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29947B1 - 리니어 압축기 - Google Patents

리니어 압축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29947B1
KR100529947B1 KR10-2004-0011923A KR20040011923A KR100529947B1 KR 100529947 B1 KR100529947 B1 KR 100529947B1 KR 20040011923 A KR20040011923 A KR 20040011923A KR 100529947 B1 KR100529947 B1 KR 10052994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uid
piston
cylinder
oil
linear compress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119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83410A (ko
Inventor
허종태
정충민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119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29947B1/ko
Publication of KR200500834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8341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299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29947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1WEAPONS
    • F41BWEAPONS FOR PROJECTING MISSILES WITHOUT USE OF EXPLOSIVE OR COMBUSTIBLE PROPELLANT CHARGE; WEAP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41B11/00Compressed-gas guns, e.g. air guns; Steam guns
    • F41B11/60Compressed-gas guns, e.g. air guns; Steam guns characterised by the supply of compressed ga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1WEAPONS
    • F41BWEAPONS FOR PROJECTING MISSILES WITHOUT USE OF EXPLOSIVE OR COMBUSTIBLE PROPELLANT CHARGE; WEAP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41B11/00Compressed-gas guns, e.g. air guns; Steam guns
    • F41B11/50Magazines for compressed-gas guns; Arrangements for feeding or loading projectiles from magazines
    • F41B11/57Electronic or electric systems for feeding or load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lectromagnetic Pumps, Or The Like (AREA)
  • Compressors, Vaccum Pumps And Other Relevant Systems (AREA)
  • Control Of Positive-Displacement Pump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체를 이용하여 운동부의 메스를 가변시킴에 따라 외부 부하의 변동에 대응하여 공진점을 맞출 수 있어 최적의 압축 효율을 얻을 수 있는 리니어 압축기에 관한 것으로서, 실린더와; 상기 실린더 내부를 직선 왕복되도록 배치되고 유체 수용부가 형성된 피스톤과; 상기 피스톤을 상기 실린더 내부로 직선 왕복시키는 리니어 모터와; 상기 피스톤이 왕복 운동될 때 가진되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스프링과; 상기 유체 수용부 내의 유체를 조절하는 유체 조절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리니어 압축기{Linear compressor}
본 발명은 리니어 압축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냉매의 압축을 위해 직선 왕복하는 운동부의 메스를 가변시켜 전원의 가진 주파수와 피스톤의 공진점을 맞추도록 개선한 리니어 압축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리니어 압축기는 냉장고나 에어컨 등에 설치되어 기체 냉매를 고온 고압으로 압축시키는 것으로서, 리니어 모터의 직선 구동력을 이용하여 실린더 내부에서 피스톤을 직선 왕복 운동시키면서 냉매를 흡입하고 압축하여 토출한다.
상기한 리니어 압축기는 리니어 모터에서 발생되어 스프링에 저장된 탄성 에너지와 피스톤측의 관성 에너지를 이용하고, 상기 리니어 모터로 입력되는 전원의 가진 주파수와 상기 피스톤측이 공진을 이룰 때 압축 효율이 가장 높게 된다.
도 1은 종래 기술의 리니어 압축기가 도시된 종단면도이다.
종래 리니어 압축기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밀폐 용기(10)의 내부에, 실린더(13)가 구비된 실린더 블록(12)과 냉매 흡입구(16)가 구비된 백 커버(15)가 구비되고, 이 실린더 블록(12)과 백 커버(15)는 제 1 댐퍼(17)와 제 2 댐퍼(18)를 통해 밀폐 용기(10) 내에 완충 가능하게 지지된다.
상기 실린더 블록(12)과 백 커버(15)의 사이에는 냉매를 압축하기 위해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리니어 모터(20)가 배치된다. 이 리니어 모터(20)에는 상기 실린더(13) 내부에서 직선 왕복 운동하면서 실린더(13) 내부로 흡입된 냉매를 압축하는 피스톤(30)이 연결된다.
여기서 상기 리니어 모터(20)는 크게 고정자와 가동자로 이루어지는 바, 고정자는 적층체로 이루어지는 아우터 코어(21)와, 적층체로 이루어져 상기 아우터 코어(21)와 일정한 공극을 갖도록 배치되는 이너 코어(22)와, 상기 아우터 코어(21)에 장착되어 자장을 형성하는 코일(23)로 이루어진다.
가동자는 상기 아우터 코어(21)와 이너 코어(22)의 사이에 위치되어 상기 코일(23) 주변에 형성된 자기력에 의해 직선 이동되는 마그네트(25)와, 상기 마그네트(25)와 피스톤(30)이 고정되어 상기 피스톤(30)에 직선 운동력을 전달하는 마그네트 프레임(27)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피스톤(30)은 뒷부분에 상기 마그네트 프레임(27)에 고정되는 플랜지부(32)가 형성되고, 상기 플랜지부(32)와 실린더 블록(12) 사이에 배치된 제 1 스프링(28)과, 상기 플랜지부(32)와 백 커버(15) 사이에 배치된 제 2 스프링(29)에 의해 탄성력 있게 지지된다.
상기 피스톤(30)은 내부에 냉매가 유입되는 흡입 유로(33)를 형성하며, 전면은 막힌 구조로 이루어져 이 막힌 부분에 복수개의 흡입구(34)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피스톤(30)의 전면에는 상기 흡입구(34)를 개폐하는 흡입밸브(35)가 구비되는 바, 상기 흡입밸브(35)는 상기 피스톤(30)에 볼트로 고정된 밸브판(36)이 양측의 압력차에 따라 탄성적으로 휘면서 상기 흡입구(34)를 개폐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토출부(40)는 상기 실린더(13)의 압축실(C) 전방에서 실린더 블록(12)에 고정되고 일측에 냉매 토출홀이 형성된 내측 토출 커버(41)와, 상기 내측 토출 커버(41)에 스프링(43)으로 지지되어 상기 실린더(13)의 압축실(C)을 개폐하는 밸브체(45)와, 상기 내측 토출 커버(41)의 외측에 일정한 공간을 형성토록 배치된 외측 토출 커버(47)로 구성된다.
한편, 도 1에서 참조 부호 1 은 상기 밀폐용기(10)에 관통되게 연결되어 외부에서 냉매가 흡입되는 흡입 연결 파이프이고, 참조 부호 2는 상기 토출부(40)의 외측 토출 커버(47)에 연결되어 토출부(40)를 통과한 냉매가 토출되는 토출 파이프이며, 참조 부호 4는 상기 토출 파이프(4)에 일단이 연결된 루프 파이프이며, 참조 부호 6은 상기 루프 파이프(4)에 일단이 연결되고 상기 밀폐용기(10)를 관통하여 외부로 연장된 토출 연결 파이프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종래 기술의 리니어 압축기의 동작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 리니어 모터(20)가 작동됨에 따라 마그네트(25)가 상기 코일(23) 주변의 자기장과 상호 작용으로 직선 왕복 운동하게 되며, 이 운동력은 마그네트 프레임(27)을 통해 피스톤(30)과 제 1 스프링(28) 및 제 2 스프링(29)으로 전달되고, 상기 피스톤(30)은 상기 토출부(40)의 밸브체(45)와 백 커버(15) 사이에서 연속적으로 직선 왕복 운동하게 된다.
상기 피스톤(30)이 상기 토출부(40) 방향으로 전진되면, 상기 흡입밸브(35)는 상기 흡입 유로(33)와 압축실(C)의 압력차에 의해 닫히게 되고, 상기 압축실(C) 내부에 있던 냉매는 압축된 후 토출부(40)를 통해 토출되며, 상기 백 커버(15) 외측의 냉매는 상기 백 커버(15)의 흡입구(16)를 통해 흡입된다.
반대로 상기 피스톤(30)이 후진하게 되면, 상기 흡입 유로(33)와 압축실(C) 사이의 압력차에 의해 상기 흡입밸브(35)가 열리게 되고, 이때 피스톤(30)의 흡입 유로(33) 상에 냉매는 흡입구(34)를 통해 압축실(C) 내부로 유입된다. 이후 피스톤(30)이 전진하게 되면 상기한 바와 같이 압축실(C) 내의 냉매가 압축된 후 토출되는 과정을 반복하게 된다.
한편, 상기 리니어 압축기는 외부의 부하가 변동되면, 상기 리니어 모터의 코일로 입력되는 전원의 주파수가 변화되고, 상기 피스톤의 직선 왕복 속도는 가변되어 외부 부하에 대응하게 된다.
그러나, 종래 기술에 따른 리니어 압축기는 외부 부하의 변동에 따라 공진점이 이동하게 되는데, 상기 피스톤(30)을 포함하는 운동부의 메스(mass)가 일정하기 때문에, 외부 부하의 변동에 대응하여 공진점을 일치시키기 어렵고 그에 따라 효율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유체를 이용하여 운동부의 메스를 가변시킴에 따라 외부 부하의 변동에 대응하여 공진점을 맞출 수 있어 최적의 압축 효율을 얻을 수 있는 리니어 압축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리니어 압축기는 실린더와; 상기 실린더 내부를 직선 왕복되도록 배치되고 유체 수용부가 형성된 피스톤과; 상기 피스톤을 상기 실린더 내부로 직선 왕복시키는 리니어 모터와; 상기 피스톤이 왕복 운동될 때 가진되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스프링과; 상기 유체 수용부 내의 유체의 양을 조절하는 유체 조절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리니어 압축기 제 1 실시예가 도시된 종단면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리니어 압축기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 셀(50)이 하부에 오일이 담겨지는 하부 셀(52)과, 상기 하부 셀(52)의 상면을 덮는 상부 셀(54)로 구성되어 고정 셀(50)의 내부가 밀폐된다.
상기 하부 셀(52)과 상부 셀(54) 중 어느 일측에는 상기 하부 셀(52)과 상부 셀(54)의 내측 공간으로 냉매가 흡입되기 위한 흡입 파이프(53)가 장착된다.
상기 하부 셀(52)의 일측에는 제 1 댐퍼(56)에 의해 완충 가능하게 지지되는 실린더 블록(60)이 구비된다.
상기 실린더 블록(60)의 중앙에는 냉매의 압축을 위한 압축실(C)을 형성하는 실린더(62)가 구비된다.
상기 실린더 블록(60) 및 실린더(62)의 옆에는 상기 압축실(C)에서 압축된 냉매가 토출되기 위한 토출부가 장착된다.
상기 토출부는 상기 실린더(62)의 일단을 개폐하기 위한 토출 밸브(63)와, 상기 토출 밸브(63)가 스프링(64)으로 탄지되고 일측에 냉매 토출홀(65)이 형성된 내측 토출 커버(66)와, 상기 내측 토출 커버(66)의 외측에 이격되고 냉매 토출 파이프(67)가 연결된 외측 토출 커버(68)가 장착된다.
상기 냉매 토출 파이프(67)에는 토출된 냉매를 상기 하부 셀(52)과 상부 셀(54)의 외부로 안내하기 위한 루프 파이프(69)가 연결된다.
한편, 상기 리니어 압축기는 외부에서 전원이 입력되면 상기 실린더(62) 내의 냉매를 압축하기 위한 직선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리니어 모터(7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리니어 모터(70)는 상기 실린더 블록의 옆에 고정 설치된 고정자와, 상기 고정자, 상기 고정자에 형성된 전자기력에 의해 직선 왕복 운동하는 가동자로 구성된다.
상기 고정자는 코일(71)과, 상기 코일(71)이 권선된 보빈(72)과, 상기 보빈(72)의 일부를 둘러싸고 상기 실린더 블록(60)의 일면 옆에 배치되는 아우터 스테이터(74)와, 상기 아우터 스테이터(74)와 공극을 갖는 이너 스테이터(76)로 구성된다.
상기 가동자는 상기 아우터 스테이터(18)와 이너 스테이터(18) 사이에 위치되는 마그네트(78)와, 상기 마그네트(78)와 함께 직선 왕복되도록 상기 마그네트(78)가 장착되는 마그네트 프레임(80)으로 구성된다.
상기 마그네트 프레임(80)에는 상기 리니어 모터의 구동시 상기 실린더(62)의 내측을 직선 왕복하는 피스톤(90)이 연결된다.
상기 피스톤(90)에는 상기 실린더(62) 내부로 냉매가 유입될 수 있도록 냉매 관통로(91)가 길이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고, 상기 냉매 관통로(91)를 개폐하기 위한 흡입 밸브(92)가 장착된다.
또한, 상기 리니어 압축기는 냉매가 흡입되는 냉매 흡입로(102)가 구비된 백 커버(104)와, 상기 아우터 스테이터(74)의 옆에 배치되는 스프링 시트(106)와, 상기 백 커버(104)와의 사이에 제 1 스프링(110)이 배치되고, 상기 스프링 시트(106)와의 사이에 제 2 스프링(112)이 배치된 스프링 지지체(114)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제 1 스프링(110) 및 제 2 스프링(112)은 상기 피스톤(90)이 왕복 운동될 때 가진되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것으로, 상기 리니어 모터에서 발생된 에너지를 저장하였다가 상기 피스톤(90)에 돌려준다.
상기 스프링 지지체(114)는 상기 하부 셀(52)에 설치된 제 1 댐퍼(56)에 의해 완충 가능하게 지지되고, 상기 마그네트 프레임(80) 및 피스톤(90)과 함께 직선 왕복되도록 상기 마그네트 프레임(80)과 피스톤(90) 중 적어도 어느 일측에 연결된다.
한편, 상기 리니어 압축기는 상기 마그네트(78)와 마그네트 프레임(80)과 피스톤(90)과 스프링 지지체(114)의 조립체(이하, "운동부" 이라 칭함)의 메스(mass)을 가감할 수 있도록 운동부에 유체 수용부(94)를 형성하고, 상기 유체 수용부(94) 내의 유체의 양을 조절하는 유체 조절 수단(120)이 장착된다.
여기서, 상기 유체는 외부에서 별도로 공급되는 것도 가능하나, 상기 고정 셀(50), 특히 하부 셀(52)에 담겨진 오일(O)이 바람직하며, 이하 상기 유체를 오일(O)로 한정하여 설명한다.
상기 유체 수용부(94)는 상기 마그네트(78)와 마그네트 프레임(80)과 피스톤(90)과 스프링 지지체(114)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에 형성되는 것이 가능하고, 유체(0)의 수용이 가장 적합한 피스톤(90)에 형성됨이 가장 바람직하며, 이하 피스톤(90)에 형성된 것으로 설명한다.
상기 유체 수용부(94)는 상기 피스톤(90)의 외주에 형성된 원통형 홈으로 이루어져 상기 실린더(62)의 내측면과의 사이에 오일(O)이 수용된다.
상기 유체 조절 수단은 상기 유체 수용부(94) 내로 오일(0)을 공급하도록 설치된 유체 조절 펌프(120)로 구성된다.
상기 유체 조절 펌프(120)는 상기 오일(0)을 펌핑시키도록 상기 실린더 블록(60) 또는 아우터 스테이터(74)의 하측에 장착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실린더 블록(60) 및 실린더(62)에는 상기 유체 조절 펌프(120)에서 펌핑된 오일(0)을 상기 유체 수용부(94)로 수송하기 위한 유로가 형성된다.
즉, 상기 실린더(62)에는 상기 유체 수용부(94)와 통하는 유체 통과홀(62a)이 형성되고, 상기 실린더 블록(60)에는 상기 유체 통과홀(62a)과 일단이 통하고 유체 조절 펌프(120)와 타단이 통하는 유체 통로(61a)가 형성된다.
한편, 상기 유체 조절 수단은 상기 유체 수용부(94) 내의 유체의 유출을 조절하도록 설치된 유체 조절 밸브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리니어 압축기 제 1 실시예가 도시된 횡단면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실린더(62)에는 상기 유체 수용부(94)와 통하는 제 2 유체 통과홀(62b)이 형성된다.
상기 실린더 블록(60)에는 상기 제 2 유체 통과홀(62b) 및 유체 조절 밸브(130)와 통하는 제 2 유체 통로(61b)가 형성된다.
상기 유체 조절 밸브(130)는 상기 제 2 통과홀(62b) 또는 제 2 유체 통로(61b)를 개폐하도록 설치된 유량 조절 밸브로서, 상기 오일(O) 유면의 상측에 위치되게 상기 실린더 블록(60) 또는 아우터 스테이터(74)에 장착됨이 바람직하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리니어 압축기 제 1 실시예의 제어 블록도이다.
상기 유체 조절 수단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원 공급부(140)에서 상기 리니어 모터(70)로 입력되는 전원에 따라 부하를 판단하고, 판단된 외부 부하에 비례하여 오일량을 조절하는 제어부(142)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즉, 상기 제어부(142)는 상기 전원 공급부(140)에서 상기 리니어 모터(70)로 입력되는 전원이 크면, 상기 유체 수용부(94)에 오일(O)이 다량 수용되도록 상기 오일 조절 펌프(120) 또는 오일 조절 밸브(130)를 제어하고, 상기 전원 공급부(140)에서 상기 리니어 모터(70)로 입력되는 전원이 작으면, 상기 유체 수용부(94)에 오일이 소량 수용되도록 상기 오일 조절 펌프(120) 또는 오일 조절 밸브(130)를 제어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동작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 전원 공급부(140)는 외부 부하에 대응하여 상기 리니어 모터(70)의 코일(70)에 전원을 공급하고, 상기 마그네트(78)는 상기 코일(70) 주변의 자기장과 상호 작용으로 직선 왕복 운동하게 되며, 이 운동력은 마그네트 프레임(80)을 통해 피스톤(90)과 스프링 지지체(114)와 제 1 스프링(110) 및 제 2 스프링(112)으로 전달되고, 상기 피스톤(90)은 상기 토출부와 백 커버(104)의 사이에서 연속적으로 직선 왕복 운동하게 된다.
상기 피스톤(90)이 상기 토출부 방향으로 전진되면, 상기 흡입밸브(92)는 상기 냉매 관통로(91)과 압축실(C)의 압력차에 의해 닫히게 되고, 상기 압축실(C) 내부에 있던 냉매는 압축된 후 토출부를 통해 토출되며, 상기 고정 셀(50) 내측의 유체는 상기 백 커버(104)의 냉매 흡입로(102)를 통해 상기 피스톤(90)의 냉매 관통로(91)로 흡입된다.
반대로 상기 피스톤(90)이 후진하게 되면, 상기 냉매 관통로(91)와 압축실(C) 사이의 압력차에 의해 상기 흡입밸브(92)가 열리게 되고, 상기 피스톤(90)의 냉매 관통로(91)에 있던 유체는 상기 압축실(C) 내부로 유입된다.
이후 피스톤(30)이 전진과 후진을 반복하면, 상기한 바와 같은 냉매의 흡입과 압축과 토출이 이루어진다.
한편, 상기 제어부(142)는 상기와 같은 냉매의 흡입과 압축과 토출시 상기 피스톤(90)을 포함하는 운동부의 메스를 외부 부하에 대응시켜 조절함에 따라 운동부가 전원의 가진 주파수와 공진되도록 상기 유체 조절 펌프(120) 또는 유체 조절 밸브(130)를 제어한다.
즉, 상기 제어부(142)는 상기 전원 공급부(140)에서 상기 리니어 모터(70)로 입력되는 전원에 따라 부하를 판단하고, 외부 부하가 크면, 상기 피스톤(90)의 유체 수용부(94) 내에 다량의 오일이 수용되도록 상기 오일 조절 펌프(120)를 고속으로 구동함과 아울러 상기 오일 조절 밸브(130)가 오일을 유출하지 않거나 소량 유출하도록 제어하고, 외부 부하가 작으면, 상기 피스톤(90)의 유체 수용부(94) 내에 소량의 오일이 수용되거나 오일이 수용되지 않도록 상기 오일 조절 펌프(120)를 저속으로 구동하거나 오프시킴과 아울러 상기 오일 조절 밸브(130)가 오일을 유출하도록 제어한다.
상기 오일 조절 펌프(120)의 구동시 상기 고정 셀(50)에 담겨진 오일(O)은 펌핑되어 상기 실린더 블록(60)의 유체 통로(61a)와 상기 실린더(62)의 유체 통과홀(62a)을 통과하고, 상기 피스톤(90)의 유체 수용부(94)로 공급되어 상기 실린더(90)의 유체 수용부(94)와 피스톤(90)의 내벽면 사이에 담겨지며, 상기 실린더(62)와 피스톤(90)을 윤활시키면서 상기 운동부의 메스를 증가시킨다.
한편, 상기 오일 조절 밸브(130)의 개방시 상기 실린더(90)의 유체 수용부(94)와 피스톤(90)의 내벽면 사이에 담겨져 있던 오일은 상기 실린더(62)의 제 2 유체 통과홀(62b)과 상기 실린더 블록(60)의 제 2 유체 통로(61b)와 오일 조절 밸브(130)를 통과하여 상기 고정 셀(50)의 내측 하부로 유출되고, 이때 상기 운동부의 메스는 오일이 유출된 만큼 감소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리니어 압축기 제 2 실시예의 제어 블록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리니어 압축기는 유체 조절 수단이 외부 부하를 감지하는 부하 감지 센서(150)에서 입력된 신호에 따라 부하를 판단하고, 판단된 외부 부하에 비례하여 오일량을 조절하는 제어부(152)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부하 감지 센서(150) 및 제어부(152) 이외의 기타 구성 및 작용은 본 발명 제 1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동일 부호를 사용하고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부하 감지 센서(150)는 상기 리니어 압축기가 설치된 냉장고 또는 에어컨 등에 설치되어, 음식물 저장실 또는 실내의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 센서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에 따른 리니어 압축기는 상기 부하 감지 센서(150)에서 감지된 부하가 크면, 유체 수용부(94)에 오일(O)이 다량 수용되도록 오일 조절 펌프(120) 또는 오일 조절 밸브(130)를 제어하고, 상기 부하 감지 센서(150)에서 감지된 부하가 작으면, 유체 수용부(94)에 오일이 소량 수용되도록 오일 조절 펌프(120) 또는 오일 조절 밸브(130)를 제어한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 실시예의 오일 조절 펌프(120) 대신에 오일량을 조절할 수 없는 별도의 오일 펌프(미도시)와, 상기 실시예의 오일 조절 밸브(130)가 장착되어 오일 조절 밸브(130)의 조절에 의해서만 운동부의 메스를 조절하는 것도 적용 가능함은 물론이고, 오일의 유출입을 조절할 수 있는 별도의 오일 조절 펌프(미도시)가 장착되어, 오일 조절 펌프의 조절에 의해서만 운동부의 메스를 조절하는 것도 적용 가능함은 물론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리니어 압축기는 피스톤에 유체 수용부가 형성되고, 상기 유체 수용부 내의 유체를 조절하는 유체 조절수단이 장착되어, 외부 부하의 변동에 대응하여 운동부의 메스를 가변시킴에 따라 운동부와 전원의 가진 주파수의 공진점을 맞출 수 있어 최적의 압축 효율을 얻을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상기 유체 조절 수단은 상기 유체 수용부 내로 유체를 공급하도록 설치된 유체 조절 펌프로 구성되어, 상기 유체 수용부 내로 유체를 신속하게 공급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상기 유체 조절 수단은 상기 유체 수용부 내의 유체의 유출을 조절하도록 설치된 유체 조절 밸브로 구성되어, 상기 유체 수용부 내의 유체를 신속하게 유출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상기 리니어 압축기는 하부에 오일이 담겨지는 고정 셀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유체는 상기 고정 셀에 담겨진 오일로 이루어져, 구조가 간단하고, 오일이 실린더와 피스톤의 윤활작용을 하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의 리니어 압축기가 도시된 종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리니어 압축기 제 1 실시예가 도시된 종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리니어 압축기 제 1 실시예가 도시된 횡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리니어 압축기 제 1 실시예의 제어 블록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리니어 압축기 제 2 실시예의 제어 블록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관한 부호의 설명>
50: 고정 셀 60: 실린더 블록
61a: 유체 통로 61b: 제 2 유체 통로
62: 실린더 62a: 유체 통과홀
62b: 제 2 유체 통과홀 63: 토출 밸브
64: 스프링 65: 냉매 토출홀
66: 내측 토출 커버 67: 토출 파이프
68: 외측 토출 커버 69: 루프 파이프
70: 리니어 모터 71: 코일
72: 보빈 74: 아우터 스테이터
76: 이너 스테이터 78: 마그네트
80: 마그네트 프레임 90: 피스톤
91: 냉매 관통로 92: 흡입 밸브
94: 유체 수용홈 104: 백 커버
110: 제 1 스프링 112: 제 2 스프링
114: 스프링 지지체 120: 유체 조절 펌프
130: 유체 조절 밸브 140: 전원 공급부
142: 제어부 150: 부하 감지 센서
152: 제어부 C: 압축실
O: 오일

Claims (6)

  1. 실린더와;
    상기 실린더 내부를 직선 왕복되도록 배치되고 유체 수용부가 형성된 피스톤과;
    상기 피스톤을 상기 실린더 내부로 직선 왕복시키는 리니어 모터와;
    상기 피스톤이 왕복 운동될 때 가진되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스프링과;
    상기 유체 수용부 내의 유체의 양을 조절하는 유체 조절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니어 압축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유체 수용부는 상기 피스톤의 외주에 형성된 원통형 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니어 압축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유체 조절 수단은 상기 유체 수용부 내로 유체를 공급하도록 설치된 유체 조절 펌프와, 상기 유체 수용부 내의 유체의 유출을 조절하도록 설치된 유체 조절 밸브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니어 압축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유체 조절 수단은 전원 공급부에서 상기 리니어 모터로 입력되는 전원에 따라 부하를 판단하고, 판단된 외부 부하에 비례하여 유체의 량을 조절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니어 압축기.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유체 조절 수단은 외부 부하를 감지하는 부하 감지 센서에서 입력된 신호에 따라 부하를 판단하고, 판단된 외부 부하에 비례하여 유체의 량을 조절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니어 압축기.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리니어 압축기는 하부에 오일이 담겨지는 고정 셀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유체는 상기 고정 셀에 담겨진 오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니어 압축기.
KR10-2004-0011923A 2004-02-23 2004-02-23 리니어 압축기 KR10052994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11923A KR100529947B1 (ko) 2004-02-23 2004-02-23 리니어 압축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11923A KR100529947B1 (ko) 2004-02-23 2004-02-23 리니어 압축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83410A KR20050083410A (ko) 2005-08-26
KR100529947B1 true KR100529947B1 (ko) 2005-11-22

Family

ID=372696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11923A KR100529947B1 (ko) 2004-02-23 2004-02-23 리니어 압축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2994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64283B1 (ko) * 2006-01-16 2007-10-05 엘지전자 주식회사 리니어 압축기의 조립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83410A (ko) 2005-08-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676388B2 (en) Gas compression apparatus for reciprocating compressor
KR101076750B1 (ko) 리니어 압축기의 공진 주파수 조절 시스템
EP0909896B1 (en) Oscillating compressor
US7651321B2 (en) Variable displacement compressor
KR101208477B1 (ko) 용량제어밸브
US7934910B2 (en) Piston displacement device for reciprocating compressor
US20050271526A1 (en) Reciprocating compressor, driving unit and control method for the same
KR102238331B1 (ko) 리니어 압축기, 리니어 압축기의 제어장치 및 제어방법
KR102350313B1 (ko) 공기압 드라이브 극저온 냉동기
US8430642B2 (en) Controlling apparatus for linear compressor
KR100461231B1 (ko) 왕복동식 압축기의 흡입 머플러
KR100529947B1 (ko) 리니어 압축기
KR101299548B1 (ko) 압축기 제어 장치 및 제어 방법
KR20150005762A (ko) 용량 가변형 사판식 압축기
KR20050121053A (ko) 압축기
JP5915511B2 (ja) 可変容量型斜板式圧縮機
KR100690164B1 (ko) 리니어 압축기의 제어방법
JPH09151843A (ja) リニアコンプレッサ
US20080213108A1 (en) Linear Compressor
KR100862296B1 (ko) 냉동사이클 장치 및 그를 구비한 냉장고
EP2738498A2 (en) Refrigerator
KR100529944B1 (ko) 리니어 압축기의 오일 급유 장치
KR101877259B1 (ko) 가변 용량형 사판식 압축기
KR100851013B1 (ko) 2단 왕복동식 압축기 및 그를 구비한 냉장고
KR100851012B1 (ko) 2단 왕복동식 압축기 및 그를 구비한 냉장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