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33001B1 - 무선 텔레비전의 제어 프로토콜 및 구조 - Google Patents

무선 텔레비전의 제어 프로토콜 및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33001B1
KR100533001B1 KR10-2003-0092684A KR20030092684A KR100533001B1 KR 100533001 B1 KR100533001 B1 KR 100533001B1 KR 20030092684 A KR20030092684 A KR 20030092684A KR 100533001 B1 KR100533001 B1 KR 10053300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levision
display unit
top box
wireless
wireless displ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926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60945A (ko
Inventor
윤인호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3-00926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33001B1/ko
Publication of KR200500609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6094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330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33001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6Interfacing a local distribution network, e.g. communicating with another STB or one or more peripheral devices inside the home
    • H04N21/4363Adapting the video stream to a specific local network, e.g. a Bluetooth® network
    • H04N21/43637Adapting the video stream to a specific local network, e.g. a Bluetooth® network involving a wireless protocol, e.g. Bluetooth, RF or wireless LAN [IEEE 802.11]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104Peripherals receiving signals from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 H04N21/4122Peripherals receiving signals from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additional display device, e.g. video projecto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85End-user interface for client configur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80Generation or 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by content creator independently of the distribution process; Content per se
    • H04N21/81Monomedia components thereof
    • H04N21/8166Monomedia components thereof involving executable data, e.g. software
    • H04N21/8186Monomedia components thereof involving executable data, e.g. software specially adapted to be executed by a peripheral of the client device, e.g. by a reprogrammable remote contro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무선 텔레비전의 제어 프로토콜 및 구조에 관한 것으로, 특히 텔레비전 셋톱박스에서 제어 프로토콜에 따라 무선 표시부를 제어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무선 표시부에서 텔레비전 제어 프로토콜의 탐색 명령을 이용하여 텔레비전 셋톱박스를 탐색하는 단계와; 상기 탐색한 텔레비전 셋톱박스에서 자신의 아이피 주소를 상기 무선 표시부로 통보하는 단계와; 상기 무선 표시부에서 전원 온 명령을 송신하여 텔레비전 셋톱박스의 전원을 온시켜 엠펙 파일 수신을 시작하는 단계와; 상기 무선 표시부에서 엠펙 파일을 미디어 프로토콜을 통해 수신하고 엠펙 디코더에 전달하여 디코딩하고 표시부에 영상을 출력하는 단계와; 상기 텔레비전 셋톱박스에서 응답 메시지에 현재 채널 정보를 담아 무선 표시부로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무선 표시부에서 상기 채널 정보를 텔레비전 인터페이스를 통해 표시하는 단계로 이루어져 사용자가 무선 표시부를 가지고 근거리에서 자유롭게 이동하면서 원하는 방송 프로그램을 시청하는 이동 방송 수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무선 텔레비전의 제어 프로토콜 및 구조{WIRELESS TELEVISION CONTROL PROTOCOL AND ARCHITECTURE}
본 발명은 무선 텔레비전의 제어 프로토콜 및 구조에 관한 것으로, 특히 텔레비전 셋톱박스에서 제어 프로토콜에 따라 무선 표시부를 제어할 수 있게 한 무선 텔레비전의 제어 프로토콜 및 구조에 관한 것이다.
무선 텔레비전은 텔레비전 셋톱박스와 무선 표시부로 구성되어 사용자는 고정 위치에서 텔레비전 시청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근거리에서 무선 표시부를 갖고 자유롭게 이동하면서 방송 프로그램을 시청한다.
텔레비전 셋톱박스는 텔레비전 신호를 엠펙 인코더에 전달하여 엠펙 파일로 인코딩하고, 무선 랜을 통해 무선 표시부로 전송한다. 무선 표시부는 수신한 엠펙 파일을 디코딩하여 얻은 영상을 화면에 표시한다.
무선 텔레비전은 상기 영상 출력을 원격 제어하는 프로토콜이 필요하다. 즉, 텔레비전 셋톱박스에서 수행되는 텔레비전 시작 및 종료, 그리고, 채널 선국 기능을 무선 표시부에서 제어할 수 있어야 한다. 사용자에게는 일반 텔레비전의 리모트 컨트롤러 기능이라고 볼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필요성을 감안하여 창안한 것으로, 무선 텔레비전의 무선 텔레비전 제어 프로토콜을 정의하여 무선 표시부에서 영상 출력을 제어할 수 있도록 한 무선 텔레비전의 제어 프로토콜 및 구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무선 랜 모듈을 장착하고 인터넷 통신이 가능한 프로토콜을 내장한 텔레비전 셋톱박스에 있어서,
무선 랜 모듈을 포함하는 하드웨어 계층 위에 운영체제를 지원하는 드라이버와; 무선 네트워크 연결과 데이터 송수신을 담당하는 인터넷 프로토콜과; 엠펙 파일을 실시간으로 송수신하는 미디어 프로토콜과; 상기 운영체제를 통해 각종 자원에 접근하여 텔레비전 제어 작업을 수행하는 텔레비전 제어 프로그램과; 텔레비전 제어에 대한 명령 메시지를 수신하고 상기 텔레비전 제어 프로그램에 전달하여 처리된 결과를 응답 메시지로 송신하는 텔레비전 제어 프로토콜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무선 랜 모듈을 장착하고 인터넷 통신이 가능한 프로토콜을 내장한 무선 표시부에 있어서,
무선 랜 모듈을 포함하는 하드웨어 계층 위에 운영체제를 지원하는 드라이버와; 무선 네트워크 연결과 데이터 송수신을 담당하는 인터넷 프로토콜과; 엠펙 파일을 실시간으로 송수신하는 미디어 프로토콜과; 상기 운영체제를 통해 각종 자원에 접근하여 사용자의 명령을 입력받아 텔레비전 셋톱박스를 원격 제어하고 처리 결과를 표시하는 텔레비전 인터페이스와; 텔레비전 제어에 대한 명령 메시지를 송신하고 상기 텔레비전 셋톱박스로부터 수신되는 처리 결과를 상기 텔레비전 인터페이스로 전달하는 텔레비전 제어 프로토콜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텔레비전 셋톱박스의 소프트웨어 구조를 보인 예시도로서,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무선 랜 모듈을 포함하는 하드웨어 계층(11) 위에 운영체제(16)를 지원하는 드라이버(12), 인터넷 프로토콜(13), 미디어 프로토콜(17), 텔레비전 제어 프로토콜(14)이 존재하고 운영체제(16)를 통해 각종 자원에 접근하여 목적하는 작업을 수행하는 응용 프로그램 계층(15)으로 구성된다.
텔레비전 셋톱박스는 무선 랜 모듈을 장착하고 인터넷 통신이 가능한 프로토콜을 내장하고 있고 텔레비전 신호를 제어하는 튜너와 엠펙 인코더가 내장되어 있다. 하드웨어 계층(11)은 드라이버(12)를 통해 운영체제(16)와 통신하고, 인터넷 프로토콜(13), 미디어 프로토콜(17), 텔레비전 제어 프로토콜(14)이 존재하여 외부 장치와 통신이 가능하다.
미디어 프로토콜(17)은 실시간으로 처리되어야 하는 엠펙 파일을 송수신하는데 사용되고, 응용 프로그램 계층(15)은 운영체제(16)를 통해 각종 자원에 접근하여 목표 작업을 수행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무선 표시부의 소프트웨어 구조를 보인 예시도로서,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무선 랜 모듈을 포함하는 하드웨어 계층(21) 위에 운영체제(26)를 지원하는 드라이버(22), 인터넷 프로토콜(23), 미디어 프로토콜(27), 텔레비전 제어 프로토콜(24)이 존재하고 운영체제(26)를 통해 각종 자원에 접근하여 목적하는 작업을 수행하는 응용 프로그램 계층(25)에는 사용자의 명령에 따라 텔레비전의 방송 출력을 원격 제어하는 텔레비전 인터페이스(28)로 구성된다.
무선 표시부는 무선 랜 모듈을 장착하고 인터넷 통신이 가능한 프로토콜을 내장하고 있고 엠펙 파일을 디코딩하는 엠펙 인코더와 영상을 출력하는 표시부가 내장되어 있다. 하드웨어 계층(21)은 드라이버(22)를 통해 운영체제(26)와 통신하고, 인터넷 프로토콜(23), 미디어 프로토콜(27), 텔레비전 제어 프로토콜(24)이 존재하여 외부 장치와 통신이 가능하다.
미디어 프로토콜(27)은 실시간으로 처리되어야 하는 엠펙 파일을 송수신하는데 사용되고, 응용 프로그램 계층(25)은 운영체제(26)를 통해 각종 자원에 접근하여 목표 작업을 수행한다. 상기 응용 프로그램 계층(25)에는 텔레비전 인터페이스(28)가 존재하고 사용자의 명령에 따라 텔레비전의 방송 출력을 원격 제어한다.
이하, 무선 텔레비전의 소프트웨어 구조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텔레비전 인터페이스는 사용자의 명령에 따라 텔레비전의 전원을 끄거나 켜고, 사용자가 원하는 방송 채널로 변경하거나 사용자에게 필요한 채널을 기억 또는 삭제하고 유효한 채널을 자동 검색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하는 원격 제어 서비스를 제공한다.
네트워크 프로토콜로 인터넷 프로토콜은 무선 랜의 데이터 송수신을 지원하고 미디어 프로토콜은 실시간 전송이 중요한 엠펙 파일 전송을 지원한다.
텔레비전 제어 프로토콜은 무선 표시부가 전송하는 명령 메시지와 텔레비전 셋톱박스가 전송하는 응답 메시지로 구성된 제어 메시지를 포함한다. 명령 메시지는 전원과 채널에 관련된 명령어이고, 응답 메시지는 명령을 수행한 다음 현재 채널을 무선 표시부로 전송하는 메시지이다.
이하, 텔레비전 제어 프로토콜의 제어 메시지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명령 메시지는 아래와 같이 디바이스 아이디로 8바이트, 콜 아이디로 4바이트, 명령으로 1바이트, 데이터로 1바이트로 구성된다.
디바이스 아이디 콜 아이디 명령 데이터
디바이스 아이디는 무선 표시부 각각의 고유 아이디로 무선 표시부 인식 아이디(0x404D)+MAC 주소이고, 콜 아이디는 메시지 아이디로 ACK 메시지를 구분하거나 재전송 메시지를 구분할 때 사용하고, 명령/데이터는 전원과 채널 관련 명령어와 데이터 값이다.
명령 데이터 특징
탐색 텔레비전 셋톱박스를 탐색
전원 1 또는 2 1: 전원 온 / 2: 전원 오프
채널 변경 1 ~ 181 변경할 채널 번호
채널 저장 및 삭제 현재 채널이 저장되어 있으면 삭제, 저장되어 있지 않으면 저장
자동 채널 1 또는 2 1: 자동 채널 시작 / 2: 자동 채널 중단
응답 메시지는 아래와 같이 디바이스 아이디로 8바이트, 콜 아이디로 4바이트, 응답으로 1바이트, 설정 데이터로 4바이트로 구성된다.
디바이스 아이디 콜 아이디 응답 설정 데이터
디바이스 아이디는 텔레비전 셋톱박스 각각의 고유 아이디로 텔레비전 셋톱박스 인식 아이디(0x404C)+MAC 주소이고, 콜 아이디는 메시지 아이디로 ACK 메시지를 구분하거나 재전송 메시지를 구분할 때 사용하고, 응답은 무선 표시부 명령의 응답으로 ACK 메시지/설정 메시지를 구분하고, 설정 데이터는 현재 텔레비전 정보(채널 등)를 담고 있다.
설정 데이터에는 아래에 도시된 데이터가 저장된다.
필드 데이터 특징
현재 채널 1 ~ 181 채널 번호
채널 저장 1 또는 2 1: 저장된 상태 / 2: 저장되어 있지 않은 상태
자동 채널 진행률 0 ~ 100 자동 채널 진행률, 백분율로 표시
도 3은 본 발명 무선 텔레비전의 제어 프로토콜에 따른 동작 시나리오를 보인 예시도로서,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무선 표시부에서 텔레비전 제어 프로토콜의 탐색 명령을 이용하여 텔레비전 셋톱박스를 탐색하는 단계와; 상기 탐색한 텔레비전 셋톱박스에서 자신의 아이피 주소를 상기 무선 표시부로 통보하는 단계와; 상기 무선 표시부에서 전원 온 명령을 송신하여 텔레비전 셋톱박스의 전원을 온시켜 엠펙 파일 수신을 시작하는 단계와; 상기 무선 표시부에서 엠펙 파일을 미디어 프로토콜을 통해 수신하고 엠펙 디코더에 전달하여 디코딩하고 표시부에 영상을 출력하는 단계와; 상기 텔레비전 셋톱박스에서 응답 메시지에 현재 채널 정보를 담아 무선 표시부로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무선 표시부에서 상기 채널 정보를 텔레비전 인터페이스를 통해 표시하는 단계와; 사용자가 텔레비전 인터페이스의 채널 변경을 클릭하면 채널 변경 명령을 텔레비전 셋톱박스로 전송하는 단계와; 텔레비전 셋톱박스에서 상기 채널 변경 명령을 수신하고 현재 채널을 사용자가 원하는 채널로 변경하는 단계와; 상기 텔레비전 셋톱박스에서 채널 정보를 담은 응답 메시지를 무선 표시부로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무선 표시부에서 텔레비전 인터페이스에 상기 채널 정보를 표시하는 단계로 이루어진다.
무선 표시부는 방송 전송 방법을 사용하여 자동적으로 텔레비전 셋톱박스를 탐색한다. 무선 표시부는 무선 텔레비전의 제어 프로토콜에서 명령 메시지의 탐색을 이용하여 텔레비전 셋톱박스를 탐색한다.
텔레비전 셋톱박스는 탐색 메시지를 수신하면 자신의 아이피 주소를 무선 표시부에 통보하고, 무선 표시부는 상기 아이피 주소를 사용하여 송신할 데이터를 목적지인 텔레비전 셋톱박스로 전송한다.
무선 표시부는 텔레비전 셋톱박스로 전원 메시지를 송신하여 전원을 온시키고 텔레비전 셋톱박스는 전원 메시지를 수신하고 전원을 온시켜 방송 신호 수신을 시작한다. 방송 신호를 수신하여 엠펙 디코더에 전달하여 엠펙 파일을 만들어 무선 표시부로 전송하고 ACK을 전송한다.
그리고, 텔레비전 셋톱박스는 응답 메시지의 설정 데이터에 현재 채널 정보를 담아 무선 표시부로 전송한다. 무선 표시부는 상기 채널 정보를 텔레비전 인터페이스에 나타낸다. 텔레비전 인터페이스는 사용자에게 텔레비전 셋톱박스를 원격 제어하는 서비스를 제공하며 텔레비전 셋톱박스를 제어한 결과 표시로 현재 채널 정보를 수신하여 표시한다.
텔레비전 셋톱박스는 미디어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엠펙 파일을 무선 표시부로 전송한다. 미디어 프로토콜은 엠펙 파일의 실시간 전송을 보장하여 무선 표시부에서 엠펙 파일 디코딩을 끊김 없이 수행하여 영상, 음성을 실시간으로 출력하게 한다.
무선 표시부는 엠펙 파일을 수신하여 엠펙 디코더에 전달하여 디코딩하여 표시부에 영상을 출력한다. 사용자는 표시부에 출력되는 영상을 볼 수 있다. 사용자가 방송 프로그램을 시청하는 중에 채널을 변경하고자 하면 다음 절차를 따르게 된다.
사용자는 텔레비전 인터페이스에서 채널 변경을 클릭하면 무선 표시부는 명령 메시지로 채널 변경을 텔레비전 셋톱박스로 전송한다. 텔레비전 셋톱박스는 채널 변경 메시지를 수신하고 현재 채널을 사용자가 원하는 채널로 변경한다.
채널을 변경한 다음 텔레비전 셋톱박스는 응답 메시지의 설정 데이터에 채널 정보를 담아 무선 표시부로 전송한다. 무선 표시부의 텔레비전 인터페이스는 상기 채널 정보를 표시한다. 사용자는 텔레비전 인터페이스에 표시되는 채널 정보를 확인하여 변경된 채널을 판단한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무선 표시부에서 텔레비전 셋톱박스를 원격 제어하는 텔레비전 제어 프로토콜을 정의하여 원격에서 텔레비전 셋톱박스를 제어함으로써 사용자가 무선 표시부를 가지고 근거리에서 자유롭게 이동하면서 원하는 방송 프로그램을 시청하는 이동 방송 수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텔레비전 셋톱박스의 소프트웨어 구조를 보인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무선 표시부의 소프트웨어 구조를 보인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 무선 텔레비전의 제어 프로토콜에 따른 동작 시나리오를 보인 예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 하드웨어 12 : 드라이버
13 : 인터넷 프로토콜 14 : 텔레비전 제어 프로토콜
15 : 응용 프로그램 16 : 운영체제
17 : 미디어 프로토콜

Claims (6)

  1. 무선 랜 모듈을 장착하고 인터넷 통신이 가능한 프로토콜을 내장한 텔레비전 셋톱박스에 있어서,
    무선 랜 모듈을 포함하는 하드웨어 계층 위에 운영체제를 지원하는 드라이버와; 무선 네트워크 연결과 데이터 송수신을 담당하는 인터넷 프로토콜과; 엠펙 파일을 실시간으로 송수신하는 미디어 프로토콜과; 상기 운영체제를 통해 각종 자원에 접근하여 텔레비전 제어 작업을 수행하는 텔레비전 제어 프로그램과; 텔레비전 제어에 대한 명령 메시지를 수신하고 상기 텔레비전 제어 프로그램에 전달하여 처리된 결과를 응답 메시지로 송신하는 텔레비전 제어 프로토콜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텔레비전의 제어 프로토콜 및 구조.
  2. 무선 랜 모듈을 장착하고 인터넷 통신이 가능한 프로토콜을 내장한 무선 표시부에 있어서,
    무선 랜 모듈을 포함하는 하드웨어 계층 위에 운영체제를 지원하는 드라이버와; 무선 네트워크 연결과 데이터 송수신을 담당하는 인터넷 프로토콜과; 엠펙 파일을 실시간으로 송수신하는 미디어 프로토콜과; 상기 운영체제를 통해 각종 자원에 접근하여 사용자의 명령을 입력받아 텔레비전 셋톱박스를 원격 제어하고 처리 결과를 표시하는 텔레비전 인터페이스와; 텔레비전 제어에 대한 명령 메시지를 송신하고 상기 텔레비전 셋톱박스로부터 수신되는 처리 결과를 상기 텔레비전 인터페이스로 전달하는 텔레비전 제어 프로토콜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텔레비전의 제어 프로토콜 및 구조.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명령 메시지는 무선 표시부 각각의 고유 아이디를 나타내는 디바이스 아이디와; ACK 메시지를 구분하거나 재전송 메시지를 구분하는 콜 아이디와; 전원과 채널 관련 명령어와 데이터 값을 나타내는 명령/데이터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텔레비전의 제어 프로토콜 및 구조.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응답 메시지는 텔레비전 셋톱박스 각각의 고유 아이디를 나타내는 디바이스 아이디와; ACK 메시지를 구분하거나 재전송 메시지를 구분하는 콜 아이디와; ACK 메시지/설정 메시지를 구분하는 응답과; 현재 텔레비전 정보를 저장하는 설정 데이터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텔레비전의 제어 프로토콜 및 구조.
  5. 무선 표시부에서 텔레비전 제어 프로토콜의 탐색 명령을 이용하여 텔레비전 셋톱박스를 탐색하는 단계와; 상기 탐색한 텔레비전 셋톱박스에서 자신의 아이피 주소를 상기 무선 표시부로 통보하는 단계와; 상기 무선 표시부에서 전원 온 명령을 송신하여 텔레비전 셋톱박스의 전원을 온시켜 엠펙 파일 수신을 시작하는 단계와; 상기 무선 표시부에서 엠펙 파일을 미디어 프로토콜을 통해 수신하고 엠펙 디코더에 전달하여 디코딩하고 표시부에 영상을 출력하는 단계와; 상기 텔레비전 셋톱박스에서 응답 메시지에 현재 채널 정보를 담아 무선 표시부로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무선 표시부에서 상기 채널 정보를 텔레비전 인터페이스를 통해 표시하는 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텔레비전의 제어 프로토콜 및 구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표시부에서 채널 변경은 사용자가 텔레비전 인터페이스의 채널 변경을 클릭하면 채널 변경 명령을 텔레비전 셋톱박스로 전송하는 단계와; 텔레비전 셋톱박스에서 상기 채널 변경 명령을 수신하고 현재 채널을 사용자가 원하는 채널로 변경하는 단계와; 상기 텔레비전 셋톱박스에서 채널 정보를 담은 응답 메시지를 무선 표시부로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무선 표시부에서 텔레비전 인터페이스에 상기 채널 정보를 표시하는 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텔레비전의 제어 프로토콜 및 구조.
KR10-2003-0092684A 2003-12-17 2003-12-17 무선 텔레비전의 제어 프로토콜 및 구조 KR10053300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92684A KR100533001B1 (ko) 2003-12-17 2003-12-17 무선 텔레비전의 제어 프로토콜 및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92684A KR100533001B1 (ko) 2003-12-17 2003-12-17 무선 텔레비전의 제어 프로토콜 및 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60945A KR20050060945A (ko) 2005-06-22
KR100533001B1 true KR100533001B1 (ko) 2005-12-02

Family

ID=372535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92684A KR100533001B1 (ko) 2003-12-17 2003-12-17 무선 텔레비전의 제어 프로토콜 및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3300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11173B1 (ko) * 2004-06-04 2006-08-10 삼성전자주식회사 셋탑박스를 이용한 영상시스템에서 제어데이터의 전송방법
KR100594788B1 (ko) * 2004-08-16 2006-06-30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 및 무선 통신 방법
KR101138395B1 (ko) 2006-09-22 2012-04-27 삼성전자주식회사 콘텐트의 액세스 권리를 공유하는 방법 및 장치
KR101732057B1 (ko) 2009-11-02 2017-05-02 삼성전자주식회사 Av 시스템에서 사용자 입력 백 채널을 제공하는 방법 및 기기
DE112019007576T5 (de) * 2019-08-27 2022-04-28 Lg Electronics Inc. Drahtloses Anzeigesystem und Verfahren zum Betrieb desselbe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60945A (ko) 2005-06-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554710B2 (en) Method and device for switching media renderers during streaming playback of content
JP6205400B2 (ja) 表示装置
US8259650B2 (en) Communication device connectable to an access point based on setting information wirelessly provided from another device, a system having such communication device, and a method utilizing such communication device
WO2022089088A1 (zh) 显示设备、移动终端、投屏数据传输方法及传输系统
US20060034308A1 (en) Electronic device with communication unit
KR20100001051A (ko) 유무선 연동형 동영상 이어보기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JP4533020B2 (ja) マルチメディアコンテンツ提供システム、ホームコンテンツサーバ及び視聴デバイス
KR100533001B1 (ko) 무선 텔레비전의 제어 프로토콜 및 구조
US20130176500A1 (en) Mobile terminal, television receiver, and communication system including the mobile terminal and the television receiver
JP2001359073A (ja) 動画配信サービスシステム
EP2160023A1 (en) Broadcast receiving apparatus capable of communicating with external apparatus and method for using content
JP4836285B2 (ja) サービス利用装置、プログラム及びコンピュータ読み取り可能な記憶媒体
JP2006254017A (ja) ネットワーク接続による制御が可能なテレビ受像装置
KR100585660B1 (ko) 유피엔피(UPnP) 방식을 채용한 무선 영상 시스템 및그의 제어 방법
JP6248302B2 (ja) 表示装置
JP2019207697A (ja) 表示装置
JP6889317B2 (ja) 表示装置
JP7062806B2 (ja) 表示装置
KR101078074B1 (ko) 무선 tv 시스템 및 그의 무선 제어 방법
JP6412237B2 (ja) 表示装置
CN105913626A (zh) 一种实现从源端显示屏到目的端显示屏的镜像功能的设备
CN1777246A (zh) 无线电视的控制协议及构造
JP2019032863A (ja) 表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