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32604B1 - 패드형 컴퓨터용 마우스 - Google Patents

패드형 컴퓨터용 마우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32604B1
KR100532604B1 KR10-2003-0002778A KR20030002778A KR100532604B1 KR 100532604 B1 KR100532604 B1 KR 100532604B1 KR 20030002778 A KR20030002778 A KR 20030002778A KR 100532604 B1 KR100532604 B1 KR 1005326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use
pad
signal
battery
type compu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027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65672A (ko
Inventor
양태석
강상훈
Original Assignee
(주)정우아이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정우아이티 filed Critical (주)정우아이티
Priority to KR10-2003-00027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32604B1/ko
Publication of KR200400656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6567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326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32604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9Accessories therefor, e.g. mouse pads
    • G06F3/0395Mouse pa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8Packaging or power distribution
    • G06F1/189Power distribu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04Detection arrangements using opto-electronic means
    • G06F3/0317Detection arrangements using opto-electronic means in co-operation with a patterned surface, e.g. absolute position or relative movement detection for an optical mouse or pen positioned with respect to a coded surfa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54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2D relative movements between the device, or an operating part thereof, and a plane or surface, e.g. 2D mice, trackballs, pens or pucks
    • G06F3/03543Mice or puck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62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1D translations or rotations of an operating part of the device, e.g. scroll wheels, sliders, knobs, rollers or bel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8Control and interface arrangements therefor, e.g. drivers or device-embedded control circuitry
    • G06F3/0383Signal control means within the pointing devic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2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for charging batteries from ac mains by convert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38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38
    • G06F2203/0384Wireless input, i.e. hardware and software details of wireless interface arrangements for pointing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패드형 컴퓨터용 마우스에 관한 것으로, 상부면에 발광 및 반사된 빛을 감지하는 광센서와 IR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IR수신부가 형성되고, 일측에 컴퓨터와 연결되는 케이블이 구비된 패드와; 상기 패드 상에서 마우스의 버튼 또는 휠에 의한 입력신호를 IR신호로 변환하여 무선으로 송신하기 위한 IR송신부가 구비되고, 상기 IR송신부에 전기에너지를 공급하기 위한 배터리가 내장된 마우스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특히 상기 마우스의 움직임을 인식하는 광센서가 패드에 형성되어 마우스의 위치정보를 입력신호로 변환하여 컴퓨터에 전송하고, 버튼 또는 휠의 작동에 따른 입력신호는 적외선 센서를 이용하여 무선으로 컴퓨터에 전송하기 위한 패드형 컴퓨터용 마우스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패드형 컴퓨터용 마우스{PAD TYPE COMPUTER MOUSE}
본 발명은 패드형 컴퓨터용 마우스에 관한 것으로, 특히 마우스 또는 반사체의 움직임을 인식하는 광센서가 패드에 형성되어 마우스 또는 반사체의 위치정보를 입력신호로 변환하여 컴퓨터에 전송하고, 버튼 또는 휠의 작동에 따른 입력신호는 적외선 센서를 이용하여 무선으로 컴퓨터에 전송하기 위한 패드형 컴퓨터용 마우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종래의 유선 볼 마우스는 선이 있음으로 인하여 움직임에 제약을 받고 사용에 불편함이 있었다. 또한, 기계식으로 작동되는 상기 유선 볼 마우스는 부품이 많아서 구성이 복잡하고, 상기 볼에 먼지나 이물질이 쉽게 끼어서 조작에 대한 정확도가 떨어지므로 주기적으로 볼을 청소해야하는 번거러움이 있었다.
상기 유선 볼 마우스의 단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개발된 것이 광 마우스이고,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광 마우스의 저면에 내장된 광센서(10)를 이용하여 반사된 빛을 감지하여 위치 또는 움직임에 대한 신호를 컴퓨터에 입력하기 위한 입력장치이다.
즉, 상기 광 마우스의 주요 구성요소인 광센서는 빛을 발산하여 반사된 불일치 패턴을 감지소자가 읽어들이며, 이를 분석하여 움직임을 감시한다. 이때 빛의 세기에 따라 소자에 등록된 전압의 차이가 나게되며, 상기 소자의 패턴에 의하여 전압 세기의 이동에 따라 마우스의 이동이 결정된다.
상기 광센서의 구성 및 작동원리가 대한민국 특허공개 제2001-442호에 게재되어 있으며, 도 4에 도시된 광 마우스용 광센서(101)는 일측과 중앙으로 위치결정 돌기(102) 및 사각장공(103)을 갖는 베이스 플레이트(104)와; 베이스 플레이트(104)의 중앙에 형성된 사각장공(103) 위로 안착된 렌즈(105)와; 베이스 플레이트(104)의 위치결정 돌기(102)에 일측단이 고정됨과 동시에 렌즈(105)위로 얹혀진 보강 PCB(106); 상기 보강 PCB(106) 윗면에 전기적으로 접속, 고정되는 수광센서(107) 및 발광 LED(108); 그리고 충격 진동으로 인한 흔들림을 막는 고정클립(109)으로 이루어져 발광 LED(108)로 부터 발생된 빛은 렌즈(105)의 경사면과 베이스 플레이트(104)로 반사되고 이어 마우스 패드(110)를 통해 마우스 표면에 위치한 수광센서(107)에 초점이 집광되도록 구성 되었다.
상기 광 마우스(100)는 마우스 내부의 발광 LED(108)에서 발광된 빛이 마우스 패드(110)에서 반사되고, 상기 마우스 패드(10)에서 반사된 빛은 광 마우스(100) 내부의 수광센서(107)에서 집광된다.
상기 수광센서(107)에서 집광된 빛은 미러에 의하여 일정 각도로 반사되어 수광센서에 집광되고, 빛을 집광한 수광센서는 집광한 빛의 세기가 변화되는 것으로 이동을 검출하여 입력신호로 변환시키고, 상기 입력신호는 유선으로 연결되어 컴퓨터의 시리얼 포트 또는 PS/2, USB 포트 등으로 입력된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이 마우스의 이동을 알리는 입력신호를 컴퓨터에 입력시키기 위해서는 유선으로 연결되기 때문에 원거리에 대한 선 길이의 제한 및 자유로운 사용이 어렵고, 선이 긴 경우 쉽게 엉키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마우스의 이동을 알리는 입력신호를 적외선(infrared, 이하 "IR"이라 약칭함)을 사용하여 컴퓨터로 입력하는 무선 마우스가 개발되었으며, 이는 대한민국 특허공개 제1999-29860호에 게시되어 있다.
상기 무선 마우스는, 마우스 버튼과, 마우스 패드 상에서 구르는 볼과, X-축 및 Y-축 방향으로 변위된 볼의 이동량을 데이터 신호로서 각각 출력하는 X 인코더 및 Y 인코더와, 상기한 마우스 버튼의 ON 신호나 상기한 X 인코더 및 Y 인코더로부터의 데이터 신호를 IR방식으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송신부와, 상기 송신부로부터 출력된 송신신호를 송신하는 송신 안테나와, 각각의 구성부품에 필요한 전력을 공급하는 건전지 등의 밧데리를 구비한다.
또한, 상기한 마우스 패드 상에 놓인 수신기에는, 상기한 무선 마우스의 송신 안테나로부터 발생된 IR방식의 송신신호를 수신하는 수신 안테나와, 상기한 마우스 버튼의 ON 신호 또는 X-축 및 Y-축 방향으로의 마우스 본체 내부의 볼의 이동량을 나타내는 데이터 신호를 검출하는 수신부와, 퍼스널 컴퓨터에 접속된 신호 케이블이 설치되어, 마우스 버튼에서 발생된 ON 신호 또는 이동량을 나타내는 데이터 신호가 신호 케이블을 통해 퍼스널 컴퓨터로 전송된다.
상술한 IR방식의 무선 마우스인 경우, 마우스가 항상 컴퓨터를 향하고 있어야만 IR신호가 컴퓨터에 제대로 입력되어 사용상의 제한이 있었고, 송신측과 수신측 사이에 장애물이 있으면 데이터 전송이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었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개발되어 최근 널리 사용되고 있는 RF(Radio Frequency, 이하 "RF"라 약칭함)방식의 무선 마우스에 대한 종래기술이 대한민국 특허공개 제2002-73895호에 게재되어 있으며, 상기 무선 마우스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가 도 5에 도시되어 있다.
무선 마우스(201)에는 좌측, 중간, 우측의 마우스 버튼과, 마우스 패드 상에서 구르는 볼이 구비되고, 연산부(210)에서는 X-축 및 Y-축 방향으로 변위된 볼의 이동량의 위치 데이터를 그리고 마우스 버튼의 ON 신호의 스위치 데이터를 연산한다.
RF 송신회로부(212)는 상기 연산된 위치 및 스위치 데이터를 정해진 프로토콜 형식에 의해 900㎒대역의 RF방식으로 출력하여 무선으로 송신한다.
RF 수신회로부(214)는 900㎒대역의 RF방식의 송신신호를 수신하여 마우스(201)에서 보낸 형식 즉, 연산 데이터로 바꾸어 변환부(216)로 출력한다.
상기 변환부(216)는 연산 데이터를 연산되기전 데이터로 변환하여 즉, 마우스가 직접 퍼스널 컴퓨터에 연결되어 있는 것과 같은 상태의 신호로 변환하여 퍼스널 컴퓨터(202)로 전달한다.
상기 변환부(16)는 결국 마우스 버튼의 ON 신호 또는 X-축 및 Y-축 방향으로의 마우스 본체 내부의 볼의 이동량을 나타내는 데이터 신호를 검출하여 퍼스널 컴퓨터(202)에 접속된 케이블을 통해 ON 신호 또는 이동량을 나타내는 데이터 신호를 퍼스널 컴퓨터(202)로 전송하여 무선 마우스(201)에 의해 퍼스널 컴퓨터(202)가 동작된다.
아울러, 도 5에 도시된 종래의 RF방식의 무선 마우스는 신호를 항상 주고받아야 하기 때문에 전력 소모가 심하고, RF방식을 구현하기 위한 회로의 구조가 복잡하여 고장의 위험이 높고 고장시 보수가 용이하지 않으며, 상기 RF방식을 이루고 있는 광센서 회로의 부품가격이 고가이므로 보급에 어려움이 있다.
또한, RF방식의 무선 데이터 송수신은 일정한 주파수(예, 900㎒)를 사용함으로서 상기 주파수의 대역을 사용하는 다중 사용자간 상호간섭 현상을 일으킬수 있는 문제가 있었고,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각각의 무선 마우스 마다 다른 주파수가 사용되어야 했으며, 이는 다수의 제조사에 소정의 범위에 대한 주파수의 할당이 선행되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종래의 광센서가 내장된 마우스를 패드 상에서 이동시켜 위치를 감지하여 입력을 행하였던 것을 반대로 광센서를 유선으로 컴퓨터와 연결된 패드에 형성하여 상기 패드 상에서 무선의 마우스 또는 반사체가 이동될때 이의 움직임을 상기 광센서로 감지하여 위치신호를 컴퓨터로 입력할 수 있는 패드를 제공하고, 상기 마우스에는 버튼 또는 휠과 IR송신부만을 구비하여 상기 버튼의 조작에 대한 명령 신호를 상기 패드에 형성된 IR수신부에 전송하기 위한 구성이 단순하면서도 경량의 무선 마우스 및 패드를 제공하거나 또는 상기 마우스 대신 반사체에 의하여 사용될 수 있도록 상기 패드에 버튼 또는 휠이 구비된 패드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은, 상부면에 발광 및 반사된 빛을 감지하는 광센서와 IR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IR수신부가 형성되고, 일측에 컴퓨터와 연결되는 케이블이 구비된 패드와; 상기 패드 상에서 마우스의 버튼 또는 휠에 의한 입력신호를 IR신호로 변환하여 무선으로 송신하기 위한 IR송신부가 구비되고, 상기 IR송신부에 전기에너지를 공급하기 위한 배터리가 내장된 마우스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드형 컴퓨터용 마우스에 의하여 달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패드의 상부면에 충전단자가 형성되고, 상기 마우스에는 상기 충전단자와 대응되는 위치에 배터리단자가 형성되어 상기 마우스의 배터리에 충전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드형 컴퓨터용 마우스에 의하여 달성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마우스와 상기 패드에 극성이 다른 자석이 각각 내장되어 상기 마우스가 상기 패드의 충전단자 상에 위치되어 충전이 이루어지거나 또는 상기 마우스에 내장된 배터리의 교체가 가능하도록 상부 또는 하부에 배터리커버가 형성되고, 상기 배터리커버의 내측에 배터리수납부가 형성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드형 컴퓨터용 마우스에 의하여 달성된다.
또한, 이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은, 상부면에 발광 및 반사된 빛을 감지하는 광센서와 입력신호를 발생시키기 위한 버튼 또는 휠이 형성되고, 일측에 컴퓨터와 연결되는 케이블이 구비된 패드와; 상기 패드 상에서 슬라이딩시 상기 광센서의 빛을 반사시켜 위치정보를 제공하는 반사체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드형 컴퓨터용 마우스에 의하여 달성된다.
본 발명의 마우스에 적용되고 있는 공지기술인 IR방식을 이용한 통신에 대한 기술적 배경을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305462호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일반적으로, 적외선(IR) 통신은 당초 텔레비젼이나 에어컨 등의 가전제품을 위한 원격제어(리모콘)용으로 적용되어 왔지만, 현재에는 컴퓨터 사이의 데이타 교환 또는 컴퓨터로의 신호입력에도 많이 적용되고 있다. 상기 적외선 통신에 의한 작동원리를 설명하면, 상기 적외선 통신의 송신측은 디지탈 신호를 변조하고 발광 다이오드를 제어하여 적외선 펄스를 방출하는 것으로 공중에 데이타를 발신하며, 상기 적외선 통신의 수신측은 이것을 포토 다이오드로 수신하고 증폭하여 디지탈 신호로 복조한다. 이러한 기본 원리는 리모콘 뿐만 아니라 컴퓨터 통신 또는 신호의 입력의 경우에도 동일하게 적용된다.
상기 적외선 통신 방식의 표준화(즉 각 메이커(maker)의 기기 사이에서의 상호 운용의 강화)를 위해, 1993년에 IrDA(Infra-red Data Association)가 설립되었으며, 상기 IrDA의 권고(勸告) 규격에서는 SDLC(Synchronous DataLink Control) 형식의 통신 프로토콜로 저가격의 적외선 통신을 달성하기 위해, 범용 비동기 송수신기(UART:Universal Asynchronous Receiver-Transmitter)를 사용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IrDA에서 정하고 있는 권고 규격을 구체적으로 말하면, 저출력, 지향형(중심각 15°), 단거리(1m까지), 1 대 1, 또는 1 대 N 통신을 칭하므로 상기 적외선 통신은 기본적으로 소형, 경량 및 염가이어야 하고, 송수신이 용이해야 한다.
IrDA가 정한 데이타 링크에 관한 프로토콜 'IrLAP'에서는 적외선 데이타 통신은 「목적지 발견(discovery)」, 「연결」, 「정보교환」, 「연결 단절」이라고 하는 일련의 페이즈(phase)로 구성된다. 「목적지 발견」 페이즈에서는 송신측의 국(친국(親局):예를 들면 호스트 PC)은 XID(eXchange ID) 명령라고 하는 적외선 프레임(코드)을 송신하고, 수신국(자국(子局):예를 들면 PDA)은 이것에 대해 XID 응답(response)이라고 하는 적외선 프레임(코드)을 송신하여 응답하도록 되어 있다(여기에서 말하는 XID 명령/응답 루틴은 'Serial Infrared Link Access Protocol(IrLAP) Ver 1.0'의 6.8장에서 기술된 'Discovery Procedure' 전체를 가리키는 것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a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한 패드형 컴퓨터용 마우스의 구성도이며, 상기 패드(1)의 광센서(10)로 마우스(2)의 움직임을 감지하고, 상기 마우스(2)의 버튼(21) 또는 휠(22)의 조작에 대한 신호 즉, IR신호를 무선으로 송수신하기 위한 패드(1)와 마우스(2)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패드형 컴퓨터용 마우스는 마우스(2)의 위치정보를 감지하기 위한 광센서(10)와 IR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IR수신부(12)가 형성된 패드(1)와 다수의 버튼(21) 또는 휠(22)에 의하여 생성된 IR신호를 송신하기 위한 IR송신부(20)가 형성된 마우스(2)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패드(1)의 상부면(11)에 형성된 광센서(10)는 도 3에 도시된 종래의 광 마우스용 광센서(101)와 같은 구성으로 되어 있으며, 발광 LED에 의하여 발광을 행하거나 상기 마우스(2)의 저면(26)에 반사된 빛을 수광하여 상기 마우스(2)의 위치 또는 움직임에 따른 빛의 세기를 감지하고, 이를 입력신호로 변환하기 위하여 상기 패드(1)의 내부에 상향으로 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패드(1)의 상부면(11) 일측에 형성된 IR수신부(12)는 상기 마우스(2)로부터 송신된 IR신호를 수신하기 위하여 돌출 형성되어 상기 패드(1)의 내측을 향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패드(1)의 상부면(11)은 마우스(2) 또는 반사체(30)가 움직임에 따라 컴퓨터의 디스플레이장치에 좌표 이동이 이루어지는 작업영역이라 할 수 있으므로 상기 작업영역은 상기 마우스(2) 또는 상기 반사체(30)의 저면(31)이 상기 광센서(10)에서 벗어나지 않는 반경으로 형성되도록 하고, 상기 마우스(2) 또는 상기 반사체(30)가 상기 패드(1)의 작업영역 밖으로 이탈되지 않도록 둘레부에 이탈방지돌기(미도시됨)를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특히, 상기 마우스(2) 또는 상기 반사체(30)의 둘레부와 상기 광센서(10)가 형성할 수 있는 최대 반경 내에 상기 마우스(2) 또는 상기 반사체(30)가 위치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광센서(10)는 패드(1)의 중앙에 위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패드(1)의 일측(상측)에는 상기 IR수신부(12)와 상기 광센서(10)로부터 수신된 위치정보 및 입력신호를 컴퓨터에 입력하기 위하여 케이블(16)이 연결되어 있고, 상기 케이블(16)은 시리얼, PS/2, USB 단자 등에 접속된다.
상기 패드(1)의 상부면(11)에 형성된 작업영역에서 슬라이딩 되면서 통상의 광 마우스패드와 같이 상기 광센서(10)에 빛을 반사시키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마우스(2)는 일반적인 마우스(2) 형태와 동일한 형상을 하고 있으며, 상기 마우스(2)의 전방 상부면에는 손가락에 의하여 작업에 대한 명령신호를 생성하기 위한 다수의 버튼(21) 또는 휠(22)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마우스(2)의 전방에는 상기 명령신호에 대응하는 IR신호를 송신하기 위한 IR송신부(20)가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마우스(2)에 형성된 버튼(21) 또는 휠(22)을 조작하기 위하여 클릭 또는 스크롤을 행하면 버튼(21) 또는 휠(22)에 기구적으로 연결된 스위치가 접속되어 하나의 명령신호에 대하여 하나의 IR코드가 생성되며, 상기 IR코드는 상기 IR송신부(20)에서 IR신호로 변경되어 송신된다. 따라서, IR방식을 사용한 상기 마우스(2)는 종래의 RF방식을 사용한 무선마우스와는 다른 적외선(IR)신호를 사용하기 때문에 근접한 주파수에 의한 간섭이 발생되지 않아서 오작동되는 일이 없으며, 다른 전자장치에서 발생되는 전자파에 의하여 신호의 외곡 또는 변조가 발생되지 않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마우스(2)의 IR송신부(20)와 상기 패드(1)의 IR수신부(12)가 마주하도록 놓여진 상태에서 상기 패드(1) 상에서 상기 마우스(2)의 조작으로 IR신호가 송수신되므로 장애물에 의한 전파의 차단 염려없이 상기 마우스(2)를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마우스(2)의 IR송신부(20)를 작동시키기 위해서는 전기에너지의 공급이 요구되는데, 이를 위하여 상기 마우스(2)의 내부에 배터리(23)가 내장되어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상기 마우스(2)는 버튼(21) 또는 휠(22)의 작동시에만 IR신호가 발생되어 송신되므로 RF방식을 이용한 무선마우스의 경우와 같이 항상 주파수를 송신하지 않으므로 배터리(23)의 소모가 적어서 한번 배터리(23)를 장착하여 오래 동안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한편, 상기 마우스(2)에 내장된 배터리(23)를 충전가능한 배터리(23)로 교체하여 충전을 행하면서 사용기 위해서는 먼저, 상기 패드(1)의 상부면(11) 소정 위치에 컴퓨터로부터 공급되는 직류 5볼트 내지 직류 12볼트의 전압이 전달되도록 충전단자(14)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마우스(2)의 외부에는 상기 충전단자(14)와 대응되는 위치에 상기 충전가능한 배터리(23)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배터리단자(24)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패드(1)의 충전단자(14)에 상기 마우스(2)의 배터리단자(24)를 접속시켜 충전을 행할때 상기 마우스(2)는 상기 패드(1)의 상부면(11) 즉, 작업영역에 놓여진 상태로 있기 때문에 컴퓨터를 올려놓은 책상이 흔들리거나 또는 상기 패드(1)가 밀리는 경우에는 상기 배터리단자(24)와 상기 충전단자(14)의 접속이 끊어져 번번이 사용자가 정위치 시켜줘야 하는 번거러움이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상기 패드(1)의 충전단자(14) 부근에 자석(15)을 내장시키고, 상기 마우스(2)의 배터리단자(24) 부근에 상기 패드(1)에 내장된 자석(15)과 다른 극성을 갖는 자석(25)을 내장시켜서 상기 마우스(2)와 상기 패드(1) 간에 자석(15,25)에 의한 인력(引力)이 작용하여 상기 마우스(2)가 상기 패드(1)의 충전단자(14) 상에 붙어서 정위치되도록 한다. 따라서, 사용자가 상기 마우스(2)를 사용하지 않을때에는 상기 마우스(2)를 상기 패드(1)의 자석(15) 부근에 놓아두고, 상기 마우스(2)에 내장된 충전가능한 배터리(23)에 충전을 행할때에는 상기 패드(1)의 자석(15) 부근에 위치시킨 후 상기 충전단자(14)와 상기 배터리단자(24)가 상호 접속되도록 하여 고정시킨다.
상기 패드(1)의 상부 타측(하측)에는 사용자의 손목을 받쳐주기 위한 손목받침대(13)가 돌출 형성되어 있다. 상기 손목받침대(13)는 손목을 얹었을때 안정감 있게 감싸주도록 복원력이 뛰어난 연질의 소재이면서 인체에 무해한 소재로 형성되며, 바람직하게는 실리콘, 스폰지, 젤, 폴리우레탄 스킨 발포 폼, 공기주머니 등과 같은 소재 또는 물체를 상기 패드(1)의 상부면(11)에 부착하거나 또는 내장하여 제작될 수 있다.
도 1b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한 패드형 컴퓨터용 마우스의 마우스(2) 저면도이며, 상기 마우스(2)의 저면(26)에 충전단자(14)가 형성된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마우스(2)의 저면(26)은 도시된 바와 같이 통상의 마우스와는 다르게 아무런 구성이 노출되지 않은 평평하면서도 매끈한 바닥면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저면(26)은 빛이 반사될 수 있도록 반사면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마우스(2)에는 상기 충전단자(14)와 대응되는 위치에 배터리단자(24)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마우스(2)의 상부면 또는 하부면에는 수명이 다하거나 손상된 배터리(23)의 교체가 가능하도록 배터리커버(미도시됨)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배터리커버(미도시됨)의 내측에는 상기 배터리(23)가 수용되기 위한 배터리수납부(미도시됨)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마우스(2)의 내부에 배터리(23)가 수용되어 있으므로, 상기 마우스(2)에 전원을 이용하는 다수의 편의장치 또는 부가장치를 형성하여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면, 상기 마우스(2)에 내장된 배터리는 하절기 또는 장시간 마우스의 사용으로 손바닥에 땀이 발생되었을때 이를 건조시켜주기 위하여 마우스의 상측으로 송풍을 행할 수 있도록 내부에 팬이 형성된 팬마우스의 구동모터를 작동시키는데에도 사용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의한 패드형 컴퓨터용 마우스의 구성도이며, 광센서(10)가 형성된 패드(1')의 상부면(11)에서 반사체(30)의 움직임을 감지하고, 입력신호를 발생시키기 위한 다수의 버튼(17) 또는 휠(19)이 형성된 패드(1')와 반사체(30)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패드형 컴퓨터용 마우스는 마우스(2)의 위치정보를 감지하기 위한 광센서(10)와 작업 지시에 대한 입력신호를 발생시키기 위한 다수의 버튼(17) 또는 휠(19)이 형성된 패드(1')와 상기 광센서(10)의 빛을 반사시켜 위치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반사체(30)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패드(1')의 상부면(11)에 형성된 다수의 버튼(17) 이외에도 상기 버튼(17)의 측면에 사용자에 의한 편리한 기능, 자주사용하는 메뉴 등을 지정 또는 입력하여 단축명령을 실행시킬 수 있도록 별도의 기능버튼(18)을 부가하여 실시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패드(1')의 상부면(11)에는 상기 광센서(10)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한 광센서(10)와 동일한 목적을 수행하기 위하여 동일한 위치에 형성되어 있고, 상기 패드(1')의 둘레부에는 작업영역 밖으로 상기 반사체(30)가 이탈되지 않도록 이탈방지돌기(미도시됨)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와 동일하게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패드(1')의 상부 타측(하측)에는 사용자의 손목을 받쳐주기 위한 손목받침대(13)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와 동일한 형태로 돌출 형성되어 있다.
상기 패드(1')의 작업영역 내에서 슬라이딩되는 반사체(30)의 움직임을 감지하여 적절한 시점에 작업 지시를 행하기 위하여 형성된 상기 버튼(17) 또는 상기 휠(19)은 상기 패드(1')의 상부면(11) 일측에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패드(1')의 일측(상측)에는 상기 IR수신부(12)와 상기 광센서(10)로부터 수신된 위치정보 및 입력신호를 컴퓨터에 입력하기 위하여 케이블(16)이 연결되어 있고, 상기 케이블(16)은 시리얼, PS/2, USB 단자 등에 접속된다.
도 1a 내지 도 2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상기 패드(1,1')의 상부에 형성된 광센서(10)에 의하여 발광을 행하거나 또는 반사된 빛을 수신하여 입력신호로 변환시키기 위한 광센서회로부(미도시됨)는 통상의 광 마우스 본체에 내장된 것과 동일한 구성과 기능을 수행하도록 형성되어 있고, 상기 광센서회로부는 PCB 상에 다수의 부품들이 조합되어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상기 패드(1,1')의 내부에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광센서회로부에 공급되는 전원은 상기 케이블(16)에 의하여 컴퓨터로부터 공급된다.
상기 패드(1,1')를 이루고 있는 재질은 상기 패드(1,1')에 내장된 광센서(10)를 포함하는 광센서회로부를 충격 또는 하중 등의 외력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하여 경질의 소재로 견고하게 구성되어야 하며, 바람직하게는 성형이 용이하면서 가벼운 합성수지 또는 경금속 소재를 사용하는 것이 좋다.
또한, 상기 패드(1,1')에 형성된 광센서(10)는 통상의 광 마우스와는 반대로 통상의 광 마우스패드 역할을 행하는 마우스(2) 또는 반사체(30)의 움직임을 감지하여 이를 위치신호로 변환하기 때문에 상기 위치신호를 처리하기 위한 광센서회로부는 통상의 광 마우스의 움직임 방향과 반대로 움직임을 인식하여 위치신호가 생성되도록 설정되어야 한다.
상기 패드(1,1')는 케이블(16)을 통하여 컴퓨터에 입력신호를 송신 및 전류가 흐르도록 연결되어 있으므로, 상기 패드(1,1')의 임의의 위치에 다수의 시리얼, PS/2, USB 단자 등이 연결될 수 있도록 허브를 형성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제1 및 제2실시예에 의한 패드형 컴퓨터용 마우스는 패드(1,1')의 상부면(11)에 형성된 광센서(10)에 의하여 IR방식을 이용한 무선 마우스(2) 또는 반사체(30)의 움직임을 감지하여 위치신호를 컴퓨터에 전송하는 방식으로 되어 있으므로, 상기 패드(1,1') 상에 도시된 마우스(2) 또는 반사체(30) 이외의 다양한 물체를 슬라이딩시켜 컴퓨터의 디스플레이장치에 표시되는 일종의 마우스 포인트를 이동시키기 위한 위치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반사체(30)는 유리와 같이 난반사를 일으키는 물체를 제외한 것을 칭하고, 손으로 쉽게 파지할 수 있으면서 발광 LED에 의하여 발광된 빛을 균일하게 반사시킬 수 있도록 저면(31)이 평평한 물체는 어떠한 것도 사용이 가능하며, 일예로서 책, 종이, 지갑, 수첩, 손바닥 등을 들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에 의한 패드형 컴퓨터용 마우스는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상기 패드(1,1')에 형성된 광센서(10)를 통상의 볼마우스에 내장된 볼로 대체하여 실시하는 것도 가능함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종래의 광센서가 내장된 마우스를 패드 상에서 이동시켜 위치를 감지하여 입력을 행하였던 것을 반대로 광센서를 유선으로 컴퓨터와 연결된 패드에 형성하여 상기 패드 상에서 무선의 마우스 또는 반사체가 이동될때 이의 움직임을 상기 광센서로 감지하여 위치신호를 컴퓨터로 입력할 수 있도록 창안된 것으로, 제1실시예에 의한 패드형 컴퓨터용 마우스의 경우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상기 마우스 본체에 다수의 버튼 또는 휠과 IR송신기를 형성하고, 상기 패드에 광센서와 IR수신기를 형성하여 상기 마우스를 무선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였고, 상기 마우스가 상기 패드 상에서 IR방식으로 작동되므로 장애물에 의한 전파의 차단 염려가 없을 뿐만 아니라 IR신호의 특성상 근접한 주파수 또는 전자파에 의한 간섭이 발생되지 않았으며, 상기 마우스가 IR방식으로 무선 조작하기 위한 구성이 단순하고 부품의 가격이 저렴하여 제조단가를 절감할 수 있었고, 상기 마우스는 버튼 또는 휠의 작동시에만 IR신호가 발생되어 송신되므로 전력의 소모가 적어 배터리를 오래 사용할 수 있으며, 상기 배터리를 충전가능한 배터리로 대체했을때 자체충전을 위한 충전수단이 부가되어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었으며, 제2실시예에 의한 패드형 컴퓨터용 마우스의 경우 상기 패드에 광센서 및 다수의 버튼 또는 휠이 형성되어 빛을 반사시키는 대상을 마우스에 한정하지 않고 손으로 쉽게 파지할 수 있으면서 발광 LED에 의하여 발광된 빛을 균일하게 반사시킬 수 있도록 저면이 평평한 물체는 어떠한 것도 사용이 가능하도록 하였다.
도 1a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한 패드형 컴퓨터용 마우스의 구성도,
도 1b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한 패드형 컴퓨터용 마우스의 마우스 저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의한 패드형 컴퓨터용 마우스의 구성도,
도 3은 종래의 무선마우스의 사시도 및 저면도,
도 4는 종래의 광 마우스에 설치된 광센서부의 종단면도,
도 5는 종래의 무선 마우스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1': 패드 2: 마우스
10: 광센서 11: 상부면
12: IR수신부 13: 손목받침대
14: 충전단자 15,25: 자석
16: 케이블 17,21: 버튼
18: 기능버튼 20: IR송신부
22,19: 휠 23: 배터리
24: 배터리단자 26,31: 저면
30: 반사체

Claims (7)

  1. 상부면(11)에 마우스(2)의 변위로 인하여 발생하는 발광 및 반사된 빛을 감지하는 광센서(10)와, IR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IR수신부(12)가 형성되고, 일측에 컴퓨터와 연결되는 케이블(16)이 구비된 패드(1)와;
    상기 패드(1) 상에서 마우스(2)의 버튼(21) 또는 휠(22)에 의한 입력신호를 IR신호로 변환하여 무선으로 송신하기 위한 IR송신부(20)가 구비되고, 상기 IR송신부(20)에 전기에너지를 공급하기 위한 배터리(23)가 내장된 마우스(2);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드형 컴퓨터용 마우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패드(1)의 상부면(11)에 충전단자(14)가 형성되고, 상기 마우스(2)에는 상기 충전단자(14)와 대응되는 위치에 배터리단자(24)가 형성되어 상기 마우스(2)의 배터리(23)에 충전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드형 컴퓨터용 마우스.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마우스(2)와 상기 패드(1)에 극성이 다른 자석(15,25)이 각각 내장되어 상기 마우스(2)가 상기 패드(1)의 충전단자(14) 상에 위치되어 충전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드형 컴퓨터용 마우스.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마우스(2)에 내장된 배터리(23)의 교체가 가능하도록 상부 또는 하부에 배터리커버가 형성되고, 상기 배터리커버의 내측에 배터리수납부가 형성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드형 컴퓨터용 마우스.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패드(1)의 상부에는 손목받침대(13)가 돌출 형성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드형 컴퓨터용 마우스.
  6. 상부면(11)에 반사체(30)의 변위로 인하여 발생하는 발광 및 반사된 빛을 감지하는 광센서(10)와 입력신호를 발생시키기 위한 버튼(17) 또는 휠(19)이 형성되고, 일측에 컴퓨터와 연결되는 케이블(16)이 구비된 패드(1')와;
    상기 패드(1') 상에서 슬라이딩시 상기 광센서(10)의 빛을 반사시켜 위치정보를 제공하는 반사체(30);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드형 컴퓨터용 마우스.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패드(1')의 상부에는 손목받침대(13)가 돌출 형성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드형 컴퓨터용 마우스.
KR10-2003-0002778A 2003-01-15 2003-01-15 패드형 컴퓨터용 마우스 KR10053260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02778A KR100532604B1 (ko) 2003-01-15 2003-01-15 패드형 컴퓨터용 마우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02778A KR100532604B1 (ko) 2003-01-15 2003-01-15 패드형 컴퓨터용 마우스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01245U Division KR200309338Y1 (ko) 2003-01-15 2003-01-15 패드형 컴퓨터용 마우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65672A KR20040065672A (ko) 2004-07-23
KR100532604B1 true KR100532604B1 (ko) 2005-12-05

Family

ID=373557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02778A KR100532604B1 (ko) 2003-01-15 2003-01-15 패드형 컴퓨터용 마우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32604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65672A (ko) 2004-07-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6522418A (ja) 再充電可能なコードレスの入力ポインティング・デバイス
US20130100087A1 (en) Stylus and touch input system
US20100177043A1 (en) Flip-operation mouse device
EP2549652A2 (en) Motion sensing switch
US10740664B2 (en) Wireless low power flexible and removably attachable tag and corresponding locating device, system, and method of use
EP4116804B1 (en) Stylus pen and electronic device assembly comprising the stylus pen
JP2004132890A (ja) 非接触icカードリーダ/ライタ装置、非接触icカード、入力装置、及び非接触icカードの位置算出方法
US11431172B2 (en) Control system for use in controlling operation of an electrical appliance
CN103164940B (zh) 一种遥控器
JP2008171403A (ja) 無線出力センサ、近接センサ、加工装置、および制御システム
EP3218886B1 (en) Electronic control device
KR101918399B1 (ko) 시각장애인용 웨어러블 점자 입력 장치
KR100532604B1 (ko) 패드형 컴퓨터용 마우스
KR200309338Y1 (ko) 패드형 컴퓨터용 마우스
TWM548387U (zh) 無線充電滑鼠及無線充電裝置
TWI641198B (zh) 無線充電滑鼠、無線充電裝置及其充電方法
US20120162059A1 (en) Handwriting input device with charger
US20030160762A1 (en) Rechargeable wireless mouse
KR101610678B1 (ko) 정보 전송 기능이 구비된 무선 충전 장치
CN210488515U (zh) 一种无线调节鼠标
JPH08147101A (ja) マウス装置
KR20000066532A (ko) 무선 마우스 장치
JP3070364U (ja) 赤外線シグナル発信機能を具えたマウスパッド
EP1269115B1 (en) Battery module transceiver for extending the range of an infrared remote controller
KR20240030884A (ko) 무선 전력 송신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