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30065B1 - 구상화 소둔 열처리 단축이 가능한 냉간압조용 강선재의제조방법 - Google Patents

구상화 소둔 열처리 단축이 가능한 냉간압조용 강선재의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30065B1
KR100530065B1 KR10-2001-0078858A KR20010078858A KR100530065B1 KR 100530065 B1 KR100530065 B1 KR 100530065B1 KR 20010078858 A KR20010078858 A KR 20010078858A KR 100530065 B1 KR100530065 B1 KR 10053006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el wire
cold
less
manufacturing
tempera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788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48819A (ko
Inventor
이덕락
박용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01-00788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30065B1/ko
Publication of KR200300488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4881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300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30065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8/00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 C21D8/06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rods or wires
    • C21D8/065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rods or wires of ferrous alloys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1/00General methods or devices for heat treatment, e.g. annealing, hardening, quenching or tempering
    • C21D1/26Methods of annealing
    • C21D1/32Soft annealing, e.g. spheroidising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02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silicon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04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manganese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06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aluminium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2211/00Microstructure comprising significant phases
    • C21D2211/002Bainite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2211/00Microstructure comprising significant phases
    • C21D2211/005Ferrite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2211/00Microstructure comprising significant phases
    • C21D2211/008Martensite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2211/00Microstructure comprising significant phases
    • C21D2211/009Pearlit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Heat Treatment Of Stee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산업기계 부품, 자동차 부품 등의 소재로 사용되는 냉간압조용 강 선재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열간압연 및 압연후 냉각조건을 조절하여 열간압연 상태에서 페라이트(Ferrite), 펄라이트(Pearlite) 및 저온변태조직으로 구성된 미세조직을 만들어 구상화 시간을 대폭 줄일 수 있는 냉간압조용 강 선재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중량%로, C: 0.20~0.60%, Si: 0.1~0.7%, Mn: 0.3~1.5%, P: 0.03% 이하, S: 0.03% 이하, Al: 0.10%이하, 나머지 Fe와 기타 불가피한 불순물로 조성되는 강편을 재가열하여 마무리 압연온도를 800℃이상으로 하는 조건으로 열간압연하고, Ar3 ~ Ar1의 범위에서 냉각을 개시하여 50℃/초 이상의 속도로 상온까지 냉각하는 것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구상화소둔 시간 단축이 가능한 냉간압조용 강 선재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을 그 기술적요지로 한다.

Description

구상화 소둔 열처리 단축이 가능한 냉간압조용 강선재의 제조방법{A METHOD FOR MANUFACTURING STEEL WIRE ROD FOR COLD FORGING FEATURING SHORT-TIME SPHEROIDIZED ANNEALING }
본 발명은 산업기계부품, 자동차 부품 및 건설기계용 부품 등의 소재로 사용되는 냉간압조용 강 선재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강 선재를 압연 한 후 페라이트와 펄라이트 조직으로 변태가 완료되기 전에 급속 냉각시켜 저온변태조직을 일부분 포함시킴으로써 구상화 소둔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냉간압조용 강 선재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산업기계 부품, 자동차 부품, 건설기용 부품 등의 소재로서 많이 사용되는 탄소함량 0.45%의 중탄소강 선재는, 열간압연을 마친 상태에서의 주된 미세조직이 페라이트(Ferrite)와 펄라이트(Pearlite)로 구성되어 있으며 인장강도가 약 70kg/mm2정도로 높다. 통상 냉간압조 가공을 통해서 자동차용 혹은 건설기계용 부품을 제조하기 위해서는 구상화 소둔 열처리를 실시하여 인장강도를 약 50kg/mm2 수준으로 떨어뜨려야 한다. 통상 구상화 소둔처리는 740℃ 정도로 가열 후 일정시간 유지한 후 서냉각 시키는 열처리로써 전체 열처리 시간이 약 15 ~ 20시간 정도 소요되기 때문에 열처리 비용이 많이 들고 생산성이 낮다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구상화를 촉진시킬 수 있는 냉간압조용 강선재의 제조방법에 대한 기술들이 제안되어 왔다. 일례로, 일본특개2000-336460호에서는, 중량%로, C: 0.1~0.5%, Si: 0.01~0.5%, Mn:0.3~1.5%를 함유하는 강을 사용하여 마무리 열간압연을 750℃에서 실시한 후 온수(溫水)에 침적시켜 냉각함으로써 미세한 페라이트(Ferrite)와 펄라이트(Pearlite)로 구성된 조직을 얻음으로써 구상화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냉간압조용 강선재의 제조방법을 제시하고 있다. 그러나, 이 기술의 경우, 압연상태에서 미세한 조직을 얻기 위하여 열간압연후에 선재코일을 침적시킬 수 있는 대용량의 온수침적설비를 갖추어야 한다는 문제점과 이 방법으로 제조한 선재는 여전히 페라이트와 펄라이트로 구성된 조직이기 때문에 구상화 시간 단축에 한계가 있다.
이에, 본 발명의 발명자들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연구 및 실험을 거듭하고 그 결과에 근거하여 본 발명을 제안하게 된 것으로, 본 발명에서는 별도의 시설변경없이 압연조건과 냉각조건의 제어로 선재의 미세조직에 일부 저온 변태조직 (마르텐사이트 혹은 베이나이트)를 분포시킴으로써 구상화시간을 단축할 수 있는 냉간압조용강 선재의 제조방법을 제공하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냉간압조용 강선재의 제조방법은, 중량%로, C: 0.20~0.60%, Si: 0.1~0.7%, Mn: 0.3~1.5%, P: 0.03% 이하, S: 0.03% 이하, Al: 0.10%이하, 나머지 Fe와 기타 불가피한 불순물로 조성되는 강편을 재가열하여 마무리 압연온도를 800℃이상으로 하는 조건으로 열간압연하고, Ar3 ~ Ar1의 범위에서 냉각을 개시하여 50℃/초 이상의 속도로 상온까지 냉각하는 것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하여 상세하 설명한다.
본 발명자들은 구상화소둔시간을 단축하기 위한 방안을 연구하던중에, 선재에 페라이트(Ferrite) 와 펄라이트(Pearlite)로 구성된 기지 조직에 일부 저온 변태조직 (마르텐사이트 혹은 베이나이트)이 분포되는 경우에 선재 내부 에너지를 크게 증가되어 구상화가 매우 신속히 이루어진다는 사실에 주목하여 본 발명을 완성한 것이다. 즉, 본 발명은 중탄소강 선재에서 페라이트와 펄라이트의 미세조직에 저온변태조직이 형성되도록 제조조건을 설정하는데, 그 특징이 있다. 이를 강선분계와 함께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 탄소(C): 0.20~0.60%
C는 강의 미세조직 및 기계적 성질에 큰 영향을 미치므로, 첨가량이 0.20%미만이면 제품상태에서 요구되는 강도를 확보할 수 없고, 또한, 0.60% 초과로 지나치게 많으면 구상화 소둔 이후의 냉간압조 가공성이 나빠진다.
· 규소(Si): 0.1~0.7%
Si은 통상 제강시 탈산을 위해서 첨가하는 요소로서, 제품에서 필요로 하는 강도를 확보하는 역할도 한다. 그러나, 상기 Si의 함량이 0.1% 미만이면 탈산작용이 원활이 이루어지지 않고 필요한 강도를 확보하기가 곤란하고, 0.7%초과이면 냉간가공시 변형저항을 크게 증가시켜 냉간압조성을 급격히 떨어뜨린다.
· 망간(Mn): 0.3~1.5%
Mn은 강의 충격인성의 저하 없이도 강의 강도를 높인다. 첨가량이 0.3%미만으로 적으면 이러한 효과가 뚜렷하지 않고, 첨가량이 1.5% 보다 많으면 강도가 제품 규격 범위 이상으로 증가한다.
· 인(P): 0.03%이하
P은 입계에 편석되어 강의 인성을 떨어뜨리므로, 그 함량을 0.03%이하로 제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 황(S): 0.03%이하
S은 강의 충격인성을 감소시키므로, 그 함량을 0.03%이하로 제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 알루미늄(Al): 0.10%이하
제강시 탈산을 위하여 첨가하며 질화물을 형성하여 조직을 미세화시켜 강의 인성을 증가시킨다. 첨가량이 많으면 그 효과가 포화되므로 0.1%이하로 제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와 같이 조성된 강편은 본 발명에 따라 재가열하여 열간선재압연하고 냉각하여 선재로 만든 다음, 통상의 방법을 통해 냉간신선가공 후 신속 구상화 소둔 패턴으로 열처리를 실시하고, 냉간단조되어 제품으로 가공한다.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제조공정에서 열간선재압연과 냉각조건을 제어하는데, 특징이 있다.
· 열간선재압연
강편을 열간압연하는데, 800℃ 이상의 온도에서 마무리 압연한다. 상기 마무리 압연을 800℃이상에서 행하는 이유는 다음과 같다. 변태전 오스테나이트 크기가 어느 정도의 크기를 가지고 있어야만 페라이트와 펄라이트로의 변태 속도가 느리기 때문에 페라이트+펄라이트 조직으로 변태 도중 급냉시켜 저온변태 조직을 혼입시킬 수가 있다. 만일 마무리 압연 온도가 800℃ 보다 낮게 되면 변태전 오스테나이트가 지나치게 미세해져서 페라이트 + 펄라이트 조직으로의 변태속도가 너무 빨라 변태 도중에 급냉을 시켜도 저온조직을 효과적으로 혼입시키기가 어렵게 된다.
· 냉각공정
상기와 같이 압연이후 소재온도가 Ar3 ~ Ar1의 범위가 되면 냉각을 개시한다. 그 이유는, 소재온도가 Ar3온도 보다 높은 상태에서 급냉하게 되면 소재 전체의 미세조직이 저온변태 조직이 되어 소재가 너무 취화하게 되어 구상화 소둔 전에 통상적으로 실시하는 냉간 신선을 실시할 수가 없게 된다. 그리고 소재온도가 Ar1온도 보다 낮은 상태에서 급냉하게 되면 오스테나이트 조직이 이미 페라이트, 펄라이트로 변태가 되었기 때문에 저온조직으로 더 이상 변태가 일어날 수가 없다. 이때의 냉각속도는 50℃/초 이상으로 하는데, 그 이유는 냉각속도가 이 보다 느리게 되면 목표로 하는 저온변태조직(베이나이트와 마르텐사이트에서 선택된 1종 또는 2종)을 얻을 수 없고, 미세한 펄라이트 혹은 열화된 펄라이트 조직으로 변태되기 때문이다. 선재 상태에서 목표로 하는 저온변태 조직이 혼입되지 아니하면 구상화 시간을 효과적으로 단축시키기가 곤란하다.
본 발명에 따라 제어냉각된 강선재는 페라이트와 펄라이트의 기지조직에 마르텐사이트 또는 베이나이트의 그룹에서 선택된 저온조직이 1종 또는 2종 분포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저온조직의 혼입율 4~16%일 때 구상화소둔시간의 약 1/2로 단축할 수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실시예 1]
하기 표1과 같이 조성되는 강을 110 mm x 110 mm x 250 mm의 소형 강편으로 제작하고 1100℃에서 2시간 가열한 다음, 열간압연을 실시한 후 열간 압연재로부터 직경 3mm x 높이 10mm 시편을 가공하였다. 이 시편은 다시 1000℃로 가열 후 5분간 유지한 후 900℃에서 40%의 압하율로 압하를 하였다. 이 후 5℃/초의 냉각속도로 각각 670℃, 650℃까지 냉각한 후 그 온도에서 100℃/초의 냉각속도로 상온까지 냉각시켰다. 단, 일부는 비교를 위해 900℃에서 40%의 압하율로 압하를 실시한 후 상온까지 5℃/초의 냉각속도로 냉각시켰다. 이 후 발명재와 비교재는 압축시험기를 이용하여 냉간에서 15%의 변형을 가한 후 구상화 소둔 열처리를 실시하였다. 발명재는 가열온도 740℃, 그리고 총 열처리 시간 8.5시간으로 구상화 소둔을 실시하였고, 상온까지 5℃/초로 연속냉각시킨 비교재는 종래 방법대로 가열온도 740℃, 총 열처리시간 16 시간으로 구상화 소둔 열처리를 실시하였다.
발명재 화학성분(중량%)
C Si Mn P S Al
0.45 0.24 0.71 0.01 0.008 0.035
도 1에는 압연후 냉각 상태에서의 발명재와 비교재의 미세조직 사진을 도시한 것이다. 도 1(c)는 열간 압하후 상온까지 연속 냉각시킨 비교재의 미세조직사진으로, 페라이트와 펄라이트로 구성된 전형적인 중탄소강의 조직을 가지고 있다. 이에 반해, 670℃, 650℃에서 급냉시킨 도 1(a)(b)의 발명재의 경우는 흰색의 마르텐사이트가 섬 형태로 존재함을 볼 수 있다.
표2는 발명재와 비교재의 구상화 열처리 조건 및 구상화 경도를 나타내었으며, 도 2에는 구상화 경도를 그래프화하여 나타내었다.
냉각조건 저온조직(마르텐사이트)혼입율 구상화소둔조건 구상화소둔후 경도(Hv) 비고
670℃이후 급냉 15.01% 가열온도:740℃총 구상화시간:8.5시간 153.5 발명재
650℃이후 급냉 4.0% 가열온도:740℃총 구상화시간:8.5시간 154.0 발명재
연속냉각(5℃/sec) 0% 가열온도:740℃총 구상화시간:16시간 153.5 비교재
표 2와 도 2에서 알 수 있듯이, 발명재는 구상화 시간이 종래재의 1/2 수준으로 짧게 하였으나 경도는 비교재와 유사하게 충분히 낮음을 알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구상화 소둔 시간을 단축하고도 충분히 연화가 가능한 선재를 제조할 수 있으므로, 이러한 선재를 사용하여 냉간압조품을 제작하는 경우, 열처리 비용 저감 및 생산성 향상 등의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이다.
도 1은 압연후 냉각 상태에서의 발명재와 비교재의 미세조직 사진
도 2 는 발명재와 비교재의 구상화 소둔 후의 경도값을 보여주는 그래프

Claims (3)

  1. 중량%로, C: 0.20~0.60%, Si: 0.1~0.7%, Mn: 0.3~1.5%, P: 0.03% 이하, S: 0.03% 이하, Al: 0.10%이하, 나머지 Fe와 기타 불가피한 불순물로 조성되는 강편을 재가열하여 마무리 압연온도를 800℃이상으로 하는 조건으로 열간압연하고, Ar3 ~ Ar1의 범위에서 냉각을 개시하여 50℃/초 이상의 속도로 상온까지 냉각하는 것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구상화소둔 시간 단축이 가능한 냉간압조용 강 선재의 제조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상온으로 냉각된 강선재는 페라이트와 펄라이트의 기지조직에 마르텐사이트 또는 베이나이트의 그룹에서 선택된 저온조직이 1종 또는 2종 분포됨을 특징으로 하는 구상화소둔 시간단축이 가능한 냉간압조용 강선재의 제조방법.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저온조직의 혼입율은 4~16%임을 특징으로 하는 구상화소둔 시간단축이 가능한 냉간압조용 강선재의 제조방법.
KR10-2001-0078858A 2001-12-13 2001-12-13 구상화 소둔 열처리 단축이 가능한 냉간압조용 강선재의제조방법 KR10053006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78858A KR100530065B1 (ko) 2001-12-13 2001-12-13 구상화 소둔 열처리 단축이 가능한 냉간압조용 강선재의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78858A KR100530065B1 (ko) 2001-12-13 2001-12-13 구상화 소둔 열처리 단축이 가능한 냉간압조용 강선재의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48819A KR20030048819A (ko) 2003-06-25
KR100530065B1 true KR100530065B1 (ko) 2005-11-22

Family

ID=295746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78858A KR100530065B1 (ko) 2001-12-13 2001-12-13 구상화 소둔 열처리 단축이 가능한 냉간압조용 강선재의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3006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95486B1 (ko) 2011-05-06 2011-12-19 동국제강주식회사 내진용 철근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되는 내진용 철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3752B1 (ko) * 2005-02-16 2011-05-09 신닛뽄세이테쯔 카부시키카이샤 구상화 처리 후의 냉간 단조성이 우수한 열간 압연 선재,우수한 냉간 단조성을 갖는 구상화 어닐링 처리된 강선, 및그들의 제조 방법
KR100951297B1 (ko) * 2007-12-03 2010-04-02 주식회사 포스코 냉간압조용 고인성 열처리생략 선재 및 그 제조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86815A (ja) * 1986-09-30 1988-04-18 Kobe Steel Ltd 冷間加工性の優れた鋼材の製造方法
JPS6386814A (ja) * 1986-09-29 1988-04-18 Kobe Steel Ltd 冷間加工性の優れた鋼材の製造方法
KR19980052456A (ko) * 1996-12-24 1998-09-25 김종진 구상화 열처리성이 우수한 냉간압조용 선재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86814A (ja) * 1986-09-29 1988-04-18 Kobe Steel Ltd 冷間加工性の優れた鋼材の製造方法
JPS6386815A (ja) * 1986-09-30 1988-04-18 Kobe Steel Ltd 冷間加工性の優れた鋼材の製造方法
KR19980052456A (ko) * 1996-12-24 1998-09-25 김종진 구상화 열처리성이 우수한 냉간압조용 선재의 제조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95486B1 (ko) 2011-05-06 2011-12-19 동국제강주식회사 내진용 철근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되는 내진용 철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48819A (ko) 2003-06-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018905B2 (ja) 機械構造用熱間圧延線材・棒鋼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20110013889A (ko) 고인성 비조질 압연재, 신선재 및 그 제조방법
KR100428581B1 (ko) 강도 및 인성이 우수한 비조질강 및 이를 이용한 선재의 제조방법
CN110343960A (zh) 一种高冷弯性能汽车用钢及其制造方法
KR101977499B1 (ko) 구상화 연화 열처리 생략이 가능한 선재 및 이의 제조방법
KR100470671B1 (ko) 냉간 압조가공성이 우수한 비조질강의 제조방법
KR100530065B1 (ko) 구상화 소둔 열처리 단축이 가능한 냉간압조용 강선재의제조방법
KR20210108002A (ko) 냉간압조용 선재 및 그 제조방법에 있어 열처리생략
JP3554506B2 (ja) 機械構造用熱間圧延線材・棒鋼の製造方法
KR100268852B1 (ko) 구상화 열처리성이 우수한 냉간압조용 선재의 제조방법
KR100328039B1 (ko) 냉간압조용선재의제조방법
KR20190078129A (ko) 냉간압조용 선재, 이를 이용한 가공품 및 이들의 제조방법
JP2001181791A (ja) 高周波焼入れ性と冷鍛性に優れた冷間鍛造用棒線材
KR101353551B1 (ko) 성형성이 우수한 고탄소 강판 및 그 제조방법
KR100435461B1 (ko) 재질편차가 적은 냉간압조용 강재의 제조방법
JPH01104718A (ja) 冷間鍛造用棒線材の製造方法
KR100355019B1 (ko) 연화소둔 생략형 냉간압조용 선재의 제조방법
JPS61153230A (ja) 迅速球状化が可能な低合金鋼線材の製造方法
KR102326245B1 (ko) 냉간압조용 선재 및 이의 제조방법
KR100415664B1 (ko) 구상화 열처리특성이 우수한 볼트용 선재의 제조방법
KR102109278B1 (ko) 연질화 열처리의 생략이 가능한 선재 및 그 제조방법
KR100311785B1 (ko) 연질 냉간압조용 합금강 선재의 제조방법
JPH0572442B2 (ko)
JPS626612B2 (ko)
KR20020053398A (ko) 고강도 베이나이트계 비조질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0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0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07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12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08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10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14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14

Year of fee payment: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