공정.
KR10-2002-0009500A 2002-02-22 2002-02-22 엘엔지 선박의 단열박스의 제조 공정 KR100533397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09500A KR100533397B1 (ko) 2002-02-22 2002-02-22 엘엔지 선박의 단열박스의 제조 공정
CNB031005047A CN1244764C (zh) 2002-02-22 2003-01-09 液化天然气运输船舶专用绝热箱的制造方法
JP2003013176A JP2003261093A (ja) 2002-02-22 2003-01-22 Lng船舶の断熱ボックスの製造工程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09500A KR100533397B1 (ko) 2002-02-22 2002-02-22 엘엔지 선박의 단열박스의 제조 공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69613A KR20030069613A (ko) 2003-08-27
KR100533397B1 true KR100533397B1 (ko) 2005-12-02

Family

ID=278006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09500A KR100533397B1 (ko) 2002-02-22 2002-02-22 엘엔지 선박의 단열박스의 제조 공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2003261093A (ko)
KR (1) KR100533397B1 (ko)
CN (1) CN1244764C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47024B1 (ko) 2012-09-19 2014-01-24 에스티엑스중공업 주식회사 Lng 선박용 저장탱크의 단열재 적입장치
KR101467261B1 (ko) * 2013-08-16 2014-12-02 에스티엑스조선해양 주식회사 단열박스의 단열재 적입장치용 가압유닛
KR20150066689A (ko) * 2013-12-09 2015-06-17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단열박스 제조 시스템 및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0443231C (zh) * 2006-11-10 2008-12-17 沪东中华造船(集团)有限公司 液化天然气船用殷瓦三面体的装焊方法
JP5337796B2 (ja) * 2007-05-29 2013-11-06 ヒュンダイ ヘビー インダストリーズ 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 溶接型2次防壁を備える液化天然ガス貯蔵容器用断熱システムとその施工方法
CN101249874B (zh) * 2008-04-02 2012-05-30 沪东中华造船(集团)有限公司 Lng船绝缘箱的拼装方法及拼装模块
CN101319753B (zh) * 2008-05-09 2011-11-02 沪东中华造船(集团)有限公司 液化天然气船用绝缘箱的制造方法及生产线
CN107792299B (zh) * 2017-10-23 2019-05-14 上海交通大学 薄膜型液化天然气船用绝热箱及其构造方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84678A (ja) * 1995-12-28 1997-07-15 Sanyo Electric Co Ltd 断熱箱体及びその製造方法
KR19990067748A (ko) * 1998-01-27 1999-08-25 다니구찌 이찌로오, 기타오카 다카시 전진공 단열상자체 및 그 제조방법과 해체방법
JP2000128256A (ja) * 1998-10-26 2000-05-09 Mitsubishi Electric Corp 断熱箱体の製造方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84678A (ja) * 1995-12-28 1997-07-15 Sanyo Electric Co Ltd 断熱箱体及びその製造方法
KR19990067748A (ko) * 1998-01-27 1999-08-25 다니구찌 이찌로오, 기타오카 다카시 전진공 단열상자체 및 그 제조방법과 해체방법
JP2000128256A (ja) * 1998-10-26 2000-05-09 Mitsubishi Electric Corp 断熱箱体の製造方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47024B1 (ko) 2012-09-19 2014-01-24 에스티엑스중공업 주식회사 Lng 선박용 저장탱크의 단열재 적입장치
KR101467261B1 (ko) * 2013-08-16 2014-12-02 에스티엑스조선해양 주식회사 단열박스의 단열재 적입장치용 가압유닛
KR20150066689A (ko) * 2013-12-09 2015-06-17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단열박스 제조 시스템 및 방법
KR102213507B1 (ko) * 2013-12-09 2021-02-08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단열박스 제조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244764C (zh) 2006-03-08
JP2003261093A (ja) 2003-09-16
CN1439839A (zh) 2003-09-03
KR20030069613A (ko) 2003-08-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33397B1 (ko) 엘엔지 선박의 단열박스의 제조 공정
CA2151345A1 (en) Packaging arrangement
MY170118A (en) A method and a mold to arrange features on a substrate to replicate features having minimal dimensional variability
EP1121314A4 (en) PLANT AND METHOD FOR TREATING PACKAGING
JP2001079850A (ja) タイヤ加硫方法及びその装置
TW201524286A (zh) 散熱片植放方法及裝置
CN101319753B (zh) 液化天然气船用绝缘箱的制造方法及生产线
CN205312481U (zh) 一种电机后盖输料回路及基于其的自动化生产设备
CN210388260U (zh) 一种腹腔镜穿刺器自动组装设备
JP2006239193A (ja) 弾球遊技機の遊技盤、弾球遊技機用の遊技盤の製造システム及び製造方法
US5102027A (en) Machine for manufacturing construction panels
JP4706127B2 (ja) 紙製トレー状容器の製造装置
JP2009034887A (ja) 予備成形樹脂の製造方法および製造装置
JPS6362332A (ja) 半導体装置の製造装置
TW388972B (en) Semiconductor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CN219421511U (zh) 盖板机
JP2003065670A (ja) 冷蔵庫断熱材充填治具とその搬送方法
CN211591468U (zh) 一种压深瓦楞纸折痕的碰线器压深机构
CN216311640U (zh) 键盘组装装置
JPH06278126A (ja) 複合ブロックの製造装置
JPH021796B2 (ko)
JPH0416326B2 (ko)
FR2436081A1 (fr) Berceau pour le transport d&#39;un appareil
KR0179316B1 (ko) 고밀도 및 고강도를 갖는 발포스티렌 파레트 및 그 제조방법
KR100621471B1 (ko) 글라스기판 운반용 상자의 위치고정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0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3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04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29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23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27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27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28

Year of fee payment: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